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1105B1 -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1105B1
KR102471105B1 KR1020160009929A KR20160009929A KR102471105B1 KR 102471105 B1 KR102471105 B1 KR 102471105B1 KR 1020160009929 A KR1020160009929 A KR 1020160009929A KR 20160009929 A KR20160009929 A KR 20160009929A KR 102471105 B1 KR102471105 B1 KR 102471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flexible bus
fixing device
flexible
bas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9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9566A (ko
Inventor
신일곤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이브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이브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이브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9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105B1/ko
Publication of KR20170089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9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05Laminated bus-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연한 재질의 납작하고 긴 형태의 전기 자동차의 전력 공급용 플렉서블 버스바를 전기 자동차의 전장실 내부의 격벽에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장착하기 위한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Flexible Busbar Fixing Device}
본 발명은 플렉서블 버스바를 자동차 차량 내부에 고정하기 위한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유연한 재질의 납작하고 긴 형태의 전기 자동차의 전력 공급용 플렉서블 버스바를 전기 자동차의 전장실 내부의 격벽(Partition Wall, 隔壁)에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장착하기 위한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자동차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하이브리드 방식 또는 순수 전기자동차 등의 형태의 전기자동차가 사용되고 있으며, 모터, 인버터 및 배터리 등이 구비된다.
따라서, 전기자동차 전장공간에 모터, 인버터 및 배터리 등의 구성요소가 배치되고,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하이브리드 방식의 전기자동차의 경우, 종래의 자동차의 엔진 및 관련 구성요소들과 더불어 모터, 인버터 및 배터리 등의 구성요소가 추가되는 구조이고, 순수 전기 자동차의 경우에도 차량의 경량화 또는 소형화가 주요 관심사이므로 전기자동차의 전장공간은 구조가 복잡하고 협소하다.
전기자동차는 전기에너지를 사용하므로,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케이블 등의 전기적 연결수단은 종래의 자동차에 사용되는 하네스 등을 구성하는 케이블에 비해 큰 통전 능력이 요구된다.
따라서, 전기자동차에는 종래 자동차의 전장실에 사용되는 케이블보다 큰 직경을 갖는 케이블이 적용되어야 하지만 유연성이 부족하여, 협소한 전장공간 내부에 설치를 위하여 충분한 통전 능력 이외에 유연성까지 확보하기 위한 전기적 연결수단으로 플렉서블 버스바(Busbar)가 소개 또는 적용되고 있다.
플렉서블 버스바는 폭에 비해 두께가 작은 금속 스트립을 적층한 형태로 구성되어 굴곡 특성이 좋아 협소한 전장실 내부 공간에 설치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버스바를 전장실 내부에 모터, 인버터 및 배터리 등의 구성요소의 연결을 위하여 복잡한 설치 경로를 따라 설치된다고 하여도 설치된 상태에서 플렉서블 버스바가 안정적으로 전장실 내에 고정되지 않으면, 차량의 유지 보수작업을 어렵게 하거나 작업상의 실수를 유발하게 할 수 있고, 차량의 주행 중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하여 플렉서블 버스바의 연결이 해제되거나, 버스바의 손상이 발생되어 각종 사고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연한 재질의 납작하고 긴 형태의 전기 자동차의 전력 공급용 플렉서블 버스바를 전기 자동차의 전장실 내부의 격벽에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장착하기 위한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납작하고 긴 복수 개의 판형 도체가 적층된 상태로 피복된 전기자동차용 플렉서블 버스바를 전기자동차의 전장실 내에 고정하여 장착하기 위한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호 조립된 상태에서 적어도 1매의 고정대상 플렉서블 버스바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를 형성하는 캡부재 및 베이스 부재, 상기 캡부재 또는 상기 베이스 부재에 구비되며, 전장실 내의 격벽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격벽 삽입부 및, 상기 캡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버스바 수용부에 플렉서블 버스바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캡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조립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캡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에 의하여 연결된 상태로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캡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폴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캡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 