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2639A - 전지팩과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지팩과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2639A
KR20060022639A KR1020057017113A KR20057017113A KR20060022639A KR 20060022639 A KR20060022639 A KR 20060022639A KR 1020057017113 A KR1020057017113 A KR 1020057017113A KR 20057017113 A KR20057017113 A KR 20057017113A KR 20060022639 A KR20060022639 A KR 20060022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ase
battery
terminal unit
terminal
battery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7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7922B1 (ko
Inventor
류이치로 에비
겐진 마스모토
도시하루 기타가와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22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2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7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7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69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by welding, brazing or sold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6P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 Y10T29/4911Electric battery cell making including sea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전지케이스(3)와 그 일단의 개구를 실링하는 실링판의 캡(6)이 서로 다른 극성의 접속전극으로 구성되어 있는 전지(2)와, 이들 접속전극에 각각 접속된 외부 접속단자(15, 16)와 절연커버가 일체화되고, 또한, 적어도 전지케이스(3)의 일측 단부를 덮는 단자 유닛(13)과, 전지케이스(3)의 일단과 단자 유닛(13)의 사이에 압축상태로 삽입된 탄성체(23)를 구비한 전지팩과 그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자 유닛(13) 과 전지케이스(3)의 타단의 사이의 치수를 규제한 상태에서 단자 유닛(13)과 전지케이스(3)를 고정함으로써, 간단하고 저 비용인 구성이면서 휴대전자기기에 세트 했을 때의 외부 접속단자의 접속상태에 대해서 높은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전지케이스, 단자유닛, 탄성체

Description

전지팩과 그 제조방법{BATTERY PACK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소형 휴대전자기기 등의 전지 전원에 적합하게 적용되는 전지팩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 접속성의 향상을 도모한 전지팩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년, 휴대전자기기의 소형화, 박형화 및 고기능화의 진전이 현저하며, 그에 수반하여 그 전원이 되는 전지도 소형, 박형이며 고용량화가 요구되고 있다. 소형으로 고용량을 가능하게 하는 전지로서 리튬계 전지가 유효하며, 그 중에서도 편평(扁平)한 각형의 리튬 이온 2차전지는 기기의 박형화에 적합하며, 반복하여 사용가능한 전지로서 휴대전화 등의 휴대전자기기에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각종기기의 전원용의 전지팩으로, 전지와, 과대전류 제한수단과 과충방전에 대한 보호회로 및 외부 접속단자 등을 설치한 회로기판을, 외부 접속단자를 노출시키는 창을 갖는 외장케이스 내에 수납 배치하고, 회로기판과 전지의 접속단자를 리드에 의해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전지팩의 형태로 구성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 2002-231201호 참조)
또, 회로기판을 대신하여 외부 접속단자만을 설치한 단자기판을 이용한 전지팩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 평 6-333547호 참조)
한편, 전자기기에는 전지팩을 정확하게 감합(嵌合)하여 수납할 수 있는 전지팩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전지팩을 수납한 상태에서 동일면에 배치된 외부 접속단자에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외부 접속단자를 설치한 회로기판이나 단자기판을 외장케이스에 유지시킨 전지팩의 구성 예를 도 7의 (a) ~ 7의 (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51은 편평한 각형의 전지팩으로, 리튬 이온 2차전지로 이루어지는 전지(32)와, 회로기판(33) 또는 단자기판을 두께방향으로 2 분할한 외장케이스(34) 내에 수납 배치하고, 회로기판(33)과 전지(32)의 접속단자(35a, 35b)를 리드(36)에 의해 접속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지(32)는, 전지케이스(37) 내에 발전요소(38)가 수용됨과 동시에 전지케이스(37)의 일단의 개구(開口)가 일측의 극성의 접속단자(35a)를 돌출 설치한 실링부재(39)에 의해 절연 개스킷(40)을 통하여 실링되고, 전지케이스(37)가 타측 극성의 접속단자(35b)를 구성하고 있다. 