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9391A - 미나리과 식물 유래의 추출물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미나리과 식물 유래의 추출물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9391A
KR20060009391A KR1020057024296A KR20057024296A KR20060009391A KR 20060009391 A KR20060009391 A KR 20060009391A KR 1020057024296 A KR1020057024296 A KR 1020057024296A KR 20057024296 A KR20057024296 A KR 20057024296A KR 20060009391 A KR20060009391 A KR 20060009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insulin
active ingredient
present
ethan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4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무 오노기
가츠미 스기야마
노부코 무라키
다츠지 에노키
히로아키 사가와
이쿠노신 가토
Original Assignee
다카라 바이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라 바이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라 바이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09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939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2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peripheral neuropath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8Antipsychotics, i.e. neuroleptics; Drugs for mania or schizophr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3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use or dependence
    • A61P25/36Opioid-ab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12Ophthalmic agents for cata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16Otolog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 A61P5/48Drugs for disorders of the endocrine system of the pancreatic horm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02Non-specific cardiovascular stimulants, e.g. drugs for syncope, antihypotens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04Inotropic agents, i.e. stimulants of cardiac contraction; Drugs for heart fail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Diabetes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yc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Botany (AREA)
  • Endocrinology (AREA)
  • Psychia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Addiction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나리과 식물, 또는 그 처리물을, 함수 알코올로 추출하여 얻어지는 추출물, 당해 추출물의 제조 방법, 상기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린량 또는 인슐린 응답의 변조를 수반하는 질환 및/또는 당뇨병의 합병증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 상기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린형 작용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음료 또는 사료, 상기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로의 글루코스 도입 촉진제, 상기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제, 그리고 상기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도스 리덕타제 저해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미나리과 식물 유래의 추출물 및 그 제조 방법{EXTRACT FROM PLANT OF JAPANESE PARSLEY FAMIL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생리 활성 성분을 많이 함유하는 미나리과 식물 유래의 추출물, 그 제조 방법, 및 당해 추출물을 함유하는 의약, 식품, 음료 또는 사료에 관한 것이다.
신선초는 미나리과의 대형 다년성 초본으로, 다양한 건강 촉진 효과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신선초가 갖는 생리 활성으로서는 항균 작용, 항종양 작용, 위산 분비 억제 작용, 항암 효과, 신경 성장 인자 생성 증강 효과, 간세포 증식 인자 생성 증강 작용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국제공개 제01/76614호 팜플렛 참조). 그러나, 항당뇨병 작용이나 항비만 작용 등의 인슐린형 작용에 관해서는 지금까지 알려져 있지 않았다.
인슐린은 포유 동물의 정상적인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 대사에 필요한 호르몬이다. I형 당뇨병의 인간은 생명을 지탱하는 호르몬인 인슐린이 충분히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생존을 위해 외부로부터의 인슐린 투여를 필요로 한다. II형 당뇨병의 인간은 인슐린 생성량의 부족, 인슐린 저항성 등의 요인으로 인한 부적절한 혈액 글루코스량을 적절한 양으로 제어하기 위해, 인슐린의 투여나 인슐 린 분비 촉진약의 투여가 필요해진다. 그러나, II형 당뇨병의 인간 중에서도, 고인슐린 혈증이나 인슐린 수용체 이상, 인슐린 수용체의 하류 시그널의 이상 등으로 인해 일어나는 인슐린 저항성이 요인인 당뇨병 환자에 대해서는, 인슐린이나 인슐린 분비 촉진약을 투여하더라도 치료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최근, 인슐린의 부작용이나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인슐린과 동일한 생리 기능을 갖는 물질 (이하, 인슐린형 물질이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의 개발이 행해지고 있고, 합성의 벤조퀴논 유도체가 인슐린형 물질인 것 (예를 들어, 국제 공개 제99/51225호 팜플렛), 또한 자근(紫根) 유래의 시코닌이 인슐린형 물질인 것 (예를 들어, Kamei R. 외 7명,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02년, vol.292, P642-651) 이 판명되어 있다. 이러한 인슐린형 물질은 I형 당뇨병 환자 뿐만 아니라, II형 당뇨병 환자, 나아가서는 인슐린 저항성이 요인인 II형 당뇨병 환자에 대해서도, 인슐린과 동일한 생리 활성을 나타냄으로써 증상을 개선시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물 유래로 안전하고, 간편히 섭취할 수 있는, 생리 활성 성분을 많이 함유하는 미나리과 식물 유래의 추출물, 그 제조 방법, 및 당해 추출물을 함유하는 의약, 식품, 음료 또는 사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 1 발명은 미나리과 식물, 또는 그 처리물을, 함수 알코올로 추출하여 얻어지는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발명은 미나리과 식물, 또는 그 처리물을 함수 알코올로 추출하는 공정을 갖는, 미나리과 식물, 또는 그 처리물 유래의 추출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발명에 있어서, 미나리과 식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신선초가 예시된다. 또한, 함수 알코올로서는 농도 40(v/v)% 이상 100(v/v)% 미만의 에탄올 수용액이 예시된다.
본 발명의 제 3 발명은 본 발명의 제 1 발명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린량 또는 인슐린 응답의 변조를 수반하는 질환 및/또는 당뇨병의 합병증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발명은 본 발명의 제 1 발명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린형 작용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5 발명은 본 발명의 제 1 발명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음료 또는 사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5 발명에 있어서, 식품, 음료 또는 사료는 인슐린량 또는 인슐린 응답의 변조를 수반하는 질환, 및/또는 당뇨병의 합병증의 치료용 또는 예방용의 식품, 음료 또는 사료가 예시된다.
본 발명의 제 6 발명은 본 발명의 제 1 발명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로의 글루코스 도입 촉진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7 발명은 본 발명의 제 1 발명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8 발명은 본 발명의 제 1 발명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도스 리덕타제 저해제에 관한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에 있어서, 미나리과 식물이란, 피자 식물류 미나리과에 속하는 식물로서, 예를 들어 신선초, 미나리, 파드득나물, 일본 독활, 당근, 셀러리, 파슬리 등이 예시된다. 본 발명에서는 신선초를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미나리과 식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과일, 종자, 종피, 꽃, 잎, 줄기, 뿌리, 뿌리줄기 및/또는 식물 전체 그대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원료로서는 상기 미나리과 식물 외, 그 처리물을 사용한다. 여기서 처리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미나리과 식물의 분쇄물, 미세 절단물, 건조물, 착즙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미나리과 식물을 공지된 방법으로 차잎 형상으로 하여, 이것에 본 발명의 추출 방법을 실시하여 얻어진 추출물도, 본 발명의 추출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료가 되는 미나리과 식물로서는 복수의 미나리과 식물 또는 그들의 처리물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유래하는 식물이 상이한 추출물, 유래하는 식물의 부위가 상이한 추출물, 유래하는 부위는 같지만, 조성이 상이한 함수 알코올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 또는 그들의 조합에 의해 얻어진 추출물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본 발명의 추출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이 함유되어 있으면, 본 발명의 추출물의 제조 방법과는 상이한 추출법으로 얻어진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도 본 발명의 추출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미나리과 식물의 분쇄물은 예를 들어, 식물을 건조시키고, 분쇄기를 사용하여 분쇄함으로써, 또한 동결 분쇄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미세 절단물은 미나리과 식물을 적절히 미세하게 절단함으로써, 건조물은 예를 들어, 동결 건조시킴으로써, 각각 얻을 수 있다. 착즙액은 공지된 식물의 착즙 방법, 예를 들어, 스크류식, 기어식, 커터식 등의 착즙기나 쥬서를 사용하여 미나리과 식물을 착즙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함수 알코올이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에틸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롤 등의 알코올류와 물의 혼합물 (알코올 수용액) 을 말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함수 에탄올이 예시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함수 알코올로서는, 얻어지는 추출물 중에 생리 활성 물질이 보다 많이 함유될 수 있다는 점에서,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알코올 함량이 그 농도로, 바람직하게는 40(v/v)% 이상 100(v/v)%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45∼80(v/v)%, 특히 바람직하게는 50∼70(v/v)% 의 함수 알코올이 사용된다. 통상, 함수 알코올로서는 농도 40(v/v)% 이상 100(v/v)% 미만의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또한, 이들의 함수 알코올은 원하는 바에 따라 단독으로, 또는 적절하게 각종 알코올을 혼합한 함수 알코올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물이란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 조작을 행하는 공정을 거쳐 얻어지는 물질을 말한다. 추출은 공지된 추출 방법에 의해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출은 원료인 미나리과 식물의 특정 부위를 그대로, 또는 그 식물을 분쇄 또는 미세 절단한 후, 용매를 사용하여 배치식 또는 연속식으로 행할 수 있다. 추출 용매의 양은 적절히 결정하면 되지만, 통상, 원료 식물에 대하여, 사용시의 원료 식물의 형태 그대로 (예를 들어, 원료 식물이 생 식물이면 생 식물) 의 중량의, 바람직하게는 0.1∼100배량의 추출 용매를 사용하면 된다. 추출 온도도 적절히, 목적에 따라 결정하면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0∼80℃, 보다 바람직하게는 0∼60℃, 더욱 바람직하게는 0∼50℃, 특히 바람직하게는 0∼40℃ 의 범위이다. 추출 시간도, 추출 효율을 고려하여 결정하면 되지만, 통상, 바람직하게는 수초∼수일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5분∼24시간의 범위가 되도록, 원료, 추출 용매, 추출 온도를 설정하는 것이 바림직하다. 추출 조작은 예를 들어, 교반하면서 또는 정치하여 행하면 되고, 또한 필요에 따라 수회 반복해도 된다. 이상의 조작에 의해, 미나리과 식물 유래의 추출물 (이하, 본 발명의 추출물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이 얻어진다. 추출물은 필요에 따라, 여과, 원심 분리, 농축, 한외 여과, 분자 체 등의 처리를 추가로 실시하여 농축시켜도 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추출물은 예를 들어 원료에 미나리과 식물의 일종인 신선초를 사용한 경우, 생리 활성을 갖는 칼콘류 화합물인 4-하이드록시데리신이나 크산토안게롤을 고농도로 함유하고, 또한 본 발명자들에 의해 발견된 2종의 칼콘류 화합물 (이하, TB1, TB2 라고 칭한다) 에 대해서도 고농도로 함유하는 신규 추출물이다. 또, 지금까지 TB1 또는 TB2 를 고농도로 함유하는 것을 지표로 하여 미나리과 식물로부터 추출물을 얻었다는 보고는 없으며, 본 발명자들에 의해 처음으로 실시된 것이다. TB1 및 TB2 의 화학 구조를 각각 하기 식 (화 1) 및 하기 식 (화 2) 에 나타낸다.
