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9254U - 자동차의 윈드 디플렉터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윈드 디플렉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9254U
KR19990029254U KR2019970041911U KR19970041911U KR19990029254U KR 19990029254 U KR19990029254 U KR 19990029254U KR 2019970041911 U KR2019970041911 U KR 2019970041911U KR 19970041911 U KR19970041911 U KR 19970041911U KR 19990029254 U KR19990029254 U KR 1999002925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roof
wind deflector
servo motor
vehicle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19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현정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419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9254U/ko
Publication of KR199900292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254U/ko

Link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루프가 장착된 자동차의 선루프가 개방된 상태에서 차량의 속도에 따라 윈드 디플렉스를 제어할 수 있는 자동차의 윈드 디플렉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선루프가 장착된 자동차의 윈드 디플렉터 장치에 있어서, 서보모터에 선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0)와,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속도센서(20)와, 선루프가 개방되었는지 검출하는 선루프 온/오프 검출센서(30)와, 상기 속도센서(20) 및 선루프 온/오프 검출센서(30)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입력으로 하며 상기 신호를 기초로 하여 서보모터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40)와, 상기 제어기(40)로부터 출력되는 서보모터 구동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윈드 디플렉터부(50)로 이루어지고, 상기 윈드 디플렉터부(50)는 선루프(4)와 전면유리 사이의 루프패널(2)상에 설치되며 제어기(40)로부터 출력되는 서보모터 구동신호에 따라 정회전 혹은 역회전하는 서보모터(52)와, 상기 서보모터(52)의 회전에 의해 힌지점(51)을 중심으로 상/하 작동하는 윈드 디플렉터(53)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선루프(4)가 개방된 상태에서 차량의 속도가 설정속도 이상이 될 때 윈드 디플렉터(53)가 상승하고, 선루프가 오프되면 윈드디플렉터(53)도 원상태로 하강하도록 함으로써 선루프(4)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량을 감소시키고 또한 공기의 흐름으로 인한 노이즈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윈드 디플렉터 장치(DEVICE OF WIND DEFLECTOR FOR A CAR)
본 고안은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선루프가 장착된 자동차의 선루프 가 개방된 상태에서 차량의 속도에 따라 윈드 디플렉스를 제어할 수 있는 자동차의 윈드 디플렉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는 현대생활에 있어서, 그 사용은 날로 증대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서 자동차는 단순한 운송 수단의 개념으로부터 벗어나 하나의 독립된 생활공간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차량의 주행 안전성이나 승차감과 같은 차량의 운행에 필요한 기술적인 사항 못지 않게 중요시되고 있는 점이 바로 실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 각종 편의장치의 제공에 있다고 하겠다.
차량에 제공되고 있는 각종 편의장치로는 담배불을 붙일 때 사용하는 통상의 시가라이터 및 음료수나 컵 등을 올려놓을 수 있는 컵 홀더를 비롯하여 차량의 실내에서 면도를 할 수 있도록 한 전기면도기 등이 있으며 그 밖에도 운전자의 취미나 관심에 따라 여러 가지 편의장치를 설치하여 이용하고 있다.
도 1은 선루프가 장착되어 있는 차량의 루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선루프의 개방상태를 나타낸 측 단면도이다. 승용차량의 전방에는 엔진이 장착되는 공간인 엔진룸이 배치되고, 후방에는 짐을 적재할 수 있는 트렁크가 배치된다. 이 엔진룸과 트렁크 사이의 중앙에는 운전자와 승객이 탑승할 수 있는 차실내 공간이 제공된다. 차실내의 지붕을 형성하고 있는 루프패널(2)에는 신선한 외기를 도입하기 위한 선루프(4)가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선루프는 통상 루프패널(2)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6)을 따라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드 방식과,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개방되는 회전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승용차량에서는 모터에 의해 개방되는 슬라이드 방식의 선루프를 채용하고 있다.