중 일측에 구비되는 후크부 및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후크부와 걸림고정을 위한 걸림부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플렉서블 버스바는 복층으로 적층되어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플렉서블 버스바는 복열로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복열로 수용되는 플렉서블 버스바는 각각의 열에 수용되는 플렉서블 버스바의 수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용부는 각각의 열에 수용되는 서로 다른 수의 플렉서블 버스바를 빈틈없이 고정하도록 상기 캡부재 또는 상기 베이스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캡부재 또는 상기 베이스 부재는 각각 상판부 또는 하판부 및 상기 상판부 또는 상기 하판부의 양단에 서로 마주보는 측벽부를 구비하며, 상기 격벽 삽입부는 상기 캡부재 또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어느 하나의 측벽부에서 연장되어 'ㄱ' 단면 형태를 갖도록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격벽 삽입부로 삽입되어 장착된 전장실 내부의 격벽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격벽 삽입부 내부에 삽입된 수직 격벽과 걸림 고정을 위한 경사진 후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는 금속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격벽 삽입부 내에 삽입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캡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내면에 상기 플렉서블 버스바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적어도 1개의 지지리브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에 의하면, 유연한 재질의 납작하고 긴 형태의 전기 자동차의 전력 공급용 플렉서블 버스바를 전기 자동차의 전장실 내부의 설치경로 상의 격벽에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고정 및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에 의하면, 전력 공급용 플렉서블 버스바가 전기자동차 전장실 내에 설계된 위치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전기자동차의 유지 보수 과정에서 유지 보수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플렉서블 버스바가 실수로 분리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에 의하면, 전기자동차의 주행중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이 전력유닛에 전달되어도 전장실 내부의 격벽 등에 단단하게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으므로 각종 고장 또는 안전 사고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에 고정이 가능한 플렉서블 버스바의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가 복수 개의 플렉서블 버스바를 전기 자동차의 전장실 내부의 격벽에 고정하여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플렉서블 버스바를 함께 고정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에 고정이 가능한 플렉서블 버스바(100)의 예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플렉서블 버스바(100)는 길이가 짧은 실시예와 길이가 긴 실시예 두 가지가 도시된다.
플렉서블 버스바(100)는 납작하고 긴 도체의 단부에 단자부(13)가 형성되며, 단자부를 제외한 영역은 튜브부재(20) 등에 의하여 절연을 위하여 피복된다. 상기 플렉서블 버스바(100) 각각의 단자부(13, 15)에는 연결대상 기기와 체결되기 위한 단자홀(13h, 15h)가 형성되어 체결볼트 등에 의하여 단단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에 의하여 고정 장착되는 플렉서블 버스바(100)는 폭에 비해 두께가 얇아 전장실 내부의 협소한 전장공간의 형상에 따라 용이하게 밴딩 또는 절곡되어 장착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실시예는 절곡 부위인 절곡부(c1, c2, c3)가 3개이며, 도 4(b)에 도시된 실시예는 절곡부(c1 내지 c8)가 8개 존재한다. 따라서, 플렉서블 버스바(100)를 설치하는 차량 전장부 내에서 높은 자유도를 가지며 절곡되어 전기적으로 모터, 베터리 또는 인버터 등의 전장부품 또는 기기를 연결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플렉서블 버스바(100)의 길이를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짧게 구성하여 인접한 기기를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고,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게 구성하여 원거리에 위치한 양 기기를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절곡부(c)는 도체부 중 상기 튜브부재(20)에 의하여 피복된 영역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얇고 납작한 형태를 갖는 플렉서블 버스바(100)를 전기자동차의 전장실 내부에 고정하여 장착하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100)에 대하여 자세하게 검토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가 복수 개의 플렉서블 버스바(100)를 전기 자동차의 전장실 내부의 격벽(sw, 隔壁)에 고정하여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격벽(sw)은 각각의 구성요소에 구비된 보강리브 등일 수도 있고,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단부가 돌출된 벽일 수 있다.
상기 격벽(sw)은 주로 수직하게 구비될 수도 있으나, 수평하거나 다른 방향으로도 구비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격벽 삽입부 내의 후크 등에 의하여 격벽의 삽입 상태는 유지될 수 있다.
