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7465A -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17465A KR20060017465A KR1020040114557A KR20040114557A KR20060017465A KR 20060017465 A KR20060017465 A KR 20060017465A KR 1020040114557 A KR1020040114557 A KR 1020040114557A KR 20040114557 A KR20040114557 A KR 20040114557A KR 20060017465 A KR20060017465 A KR 2006001746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contact
- cover
- insertion recess
- positio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64—Press fitt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커넥터 내에 수용 가능한 콘택트의 수를 종래의 2배로 증가시켜서 플렉시블 기판의 접촉부의 수를 2배로 할 수 있고 또한 조작성이 우수한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하우징10, 복수의 콘택트50 및 커버30을 구비하는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에 있어서, 복수의 콘택트50을, 그 접촉부55가 하우징10의 삽입 오목부11의 대향하는 내벽면을 따라 2열이 되도록 배치하고, 커버30의 가압부33을 삽입 오목부11에 삽입함으로써 커버30과 삽입 오목부11 사이에 안내되는 FPC70을 가압변형시켜서 협지하고 또한 FPC70의 접촉부를 대응하는 콘택트50의 접촉부55에 접촉시킨다.
Description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의 하나의 실시예(도1의 예를 포함한다)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일부를 생략하고 일부를 절단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b)는 일부를 생략하고 일부를 절단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3은 도2의 저면도 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도2(a)의 저면도, (b)는 도2(b)의 우측면도, (c)는 도2(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4는 도1∼도3 중의 하우징10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일부를 생략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b)는 일부를 생략하고 일부를 절단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5는 도4의 저면도 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도4(a)의 저면도, (b)는 도4(b)의 우측면도, (c)는 도4(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6은 도1∼도3 중의 커버30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일부를 생략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b)는 일부를 생략하고 일부를 절단하여 나타 내는 정면도이다.
도7은 도6의 저면도 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도6(a)의 저면도, (b)는 도6(b)의 우측면도, (c)는 도6(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하우징10과 커버30의 사이에 FPC70을 안내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하우징10과 커버30의 사이에 FPC70을 안내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b)는 커버30의 가압부33에 의하여 FPC70과 콘택트50의 접촉부를 탄성적으로 접속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커버30의 가압부33 및 결합폴부35, 35에 의하여 FPC70의 돌편75, 75가 가압절곡되어, 하우징10의 결합 오목부16, 16 내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결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11은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작용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12는 종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록 전을 나타내는 단면도, (b)는 록 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0a : 하우징(housing) 11 : 삽입 오목부
16 : 결합 오목부 17 : 훅부(hook 部)
18 : 위치결정돌기 19 : 결합 오목부
21 : 삽입스토퍼(揷入 stopper) 22 : 결합돌기
30 : 커버(cover) 33 : 가압부(加壓部)
35 : 결합폴부(結合 pawl 部) 37 : 훅부
50, 50a : 콘택트(contact) 55 : 접촉부
70, 70a : FPC(플렉시블 기판의 일례)
72 : 접촉부 73, 73a : 배선패턴(配線 pattern)
75 : 돌편(突片)
본 발명은,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기판(이하, FPC라고 한다)이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이하, FFC라고 한다) 등의 플렉시블 기판(flexible 基板)과 프린트 배선기판(print 配線基板) 등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flexible 基板用 connector)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이러한 종류의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에는, 플렉시블 기판을 삽입할 때에는 콘택트(contact)로부터의 접촉압력(接觸壓力)을 받지 않고 작은 삽입력(揷入力)에 의하여 삽입할 수 있고, 플렉시블 기판의 삽입 후에는 소정의 접촉압력(接觸壓力)에 의하여 콘택트와 접촉하여 안정한 전기적 접속이 얻어지는 제로·인서션·포스(이하, ZIF(zero·insertion·force)라고 한다) 구조의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도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콘택트101을 