또, 외장케이스(34)의 일단의 벽(41)에는 회로기판 (33)에 설치된 외부 접속단자를 노출시키는 창(42)이 형성되며, 회로기판(33)을 일단의 벽(41)의 내면에 접촉시킨 상태로 유지하는 계합돌부(44)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도 7의 (a) ~ 7의 (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전지팩(51)에서는, 휴대전자기기의 전지팩 수용공간에 이 전지팩(51)을 수납한 상태에서, 그 외부 접속단자에 접속단자가 적정한 탄성력으로 접촉함으로써, 전기적 접속이 확보되나, 외부 접속단자를 설치한 회로기판(33) 또는 단자기판은 외장케이스(34)의 일단의 벽(41)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외장케이스(34)의 높이 치수 H의 오차에 의 해 외부 접속단자의 위치가 변화하게 된다. 그러나, 외장케이스(34)는 수지성형품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외장케이스(34)의 높이 치수 H가 크므로 그 오차 치수도 커지고, 그런 이유로 전지팩(51)의 외부 접속단자와 전지팩 수용공간의 접속단자와의 접촉상태에 대한 신뢰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지(32)와 그 외의 부품을 일체로 몰드 성형으로써, 전지팩의 높이 치수의 공차를 소정의 범위로 규제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나, 몰드 성형은 생산성이 낮고 설비에 비용이 들며, 또 성형 트러블 발생으로 불량품이 발생하면 그 손실금액이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휴대전자기기에 세트했을 때의 외부 접속단자의 접속상태에 대하여 높은 신뢰성을 얻을 수 있고, 또한 구성이 간단하여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또 낙하 충격에 의한 전지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는 전지팩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전지팩은, 전지케이스와 그 일단의 개구부를 실링하는 실링판의 실링캡이 서로 다른 극성의 접속전극으로 구성되어 있는 전지와, 이들 접속전극에 각각 접속되는 외부 접속단자와 절연커버가 일체화되고, 또한, 적어도 전지케이스의 일측 단부를 덮는 단자 유닛과, 전지케이스의 일단과 단자 유닛과의 사이에 압축상태로 삽입된 탄성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단자 유닛과 전지케이스의 타단 사이의 치수를 규제한 상태에서 단자 유닛과 전지케이스를 고정할 수 있고, 휴대전자기기에 세트했을 때의 단자 유닛의 외부 접속단자의 접속상태에 대하여 높은 신뢰성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단자 유닛의 절연커버에 의해 전지케이스의 일측 단부를 덮는 구성이므로 구성이 간단해져서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고, 단자 유닛과 전지케이스와의 사이에 탄성체가 개재되어 있으므로, 상기 치수규제를 억압규제에 의해 용이하며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으며, 또한 낙하 등에 의해 단자 유닛에 큰 충격이 작용한 경우에도 그 충격을 탄성체에 의해 흡수할 수 있으며, 전지의 실링부에 충격이 전해져 피해를 주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서, 누액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단자 유닛의 단면과 전지케이스의 타단 사이의 치수를 규제한 상태에서, 접속전극과 단자 유닛의 외부 접속단자를 접속하여 전지케이스와 단자 유닛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어서, 제조공정이 간단해져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단자 유닛으로부터 일측의 외부 접속단자의 접속 각부(脚部)가 전지케이스의 일측 단부 외면에 겹쳐지도록 연장되어, 그 접속 각부가 전지케이스의 외면에 용접에 의해 접속되어 있으면, 전지케이스의 일측 단부의 외면과 외부 접속단자의 접속 각부의 용접에 의해 용이하고 생산성 좋게, 신뢰성이 높은 접속과 고정을 실현할 수 있으므로 적합하며, 전지와 외부 접속단자와 절연커버가 일체화된 단자 유닛을 용접함으로써, 전지팩을 분해하여 전지를 추출하여, 오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용접으로는 저항 용접, 레이저빔 용접, 전자빔 용접 등이 적합하게 적용된다.
또한, 접속 각부에 있어서, 전지케이스 외면에의 용접위치로부터 단자 유닛의 하면에 대응하는 위치까지의 높이 범위 내의 임의의 개소, 또는 전지케이스와 단자 유닛의 하면과의 경계 근방에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스배출구멍을 설치하면, 전지의 이상 발생시에 발생하는 가스를 전지팩의 외부에 방출하기 위한 경로를 구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안전성이 높은 전지팩을 얻을 수 있다.
게다가, 타측의 외부 접속단자와 캡이 단자 유닛 내에 수납 배치되는 리드 판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으면, 타측의 외부 접속단자와 캡을 용이하고 높은 신뢰성을 갖고 접속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그 접속구성을 단자 유닛에 의해 보호할 수 있으므로 적합하다.
