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0661A - 조습 장치 - Google Patents

조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0661A
KR20060020661A KR1020057023435A KR20057023435A KR20060020661A KR 20060020661 A KR20060020661 A KR 20060020661A KR 1020057023435 A KR1020057023435 A KR 1020057023435A KR 20057023435 A KR20057023435 A KR 20057023435A KR 20060020661 A KR20060020661 A KR 20060020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lter
casing
suction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3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9013B1 (ko
Inventor
도모히로 야부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20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0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9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9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24F3/1429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alternatively operating a heat exchanger in an absorbing/adsorbing mode and a heat exchanger in a regeneration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7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with both heat and humidity transfer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Abstract

케이싱(10) 내에서의 피처리 공기의 유통경로를 절환함으로써, 제 1 흡착소자(81)와 제 2 흡착소자(82)를 교대로 사용하여 실내로 공급되는 피처리 공기의 제습 또는 가습을 행하는 조습 장치에 있어서, 케이싱(10)의 제 2 패널(12)에 제 1 및 제 2 흡입구(13, 15)를 나열 형성한다. 케이싱(10) 내에는, 제 1 및 제 2 흡입구(13, 15)로 연통되는 1 개의 필터용 공간(44)을 형성한다. 이 필터용 공간(44)에, 피처리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공기필터(71)를 배치한다. 이로써 공기필터(71)의 보수 점검작업을 간소화한다.

Description

조습 장치{HUMIDITY CONTROLLER}
본 발명은, 공기의 습도조절을 행하는 조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필터의 배치에 관한 기술분야에 속한다.
종래, 흡착재료를 이용하여 공기의 습도조절을 행하는 조습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일본특개 2002-22206호 공보에 개시된 조습 장치에서는, 제 1 및 제 2 팬에 의해 중공 케이싱 내에서 제 1 및 제 2 피처리 공기가 유통된다. 케이싱 내에서는, 피처리 공기의 유통경로가 절환되어, 각 흡착소자에서 수분의 흡착과 탈리가 교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조습 장치는, 제 1 흡착소자와 제 2 흡착소자를 교대로 이용하여, 실내에 공급되는 피처리 공기의 제습 또는 가습을 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습 장치에서는, 일반적으로 케이싱 내의 기기에 이물질이 침입하지 않도록 공기필터가 구성된다. 종래, 공기필터의 배치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채용되었다. 예를 들어, 일본실개소 60-178735호 공보의 공기필터와 같이, 케이싱 내에 구성된 열교환기의 측면에 나타나는 흡입구를 직접 공기필터로 피복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로써 이물질 침입의 영향이 큰 열교환기로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으로는, 열교환기에 이르기까지의 케이 싱 내 피처리 공기 유통경로에 있어서, 이물질 침입의 영향이 크다.
상기 일본특개 2002-22206호 공보의 조습 장치에서는, 예를 들어 케이싱의 한 쌍의 측벽부 중 어느 한쪽에 제 1 피처리 공기를 도입하는 흡입구와 제 2 피처리 공기를 뿜어내는 토출구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 제 2 피처리 공기를 도입하는 흡입구와 제 1 피처리 공기를 뿜어내는 토출구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조습 장치에 있어서, 피처리 공기가 케이싱 내로 유입되는 시점에서 피처리 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일본특개평 4-350443호 공보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각 흡입구 근방에 각각 공기필터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해결과제-
통상, 공기필터에 대해서는 그 청소를 정기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 즉 공기필터를 케이싱으로부터 일단 꺼내 청소한 후, 케이싱 내로 돌려보내는 작업을, 비교적 빈번하게 실시해야 한다.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케이싱 내의 떨어진 곳에 공기필터를 배치하는 구조에서는, 공기필터의 보수 점검작업이 매우 번잡해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공기필터의 보수 점검이 용이한 조습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발명의 개시
제 1 발명은, 제 1 및 제 2 팬(95, 96)에 의해 중공 케이싱(10) 내에서 제 1 및 제 2 피처리 공기를 유통시킴과 더불어, 상기 케이싱(10) 내에서의 피처리 공기의 유통경로를 절환함으로써, 제 1 흡착소자(81)와 제 2 흡착소자(82)를 교대로 이용하여 실내로 공급되는 피처리 공기의 제습 또는 가습을 행하는 조습 장치를 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은, 편평한 직방체형으로 형성되어 제 1 및 제 2 흡입구(13, 15)와 제 1 및 제 2 토출구(14, 16)를 구비하며, 케이싱(10) 측벽부의 하나인 흡입측 측벽부(12)에는, 제 1 및 제 2 흡입구(13, 15)가 이 흡입측 측벽부(12)의 긴 쪽 방향으로 나열 개구되고, 케이싱(10) 내에는, 제 1 및 제 2 흡입구(13, 15)로 연통되는 1 개의 필터용 공간(44)이 상기 흡입측 측벽부(12)를 따라 형성되며, 필터용 공간(44)에는 흡입구(13, 15)로부터 유입된 피처리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공기필터(71)가 배치된다.
제 2 발명은, 제 1 및 제 2 팬(95, 96)에 의해 중공 케이싱(10) 내에서 제 1 및 제 2 피처리 공기를 유통시킴과 더불어, 상기 케이싱(10) 내에서의 피처리 공기의 유통경로를 절환함으로써, 제 1 흡착소자(81)와 제 2 흡착소자(82)를 교대로 이용하여 실내로 공급되는 피처리 공기의 제습 또는 가습을 행하는 조습 장치를 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은, 편평한 직방체형으로 형성되어 제 1 및 제 2 흡입구(13, 15)와 제 1 및 제 2 토출구(14, 16)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싱(10) 측벽부의 하나인 흡입측 측벽부(12)에는, 제 1 및 제 2 흡입구(13, 15)가 이 흡입측 측벽부(12)의 긴 쪽 방향으로 나열 개구되고, 상기 케이싱(10) 내에는, 상기 흡입구(13, 15)로부터 유입된 피처리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공기필터(71, 76, 77)가 상기 흡입측 측벽부(12)를 따라 배치된다.
제 3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공기필터(71)는 필터용 공간(44)에 1 개 구성되어 제 1 및 제 2 흡입구(13, 15)로부터 유입된 피처리 공기를 여과하도록 구성됨과 더불어, 필터용 공간(44)을, 제 1 흡입구(13)로 연통되는 제 1 부분(45)과 제 2 흡입구(15)로 연통되는 제 2 부분(47)으로 구획하기 위한 구획부재(72)를 구비한 것이다.
제 4 발명은 상기 제 2 발명에 있어서, 공기필터(71)에서는, 제 1 흡입구(13)로부터 유입된 피처리 공기를 여과하는 제 1 필터부(73)와, 제 2 흡입구(15)로부터 유입된 피처리 공기를 여과하는 제 2 필터부(74)와, 제 1 필터부(73)를 통과하는 공기와 제 2 필터부(74)를 통과하는 공기의 혼합을 방지하는 구획부재(72)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제 5 발명은 상기 제 3 또는 제 4 발명에 있어서, 케이싱(10)에서, 흡입측 측벽부(12)에 인접하는 측벽부의 적어도 한쪽에는, 공기필터(71)를 꺼낼 수 있게 하기 위한 필터점검용 덮개(131)가 구성된 것이다.
제 6 발명은 상기 제 5 발명에 있어서, 공기필터(71)가 필터점검용 덮개(131)의 안쪽 면에 설치된 것이다.
제 7 발명은 상기 제 3 또는 제 4 발명에 있어서, 공기필터(71)는 흡입측 측벽부(12)와 평행인 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케이싱(10)에 대해 탈착 자유롭게 구성된 것이다.
제 8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필터용 공간(44)은, 제 1 흡입구(13)로 연통되는 제 1 부분(45)과, 제 2 흡입구(15)로 연통되는 제 2 부분(47)으로 구획되며, 상기 제 1 부분(45)에는 제 1 공기필터(76)가, 상기 제 2 부분(47)에는 제 2 공기필터(77)가 각각 구성된 것이다.
제 9 발명은 상기 제 2 발명에 있어서, 케이싱(10) 내에는, 제 1 흡입구(13)로부터 유입된 피처리 공기를 여과하는 제 1 공기필터(76)와, 제 2 흡입구(15)로부터 유입된 피처리 공기를 여과하는 제 2 공기필터(77)가 구성된 것이다.
도 10의 발명은 상기 제 8 또는 제 9 발명에 있어서, 케이싱(10)에서, 흡입측 측벽부(12)에 인접하며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부는, 각각이 공기필터(76, 77)를 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필터점검용 덮개(136, 137)를 1 개씩 구비한 것이다.
제 11 발명은 상기 제 8 또는 제 9 발명에 있어서, 케이싱(10)에서, 흡입측 측벽부(12)에 인접하는 측벽부 중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부는, 그 한쪽이 제 1 공기필터(76)를 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 1 필터점검용 덮개(136)를, 다른 쪽이 제 2 공기필터(77)를 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 2 필터점검용 덮개(137)를 각각 구비한 것이다.
제 12 발명은 상기 제 11 발명에 있어서, 제 1 공기필터(76)가 제 1 필터점검용 덮개(136)의 안쪽 면에, 제 2 공기필터(77)가 제 2 필터점검용 덮개(137)의 안쪽 면에 각각 설치된 것이다.
제 13 발명은 상기 제 8 또는 제 9 발명에 있어서, 공기필터(76, 77)는, 흡입측 측벽부(12)와 평행인 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케이싱(10)에 대해 탈착 자유롭게 구성된 것이다.
-작용-
상기 제 1 및 제 2 발명에서는, 제 1 및 제 2 팬(95, 96)의 작용으로, 흡입측 측벽부(12)에 개구되는 제 1 및 제 2 흡입구(13, 15)를 통해 피처리 공기가 케이싱(10) 내로 도입된다. 케이싱(10) 내에서는, 공기필터(71, 76, 77)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피처리 공기가 유통된다. 이들 발명의 조습 장치는, 케이싱(10) 내에서의 피처리 공기 유통경로를 절환함으로써, 제 1 흡착소자(81)와 제 2 흡착소자(82)를 교대로 사용하여 실내로 공급되는 피처리 공기의 제습 또는 가습을 행한다.
상기 제 1 발명에서, 흡입구(13, 15)를 통해 케이싱(10) 내로 유입된 피처리 공기는, 필터용 공간(44) 내에 구성된 공기필터(71, 76, 77)에 의해 여과된다. 상기 제 2 발명에서, 흡입구(13, 15)를 통해 케이싱(10) 내로 유입된 피처리 공기는, 흡입측 측벽부(12)를 따라 배치된 공기필터(71, 76, 77)에 의해 여과된다.