도 2는 슬라이드 방식의 선루프가 개방되는 과정을 도시한 측 단면도로서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루프패널(2) 내측 일면에 설치된 스위치 조작으로 인해 선루프(4)의 후단부분이 상방향으로 상승되면서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편의장치로 제공되는 선루프는 차량이 일정속도 이상이 되면 외부의 공기가 강하게 유입되며 또한, 공기의 속도가 상승함으로써 강한 소음(Booming Noise)이 차실 내부로 들어오게 되어 승차감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선루프가 장착된 차량의 속도를 검출한 후 선루프가 개방된 상태에서 검출된 속도가 설정속도 이상이 되면 선루프 전단에 설치한 윈드 디플렉서가 작동하도록 한 자동차의 윈드 디플렉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하여 선루프가 장착되어 있는 차량의 루프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선루프의 개방상태를 나타낸 측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윈드 디플렉터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윈드 디플렉터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측
단면도.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윈도 윈드 디플렉터가 상승된 상태를 도시
한 측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원부 20 : 속도센서
30 : 선루프 온/오프 검출센서 40 : 제어기
50 : 윈드 디플렉터부 51 : 힌지
52 : 서보모터 53 ; 디플렉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선루프가 장착된 자동차의 윈드 디플렉터 장치에 있어서, 서보모터에 선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0)와,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속도센서(20)와, 선루프가 개방되었는지 검출하는 선루프 온/오프 검출센서(30)와, 상기 속도센서(20) 및 선루프 온/오프 검출센서(30)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입력으로 하며 상기 신호를 기초로 하여 서보모터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40)와, 상기 제어기(40)로부터 출력되는 서보모터 구동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윈드 디플렉터부(50)로 이루어지고, 상기 윈드 디플렉터부(50)는 선루프(4)와 전면유리 사이의 루프패널(2)상에 설치되며 제어기(40)로부터 출력되는 서보모터 구동신호에 따라 정회전 혹은 역회전하는 서보모터(52)와, 상기 서보모터(52)의 회전에 의해 힌지점(51)을 중심으로 상/하 작동하는 윈드 디플렉터(53)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윈드 디플렉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윈드 디플렉터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로서, 서보모터에 선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0)와,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속도센서(20)와, 선루프가 개방되었는지 검출하는 선루프 온/오프 검출센서(30)와, 상기 속도센서(20) 및 선루프 온/오프 검출센서(30)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입력으로 하며 상기 신호를 기초로 하여 서보모터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40)와, 상기 제어기(40)로부터 출력되는 서보모터 구동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윈드 디플렉터부(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윈드 디플렉터부(50)는 선루프(4)와 전면유리(도시되지 않음) 사이의 루프패널(2)상에 설치되며 제어기(40)로부터 출력되는 서보모터 구동신호에 따라 정회전 혹은 역회전하는 서보모터(52)와, 상기 서보모터(52)의 회전에 의해 힌지점(51)을 중심으로 상/하 작동하는 윈드 디플렉터(53)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윈드 디플렉터 장치의 동작원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종래의 선루프 구조와 동일 구성품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윈드 디플렉터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측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윈도 윈드 디플렉터가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측 단면도이다.
운전자가 자동차의 주행도중 선루프(4)를 개방시키고자 할 때 루프패널(2) 내측 일면에 설치된 스위치를 온 시키면 선루프(4)의 후단부분이 상방향으로 상승되면서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선루프 온/오프 검출센서(30)는 상기 선루프(4)가 개방된 상태를 검출한 후 제어기(40)로 검출된 신호를 인가하는 동시에 속도 센서(20)는 현재 차량의 속도를 검출한 후 마찬가지로 제어기(40)로 검출된 속도를 인가한다. 상기 제어기(40)는 선루프 온/오프 검출신호 및 속도신호를 기초로 하여 서보모터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되는데, 선루프(4)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선루프 온/오프 검출센서(30)는 하이신호를 제어기(40)에 인가하고, 속도센서(20)는 현재 차량의 속도가 설정속도를 제어기(40)에 인가한다.
이때, 상기 제어기(40)는 선루프 온/오프 검출센서(30)로부터 검출된 하이신호를 입력받은 상태에서 속도센서(20)로부터 검출된 차량의 속도가 설정속도(일 예로 들면 시속 120Km)를 초과하는지를 검출한 후 현재 차량의 속도가 상기 설정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전원부(1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서보모터(52)로 인가하게 되고, 상기 서보모터(52)가 정회전하여 흰지(51)를 중심으로 윈드 디플렉터(53)가 상 방향으로 설정높이 만큼 상승하게 된다. 도 4(b)는 윈드 디플렉터(53)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 단면도로서, 선루프(4) 개방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하는 효과를 갖게되고, 공기가 개방된 곳을 통해 유입되는 양이 적게 되고, 또한 바람의 소음도 감소하게 된다.
한편, 윈드 디플렉터(53)가 작동되어 상승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감속을 하여 속도센서(20)로부터 검출된 속도가 120Km 이하로 저하하면 그때의 속도를 제어기(40)로 입력하고, 상기 제어기(40)는 검출된 차량의 속도가 설정속도(상기 예를 들어 설명한 시속 120Km) 이하로 저하하게 되었을 때, 전원부(10)로부터 서보모터(52)에 공급되는 전원의 극성을 반대로 하여 상기 서보모터(52)로 인가하게 되고, 상기 서보모터(52)는 역회전하여 힌지(51)를 중심으로 상승한 윈드 디플렉터(53)가 하 방향으로 하강하도록 하게 된다.
