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8277A - 부품고정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블럭 - Google Patents

부품고정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8277A
KR20220048277A KR1020200131248A KR20200131248A KR20220048277A KR 20220048277 A KR20220048277 A KR 20220048277A KR 1020200131248 A KR1020200131248 A KR 1020200131248A KR 20200131248 A KR20200131248 A KR 20200131248A KR 20220048277 A KR20220048277 A KR 20220048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ence
installation
block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1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1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8277A/ko
Publication of KR20220048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82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고정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블럭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는 설치공간(13)이 마련되고, 상기 설치공간(13)에는 부품고정장치(20)가 구비된 블럭본체(10)와, 상기 블럭본체(10)에 결합되어 상기 설치공간(13)을 차폐하는 블럭커버(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설치공간(13)에 설치부품이 안착되면 상기 부품고정장치(20)에 의해 상기 블럭본체(10)에 고정된다. 상기 부품고정장치(20)는 상기 설치공간(13)에 세워지고, 탄성변형이 가능한 제1고정펜스(22)와, 상기 제1고정펜스(22)와 마주보도록 상기 설치공간(13)에 세워지고, 상기 제1고정펜스(2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며, 상기 제1고정펜스(22)와의 사이에 상기 설치부품이 수납되는 부품수납공간(S)을 만드는 제2고정펜스(24)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품고정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블럭{Block for vehicle having parts fasten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차용 블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부품고정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용 블럭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각종 전장부품을 컨트롤할 수 있는 릴레이와 과전압으로부터 각 전장부품을 보호하는 퓨즈들이 사용되는데, 이들 릴레이와 퓨즈 등을 모아 배치한 것이 자동차용 블럭이다.
상기 자동차용 블럭에는 다양한 형태의 것이 있는데, 최근에는 전기자동차나 하이브리드자동차 등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을 사용함에 따라 고전압에서 사용되는 블럭도 만들어지고 있다.
이러한 고전압을 수용하기 위해서, 자동차용 블럭에는 고전압 기준에 맞는 부품들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고전압을 제어할 수 있는 릴레이, 퓨즈 및 버스바(busbar)등이 자동차용 블럭에 사용되는 것이다. 고전압 부품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자동차용 블럭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고전압 부품들은 일반적으로 크기가 크기 때문에, 부품외관의 공차와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의 공차가 누적되기 쉽다. 이렇게 되면, 고전압 부품에 다른 부품을 연결하는 작업이 어려워지게 되고, 불안정한 연결로 인해 작동오류가 발생할 염려도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고전압 부품을 볼트와 같은 체결구로 강하게 고정할 수도 있지만, 체결구로 고전압 부품을 고정하는 과정에서 가해지는 큰 토크로 인해 오히려 고전압 부품의 자세가 틀어질 우려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34079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용 블럭의 내부에 부품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구를 이용해서 부품을 고정하는 과정에서 부품의 설치자세가 틀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는 설치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설치공간에는 부품고정장치가 구비된 블럭본체와, 상기 블럭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설치공간을 차폐하는 블럭커버와, 상기 설치공간에 안착되면 상기 부품고정장치에 의해 상기 블럭본체에 고정되는 설치부품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부품고정장치는 상기 설치공간에 세워지고, 탄성변형이 가능한 제1고정펜스와, 상기 제1고정펜스와 마주보도록 상기 설치공간에 세워지고, 상기 제1고정펜스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며, 상기 제1고정펜스와의 사이에 상기 설치부품이 수납되는 부품수납공간을 만드는 제2고정펜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펜스와 상기 제2고정펜스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각각 제1고정턱 및 제2고정턱이 돌출되어 상기 설치부품의 표면을 걸어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턱 및 상기 제2고정턱 사이의 거리는 상기 설치부품의 두께 보다 작고, 상기 부품수납공간의 폭은 상기 설치부품의 두께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펜스는 서로 분리된 다수개의 펜스들로 구성되고, 상기 펜스들 사이에는 이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턱과 