상기 제 3 발명에서 필터용 공간(44)은, 공기필터(71)의 구획부재(72)에 의해, 제 1 흡입구(13)로 연통되는 제 1 부분(45)과 제 2 흡입구(15)로 연통되는 제 2 부분(47)으로 구획된다. 제 1 흡입구(13)로부터 유입된 피처리 공기는, 필터용 공간(44)의 제 1 부분(45)으로 유입되어 공기필터(71)에 의해 여과된다. 한편 제 2 흡입구(15)로부터 유입된 피처리 공기는, 필터용 공간(44)의 제 2 부분(47)으로 유입되어 공기필터(71)에 의해 여과된다.
상기 제 4 발명에 있어서 공기필터(71)에서는, 제 1 필터부(73)와 제 2 필터부(74)와 구획부재(72)가 일체 형성된다. 제 1 필터부(73)는 제 1 흡입구(13)를 통과한 피처리 공기를 여과한다. 제 2 필터부(74)는 제 2 흡입구(15)를 통과한 피처리 공기를 여과한다. 구획부재(72)는, 제 1 흡입구(13)로 연통되는 공기통로와 제 2 흡입구(15)로 연통되는 공기통로의 구획을 구성하여, 제 1 흡입구(13)를 통과한 피처리 공기와 제 2 흡입구(15)를 통과한 피처리 공기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 5 발명에 있어서 케이싱(10)에서는, 흡입측 측벽부(12)와 인접하는 측벽부에 필터점검용 덮개(131)가 구성된다. 이 필터점검용 덮개(131)를 개방함으로써 공기필터(71)가 케이싱(10)으로부터 꺼내진다.
상기 제 6 발명에서는, 공기필터(71)가 필터점검용 덮개(131)의 내면에 설치된다. 이 필터점검용 덮개(131)를 케이싱(10)으로부터 꺼낼 경우에, 이 때의 필터점검용 덮개(131)의 이동에 따라 공기필터(71)도 이동하여, 공기필터(71)가 필터점검용 덮개(131)와 함께 케이싱(10)으로부터 꺼내진다.
상기 제 7 발명에서 공기필터(71)는, 흡입측 측벽부(12)를 따라 슬라이딩함으로써, 케이싱(10)으로부터 분리되거나 혹은 케이싱(10)에 장착된다.
상기 제 8 발명에서, 제 1 흡입구(13)를 통과한 피처리 공기는, 필터용 공간(44)의 제 1 부분(45)으로 유입되어, 제 1 공기필터(76)에 의해 여과된다. 또 제 2 흡입구(15)를 통과한 피처리 공기는, 필터용 공간(44)의 제 2 부분(47)으로 유입되어, 제 2 공기필터(77)에 의해 여과된다.
상기 제 9 발명에서 케이싱(10) 내에서는, 제 1 공기필터(76)와 제 2 공기필터(77)가 흡입측 측벽부(12)를 따라 설치된다. 제 1 공기필터(76)는, 제 1 흡입구(13)를 통과한 피처리 공기를 여과한다. 제 2 공기필터(77)는, 제 2 흡입구(15)를 통과한 피처리 공기를 여과한다.
상기 제 10 발명에서 케이싱(10)에서는, 흡입측 측벽부(12)와 인접하는 측벽부 중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부 각각에 필터점검용 덮개(136, 137)가 설치된다. 이 필터점검용 덮개(136, 137)를 개방함으로써, 공기필터(76, 77)가 케이싱(10)으로부터 꺼내진다.
상기 제 11 발명에서 케이싱(10)에서는, 흡입측 측벽부(12)와 인접하는 측벽부 중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부 각각에 필터점검용 덮개(136, 137)가 설치된다. 이 한 쌍의 측벽부는, 그 중 한쪽에 제 1 필터점검용 덮개(136)가 설치되고, 다른 쪽에 제 2 필터점검용 덮개(137)가 설치된다. 제 1 필터점검용 덮개(136)를 열면, 제 1 공기필터(76)가 케이싱(10)으로부터 꺼내진다. 제 2 필터점검용 덮개(137)를 열면, 제 2 공기필터(77)가 케이싱(10)으로부터 꺼내진다.
상기 제 12 발명에서는, 제 1 공기필터(76)가 제 1 필터점검용 덮개(136) 안쪽 면에, 제 2 공기필터(77)가 제 2 필터점검용 덮개(137) 안쪽 면에 각각 설치된다. 제 1 필터점검용 덮개(136)를 케이싱(10)으로부터 분리시킬 경우에는, 이 때의 제 1 필터점검용 덮개(136)의 이동에 따라 제 1 공기필터(76)도 이동하여, 제 1 공기필터(76)가 제 1 필터점검용 덮개(136)와 함께 케이싱(10)으로부터 꺼내진다. 마찬가지로, 제 2 필터점검용 덮개(137)를 케이싱(10)으로부터 분리시킬 경우에는, 이 때의 제 2 필터점검용 덮개(137)의 이동에 따라 제 2 공기필터(77)도 이동하여, 제 2 공기필터(77)가 제 2 필터점검용 덮개(137)와 함께 케이싱(10)으로부터 꺼내진다.
상기 제 13 발명에서 제 1 및 제 2 공기필터(76, 77)는, 흡입측 측벽부(12)를 따라 슬라이딩함으로써 케이싱(10)에 장착되거나, 혹은 케이싱(10)으로부터 분리된다.
-효과-
상기 제 1 발명의 조습 장치에서는, 케이싱(10)의 흡입측 측벽부(12)에 제 1 및 제 2 흡입구(13, 15)를 나열 개구시켜, 제 1 및 제 2 흡입구(13, 15)로 연통되는 1개의 필터용 공간(44)에 공기필터(71, 76, 77)를 배치한다. 또 상기 제 2 발명의 조습 장치에서는, 케이싱(10)의 흡입측 측벽부(12)에 제 1 및 제 2 흡입구(13, 15)를 나열 개구시켜, 이들 흡입구(13, 15)가 개구되는 흡입측 측벽부(12)를 따라 공기필터(71, 76, 77)를 배치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흡입구(13, 15)로부터 유입된 피처리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공기필터(71, 76, 77)를 케이싱(10) 내의 1개소로 집약할 수 있어, 공기필터(71, 76, 77)를 케이싱(10)에 탈착시킬 때의 작업공정 수를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흡입구(13, 15) 바로 뒤에 설치한 공기필터(71, 76, 77)로 피처리 공기를 여과시켜 케이싱(10) 내로의 먼지 등의 유입량을 저감시킨 상태에서, 공기필터(71, 76, 77)를 보수 점검할 때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 3 및 제 4 발명에서는, 제 1 흡입구(13)로부터 케이싱(10) 내로 유입된 피처리 공기와, 제 2 흡입구(15)로부터 케이싱(10) 내로 유입된 피처리 공기 양쪽을, 1개의 공기필터(71)로 여과한다. 이로써 공기필터(71)를 보수 점검할 때는, 이 1개의 공기필터를 케이싱(10)에 탈착시키면 되게 되므로, 공기필터(71)의 보수 점검 작업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이들 발명에서는, 공기필터(71)에 구획부재(72)를 설치한다. 때문에 제 1 및 제 2 흡입구(13, 15)로부터 케이싱(10) 내로 유입된 피처리 공기가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각 피처리 공기의 여과를 1개의 공기필터(71)로 여과할 수 있다.
상기 제 5 발명에서는, 케이싱(10)의 흡입측 측벽부(12)와 인접하는 측벽부의 적어도 한쪽에, 공기필터(71)를 꺼낼 수 있게 하기 위한 필터점검용 덮개(131)를 설치한다. 이로써 필터점검용 덮개(131)를 개방하는 것만으로 공기필터(71)를 꺼낼 수 있어, 공기필터(71)의 보수 점검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케이싱(10)의 흡입측 측벽부(12)와 인접하는 측벽부 양쪽에 필터점검용 덮개(131)를 설치할 경우에는, 어느 쪽 측벽부로부터도 공기필터(71)를 꺼낼 수 있다.
상기 제 6 및 제 12 발명에서는, 공기필터(71, 76, 77)를 필터점검용 덮개(131, 136, 137) 안쪽 면에 설치한다. 이로써 케이싱(10)으로부터 필터점검용 덮개(131, 136, 137)의 분리동작을 실시하면, 그 동작에 의해 필터점검용 덮개(131, 136, 137)만이 아닌 공기필터(71, 76, 77)도 케이싱(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공기필터(71, 76, 77) 보수 점검 시의 작업공정 수를 한층 삭감할 수 있다.
상기 제 7 및 제 13 발명에서는, 공기필터(71, 76, 77)를 슬라이딩시킨다는 비교적 단순한 작업을 실시함으로써, 공기필터(71, 76, 77)가 케이싱(10)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로써 공기필터(71, 76, 77)의 보수 점검작업을 한층 간소화할 수 있다. 또 이들 발명에서는 공기필터(71, 76, 77)를 흡입측 측벽부(12)와 평행인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도록 한다. 이로써 예를 들어 흡입구(13, 15)가 개구되는 흡입측 측벽부(12)를 케이싱(10)으로부터 분리하는 등의 비교적 복잡한 작업을 하지 않아도, 공기필터(71, 76, 77)를 케이싱(10)으로부터 분리하기가 가능해져, 이 점에서도 공기필터(71, 76, 77)의 보수 점검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 8 발명에서는 공기필터(76, 77)를, 필터용 공간(44)의 제 1 흡입구(13)로 연통되는 제 1 부분(45)과 제 2 흡입구(15)로 연통되는 제 2 부분(47)에 각각 배치한다. 이로써 각 흡입구(13, 15)로부터 유입된 피처리 공기를 서로 혼합시키는 일없이, 필터용 공간(44)의 각 부분(45, 47)에 설치한 공기필터(76, 77)로 여과시킬 수 있다. 또 제 1 부분(45)과 제 2 부분(47)에 서로 다른 종류의 공기필터(76, 77)를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 제 9 발명에서는, 케이싱(10) 내에 제 1 공기필터(76)와 제 2 공기필터(77)를 설치한다. 이로써 각 흡입구(13, 15)를 통과한 피처리 공기를 확실하게 정화시킬 수 있다. 또 제 1 공기필터(76)와 제 2 공기필터(77)로서 포집효율 등의 특성이 다른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0 발명에서는, 흡입측 측벽부(12)와 인접하여 서로 대향하는 케이싱(10)의 한 쌍의 측벽부 각각에, 공기필터(76, 77)를 꺼낼 수 있게 하기 위한 필터점검용 덮개(136, 137)를 1개씩 설치한다. 이로써 각 필터점검용 덮개(136, 137)를 개방함으로써, 그 필터용 공간(44)의 제 1 부분(45) 또는 제 2 부분(47)에 설치한 공기필터(76, 77)를 꺼낼 수 있다.