또한, 윈드 디플렉터(53)가 작동되어 상승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선루프(4)를 오프 시키면 속도센서(20)로부터 검출된 속도가 120Km 이상이어도 선루프 온/오프 검출센서(30)로부터 검출된 신호가 로우신호이므로 전원부(10)로부터 서보모터(52)에 공급되는 전원의 극성을 반대로 하여 상기 서보모터(52)로 인가하게 되고, 상기 서보모터(52)는 역회전하여 힌지(51)를 중심으로 상승한 윈드 디플렉터(53)가 하 방향으로 하강하도록 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윈드 디플렉터부(50)부의 설정위치를 선루프(4)와 전면유리 사이의 루프패널(2)에 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선루프(4)의 앞부분에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윈드 디플렉터(53)를 서보모터의 정회전 혹은 역회전에 의해 상/하로 높이조절을 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액튜에이터를 설치하여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설정속도는 120Km 라고 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설정속도는 필요에 따라서 더 높이거나 낮출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선루프가 개방된 상태에서 차량의 속도가 설정속도 이상이 될 때 윈드 디플렉터가 상승하도록 함으로써 선루프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량을 감소시키고 또한 공기의 흐름으로 인한 노이즈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선루프가 장착된 자동차의 윈드 디플렉터 장치에 있어서,
    서보모터에 선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0)와,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속도센서(20)와,
    선루프가 개방되었는지 검출하는 선루프 온/오프 검출센서(30)와,
    상기 속도센서(20) 및 선루프 온/오프 검출센서(30)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입력으로 하며 상기 신호를 기초로 하여 서보모터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40)와,
    상기 제어기(40)로부터 출력되는 서보모터 구동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윈드 디플렉터부(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윈드 디플렉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드 디플렉터부(50)는 선루프(4)와 전면유리 사이의 루프패널(2)상에 설치되며 제어기(40)로부터 출력되는 서보모터 구동신호에 따라 정회전 혹은 역회전하는 서보모터(52)와,
    상기 서보모터(52)의 회전에 의해 힌지점(51)을 중심으로 상/하 작동하는 윈드 디플렉터(5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윈드 디플렉터 장치.
KR2019970041911U 1997-12-29 1997-12-29 자동차의 윈드 디플렉터 장치 KR1999002925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1911U KR19990029254U (ko) 1997-12-29 1997-12-29 자동차의 윈드 디플렉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1911U KR19990029254U (ko) 1997-12-29 1997-12-29 자동차의 윈드 디플렉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254U true KR19990029254U (ko) 1999-07-15

Family

ID=69677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1911U KR19990029254U (ko) 1997-12-29 1997-12-29 자동차의 윈드 디플렉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9254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312B1 (ko) * 2006-12-14 2008-0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
KR100901606B1 (ko) * 2007-12-15 2009-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속 감응형 디플렉터
KR100980942B1 (ko) * 2004-12-22 2010-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선루프의 열림량 제어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942B1 (ko) * 2004-12-22 2010-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선루프의 열림량 제어시스템
KR100803312B1 (ko) * 2006-12-14 2008-0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
KR100901606B1 (ko) * 2007-12-15 2009-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속 감응형 디플렉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4755B2 (en) Motor vehicle acoustic noise reduction system
KR20040110463A (ko) 자동차용 선루프의 안전장치
US10132112B2 (en) Door operating apparatus,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pparatus
US4201412A (en) Camping car
JP2007269102A (ja) 車両用ウインドスロッブ低減装置
JPH085322B2 (ja) 車両用摺動屋根装置
KR19990029254U (ko) 자동차의 윈드 디플렉터 장치
US7222908B1 (en) Automotive open air system
JPH045563B2 (ko)
JP2008074360A (ja) 車両用シートの制御装置
US11260732B1 (en) Sunroof seal apparatus and related sunroof assemblies for use with vehicles
KR100353723B1 (ko) 윈도우 글래스 개폐에 따른 차내공기 자동배출장치
KR200391972Y1 (ko) 자동 각도 조정이 가능한 자동차용 후사경
KR100534335B1 (ko) 자동차용 선루프의 윈드노이즈 저감장치
KR19990053620A (ko) 컨버터블 차량의 도어 윈도우 개폐장치
KR100267701B1 (ko) 자동차용 선루프
KR20030018095A (ko) 자동차용 디플렉터의 개방각도 조절장치
KR0145229B1 (ko) 자동차용 휠 체어 승강장치
JP4634189B2 (ja) 車両用サンルーフ装置
KR200203461Y1 (ko) 스포츠 쿠페형 자동차에서의 후방유리 자동이송장치
JP2539910Y2 (ja) 車両のルーフ構造
KR19990029262U (ko) 자동차의 선루프 제어장치
KR19980031301A (ko) 후방미러가 일체화 된 차량용 리어스포일러
KR19980042625U (ko) 자동차의 어시스트핸들 어셈블리
JPH05201258A (ja) 自動車のスライドルー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