더욱이, 리드 판에 PCT소자 또는 온도 퓨즈를 배치하면, 간단·콤팩트·저 비용으로 안전성이 높은 전지팩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일측의 외부 접속단자의 표면 일부에 저항치가 다른 층을 설치하거나, 일측의 외부 접속단자의 표면의 일부에 저항피막 코팅을 하면, 전용 회로기판이나 저항소자를 실장한 단자기판을 이용하지 않고, 일측의 외부 접속단자를 공유하여 식별단자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구성의 간소화와 저 비용화를 도모하는 데에 적합하다.
그리고, 단자 유닛의 적어도 일부와 전지케이스의 외주면을 필름형상의 외장재에 의해 피복하면, 단자 유닛과 필름형상의 외장재에 의해 간편하게 외장된, 저렴한 구성의 전지팩을 얻을 수 있다.
도 1의 (a) ~ 도 1의 (b)는, 본 발명의 1 실시 예의 전지팩을 나타내며, 도 1의 (a)는 사시도이고, 도 1의 (b)는 도 1의 (a)의 A - A 선에서 본 개략종단면도 이다.
도 2는, 도 1의 (b)의 B부 확대 상세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의 C - C 선에서 본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동 실시 예의 전지팩에 있어서의 단자 유닛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5는, 동 실시 예의 전지팩에 있어서의 외부 접속단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동 실시 예의 전지팩에 있어서의 리드 판과 캡의 돌기부의 접속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7의 (a) ~ 도 7의 (b)는, 종래 예의 전지팩을 나타내고, 도 7의 (a)는 사시도이며, 도 7의 (b)는, 도 7의 (a)의 D - D 선에서 본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1 실시 예에 있어서의 전지팩과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도 1의 (a) ~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의 (a) ~ 1의 (b)에 있어서, 1은 편평한 각형의 전지팩이고, 리튬 이온 2차전지로 이루어지는 전지(2)를 구비하고 있다. 전지(2)는,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전지케이스(3) 내에 정극 판과 부극 판을 세퍼레이트를 거쳐서 적층한 극판 군과 전해액으로 이루어지는 발전요소(4)를 수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지케이스(3)의 일단의 개구는, 돌기부(5)를 구비한 캡(6)을 갖는 실링판(7)에 의해 절연 개스킷(8)을 통하여 실링되어 있고, 캡(6)이 일측의 극성의 접속전극, 전지케이스(3)가 타측의 극성의 접속전극을 구성하고 있다. 실링판(7)은, 필터(9) 내에 내부 개스킷(10)을 통하여 안전밸브기구(11)와 PTC 소자(12)와 캡(6)을 수용 배치하여 구 성되며, 필터(9)가 발전요소(4)에 접속되고, 필터(9)와 캡(6)이 안전밸브기구(11)와 PTC 소자(12)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도 1의 (a) ~ 도 3에 있어서, 전지(2)의 일측 단부가 단자 유닛(13)에 의해 덮여져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단자 유닛(13)의 하부와 전지케이스(3)의 외주면이 필름형상의 외장재(14)에 의해 피복되어, 전지팩(1)이 구성되어 있다.
단자 유닛(13)은, 도 1의 (a) ~ 도 5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절연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절연커버와 제 1 외부 접속단자(15)와 제 2 외부 접속단자(16)가 인서트성형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는 구성이다. 제 1 외부 접속단자(15)는 단면형상이 대략 문(門) 형상으로, 그 양측의 접속 각부(17)가 전지케이스(3)의 일측 단부의 외면에 겹쳐지도록 단자 유닛(13)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2 외부 접속단자(16)는, 일측의 단에서 횡 방향 U자형으로 접혀 있고, 제 1 외부 접속단자(15) 내에 간격을 두고 침입하는 접속편부(18)가 연장되어 있으며, 이 접속편부(18)의 하면이 단자 유닛(13)의 하면에 면하고 있다.
그리고, 제 1 외부 접속단자(15)의 표면의 일부에는 저항피막 코팅(31)이 이루어지고, 제 1 외부 접속단자(15)와 다른 저항 값을 갖는 식별단자부(15a)로 구성되어 있다.