상기 제 11 발명에서는, 케이싱(10)의 측벽부 중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부 각각에 필터점검용 덮개(136, 137)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 1 필터점검용 덮개(136)를 개방함으로써 제 1 공기필터(76)를, 제 2 필터점검용 덮개(137)를 개방함으로써 제 2 공기필터(77)를 각각 케이싱(10)으로부터 꺼낼 수 있어, 공기필터(71)를 보수 점검할 때의 작업공정 수를 삭감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 장치의 구성 및 제습운전 시 제 1 동작에서의 공기흐름을 나타내는 개략구성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 장치의 구성 및 제습운전 시 제 2 동작에서의 공기흐름을 나타내는 개략구성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 장치의 구성 및 가습운전 시 제 1 동작에서의 공기흐름을 나타내는 개략구성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 장치의 구성 및 가습운전 시 제 2 동작에서의 공기흐름을 나타내는 개략구성도이다.
도 5A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제 1 동작 중의 공기흐름을 나타내는 조습 장치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5B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제 2 동작 중의 공기흐름을 나타내는 조습 장치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 장치의 흡착소자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사시도이다.
도 7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 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개략평면도이다.
도 8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 장치의 보수 점검 시 기기를 분리하는 방 향을 화살표로 나타내는 개략평면도이다.
도 9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 장치의 점검용 덮개 위치를 나타내는 개략사시도이다.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 장치의 구성 및 제습운전 시 제 1 동작에서의 공기흐름을 나타내는 개략구성도이다.
도 11은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 장치에서 보수 점검 시 기기를 분리하는 방향을 화살표로 나타내는 개략평면도이다.
도 12는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 장치의 점검용 덮개 위치를 나타내는 개략사시도이다.
도 13은 그 밖의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 장치의 구성 및 제습운전 시 제 1 동작에서의 공기흐름을 나타내는 개략구성도이다.
최상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이하의 실시형태는 본질적으로 바람직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 그 적용물이나 용도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는 전혀 없다.
(제 1 실시형태)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 장치는, 감습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는 제습운전과, 가습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는 가습운전을 절환하여 운전하도록 구성되며, 예를 들어 실내의 천장 면에 설치된다. 또 이 조습 장치는, 냉매 회로와 2개의 흡 착소자(81, 82)를 구비하며, 이른바 일괄(batch)식 동작을 행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 장치의 구성에 대해,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본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상","하","좌","우","전","후","앞쪽","안쪽"은, 특별히 설명이 없는 한, 도 1에 도시된 조습 장치를 정면 쪽(도 1에서 아래쪽)에서 본 경우를 의미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습 장치는, 거의 편평한 직방체형의 케이싱(10)을 구비한다. 이 케이싱(10)에는, 2개의 흡착소자(81, 82)와 냉매 회로가 수납된다.
냉매 회로에서는, 가열기로서의 재생 열교환기(102), 제 1 열교환기(103), 제 2 열교환기(104), 압축기(101), 및 팽창밸브가 배관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팽창밸브 및 배관의 도시는 생략한다. 이 냉매 회로에서는, 충전된 냉매를 순환시킴으로써 냉동주기가 이루어진다. 또 냉매 회로는, 제 1 열교환기(103)가 증발기로 되는 운전과, 제 2 열교환기(104)가 증발기로 되는 운전이 절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흡착소자(81, 82)는 평판형의 평판부재(83)와 물결형상의 골판부재(84)를 교대로 적층시켜 구성된다. 골판부재(84)는, 인접하는 골판부재(84)의 능선방향이 서로 90도 어긋나는 자세로 적층된다. 그리고 흡착소자(81, 82)는, 전체적으로 직방체형 내지 사각기둥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흡착소자(81, 82)에는, 평판부재(83) 및 골판부재(84)의 적층방향에 있어서, 조습측통로(85)와 냉각층통로(86)가 평판부재(83)를 개재하고 교대로 구획형 성된다. 이 흡착소자(81, 82)에서, 평판부재(83)의 긴 변 쪽 측면에 조습측통로(85)가 개구되고, 평판부재(83)의 짧은 변 쪽 측면에 냉각측통로(86)가 개구된다.
상기 흡착소자(81, 82)에서, 조습측통로(85) 쪽을 향한 평판부재(83)의 표면이나, 조습측통로(85)에 설치된 골판부재(84)의 표면에는, 수증기를 흡착하기 위한 흡착재료가 도포된다. 이러한 종류의 흡착재료로는 예를 들어 실리카겔, 제올라이트, 이온교환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제 2 흡착소자(81, 82)는 각각 긴 쪽 방향 중앙부에서 2분할되며, 보수 점검 시에 그 분할된 부분의 한쪽만을 분리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제 1, 제 2 흡착소자(81, 82)는 분할되지 않아도 된다.
상기 케이싱(10)에서, 가장 앞쪽에는 제 1 패널(11)이 배치되며, 이 제 1 패널(11)에 대향하는 가장 안쪽의 위치에는 제 2 패널(12)이 배치된다. 또 상기 케이싱(10)에서, 제 1 패널(11)과 직교하는 오른쪽의 제 3 패널(17)과 왼쪽의 제 4 패널(18)이 배치된다. 제 1 패널(11)에는, 그 왼쪽 끝단 하부에 제 1 토출구(14)가, 또 그 오른쪽 끝단 하부에 제 2 토출구(16)가 각각 형성된다. 한편 제 2 패널(12)에는, 그 왼쪽 끝단에 제 2 흡입구(15)가, 또 그 오른쪽 끝단에 제 1 흡입구(13)가 각각 제 2 패널(12)의 긴 쪽 방향으로 나열 형성된다. 이 제 2 패널(12)은 흡입측 측벽부를 구성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4 패널(18)에는 그 일부가 케이싱(10)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필터점검용 덮개(131)와 소자점검용 덮개(132)가 구성된다. 마찬가지 로 상기 제 1 패널(11)에는 팬점검용 덮개(121)가 구성된다. 여기서 팬점검용 덮개(121)와 소자점검용 덮개(132)는 각각이 2 개 이상으로 분할된 것이라도 된다.
도 7,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장 면(R)에서 케이싱(10)의 제 1 패널(11) 근방에는 보수 점검 시에 작업자에 의해 개폐되는 제 1 점검용 맨홀(H1)이 구성된다. 한편 천장 면(R)에서 케이싱(10)의 제 4 패널(18) 근방에는 보수 점검 시에 작업자에 의해 개폐되는 제 2 점검용 맨홀(H2)이 구성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10) 내부는, 앞쪽의 제 1 패널(11)로부터 안쪽의 제 2 패널(12)을 향하는 방향에서 3개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케이싱(10)의 제 1 패널(11) 쪽에 형성된 공간은, 좌우로 3개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이 3개의 공간 중, 오른쪽 공간은 제 2 토출측 유로(41)를 구성하고, 왼쪽 공간은 제 1 토출측 유로(42)를 구성한다. 또 제 2 토출측 유로(41)와 제 1 토출측 유로(42) 사이에 개재된 공간은, 수용공간(90)을 구성한다. 폐쇄공간인 수용공간(90)에는, 냉매 회로인 압축기(101)가 설치된다.
제 2 토출측 유로(41)는, 제 2 토출구(16)로 연통된다. 이 제 2 토출측 유로(41)에는, 제 2 팬으로서의 제 2 토출팬(96)과 제 2 열교환기(104)가 설치된다. 제 2 토출팬(96)은, 그 토출 쪽을 제 2 토출구(16)에 접속시키도록 상기 제 1 패널(11)의 팬점검용 덮개(121) 안쪽 면에 설치된다. 제 2 열교환기(104)는 제 2 토출팬(96)을 향해 흐르는 공기를 냉매 회로의 냉매와 열교환시킨다.
한편 제 1 토출측 유로(42)는, 제 1 토출구(14)로 연통된다. 이 제 1 토출측 유로(42)에는, 제 1 팬으로서의 제 1 토출팬(95)과 제 1 열교환기(103)가 설치 된다. 제 1 토출팬(95)은, 그 토출 쪽을 제 1 토출구(14)에 접속시키도록 상기 제 1 패널(11)의 팬점검용 덮개(121) 안쪽 면에 설치된다. 제 1 열교환기(103)는 제 1 토출팬(95)을 향해 흐르는 공기를 냉매 회로의 냉매와 열교환시킨다.
케이싱(10) 내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흡입구(13, 15)로 연통되는 1 개의 필터용 공간(44)이 제 2 패널(12)을 따라 형성된다. 이 필터용 공간(44)에는, 제 2 패널(12)을 따르도록 공기필터(71)가 배치된다. 이 공기필터(71)는, 그 좌단부가 상기 필터점검용 덮개(131)의 안쪽 면에 설치된다. 공기필터(71)는, 제 2 패널(12)과 거의 동일크기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제 2 패널(12) 쪽에서 보았을 때 필터용 공간(44)의 영역 전체를 피복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공기필터(71)에서는, 그 폭 방향(도 1에서의 좌우방향)의 중앙에 구획부재(72)가 배치된다. 이 구획부재(72)는, 예를 들어 발포 폴리에틸렌, 발포 우레탄 등으로 이루어지는 부재이다. 이 공기필터(71)에서는, 구획부재(72)보다 오른쪽 부분이 제 1 필터부(73)를 구성하며, 구획부재(72)보다 왼쪽 부분이 제 2 필터부(74)를 구성한다. 또 공기필터(71)는, 제 2 패널(12)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케이싱(10)에 대해 탈착 자유롭게 구성된다.
상기 공기필터(71)를 필터용 공간(44)에 설치한 상태에서는, 구획부재(72)에 의해 필터용 공간(44)이 좌우로 구획된다. 필터용 공간(44) 중, 이 구획부재(72)의 오른쪽 공간은, 제 1 부분으로서의 흡입 쪽 우측유로(45)를 구성한다. 흡입 쪽 우측유로(45)는, 제 1 흡입구(13)로 연통된다. 이 흡입 쪽 우측유로(45)에는, 제 1 필터부(73)가 배치된다. 한편 구획부재(72)의 왼쪽 공간은, 제 2 부분으로서의 흡입 쪽 좌측유로(47)를 구성한다. 흡입 쪽 좌측유로(47)는 제 2 흡입구(15)로 연통된다. 이 흡입 쪽 좌측유로(47)에는 제 2 필터부(74)가 배치된다.