상기 제2고정턱은 상기 부품수납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번갈아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품고정장치에는 제3고정펜스가 포함되고, 상기 제3고정펜스는 상기 설치부품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고정펜스와 상기 제2고정펜스와 이웃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설치부품의 적어도 한쪽 표면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부품의 한쪽 끝에는 체결구가 체워지는 연결부가 있고, 상기 제3고정펜스는 상기 설치부품의 어느 한쪽 측면을 지지하되, 상기 설치부품의 양측면 중에서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먼 쪽 측면을 상기 제3고정펜스가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품고정장치는 상기 설치공간의 바닥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설치부품이 상기 부품고정장치에 고정되면 상기 설치부품은 상기 설치공간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블럭커버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펜스와 상기 제2고정펜스의 사이에 마련된 부품수납공간에는 상기 설치부품이 세워지는 방향으로 수납되고, 상기 제1고정펜스와 상기 제2고정펜스는 상기 설치부품과 다른 부품들이 설치되는 장착부와 상기 부품수납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부품고정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블럭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부품고정장치는 버스바와 같은 설치부품의 양쪽 표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부품고정장치는 탄성변형이 가능하므로, 설치부품의 외관이나 부품고정장치에 어느 정도 제조상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보상할 수 있다. 따라서, 설치부품이 자동차용 블럭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상대물과의 연결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부품고정장치는 설치부품의 양쪽 표면을 각각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공구에 의한 큰 토크가 설치부품에 가해지더라도 설치부품이 회전하면서 자세가 틀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설치부품이 설치자세를 유지하게 되면 상대물과의 결합이 용이해지고, 전기적 연결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 동작신뢰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부품고정장치는 설치부품을 세워진 상태로 고정해줄 수 있다. 설치부품이 세워지면 설치부품의 저면이 차지하는 면적이 줄어들어, 자동차용 블럭 내부의 공간활용률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설치부품은 부품고정장치에 의해서 자동차용 블럭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설치부품은 바닥면에 설치된 와이어나 기타 부품과의 간섭이 줄어들게 되고, 자동차용 블럭의 내부공간을 다층(多層)으로 구성하여 부품들을 더욱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부품고정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블럭의 일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실시례에서 블럭커버와 버스바가 분리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서 블럭커버가 분리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서 일부 구성을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버스바가 블럭본체에 고정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버스바가 부품고정장치에 고정된 상태를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버스바가 부품고정장치에 고정된 상태를 도 6과 다른 각도에서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I-I'선에 대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부품고정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블럭(이하 '자동차용 블럭'이라 함)은 내부에 다수의 부품이 설치되고, 부품들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분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자동차용 블럭에 설치되는 부품에는 릴레이, 퓨즈, 와이어 및 버스바(50)들이 포함될 수 있고, 이하에서는 부품들 중에서 버스바(50)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에서 보듯이, 자동차용 블럭은 대략 한쪽으로 길게 연장되는 입체형상이고, 그 내부에는 설치공간(13)이 있다. 상기 설치공간(13)은 블럭본체(10)와 블럭커버(30)에 의해 감싸지는 빈 공간으로, 상기 블럭본체(10)와 상기 블럭커버(30)는 서로 조립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블럭본체(10)를 보면, 상기 블럭본체(10)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외곽을 형성하는 본체바디(11)의 안쪽에는 설치공간(13)의 일부가 형성된다. 상기 설치공간(13)에는 부품들이 설치되는데, 그중 일부는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고정장치(20)에 고정된다.
