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8841A - 상품 수납 용기 - Google Patents

상품 수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8841A
KR20060008841A KR1020050050783A KR20050050783A KR20060008841A KR 20060008841 A KR20060008841 A KR 20060008841A KR 1020050050783 A KR1020050050783 A KR 1020050050783A KR 20050050783 A KR20050050783 A KR 20050050783A KR 20060008841 A KR20060008841 A KR 20060008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storage container
goods
ben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0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라 나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60008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88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13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e.g. carton
    • B65D77/04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e.g. carton the inn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e.g. car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02Integral elements for containers having tubular body walls
    • B65D5/5011Integral elements for containers having tubular body walls formed by folding inwardly of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or lower edges of the body
    • B65D5/5014Integral elements for containers having tubular body walls formed by folding inwardly of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or lower edges of the body and with an integral end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28Elemen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65D5/5035Paper elements
    • B65D5/504Racks having upstanding ridges formed by folds, and provided with slits or re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1/00Details of blanks
    • B65D2301/20Details of blanks made of plast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 B65D2585/68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 B65D2585/687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engines, motors, machines and vehicle parts
    • B65D2585/688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specific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engines, motors, machines and vehicle parts vehic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Packages (AREA)
  • Wrappers (AREA)
  • Buffer Packag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과제] 내부의 상품을 볼 수 있는 상품 수납 용기에 있어서, 제조 비용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내부의 상품을 확실히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 수단] 내상자부(1)는 제1 저면부(10, 底面部)와, 제1 저면부(10)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접어 구부러져 형성되는 제1 측면부(11) 내지 제4 측면부(14)와, 제3 측면부(13)의 상측 선단부(先端部)로부터 내측으로 개폐 가능하게 접어 구부러져 형성되는 덮개부(15)와, 제2 측면부(12) 및 제4 측면부(14)의 상측 선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접어 구부러져 형성되는 제1 규제부(16) 및 제2 규제부(17)를 가지고, 내부에 상품(X)이 수납 가능한 직방체 형상의 상자이다. 제1 저면부(10), 제1 측면부(11) 내지 제4 측면부(14), 덮개부(15), 제1 규제부(16) 및 제2 규제부(17)는 1매의 투명 시트에 의하여 일체 성형되어 있다. 제1 규제부(16) 및 제2 규제부(17)는 상품(X)의 양 측부에 탄성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품(X)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것이다.
상품 수납 용기, 내상자부, 저면부, 측면부, 규제부, 덮개부

Description

상품 수납 용기{MERCHANDISE HOUSING CONTAINE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채용한 상품 수납 용기의 내상자부의 전개도.
도 2는 상품 수납 용기의 대좌부의 전개도.
도 3은 상품 수납 용기의 커버부의 전개도.
도 4는 내상자부의 사시도.
도 5는 대좌부의 사시도.
도 6은 커버부의 사시도.
도 7은 내상자부에 대좌부를 장착하였을 때의 사시도.
도 8은 내상자부에 커버부를 장착하였을 때의 사시도.
도 9는 상품 수납 용기에 수납되는 양 베어링 릴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내상자부 2: 대좌부
3: 커버부 10: 제1 저면부
11: 제1 측면부 11a: 제1 피계지부
11b: 제1 계지부 12: 제2 측면부
13: 제3 측면부 14: 제4 측면부
14a: 제1 접합부 15: 덮개부
15a: 제2 계지부 15b: 제2 피계지부
16: 제1 규제부 17: 제2 규제부
17a: 제2 접합부 17b: 제3 접합부
20: 제2 저면부 21: 제3 저면부
22: 제1 재치부 22a: 제1 노치부
23: 제2 재치부 23a: 제2 노치부
23b: 제2 절삭부 24: 제5 측면부
25: 제6 측면부 25a: 제1 절삭부
26: 제7 측면부 27: 제8 측면부
30: 제9 측면부 31: 제10 측면부
31a: 제1 개구부 32: 제11 측면부
32a: 제2 개구부 33: 제12 측면부
33a: 제4 접합부 X: 상품
본 발명은 상품 수납 용기 특히 상품을 수납하는 상자상의 상품 수납 용기에 관한 것이다.
