KR100927658B1 - 개방형 일회용 기저귀 - Google Patents

개방형 일회용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7658B1
KR100927658B1 KR1020040037181A KR20040037181A KR100927658B1 KR 100927658 B1 KR100927658 B1 KR 100927658B1 KR 1020040037181 A KR1020040037181 A KR 1020040037181A KR 20040037181 A KR20040037181 A KR 20040037181A KR 100927658 B1 KR100927658 B1 KR 100927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region
flap
circumference
fiber nonw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7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1926A (ko
Inventor
미츠이고이치로
미나토히로나오
사야마야스시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01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1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7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7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the topsheet and the back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6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waist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ncircling the crotch region of the undergar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4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side panels
    • A61F13/49015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side panels the elastic means being elastic pan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 중에 서로 중첩되는 앞뒤 몸통둘레 영역의 사이드 플랩끼리 틀어져 움직이는 일은 없고, 기저귀의 착용 위치로부터 틀어져 흘러내리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개방형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개방형 일회용 기저귀(1)는 가랑이 영역(3)으로부터 앞뒤 몸통둘레 영역(2, 4)으로 연장되는 배설물 흡수 존(5)과, 존(5)의 가로 방향 외측에 위치하여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플랩(6, 7, 8)과, 존(5)의 세로 방향 외측에 위치하여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엔드 플랩(9, 10)을 갖는다. 기저귀(1)에서는, 앞 몸통둘레 영역(2)의 사이드 플랩(6)이 피부 비접촉측에 위치하는 제1 섬유 부직포와 피부 접촉측에 위치하는 제2 섬유 부직포를 중첩시킨 복합 부직포(17)로 형성되고, 제1 섬유 부직포의 운동 마찰 계수가 제2 섬유 부직포의 운동 마찰 계수보다도 크다.

Description

개방형 일회용 기저귀{DISPOSABLE DIAPER IN OPEN FORM}
도 1은 일례로서 도시한 기저귀의 부분 파단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III-III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IV-IV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5는 도 1의 V-V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6은 착용 상태로 도시한 기저귀의 사시도.
도 7은 운동 마찰 계수를 측정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일회용 기저귀
2 : 앞 몸통둘레 영역
3 : 가랑이 영역
4 : 뒤 몸통둘레 영역
5 : 배설물 흡수 존
6 : 사이드 플랩
7 : 사이드 플랩
8 : 사이드 플랩
9 : 엔드 플랩
10 : 엔드 플랩
11 : 투액성 표면 시트
12 : 불투액성 이면 시트
13 : 흡액성 코어
17 : 복합 부직포
18 : 제1 섬유 부직포
19 : 제2 섬유 부직포
22 : 신축성 시트
29 : 테이프 파스너(고정 수단)
31 : 타겟 테이프(고정 수단)
본 발명은 배설물을 흡수, 유지하는 개방형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피부 접촉측에 위치하는 투액성 표면 시트와, 피부 비접촉측에 위치하는 불투액성 이면 시트와, 표리면 시트 사이에 개재하는 흡액성 코어로 구성되고, 코어의 양측 가장자리의 가로 방향 외측에 위치하여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플랩과, 코어의 양단 가장자리의 세로 방향 외측에 위치하여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엔드 플랩을 가지며, 뒤 몸통둘레 영역의 사이드 플랩에 가로 방 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테이프 파스너가 부착되고, 앞 몸통둘레 영역의 외면에 테이프 파스너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타겟 테이프가 부착된 개방형 일회용 기저귀는 공지되어 있다.
개방형 기저귀를 착용하기 위해서는 뒤 몸통둘레 영역의 사이드 플랩을 앞 몸통둘레 영역의 사이드 플랩의 외측에 중첩시키고, 테이프 파스너를 타겟 테이프의 외면에 고정하여 앞뒤 몸통둘레 영역을 연결한다. 앞뒤 몸통둘레 영역이 연결된 기저귀에는, 몸통둘레 개구와 한 쌍의 다리둘레 개구가 형성된다. 개방형 기저귀는 그 착용 중에 착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서로 중첩되는 앞뒤 몸통둘레 영역의 사이드 플랩끼리 틀어져 움직이기 쉽고, 이들 사이드 플랩이 뒤틀리거나 걷어올려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앞 몸통둘레 영역의 사이드 플랩의 외면과 뒤 몸통둘레 영역의 사이드 플랩의 내면에 슬립 방지재를 부착한 기저귀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저귀는 그 착용 중에 서로 중첩되는 앞뒤 몸통둘레 영역의 사이드 플랩끼리의 미끄러짐이 슬립 방지재에 의해 억제되기 때문에, 사이드 플랩끼리 틀어져 움직이기 어렵고, 이들 사이드 플랩이 뒤틀리거나 걷어올려지거나 하는 일이 없다. 슬립 방지재에는 자착성(自着性) 점착제나 아크릴계 슬립 방지제, 우레탄 시트가 사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소화 제63-256702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저귀에서는, 슬립 방지재를 부착한 뒤 몸통둘레 영역의 사이드 플랩의 내면이 착용자의 피부에 닿으면, 사이드 플랩이 피부에 달라붙어 불쾌감이 있다. 이 기저귀는 앞뒤 몸통둘레 영역의 사이드 플랩끼리가 서로 틀어져 움직이는 것을 막을 수 있었다고 해도, 착용자의 피부에 달라붙는 뒤 몸통둘레 영역의 사이드 플랩이 피부가 휨에 따라 용이하게 움직이기 때문에, 앞뒤 몸통둘레 영역의 사이드 플랩이 착용 위치로부터 틀어져 움직이기 쉽고, 착용 중에 기저귀가 착용 위치로부터 부주의하게 틀어져 흘러내리게 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 중에 서로 중첩되는 앞뒤 몸통둘레 영역의 사이드 플랩끼리 틀어져 움직이는 일은 없고, 기저귀의 착용 위치로부터 틀어져 흘러내리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사이드 플랩이 착용자의 피부에 닿았을 때의 불쾌감이 없는 개방형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제는 세로 방향으로 앞 몸통둘레 영역 및 뒤 몸통둘레 영역과, 이들 몸통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가랑이 영역으로부터 상기 앞뒤 몸통둘레 영역으로 연장되는 배설물 흡수 존과, 상기 흡수 존의 가로 방향 외측에 위치하여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플랩(side flap)과, 상기 흡수 존의 세로 방향 외측에 위치하여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엔드 플랩(end flap)을 가지며, 상기 엔드 플랩에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몸통둘레용 탄성부재가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고, 착용시에 고정 수단을 통해 상기 앞뒤 몸통둘레 영역을 연결하는 개방형 일회용 기저귀이다.
