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1834A - 습식 공정을 이용한 코발트, 니켈 및 망간 함유 수산화물의저온 리튬화 - Google Patents

습식 공정을 이용한 코발트, 니켈 및 망간 함유 수산화물의저온 리튬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1834A
KR20060021834A KR1020057020524A KR20057020524A KR20060021834A KR 20060021834 A KR20060021834 A KR 20060021834A KR 1020057020524 A KR1020057020524 A KR 1020057020524A KR 20057020524 A KR20057020524 A KR 20057020524A KR 20060021834 A KR20060021834 A KR 20060021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ystallized
lithiation
lithiated
solution
hydrox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0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9380B1 (ko
Inventor
펭 조우
모하마드 자한기어 호싸인
주라지 밥잭
콴 민 양
사뮤엘 왈튼 마르쿠손
Original Assignee
인코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코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인코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60021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1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9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9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45/00Compounds of manganese
    • C01G45/12Manganates manganites or permanganates
    • C01G45/1221Manganates or manganites with a manganese oxidation state of Mn(III), Mn(IV) or mixtures thereof
    • C01G45/1228Manganates or manganites with a manganese oxidation state of Mn(III), Mn(IV) or mixtures thereof of the type [MnO2]n-, e.g. LiMnO2, Li[MxMn1-x]O2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15/00Lithium compounds
    • C01D15/02Oxides; Hyd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45/00Compounds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51/00Compounds of cobalt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51/00Compounds of cobalt
    • C01G51/40Cobaltates
    • C01G51/42Cobaltates containing alkali metals, e.g. LiCoO2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51/00Compounds of cobalt
    • C01G51/40Cobaltates
    • C01G51/42Cobaltates containing alkali metals, e.g. LiCoO2
    • C01G51/44Cobaltates containing alkali metals, e.g. LiCoO2 containing manganese
    • C01G51/50Cobaltates containing alkali metals, e.g. LiCoO2 containing manganese of the type [MnO2]n-, e.g. Li(CoxMn1-x)O2, Li(MyCoxMn1-x-y)O2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53/00Compounds of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53/00Compounds of nickel
    • C01G53/40Nickelates
    • C01G53/42Nickelates containing alkali metals, e.g. LiNiO2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53/00Compounds of nickel
    • C01G53/40Nickelates
    • C01G53/42Nickelates containing alkali metals, e.g. LiNiO2
    • C01G53/44Nickelates containing alkali metals, e.g. LiNiO2 containing manganese
    • C01G53/50Nickelates containing alkali metals, e.g. LiNiO2 containing manganese of the type [MnO2]n-, e.g. Li(NixMn1-x)O2, Li(MyNixMn1-x-y)O2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7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 C01P2002/72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by d-values or two theta-values, e.g. as X-ray diagra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7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 C01P2002/76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by a space-group or by other symmetry ind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40Electric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0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 H01M4/50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manganese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Mn2O4 or LiMn2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iron, cobalt or nickel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NiO2, LiCoO2 or LiCoOxF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Abstract

수산화물의 저온 리튬화 방법 및 즉석에서 적절한 결정도의 리튬화된 금속 산화물의 형성. M(OH)2가 LiOH의 수용액에 첨가된다. 산화제가 상기 용액에 도입되며 이것은 150℃ 이하에서 가열되고, 필요한 경우 교반된다. 결과물인 LiMO2는 즉석에서 결정화되고 그 후 분리된다.

Description

습식 공정을 이용한 코발트, 니켈 및 망간 함유 수산화물의 저온 리튬화 {LOW TEMPERATURE LITHIATION OF COBALT, NICKEL AND MANGANESE CONTAINNING HYDROXIDES USING A WET PROCESS}
본원 발명은 일반적으로 리튬 전이 금속 산화물의 합성 및 특히 이중 및 다중 금속 수산화물의 리튬화에 관련된다.
리튬-이온 배터리 시스템은 다른 재충전 배터리 기술에 비하여 우수한 에너지 밀도 및 전력 밀도에 의하여 산업적으로, 경제적으로 그리고 소비자에게 점점 더 많이 수용되고 있다. 그 결과, 이들은 다양한 용도- 휴대용 전자 장치, 카메라, 휴대용 컴퓨터, 휴대 전화, 전기 차량 등을 위하여 일차 또는 이차 에너지원으로서 점점 더 널리 사용되거나 고려되고 있다.
