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1977B1 -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11977B1 KR101711977B1 KR1020110109357A KR20110109357A KR101711977B1 KR 101711977 B1 KR101711977 B1 KR 101711977B1 KR 1020110109357 A KR1020110109357 A KR 1020110109357A KR 20110109357 A KR20110109357 A KR 20110109357A KR 101711977 B1 KR101711977 B1 KR 1017119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condary battery
- cap plate
- fuse
- resistance value
- electrode assembl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4734 Polyphenylene sulf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0069 polyphenylene sulf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8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2
- 208000028659 discharge Diseases 0.000 description 27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8151 electrolyt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149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10 jell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74 jell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55 nonaqueous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tempera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9/00—Protective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causes the closing of contacts, e.g. for short-circuiting the apparatus to be protecte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3—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in response to tempera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1—Metal or alloys, e.g. alloy coat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5—Composit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70—Carriers or collec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6—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4—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eads or tab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8—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wound or folded electrode stack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3—Fus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퓨즈부가 끊어진 후, 퓨즈부에서 아크를 방지하는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세퍼레이터의 양면에 전극을 구비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내장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구에 결합되는 캡 플레이트, 상기 캡 플레이트에 관통 설치되는 전극단자, 상기 캡 플레이트 내측에서 퓨즈부를 구비하여 상기 전극단자와 상기 전극 조립체를 연결하는 리드 탭, 및 상기 퓨즈부의 양측을 절연 또는 통전시키도록 상기 퓨즈부의 제1 저항 값보다 높은 제2 저항 값을 가지고 형성되는 보조 방전 경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기재는 외부 단락 후 안전성을 가지는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rechargeable battery)는 일차전지와 달리 충전 및 방전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전지이다. 소용량의 이차 전지는 휴대폰이나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와 같이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대용량 이차 전지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최근 들어 고에너지 밀도의 비수전해액을 이용한 고출력 이차 전지가 개발되고 있다. 고출력 이차 전지는 복수의 이차 전지를 직렬로 연결하여 구성되며, 대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기, 예를 들면, 전기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에 사용될 수 있다.
이차 전지는 세퍼레이터(separator)의 양면에 양극(positive electrode)과 음극(negative electrode)을 구비하여 형성되는 전극 조립체, 전극 조립체를 내장하는 케이스, 케이스의 개구를 밀폐하는 캡 플레이트, 및 캡 플레이트에 관통 설치되어 전극 조립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단자를 포함한다.
이차 전지에서, 충전 및 방전이 반복되므로 케이스 내부에서 과도한 열이 발생되거나 전해액이 분해될 수 있다. 이러한 열 발생 또는 전해액 분해는 이차 전지의 내부 압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내부 압력 상승은 이차 전지의 발화 또는 폭발을 발생시킬 수 있다.
내부 압력 상승에 따른 발화 및 폭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케이스의 외부에 외부 단락부가 구비될 수 있다. 외부 단락부는, 이차 전지의 내부 압력 상승시, 전극 조립체의 음극과 양극을 이차 전지의 외부에서 단락시킨다. 외부 단락부가 단락 작동되면, 대전류의 방전으로 전극 조립체의 충전상태가 낮아진다. 대전류의 방전에 의하여, 전극 조립체와 전극단자를 연결하는 방전 라인에서 약한 부분이 녹아서 끊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외부 단락이나 과충전시, 방전 라인을 효과적으로 끊기 위하여, 이차 전지는 전극단자와 전극 조립체를 연결하는 리드 탭에 퓨즈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퓨즈부는 녹아서 끊어진 후, 끊어진 간격이 좁을 경우, 끊어진 부분에서 아크(arc)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차 전지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아크는 전해액에 작용하여, 발화 또는 폭발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이차 전지의 안전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퓨즈부가 끊어진 후, 퓨즈부에서 아크 발생을 방지하는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세퍼레이터의 양면에 전극을 구비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내장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구에 결합되는 캡 플레이트, 상기 캡 플레이트에 관통 설치되는 전극단자, 상기 캡 플레이트 내측에서 퓨즈부를 구비하여 상기 전극단자와 상기 전극 조립체를 연결하는 리드 탭, 및 상기 퓨즈부의 양측을 절연 또는 통전시키도록 상기 퓨즈부의 제1 저항 값보다 높은 제2 저항 값을 가지고 형성되는 보조 방전 경로를 포함한다.