상기 전제에 있어서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의 사이드 플랩이 피부 비접촉측에 위치하는 제1 섬유 부직포와 피부 접촉측에 위치하는 제2 섬유 부직포를 중첩시킨 복합 부직포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섬유 부직포의 운동 마찰 계수가 상기 제2 섬유 부직포보다도 크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로서는, 상기 제1 섬유 부직포의 가로 방향의 동(動)마찰 계수가 1.05∼2.11의 범위에 있고, 상기 제2 섬유 부직포의 가로 방향의 운동 마찰 계수가 0.35∼0.60의 범위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다른 일례로서는, 상기 제1 섬유 부직포가 고무형 탄성을 갖는 열가소성 합성수지 섬유와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합성수지 섬유로 형성된 멜트 블론 부직포이고, 상기 제2 섬유 부직포가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합성수지 섬유로 형성된 스펀 본드 부직포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다른 일례로서는,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의 사이드 플랩이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 중 적어도 가로 방향으로 탄성적인 신축성을 갖는 신축성 시트로 형성되어 있는 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기저귀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다른 일례로서는, 상기 몸통둘레용 탄성부재의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신장 응력이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의 사이드 플랩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보다도 작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다른 일례로서는, 상기 배설물 흡수 존이 피부 접촉측에 위치하는 투액성 표면 시트와, 피부 비접촉측에 위치하는 불투액성 이면 시트 와, 상기 표리면 시트 사이에 개재하는 흡액성 코어로 형성되어 있다.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개방형 일회용 기저귀의 상세한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례로서 도시하는 기저귀(1)의 부분 파단 사시도이고, 도 2, 도 3은 도 1의 II-II선 단면도와, 도 1의 III-III선 단면도이다. 도 1에서는, 가로 방향을 화살표 L, 세로 방향을 화살표 M으로 나타내고, 두께 방향을 화살표 N으로 나타낸다. 또한, 표리면 시트(11, 12)나 샘 방지 시트(14)의 내면이란, 코어(13)에 대향하는 면을 말하고, 이들 시트(11, 12, 14)의 외면이란, 코어(13)에 비대향인 면을 말한다.
기저귀(1)는 세로 방향으로 앞 몸통둘레 영역(2) 및 뒤 몸통둘레 영역(4)과, 이들 몸통둘레 영역(2, 4)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3)을 구비하고, 코어의 액흡수 기능이 작용하는 배설물 흡수 존(5)과, 흡수 존(5)의 가로 방향 외측에 위치하여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플랩(6, 7, 8)과, 흡수 존(5)의 세로 방향 외측에 위치하여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엔드 플랩(9, 10)을 갖는다. 기저귀(1)는 그 평면 형상이 실질적으로 모래시계형을 나타낸다. 기저귀(1)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샘 방지 시트(14)가 부착되어 있다.
배설물 흡수 존(5)은 앞뒤 몸통둘레 영역(2, 4)과 가랑이 영역(3)과의 가로 방향 중앙에 위치하고, 가랑이 영역(3)으로부터 앞뒤 몸통둘레 영역(2, 4)을 향해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액 흡수 존(5)은 피부 접촉측에 위치하는 투액성 표면 시트(11)와, 피부 비접촉측에 위치하는 불투액성 이면 시트(12)와, 표리면 시트(11, 12) 사이에 개재하는 흡액성 코어(13)로 형성되어 있다. 코어(13)는 표면 시트(11)와 이면 시트(12) 중 적어도 한쪽 내면에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고착되어 있다. 표면 시트(11)는 통기 친수성 섬유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이면 시트(12)는 서로 중첩되는 통기 불투액성 플라스틱 필름(15)과 통기 소수성 섬유 부직포(16)로 형성되어 있다. 이면 시트(12)에서는, 필름(15)이 피부 접촉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부직포(16)가 피부 비접촉측에 위치하고 있다. 필름(15)과 부직포(16)는 이들의 대향면이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단속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앞 몸통둘레 영역(2)의 사이드 플랩(6)은 서로 중첩되는 제1 섬유 부직포(18)와 제2 섬유 부직포(19)를 라미네이트한 통기 소수성의 복합 부직포(17)로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 플랩(6)에서는, 그 가로 방향 내단부(20)가 이면 시트(12)의 측부(12a)와 샘 방지 시트(14)의 후기하는 고정 측부(14a) 사이에 개재하고, 내단부(20)가 이들 시트(12, 14)의 내면에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고착되어 있다.
복합 부직포(17)에서는, 제1 섬유 부직포(18)가 피부 비접촉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제2 섬유 부직포(19)가 피부 접촉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1 섬유 부직포(18)는 그 운동 마찰 계수가 제2 섬유 부직포(19)보다도 크다. 제1 및 제2 섬유 부직포(18, 19)는 소정의 내수압과 소정의 투습도(透濕度)를 갖는다. 제1 및 제2 섬유 부직포(18, 19)에는 발수 처리가 행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섬유 부직포(18)와 제2 섬유 부직포(19)는 이들 부직포(18, 19)의 대향 면이 중첩된 상태로 이들 부직포(18, 19)끼리 거의 균일하게 분포되는 다수의 열융착부(21)를 통해 부분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제1 및 제2 섬유 부직포(18, 19)의 접합에는 히트 시일이나 소닉 시일 등의 열에 의한 용착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섬유 부직포(18)와 제2 섬유 부직포(19)는 열융착부(21)가 아니라, 접착제를 통해 단속적으로 접합되어 있어도 좋다.
