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8495A - 대전 방지 성능을 갖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대전 방지 성능을 갖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8495A
KR20060018495A KR1020040066880A KR20040066880A KR20060018495A KR 20060018495 A KR20060018495 A KR 20060018495A KR 1020040066880 A KR1020040066880 A KR 1020040066880A KR 20040066880 A KR20040066880 A KR 20040066880A KR 20060018495 A KR20060018495 A KR 20060018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sensitive adhesive
acrylate
acrylic
adhesiv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6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4445B1 (ko
Inventor
김세라
한인천
장석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40066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4445B1/ko
Priority to US11/209,042 priority patent/US7767752B2/en
Priority to JP2007513080A priority patent/JP4549389B2/ja
Priority to EP05781093A priority patent/EP1781748B1/en
Priority to PCT/KR2005/002784 priority patent/WO2006022512A1/en
Priority to CN2005800169409A priority patent/CN1957050B/zh
Priority to TW094128850A priority patent/TWI274779B/zh
Priority to DE602005011457T priority patent/DE602005011457D1/de
Priority to AT05781093T priority patent/ATE416240T1/de
Publication of KR20060018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8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4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44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14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C08L59/00 - C08L87/00; Derivatives thereof
    • C08L2666/22Macromolecular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C08L2666/16 - C08L2666/2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구신뢰성 등의 주요 특성이 우수한 동시에 대전 방지 성능을 갖는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구체적으로,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는 분자 중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테르 결합을 가진 에스테르계 가소제와 알칼리 금속염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편광판,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우수한 접착 기능성과 내구신뢰성을 지닌다.
Figure 112004037966021-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탄소수 1~20의 알킬기 또는 알릴기로 선택되고, R3는 수소 또는 메틸기로 선택되며, n은 2~20의 정수이다.
아크릴계 점착제, 에스테르계 가소제, 알칼리 금속염, 점착 편광판, 액정표시장치

Description

대전 방지 성능을 갖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HAVING ANTISTAIC PROPERTY}
본 발명은 대전 방지 성능을 갖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구신뢰성 등의 주요 특성이 우수한 동시에 대전 방지 성능을 갖는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산업용시트, 광학용 점착제품, 전자부품용 점착제 등의 산업용도에 사용되고 있으며, 작용개념이 동일한 응용분야에도 적용되고 있다.
광학용 점착제품 중 액정 표시 장치는 경량화, 박형화가 가능하다는 장점 때문에 현재 CRT을 대체하여 노트북, 모니터, TV등의 여러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를 제조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액정을 포함하고 있는 액정 셀과 편광판이 필요하며, 이를 접합하기 위한 적절한 접착층 또는 점착층이 사용되어야 한다. 또한, 편광판은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된 요오드계 화합물 또는 이색성 편광물질과 양면에 편광소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양면에 트리아세틸셀 룰로오스(Triacetyl Cellulose, TAC)계 등의 보호 필름이 형성되고 점착층과 이형필름 등의 다층을 구성하게 된다.
특히, 액정 표시 장치 제조 시 편광판을 부착하는 공정에서 점착제층에서 이형필름을 박리하고 나서 정전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렇게 발생된 정전기는 액정표시 장치 내부의 액정의 배향에 영향을 주어 불량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정전기 발생은 편광판의 외면에 대전 방지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억제 시킬 수 있으나, 그 효과가 미비하여 정전기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정전기 발생의 근본적인 위치에서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점착제에 대전 방지 기능이 필요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전기적으로 도전성이 있는 금속 분말이나 탄소입자와 같은 전도성 성분을 갖는 물질을 첨가하는 방법, 계면활성제와 같은 이온성 물질을 점착제에 첨가하는 방법이 행하여 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 도전성 입자나 탄소를 첨가하는 경우는 정전기 방지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이 첨가되어야 하므로 투명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후자인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는 경우는 습도에 영향을 받기 쉬우며, 점착제 표면으로의 이행성에 의해 점착 물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평 5-140519에서는 점착제 내부에 에틸렌 옥사이드변성 프탈산 디옥틸계 가소제를 첨가함으로써 유연성을 갖게 하여 정전기 발생 억제를 시도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가소제의 첨가만으로는 초기 에 발생하는 정전기 발생을 억제 시키기 어려울 뿐 아니라, 이형필름 박리 후 남아있는 정전기를 소멸 시키기도 어렵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평 6-128539에서는 아크릴계 점착제에 폴리에테르 폴리올 화합물 및 적어도 1종의 알칼리 금속염을 배합함으로써 정전기 방지성을 부여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가교제가 이소시아네이트인 경우 폴리에테르 폴리올 화합물을 사용하게 되면 가교도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상기 특허의 실시예에서 보여주는 것같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사용하여 먼저 가교를 시킨 후 다시 용해 시켜 폴리에테르 폴리올 화합물과 알칼리 금속염을 추후에 배합하는 방법은 실제 공정에 응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용성이 우수하면서 내구신뢰성 등의 물성을 크게 변화 시키지 않으면서 대전 방지 성능이 우수한 점착제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노력한 결과, 점착제와 상용성이 우수하고 분자 중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테르 결합을 가진 에스테르계 가소제와 알칼리 금속염을 동시에 사용할 경우 정전기 발생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으며, 이를 아크릴계 점착제에 첨가 하여도 내구신뢰성 등을 크게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대전 방지 성능을 부여할 수 있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대한 발명을 완성화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구신뢰성 등의 주요 특성이 우수한 동시에 대전 방지 성능을 갖는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특성을 가지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 하여 제조된 편광판 및 이 편광판이 적용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대전 방지 성능을 갖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분자 중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테르 결합을 가진 에스테르계 가소제와 알칼리 금속염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a)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b) 화학식1로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에테르 결합을 가진 에스테르계 가소제 0.01 내지 20 중량부;
c) 알칼리 금속염 0.001 내지 7중량부; 및
d) 다관능성 가교제 0.01 내지 10 중량부;
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에테르 결합을 가진 에스테르계 가소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4037966021-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탄소수 1~20의 알킬기 또는 알릴기로 선택되고, R3는 수소 또는 메틸기로 선택되며, n은 2~20의 정수이다.
