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5925A -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5925A
KR20060025925A KR1020040074817A KR20040074817A KR20060025925A KR 20060025925 A KR20060025925 A KR 20060025925A KR 1020040074817 A KR1020040074817 A KR 1020040074817A KR 20040074817 A KR20040074817 A KR 20040074817A KR 20060025925 A KR20060025925 A KR 20060025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box
casing
ventilation
air
venti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4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2458B1 (ko
Inventor
김성우
공이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4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2458B1/ko
Publication of KR20060025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5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2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2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케이싱과, 송풍팬과, 전열교환장치와, 통기공과, 컨트롤 박스를 구비하되, 컨트롤 박스는 통기공이 형성된 케이싱의 일면에 통기공을 통한 공기의 출입을 방해하지 않도록 소정의 형상을 가지며 착탈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를 제공한다. 컨트롤 박스를 설치하는데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아 같은 체적으로 더 많은 환기량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제품의 수리나 부품 교체 시에도 환기장치 전체를 분해할 필요없이 컨트롤 박스만을 케이싱에서 분리시켜 수리나 교체 후 다시 장착하면 되므로 수리가 용이하고 시간도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환기장치{Ventilation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에 컨트롤 박스가 장착된 부분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박스의 슬라이딩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케이싱 12, 13 : 송풍팬
14 : 전열교환장치 15, 16, 17, 18 : 통기공
20 : 컨트롤 박스부 21 : 컨트롤 박스 보호부재
21a: 컨트롤 박스 보호부재의 레일부
22 : 컨트롤 박스 23 : 손잡이부
본 발명은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기장치의 통기공이 구비되는 케이싱의 일면에 컨트롤 박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기장치는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흡입하고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하여 실내의 탁한 공기를 실외의 신선한 공기와 교환시키는 장치인데,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온도차이와 습도차이를 완화시키기 위하여 전열교환장치를 사용하며 케이싱의 내부의 대부분의 공간이 유로나 전열교환장치를 구비하기 위한 공간으로 구성된다.
최근에는 환기장치를 아파트나 오피스텔의 베란다나 발코니에 설치하는 경우가 많은데, 베란다의 크기는 제한되어 있고 환기장치가 대형화 됨에 따라 컨트롤 박스를 설치하는 공간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컨트롤 박스가 케이싱의 외부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환기장치의 전체 소요체적이 증가하여 설치공간이 더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컨트롤 박스가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제품의 수리나 부품의 교체를 하는 때에 제품을 분해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컨트롤 박스가 통기공이 돌출 형성된 케이싱의 일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별도의 설치공간은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수리 또는 부품 교체 시에 제품 전체를 분해할 필요없이 컨트롤 박스만을 분리시켜 수리나 교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환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는,
케이싱과, 송풍팬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는 전열교환장치와, 환기를 위해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돌출된 통기공과,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박스를 구비하되, 컨트롤 박스는 통기공이 형성된 케이싱의 일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컨트롤 박스는 통기공을 통한 공기의 출입을 방해하지 않도록 케이싱의 일면에 소정의 형상을 가지며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컨트롤 박스는 케이싱의 일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케이싱의 통기공 측 일면에는 컨트롤 박스를 보호하기 위하여 컨트롤 박스 보호부재가 컨트롤 박스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컨트롤 박스와 컨트롤 박스 보호부재의 대응부에는 레일이 구비되어 컨트롤 박스가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는 대략 상자형상의 케이싱(11)을 가지며, 케이싱(11)의 일면에는 공기를 흡입 또는 토출하기 위한 통기공(15, 18)이 형성되며 이에 대응하는 다른 일면에도 통기공(16, 17)이 형성된다. 통기공들은 원형의 구멍들이 케이싱(11)에 형성된 것인데, 덕트(미도시)와 연결하기 위하여 케이싱(11)의 외부 로 실린더 형상의 연장부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통기공(15)은 외부로부터 실내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외기 흡입구이며, 통기공(16)은 송풍팬(13)에 의해 흡입되어 전열교환장치(14)를 지나면서 온도와 습도를 교환한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는 외기 토출구이다. 통기공(17)은 오염된 실내의 공기를 송풍팬(12)에 의해 흡입하는 실내공기 흡입구이며, 통기공(18)은 역시 전열교환장치(14)를 지나면서 온도와 습도 교환을 한 후 실내로 토출되는 실내공기를 위한 실내공기 토출구이다. 즉, 통기공(15)와 통기공(16)이 연통되어 외기를 실내로 공급하고, 통기공(17)과 통기공(18)이 연통되어 실내공기를 실외로 토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유로 상에는 전열교환장치(14)가 구비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에서는 케이싱(11)의 중심부에 양 유로와 연통되도록 직육면체 형상으로 일정각도를 가지며 구비된다. 전열교환장치(14)는 온도 차이가 발생하는 각각의 공기를 서로 다른 유로를 통하게 함으로써, 상기 서로 다른 유로의 층을 형성하는 고효율의 열교환막에 의하여 잠열을 교환하는 습기와 현열을 교환하는 열에 의하여 전열교환을 일으키게 된다.