근년, 많은 상품은 상자상의 상품 수납 용기에 수납되어 매장에 진열되어 있다. 종래의 수납 용기는 예를 들어, 우레탄 수지 등의 투명 시트로 형성된 상자상 의 것이다. 이 상품 수납 용기는 상자체의 상면 측 또는 저면 측에 별체로 설치된 덮개체가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그 어느 한 쪽을 개폐하여 상자체의 내부에 상품이 수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품 수납 용기는 투명한 합성 수지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에 수납된 상품을 외부로부터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소비자는 매장에 진열된 수납 용기를 개봉하는 일 없이 내부의 상품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상품을 어필하는 것에 의하여 큰 전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품 수납 용기에서는, 일반적으로 상품을 공장으로부터 매장으로 반송하거나 상품을 보관하거나 할 때에, 진동이나 낙하 등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으면, 상품의 수납 자세가 흐트러지거나 상품이 손상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그래서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완화하여 내부의 상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발포 스티롤(styrol) 수지제나 종이제의 쿠션재를 상품의 주위에 충전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상품 수납 용기는 투명한 합성 수지에 의하여 형성되어 내부의 상품을 외부로부터 볼 수 있게 한 것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쿠션재를 충전하면, 외부로부터의 상품의 시인성(視認性)을 저하시킨다고 하는 불편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자체와 덮개체의 개구부(開口部)에 신축성이 있는 투명 시트를 붙이고 2개의 투명 시트 간에 상품을 끼워 넣어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구성의 상품 수납 용기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이 상품 수납 용기에서는, 2개의 투명 시트에 의하여 상품을 끼워 넣어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완화하여 내부의 상품을 보호할 수 있는 것과 함께, 투명 시트에 의하여 상품의 시인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0-45171호 공보
상기 종래의 상품 수납 용기에서는, 상자체와 덮개체의 개구부에 신축성이 있는 투명 시트를 붙이고 2개의 투명 시트 간에 상품을 끼워 넣어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이 상품 수납 용기에서는, 덮개체는 상자체에 개폐 가능하게 별체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자체 및 덮개체를 각각 하나의 투명 시트로 형성하였다고 하여도, 상품을 끼워 넣는 2개의 투명 시트와 합하여 4개의 투명 시트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상자체 및 덮개체를 하나의 투명 시트로 일체 성형한 경우에도, 적어도 3개 이상의 투명 시트가 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투명 시트를 가공하는 제조 공정이 많아지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증가할 우려가 생긴다.
또한, 2개의 투명 시트는 상자체와 덮개체의 개구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품은 덮개체를 상자체에 장착하였을 때에만, 2개의 투명 시트에 끼워 넣어진다. 이 때문에, 덮개체의 상자체에 대한 고정이 강고하게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2개의 투명 시트가 상품을 누를 수 없게 되어, 내부의 상품을 확실히 보호할 수 없는 것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내부의 상품을 볼 수 있는 상품 수납 용기에 있어서, 제조 비용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내부의 상품을 확실히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 다.
발명 1에 관련되는 상품 수납 용기는, 상품을 수납하는 상자상의 상품 수납 용기에 있어서, 저면부(底面部)와, 저면부의 외주(外周)를 둘러싸고 내부에 상품이 수납되는 제1 수납 공간을 생성하는 측면부와, 측면부의 상측 선단부(先端部)의 적어도 일부를 내측으로 접어 구부려 제1 수납 공간에 수납되는 상품의 측부에 탄성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품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구비하고 있다. 저면부, 측면부 및 규제부는 1매의 투명 수지제 시트를 접어 구부려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상품 수납 용기에서는, 저면부, 측면부 및 규제부가 투명 수지제 시트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의 상품을 외부로부터 볼 수 있게 되어 있다. 나아가, 이 상품 수납 용기는 측면부의 상측 선단부의 적어도 일부가 내측으로 접어 구부러져, 상품의 측부에 탄성 접촉하는 규제부를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는, 규제부에 의하여 상품의 이동을 측부 방향으로부터 규제하는 것에 의하여, 종래와 같이 상자체 및 덮개체에 설치된 2개의 투명 시트에 의하여 상품의 이동을 덮개체 방향으로부터 규제하는 경우에 비해, 덮개체의 고정 상황에 관계없이 상품의 이동을 확실히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저면부, 측면부 및 규제부는 1매의 투명 시트를 접어 구부려 일체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3개 이상의 투명 시트가 불필요하게 되고, 이 때문에 투명 시트를 가공하는 제조 공정을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내부의 상품을 볼 수 있는 상품 수납 용기에 이와 같은 규제부를 설치하는 것 에 의하여 제조 비용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내부의 상품을 확실히 보호할 수 있다.
발명 2에 관련되는 상품 수납 용기는, 발명 1의 상품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품의 부속품이 수납되는 제2 수납 공간을 저면부와의 사이에 형성하는 것과 함께, 표면에 상품이 놓여지는 대좌부(臺座部)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상품 수납 용기에 대해서 비교적 작은 상품인 경우에도, 대좌부의 표면에 상품을 놓는 것에 의하여 규제부를 상품의 측부에 접촉시키기 쉬워지기 때문에, 상품의 이동 규제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대좌부를 불투명한 부재에 의하여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대좌부의 내부의 제2 수납 공간에 수납된 상품의 부속품을 외부로부터 볼 수 없게 할 수 있다.
발명 3에 관련되는 상품 수납 용기는, 발명 2의 상품 수납 용기에 있어서, 대좌부의 표면 일부가 노치(notch)되어 형성되어 상품을 협지(挾持)하는 노치부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노치부에 의하여 상품을 협지하는 것에 의하여 상품의 이동 규제가 보다 확실히 된다.
발명 4에 관련되는 상품 수납 용기는, 발명 2 또는 발명 3의 상품 수납 용기에 있어서, 대좌부는 1매의 종이제 시트를 접어 구부려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염가인 종이제 시트를 접어 구부려 대좌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제조 비용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발명 5에 관련되는 상품 수납 용기는, 발명 1 내지 발명 4 중 어느 하나의 상품 수납 용기에 있어서, 규제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면부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제1 수납 공간을 폐색(閉塞)하는 개폐 가능한 덮개부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덮개부에 의하여 제1 수납 공간을 폐색하는 것에 의하여 내부에 수납된 상품을 보호할 수 있다.
