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3312B1 -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3312B1
KR100803312B1 KR1020060128003A KR20060128003A KR100803312B1 KR 100803312 B1 KR100803312 B1 KR 100803312B1 KR 1020060128003 A KR1020060128003 A KR 1020060128003A KR 20060128003 A KR20060128003 A KR 20060128003A KR 100803312 B1 KR100803312 B1 KR 100803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lector
vehicle
wind
wind deflector
deflecto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8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8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33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3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3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22Wind deflectors for open ro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57Driving or actuating arrangements e.g. manually operated levers or kno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7/00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 B62D37/02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by aerodynam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6Press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ultimedia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센서와, 사이드미러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의 흐름방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와, 차속센서 및 압력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타를 구동신호로 출력하는 제어기 및, 차량 후석에 설치되는 디플렉터 바디와 제어기에서 출력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디플렉터 바디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좌,우방향으로 각도조절시키기 위한 디플렉터 구동부가 구비되는 윈드 디플렉터 유닛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외부 공기의 유입과 바람 소음의 발생이 효과적으로 조절되어 차량 주행시 최적의 바람 만족도를 얻을 수 있고, 바람 소음을 최소화시키는 특징이 있다.
후석시트, 사이드 도어 트림부, 윈드 디플렉터

Description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WIND DEFLECTOR FOR VEHICL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를 도시한 측면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를 도시한 평면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차속센서 200 : 압력센서
300 : 제어기 400 : 윈드 디플렉터 유닛
410 : 디플렉터 바디 420 : 디플렉터 구동부
421 : 전후이동조절수단 422 : 각도조절수단
423 : 승강수단
본 발명은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에 관한 것으로서, 최적의 바람 만족도가 얻어지도록 외부 공기의 유입방향과 속도에 따라 차량내 윈드 디플렉터의 위치가 변경되는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윈드 디플렉터(Wind Deflector)는 차량 주행시 차실내로 유입되는 공기 흐름의 각도와 높이를 조정하여 괘적한 공기 흐름을 유도하고 바람으로 인한 소음 발생이 감소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는 차실내로 유입되는 공기 흐름을 조정하기 위한 디플렉터부재(10)와, 디플렉터부재(10)의 하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및 제2지지플레이트(21),(22)가 상호 연결되어 차량의 후석공간에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20)로 구성된다. 이때, 지지플레이트(20)의 모서리부에는 4개의 고정구(23)가 설치되는데,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의 설치시, 4개의 고정구(23)는 차량의 후석시트(24)와 사이드 도어 트림부(25)에 각각 고정된다.
한편, 차량에는 차량의 진행에 의해 발생되는 주행풍과 자연적으로 발생되거나 챠량 조향시 발생되는 횡풍이 상호 더해져서 공기가 흐르는 방향이 정해진다. 이때, 종래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는 공기가 흐르는 방향에 관계없이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의 위치가 고정됨에 따라, 차량내 탑승자는 최적의 바람 만족도(Wind Comfort)를 얻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차량이 진행하는 속도에 따라 차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이 달라지는데, 종래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는 공기가 흐르는 속도에 관계없이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의 위치가 차량의 후석공간에 고정 설치됨에 따라, 주행시 발생되는 바람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지 못하거나, 최적의 바람 만족도를 얻지 못하는 문제 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내 설치되는 윈드 디플렉터가 외부 공기의 속도와 흐름방향에 따라 위치 변경되어 효과적인 디플렉터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센서와, 사이드미러에 설치되어 주행풍과 자연풍의 합력방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차속센서 및 압력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타를 구동신호로 출력하는 제어기 및, 차량 후석에 설치되는 디플렉터 바디와 상기 제어기에서 출력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디플렉터 바디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좌,우방향으로 각도조절시키기 위한 디플렉터 구동부가 구비되는 윈드 디플렉터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윈드 디플렉터 구동부는 상기 디플렉터 바디가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디플렉터 바디의 하부에 구동연결되는 전동모터가 구비되는 전후이동조절수단과, 상기 디플렉터 바디의 중심부를 회동축으로 하여 좌,우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되도록 상기 디플렉터 바디의 하부에 구동연결되는 선형모터가 구비되는 각도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윈드 디플렉터 구동부는 상기 디플렉터 바디의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의 측면도 및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속센서(100)와, 외부 공기의 흐름방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200)와, 상기 차속센서(100) 및 압력센서(200)에서 감지된 데이타를 통해 탑승자가 최적의 바람 만족도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300) 및, 상기 제어기(300)의 구동신호에 따라 차량내의 전,후 및 좌,우 위치가 변경되는 윈드 디플렉터 유닛(400)을 포함하는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속센서(100)는 주행중인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바퀴 회전 속도를 측정하거나, 주행하는 차량의 실제 속도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압력센서(200)는 차량으로 불어오는 실제 공기 흐름의 방향을 측정하기 위해 차량의 사이드 미러에 설치된다. 특히, 차량에는 자연적으로 또는 차량 조향에 의해 발생되는 횡풍과 차량의 진행에 의해 발생되는 주행풍이 상호 더해진 공기 흐름이 영향을 미치게 됨에 따라, 상기 압력센서(200)에서는 주행풍과 횡풍이 더해진 실제 공기 흐름의 방향이 측정된다.