LiCoO2 (리튬 코발트 산화물)은 현재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주요 활성 캐소드 물질로서 사용되고 있다.
대체로, 가장 상업적인 리튬 코발트 산화물은 고온 (900-950℃)에서 많은 시간 동안 일어나는 리튬 화합물 및 코발트 화합물 사이의 고체-상태 반응에 의하여 제조된다. 이 공정은 과도하게 긴 시간의 열 처리와 함께 볼 밀링(ball milling) 또는 다른 미세 연삭 방법으로의 충분한 혼합 단계가 관련된 여러 단계를 필요로 한다. 수용액, 장기간의 예비-혼합, 기계적 합금화(alloying), 졸-겔(sol-gel), 분사 건조(spray drying), 용액 연소(combustion), 촉매(catalysts), 공침(co-precipitation), 등과 같은 변형이 포함된다. 이들 공정은 종종 복잡하거나 또는 처리되어야 할 오염물을 생성한다.
저온에서 LiCoO2를 생산하려는 시도가 보고된 바 있다.
예를 들면, 중국 특허출원 CN 1357491호 (2002년 7월 10일 공개, Z. Huang 및d X. Xi)는 저온 혼합 및 산화 후 수반되는 고온 결정화 열 처리에 의한 LiCo02의 수성 합성을 개시한다. 리튬 염, 코발트 화합물의 산화된 상(oxidized phase) 및 촉매로 여겨지는 "활성화제(activator)" (NaN03, NaCl, K2SO4, KOH, 등과 같은)가 반응기 내에서 30-120℃에서 0.5-30 시간 동안 조합된다. 그 발명자들은 비정질(amorphous) LiCoO2를 얻는다고 주장한다. 결과물인 최종 생성물은 그 후 리튬 코발트 산화물을 결정화하기 위하여 고온의 노(furnace) (300-950℃)에서 추가로 24시간까지 연소 (fired) 된다. 그 후 제어된 속도로 냉각된다.
전술한 공정은 리튬화 된 생성물을 오염시킬 수 있는 활성화제 또는 촉매를 이용한다.
따라서, 결정화된 순수 또는 도프된(doped) 리튬화된 코발트 산화물의 제조를 위한 단순 저온 공정이 필요하다.
또한, LiCoO2에 대한 대안으로서 다른 리튬 금속 산화물이 계속 연구되어 왔다. 그들 중에서, 층상 구조를 갖는 Ni/Mn 또는 Ni/Mn/Co 기초 혼합 리튬 산화물이 현재 사용되는 LiCoO2에 비하여 대규모 자동차의 용도를 포함하는 더욱 향상된 성능을 갖는 Li 배터리를 위한 희망적인 캐소드 물질로 여겨진다. 이들 물질을 제조하기 위하여 역시 고온 고체-상태 반응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결정화된 혼합 리튬화 금속 산화물의 제조를 위한 단순 저온 공정 또한 필요하다.
[발명의 요약]
M(OH)2 (M은 코발트, 니켈, 망간, 등등을 포함하는 리튬-이온 에너지 전지에 적합한 금속 또는 금속의 조합에서 선택됨), LiOH 그리고 물을 슬러리 용액을 형성하기 위하여 조합함으로써 LiMO2 및 유사 물질의 제조를 위한 저온, 환경 친화적 방법이 제공된다. 산소 또는 공기 등의 산소 함유 가스와 같은 산화제가 상기 용액에 도입되고 혼합물은 약 30-150℃로 가열된다. 결과물인 리튬화된 화합물은 즉석에서 (in-situ) 결정화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x-선 회절 패턴이다.
도 2는 전지에서 c/10 rate에서의 하전/방전 곡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x-선 회절 패턴이다.
일련의 값 앞의 "약"이라는 부사는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일련의 범위 내의 각각의 값이 적용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LiCo02는 리튬 배터리 시스템에서 현재 캐소드 물질로서 사용되고 있다. 다른 혼합 LiMO2 (M = Ni, Mn, Co, 등등) 화합물 또한 개발중이다.
리튬화 산화물의 제조를 위한 본원의 저온 공정은 현재의 상업적 기술에 비하여 비교적 간단하며 보다 효과적이다.