보다 상세하게 a)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탄소수 1∼12인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모노머 90 내지 99.9 중량부;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포함하는 비닐계 및/또는 아크릴계 모노머 0.1 내지 10 중량부를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편광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상기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점착제층으로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한다.
상기 편광판은 보호층, 반사층, 위상차판, 광시야각 보상필름 및 휘도 향상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편광판을 액정 셀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합한 액정패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점착제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테르 결합을 가진 에스테르계 가소제와 알칼리 금속염을 첨가함으로써 향상된 대전 방지 기능을 부여한 것이 다. 이는 상기의 에스테르계 가소제 분자 중의 에테르 결합과 알칼리 금속염의 양이온과 착체를 형성 함으로써 점착제에 이온 전도성을 부여한 특성을 이용한 것이다. 특히, 에테르 결합을 포함하고 있는 물질 중에서 에테르 결합을 가진 에스테르계 가소제를 사용할 경우, 점착제와의 상용성이 우수하며 내구신뢰성을 만족하면서 대전 방지 성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각 성분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a)의 경우에 탄소수 1∼12인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모노머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 중 90 내지 99.9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9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초기 접착력이 저하되고 99.9중량부 이상일 경우에는 응집력 저하로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모노머는 아크릴산(또는 메타크릴산)의 탄소수가 1 내지 12인 알킬 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2 내지 8인 알킬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즉, 상기 알킬(메타) 아크릴레이트는 알킬기가 장쇄 형태로 되면 점착제의 응집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고온 하에서 응집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알킬기의 탄소수 2 내지 8의 범위에서 선택하는 것이 좋다. 상기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로는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 사용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아크릴계 공중합체 제조 시 점착제의 유리전이온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기타 기능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공중합 모노머를 추가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모노머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아크릴아미드, 스티렌, 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비닐아세테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a)의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포함하는 비닐계 단량체 및 아크릴계 단량체는 가교제와 반응하여 고온 또는 고습 조건에서 점착제의 응집력의 파괴가 일어나지 않도록 화학결합에 의한 응집력 또는 접착 강도를 부여한다.
상기 a)의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포함하는 비닐계 단량체 및 아크릴계 단량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함량은 0.1내지 10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포함하는 단량체의 사용량이 0.1중량부 미만이면 고온 또는 고습 조건에서 응집 파괴가 일어나기 쉽고, 접착력 향상 효과가 저하된다. 상기 단량체의 함량이 10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게 되면 상용성이 감소하게 되어 표면 이행이 심하게 일어나게 되는 원인이 되며, 유동 특성을 감소시키고 응집력 상승으로 응력 완화능력이 저하된다.
상기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포함하는 단량체의 예로서는,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메 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이중체, 이타콘산, 말레인산, 말레인산 무수물 등의 카르복실산을 포함하는 단량체가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량체들은 단독 또는 혼합 사용될 수 있다.
