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9136B1 -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9136B1
KR101649136B1 KR1020120061112A KR20120061112A KR101649136B1 KR 101649136 B1 KR101649136 B1 KR 101649136B1 KR 1020120061112 A KR1020120061112 A KR 1020120061112A KR 20120061112 A KR20120061112 A KR 20120061112A KR 101649136 B1 KR101649136 B1 KR 101649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ase
shorting
terminal
t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9134A (ko
Inventor
한민열
변상원
오정원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89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9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H01M50/56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by fixing means, e.g. screws, rivets or bo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current, e.g. fu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3F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4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eads or tab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케이스, 케이스에 삽입되고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가지는 전극 조립체, 전극단자 및 퓨즈부를 매개로 전극단자와 연결되는 전극 연결부를 포함하고, 퓨즈부는 전극 연결부와 전극단자 사이에 위치하여 전극단자와 전극 연결부 사이에서 연장된다.

Description

이차 전지{RECHARGEABLE BATTERY}
본 발명은 외부 단락 상태 또는 퓨즈부 작동 상태에서 안정성을 가지는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rechargeable battery)는 일차전지와 달리 충전 및 방전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전지이다. 소용량의 이차 전지는 휴대폰이나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와 같이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대용량 이차 전지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최근 들어 고에너지 밀도의 비수전해액을 이용한 고출력 이차 전지가 개발되고 있다. 고출력 이차 전지는 복수의 이차 전지를 직렬로 연결하여 구성되며, 대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기, 예를 들면, 전기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에 사용될 수 있다.
이차 전지는 세퍼레이터(separator)의 양면에 양극(positive electrode)과 음극(negative electrode)을 구비하여 형성되는 전극 조립체, 전극 조립체를 내장하는 케이스, 케이스의 개구를 밀폐하는 캡 플레이트, 및 캡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전극 조립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단자를 포함한다.
이차 전지에서, 충전 및 방전이 반복되므로 케이스 내부에서 과도한 열이 발생되거나 전해액이 분해될 수 있다. 이러한 열 발생 또는 전해액 분해는 이차 전지의 내부 압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내부 압력 상승은 이차 전지의 발화 또는 폭발을 발생시킬 수 있다.
내부 압력 상승에 따른 발화 및 폭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케이스의 외부에 외부 단락부가 구비된다. 외부 단락부는, 이차 전지의 내부 압력 상승시, 전극 조립체의 음극과 양극을 이차 전지의 외부에서 단락시킨다. 외부 단락부가 단락되면, 대전류의 방전으로 전극 조립체의 충전상태가 낮아진다.
대전류의 방전에 의하여, 전극 조립체와 전극단자를 연결하는 방전 경로에 구비된 퓨즈부가 녹아서 끊어진다. 이차 전지는 내부에 퓨즈부를 구비하므로 퓨즈부가 끊어진 후, 잔여 전류의 방전을 어렵게 한다.
또한, 끊어진 퓨즈부에서 아크가 발생 될 수 있고, 아크는 전해액에 작용하여 발화 또는 폭발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외부 단락 상태 또는 퓨즈부 작동 상태에서 이차 전지의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단락 상태 또는 퓨즈부 작동 상태에서 안정성을 가지는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케이스, 케이스에 삽입되고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가지는 전극 조립체, 전극단자 및 퓨즈부를 매개로 전극단자와 연결되는 전극 연결부를 포함하고, 퓨즈부는 전극 연결부와 전극단자 사이에 위치하여 전극단자와 전극 연결부 사이에서 연장된다.
또한, 전극단자는 케이스의 외부에 위치하는 단락 탭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전극은 전극 연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전극, 전극 연결부 및 단락 탭은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또한, 제2 전극은 케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전극단자는 케이스를 매개로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단락 탭과 공간적으로 분리된 단락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단락 부재는 단락 탭과 접촉되도록 변형되어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단락 상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전극 연결부는 퓨즈부를 포함하는 내부 부재(21d)를 포함할 수 있고, 퓨즈부는 단락 상태가 시작될 때 발생되는 단락 전류에 반응하여 단락 탭과 내부 부재의 연결을 끊기 위하여 녹을 수 있다.
또한, 단락 탭과 케이스의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락 탭과 케이스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탄성 부재는 절연부재와 케이스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내부 부재는 탄성 부재를 압축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단락 탭에 압력을 작용할 수 있다.