상기 리드 탭은, 상기 전극단자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전극 조립체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퓨즈부는 상기 제1 연결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방전 경로는, 상기 제2 저항 값을 가지고, 상기 리드탭의 상기 퓨즈부를 인서트 사출하여 형성되는 인서트 사출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방전 경로는, 상기 제2 저항 값을 가지고, 상기 캡 플레이트의 내면에서 상기 인서트 사출부와 상기 리드 탭을 절연하는 절연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서트 사출부 및 상기 절연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70~90 중량%, 및 카본 10~30중량%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서트 사출부 및 상기 절연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polyphenylenesulfide) 70~90 중량%, 및 카본 10~30중량%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방전 경로는, 상기 제2 저항 값을 가지고, 상기 캡 플레이트의 내면에서 상기 리드 탭을 절연하는 절연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저항 값은, 10 ~ 1*106 ohm*cm일 수 있다.
상기 보조 방전 경로는, 상기 제2 저항 값을 가지고, 상기 리드 탭의 상기 퓨즈부의 양측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드 탭은 알루미늄 또는 구리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스테인레스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단자는, 상기 캡 플레이트에 절연 구조로 설치되는 음극단자, 및 상기 캡 플레이트에 통전 구조로 설치되는 양극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퓨즈부는 상기 양극단자 측에서 상기 리드 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방전 경로는, 상기 양극단자 측에서, 상기 퓨즈부의 양측을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드 탭에 구비되는 퓨즈부의 양측을 보조 방전 경로로 연결함으로써, 정상 작동시, 보조 방전 경로의 높은 저항 값에 의하여 퓨즈부를 통하여 방전 경로가 형성되고, 외부 단락으로 퓨즈부가 끊어진 후, 보조 방전 경로로 고전압 전류를 방전하므로 퓨즈부에서 아크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리드 탭과 절연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Ⅲ-Ⅲ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서 리드 탭과 절연부재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서 리드 탭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리드 탭과 절연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Ⅲ-Ⅲ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서 리드 탭과 절연부재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서 리드 탭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전류를 충전 및 방전하는 전극 조립체(10), 전극 조립체(10)를 내장하는 케이스(15), 케이스(15)의 개구에 결합되는 캡 플레이트(20), 캡 플레이트(20)에 설치되는 제1 전극단자(이하 "음극 단자"라 한다)(21)와 제2 전극단자(이하 "양극 단자"라 한다)(22), 음극 단자(21) 측에 구비되는 외부 단락부(50), 및 양극 단자(22) 측에 구비되는 퓨즈부(60)(도 3 참조)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전극 조립체(10)는 절연체인 세퍼레이터(13)의 양면에 제1 전극(이하, "음극"이라 한다)(11)과 제2 전극(이하, "양극"이라 한다)(12)을 배치하고, 음극(11), 세퍼레이터(13) 및 양극(12)을 젤리롤 상태로 귄취하여 형성된다.
또한, 전극 조립체는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단일 판으로 이루어지는 음극과 양극을 적층하여 조립되거나, 음극, 세퍼레이터 및 양극을 지그재그 방식으로 접어서 적층하여 조립될 수 있다(미도시).
음극(11) 및 양극(12)은, 각각 금속판의 집전체에 활물질을 도포한 코팅부(11a, 12a), 및 활물질을 도포하지 않아서 노출된 집전체로 형성되는 무지부(11b, 12b)를 포함한다.
음극(11)의 무지부(11b)는 권취되는 음극(11)을 따라 음극(11)의 한 쪽 단부에 형성된다. 양극(12)의 무지부(12b)는 권취되는 양극(12)을 따라 양극(12)의 한 쪽 단부에 형성된다. 무지부들(11b, 12b)은 전극 조립체(10)의 양단에 각각 배치된다.
예를 들면, 케이스(15)는 내부에 전극 조립체(10)와 전해액을 수용하는 공간을 설정하도록 대략 직육면체로 이루어지며, 외부와 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개구를 직육면체의 일면에 형성한다. 개구는 전극 조립체(10)를 케이스(15)의 내부로 삽입할 수 있게 한다.
캡 플레이트(20)는 얇은 강판으로 이루어져 케이스(15)의 개구에 설치됨으로써 케이스(15)를 밀폐한다. 캡 플레이트(20)는 전해액 주입구(29)와 벤트 홀(24)을 더 구비한다.