상기 제어기(300)는 상기 차속센서(100)와 압력센서(200)에서 감지된 데이타를 분석하여 탑승자가 최적의 바람 만족도를 얻기 위한 구동신호를 차량내 설치된 윈드 디플렉터 유닛(400)에 출력한다.
상기 윈드 디플렉터 유닛(400)은 상기 차량 후석에 설치되는 디플렉터 바디(410)와, 상기 제어기(300)에 출력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디플렉터 바디(410)의 위치를 조정시키기 위한 디플렉터 구동부(4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디플렉터 바디(410)는 외부의 공기 흐름방향과 대향되도록 차량내 후석공간에 배치되고, 차속이 빠른 경우 차량내 후석공간중 전방측에 위치되며, 차속이 느린 경우 차량내 후석공간중 후방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디플렉터 바디(410)는 상기 디플렉터 구동부(420)에 구동연결된다.
상기 디플렉터 구동부(420)는 상기 디플렉터 바디(41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전후이동조절수단(421)과, 상기 디플렉터 바디(410)를 좌,우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시키기 위한 각도조절수단(422)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전후이동조절수단(421)은 상기 차속센서(100)에 의해 감지되는 차속에 따라, 상기 디플렉터 바디(410)가 차량내 후석공간에서 전진 및 후퇴되도록 상기 디플렉터 바디(410)의 하부에 전동모터(미도시)를 통해 구동연결되는 바, 이때, 차속이 기준치 이상으로 가속되어 그에 따른 출력신호가 상기 제어기(300)로부터 입력되면 상기 디플렉터 바디(410)가 전방으로 소정 거리 전진되도록 하고, 차속이 기준치 이하로 감속되어 그에 따른 출력신호가 상기 제어기(300)로부터 입력되면 상기 디플렉터 바디(410)가 후방으로 소정 거리 후퇴되도록 한다.
상기 각도조절수단(422)은 상기 압력센서(200)에 의해 감지되는 외부의 공기 흐름방향과 상호 대향되도록 상기 디플렉터 바디(410)를 차량내 후석공간에 배치시 키기 위해 상기 디플렉터 바디(410)의 하부에 선형모터(미도시)를 통해 구동연결되는데, 특히, 외부 공기가 일측으로 편심되게 유동되어 그에 따른 출력신호가 상기 제어기(300)로부터 입력되면 해당 편심에 따른 외부의 공기흐름 방향과 대향되도록 상기 디플렉터 바디(410)의 각도를 일측으로 회동시키고, 외부의 공기가 타측으로 편심되게 유동되어 그에 따른 출력신호가 상기 제어기(300)로부터 입력되면 해당 편심에 따른 외부의 공기흐름 방향과 대향되도록 상기 디플렉터 바디(410)의 각도를 타측으로 회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디플렉터 구동부(420)는 상기 디플렉터 바디(410)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수단(423)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승강수단(423)은 상기 디플렉터 바디(410)의 하부에 승강모터(미도시)를 통해 구동연결하여 외부의 공기 흐름에 따라 상기 디플렉터 바디(410)가 승강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의 경우 최적의 바람 만족도가 얻어지도록 외부 공기의 유입방향과 속도에 따라 차량내 윈드 디플렉터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외부 공기의 유입과 바람 소음의 발생이 효과적으로 조절되고 탑승자의 탑승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로써, 변화되는 외부의 공기흐름과 무관하게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가 차량의 후석공간에 고정설치되어 탑승자의 바람 만족도를 저해시키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본 발명은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공기의 유입과 바람 소음의 발생이 효과적으로 조절하여 차량 주행시 발생되는 바람에 의한 소음을 최소화시키고, 최적의 바람 만족도를 얻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센서(100);
    사이드미러에 설치되어 주행풍과 횡풍의 합력방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200);
    상기 차속센서(100) 및 압력센서(200)에서 감지된 데이타를 구동신호로 출력하는 제어기(300);
    차량 후석에 설치되는 디플렉터 바디(410)와, 상기 제어기(300)에서 출력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디플렉터 바디(41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좌,우방향으로 각도조절시키기 위한 디플렉터 구동부(420)가 구비되는 윈드 디플렉터 유닛(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윈드 디플렉터 구동부(420)는 상기 디플렉터 바디(41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디플렉터 바디(410)의 하부에 구동연결되는 전동모터가 구비되는 전후이동조절수단(421)과, 상기 디플렉터 바디(410)의 중심부를 회동축으로 하여 좌,우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되도록 상기 디플렉터 바디(410)의 하부에 구동연결되는 선형모터가 구비되는 각도조절수단(4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윈드 디플렉터 구동부(420)는 상기 디플렉터 바디(410)의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
