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2323B1 - 자동차용 블럭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2323B1
KR102542323B1 KR1020180028100A KR20180028100A KR102542323B1 KR 102542323 B1 KR102542323 B1 KR 102542323B1 KR 1020180028100 A KR1020180028100 A KR 1020180028100A KR 20180028100 A KR20180028100 A KR 20180028100A KR 102542323 B1 KR102542323 B1 KR 102542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component
bus bar
positive
negativ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6514A (ko
Inventor
기범서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8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323B1/ko
Publication of KR20190106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5/00Details of relays
    • H01H45/02Bases; Casings; Covers
    • H01H45/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전원부 또는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을 수행하며 베이스와 커버가 외관을 구성하는 자동차용 블럭에 있어서, 전극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향하도록 상기 커버에 안착되고, 일측면에 양전극과 음전극이 있는 제1전자부품 및 제2전자부품, 상기 제1전자부품의 양전극과 연결되는 양극부하버스바와, 상기 제1전자부품의 음전극과 연결되는 양극전원버스바를 포함하는 양극용버스바, 상기 제2전자부품의 양전극과 연결되는 음극전원버스바와, 상기 제2전자부품의 음전극과 연결되는 음극부하버스바를 포함하는 음극용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양극용버스바와 음극용버스바는 상기 릴레이의 전극이 향하는 방향과는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커버의 측벽을 따라 각각 상기 커버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연장되어 상기 제1전자부품 및 제2전자부품에 의해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블럭{BLOCK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블럭에 관한 것으로, 구동부와 전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해주는 자동차용 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자동차용 블럭 중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POWER RELAY ASSEMBLY; 이하 PRA)는 차량에 사용되는 배터리와 모터 구동 장치 사이에 위치하여 그 연결을 담당하는 장치로 복수개의 릴레이 및 저항 등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릴레이 및 저항 등은 커버와 베이스로 나뉘어진 자동차용 블럭의 내부에 수용된다.
오래 전부터 차량을 제작할 때 차량의 소형화, 경량화 및 이를 통한 원가 절감은 항상 중요한 이슈였다. 차량의 부품으로 사용되는 PRA도 마찬가지인데, 기존의 PRA의 커버 및 베이스로 나뉘어진 자동차용 블럭의 내부에 수용되는 릴레이 및 저항 등의 부품은 각각 다른 제조사들을 통해서 만들어져 PRA를 최종적으로 생산, 조립하는 곳으로 전달되어 생산, 조립된다.
이러한 제조환경의 특성상, 다른 제조사에서 제조되어 PRA의 내부에 수용되는 전자부품들은 그 크기 또는 구조를 변경하여 소형화 및 경량화를 이루기 어려운 실정이며, 상기 PRA의 자동차용 블럭의 내부에 수용되는 전자부품들에 대해서는 변경없이 내부 전자부품의 배치만을 변경하여 소형화 및 경량화를 이룰 필요가 있다.
한편, 자동차용 블럭은 한정된 공간인 차량의 내부에 조립되는 특성상, 배터리와 구동 장치의 위치 및 배터리와 구동 장치에 연결되는 전극의 위치를 바꿀수가 없어서 기존 PRA의 외부로 노출되는 전극의 위치는 변경하지 못한 채 고정된 상태로 존재한다. 이때 릴레이와 버스바 등의 전자부품을 베이스에 설치하면 배터리와 구동 장치의 전극에 맞게 연결되기 위해서 버스바가 복잡하게 절곡되고 회로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버스바 사이의 간격이 좁아져 절연거리를 확보하기 어려워서 절연구조물을 추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로 인해 재료비가 증가하고 전자부품의 배치도 더욱 복잡해져 조립이 어려워지게 되어 상기 절연구조물을 추가하지 않고서는 PRA의 한정된 자동차용 블럭의 공간 내에서 버스바 사이의 절연거리를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5-000357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릴레이를 커버에 배치하여 버스바 회로의 구성을 간단히 함으로써 별도의 절연물을 설치하는 것 없이 릴레이와 연결되는 버스바 간의 절연거리를 확보하고, 소형화 및 경량화를 달성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원부 또는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을 수행하며 베이스와 커버가 외관을 구성하는 자동차용 블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 안착되고, 일측면에 양전극과 음전극이 있는 제1전자부품 및 제2전자부품; 상기 제1전자부품의 양전극과 연결되는 양극부하버스바와, 상기 제1전자부품의 음전극과 연결되는 양극전원버스바를 포함하는 양극용버스바; 상기 제2전자부품의 양전극과 연결되는 음극전원버스바와, 상기 제2전자부품의 음전극과 연결되는 음극부하버스바를 포함하는 음극용버스바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전자부품의 양전극 및 음전극은 상기 제2전자부품의 양전극 및 음전극과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되고, 상기 양극용버스바와 음극용버스바는 상기 제1전자부품과 제2전자부품의 양전극 및 음전극이 향하는 방향과는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커버의 측벽을 따라 각각 상기 커버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연장되어 상기 제1전자부품 및 제2전자부품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자부품 및 제2전자부품은 부품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부품몸체의 일측면에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이 형성되고,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의 사이에는 절연벽이 더 형성된다.