케이싱(10)의 안쪽 방향 중앙에 형성된 공간은, 우측구획판(20)과 좌측구획판(30)에 의해 좌우로 3 개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우측구획판(20)의 오른쪽 공간은, 우측상하구획판(28)에 의해 상하로 구획된다. 그리고 이 공간은, 위쪽 공간이 우상부유로(65)를 구성하고, 아래쪽 공간이 우하부유로(66)를 구성한다. 우상부유로(65)는, 제 2 토출측유로(41)와 연통되는 한편, 흡입 쪽 우측유로(45)로부터 구획된다. 우하부유로(66)는, 흡입 쪽 우측유로(45)와 연통되는 한편, 제 2 토출측유로(41)로부터 구획된다.
좌측구획판(30)의 왼쪽 공간은, 좌측상하구획판(38)에 의해 상하로 구획된다. 그리고 이 공간은, 위쪽 공간이 좌상부유로(67)를 구성하고, 아래쪽 공간이 좌하부유로(68)를 구성한다. 좌상부유로(67)는, 제 1 토출측유로(42)와 연통되는 한편, 흡입 쪽 좌측유로(47)로부터 구획된다. 좌하부유로(68)는, 흡입 쪽 좌측유로(47)와 연통되는 한편, 제 1 토출측유로(42)로부터 구획된다.
도 5A 및 도 5B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구획판(20)과 좌측구획판(30) 사이에는, 2 개의 흡착소자(81, 82)가 설치된다. 이들 흡착소자(81, 82)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각각의 긴 쪽 방향이 제 1 패널(11)의 긴 쪽 방향을 따르는 자세로 서로 평행으로 나열되어 케이싱(10) 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앞쪽의 제 1 패널(11) 쪽으로 제 1 흡착소자(81)가 설치되며, 안쪽의 제 2 패널(12) 쪽으로 제 2 흡착소자(82)가 설치된다.
제 1, 제 2 흡착소자(81, 82)는, 각각의 평판부재(83) 및 골판부재(84)의 적층방향이 케이싱(10) 좌우방향과 일치하는 자세로 설치된다. 이 자세의 각 흡착소자(81, 82)에서는, 그 상하의 측면에 조습측통로(85)가 개구되며, 그 전후의 측면에 냉각측통로(86)가 개구되는 한편, 그 좌우의 끝단면에는 어느 쪽 통로(85, 86)도 개구되지 않는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구획판(20)과 좌측구획판(30) 사이의 공간은, 제 1 유로(51), 제 2 유로(52), 제 1 상부유로(53), 제 1 하부유로(54), 제 2 상부유로(55), 제 2 하부유로(56), 및 중앙유로(57)로 구획된다.
제 1 유로(51)는, 제 1 흡착소자(81)의 앞쪽으로 형성되며, 제 1 흡착소자(81)의 냉각측통로(86)로 연통된다. 제 2 유로(52)는, 제 2 흡착소자(82)의 안쪽으로 형성되며, 제 2 흡착소자(82)의 냉각측통로(86)로 연통된다.
제 1 상부유로(53)는, 제 1 흡착소자(81)의 위쪽에 형성되며, 제 1 흡착소자(81)의 조습측통로(85)로 연통된다. 제 1 하부유로(54)는, 제 1 흡착소자(81)의 아래쪽에 형성되며, 제 1 흡착소자(81)의 조습측통로(85)로 연통된다. 제 2 상부유로(55)는, 제 2 흡착소자(82)의 위쪽에 형성되며, 제 2 흡착소자(82)의 조습측통로(85)로 연통된다. 제 2 하부유로(56)는, 제 2 흡착소자(82)의 아래쪽에 형성되며, 제 2 흡착소자(82)의 조습측통로(85)로 연통된다.
중앙유로(57)는, 제 1 흡착소자(81)와 제 2 흡착소자(82) 사이에 형성되며, 양 흡착소자(81, 82)의 냉각측통로(86)로 연통된다. 이 중앙유로(57)에는, 재생 열교환기(102)가 거의 수직으로 선 상태에서 설치된다. 이 재생 열교환기(102)는, 중앙유로(57)를 흐르는 공기를 냉매 회로의 냉매와 열교환시킨다. 그리고 재생 열교환기(102)는, 응축기로서 기능하며,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기를 구성한다. 여기서 재생 열교환기(102)는, 거의 수평으로 눕힌 상태로 설치해도 된다.
중앙유로(57)와 제 1 하부유로(54) 사이의 구획은, 제 1 흡착소자(81)의 긴 쪽 방향 중앙부 분할면에 맞추어 좌우방향으로 2분할되며, 분할된 구획에 1개씩 제 1 셔터(61)가 형성된다. 한편, 중앙유로(57)와 제 2 하부유로(56) 사이의 구획도, 제 2 흡착소자(82)의 긴 쪽 방향 중앙부 분할면에 맞추어 좌우로 분할되며, 분할된 구획에 1개씩 제 2 셔터(62)가 형성된다. 제 1 셔터(61)와 제 2 셔터(62)는, 모두 개폐가 자유로운 댐퍼로서 각 흡착소자(81, 82)와 일체로 형성되어, 보수 점검 시에는 각각의 흡착소자(81, 82)와 함께 일체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제 1 셔터(61)와 제 2 셔터(62)는, 각 흡착소자(81, 82)와 별개로 설치되어도 된다.
우측구획판(20)은, 앞쪽으로부터 안쪽을 향해 3분할된다. 이 3분할된 우측구획판(20) 중, 가장 앞쪽 부분에는 제 1 우측개구(21), 제 1 우상개구(23) 및 제 1 우하개구(24)가, 가장 안쪽 부분에는 제 2 우측개구(22), 제 2 우상개구(25) 및 제 2 우하개구(26)가 각각 형성된다. 이들 개구(21, 22, ...)에는, 각각 댐퍼로서의 개폐셔터가 개폐 자유롭게 각 흡착소자(81, 82)와 일체로 형성되며, 보수 점검 시에는 분할된 우측구획판(20)의 일부 및 흡착소자(81, 82)와 함께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 1 우측개구(21)는, 우측구획판(20)의 앞쪽 하부에 형성된다. 제 1 우측개구(21)의 개폐셔터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제 1 유로(51)와 우하부유로(66)가 서 로 연통된다. 제 2 우측개구(22)는, 우측구획판(20)의 안쪽 하부에 형성된다. 제 2 우측개구(22)의 개폐셔터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제 2 유로(52)와 우하부유로(66)가 서로 연통된다.
제 1 우상개구(23)는, 우측구획판(20) 중 제 1 흡착소자(81)에 인접하는 부분의 상부에 형성된다. 제 1 우상개구(23)의 개폐셔터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제 1 상부유로(53)와 우상부유로(65)가 서로 연통된다. 제 1 우하개구(24)는, 우측구획판(20) 중 제 1 흡착소자(81)에 인접하는 부분의 하부에 형성된다. 제 1 우하개구(24)의 개폐셔터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제 1 하부유로(54)와 우하부유로(66)가 서로 연통된다.
제 2 우상개구(25)는, 우측구획판(20) 중 제 2 흡착소자(82)에 인접하는 부분의 상부에 형성된다. 제 2 우상개구(25)의 개폐셔터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제 2 상부유로(55)와 우상부유로(65)가 서로 연통된다. 제 2 우하개구(26)는, 우측구획판(20) 중 제 2 흡착소자(82)에 인접하는 부분의 하부에 형성된다. 제 2 우하개구(26)의 개폐셔터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제 2 하부유로(56)와 우하부유로(66)가 서로 연통된다.
좌측구획판(30)도, 앞쪽으로부터 안쪽을 향해 3분할된다. 이 3분할된 우측구획판(20) 중, 가장 앞쪽 부분에는 제 1 좌측개구(31), 제 1 좌상개구(33) 및 제 1 좌하개구(34)가, 가장 안쪽 부분에는 제 2 좌측개구(32), 제 2 좌상개구(35) 및 제 2 좌하개구(36)가 각각 형성된다. 이들 개구(31, 32, ...)는, 각각이 댐퍼로서의 개폐셔터를 구비하여 개폐 자유롭게 각 흡착소자(81, 82)와 일체로 형성되며, 보수 점검 시에는 분할된 좌측구획판(30)의 일부 및 흡착소자(81, 82)와 함께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 1 좌측개구(31)는, 좌측구획판(30)의 앞쪽 하부에 형성된다. 제 1 좌측개구(31)의 개폐셔터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제 1 유로(51)와 좌하부유로(68)가 서로 연통된다. 제 2 좌측개구(32)는, 좌측구획판(30)의 안쪽 하부에 형성된다. 제 2 좌측개구(32)의 개폐셔터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제 2 유로(52)와 좌하부유로(66)가 서로 연통된다.
제 1 좌상개구(33)는, 좌측구획판(30) 중 제 1 흡착소자(81)에 인접하는 부분의 상부에 형성된다. 제 1 좌상개구(33)의 개폐셔터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제 1 상부유로(53)와 좌상부유로(67)가 서로 연통된다. 제 1 좌하개구(34)는, 좌측구획판(30) 중 제 1 흡착소자(81)에 인접하는 부분의 하부에 형성된다. 제 1 좌하개구(34)의 개폐셔터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제 1 하부유로(54)와 좌하부유로(68)가 서로 연통된다.