M(OH)2가 고농도의 LiOH 수용액에 첨가되어 슬러리를 형성한다. 산화제가 약 30-150℃, 바람직하게는 약 80-120℃의 온도 및 본질적으로 대기압 하에서 약 2-24 시간 동안 또는 결정화 생성물이 형성될 때까지 적절한 교반과 함께 슬러리에 도입된다. 고체/액체 분리는 반응된 슬러리를 여과 또는 원심분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 반응은 M(OH)2의 산화 및 Li 이온의 층상 구조로의 삽입이 조합된 것이다. 그러므로 더욱 높은 Li 농도의 반응 조건이 반응 완결에 바람직하다. LiOH의 물에서의 용해도는 실온에서 약 5M이지만, 100℃에서는 대략 8M이다. 가장 중요하게는, 본원의 저온 공정에 의하는 경우 활성화제 또는 촉매가 반응 동안에 요구되지 않으며 오로지 LiOH, M(OH)2 및 산소 (순수한 또는 단순 산화제의 일부로서)만이 반응물로서 사용되므로, 오염물이 생성물에 도입되지 않을 것이다. 더욱이, 주로 LiOH를 함유하는 여과액(filtrate)은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폐기물이 생성되지 않는다. 정 제된 여과액은 재사용이 가능하다.
상업적 공정에 비하여 본원 발명을 이용하는 장점은 다음을 포함한다. :
1) 전통적인 고체 반응 경로에 비하여 수반되는 고온 결정화 열 처리의 배제 또는 실질적인 단축. 현재의 12-30 시간 단-단계 열 처리 계획과 달리 필요한 경우, 약 0.5-8시간의 선택적 열처리는 부가적인 결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보인다.
본원의 방법은 수반되는 열처리를 요구하지 않고도 약 0. 3°의 (003) FWHM (Full Width Half Maximum) 및 약 0. 2°의 (101) FWHM를 갖는 리튬화된 층상-산화물 (space group: R-3m)을 생성한다. 그러나 만약 더욱 높은 결정도가 바람직한 경우, 수반되는 열 처리가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과는 반대로 리튬화 산화물 화합물이 이미 충분히 결정화되었으므로, 결정도를 보다 높이기 위한 선택적 열 처리 단계 시간은 10-12 시간 정도 현저히 단축된다.
2) 볼 밀링된(ball milled) 성분과는 반대로, 바람직하게 M(OH)2 입자를 전구체로서 사용함으로써, 본원 방법은 고유의 입자를 파괴하거나 응집함이 없이 리튬화된 산화물 분말 생성물을 생성한다. 이것은 분말 크기 및 형태에 대한 보다 나은 제어를 유도한다. 더욱이, 전체 선행 기술의 볼 밀링 공정 또는 다른 혼합 공정이 배제된다.
3) 약 150℃ 이하의 비교적 낮은 공정 온도를 사용함으로써 바람직한 리튬화된 생성물이 충분히 생성된다. 그러므로 열 처리를 위한 대기 제어 및 확산과 관련된 문제점이 감소된다.
저온 공정에 의하여 유도된 개선된 형태학 및 덜 임계적인 제어 요구의 결과로, 열처리에 배취식 정지 노(batch static furnace)보다는 연속 로터리 로(furnace)가 사용될 것이므로 생산 효율이 현실화될 것이다.
비록 높은 압력은 불가피하게 비용 문제를 일으키지만, 대기압 이상에서의 작동은 공정의 동력학을 증가시킬 것이다.
수많은 시도가 본원 공정의 효율을 시험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A) LiCoO2가 다음 방식으로 제조되었다. :
대기압 하에서 100그램의 Co(OH)2가 수용액 중의 LiOH 농도가 약 5-8M인 1000mL 용기에 첨가되었다. 산소 가스가 약 100-150mL/분의 유속으로 상기 용기에 도입되었다. 용액의 온도는 약 80-120℃로 유지되었으며 약 24 시간 동안 분당 약 750 순환의 임펠러(impeller)로 교반되었다. 공정 완결 후, 상기 용액은 여과되었으며 층상 구조의 결정화 고체 분말 LiCo02가 수집되었다. XRD 스펙트럼으로부터 (003) FWHM 약 0. 3° 및 (101) FWHM 약 0. 2°가 열 처리하지 않은 샘플에서 측정되었다. 이 데이터 분석에 따라, 실제 공정 시간은 약 5시간으로 감소될 것이다.