(화 1)
Figure 112005073907511-PCT00001
(화 2)
Figure 112005073907511-PCT00002
본 발명의 추출물에 함유되는 이상의 4종의 칼콘류 화합물 (4-하이드록시데리신, 크산토안게롤, TB1, TB2) 은 후술하는 참고예 1 및 2 에 기재된 바와 같이, 천연 유래의 인슐린형 활성 성분이다. 또한, TB1 및 TB2 에 관해서는 알도스 리덕타제 저해 작용도 갖고 있어, 당뇨병의 합병증에 대하여 그 효과가 기대된다는 것이, 본 발명자들에 의해 발견되어 있다 (국제공개 제2004/031165호 팜플렛).
또한 신선초로부터 얻어지는 본 발명의 추출물 중에는 칼콘류 화합물인 크산토안게롤H, 이소바바칼콘, 바바크로마놀이나, 플라바논류 화합물인 문드레아플라바논A, 이소바바틴, 프로스토라톨F 가 함유되어 있고, 이들의 화합물은 후술하는 실시예 11, 참고예 1 및 2 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알도스 리덕타제 저해 작용이나 인슐린형 작용을 갖고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물은 건강인에 대한 당뇨병의 예방 효과, 당뇨병 예비군이라고 불리는 초기 당뇨병의 사람들에 대한 개선 효과, 및 당뇨병 환자로 그 합병증의 증상이 보이는 사람들에 대한 당뇨병과 그 합병증의 개선 효과를 갖는 종합적인 당뇨병 개선 또는 예방용의 의약품,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 매우 유용하다. 또, 본 발명의 추출물이 갖는 인슐린형 작용은 세포로의 글루코스 도입 촉진 작용,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 작용을 지표로 하여, 후술하는 실시예 5∼7 에 나타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의 알도스 리덕타제 저해 작용은 후술하는 실시예 8, 9 에 나타나 있다.
또한, 상기 TB1, TB2 는 알도스 리덕타제 저해 작용 이외에도, 신경 세포 보호 작용, NO 생성 억제 작용, 인터류킨 생성 억제 작용, 뼈 형성 촉진 작용 등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예를 들어, 국제공개 제2004/031165호 팜플렛 참조), 본 발명의 추출물은 이들의 생리 활성을 이용한 천연 유래의 의약품, 건강 식품 소재로서도 유용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인슐린형 작용이란, 인슐린이 갖는 생리 활성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세포에 있어서의 당, 아미노산의 도입 촉진, 글리코겐, 단백질 합성 및 분해 억제 등의 대사 조절 작용 중 적어도 하나가 예시된다. 또한, 인슐린형 작용의 유무에 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 5 또는 6 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간편히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은 인슐린형 작용을 갖는다는 점에서, 치료상 또는 예방상, 인슐린의 사용이 유효한 모든 질환에 대하여 치료 효과 또는 예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미나리과 식물 유래의 추출물을 공지된 방법으로 분획함으로써 얻어지는 획분이나, 분획 조작을 복수회 반복함으로써 얻어지는 획분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된다. 상기 분획 수단으로서는 추출, 분별 침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분말형, 고체형, 액형의 어느 형상이어도 된다. 분말형으로 하는 경우,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원료로부터 함수 알코올을 용매로 하여 추출된 본 발명의 추출물을 농축시키고, 또한 부형제 등을 첨가하여, 건조, 분쇄시킴으로써, 분말형의 본 발명의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당해 추출물을 공지된 방법으로 조립하여 얻은 입자형의 고형물을, 본 발명의 추출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조립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전동 조립, 교반 조립, 유동층 조립, 기류 조립, 압출 조립, 압축 성형 조립, 해쇄 조립, 분사 조립 또는 분무 조립 등이 예시된다. 또한, 액형의 추출물로서는 함수 에탄올 추출물 자체, 그 농축물이나 희석물 외에, 상기 분말형의 추출물을 액체, 예를 들어 물이나 알코올 등에 용해하여 액형으로 한 것이 예시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추출물을 고농도 또는 고순도로 함유하는 식품, 음료 또는 사료를 제공하겠지만, 이들은 종래의 식품, 음료 또는 사료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식품, 음료 또는 사료 중에 상기 칼콘류 화합물이나 플라바논류 화합물이 고농도 및/또는 고순도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을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이라고 칭하고,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인슐린량 또는 인슐린 응답의 변조를 수반하는 질환, 및/또는 당뇨병의 합병증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를, 본 발명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그 치료제, 예방제 외에, 인슐린형 작용제를 포함해서 본 발명의 의약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유효 성분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특별히 독성은 관찰되지 않는다. 또한, 부작용 발생의 우려도 없다. 그러므로, 안전하고 적절하게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당해 유효 성분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치료제, 예방제, 식품, 음료 또는 사료는 인슐린량 또는 인슐린 응답의 변조를 수반하는 질환, 및/또는 당뇨병의 합병증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효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인슐린량 또는 인슐린 응답의 변조를 수반하는 질환으로서는 혈중의 인슐린 레벨의 변화, 인슐린 또는 인슐린 수용체의 활성의 레벨의 변화, 인슐린 수용체의 하류 시그널의 이상, 및 그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인자에 의해서 특징지어지는 질환을 들 수 있고, 예를 들어, 당뇨병, 비만증, 고혈압, 동맥 경화, 코카인 금단 증상, 울혈성 심부전, 건망증, 심장 혈관 경련, 대뇌 혈관 경련, 크롬 친화성 세포종, 신경절 신경아종, 헌팅턴병, 고지혈증이 예시된다. 당뇨병으로서는 I형 당뇨병, II형 당뇨병이 모두 예시된다. 또한, II형 당뇨병으로서는 인슐린이나 인슐린 분비 촉진약을 투여하더라도 치료 효과가 보이지 않는 인슐린 저항성이 요인이 되는 질환도 포함된다.
인슐린량 또는 인슐린 응답의 변조를 수반하는 질환은 그 발증 단계에 있어서, 인슐린 생성량이 부족하거나, 또는 인슐린 저항성이 원인이 되어 인슐린에 의한 작용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은 인슐린형 작용을 나타냄으로써, 인슐린량 또는 인슐린 응답의 변조를 수반하는 질환의 발증을 억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당해 질환의 예방 효과도 기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당뇨병의 합병증의 예방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인슐린 저항성의 상태에 있어서는 인슐린에 의한 인슐린 리셉터로부터의 신호가 저해되어 있어, 인슐린이 갖는 다채로운 기능이 발휘되지 않고, 여러 대사 이상이 생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효 성분은 인슐린 저항성의 증상에 대하여도 인슐린형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예방제 또는 치료제를 사용함으로써, 인슐린 저항성이 요인이 되는 질환, 예를 들어 인슐린이나 인슐린 분비 촉진약을 투여하더라도 치료 효과가 보이지 않는 II형 당뇨병에 대하여도 치료 또는 예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은 혈중 인슐린량의 저하 효과도 발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의약을, 치료 또는 예방에 인슐린량의 저하를 요하는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제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당해 질환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고인슐린혈증이나 알츠하이머병 등이 예시된다. 또한, 인슐린 수용체를 통한 자극과 연명 효과에 관해서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보고도 있는 점에서 (Science, vol.299, P572∼574 (2003년); Nature, vol.424, P277∼284 (2003년)), 본 발명의 의약을 노화 방지제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인슐린은 전구 지방 세포의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를 촉진하는 것이 알려져 있고, 또한 성숙한 지방 세포에서는 글루코스를 도입하여, 세포 내에 트리글리세리드가 축적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J. Biol. Chem., vol.253, No.20, P7570∼7578 (1978년)). 즉, 이 지견을 이용하여, 인슐린 대신에 피험 물질을 투여하고, 지방 세포로의 분화나 세포 중의 트리글리세리드량을 측정함으로써, 피험 물질의 인슐린형 작용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인슐린은 세포로의 글루코스 도입 촉진 작용이 알려져 있고, 성숙한 지방 세포에서는 인슐린의 작용에 의해 세포 내로의 글루코스의 도입이 촉진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J. Biol. Chem., vol.253, No.20, P7579-7583 (1978년)). 즉, 이 지견을 이용하여, 인슐린 대신에 피험 물질을 투여하여, 성숙 지방 세포 내로의 글루코스의 도입량을 측정함으로써, 피험 물질의 인슐린형 작용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당뇨병의 합병증으로서는 예를 들어, 당뇨병성 망막증, 당뇨병성 말초 신경증, 백내장, 난청, 지각 이상, 근력의 위축 등의 당뇨병 정신증, 신부전 등의 당뇨병성 신증, 동맥 경화나 뇌경색 등의 당뇨병성 혈관 질환, 백혈구의 식균 작용의 저하에 기인하는 감염병, 당뇨병성 혼수 등이 예시된다.
본 발명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로서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상기 유효 성분을 공지된 의약용 담체와 조합하여 제제화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로서는 상기 유효 성분을 당해 유효 성분과 같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성분, 예를 들어, 공지된 인슐린 제제, 인슐린 분비 촉진제, 인슐린 저항성 개선제, 식후 과혈당 개선제, 인슐린형 작용제, 알도스 리덕타제 저해제 등과 배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의 제조는 통상, 상기 유효 성분을 약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액형 또는 고체형의 담체와 배합함으로써 행해지고, 원하는 바에 따라 용제, 분산제, 유화제, 완충제, 안정제, 부형제, 결합제, 붕괴제, 활택제 등을 첨가하여, 정제, 과립제, 산제, 분말제, 캡슐제 등의 고형제, 통상액제, 현탁제, 유제 등의 액제로 할 수 있다. 또한, 사용 전에 적당한 담체의 첨가에 의해서 액형으로 될 수 있는 건조품이나, 기타, 외용제로 할 수도 있다.
의약용 담체는 치료제 또는 예방제의 투여 형태 및 제형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고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경구제로 하는 경우에는 정제, 환제, 캡슐제, 산제, 세립제, 과립제 등으로 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전분, 유당, 백당, 만니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옥수수 전분, 무기염 등이 이용된다. 또한 경구제 조제시에는 추가로 결합제, 붕괴제, 계면 활성제, 윤택제, 유동성 촉진제, 교미제, 착색제, 향료 등을 배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환제로 하는 경우에는 원하는 바에 따라 자당, 젤라틴,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등의 당의 또는 위용성 또는 장용성 물질의 필름으로 피복해도 된다. 액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경구제로 하는 경우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유탁제, 용액제, 현탁제, 시럽제 등으로 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정제수, 에탄올 등이 담체로서 이용된다. 또한, 추가로 원하는 바에 따라 습윤제, 현탁제와 같은 보조제, 감미제, 풍미제, 방부제 등을 첨가해도 된다.
한편, 비경구제로 하는 경우에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유효 성분을 희석제로서의 주사용 증류수, 생리 식염수, 포도당 수용액, 주사용 식물유, 참기름, 낙화생유, 대두유, 옥수수유,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에 용해 내지 현탁시키고, 필요에 따라, 살균제, 안정제, 등장화제, 무통화제 등을 첨가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또한, 고체 조성물을 제조하여, 사용 전에 무균수 또는 무균의 주사용 용매에 용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외용제로서는 경피 투여용 또는 경점막 (구강 내, 비강 내) 투여용의, 고체, 반고체형 또는 액형의 제제가 포함된다. 또한, 좌제 등도 포함된다. 예를 들어, 유제, 로션제 등의 유탁제, 외용 정기제, 경점막 투여용 액제 등의 액형 제제, 유성 연고, 친수성 연고 등의 연고제, 필름제, 테이프제, 파프제 등의 경피 투여용 또는 경점막 투여용 부착제 등으로 할 수 있다.
