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8278A - 방열부를 갖는 자동차용 블럭 - Google Patents

방열부를 갖는 자동차용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8278A
KR20220048278A KR1020200131249A KR20200131249A KR20220048278A KR 20220048278 A KR20220048278 A KR 20220048278A KR 1020200131249 A KR1020200131249 A KR 1020200131249A KR 20200131249 A KR20200131249 A KR 20200131249A KR 20220048278 A KR20220048278 A KR 20220048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dissipation
block
partition bar
installation space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1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1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8278A/ko
Publication of KR20220048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82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45Means for directing air flow, e.g. ducts, deflectors, plenum or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69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connector relating features for connecting the connector pins with the PCB or for mounting the connector body with the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열부를 갖는 자동차용 블럭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는 설치공간(S)이 마련되는 블럭본체(10), 상기 블럭본체(10)에 결합되어 상기 설치공간(S)을 차폐하는 블럭커버(30)와, 상기 블럭커버(30)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만들어지고, 상기 설치공간(S)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방열부(35,36)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방열부(35,36)에는 다수개의 방열홀(35)들과, 상기 다수개의 방열홀(35)들의 사이에 배치되는 구획바(36)가 포함되고, 상기 구획바(36)의 저면에는 상기 설치공간(S)을 향해 방열리브(37)가 돌출될 수 있다.

Description

방열부를 갖는 자동차용 블럭{Block for vehicle having heat radiating member}
본 발명은 자동차용 블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공간의 가열된 공기를 방출할 수 있는 방열부가 구비된 자동차용 블럭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각종 전장부품을 컨트롤할 수 있는 릴레이와 과전압으로부터 각 전장부품을 보호하는 퓨즈들이 사용되는데, 이들 릴레이와 퓨즈 등을 모아 배치한 것이 자동차용 블럭이다.
상기 자동차용 블럭에는 다양한 형태의 것이 있는데, 최근에는 전기자동차나 하이브리드자동차 등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을 사용함에 따라 고전압에서 사용되는 블럭도 만들어지고 있다.
이러한 고전압을 수용하기 위해서, 자동차용 블럭에는 고전압 기준에 맞는 부품들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고전압을 제어할 수 있는 릴레이, 퓨즈 및 버스바(busbar)등이 자동차용 블럭에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고전압 부품들은 사용 중에 많은 열을 발생시키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배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최근에는 제품의 소형화를 위해서 자동차용 블럭도 작게 만들어지고 있는 추세인데, 이에 따라 자동차용 블럭 내부의 설치공간도 좁아지고 있다. 이처럼 좁은 공간에서 많은 부품이 사용되면 방열에 더욱 불리한 환경되고, 특히 고전압 부품에서 발생하는 높은 열을 배출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다.
물론, 자동차용 블럭의 일부를 관통시켜 공기유동이 가능한 방열구조를 만들수도 있으나, 관통된 부분이 커지면 자동차용 블럭의 내구성이 떨어지고, 외부에서 이물질이 더욱 쉽게 유입될 수 있는 문제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1167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용 블럭의 내부에 설치된 부품에서 발생하는 열이 배출되는 공기유로를 넓게 확보하면서도, 자동차용 블럭의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유로가 형성된 방열부를 부품에 최대한 가깝게 배치하되, 부품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방열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는 설치공간이 마련되는 블럭본체, 상기 블럭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설치공간을 차폐하는 블럭커버와, 상기 블럭커버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만들어지고, 상기 설치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방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방열부에는 다수개의 방열홀들과, 상기 다수개의 방열홀들의 사이에 배치되는 구획바가 포함되고, 상기 구획바의 저면에는 상기 설치공간을 향해 방열리브가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열홀은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된 발열부품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리브는 상기 구획바의 저면에서 상기 발열부품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열리브는 상기 구획바의 저면에서 상기 구획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리브가 상기 발열부품을 향해 돌출되는 길이는 상기 구획바의 중심부 보다 상기 구획바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열리브의 폭은 상기 구획바의 폭 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리브가 상기 발열부품을 향해 돌출되는 길이는 상기 구획바의 두께 보다 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열리브는 상기 구획바의 저면에서 가장자리에 가까운 일부 구간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바의 측면과 이웃한 다른 구획바의 측면의 사이에는 상기 방열홀이 형성되고, 상기 구획바의 측면은 경사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구획바의 폭은 상기 발열부품을 향해 점점 좁아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럭커버에는 상기 설치공간을 좁히는 방향으로 함몰된 파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공간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블럭커버의 표면에는 파지턱이 돌출될 수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방열부를 갖는 자동차용 블럭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자동차용 블럭의 블럭커버에는 방열홀들이 구비되어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배출해주는데, 방열홀들을 구획하는 구획바에는 방열리브가 돌출되어 방열부의 강도를 보강해줄 수 있다. 