또한, 퓨즈 부가 녹을 때 단락 탭과 연결된 내부 부재가 이동하고 압축 상태의 탄성 부재의 탄성력이 단락 탭에 작용하여 단락 부재로부터 단락 탭이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전극단자는 케이스의 단락 홀에 위치될 수 있고, 탄성 부재는 단락 홀의 외곽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케이스는 탄성 부재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장착 홈은 단락 탭 절연 부재가 케이스와 접촉되도록 압축 상태에서 탄성 부재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전극 연결부는 케이스의 외부로부터 케이스의 홀을 관통하여 케이스의 내부까지 연장하는 리벳 터미널을 포함할 수 있고, 내부 부재는 케이스의 외부에서 리벳 터미널의 최 외곽에 결합되는 터미널 플레이트와 터미널 플레이트와 케이스 사이에 위치하여 리벳 터미널와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로부터 리벳 터미널을 절연하는 가스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와 케이스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미널 플레이트를 덮는 절연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은 음극이고 제2 전극은 양극일 수 있다.
또한, 케이스의 개구를 덮는 캡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단락 탭과 내부 부재는 캡 플레이트 위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내부 부재는 케이스의 내부 표면에 근접하고 평행하게 연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퓨즈부가 캡 플레이트의 외부에 구비되므로 외부 단락 또는 과충전 후에 전극 조립체의 잔여 전류를 방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외부 단락부와 음극 단자 사이에 위치하는 퓨즈부가 녹아서 끊어진 후에도 음극 단자를 통하여 전류가 방전되고, 모듈 상태에서 해당 이차 전지의 교체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퓨즈부가 외부에 구비됨에 따라 퓨즈부가 녹아서 끊어진 후, 끊어진 사이 부분에서 발생되는 아크로부터 전해액을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퓨즈부가 끊어진 후, 외부 단락부가 캡 플레이트로부터 상승 분리되므로 복수의 이차 전지들을 구비하는 모듈에서 전체 과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음극 단자, 외부 단락부 및 퓨즈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음극 단자, 외부 단락부 및 퓨즈부를 조립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퓨즈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전류를 충전 및 방전하는 전극 조립체(10), 전극 조립체(10)를 내장하는 케이스(15), 케이스(15)의 개구에 결합되는 캡 플레이트(20), 및 캡 플레이트(20)에 설치되는 제1 전극단자(이하 '양극 단자'라 한다)(22)와 제2 전극단자(이하 '음극 단자'라 한다)(50)를 포함하는 전극단자, 음극 단자(50) 측에 구비되는 전극 연결부(21), 및 음극 단자(50)와 전극 연결부(21)를 연결하는 퓨즈부(60)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전극 조립체(10)는 절연체인 세퍼레이터(13)의 양면에 제1 전극(이하, '양극' 이라 한다)(11)과 제2 전극(이하, '음극'이라 한다)(12)을 배치하고, 음극(11), 세퍼레이터(13) 및 양극(12)을 젤리롤 상태로 귄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극 조립체는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단일 판으로 이루어지는 음극과 양극을 적층하여 조립되거나, 음극, 세퍼레이터 및 양극을 지그재그 방식으로 접어서 적층하여 조립될 수 있다(미도시).
음극(11) 및 양극(12)은, 각각 금속판의 집전체에 활물질을 도포한 코팅부(11a, 12a), 및 활물질을 도포하지 않아서 노출된 집전체로 형성되는 무지부(11b, 12b)를 포함한다.
음극(11)의 무지부(11b)는 권취되는 음극(11)을 따라 음극(11)의 한 쪽 단부에 형성된다. 양극(12)의 무지부(12b)는 권취되는 양극(12)을 따라 양극(12)의 한 쪽 단부에 형성된다. 무지부들(11b, 12b)은 전극 조립체(10)의 양단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케이스(15)는 내부에 전극 조립체(10)와 전해액을 수용하는 공간을 설정하도록 대략 직육면체로 이루어지며, 외부와 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개구를 직육면체의 일면에 형성한다. 개구는 전극 조립체(10)를 케이스(15)의 내부로 삽입할 수 있게 한다.
캡 플레이트(20)는 얇은 강판으로 이루어져 케이스(15)의 개구에 설치됨으로써 케이스(15)를 밀폐한다. 캡 플레이트(20)는 전해액 주입구(29)와 벤트 홀(24)을 더 구비한다.