전해액 주입구(29)는 케이스(15)에 캡 플레이트(20)를 결합한 후, 케이스(15) 내부로 전해액의 주입을 가능하게 한다. 전해액 주입 후, 전해액 주입구(29)는 밀봉 마개(27)로 밀봉된다.
벤트 홀(24)은 이차 전지의 내부 압력을 배출할 수 있도록 벤트 플레이트(25)로 밀폐된다. 이차 전지의 내부 압력이 설정 압력에 이르면, 벤트 플레이트(25)가 절개되어 벤트 홀(24)을 개방한다. 벤트 플레이트(25)는 절개를 유도하는 노치(25a)를 가진다.
음극 단자(21) 및 양극 단자(22)는 캡 플레이트(20)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전극 조립체(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음극 단자(21)는 전극 조립체(10)의 음극(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양극 단자(22)는 전극 조립체(10)의 양극(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전극 조립체(10)는 음극 단자(21) 및 양극 단자(22)를 통하여 케이스(15)의 외부로 인출된다.
음극 단자(21)와 양극 단자(22)는 캡 플레이트(20)의 내측에서 서로 동일 구조를 형성하므로 동일 구조에 대하여 함께 설명하고, 캡 플레이트(20)의 외측에서 서로 다른 구조를 형성하므로 다른 구조에 대하여 각각 별도로 설명한다.
음, 양극 단자(21, 22)는 캡 플레이트(20)의 단자홀(311, 312)에 각각 설치되는 리벳 터미널(21a, 22a), 캡 플레이트(20)의 내측에서 리벳 터미널(21a, 22a)에 일체로 넓게 형성되는 플랜지(21b, 22b), 및 캡 플레이트(20)의 외측에 배치되어 리벳 터미널(21a, 22a)에 리벳팅 또는 용접으로 연결되는 플레이트 터미널(21c, 22c)를 포함한다.
음, 양극 개스킷(36, 37)은 음, 양극 단자(21, 22)의 리벳 터미널(21a, 22a)과 캡 플레이트(20)의 단자홀(311, 312) 내면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음, 양극 단자(21, 22)의 리벳 터미널(21a, 22a)과 캡 플레이트(20) 사이를 실링한다. 음, 양극 개스킷(36, 37)은 플랜지(21b, 22b)와 캡 플레이트(20)의 내면 사이에 더 연장 설치되어, 플랜지(21b, 22b)와 캡 플레이트(20) 사이를 더 실링한다. 즉 음, 양극 개스킷(36, 37)은 캡 플레이트(20)에 음, 양극 단자(21, 22)를 설치함으로써 단자홀(311, 312)을 통하여 전해액이 새는 것(leak)을 방지한다.
한편, 전극 조립체(10)는 복수 개로 형성된다(도 3 참조). 따라서 전극 조립체들(10)에서 각각의 음극들(11)은 음극 리드 탭(31)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양극들(12)은 양극 리드 탭(32)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은 전극 조립체를 1개로 형성하는 이차 전지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음, 양극 리드 탭(31, 32)은 음, 양극 단자(21, 22)를 전극 조립체(10)의 음, 양극(11, 12)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즉 음, 양극 리드 탭(31, 32)을 리벳 터미널(21a, 22a)의 하단에 결합하여 하단을 코킹(caulking)함으로써, 음, 양극 리드 탭(31, 32)은 플랜지(21b, 22b)에 지지되면서 리벳 터미널(21a, 22a)의 하단에 연결된다.
음, 양극 절연부재(41, 42)는 음, 양극 리드 탭(31, 32)과 캡 플레이트(20)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음, 양극 리드 탭(31, 32)과 캡 플레이트(20)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또한 음, 양극 절연부재(41, 42)는 일측으로 캡 플레이트(20)에 결합되고 다른 일측으로 음, 양극 리드 탭(31, 32)과 리벳 터미널(21a, 22a) 및 플랜지(21b, 22b)를 감싸므로 이들의 연결 구조를 안정시킨다.
한편, 플레이트 터미널(21c)과 관련하여 외부 단락부(5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외부 단락부(50)는 내부 압력에 따라 이격 또는 단락되는 단락 탭(51)과 단락부재(53)를 포함한다.