수용하여 지지하는 하우징(housing)103과, 이 하우징103 내에 슬라이딩(sliding) 가능한 슬라이더(slider)105와, 보강기구(설치기구)107, 107을 통하여 하우징103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조작레버(操作 lever)109를 구비하고, 조작레버109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도12(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105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인출한 상태로 함과 아울러 전면측(前面側)을 수평면H보다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FPC111을 작은 삽입력에 의하여 삽입한 후에 조작레버109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슬라이더105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고, FPC111을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시켜서 그 접촉부를 콘택트101의 접촉부에 소정의 탄성력(彈性力)에 의하여 접촉시켜서 록(lock) 상태로 하고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특허문헌1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3-317838
그러나 도12에 나타나 있는 공지의 예에서는, 하우징103에 수용되어 지지되는 복수의 콘택트101이 일정한 방향(도12에서는 지면(紙面)을 관통하는 전후방향)을 따라 일렬(一列)로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 내에 수용되는 콘택트101의 수를 증가시키려고 하더라도 한계가 있어, 접속대상 의 FPC111의 접촉부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어렵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조작레버109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슬라이더105를 인출한 상태로 하여 FPC111을 삽입하고, FPC111의 삽입 후 조작레버109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록 상태로 하고 있었기 때문에, 조작이 번거롭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커넥터 내에 수용 가능한 콘택트의 수를 2배로 증가시켜서 플렉시블 기판의 접촉부의 수를 2배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작성을 우수하게 할 수 있는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1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은, 삽입 오목부가 형성되는 하우징(housing)과, 하우징에 지지되어 접촉부가 삽입 오목부 내에 접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콘택트(contact)와, 삽입 오목부에 삽입 및 이탈 가능한 가압부(加壓部)를 갖는 커버(cover)를 구비하는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flexible 基板用 connector)로서, 복수의 콘택트는, 그 접촉부가 삽입 오목부의 대향(對向)하는 내벽면(內壁面)을 따라 2열로 배치되고, 가압부를 삽입 오목부에 삽입함으로써 커버, 삽입 오목부 사이에 안내되는 플렉시블 기판(flexible 基板)을 가압변형(加壓變形)시켜서 협지(挾持)하고 또한 플렉시블 기판의 접촉 부를 대응하는 콘택트의 접촉부와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2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은, 청구항1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에 있어서, 플렉시블 기판에는, 커버, 삽입 오목부 사이에 안내되었을 때에 삽입 오목부의 양측 표면부분과 대략 겹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위치결정용의 돌편(突片)이 형성되고, 하우징에는, 돌편의 가장자리와 결합하여 플렉시블 기판의 위치결정을 하는 위치결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3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은, 청구항2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에 있어서, 위치결정부는, 삽입에 의하여 안내되는 플렉시블 기판의 돌편의 선단측 가장자리에 접촉되어 삽입을 스톱(stop)시키는 삽입스토퍼(揷入 stopper)와, 돌편의 후단측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가위치결정(假位置決定)을 하는 결합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4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은, 청구항2 또는 3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에 있어서, 커버에는, 가압부의 양측에 위치하여 형성되고, 가압부의 삽입 오목부로의 삽입 시에 가압부와 함께 돌편의 표면과 결합되는 결합폴부(結合 pawl 部)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5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은, 청구항1, 2, 3 또는 4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에 있어서, 커버에는, 가압부의 삽입 오목부로의 삽입 및 이탈 시에 하우징의 외벽면과 대면(對面)하는 암부(arm 部)가 형성되고, 하우징의 외벽면과 암부의 대향면(對向面)에는 가압부의 삽입 및 이탈 시에 서로 결합하여 빠지지 않게 하는 훅부(hook 部)가 형성되고, 하우징의 외 벽면과 암부의 대향면의 적어도 일방(一方)의 면에는, 가압부의 삽입 오목부에 대한 인출 시와 삽입 시의 위치결정을 하는 위치결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도1∼도3은 본 발명에 의한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flexible 基板用 connector)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들 도면에 있어서, 10은 하우징(housing), 30은 커버(cover), 50은 콘택트(contact), 70은 플렉시블 기판(flexible 基板)의 일례인 FPC이다.