상기 본체바디(11)의 표면에는 조립턱(12)이 돌출되고, 상기 조립턱(1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블럭커버(30)의 조립후크(32)가 걸린다. 상기 조립후크(32)가 상기 조립턱(12)에 걸리면 상기 블럭본체(10)와 상기 블럭커버(30)가 서로 조립된 상태가 된다. 상기 블럭본체(10)와 상기 블럭커버(30)가 서로 조립되면, 상기 설치공간(13)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설치공간(13)의 바닥에는 부품안착부(21)가 있다. 상기 부품안착부(21)는 상기 설치공간(13)의 바닥, 즉 상기 블럭본체(1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것인데, 여기서 바닥면은 상기 설치공간(13)의 가장 낮은 면이거나 또는 가장 낮은 면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된 부분일 수도 있다. 상기 부품안착부(21)에는 설치부품의 적어도 일부가 안착된다. 상기 부품안착부(21)는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고정장치(20)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상기 블럭본체(10)에는 상기 설치부품의 고정을 위한 부품고정장치(20)가 구비된다. 상기 부품고정장치(20)는 상기 설치부품을 고정해서 설치부품이 유동하지 않도록 하고, 또한 설치부품이나 블럭본체(10)의 제조과정에서 발생되는 제조오차를 어느 정도 보상해서 상기 설치부품이 정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부품고정장치(20)의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블럭본체(10)에는 상기 블럭커버(30)가 조립된다. 상기 블럭커버(30)는 상기 블럭본체(10)에 조립되어 상기 설치공간(13)을 덮는 것으로, 상기 블럭본체(10)와 마찬가지로 대략 육면체 형상이다. 상기 블럭커버(30)의 외곽을 형성하는 커버바디(31)의 안쪽은 상기 설치공간(13)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커버바디(31)의 외면에는 조립후크(32)가 있다. 상기 조립후크(32)는 상기 본체바디(11)의 상기 조립턱(12)에 걸리는 것으로, 상기 조립후크(32)가 상기 조립턱(12)에 걸리면 상기 블럭본체(10)와 상기 블럭커버(30)가 서로 조립된 상태가 된다. 상기 블럭본체(10)와 상기 블럭커버(30)가 서로 조립되면, 상기 설치공간(13)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커버바디(31)에는 파지공간(34)이 있다. 상기 파지공간(34)은 상기 커버바디(31)가 함몰된 형상으로 만들어진 것인데, 도 2와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설치공간(13)의 부피를 줄이는 방향으로 함몰되어 있다. 상기 파지공간(34)은 자동차용 블럭의 전체 부피를 줄이고, 작업자는 상기 파지공간(34)을 파지하여, 자동차용 블럭을 보다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파지공간(34)은 상기 블럭커버(30)에 다수개가 존재할 수도 있다. 도 2에서 보듯이, 본 실시례에서 상기 파지공간(34)은 상기 블럭커버(30)의 양쪽면에 각각 다수개가 형성된다. 이러한 파지공간(34) 중 일부는 상기 부품안착부(21)가 노출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품안착부(21)가 노출된 부분은 외부의 다른 부품이 연결되는 부분이 될 수 있는데, 이러한 부분을 활용해서 파지공간(34)을 마련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를 보면, 상기 블럭커버(30)의 배면(31')에는 파지턱(39)이 있다. 상기 파지턱(39)은 상기 블럭커버(30)의 표면에서 돌출된 것으로,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상기 파지턱(39)은 작업자가 상기 파지공간(34)을 보다 쉽게 파지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일종의 걸림구조로 볼 수 있다.
본 실시례예서 상기 파지턱(39)은 상기 파지공간(34)의 반대편에 구비된다. 이렇게 되면, 작업자가 상기 파지공간(34)과 상기 파지턱(39)을 한 손으로 모두 용이하게 잡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엄지로 상기 파지턱(39)을 잡고, 나머지 손가락으로 상기 파지공간(34)의 표면을 잡으면 보다 쉽게 상기 블럭커버(30)를 옮길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블럭커버(30)에는 방열홀(35)이 있다. 상기 방열홀(35)은 상기 블럭커버(30)를 관통해서 만들어지는 일종의 구멍으로, 상기 방열홀(35)은 상기 설치공간(13)을 외부로 연결시켜줄 수 있다. 상기 방열홀(35)을 통해서 발열부품(70)에서 발생하는 열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외기가 상기 방열홀(35)을 통해 유입되고, 상기 발열부품(70)과 열교환한 후에 다시 방열홀(3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서 상기 발열부품(70)의 온도가 낮아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방열홀(35)은 상기 블럭커버(30)에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는데, 도 3에서 보듯이 본 실시례에서 상기 방열홀(35)은 한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이들이 서로 나란하게 연장된다. 상기 방열홀(35)의 길이는 설치위치에 따라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방열홀(35)은 발열부품(70)과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방열홀(35)의 아래쪽에는 발열부품(70)이 위치하여 방열홀(35)을 통해 효과적으로 방열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발열부품(70)은 릴레이인데, 이와 달리 상기 발열부품(70)은 다양한 전기부품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부품고정장치(20)를 설명하면, 상기 부품고정장치(20)는 설치부품의 설치경로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설치부품을 고정해준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설치부품은 버스바(50)로, 상기 버스바(50)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양쪽의 서로 다른 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해준다.
도 2를 보면, 상기 버스바(50)는 얇은 판상의 몸체부(51)와, 상기 몸체부(51)의 양단에 각각 구비된 제1연결부(52) 및 제2연결부(54)를 포함한다. 상기 제1연결부(52)와 상기 제2연결부(54)는 상기 몸체부(51)에서 절곡되는데, 상기 제1연결부(52)는 상기 설치공간(13)의 바닥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2연결부(54)는 상기 몸체부(51)와 나란한 방향으로 절곡된다.