발명 6에 관련되는 상품 수납 용기는, 발명 5의 상품 수납 용기에 있어서, 덮개부는, 1매의 투명 수지제 시트를 접어 구부려 저면부, 측면부 및 규제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덮개부, 저면부, 측면부 및 규제부는 1매의 투명 시트를 접어 구부려 일체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투명 시트를 가공하는 제조 공정을 감소할 수 있고, 이 때문에 제조 비용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발명 7에 관련되는 상품 수납 용기는, 발명 1 내지 발명 6 중 어느 하나의 상품 수납 용기에 있어서, 상품이 외부로 노출 가능한 개구부를 가지고, 저면부 및 상기 측면부의 외측에 장착되는 커버부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커버부에 의하여 저면부 및 측면부의 외측을 보호하면서, 개구부로부터 내부의 상품을 볼 수 있다.
발명 8에 관련되는 상품 수납 용기는, 발명 7의 상품 수납 용기에 있어서, 커버부는 1매의 종이제 시트를 접어 구부려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염가인 종이제 시트를 접어 구부려 커버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제조 비용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발명 9에 관련되는 상품 수납 용기는, 발명 1 내지 발명 8 중 어느 하나의 상품 수납 용기에 있어서, 저면부는 대략 구형(矩形)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측면부는 저면부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접어 구부러져, 각각이 대략 구형이 되도록 4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규제부는 4개소의 측면부 중 각각이 대향하는 2개소의 측 면부의 상측 선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접어 구부러져 2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대향하는 2개소의 측면부의 상측 선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접어 구부러져 2개소에 형성된 2개의 규제부에 의하여 내부에 수납된 상품을 끼워 넣는 것에 의하여 상품의 이동을 용이하게 규제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채용된 상품 수납 용기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품(X)을 내부에 수납하여 매장에 진열하기 위한 것이다. 상품(X)은 예를 들어,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보디(91)와, 릴 보디(91)의 측방에 배치된 스풀 회전용 핸들(92)과, 릴 보디(91)의 하부에 고정되어 릴을 낚싯대에 장착하기 위한 전후로 긴 금속제의 장대 장착 다리부(93)를 가지고 있다.
상품 수납 용기는 내부에 상품(X)이 수납되는 내상자부(1, 도 1 및 도 4 참조)와, 내상자부(1)의 내부에 장착되는 대좌부(2, 도 2 및 도 5 참조)와, 내상자부(1)의 외측에 장착되는 커버부(3, 도 3 및 도 6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내상자부(1)는 1매의 투명 수지제 시트를 접어 구부려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대좌부(2) 및 커버부(3)는 각각 불투명한 1매의 종이제 시트를 접어 구부려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도 1 내지 도 3은 내상자부(1), 대좌부(2) 및 커버부(3)를 각각 전개한 전개도를 도시한 것이고, 지면(紙面) 측이 표면 측으로 되도록 도시되어 있다.
내상자부(1)는, 도 1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 렌(PP)이나 폴리에틸렌(PE) 등의 투명한 합성 수지제인 1매의 시트를 접어 구부려 형성한 상자상의 것이다.
내상자부(1)는, 도 1에 전개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구형이 되도록 형성된 제1 저면부(10)와, 제1 저면부(10)의 각 네 변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접어 구부러져 형성되는 제1 측면부(11), 제2 측면부(12), 제3 측면부(13) 및 제4 측면부(14)와, 제3 측면부(13)의 상측 선단부로부터 내측으로 개폐 가능하게 접어 구부러져 형성되는 덮개부(15)와, 제2 측면부(12) 및 제4 측면부(14)의 상측 선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접어 구부러져 형성되는 제1 규제부(16) 및 제2 규제부(17)를 가지고, 내부에 상품(X)이 수납 가능한 직방체 형상의 상자이다. 제1 저면부(10), 제1 측면부(11), 제2 측면부(12), 제3 측면부(13), 제4 측면부(14), 덮개부(15), 제1 규제부(16) 및 제2 규제부(17)는 1매의 투명 시트에 의하여 일체 성형되어 있다. 제1 규제부(16) 및 제2 규제부(17)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에 수납된 상품(X)의 양 측부에 탄성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품(X)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것이다.
제1 저면부(10)는, 도 1에 전개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측면부(11), 제2 측면부(12), 제3 측면부(13) 및 제4 측면부(14)의 일측에 각각 형성된 제1 부분 저면부(10a), 제2 부분 저면부(10b), 제3 부분 저면부(10c) 및 제4 부분 저면부(10d)를 가지고 있다. 제1 부분 저면부(10a), 제2 부분 저면부(10b), 제3 부분 저면부(10c) 및 제4 부분 저면부(10d)의 선단부는 각각이 겹쳐 맞추어 계지 가능한 계지 돌기 및 계지 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계지 돌기 및 계지 홈을 계지하는 것 에 의하여 외형이 대략 구형의 제1 저면부(10)를 생성한다 (도 4 참조).
