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9415A - 저광택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 Google Patents

저광택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9415A
KR20060019415A KR1020040068088A KR20040068088A KR20060019415A KR 20060019415 A KR20060019415 A KR 20060019415A KR 1020040068088 A KR1020040068088 A KR 1020040068088A KR 20040068088 A KR20040068088 A KR 20040068088A KR 20060019415 A KR20060019415 A KR 20060019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yrene
weight
copolymer
parts
thermoplas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8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6955B1 (ko
Inventor
강병일
이찬홍
유한종
김성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40068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6955B1/ko
Priority to PCT/KR2005/002833 priority patent/WO2006022528A1/en
Priority to US10/565,857 priority patent/US7781523B2/en
Priority to JP2006532110A priority patent/JP2006528994A/ja
Publication of KR20060019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9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6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69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69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4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25/00Synthetic resins or natural rubbers -- part of the class 520 series
    • Y10S525/942Polymer derived from nitrile, conjugated diene and aromatic co-mono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Epoxy Res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고무 변성 스티렌을 포함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30 내지 70 중량부(A); 및 스티렌을 포함하는 공중합체(B) 30 내지 70 중량부로 이루어진 기초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글리시딜 메타 아크릴레이트 관능기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C), 분자당 2개 이상의 카르복시 관능기를 가진 스티렌계 화합물(D)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저광택 첨가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충분한 저광택성을 가지고, 충격강도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저광택도, 충격강도,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 카르복시 화합물,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Description

저광택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Styrene-base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s with Very Low Gloss and High Impact Strength}
본 발명은 충격강도가 우수하고 표면 광택이 현저히 낮은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고무 변성 스티렌을 포함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스티렌을 포함하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수지에 글리시딜 메타 아크릴레이트 관능기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와 카르복시 관능기를 가지는 스티렌계 중합체를 첨가함으로써 내충격성 및 저광택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ABS, ASA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는 일상생활 용품에서 자동차 내장재, 사무기기, 건축자재 등 광범위한 부분에서 그 사용량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사용자들의 감성품질 요구 수준이 높아지면서 좀 더 품위 있는 분위기 연출을 위해 무광택 수지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아울러 환경문제가 대두되면서 무광도장이나 패드를 씌우는 공정을 생략하고 무광택 수지를 직접 사용하려고 하는 추세이다.
상기와 같은 무광택 효과를 내기위해서 수지표면의 평활도를 가시광선 영역보다 크게 조절하여 입사된 빛을 산란시켜 무광효과를 내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다음의 세가지 방법이 널리 이용되어 지고 있다.
대부분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를 개량하는 방법으로 첫번째는 벌크 중합하여 2 ㎛ 이상의 대구경 고무입자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두번째는 수지에 5 ㎛ 이상의 입자크기를 갖는 무광필러를 투입하는 방법이다. 세번째는 에멀젼 중합법으로 제조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중합체에 개질제로 에틸렌-불포화카르복실산과 같은 단량체를 그라프트 중합하여 제조하는 방법 등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첫번째 방법으로는 우수한 저광택 효과를 얻기가 힘들며 제한적으로 우수한 저광택 효과를 나타낼 경우 충격강도 및 열변형 온도의 저하가 심하다. 두번째 방법은 성형성이 우수한 반면 저광택성이 부족하고 특히 충격강도의 저하가 심하다. 세번째 방법은 저광택성이 우수하고 충격강도 및 제반물성이 양호하여 수지의 무광 효과 증대를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공정이 갖추어지지 않는 경우는 적용하기 어려우며 공정이 갖추어졌다고 해도 공정의존도가 크고 또한 그에 따라 비용이 많이 든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단지 저광택 첨가제의 도입만으로 광택의 감소는 물론 가공성 및 충격강도까지도 동시에 향상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택도가 현저히 낮고 충격강도가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고무 변성 스티렌을 포함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A) 30 내지 70 중량부; 및 스티렌을 포함하는 공중합체(B) 30 내지 70 중량부로 이루어진 기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글리시딜 메타 아크릴레이트 관능기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C), 분자당 2개 이상의 카르복시 관능기를 가진 스티렌계 중합체(D)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저광택 첨가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C)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의 함량은 바람직하게 3 내지 5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C)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는 분자량이 20,000 내지 50,000이고, 분자당 6 내지 15 개의 글리시딜 메타 아크릴레이트 관능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C)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의 구조단위가 프로필렌 또는 에틸렌 일 수 있다.