전해액 주입구(29)는 케이스(15)에 캡 플레이트(20)를 결합한 후, 케이스(15) 내부로 전해액의 주입을 가능하게 한다. 전해액 주입 후, 전해액 주입구(29)는 밀봉 마개(27)로 밀봉된다.
벤트 홀(24)은 이차 전지의 내부 압력을 배출할 수 있도록 벤트 플레이트(25)로 밀폐된다. 이차 전지의 내부 압력이 설정 압력에 이르면, 벤트 플레이트(25)가 절개되어 벤트 홀(24)을 개방한다. 벤트 플레이트(25)는 절개를 유도하는 노치(25a)를 가진다.
전극 연결부(21) 및 양극 단자(22)는 케이스(15) 또는 캡 플레이트(20)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전극 조립체(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전극 연결부(21)는 전극 조립체(10)의 음극(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양극 단자(22)는 전극 조립체(10)의 양극(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전극 조립체(10)는 전극 연결부(21) 및 양극 단자(22)를 통하여 케이스(15)의 외부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극 연결부(21)는 음극 단자(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극 연결부(21) 및 양극 단자(22)는 캡 플레이트(20)의 단자 홀(311, 312)에 각각 설치되는 리벳 터미널(21a, 22a), 캡 플레이트(20)의 내측에서 리벳 터미널(21a, 22a)에 일체로 넓게 형성되는 플랜지(21b, 22b), 및 캡 플레이트(20)의 외측에 배치되어 리벳 터미널(21a, 22a)에 리벳팅 또는 용접되는 플레이트 터미널(21c, 22c)을 포함할 수 있다.
음, 양극 개스킷(36, 37)은 전극 연결부(21) 및 양극 단자(22)의 리벳 터미널(21a, 22a)과 캡 플레이트(20)의 단자 홀(311, 312) 내면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전극 연결부(21) 및 양극 단자(22)의 리벳 터미널(21a, 22a)과 캡 플레이트(20) 사이를 각각 절연 및 실링한다.
음, 양극 개스킷(36, 37)은 플랜지(21b, 22b)와 캡 플레이트(20)의 내면 사이에 더 연장 설치되어, 플랜지(21b, 22b)와 캡 플레이트(20) 사이를 더 절연 및 실링한다. 즉 캡 플레이트(20)에 전극 연결부(21) 및 양극 단자(22)를 설치할 때, 음, 양극 개스킷(36, 37)은 단자 홀(311, 312)을 통하여 전해액이 새는 것(leak)을 방지한다.
음, 양극 리드 탭(31, 32)은 전극 연결부(21) 및 양극 단자(22)를 전극 조립체(10)의 음, 양극(11, 12)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즉 음, 양극 리드 탭(31, 32)을 리벳 터미널(21a, 22a)의 하단에 결합하여 하단을 코킹(caulking)함으로써, 음, 양극 리드 탭(31, 32)은 플랜지(21b, 22b)에 지지되면서 리벳 터미널(21a, 22a)의 하단에 연결된다.
음, 양극 절연부재(41, 42)는 음, 양극 리드 탭(31, 32)과 캡 플레이트(20)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음, 양극 리드 탭(31, 32)과 캡 플레이트(20)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또한 음, 양극 절연부재(41, 42)는 상부로 캡 플레이트(20)에 결합되고, 하부로 음, 양극 리드 탭(31, 32)과 리벳 터미널(21a, 22a) 및 플랜지(21b, 22b)를 감싸므로 이들의 연결 구조를 안정시킨다.
도 3은 도 1의 전극 연결부(21), 음극 단자(50) 및 퓨즈부(60)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전극 연결부(21), 음극 단자(50) 및 퓨즈부(60)를 조립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전극 연결부(21)와 관련하여 음극 단자(50) 및 퓨즈부(6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음극 단자(50)는 이차 전지의 내부 압력에 따라 서로 이격되거나 단락되도록 서로 마주하여 배치되는 단락 탭(51)과 단락부재(53)를 포함할수 있다. 또한, 음극 단자(50)는 단락 탭(51)과 단락부재(53) 사이에 설치되는 절연부재(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락 탭(51)은 캡 플레이트(20)의 외면에 절연부재(38)를 개재하여, 캡 플레이트(20)와 전기적으로 절연 구조를 형성하면서 전극 연결부(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단락부재(53)는 캡 플레이트(20)의 단락 홀(23)에 설치되어 단락 탭(51)에 마주한다. 즉 단락부재(53)를 캡 플레이트(20)를 통하여 양극 단자(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절연부재(38)는, 이차 전지가 정상 구동시, 단락 탭(51)과 단락부재(53)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고, 이차 전지의 내압이 상승시, 단락 탭(51)과 단락부재(53)를 단락시킬 수 있게 한다.