납작하고 긴 형태의 플렉서블 버스바(100)는 유연성 또는 굴곡성이 좋아 전장실 내부의 협소한 설치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하지만, 전장실 내부에 이를 정해진 위치에 고정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특히, 전장실 내부의 격벽(sw) 등을 따라 플렉서블 버스바(100)를 배치하여 배치된 상태를 고정하는 새로운 방법이 요구되며, 특히 전장실의 각종 구성요소의 테두리 등의 수직 격벽(sw) 등에 플렉서블 버스바(100)를 복수 개를 동시에 고정 장착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는 납작하고 긴 복수 개의 판형 도체가 적층된 상태로 피복된 전기자동차용 플렉서블 버스바를 전기자동차의 전장실 내에 고정하여 장착하기 위한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호 조립된 상태에서 적어도 1매의 고정대상 플렉서블 버스바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를 형성하는 캡부재(220) 및 베이스 부재(230), 상기 캡부재(220) 또는 상기 베이스 부재(230)에 구비되며, 전장실 내의 격벽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격벽 삽입부(210) 및, 상기 캡부재(220) 및 상기 베이스 부재(230)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260)에 플렉서블 버스바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캡부재(220) 및 상기 베이스 부재(230)의 조립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A)에 의하여 2열로 3매 및 2매의 플렉서블 버스바(100)를 전장실 내부의 격벽에 고정한 상태를 도시하며,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B)에 의하여 2열로 2매 및 1매의 플렉서블 버스바(100)를 전장실 내부의 격벽에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다. 즉, 도 2(a)는 총 5매의 플렉서블 버스바(100)를 하나의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A)에 의하여 집합시켜 전장실 내부의 격벽(sw)에 고정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며, 도 2(b)는 총 3매의 플렉서블 버스바(100)를 하나의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B)에 의하여 집합시켜 전장실 내부의 격벽(sw)에 고정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는 각각 복수 매의 플렉서블 버스바(100)를 하나로 집합화한 상태로 전장실 내부의 격벽에 고정하기 위한 격벽 삽입부(210)를 구비한다. 상기 격벽 삽입부(210)는 격벽, 예를 들면 수직한 격벽(sw)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기 위한 구성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의 구조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A)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은 도 2(a)에 도시된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A)의 상세한 구조를 도시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A)의 하나의 실시예의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A)가 닫힌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3(c)는 도 3(a)에 도시된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A)가 내부에 복수 개의 플렉서블 버스바(100)를 수용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각각 2열로 3매 및 2매의 플렉서블 버스바(100)가 내부 수용공간인 수용부(260)에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는 격벽 삽입부(210), 격벽 삽입부(210)와 플렉서블 버스바(100)의 수용부(260)를 형성하는 캡부재(220) 및 베이스 부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캡부재(220)와 상기 베이스 부재(230)는 상기 캡부재(220)와 상기 베이스 부재(230)를 연결하는 연결부(225)에 의하여 연결된 상태로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캡부재(220)와 상기 베이스 부재(230)는 상기 연결부(225)를 중심으로 폴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25)는 상기 캡부재(220)와 상기 베이스 부재(230)를 일체로 사출 성형시 두께가 얇게 성형된 부분으로 상기 캡부재(220)와 상기 베이스 부재(230)의 재질을 깨지지 않는 유연한 수지 재질로 제조하는 경우 상기 연결부(225)는 힌지 역할을 수행하여, 상기 캡부재(220)와 상기 베이스 부재(230)가 폴딩되어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플렉서블 버스바(100)를 장착하는 과정에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부재(220)와 베이스 부재(230)가 전개된 상태에서 플렉서블 버스바(100)를 장착한 후 베이스 부재(230)와 캡부재(220)를 닫아 내부 수용부(260)에 수용된 플렉서블 버스바(100)를 집합화할 수 있으며, 상기 캡부재(220) 및 상기 베이스 부재(230)에 구비되어 상기 버스바 수용부에 플렉서블 버스바(100)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캡부재(220) 및 상기 베이스 부재(230)의 조립 상태(닫힌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캡부재(220) 및 상기 베이스 부재(230) 중 일측에 구비되는 후크부(220h) 및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후크부(220h)와 걸림고정을 위한 걸림부(230c)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캡부재(220)에 후크부(220h)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230)에 걸림부(230c)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그 위치가 변경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캡부재(220)에 구비된 후크부(220h)는 상기 베이스 부재(230)에 구비된 걸림부(230c)에 삽입되면 경사 방향에 의하여 조립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구성이다.