단락 탭(51)은 음극 단자(21)의 리벳 터미널(21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절연부재(38)를 개재하여 캡 플레이트(20)의 외측에 배치된다. 절연부재(38)는 단락 탭(51)과 캡 플레이트(20) 사이에 설치되어, 단락 탭(51)과 캡 플레이트(20)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즉 캡 플레이트(20)는 음극 단자(21)에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이다.
단락 탭(51)과 터미널 플레이트(21c)를 리벳 터미널(21a)의 상단에 결합하여 상단을 코킹함으로써, 단락 탭(51)과 터미널 플레이트(21c)는 리벳 터미널(21a)의 상단에 결합된다. 따라서 단락 탭(51)과 터미널 플레이트(21c)는 절연부재(38)를 개재한 상태로 캡 플레이트(20)에 고정 지지된다.
단락부재(53)는 캡 플레이트(20)의 단락 홀(23)에 설치된다. 단락 탭(51)은 음극단자(21)에 연결되어 단락부재(53)를 향하여 신장된다. 따라서 단락 홀(23)에서 단락 탭(51)과 단락부재(53)는 서로 마주하여 이격 상태(실선 상태) 또는 단락 상태(가상선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즉 이차 전지의 내부 압력이 상승할 때, 단락부재(53)는 도 2의 실선 상태에서 가상선 상태로 변형되어 단락 탭(51)에 접촉된다. 따라서 단락 탭(51)과 캡 플레이트(2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극 조립체(10)의 단락 상태를 유지한다. 단락시, 단락 탭(51)과 단락부재(53)를 통하여, 음, 양극단자(21, 22) 사이에서 순간적으로 고전압 전류가 방전된다. 이때, 전극 조립체(10)와 음, 양극단자(21, 22)를 연결하는 방전 라인에서 퓨즈부(60)가 녹아서 끊어질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리드 탭과 절연부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Ⅲ-Ⅲ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도 3 및 도 4는 양극 리드 탭(32)과 양극 절연부재(42)를 도시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퓨즈부(60)는 양극 단자(22) 측에 구비된다. 외부 단락부(50)의 작동으로 고전압의 전류를 방전함에 따라 퓨즈부(60)는 녹아서 끊어질 수 있도록 양극 리드 탭(32)에 구비된다.
양극 리드 탭(32)은 양극 단자(22)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321)와 제1 연결부(321)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전극 조립체(10)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322)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퓨즈부(60)는 제1 연결부(321)에 제1 연결부(321)의 폭 방향(도 3에서, y축 방향) 양측에서 제1 연결부(321)의 폭(W) 보다 좁은 폭(W1, W2)을 가지고 전기 저항을 증가시키는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퓨즈부(60)가 제1 연결부(321)에서 폭 방향 양측에 형성되므로 퓨즈부(60) 형성에 따른 제1, 제2 연결부(321, 322)의 기계적인 강도 저하를 줄일 수 있다.
퓨즈부(60)는 이차 전지의 정상 구동시 방전 경로를 형성하며, 본 실시예의 이차 전지는 외부 단락으로 퓨즈부(60)가 녹아서 끊어진 경우에 고전압 전류를 방전시키는 보조 방전 경로(P2)를 더 형성한다.
즉 보조 방전 경로(P2)는 이차 전지가 정상 구동하는 경우에는 절연 구조를 형성하고, 퓨즈부(60)가 녹아서 끊어진 경우에는 통전 구조를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퓨즈부(60)는 낮은 제1 저항 값을 가지고, 보조 방전 경로(P2)는 제1 저항 값보다 높은 제2 저항 값을 가진다.
예를 들면, 제1 실시예서 보조 방전 경로(P2)는 양극 리드탭(32)의 퓨즈부(60)를 인서트 사출하여 형성되는 인서트 사출부(61)로 형성될 수 있다. 퓨즈부(60)가 정상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인서트 사출부(61)의 고저항에 의하여 전류가 차단되고, 정상 전류는 퓨즈부(60)를 통하여 방전된다(P1).