케이싱(11) 내부에는 또한 통기공(15)을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실외공기 토출구(16)를 통해 토출하기 위한 송풍팬(13)이 구비되며, 통기공(17)을 통해 실내공기를 흡입하고 통기공(18)을 통해 토출하기 위한 송풍팬(12)이 구비된다.
케이싱(11)의 측면에는 환기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컨트롤 박스부(20)가 구비되며, 컨트롤 박스부(20)는 통기공들(16, 17)이 구비된 면에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박스부(20)는 PCB회로 기판 등을 장착하며 케이싱(11) 내부의 송풍팬(12, 13) 및 이를 구동하는 모터(미도시)와 연결되어 환기장치를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22)와, 컨트롤 박스(22)를 케이싱(11)의 일면에 장착하고 보호하기 위한 컨트롤 박스 보호부재(21)와, 컨트롤 박스 보호부재(21)로부터 컨트롤 박스(22)를 착탈하기 쉽게 하기 위해 컨트롤 박스(22)에 부착되어 구비된 손잡이부(23)를 포함하며 구비된다.
컨트롤 박스(22)는 통기공(16, 17)의 공기 흡, 토출을 방해하지 않기 위하여 대략 "ㄱ"자 형상으로 구비되며, 통기공(16, 17)의 연장부가 돌출된 부분과 대략 유사한 두께 부분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종래의 환기장치가 차지하는 공간만 있으면 설치가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컨트롤 박스(22)는 통기공(16, 17)의 위치와 형상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에 컨트롤 박스가 장착된 부분을 보인 정면도이다.
케이싱(11)의 일면에 통기공(16, 17)들이 구비되며, 이러한 통기공(16, 17)의 통기를 방해하지는 않으면서, 같은 면에 구비되기 위하여 형상을 대략 "ㄱ"자로 형성된 컨트롤 박스(22)와 컨트롤 박스(22)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부(23)와, 컨트롤 박스(22)를 보호하기 위하여 컨트롤 박스(22)의 형상에 대응하여 케이싱(11)의 일면에 고정 설치되는 컨트롤 박스 보호부재(21)가 구비된다.
이러한 배치는 통기공의 크기를 최대한으로 유지하고 통기공(16, 17)의 돌출부의 길이도 종래와 같이 유지하면서, 사용하지 않던 공간에 컨트롤 박스(22)를 구 비하여 환기장치의 케이싱(11) 내부의 환기유로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별도의 컨트롤 박스(22)를 구비하기 위한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아 대용량의 환기장치에는 더욱 유리한 효과를 가지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박스의 슬라이딩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 박스(22)는 수리나 교체 작업이 용이하도록 케이싱(11)에서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컨트롤 박스 보호부재(21)의 하단에 레일부(21a)를 구비하여 컨트롤 박스(22)가 슬라이딩 운동에 의하여 컨트롤 박스 보호부재(21)로부터 착탈되도록 한다. 컨트롤 박스(22)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손잡이부(23)가 구비되어 이를 잡고 컨트롤 박스(22)를 컨트롤 박스 보호부재(21)에 삽입 또는 인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는 컨트롤 박스를 설치하는데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아 같은 체적으로 더 많은 환기량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품의 수리나 부품 교체 시에도 환기장치 전체를 분해할 필요없이 컨트롤 박스만을 케이싱에서 분리시켜 수리나 교체 후 다시 장착하면 되므로 수리가 용이하고 시간도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케이싱과, 송풍팬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는 전열교환장치와, 환기를 위해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돌출된 통기공과,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박스를 구비하는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통기공이 형성된 상기 케이싱의 일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통기공을 통한 공기의 출입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케이싱의 일면에 소정의 형상을 가지며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박스는 상기 케이싱의 일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상기 통기공 측 일면에는 상기 컨트롤 박스를 보호하기 위하여 컨트롤 박스 보호부재가 상기 컨트롤 박스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박스와 상기 컨트롤 박스 보호부재의 대응부에는 레일이 구비되어 상기 컨트롤 박스가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환기장치.