상기 제1연결부(52)에는 제1연결홀(53)이 관통되고, 상기 제2연결부(54)에는 제2연결홀(55)이 관통된다. 상기 제1연결홀(53)과 상기 제2연결홀(55)에는 각각 별도의 부품이 연결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제1연결홀(53)과 상기 제2연결홀(55) 중 어느 하나에는 퓨즈가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버스바(50)는 상기 부품고정장치(20)에 세워지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세워지는 방향이란, 상기 몸체부(51)의 폭 보다 높이가 큰 방향으로 상기 버스바(50)가 설치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렇게 설치되면 상기 버스바(50)의 저면이 상기 설치공간(13)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줄어들어, 자동차용 블럭 내부의 공간활용률을 높일 수 있다.
이렇게 상기 버스바(50)가 세워지는 방향으로 설치되기 위한 구조는 상기 부품고정장치(20)가 제공할 수 있다. 도 5를 보면, 상기 부품고정장치(20)는 크게 제1고정펜스(22)와 제2고정펜스(24)로 구성된다고 볼 수 있는데, 상기 제1고정펜스(22)와 제2고정펜스(24)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세워지고, 그 사이에 부품수납공간(S)을 만든다. 상기 부품수납공간(S)에는 상기 버스바(50)의 몸체부(51)가 수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펜스(22)와 제2고정펜스(24)는 각각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제1고정펜스(22)와 상기 제2고정펜스(24)는 각각 상기 설치공간(13)의 바닥, 즉 상기 부품안착부(21)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는데, 일종의 외팔보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제1고정펜스(22)와 상기 제2고정펜스(24)는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버스바(50)가 상기 부품수납공간(S)에 삽입될 때, 상기 제1고정펜스(22)와 제2고정펜스(24)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었다가 다시 복원됨으로써 상기 버스바(50)를 고정할 수 있다. 도 7에서 화살표 ①,②는 상기 제1고정펜스(22)와 제2고정펜스(24)가 탄성변형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상기 부품수납공간(S)은 상기 제1고정펜스(22)와 상기 제2고정펜스(24)를 따라 연속적 또는 비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펜스(22)와 상기 제2고정펜스(24)는 상기 버스바(50)의 몸체부(51) 전체를 감싸는 것이 아니라, 일부 구간의 몸체부(51)만 감쌀 수도 있다. 도 5를 보면, 상기 제1고정펜스(22)와 상기 제2고정펜스(24)는 상기 버스바(50)의 제1연결부(52)에 가까운 일부만 감싸고 있고, 상기 몸체부(51)의 나머지 부분은 노출되어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1고정펜스(22)와 상기 제2고정펜스(24)는 상기 제1연결홀(53)에 체결구를 넣고 공구로 강하게 체결할 때, 공구의 토크가 가해지는 제1연결홀(53) 주변을 견고하게 고정해줄 수 있다.
상기 제1고정펜스(22)와 상기 제2고정펜스(24)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각각 제1고정턱(22a) 및 제2고정턱(24a)이 돌출되어 상기 설치부품의 표면을 걸어 고정시킨다. 상기 제1고정펜스(22)에는 제1고정턱(22a)이 돌출되고, 상기 제2고정펜스(24)에는 제2고정턱(24a)이 돌출된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제1고정턱(22a)과 상기 제2고정턱(24a)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버스바(50)의 상면을 걸어준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6과 도 7을 보면, 상기 제1고정턱(22a)과 상기 제2고정턱(24a)은 상기 부품수납공간(S)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번갈아 배치된다. 이처럼 상기 제1고정턱(22a)과 상기 제2고정턱(24a)이 서로 번갈아 배치되면, 상기 버스바(50)의 보다 넓은 구간을 상기 부품고정장치(20)가 고정해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고정턱(22a) 및 상기 제2고정턱(24a) 사이의 거리는 상기 버스바(50)의 두께 보다 작고, 동시에 상기 부품수납공간(S)의 폭은 상기 버스바(50)의 두께보다 크거나 같다. 이렇게 되면, 상기 버스바(50)가 상기 부품수납공간(S)으로 삽입될 때는 상기 제1고정턱(22a) 및 상기 제2고정턱(24a)에 상기 버스바(50)가 간섭되어서 상기 제1고정펜스(22)와 제2고정펜스(24)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그리고 상기 버스바(50)가 상기 부품수납공간(S)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제1고정펜스(22)와 제2고정펜스(24)는 다시 복원되어 상기 제1고정턱(22a) 및 상기 제2고정턱(24a)이 상기 버스바(50)의 상면을 걸 수 있다.