하우징10은 절연성 합성수지(絶緣性 合成樹脂)로 성형된 것으로서, 도4 및 도5에도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면을 개구(開口)시켜서 삽입 오목부11로 하는 대략 길이가 긴 사각형의 상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양쪽 측벽(側壁)12, 12에는, 복수(예를 들면 90∼100개)의 콘택트 삽입구멍13이 소정의 피치(pitch)(예를 들면 1.25mm)로 대략 평행하게 2열(예를 들면 각 열마다 45∼50개)로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 삽입구멍13은, 하우징10의 양쪽 측벽12, 12에 있어서 상하로 관통되어 있고 또한 삽입 오목부11 내를 향하여 개구되어 있고, 그 일부에는 콘택트50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14, 14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0의 길이가 짧은 방향을 따르는 양쪽 측벽15, 15의 내측부분 에 있어서, 삽입 오목부11의 양측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결합 오목부16, 16이 형성되어 있고, 양쪽 측벽15, 15의 외벽면에는 훅부(hook 部)17, 17과 위치결정돌기18, 18이 형성되어 있다.
훅부17, 17은, 양쪽 측벽15, 15의 상단부로부터 외측으로 훅(hook) 모양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또한 평면에서 볼 때에 상측(도4(a)에서 상측)에 위치하여 형성되어 있고, 위치결정돌기18, 18은 양쪽 측벽15, 15의 중앙부로부터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또한 평면에서 볼 때에 하측(도4(a)에서 하측)에 위치하여 형성되어 있다.
양쪽 측벽12, 12의 양단부(兩端部)는 양쪽 측벽15, 15의 벽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또한 양쪽 측벽15, 15에 있어서, ㄷ자 모양과 ㄷ자의 좌우를 반대로 하는 형상의 결합 오목부19, 19를 형성하고 있다.
양쪽 측벽12, 12의 양측 상부에 있어서, 결합 오목부16, 16, 19, 19의 상부 공간과 대면(對面)하는 부분에는, 삽입스토퍼(揷入 stopper)21, 21과 결합돌기22, 22가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삽입스토퍼21, 21과 결합돌기22, 22는 위치결정부를 형성하고 있다. 삽입스토퍼21, 21은 평면에서 볼 때에 상측(도4(a)에서 상측)에 위치하여 형성되어 있고 또한 돌출길이가 결합돌기22, 22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고, 결합돌기22, 22는 평면에서 볼 때에 하측에 위치하여 형성되어 있다.
커버30은, 절연성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있고, 하우징10의 삽입 오목부11에 결합되어 삽입 오목부11의 개구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고, 도6 및 도7에도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커버본체(cover 本體)31, 부착측편(附着側片)32, 32, 가압부(加壓部)33, 결합폴부(結合 pawl 部)35, 35, 35, 35 및 암부(arm 部)36, 36을 구비하고 있다.
커버본체31은, 삽입 오목부11의 대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길이가 긴 사각형의 판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부착측편32, 32는, 커버본체31의 길이방향의 양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고, 하우징10의 결합 오목부16, 16, 19, 19의 개구부를 덮을 수 있는 사각형의 판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압부33은, 커버본체31과 그 양측의 부착측편32, 32의 일부에 걸쳐서 하면측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10의 삽입 오목부11에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결합폴부35, 35는, 부착측편32, 32의 하면측에 있어서 가압부33의 양측에 위치하는 부분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결합 오목부16, 16의 대응부분에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암부36, 36은, 부착측편32, 32의 하면측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결합 오목부19, 19에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결합 오목부19, 19와 결합할 때에 훅부17, 17과 대향(對向)하는 부분이, 위치결정돌기18, 18과 대향하는 부분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고, 선단부(先端部)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훅부37, 37이 설치되어 있다.
콘택트50은, 도전성 금속판(導電性 金屬板)의 펀칭가공(punching 加工), 절곡가공(折曲加工) 등에 의하여 도1∼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세로 길이가 길고 또한 가는 띠 모양으로 형성되는 부착편부51과, 이 부착편부51의 일단측(一端側)으로부터 내측으로 구부러져서 되돌아가도록 연장되어 설치되는 가동편부(可動片部)52와, 부착편부51의 타단측(他端側)으로부터 외측으로 대략 직각으로 구부러져서 연장되어 설치되는 접속편부(接續片部)53을 구비하고 있다.