상기 부품몸체의 하단면과 같은 면을 이루도록 상기 절연벽이 형성되는 면과 이웃하는 양 측면의 하단에 형성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전자부품과 제2전자부품의 양전극과 음전극의 사이를 나누는 가상의 수직선과 상기 가상의 수직선과 직교하되, 상기 제1전자부품과 제2전자부품을 가로지르는 가상의 수평선에 의해 상기 커버가 네 부분으로 나뉠 때, 상기 제1전자부품의 양전극과 상기 양극부하버스바의 양극부하연결단이 같은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제1전자부품의 음전극과 상기 양극전원버스바의 양극전원연결단이 같은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제2전자부품의 양전극이 상기 음극전원버스바의 음극전원연결단과 같은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제2전자부품의 음전극이 상기 음극부하버스바의 음극부하연결단과 같은 부분에 위치한다.
상기 커버와 상기 베이스는 상기 커버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양극용버스바의 양극전원연결단 및 양극부하연결단과, 상기 음극용버스바의 음극전원연결단 및 음극부하연결단이 노출되도록 결합하고, 상기 4개의 연결단이 상기 베이스의 안착단에 안착되어 단자볼트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커버의 내면에 상기 양극용버스바 및 음극용버스바를 고정하는 가이드 리브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블럭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블럭과 자동차의 구동부 및 전원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기 위해 자동차용 블럭에 있는 버스바의 연결단 들의 위치가 자동차용 블럭에서 자동차마다 이미 결정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버스바와 자동차용 블럭 내부의 부품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전극과 음전극의 위치를 커버의 측벽을 향하도록 하면서 커버에 부품을 장착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부품의 전극들과 연결단들이 서로 인접하게 위치됨에 의해 버스바의 형상이 단순화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조립공간을 확보하고, 절연구조물을 별도로 형성하지 않고도 상기 버스바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므로 절연거리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둘째, 본 발명은 자동차용 블럭의 내부에 절연구조물을 추가하지 않게 되므로 전체적인 블럭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경량화 및 소형화가 가능하다.
셋째, 본 발명은 자동차용 블럭의 내부에 수용되는 전자부품들에 대해서는 변경없이 전자부품들을 커버에 배치하면서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구성과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것이어서, 기존의 전자부품들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재료비 및 금형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자동차용 블럭의 내부에 수용되는 전자부품들을 베이스가 아닌 커버에 배치함으로써, 높낮이가 변칙적인 베이스에 전자부품을 배치하여 조립하는 것보다 조립성이 개선되어 작업효율이 증가한다.