제1 측면부(11), 제2 측면부(12), 제3 측면부(13) 및 제4 측면부(14)는, 도 1에 전개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개의 부분이 각각 구형이고, 한 방향으로 연속하여 순차로 직각 방향으로 되접어 꺾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4 측면부(14)의 일방향 측의 단부에는 제1 측면부(11)의 단부에 양면 테이프 등에 의하여 접합 가능한 제1 접합부(14a)가 한층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1 측면부(11)의 제1 부분 저면부(10a)와 역측 단부에는 닫힌 덮개부(15)를 계지하기 위한 제1 피계지부(11a)와, 닫힌 덮개부(15)를 열리지 않도록 계지하기 위하여 제1 측면부(11)의 중앙 부분의 일부가 돌출한 제1 계지부(11b)를 가지고 있다. 제1 피계지부(11a)는 제1 계지부(11b)의 기단부(基端部)로부터 제1 측면부(11)에 걸쳐 일부가 노치되어 형성된 것이다. 제1 계지부(11b)는 선단부가 제1 측면부(11)보다 돌출하여 제1 측면부(11)의 단면 위치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접어 구부릴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측면부(11), 제2 측면부(12), 제3 측면부(13) 및 제4 측면부(14)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측면부(11)와 제3 측면부(13)가 대향하고, 제2 측면부(12)와 제4 측면부(14)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내부에 수납 공간을 가지는 사각통을 생성하고 있다.
덮개부(15)는, 도 1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측면부(13)의 제3 부분 저면부(10c)와 역측 단부에 개폐 가능하게 접어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다. 덮개부(15)는 선단부가 한층 접어 구부러지도록 돌출하여 제1 측면부(11)의 제1 피계지부(11a)에 계지 가능한 제2 계지부(15a)와, 제2 계지부(15a)의 접어 구부러지는 부분의 중앙부가 노치되어 제1 측면부(11)의 제1 계지부(11b)가 계지되는 제2 피계지부(15b)를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는, 우선 덮개부(15)를 닫은 상태에서, 제1 측면부(11)의 제1 피계지부(11a)에 덮개부(15)의 제2 계지부(15a)를 계지한다. 그리고 덮개부(15)의 제2 피계지부(15b)에 제1 측면부(11)의 제1 계지부(11b)를 계지하여 덮개부(15)가 용이하게 열리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7 참조).
제1 규제부(16) 및 제2 규제부(17)는, 도 1, 도 4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측면부(12) 및 제4 측면부(14)의 상측 선단부로부터 내측으로 복수회 접어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다. 제1 규제부(16)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도록 제2 측면부(12)의 상측 선단부로부터 3회 내측으로 접어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다. 제2 규제부(17)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도록 제4 측면부(14)의 상측 선단부로부터 4회 내측으로 접어 구부러져 형성되고, 한층 선단부 양단에 형성된 제2 접합부(17a) 및 제3 접합부(17b)가 외측으로 접어 구부러져, 최초 접어 구부러지는 부분의 내주면(內周面)에 양면 테이프 등에 의하여 접합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제1 규제부(16) 및 제2 규제부(17)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도록 접어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규제부(16) 및 제2 규제부(17) 간에 상품(X)을 끼워 넣었을 때, 상품(X)의 양 측부를 양측으로부터 압압(押壓)하는 탄성력이 생성된다. 특히 상품(X)이 양 베어링 릴인 경우에는, 릴의 릴 보디(91)의 핸들(92) 장착 측의 측부(A)에 제1 규제부(16)가 탄성 접촉하고, 릴의 릴 보디(91)의 핸들(92) 장착 측과 역측의 측부(B)에 제2 규제부(17)가 탄성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릴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대좌부(2)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상자부(1)의 제1 저면부(10)에 장착되어 표면에 상품(X)을 놓기 위한 것이다. 대좌부(2)는 예를 들어, 골판지 등의 불투명한 1매의 종이제 시트를 접어 구부려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이고, 표면 측에 상품(X)의 명칭이나 설명 등이 인쇄되어 있다. 내상자부(1)는 투명 시트를 접어 구부려 형성한 것이기 때문에, 내상자부(1)의 내부에 장착된 대좌부(2)의 인쇄면은 외부로부터 볼 수 있게 되어 있다.