상기 캡부재(220)와 상기 베이스 부재(230)의 조립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고정수단이라면 후크부(220h)와 걸림부(230c) 이외에도 다양한 구성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260)에 수용되는 복수 매의 플렉서블 버스바(100)는 복층으로 적층되어 수용되거나, 상기 수용부(260)에 수용되는 플렉서블 버스바(100)는 복열로 수용될 수 있다. 즉,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열에 2매의 플렉서블 버스바(100)가 수용되고, 2열에 3개의 플렉서블 버스바(100)가 수용되도록 복열로 수용되는 플렉서블 버스바(100)가 각각 복층으로 적층되어 수용부(260)에 수용될 수도 있으며, 복열로 수용되는 플렉서블 버스바(100)는 각각의 열에 수용되는 플렉서블 버스바(100)의 수가 서로 다르게 수용부(260)가 구성될 수도 있다.
각각의 열에 수용되는 플렉서블 버스바(100)의 수가 다르게 구성되는 경우, 각각의 열에 수용되는 서로 다른 수의 플렉서블 버스바(100)를 빈틈없이 고정하도록 상기 캡부재(220) 또는 상기 베이스 부재(230) 중 적어도 하나에 단차(220s, 230s)가 형성되어 수용부(260)의 단면 형상이 계단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부재(220)는 상판부(221)와 상기 상판의 양단에 서로 마주보는 측벽부(223)를 구비하며, 상기 격벽 삽입부(210)는 어느 하나의 측벽부에서 연장되어 'ㄱ'자 단면 형태를 갖도록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격벽 삽입부(210)는 상기 캡부재(220)에 일체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후술하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처럼 베이스 부재(230)의 측벽부에서 연장되어 'ㄴ'자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는 상기 캡부재(220) 또는 상기 베이스 부재(230)가 각각 상판부(221) 또는 하판부(231) 및 상기 상판부 또는 상기 하판부의 양단에 서로 마주보는 측벽부(223, 233)를 구비하며, 상기 격벽 삽입부는 상기 캡부재 또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어느 하나의 측벽부에서 연장되어 'ㄱ' 또는 'ㄴ' 자 단면 형태를 갖도록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캡부재(220)와 상기 베이스 부재(230)가 내부 수용부(260)에 플렉서블 버스바(100)를 수용한 상태로 조립되어 후크부(220h)와 걸림부(230c)에 의하여 조립상태가 고정된 후 상기 격벽 삽입부(210)를 통해 전기자동차 전장실 내부의 격벽이 삽입되면 복수 매의 플렉서블 버스바(100)를 안정적으로 격벽을 따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전기자동차의 주행 중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하여 격벽 삽입부(210)에 삽입 장착된 격벽이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격벽 삽입부(210) 내부에 삽입된 수직 격벽과 걸림 고정을 위한 경사진 후크(2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크(240)는 격벽의 삽입 방향으로는 물리적 진입저항을 최소화하며, 분리되는 방향으로는 걸림 고정작용에 의하여 격벽이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경사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후크(240)는 상기 격벽 삽입부(210)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클립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는 격벽 삽입부(210) 내에 금속 재질의 클립 형태의 후크(240)가 적용된 예를 도시한다. 상기 클립 형태의 후크(240) 역시 격벽 삽입부(210) 내에서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걸림턱(도면부호 미도시)에 의하여 걸림 고정된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보다 상세하게,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B)의 다른 실시예의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B)가 닫힌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4(c)는 도 4(a)에 도시된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B)가 내부에 복수 개의 플렉서블 버스바(100)를 수용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1열에 1개의 플렉서블 버스바(100)가 수용되고, 2열에 2개의 플렉서블 버스바(100)가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B)의 수용부(260)에 복열 또는 복층으로 플렉서블 버스바(100)를 수용하는 경우에도 다양한 수의 조합이 가능하다.
이는 각각의 플렉서블 버스바(100)의 연결 시점과 종점이 다르므로, 분기되거나 합류되는 플렉서블 버스바(100)를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에서 제외하거나 추가하는 경우 다양한 수의 조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는 도 7을 참조하여 부연 설명한다.
따라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2열로 플렉서블 버스바(100)를 수용하고, 필요에 따라 각각의 열에 복수 개의 플렉서블 버스바(100)가 적층되어 수용되도록 할 수도 있고,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열 중 첫번째 열에 수용되는 플렉서블 버스바(100)를 단층으로 수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 역시 각각의 열에 수용되는 플렉서블 버스바(100)의 개수가 다르므로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 내부의 수용부(260)에 수용되는 플렉서블 버스바(100) 사이에 빈틈이 존재하지 않도록 캡부재(220) 또는 베이스 부재(230)에 단차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단차는 상기 캡부재(220)에만 구비된다.