제1 섬유 부직포(18)에는 멜트 블론법에 의해 제조된 멜트 블론 부직포가 사용되고 있다. 제1 섬유 부직포(18)는 고무형 탄성을 갖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제의 탄성 섬유와, 열가소성 합성수지제의 비탄성 섬유로 형성되어 있다. 탄성 섬유는 서로 교락(交絡)하는 동시에, 교차 부위에서 열융착에 의해 접합하고 있다. 비탄성 섬유는 서로 교락하는 동시에, 교차 부위에서 열융착에 의해 접합하고 있다. 탄성 섬유와 비탄성 섬유는 이들 섬유가 서로 교락하는 동시에, 이들 섬유의 교차 부위에서 이들 섬유끼리 열융착에 의해 접합하고 있다.
탄성 섬유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에는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나 폴리우레탄계 블록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계 블록 공중합체, 폴리아미드계 블록 공중합체, 공중합체 블랜드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로서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이나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S-EB-S)을 사용할 수 있다. 공중합체 블랜드로서는,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폴리프로필렌(S-EB-S/PP)이나 폴리프로필렌/에틸렌-프로필렌(PP/E-P)을 사용할 수 있다. 비탄성 섬유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에는 폴리올레핀계를 사용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로서는, 폴리아미드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에틸렌계, 폴리 프로 필렌계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멜트 블론법은 건식 방사형으로 분류되고, 열가소성 합성수지를 용융 방사하는 동시에, 방사 노즐의 출구에 고온·고압의 공기류를 분사하여 섬유를 연신시켜 개섬(開纖)한 후, 섬유를 네트 컨베이어상에서 포집하고, 웹(web)으로 만드는 제조 방법이다. 섬유는 네트 컨베이어상에서 개섬 퇴적되는 동시에, 섬유끼리 서로의 교차 부분에서 열융착된다. 멜트 블론 부직포는 극세 섬유로 형성되고, 섬유 밀도가 높으며, 내수성이 크다.
제2 섬유 부직포(19)에는 스펀 본드법에 의해 제조된 스펀 본드 부직포가 사용되고 있다. 제2 섬유 부직포(19)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제의 비탄성 섬유로 형성되어 있다. 비탄성 섬유는 서로 교락하는 동시에, 교차 부위에서 열융착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비탄성 섬유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에는 제1 섬유 부직포(18)와 마찬가지로 폴리올레핀계를 사용할 수 있다.
스펀 본드법은 멜트 블론법과 같이 건식 방사형으로 분류되고, 열가소성 합성수지를 용융 방사하여 연신시킴으로써 만들어진 복수 줄의 연속 섬유를 네트 컨베이어상에서 포집하여, 웹으로 만드는 제조 방법이다. 섬유는 네트 컨베이어상에서 개섬 퇴적하는 동시에, 섬유끼리 서로의 교차 부분에서 열융착한다. 스펀 본드 부직포는 연속 섬유로 형성되어 있고, 유연성과 강도가 크다.
뒤 몸통둘레 영역(4)의 사이드 플랩(8)은 가로 방향으로 탄성적인 신축성을 갖는 신축성 시트(22)로 형성되어 있다. 신축성 시트(22)는 2장의 통기 소수성 섬유 부직포(23)와, 이들 부직포(23) 사이에 개재하는, 통기 불투액성이며 신축성인 플라스틱 필름(24)으로 형성되어 있다. 부직포(23)에는 필름(24)의 수축에 의해 다수의 주름(25)이 형성되어 있다.
신축성 시트(22)의 제조 방법의 일례로서는, 가로 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에 있는 신축성의 플라스틱 필름(24)의 양면에 부직포(23)를 중첩시켜 접합한다. 플라스틱 필름(24)의 신장이 해제되면, 필름(24)이 가로 방향으로 수축하는 동시에 부직포(23)가 가로 방향으로 줄어들고, 부직포(23)에 다수의 주름(25)이 형성된다. 부직포(23)와 필름(24)은 이들의 대향면이 중첩된 상태로 그들이 거의 균일하게 분포되는 다수의 열융착부(26)를 통해 부분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부직포(23)와 필름(24)의 접합에는 히트 시일이나 소닉 시일 등의 열에 의한 용착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부직포(23)와 필름(24)은 열융착부(26)가 아니라, 접착제를 통해 단속적으로 접합되어 있어도 좋다.
신축성 시트(22)를 형성하는 부직포(23)는 제1 섬유 부직포(18)와 마찬가지로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합성수지제의 비탄성 섬유로 형성되어 있다. 플라스틱 필름(24)은 고무형 탄성을 갖는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 플랩(8)은 그 가로 방향 내단부(27)가 이면 시트(12)의 측부(12a)와 샘 방지 시트(14)의 고정 측부(14a) 사이에 개재하고, 내단부(27)가 이들 시트(12, 14)의 내면에 고착되어 있다.
사이드 플랩(8)의 가로 방향 외단부(28)에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테이프 파스너(29; 고정 수단)가 부착되어 있다. 테이프 파스너(29)는 사이드 플랩(8)의 외단부(28)에 고착된 고정부(29a)와, 외단부(28)로부터 가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 는 자유부(29b)를 갖는다. 테이프 파스너(29)에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제의 비탄성 섬유로 형성된 섬유 부직포 또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제의 플라스틱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자유부(29b)에는 기저귀(1)의 두께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제의 다수의 훅(30)이 부착되어 있다. 자유부(29b)에는 훅(30)이 아니라,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어도 좋다.