구형 M(OH)2 전구체 또는 다른 높은 등급의 화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구형 입자는 생성물의 성질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도 1은 결과물인 결정화된 LiCo02의 XRD (x-선 회절)을 도시한다. 더욱 높은 결정도가 요구되지 않는 한 생성물의 열 처리는 불필요하다. 만약 필요한 경우, 약 0.5-8 시간 동안의 약 400-850℃의 선택적 열처리가 사용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수성 리튬화된 샘플을 850℃에서 7시간의 열처리 후, (003) FWHM 및 (101) FWHM는 각각 약 0. 09° 및 0. 08°에 도달한다.
도 2는 작은 전지에서 열처리 없이 리튬화된 샘플에 대한 c/10 rate에서의 전기화학 c/10 테스트 결과를 도시한다. (이 샘플은 약 100℃에서 건조되었다). 방전 용량은 대략 130 mAh/g이다.
본원 발명의 방법은 다중 리튬화 산화물 화합물의 결정화에 사용될 것이다. 예를 들면, 일부 혼합된 또는 다중 산화물은 리튬-이온 전지에서 LiCoO2보다 나은 성능을 가질 것으로 보인다. 비교적 저온에서 리튬 수산화물 용액에 혼합된 수산화물 전구체를 도입함으로써 탁월한 결과가 얻어진다.
B) 위와 동일한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전구체로서 Ni0.55Mn0.45(OH)2가 위의 4-8M LiOH 용액에 도입되었으며 약 80-120℃에서 약 24 시간 동안 가열되었다. 02가 산화제로서 도입되었다. 수성 슬러리 용액에서 리튬화된 후 도 3에 도시된 바람직한 결과인- 층상 LiNi0.55Mn0.4502가 도 3에 도시된다. 결정도는 (003) FWHM 약 0. 24° 및 (101) FWHM 약 0. 78°로 측정되었다. 약 850℃에서 7시간 동안의 선택적 열처리는 결정도를 (003) FWHM 약 0. 10° 및 (101) FWHM 약 0. 17°로 증가시켰다.
C) 위와 동일한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Ni0.55Mn0.45(OH)2 가 위의 4-8M LiOH 용액에 도입되었으며 약 80-120℃에서 약 24 시간 동안 가열되었다. 공기가 산화제로 서 공기 350mL/분으로 도입되었다. 층상 생성물 LiNi0.55Mn0.4502가 수득 되었다. 결정도는 (003) FWHM 약 0. 30° 및 (101) FWHM 약 0. 89°로 측정되었다. .
LiNil/3Col/3Mn1/302, 등과 같은 다른 혼합된 리튬화된 생성물 또한 본원 방법으로 제조될 것이다.
본원 방법은 Al 및 Mg과 같은 도핑 성분(doping element)을 포함하는 다른 조성물의 도입에 용이하게 이용될 것이다. 더욱이 실시예 C)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공기와 같은 다른 단순 산화제가 산소 대신 또는 산소와 함께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규정에 따라, 본원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고 개시하였다. 그러나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청구항에 포함되는 발명의 변형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일부 특성은 다른 특성에 대응되도록 사용하지 않고도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21)

  1. 다음을 포함하는 결정화된 리튬화 산화물 형성을 위한 수산화물의 리튬화 방법:
    a) LiOH의 수용액을 제공하는 단계 ;
    b) M(OH)2를 상기 용액에 도입하는 단계, 여기서 M은 리튬-이온 에너지 전지의 작동에 적합한 하나 이상의 금속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됨;
    c) 산화제를 상기 용액에 도입하는 단계;
    d) 상기 용액의 온도를 150℃ 이하로 유지하는 단계 ;
    e) 상기 용액을 교반하는 단계;
    f) 리튬화 산화물이 즉석에서(in-situ) 결정화 되도록 하는 단계; 그리고
    g) 상기 용액으로부터 리튬화 산화물을 수집하는 단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LiOH의 수용액은 2-8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화된 리튬화 산화물 형성을 위한 수산화물의 리튬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LiOH의 수용액은 4-8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화된 리튬화 산화물 형성을 위한 수산화물의 리튬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M이 Co, Ni, 및 Mn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화된 리튬화 산화물 형성을 위한 수산화물의 리튬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리튬화 산화물이 도핑 성분(doping elemen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화된 리튬화 산화물 형성을 위한 수산화물의 리튬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도핑 성분이 Al 및 Mg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화된 리튬화 산화물 형성을 위한 수산화물의 리튬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의 온도는 30-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화된 리튬화 산화물 형성을 위한 수산화물의 리튬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는 80-1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화된 리튬화 산화물 형성을 위한 수산화물의 리튬화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반응 시간은 1-24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화된 리튬화 산화물 형성을 위한 수산화물의 리튬화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제는 산소 및 공기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화된 리튬화 산화물 형성을 위한 수산화물의 리튬화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대기압 