다섯째, 본 발명은 자동차용 블럭의 내부에 수용되는 버스바가 커버와 베이스에 모두 결합되는 구조이므로 결합안정성이 증가하여 진동 등의 외력에 대한 내구성이 증가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블럭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구성하는 커버와 베이스가 결합된 자동차용 블럭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커버와 베이스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커버를 도 2의 화살표 A방향에서 본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커버의 중요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커버에 안착되는 릴레이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릴레이와 버스바 회로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발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자동차용 블럭(300) 내부에 수용되는 전자부품들 중에서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이 있는 릴레이(110,130)와 버스바(120,140) 이외의 전자부품들의 구성은 생략하고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동차용 블럭(300)은 커버(100)와 베이스(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자동차용 블럭(300)의 내부에 상기 복수의 릴레이(110,130), 저항부품(미도시), 그리고 상기 버스바(120,140) 등의 전자부품들이 수용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200)는 전자부품들이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200)의 내부는 복수의 전자부품들이 안착될 수 있도록 공간이 복수로 구획되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200)에 안착되는 상기 전자부품들은 상기 버스바(120,140)를 이용한 회로를 구성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베이스(200)의 바닥으로부터 같은 높이에 안착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 전자부품들은 그 크기 및 모양이 다양하기 때문에 상기 베이스(200)의 내부 공간은 상기 전자부품들이 안착되는 위치마다 상기 베이스(200)의 바닥으로부터 높이가 다르게 구획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200)에는 상기 버스바(120,140)의 끝단이 안착되는 안착단(2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단(230)은 본 실시례에서는 4군데에 형성된다. 이는 전원측의 양극 및 음극과 부하측의 양극 및 음극과의 연결을 위함이다. 상기 안착단(230)에는 상기 버스바(120,140)의 전원연결단(120a,140a)과 부하연결단(120b,140b)이 안착되어 단자볼트(220)에 의해 외부의 단자와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200)의 안착단(230)에 안착된 전원연결단(120a,140a)과 부하연결단(120b,140b)이 각각 차량 등의 전원부 및 구동부와 터미널에 의해 접촉되어 전기적인 연결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자동차 블럭(300)의 조립 특성상, 차량 등의 내부에 들어가는 전원부와 구동부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베이스(200)의 안착단(230)에 안착되는 상기 전원연결단(120a,140a)과 부하연결단(120b,140b)이 노출되는 위치는 상기 전자부품들을 상기 베이스(200) 또는 커버(100) 어디에 배치하더라도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자부품들을 상기 커버(100)에 배치하여 상기 버스바(120,140)에 의해 구성되는 회로의 형상을 단순화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 베이스(200)의 하단에는 방열판(210)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자동차용 블럭(30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전자부품들에서부터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방열판(210)은 상기 베이스(200)의 하단뿐만 아니라 상기 커버(10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그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커버(100)는 편평한 천정을 가지며 측벽(101)에 의해 상기 릴레이(110,130)와 버스바(120,14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과 외부가 구획된다. 상기 커버(100)의 천정에는 보강을 위한 리브들이 격자모양 등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격자의 선단을 연결하는 가상의 면이 평면으로 된다. 상기 커버(100)의 천정에 상기 전자부품들을 안착시킨 후, 상기 버스바(120,140)를 설치하여 회로를 구성하면 상기 버스바(120,140)의 길이가 짧아져 조립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증가한다. 물론, 전자부품 전체를 모두 커버(100)에 설치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베이스(200)에도 일부의 전자부품이 들어갈 수 있다. 상기 버스바(120,140)의 길이가 짧아지는 이유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상기 커버(100)로부터 연장되어 바깥으로 일부가 노출된 상기 버스바(120,140)의 전원연결단(120a,140a)과 부하연결단(120b,140b)은 상기 베이스(200)의 안착단(230)에 안착되고, 상기 단자볼트(220)에 의해 상기 베이스(200)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버스바(120,140)가 상기 커버(100)와 상기 베이스(200)에 모두 결합되어 결합안정성이 증가하므로 진동 등의 외력에 대한 내구성이 증가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100)의 내면에는 외팔보 형상으로 한쌍의 가이드리브(102)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리브(102)는 서로 마주보도록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리브(102)는 상기 버스바(120,140)를 상기 가이드리브(102)의 사이로 통과시켜 상기 버스바(120,140)가 흔들리지 않도록 잡아준다. 상기 가이드리브(102)는 상기 커버(10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커버(100)의 내면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리브(102)를 통해서 작업자는 상기 버스바(120,140)를 이용한 회로의 형태를 미리 파악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 향상에도 도움을 준다.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릴레이(110,130)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릴레이(110,130)로서 제1릴레이(110)와 제2릴레이(130)가 사용된다. 상기 제1릴레이(110)와 제2릴레이(130)는 형상이 동일하므로 편의상 제1릴레이(110)의 형상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1릴레이(110)는 육면체의 외형을 이루는 릴레이몸체(115)와, 상기 릴레이몸체(115)의 일측면에 형성된 양전극(111)과 음전극(11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릴레이몸체(115)의 형상이 꼭 육면체일 필요는 없으며, 상황에 맞게 적절히 변형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릴레이몸체(115)의 일측면에 위치한 상기 양전극(111)과 음전극(111')의 사이에는 절연벽(112)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벽(112)은 상기 양전극(111)과 음전극(111')의 사이의 절연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절연벽(112)은 상기 릴레이몸체(115)와 함께 일체로 형성된 것일 수도 있고, 별물을 제작하여 하나로 결합한 것일 수도 있다.