대좌부(2)는, 도 2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상자부(1)의 제1 저면부(10)보다 약간 작아지도록 대략 구형이 되도록 형성되며, 제1 저면부(10)에 장착되는 제2 저면부(20)와, 제2 저면부(20)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면 (비 인쇄면)이 합쳐지도록 접어 구부러지는 제3 저면부(21)와, 제2 저면부(20)의 양단에 복수회 접어 구부릴 수 있도록 설치되어 표면에 상품(X)이 놓이는 제1 재치부(22, 載置部) 및 제2 재치부(23)를 가지고 있다. 또한, 대좌부(2)는 제2 저면부(20)의 주위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대략 직각으로 접어 구부렸을 때에 제3 저면부(21)의 주위를 덮는 제5 측면부(24), 제6 측면부(25), 제7 측면부(26) 및 제8 측면부(27)를 더 구비하고 있다. 제5 측면부(24)는 제2 저면부(20)의 제3 저면부(21)의 역측에 형성되고, 제7 측면부(26) 및 제8 측면부(27)는 제2 저면부(20)의 제1 재치부(22) 및 제2 재치부(23) 간에 형성되어 있다. 제6 측면부(25)는 제3 저면부(21)와의 사이에 제1 절삭부(25a)가 형성되어 제7 측면부(26)의 제3 저면부(21) 측 단부로 접어 구부릴 수 있도록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재치부(22)는, 도 5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저면부(20)로 접어 구부러진 제3 저면부(21)에 대해서 경사하도록 접어 구부릴 수 있고, 선단부는 제3 저면부(21)의 표면 측에 접촉 가능하다. 또한, 제1 재치부(22)에는 표면 일부가 대략 타원형으로 노치된 제1 노치부(22a)가 형성되어 있어 상품(X)의 일부를 협지하는 것에 의하여 상품(X)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상품(X)이 양 베어링 릴인 경우에는, 릴의 장대 장착 다리부(93, 도 9 참조)의 일측을 제1 노치부(22a)에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릴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제2 재치부(23)는, 도 5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부가 제1 재치부(22)의 선단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제2 저면부(20)로 접어 구부러진 제3 저면부(21)에 대해서 약간 경사하도록 복수회 접어 구부릴 수 있다. 제2 재치부(23)는 제1 재치부(22)의 폭보다 짧게 되도록 제5 측면부(24)와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이 때문에 제5 측면부(24) 측의 제1 재치부(22) 선단부 대향면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상품(X)이 양 베어링 릴인 경우에는 단차 부분에 릴의 핸들(92)을 놓을 수 있다. 제2 재치부(23)는 선단부에 양면 테이프 등에 의하여 제3 저면부(21)의 표면에 접합 가능한 제2 노치부(23a)가 한층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고, 제2 재치부(23)와 제3 저면부(21) 간에는 도시하지 않는 상품(X)의 부속품 (취급 설명서나 대체 부품 등)이 수납 가능한 대략 사다리꼴 통상(筒狀)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재치부(23)에는 표면 일부가 대략 타원형으로 노치된 제2 노치부(23a)가 형성되어 있어, 상품(X)의 일부를 협지하는 것에 의하여 상품(X)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상품(X)이 양 베어링 릴인 경우에는, 릴의 장대 장착 다리부(93, 도 9 참조) 외측을 제2 노치부(23a)에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릴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나아가, 제2 노치부(23a)가 형성되는 면에는 선단 부분으로부터 접어 구부린 부분까지 절삭된 제2 절삭부(23b)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2 절삭부(23b)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노치부(23a)가 형성되지 않는 면을 짧게 형성하여 제3 저면부(21)에 대해서 약간 경사하도록 접촉시키고, 제2 노치부(23a)가 형성되는 면을 길게 형성하여 제2 노치부(23a)가 형성되지 않는 면과 다른 경사각으로 제3 저면부(21)에 대해서 약간 경사하도록 접촉시킬 수 있다.
제5 측면부(24), 제6 측면부(25), 제7 측면부(26) 및 제8 측면부(27)는, 도 5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저면부(20)로 접어 구부러진 제3 저면부(21)의 주위를 덮도록 대략 직각으로 접어 구부러져 외측면 측에 인쇄면이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대좌부(2)를 내상자부(1)에 장착하였을 때에, 인쇄면을 외부로부터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7 참조).
커버부(3)는, 도 3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상자부(1)의 외측에 장착되는 일부가 노치된 통상의 것이다. 커버부(3)는 예를 들어, 골판지 등의 불투명한 1매의 종이제 시트를 접어 구부려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이고, 표면 측에 상품(X)의 명칭이나 설명 등이 인쇄되어 있다.
커버부(3)는, 도 3에 전개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 연속하여 순차로 직각 방향으로 되접어 꺾임 가능하게 형성되고, 제9 측면부(30), 제10 측면부(31), 제11 측면부(32) 및 제12 측면부(33)를 가지고 있다. 제12 측면부(33)의 일 방향 측의 단부에는, 제9 측면부(30)의 단부에 양면 테이프 등에 의하여 접합 가능한 제4 접합부(33a)가 한층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10 측면부(31) 및 제11 측면부(32)의 연결 설치되는 일측에는, 제1 개구부(31a) 및 제2 개구부(32a)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개구부(31a) 및 제2 개구부(32a)는, 도 6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0 측면부(31) 및 제11 측면부(32)의 연결 설치되는 부분을 노치하여 형성된 것이고, 내상자부(1)의 내부에 수납된 상품(X)을 볼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커버부(3)의 제9 측면부(30), 제10 측면부(31), 제11 측면부(32) 및 제12 측면부(33)는 각각 내상자부(1)의 제1 측면부(11), 덮개부(15), 제3 측면부(13) 및 제1 저면부(10)에 대응하는 부분의 외측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품(X)과, 상품(X)의 이동을 규제하는 투명한 내상자부(1)의 제1 규제부(16)와, 투명한 내상자부(1)의 덮개부(15), 제2 측면부(12) 및 제3 측면부(13)와, 대좌부(2)의 제1 재치부(22), 제2 재치부(23) 및 제6 측면부(25)를 제1 개구부(31a) 및 제2 개구부(32a)로부터 볼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품 수납 용기를 조립하는 순서에 대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내상자부(1)의 덮개부(15)를 열고, 나아가, 제1 규제부(16) 및 제2 규제부(17)를 연 상태로 대좌부(2)를 제2 저면부(20)가 제1 저면부(10)에 접하도록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품(X)을 대좌부(2)의 제1 재치부(22) 및 제2 재치부(23)에 놓고, 상품(X)의 측부에 제1 규제부(16) 및 제2 규제부(17)가 탄성 접촉하도록 배치 한다. 다음으로, 내상자부(1)의 덮개부(15)를 닫고 커버부(3)를 제1 개구부(31a) 및 제2 개구부(32a)를 상품(X)을 볼 수 있는 방향에 맞추어 내상자부(1)의 외측에 장착한다.