점착제는 내부에 휘발성분, 반응잔류물 등의 기포를 유발시키는 성분은 충분히 제거한 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밀도나 분자량이 너무 낮아 점착제의 탄성율이 너무 낮은 경우, 고온상태에서 유리판과 점착층 사이에 존재하는 작은 기포들이 커져 점착층 내부에 산란체를 형성하게 되며, 탄성율이 너무 큰 점착제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 과도한 가교반응으로 인해 점착 시트 끝단 부위에 박리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점착제의 점탄성 특성은 주로 고분자 사슬의 분자량, 분자량 분포, 또는 분자구조의 존재량에 의존하고, 특히 분자량에 의하여 결정되므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분자량은 80 만 내지 200 만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통상의 라디칼 공중합 과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합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용액중합법, 광중합법, 벌크중합법, 서스펜션중합법, 에멀젼중합법 등의 중합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특히 용액 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중합온도는 50 ∼ 140 ℃이고, 단량체가 균일하게 혼합된 상태에서 개시제를 첨가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서, 상기 b)의 화학식1로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에테르 결합을 가진 에스테르계 가소제는 분자중의 에테르 결합과 상기 c)의 알칼리 금속염과 착체를 형성함으로써 점착제에 이온 전도성을 부여한다. 또한, 상기의 에스테르계 가소제는 상용성이 우수하여, 표면 이행성이 없으며 광학적으로 투명하다.
하나 이상의 에테르 결합을 가진 에스테르계 가소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4037966021-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탄소수 1~20의 알킬기 또는 알릴기로 선택되고, R3는 수소 또는 메틸기로 선택되며, n은 2~20의 정수이다.
화학식1로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에테르 결합을 가진 에스테르계 가소제는 상기 a)의 아크릴 공중합체 100중량부 대하여 0.01내지 2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 이상의 에테르 결합을 가진 에스테르계 가소제의 사용량이 0.01중량부 미만이면 알칼리 금속염과 충분히 착체를 형성하지 못해 대전 방지 성능이 떨어지며, 20중량부 이상이면 응집력 저하로 점착 내구성이 취약해진다.
상기의 화학식1로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에테르 결합을 가진 에스테르계 가 소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디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소네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소네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소네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에틸부티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에틸부티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에틸헥소네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벤조네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벤조네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벤조네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2-에틸헥소네이트 벤조네이트 등 이며, 이들이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c)의 알칼리 금속염은 b)의 에스테르계 가소제의 에테르 결합과 착체를 형성함으로써 대전 방지 성능을 부여한다. 또한, 아크릴계 점착제에 알칼리 금속염을 단독 첨가하여도 대전 방지성을 줄 수 있으며, 분자 중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테르 결합을 가진 에스테르계 가소제를 동시에 첨가함으로써 이온 전도성을 증대 시킬 수 있다.
상기 알칼리 금속염은 a)의 아크릴 공중합체 100중량부 대하여 0.001내지 7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알칼리 금속염의 사용량이 0.001미만일 경우는 에스테르계 가소제의 에테르 결합과 착체를 형성하기 어려워 대전 방지 성능이 떨어지며, 7중량부 이상일 경우는 결정화가 발생하여 투명성이 저하될 뿐 아니라 점착 내구성이 취약해지는 문제점을 줄 수 있다.
상기 알칼리 금속염은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리튬,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칼슘, 바륨, 세슘 등의 양이온과,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요오다이드, 퍼클로레이트, 트리플로로메탄설포네이트, 헥사플로로포스페이트, 테트라보레이트, 카보네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음이온으로부터 각각 선택되어지는 일종의 이온조합에 의해 이루어진 알칼리 금속염으로써, 이들은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서, 상기 d)의 다관능성 가교제는 카르복실기 및 수산기 등과 반응함으로써 점착제의 응집력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교제의 함량은 a)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관능성 가교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에폭시계, 아지리딘계,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중에서 이소시아네이트계가 사용상 용이하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는 톨리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름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의 폴리올과의 반응물 등이 있다.
또한, 에폭시계 가교제로는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티올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 N,N,N',N'-테트라글리시딜에틸렌디아민, 글리세린 디글리시딜에테르 등이 있으며, 아지리딘계 가교제로는 N,N'-톨루엔-2,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이드), N,N'-디페닐메탄-4,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이드), 트리에틸렌멜라민, 비스이소프로탈로일-1-(2-메틸아지리딘), 트리-1-아지리디닐포스핀옥사이드 등이 있다.
상기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로는 알루미늄, 철, 아연, 주석, 티탄, 안티몬, 마그네슘, 바나듐 등의 다가 금속이 아세틸아세톤 또는 아세토초산에틸에 배위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한 아크릴계 공중합체와 가교제를 통상의 방법으로 혼합하여 얻을 수 있다.