즉 단락 탭(51)은 전극 연결부(21)에 연결되어 단락부재(53)를 향하여 신장된다. 따라서 단락 탭(51)과 단락부재(53)는 단락 홀(23)에 대응하여 서로 마주하여 이격 상태(실선 상태) 또는 단락 상태(이점 쇄선 상태)를 형성한다(도 4 참조).
음극 절연부재(41) 및 음극 리드 탭(32)은 단락 홀(23)을 통하여 단락부재(53)에 내부 압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단락 홀(23)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관통 홀(411, 412)을 각각 구비한다.
한편, 전극 연결부(21)는 음극 단자(50)의 단락 탭(51)에 대응하도록 고정부재(21d) 및 퓨즈부(60)를 포함하는 내부 부재를 더 포함한다. 고정부재(21d)는 리벳 터미널(21a)에 연결되며, 캡 플레이트(20)의 외측에 절연부재(39)를 개재하여 배치된다. 절연부재(39)는 고정부재(21d)와 캡 플레이트(20)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즉 캡 플레이트(20)는 전극 연결부(21)와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부재(21d)와 터미널 플레이트(21c)를 리벳 터미널(21a)의 상단에 결합하여 상단을 코킹함으로써, 고정부재(21d)와 터미널 플레이트(21c)는 리벳 터미널(21a)의 상단에 결합된다. 따라서 고정부재(21d)와 터미널 플레이트(21c)는 절연부재(39)를 개재한 상태로 캡 플레이트(20)에 고정된다. 터미널 플레이트(21c)는 전기 절연재로 형성되는 절연 커버(21e)로 덮어질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21d)와 터미널 플레이트(21c)는 둘 중 하나만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절연 커버(21e) 및 퓨즈부(60)가 구비될 수 있다(미도시). 즉 고정부재(21d)만 적용하는 경우, 리벳 터미널(21a)은 고정부재(21d)에 연결되며, 퓨즈부(60)는 고정부재(21d)에 연결되고, 절연 커버(21e)는 고정부재(21d)를 덮는다. 터미널 플레이트(21c)만 적용하는 경우, 리벳 터미널(21a)은 터미널 플레이트(21c)에 연결되며, 퓨즈부(60)는 터미널 플레이트(21c)에 연결되고, 절연 커버(21e)는 터미널 플레이트(21c)를 덮는다.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퓨즈부(60)는 단락 탭(51)과 고정부재(21d)를 개재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따라서 음극 단자(50)의 단락 탭(51)은 퓨즈부(60) 및 고정부재(21d)를 통하여 전극 연결부(21)에 연결될 수 있다.
결국, 전극 조립체(10)의 양극(12)은 양극 단자(22) 및 캡 플레이트(20)를 통하여 단락부재(53)에 연결되고, 음극(11)은 전극 연결부(21) 및 퓨즈부(60)를 통하여 단락 탭(51)에 연결된다. 전극 조립체(10)의 음, 양극(11, 12)은 캡 플레이트(20)의 외부에 위치하는 단락 탭(51)과 단락부재(53)에 의하여 단락 가능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퓨즈부(60)가 케이스(15) 및 캡 플레이트(20)의 외부에 구비되므로 음극 단자(50)의 작동, 즉 단락부재(53)와 단락 탭(51)이 서로 단락되어, 퓨즈부(60)가 녹아서 끊어질 때, 발생될 수 있는 아크는 전해액 또는 전극 조립체(10)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또한 퓨즈부(60)가 케이스(15) 및 캡 플레이트(20)의 외부에 구비되므로 외부 단락으로 퓨즈부(60)가 끊어진 후, 절연 커버(21e)를 열고 전극 연결부(21)의 터미널 플레이트(21c)를 통하여 전극 조립체(10)의 잔여 전류의 방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모듈 상태에서, 외부 단락된 이차 전지의 방전 및 교체가 가능하므로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음극 단자(50)는 절연부재(38)와 캡 플레이트(20)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54)를 더 포함한다. 탄성부재(54)는 단락 홀(23)의 외곽에 배치되어 절연부재(38) 및 단락 탭(51)을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예를 들면, 탄성부재(54)는 스프링(예: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캡 플레이트(30)의 4개 장착 홈(55)에 삽입된다. 탄성부재는 단락 홀의 외곽을 둘러싸는 하나의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미도시)
탄성부재(54)는 퓨즈부(60)로 고정부재(21d)에 연결되는 단락 탭(51)에 의하여 압축 상태를 유지하고, 퓨즈부(60)가 녹아서 끊어져 압축 상태가 해제되면 자체 탄성력으로 절연부재(38) 및 단락 탭(51)을 상승시켜, 단락 탭(51)을 단락 부재(53)로부터 분리시킨다. 따라서 탄성부재(54)의 탄성력은 퓨즈부(60)와 고정부재(21d)에 의하여 단락 탭(51)에 작용하는 압축력보다 낮게 설정된다.