앞 몸통둘레 영역(2)에는 테이프 파스너(29)의 자유부(29b)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타겟 테이프(31; 고정 수단)가 부착되어 있다. 타겟 테이프(31)는 가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을 나타내고, 이면 시트(12)의 외면에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단속적 또는 연속적으로 고착되어 있다. 타겟 테이프(31)에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제의 비탄성 섬유로 형성된 섬유 부직포 또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제의 플라스틱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타겟 테이프(31)에는 기저귀(1)의 두께 방향을 향해 호를 그리는 열가소성 합성수지제의 다수의 루프(32)가 부착되어 있다. 테이프 파스너(31)의 자유부(29b)에 점착제를 도포하는 경우는, 타겟 테이프(31)에 플라스틱 필름이 사용된다.
도 4, 도 5는 도 1의 IV-IV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와, 도 1의 V-V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가랑이 영역(3)의 사이드 플랩(7)은 코어(13)의 측 가장자리(13a)에서 가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표리면 시트(11, 12)의 측부(11a, 12a)와 샘 방지 시트(14)의 고정 측부(14a)로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 플랩(7)에서는, 표면 시트(11)의 측부(11a)가 코어(13)의 측 가장자리(13a)에서 가로 방향 외측으로 약간 연장되어 있고, 측부(11a)에서 추가로 가로 방향 외측으로 이 면 시트(12)의 측부(12a)와 샘 방지 시트(14)의 측부(14a)가 연장되어 있다. 사이드 플랩(7)에서는, 이들 시트(11, 12, 14)의 측부(11a, 12a, 14a)가 서로 중첩된 상태로 이들 시트(11, 12, 14)의 내외면이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고착되어 있다
사이드 플랩(7)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줄의 다리둘레용 탄성부재(33)가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다리둘레용 탄성부재(33)는 이면 시트(12)의 측부(12a)와 샘 방지 시트(14)의 측부(14a) 사이에 개재하고, 가로 방향으로 소정 배율로 신장시킨 상태로 이들 시트(12, 14)의 내면에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고착되어 있다.
엔드 플랩(9, 10)은 코어(4)의 단 가장자리(4b)에서 세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표면 시트(11)의 단부(11b)와 이면 시트(12)의 단부(12b)로 형성되어 있다. 엔드 플랩(9, 10)에서는, 이들 시트(11, 12)의 단부(11b, 12b)가 서로 중첩된 상태로 이들 시트(11, 12)의 내면끼리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고착되어 있다.
엔드 플랩(9, 10)에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 형상의 몸통둘레용 탄성부재(34)가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몸통둘레용 탄성부재(34)는 표면 시트(11)의 단부(11b)와 이면 시트(12)의 단부(12b) 사이에 개재하고, 가로 방향으로 소정 배율로 신장시킨 상태로 이들 시트(11, 12)의 내면에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고착되어 있다. 몸통둘레용 탄성부재(34)의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신장 응력은 뒤 몸통둘레 영역(4)의 사이드 플랩(8)의 가로 방향에 있어서 보다도 작다.
샘 방지 시트(14)는 통기 소수성 섬유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샘 방지 시 트(14)는 사이드 플랩(6, 7, 8)에 위치하여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 측부(14a)와, 표면 시트(11)의 상측으로 기립 성향을 가지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동부(14b)와, 엔드 플랩(9, 10)에 위치하여 기저귀(1)의 가로 방향 내측으로 쓰러진 고정 양단부(14c)를 갖는다. 가동부(14b)의 상측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신축성 탄성부재(35)가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탄성부재(35)는 가동부(14b)의 일부에 덮혀진 상태로 가동부(14b)에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고착되어 있다. 고정 양단부(14c)는 표면 시트(11) 단부(11b)의 외면에 고착되어 있다. 샘 방지 시트(14)에서는 기저귀(1)가 표면 시트(11)를 내측으로 하여 세로 방향으로 만곡하면, 탄성부재(35)가 수축하여 가동부(14b)가 표면 시트(11)의 상측으로 기립하고, 가동부(14b)가 배설물에 대한 장벽을 형성한다.
도 6은 착용 상태로 도시하는 기저귀(1)의 사시도이다. 기저귀(1)를 착용하기 위해서는 뒤 몸통둘레 영역(4)의 사이드 플랩(8)을 앞 몸통둘레 영역(2)의 사이드 플랩(6)의 외측에 중첩시키고, 테이프 파스너(29)의 자유부(29b)를 타겟 테이프(31)에 고정하여 앞 몸통둘레 영역(2)과 뒤 몸통둘레 영역(4)을 연결한다. 테이프 파스너(29)를 타겟 테이프(31)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테이프 파스너(29)의 자유부(29b)를 타겟 테이프(31)의 외면에 밀어붙여 훅(30)과 루프(32)를 결합시킨다. 앞뒤 몸통둘레 영역(2, 4)이 연결된 기저귀(1)에는 몸통둘레 개구(36)와 한 쌍의 다리둘레 개구(37)가 형성된다. 기저귀(1)의 착용 중에 배설된 배설물은 배설물 흡수 존(5)에 있어서 표면 시트(11)를 투과하여 코어(13)에 흡수, 유지된다.
기저귀(1)는 그것을 착용했을 때에, 앞 몸통둘레 영역(2)의 사이드 플랩(6) 을 형성하는 제1 섬유 부직포(18)가 뒤 몸통둘레 영역(4)의 사이드 플랩(8)의 내면이나 엔드 플랩(10)의 내면에 접촉하는 동시에, 앞 몸통둘레 영역(2)의 사이드 플랩(6)을 형성하는 제2 섬유 부직포(19)가 착용자의 피부에 닿는다.
