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8666A - 뒷좌석 승객을 위한 자동차용 후사경 - Google Patents

뒷좌석 승객을 위한 자동차용 후사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8666A
KR20060008666A KR1020040057514A KR20040057514A KR20060008666A KR 20060008666 A KR20060008666 A KR 20060008666A KR 1020040057514 A KR1020040057514 A KR 1020040057514A KR 20040057514 A KR20040057514 A KR 20040057514A KR 20060008666 A KR20060008666 A KR 20060008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view mirror
gear
drive motor
center pillar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7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8902B1 (ko
Inventor
구자경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7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8902B1/ko
Publication of KR20060008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8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8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8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retracting the mirror arrangements to a non-use position along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12Application rear view mirror

Abstract

본 발명은 뒷좌석 승객을 위한 자동차용 후사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뒷좌석에 앉은 승객이 도어를 열고 밖으로 나갈 때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차량 뒤의 상황을 인지시키는 후사경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뒷좌석 승객을 위한 자동차용 후사경은, 차량의 센타필러(5)에 설치되는 후사경몸체(10)와; 상기 센타필러(5)에 내설되어, 상기 후사경몸체(10)를 상기 센타필러(5)의 외측으로 돌출시키거나, 상기 센타필러(5)의 내측으로 삽입시키는 기어부(20)와; 상기 기어부(20)를 작동하는 구동모터(30)와; 상기 구동모터(30)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모터제어부(40)와; 상기 구동모터(30)와 상기 구동모터제어부(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50)와; 도어 내측에 위치한 도어핸들(51)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공급부(60)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버튼부(60)로 구성되어, 승객이 뒷좌석에 앉아있을 때에는 후사경이 안으로 삽입되어 있다가 밖으로 나가려고 할 때에는 외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주행 중에 후사경과 공기와의 마찰로 인하여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을 제거할 수 있고, 하차시에 후방 차량으로부터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후사경, 센타필러, 사이드미러, 기어부, 구동모터, 전원공급부, 도어핸들