이상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화된 리튬화 산화물 형성을 위한 수산화물의 리튬화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결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결정화된 리튬화 산화물을 열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화된 리튬화 산화물 형성을 위한 수산화물의 리튬화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열 처리는 300-1000℃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화된 리튬화 산화물 형성을 위한 수산화물의 리튬화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열 처리는 500-900℃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화된 리튬화 산화물 형성을 위한 수산화물의 리튬화 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열 처리는 0.5-8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화된 리튬화 산화물 형성을 위한 수산화물의 리튬화 방법
  16. 제 1항에 있어서, 결정화된 LiCoO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화된 리튬화 산화물 형성을 위한 수산화물의 리튬화 방법
  17. 제 1항에 있어서, 결정화된 LiNi0.55Mn0.450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화된 리튬화 산화물 형성을 위한 수산화물의 리튬화 방법
  18. 제 1항에 있어서, 결정화된 LiNil/3Col/3Mnl/30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화된 리튬화 산화물 형성을 위한 수산화물의 리튬화 방법
  19. 제 1항에 있어서, 리튬화 산화물이 수집된 후 LiOH 용액을 재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화된 리튬화 산화물 형성을 위한 수산화물의 리튬화 방법
  20. 제 1항에 있어서, Ni0.55Mn0.45(OH)2가 LiOH의 수용액으로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화된 리튬화 산화물 형성을 위한 수산화물의 리튬화 방법
  21. 제 1항에 있어서, M(OH)2 입자를 상기 용액에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화된 리튬화 산화물 형성을 위한 수산화물의 리튬화 방법
KR1020057020524A 2003-05-06 2004-02-12 습식 공정을 이용한 코발트, 니켈 및 망간 함유 수산화물의저온 리튬화 KR1006793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430,154 US7033555B2 (en) 2003-05-06 2003-05-06 Low temperature lithiation of mixed hydroxides
US10/430,154 2003-05-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1834A true KR20060021834A (ko) 2006-03-08
KR100679380B1 KR100679380B1 (ko) 2007-02-05

Family

ID=33416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0524A KR100679380B1 (ko) 2003-05-06 2004-02-12 습식 공정을 이용한 코발트, 니켈 및 망간 함유 수산화물의저온 리튬화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033555B2 (ko)
EP (1) EP1620361A1 (ko)
JP (1) JP4345934B2 (ko)
KR (1) KR100679380B1 (ko)
CN (1) CN100355662C (ko)
CA (1) CA2521422A1 (ko)
MX (1) MXPA05011776A (ko)
TW (1) TWI266448B (ko)
WO (1) WO20040990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09479B2 (ja) * 2007-06-06 2013-10-09 株式会社Gsユアサ アルカリ蓄電池
PL2261176T3 (pl) * 2008-04-03 2022-11-14 Lg Energy Solution, Ltd. Nowy prekursor do wytwarzania złożonego tlenku litu-metalu przejściowego
US9446963B2 (en) 2012-06-06 2016-09-20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ystem and methods for a cathode active material for a lithium ion battery cell
CN107689451A (zh) * 2016-08-04 2018-02-13 中信国安盟固利动力科技有限公司 一种合成动力型、纳米纤维的三元材料及其制备方法
CN106348318B (zh) * 2016-10-28 2017-08-08 荆门市格林美新材料有限公司 氧化锂制备自动化系统
JP7480052B2 (ja) * 2018-04-04 2024-05-09 テスラ・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カソード材を生産する方法
WO2020188863A1 (ja) * 2019-03-15 2020-09-24 Basf戸田バッテリーマテリアルズ合同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及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84A (en) * 1864-10-11 Improved method of stopping bottles
US22063A (en) * 1858-11-16 Improvement in mode of connecting electro-magnetic apparatus with tooth-forceps
US4567031A (en) 1983-12-27 1986-01-28 Combustion Engineering, Inc. Process for preparing mixed metal oxides
NL9001916A (nl) 1990-08-30 1992-03-16 Stichting Energie Tape geschikt voor toepassing in brandstofcellen, elektrode geschikt voor toepassing in een brandstofcel, werkwijze voor het sinteren van een dergelijke elektrode, alsmede een brandstofcel voorzien van een dergelijke elektrode.
