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4995A -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4995A
KR20160104995A KR1020150028076A KR20150028076A KR20160104995A KR 20160104995 A KR20160104995 A KR 20160104995A KR 1020150028076 A KR1020150028076 A KR 1020150028076A KR 20150028076 A KR20150028076 A KR 20150028076A KR 20160104995 A KR20160104995 A KR 20160104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ption plate
electrostatic absorption
static electricity
substrate
secondary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8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우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8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4995A/ko
Publication of KR20160104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49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28
    • H01M2/2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5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전극조립체, 및 상기 전극조립체에 연결되는 보호회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회로모듈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장착되는 소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소자부는 복수 개의 리드가 구비된 칩, 상기 칩을 커버하는 몰딩부, 및 상기 몰딩부 내에 내장되어 칩의 상부에 위치되는 정전기 흡수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정전기 흡수 플레이트의 크기는 상기 몰딩부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이차전지는 정전기 흡수 플레이트가 몰딩부 내에 내장되어 구비됨으로써, 소자부가 정전기로부터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차 전지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는 일차 전지와 달리 충전 및 방전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전지이다. 소용량의 이차 전지는 휴대폰이나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와 같이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대용량 이차 전지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최근 들어 고에너지 밀도의 비수전해액을 이용한 고출력 이차 전지가 개발되고 있다. 고출력 이차 전지는 복수의 이차 전지를 직렬로 연결하여 구성되며, 대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기, 예를 들면, 전기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에 사용될 수 있다.
이차전지는 세퍼레이터의 양면에 양극과 음극을 구비하여 형성되는 전극조립체, 전극조립체를 내장하는 케이스, 케이스의 개구를 밀폐하는 캡 조립체 및 캡 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차전지의 충방전 및 동작을 제어하는 보호회로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자부를 정전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전기를 효과적으로 소멸시킬 수 있는 구조의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전극조립체, 및
상기 전극조립체에 연결되는 보호회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회로모듈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장착되는 소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소자부는 복수 개의 리드가 구비된 칩, 상기 칩을 커버하는 몰딩부, 및 상기 몰딩부 내에 내장되어 칩의 상부에 위치되는 정전기 흡수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정전기 흡수 플레이트의 크기는 상기 몰딩부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기판 상에는 전기적으로 절연된 그라운드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소자부는 상기 그라운드 패턴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정전기 흡수 플레이트와 상기 그라운드 패턴을 연결할 수 있다.
또 상기 연결 부재는 도전성 부재일 수 있다.
또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리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전기 흡수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단은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전기 흡수 플레이트는 상기 몰딩부와 인서트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전기 흡수 플레이트는 도전성 부재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에 의하면, 몰딩부에 정전기 흡수 플레이트를 내장함에 의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정전기로부터 소자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차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정전기 흡수 플레이트와 기판의 그라운드 패턴 간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유입된 정전기를 보다 용이하게 그라운드 패턴으로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차 전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보호회로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자부의 A-A'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소자부의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그 밖에 당업자가 본 발명의 내용을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 상세히 기재한다. 다만,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하기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표현 여부에 불구하고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아울러, 도면에서 각 구성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 구성의 두께나 크기와 다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차 전지(10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보호회로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100)는 전극조립체(110), 및 상기 전극조립체(110)에 연결되는 보호회로모듈(130)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회로모듈(130)은 기판(131), 상기 기판(131) 상에 장착되는 소자부(1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소자부(140)는 복수 개의 리드(142)가 구비된 칩(141), 상기 칩(141)을 커버하는 몰딩부(143), 및 상기 몰딩부(143) 내에 내장되어 칩(141)의 상부에 위치되는 정전기 흡수 플레이트(14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정전기 흡수 플레이트(144)의 크기는 상기 몰딩부(143)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131) 상에는 전기가 흐르는 도전 패턴(138)과 전기적으로 절연된 그라운드 패턴(137)이 형성되고, 상기 소자부(140)는 상기 그라운드 패턴(137)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1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부재(145)는 상기 정전기 흡수 플레이트(144)와 상기 그라운드 패턴(137) 간을 연결할 수 있다. 이에 외부로부터 정전기가 유입되면, 정전기는 정전기 흡수 플레이트(144)에 의해 흡수되어 연결 부재(145)를 따라 그라운드 패턴(137)에 수집됨으로써, 소자부(140)를 정전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라운드 패턴(137)은 수집된 정전기의 전하들을 흡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 부재(145)는 도전성 부재 또는 상기 복수 개의 리드(142)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이차전지(100)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류를 충전 및 방전하는 전극조립체(110)는 음극(111), 세퍼레이터(113) 및 양극(112)을 젤리롤 상태로 권취하여 형성된다. 음극(111) 및 양극(112)은, 각각 금속판의 집전체에 활물질을 도포한 코팅부, 및 활물질을 도포하지 않아서 노출된 집전체로 형성되는 무지부(111a, 112a)를 포함한다. 이때, 음극(111)의 무지부(111a) 및 양극(112)의 무지부(112a)는 각각 전극조립체(110)의 상부로 돌출된다.