브라켓(113)은 상기 제1릴레이(110)를 상기 커버(100)의 내면에 안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브라켓(113)은 상기 양전극(111)과 음전극(111')이 형성된 일측면과 이웃한 양측면에 각각 하나씩 한쌍이 형성된다. 즉, 상기 브라켓(113)은 상기 양전극(111)과 음전극(111')이 나란히 놓인 면과 이웃하는 일측면과, 상기 일측면의 반대면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어 한 쌍을 이룬다.
상기 브라켓(113)은 상기 제1릴레이(110)가 상기 커버(100)의 내면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브라켓(113)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릴레이몸체(115)의 하단면 쪽으로 치우쳐져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브라켓(113)은 상기 커버(100)와 맞닿는 상기 릴레이몸체(115)의 하단면과 같은 면을 이루도록 한쪽으로 치우쳐져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제1릴레이(110)와 커버(100)는 상기 브라켓(113)과 상기 릴레이몸체(115)의 높이 차에 의해 유격이 발생하는 일이 없이 서로 밀착되어 고정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릴레이(110,130)와 상기 버스바(120,140)로 이루어진 회로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1릴레이(110)와 상기 제2릴레이(130)는 형상이 동일하며, 일측면에 상기 양전극(111)과 음전극(111')이 모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릴레이(110)와 상기 제2릴레이(130)는 각각의 전극(111,111')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나란히 배치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전극(111,111')이 각각 인접한 측벽(101)을 향하도록 릴레이(110,130)가 상기 커버(100)에 배치된다. 상기 릴레이(110,130)의 양전극(111)과 음전극(111')에는 각각 양극용버스바(120)와 음극용버스바(140)가 연결되어 연장된다. 상기 양극용버스바(120)는 양극부하버스바(121)와 양극전원버스바(122)로 구성된다. 상기 음극용버스바(140)는 음극전원버스바(141)와 음극부하버스바(142)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릴레이(110)의 양전극(111)에는 양극부하버스바(121)가 연결되고, 상기 제1릴레이(110)의 음전극(111')에는 양극전원버스바(122)가 연결되어 연장된다.
상기 제2릴레이(130)의 양전극(111)에는 음극전원버스바(141)가 연결되고, 상기 제2릴레이(130)의 음전극(111')에는 음극부하버스바(142)가 연결되어 연장된다.
상기 양극용버스바(120)와 음극용버스바(140)는 상기 릴레이(110,130)의 전극(111,111')이 향하는 방향과는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릴레이(110,130)들의 전극(111,111')은 서로 반대쪽의 측벽(101)을 향하므로 상기 버스바들(120,140)은 상기 측벽(101)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양극용버스바(120)와 음극용버스바(140)는 상기 제1릴레이(110) 및 제2릴레이(130)에 의해 이격되어 최소한 상기 릴레이몸체(115)의 크기만큼의 절연거리(S)를 확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릴레이(110,130)와 버스바(120,140)가 상기 커버(100)에 배치된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도 3은 도 2의 화살표 A방향에서 바라 본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100) 내에 두 개의 릴레이(110,130)가 수용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상기 릴레이(110,130)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커버(100)의 측벽(101)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 상기 제1릴레이(110)와 제2릴레이(130), 상기 양극용버스바(120)와 음극용버스바(140)가 배치되어 회로를 구성한다.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00)의 내부에는 도 3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오른쪽에 제1릴레이(110), 왼쪽에 제2릴레이(130)가 배치된다. 상기 제1릴레이(110) 및 제2릴레이(130)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브라켓(113)에 의해 상기 커버(100)와 고정된다.