다수의 방열홀들이 충분한 공기유로를 만들어줌과 동시에, 방열리브는 방열홀에 의해 블럭커버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자동차용 블럭은 내구성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충분히 높은 방열성능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방열리브에 의해 방열부를 구성하는 구획바는 대략 T형상의 단면을 갖게 되는데, 이러한 T형상의 방열부는 내부의 가열된 공기가 구획바에 의해 간섭되지 않고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공기유로를 형성해줄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원활한 방열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방열부는 발열부품과 매우 인접한 위치에서 발열부품과 마주보게 구비되어 방열성능을 높일 수 있고, 발열부품에 의해 방열부가 변형되는 것은 방열리브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특히, 방열리브는 변형에 취약한 방열부의 가장자리에서 상대적으로 긴 돌출길이를 가짐으로써, 방열부에 충분한 내구성을 제공해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블럭커버에는 파지공간이 형성되어 작업자가 블럭을 파지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준다. 작업자는 파지공간을 잡아 블럭을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공구 없이도 블럭을 용이하게 다룰 수 있고, 따라서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파지공간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블럭커버의 표면에는 파지턱이 돌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가락 중 일부는 파지공간을 잡고, 나머지 손가락으로 파지턱을 잡을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보다 안정적으로 블럭을 잡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자동차용 블럭은 작업성을 더욱 높이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열부를 갖는 자동차용 블럭의 일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실시례에서 블럭커버와 버스바가 분리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서 블럭커버가 분리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서 일부 구성을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방열부의 구조를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방열부와, 내부에 설치된 발열부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방열부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방열부를 통해 발열부품의 열이 배출되는 모습을 보인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방열부를 갖는 자동차용 블럭(이하 '자동차용 블럭'이라 함)은 내부에 다수의 부품이 설치되고, 부품들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분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자동차용 블럭에 설치되는 부품에는 릴레이, 퓨즈, 와이어 및 버스바(50)들이 포함될 수 있고, 이하에서는 부품들 중에서 버스바(50)와 발열부품(70)인 릴레이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에서 보듯이, 자동차용 블럭은 대략 한쪽으로 길게 연장되는 입체형상이고, 그 내부에는 설치공간(13)이 있다. 상기 설치공간(13)은 블럭본체(10)와 블럭커버(30)에 의해 감싸지는 빈 공간으로, 상기 블럭본체(10)와 상기 블럭커버(30)는 서로 조립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블럭본체(10)를 보면, 상기 블럭본체(10)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외곽을 형성하는 본체바디(11)의 안쪽에는 설치공간(13)의 일부가 형성된다. 상기 설치공간(13)에는 부품들이 설치되는데, 그중 일부는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고정장치(20)에 고정된다.
상기 본체바디(11)의 표면에는 조립턱(12)이 돌출되고, 상기 조립턱(1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블럭커버(30)의 조립후크(32)가 걸린다. 상기 조립후크(32)가 상기 조립턱(12)에 걸리면 상기 블럭본체(10)와 상기 블럭커버(30)가 서로 조립된 상태가 된다. 상기 블럭본체(10)와 상기 블럭커버(30)가 서로 조립되면, 상기 설치공간(13)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설치공간(13)의 바닥에는 부품안착부(21)가 있다. 상기 부품안착부(21)는 상기 설치공간(13)의 바닥, 즉 상기 블럭본체(1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것인데, 여기서 바닥면은 상기 설치공간(13)의 가장 낮은 면이거나 또는 가장 낮은 면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된 부분일 수도 있다. 상기 부품안착부(21)에는 설치부품의 적어도 일부가 안착된다. 상기 부품안착부(21)는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고정장치(20)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상기 블럭본체(10)에는 상기 설치부품의 고정을 위한 부품고정장치(20)가 구비된다. 상기 부품고정장치(20)는 상기 설치부품을 고정해서 설치부품이 유동하지 않도록 하고, 또한 설치부품이나 블럭본체(10)의 제조과정에서 발생되는 제조오차를 어느 정도 보상해서 상기 설치부품이 정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상기 부품고정장치(20)를 설명하면, 상기 부품고정장치(20)는 설치부품의 설치경로를 따라 구비되어 상기 설치부품을 고정해준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설치부품은 버스바(50)로, 상기 버스바(50)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양쪽의 서로 다른 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해준다.