케이스(115)는 내부에 전극조립체(110)와 전해액을 수용하는 공간을 설정하도록 대략 직육면체로 이루어지며, 외부와 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개구를 직육면체의 일면에 형성한다. 개구는 전극조립체(110)를 케이스(115)의 내부로 삽입할 수 있게 한다.
캡조립체(120)는 케이스(115)의 개구를 밀폐하는 절연플레이트(121)와 상기 절연플레이트(121)의 상부에 위치하는 캡플레이트(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절연플레이트(121)는 케이스(115)의 개구에 설치됨으로써 케이스(115)를 밀폐하고, 전극조립체(110)와 캡플레이트(123) 간을 절연시킬 수 있다. 또한, 절연플레이트(121)의 일측에는 전해액 주입구(122)가 구비된다.
캡플레이트(123)는 케이스(115)와의 용접성 향상을 위해 케이스(115)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고, 캡플레이트(123) 상에는 전극 단자(124) 및 전극 단자(124)와 캡플레이트(123) 사이에 개재되어 전극 단자(124)를 캡플레이트(123)로부터 절연시키는 가스켓(125)이 배치된다. 전극 단자(124)는 전극조립체(110)의 음극 무지부(111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캡플레이트(123)는 전극조립체(110)의 양극 무지부(112a)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캡플레이트(123)의 일측에는 절연플레이트(121)의 전해액 주입구(122)와 대응되게 전해액 주입구(12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전해액 주입구(122, 126)는 케이스(115)에 절연플레이트(121) 및 캡플레이트(123) 즉, 캡조립체(120)를 결합한 후, 케이스(115) 내부로 전해액의 주입을 가능하게 한다. 전해액 주입 후, 전해액 주입구(122, 126)는 밀봉 마개로 밀봉된다.
보호회로모듈(130)은 캡조립체(120)의 상부에 위치하고, 전극조립체(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기판(131), 기판(131)에 장착되는 양극 및 음극리드탭(135, 136), PTC(132), 소자부(140), 충방전 단자(134)와 보호회로부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회로모듈(130)과 전극조립체(110)는 다양한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판(131)에 구비된 음극리드탭(135)이 캡플레이트(123)의 전극 단자(124)와 연결되고, 기판(131)의 양단부에 형성된 양극리드탭(136)이 캡플레이트(123)와 연결됨에 의해 상기 보호회로모듈(130)과 상기 전극조립체(11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양극리드탭(136)과 캡플레이트(123)의 연결은 레이저 용접, 저항용접 중 어느 하나의 용접 방법으로 이루어지거나, 나사를 이용한 나사 결합 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기판(131)의 음극리드탭(135)과 캡플레이트(123)의 전극 단자(124) 사이에는 PTC(13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과도한 온도 상승이나 과도한 전류가 흐를 경우 보호회로모듈(130)의 음극리드탭(135)과 전극 단자(124)의 전기적인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PTC(132)가 구비되는 위치는 도 2에 도시된 위치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소자부(140)는 스위칭소자, 직접회로, 트랜지스터 등일 수 있고, 이들은 전극조립체(110)를 제어하거나 전극조립체(110)가 이상 작동할 때, 보호회로부를 도와 회로를 차단할 수 있다.
충방전 단자(134)는 외부기기의 단자와 접촉하는 부위로서 외부기기를 통하여 충전 또는 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충방전 단자(134)에 충전기가 접속되어 충전을 시행하거나 또는 충방전 단자(134)에 충전기가 부하가 접속되어 방전을 시행할 수도 있다.