이때, 다관능성 가교제는 점착층의 형성을 위하여 실시하는 배합과정에서 가교제의 관능기 가교반응이 거의 일어나지 않아야만 균일한 코팅작업을 할 수 있다. 상기 코팅작업이 끝나고 건조 및 숙성과정을 거치면, 가교구조가 형성되어 탄성이 있으며 응집력이 강한 점착층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점착제의 강한 응집력에 의하여 점착제품의 내구신뢰성 등의 점착물성 및 절단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최적의 물적 균형을 고려할 때, 점착제의 가교밀도는 5 내지 95%의 범위가 적당하다. 상기 언급된 가교밀도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아크릴계 점착제의 겔함량 측정법을 통하여 용매에 용해되지 않은 가교구조를 형성한 부분의 양을 중량%로 얻은 수치를 말한다. 이때 점착제의 가교밀도가 5%미만일 경우에는 점착제의 응집력이 낮아지며, 기포 또는 박리와 같은 점착내구성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95%를 초과할 경우에는 들뜸과 같은 내구신뢰성이 취약해 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실란계 커플링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은 유리판과 접착하는 경우에 접착 안정성을 향상시켜 내열내습 특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실란계 커플링제는 특히 고온 고습하에서 장시간 방치되었을 경우 접착 신뢰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며, 그 함량은 아크릴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5 내지 5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란계 커플링제 화합물로는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메르캅토 프로필 트리메톡기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또는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아세토아세테이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이며, 이들은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점착 성능을 조절하기 위하여 점착성부여수지를 더욱 첨가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0중량부의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점착성 부여수지가 과량 사용되면 점착제의 상용성 또는 응집력을 감소시키는 경우가 있어 주의하여 적절하게 첨가하여야 한다.
상기 점착성 부여 수지의 예로는, (수첨)하이드로카본계수지, (수첨)로진수지, (수첨)로진에스터수지, (수첨)터펜수지, (수첨)터펜페놀수지, 중합로진수지, 중합로진에스터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특정한 목적을 위하여 아크릴계 저분자량체, 에폭시 레진 및 경화제 등을 추가로 혼합 사용할 수 있고, 자외선 안정제, 산화 방지제, 조색제, 보강제, 충진제, 소포제, 계면활성제, 가소제 등을 일반적인 목적에 따라 적절히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편광필름의 점착층으로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 필름의 한쪽 또는 양쪽면에 상기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점착제층을 포함하며, 편광판을 구성하는 편광필름 또는 편광소자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편광 필름의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로 된 필름에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 등의 편광 성분을 함유 시켜 연신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 필름 등이 있으며, 이들 편광 필름의 두께도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통상적인 두께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는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아세탈 및 에틸렌, 초산 비닐 공중합체의 검화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의 양면에는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폴리에테르설폰계 필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나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등의 보호필름이 적층된 다층 필름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이들 보호필름의 두께도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통상적인 두께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편광필름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한 제한이 없고, 이 편광 필름 표면에 직접 바코터 등을 사용하여 상기 점착제를 도포하여 건조시키는 방법, 또는 상기 점착제를 일단 박리성 기재 표면에 도포하고 건조 시킨 후 이 박리성 기재표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편광 필름 표면에 전사하고 이어서 숙성시키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판에는 보호층, 반사층, 방현층, 위상차판, 광시야각 보상필름, 및 휘도향상필름 등의 추가기능을 제공하는 층이 1 종 이상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가 적용된 편광판은 통상적인 액정표시장치에 모두 적용가능하며, 그 액정패널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점착편광판을 액정 셀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합한 액정패널을 포함하여 액정표시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산업용시트, 특히 보호필름, 반사시트, 구조용 점착시트, 사진용 점착시트, 차선표시용 점착시트, 광학용 점착제품, 전자부품용 점착제 등 용도에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다층구조의 라미네이트 제품, 즉 일반 상업용 점착시트제품, 의료용패치, 가열활성 점착제(heat activated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등 작용개념이 동일한 응용분야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테르 결합을 가진 에스테르계 가소제와 알칼리 금속염를 포함함으로써, 내구신뢰성 등의 주요 특성이 우수한 동시에 향상된 대전 방지 기능을 갖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이는 발명의 구체적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 아크릴계 공중합체 제조 >
질소가스가 환류되고 온도조절이 용이하도록 냉각장치를 설치한 1L 반응기에, n-부틸아크릴레이트(BA) 98.3중량부, 아크릴산(AA) 0.5, 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2-HEMA) 1.2로 구성되는 단량체 혼합물을 투입한 후, 용제로 에틸아세테이트(EAc) 100 중량부를 투입하였다. 그 다음, 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질소가스를 1 시간 퍼징한 후, 62 ℃로 유지하였다. 이를 균일하게 한 후, 반응개시제로 에틸아세테이트에 50 %의 농도로 희석시킨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0.03 중량부를 투입하였다. 이를 8 시간 동안 반응시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 배합 과정 >
상기에서 제조된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해 가교제로 이소시아네이트계 트리메틸올프로판의 톨리렌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TDI-1) 0.5 중량부,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소네이트 5 중량부, 리튬퍼클로레이트 4.0 중량부를 투입하고, 코팅성을 고려하여 적정의 농도로 희석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이형지에 코팅하여 건조한 후 25 미크론의 균일한 점착층을 얻었다.