이상의 각종 제제는 각각 공지된 의약용 담체 등을 이용하여, 적절히,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제에 있어서의 유효 성분의 함유량은 그 투여 형태, 투여 방법 등을 고려하여,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투여량 범위에서 당해 유효 성분을 투여할 수 있는 양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 중의 유효 성분의 함유량으로서는 통상 0.1∼100중량% 정도이다.
본 발명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는 제제 형태에 따른 적당한 투여 경로로 투여된다. 투여 방법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내용, 외용 및 주사를 이용할 수 있다. 주사제는 예를 들어 정맥내, 근육내, 피하, 피내 등에 투여할 수 있고, 외용제에서는 예를 들어, 좌제를 그 적합한 투여 방법에 의해 투여하면 된다.
본 발명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로서의 투여량은 그 제제 형태, 투여 방법, 사용 목적 및 당해 치료제 또는 예방제의 투여 대상인 환자의 연령, 체중, 증상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되고 일정하지 않다. 일반적으로는 제제 중에 함유되는 상기 유효 성분의 투여량이, 건조 중량으로, 성인 1일당 바람직하게는 0.001mg∼10g/kg 체중, 보다 바람직하게는 0.1mg∼1g/kg 체중이 되는 양이다. 물론 투여량은 여러 조건에 따라서 변동되므로, 상기 투여량보다 적은 양으로 충분한 경우도 있고, 또는 범위를 초과하여 필요한 경우도 있다. 투여는 원하는 투여량 범위 내에서, 1일 단회로, 또는 수회로 나누어 행해도 된다. 투여 기간도 임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는 그대로 경구투여 하는 것 외에, 임의의 음식품에 첨가하여 일상적으로 섭취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인슐린형 작용제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당해 인슐린형 작용제로서는 상기 유효 성분 자체이어도 되고, 또한 상기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이어도 된다. 당해 인슐린형 작용제는 예를 들어, 상기 유효 성분을 당해 유효 성분과 같은 용도로 사용가능한 다른 성분, 예를 들어, 공지된 인슐린 제제, 인슐린 분비 촉진제, 인슐린 저항성 개선제, 식후 과혈당 개선제, 인슐린형 작용제 등과 배합하여, 상기 치료제 또는 예방제의 제조 방법에 준하여 통상 사용되는 시약의 형태로 제조하면 된다. 당해 인슐린형 작용제에 있어서의 상기 유효 성분의 함유량은 당해 인슐린형 작용제의 투여 방법, 사용목적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원하는 효과의 발현이 얻어질 수 있는 양이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전형적인 인슐린형 작용제 중의 유효 성분의 함유량으로서는 0.1∼100중량% 정도이다. 또한, 당해 인슐린형 작용제의 사용량도, 본 발명의 원하는 효과의 발현이 얻어질 수 있는 양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생체에 투여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치료제 또는 예방제에 있어서의 유효 성분의 투여량 범위 내에서 유효 성분을 투여할 수 있는 양으로 사용하면 된다. 인슐린형 작용제는 인슐린량 또는 인슐린 응답의 변조를 수반하는 질환에 유용하다. 또한, 당해 인슐린형 작용제는 인슐린량 또는 인슐린 응답의 변조를 수반하는 질환에 대한 약물의 스크리닝에도 유용하다. 또한 당해 인슐린형 작용제는 인슐린에 의한 세포로의 작용 메카니즘 연구나, 그 세포의 물리적 변화에 관한 기능 연구에도 유용하다. 또한, 당해 인슐린형 작용제는 혈청이나 인슐린 제제 대신에, 또는 그들과 함께 세포·조직·장기 배양용의 배지에 첨가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당해 배지는 혈청이나 인슐린 제제를 저감 또는 포함하지 않는 세포·조직·장기 배양용의 배지로서 사용하는 데에 매우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인슐린형 작용제를 인간에게 투여함으로써, 혈중 인슐린량의 저하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인슐린형 작용제를, 치료 또는 예방에 인슐린량의 저하를 요하는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제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당해 질환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고인슐린 혈증이나 알츠하이머병 등이 예시된다. 또한, 인슐린 수용체를 통한 자극과 연명 효과에 관해서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보고도 있는 점에서 (Science, vol.299, P572∼574 (2003년); Nature, vol.424, P277∼284 (2003년)), 본 발명의 인슐린형 작용제를 노화 방지제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유효 성분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특별히 독성은 관찰되지 않는다. 또한, 부작용 발생의 우려도 없다. 그러므로, 안전하고 또한 적절하게 인슐린형 작용, 및/또는 알도스 리덕타제 저해 작용을 생체 내에서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당해 유효 성분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의약, 식품, 음료 또는 사료는 인슐린량 또는 인슐린 응답의 변조를 수반하는 질환, 및/또는 당뇨병의 합병증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효하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추출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식품, 음료 또는 사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음료 또는 사료는 그 인슐린형 작용, 알도스 리덕타제 저해 작용에 의해, 인슐린량 또는 인슐린 응답의 변조를 수반하는 질환, 당뇨병의 합병증의 증상 개선이나 예방에 대하여 매우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또는 음료는 혈당치를 저하시키는 작용을 갖는, 혈당치 저하용의 식품 또는 음료이고, 혈당치가 걱정되는 사람이나 체지방이 걱정되는 사람에 대하여 유효한 기능성 식품 또는 음료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식품, 음료 또는 사료는 항당뇨병 작용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다른 물질, 예를 들어, 공지된 인슐린형 작용 물질, 인슐린 분비 촉진 작용을 갖는 물질, 인슐린 저항성 개선 작용을 갖는 물질, 식후 과혈당 개선 작용을 갖는 물질, 알도스 리덕타제 저해 물질 등과 배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난소화성 덱스트린 등과 배합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식품, 음료 또는 사료에 있어서의 「함유」 라는 용어는, 함유, 첨가 및/또는 희석의 뜻을 갖는다. 여기서, 「함유」 란 식품, 음료 또는 사료 중에 본 발명의 추출물이 포함된다는 태양을, 「첨가」 란 식품, 음료 또는 사료의 원료에,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한다는 태양을, 「희석」 이란 본 발명의 추출물에, 식품, 음료 또는 사료의 원료를 첨가한다는 태양을 말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식품, 음료 또는 사료의 제조법에 특별히 한정은 없다. 예를 들어, 배합, 조리, 가공 등은 일반적인 식품, 음료 또는 사료의 배합, 조리, 가공법에 따르면 되고, 그들의 제조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고, 얻어진 식품, 음료 또는 사료에 본 발명의 추출물이 함유되어 있으면 된다.
본 발명의 식품 또는 음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추출물이 함유되어 이루어지는, 곡물 가공품 (밀가루 가공품, 전분류 가공품, 프리믹스 가공품, 면류, 마카로니류, 빵류, 팥소류, 메밀국수류, 밀기울, 미펀(米粉), 하루사메, 포장떡 등), 유지 가공품 (가소성 유지, 튀김유, 샐러드유, 마요네즈류, 드레싱 등), 대두 가공품 (두부류, 된장, 낫토 등), 식육 가공품 (햄, 베이컨, 프레스햄, 소시지 등), 수산 제품 (냉동 연육, 어묵, 치쿠와, 한펜, 사츠마아게, 츠미레, 스지, 어육햄, 소시지, 카츠오부시, 어란 가공품, 수산 통조림, 츠쿠다니 등), 유제품 (원료유, 크림, 요구르트, 버터, 치즈, 연유, 분유, 아이스크림 등), 야채·과실 가공품 (페이스트류, 잼류, 절임류, 과실 음료, 야채 음료, 믹스 음료 등), 과자류 (초컬릿, 비스켓류, 과자빵류, 케익, 떡과자, 미과류 등), 알코올 음료 (일본주, 중국주, 와인, 위스키, 소주, 보드카, 브랜디, 진, 럼주, 맥주, 청량 알코올 음료, 과실주, 리퀴어 등), 기호 음료 (녹즙, 녹차, 홍차, 우롱차, 커피, 청량 음료, 유산 음료 등), 조미료 (간장, 소스, 식초, 미림 등), 통조림·병조림·봉지조림 식품 (소고기 덮밥, 솥밥, 팥찰밥, 카레, 그 밖의 각종 조리된 식품), 반건조 또는 농축 식품 (레버페이스트, 그 밖의 스프레드, 메밀국수·우동 스프, 농축 스프류), 건조 식품 (즉석 면류, 즉석 카레, 인스탄트 커피, 분말 쥬스, 분말 스프, 즉석 된장국, 조리된 식품, 조리된 음료, 조리된 스프 등), 냉동 식품 (스키야키, 계란찜, 장어구이, 햄버거 스테이크, 슈마이, 만두, 각종 스틱, 프루트 칵테일 등), 고형 식품, 액체 식품 (스프 등), 향신료류 등의 농산·임산 가공품, 축산 가공품, 수산 가공품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은 본 발명의 추출물이 단독 또는 복수 함유, 첨가 및/또는 희석되어 있고, 특별히 그 형상은 한정되지 않고, 타블렛형, 과립형, 캡슐형 등의 형상의 경구적으로 섭취가능한 형상물도 포함한다.