또한, 상기 수용부를 형성하기 위한 상기 캡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내면에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플렉서블 버스바의 길이방향 또는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적어도 1개의 지지리브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캡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를 구성하는 상판부(221) 또는 하판부(231)에 지지리브(221r, 231r)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플렉서블 버스바의 길이방향 또는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C)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D)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보다 상세하게, 도 5(a) 및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C, 200D)의 다른 실시예의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5(b) 및 도 6(b)는 도 5(a) 및 도 6(a)에 도시된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C, 200D)가 닫힌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5(c) 및 6(c)는 도 5(a) 및 6(a)에 도시된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C, 200D)가 내부에 복수 개의 플렉서블 버스바를 수용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는 수용부(260)에 플렉서블 버스바(100)를 하나의 열로 수용한다는 점과 격벽 삽입부(210)가 베이스 부재(230)에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는 플렉서블 버스바(100)가 수용부에 수용되는 방향이 세로 방향인지 또는 가로 방향인지 여부만 차이가 있다.
전기자동차의 전장실 내부공간의 형태에 따라 플렉서블 버스바(100)를 세워서 세로방향으로 고정하거나 눕혀서 가로방향으로 수용해야 하는 경우 등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그러나 격벽 삽입부(210)가 구비되어 격벽의 단부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방식은 동일하게 적용된다.
또한, 상기 격벽 삽입부(210)가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캡부재(220)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230)가 마주보는 측벽부(233)를 구비하고 격벽 삽입부(210)는 베이스 부재(230)의 측벽부(233)의 외주면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는 전장실 내부의 격벽 고정 이외에도 원형 후크 형태의 고정유닛이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는 고정구(260h)가 구비된 고정부(260) 등이 캡부재(220) 또는 베이스 부재(230) 등에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캡부재(220)의 상면에 고정구(260h)가 구비된 고정부(260)가 구비되어 케이블 타이 등에 장착될 수 있는 수지 재질의 원형 후크 형태의 고정유닛이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는 캡부재와 베이스 부재의 조립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서의 후크부와 걸림부의 위치가 변경된 것으로 도시되며, 이와 같이 고정수단을 구성하는 후크부와 걸림부의 위치는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플렉서블 버스바(100)를 함께 고정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에 수용되는 플렉서블 버스바(100)는 전기적 연결대상의 위치에 따라 분기되거나 추가되어 수용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를 통해 집합되어 고정되는 플렉서블 버스바(100)의 개수도 가변될 수 있고, 이와 같은 다양한 조합에 대응할 수 있도록 수용부(260) 내부의 공간을 복열 또는 복층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각각의 열에 수용되는 플렉서블 버스바(100)의 개수도 서로 다른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는 각각의 열에 2개 및 3개의 플렉서블 버스바(100)가 수용된 상태에서 각각의 열에서 하나의 플렉서블 버스바(100)가 분기되어 각각의 열에 1개 및 2개의 플렉서블 버스바(100)가 수용되도록 수용부(260)의 크기가 다른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200A, 200B)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0 : 플렉서블 버스바
200 :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
sw : 격벽
210 : 격벽 삽입부
220 : 캡부재
220 : 연결부
230 : 베이스 부재

Claims (11)

  1. 납작하고 긴 복수 개의 판형 도체가 적층된 상태로 피복된 전기자동차용 플렉서블 버스바를 전기자동차의 전장실 내에 고정하여 장착하기 위한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호 조립된 상태에서 적어도 1매의 고정대상 플렉서블 버스바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를 형성하는 캡부재 및 베이스 부재;
    상기 캡부재 또는 상기 베이스 부재에 구비되며, 전장실 내의 격벽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격벽 삽입부; 및,
    상기 캡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에 플렉서블 버스바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캡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조립 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플렉서블 버스바는 복열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캡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에 의하여 연결된 상태로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캡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폴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캡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 중 일측에 구비되는 후크부 및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후크부와 걸림고정을 위한 걸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플렉서블 버스바는 복층으로 적층되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복열로 