<합판 과정>
상기에서 제조된 점착층을 두께 185 미크론의 요오드계 편광판에 점착 가공 하였다. 얻어진 편광판을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여 평가에 사용하였으며, 상기 점착제가 적용된 편광판에 관하여 이하의 평가를 한 결과를 하기의 표 2 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내지 4
하기 표 1과 같이 실시예 1의 조성을 기준으로 각 성분의 일부를 첨가하지 않거나 부분 첨가하여 공중합한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 배합 시 실시예 1의 조성을 기준으로 각 성분의 일부를 첨가하지 않거나 부분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 배합, 합판 과정을 실시하였다. 이후,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내구신뢰성, 표면 저항을 평가하고 그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내지 6
하기 표 1과 같이 실시예 1의 조성을 기준으로 각 성분의 일부를 첨가하지 않거나 부분 첨가하여 공중합한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 배합 시 실시예 1의 조성을 기준으로 각 성분의 일부를 첨가하지 않거나 부분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 배합, 합판 과정을 실시하였다. 이후,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내구신뢰성, 표면 저항을 평가하고 그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평가시험]
내구신뢰성
상기에서 제조된 점착제가 코팅된 편광판 (90mm × 170mm)을 유리기판(110mm × 190mm × 0.7mm)에 양면으로 광학 흡수축이 크로스된 상태로 부착시켰다. 이때 가해진 압력은 약 5 kg/cm2으로 기포나 이물이 생기지 않도록 크린룸 작업을 하였다. 이 시편들을 내습열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60 ℃, 90 % 상대습도 조건하에서 1000 시간 방치한 후 기포나 박리가 발생하였는지 관찰하였다. 내열특성은 80 ℃, 1000 시간 방치한 후 기포나 박리 여부를 관찰하였다. 시편의 상태를 평가하기 직전에 상온에서 24 시간 방치한 후 실시하였다. 신뢰성에 대한 평가기준은 다음과 같다.
○: 기포나 박리현상 없음
△: 기포나 박리현상 다소 있음
×: 기포나 박리현상 있음
표면 저항
상기에서 제조된 점착제가 코팅된 편광판에서 이형필름을 제거한 후, 점착면의 표면 저항을 측정하였다. 표면 저항은 23℃, 50% 상대 습도 환경 하에서 500V의 전압을 1분간 인가한 후 측정된 값을 관찰하였다.
Figure 112004037966021-PAT00004
상기 표 1에서, 약어는 다음과 같다.
n-BA : n-부틸아크릴레이트
EA : 에틸아크릴레이트
2-HEMA: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4-HBA: 4-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AA : 아크릴산
P-1: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디-2-에틸헥소네이트
P-2: 폴리에틸렌글리콜(n=~12) 디-2-에틸헥소네이트
P-3: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벤조네이트
LiClO4 : 리튬퍼클로레이트
LiSO3CF3 : 리튬트리플로로메탄설포네이트
NaClO4 : 소듐퍼클로레이트
Figure 112004037966021-PAT00005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는 비교예 1 내지 6와 비교하여, 내구신뢰성이 우수한 동시에 대전 방지 성능이 우수하였다.
본 발명은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내구신뢰성 등의 주요 특성이 우수한 동시에 대전 방지 성능이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Claims (13)

  1.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a)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
    b) 하기 화학식1로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에테르 결합을 가진 에스테르계 가소제 0.01 내지 20 중량부;
    c) 알칼리 금속염 0.001 내지 7중량부; 및
    d) 다관능성 가교제 0.01 내지 10 중량부
    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4037966021-PAT00006
    상기식에서, R1 및 R2는 탄소수 1~20의 알킬기 또는 아릴기로 선택되고, R3는 수소 또는 메틸기로 선택되며, n은 2~20의 정수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a)의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탄소수 1∼12인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모노머 90 내지 99.9 중량부;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포함하는 비닐계 및/또는 아크릴계 모노머 0.1 내지 10 중량부를 공중합하여 얻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모노머는 탄소수가 2 내지 8 인 알킬 에스테르로서, 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4. 제 2항에 있어서, 가교가능한 관능기를 포함하는 모노머는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이중체, 이타콘산, 말레인산, 및 말레인산 무수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b)의 하나 이상의 에테르 결합을 가진 에스테르계 가소제는 디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소네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소네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소네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에틸부티레이트, 폴 리에틸렌글리콜디에틸부티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에틸헥소네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벤조네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벤조네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벤조네이트, 및 폴리에틸렌글리콜-2-에틸헥소네이트 벤조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c)의 알칼리 금속염은 리튬,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칼슘, 바륨, 세슘 등의 양이온과,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요오다이드, 퍼클로레이트, 트리프로로메탄설포네이트, 헥사플로로포스페이트, 테트라보레이트, 및 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음이온으로부터 각각 선택되어지는 이온조합에 의해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7. 제 2항에 있어서, d)의 다관능성 가교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에폭시계 화합물, 아지리딘계 화합물, 및 금속 킬레이트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8. 제 2항에 있어서, 아크릴계 공중합체가 용액중합법, 광중합법, 벌크중합법, 서스펜션 중합법, 및 에멀전 중합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중합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9. 제 1항 내지 제 8항에 있어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가교밀도가 5 내지 95%임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10. 제 1항에 있어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이 산업용시트, 보호필름, 반사시트, 구조용 점착시트, 사진용 점착시트, 차선표시용 점착시트, 광학용 점착제품, 전자부품용 점착제, 다층구조의 라미네이트 제품, 일반 상업용 점착시트 제품, 의료용패치 또는 가열활성 점착제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11. 제 1항 기재의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편광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의 점착제층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편광판.