타블렛형 식품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신선초 건조 분말을 6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이어서 농축시킨 추출물에, 부형제, 예를 들어, 덱스트린, 난소화성 덱스트린, 옥수수 전분, 타피오카 전분, 사이클로덱스트린 등을 첨가하여 동결 건조시키고, 분쇄함으로써, 신선초 추출물의 건조 분말을 얻은 후, 추가로 유당, 결정 셀룰로스, 자당 지방산에스테르, 환원 맥아당, 인산칼슘, 난각 칼슘, 미립 2산화규소, CMC-Ca, 트레할로스, 비타민 C 등의 각종 비타민류, 시트르산, 포도당, 설탕, 당알코올, 스테비아 등의 감미료, 향료, 분말 과즙, 해조 유래 분말 (예를 들어, 푸코이단 함유 분말, 아가로올리고당 분말 등), 버섯 분말, 건조 야채 분말 (예를 들어 신선초 등의 미나리과 식물 분말) 등을 적절히 혼합하고, 필요에 따라 조립 공정을 실시하여, 로터리식 타정기에 의해 타정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과립형 식품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상기 타블렛형 식품의 제조 공정에서 로터리식 타정기를 이용하기 전에 얻어지는 각종 혼합된 분말에, 에탄올을 첨가하여 혼합하고, 압출 조립기에 의해 조립하고, 이것을 건조시켜 진동 체로 정립하여 과립형 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캡슐형 식품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상기 타블렛형 식품의 제조 공정에서 로터리식 타정기를 이용하기 전에 얻어지는 각종 혼합한 분말을, 1호 캡슐에 충전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충전 전의 분말에 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 밀랍 등을 첨가하여 유화시켜, 젤라틴과 글리세린을 피포재로 하여 소프트 캡슐을 제조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의 추출물은 미나리과 식물의 독특한 쓴 맛이나 떫은 맛이 저감되어 있어, 식품 원료로서도 우수하다. 즉, 본 발명의 식품 또는 음료는 기호적으로도 우수한 식품 또는 음료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음료로서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신선초 건조 분말을 6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농축시킨 추출물에, 부형제, 예를 들어, 덱스트린, 난소화성 덱스트린, 옥수수 전분, 타피오카 전분, 사이클로덱스트린 등을 첨가하여 동결 건조시키고, 분쇄함으로써, 신선초 추출물의 건조 분말을 얻은 후, 이것에 적절히 향료, 감미료, 과즙, 분말 과즙, 야채 엑기스, 야채 페이스트, 해조 유래 분말이나 해조 추출물 (예를 들어, 푸코이단 함유물, 아가로올리고당 함유물 등), 버섯 분말, 미나리과 식물의 건조 분말 등을 첨가하여, 물이나 알코올에 용해함으로써 본 발명의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신선초 추출물의 건조 분말을 물에 용해한 후, 공지된 청량 음료의 제조 방법에 준하여 본 발명의 음료를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신선초 추출물의 건조 분말 대신에 신선초 추출물의 농축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신선초의 함수 알코올 추출물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음료로서 알코올 음료를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유효 성분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그 관능과 활성 발현의 관점에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상기 유효 성분의 건조 중량으로, 식품 중, 바람직하게는 0.000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9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6∼80중량% 이고, 예를 들어, 음료 중, 바람직하게는 0.000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9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06∼80중량% 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또는 음료는 그들에 함유되는 유효 성분이, 예를 들어 성인 1일당, 바람직하게는 0.001mg∼10g/kg 체중, 보다 바람직하게는 0.1mg∼1g/kg 체중이 되도록 섭취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추출물을 함유, 첨가 및/또는 희석하여 이루어지는, 생물용의 사료를 제공하는 것이고, 또한, 별도의 일 태양으로서, 본 발명의 추출물을 생물에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의 사육 방법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별도의 일 태양으로서, 본 발명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 사육용 제가 제공된다.
이들의 발명에 있어서, 생물이란 예를 들어 양식 동물, 애완 동물 등이고, 양식 동물로서는 가축, 실험 동물, 가금, 어류, 갑각류 또는 조개류가 예시된다. 사료로서는 몸 상태의 유지 및/또는 개선용 사료가 예시된다. 생물 사육용 제로서는 침지용 제, 사료 첨가제, 음료용 첨가제가 예시된다.
이들의 발명에 의하면, 그들을 적용하는 상기 예시하는 바와 같은 생물에 있어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추출물의 인슐린형 작용, 알도스 리덕타제 저해 작용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상기 치료제 또는 예방제에 의한 것과 동일한 효과의 발현을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사료 등은 당해 생물에 있어서의 인슐린량 또는 인슐린 응답의 변조를 수반하는 질환이나 당뇨병의 합병증의 치료 또는 예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추출물은 통상, 대상 생물의 체중 1kg, 1일당 바람직하게는 0.01∼2000mg 투여된다. 투여는 예를 들어, 당해 유효 성분을, 대상 생물에 제공하는 인공 배합 사료의 원료 중에 첨가 혼합하여 두거나, 인공 배합 사료의 분말 원료와 혼합한 후, 그 밖의 원료에 추가로 첨가 혼합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의 사료 중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설정하면 되지만, 예를 들어 상기 유효 성분의 건조 중량으로 0.001∼15중량% 의 비율이 바람직하다. 생물 사육용 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의 함유량도 같은 정도로 하면 된다.
본 발명의 사료의 제조법에 특별한 한정은 없고, 또한 배합도 일반의 사료에 준하는 것이면 되고, 제조된 사료 중에 본 발명의 추출물이 함유되어 있으면 된다. 생물 사육용 제도 동일하게 하여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생물로서는 한정은 없지만, 양식 동물로서는 말, 소, 돼지, 양, 염소, 낙타, 라마 등의 가축, 마우스, 래트, 모르모트, 토끼 등의 실험 동물, 닭, 집오리, 칠면조, 타조 등의 가금, 애완 동물로서는 개, 고양이 등을 들 수 있고,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추출물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사료를 섭취시키는 것, 또는 본 발명의 추출물의 함유액 (예를 들어, 상기 침지용 제를 물에 용해시킨 것) 에 대상 생물을 침지함으로써, 가축, 실험 동물, 가금, 애완 동물 등의 몸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시키거나, 또는 개선시킬 수 있다. 또, 이들의 태양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생물의 사육 방법의 일 태양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세포로의 글루코스 도입 촉진제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당해 글루코스 도입 촉진제로서는 상기 유효 성분 자체이어도 되고, 또한, 상기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이어도 된다. 당해 글루코스 도입 촉진제는 예를 들어, 상기 유효 성분을 당해 유효 성분과 같은 용도로 사용가능한 다른 성분, 예를 들어, 공지된 인슐린 제제, 인슐린 분비 촉진제, 인슐린 저항성 개선제, 식후 과혈당 개선제, 인슐린형 작용제 등과 배합하여, 상기 치료제 또는 예방제의 제조 방법에 준하여 통상 사용되는 시약의 형태로 제조하면 된다. 당해 글루코스 도입 촉진제에 있어서의 상기 유효 성분의 함유량은 당해 글루코스 도입 촉진제의 투여 방법, 사용 목적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원하는 효과의 발현이 얻어질 수 있는 양이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전형적인 글루코스 도입 촉진제 중의 유효 성분의 함유량으로서는 건조 중량으로 0.1∼100중량% 정도이다. 또한, 그 글루코스 도입 촉진제의 사용량도, 본 발명의 원하는 효과의 발현이 얻어질 수 있는 양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생체에 투여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치료제 또는 예방제에 있어서의 유효 성분의 투여량의 범위 내에서 유효 성분을 투여할 수 있는 양으로 사용하면 된다. 당해 글루코스 도입 촉진제는 치료 또는 예방에 세포로의 글루코스 도입 촉진 작용을 요하는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용하다. 당해 질환으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인슐린형 작용을 요하는 질환 외에, 심장 질환, 특히 심근 경색, 허혈 후의 심장 손상 등이 예시된다. 또한, 당해 글루코스 도입 촉진제는 세포에 의한 글루코스의 도입을 촉진시킨다는 점에서, 근육 세포에 있어서는 당해 작용이 기능함으로써, 근육 증강 작용, 피로 회복 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당해 글루코스 도입 촉진제는 이들의 질환에 대한 치료 또는 예방용의 식품, 음료 또는 사료의 제조에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의 식품, 음료 또는 사료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전술한 식품, 음료 또는 사료에 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당해 글루코스 도입 촉진제는 상기 치료 또는 예방에 세포로의 글루코스 도입 촉진 작용을 요하는 질환에 대한 약품의 스크리닝에도 유용하다. 또한 당해 글루코스 도입 촉진제는 세포에 의한 글루코스 도입 작용의 메카니즘 연구나 그 세포의 물리적 변화 등의 기능 연구에도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제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당해 분화 유도제가 지방 세포로 분화 유도할 수 있는 전구체 세포로서는 지방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세포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전구 지방 세포 이외에, 섬유아 세포나 간엽계 줄기 세포 등을 들 수 있다. 당해 분화 유도제로서는 상기 유효 성분 자체이어도 되고, 또한 상기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이어도 된다. 당해 분화 유도제는 예를 들어, 상기 유효 성분을 당해 유효 성분과 같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성분, 예를 들어, 공지된 인슐린 제제, 인슐린 분비 촉진제, 인슐린 저항성 개선제, 식후 과혈당 개선제, 인슐린형 작용제 등과 배합하여, 상기 치료제 또는 예방제의 제조 방법에 준하여 통상 사용되는 시약의 형태로 제조하면 된다. 당해 분화 유도제에 있어서의 상기 유효 성분의 함유량은 당해 분화 유도제의 투여 방법, 사용 목적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원하는 효과의 발현이 얻어질 수 있는 양이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전형적인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제 중의 유효 성분의 함유량으로서는 건조 중량으로 0.1∼100중량% 정도이다. 또한, 당해 분화 유도제의 사용량도, 본 발명의 원하는 효과의 발현이 얻어질 수 있는 양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생체에 투여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치료제 또는 예방제에 있어서의 유효 성분의 투여량 범위 내에서 유효 성분을 투여할 수 있는 양으로 사용하면 된다. 당해 분화 유도제는 치료 또는 예방에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 작용을 요하는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용하다. 당해 질환으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인슐린형 작용을 요하는 질환 외에, 통풍, 지방간, 담석증, 월경 이상, 불임증 등이 예시된다. 또한, 당해 분화 유도제는 이들의 질환에 대한 치료 또는 예방용 식품, 음료 또는 사료의 제조에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의 식품, 음료 또는 사료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전술한 식품, 음료 또는 사료에 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당해 분화 유도제는 상기 치료 또는 예방에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를 요하는 질환에 대한 약물의 스크리닝에도 유용하다. 또한 당해 분화 유도제는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 작용의 메카니즘 연구나 그 물리적 변화 등의 기능 연구에도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알도스 리덕타제 저해제를 제공할 수도 있다. 당해 저해제로서는 상기 유효 성분 그 자체이어도 되고, 또한, 상기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이어도 된다. 당해 저해제는 예를 들어, 상기 유효 성분을 당해 유효 성분과 같은 용도로 사용가능한 다른 성분, 예를 들어 에팔레스타트 (epalrestat) 등과 배합하여, 상기 치료제 또는 예방제의 제조 방법에 준하여 통상 사용되는 시약의 형태로 제조하면 된다. 당해 저해제에 있어서의 상기 유효 성분의 함유량은 당해 저해제의 투여 방법, 사용 목적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원하는 효과의 발현이 얻어질 수 있는 양이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전형적인 알도스 리덕타제 저해제 중의 유효 성분의 함유량으로서는 건조 중량으로 0.1∼100중량% 정도이다. 또한, 당해 저해제의 사용량도, 본 발명의 원하는 효과의 발현이 얻어질 수 있는 양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생체에 투여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치료제 또는 예방제에 있어서의 유효 성분의 투여량의 범위 내에서 유효 성분을 투여할 수 있는 양으로 사용하면 된다. 당해 저해제는 치료 또는 예방에 알도스 리덕타제 저해 작용을 요하는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용하다. 당해 질환으로서는 예를 들어 전술한 당뇨병의 합병증이 예시된다. 또한, 당해 저해제는 이들의 질환에 대한 치료 또는 예방용의 식품, 음료 또는 사료의 제조에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의 식품, 음료 또는 사료에 관해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식품, 음료 또는 사료에 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당해 저해제는 상기 당뇨병의 합병증에 대한 약품의 스크리닝에도 유용하다. 또한 당해 저해제는 폴리올 대사나 당뇨병의 합병증의 메카니즘 연구나 그 물리적 변화 등의 기능 연구에도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화장료 소재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그 추출물은 화장료로서 사용가능한 임의의 물질과 혼합하여 사용가능하다. 일반적으로는 물, 알코올류, 유지류, 지방산류, 글리세롤, 무기염류, 방부제, 계면 활성제, 비타민류, 아미노산류, 당류 등과 혼합하여, 로션, 유액, 크림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화장료 중의 본 발명의 추출물의 함유량으로서는 건조 중량으로 0.1∼80중량%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별도의 태양으로서, 크산토안게롤H, 이소바바칼콘, 바바크로마놀, 문드레아플라바논A, 이소바바틴 및 프로스토라톨F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도스 리덕타제 저해제가 제공된다. 이들의 유효 성분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또한, 당해 알도스 리덕타제 저해제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의 제조에 따라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유효 성분은 그 작용 발현에 있어서의 유효량의 투여를 생체에 행해도 독성은 관찰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경구 투여의 경우, 신선초의 60(v/v)%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의 건조물을 각각 1g/kg 체중으로 마우스에 단회 투여하더라도 사망예는 관찰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유효 성분은 래트에 대한 경구 투여에 있어서 1g/kg 체중을 경구 단회 투여하더라도 사망예는 관찰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기재에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또, 실시예에 있어서의 % 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용량 (v/v)% 를 의미한다.