KR1020040074817A 2004-09-18 2004-09-18 환기장치 KR100582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817A KR100582458B1 (ko) 2004-09-18 2004-09-18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817A KR100582458B1 (ko) 2004-09-18 2004-09-18 환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5925A true KR20060025925A (ko) 2006-03-22
KR100582458B1 KR100582458B1 (ko) 2006-05-23

Family

ID=37131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4817A KR100582458B1 (ko) 2004-09-18 2004-09-18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245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1835A1 (en) * 2017-08-11 2019-02-14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ING APPARATUS
FR3096117A1 (fr) * 2019-05-13 2020-11-20 Atlantic Climatisation & Ventilation Dispositif de ventilation d’un local
WO2021014491A1 (ja) * 2019-07-19 2021-01-28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型換気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02434B2 (ja) * 2009-05-22 2013-06-05 三菱電機株式会社 同時給排形換気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7721A (ja) * 1993-01-08 1994-07-26 Daikin Ind Ltd 天井埋込形熱交換器
JP3399140B2 (ja) * 1995-03-28 2003-04-21 三菱電機株式会社 換気装置
JPH09145121A (ja) * 1995-11-20 1997-06-06 Mitsubishi Electric Corp 換気装置
KR100838891B1 (ko) * 2003-06-25 2008-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1835A1 (en) * 2017-08-11 2019-02-14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11274836B2 (en) 2017-08-11 2022-03-15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apparatus
FR3096117A1 (fr) * 2019-05-13 2020-11-20 Atlantic Climatisation & Ventilation Dispositif de ventilation d’un local
WO2021014491A1 (ja) * 2019-07-19 2021-01-28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型換気装置
JPWO2021014491A1 (ja) * 2019-07-19 2021-11-25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型換気装置
EP4001788A4 (en) * 2019-07-19 2022-07-2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HEAT EXCHANGE TYPE VENTIL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2458B1 (ko) 2006-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79138B2 (ja) 熱交換換気装置
JP4923952B2 (ja) 空調装置
WO2010097883A1 (ja) 同時給排形換気扇および空調装置
KR100582458B1 (ko) 환기장치
JP4424113B2 (ja) 換気システムと住宅構造
JP6948515B2 (ja) 熱交換形換気装置
JP6097931B2 (ja) 熱交換形換気装置
JP2012255580A (ja) 同時給排型熱交換換気装置
JP5079136B2 (ja) 同時給排形換気扇
JP6210690B2 (ja) 換気装置
JP2013195006A (ja) 換気装置
JP6142284B2 (ja) 換気装置
JP5073096B2 (ja) 熱交換換気装置
WO2014115297A1 (ja) 換気装置
KR100895136B1 (ko) 환기시스템
JP4604768B2 (ja) 熱交換型換気装置
JP2019158244A (ja) 換気装置
JP2018128196A (ja) 換気装置
JP5170213B2 (ja) 熱交換型換気装置
CN102478300A (zh) 分体式空调室内机的正面框架结构
JP2006242514A (ja) 熱交換型換気装置
JP6203240B2 (ja) 熱交換器及び換気装置
JP6037860B2 (ja) 換気装置
KR20060098280A (ko) 환기시스템
KR100705057B1 (ko) 환기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