  12. 제 11항에 있어서, 점착 편광판은 보호층, 반사층, 방현층, 위상차판, 광시야각 보상필름 및 휘도 향상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층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편광판.
  13. 제 11항 또는 제 12항의 점착편광판을 액정 셀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합하는 액정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040066880A 2004-08-24 2004-08-24 대전 방지 성능을 갖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100694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880A KR100694445B1 (ko) 2004-08-24 2004-08-24 대전 방지 성능을 갖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US11/209,042 US7767752B2 (en) 2004-08-24 2005-08-23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having antistatic property
EP05781093A EP1781748B1 (en) 2004-08-24 2005-08-24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having antistatic property
PCT/KR2005/002784 WO2006022512A1 (en) 2004-08-24 2005-08-24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having antistatic property
JP2007513080A JP4549389B2 (ja) 2004-08-24 2005-08-24 帯電防止性能を有する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
CN2005800169409A CN1957050B (zh) 2004-08-24 2005-08-24 具有抗静电性能的丙烯酸压敏粘合剂
TW094128850A TWI274779B (en) 2004-08-24 2005-08-24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having antistatic property
DE602005011457T DE602005011457D1 (de) 2004-08-24 2005-08-24 Druckempfindlicher acrylklebstoff mit antistatischer eigenschaft
AT05781093T ATE416240T1 (de) 2004-08-24 2005-08-24 Druckempfindlicher acrylklebstoff mit antistatischer eigenschaf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880A KR100694445B1 (ko) 2004-08-24 2004-08-24 대전 방지 성능을 갖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8495A true KR20060018495A (ko) 2006-03-02
KR100694445B1 KR100694445B1 (ko) 2007-03-12

Family

ID=35943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6880A KR100694445B1 (ko) 2004-08-24 2004-08-24 대전 방지 성능을 갖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767752B2 (ko)
EP (1) EP1781748B1 (ko)
JP (1) JP4549389B2 (ko)
KR (1) KR100694445B1 (ko)
CN (1) CN1957050B (ko)
AT (1) ATE416240T1 (ko)
DE (1) DE602005011457D1 (ko)
TW (1) TWI274779B (ko)
WO (1) WO2006022512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991B1 (ko) * 2005-06-10 2007-1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WO2011105877A2 (ko) 2010-02-26 2011-09-01 (주)Lg화학 점착제 조성물
KR101424015B1 (ko) * 2008-03-19 2014-07-3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의 대전방지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대전방지성 점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24612B1 (ko) * 2008-08-06 2015-06-0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대전방지성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편광판
WO2015163643A1 (ko) * 2014-04-24 2015-10-29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대전 방지성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편광판
CN106232761A (zh) * 2014-04-24 2016-12-14 东友精细化工有限公司 抗静电粘着剂组合物及利用其制造的偏光板
KR20180095792A (ko) * 2016-02-16 2018-08-28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표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이 첩합된 광학 부품
KR20190017571A (ko) * 2017-08-11 2019-02-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4579A (ja) * 2004-04-30 2005-11-10 Nitto Denko Corp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類
JP4562070B2 (ja) * 2004-05-14 2010-10-13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類、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4531628B2 (ja) * 2004-09-16 2010-08-25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類、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4917267B2 (ja) * 2004-09-16 2012-04-18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類、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4717943B2 (ja) * 2004-09-16 2011-07-06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類、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5259940B2 (ja) * 2005-09-05 2013-08-07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GB0607744D0 (en) * 2006-04-20 2006-05-31 Pilkington Plc Head-up display
EP2016152A1 (de) * 2006-04-28 2009-01-21 Basf Se Haftklebstoff, enthaltend 2-ethylhexylacrylat und hydroxybutyl(meth)acrylat
JP4814000B2 (ja) * 2006-07-26 2011-11-09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光学機能性フィルム貼合用粘着剤、光学機能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EP2082004B1 (en) * 2006-11-07 2017-01-18 Henkel AG & Co. KGaA Antistatic protective hot melt adhesives
JP2010523806A (ja) * 2007-04-13 2010-07-15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静電気防止性の光学的に透明な感圧性接着剤