실시예 1
신선초 엽경부의 동결 건조물을 분쇄한 것 2g 에, 40mL 의 추출 용매 (40, 50, 60, 70, 80% 에탄올 수용액 및 100% 에탄올) 를 첨가하여, 25℃ 에서 30분간 추출을 행하였다. 원심 후의 상청에 관해서 HPLC 를 사용하여 칼콘류를 정량하였다. 칼럼은 TSK gel ODS-80Ts QA (4.6mm×25cm: 토소사 제조) 를 사용하였 다. 용매 A (증류수와 아세토니트릴을 용량비 4 대 1 로 혼합한 것,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포함) 와 용매 B (증류수와 아세토니트릴을 용량비 1 대 9 로 혼합한 것,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포함) 의 용출비는 0∼45분까지는 용매 B 비를 직선적으로 0∼100% 로, 이어지는 10분간은 용매 B 비를 100% 로 유지하였다. 용출 속도는 1mL/분, 검출은 215nm, 칼럼 온도는 30℃ 에서 행하였다.
표 1 에 그 결과를 나타낸다.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선초 엽경부에서의 TB1 과 TB2 의 추출에는 100% 에탄올보다 함수 에탄올 추출쪽이, 효율이 좋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신선초 엽경부로부터의 크산토안게롤, 4-하이드록시데리신의 추출에는 60%, 70%, 80% 에탄올 수용액이 100% 에탄올보다 효율이 좋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신선초 엽경부로부터의 칼콘류의 추출에 있어서의 함수 에탄올의 효과
추출 용매 추출 칼콘량(%)
크산토안게롤 4-하이드록시데리신 TB1 TB2
40% 에탄올수용액 19 30 225 163
50% 에탄올수용액 69 78 239 167
60% 에탄올수용액 101 106 220 164
70% 에탄올수용액 107 112 206 146
80% 에탄올수용액 109 111 184 144
100% 에탄올 100 100 100 100
100% 에탄올에 의한 추출량을 100% 로 하여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신선초 뿌리부의 동결 건조물을 분쇄한 것에 대해서 실시예 1 과 동일한 추출을 하여, 추출액 중의 칼콘류를 정량하였다. 표 2 에 그 결과를 나타낸다.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천초 뿌리부로부터의 TB1 과 TB2 의 추출에는 100% 에탄올보다 함수 에탄올 추출쪽이, 효율이 좋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신선초 뿌리부로부터의 크산토안게롤, 4-하이드록시데리신의 추출에는 60%, 70%, 80% 에탄올 수용액이 100% 에탄올보다 효율이 좋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신선초 뿌리부로부터의 칼콘류의 추출에 있어서의 함수 에탄올의 효과
추출 용매 추출 칼콘량(%)
크산토안게롤 4-하이드록시데리신 TB1 TB2
40% 에탄올수용액 38 49 238 143
50% 에탄올수용액 92 94 251 144
60% 에탄올수용액 114 113 247 138
70% 에탄올수용액 111 111 249 142
80% 에탄올수용액 112 112 229 134
100% 에탄올 100 100 100 100
100% 에탄올에 의한 추출량을 100% 로 하여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신선초 엽경부 추출물의 조제
신선초 엽경부의 동결 건조물을 분쇄한 것 2g 에, 40mL 의 추출 용매 (40, 50, 60, 70, 80% 에탄올 수용액 및 100% 에탄올) 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30분간 추출을 행하였다. 원심 후의 상청 30mL 를 농축 건고하고 0.75mL 의 디메틸술폭사이드에 용해하였다.
실시예 4 신선초 뿌리부 추출물의 조제
신선초 뿌리부의 동결 건조물을 분쇄한 것 2g 에, 40mL 의 추출 용매 (40, 50, 60, 70, 80% 에탄올 수용액 및 100% 에탄올) 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30분간 추출을 행하였다. 원심 후의 상청 30mL 를 농축 건고하고 0.75mL 의 디메틸술폭사이드에 용해하였다.
실시예 5 신선초 엽경부 추출물의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 활성
(1)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는 Rubin C.S. 등의 방법 (J. Biol. Chem., vol.253, No.20, p7570∼7578 (1978년)) 을 일부 개량하여 행하였다. 200μM 아스코르브산을 함유하는 10% 소태아 혈청 (기브코사 제조) 함유 둘베코 개량 이글 배지 (시그마사 제조, D 6046) (이하 A-D-MEM 배지) 에 전구 지방 세포주 3T3-L1 (ATCC CCL-92.1) 을 4×103개/mL 가 되도록 현탁하고, 12웰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의 웰에 2mL 씩 첨가하여 5% 탄산 가스 존재 하, 37℃ 에서 7일간 배양하였다. 또, 2, 4일째에 동 배지에 의해 배지 교환을 행하였다. 7일째에, 0.25μM 덱사메타존을 함유하는 A-D-MEM 배지로 교환 후, 각 웰 각각 실시예 3 에서 조제한 신선초 엽경부 4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디메틸술폭사이드 용액을 종농도 0.1%, 0.033% 가 되도록, 5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디메틸술폭사이드 용액을 종농도 0.1%, 0.033%, 0.011% 가 되도록, 또한 60%, 70%, 8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또는 100% 에탄올 추출물 디메틸술폭사이드 용액을 종농도 0.2%, 0.067%, 0.022% 가 되도록 첨가하였다. 또 양성 대조로서 4μL 의 5mg/mL 인슐린 (타카라 바이오사 제조) 수용액 첨가의 구분을, 음성 대조로서 디메틸술폭사이드 첨가의 구분을 설정하였다. 45시간 후에 A-D-MEM 배지로 교환하고, 각 웰 각각 신선초 엽경부 4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디메틸술폭사이드 용액을 종농도 0.1%, 0.033% 가 되도록, 5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디메틸술폭사이드 용액을 종농도 0.1%, 0.033%, 0.011% 가 되도록, 또한 60%, 70%, 8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또는 100% 에탄올 추출물 디메틸술폭사이드 용액을 종농도 0.2%, 0.067%, 0.022% 가 되도록 첨가하고, 양성 대조로서 2μL 의 5mg/mL 인슐린 수용액, 음성 대조로서 디메틸술폭사이드를 첨가하여, 추가로 7일간 배양하였다. 또, 2, 4일째에 배지를 교환하고, 그 때 각 웰에, 신선초 엽경부 4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디메틸술폭사이드 용액을 종농도 0.1%, 0.033% 가 되도록, 5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디메틸술폭사이드 용액을 종농도 0.1%, 0.033%, 0.011% 가 되도록, 또한 60%, 70%, 8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또는 100% 에탄올 추출물 디메틸술폭사이드 용액을 종농도 0.2%, 0.067%, 0.022% 가 되도록 첨가하였다. 양성 대조로서 2μL 의 5mg/mL 인슐린 수용액, 음성 대조로서 디메틸술폭사이드를 첨가하였다.
(2) 트리글리세리드 생합성량의 측정
성숙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의 지표로서, 또한 인슐린형 작용의 평가로서 세포 중의 트리글리세리드의 양을 측정하였다. 배양 종료 후, 배지를 제거하여, 인산 완충염 용액으로 2회 세포를 세정하고, 1mL 의 헥산:이소프로판올=3:2 의 용매를 첨가하여 30분간 실온에 둔 후 상청을 회수하였다. 이 조작을 다시 반복하고, 얻어진 2mL 의 상청을 농축 건고하였다. 침전을 100μL 의 이소프로판올에 용해 후, 용액 10μL 중에 함유되는 트리글리세리드의 양을 트리글리세라이드 E-테스트 (와코쥰야쿠사 제조, code 432-40201)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측정은 모두 2벌로 행하였다.
이 결과, 디메틸술폭사이드 첨가 구분과 비교하여 신선초 엽경부 40%, 50%, 60%, 70%, 8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또는 100% 에탄올 추출물 첨가 구분에 있어서, 인슐린을 첨가한 구분과 마찬가지로 트리글리세리드 생합성의 유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신선초 엽경부 40%, 50%, 60%, 70%, 8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또는 100% 에탄올 추출물에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 활성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6 신선초 뿌리부 추출물에 의한 글루코스 도입 촉진 작용
(1) 성숙 지방 세포의 조제
성숙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는 전술한 Rubin C.S. 등의 방법을 일부 개량하여 행하였다. 200μM 아스코르브산을 함유하는 10% 소태아 혈청 함유 둘베코 개량 이글 배지에 3T3-L1 세포를 4×103개/mL 가 되도록 현탁하고, 12웰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의 웰에 2mL 씩 첨가하여 5% 탄산 가스 존재 하, 37℃ 에서 7일간 배양하였다. 7일째에, 200μM 아스코르브산, 0.25μM 덱사메타존 및 10μg/mL 인슐린, 0.5mM 3-이소부틸-1-메틸크산틴 (나카라이테스크사 제조, 19624-44) 을 함유하는 10% 소태아 혈청 함유 둘베코 개량 이글 배지 2mL 로 교환하였다. 45시간 후에 200μM 아스코르브산 및 5μg/mL 인슐린을 함유하는 10% 소태아 혈청 함유 둘베코 개량 이글 배지 2mL 로 교환하고, 다시 2일 후, 4일 후에 동 배지를 교환하여 7일간 배양함으로써 성숙 지방 세포를 조제하였다.
(2) 성숙 지방 세포로의 글루코스 도입 촉진 작용의 측정
글루코스 도입 촉진 작용의 평가로서, 또한 인슐린형 작용의 평가로서 성숙 지방 세포에 있어서 샘플 (실시예 4 에서 조제한 신선초 뿌리부 추출물) 자극시의 세포 내로의 2-데옥시글루코스 도입량을 측정하였다.