이 상품 수납 용기에서는, 내상자부(1)의 제1 저면부(10), 제1 측면부(11), 제2 측면부(12), 제3 측면부(13), 제4 측면부(14), 덮개부(15), 제1 규제부(16) 및 제2 규제부(17)는 1매의 투명 시트에 의하여 일체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3개 이상의 투명 시트가 불필요하게 되고, 이 때문에 투명 시트를 가공하는 제조 공정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내상자부(1)는 내부에 수납된 상품(X)의 양 측부에 탄성 접촉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상품(X)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1 규제부(16) 및 제2 규제부(17)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제1 규제부(16) 및 제2 규제부(17)에 의하여 상품(X)의 이동을 측부 방향으로부터 규제하는 것에 의하여 종래와 같이 상자체 및 덮개체에 설치된 2개의 투명 시트에 의하여 상품(X)의 이동을 덮개체 방향으로부터 규제하는 경우에 비해, 덮개체의 고정 상황에 관계없이 상품(X)의 이동을 확실히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조 비용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내부의 상품(X)을 확실히 보호할 수 있다.
나아가, 여기에서는 상품(X)으로서 양 베어링 릴을 채용하였지만, 이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양 베어링 릴의 외형은 형상이 복잡하고 또한 요철부(凹凸部)가 많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와 같은 양 베어링 릴을 종래 내상자부에 수납하면, 진동이나 낙하 등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았을 때, 양 베어링 릴이 내 상자부의 내부에서 크게 이동하고, 양 베어링 릴의 요철부가 내상자부에 충돌하여 양 베어링 릴이 손상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양 베어링 릴을 본 발명의 내상자부(1)에 수납하고, 제1 규제부(16) 및 제2 규제부(17)에 의하여 양 베어링 릴의 릴 보디(91)의 측부를 끼워 넣는 것에 의하여 양 베어링 릴의 이동을 확실히 규제할 수 있고, 이 때문에 양 베어링 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품 수납 용기로서 내상자부(1), 대좌부(2) 및 커버부(3)를 가지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대좌부(2) 또는 커버부(3)를 가지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품(X)은 양 베어링 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스피닝 릴이나 편 베어링 릴 등의 낚시용 릴이나, 그 외의 모든 상품을 수납 가능한 상품 수납 용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대좌부(2) 및 커버부(3)는 골판지 등의 불투명한 1매의 종이제 시트를 접어 구부려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있었지만, 재질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불투명한 합성 수지제여도 무방하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2개의 제1 규제부(16) 및 제2 규제부(17)를 설치하고 있었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하나 또는 복수의 규제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제1 규제부(16) 및 제2 규제부(17)의 형상이나 접어 구부리는 회수 등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d) 내상자부(1), 대좌부(2) 및 커버부(3)는 상기 실시예의 전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내상자부(1), 대좌부(2) 및 커버부(3)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다른 전개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내상자부(1) 및 커버부(3)는 상기 실시예의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대략 다각기둥 형상이나 대략 원기둥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의 상품을 볼 수 있는 상품 수납 용기에 있어서, 측면부의 상측 선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접어 구부러져 상품의 측부에 탄성 접촉하여 상품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설치하고, 저면부, 측면부 및 규제부를 1매의 투명 수지제 시트를 접어 구부려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제조 비용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내부의 상품을 확실히 보호할 수 있다.