도 5는 도 4의 퓨즈부(60)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음극 단자(50)의 작동에 따라 단락 탭(51)과 단락부재(53)를 통하여 고전압 전류 방전에 의하여 퓨즈부(60)가 녹아서 끊어진다.
퓨즈부(60)가 끊어지면, 탄성부재(54)는 고정부재(21d)의 구속력에서 벗어나므로 탄성력으로 절연부재(38) 및 단락 탭(51)을 상승시킨다. 이에 따라, 단락 탭(51)은 단락부재(53)로부터 분리므로 이차 전지에서, 전극 연결부(21) 및 양극 단자(22)는 완전한 전류 차단 상태를 유지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 전극 조립체 11, 12 : 제1, 제2 전극(음, 양극)
11a, 12a : 코팅부 11b, 12b : 무지부
13 : 세퍼레이터 15 : 케이스
20 : 캡 플레이트 21, 22 : 전극 연결부 및 제1 전극단자 양극 단자)
21a, 22a : 리벳 터미널 21b, 22b 플랜지
21c, 22c : 플레이트 터미널 21d : 고정부재
21e : 절연 커버 24 : 벤트 홀
25 : 벤트 플레이트 27 : 밀봉 마개
29 : 전해액 주입구 36, 37 : 음, 양극 개스킷
38, 39 : 절연부재 50 : 제2 전극(음극 단자)
51 : 단락 탭 53 : 단락부재
54 : 탄성부재 55 : 장착 홈
60 : 퓨즈부 311, 312 : 단자 홀
411, 412 : 관통 홀

Claims (19)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삽입되고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가지는 전극 조립체;
    전극단자; 및
    퓨즈부를 매개로 전극단자와 연결되는 전극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퓨즈부는 상기 전극 연결부와 상기 전극단자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전극단자와 상기 전극 연결부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전극단자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위치하는 단락 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전극 연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전극, 상기 전극 연결부 및 상기 단락 탭은 상기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절연된 이차 전지.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케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극단자는 상기 케이스를 매개로 상기 제2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단락 탭과 공간적으로 분리된 단락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락 부재는 상기 단락 탭과 접촉되도록 변형되어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단락 상태를 발생 시키는 이차 전지.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연결부는 상기 퓨즈부를 포함하는 내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퓨즈부는 상기 단락 상태가 시작될 때 발생되는 단락 전류에 반응하여 상기 단락 탭과 상기 내부 부재의 연결을 끊기 위하여 녹는 이차 전지.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 탭과 상기 케이스의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 탭과 상기 케이스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절연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사이에 위치하는 이차 전지.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부재는 상기 탄성 부재를 압축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단락 탭에 압력을 작용하는 이차 전지.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부가 녹을 때 상기 단락 탭과 연결된 상기 내부 부재가 이동하고 상기 압축 상태의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이 상기 단락 탭에 작용하여 상기 단락 부재로부터 상기 단락 탭이 분리되는 이차 전지.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단자는 상기 케이스의 단락 홀에 위치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단락 홀의 외곽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10. 삭제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탄성 부재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 홈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착 홈은 상기 단락 탭 절연 부재가 상기 케이스와 접촉되도록 상기 압축 상태에서 상기 탄성 부재를 수용하는 이차 전지.