단자 유닛(13)의 단면에는 제 1과 제 2의 외부 접속단자(15, 16) 및 식별단자부(15a)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창(19)이 개구되어 있다. 또한, 단자 유닛(13)의 하면의 외주부에는 환상의 돌출부(20)가 돌출 설치되어 내부에 리드 판(22)을 수용 배치하는 수용공간(21)이 형성되어 있다. 환상의 돌출부(20)와 전지케이스(3)의 개구단의 코킹(caulking)부와의 사이에는 탄성체(23)가 삽입되어 있다. 탄성체(23)로는 내 전해액성을 갖는 발포 폴리에틸렌이나 부틸고무 등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제 1 외부 접속단자(15)의 접속 각부(17)는 전지케이스(3)의 외면에 용접(24)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 접속 각부(17)와 전지케이스(3)의 용접(24)은,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전지케이스(3)의 일측 단부의 보강판(27)의 배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 2 외부 접속단자(16)의 접속 각부(18)에는 리드 판(22)의 일단이 용접(25a)에 의해 접속되고, 리드 판(22)의 타단이 실링판의 캡(6)의 돌기부(5)에 용접(25b)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리드 판(22)은 도 2, 도 3, 도 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 1 리드 판(22a)과 제 2 리드 판(22b) 사이에 PTC 요소(26)를 삽입하여 구성되며, 소정의 온도 이상이 되면 리드 판(22)의 저항이 급격히 높아져서 전류를 차단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제 2 리드 판(22b)에는, 도 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조 공정에서 원활하게 접힘으로써 작업성이 향상하도록, 적당하게 굴곡부(22c)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의 (a) 및 도 4 ~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접속 각부(17)에는 가스배출구멍(30)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가스배출구멍(30)은, 만일 전지(2)의 이상 사용 등에 의해 가스가 발생하여 전지케이스(3)의 실링부로부터 새어나왔을 경우, 전지팩(1) 내의 가스압을 외부로 방출하여 전지팩의 파열을 막고, 나아가서는 전자기기의 파손이나 사용자의 부상과 같은 사고를 막기 위한 것이다. 이 가스배출구멍(30)은, 접속 각부(17)에서의 전지케이스(3)의 외면으로의 용접위치(24)로부터 단 자 유닛(13)의 하면에 대응하는 위치까지의 높이 범위 내의 임의의 개소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가장 적합한 예로는, 가스배출구멍(30)을 접속 각부(17)에 있어서의 전지케이스(3)와 단자 유닛(13)의 하면과의 경계 근방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위치에 가스배출구멍(30)을 설치함으로써, 전지(2)의 실링부로부터 새어나온 고압 가스가 전지케이스(3)와 탄성체(23)와의 사이를 빠져나와서 전지팩(1)의 외부로 배출될 때까지의 경로가 최단거리가 되어서, 자연스러운 가스배출을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있어서는 전지팩(1)의 단면에 두 개의 가스배출구멍(30)을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있으나, 가스배출구멍(30)의 수는 하나 이상 있으면 되고, 전지팩(1)의 단면에 하나의 가스배출구멍(30)을 설치한 구성이나 전지팩(1)의 단면에 각각 하나 이상 설치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의 전지팩(1)의 제조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지(2), 제 1과 제 2의 외부 접속단자(15, 16)와 절연가스를 인서트 성형하여 일체화한 단자 유닛(13), 리드 판(22), 및 탄성체(23)는 각각 개별적으로 제조되어 있다. 전지(2)는 양산할 수 있는 시스템이 확립되어 있고, 다른 부품도 단순한 구성이어서 생산성 좋게 제조된다.
먼저, 도 6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단자 유닛(13)의 접속편부(18)에 용접(25a)에 의해 리드 판(22)의 일단을 부착하고, 전지(2)의 일단에 탄성체(23)를 배치한 후, 리드 판(22)의 타단을 용접(25b)에 의해 전지(2)의 돌기부(5)에 접속한 다.
다음으로, 단자 유닛(13)을 전지(2)의 일측 단부에 씌우고, 도 1의 (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전지(2)의 타단과 단자 유닛(13)의 단면과의 사이의 높이 치수 H가 소정의 공차±d 내로 수렴되도록 규제한다, 그 때, 전지(2)의 타단과 단자 유닛(13)의 단면 사이를 가압하고, 탄성체(23)를 압축시킬 때의 압축비율의 조절에 의해 간단하게 치수를 규제할 수 있다. 그런 이유로, 탄성체(23)의 두께 치수는, 전지(2)의 전지케이스(3)의 높이 치수 h의 공차 ±D의 2배보다 크게 하는 것이 적합하다. 참고로, D는 통상 0.2㎜ 정도이며, d는 0.15㎜ 미만으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와 같이 전지팩(1)의 높이 치수 H를 소정의 치수 공차 ±d 내로 수렴되도록 규제한 상태에서, 접속 각부(17)와 전지케이스(3)의 일측 단부의 외면을 용접(24)하고, 제 1 외부 접속단자(15)와 전지케이스(3)의 일측 단부를 접속함과 동시에, 단자 유닛(13)을 전지케이스(3)에 고정한다. 그 때, 전지케이스(3)의 일측 단부의 보강판(27)의 배치 위치에서 용접하면, 전지케이스(3)의 두께가 얇아도 신뢰성이 높은 용접을 생산성 좋게 행할 수 있으므로 적절하다. 그 후,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단자 유닛(13)의 일부와 전지케이스(3)의 외주면을 필름형상의 외장재(14)에 의해 피복하는 것으로 전지팩(1)이 완성된다.