상기 제1릴레이(110) 및 제2릴레이(130)는 상기 제1릴레이(110)의 전극(111,111')과 상기 제2릴레이(130)의 전극(111,111')이 상기 측벽(101)과 인접하되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즉, 도 3을 기준으로 상기 제1릴레이(110)의 양전극(111)과 음전극(111')이 향하는 방향이 위쪽이라면, 상기 제2릴레이(130)의 양전극(111)과 음전극(111')이 향하는 방향은 아래쪽이 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릴레이(110)와 제2릴레이(130)의 전극(111,111')이 서로 엇갈리는 것이다.
상기 양극용버스바(120)의 양극부하버스바(121)는 상기 제1릴레이(110)의 양전극(111)과 연결되어 상기 커버(100)의 측벽(101)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커버(100)의 외부로 상기 양극부하버스바(121)의 끝부분인 양극전원연결단(120a)이 노출된다. 상기 양극전원연결단(120a)은 상기 안착단(220)중 하나에 안착된다.
상기 양극용버스바(120)의 양극전원버스바(122)는 상기 제1릴레이(110)의 음전극(111')과 연결되고, 상기 커버(100)의 측벽(101)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커버(100)의 외부로 상기 양극전원버스바(122)의 끝부분인 양극부하연결단(120b)이 노출된다. 상기 양극부하연결단(120b)은 상기 안착단(220) 중 하나에 안착되는데, 상기 양극전원연결단(120a)이 안착된 안착단(220)의 반대쪽에 있는 안착단(220)에 안착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음극용버스바(140)의 음극전원버스바(141)는 상기 제2릴레이(130)의 양전극(111)과 연결되어 상기 커버(100)의 측벽(101)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커버(100)의 외부로 상기 음극전원버스바(141)의 끝부분인 음극전원연결단(140a)이 노출된다. 상기 음극전원연결단(140a)은 상기 안착단(220) 중 하나에 안착되는데, 상기 양극전원연결단(120a)이 안착된 안착단(220)과 이웃한 위치에 있는 안착단(220)에 안착된다.
상기 음극용버스바(140)의 음극부하버스바(142)는 상기 제2릴레이(130)의 음전극(111')과 연결되어 상기 커버(100)의 측벽(101)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커버(100)의 외부로 상기 음극부하버스바(142)의 끝부분인 음극부하연결단(140b)이 노출된다. 상기 음극부하연결단(140b)은 상기 안착단(220) 중 하나에 안착되는데, 상기 음극전원연결단(140a)이 안착된 안착단(220)의 반대쪽에 있는 안착단(220)에 안착된다.