KR101047925B1 (ko) * 2007-04-19 2011-07-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101061939B1 (ko) * 2007-12-12 2011-09-05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JP4496262B2 (ja) * 2008-10-20 2010-07-07 三光化学工業株式会社 制電性組成物、それを用いた成形品、塗料、制電性被覆物、粘着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1768415B (zh) * 2008-12-30 2013-03-27 第一毛织株式会社 抗静电粘合剂组合物、粘合膜及其制备方法
JP5623020B2 (ja) 2009-02-27 2014-11-12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及び、粘着シート
KR101072767B1 (ko) * 2009-04-28 2011-10-11 율촌화학 주식회사 무기재 양면점착필름
TW201107437A (en) * 2009-06-09 2011-03-01 Nippon Synthetic Chem Ind Adhesive compositions and adhesive, adhesive for optical members and optical member with adhesive layer using it
JP5235021B2 (ja) * 2010-04-26 2013-07-10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類、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5470217B2 (ja) * 2010-10-15 2014-04-16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用水分散型粘着剤、光学用粘着剤層、粘着型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583001B2 (ja) * 2010-12-24 2014-09-03 綜研化学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型光学フィルム
TWI490299B (zh) * 2011-05-05 2015-07-01 Eternal Materials Co Ltd 丙烯酸系黏著組合物及其用途
JP2012247574A (ja) * 2011-05-26 2012-12-13 Nitto Denko Corp 粘着型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3008019A (ja) * 2011-05-26 2013-01-10 Nitto Denko Corp 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572589B2 (ja) * 2011-05-26 2014-08-13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層付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5912833B2 (ja) * 2011-05-26 2016-04-27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層、粘着剤層付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860673B2 (ja) 2011-11-07 2016-02-16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粘着剤層付偏光板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9040155B2 (en) * 2011-11-08 2015-05-26 Lg Chem, Lt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protective film having anti-static property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JP5875106B2 (ja) 2011-11-24 2016-03-02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粘着剤層付偏光板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1435252B1 (ko) * 2012-03-30 2014-08-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 테이프
JP5425258B2 (ja) 2012-04-16 2014-02-26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423574B2 (ja) * 2012-08-31 2018-11-14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04870592B (zh) * 2012-12-19 2016-10-12 昭和电工株式会社 光学膜用粘着剂组合物及表面保护膜
JP6346413B2 (ja) 2013-06-10 2018-06-20 日東電工株式会社 セパレータ付き粘着剤層、その製造方法およびセパレータ付きの粘着剤層付き光学フィルム
CN104854206B (zh) * 2013-11-29 2019-04-09 Dic株式会社 光固化性光学粘接剂组合物、其固化物、以及液晶显示装置
CN103788886B (zh) * 2014-02-17 2015-11-18 广东可逸智膜科技有限公司 Ogs制程用抗静电耐酸保护膜
JP6384985B2 (ja) * 2014-04-17 2018-09-05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機能性積層体、液晶表示装置、及び、偏光板の製造方法
WO2016072197A1 (ja) * 2014-11-04 2016-05-12 綜研化学株式会社 偏光板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剤層付き偏光板
HUE042067T2 (hu) 2015-02-02 2019-06-28 Coloplast As Osztómiás készülék
JP5802851B2 (ja) * 2015-02-04 2015-11-04 三光化学工業株式会社 制電性粘着剤組成物の製造方法
JP6125063B2 (ja) 2015-02-13 2017-05-10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並びに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連続製造方法
RU2695603C2 (ru) 2015-04-10 2019-07-24 Колопласт А/С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томы
KR101911995B1 (ko) * 2015-08-20 2018-10-2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JP6414983B2 (ja) * 2015-09-10 2018-10-31 藤森工業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が貼合された光学部品
JP2016028288A (ja) * 2015-09-18 2016-02-25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型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208728B2 (ja) 2015-09-30 2017-10-04 日東電工株式会社 セパレータ付き粘着剤層、セパレータ付き粘着剤層付きの光学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08291041B (zh) * 2015-12-18 2021-11-30 罗门哈斯公司 丙烯酸组合物
JP6392798B2 (ja) * 2016-02-16 2018-09-19 藤森工業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が貼合された光学部品
JP6382873B2 (ja) * 2016-03-11 2018-08-29 住友化学株式会社 粘着剤層付光学部材
JP6580540B2 (ja) * 2016-09-28 2019-09-25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フィルム
CN110382572A (zh) * 2017-02-27 2019-10-25 昭和电工株式会社 固化型水系树脂乳液组合物
JP6891036B2 (ja) * 2017-04-28 2021-06-18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フィルム
JP6782664B2 (ja) * 2017-04-28 2020-11-11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8124578A (ja) * 2018-04-27 2018-08-09 住友化学株式会社 粘着剤層付光学部材