이상의 구성의 전지팩(1)에 의하면, 단자 유닛(13)의 단면과 전지케이스(3)의 타단 사이의 높이 치수 H를 소정의 허용 공차 ±d 내에 수렴되도록 규제한 상태에서 단자 유닛(13)과 전지케이스(3)를 고정하고 있으므로, 휴대전자기기에 세트했 을 때의 외부 접속단자(15, 16)의 접속상태에 대하여 높은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1 외부 접속단자(15)의 접속 각부(17)를 전지케이스(3)의 일측 단부의 외면에 겹쳐지도록 단자 유닛(13)으로부터 연장하고, 그 접속 각부(17)를 전지케이스(3)의 외면에 용접(24)에 의해 접속하고 있으므로 이 전기적인 접속과 동시에 단자 유닛(13)과 전지케이스(3)의 고정도 행할 수 있으며, 용접(24)에 의해 신뢰성이 높은 접속과 고정을 실현할 수 있고, 제조공정이 간단해져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지팩(1)을, 전지케이스(3)의 일측 단부를 단자 유닛(13)에 의해 덮고, 이 단자 유닛(13)의 일부와 전지케이스(3)의 외주면을 필름형상의 외장재(14)에 의해 피복하여 구성하고 있으므로, 외장구성이 간단하여 전지팩(1)을 염가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단자 유닛(13)과 전지케이스(3)와의 사이에 탄성체(23)를 압축상태로 삽입하고 있으므로, 상기 치수규제를 억압규제에 의해 용이하고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어서, 높은 생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이 탄성체(23)에 의해 낙하 등에 의해 단자 유닛(13)에 큰 충격이 작용한 경우에도 그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전지(2)의 실링부에 충격이 전해져서 피해를 주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누액(漏液)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단자 유닛(13)의 절연커버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제 1 외부 접속단자(15)를 전지(2)의 전지케이스(3)에 용접하고 있으므로, 전지팩을 분해하여 전지(2)를 추출하여, 오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외부 접속단자(16)와 실링판의 캡(6)의 돌기부(5)를, 단자 유닛(13) 내의 수용공간(21) 내에 수납 배치된 리드 판(22)을 거쳐서 접속하였으므로, 제 2 외부 접속단자(16)와 캡(6)의 돌기부(5)를 용이하고도 높은 신뢰성을 갖고 접속가능함과 동시에, 그 접속구성을 단자 유닛(13)에 의해 보호할 수 있어서 적합하며, 또한, 리드 판(22)에 PTC소자(26)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간단·콤팩트·저 비용으로 안전성이 높은 전지팩(1)을 얻을 수 있다.