제 2 좌상개구(35)는, 좌측구획판(30) 중 제 2 흡착소자(82)에 인접하는 부분의 상부에 형성된다. 제 2 좌상개구(35)의 개폐셔터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제 2 상부유로(55)와 좌상부유로(67)가 서로 연통된다. 제 2 좌하개구(36)는, 좌측구획판(30) 중 제 2 흡착소자(82)에 인접하는 부분의 하부에 형성된다. 제 2 좌하개구(36)의 개폐셔터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제 2 하부유로(56)와 좌하부유로(68)가 서로 연통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습 장치는, 제 1 흡입구(13) 및 제 2 토출 구(16)가 실외로 연통되어 제 2 흡입구(15) 및 제 1 토출구(14)가 실내로 연통되는 상태로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이 조습 장치는, 제 1 흡입구(13) 및 제 2 토출구(16) 쪽의 제 3 패널(17)이 실외 쪽 벽(W) 근방에 위치함과 더불어, 제 2 흡입구(15) 및 제 1 토출구(14) 쪽의 제 4 패널(18)이 실내 쪽에 위치하는 설치상태에 있다. 이때 제 1 패널(11)에서, 제 1 토출구(14)에는 실내측 토출용 덕트(114)가 접속되며, 제 2 토출구(16)에는 실외측 토출용 덕트(116)가 접속된다. 한편, 제 2 패널(12)의 제 1 흡입구(13)에는 실외측 흡입용 덕트(113)가 접속되며, 제 2 흡입구(15)에는 실내측 흡입용 덕트(115)가 접속된다. 여기서 이들 덕트(113, 114, ...)는 점검 시 분리 가능하도록 판금제가 아닌 주름형상의 유연한 덕트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전동작-
상기 조습 장치에서는, 제습운전과 가습운전이 절환되어 실행된다. 또 제습운전 중이나 가습운전 중에 있어서, 조습 장치에서는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제습운전>
도 1,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습운전에 있어서, 제 1 토출팬(95)을 구동시키면, 실외공기(OA)가 제 1 흡입구(13)를 통해 케이싱(10) 내로 도입된다. 이 실외공기는, 제 1 피처리 공기로서 흡입 쪽 우측유로(45)로 유입된다. 이 제 1 피처리 공기는, 공기필터(71)의 제 1 필터부(73)에 의해 여과된다. 한편, 제 2 토출팬(96)을 구동시키면, 실내공기(RA)가 제 2 흡입구(15)를 통해 케이싱(10) 내로 도 입된다. 이 실내공기는, 제 2 공기로서 흡입 쪽 좌측유로(47)로 유입된다. 이 제 2 피처리 공기는, 공기필터(71)의 제 2 필터부(74)에 의해 여과된다.
이때, 필터용 공간(44)은 공기필터(71)의 구획부재(72)에 의해 2 개로 구획되므로, 제 1 흡입구(13)로부터 도입된 실외공기와 제 2 흡입구(15)로부터 도입된 실내공기가 서로 혼합되는 일은 없다.
또 제습운전 시, 냉매 회로에서는 재생 열교환기(102)가 응축기가 되고, 제 1 열교환기(103)가 증발기로 되는 한편, 제 2 열교환기(104)가 휴지상태로 된다.
제습운전의 제 1 동작에 대해 도 1, 도 5A, 도 5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제 1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소자(81)에 대한 흡착동작과, 제 2 흡착소자(82)에 대한 재생동작이 이루어진다. 즉 제 1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소자(81)에서 공기가 감습됨과 동시에, 제 2 흡착소자(82)의 흡착재가 재생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구획판(20)에서는, 제 1 우하개구(24)와 제 2 우상개구(25)가 연통상태로 되며, 나머지 개구(21, 22, 23, 26)가 차단상태로 된다. 좌측구획판(30)에서는, 제 1 좌측개구(31)와 제 1 좌상개구(33)가 연통상태로 되며, 나머지 개구(32, 34, 35, 36)가 차단상태로 된다. 또 제 1 셔터(61)는 폐쇄상태로 되며, 제 2 셔터(62)는 개구상태로 된다.
제 1 피처리 공기는, 흡입 쪽 우측유로(45)로부터 우하부유로(66)로 유입된 후, 제 1 우하개구(24)를 통해 제 1 하부유로(54)로 유입된다. 한편 제 2 공기는, 흡입 쪽 좌측유로(47)로부터 좌하부유로(68)로 유입된 후, 제 1 좌측개구(31)를 통해 제 1 유로(51)로 유입된다.
도 5A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하부유로(54)의 제 1 피처리 공기는, 제 1 흡착소자(81)의 조습측통로(85)로 유입된다. 이 조습측통로(85)를 흐르는 사이에, 제 1 피처리 공기에 함유된 수증기가 흡착재에 흡착된다. 제 1 흡착소자(81)에서 감습된 제 1 피처리 공기는, 제 1 상부유로(53)로 유입된다.
한편, 제 1 유로(51)의 제 2 피처리 공기는, 제 1 흡착소자(81)의 냉각측통로(86)로 유입된다. 이 냉각측통로(86)를 흐르는 사이에 제 2 피처리 공기는, 조습측통로(85)에서 수증기가 흡착재에 흡착될 때 생긴 흡착열을 흡열한다. 흡착열을 얻은 제 2 피처리 공기는, 중앙유로(57)로 유입되어 재생 열교환기(102)를 통과한다. 이때, 재생 열교환기(102)에서는, 제 2 피처리 공기가 냉매와의 열교환에 의해 가열된다. 그 후, 제 2 피처리 공기는 중앙유로(57)로부터 제 2 하부유로(56)로 유입된다.
제 1 흡착소자(81) 및 재생 열교환기(102)에서 가열된 제 2 피처리 공기는, 제 2 흡착소자(82)의 조습측통로(85)로 도입된다. 이 조습측통로(85)에서는, 제 2 피처리 공기에 의해 흡착재가 가열되어, 흡착재로부터 수증기가 탈리된다. 즉, 제 2 흡착소자(82)의 재생이 이루어진다. 흡착재로부터 탈리된 수증기는, 제 2 피처리 공기와 함께 제 2 상부유로(55)로 유입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상부유로(53)로 유입된 감습 후의 제 1 피처리 공기는, 제 1 좌상개구(33)를 통해 좌상부유로(67)로 유입된 후, 제 1 토출측유로(42)로 유입된다. 이 제 1 피처리 공기는, 제 1 토출측유로(42)를 흐르는 동안 제 1 열교환기(103)를 통과하여, 냉매와의 열교환으로 냉각된다. 그 후, 감습되어 냉각된 제 1 피처리 공기는, 제 1 토출구(14)에 접속된 실내측 토출용 덕트(114)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제 2 상부유로(55)로 유입된 제 2 피처리 공기는, 제 2 우상개구(25)를 통해 우상부유로(65)로 유입된 후, 제 2 토출측유로(41)로 유입된다. 이 제 2 피처리 공기는, 제 2 토출측유로(41)를 흐르는 동안 제 2 열교환기(104)를 통과한다. 이때 제 2 열교환기(104)는 휴지상태이므로, 제 2 피처리 공기는 가열도 냉각도 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 1 흡착소자(81)의 냉각과 제 2 흡착소자(82)의 재생에 이용된 제 2 피처리 공기는, 제 2 토출구(16)에 접속된 실외측 토출용 덕트(116)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제습운전의 제 2 동작에 대해, 도 2, 도 5A, 도 5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제 2 동작에서는 제 1 동작 시와는 역으로, 제 2 흡착소자(82)에 대한 흡착동작과, 제 1 흡착소자(81)에 대한 재생동작이 이루어진다. 즉 제 2 동작에서는, 제 2 흡착소자(82)에서 공기가 감습됨과 동시에 제 1 흡착소자(81)의 흡착재가 재생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구획판(20)에서는, 제 1 우상개구(23)와 제 2 우하개구(26)가 연통상태로 되며, 나머지 개구(21, 22, 24, 25)가 차단상태로 된다. 좌측구획판(30)에서는, 제 2 좌측개구(32)와 제 2 좌상개구(35)가 연통상태로 되며, 나머지 개구(31, 33, 34, 36)가 차단상태로 된다. 또 제 2 셔터(62)는 폐쇄상태로 되며 제 1 셔터(61)는 개구상태로 된다.
제 1 피처리 공기는, 흡입 쪽 우측유로(45)로부터 우하부유로(66)로 유입된 후, 제 2 우하개구(26)를 통해 제 2 하부유로(56)로 유입된다. 한편, 제 2 피처리 공기는, 흡입 쪽 좌측유로(47)로부터 좌하부유로(68)로 유입된 후, 제 2 좌측개구(32)를 통해 제 2 유로(52)로 유입된다.
도 5B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하부유로(56)의 제 1 피처리 공기는, 제 2 흡착소자(82)의 조습측통로(85)로 유입된다. 이 조습측통로(85)를 흐르는 동안, 제 1 피처리 공기에 함유된 수증기가 흡착재에 흡착된다. 제 2 흡착소자(82)에서 감습된 제 1 피처리 공기는 제 2 상부유로(55)로 유입된다.
한편 제 2 유로(52)의 제 2 피처리 공기는, 제 2 흡착소자(82)의 냉각측통로(86)로 유입된다. 이 냉각측통로(86)를 흐르는 동안, 제 2 피처리 공기는 조습측통로(85)에서 수증기가 흡착재에 흡착될 때 생긴 흡착열을 흡열한다. 흡착열을 얻은 제 2 피처리 공기는, 중앙유로(57)로 유입되어 재생 열교환기(102)를 통과한다. 이때 재생 열교환기(102)에서는, 제 2 피처리 공기가 냉매와의 열교환으로 가열된다. 그 후 제 2 피처리 공기는, 중앙유로(57)로부터 제 1 하부유로(54)로 유입된다.
제 2 흡착소자(82) 및 재생 열교환기(102)에서 가열된 제 2 피처리 공기는, 제 1 흡착소자(81)의 조습측통로(85)로 도입된다. 이 조습측통로(85)에서는 제 2 피처리 공기에 의해 흡착재가 가열되어 흡착재로부터 수증기가 탈리된다. 즉 제 1 흡착소자(81)의 재생이 이루어진다. 흡착재로부터 탈리된 수증기는, 제 2 피처리 공기와 함께 제 1 상부유로(53)로 유입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상부유로(55)로 유입된 감습 후의 제 1 피처 리 공기는, 제 2 좌상개구(35)를 통해 좌상부유로(67)로 유입되며, 그 후에 제 1 토출측유로(42)로 유입된다. 이 제 1 피처리 공기는, 제 1 토출측유로(42)를 흐르는 동안에 제 1 열교환기(103)를 통과하여 냉매와의 열교환으로 냉각된다. 그 후, 감습되어 냉각된 제 1 피처리 공기는, 제 1 토출구(14)에 접속된 실내측 토출용 덕트(114)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제 1 상부유로(53)로 유입된 제 2 피처리 공기는, 제 1 우상개구(23)를 통해 우상부유로(65)로 유입된 후, 제 2 토출측유로(41)로 유입된다. 이 제 2 피처리 공기는, 제 2 토출측유로(41)를 흐르는 동안에 제 2 열교환기(104)를 통과한다. 이때 제 2 열교환기(104)는 휴지상태이므로, 제 2 피처리 공기는 가열도 냉각도 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 1 흡착소자(81)의 냉각과 제 2 흡착소자(82)의 재생에 이용된 제 2 피처리 공기는, 제 2 토출구(16)에 접속된 실외측 토출용 덕트(116)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가습동작>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습운전 시에 있어서, 제 1 토출팬(95)을 구동시키면, 실외공기(OA)가 제 1 흡입구(13)를 통해 케이싱(10) 내로 도입된다. 이 실외공기는, 제 2 피처리 공기로서 흡입 쪽 우측유로(45)로 유입된다. 이 제 2 피처리 공기는, 공기필터(71)의 제 1 필터부(73)에 의해 여과된다. 한편, 제 2 토출팬(96)을 구동시키면, 실내공기(RA)가 제 2 흡입구(15)를 통해 케이싱(10) 내로 도입된다. 이 실내공기는, 제 1 피처리 공기로서 흡입 쪽 좌측유로(47)로 유입된다. 이 제 1 피처리 공기는, 공기필터(71)의 제 2 필터부(74)에 의해 여과된다.