기저귀(1)는 제1 섬유 부직포(18)의 마찰계수가 크기 때문에, 뒤 몸통둘레 영역(4)의 사이드 플랩(8)이나 엔드 플랩(10)에 접촉하는 제1 섬유 부직포(18)가 이들 플랩(8, 10)에 달라붙어, 사이드 플랩(6, 8)끼리 틀어져 움직이는 일이 없고, 이들 사이드 플랩(6, 8)이 뒤틀리거나 걷어올려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동시에, 기저귀(1)의 착용 위치로부터 틀어져 흘러내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기저귀(1)는 그 착용 중에, 신축성을 갖는 뒤 몸통둘레 영역(4)의 사이드 플랩(6)이 착용자의 몸통부를 체결하기 때문에, 앞뒤 몸통둘레 영역(2, 4)의 사이드 플랩(6, 8)이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하고, 사이드 플랩(6, 8)끼리가 틀어져 움직이는 것을 확실하게 막을 수 있다.
기저귀(1)에서는, 뒤 몸통둘레 영역(4)의 사이드 플랩(8)을 형성하는 부직포(23)에 다수의 주름(25)이 형성되어 있고, 사이드 플랩(8)이 거의 평활한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제1 섬유 부직포(18)와 부직포(23)가 접촉했을때 이들 부직포(18, 23)끼리의 마찰력이 한층 더 커지며, 앞뒤 몸통둘레 영역(2, 4)의 플랩(6, 8)끼리가 틀어져 움직이는 것을 확실하게 막을 수 있다.
기저귀(1)는 제2 섬유 부직포(19)의 마찰계수가 작기 때문에, 착용자의 피부에 대한 제2 섬유 부직포(19)의 미끄러짐이 좋고, 사이드 플랩(6)이 착용자의 피부가 휨에 따라 움직이지 않는다. 기저귀(1)는, 뒤 몸통둘레 영역(4)의 사이드 플랩(8)의 피부 접촉측에 부직포(23)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피부에 닿는 사이드 플랩(8)의 미끄러짐이 좋고, 사이드 플랩(8)이 착용자의 피부가 휨에 따라 움직이는 일이 없다. 기저귀(1)에서는, 피부에 닿는 사이드 플랩(6, 8)의 제2 섬유 부직포(19)나 부직포(23)가 열가소성 합성수지제의 비탄성 섬유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섬유 부직포(19)나 부직포(23)에 고무질 특유의 미끈미끈함이나 끈적임이 없고, 사이드 플랩(6, 8)이 피부에 닿았을 때의 불쾌감이 없다.
기저귀(1)는 앞 몸통둘레 영역(2)의 사이드 플랩(6)이 뒤 몸통둘레 영역(4)의 사이드 플랩(8)에 의해 가로 방향으로 인장되고, 그에 따라 엔드 플랩(9)의 몸통둘레용 탄성부재(34)가 가로 방향으로 신장한다. 기저귀(1)에서는, 몸통둘레용 탄성부재(34)의 가로 방향의 신장 응력이 뒤 몸통둘레 영역(4)의 사이드 플랩(8)의 가로 방향의 신장 응력보다도 작고, 플랩(8)보다도 먼저 탄성부재(34)가 신장하며, 탄성부재(34)의 수축력에 의해 엔드 플랩(9, 10)이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하기 때문에, 엔드 플랩(9, 10)으로부터 배설물이 새는 것을 확실하게 막을 수 있다.
기저귀(1)에서는, 제1 섬유 부직포(18)의 가로 방향의 운동 마찰 계수가 1.05∼2.11의 범위에 있고, 제2 섬유 부직포(19)의 가로 방향의 운동 마찰 계수가 0.35∼0.60의 범위에 있다. 제1 섬유 부직포(18)의 운동 마찰 계수가 1.05 미만인 경우에서는, 제1 섬유 부직포(18)가 뒤 몸통둘레 영역(4)의 사이드 플랩(8)이나 엔드 플랩(10)에 달라붙는 일이 없고, 사이드 플랩(6, 8)끼리 쉽게 틀어져 움직이기 때문에, 사이드 플랩(6, 8)이 뒤틀리거나 걷어올려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을 뿐만 아니라, 기저귀(1)가 착용 위치로부터 부주의하게 틀어져 흘러내리게 되는 경우가 있다. 제2 섬유 부직포(19)의 운동 마찰 계수가 0.60을 초과하면, 제2 섬유 부직포(19)가 착용자의 피부에 달라붙어, 사이드 플랩(6)이 피부에 닿았을 때에 불쾌감이 있다. 또한, 사이드 플랩(6)이 착용자의 피부가 휨에 따라 움직이고, 기저귀(1)가 착용 위치로부터 부주의하게 틀어져 흘러내리게 되는 경우가 있다. 뿐만 아니라, 이들 부직포(18, 19)의 운동 마찰 계수는 JIS P 8147의 3.1 섹션에 기재한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 운동 마찰 계수 측정에 관한 개략도를 도 7에 나타내었다.
(1) 운동 마찰 계수의 측정에는 평활한 하면(40a)을 갖는 가동 플레이트(40)와, 평활한 상면(41a)을 갖는 고정 플레이트(41)를 사용한다. 가동 플레이트(40)의 하면(40a)은 폭 치수 3 cm, 길이 치수 3 cm이다. 기저귀(1)로부터 앞 몸통둘레 영역(2)의 사이드 플랩(6)을 잘라내어 운동 마찰 계수 측정용 제1 시료(42)를 만드는 동시에, 뒤 몸통둘레 영역(4)의 사이드 플랩(8)을 잘라내어 운동 마찰 계수 측정용 제2 시료(43)를 만든다.