도 6을 보면, 상기 제2고정펜스(24)는 서로 분리된 다수개의 펜스들로 구성되고, 상기 펜스들 사이에는 이격부(25)가 형성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고정펜스(24)는 2개의 펜스들로 구성되는데, 이와 달리 3개 이상일 수도 있다. 상기 제2고정펜스(24)가 다수개의 펜스들로 구성되면, 하나의 펜스구조일 때 보다 상기 제2고정펜스(24)가 상대적으로 쉽게 탄성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펜스(24)를 구성하는 2개의 펜스들에는 각각 제2고정턱(24a)이 있다.
한편, 도 5를 보면, 상기 부품고정장치(20)에는 제3고정펜스(26)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제3고정펜스(26)는 상기 버스바(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고정펜스(22)와 상기 제2고정펜스(24)와 이웃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버스바(50)의 적어도 한쪽 표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고정펜스(26)는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제3고정펜스(26)는 상기 버스바(50)의 어느 한쪽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버스바(50)의 한쪽 끝에는 체결구가 체워지는 제1연결부(52)가 있는데, 상기 제3고정펜스(26)는 상기 버스바(50)의 양측면 중에서 상기 제1연결부(52)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먼 쪽 측면을 지지한다. 도 5를 기준으로 보면, 공구가 회전하면 상기 제1연결부(52)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버스바(50)에는 시계방향으로 토크가 가해진다. 따라서 상기 제3고정펜스(26)는 시계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먼 쪽 측면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3고정펜스(26)는 상기 제1고정펜스(22)와 같은 쪽에 배치된다.
이때, 상대적으로 강한 토크가 전달되는 제1고정펜스(22)와 제3고정펜스(26)에는 각각 보강리브(22', 2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22', 26')는 상기 제1고정펜스(22)와 제3고정펜스(26)의 표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고정펜스(22)와 제3고정펜스(26)가 상대적으로 더 큰 외력에 견딜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보강리브(22', 26')는 상기 제1고정펜스(22)와 제3고정펜스(26)가 상기 설치공간(13)의 바닥에서 돌출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부품고정장치(20)는 상기 부품안착부(21)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버스바(50)가 상기 부품고정장치(20)에 고정되면 상기 버스바(50)는 상기 부품안착부(21)로부터 상기 블럭커버(30)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버스바(50)는 바닥면에 설치된 와이어나 기타 부품과의 간섭이 줄어들게 되고, 자동차용 블럭의 설치공간(13)을 다층(多層)으로 구성하여 부품들을 더욱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펜스(22)와 상기 제2고정펜스(24)의 사이에 마련된 부품수납공간(S)에는 상기 버스바(50)가 세워지는 방향으로 수납되고, 상기 제1고정펜스(22)와 상기 제2고정펜스(24)는 상기 버스바(50) 이외의 다른 부품들이 설치되는 장착부와 상기 부품수납공간(S)을 구획하는 역할도 한다. 즉, 상기 제1고정펜스(22)와 상기 제2고정펜스(24)는 다른 부품과 상기 버스바(50)를 구획하여, 이들 사이의 접촉을 방지해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고정펜스(22)와 상기 제2고정펜스(24)는 부품간 간섭에 의한 쇼트 등을 방지해줄 수도 있다.