상기 (D) 스티렌계 중합체의 함량은 바람직하게 2 내지 4 중량부 일 수 있다.
상기 (D) 카르복시 관능기를 가진 스티렌계 중합체의 분자량이 10,000 내지 100,000 일 수 있다.
상기 (D) 스티렌계 중합체는 분자당 2 내지 100개의 카르복실 관능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관능기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는 스티렌계 중합체를 함유할 수 있으며, 반응성기를 갖는 올레핀과 스티렌계 중합체 영역의 비가 50 : 50 내지 40 : 60 일 수 있다.
상기 (C) 글리시딜 메타 아크릴레이트 관능기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에서 반응성기를 갖는 올레핀과 메타아크릴계 중합체 영역의 비가 50 : 50 내지 40 : 60 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고무 변성 스티렌을 포함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A) 20 내지 50 중량부와 스티렌을 포함하는 공중합체(B) 30 내지 7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글리시딜 메타 아크릴레이트 관능기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C) 1 내지 10 중량부, 또는 분자당 2개 이상의 카르복시 관능기를 가진 스티렌계 중합체(D) 1 내지 10 중량부, 또는 C)와 D)의 혼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들 각각의 성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A) 고무변성 스티렌을 포함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 제조
본 발명의 고무변성 스티렌을 포함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고무입자의 90% 이상이 0.1∼0.5㎛ 범위의 크기를 갖는 부타디엔계 고무 30∼60 중량% 존재 하에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비닐 시안 화합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그라프트 공중합하여 제조된다. 그라프팅 반응시 방향족 비닐화합물은 스티렌 모노머 유도체로서 스티렌, 알파 메틸 스티렌, 파라 메틸스티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티렌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 함량은 총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10∼4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닐 시안 화합물은 아크릴로니트릴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은 총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10∼4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A) 성분의 구체적인 예인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그라프트율이 50 내지 100% 이고, 그라프트된 수지의 중량 평균분자량이 50,000 내지 150,000 이다.
만일 상기 그라프트 되어 있는 공중합체중의 비닐시안화합물, 구체적으로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기계적 성질의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함량은 기초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20∼50 중량부 이다.
B) 스티렌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제조
스티렌을 포함하는 공중합체는 통상 상기 방향족 비닐화합물과 비닐시안화합물의 공중합체일 수 있으며, 이는 연속괴상중합법으로 제조한다. 방향족 비닐화합물은 스티렌 단량체로 스티렌, 알파 메틸스티렌, 파라 메틸스티렌을 사용할 수 있다. 비닐시안화합물은 아크릴로니트릴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는 스티렌 함량이 68 내지 73 중량부와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24 내지 32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방향족 비닐화합물-비닐시안화합물 공중합체 수지의 함량은 기초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30∼70 중량부 이다.
본 발명에서는 저광택 첨가제로 C) 글리시딜 메타 아크릴레이트 관능기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와 D) 분자당 2개 이상의 카르복시 관능기를 가진 스티렌계 중합체가 사용된다. 이 첨가제들에 의한 상승 작용에 의하여 현저한 저광택 효과가 나타난다.
C) 글리시딜 메타 아크릴레이트 관능기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
상기 저광택 첨가제인 글리시딜 메타 아크릴레이트 관능기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란, 글리시딜 메타 아크릴산을 1 중량% 이상 함유하는 폴리올레핀과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예: 메틸 메타 아크릴레이트(MMA)로 이루어지는 공중합 체), 방향족 비닐화합물(예: 스티렌), 또는 비닐시안 화합물(예: 아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이다. 보다 구체적인 것은 에틸렌/글리시딜 메타 아크릴산-메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글리시딜 메타 아크릴산-스티렌 공중합체, 에틸렌/글리시딜 메타 아크릴산-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프로필렌/글리시딜 메타 아크릴산-메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프로필렌/글리디실 메타 아크릴산-스티렌 공중합체, 프로필렌/글리디실 메타 아크릴산-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C)의 사용량은 기초수지의 약 1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 중량부 이다. 1 중량부 미만에서는 광택이 그다지 저하되지 않고,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가격적인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며 최종 성형물의 물성이 나빠질 수 있다.
상기 (C)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는 분자량이 20,000 내지 50,000이고, 분자당 6 내지 15 개의 글리시딜 메타 아크릴레이트 관능기를 갖는다.
상기 (C)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의 구조단위는 프로필렌 또는 에틸렌이다
상기 (C)의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관능기를 갖는 폴리올레핀 공중합체가 스티렌계 중합체를 함유하며 반응성기를 갖는 올레핀과 스티렌계 중합체 영역의 비는 50 : 50 내지 40 : 60 이다.