(2) 제2 섬유 부직포(19)를 가동 플레이트(40)의 하면(40a)에 대향시킨 상태로 제1 시료(42)를 가동 플레이트(40)의 하면(40a)에 부착한다. 제1 시료(42)는 가동 플레이트(40)의 하면(40a)에 양면 점착 테이프를 통해 고정한다. 고정 플레이트(41)의 상면(41a)에 제2 시료(43)를 부착한다. 제2 시료(43)는 고정 플레이트(41)의 상면(41a)에 양면 점착 테이프를 통해 고정한다. 가동 플레이트(40)는 하면(40a)의 면적이 9 ㎠이며, 하면(40a)에 58 g/9 ㎠의 하중이 가해지도록, 분동(44)에 의해 가동 플레이트(40) 전체의 중량을 조절한다.
(3) 운동 마찰 계수의 측정에서는, 가동 플레이트(40)를 추로서 사용한다. 가동 플레이트(40)를 도 7에 화살표 K1이 표시하는 방향으로 10 ㎝/분의 속도로 이동시킨다. 운동 마찰 계수는 가동 플레이트(40)를 5 cm 이동시키는 사이의 마찰력으로부터 구한다. 구체적으로는, 운동 마찰 계수를 식 μ= FD/FP에 의해 산출한다. 여기서, μ는 운동 마찰 계수가고, FD는 가동 플레이트(40)를 5 ㎝ 이동시키는 사이의 마찰력이다. FP는 제1 시료(42)와 제2 시료(43)와의 접촉면에 화살표 K2가 표시하는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다.
사이드 플랩(6)을 형성하는 복합 부직포(17)는 그 평량이 100∼150 g/㎡의 범위에 있고, 그 두께 치수가 0.5∼1.3 mm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 부직포(17)는 그 인장 강도가 5.0∼24 N/인치의 범위에 있다. 복합 부직포(17)의 평량이 100 g/㎡ 미만이고 복합 부직포(17)의 두께 치수가 0.5 mm 미만인 경우에는 복합 부직포(17)의 인장 강도가 저하하고, 복합 부직포(17)를 신장했을 때에 부직포(17)가 파손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복합 부직포(17)의 평량이 150 g/㎡를 초과하는 동시에 복합 부직포(17)의 두께 치수가 1.3 ㎜를 초과하면, 복합 부직포(17)의 강성이 증가하고, 사이드 플랩(6)이 피부에 닿았을 때에 불쾌감이 있다.
제1 섬유 부직포(18)를 형성하는 탄성 섬유와 비탄성 섬유는 이들의 섬도가 0.5∼10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 섬유 부직포(19)를 형성하는 비탄성 섬유는 그 섬도가 10∼20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섬유 부직포(18)를 형성하는 탄성 섬유와 비탄성 섬유의 섬도가 0.5 ㎛ 미만인 경우에는 이들 섬유가 섬유 절단을 일으키고 쉽고, 제1 섬유 부직포(18)의 운동 마찰 계수가 1.05 미만이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제2 섬유 부직포(19)를 형성하는 비탄성 섬유의 섬도가 20 ㎛를 초과하면, 제2 섬유 부직포(19)의 강성이 증가하고, 사이드 플랩(6)이 피부에 닿았을 때에 불쾌감이 있다.
뒤 몸통둘레 영역(4)의 사이드 플랩(8)은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신장 응력이 2.0∼10 N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몸통둘레용 탄성부재(34)는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신장 응력이 0.1∼3.0 N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이드 플랩(8)의 신장 응력이 2.0 N 미만이고 몸통둘레용 탄성부재(34)의 신장 응력이 3.0 N을 초과하면, 탄성부재(34)보다도 먼저 사이드 플랩(6)이 신장하고, 탄성부재(34)의 수축력을 이용할 수 없으며, 엔드 플랩(9, 10)을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시킬 수 없다. 몸통둘레용 탄성부재(34)의 신장 응력이 0.1 N 미만에서는, 탄성부재(34)의 신장 응력을 실질적으로 이용할 수 없고, 엔드 플랩(9, 10)을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시킬 수 없다.
표면 시트(11)에는 다수의 개공을 갖는 소수성 섬유 부직포나 미세한 다수의 개공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면 시트(12)에는 통기 소수성 섬유 부직포, 통기 불투액성 플라스틱 필름, 통기 소수성 섬유 부직포끼리를 라미네이트한 복합 부직포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샘 방지 시트(14)에는 통기 소수성 섬유 부직포끼리를 라미네이트한 복합 부직포, 통기 소수성 섬유 부직포와 통기 불투액성 플라스틱 필름을 라미네이트한 복합 시트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면 시트(12)나 샘 방지 시트(14)에는 내수성이 큰 멜트 블론법에 의한 섬유 부직포의 적어도 한 면에, 강도가 크고 유연성이 양호한 스펀 본드법에 의한 섬유 부직포를 중첩시킨 복합 부직포를 사용할 수도 있다.
표리면 시트(11, 12)나 샘 방지 시트(14), 뒤 몸통둘레 영역(4)의 사이드 플랩(8), 테이프 파스너(29), 타겟 테이프(31)를 형성하는 섬유 부직포에는 스펀 레이스, 니들 펀치, 멜트 블론, 서멀 본드, 스펀 본드, 케미컬 본드 등의 각 제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친수성 섬유 부직포는 친수화 처리가 행해진 합성 섬유, 반합성 섬유, 재생 섬유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섬유를 혼합한 복합 섬유로 만들 수 있다. 소수성 섬유 부직포는 합성 섬유로 만들 수 있다. 소수성 섬유 부직포에는 발수 처리가 행해진 반합성 섬유나 재생 섬유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합성 섬유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는 않지만,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폴리염화비닐계, 폴리에틸렌계, 폴리프로필렌계, 폴리스티렌계를 사용할 수 있다. 합성 섬유에는 심초형 복합 섬유, 병렬형 복합 섬유, 이형 중공 섬유, 미다공 섬유, 접합형 복합 섬유를 사용할 수도 있다.