JP3396076B2 (ja) 1994-03-17 2003-04-14 日本化学工業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用コバルト酸リチウム系正極活物質の製造方法
DE19511355A1 (de) 1995-03-28 1996-10-02 Merck Paten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ithium-Interkalationsverbindungen
US5630993A (en) 1995-07-05 1997-05-20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Low temperature synthesis of layered lithiated transition metal oxides
WO1998037023A1 (de) * 1997-02-19 1998-08-27 H.C. Starck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ithium-übergangsmetallaten
DE69805689T2 (de) 1997-03-25 2003-01-30 Toda Kogyo Corp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ithium-Kobalt Oxid
JP4326041B2 (ja) * 1997-05-15 2009-09-02 エフエムシー・コーポレイション ドープされた層間化合物およびその作製方法
JP2896510B1 (ja) 1998-03-13 1999-05-31 工業技術院長 水熱酸化法による層状岩塩型リチウムコバルト酸化物の製造方法
US6296972B1 (en) 1998-04-24 2001-10-02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Method for preparing LICOO2-coated NiO cathodes for molten carbon fuel cell
JP2001273898A (ja) 2000-01-20 2001-10-05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使用した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100326445B1 (ko) 2000-01-26 2002-02-28 김순택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
US6660432B2 (en) 2000-09-14 2003-12-09 Ilion Technology Corporation Lithiated oxide materials and methods of manufacture
CN1184137C (zh) 2000-12-14 2005-01-12 长沙矿冶研究院 一种制备锂钴氧化合物的湿化学方法
KR100406816B1 (ko) * 2001-06-05 2003-11-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US6960335B1 (en) * 2001-09-20 2005-11-01 Nanopowder Enterprises Inc Nanostructured and layered lithium manganese oxid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50130042A1 (en) * 2003-12-11 2005-06-16 Byd America Corporation Materials for positive electrodes of lithium ion batteries and their methods of fabr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PA05011776A (es) 2006-02-17
WO2004099082A1 (en) 2004-11-18
JP4345934B2 (ja) 2009-10-14
JP2006525209A (ja) 2006-11-09
EP1620361A1 (en) 2006-02-01
US7033555B2 (en) 2006-04-25
TW200501499A (en) 2005-01-01
TWI266448B (en) 2006-11-11
US20040223905A1 (en) 2004-11-11
KR100679380B1 (ko) 2007-02-05
CN1784358A (zh) 2006-06-07
CA2521422A1 (en) 2004-11-18
CN100355662C (zh) 2007-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57179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のためのコア−シェルスピネル正極活物質の製造方法
KR100738192B1 (ko) 코아·쉘 다층구조를 갖는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과이를 사용한 리튬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
EP1837937A1 (en) Lithium manganese-based composite oxide and method and method forpreparing the same
JP3500424B2 (ja) 単相リチウムフェライト系複合酸化物
US6193947B1 (en) Process for preparing layered rock-salt type lithium manganese oxide by mixed alkaline hydrothermal method
US20110300442A1 (en) Novel nanoscale solution method for synthesizing lithium cathode active materials
WO2007094645A1 (en) Lithium-metal composite oxides and electrochemical device using the same
WO2005067077A2 (en) High voltage laminar cathode materials for lithium rechargeable batteries, and processes for making the same
JP2003048718A (ja) リチウムフェライト系複合酸化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872816B2 (ja) ニッケルマンガン系複合酸化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49279B1 (ko) 리튬 전이 금속 산화물의 제조 방법
CN102867953B (zh) 用氢氧化物或羟基氧化物生产锂离子电池正极材料的方法
Chang et al. Syntheses of LiCoO2 for cathode materials of secondary batteries from reflux reactions at 130–200 C
KR100679380B1 (ko) 습식 공정을 이용한 코발트, 니켈 및 망간 함유 수산화물의저온 리튬화
JP3914981B2 (ja) 立方晶岩塩型リチウムフェライト系酸化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58505B1 (ko) 옥살산 음이온 열분해법을 이용한 리튬-니켈-코발트-망간 복합 산화물의 제조방법
JP2001076728A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の製造方法
KR101171962B1 (ko) 망간복합산화물의 제조방법
JP3968420B2 (ja) 立方晶岩塩型リチウムフェライト系複合酸化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22189792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nickel based hydroxide
KR20010044231A (ko) 졸-겔법을 이용한 리튬2차전지용 층상망간 양극물질 합성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