도 2를 보면, 상기 버스바(50)는 얇은 판상의 몸체부(51)와, 상기 몸체부(51)의 양단에 각각 구비된 제1연결부(52) 및 제2연결부(54)를 포함한다. 상기 제1연결부(52)와 상기 제2연결부(54)는 상기 몸체부(51)에서 절곡되는데, 상기 제1연결부(52)는 상기 설치공간(13)의 바닥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2연결부(54)는 상기 몸체부(51)와 나란한 방향으로 절곡된다.
상기 제1연결부(52)에는 제1연결홀(53)이 관통되고, 상기 제2연결부(54)에는 제2연결홀(55)이 관통된다. 상기 제1연결홀(53)과 상기 제2연결홀(55)에는 각각 별도의 부품이 연결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제1연결홀(53)과 상기 제2연결홀(55) 중 어느 하나에는 퓨즈가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버스바(50)는 상기 부품고정장치(20)에 세워지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세워지는 방향이란, 상기 몸체부(51)의 폭 보다 높이가 큰 방향으로 상기 버스바(50)가 설치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렇게 설치되면 상기 버스바(50)의 저면이 상기 설치공간(13)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줄어들어, 자동차용 블럭 내부의 공간활용률을 높일 수 있다.
이렇게 상기 버스바(50)가 세워지는 방향으로 설치되기 위한 구조는 상기 부품고정장치(20)가 제공할 수 있다. 도 2를 보면, 상기 부품고정장치(20)는 크게 제1고정펜스(22)와 제2고정펜스(24)로 구성된다고 볼 수 있는데, 상기 제1고정펜스(22)와 제2고정펜스(24)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세워지고, 그 사이에 부품수납공간(미도시)을 만든다. 상기 부품수납공간에는 상기 버스바(50)의 몸체부(51)가 수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펜스(22)와 제2고정펜스(24)는 각각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제1고정펜스(22)와 상기 제2고정펜스(24)는 각각 상기 설치공간(13)의 바닥, 즉 상기 부품안착부(21)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는데, 일종의 외팔보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제1고정펜스(22)와 상기 제2고정펜스(24)는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버스바(50)가 상기 부품수납공간에 삽입될 때, 상기 제1고정펜스(22)와 제2고정펜스(24)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었다가 다시 복원됨으로써 상기 버스바(50)를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품수납공간은 상기 제1고정펜스(22)와 상기 제2고정펜스(24)를 따라 연속적 또는 비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펜스(22)와 상기 제2고정펜스(24)는 상기 버스바(50)의 몸체부(51) 전체를 감싸는 것이 아니라, 일부 구간의 몸체부(51)만 감쌀 수도 있다. 도 5를 보면, 상기 제1고정펜스(22)와 상기 제2고정펜스(24)는 상기 버스바(50)의 제1연결부(52)에 가까운 일부만 감싸고 있고, 상기 몸체부(51)의 나머지 부분은 노출되어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1고정펜스(22)와 상기 제2고정펜스(24)는 상기 제1연결홀(53)에 체결구를 넣고 공구로 강하게 체결할 때, 공구의 토크가 가해지는 제1연결홀(53) 주변을 견고하게 고정해줄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고정펜스(22)와 상기 제2고정펜스(24)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각각 제1고정턱 및 제2고정턱이 돌출되어 상기 설치부품의 표면을 걸어 고정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부품고정장치(20)에는 제3고정펜스(26)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제3고정펜스(26)는 상기 버스바(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고정펜스(22)와 상기 제2고정펜스(24)와 이웃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버스바(50)의 적어도 한쪽 표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고정펜스(26)는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부품고정장치(20)는 상기 부품안착부(21)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버스바(50)가 상기 부품고정장치(20)에 고정되면 상기 버스바(50)는 상기 부품안착부(21)로부터 상기 블럭커버(30)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버스바(50)는 바닥면에 설치된 와이어나 기타 부품과의 간섭이 줄어들게 되고, 자동차용 블럭의 설치공간(13)을 다층(多層)으로 구성하여 부품들을 더욱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펜스(22)와 상기 제2고정펜스(24)의 사이에 마련된 부품수납공간에는 상기 버스바(50)가 세워지는 방향으로 수납되고, 상기 제1고정펜스(22)와 상기 제2고정펜스(24)는 상기 버스바(50) 이외의 다른 부품들이 설치되는 장착부와 상기 부품수납공간을 구획하는 역할도 한다. 즉, 상기 제1고정펜스(22)와 상기 제2고정펜스(24)는 다른 부품과 상기 버스바(50)를 구획하여, 이들 사이의 접촉을 방지해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고정펜스(22)와 상기 제2고정펜스(24)는 부품간 간섭에 의한 쇼트 등을 방지해줄 수도 있다.