상기 (C)의 글리시딜 메타 아크릴레이트 관능기를 갖는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에서 반응성기를 갖는 올레핀과 메타아크릴계 중합체 영역의 비는 50 : 50 내지 40 : 60 이다
D) 분자당 2개 이상의 카르복시 관능기를 가진 스티렌계 중합체
상기 저광택 첨가제인 분자당 2개 이상의 카르복실기를 가진 중합체는 스티렌 또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반복단위를 가진 것으로 분자당 적어도 2개 이상의 카르복시 관능기를 함유한다.
상기 (D) 카르복시 관능기를 가진 스티렌계 중합체의 분자량은 10,000 내지 100,000 이다.
상기 (D) 스티렌계 중합체는 분자당 2 내지 100개의 카르복실 관능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D)의 사용량은 기초수지의 약 1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7 중량부, 가장 적합하게는 2 내지 4 중량부 이다. 1 중량부 미만에서는 광택이 그다지 저하되지 않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계적 물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활제, 이형제, 광 안정제, 자외선 안정제, 난연제, 대전방지제, 착색제, 충진제 및 충격보강재 등의 다른 첨가제를 추가할 수 있으며, 다른 수지 혹은 다른 고무성분을 함께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압출기 등과 같은 기계를 이용하여 동시에 혹은 시간적인 순서를 두고 첨가하는 함에 상관없이 반응 시간 및 온도 조건하에서 반응이 완료될 때까지 충분히 블렌드해야 한다.
이하,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A)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그라프트 공중합체, (B)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C)글리시딜 메타 아크릴레이트 관능기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 및 (D)분자당 2개 이상의 카르복시 관능기를 가진 스티렌계 중합체 제조 및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스티렌 - 아크릴로니트릴 - 부타디엔 그라프트 공중합체
평균입경이 0.3∼0.4 ㎛를 갖는 부타디엔 고무 라텍스 50 중량부에 스티렌 화합물 30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화합물 20 중량부, 유화제 0.3 중량부, 분자량 조절제 0.4 중량부, 중합개시제 0.3 중량부 등을 이용하여 그라프트 공중합시켰다. 상기 유화제, 분자량 조절제 및 중합개시제는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하였다. 그라프트율 향상과 응고물 생성을 극소화하기 위해서는 다단계 분할투여 방법이나 연속투여 방법이 바람직하다. 중합종료 후 수득된 라텍스의 중합전환율은 96% 이상이었고, 이 라텍스에 산화방지제 및 안정제를 투여하여 80℃ 이상의 온도에서 황산 수용액으로 응집시킨 후 탈수 및 건조시켜 ABS 분말을 얻었다.
(B) 스티렌 -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통상의 벌크중합으로 제조된 매트릭스 성분인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150,000이고 매트릭스 성분 중의 아크릴로니트릴 성분의 함량이 24 중량% 인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를 사용하였다.
(C) 글리시딜 메타 아크릴레이트 관능기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C) 성분으로 하기 (C-1) 및 (C-2) 성분을 사용하였으며, 비교예 1∼3에서는 (C) 성분 대신에 (C-3) 성분을 사용하였다.
(C-1): 에틸렌/글리시딜 메타 아크릴산-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2.5 중량% 글리시딜 메타 아크릴산 함유 폴리에틸렌-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C-2): 에틸렌/글리시딜 메타 아크릴산-메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2.5 중량% 글리시딜 메타 아크릴산 함유 폴리에틸렌-폴리 메타 메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C-3): 글리시딜 메타 아크릴산-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2.5 중량% 글리시딜 메타 아크릴산 함유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D) 분자당 2개 이상의 카르복실기를 가진 스티렌계 중합체
(D-1): 카르복실산-스티렌 화합물(분자당 50개 카르복시 관능기 함유 스티렌 화합물)
(D-2): 카르복실산-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중합체(분자당 50개 COOH 함유 스 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화합물)
[실시예 1∼6]
상기에서 제조된 각 구성성분을 하기의 표 1과 같은 함량으로 혼합하고, 이축압출기를 통하여 압출하여 펠렛 상태로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수지 펠렛을 230도에서 사출하여 평가 분석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이 때 총 수지 조성에 대해 동일한 고무함량을 기준으로 하여 실험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실시예의 시편에 대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물성을 측정하였다.