즉, 상기 양극전원연결단(120a)과 음극전원연결단(140a)은 서로 이웃하고, 상기 양극부하연결단(120b)과 음극부하연결단(140b)이 서로 이웃하며, 상기 양극전원연결단(120a) 및 음극전원연결단(140a)은 상기 양극부하연결단(120b) 및 음극부하연결단(140b)과 서로 반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안착단(220)에 각각 안착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제1릴레이(110)와 제2릴레이(130)의 양전극(111) 및 음전극(111')이 상기 커버(100)의 측벽(101)쪽을 엇갈리게 바라보도록 상기 커버(100)의 내면에 배치되고, 상기 양극용버스바(120)와 음극용버스바(140)는 상기 릴레이(110,130)의 전극(111,111')이 향하는 방향과는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양극용버스바(120)와 음극용버스바(140)는 각각 측벽(101)을 따라 연장되면서 상기 제1릴레이(110) 및 제2릴레이(130)에 의해 이격되어 최소한 상기 릴레이몸체(115)의 크기만큼의 절연거리(S)를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100)의 측벽(101)을 따라서 연장된 상기 양극용버스바(120)와 음극용버스바(140)의 전원연결단(120a,140a)과 부하연결단(120b,140b)이 상기 릴레이(110,130)의 전극(111,111')과 인접하게 되므로 상기 버스바(120,140)의 길이가 짧아지게 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릴레이(110,130)가 상기 커버(100)의 내면에 장착되면서 상기 제1릴레이(110)의 양전극(111)과 상기 양극부하버스바(121)의 양극부하연결단(120b)이 서로 인접하고, 상기 제1릴레이(110)의 음전극(111')과 상기 양극전원버스바(122)의 양극전원연결단(120a)이 서로 인접하게 되며, 상기 제2릴레이(130)의 양전극(111)이 상기 음극전원버스바(141)의 음극전원연결단(140a)과 인접하고, 상기 제2릴레이(130)의 음전극(111')이 상기 음극부하버스바(142)의 음극부하연결단(140b)과 인접하게 된다.
여기서, 예를들어, 상기 양극전원연결단(120a)과 상기 제1릴레이(110)의 음전극(111')이 인접하다는 표현은 상기 제1릴레이(110)와 제2릴레이(130)의 양전극(111)과 음전극(111')의 사이를 나누는 가상의 수직선과 상기 가상의 수직선과 직교하되, 상기 제1릴레이(110)와 제2릴레이(130)를 가로지르는 가상의 수평선에 의해 상기 커버(100)가 네 부분으로 나뉠 때, 상기 양극전원연결단(120a)과 상기 제1릴레이(110)의 음전극(111')이 같은 부분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다른 양전극, 음전극과 연결단 사이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상기 릴레이(110,130)와 상기 구동부 또는 상기 릴레이(110,130)와 상기 전원부 사이를 연결하는 상기 버스바(120,140)의 구성이 간소화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커버(100)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양극전원연결단(120a)은 상기 전원부의 양극에, 상기 음극전원연결단(140a)은 상기 전원부의 음극에 연결되고, 상기 양극부하연결단(120b)은 상기 구동부의 양극에, 상기 음극부하연결단(140b)은 상기 구동부의 음극에 연결된다. 물론 각각의 연결단(120a,120b,140a,140b)은 상기 베이스(200)의 안착단(230)에 안착되어 상기 단자볼트(220)에 의해 고정된 이후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릴레이(110,130)와 버스바(120,140)가 구성하는 회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자동차용 블럭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부품과 버스바 사이의 연결에 적용될 수 있다.
100 : 커버 101 : 측벽
102 : 가이드리브 110 : 제1릴레이
111 : 양전극 111' : 음전극
112 : 절연벽 113 : 브라켓
120 : 양극용버스바 120a : 양극전원연결단
120b : 양극부하연결단 121 : 양극부하버스바
122 : 양극전원버스바 130 : 제2릴레이
140 : 음극용버스바 140a : 음극전원연결단
140b : 음극부하연결단 141 : 음극전원버스바
142 : 음극부하버스바 200 : 베이스
210 : 방열판 220 : 단자볼트
230 : 안착단 300 : 자동차용 블럭
S : 절연거리

Claims (6)

  1. 전원부 또는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을 수행하며 베이스와 커버가 외관을 구성하는 자동차용 블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 안착되고, 일측면에 양전극과 음전극이 있는 제1전자부품 및 제2전자부품;
    상기 제1전자부품의 양전극과 연결되는 양극부하버스바와, 상기 제1전자부품의 음전극과 연결되는 양극전원버스바를 포함하는 양극용버스바;
    상기 제2전자부품의 양전극과 연결되는 음극전원버스바와, 상기 제2전자부품의 음전극과 연결되는 음극부하버스바를 포함하는 음극용버스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전자부품의 양전극 및 음전극은 상기 제2전자부품의 양전극 및 음전극과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되고,
    상기 양극용버스바와 음극용버스바는 상기 제1전자부품과 제2전자부품의 양전극 및 음전극이 향하는 방향과는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커버의 측벽을 따라 각각 상기 커버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연장되어 상기 제1전자부품 및 제2전자부품에 의해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블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자부품 및 제2전자부품은 부품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부품몸체의 일측면에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이 형성되고,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의 사이에는 절연벽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블럭.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몸체의 하단면과 같은 면을 이루도록 상기 절연벽이 형성되는 면과 이웃하는 양 측면의 하단에 형성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블럭.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자부품과 제2전자부품의 양전극과 음전극의 사이를 나누는 가상의 수직선과 상기 가상의 수직선과 직교하되, 상기 제1전자부품과 제2전자부품을 가로지르는 가상의 수평선에 의해 상기 커버가 네 부분으로 나뉠 때,