미설명부호 28은 가이드리브로, 상기 가이드리브(28)는 상기 제3고정펜스(26)와 인접한 위치에 돌출되어 상기 버스바(50)의 측면 또는 저면 일부를 지지해줄 수 있다. 상기 가이드리브(28)는 상기 버스바(50)가 설치되는 경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상기 블럭본체(10)에는 상기 블럭커버(30)가 조립된다. 상기 블럭커버(30)는 상기 블럭본체(10)에 조립되어 상기 설치공간(13)을 덮는 것으로, 상기 블럭본체(10)와 마찬가지로 대략 육면체 형상이다. 상기 블럭커버(30)의 외곽을 형성하는 커버바디(31)의 안쪽은 상기 설치공간(13)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커버바디(31)의 외면에는 조립후크(32)가 있다. 상기 조립후크(32)는 상기 본체바디(11)의 상기 조립턱(12)에 걸리는 것으로, 상기 조립후크(32)가 상기 조립턱(12)에 걸리면 상기 블럭본체(10)와 상기 블럭커버(30)가 서로 조립된 상태가 된다. 상기 블럭본체(10)와 상기 블럭커버(30)가 서로 조립되면, 상기 설치공간(13)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커버바디(31)에는 파지공간(34)이 있다. 상기 파지공간(34)은 상기 커버바디(31)가 함몰된 형상으로 만들어진 것인데, 도 2와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설치공간(13)의 부피를 줄이는 방향으로 함몰되어 있다. 상기 파지공간(34)은 자동차용 블럭의 전체 부피를 줄이고, 작업자는 상기 파지공간(34)을 파지하여, 자동차용 블럭을 보다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파지공간(34)은 상기 블럭커버(30)에 다수개가 존재할 수도 있다. 도 2에서 보듯이, 본 실시례에서 상기 파지공간(34)은 상기 블럭커버(30)의 양쪽면에 각각 다수개가 형성된다. 이러한 파지공간(34) 중 일부는 상기 부품안착부(21)가 노출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품안착부(21)가 노출된 부분은 외부의 다른 부품이 연결되는 부분이 될 수 있는데, 이러한 부분을 활용해서 파지공간(34)을 마련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를 보면, 상기 블럭커버(30)의 배면(31')에는 파지턱(39)이 있다. 상기 파지턱(39)은 상기 블럭커버(30)의 표면에서 돌출된 것으로,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상기 파지턱(39)은 작업자가 상기 파지공간(34)을 보다 쉽게 파지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일종의 걸림구조로 볼 수 있다.
본 실시례예서 상기 파지턱(39)은 상기 파지공간(34)의 반대편에 구비된다. 이렇게 되면, 작업자가 상기 파지공간(34)과 상기 파지턱(39)을 한 손으로 모두 용이하게 잡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엄지로 상기 파지턱(39)을 잡고, 나머지 손가락으로 상기 파지공간(34)의 표면을 잡으면 보다 쉽게 상기 블럭커버(30)를 옮길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블럭커버(30)에는 방열부(35,36)가 있다. 상기 방열부(35,36)는 상기 블럭커버(30)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만들어지고, 상기 설치공간(S)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서 발열부품(70)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방열부(35,36)는 방열홀(35)과, 상기 방열홀(35)들 사이사이에 배치되는 구획바(36)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방열홀(35)을 보면, 상기 방열홀(35)은 상기 블럭커버(30)를 관통해서 만들어지는 일종의 구멍으로, 상기 방열홀(35)은 상기 설치공간(13)을 외부로 연결시켜줄 수 있다.