이때, 필터용 공간(44)은 공기필터(71)의 구획부재(72)에 의해 2 개로 구획되므로, 제 1 흡입구(13)로부터 도입된 실외공기와 제 2 흡입구(15)로부터 도입된 실내공기가 서로 혼합되는 일은 없다.
또 가습운전 시, 냉매 회로에서는 재생 열교환기(102)가 응축기가 되고, 제 2 열교환기(104)가 증발기로 되는 한편, 제 1 열교환기(103)가 휴지상태로 된다.
가습운전의 제 1 동작에 대해 도 3, 도 5A, 도 5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제 1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소자(81)에 대한 흡착동작과, 제 2 흡착소자(82)에 대한 재생동작이 이루어진다. 즉 제 1 동작에서는, 제 2 흡착소자(82)에서 공기가 가습되고, 제 1 흡착소자(81)의 흡착재가 수증기를 흡착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구획판(20)에서는, 제 1 우측개구(21)와 제 1 우상개구(23)가 연통상태로 되며, 나머지 개구(22, 24, 25, 26)가 차단상태로 된다. 좌측구획판(30)에서는, 제 1 좌하개구(34)와 제 2 좌상개구(35)가 연통상태로 되며, 나머지 개구(31, 32, 33, 36)가 차단상태로 된다. 또 제 1 셔터(61)는 폐쇄상태로 되며, 제 2 셔터(62)는 개구상태로 된다.
제 1 피처리 공기는, 흡입 쪽 좌측유로(47)로부터 좌하부유로(68)로 유입된 후, 제 1 좌하개구(34)를 통해 제 1 하부유로(54)로 유입된다. 한편 제 2 피처리 공기는, 흡입 쪽 우측유로(45)로부터 우하부유로(66)로 유입된 후, 제 1 우측개구(21)를 통해 제 1 유로(51)로 유입된다.
도 5A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하부유로(54)의 제 1 피처리 공기는, 제 1 흡착소자(81)의 조습측통로(85)로 유입된다. 이 조습측통로(85)를 흐르는 사이 에, 제 1 피처리 공기에 함유된 수증기가 흡착재에 흡착된다. 제 1 흡착소자(81)에서 수분을 빼앗긴 제 1 피처리 공기는, 제 1 상부유로(53)로 유입된다.
한편, 제 1 유로(51)의 제 2 피처리 공기는, 제 1 흡착소자(81)의 냉각측통로(86)로 유입된다. 이 냉각측통로(86)를 흐르는 사이에 제 2 피처리 공기는, 조습측통로(85)에서 수증기가 흡착재에 흡착될 때 생긴 흡착열을 흡열한다. 흡착열을 얻은 제 2 피처리 공기는, 중앙유로(57)로 유입되어 재생 열교환기(102)를 통과한다. 이때, 재생 열교환기(102)에서는, 제 2 피처리 공기가 냉매와의 열교환에 의해 가열된다. 그 후, 제 2 피처리 공기는 중앙유로(57)로부터 제 2 하부유로(56)로 유입된다.
제 1 흡착소자(81) 및 재생 열교환기(102)에서 가열된 제 2 피처리 공기는, 제 2 흡착소자(82)의 조습측통로(85)로 도입된다. 이 조습측통로(85)에서는, 제 2 피처리 공기에 의해 흡착재가 가열되어, 흡착재로부터 수증기가 탈리된다. 즉, 제 2 흡착소자(82)의 재생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흡착재로부터 탈리된 수증기가 제 2 피처리 공기에 부여되어 제 2 피처리 공기가 가습된다. 제 2 흡착소자(82)에서 가습된 제 2 피처리 공기는, 그 후에 제 2 상부유로(55)로 유입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상부유로(55)로 유입된 제 2 피처리 공기는, 제 2 좌상개구(35)를 통해 좌상부유로(67)로 유입된 후, 제 1 토출측유로(42)로 유입된다. 이 제 2 피처리 공기는, 제 1 토출측유로(42)를 흐르는 동안 제 1 열교환기(103)를 통과한다. 이때 제 1 열교환기(103)는 휴지상태이므로, 제 2 피처리 공기는 가열도 냉각도 되지 않는다. 그리고 가습된 제 2 피처리 공기는, 제 1 토출 구(14)에 접속된 실내측 토출용 덕트(114)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제 1 상부유로(53)로 유입된 제 1 피처리 공기는, 제 1 우상개구(23)를 통해 우상부유로(65)로 유입된 후, 제 2 토출측유로(41)로 유입된다. 이 제 1 피처리 공기는, 제 2 토출측유로(41)를 흐르는 동안 제 2 열교환기(104)를 통과하여 냉매와의 열교환으로 냉각된다. 그 후 수분과 열을 빼앗긴 제 1 피처리 공기는, 제 2 토출구(16)에 접속된 실외측 토출용 덕트(116)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가습운전의 제 2 동작에 대해, 도 4, 도 5A, 도 5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제 2 동작에서는 제 1 동작 시와는 역으로, 제 2 흡착소자(82)에 대한 흡착동작과, 제 1 흡착소자(81)에 대한 재생동작이 이루어진다. 즉 이 제 2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소자(81)에서 공기가 가습되고, 제 2 흡착소자(82)의 흡착재가 수증기를 흡착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구획판(20)에서는, 제 2 우측개구(22)와 제 2 우상개구(25)가 연통상태로 되며, 나머지 개구(21, 23, 24, 26)가 차단상태로 된다. 좌측구획판(30)에서는, 제 1 좌상개구(33)와 제 2 좌하개구(36)가 연통상태로 되며, 나머지 개구(31, 32, 34, 35)가 차단상태로 된다. 또 제 2 셔터(62)는 폐쇄상태로 되며 제 1 셔터(61)는 개구상태로 된다.
제 1 피처리 공기는, 흡입 쪽 좌측유로(47)로부터 좌하부유로(68)로 유입된 후, 제 2 좌하개구(36)를 통해 제 2 하부유로(56)로 유입된다. 한편, 제 2 피처리 공기는, 흡입 쪽 우측유로(45)로부터 우하부유로(66)로 유입된 후, 제 2 우측개구(22)를 통해 제 2 유로(52)로 유입된다.
도 5B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하부유로(56)의 제 1 피처리 공기는, 제 2 흡착소자(82)의 조습측통로(85)로 유입된다. 이 조습측통로(85)를 흐르는 동안, 제 1 피처리 공기에 함유된 수증기가 흡착재에 흡착된다. 제 2 흡착소자(82)에서 수분을 빼앗긴 제 1 피처리 공기는 제 2 상부유로(55)로 유입된다.
한편 제 2 유로(52)의 제 2 피처리 공기는, 제 2 흡착소자(82)의 냉각측통로(86)로 유입된다. 이 냉각측통로(86)를 흐르는 동안, 제 2 피처리 공기는 조습측통로(85)에서 수증기가 흡착재에 흡착될 때 생긴 흡착열을 흡열한다. 흡착열을 얻은 제 2 피처리 공기는, 중앙유로(57)로 유입되어 재생 열교환기(102)를 통과한다. 이때 재생 열교환기(102)에서는, 제 2 피처리 공기가 냉매와의 열교환으로 가열된다. 그 후 제 2 피처리 공기는, 중앙유로(57)로부터 제 1 하부유로(54)로 유입된다.
제 2 흡착소자(82) 및 재생 열교환기(102)에서 가열된 제 2 피처리 공기는, 제 1 흡착소자(81)의 조습측통로(85)로 도입된다. 이 조습측통로(85)에서는 제 2 피처리 공기에 의해 흡착재가 가열되어 흡착재로부터 수증기가 탈리된다. 즉 제 1 흡착소자(81)의 재생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흡착재로부터 탈리된 수증기가 제 2 피처리 공기에 부여되어 제 2 피처리 공기가 가습된다. 제 1 흡착소자(81)에서 가습된 제 2 피처리 공기는, 그 후에 제 1 상부유로(53)로 유입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상부유로(53)로 유입된 제 2 피처리 공기는, 제 1 좌상개구(33)를 통해 좌상부유로(67)로 유입되며, 그 후에 제 1 토출측유로(42)로 유입된다. 이 제 2 피처리 공기는, 제 1 토출측유로(42)를 흐르는 동안에 제 1 열교환기(103)를 통과한다. 이때 제 1 열교환기(103)는 휴지상태이므로, 제 2 피처리 공기는 가열도 냉각도 되지 않는다. 그리고 가습된 제 2 피처리 공기는, 제 1 토출구(14)에 접속된 실내측 토출용 덕트(114)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제 2 상부유로(55)로 유입된 제 1 피처리 공기는, 제 2 우상개구(25)를 통해 우상부유로(65)로 유입된 후, 제 2 토출측유로(41)로 유입된다. 이 제 1 피처리 공기는, 제 2 토출측유로(41)를 흐르는 동안에 제 2 열교환기(104)를 통과하여 냉매와의 열교환으로 냉각된다. 그 후 수분과 열을 빼앗긴 제 1 피처리 공기는, 제 2 토출구(16)에 접속된 실외측 토출용 덕트(116)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보수 점검-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 조습 장치의 보수 점검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8,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필터(71)를 꺼낼 때, 작업자는 제 2 점검용 맨홀(H2)을 연다. 이로써 조습 장치의 제 4 패널(18) 쪽에서의 작업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제 4 패널(18)의 필터 점검용 덮개(131)를 케이싱(10)으로부터 벗기면, 그 안쪽 면에 고정된 공기필터(71)도 필터 점검용 덮개(131)와 함께 왼쪽으로 슬라이딩하여, 공기필터(71)가 필터 점검용 덮개(131)와 함께 케이싱(10) 밖으로 분리된다.
여기서 제 1 흡착소자(81) 및 제 2 흡착소자(82)를 꺼내기 위해서는, 제 4 패널(18)의 소자점검용 덮개(132)를 벗기고, 제 1 흡착소자(81) 및 제 2 흡착소자(82)를 각각 케이싱(10) 밖으로 꺼내면 된다.