가동편부52의 선단부에는 접촉부55가 형성되어 있고, 부착편부51의 양측부에는 결합돌기가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FPC70은,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필름(polyester film) 등의 베이스 재(base 材)로 형성되는 기판본체(基板本體)71과, 이 기판본체71의 상면측 선단부에 형성되는 복수(예를 들면 1열이 45∼50개이고 2열에 90∼100개)의 접촉부(도전버트(導電 butt))72와, 각 접촉부72에 접속되는 배선패턴(配線 pattern)73을 구비하고 있다.
기판본체71의 선단 양측에는, 컨넥터에 삽입할 때에 하우징10의 결합 오목부16, 16의 상부에 결합 가능한 돌편(突片)75, 75가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접촉부72∼72는, 돌편75, 75의 중심선76을 사이에 두고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도9를 함께 사용하여 조립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1)하우징10의 콘택트 삽입구멍13∼13에 저면측으로부터 콘택트50∼50을 삽입시킴으로써 콘택트50∼50을 하우징10 내에 결합시킨다.
이 때, 부착편부51의 결합돌기가, 콘택트 삽입구멍13으로 삽입될 때에 결합홈14, 14에 압입(壓入)되어 결합되고, 가동편부52의 선단부가 삽입 오목부11 내로 돌출되어 접촉부55가 삽입 오목부11 내에 위치하고 또한 접속편부53이 하우징1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2)계속하여 커버30의 암부36, 36을 하우징10의 결합 오목부19, 19에 결합시키고 또한 훅부37, 37을 하우징10의 훅부17, 17과 위치결정돌기18, 18의 사이에 결합시킴으로써, 도9(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FPC70의 삽입 가능한 상태가 된다.
(3)도9(a)의 FPC70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커버30을 하방으로 밀어 내려서 가압부33을 삽입 오목부11에 결합시키고 또한 암부36, 36의 훅부37, 37을 하우징10의 위치결정돌기18, 18의 하측에 결합시킴으로써, 도2 및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커버30의 수납상태가 된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도8 및 도9를 함께 사용하여 설명한다.
(1)도2 및 도3의 커버30의 수납상태에 있어서, 커버30을 상부로 들어 올리면, 암부36, 36의 훅부37, 37이 하우징10의 훅부17, 17과 위치결정돌기18, 18의 사이에 결합되어, 도9(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FPC70의 삽입 가능한 상태가 된다.
(2)계속하여 FPC70이 소정의 방향(도8에서는 하측방향, 도9(a)에서는 좌측방향)으로부터 하우징10과 커버30의 사이로 안내된다.
이 때, FPC70의 돌편75, 75가 하우징10의 삽입스토퍼21, 21 및 결합돌기22, 22에 의하여 결합 오목부16, 16의 상부에 위치결정되어,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FPC70의 중심선76이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중심선26과 대략 일치하도록 위치결정된다. 즉 삽입스토퍼21, 21이 돌편75, 75의 선단측에 접촉되어 그 이상의 삽입을 저지하고, 결합돌기22, 22가 돌편75, 75의 후단측에 접촉되어 FPC70이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3)계속하여 커버30을 하방으로 밀어 내려서 가압부33을 삽입 오목부11에 결합시키고 또한 암부36, 36의 훅부37, 37을 하우징10의 위치결정돌기18, 18의 하측에 결합시킴으로써, 도9(b) 및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접속상태가 된다.
이 접속상태에 있어서는, FPC70이, 가압부33에 의하여 대략 U자 모양으로 가압절곡(加壓折曲)되고, 그 접촉부72∼72가 대응하는 콘택트50의 접촉부55에 탄성적(彈性的)으로 접속된다.