상기 방열홀(35)을 통해서 발열부품(70)에서 발생하는 열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외기가 상기 방열홀(35)을 통해 유입되고, 상기 발열부품(70)과 열교환한 후에 다시 방열홀(3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서 상기 발열부품(70)의 온도가 낮아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방열홀(35)은 상기 블럭커버(30)에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는데, 도 3에서 보듯이 본 실시례에서 상기 방열홀(35)은 한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이들이 서로 나란하게 연장된다. 상기 방열홀(35)의 길이는 설치위치에 따라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방열홀(35)은 발열부품(70)과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방열홀(35)의 아래쪽에는 발열부품(70)이 위치하여 방열홀(35)을 통해 효과적으로 방열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발열부품(70)은 릴레이인데, 이와 달리 상기 발열부품(70)은 다양한 전기부품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와 도 6을 보면, 상기 방열홀(35)의 사이사이에는 구획바(36)가 있다. 상기 구획바(36)는 상기 방열홀(35)이 생략된 위치에 있는 블럭커버(30)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방열부(35,36)는 블럭커버(30)의 상면에만 구비되어 있지만, 이와 달리 상기 블럭커버(30)의 측면이나 상기 블럭본체(10)에도 상기 방열부(35,36)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구획바(36)의 저면(36a)에는 방열리브(37)가 있다. 도 6 및 도 7을 보면, 상기 방열리브(37)는 상기 구획바(36)의 저면(36a)에서 상기 발열부품(70)을 향해 돌출된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방열리브(37)는 상기 구획바(36)의 저면(36a)에서 상기 구획바(36)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방열리브(37)는 상기 구획바(36)의 저면(36a)에서 가장자리에 가까운 일부 구간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열리브(37)는 (i) 상기 방열홀(35)로 인해 약해진 상기 구획바(36)의 강도를 보강해줄 수 있고, (ii) 방열공간(Sa)에서 가열된 공기가 상기 방열홀(35)을 통해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일종의 경로안내역할도 할 수 있다.
상기 방열리브(37)로 인해서 상기 구획바(36)의 횡단면은 대략 'T'자 형상이 된다. 이때, 상기 방열리브(37)가 상기 발열부품(70)을 향해 돌출되는 길이는 상기 구획바(36)의 중심부 보다 상기 구획바(36)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보면, 상기 방열리브(37)는 상기 구획바(36)의 중심 보다 가장자리 부분에서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어 있다. 이것은 상대적으로 강도가 취약한 상기 구획바(36)의 가장자리 부분을 더 보완해주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방열리브(37)의 폭은 상기 구획바(36)의 폭 보다 좁다. 여기서 폭이란, 도 8에서 보듯이 상기 구획바(36)의 횡단면의 좌우폭과, 상기 방열리브(37)의 횡단면의 좌우폭을 의미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구획바(36)의 횡단면은 대략 'T'자 형상이 되고, 이러한 'T'자 형상은 공기가 보다 원활하게 빠져나갈 수 있는 경로를 만들어준다. 참고로 도 6과 도 8의 화살표는 공기가 배출되는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특히, 상기 방열리브(37)가 상기 발열부품(70)을 향해 돌출되는 길이는 상기 구획바(36)의 두께 보다 크게 형성되는데, 이렇게 되면 상기 방열리브(37)들은 상기 방열공간(Sa)을 구획하는 일종의 구획펜스 역할도 할 수 있다. 상기 방열리브(37)가 구획펜스 역할을 하면, 방열공간(Sa)의 가열된 공기가 배출되는 경로를 보다 확실하게 구획하여 원활한 공기배출을 도울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구획바(36)의 측면과 이웃한 다른 구획바(36)의 측면의 사이에는 상기 방열홀(3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구획바(36)의 측면은 경사면(36') 또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구획바(36)의 폭은 상기 발열부품(70)을 향해 점점 좁아질 수 있다. 도 8을 보면, 상기 구획바(36)의 측면에는 경사면(36')이 형성되어 상기 방열홀(35)의 폭은 상부로 갈수록 점점 좁아진다. 이러한 경사면(36')도 결국 방열공간(Sa)의 공기가 보다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돕는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블럭본체 13: 설치공간
20: 부품고정장치 22: 제1고정펜스
24: 제2고정펜스 26: 제3고정펜스
30: 블럭커버 34: 파지공간
35: 방열홀 36: 구획바
37: 방열리브 39: 파지턱
50: 버스바 51: 몸체부
52: 제1연결부 54: 제2연결부
70: 발열부품

Claims (11)

  1. 내부에는 설치공간이 마련되는 블럭본체;
    상기 블럭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설치공간을 차폐하는 블럭커버;와