Claims (9)

  1. 상품을 수납하는 상자상의 상품 수납 용기에 있어서,
    저면부(底面部)와,
    상기 저면부의 외주(外周)를 둘러싸고 내부에 상기 상품이 수납되는 제1 수납 공간을 생성하는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상측 선단부(先端部)의 적어도 일부를 내측으로 접어 구부려, 상기 제1 수납 공간에 수납되는 상기 상품의 측부에 탄성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상품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저면부, 상기 측면부 및 상기 규제부는 1매의 투명 수지제 시트를 접어 구부려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품 수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의 부속품이 수납되는 제2 수납 공간을 상기 저면부와의 사이에 형성하는 것과 함께, 표면에 상기 상품이 놓여지는 대좌부(臺座部)를 더 구비하고 있는, 상품 수납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좌부의 표면 일부가 노치(notch)되어 형성되어 상기 상품을 협지(挾持)하는 노치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상품 수납 용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좌부는 1매의 종이제 시트를 접어 구부려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품 수납 용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기 측면부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수납 공간을 폐색(閉塞)하는 개폐 가능한 덮개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상품 수납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1매의 투명 수지제 시트를 접어 구부려, 상기 저면부, 상기 측면부 및 상기 규제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품 수납 용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이 외부로 노출 가능한 개구부(開口部)를 가지고, 상기 저면부 및 상기 측면부의 외측에 장착되는 커버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상품 수납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1매의 종이제 시트를 접어 구부려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품 수납 용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부는 대략 구형(矩形)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면부는 상기 저면부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접어 구부러지고, 각각이 대략 구형이 되도록 2개소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규제부는 4개소의 상기 측면부 중 각각이 대향하는 2개소의 상기 측면부의 상측 선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접어 구부러지도록 2개소에 형성되어 있는, 상품 수납 용기.
KR1020050050783A 2004-06-28 2005-06-14 상품 수납 용기 KR200600088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89336A JP4500601B2 (ja) 2004-06-28 2004-06-28 釣り用リール収納容器
JPJP-P-2004-00189336 2004-06-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8841A true KR20060008841A (ko) 2006-01-27

Family

ID=35005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0783A KR20060008841A (ko) 2004-06-28 2005-06-14 상품 수납 용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650997B2 (ko)
EP (1) EP1612151A1 (ko)
JP (1) JP4500601B2 (ko)
KR (1) KR20060008841A (ko)
CN (1) CN100569595C (ko)
MY (1) MY142417A (ko)
SG (2) SG118352A1 (ko)
TW (1) TWI34607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390B1 (ko) * 2013-12-02 2014-04-30 김경민 포장박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27928A1 (en) * 2005-05-31 2007-10-04 Olson Christopher R Container comprising a disposable cleaning implement and a method of promoting the sale of a disposable cleaning implement
WO2007130661A2 (en) * 2006-05-04 2007-11-15 Mattel, Inc. Containers
CN101224811B (zh) * 2007-01-18 2010-08-04 广达电脑股份有限公司 包装盒、缓冲装置及板材
CN101332927B (zh) * 2007-06-29 2010-10-06 佛山普立华科技有限公司 包装结构
US7886911B1 (en) * 2007-07-09 2011-02-15 Security Packaging, Inc. Corrugated container with integral dunnage
US8181788B2 (en) * 2009-02-25 2012-05-22 Belkin International Inc. Recloseable, folding container and blank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8607987B2 (en) * 2012-04-19 2013-12-17 Nokia Corporation Packaging system
US10470492B2 (en) 2013-03-15 2019-11-12 Altria Client Services Llc Display package
USD710713S1 (en) * 2013-03-15 2014-08-12 Altria Client Services Inc. Display package
EP3148888A1 (en) 2014-05-29 2017-04-05 Altria Client Services Inc. Method of displaying electronic vaping device, display packages with divider, blanks for forming display package for containing electronic vap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package for electronic vaping device
US9527643B2 (en) 2015-01-21 2016-12-27 Target Brands, Inc. Package with open chamber
US10188143B2 (en) 2015-04-17 2019-01-29 Altria Client Services Llc Display packages, blanks for forming trap seal card and blank for forming display box
USD833270S1 (en) * 2015-04-17 2018-11-13 Altria Client Services Llc Display package
TWM505467U (zh) * 2015-05-08 2015-07-21 Shinyoptics Corp 可攜式裝置包裝盒
JP6595226B2 (ja) * 2015-06-25 2019-10-23 朝日印刷株式会社 中箱付き包装用箱
USD830853S1 (en) * 2016-07-29 2018-10-16 Altria Client Services Llc Package for E-kit with pouch
US10435231B2 (en) 2016-07-29 2019-10-08 Altria Client Services Llc Package for e-kit with pouch, blank for making the package, the packaged e-kit with the pouch, and method of forming the e-kit with the pouch