그러나 퓨즈부(60)가 녹아서 끊어져 고전압 전류가 흐르는 경우, 인서트 사출부(61)의 고저항에도 불구하고 고전압 전류는 인서트 사출부(61)를 통하여 방전된다(P2). 따라서 퓨즈부(60)의 끊어진 사이 부분에서 아크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보조 방전 경로(P2, P3)는 양극 리드탭(32)의 퓨즈부(60)를 인서트 사출하여 형성되는 인서트 사출부(61) 및 양극 리드탭(32)의 제1 연결부(321)를 절연 지지하는 양극 절연부재(42)로 형성될 수 있다. 퓨즈부(60)가 정상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인서트 사출부(61) 및 양극 절연부재(42)의 고저항에 의하여 전류가 차단되고, 정상 전류는 퓨즈부(60)를 통하여 방전된다(P1).
그러나 퓨즈부(60)가 녹아서 끊어져 고전압 전류가 흐르는 경우, 인서트 사출부(61) 및 양극 절연부재(42)의 고저항에도 불구하고 고전압 전류는 인서트 사출부(61) 및 양극 절연부재(42)를 통하여 방전된다(P2, P3). 따라서 퓨즈부(60)의 끊어진 사이 부분에서 아크가 발생되지 않는다. 인서트 사출부(61)와 양극 절연부재(42)의 저항 값에 따라 보조 방전 경로(P2, P3)로 흐르는 고전압 전류량에 차이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동일 저항 값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인서트 사출부(61) 또는 인서트 사출부(61)와 양극 절연부재(42)는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70~90 중량%, 및 카본 10~30중량%로 형성되거나,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polyphenylenesulfide) 70~90 중량%, 및 카본 10~30중량%로 형성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과 폴리페닐렌설파이드는 인서트 사출부(61)와 양극 절연부재(42)에 절연성을 부여하여 함유량의 증가에 따라 전기 저항 값을 높이고, 카본은 인서트 사출부(61)와 양극 절연부재(42)에 통전성을 부여하여 함유량의 증가에 따라 전기 저항 값을 낮춘다.
따라서 제2 저항 값은 10 ~ 1*106 ohm*cm인 범위를 가진다. 제2 저항 값을 가지는 인서트 사출부(61) 및 양극 절연부재(42)는 이차 전지가 정상 작동 시, 방전 전류에 대하여 절연재로 작용하고, 고전압의 방전 전류에 대하여 도전재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저항 값이 10ohm*cm보다 낮은 경우, 인서트 사출부 또는 양극 절연부재는 이차 전지가 정상 작동 시, 사용 환경의 변화에 따라 정상 전류에 대하여 도전재로 오작동되어, 이차 전지를 외부 단락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저항 값이 1*106ohm*cm보다 높은 경우, 인서트 사출부 또는 양극 절연부재는 이차 전지가 외부 단락 시, 고전압의 전류에 대해서도 절연재로 오작동되어, 고전압 전류를 방전시키지 못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며, 제1 실시예 및 기 설명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예는 인서트 사출부(61)로 보조 방전 경로(P2)를 형성하고, 인서트 사출부(61)와 양극 절연부재(42)로 보조 방전 경로(P2, P3)를 형성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서 리드 탭과 절연부재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보조 방전 경로(P3)는 양극 리드탭(32)의 퓨즈부(60)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양극 절연부재(42)로 형성될 수 있다. 퓨즈부(60)가 정상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양극 절연부재(42)의 고저항에 의하여 전류가 차단되고, 정상 전류는 퓨즈부(60)를 통하여 방전된다(P1).
그러나 퓨즈부(60)가 녹아서 끊어져 고전압 전류가 흐르는 경우, 양극 절연부재(42)의 고저항에도 불구하고 고전압 전류는 양극 절연부재(42)를 통하여 방전된다(P3). 따라서 퓨즈부(60)의 끊어진 사이 부분에서 아크가 발생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서 리드 탭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보조 방전 경로(P4)는 제2 저항 값을 가지고, 양극 리드 탭(32)의 퓨즈부(60)의 양측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62)로 형성된다. 연결 부재(62)는 일단으로 제1 연결부(321)의 하면에 용접 또는 코킹되고, 절곡되어 다른 일단으로 제2 연결부(322)의 측면에 용접 또는 코킹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대적으로 양극 리드 탭(32)은 전기적 저항이 낮은 알루미늄 또는 구리로 형성되고, 연결 부재(62)는 전기적 저항이 높은 스테인레스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퓨즈부(60)가 정상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연결 부재(62)의 고저항에 의하여 전류가 차단되고, 정상 전류는 퓨즈부(60)를 통하여 방전된다(P1).