ㄱ) 아이조드 충격강도(1/4 notched at 23 ℃, ㎏·㎝/㎝) - 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ㄴ) 인장강도(50 ㎜/min, ㎏/㎠) - ASTM D638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ㄷ) 광택 ? 45와 60도 기준에서 ASTM D523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Figure 112004038779855-PAT00001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C)와 D)를 동시에 첨가한 실시예 5 및 6은 광택도가 낮게 나왔으며, 인장강도의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충격강도의 증가는 현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C)와 D)의 양을 증가시킨 실시예 2 및 3은 충격강도와 광택도의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그리고 C)만 첨가한 실시예 1에서도 약간의 인장강도 저하가 있었지만 높은 충격강도와 우수한 광택저하를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에틸렌/글리시딜 메타 아크릴산-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대신에 글리시딜 메타 아크릴산-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2]
에틸렌/글리시딜 메타 아크릴산-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대신에 글리시딜 메타 아크릴산-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3]
에틸렌/글리시딜 메타 아크릴산-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대신에 글리시딜 메타 아크릴산-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를 사용하고 함량을 10 중량부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4]
에틸렌/글리시딜 메타 아크릴산-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의 함량을 12 중량부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비교예 5]
에틸렌/글리시딜 메타 아크릴산-메틸 메타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함량을 12 중량부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Figure 112004038779855-PAT00002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글리시딜 메타 아크릴레이트 관능기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 대신에 글리시딜 메타 아크릴산-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를 사용한 비교예 1∼3은 광택의 저하가 미미하며 충격강도도 현저히 감소하였다. 특히 비교예 1은 실시예 1과 비교하여 단지 폴리올레핀의 유무만의 차이일 뿐이나 광택의 저하는 두 배 이상 떨어진다. 또한 C-1)의 함량을 증가한 비교예 4 및 5는 충격강도와 저광택은 우수했지만 인장강도가 매우 낮았으며 광택의 저하도 실시예에 비해 높은 수치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그 라프트 공중합체 및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기초수지에 글리시딜 메타 아크릴레이트 관능기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와 분자당 2개 이상의 카르복시 관능기를 가진 스티렌계 중합체를 첨가함으로써 우수한 저광택성과 내충격성을 가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Claims (9)

  1.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고무 변성 스티렌을 포함하는 그라프트 공중합체(A) 30 내지 70 중량부; 및 스티렌을 포함하는 공중합체(B) 30 내지 70 중량부로 이루어진 기초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글리시딜 메타 아크릴레이트 관능기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C), 분자당 2개 이상의 카르복시 관능기를 가진 스티렌계 중합체(D)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저광택 첨가제 1 내지 10 중량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의 함량이 3 내지 5 중량부 임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는 분자량이 20,000 내지 50,000이고, 분자당 6 내지 15 개의 글리시딜 메타 아크릴레이트 관능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의 구조단위가 프로필렌 또는 에틸렌 임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 스티렌계 중합체의 함량이 2 내지 4 중량부 임을 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 카르복시 관능기를 가진 스티렌계 중합체의 분자량이 10,000 내지 100,000 임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 스티렌계 중합체는 분자당 2 내지 100개의 카르복실 관능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관능기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가 스티렌계 중합체를 함유하며 반응성기를 갖는 올레핀과 스티렌계 중합체 영역의 비는 50 : 50 내지 40 : 60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 글리시딜 메타 아크릴레이트 관능기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에서 반응성기를 갖는 올레핀과 메타아크릴계 중합체 영역의 비가 50 : 50 내지 40 : 60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0040068088A 2004-08-27 2004-08-27 저광택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100626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8088A KR100626955B1 (ko) 2004-08-27 2004-08-27 저광택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PCT/KR2005/002833 WO2006022528A1 (en) 2004-08-27 2005-08-26 Styrene-base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s with very low gloss and high impact strength
US10/565,857 US7781523B2 (en) 2004-08-27 2005-08-26 Styrene-base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s with very low gloss and high impact strength
JP2006532110A JP2006528994A (ja) 2004-08-27 2005-08-26 低光沢性と耐衝撃性に優れるスチレン系熱可塑性樹脂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8088A KR100626955B1 (ko) 2004-08-27 2004-08-27 저광택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9415A true KR20060019415A (ko) 2006-03-03
KR100626955B1 KR100626955B1 (ko) 2006-09-20

Family

ID=35967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8088A KR100626955B1 (ko) 2004-08-27 2004-08-27 저광택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81523B2 (ko)
JP (1) JP2006528994A (ko)
KR (1) KR100626955B1 (ko)
WO (1) WO200602252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8573A1 (ko) * 2016-08-26 2018-03-01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54807B2 (en) 1999-04-20 2010-07-13 Stratasys, Inc. Soluble material and process for three-dimensional modeling