또한 커버30이 하우징10으로 밀려 내려가서 결합될 때에 있어서, 부착측편32, 32의 결합폴부35, 35가 가압부33의 양단부와 함께 FPC70의 돌편75, 75에 결합되고, 돌편75, 75를 결합 오목부16, 16 내로 밀어 내려서, 결합이 완료되었을 때에는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돌편75, 75를 대략 U자 모양으로 구부린 상태로 하기 때문에, FPC70의 접촉부72∼72와 대응하는 콘택트50∼50의 접촉부55∼55와의 접촉위치를 정확하게 맞출 수 있 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0측에서는 복수의 콘택트50이 하우징10의 중심선26에 대하여 대칭되는 위치에 2열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FPC70측에서는 복수의 접촉부72가 FPC70의 중심선76에 대하여 대칭되는 위치에 2열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10a측에서는 복수의 콘택트50a가 중심선26a에 대하여 대칭되는 2열로 되어 있지만, 일방(一方)의 열이 타방(他方)의 열에 대하여 1/2피치 비키어 놓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FPC70a측에서는 복수의 접촉부72a가 FPC70의 중심선76a에 대하여 대칭되는 2열로 되어 있지만 일방의 열에 대하여 1/2피치 비키어 놓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등에 관해서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FPC70에 관해서는 배선패턴73∼73이 표면(접촉부가 형성된 면)과 이면으로 분리되어 형성되었을 경우, FPC70a에 관해서는 배선패턴73a∼73a의 모두가 표면에 형성되었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FPC70에 대하여 배선패턴73∼73이 표면 또는 이면의 일방에 형성되었을 경우, FPC70a에 관해서는 배선패턴73a∼73a가 표면과 이면으로 분리되어 형성되었을 경우 또는 모두가 이면에 형성되었을 경우에 관해서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0의 외벽면과 커버30의 암부36, 36에 서로 결합 가능한 훅부17, 17, 37, 37을 형성하여 하우징10의 외벽면과 커버30의 대향면의 적어도 일방에 위치결정돌기18을 형성함으로써, FPC70을 커버30과 삽입 오목부11의 사이에 안내하는 조작을 쉽게 하는 동시에 커버30의 삽입 오목부11로의 삽입 및 이탈조작을 쉽게 하였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훅부의 형성을 생략하였을 경우 및/또는 위치결정돌기를 생략하였을 경우에 관해서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커버30에 결합폴부35, 35를 형성하여 가압부33의 삽입 오목부11로 삽입할 때에 가압부33과 함께 돌편75, 75와 결합시킴으로써, FPC70의 빠짐 방지와 콘택트50과 FPC70의 접촉부의 위치결정을 더 확실하게 하였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결합폴부35, 35를 생략하였을 경우에 관해서도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위치결정부를 삽입스토퍼21, 21과 결합돌기22, 22에 의하여 형성하고, 삽입스토퍼21, 21에 의하여 FPC70의 삽입을 스톱(stop)시키고, 결합돌기22, 22에 의하여 가위치결정(假位置決定)을 함으로써, FPC70의 위치결정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하였을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삽입스토퍼21, 21과 결합돌기22, 22 이외에 의하여 위치결정부를 형성하였을 경우에 관해서도 이용할 수 있다.
청구항1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은, 하우징, 복수의 콘택트 및 커버를 구비하는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에 있어서, 복수의 콘택트를 그 접촉부가 삽입 오목부의 대향하는 내벽면을 따라 2열이 되도록 배치하고, 가압부를 삽입 오목부에 삽입함으로써 커버, 삽입 오목부 사이에 안내되는 플렉시블 기판을 가압변형시켜서 협지하고 또한 플렉시블 기판의 접촉부를 대응하는 콘택트의 접촉부에 접촉시키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커넥터 내에 수용 가능한 콘택트의 수를 2배로 증가시켜서 플렉시블 기판의 접촉부(예를 들면 접촉버트(接觸 butt))의 수를 2배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조작을 불필요하게 하여 조작성을 우수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2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은, 청구항1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에 있어서, 플렉시블 기판에 돌편을 형성하고, 하우징에 위치결정부를 형성하고, 플렉시블 기판이 커버, 삽입 오목부 사이에 안내되었을 때에 삽입 오목부의 양측 표면부분과 대략 겹치는 형상으로 돌편을 형성하고, 위치결정부를 돌편의 가장자리와 결합시켜서 플렉시블 기판의 위치결정을 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하우징에 대한 플렉시블 기판의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3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은, 청구항2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에 있어서, 위치결정부를 삽입스토퍼와 결합돌기에 의하여 형성하고, 삽입스토퍼를 돌편의 선단측 가장자리에 접촉시켜서 플렉시블 기판의 삽입을 스톱시 키고, 결합돌기를 돌편의 후단측에 결합시켜서 가위치결정을 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하우징에 대한 플렉시블 기판의 