KR1020060128003A 2006-12-14 2006-12-14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 KR100803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003A KR100803312B1 (ko) 2006-12-14 2006-12-14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003A KR100803312B1 (ko) 2006-12-14 2006-12-14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3312B1 true KR100803312B1 (ko) 2008-02-13

Family

ID=39343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8003A KR100803312B1 (ko) 2006-12-14 2006-12-14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331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514B1 (ko) 2008-10-13 2010-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고속 주행시 아웃 사이드 미러의 노이즈저감장치
KR101470252B1 (ko) * 2013-12-18 2014-1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회전형 루프 스포일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10271A (ko) 2020-07-17 2022-01-25 권오정 자동차용 윈드 디플렉터
KR102582251B1 (ko) * 2022-04-26 2023-09-25 케이지모빌리티 주식회사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소음 저감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9254U (ko) * 1997-12-29 1999-07-15 양재신 자동차의 윈드 디플렉터 장치
KR100217600B1 (ko) * 1995-12-30 1999-09-01 정몽규 속도감응형 선루프 디플렉터장치
US20030042764A1 (en) * 2001-08-28 2003-03-06 Peter Lane Wind deflector including an operating element for a sliding roof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7600B1 (ko) * 1995-12-30 1999-09-01 정몽규 속도감응형 선루프 디플렉터장치
KR19990029254U (ko) * 1997-12-29 1999-07-15 양재신 자동차의 윈드 디플렉터 장치
US20030042764A1 (en) * 2001-08-28 2003-03-06 Peter Lane Wind deflector including an operating element for a sliding roof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514B1 (ko) 2008-10-13 2010-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고속 주행시 아웃 사이드 미러의 노이즈저감장치
KR101470252B1 (ko) * 2013-12-18 2014-1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회전형 루프 스포일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10271A (ko) 2020-07-17 2022-01-25 권오정 자동차용 윈드 디플렉터
KR102582251B1 (ko) * 2022-04-26 2023-09-25 케이지모빌리티 주식회사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소음 저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01542C2 (ru) Воздушное направля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уменьшения сопротивления воздуха назем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0803312B1 (ko)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
CN106467146A (zh) 用于车辆的空气动力学控制系统
KR101522232B1 (ko) 차량 동요 억제 장치
JP6400174B1 (ja) 走行装置
JP2008168843A (ja) スポイラ装置
KR101470252B1 (ko) 회전형 루프 스포일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9043488A (ja) 車両の空気抵抗低減システム及び車両の空気抵抗低減方法
JP5268133B2 (ja) 車両用シートバック調整装置
CN111348014B (zh) 基于变角度吹气装置的汽车气动增阻调控系统与方法
KR101672192B1 (ko) 가변 부양조절이 가능한 일체형 공기부양정 및 그 제어 방법
KR100192820B1 (ko) 자동차의 가변식 스포일러
KR101371938B1 (ko) 대형 차량의 사이드 스포일러 길이 조절 장치
CN102765383B (zh) 一种用于车辆平衡的方法和系统
KR102391014B1 (ko) 차량용 액티브 스포일러 장치
KR100508653B1 (ko) 차량의 전동식 시트조절장치
JP2006168636A (ja) 車両用空力装置
KR19990003131U (ko) 차량용 틸팅조절 시트장치
JP2585956Y2 (ja) トレーラ牽引用トラクタの導風板装置
KR20240036982A (ko) 시트 연동 레그레스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83125A (ko) 차량용 후륜 공기저항 감소 장치
KR100568153B1 (ko) 차량의 안티 서브마린 시트
KR100210150B1 (ko) 차량용 시트 제어장치
KR20070053560A (ko) 차량 운전석 시트의 좌우 높이 조절 장치
KR101836521B1 (ko) 운전모듈이 회전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