또, 제 1 외부 접속단자(15)에는, 인서트 성형에 의한 일체화에 앞서, 카본블랙, 흑연 등의 도전제, 에폭시수지, 페놀수지 등의 수지, 실리카, 마이카, 타르크 등의 무기충전제, 필요에 따라서 경화제를 용제에 혼연분산시킨 페이스트를 그 표면의 일부에 인쇄하여, 가열 접착시킴으로써, 제 1 외부 접속단자(15)보다도 더 저항치가 높은 식별단자부(15a)를 구성하고 있으므로, 식별단자부(15a)를 구성하기 위한 회로기판이나 단자기판에 저항소자를 실장할 필요가 없어서, 간단하면서도 저 비용으로 전지팩(1)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 1 외부 접속단자(15) 보다도 저항치를 높게 하기 위해, 저항피막 코팅(31)을 제 1 외부 접속단자(15)의 표면 일부에 실시함으로써 식별단자부(15a)를 구성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 예의 설명에서는 리드 판(22)에 PTC소자(26)를 배치한 예를 나타냈으나, PTC소자(26) 대신 온도 퓨즈를 배치해도 좋고, 또 리드 판(22)에 이들의 안전기능은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또, 캡(6)의 돌기부(5)와 제 2 외부 접속단자(16)와의 접속에서는, 반드시 리드 판(22)에 의한 접속구성을 채용할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어, 돌기부(5)의 측면에 접촉하도록 제 2 외부 접속단자(16)의 접속 각 부를 형성하고, 단자 유닛에 설치된 개구를 통하여 용접하여 접속하도록 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전지팩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전지의 접속전극에 접속된 외부 접속단자와 절연커버가 일체화된 단자 유닛과 전지케이스의 타단 사이의 치수를 규제한 상태에서 단자 유닛과 전지케이스를 고정함으로써, 휴대전자기기에 세트 했을 때의 외부 접속단자의 접속상태에 대해 높은 신뢰성을 얻기에 적합하고, 단자 유닛에 의해 전지케이스의 일측 단부를 덮는 구성으로 구성을 간소화하여 저 비용화를 도모하기에 유용하다. 또한, 단자 유닛과 전지케이스와의 사이에 탄성체가 압축상태로 삽입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치수규제를 억압규제에 의해 용이하고 정밀도 좋게 행함에 있어서도 적합함은 물론, 낙하 등에 의해 단자 유닛에 큰 충격이 작용했을 경우에도 그 충격을 탄성체에 의해 흡수하고, 전지의 실링부에 충격이 전해져서 피해를 입음에 따른 누액의 발생이나 변형을 방지하기에도 적합하다.

Claims (14)

  1. 전지케이스(3)와 그 일단의 개구부를 실링하는 실링판의 캡(6)이 서로 다른 극성의 접속전극으로 구성되어 있는 전지(2)와,
    이들 접속전극에 각각 접속되는 외부 접속단자(15, 16)와 절연커버가 일체화되고, 또한, 적어도 상기 전지케이스(3)의 일측 단부를 덮는 단자 유닛(13)과,
    상기 전지케이스(3)의 일단과 상기 단자 유닛(13)과의 사이에 압축상태로 삽입된 탄성체(23)를 구비하는 전지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유닛(13)의 단면과 상기 전지케이스(3)의 타단 사이의 치수를 규제한 상태에서 상기 접속전극과 상기 외부 접속단자(15, 16)를 접속하여, 전지케이스(3)의 단자 유닛(13)을 고정한 전지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유닛(13)으로부터 일측의 외부 접속단자(15)의 접속 각부(脚部, 17)가 상기 전지케이스(3)의 일측 단부의 외면에 겹치도록 연장되고, 그 접속 각부(17)가 상기 전지케이스(3)의 외면에 용접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전지팩.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각부(17)에서의 상기 전지케이스(3) 외면에 대한 용접위치(24)로부터 상기 단자 유닛(13)의 하면에 대응하는 위치까지의 높이 범위 내의 임의의 개소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스배출구멍(30)이 설치되어 있는 전지팩.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각부(17)에서의 상기 전지케이스(3)와 상기 단자 유닛(13)의 하면과의 경계 근방에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스배출구멍(30)이 설치된 전지팩.
  6. 제 3 항에 있어서,
    타측의 외부 접속단자(16)와 상기 캡(6)이 상기 단자 유닛(13) 내에 수납 배치되는 리드 판(22)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전지팩.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판(22)에 PTC소자(26) 또는 온도 퓨즈가 배치되어 있는 전지팩.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유닛(13)은, 일측의 외부 접속단자(15)의 표면 일부에 저항치가 다른 층을 설치하여 식별단자부(15a)를 구성한 후에 상기 절연커버와 일체화되는 전지팩.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유닛(13)은, 일측의 외부 접속단자(15)의 표면 일부에 저항피막 코팅(31)을 해서 식별단자부(15a)를 구성한 후에 상기 절연커버와 일체화되는 전지팩.
  10. 제 1 항 내지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유닛(13)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전지케이스(3)의 외주면을 필름형상의 외장재(14)에 의해 피복한 전지팩.