위치결정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4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은, 청구항2 또는 3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에 있어서, 커버에 가압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결합폴부를 형성하고, 이 결합폴부가, 가압부의 삽입 오목부에 삽입될 때에 가압부와 함께 돌편의 표면과 결합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가압부의 삽입 오목부로의 삽입에 의하여 커버, 삽입 오목부 사이에 협지된 플렉시블 기판의 빠짐 방지와 플렉시블 기판과 콘택트가 대응하는 접촉부의 위치결정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5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은, 청구항1, 2, 3 또는 4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에 있어서, 커버의 양측에 암부를 형성하고, 하우징의 외벽면과 암부의 대향면에 훅부를 형성하고, 하우징의 외벽면과 암부의 대향면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위치결정돌기를 형성하고, 가압부의 삽입 및 이탈 시에 있어서의 빠짐 방지와, 가압부의 삽입 오목부에 대한 인출 시와 삽입 시에 있어서의 위치결정을 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플렉시블 기판을 커버, 삽입 오목부 사이로 안내하는 조작과, 커버의 삽입 오목부로의 삽입 및 이탈조작을 쉽게 하여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5)
- 삽입 오목부(11)가 형성되는 하우징(housing)(10)과, 하우징(10)에 지지되어 접촉부가 삽입 오목부(11) 내에 접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콘택트(contact)(50)와, 삽입 오목부(11)에 삽입 및 이탈 가능한 가압부(加壓部)(33)를 갖는 커버(cover)(30)를 구비하는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flexible 基板用 connector)로서, 복수의 콘택트(50)는, 그 접촉부가 삽입 오목부(11)의 대향(對向)하는 내벽면(內壁面)을 따라 2열로 배치되고, 가압부(33)를 삽입 오목부(11)에 삽입함으로써 커버(30), 삽입 오목부(11) 사이에 안내되는 플렉시블 기판(flexible 基板)(70, 70a)을 가압변형(加壓變形)시켜서 협지(挾持)하고 또한 플렉시블 기판(70, 70a)의 접촉부를 대응하는 콘택트(50)의 접촉부와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플렉시블 기판(70, 70a)에는, 커버(30), 삽입 오목부(11) 사이에 안내되었을 때에 삽입 오목부(11)의 양측 표면부분과 대략 겹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위치결정용의 돌편(突片)(75)(75)이 형성되고, 하우징(10)에는, 돌편(75)(75)의 가장자리와 결합하여 플렉시블 기판(70, 70a)의 위치결정을 하는 위치결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
- 제2항에 있어서,위치결정부는, 삽입에 의하여 안내되는 플렉시블 기판(70, 70a)의 돌편(75)(75)의 선단측 가장자리에 접촉되어 삽입을 스톱(stop)시키는 삽입스토퍼(揷入 stopper)(21)(21)와, 돌편(75)(75)의 후단측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가위치결정(假位置決定)을 하는 결합돌기(22)(2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커버(30)에는, 가압부(33)의 양측에 위치하여 형성되고, 가압부(33)의 삽입 오목부(11)로의 삽입 시에 가압부(33)와 함께 돌편(75)(75)의 표면과 결합되는 결합폴부(結合 pawl 部)(35, 35)(35, 3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커버(30)에는, 가압부(33)의 삽입 오목부(11)로의 삽입 및 이탈 시에 하우징(10)의 외벽면과 대면(對面)하는 암부(arm 部)(36)(36)가 형성되고, 하우징(10)의 외벽면과 암부(36)(36)의 대향면(對向面)에는 가압부(33)의 삽입 및 이탈 시에 서로 결합하여 빠지지 않게 하는 훅부(hook 部)(17, 17)(37, 37)가 형성되고, 하우징(10)의 외벽면과 암부(36)(36)의 대향면의 적어도 일방(一方)의 면에는, 가압부(33)의 삽입 오목부(11)에 대한 인출 시와 삽입 시의 위치결정을 하는 위치결정돌기(18)(18)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4-00241709 | 2004-08-20 | ||
JP2004241709A JP2006059724A (ja) | 2004-08-20 | 2004-08-20 |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17465A true KR20060017465A (ko) | 2006-02-23 |
Family
ID=35910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114557A KR20060017465A (ko) | 2004-08-20 | 2004-12-29 |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7044774B2 (ko) |
JP (1) | JP2006059724A (ko) |
KR (1) | KR20060017465A (ko) |
CN (1) | CN1738103A (ko) |
TW (1) | TW200608647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79249B1 (ko) * | 2010-01-12 | 2013-06-26 |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 커넥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M316528U (en) * | 2006-10-23 | 2007-08-01 | Hon Hai Prec Ind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