Description

뒷좌석 승객을 위한 자동차용 후사경 {Side mirror for automobiles for passengers in the rear seat}
도 1은 뒷좌석 승객을 위한 종래의 자동차용 후사경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뒷좌석 승객을 위한 자동차용 후사경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뒷좌석 승객을 위한 자동차용 후사경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센타필러 10 : 후사경몸체
11 : 힌지축 12 : 태엽스프링
13 : 코일스프링 20 : 기어부
21 : 제1기어 22 : 제2기어
23 : 랙기어 24 : 피니언기어
30 : 구동모터 40 : 구동모터제어부
50 : 전원공급부 60 : 버튼부
본 발명은 뒷좌석 승객을 위한 자동차용 후사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뒷좌석에 앉은 승객이 도어를 열고 밖으로 나갈 때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승객에게 후방 차량의 상황을 인지시키는 뒷좌석 승객을 위한 자동차용 후사경에 관한 것이다.
센타필러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후사경은, 뒷좌석에 앉아있는 승객에게 후방상황을 인지시키며, 차량에서 하차시에 후방에서 달려드는 이륜차 등을 확인시켜줌으로써 승객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고안되었다.
또한, 뒷좌석에 앉은 승객이 후사경을 통하여 후방차량의 상황을 운전자에게 조언해줄 수도 있는 것이다.
도 1은 뒷좌석 승객을 위한 종래의 자동차용 후사경을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일단이 차량의 센타필러(1)에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차량의 후방을 반사하는 후사경(2)을 나타내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뒷좌석 승객을 위한 자동차용 후사경은 센타필러에 고정되어 있으며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서, 차량 주행시에 공기와의 마 찰로 인한 소음 및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고, 불필요한 공기저항으로 인하여 차량의 연비가 떨어질 수 있으며, 전방의 시야를 가려서 답답함을 초래하고, 햇빛이나 후방 차량의 헤드라이트 빛을 반사하여 승객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평소에는 센타필러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가 도어를 열고 밖으로 나갈 때에 승객이 후방의 상황을 볼 수 있도록 외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차량주행시 후사경과 공기와의 마찰로 인하여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을 제거할 수 있으며, 하차시에는 후방 차량을 인지함으로써 안전하게 하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뒷좌석 승객을 위한 자동차용 후사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의 센타필러에 설치되는 후사경몸체와; 상기 센타필러에 내설되어, 상기 후사경몸체를 상기 센타필러의 외측으로 돌출시키거나, 상기 센타필러의 내측으로 삽입시키는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를 작동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모터제어부와;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도어 내측에 위치한 도어핸들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버튼부를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뒷좌석 승객을 위한 자동차용 후사경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차량의 센타필러(5)에 설치되는 후사경몸체(10)와; 상기 센타필러(5)에 내설되어, 상기 후사경몸체(10)를 상기 센타필러(5)의 외측으로 돌출시키거나, 상기 센타필러(5)의 내측으로 삽입시키는 기어부(20)와; 상기 기어부(20)를 작동하는 구동모터(30)와; 상기 구동모터(30)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모터제어부(40)와; 상기 구동모터(30)와 상기 구동모터제어부(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50)와; 도어 내측에 위치한 도어핸들(51)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공급부(60)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버튼부(60)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기어부(20)는 상기 후사경몸체(10)의 힌지축(11)에 설치되는 제1기어(21)와; 상기 제1기어(21)에 치합되며, 상기 구동모터(30)에 의하여 회동하는 제2기어(22)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힌지축(11)에는 태엽스프링(12)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뒷좌석 승객을 위한 자동차용 후사경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차량의 센타필러(5)에 설치되는 후사경몸체(10)와; 상기 센타필 러(5)에 내설되어, 상기 후사경몸체(10)를 상기 센타필러(5)의 외측으로 돌출시키거나, 상기 센타필러(5)의 내측으로 삽입시키는 기어부(20)와; 상기 기어부(20)를 작동하는 구동모터(30)와; 상기 구동모터(30)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모터제어부(40)와; 상기 구동모터(30)와 상기 구동모터제어부(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50)와; 도어 내측에 위치한 도어핸들(51)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공급부(60)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버튼부(60)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기어부(20)는 상기 후사경몸체(10)에 부착되는 랙기어(23)와; 상기 랙기어(23)에 치합되며, 상기 구동모터(30)에 의하여 회동하는 피니언기어(24)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후사경몸체(10)의 일단에 코일스프링(13)이 부착되어, 상기 후사경몸체(10)를 상기 센타필러(5)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버튼부(60)에는 탄성수단(62)이 설치되어, 상기 버튼부(60)에서 손을 떼었을 때, 상기 탄성수단(62)에 의하여 상기 버튼부(60)가 스위치접촉점(63)에서 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원공급부(50)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 도 2 또는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주행중인 자동차의 뒷자석에 승객이 앉아 있을 때에는 후사경몸체(10)가 센타필러(5) 내측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승객은 후방의 상황을 인지하지 못하게 된다.
차량이 정차하고, 승객이 하차시에는 도어를 열기 위하여 도어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핸들(51)을 반드시 접촉해야 하는데, 이때 상기 도어핸들(51)에는 버튼부(51)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승객은 자연스럽게 상기 버튼부(51)를 누르게 된다.
상기 버튼부(51)를 누르는 순간 상기 센타필러(5)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던 상기 후사경몸체(10)가 외측으로 돌출되고, 이때 승객은 상기 후사경몸체(10)를 통하여 차량 후방의 상황을 인지하면서 안전하게 차량에서 하차할 수 있는 것이다.
차량에서 하차한 후에는 상기 후사경몸체(10)는 다시 상기 센타필러(5) 내측에 자동으로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후사경몸체(10)가 외측으로 돌출되고, 내측으로 삽입되는 원리를 자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제1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후사경몸체(10)는 힌지축(11)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센터필러(5)의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상기 센터필러(5)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힌지축(11)에는 제1기어(21)가 설치되어 상기 힌지축(11)이 상기 제1기어(21)와 일체로 회동하게 되며, 상기 제1기어(21)에는 제2기어(22)가 치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2기어(22)는 구동모터(30)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30)에 의하여 상기 제2기어(22)가 회동하게 되면, 상기 제1기어(21)가 회동되며, 상기 제1기어(21)의 회동에 의하여 상기 힌지축(11)이 회동됨으로써 상기 후사경몸체(10)가 회동되어 상기 센터필러(5)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30)를 구동하는 것은 구동모터제어부(40)이며, 상기 구동모터제어부(40)에 의하여 상기 후사경몸체(10)가 일정한 각도로 회동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30)와 상기 구동모터제어부(40)는 전원공급부(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것이다.
승객이 후방 차량을 확인한 후에는 도어를 열기 위하여 자연스럽게 상기 버튼부(60)에서 손을 떼게 되는데, 이때 상기 버튼부(60)에 설치되는 탄성수단(62)에 의하여 상기 버튼부(60)가 접촉되어 있던 스위치접촉점(63)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회로에 흐르는 전류의 흐름이 차단되어 상기 전원공급부(50)의 전원공급이 중지되며,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제어부(40)와 상기 구동모터(30)의 작동이 중지되는 것이다.
이때,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의 상기 후사경몸체(10)는 상기 힌지축(11)에 설 치되는 태엽스프링(12)에 의하여 상기 센타필러(5)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둘째, 제2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실시예는 상기 후사경몸체(10)는 상기 힌지축(11)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함으로써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내측으로 삽입된 것임에 반하여, 제2 실시예는 상기 후사경몸체(10)가 랙기어(23)와 피니언기어(24)에 의하여 직선운동을 함으로써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후사경몸체(10)에 랙기어(23)가 부착되고, 상기 랙기어(23)에 피니언기어(23)가 치합되며, 상기 피니언기어(23)가 상기 구동모터(30)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30)에 의하여 상기 피니언기어(23)가 회동되며, 상기 피니언기어(23)에 의하여 상기 랙기어(23)가 이동됨으로써, 상기 후사경몸체(10)가 직선운동을 하면서 상기 센터필러(5)의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후사경몸체(10)의 일단에 코일스프링(13)이 부착되어, 상기 전원공급부(50)로부터 전원이 차단되었을 때에는, 상기 후사경몸체(10)가 상기 코일스프링(13)에 의하여 상기 센타필러(5)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이, 상기 후사경몸체(10)는 차량의 평상시 주행시에는 상기 센타필러(5)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있으므로 차량이 바람으로부터 받는 저항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뒷좌석의 승객의 하차시에만 외측으로 돌출됨으로써 후방 시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을 주행시에 공기와의 마찰로 인한 소음 및 진동을 제거할 수 있고, 불필요한 공기저항을 없앰으로써 차량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방의 시야를 가리지 않아서 답답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햇빛과 후방 차량의 헤드라이트 빛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승객에게 편안함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6)