  11. 전지케이스(3)와 그 일단의 개구부를 실링하는 실링판의 캡(6)이 서로 다른 극성의 접속전극으로 구성되어 있는 전지(2)와, 이들 접속전극에 각각 접속되는 외부 접속단자(15, 16)와 절연커버가 일체화되고, 또한, 적어도 상기 전지케이스의 일측 단부를 덮는 단자 유닛(13)을 구비한 전지팩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전지케이스(3)의 일단과 상기 단자 유닛(13)과의 사이에 탄성체(23)를 삽입하는 공정,
    상기 단자 유닛(13)의 단면과 상기 전지케이스(3)의 타단과의 사이의 치수를 상기 탄성체(23)를 압축하면서 규제하는 공정,
    상기 접속전극과 상기 외부 접속단자(15, 16)를 접속하는 공정을 갖는 전지팩의 제조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캡(6)과 타측의 외부 접속단자(16)를 리드 판(22)을 거쳐서 접속하는 공정,
    상기 전지케이스(3)의 일부를 덮도록 상기 단자 유닛(13)을 장착하여 상기 탄성체(23)를 압축하면서 위치규제를 하는 공정,
    상기 단자 유닛(13)으로부터 상기 전지케이스(3)의 일측 단부 외면에 겹치도록 연장된 일측의 외부 접속단자(15)의 접속 각부(17)와 상기 전지케이스(3)의 외면을 용접에 의해 접속하는 공정을 갖는 전지팩의 제조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케이스(3)의 일측 단부의 보강판(27) 배치위치에서, 상기 일측의 외부 접속단자(15)의 접속 각부(17)와 상기 전지케이스(3)의 외면을 용접에 의해 접속하는 전지팩의 제조방법.
  14. 제 11 항 내지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유닛(13)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전지케이스(3)의 외주면을 필름형상의 외장재(14)에 의해 피복하는 공정을 갖는 전지팩의 제조방법.
KR1020057017113A 2003-06-26 2004-03-31 전지팩과 그 제조방법 KR1009779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82264 2003-06-26
JP2003182264A JP4416443B2 (ja) 2003-06-26 2003-06-26 電池パックと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2639A true KR20060022639A (ko) 2006-03-10
KR100977922B1 KR100977922B1 (ko) 2010-08-24

Family

ID=33549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7113A KR100977922B1 (ko) 2003-06-26 2004-03-31 전지팩과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635535B2 (ko)
EP (1) EP1646096A4 (ko)
JP (1) JP4416443B2 (ko)
KR (1) KR100977922B1 (ko)
CN (1) CN100426560C (ko)
BR (1) BRPI0411782A (ko)
MX (1) MXPA05013221A (ko)
RU (1) RU2324261C2 (ko)
WO (1) WO200500196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311B1 (ko) * 2008-01-24 2010-07-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20130035200A (ko) * 2011-09-29 2013-04-08 소니 주식회사 전지 팩, 축전 시스템, 전자 기기, 전동 차량 및 전력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476B1 (ko) * 2005-01-25 2009-12-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캡 어셈블리 성형체 및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JP4561542B2 (ja) * 2005-09-02 2010-10-13 ソニー株式会社 二次電池
JP5077939B2 (ja) 2007-09-27 2012-11-21 日立マクセルエナジー株式会社 電池パック
DE102008003111A1 (de) * 2008-01-02 2009-07-09 Robert Bosch Gmbh Elektrohandwerkzeug mit einer Akkumulator-basierten Energieversorgung
JP4991581B2 (ja) * 2008-01-22 2012-08-01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及び配線基板
JP2010030024A (ja) * 2008-07-31 2010-02-12 Makita Corp 電気機器
CN102203883B (zh) * 2008-11-07 2013-01-23 泰科电子日本合同会社 Ptc装置
CN101754613A (zh) * 2008-12-22 2010-06-2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子装置
AT509573B1 (de) * 2010-02-25 2012-01-15 Norman Neuhold Akkumulatoreinheit
US20110236732A1 (en) * 2010-03-23 2011-09-29 International Battery, Inc. Package for large format lithium ion cells
RU2521075C1 (ru) * 2010-07-26 2014-06-27 Ниссан Мотор Ко., Лтд. Биполярная батарея
US8603033B2 (en) 2010-10-15 2013-12-10 Medtronic Minimed, Inc. Medical device and related assembly having an offset element for a piezoelectric speaker
US8562565B2 (en) * 2010-10-15 2013-10-22 Medtronic Minimed, Inc. Battery shock absorber for a portable medical device
US8603032B2 (en) 2010-10-15 2013-12-10 Medtronic Minimed, Inc. Medical device with membrane keypad sealing element, and related manufacturing method
US9385403B2 (en) 2010-11-08 2016-07-05 Raytheon Company Battery pack
TWI684311B (zh) * 2019-04-01 2020-02-01 聚鼎科技股份有限公司 保護元件