JP5057592B2 (ja) * | 2010-02-03 | 2012-10-24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
DE102013004375A1 (de) * | 2013-03-12 | 2014-09-18 |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 Vorrichtung zum Übertragen von elektrischen Signalen an und/oder von einer beweglichen Komponente eines Kraftfahrzeugs,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derartigen Vorrichtung |
JP5872503B2 (ja) * | 2013-04-18 | 2016-03-01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KR101695777B1 (ko) * | 2014-12-09 | 2017-01-12 | (주)우주일렉트로닉스 | 커버부를 갖는 smt용 커넥터 |
CN109193197B (zh) * | 2018-09-25 | 2020-08-21 | 青岛科技大学 | 一种电路板的电连接装置 |
CN110854567A (zh) * | 2019-11-21 | 2020-02-28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电路板装置及电子设备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00342A (en) * | 1990-03-30 | 1992-03-31 | Amp Incorporated | High density flat cable connector |
US5378161A (en) * | 1993-08-04 | 1995-01-03 |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 Tapered electrical connector |
US5967831A (en) * | 1995-01-23 | 1999-10-19 | The Whitaker Corporatio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JP2841043B2 (ja) * | 1996-04-15 | 1998-12-24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2001052788A (ja) * | 1999-08-05 | 2001-02-23 | Molex Inc | Fpcとプリント基板間の電気コネクタ装置 |
-
2004
- 2004-08-20 JP JP2004241709A patent/JP2006059724A/ja not_active Abandoned
- 2004-12-29 KR KR1020040114557A patent/KR2006001746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4-12-30 TW TW093141470A patent/TW200608647A/zh unknown
-
2005
- 2005-03-24 CN CNA2005100637260A patent/CN1738103A/zh active Pending
- 2005-04-27 US US11/116,015 patent/US7044774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79249B1 (ko) * | 2010-01-12 | 2013-06-26 |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 커넥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06059724A (ja) | 2006-03-02 |
US20060040547A1 (en) | 2006-02-23 |
TW200608647A (en) | 2006-03-01 |
US7044774B2 (en) | 2006-05-16 |
CN1738103A (zh) | 2006-02-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92648B2 (en) | Flexible cable connecting structure and flexible cable connector | |
JP5728279B2 (ja) | 基板対基板コネクタ | |
EP3179573B1 (en) | Connector | |
TW201834331A (zh) | 連接器裝置 | |
US7044774B2 (en) | Connector for a flexible board | |
JP2014022214A (ja) | コネクタ | |
US7950952B2 (en) | FPC connector with rotating latch | |
TW201340486A (zh) | 連接器裝置 | |
JP2002252067A (ja) | 電気コネクタ | |
JP5801094B2 (ja) | コネクタ | |
JP2013114869A (ja) | コネクタ | |
JP4295305B2 (ja) | ケーブル用コネクタ | |
US10439312B2 (en) | Flat-conductor connector having flat-conductor retaining structure in housing itself | |
US5458498A (en) |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 |
JP2017103095A (ja) |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接続解除方法 | |
JP4397736B2 (ja) | コネクタ | |
JPH0616430B2 (ja) | カ−ドエツジコネクタ | |
JP5185543B2 (ja) | コネクタ | |
US9196987B2 (en) | Connector | |
JP4368342B2 (ja) | 電線対基板コネクタ | |
JP5057583B2 (ja) |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 |
JP4017170B2 (ja) | 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用コネクタ | |
JP2019102292A (ja) | コネクタ | |
TWI843028B (zh) | 沉板式易鎖易解鎖連接器 | |
JP2019153601A (ja) | 平型導体用コネク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