  1. 차량의 센타필러에 설치되는 후사경몸체와;
    상기 센타필러에 내설되어, 상기 후사경몸체를 상기 센타필러의 외측으로 돌출시키거나, 상기 센타필러의 내측으로 삽입시키는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를 작동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모터제어부와;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도어 내측에 위치한 도어핸들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버튼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뒷좌석 승객을 위한 자동차용 후사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후사경몸체의 힌지축에 설치되는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에 치합되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동하는 제2기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뒷좌석 승객을 위한 자동차용 후사경.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에는 태엽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뒷좌석 승객을 위한 자동차용 후사경.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에 탄성수단이 설치되어, 상기 버튼부에서 손을 떼었을 때, 상기 탄성수단에 의하여 상기 버튼부가 스위치접촉점에서 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뒷좌석 승객을 위한 자동차용 후사경.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후사경몸체에 부착되는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에 치합되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동하는 피니언기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뒷좌석 승객을 위한 자동차용 후사경.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후사경몸체의 일단에 코일스프링이 부착되어, 상기 후사경몸체를 상기 센타필러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뒷좌석 승객을 위한 자동차용 후사경.
KR1020040057514A 2004-07-23 2004-07-23 뒷좌석 승객을 위한 자동차용 후사경 KR100578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7514A KR100578902B1 (ko) 2004-07-23 2004-07-23 뒷좌석 승객을 위한 자동차용 후사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7514A KR100578902B1 (ko) 2004-07-23 2004-07-23 뒷좌석 승객을 위한 자동차용 후사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8666A true KR20060008666A (ko) 2006-01-27
KR100578902B1 KR100578902B1 (ko) 2006-05-11

Family

ID=37119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7514A KR100578902B1 (ko) 2004-07-23 2004-07-23 뒷좌석 승객을 위한 자동차용 후사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89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7041A (ko) * 2017-12-06 2019-06-14 주식회사 경신 뒷좌석 탑승객용 후사경 제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32830A (zh) * 2012-05-14 2012-08-15 三一重工股份有限公司 前照灯和/或后视镜调节装置和方法、车辆
CN105034959B (zh) * 2015-07-03 2017-09-05 力帆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后视镜转向辅助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7041A (ko) * 2017-12-06 2019-06-14 주식회사 경신 뒷좌석 탑승객용 후사경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8902B1 (ko) 200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8902B1 (ko) 뒷좌석 승객을 위한 자동차용 후사경
KR100682786B1 (ko) 골프카트
JP3260534B2 (ja) 車両の路面照明装置
KR200391972Y1 (ko) 자동 각도 조정이 가능한 자동차용 후사경
JP2600285Y2 (ja) ダブルキャブ型消防自動車の後部座席の着席者用リヤサイドミラー装置
KR100450010B1 (ko) 차량용 백미러 쉴드
JPH045563B2 (ko)
KR20170058616A (ko) 차량용 와이퍼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차량용 와이퍼 제어방법
KR100209056B1 (ko) 자동차의 격납식 손잡이
KR0133147Y1 (ko) 전조등 스위치에 의해 야간 시야보호 기능이 작동되는 룸 미러
KR200200844Y1 (ko)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자동 제어장치
KR200277876Y1 (ko) 자동차 후사경 장치
JP2542451Y2 (ja) 自動車のリアミラー装置
KR19980045063U (ko) 차량용 사이드 미러 구조
KR19990029254U (ko) 자동차의 윈드 디플렉터 장치
KR100439884B1 (ko) 레그 레스트장치
KR19980045136U (ko) 자동차의 아웃사이드미러 구조
JP2006298118A (ja) 車両用ドアミラー装置
KR200224283Y1 (ko) 자동차의라이트점멸장치
JPS6130928B2 (ko)
KR19980016177U (ko) 자동차용 조수석 시트의 헤드레스트 회동장치
KR20040098374A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JP2000219085A (ja) 車両用ミラー装置における防水構造
KR19980051531U (ko) 자동차의 리어 풋 레스트
JPS58131283A (ja) 車両用オ−トド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