JP7222494B2 (ja) * 2019-08-08 2023-02-1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フィルムコンデンサ、及び、フィルムコンデンサ用の外装ケース
CN113328179B (zh) * 2021-05-31 2023-06-20 中创新航技术研究院(江苏)有限公司 电池盖板组件的制作方法及电池盖板组件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3742Y2 (ja) * 1992-09-28 1998-06-04 三洋電機株式会社 複数の電池を連結した組電池
US5332633A (en) * 1993-03-16 1994-07-26 Duracell Inc. Cell sealant
JPH06333547A (ja) 1993-05-19 1994-12-02 Sanyo Electric Co Ltd 電池パック
JP3270644B2 (ja) * 1994-11-30 2002-04-02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電池パ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770328A (en) * 1996-07-05 1998-06-23 Motorola, Inc. Battery packaging system and clip for same
JP3668561B2 (ja) 1996-08-07 2005-07-06 Nok株式会社 給電バスバー
CN1180507C (zh) * 1999-03-30 2004-12-1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具备电池保护电路的蓄电池
JP2001345123A (ja) * 2000-03-30 2001-12-14 Sanyo Electric Co Ltd 密閉型蓄電池
JP2002110121A (ja) * 2000-09-26 2002-04-12 Gs-Melcotec Co Ltd 電池パック
JP3696097B2 (ja) 2001-01-30 2005-09-14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とその製造方法
JP2002313295A (ja) * 2001-04-11 2002-10-25 Gs-Melcotec Co Ltd 二次電池パック
JP3929839B2 (ja) * 2001-06-28 2007-06-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池及び電池パック
JP3643792B2 (ja) * 2001-06-29 2005-04-27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とその製造方法
JP3766001B2 (ja) 2001-07-06 2006-04-12 京セラ株式会社 バッテリーとその製造方法
US6855454B2 (en) * 2001-12-20 2005-02-15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Electrochemical cell having venting current collector and seal assembly
JP4307779B2 (ja) * 2002-02-13 2009-08-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パックの製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311B1 (ko) * 2008-01-24 2010-07-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US8936860B2 (en) 2008-01-24 2015-01-20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with reinforcing member
KR20130035200A (ko) * 2011-09-29 2013-04-08 소니 주식회사 전지 팩, 축전 시스템, 전자 기기, 전동 차량 및 전력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26560C (zh) 2008-10-15
JP2005019192A (ja) 2005-01-20
RU2006102139A (ru) 2006-06-10
BRPI0411782A (pt) 2006-08-08
US20060228623A1 (en) 2006-10-12
MXPA05013221A (es) 2006-03-09
EP1646096A4 (en) 2007-12-12
US7635535B2 (en) 2009-12-22
JP4416443B2 (ja) 2010-02-17
WO2005001962A1 (ja) 2005-01-06
RU2324261C2 (ru) 2008-05-10
KR100977922B1 (ko) 2010-08-24
CN1799155A (zh) 2006-07-05
EP1646096A1 (en) 2006-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7922B1 (ko) 전지팩과 그 제조방법
US7927386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battery pack
KR100871526B1 (ko) 전지팩
EP3321998B1 (en) Secondary battery
JP6162965B2 (ja) 2次電池
KR100723668B1 (ko) 리튬 이온 배터리
KR100894355B1 (ko) 전지와 그 제조방법
US7537720B2 (en) PCM mold and battery having the same
EP3001483B1 (en) Secondary battery pack containing connector with non-projecting structure
US8435655B2 (en) Secondary battery
KR100528915B1 (ko) 이차전지
KR20090112405A (ko) 배터리 팩
KR20140081105A (ko) 단자 보호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캡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JP2006236735A (ja) 電池パック
JP4734868B2 (ja) 電池保護回路を備えた二次電池
KR100542186B1 (ko) 이차 전지
US20120282494A1 (en) Battery pack
KR100889770B1 (ko) Ptc 소자 및, 그것을 구비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
KR20140102927A (ko) 배터리 팩
CN109792009B (zh) 二次电池
KR20140083875A (ko) 배터리팩
KR20190078388A (ko) 체결식 구조의 보호 회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160104995A (ko) 이차 전지
JP2005310620A (ja) 電池パ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