    상기 블럭커버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만들어지고, 상기 설치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방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부에는 다수개의 방열홀들과, 상기 다수개의 방열홀들의 사이에 배치되는 구획바가 포함되고, 상기 구획바의 저면에는 상기 설치공간을 향해 방열리브가 돌출되는 방열부를 갖는 자동차용 블럭.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열홀은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된 발열부품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는 방열부를 갖는 자동차용 블럭.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열리브는 상기 구획바의 저면에서 상기 발열부품을 향해 돌출되는 방열부를 갖는 자동차용 블럭.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열리브는 상기 구획바의 저면에서 상기 구획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방열부를 갖는 자동차용 블럭.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방열리브가 상기 발열부품을 향해 돌출되는 길이는 상기 구획바의 중심부 보다 상기 구획바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더 길게 형성되는 방열부를 갖는 자동차용 블럭.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열리브의 폭은 상기 구획바의 폭 보다 좁은 방열부를 갖는 자동차용 블럭.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방열리브가 상기 발열부품을 향해 돌출되는 길이는 상기 구획바의 두께 보다 큰 방열부를 갖는 자동차용 블럭.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열리브는 상기 구획바의 저면에서 가장자리에 가까운 일부 구간에 구비되는 방열부를 갖는 자동차용 블럭.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획바의 측면과 이웃한 다른 구획바의 측면의 사이에는 상기 방열홀이 형성되고, 상기 구획바의 측면은 경사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구획바의 폭은 상기 발열부품을 향해 점점 좁아지는 방열부를 갖는 자동차용 블럭.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럭커버에는 상기 설치공간을 좁히는 방향으로 함몰된 파지공간이 형성되는 방열부를 갖는 자동차용 블럭.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파지공간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블럭커버의 표면에는 파지턱이 돌출되는 방열부를 갖는 자동차용 블럭.

KR1020200131249A 2020-10-12 2020-10-12 방열부를 갖는 자동차용 블럭 KR202200482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249A KR20220048278A (ko) 2020-10-12 2020-10-12 방열부를 갖는 자동차용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249A KR20220048278A (ko) 2020-10-12 2020-10-12 방열부를 갖는 자동차용 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278A true KR20220048278A (ko) 2022-04-19

Family

ID=81391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249A KR20220048278A (ko) 2020-10-12 2020-10-12 방열부를 갖는 자동차용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4827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167B1 (ko) 2006-07-31 2012-09-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정션 박스 냉각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167B1 (ko) 2006-07-31 2012-09-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정션 박스 냉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60914B2 (ja) 電気接続箱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JP6176126B2 (ja) 配線モジュールおよび蓄電モジュール
US10818895B2 (en) Bus bar module and power supply unit
JP6634604B2 (ja) バスバーモジュール、バッテリ監視モジュールおよびバッテリモジュール
WO2014156787A1 (ja) 電池集合体のダクト保持構造
US9893340B2 (en) Battery wiring module
WO2017195546A1 (ja) 接続モジュール
US20180301310A1 (en) Fuse assembly
US6629850B2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for a vehicle
EP2908361B1 (en) Wiring module
KR20140042667A (ko) 축전 장치
JP6928574B2 (ja) プロテクタ、接続モジュール、および、接続モジュールの端部連結部材
CN109148803B (zh) 导体模块装接结构
KR20220048278A (ko) 방열부를 갖는 자동차용 블럭
US11289775B2 (en) Battery wiring module including elastic joiners
KR20220048277A (ko) 부품고정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용 블럭
JP7409454B2 (ja) 電池配線モジュール
JP7047774B2 (ja) 蓄電装置
JP2021106088A (ja) 電池配線モジュール
WO2021006109A1 (ja) 電気接続箱
JP6542627B2 (ja) カバー部材、及び、電気接続箱
WO2021006108A1 (ja) 電気接続箱
KR20190106514A (ko) 자동차용 블럭
WO2022168649A1 (ja) 電気接続箱
CN113054327B (zh) 汇流条模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