코어(13)는 플러프(fluff)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와의 혼합물, 또는 플러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와 열가소성 합성수지 섬유와의 혼합물로서, 소요의 두께로 압축되어 있다. 코어(13)는 그 형 붕괴나 폴리머 입자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서, 전체가 티슈 페이퍼나 친수성 섬유 부직포 등의 투액성 시트로 싸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머 입자로서는, 전분계, 셀룰로스계, 합성 폴리머 계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접착제에는 핫멜트형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에는 핫멜트형 접착제 이외에, 아크릴계 접착제나 고무계 접착제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접착제는 표리면 시트(11, 12)나 샘 방지 시트(14)에 나선형이나 지그재그형, 도트형, 줄무늬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도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를 이들의 형태로 표리면 시트(11, 12)나 샘 방지 시트(14)에 도포하면, 이들 시트(11, 12, 14)끼리 단속적으로 고착되는 동시에, 코어(13)가 시트(11, 12)에 단속적으로 고착된다.
본 발명에 관한 개방형 일회용 기저귀에 따르면, 앞 몸통둘레 영역의 사이드 플랩을 형성하는 제1 섬유 부직포의 마찰계수가 크기 때문에, 뒤 몸통둘레 영역의 사이드 플랩이나 엔드 플랩에 접촉하는 제1 섬유 부직포가 이들 플랩에 달라붙어, 사이드 플랩끼리 틀어져 움직이는 일은 없고, 이들 사이드 플랩이 뒤틀리거나 걷어 올려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동시에, 기저귀의 착용 위치로부터 틀어져 흘러내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 기저귀는 앞 몸통둘레 영역의 사이드 플랩을 형성하는 제2 섬유 부직포의 마찰계수가 작기 때문에, 착용자의 피부에 대한 제2 섬유 부직포의 미끄러짐이 좋고, 제1 섬유 부직포가 피부에 달라붙지 않아, 사이드 플랩이 피부에 닿았을 때의 불쾌감이 없다.
뒤 몸통둘레 영역의 사이드 플랩이 탄성적인 신축성을 갖는 신축성 시트로 형성된 기저귀에서는, 그 착용 중에 뒤 몸통둘레 영역의 사이드 플랩이 착용자의 몸통부를 체결하기 때문에, 앞뒤 몸통둘레 영역의 사이드 플랩이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하여, 사이드 플랩끼리 틀어져 움직이는 것을 확실하게 막을 수 있다.
몸통둘레용 탄성부재의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신장 응력이 뒤 몸통둘레 영역의 사이드 플랩의 가로 방향에 있어서 보다도 작은 기저귀에서는, 뒤 몸통둘레 영역의 사이드 플랩보다도 먼저 몸통둘레용 탄성부재가 가로 방향으로 신장하고, 몸통둘레용 탄성부재의 수축력에 의해 엔드 플랩이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하기 때문에, 엔드 플랩으로부터 배설물이 새는 것을 확실하게 막을 수 있다.

Claims (6)

  1. 세로 방향으로 앞 몸통둘레 영역 및 뒤 몸통둘레 영역과 이들 몸통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가랑이 영역으로부터 상기 앞뒤 몸통둘레 영역으로 연장되는 배설물 흡수 존과, 상기 흡수 존의 가로 방향 외측에 위치하여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플랩(side flap)과, 상기 흡수 존의 세로 방향 외측에 위치하여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엔드 플랩(end flap)을 가지며, 상기 엔드 플랩에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몸통둘레용 탄성부재가 수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착용시에 고정 수단을 통해 상기 앞뒤 몸통둘레 영역을 연결하는 개방형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의 사이드 플랩이 피부 비접촉측에 위치하는 제1 섬유 부직포와 피부 접촉측에 위치하는 제2 섬유 부직포를 중첩시킨 복합 부직포로 형성되고,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의 사이드 플랩의 제1 섬유 부직포에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의 사이드 플랩이 중첩되어 상기 앞뒤 몸통둘레 영역이 연결되고, 상기 제1 섬유 부직포가 고무형 탄성을 갖는 열가소성 합성수지 섬유와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합성수지 섬유로 형성된 멜트 블론 부직포이고, 상기 제1 섬유 부직포의 가로 방향의 운동 마찰 계수가 1.05∼2.11의 범위에 있고, 상기 제2 섬유 부직포의 가로 방향의 운동 마찰 계수가 0.35∼0.60의 범위에 있으며, 상기 제1 섬유 부직포의 운동 마찰 계수 및 제2 섬유 부직포의 운동 마찰 계수는 뒤 몸통둘레 영역의 사이드 플랩을 대향면으로 하여 측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일회용 기저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섬유 부직포가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합성수지 섬유로 형성된 스펀 본드 부직포인 개방형 일회용 기저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의 사이드 플랩이 가로 방향으로, 또는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의 양 방향으로 탄성적인 신축성을 갖는 신축성 시트로 형성되어 있는 개방형 일회용 기저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둘레용 탄성부재의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신장 응력이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의 사이드 플랩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보다도 작은 개방형 일회용 기저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설물 흡수 존이 피부 접촉측에 위치하는 투액성 표면 시트와, 피부 비접촉측에 위치하는 불투액성 이면 시트와, 상기 표리면 시트 사이에 개재하는 흡액성 코어로 형성되어 있는 개방형 일회용 기저귀.