  13.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연결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홀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의 내부까지 연장하는 리벳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서 상기 리벳 터미널의 최 외곽에 결합되는 터미널 플레이트와 상기 터미널 플레이트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리벳 터미널와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개구를 덮는 캡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락 탭과 상기 내부 부재는 상기 캡 플레이트 위에 설치되는 이차 전지.
  19.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 표면에 근접하고 평행하게 연장하는 이차 전지.
KR1020120061112A 2012-02-01 2012-06-07 이차 전지 KR1016491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593547P 2012-02-01 2012-02-01
US61/593,547 2012-02-01
US13/468,260 2012-05-10
US13/468,260 US9172079B2 (en) 2012-02-01 2012-05-10 Rechargeable batte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134A KR20130089134A (ko) 2013-08-09
KR101649136B1 true KR101649136B1 (ko) 2016-08-18

Family

ID=46832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112A KR101649136B1 (ko) 2012-02-01 2012-06-07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72079B2 (ko)
EP (1) EP2624327B1 (ko)
JP (1) JP6162965B2 (ko)
KR (1) KR101649136B1 (ko)
CN (1) CN10324781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4241A (ko) * 2014-04-01 2015-10-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4487A (ko) * 2012-11-20 2014-05-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DE102013200923A1 (de) * 2013-01-22 2014-08-07 Robert Bosch Gmbh Batterieterminal mit Sicherungselement
KR101696010B1 (ko) * 2013-06-19 2017-01-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9225002B2 (en) * 2013-10-24 2015-12-29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having fuse unit
DE102014200202A1 (de) * 2014-01-09 2015-07-09 Robert Bosch Gmbh Batteriezelle mit Überspannungsschutzvorrichtung
DE102014100863A1 (de) * 2014-01-27 2015-07-30 Elringklinger Ag Elektrochemische Zell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elektrochemischen Zelle
US10511009B2 (en) * 2014-02-07 2019-12-17 Kabushiki Kaisha Toyota Jidoshokki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KR102211527B1 (ko) * 2014-03-11 2021-02-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2248595B1 (ko) 2014-04-15 2021-05-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2210885B1 (ko) 2014-05-15 2021-02-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2213663B1 (ko) * 2014-06-02 2021-02-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20180013125A1 (en) * 2015-02-27 2018-01-11 Sanyo Electric Co., Ltd. Secondary battery and assembled battery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KR102393161B1 (ko) * 2015-03-02 2022-04-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2323949B1 (ko) * 2015-03-03 2021-11-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상부 커버를 갖는 이차 전지
KR102349963B1 (ko) * 2015-04-30 2022-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실시간 분석을 위한 인-시츄 코인 셀과 이를 포함하는 측정 시스템과 인-시츄 코인 셀의 제조방법 및 광을 이용한 그 측정방법
KR102457497B1 (ko) 2015-08-17 2022-10-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2373537B1 (ko) * 2015-08-26 2022-03-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JP6569434B2 (ja) * 2015-09-29 2019-09-04 三洋電機株式会社 角形二次電池
KR102517901B1 (ko) * 2015-10-02 2023-04-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MX2018007161A (es) 2015-12-14 2018-08-14 Cadenza Innovation Inc Dispositivo de desconexion de presion de perfil bajo para baterias de iones de litio.