배양 종료 후, 배지를 제거하고, 0.1(w/v)% 소혈청 알부민 (시그마사 제조, A8022) 함유 둘베코 개량 이글 배지로 2회 세포를 세정한 후, 각 웰 각각 종농도 0.1%, 0.067%, 0.022% 의 실시예 4 에서 조제한 신선초 뿌리부 40%, 5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디메틸술폭사이드 용액, 종농도 0.2%, 0.067%, 0.022% 의 신선초 뿌리부 6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디메틸술폭사이드 용액, 종농도 0.067%, 0.022% 의 신선초 뿌리부 70%, 8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디메틸술폭사이드 용액 또는 신선초 뿌리부 100% 에탄올 추출물 디메틸술폭사이드 용액을 함유하는 동 배지 1mL 를 첨가하여, 5% 탄산 가스 존재 하, 37℃ 에서 하룻밤 배양하였다. 또, 음성 대조로서 샘플을 첨가하지 않은 구분을 설정하였다. 하룻밤 배양 후, 헤페스 완충염 용액 (140mM NaCl, 5mM KCl, 2.5mM MgSO4, 1mM CaCl2, 20mM HEPES-Na (pH 7.4)) 으로 2회 세포를 세정하고, 각 웰 각각 종농도 0.1%, 0.067%, 0.022% 의 신선초 뿌리부 40%, 5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디메틸술폭사이드 용액, 종농도 0.2%, 0.067%, 0.022% 의 신선초 뿌리부 6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디메틸술폭사이드 용액, 종농도 0.067%, 0.022% 의 신선초 뿌리부 70%, 8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디메틸술폭사이드 용액 또는 신선초 뿌리부 100% 에탄올 추출물 디메틸술폭사이드 용액을 함유하는 동 완충액 0.9mL 를 첨가하여, 37℃ 에서 75분 배양하였다. 이 때 양성 대조로서, 45분 경과한 시점에서 샘플을 첨가하지 않은 웰에서 종농도 1μg/mL 가 되도록 인슐린을 첨가한 구분을 설정하였다. 그 후, 0.5μCi/mL 2-데옥시-[1,2-3H(N)]-글루코스 (퍼킨엘머 라이프 사이언스사 제조, NET549A), 1mM 2-데옥시글루코스 (나카라이테스크사 제조, 10722-11) 함유 헤페스염 완충액 100μL 를 첨가하여 다시 37℃ 에서 10분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 후, 상청을 제거하여, 4℃ 로 냉각시킨 인산염 완충액으로 3회 세포를 세정 후, 1% 노니데트 P-40 함유 인산염 완충액 0.5mL 를 첨가하여 세포를 용해함으로써, 세포 중에 도입된 2-데옥시-[1,2-3H(N)]-글루코스를 용출시켰다. 상청 25μL 를 사용하여 울티마골드 (파킨엘머 라이프 사이언스사 제조, 6013329) 를 신틸레이션 칵테일로서 액체 신틸레이션 카운터 LS6500 (벡크만사 제조) 에 의해 방사 활성을 측정하였다.
이 결과, 신선초 뿌리부 40%, 50%, 60%, 70%, 8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또는 100% 에탄올 추출물을 첨가한 구분에서 음성 대조와 비교하여 인슐린을 첨가한 구분과 마찬가지로 2-데옥시[1,2-3H(N)]-글루코스 도입의 촉진이 관찰되었다. 즉, 신선초 뿌리부 40%, 50%, 60%, 70%, 8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또는 100% 에탄올 추출물에 글루코스 도입 촉진 활성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7 신선초 뿌리부 추출물의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
실시예 4 에 의해서 조제한 신선초 뿌리부 40%, 50%, 60%, 70%, 8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또는 100% 에탄올 추출물의 성숙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 작용 (인슐린형 작용) 을 실시예 5 의 방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즉, 샘플로서, 각 웰 각각 종농도 0.1%, 0.033% 의 신선초 뿌리부 4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디메틸술폭사이드 용액, 종농도 0.033%, 0.011% 의 신선초 뿌리부 5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디메틸술폭사이드 용액, 종농도 0.022% 의 신선초 뿌리부 7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디메틸술폭사이드 용액, 종농도 0.067%, 0.022% 의 신선초 뿌리부 60%, 8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디메틸술폭사이드 용액 또는 100% 에탄올 추출물 디메틸술폭사이드 용액을 첨가한 구분을 설정하였다. 또 양성 대조로서 4μL 의 5mg/mL 인슐린 (타카라 바이오사 제조) 수용액 첨가의 구분을, 음성 대조로서 디메틸술폭사이드 첨가의 구분을 설정하였다. 그 후 실시예 5 에 기재된 방법과 마찬가지로, 배지 및 샘플을 교환하여, 샘플 첨가 7일 후에 세포 중의 트리글리세리드의 양을 측정하였다.
이 결과, 신선초 뿌리부 40%, 50%, 60%, 70%, 8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또는 100% 에탄올 추출물 첨가 구분에 있어서 트리글리세리드 생합성의 유도가 관찰되었다. 즉, 신선초 뿌리부 40%, 50%, 60%, 70%, 8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 또는 100% 에탄올 추출물에 성숙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 작용이 관찰되었다.
조제예 1 신선초 엽경부, 뿌리부 수추출물의 조제
신선초 엽경부, 및 뿌리부의 동결 건조물을 분쇄한 것 2g 에, 40mL 의 물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30분간 추출을 행하였다. 원심 후의 상청 30mL 를 농축 건고하고 0.75mL 의 물에 용해하여, 신선초 엽경부, 뿌리부 수추출물로 하였다.
실시예 8 신선초 뿌리부 추출물의 알도스 리덕타제 저해 작용
신선초 뿌리부 추출물의 알도스 리덕타제 저해 작용을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샘플로서 실시예 4 에서 조제한 신선초 뿌리부 각종 에탄올 추출물, 및 조제예 1 에서 조제한 신선초 뿌리부 수추출물 (50% 디메틸술폭사이드 수용액에 용해한 것) 10μL, 0.2M 인산 완충액 (pH6.2) 100μL, 1mM NADPH (인산 완충액) 20μL, 사람 근육 세포 유래 알도스 리덕타제 용액 (0.1U/mL, 와코쥰야쿠 공업사 제조, 인산 완충액) 10μL 에 100mM 메틸글리옥살 용액 20μL 를 첨가하여, 30초 경과 후부터 180초간, NADPH 의 340nm 에서의 흡광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음성 대조로서 샘플 대신에 50% 디메틸술폭사이드 수용액을 사용하였다. 또한, 각 샘플의 블랭크로서 메틸글리옥살 용액 대신에 증류수를 사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치는 2회의 실험치의 평균치로 나타내었다. 알도스 리덕타제 저해율 (%) 은 이하의 식에 의해 산출하였다.
저해율 (%)=[1-(ΔAs-ΔAsb)/(ΔAc-ΔAcb)]×100
여기서, ΔAs 및 ΔAc 는 각각 샘플 용액, 음성 대조 용액의 1분간당 흡광도 변화를 나타내고, ΔAsb 및 ΔAcb 는 각각 샘플 용액, 음성 대조 용액의 블랭크 용액의 1분간당 흡광도 변화를 나타낸다.
샘플의 첨가량은 최종 농도를 표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였다. 표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선초 뿌리부 함수 에탄올 추출물은 수추출물이나 에탄올 추출물보다 높은 알도스 리덕타제 저해 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추출 용매 알도스 리덕타제 저해율(%)
0.025% 0.05% 0.1%
32.8 46.7 63.6
40% 에탄올수용액 35.5 53.7 72.5
50% 에탄올수용액 40.8 57.0 72.6
60% 에탄올수용액 41.4 57.0 72.4
70% 에탄올수용액 39.6 57.5 73.9
80% 에탄올수용액 33.7 49.6 69.9
100% 에탄올 16.6 28.3 47.6
실시예 9 신선초 엽경부 추출물의 알도스 리덕타제 저해 작용
실시예 3 에서 조제한 신선초 엽경부 추출물의 알도스 리덕타제 저해 활성을 실시예 8 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표 4 에 그 결과를 나타낸다. 표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선초 엽경부 6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은 수추출물이나 에탄올 추출물보다 높은 알도스 리덕타제 저해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추출 용매 알도스 리덕타제 저해율(%)
0.025% 0.05% 0.1%
22.5 39.5 55.6
60% 에탄올수용액 32.5 49.8 64.6
100% 에탄올 1.4 5.2 17.6
실시예 10 크산토안게롤H, 이소바바칼콘, 바바크로마놀, 문드레아플라바논A, 이소바바틴, 프로스토라톨F 의 조제
실시예 3 에서 조제한 신선초 엽경부 40, 50, 60, 70, 및 80% 에탄올 추출물과 실시예 4 에서 조제한 신선초 뿌리부 40, 50, 60, 70, 및 80% 에탄올 추출물에 관해서, 실시예 1 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HPLC 에 의해 분석한 결과, 이들의 추출물 중에 크산토안게롤H, 이소바바칼콘, 바바크로마놀, 문드레아플라바논A, 이소바바틴, 프로스토라톨F 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들의 화합물을 각종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단리하였다.
실시예 11 신선초 뿌리부 추출물에 포함되는 물질의 알도스 리덕타제 저해 활성
실시예 10 에서 조제한 크산토안게롤H, 이소바바칼콘, 바바크로마놀, 문드레아플라바논A, 이소바바틴, 프로스토라톨F 의 알도스 리덕타제 저해 활성을 실시예 8 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표 5 에 그 결과를 나타낸다. 표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산토안게롤H, 이소바바칼콘, 바바크로마놀, 문드레아플라바논A, 이소바바틴, 프로스토라톨F 에는 농도 의존적으로 알도스 리덕타제 저해 활성이 있는 것이 분명해졌다.