또 팬(95, 96)이나 압축기(101)를 꺼내기 위해서, 작업자는 제 1 점검용 맨 홀(H1)을 연다. 이로써 조습 장치의 제 1 패널(11) 쪽에서의 작업이 가능해진다. 케이싱(10)으로부터 팬점검용 덮개(121)를 벗긴 상태에서 제 1 토출팬(95), 제 2 토출팬(96) 및 압축기(101)가 케이싱(10)의 개구로부터 꺼내진다.
-제 1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 장치에서는, 케이싱(10)의 제 2 패널(12)에 제 1 및 제 2 흡입구(13, 15)를 나열 개구시키고, 제 1 및 제 2 흡입구(13, 15)로 연통되는 1 개의 필터용 공간(44)에 공기필터(71)를 배치한다. 이로써 제 1 및 제 2 흡입구(13, 15)로부터 유입된 피처리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공기필터(71)를 케이싱(10) 내의 1 개소로 집약시킬 수 있어, 공기필터(71)를 케이싱(10)에 조립, 분리할 때의 작업공정 수를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 장치에 의하면, 흡입구(13, 15) 바로 뒤에 배치한 공기필터(71)로 피처리 공기를 여과시켜 케이싱(10) 내로의 먼지 등의 유입량을 저감시킨 상태에서, 공기필터(71)를 보수 점검할 때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보습장치에서는, 제 1 흡입구(13)로부터 케이싱(10) 내로 유입된 피처리 공기와, 제 2 흡입구(15)로부터 케이싱(10) 내로 유입된 피처리 공기의 양쪽을, 1개의 공기필터(71)로 여과한다. 이로써 공기필터(71)를 보수 점검할 때는, 이 1개의 공기필터를 케이싱(10)에 탈착시키면 되므로, 공기필터(71)의 보수 점검 작업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 장치에서는, 공기필터(71)에 구획부재(72)를 설치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흡입구(13, 15)로부터 케이싱(10) 내로 유입된 피처리 공기가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각 피처리 공기의 여과를 1개의 공기필터(71)로 실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 장치에서는, 케이싱(10)의 제 2 패널(12)에 인접하는 제 4 패널(18)에 공기필터(71)를 분리하기 위한 필터점검용 덮개(131)를 설치한다. 이로써 1개의 필터점검용 덮개(131)를 여는 것만으로 공기필터(71)를 꺼낼 수 있어, 공기필터(71)의 보수 점검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 장치에서는, 공기필터(71)를 필터점검용 덮개(131)의 안쪽 면에 설치한다. 이로써 필터점검용 덮개(131)를 열면, 이 필터점검용 덮개(131)의 이동에 따라 공기필터(71)가 케이싱(10)으로부터 꺼내지므로, 공기필터(71)를 보수 점검할 때의 작업공정 수를 삭감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4 패널(18)에만 필터점검용 덮개(131)와 소자점검용 덮개(132)를 설치하지만, 제 3 패널(17)에만 필터점검용 덮개(131)와 소자점검용 덮개(132)를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제 2 점검용 맨홀(H2)을 제 3 패널(17) 쪽에 설치하면 된다.
또한 제 4 패널(18)만이 아닌, 제 3 패널(17)에도 필터점검용 덮개(131)와 소자점검용 덮개(132)를 설치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조습 장치의 설치상태에 맞추어 제 4 패널(18) 쪽에서도 제 3 패널(17) 쪽에서도, 공기필터(71)와 흡착소자(81, 82)를 케이싱(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 패널(17) 쪽이 벽면(W) 가에 있을 때는, 그 반대쪽인 제 4 패널(18)의 필터점검용 덮개(131) 안쪽 면에 공기필터(71) 의 왼쪽 단부가 설치된다. 역으로 제 4 패널(18) 쪽이 벽면(W) 가에 있을 때는, 그 반대쪽인 제 3 패널(17)의 필터점검용 덮개(131) 안쪽 면에 공기필터(71)의 오른쪽 단부가 설치된다. 즉 벽면(W)과 반대쪽에 맨홀을 설치하고, 그 맨홀로부터 공기필터(71)와 흡착소자(81, 82)의 보수 점검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조습 장치를 벽면(W)에 가깝게 설치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조습 장치에서는, 공기필터(71)의 제 1 필터부(73)와 제 2 필터부(74)로 필터기재가 서로 달라도 된다. 흡입 쪽 좌측유로(47)로는 실내공기가 유입되는데 반해, 흡입 쪽 우측유로(45)로는 실외공기가 유입된다. 즉 흡입 쪽 우측유로(45)의 제 1 필터부(73)는, 흡입 쪽 좌측유로(47)의 제 2 필터부(74)에 비해 오염된 공기를 여과하게 된다. 그래서 제 1 필터부(73)의 필터기재로는, 제 2 필터부(74)의 필터기재에 비해 포집효율이 높은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제 2 실시형태의 조습 장치는, 케이싱(10)의 제 2 패널(12) 쪽에 형성된 필터용 공간(44)이 구획판(48)에 의해 좌우로 구획되며, 좌우로 구획된 필터용 공간(44)의 각 부분에 공기필터(76, 77)가 1개씩 설치되는 점에서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다르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 내지 도 9와 동일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구획판(48)은, 케이싱(10)에 설치된다. 필터용 공간(44) 중, 오른쪽 부분은, 제 1 부분으로서의 흡입 쪽 우측유로(45)를 구성한다. 흡입 쪽 우측유로(45) 는 제 1 흡입구(13)로 연통된다. 한편 구획판(48)의 왼쪽 부분은, 제 2 부분으로서의 흡입 쪽 좌측유로(47)를 구성한다. 흡입 쪽 좌측유로(47)는 제 2 흡입구(15)로 연통된다.
구획판(48)으로 구획된 흡입 쪽 우측유로(45)와 흡입 쪽 좌측유로(47)에는, 공기필터(76, 77)가 1개씩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흡입 쪽 우측유로(45)에는 제 1 공기필터(76)가 설치되며, 흡입 쪽 좌측유로(47)에는 제 2 공기필터(77)가 설치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 패널(17)에는, 모두 케이싱(10)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제 1 필터점검용 덮개(136) 및 소자점검용 덮개(132)가 설치된다. 제 4 패널(18)에는, 모두 케이싱(10)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제 2 필터점검용 덮개(137) 및 소자점검용 덮개(132)가 설치된다. 여기서 소자점검용 덮개(132)에 대해서는 제 3 패널(17)과 제 4 패널(18) 중 어느 한쪽에만 설치돼도 된다.
상기 각 필터점검용 덮개(136, 137)의 안쪽 면에는, 상기 공기필터(76, 77)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제 1 필터점검용 덮개(136) 안쪽 면에는 제 1 공기필터(76)의 단부가 고정된다. 또 제 2 필터점검용 덮개(137) 안쪽 면에는 제 2 공기필터(77)의 단부가 고정된다.
여기서 도 10에 제습운전의 제 1 동작을 예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조습 장치의 각 운전동작은 상기 제 1 실시형태 조습 장치의 운전동작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보수 점검-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 조습 장치의 보수 점검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4 패널(18) 쪽에 위치하는 제 2 공기필터(77)를 꺼낼 경우는, 작업자가 제 2 점검용 맨홀(H2)을 열게 된다. 이로써 조습 장치의 제 4 패널(18) 쪽에서 작업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제 4 패널(18)의 제 2 필터점검용 덮개(137)를 케이싱(10)으로부터 분리하면, 제 2 공기필터(77)도 제 2 필터점검용 덮개(137)와 함께 왼쪽으로 슬라이딩하여 케이싱(10) 밖으로 인출된다.
마찬가지로, 제 3 패널(17) 쪽에 위치하는 제 1 공기필터(76)를 꺼낼 경우는, 작업자가 제 3 점검용 맨홀(H3)을 열게 된다. 이로써 조습 장치의 제 3 패널(17) 쪽에서 작업이 가능해진다. 제 3 패널(17)의 제 1 필터점검용 덮개(136)를 케이싱(10)으로부터 분리하면, 제 1 공기필터(76)도 제 1 필터점검용 덮개(136)와 함께 오른쪽으로 슬라이딩하여 케이싱(10) 밖으로 인출된다.
그리고 제 1 흡착소자(81) 및 제 2 흡착소자(82)를 꺼내기 위해서는, 제 4 패널(18) 또는 제 3 패널(17) 중 어느 한쪽의 소자점검용 덮개(132)를 벗기고, 제 1 흡착소자(81) 및 제 2 흡착소자(82)를 각각 케이싱(10) 밖으로 꺼내면 된다.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
본 실시형태의 조습 장치에서는, 제 1 공기필터(76)와 제 2 공기필터(77)의 필터기재가 서로 달라도 된다. 흡입 쪽 좌측유로(47)에는 실내공기가 흘러드는데 반해, 흡입 쪽 우측유로(45)에는 실외공기가 흘러든다. 즉 흡입 쪽 우측유로(45)의 제 1 공기필터(76)는, 흡입 쪽 좌측유로(47)의 제 2 공기필터(77)에 비해 오염된 공기를 여과하게 된다. 그래서 제 1 공기필터(76)의 필터기재로는, 제 2 공기 필터(77)의 필터기재에 비해 포집효율이 높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오염되기 쉬운 제 1 공기필터(76)로서, 필터기재를 2매 겹친 것을 사용해도 된다.
(그 밖의 실시형태)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 장치에서는, 공기필터(71)를 제 2 패널(12)을 따르도록 구성시키지만,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적으로 보아 원호형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공기필터(71)의 공기저항을 삭감할 수 있다.
또 도시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공기필터(71)의 하단이 제 2 패널(12)에 접함과 동시에 상단이 흡착소자(81, 82) 쪽으로 가까워지도록 기울기를 주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해도 공기필터(71)의 공기저항을 삭감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기의 습도조절을 행하는 조습 장치에 대해 유용하다.

Claims (13)

  1. 제 1 및 제 2 팬(95, 96)에 의해 중공 케이싱(10) 내에서 제 1 및 제 2 피처리 공기를 유통시킴과 더불어, 상기 케이싱(10) 내에서의 피처리 공기의 유통경로를 절환함으로써, 제 1 흡착소자(81)와 제 2 흡착소자(82)를 교대로 이용하여 실내로 공급되는 피처리 공기의 제습 또는 가습을 행하는 조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은, 편평한 직방체형으로 형성되어 제 1 및 제 2 흡입구(13, 15)와 제 1 및 제 2 토출구(14, 16)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싱(10) 측벽부의 하나인 흡입측 측벽부(12)에는, 제 1 및 제 2 흡입구(13, 15)가 이 흡입측 측벽부(12)의 긴 쪽 방향으로 나열 개구되고,
    상기 케이싱(10) 내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흡입구(13, 15)로 연통되는 1 개의 필터용 공간(44)이 상기 흡입측 측벽부(12)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필터용 공간(44)에는, 상기 흡입구(13, 15)로부터 유입된 피처리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공기필터(71, 76, 77)가 배치된 조습 장치.