USD834949S1 (en) * 2017-04-21 2018-12-04 Reber Holding Gmbh & Co. Kg Packaging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083400A (fr) 1953-09-16 1955-01-07 Waddington Ltd J Emballage tubulaire en carton utilisable notamment pour ?tenir des tubes de pâte, de crème ou de pommade
US3228518A (en) * 1963-09-23 1966-01-11 Coby Glass Products Co Inc Package for frangible articles
US3722781A (en) * 1971-06-28 1973-03-27 Cons Packaging Corp Foldable carry out serving tray
JPS5313703Y2 (ko) * 1973-09-10 1978-04-13
US4146128A (en) * 1976-09-20 1979-03-27 Shepherd Products U.S. Inc. Separable package
JPS5421024U (ko) * 1977-07-13 1979-02-10
JPS563819U (ko) * 1979-06-20 1981-01-14
US4319681A (en) * 1980-04-28 1982-03-16 Arthur Gestetner Container holder and method of packaging
US4511079A (en) * 1983-11-03 1985-04-16 Container Corporation Of America Variable dimension container
JPS6193419U (ko) * 1984-11-26 1986-06-17
JPH0316140U (ko) * 1989-06-28 1991-02-18
JP2563551Y2 (ja) * 1991-12-13 1998-02-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アンテナ梱包装置
US5385238A (en) * 1992-07-01 1995-01-31 The Mead Corporation Cushion for use in a shipping container
JPH079784Y2 (ja) * 1992-08-04 1995-03-08 シグマ紙業株式会社 瓶類容器用トレー
JPH08230868A (ja) * 1995-02-28 1996-09-10 Hitachi Telecom Technol Ltd 段ボール製包装箱
US5522504A (en) * 1995-03-01 1996-06-04 Baldwin Technology Corporation Box construction having spring engagement
IT1277553B1 (it) 1995-09-07 1997-11-11 Gi Bi Effe Srl Scatola per alloggiare, trattenere e proteggere un flacone o simile e foglio fustellato e sagomato per la realizzazione di tale scatola
JPH1045171A (ja) 1996-07-31 1998-02-17 Kyowa Seikan Kk 収納ケース
JP3199655B2 (ja) * 1997-01-20 2001-08-20 株式会社クラウン・パッケージ 緩衝体及び収納箱
JPH11115927A (ja) * 1997-10-13 1999-04-27 Tomoku Co Ltd 物品輸送用包装箱
US5996804A (en) * 1998-04-09 1999-12-07 Kuhn; Wayne Container and method for packaging contoured articles
JP3096906B2 (ja) * 1999-03-11 2000-10-10 株式会社 錦 平野 容器収納ケ−ス
IT1307099B1 (it) 1999-10-01 2001-10-23 Grafiche Filippi S R L Scatola per l'alloggiamento di un vasetto o simili.
DE10044018A1 (de) * 2000-09-06 2002-03-14 Beiersdorf Ag Faltschachtel mit schachteleinwärts versetztem Innenboden
US6527123B1 (en) * 2001-08-09 2003-03-04 Nick Ausaf One piece foldable box enclosing a food receptacle
US6736261B1 (en) * 2001-09-19 2004-05-18 Timothy Frederick Thomas Sliding shell package for smoking articles and method
US6612482B2 (en) * 2001-11-27 2003-09-02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Collapsible carton sleeve
JP2003321067A (ja) * 2002-04-30 2003-11-11 Seiko Epson Corp 梱包物、梱包方法及び梱包緩衝部材
US6758340B1 (en) * 2002-07-17 2004-07-06 Display Technologies, Inc. Display box with sleeve
TW589274B (en) * 2003-07-31 2004-06-01 Quanta Comp Inc Portable accessory box
JP4468084B2 (ja) * 2004-06-18 2010-05-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緩衝機能付きカートン
US20060086630A1 (en) * 2004-10-25 2006-04-27 Patty Cheong Combination CD/DVD gift box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390B1 (ko) * 2013-12-02 2014-04-30 김경민 포장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12151A1 (en) 2006-01-04
US20050284782A1 (en) 2005-12-29
SG138619A1 (en) 2008-01-28
TW200607716A (en) 2006-03-01
JP4500601B2 (ja) 2010-07-14
TWI346075B (en) 2011-08-01
US7650997B2 (en) 2010-01-26
JP2006008197A (ja) 2006-01-12
MY142417A (en) 2010-11-30
SG118352A1 (en) 2006-01-27
CN100569595C (zh) 2009-12-16
CN1715143A (zh) 2006-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08841A (ko) 상품 수납 용기
US6675970B1 (en) Cushioning support member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JP2007008560A (ja) 包装体
JP2019006409A (ja) 内設ボード及び包装箱
CA2613633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es integrated with product containers
JP2007076680A (ja) 包装箱及び包装体
JP2595233Y2 (ja) 電気製品などの個装箱
JP3148264U (ja) 組仕切り材及び組仕切り材一体型通い箱
JP4377372B2 (ja) 同梱ケースおよび梱包装置
JP3179593U (ja) 包装体
JP4233879B2 (ja) 全自動電気洗濯機における梱包装置
US8167193B2 (en) Packaging container
JPH0672433A (ja) 包装用ケース
US20230365295A1 (en) Package box assembly comprising hanger
JP5227844B2 (ja) 商品収納容器
KR20110121268A (ko) 덮개판이 원터치로 동시에 접혀지는 포장용 박스
JP2009202919A (ja) 包装ケース
JP3248572B2 (ja) 梱包用緩衝材アッセンブリー
JP3055592B2 (ja) 組み立て包装箱
KR19990000515A (ko) 포장상자 및 그 제조방법
EP1279608A2 (en) Display packaging technique
JP2507269B2 (ja) 記録テ―プカセット用ケ―ス
JP2006058689A (ja) エンブレム収納部、及び電子機器
JP3130657U (ja) 連結式包装体
JP3646040B2 (ja) 糸巻収納ケース及び糸巻収納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