실시예 1 및 2 에 있어서 함수 에탄올 추출물 중에 TB1, TB2 가 함유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지만, 본 발명자들은 국제 공개 제2004/031165호 팜플렛에 있어서 TB1 및 TB2 에 알도스 리덕타제 저해 작용이 있는 것을 명기하고 있다. 즉, 실시예 1 및 2 에 나타내는 함수 에탄올 추출물 중에는 TB1, TB2 이외에도 알도스 리덕타제 저해 작용을 갖는 물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추출 용매 알도스 리덕타제 저해율(%)
2.5μM 5μM 10μM 20μM 40μM
크산토안게류H 40.4 57.8 72.2 80.8 N.T
이소바바칼콘 N.T N.T 30.2 47.4 60.1
바바크로마놀 42.1 58.5 70.5 80.1 N.T
문드레아플라바논A 38.5 54.6 68.5 73.8 N.T
이소바바틴 45.5 61.3 72.3 80.4 N.T
프로스토라톨F 27.4 46.3 57.1 61.4 N.T
N. T. 는 시험하지 않았음을 나타냄
참고예 1 크산토안게롤, 4-하이드록시데리신, TB1, TB2, 크산토안게롤H, 이소바바칼콘, 문드레아플라바논A, 이소바바틴, 프로스토라톨F 의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 활성
크산토안게롤, 4-하이드록시데리신, TB1, TB2, 크산토안게롤H, 이소바바칼콘, 문드레아플라바논A, 이소바바틴, 프로스토라톨F 의 성숙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 작용 (인슐린형 작용) 을 실시예 5 의 방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즉, 샘플로서, 각 웰에 각각 크산토안게롤 (종농도 1, 3, 10μM), 4-하이드록시데리신 (종농도 3, 10μM), TB1 (종농도 3, 10μM), TB2 (종농도 3, 10μM), 이소바바칼콘 (종농도 3, 10μM), 크산토안게롤H (종농도 1, 3, 4, 13μM), 문드레아플라바논A (종농도 3, 10μM), 이소바바틴 (종농도 3, 10, 30μM), 프로스토라톨F (종농도 3, 10μM) 의 디메틸술폭사이드 용액을 첨가한 구분을 설정하였다. 또 양성 대조로서 4μL 의 5mg/mL 인슐린 (타카라 바이오사 제조) 수용액 첨가의 구분을, 음성 대조로서 디메틸술폭사이드 첨가의 구분을 설정하였다. 그 후 실시예 5 에 기재된 방법과 마찬가지로, 배지 및 샘플을 교환하여, 샘플 첨가 7일 후에 세포 중의 트리글리세리드의 양을 측정하였다.
이 결과, 크산토안게롤, 4-하이드록시데리신, TB1, TB2, 크산토안게롤H, 이소바바칼콘, 문드레아플라바논A, 이소바바틴, 프로스토라톨F 첨가 구분에 있어서, 각각 트리글리세리드 생합성의 유도가 관찰되었다. 즉, 크산토안게롤, 4-하이드록시데리신, TB1, TB2, 크산토안게롤H, 이소바바칼콘, 문드레아플라바논A, 이소바바틴, 프로스토라톨F 에 성숙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 작용이 관찰되었다.
참고예 2 크산토안게롤, 4-하이드록시데리신, 크산토안게롤H, 이소바바칼콘에 의한 글루코스 도입 촉진 작용
크산토안게롤, 4-하이드록시데리신, 크산토안게롤H, 이소바바칼콘의 글루코스 도입 촉진 작용의 평가로서, 또한 인슐린형 작용의 평가로서, 실시예 6 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성숙 지방 세포에서의 샘플 자극시의 세포 내로의 2-데옥시글루코스 도입량을 측정하였다.
즉, 샘플로서 각 웰 각각 크산토안게롤 (종농도 3, 10μM), 4-하이드록시데리신 (종농도 3, 10, 30μM), 크산토안게롤H (종농도 30μM), 이소바바칼콘 (종농도 3, 10, 30μM) 의 디메틸술폭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였다. 또, 음성 대조로서 샘플을 첨가하지 않은 구분을, 양성 대조로서, 종농도 1μg/mL 가 되도록 인슐린을 첨가한 구분을 설정하였다. 그 후 마찬가지로, 세포 중에 도입된 2-데옥시[1,2-3H(N)]-글루코스를 측정하였다.
이 결과, 크산토안게롤, 4-하이드록시데리신, 크산토안게롤H, 이소바바칼콘을 첨가한 구분에서 음성 대조와 비교하여 인슐린을 첨가한 구분과 마찬가지로 2-데옥시[1,2-3H(N)]-글루코스 도입의 촉진이 관찰되었다. 즉, 크산토안게롤, 4-하이드록시데리신, 크산토안게롤H, 이소바바칼콘에 글루코스 도입 촉진 활성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12
신선초 건조 분말 40kg 을 400L 의 55% 에탄올에 첨가하여, 25℃ 에서 1시간 추출하였다. 그 후, 신선초 분말을 여과 분리하고, 이 추출액을 농축 캔에 의해 감압 농축하여, 150L 의 신선초 추출 농축액을 얻었다. 이 농축액에 부형제로서 덱스트린을 10kg 첨가하고, 동결 건조, 분쇄를 행하여, 신선초 추출 분말 22kg 을 얻었다.
실시예 13
혼합기에 실시예 12 에서 얻은 신선초 추출 분말 2.5kg, 결정 셀룰로스 10.0kg, 자당지방산에스테르 0.6kg 을 순차 투입 후 15분간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로터리식 타정기에 의해 타정 형성하고, 정제 13.1kg 을 얻었다. 또한, 대조로서 실시예 12 에 기재된 신선초 건조 분말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신선초 건조 분말의 정제를 제조하였다. 패널 멤버 20명에 의해 이들의 관능 검사를 행한 바, 신선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정제가 쓴 맛 떫은 맛 모두 저감되어 있어, 기호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실시예 14
혼합기에 실시예 12 에서 얻은 신선초 추출 분말 5.0kg, 결정 셀룰로스 5.0kg, 유당 5.0kg, 자당지방산에스테르 0.7kg 을 순차 투입 후 15분간 교반하였다. 이 혼합물을 로터리식 타정기에 의해 타정 형성하고, 정제 15.7kg 을 얻었다. 또한, 대조로서 실시예 12 에 기재된 신선초 건조 분말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신선초 건조 분말의 정제를 제조하였다. 패널 멤버 20명에 의해 이들의 관능 검사를 행한 바, 신선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정제가 쓴 맛 떫은 맛 모두 저감되어 있어, 기호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실시예 15
혼합기에 실시예 12 에서 얻은 신선초 추출 분말 2.5kg, 결정 셀룰로스10.0kg, 자당지방산에스테르 0.6kg 을 순차 투입 후 15분간 교반하였다. 또한 60% 에탄올 수용액을 첨가하여 혼합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압출 조립기에 의해 조립하였다. 또한 이것을 선반식 온풍 건조기로 60℃, 6시간 건조시켜, 진동 체로 정립하여 20∼100메쉬의 과립품 13.1kg 을 얻었다. 또한, 대조로서 실시예 12 에 기재된 신선초 건조 분말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신선초 건조 분말의 과립품을 제조하였다. 패널 멤버 20명에 의해 이들의 관능 검사를 행한 바, 신선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과립품이 쓴 맛 떫은 맛 모두 저감되어 있어, 기호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실시예 16
혼합기에 실시예 12 에서 얻은 신선초 추출 분말 2.0kg, 유당 3.0kg, 트레할로스 5.0kg, 결정 셀룰로스 3.5kg, 자당지방산에스테르 0.8kg, 비타민 C 0.5kg, 시트르산 0.2kg 을 순차 투입 후 15분간 교반하였다. 또한 60% 에탄올 수용액을 첨가하여 혼합하고, 압출 조립기에 의해 조립하였다. 또한, 이것을 선반식 온풍 건조기로 60℃, 6시간 건조시키고, 진동 체로 정립하여 20∼100메쉬품의 과립품 15kg 을 얻었다. 또한, 대조로서 실시예 12 에 기재된 신선초 건조 분말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신선초 건조 분말의 과립품을 제조하였다. 패널 멤버 20명에 의해 이들의 관능 검사를 행한 바, 신선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과립품이 쓴 맛 떫은 맛 모두 저감되어 있어, 기호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실시예 17
혼합기에 실시예 12 에서 얻은 신선초 추출 분말 2.9kg, 유당 10.78kg, 자당지방산에스테르 0.9kg, 비타민 C 0.1kg, 활석 0.07kg, 향료 0.25kg 을 순차 투입 후 15분간 교반하여 15kg 의 혼합 분말을 얻었다. 그 후 이 혼합 분말을 300mg 씩 1호 캡슐에 충전하여, 신선초 추출 분말을 배합한 캡슐을 얻었다.
실시예 18
혼합기에 베이스 오일로서 대두유 10.0kg 을 넣고, 그것에 실시예 12 에서 얻은 신선초 추출 분말 2.0kg, 비타민 E 1.0kg, 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 1.0kg, 밀랍 0.8kg 을 첨가하여 유화시켰다. 얻어진 유화물을 젤라틴과 글리세린을 피포재로 한 소프트 캡슐에 충전하였다.
실시예 19
신선초 추출물 함유 청량 음료수를 조제하였다. 배합을 표 6 에 나타낸다.
신선초 추출물 함유 청량 음료수 (% 는 모두 w/w% 를 나타냄)
실시예 12 에서 얻은 신선초 추출 분말 (%) 1
설탕 (%) 5
1/5 레몬 과즙 (%) 0.2
펙틴 (%) 0.3
비타민 C (%) 0.02
시트르산 (%) 0.04
향료 (레몬) (%) 0.2
잔여
표 6 의 재료를 순차 혼합하고, 균일화시킨 후, 플레이트 히터에 의해 95℃, 15초간 가열 살균하여, 50mL 용량의 유리병에 충전하였다. 그 후, 살균기에 의해 추가로 75℃, 15분간의 살균을 행하였다.
또한, 대조로서 실시예 12 에 기재된 신선초 건조 분말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신선초 건조 분말 함유 청량 음료수를 제조하였다. 패널 멤버 20명에 의해 이들의 관능 검사를 행한 바, 신선초 추출물 함유 청량 음료수가 쓴 맛 떫은 맛 모두 저감되어 있어, 기호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실시예 20
신선초 추출물 함유 청량 음료수를 조제하였다. 배합을 표 7 에 나타낸다.
신선초 추출물 함유 청량 음료수 (% 는 모두 w/w% 를 나타냄)
실시예 12 에서 얻은 신선초 추출 분말 (%) 1
에리트리톨 (%) 5
1/5 레몬 과즙 (%) 0.2
펙틴 (%) 0.3
비타민 C (%) 0.02
시트르산 (%) 0.04
향료 (레몬) (%) 0.2
잔여
표 7 의 재료를 순차 혼합하고, 균일화시킨 후, 플레이트 히터에 의해 95℃, 15초간 가열 살균하여, 50mL 용량의 유리병에 충전하였다. 그 후, 살균기에 의해 추가로 75℃, 15분간의 살균을 행하였다.
또한, 대조로서 실시예 12 에 기재된 신선초 건조 분말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신선초 건조 분말 함유 청량 음료수를 제조하였다. 패널 멤버 20명에 의해 이들의 관능 검사를 행한 바, 신선초 추출물 함유 청량 음료수가 쓴 맛 떫은 맛 모두 저감되어 있어, 기호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실시예 21
신선초 추출물 함유 청량 음료수를 조제하였다. 배합을 표 8 에 나타낸다.
신선초 추출물 함유 청량 음료수 (% 는 모두 w/w% 를 나타냄)
실시예 12 에서 얻은 신선초 추출 분말 (%) 0.2
과당 포도당 액당 (%) 6
1/5 매실 과즙 (%) 0.2
비타민 C (%) 0.02
시트르산 (%) 0.04
향료 (매실) (%) 0.2
잔여
표 8 의 재료를 순차 혼합하고, 균일화시킨 후, 플레이트 히터에 의해 98℃, 15초간 가열 살균하여, 200mL 용량의 캔에 190g 충전한 후, 살균기에 의해 추가로 85℃, 5분간의 살균을 행하였다.