상기 상부케이스(150)는 보호회로모듈(130)과 전극조립체(110) 중 어느 하나와 결합하여 보호회로모듈(130)을 절연시키며, 보호회로모듈(130)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부 케이스(150)는 보호회로모듈(130)에 형성된 충방전 단자(134)의 단자면을 노출시키는 충방전 단자 홀(154)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자부(140)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자부(140)는 복수 개의 리드(142)가 구비된 칩(141), 상기 칩(141)을 커버하는 몰딩부(143), 및 상기 몰딩부(143) 내에 내장되어 칩(141)의 상부에 위치되는 정전기 흡수 플레이트(14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정전기 흡수 플레이트(144)는 몰딩부(143)와 인서트 사출 성형되고, 연결 부재(145)에 의해 기판(131)의 그라운드 패턴(137)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자부(140)의 일 영영역에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부재(145)는 상기 홀을 관통하되, 상기 연결 부재(145)의 일단은 정전기 흡수 플레이트(144)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재(145)의 타단은 기판(131)의 그라운드 패턴(137)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연결 부재(145)에 의해 정전기 흡수 플레이트(144)와 기판(131)의 그라운드 패턴(137)이 연결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유입된 정전기는 정전기 흡수 플레이트(144)에 의해 흡수되고, 흡수된 정전기는 연결 부재(145)를 통해 그라운드 패턴(137)에 수집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수집된 정전기의 전하들은 그라운드 패턴(137)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전기 흡수 플레이트(144)는 칩(141)의 상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위치하면서, 칩(141)과 복수 개의 리드(142)를 커버할 수 있도록 몰딩부(143)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정전기로부터 칩(141) 또는 복수 개의 리드(142)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전기 흡수 플레이트(144)는 도전성 부재로, 구리, 알루미늄, 니켈, 철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화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소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전성 부재면 어느 것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소자부(240)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자부(240)는 복수 개의 리드(142)가 구비된 칩(141), 상기 칩(141)을 커버하는 몰딩부(143), 및 상기 몰딩부(143) 내에 내장되어 칩(141)의 상부에 위치되는 정전기 흡수 플레이트(24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정전기 흡수 플레이트(244)는 몰딩부(143)와 인서트 사출 성형되고, 연결 부재(145)에 의해 기판(131)의 그라운드 패턴(137)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연결 부재(145)에 의해 정전기 흡수 플레이트(144)가 기판의 그라운드 패턴(137)과 연결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유입된 정전기는 정전기 흡수 플레이트(144)에 의해 흡수되고, 흡수된 정전기는 연결 부재(145)를 통해 그라운드 패턴(137)에 수집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수집된 정전기의 전하들은 그라운드 패턴(137)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전기 흡수 플레이트(244)는 칩(141)의 상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위치하면서, 칩(141)과 복수 개의 리드(142)를 커버할 수 있도록 몰딩부(143)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전기 흡수 플레이트(244)가 리드(142)의 측면까지 완벽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정전기 흡수 플레이트(244)의 적어도 일단은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정전기로부터 칩(141) 또는 복수 개의 리드(142)가 손상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전기 흡수 플레이트(144)는 도전성 부재로, 구리, 알루미늄, 니켈, 철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화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소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전성 부재면 어느 것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발명에 대한 권리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해지는 것으로써, 명세서 본문의 기재에 구속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과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할 것이다.
100 : 이차전지 110 : 전극조립체
115 : 케이스 120 : 캡조립체
121 : 절연플레이트 123 : 캡플레이트
130 : 보호회로모듈 140, 240 : 소자부
141 : 칩 142 : 복수 개의 리드
143 : 몰딩부 144, 244 : 정전기 흡수 플레이트
145 : 연결 부재 150 : 상부 케이스

Claims (8)

  1. 전극조립체, 및
    상기 전극조립체에 연결되는 보호회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회로모듈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장착되는 소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소자부는 복수 개의 리드가 구비된 칩, 상기 칩을 커버하는 몰딩부, 및 상기 몰딩부 내에 내장되어 칩의 상부에 위치되는 정전기 흡수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정전기 흡수 플레이트의 크기는 상기 몰딩부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이차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는 전기적으로 절연된 그라운드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소자부는 상기 그라운드 패턴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이차전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정전기 흡수 플레이트와 상기 그라운드 패턴을 연결하는 이차전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도전성 부재인 이차전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리드 중 어느 하나인 이차전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흡수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단은 절곡되게 형성되는 이차전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흡수 플레이트는 상기 몰딩부와 인서트 사출 성형되는 이차전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흡수 플레이트는 도전성 부재인 이차전지.
KR1020150028076A 2015-02-27 2015-02-27 이차 전지 KR201601049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076A KR20160104995A (ko) 2015-02-27 2015-02-27 이차 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076A KR20160104995A (ko) 2015-02-27 2015-02-27 이차 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995A true KR20160104995A (ko) 2016-09-06

Family

ID=56945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8076A KR20160104995A (ko) 2015-02-27 2015-02-27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499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48558B1 (en) Rechargeable battery
KR101649136B1 (ko) 이차 전지
JP4579880B2 (ja) 二次電池
US9029011B2 (en)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including secondary battery
US9490468B2 (en) Secondary battery
KR101155889B1 (ko) 이차 전지
US9819005B2 (en) Secondary battery
US8228033B2 (en) Protective circuit board having groove and battery pack using the same
KR102397857B1 (ko) 이차 전지 및 이를 이용한 전지 모듈
US9660249B2 (en) Rechargeable battery having a fuse
KR102257678B1 (ko) 이차 전지
EP2355210B1 (en) Rechargeable battery
US9093723B2 (en) Rechargeable battery
US20130323536A1 (en) Rechargeable battery pack
US20120070697A1 (en) Prismatic secondary battery
KR101408047B1 (ko)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팩
US20120028082A1 (en) Battery pack
KR101531323B1 (ko) 단자 보호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캡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KR102555490B1 (ko) 이차전지 팩
KR20150115558A (ko) 보호회로모듈을 갖는 이차 전지
KR102578861B1 (ko) 이차 전지
KR100870356B1 (ko) 이차전지
KR101486927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에 적용되는 단자 어셈블리
KR102537226B1 (ko) 이차전지
KR20160104995A (ko) 이차 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