수용되는 플렉서블 버스바는 각각의 열에 수용되는 플렉서블 버스바의 수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각각의 열에 수용되는 서로 다른 수의 플렉서블 버스바를 빈틈없이 고정하도록 상기 캡부재 또는 상기 베이스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단차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 또는 상기 베이스 부재는 각각 상판부 또는 하판부 및 상기 상판부 또는 상기 하판부의 양단에 서로 마주보는 측벽부를 구비하며, 상기 격벽 삽입부는 상기 캡부재 또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어느 하나의 측벽부에서 연장되어 'ㄱ' 자 또는 'ㄴ'자 단면 형태를 갖도록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 삽입부로 삽입되어 장착된 전장실 내부의 격벽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격벽 삽입부 내부에 삽입된 수직 격벽과 걸림 고정을 위한 경사진 후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금속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격벽 삽입부 내에 삽입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내면에 상기 플렉서블 버스바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적어도 1개의 지지리브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
KR1020160009929A 2016-01-27 2016-01-27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 KR102471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929A KR102471105B1 (ko) 2016-01-27 2016-01-27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929A KR102471105B1 (ko) 2016-01-27 2016-01-27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566A KR20170089566A (ko) 2017-08-04
KR102471105B1 true KR102471105B1 (ko) 2022-11-24

Family

ID=59654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929A KR102471105B1 (ko) 2016-01-27 2016-01-27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11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5430A (ko) * 2014-10-09 2022-10-28 패스트캡 시스템즈 코포레이션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를 위한 나노구조 전극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451B1 (ko) * 2018-05-10 2020-04-16 주식회사 경신 면대면 접합 버스바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0445A (ja) * 1999-03-12 2000-09-29 Yazaki Corp ワイヤハーネス用クランプの固定構造
JP2001231130A (ja) * 2000-02-14 2001-08-24 Yazaki Corp バスバーの取り付け構造
JP2005073406A (ja) * 2003-08-25 2005-03-17 Sumitomo Wiring Syst Ltd 自動車用樹脂成形品
JP2005160273A (ja) * 2003-11-28 2005-06-16 Nissan Motor Co Ltd バスバー固定器
JP2013169121A (ja) * 2012-02-17 2013-08-29 Yazaki Corp 摺動式クランプ及びクランプ対象部材取り付け構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0445A (ja) * 1999-03-12 2000-09-29 Yazaki Corp ワイヤハーネス用クランプの固定構造
JP2001231130A (ja) * 2000-02-14 2001-08-24 Yazaki Corp バスバーの取り付け構造
JP2005073406A (ja) * 2003-08-25 2005-03-17 Sumitomo Wiring Syst Ltd 自動車用樹脂成形品
JP2005160273A (ja) * 2003-11-28 2005-06-16 Nissan Motor Co Ltd バスバー固定器
JP2013169121A (ja) * 2012-02-17 2013-08-29 Yazaki Corp 摺動式クランプ及びクランプ対象部材取り付け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5430A (ko) * 2014-10-09 2022-10-28 패스트캡 시스템즈 코포레이션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를 위한 나노구조 전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566A (ko) 2017-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3616B2 (en) Wiring module
EP2724396B1 (en) Busbar module unit
EP1156537A2 (en) Battery structure for electric vehicle and battery module
JP6752278B2 (ja) 車両用回路体
JP7149773B2 (ja) 低電圧配電盤用キャビネット内の、コンパートメントを仕切ってバスバーを支持する装置
US11450927B2 (en) Battery module
CN104115354B (zh) 滑动型夹具和夹具单元
KR102471105B1 (ko)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
JP5420994B2 (ja) 電気接続箱
US9646738B2 (en) System for isolating power conductors using folded insulated sheets
CN106253172A (zh) 电连接箱
KR102471104B1 (ko) 플렉서블 버스바 고정장치
KR20170040229A (ko) 에너지 저장 모듈의 저장 셀을 수용하기 위한 프레임 장치
EP3828038B1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and wire harness
KR102383975B1 (ko) 배터리 버스바 장치, 이를 이용한 배터리 버스바 체결 구조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팩
KR102526965B1 (ko) 전력유닛 고정장치
KR20220048277A (ko) 부품고정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블럭
JP2018186648A (ja) 電気接続箱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KR20090006803U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버스바고정구조
JP6728280B2 (ja) 回転電機のステータ
JP6806608B2 (ja) 分岐構造及び分岐ボックス
KR20190106514A (ko) 자동차용 블럭
JP2004119187A (ja) バッテリ構成方法
JP5283840B2 (ja) 分岐ユニット及びバスダクトシステム
WO2021006108A1 (ja) 電気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