US20080156034A1 (en) 2006-12-28 2008-07-03 Whirlpool Corporation Distributed refrigeration system with custom storage modules
US8155775B2 (en) 2008-10-02 2012-04-10 Stratasys, Inc. Support structure packaging
US8246888B2 (en) 2008-10-17 2012-08-21 Stratasys, Inc. Support material for digital manufacturing systems
US9592539B2 (en) 2010-01-05 2017-03-14 Stratasys, Inc. Support cleaning system
US8983643B2 (en) 2010-01-15 2015-03-17 Stratasys, Inc. Method for generating and building support structures with deposition-based digital manufacturing systems
US8460755B2 (en) 2011-04-07 2013-06-11 Stratasys, Inc. Extrusion-based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 with part annealing
US8459280B2 (en) 2011-09-23 2013-06-11 Stratasys, Inc. Support structure removal system
US9714318B2 (en) 2013-07-26 2017-07-25 Stratasys, Inc. Polyglycolic acid support material for additive manufacturing systems
US10059053B2 (en) 2014-11-04 2018-08-28 Stratasys, Inc. Break-away support material for additive manufacturing
CN107429022B (zh) * 2015-03-31 2021-01-29 Sabic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变色发生率减少的光泽聚合物添加剂
WO2018217748A1 (en) 2017-05-22 2018-11-29 H.B. Fuller Company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
CN114702777B (zh) * 2022-03-18 2023-09-26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良触感热塑性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6534B2 (ja) 1987-10-14 1994-09-28 住友ダウ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
US4894416A (en) * 1988-12-27 1990-01-16 General Electric Company Low gloss thermoplastic blends
JPH0395252A (ja) 1989-09-07 1991-04-19 Sumitomo Naugatuck Co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704304B2 (ja) 1990-01-29 1998-01-26 住化エイビーエス・ラテックス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926166B2 (ja) 1991-05-31 1999-07-28 住化エイビーエス・ラテックス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928961B2 (ja) 1991-05-31 1999-08-03 住化エイビーエス・ラテックス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960005073B1 (ko) * 1992-11-20 1996-04-20 엘지화학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960006624B1 (ko) * 1992-12-26 1996-05-22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245948B1 (ko) 1994-08-31 2000-03-02 성재갑 저광택특성과 내열, 내광노화성이 우수한 열가소성수지조성물
JP2004137417A (ja) 2002-10-21 2004-05-13 Nippon Steel Chem Co Ltd 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製造方法及び成型品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8573A1 (ko) * 2016-08-26 2018-03-01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20180023492A (ko) * 2016-08-26 2018-03-07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US10822486B2 (en) 2016-08-26 2020-11-03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formed therefr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781523B2 (en) 2010-08-24
KR100626955B1 (ko) 2006-09-20
JP2006528994A (ja) 2006-12-28
US20060252875A1 (en) 2006-11-09
WO2006022528A1 (en) 200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528994A (ja) 低光沢性と耐衝撃性に優れるスチレン系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101150016B1 (ko) 우수한 저광택성과 물성을 갖는 방향족 비닐계 열가소성수지 조성물
KR102171738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사출 성형품
KR100962175B1 (ko) 내후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A2180892A1 (en) Styrenic polymer composition
KR101884972B1 (ko) 무광 및 유광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H01163243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EP2882806B1 (de) Polymermischungen mit optimiertem zähigkeits-/steifigkeits-verhältnis und optischen eigenschaften
KR20110068197A (ko) 무광 및 내후성 특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H01101355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5424524B2 (ja) 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該樹脂組成物からなる成形体
US10875995B2 (en) Acrylic ester-styrene-acrylonitrile copolymer molding masses having optimized residual monomer fraction
EP3623425A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XPA02009443A (es) Composicion termoplastica de moldeo que tiene mejor estabilidad dimensional y bajo brillo.
KR100782250B1 (ko) 저광택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3625566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WO2000042104A1 (fr) Modificateur pour resine methacrylique
KR100726486B1 (ko) 열가소성 수지의 광택저하제 및 이의 제조방법
JPH0217583B2 (ko)
JPH10330425A (ja) スチレン系樹脂用加工助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
KR100853432B1 (ko) 기계적 물성 및 저광택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JPH0673200A (ja) ラミネート用艶消フィルム
JPH0347852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388842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20200047328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