  2. 제 1 및 제 2 팬(95, 96)에 의해 중공 케이싱(10) 내에서 제 1 및 제 2 피처리 공기를 유통시킴과 더불어, 상기 케이싱(10) 내에서의 피처리 공기의 유통경로를 절환함으로써, 제 1 흡착소자(81)와 제 2 흡착소자(82)를 교대로 이용하여 실내로 공급되는 피처리 공기의 제습 또는 가습을 행하는 조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은, 편평한 직방체형으로 형성되어 제 1 및 제 2 흡입구(13, 15)와 제 1 및 제 2 토출구(14, 16)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싱(10) 측벽부의 하나인 흡입측 측벽부(12)에는, 제 1 및 제 2 흡입구(13, 15)가 이 흡입측 측벽부(12)의 긴 쪽 방향으로 나열 개구되고,
    상기 케이싱(10) 내에는, 상기 흡입구(13, 15)로부터 유입된 피처리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공기필터(71, 76, 77)가 상기 흡입측 측벽부(12)를 따라 배치된 조습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공기필터(71)는 필터용 공간(44)에 1 개 구성되어 제 1 및 제 2 흡입구(13, 15)로부터 유입된 피처리 공기를 여과하도록 구성됨과 더불어, 상기 필터용 공간(44)을, 제 1 흡입구(13)로 연통되는 제 1 부분(45)과 제 2 흡입구(15)로 연통되는 제 2 부분(47)으로 구획하기 위한 구획부재(72)를 구비한 조습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공기필터(71)에서는, 제 1 흡입구(13)로부터 유입된 피처리 공기를 여과하는 제 1 필터부(73)와, 제 2 흡입구(15)로부터 유입된 피처리 공기를 여과하는 제 2 필터부(74)와, 제 1 필터부(73)를 통과하는 공기와 제 2 필터부(74)를 통과하는 공기의 혼합을 방지하는 구획부재(72)가 일체로 형성된 조습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케이싱(10)에서, 흡입측 측벽부(12)에 인접한 측벽부의 적어도 한쪽에는, 공기필터(71)를 꺼낼 수 있게 하기 위한 필터점검용 덮개(131)가 구성된 조습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공기필터(71)가 필터점검용 덮개(131)의 안쪽 면에 설치된 조습 장치.
  7.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공기필터(71)는 흡입측 측벽부(12)와 평행인 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케이싱(10)에 대해 탈착 자유롭게 구성된 조습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필터용 공간(44)은, 제 1 흡입구(13)로 연통되는 제 1 부분(45)과, 제 2 흡입구(15)로 연통되는 제 2 부분(47)으로 구획되며,
    상기 제 1 부분(45)에는 제 1 공기필터(76)가, 상기 제 2 부분(47)에는 제 2 공기필터(77)가 각각 구성된 조습 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케이싱(10) 내에는, 제 1 흡입구(13)로부터 유입된 피처리 공기를 여과하는 제 1 공기필터(76)와, 제 2 흡입구(15)로부터 유입된 피처리 공기를 여과하는 제 2 공기필터(77)가 구성된 조습 장치.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케이싱(10)에서, 흡입측 측벽부(12)에 인접하며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부는, 각각이 공기필터(76, 77)를 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필터점검용 덮개(136, 137)를 1 개씩 구비한 조습 장치.
  11.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케이싱(10)에서, 흡입측 측벽부(12)에 인접하는 측벽부 중,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부는, 그 한쪽이 제 1 공기필터(76)를 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 1 필터점검용 덮개(136)를, 다른 쪽이 제 2 공기필터(77)를 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 2 필터점검용 덮개(137)를 각각 구비한 조습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제 1 공기필터(76)가 제 1 필터점검용 덮개(136)의 안쪽 면에, 제 2 공기필터(77)가 제 2 필터점검용 덮개(137)의 안쪽 면에 각각 설치된 조습 장치.
  13.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공기필터(76, 77)는, 흡입측 측벽부(12)와 평행인 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케이싱(10)에 대해 탈착 자유롭게 구성된 조습 장치.
KR1020057023435A 2003-06-11 2004-06-10 조습 장치 KR1006590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66952 2003-06-11
JP2003166952 2003-06-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0661A true KR20060020661A (ko) 2006-03-06
KR100659013B1 KR100659013B1 (ko) 2006-12-21

Family

ID=33549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3435A KR100659013B1 (ko) 2003-06-11 2004-06-10 조습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410533B2 (ko)
EP (1) EP1650504A4 (ko)
JP (1) JP3624912B2 (ko)
KR (1) KR100659013B1 (ko)
CN (1) CN100424427C (ko)
AU (1) AU2004248040B2 (ko)
WO (1) WO20041115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4982B2 (ja) * 2005-05-30 2007-01-1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
JP3891207B2 (ja) * 2005-06-17 2007-03-1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JP5018402B2 (ja) * 2007-10-31 2012-09-0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US8051670B2 (en) * 2008-05-09 2011-11-08 Thermo King Corporation HVAC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US8227648B2 (en) * 2008-12-17 2012-07-24 Uop Llc Combined temperature controlled water adsorption and two stage heat pump process for fuel ethanol dehydration
US8226746B2 (en) * 2008-12-17 2012-07-24 Uop Llc Indirectly heated temperature controlled adsorber for sorbate recovery
US8067646B2 (en) * 2008-12-17 2011-11-29 Uop Llc Combined temperature controlled adsorption and heat pump process for fuel ethanol dehydration
US20100132548A1 (en) * 2008-12-17 2010-06-03 Dunne Stephen R Temperature controlled adsorption for dehydration of water rich streams
EP2772696B1 (en) * 2011-10-28 2020-07-1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Refrigeration and air-conditioning device
KR101668247B1 (ko) * 2015-02-09 2016-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US9777941B2 (en) * 2015-04-21 2017-10-03 Metal Logix Design And Fabrication Inc. Heat recovery ventilator and rotary damper assembly
CN105276714B (zh) * 2015-10-30 2018-11-2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除湿系统及除湿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14023B (de) * 1954-02-03 1961-09-21 Carl Georg Munters Kombinierter Waerme- und Feuchtigkeitsaustauscher
JPS60178735A (ja) 1984-02-24 1985-09-12 Sumitomo Electric Ind Ltd 発光素子駆動回路
JPS60178735U (ja) * 1984-05-07 1985-11-27 三菱電機株式会社 空調換気扇
US5183098A (en) * 1989-08-17 1993-02-02 Stirling Technology, Inc. Air to air heat recovery ventilator
US5203989A (en) * 1991-01-30 1993-04-20 Reidy James J Portable air-water generator
AU641083B2 (en) * 1991-03-05 1993-09-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Humidity control apparatus
JP2636553B2 (ja) 1991-05-28 1997-07-30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US5758511A (en) * 1991-10-15 1998-06-02 Yoho; Robert W. Desiccant multi-duel hot air/water air conditioning system
JPH0542925U (ja) * 1991-11-18 1993-06-11 株式会社東芝 埋込み型空気調和機
US5179998A (en) * 1992-01-24 1993-01-19 Champs Nicholas H Des Heat recovery ventilating dehumidifier
US5236478A (en) * 1993-01-28 1993-08-17 Lewis Keith B Lint trap unit
JPH0765770B2 (ja) 1993-03-19 1995-07-19 木村工機株式会社 空調用天吊形換気ユニット
US5595949A (en) * 1994-03-18 1997-01-21 Electric Fuel (E.F.L.) Ltd., Scrubber system for removing carbon dioxide from a metal-air or fuel cell battery
ATE521863T1 (de) * 2000-03-14 2011-09-15 Air Change Pty Ltd Wärmetauscher
SE516900C2 (sv) * 2000-04-18 2002-03-19 Munters Europ Ab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värme- och fuktutbyte mellan två luftströmmar samt förfarande för styrning av nämnda anordning
JP2002022206A (ja) 2000-07-07 2002-01-23 Daikin Ind Ltd 調湿装置
JP2002263434A (ja) 2001-03-09 2002-09-17 Osaka Gas Co Ltd 除湿装置
JP4411797B2 (ja) * 2001-05-09 2010-02-10 株式会社日立プラントテクノロジー 除湿方法及びその装置
US6751964B2 (en) * 2002-06-28 2004-06-22 John C. Fischer Desiccant-based dehumidification system and method
JP2004060600A (ja) * 2002-07-31 2004-02-26 Toyo Roki Mfg Co Ltd エアクリーナ
US6997966B2 (en) * 2004-01-23 2006-02-14 Airex Inc. Lint tra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4248040A1 (en) 2004-12-23
KR100659013B1 (ko) 2006-12-21
EP1650504A1 (en) 2006-04-26
US20070089608A1 (en) 2007-04-26
AU2004248040B2 (en) 2008-01-17
WO2004111545A1 (ja) 2004-12-23
JP2005024233A (ja) 2005-01-27
US7410533B2 (en) 2008-08-12
CN100424427C (zh) 2008-10-08
EP1650504A4 (en) 2010-10-27
JP3624912B2 (ja) 2005-03-02
CN1802540A (zh) 200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4556B1 (ko) 조습장치
KR100740770B1 (ko) 조습장치
JP3709815B2 (ja) 空気調和装置
KR100659013B1 (ko) 조습 장치
KR101143099B1 (ko) 조습장치
KR20050083614A (ko) 공기조화장치
KR100829678B1 (ko) 조습 장치
KR101207947B1 (ko) 제습 냉방 장치
KR20100131468A (ko) 조습 시스템
JP2009092299A (ja) 調湿装置
JP4161841B2 (ja) 調湿装置
JP2006023079A (ja) 調湿装置
JP4165328B2 (ja) 調湿装置
JP3800092B2 (ja) 調湿装置
JP3742895B2 (ja) 調湿装置
KR20100060500A (ko) 제습 냉방 장치
JP2004333017A (ja) 調湿装置
JP2004353989A (ja) 調湿装置
JP2005009767A (ja) 調湿装置
JP2003130392A (ja) 空気調和装置
JP2005283045A (ja) 調湿装置
JP2005016886A (ja) 空気調和装置
JP2017129319A (ja) 調湿装置
JP2005283066A (ja) 調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