그러나 퓨즈부(60)가 녹아서 끊어져 고전압 전류가 흐르는 경우, 연결 부재(62)의 고저항에도 불구하고 고전압 전류는 연결 부재(62)를 통하여 방전된다(P4). 따라서 퓨즈부(60)의 끊어진 사이 부분에서 아크가 발생되지 않는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 전극 조립체 11 : 제1 전극(음극)
11a, 12a : 코팅부 11b, 12b : 무지부
12 : 제2 전극(양극) 13 : 세퍼레이터
15 : 케이스 20 : 캡 플레이트
21 : 제1 단자(음극 단자) 21a, 22a : 리벳 터미널
21b, 22b : 플랜지 21c, 22c : 플레이트 터미널
21c, 22c : 터미널 플레이트 21a, 22a : 리벳 터미널
22 : 제2 단자(양극 단자) 23 : 단락 홀
24 : 벤트 홀 25 : 벤트 플레이트
25a : 노치 27 : 밀봉 마개
29 : 전해액 주입구 31, 32 : 음, 양극 리드 탭
36, 37 : 음, 양극 개스킷 38 : 절연부재
41, 42 : 음, 양극 절연부 50 : 외부 단락부
51 : 단락 탭 53 : 단락부재
60 : 퓨즈부 61 : 인서트 사출부
62 : 연결 부재 311, 312 : 단자홀
321, 322 : 제1, 제2 연결부 P1, P2, P3, P4 : 보조 방전 경로
W, W1, W2 : 폭
11a, 12a : 코팅부 11b, 12b : 무지부
12 : 제2 전극(양극) 13 : 세퍼레이터
15 : 케이스 20 : 캡 플레이트
21 : 제1 단자(음극 단자) 21a, 22a : 리벳 터미널
21b, 22b : 플랜지 21c, 22c : 플레이트 터미널
21c, 22c : 터미널 플레이트 21a, 22a : 리벳 터미널
22 : 제2 단자(양극 단자) 23 : 단락 홀
24 : 벤트 홀 25 : 벤트 플레이트
25a : 노치 27 : 밀봉 마개
29 : 전해액 주입구 31, 32 : 음, 양극 리드 탭
36, 37 : 음, 양극 개스킷 38 : 절연부재
41, 42 : 음, 양극 절연부 50 : 외부 단락부
51 : 단락 탭 53 : 단락부재
60 : 퓨즈부 61 : 인서트 사출부
62 : 연결 부재 311, 312 : 단자홀
321, 322 : 제1, 제2 연결부 P1, P2, P3, P4 : 보조 방전 경로
W, W1, W2 : 폭
Claims (12)
- 세퍼레이터의 양면에 전극을 구비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내장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구에 결합되는 캡 플레이트;
상기 캡 플레이트에 관통 설치되는 전극단자;
상기 캡 플레이트 내측에서, 상기 전극 조립체와 상기 전극단자 사이에 방전 경로를 설정하는 퓨즈부를 구비하여 상기 전극단자와 상기 전극 조립체를 연결하는 리드 탭; 및
상기 퓨즈부의 양측을 절연 또는 통전시키도록 상기 퓨즈부의 상기 방전 경로의 제1 저항 값보다 높은 제2 저항 값을 가지고, 상기 전극 조립체와 상기 전극단자 사이에 형성되는 보조 방전 경로
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방전 경로는
상기 리드 탭의 상기 퓨즈부를 인서트 사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저항 값을 가지는 인서트 사출부로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 사출부는
상기 퓨즈부의 마주하는 사이에 형성되는
이차 전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탭은,
상기 전극단자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전극 조립체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퓨즈부는
상기 제1 연결부에 구비되는
이차 전지.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방전 경로는,
상기 캡 플레이트의 내면에서 상기 인서트 사출부와 상기 리드 탭을 절연하고 상기 제2 저항 값을 가지는 절연부재로 더 형성되는
이차 전지.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사출부 및 상기 절연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70~90 중량%, 및 카본 10~30중량%로 형성되는
이차 전지.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사출부 및 상기 절연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polyphenylenesulfide) 70~90 중량%, 및 카본 10~30중량%로 형성되는
이차 전지.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저항 값은,
10 ~ 1*106 ohm*cm인 이차 전지.
