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9321A - 차량용 배터리 - Google Patents

차량용 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9321A
KR20080019321A KR1020060081448A KR20060081448A KR20080019321A KR 20080019321 A KR20080019321 A KR 20080019321A KR 1020060081448 A KR1020060081448 A KR 1020060081448A KR 20060081448 A KR20060081448 A KR 20060081448A KR 20080019321 A KR20080019321 A KR 200800193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ode
fuse
electrode
case
anod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1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1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9321A/ko
Publication of KR20080019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93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241Structural association of a fuse and another component or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241Structural association of a fuse and another component or apparatus
    • H01H2085/025Structural association with a binding post of a storage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배터리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승용차의 트렁크 룸에 설치하는 배터리의 퓨즈 부설에 관한 것으로서, 배터리의 양극전극 터미널과 엔진 룸의 퓨즈 사이의 와이어링의 피복파손이 발생하여도 화재의 염려가 없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케이스(10)에 음극전극(11)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양극전극(12)을 양극전극 본체(13)와 터미널(15)과 연결전극(16)을 U형으로 형성한 양극터미널부(14)로 분리하여 상기 양극전극 본체(13)는 그 일단을 상기 케이스(10)의 상면에 돌출되게 설치하고, 양극터미널부(14)는 상기 양극전극 본체(13)와 일정 간격을 두고 터미널(15)은 상기 음극전극(11)의 터미널과 동일 높이로 돌출되게 설치하며, 연결전극(16)은 상기 양극전극 본체(13)와 동일 높이로 케이스(10)의 상면에 돌출되게 설치하며, 상기 양극전극 본체(13)와 연결전극(16)의 케이스(10)의 상면 돌출부 사이에 퓨즈(17)를 볼트(18a)(18b)로 연결하여서 된 것이다.
케이스, 음극전극, 양극전극, 양극전극 본체, 양극터미널부, 터미널, 연결전극, 퓨즈