    상기 제1전자부품의 양전극과 상기 양극부하버스바의 양극부하연결단이 같은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제1전자부품의 음전극과 상기 양극전원버스바의 양극전원연결단이 같은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제2전자부품의 양전극이 상기 음극전원버스바의 음극전원연결단과 같은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제2전자부품의 음전극이 상기 음극부하버스바의 음극부하연결단과 같은 부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블럭.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상기 베이스는
    상기 커버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양극용버스바의 양극전원연결단 및 양극부하연결단과, 상기 음극용버스바의 음극전원연결단 및 음극부하연결단이 노출되도록 결합하고,
    상기 4개의 연결단이 상기 베이스의 안착단에 안착되어 단자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블럭.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내면에
    상기 양극용버스바 및 음극용버스바를 고정하는 가이드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블럭.
KR1020180028100A 2018-03-09 2018-03-09 자동차용 블럭 KR102542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100A KR102542323B1 (ko) 2018-03-09 2018-03-09 자동차용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100A KR102542323B1 (ko) 2018-03-09 2018-03-09 자동차용 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514A KR20190106514A (ko) 2019-09-18
KR102542323B1 true KR102542323B1 (ko) 2023-06-13

Family

ID=68070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100A KR102542323B1 (ko) 2018-03-09 2018-03-09 자동차용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23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488B1 (ko) * 2019-09-24 2021-11-0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릴레이 고정구조
CN110890250A (zh) * 2019-09-30 2020-03-17 厦门宏发汽车电子有限公司 一种可控制两路负载的小型化组合继电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798B1 (ko) * 2009-06-26 2013-03-1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조립체
KR101134002B1 (ko) * 2010-08-17 2012-04-05 영화테크(주) 고전압 릴레이를 내장한 차량용 정션박스
KR20150003571U (ko) 2014-03-20 2015-10-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차단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514A (ko) 2019-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42080B2 (en) Electric junction box
JP6417600B2 (ja) バスバーユニットおよびバスバーユニット製造方法
JP6310337B2 (ja) 樹脂プレート及びバスバーモジュール
KR102542323B1 (ko) 자동차용 블럭
US20100326719A1 (en) Electrical junction box
JP2019106262A (ja) 電源分配ボックスの公差吸収構造及び車両用回路体
JP6145691B2 (ja) ケースモールド型コンデンサ
KR20140087423A (ko) 자동차용 박스
WO2020137613A1 (ja) 蓄電装置の車両搭載構造
WO2014017571A1 (ja) 電気接続箱
KR101212056B1 (ko) 전원분배유니트
JP6351395B2 (ja) バスバーモジュール
CN109980138B (zh) 电池模块
WO2021131861A1 (ja) 電池配線モジュール
JP6643266B2 (ja) 組電池
KR20140087422A (ko) 자동차용 박스
US11264678B2 (en) Battery wiring module with partition wall separating module-side terminal and electric wire passing above partition wall
KR20090006803U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버스바고정구조
KR101989396B1 (ko) 자동차용 박스의 단자연결장치
KR20220048277A (ko) 부품고정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블럭
WO2021006109A1 (ja) 電気接続箱
CN117254701B (zh) 双逆变器壳体、双逆变器和电驱系统
JP7018912B2 (ja) 電気接続箱
WO2021006108A1 (ja) 電気接続箱
KR20240069075A (ko) 자동차용 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