JP7105633B2 (ja) * 2018-06-28 2022-07-25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及び、光学部材
CN110746903B (zh) * 2019-10-25 2021-08-06 江苏国胶新材料有限公司 一种汽车保护膜用水性丙烯酸酯压敏胶及其制备方法
US11827723B1 (en) 2020-07-27 2023-11-28 Dane K. Parker Method for the diimide hydrogenation of emulsified unsaturated polymers
JP7328387B2 (ja) * 2020-10-19 2023-08-16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フィルム、それが用いられた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光学フィルム
CN113528042B (zh) * 2021-08-02 2024-01-05 合肥乐凯科技产业有限公司 一种聚酯薄膜保护膜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66682A (en) * 1965-12-23 1969-10-08 Johnson & Johnson Pressure-Sensitive Acrylate Adhesives
US4033918A (en) * 1972-03-24 1977-07-05 Beiersdorf Aktiengesellschaft Water removabl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US4340524A (en) * 1980-06-30 1982-07-20 Union Carbide Corporation Water-resistant latex sealants
US4767813A (en) * 1987-03-23 1988-08-30 Polysar Financial Services S.A. High solids PSA Compounds
JP2955089B2 (ja) 1991-11-19 1999-10-04 日東電工株式会社 静電気発生の少ない表面保護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JP3190743B2 (ja) 1992-10-14 2001-07-23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テープまたはシート
US5508107A (en) * 1993-07-28 1996-04-1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s for electronics applications
WO1995030720A1 (en) * 1994-05-06 1995-11-1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High temperature resistant antistat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JPH08155040A (ja) * 1994-12-08 1996-06-18 Nitto Denko Corp 導電性粘着剤およびこれを用いてなる電極パッド
ES2152081T3 (es) * 1996-02-26 2001-01-16 Minnesota Mining & Mfg Pelicula para marcacion grafica que comprende un adhesivo sensible a la presion.
JP4256481B2 (ja) * 1997-02-14 2009-04-2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およびその利用方法
JP3533589B2 (ja) 1997-04-09 2004-05-31 綜研化学株式会社 偏光板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偏光板
JP2000129235A (ja) * 1998-10-27 2000-05-09 Minnesota Mining & Mfg Co <3M> 帯電防止性粘着剤組成物
JP2004131571A (ja) * 2002-10-09 2004-04-30 Toyo Tire & Rubber Co Ltd タイヤ用導電性ゴム糊及び空気入りタイヤ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991B1 (ko) * 2005-06-10 2007-1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101424015B1 (ko) * 2008-03-19 2014-07-3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의 대전방지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대전방지성 점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24612B1 (ko) * 2008-08-06 2015-06-0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대전방지성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편광판
WO2011105877A2 (ko) 2010-02-26 2011-09-01 (주)Lg화학 점착제 조성물
US9816011B2 (en) 2010-02-26 2017-11-14 Lg Chem, Lt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WO2015163643A1 (ko) * 2014-04-24 2015-10-29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대전 방지성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편광판
CN106232761A (zh) * 2014-04-24 2016-12-14 东友精细化工有限公司 抗静电粘着剂组合物及利用其制造的偏光板
KR20180095792A (ko) * 2016-02-16 2018-08-28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표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이 첩합된 광학 부품
KR20190017571A (ko) * 2017-08-11 2019-02-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536427A (ja) 2007-12-13
KR100694445B1 (ko) 2007-03-12
EP1781748B1 (en) 2008-12-03
EP1781748A1 (en) 2007-05-09
ATE416240T1 (de) 2008-12-15
JP4549389B2 (ja) 2010-09-22
CN1957050B (zh) 2010-06-09
DE602005011457D1 (de) 2009-01-15
WO2006022512A1 (en) 2006-03-02
EP1781748A4 (en) 2007-10-03
TW200613494A (en) 2006-05-01
CN1957050A (zh) 2007-05-02
TWI274779B (en) 2007-03-01
US20060045990A1 (en) 2006-03-02
US7767752B2 (en) 2010-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4445B1 (ko) 대전 방지 성능을 갖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100708972B1 (ko) 대전 방지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100784991B1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100812507B1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101347965B1 (ko) 점착제 조성물
EP1737921B1 (e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KR100995509B1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EP1784468A1 (en)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KR100805605B1 (ko) 아크릴계 대전방지 점착제 조성물
KR100694446B1 (ko)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
KR100980187B1 (ko) 편광판
KR20100058429A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20090110812A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