또한, 대조로서 실시예 12 에 기재된 신선초 건조 분말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신선초 건조 분말 함유 청량 음료수를 제조하였다. 패널 멤버 20명에 의해 이들의 관능 검사를 행한 바, 신선초 추출물 함유 청량 음료수가 쓴 맛 떫은 맛 모두 저감되어 있어, 기호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실시예 22
실시예 12 에서 얻어진 신선초 추출 농축액을 사용한 청량 음료수를 조제하였다. 배합을 표 9 에 나타낸다.
신선초 추출 농축액 함유 청량 음료수 (% 는 모두 w/w% 를 나타냄)
실시예 12 에서 얻은 신선초 추출 농축액 (%) 7
에리트리톨 (%) 5
1/5 레몬 과즙 (%) 0.2
펙틴 (%) 0.3
비타민 C (%) 0.02
시트르산 (%) 0.04
향료 (레몬) (%) 0.2
잔여
표 9 의 재료를 순차 혼합하고, 균일화시킨 후, 플레이트 히터에 의해 95℃, 15초간 가열 살균하여, 50mL 용량의 유리병에 충전하였다. 그 후, 살균기에 의해 추가로 75℃, 15분간의 살균을 행하였다.
또한, 대조로서 실시예 12 에 기재된 신선초 건조 분말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신선초 건조 분말 함유 청량 음료수를 제조하였다. 패널 멤버 20명에 의해 이들의 관능 검사를 행한 바, 신선초 추출물 함유 청량 음료수가 쓴 맛 떫은 맛 모두 저감되어 있어, 기호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실시예 23
상기 실시예 19∼22 에 의해 제조한 청량 음료수를, 유리병이나 캔 대신에 200mL 용량의 주둥이 마개가 형성된 파우치 또는 100mL 용량의 레토르트 파우치에도 동일하게 하여 충전, 살균하여 파우치 음료로 하였다.
본 발명에 의해, 미나리과 식물 유래의 함수 알코올 추출물 및 그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당해 추출물 중에는 천연물 유래의 생리 활성 물질 (예를 들어, 상기 인슐린형 작용, 알도스 리덕타제 저해 작용을 나타내는 물질 등) 이 많이 존재하고 있어, 당해 추출물은 당뇨병 또는 비만증 등의 인슐린량 또는 인슐린 응답의 변조를 수반하는 질환, 및/또는 당뇨병의 합병증에 효과가 있는 의약, 식품, 음료 또는 사료의 소재로서 유용하다. 또한, 그 식품 또는 음료는 일상의 음식품으로서 섭취함으로써, 인슐린량 또는 인슐린 응답의 변조를 수반하는 질환, 및/또는 당뇨병의 합병증의 증상 예방, 개선 등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음식품은 그 인슐린형 작용 및/또는 알도스 리덕타제 저해 작용에 의해, 생체의 항상성의 유지에 유용한 기능성 음식품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본 발명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인슐린형 작용제도 제공되고, 그 인슐린형 작용제는 인슐린의 기능 연구, 인슐린에 관련되는 질환용 의약의 스크리닝에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본 발명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세포로의 글루코스 도입 촉진제도 제공되고, 그 글루코스 도입 촉진제는 치료 또는 예방에 세포로의 글루코스 도입 촉진 작용을 요하는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당해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의 식품, 음료 또는 사료의 제조, 그 글루코스 도입 촉진 작용을 요하는 질환에 대한 약품의 스크리닝에도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본 발명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제도 제공되고, 그 분화 유도제는 치료 또는 예방에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 작용을 요하는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당해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의 식품, 음료 또는 사료의 제조, 그 분화 유도 작용을 요하는 질환에 대한 약품의 스크리닝에도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본 발명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도스 리덕타제 저해제도 제공되고, 그 저해제는 치 료 또는 예방에 알도스 리덕타제 저해 작용을 요하는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당해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의 식품, 음료 또는 사료의 제조, 그 저해 작용을 요하는 질환에 대한 약품의 스크리닝에도 유용하다.

Claims (13)

  1. 미나리과 식물, 또는 그 처리물을, 함수 알코올로 추출하여 얻어지는 추출물.
  2. 제 1 항에 있어서,
    미나리과 식물이 신선초인 추출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함수 알코올이, 농도 40(v/v)% 이상 100(v/v)% 미만의 에탄올 수용액인 추출물.
  4. 미나리과 식물, 또는 그 처리물을 함수 알코올로 추출하는 공정을 갖는 미나리과 식물, 또는 그 처리물 유래의 추출물의 제조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미나리과 식물이 신선초인 제조 방법.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함수 알코올이, 농도 40(v/v)% 이상 100(v/v)% 미만의 에탄올 수용액인 제조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린량 또는 인슐린 응답의 변조를 수반하는 질환 및/또는 당뇨병의 합병증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린형 작용제.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음료 또는 사료.
  10. 제 9 항에 있어서,
    인슐린량 또는 인슐린 응답의 변조를 수반하는 질환, 및/또는 당뇨병의 합병증의 치료용 또는 예방용인 식품, 음료 또는 사료.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로의 글루코스 도입 촉진제.
  12.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 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세포로의 분화 유도제.
  13.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도스 리덕타제 저해제.
KR1020057024296A 2003-06-20 2004-06-18 미나리과 식물 유래의 추출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0600093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77282 2003-06-20
JPJP-P-2003-00177282 2003-06-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9391A true KR20060009391A (ko) 2006-01-31

Family

ID=33534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4296A KR20060009391A (ko) 2003-06-20 2004-06-18 미나리과 식물 유래의 추출물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656943A1 (ko)
JP (1) JPWO2004112817A1 (ko)
KR (1) KR20060009391A (ko)
CN (1) CN1809369A (ko)
TW (1) TW200513257A (ko)
WO (1) WO200411281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203B1 (ko) * 2011-10-13 2013-10-23 (주)풀무원홀딩스 신선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404286B1 (ko) * 2009-11-02 2014-06-11 주식회사 휴렌바이오 신선초 녹즙 부산물로부터 칼콘 고함유 추출물 제조방법
KR101431868B1 (ko) * 2010-12-17 2014-08-27 주식회사 풀무원 신선초 뿌리로부터 칼콘 고함유 추출물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1273A (ko) * 2003-12-05 2006-11-28 다카라 바이오 가부시키가이샤 치료제
JP2006306840A (ja) * 2005-03-30 2006-11-09 Toyo Shinyaku:Kk 抗肥満剤および該抗肥満剤を含む食品
JP2007176919A (ja) * 2005-05-19 2007-07-12 Takara Bio Inc カルコン類化合物含有組成物
JP4933825B2 (ja) * 2006-05-01 2012-05-16 鹿児島県 アシタバ添加養殖用飼料
CA2678524A1 (en) * 2006-12-12 2008-06-19 Jin-Do County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shikonin derivatives from lithospermum erythrorhiz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diabetes mellitus and the use thereof
JP2009073761A (ja) * 2007-09-20 2009-04-09 Nippon Seibutsu Kagaku Kenkyusho:Kk レプチン産生促進剤
JP5947047B2 (ja) * 2012-02-06 2016-07-06 花王株式会社 Ppar活性化剤
JP6124400B2 (ja) * 2013-02-28 2017-05-10 公益財団法人東京都農林水産振興財団 烏骨鶏の肉質改善方法
JP6767101B2 (ja) * 2014-10-10 2020-10-14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フレーバーズ アンド フラグランシ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味調節剤及びその使用方法
WO2023189643A1 (ja) * 2022-03-29 2023-10-05 ハルナプロデュース株式会社 カルコン含有製剤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5054A (ja) * 1992-06-15 1994-03-08 Nippon Soda Co Ltd 浴用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322847A (ja) * 1994-05-30 1995-12-12 Fujimaru Shokuhin Kk 生わさび様又は粉末わさび様食品の製造方法
JPH09121810A (ja) * 1995-08-03 1997-05-13 Hida Aroe:Kk キダチアロエ粉末とアシタバ粉末を配合した粒状の健康食品
JPH0967254A (ja) * 1995-09-01 1997-03-11 Yoshihide Hagiwara 安定化されたビタミンc組成物
JPH10295325A (ja) * 1997-04-28 1998-11-10 Katsuji Nagamitsu 健康食品
JP4719372B2 (ja) * 2000-06-21 2011-07-06 花王株式会社 Ppar依存的遺伝子転写活性化剤
JP2002138045A (ja) * 2000-10-30 2002-05-14 Ichimaru Pharcos Co Ltd 前駆脂肪細胞分化誘導剤
JP2004016056A (ja) * 2002-06-14 2004-01-22 Ogawa & Co Ltd 香味劣化抑制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286B1 (ko) * 2009-11-02 2014-06-11 주식회사 휴렌바이오 신선초 녹즙 부산물로부터 칼콘 고함유 추출물 제조방법
KR101431868B1 (ko) * 2010-12-17 2014-08-27 주식회사 풀무원 신선초 뿌리로부터 칼콘 고함유 추출물 제조방법
KR101321203B1 (ko) * 2011-10-13 2013-10-23 (주)풀무원홀딩스 신선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56943A1 (en) 2006-05-17
JPWO2004112817A1 (ja) 2006-08-03
CN1809369A (zh) 2006-07-26
WO2004112817A1 (ja) 2004-12-29
TW200513257A (en) 2005-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09391A (ko) 미나리과 식물 유래의 추출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060018219A (ko) 치료제
US20040219238A1 (en) Remedies
CA2500527A1 (en) Remedies
KR20160141027A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JP2009046446A (ja) 免疫賦活剤
US20080044498A1 (en) Therapeutic or prophylactic agent, and method of treating or preventing a disease
KR102178199B1 (ko) 옻나무 및 두충으로 구성된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6273440B2 (ja) Glp−1産生促進剤、dppiv阻害剤及びグルコース吸収阻害剤
JP2008019198A (ja) オオアザミ属植物から得られるインスリン抵抗性改善組成物
US20070092587A1 (en) Extract from plant of japanese parsley famil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7296611B2 (ja) 一酸化窒素産生促進剤
KR20120040890A (ko) 상황버섯균사체 발효 블루베리 추출물의 비만 억제 또는 치료 용도
KR101800999B1 (ko) 친환경적으로 재배된 당유자 통밀감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KR101904819B1 (ko) 여주와 마늘을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페시언스 Jis-1로 발효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 또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61339A (ko) 까마귀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61338A (ko) 조팝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61340A (ko) 고추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77110A (ko) 청귤 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이상지질혈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142074A (ko) 꾸지뽕 열매 추출물 및 굼벵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190015423A (ko) 아위느타리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20170087064A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JP2008019199A (ja) ホンシメジから得られるインスリン抵抗性改善剤
JP2018123077A (ja) Adl改善剤
KR20180000124A (ko) 육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체 에너지 소비 촉진 또는 근육 대사 촉진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