JP6707367B2 (ja) * 2016-02-29 2020-06-10 三洋電機株式会社 二次電池及び組電池
DE102016204842A1 (de) 2016-03-23 2017-09-2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Zelle für einen elektrischen Energiespeicher
KR102612060B1 (ko) * 2016-04-26 2023-12-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멤브레인을 갖는 이차 전지
KR102606264B1 (ko) 2016-06-28 2023-1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KR102611656B1 (ko) 2016-08-30 2023-12-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2249891B1 (ko) * 2016-08-31 2021-05-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CN106450475B (zh) * 2016-11-15 2019-08-02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二次电池及电池模组
CN113488747B (zh) * 2017-02-14 2024-01-09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动力电池
DE102017208842B4 (de) * 2017-05-24 2020-02-2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peichereinrichtung zum Speichern von elektrischer Energie,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Kraftfahrzeug mit einer solchen Speichereinrichtung,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solchen Speichereinrichtung
JP2019008972A (ja) * 2017-06-23 2019-01-17 三洋電機株式会社 角形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CN109285974B (zh) * 2017-07-20 2021-08-03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二次电池顶盖组件及二次电池
CN109585717B (zh) * 2017-09-29 2020-09-15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二次电池的顶盖组件以及二次电池
CN109659483B (zh) * 2017-10-11 2021-08-03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二次电池顶盖组件及二次电池
CN109728208B (zh) * 2017-10-27 2021-09-14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二次电池的顶盖组件、二次电池以及电池模组
CN108470858A (zh) * 2018-05-16 2018-08-31 深圳市凯中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盖板及电池
WO2020196465A1 (ja) * 2019-03-26 2020-10-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保護システム
WO2021217649A1 (zh) * 2020-04-30 2021-11-04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端盖组件、二次电池、电池组以及用电装置
KR20240087284A (ko) * 2022-12-12 2024-06-1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 전지 팩
CN116031466B (zh) * 2023-03-30 2023-07-04 深圳市誉辰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圆柱电池的制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070B1 (ko) * 2010-01-26 2011-05-19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0937A (en) 1997-05-02 1998-09-01 Motorola, Inc. Current interrupt device for secondary batteries
JP2002216743A (ja) * 2001-01-19 2002-08-02 Alps Electric Co Ltd 電池用圧力遮断センサ
EP1422771A4 (en) 2001-08-07 2009-01-21 Panasonic Corp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KR100420146B1 (ko) * 2001-10-18 2004-03-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서모 프로텍터가 장착된 이차전지
AU2003268769A1 (en) * 2002-10-07 2004-04-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lement for thermal fuse, thermal fuse and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100457626B1 (ko) * 2002-11-15 2004-11-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용 안전장치와 이를 구비한 이차 전지
JP2004319463A (ja) * 2003-03-28 2004-1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二次電池
KR100515354B1 (ko) * 2003-06-19 2005-09-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20080019321A (ko) 2006-08-28 2008-03-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JP4539763B2 (ja) * 2008-06-13 2010-09-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極
KR101023910B1 (ko) * 2008-12-22 2011-03-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1023104B1 (ko) * 2008-12-26 2011-03-24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1041153B1 (ko) 2009-03-04 2011-06-13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전지 및 그 모듈
US8323813B2 (en) * 2009-05-14 2012-12-04 Sb Limotive Co., Ltd. Rechargeable battery including an extensible member
US9246140B2 (en) * 2009-07-09 2016-01-26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with a cap assembly having a first tab located outside of the case
US8632911B2 (en) 2010-01-15 2014-01-21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KR101042808B1 (ko) * 2010-01-26 2011-06-20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JP5501018B2 (ja) * 2010-02-15 2014-05-21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ッテリに直付けされるヒュージブルリンクの斜め締め防止保護キャップ
US9023498B2 (en) * 2011-07-07 2015-05-05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070B1 (ko) * 2010-01-26 2011-05-19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4241A (ko) * 2014-04-01 2015-10-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KR102273768B1 (ko) 2014-04-01 2021-07-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47817A (zh) 2013-08-14
JP6162965B2 (ja) 2017-07-12
US9172079B2 (en) 2015-10-27
US20130196179A1 (en) 2013-08-01
KR20130089134A (ko) 2013-08-09
JP2013161789A (ja) 2013-08-19
CN103247817B (zh) 2017-01-18
EP2624327A1 (en) 2013-08-07
EP2624327B1 (en) 2020-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9136B1 (ko) 이차 전지
KR101683205B1 (ko) 복수개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전극단자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JP5395013B2 (ja) 二次電池
US10128484B2 (en) Rechargeable battery
KR101711977B1 (ko) 이차 전지
KR101711978B1 (ko) 이차 전지
KR102397857B1 (ko) 이차 전지 및 이를 이용한 전지 모듈
KR102257678B1 (ko) 이차 전지
KR20140102587A (ko) 전지 모듈
KR20140064487A (ko) 이차 전지 모듈
KR20150144598A (ko) 이차 전지
KR102260828B1 (ko) 이차 전지
KR20150114241A (ko) 이차전지
KR102332447B1 (ko) 이차 전지
US9559341B2 (en) Rechargeable battery having a vent unit at a joint in a cap plate
KR20160105202A (ko) 이차 전지
US8835028B2 (en) Rechargeable battery
KR20160106429A (ko) 이차 전지
KR101121205B1 (ko) 이차전지
KR20160036912A (ko) 이차 전지
KR102578861B1 (ko) 이차 전지
KR101711983B1 (ko) 이차 전지
KR20150115510A (ko) 이차 전지
KR102578859B1 (ko)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