- 세퍼레이터의 양면에 전극을 구비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내장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구에 결합되는 캡 플레이트;
상기 캡 플레이트에 관통 설치되는 전극단자;
상기 캡 플레이트 내측에서, 퓨즈부를 구비하여 상기 전극단자와 상기 전극 조립체를 연결하는 리드 탭; 및
상기 퓨즈부의 양측을 절연 또는 통전시키도록 상기 퓨즈부의 제1 저항 값보다 높은 제2 저항 값을 가지고 형성되는 보조 방전 경로
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방전 경로는,
상기 제2 저항 값을 가지고,
상기 리드 탭의 상기 퓨즈부의 양측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로 형성되는
이차 전지.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탭은 알루미늄 또는 구리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스테인레스강으로 형성되는
이차 전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단자는,
상기 캡 플레이트에 절연 구조로 설치되는 음극단자, 및
상기 캡 플레이트에 통전 구조로 설치되는 양극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퓨즈부는
상기 양극단자 측에서 상기 리드 탭에 형성되는
이차 전지.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방전 경로는,
상기 양극단자 측에서, 상기 퓨즈부의 양측을 연결하는
이차 전지.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9357A KR101711977B1 (ko) | 2011-10-25 | 2011-10-25 | 이차 전지 |
US13/446,951 US9209449B2 (en) | 2011-10-25 | 2012-04-13 | Rechargeable battery with fuse part and auxiliary discharge path |
EP12170240.1A EP2587567B1 (en) | 2011-10-25 | 2012-05-31 | Rechargeable batter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9357A KR101711977B1 (ko) | 2011-10-25 | 2011-10-25 | 이차 전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4965A KR20130044965A (ko) | 2013-05-03 |
KR101711977B1 true KR101711977B1 (ko) | 2017-03-06 |
Family
ID=46168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09357A KR101711977B1 (ko) | 2011-10-25 | 2011-10-25 | 이차 전지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9209449B2 (ko) |
EP (1) | EP2587567B1 (ko) |
KR (1) | KR10171197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159984B2 (en) * | 2011-11-25 | 2015-10-13 | Samsung Sdi Co., Ltd. | Rechargeable battery |
KR20140064487A (ko) * | 2012-11-20 | 2014-05-28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 모듈 |
DE102013208140A1 (de) * | 2013-05-03 | 2014-11-06 | Robert Bosch Gmbh | Batteriezelle mit einem mindestens einen Einschnitt aufweisenden Elektrodenwickel |
KR20140137180A (ko) * | 2013-05-22 | 2014-12-02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 |
KR101696010B1 (ko) | 2013-06-19 | 2017-01-12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 |
US10333113B2 (en) | 2013-06-19 | 2019-06-25 | Samsung Sdi Co., Ltd. | Rechargeable battery having retainer |
KR101744087B1 (ko) * | 2013-06-25 | 2017-06-07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 |
JP6155956B2 (ja) * | 2013-08-13 | 2017-07-05 | 株式会社Gsユアサ | 蓄電素子 |
KR101724006B1 (ko) * | 2013-09-13 | 2017-04-06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 |
KR101754609B1 (ko) * | 2013-11-20 | 2017-07-06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퓨즈부를 갖는 이차 전지 |
KR102257678B1 (ko) * | 2014-03-28 | 2021-05-28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 |
KR102273768B1 (ko) | 2014-04-01 | 2021-07-06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전지 |
KR102248595B1 (ko) | 2014-04-15 | 2021-05-06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 |
WO2016000474A1 (en) * | 2014-06-30 | 2016-01-07 | Byd Company Limited | Connector for battery and battery comprising the same |
KR102284568B1 (ko) * | 2014-11-13 | 2021-08-02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 |
DE102017217520A1 (de) | 2017-09-29 | 2019-04-04 | Audi Ag | Sicherheitsanordnung für eine elektrische Komponente eines Kraftfahrzeugs und Kraftfahrzeug mit einer solchen Sicherheitsanordnung |