  6. 삭제
KR1020040037181A 2003-05-27 2004-05-25 개방형 일회용 기저귀 KR1009276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49373 2003-05-27
JP2003149373A JP4171671B2 (ja) 2003-05-27 2003-05-27 オープン型の使い捨ておむ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1926A KR20040101926A (ko) 2004-12-03
KR100927658B1 true KR100927658B1 (ko) 2009-11-20

Family

ID=33447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7181A KR100927658B1 (ko) 2003-05-27 2004-05-25 개방형 일회용 기저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87511B2 (ko)
JP (1) JP4171671B2 (ko)
KR (1) KR100927658B1 (ko)
CN (1) CN1329014C (ko)
MY (1) MY176568A (ko)
TW (1) TWI2356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40367B2 (ja) * 2006-09-29 2013-02-06 大王製紙株式会社 紙おむつ
JP5080074B2 (ja) * 2006-12-12 2012-11-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841757B2 (ja) * 2011-07-01 2016-01-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743961B2 (ja) * 2011-12-09 2015-07-0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透液性不織布
JP5574557B1 (ja) * 2014-05-27 2014-08-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着用物品
EP3090710B1 (de) * 2015-05-07 2017-07-12 Mondi AG Elastische windelkomponente
JP6239053B1 (ja) * 2016-06-30 2017-11-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18143921A1 (en) 2017-01-31 2018-08-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body side pocket
KR102166751B1 (ko) 2017-07-31 2020-10-16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배리어 영역을 제공하는 신체측 라이너를 구비한 흡수 용품
JP6814250B2 (ja) * 2019-05-30 2021-01-13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10215351A (zh) * 2019-06-06 2019-09-10 杭州贝高母婴用品有限公司 一种柔软、亲肤的纸尿裤及其生产工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56702A (ja) 1987-04-10 1988-10-24 渡辺 修次 つかいすておむつ
JPH11253485A (ja) 1998-03-17 1999-09-21 Oji Paper Co Ltd 使いすておむつ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49241A (en) * 1968-12-23 1974-11-19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Non-woven mats by melt blowing
JPS59112005A (ja) * 1982-12-15 1984-06-28 ユニ・チャ−ム株式会社 締結片
CA1341430C (en) * 1984-07-02 2003-06-03 Kenneth Maynard Enloe Diapers with elasticized side pockets
US4695278A (en) * 1985-10-11 1987-09-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dual cuffs
US4699622A (en) * 1986-03-21 1987-10-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diaper having an improved side closure
CA1290501C (en) * 1986-10-10 1991-10-15 Jerry Layne Dragoo Absorbent article having leakage resistant dual cuffs
US4741949A (en) * 1986-10-15 1988-05-03 Kimberly-Clark Corporation Elastic polyetherester nonwoven web
MY103655A (en) * 1987-12-16 1993-08-28 Kimberly Clark Co Method and appratus for making a disposable incontinence garment or training pant
US5226992A (en) * 1988-09-23 1993-07-13 Kimberly-Clark Corporation Process for forming a composite elastic necked-bonded material
US5176671A (en) * 1988-12-20 1993-01-05 Kimberly-Clark Corporation Fastening system for disposable diaper with disposability feature
US5275590A (en) * 1990-11-05 1994-01-04 Paragon Trade Brands, Inc. Disposable asborbent garment with composite topsheet assembly
JP2511455Y2 (ja) * 1992-05-27 1996-09-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オムツ
US5672164A (en) * 1995-06-07 1997-09-30 Crane; Patrick L.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n extended sublayer
US6102900A (en) * 1995-11-06 2000-08-15 Kimberly Clark Co An absorbent article with asymmetric leg elastics
US5897545A (en) * 1996-04-02 1999-04-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lastomeric side panel for use with convertible absorbent articles
US5782819A (en) * 1996-10-17 1998-07-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rticle with stay-in-place feature
US6099516A (en) * 1997-10-30 2000-08-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astener system for use with personal care articles
US6626879B1 (en) * 1999-05-17 2003-09-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rticle retention zones
JP3674671B2 (ja) * 1999-08-03 2005-07-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着用物品
US6945968B2 (en) * 2000-11-29 2005-09-20 Sca Hygiene Products Ab Fastening system for an absorbent produc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56702A (ja) 1987-04-10 1988-10-24 渡辺 修次 つかいすておむつ
JPH11253485A (ja) 1998-03-17 1999-09-21 Oji Paper Co Ltd 使いすておむ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29014C (zh) 2007-08-01
KR20040101926A (ko) 2004-12-03
TW200427438A (en) 2004-12-16
CN1572267A (zh) 2005-02-02
JP2004350756A (ja) 2004-12-16
JP4171671B2 (ja) 2008-10-22
TWI235650B (en) 2005-07-11
US8287511B2 (en) 2012-10-16
US20040243079A1 (en) 2004-12-02
MY176568A (en) 2020-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7026B1 (ko) 일회용 기저귀
KR100784776B1 (ko) 팬츠형 일회용 착용 물품
KR100807635B1 (ko) 일회용 착용 물품
JP4532154B2 (ja) おむつ包装体
KR100779928B1 (ko) 일회용 착용 물품
KR100804559B1 (ko)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
KR100823759B1 (ko) 일회용 착용 물품의 부직포제 표면 시트
KR101094592B1 (ko) 일회용 착용 물품
KR101291922B1 (ko) 일회용 기저귀
JP4230971B2 (ja) 排泄物処理パッド及びそのパッドを備えたパンツ
KR100719865B1 (ko) 일회용 기저귀
KR101108303B1 (ko) 일회용 착용 물품
KR100807631B1 (ko) 일회용 착용 물품
KR100808073B1 (ko) 일회용 기저귀
EP3727254A1 (en) Absorbent articles with visually different chassis and waistbands
KR100787070B1 (ko) 위생 물품용 체액 흡수성 패널
KR102604445B1 (ko) 후면 포켓이 있는 허리밴드를 갖는 흡수성 팬티
KR100927658B1 (ko) 개방형 일회용 기저귀
KR100779044B1 (ko) 일회용 기저귀
KR100933012B1 (ko) 개방형 일회용 착용 물품
TWI738880B (zh) 尿片
WO2019152005A1 (en) Absorbent body including x-shaped reduced absorbent section and absorbent articles including the same
KR100779041B1 (ko)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
JP3934943B2 (ja) 使い捨て排泄処理物品
JP6353237B2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