미설명부호 28은 가이드리브로, 상기 가이드리브(28)는 상기 제3고정펜스(26)와 인접한 위치에 돌출되어 상기 버스바(50)의 측면 또는 저면 일부를 지지해줄 수 있다. 상기 가이드리브(28)는 상기 버스바(50)가 설치되는 경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블럭본체 13: 설치공간
20: 부품고정장치 22: 제1고정펜스
22a: 제1고정턱 24: 제2고정펜스
24a: 제2고정턱 26: 제3고정펜스
30: 블럭커버 34: 파지공간
35: 방열홀 39: 파지턱
50: 버스바 51: 몸체부
52: 제1연결부 54: 제2연결부
70: 발열부품

Claims (10)

  1. 내부에는 설치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설치공간에는 부품고정장치가 구비된 블럭본체;
    상기 블럭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설치공간을 차폐하는 블럭커버;와
    상기 설치공간에 안착되면 상기 부품고정장치에 의해 상기 블럭본체에 고정되는 설치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부품고정장치는
    상기 설치공간에 세워지고, 탄성변형이 가능한 제1고정펜스;와
    상기 제1고정펜스와 마주보도록 상기 설치공간에 세워지고, 상기 제1고정펜스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며, 상기 제1고정펜스와의 사이에 상기 설치부품이 수납되는 부품수납공간을 만드는 제2고정펜스;를 포함하는 부품고정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블럭.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펜스와 상기 제2고정펜스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각각 제1고정턱 및 제2고정턱이 돌출되어 상기 설치부품의 표면을 걸어 고정시키는 부품고정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블럭.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턱 및 상기 제2고정턱 사이의 거리는 상기 설치부품의 두께 보다 작고, 상기 부품수납공간의 폭은 상기 설치부품의 두께보다 크거나 같은 부품고정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블럭.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펜스는 서로 분리된 다수개의 펜스들로 구성되고, 상기 펜스들 사이에는 이격부가 형성되는 부품고정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블럭.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턱과 상기 제2고정턱은 상기 부품수납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번갈아 배치되는 부품고정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블럭.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품고정장치에는 제3고정펜스가 포함되고, 상기 제3고정펜스는 상기 설치부품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고정펜스 및 상기 제2고정펜스와 이웃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설치부품의 적어도 한쪽 표면을 지지하는 부품고정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블럭.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품의 한쪽 끝에는 체결구가 체워지는 연결부가 있고, 상기 제3고정펜스는 상기 설치부품의 어느 한쪽 측면을 지지하되, 상기 설치부품의 양측면 중에서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먼 쪽 측면을 상기 제3고정펜스가 지지하는 부품고정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블럭.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품고정장치는 상기 설치공간의 바닥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설치부품이 상기 부품고정장치에 고정되면 상기 설치부품은 상기 설치공간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블럭커버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는 부품고정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블럭.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펜스와 상기 제3고정펜스는 상기 설치부품의 같은 표면을 지지하고, 상기 제1고정펜스와 상기 제3고정펜스의 외면에는 각각 보강리브가 구비되는 부품고정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블럭.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펜스와 상기 제2고정펜스의 사이에 마련된 부품수납공간에는 상기 설치부품이 세워지는 방향으로 수납되고, 상기 제1고정펜스와 상기 제2고정펜스는 상기 설치부품과 다른 부품들이 설치되는 장착부와 상기 부품수납공간을 구획하는 부품고정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블럭.

KR1020200131248A 2020-10-12 2020-10-12 부품고정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블럭 KR202200482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248A KR20220048277A (ko) 2020-10-12 2020-10-12 부품고정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248A KR20220048277A (ko) 2020-10-12 2020-10-12 부품고정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277A true KR20220048277A (ko) 2022-04-19

Family

ID=81391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248A KR20220048277A (ko) 2020-10-12 2020-10-12 부품고정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82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0221A (ko) 2022-07-15 2024-01-2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부품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박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079B1 (ko) 2014-05-22 2015-07-06 영화테크(주) 전기 자동차의 고전압 정션 박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079B1 (ko) 2014-05-22 2015-07-06 영화테크(주) 전기 자동차의 고전압 정션 박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0221A (ko) 2022-07-15 2024-01-2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부품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60914B2 (ja) 電気接続箱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US10879682B2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and wire harness
US9124079B2 (en) Electric junction box
US10237995B2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and wire harness
US10763616B2 (en) Wiring module
JP6490729B2 (ja) 電気接続箱
US9281578B2 (en) Connecting apparatus for power cable
JP5978106B2 (ja) コネクタ間の接続構造
JP6417600B2 (ja) バスバーユニットおよびバスバーユニット製造方法
US9893340B2 (en) Battery wiring module
JP6248058B2 (ja) 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5420994B2 (ja) 電気接続箱
KR20220048277A (ko) 부품고정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블럭
JP6563746B2 (ja) 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EP3835135B1 (en) Electric connection box and wire harness
EP3828038B1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and wire harness
JP2018026251A (ja) ヒューズボックス
JP2006347261A (ja) 高電圧ユニットの配線構造
WO2021131861A1 (ja) 電池配線モジュール
KR102471105B1 (ko)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
US20230072016A1 (en) Terminal connection unit
KR102471104B1 (ko)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
KR20220048278A (ko) 방열부를 갖는 자동차용 블럭
JP2014097727A (ja) 車両用高電圧ケーブルの配索構造
JP6980488B2 (ja) 電気接続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