CN110379952A (zh) * | 2019-07-24 | 2019-10-25 | 苏州炬鸿通讯电脑科技有限公司 | 一种自带安全保护结构的锂电池盖板结构 |
DE102019213207A1 (de) * | 2019-09-02 | 2021-03-04 | Robert Bosch Gmbh | Deckelbaugruppe eines Batteriezellengehäuses, Batteriezelle und Verwendung einer solchen Batteriezelle |
CN115117527B (zh) * | 2022-06-06 | 2024-03-08 | 宜兴市泰宇汽车零部件有限公司 | 一种具有通风阻燃防潮效果的复合型epp电池盖板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00290A (ja) * | 1998-09-26 | 2000-04-07 | Uchihashi Estec Co Ltd | 回路の保護方法及び抵抗体付き温度ヒュ−ズ |
KR101036070B1 (ko) * | 2010-01-26 | 2011-05-19 |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 이차 전지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35976U (ko) | 1996-12-13 | 1998-09-15 | 박병재 | 과전류/과전압으로 인한 엔진 콘트롤 유니트 보호장치 |
JPH11191436A (ja) * | 1997-12-26 | 1999-07-13 | Hitachi Ltd | 蓄電保護器 |
JP4396787B2 (ja) | 1998-06-11 | 2010-01-13 | 内橋エステック株式会社 | 薄型温度ヒュ−ズ及び薄型温度ヒュ−ズの製造方法 |
JP3478785B2 (ja) * | 2000-07-21 | 2003-12-15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温度ヒューズ及びパック電池 |
EP1422771A4 (en) * | 2001-08-07 | 2009-01-21 | Panasonic Corp |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
EP1508595B1 (en) * | 2001-10-25 | 2010-02-17 | Asahi Kasei Chemicals Corporation | Polyphenylene sulfide resin composition |
JP4218792B2 (ja) | 2002-09-18 | 2009-02-04 | マクセル北陸精器株式会社 | 非水二次電池 |
KR100861110B1 (ko) | 2006-05-17 | 2008-09-30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전기 자동차에 사용되는 조인트 박스 |
WO2010030875A1 (en) * | 2008-09-12 | 2010-03-18 | Boston-Power,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embedded battery cells and thermal management |
US8877361B2 (en) * | 2009-09-01 | 2014-11-04 | Samsung Sdi Co., Ltd. | Rechargeable battery |
US8632911B2 (en) | 2010-01-15 | 2014-01-21 | Samsung Sdi Co., Ltd. | Rechargeable battery |
KR101116449B1 (ko) * | 2010-01-26 | 2012-02-27 |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 이차 전지 |
-
2011
- 2011-10-25 KR KR1020110109357A patent/KR10171197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
- 2012-04-13 US US13/446,951 patent/US9209449B2/en active Active
- 2012-05-31 EP EP12170240.1A patent/EP258756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00290A (ja) * | 1998-09-26 | 2000-04-07 | Uchihashi Estec Co Ltd | 回路の保護方法及び抵抗体付き温度ヒュ−ズ |
KR101036070B1 (ko) * | 2010-01-26 | 2011-05-19 |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 이차 전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9209449B2 (en) | 2015-12-08 |
EP2587567A1 (en) | 2013-05-01 |
US20130101870A1 (en) | 2013-04-25 |
EP2587567B1 (en) | 2016-08-10 |
KR20130044965A (ko) | 2013-05-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11977B1 (ko) | 이차 전지 | |
KR101649136B1 (ko) | 이차 전지 | |
KR101683205B1 (ko) | 복수개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전극단자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 |
KR101696010B1 (ko) | 이차 전지 | |
KR101244738B1 (ko) | 저항 부재를 가지는 이차 전지 | |
EP2403036B1 (en) | Rechargeable battery | |
KR20150099193A (ko) | 이차 전지 모듈 | |
KR101724006B1 (ko) | 이차 전지 | |
KR102257678B1 (ko) | 이차 전지 | |
KR20140125194A (ko) | 전지 모듈 | |
KR101695992B1 (ko) | 이차 전지 | |
KR101666870B1 (ko) | 저항부재를 가지는 이차 전지 | |
KR20150144598A (ko) | 이차 전지 | |
KR20150026010A (ko) | 이차 전지 모듈 | |
EP3018734B1 (en) | Rechargeable battery | |
KR20150114241A (ko) | 이차전지 | |
KR101666256B1 (ko) | 이차 전지 | |
KR20130142449A (ko) | 이차 전지 모듈 | |
KR20160104381A (ko) | 이차 전지 | |
KR20180026223A (ko) | 이차 전지 | |
KR102337494B1 (ko) | 이차 전지 | |
KR20160106429A (ko) | 이차 전지 | |
KR20140066284A (ko) | 이차 전지 | |
KR20140110554A (ko) | 이차 전지 | |
KR101711983B1 (ko) | 이차 전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