Description

차량용 배터리 {BATTERY FOR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요부 절단 측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스 11 : 음극전극 12 : 양극전극 13 : 양극전극 본체
14 : 양극터미널부 15 : 터미널 16 : 연결전극 17 : 퓨즈
본 발명은 차량용 배터리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승용차의 트렁크 룸에 설치하는 배터리의 퓨즈 부설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승용차는 엔진 룸에 배터리를 설치하고, 상기 배터리에 메인 와이어링을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메인 와이어링에 엔진 룸과 기타 차체의 각 부분에 배치되는 서브 와이어링을 연결하여 전기구동요소 등에 전류를 공급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엔진 룸에 다양한 편의장치를 추가 설치하고 있는 실정이고, 상기와 같이 엔진 룸에 다양한 편의장치를 추가 설치하면 엔진 룸이 협소하여 짐으로써 또 다른 편의장치를 추가 설치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정비ㆍ점검이 곤란하여짐으로써 이에 비례하여 애프터 서비스 비용 등이 비싸지고 있다.
상기한 엔진 룸의 공간협소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배터리를 트렁크 룸으로 위치 이동하여 설치하고, 상기 트렁크 룸에 설치된 배터리에 메인 와이어링을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메인 와이어링에 엔진 룸과 기타 차체의 각 부분에 서브 와이어링을 배치하고 있고, 상기 메인 와이어링의 트렁크 룸 위치에 퓨즈를 설치함과 아울러 메인 와이어링의 엔진 룸 위치에 또 다른 퓨즈를 설치하여 안전성을 향상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와이어링의 트렁크 룸 위치에 퓨즈를 설치할 경우 후방 또는 측면 충돌 사고시에 배터리의 양극전극 터미널과 트렁크 룸 설치 퓨즈 사이의 와이어링의 피복이 파손되면 와이어링과 차체의 쇼트발생으로 화재가 발생될 염려가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여, 배터리의 양극전극 터미널과 엔진 룸의 퓨즈 사이의 와이어링의 피복파손이 발생하여도 화재의 염려가 없는 차량용 배터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케이스에 음극전극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양극전극을 양극전극 본체와 양극터미널부로 분리하여 상기 양극전극 본체와 양극터미널부의 연결전극을 케이스 상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시키고, 상기 양극전극 본체와 연결전극의 케이스 상면 돌출부 사이에 퓨즈를 연결하여 서 된 것이다.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0)에 음극전극(11)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양극전극(12)을 양극전극 본체(13)와 터미널(15)과 연결전극(16)을 U형으로 형성한 양극터미널부(14)로 분리하여 상기 양극전극 본체 (13)는 그 일단을 상기 케이스(10)의 상면에 돌출되게 설치하고, 양극터미널부(14)는 상기 양극전극 본체(13)와 일정 간격을 두고 터미널(15)은 상기 음극전극(11)의 터미널과 동일 높이로 돌출되게 설치하며, 연결전극(16)은 상기 양극전극 본체(13)와 동일 높이로 케이스(10)의 상면에 돌출되게 설치하며, 상기 양극전극 본체(13)와 연결전극(16)의 케이스(10)의 상면 돌출부 사이에 퓨즈(17)를 볼트(18a)(18b)로 연결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퓨즈(17)는 상기한 볼트(18a)(18b) 이외에 꼽거나 끼우는 구조등 공지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퓨즈(17) 설치위치에 홈(19)을 형성하여 퓨즈(17)를 내장시켜 케이스(10)의 상면 노출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자와의 간섭을 방지하고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양극전극(12)의 터미널(15)에 연결한 메인 와이어링 또는 서브 와이어링이 차체와 쇼트되면 퓨즈(17)에 과전류가 흐르면서 절단됨으로 쇼트부위의 화재를 예방할 수 있고, 또한 배터리가 파손될 경우에도 퓨즈(17)가 절단됨으로써 화재를 양호하게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배터리 케이스의 상면에 퓨즈를 설치함으로써 배터리의 양극전극 터미널과 엔진 룸에 설치하는 퓨즈 사이의 와이어링이 차체와 쇼트되더라도 차체의 화재를 양호하게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케이스에 음극전극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양극전극을 양극전극 본체와 양극터미널부로 분리하여 상기 양극전극 본체와 양극터미널부의 연결전극을 케이스 상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시키고, 상기 양극전극 본체와 연결전극의 케이스 상면 돌출부 사이에 퓨즈를 연결하여서 된 차량용 배터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케이스의 퓨즈 설치위치에 홈을 형성하여 퓨즈를 내장시킨 차량용 배터리.
KR1020060081448A 2006-08-28 2006-08-28 차량용 배터리 KR200800193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1448A KR20080019321A (ko) 2006-08-28 2006-08-28 차량용 배터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1448A KR20080019321A (ko) 2006-08-28 2006-08-28 차량용 배터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9321A true KR20080019321A (ko) 2008-03-04

Family

ID=39394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1448A KR20080019321A (ko) 2006-08-28 2006-08-28 차량용 배터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932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23498B2 (en) 2011-07-07 2015-05-05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US9172079B2 (en) 2012-02-01 2015-10-27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23498B2 (en) 2011-07-07 2015-05-05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US9172079B2 (en) 2012-02-01 2015-10-27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30110B2 (ja) 電気接続箱
US8488303B2 (en) Electrical distribution center
US8251756B2 (en) Nut holding means within a busbar housing
US8395061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JP2006256448A (ja) 自動車用コネクタ組立体
US8378236B2 (en) Electric junction box
JP5944787B2 (ja) ヒューズユニット
KR20190057883A (ko) 정션 블록
US9508518B2 (en) Fuse unit
KR20080019321A (ko) 차량용 배터리
KR101734249B1 (ko)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CN102892635B (zh) 高电压单元的保护结构
JP4773163B2 (ja) 電気接続箱
CN111200263B (zh) 电气连接箱
KR101989396B1 (ko) 자동차용 박스의 단자연결장치
KR20100084891A (ko) 퓨즈박스
KR102542323B1 (ko) 자동차용 블럭
JP2008283777A (ja) 電力中継器
JP4139580B2 (ja) 電気接続箱
JP2006320132A (ja) 電気接続箱
JP2009100578A (ja) 電気接続箱
KR101188679B1 (ko) 차량용 정션 박스
KR20180076021A (ko) 차량용 정션 블럭
JP4278829B2 (ja) ヒューズボックス
KR100290948B1 (ko) 자동차용배터리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