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6514B1 - 차량의 고속 주행시 아웃 사이드 미러의 노이즈저감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고속 주행시 아웃 사이드 미러의 노이즈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6514B1
KR100946514B1 KR1020080100164A KR20080100164A KR100946514B1 KR 100946514 B1 KR100946514 B1 KR 100946514B1 KR 1020080100164 A KR1020080100164 A KR 1020080100164A KR 20080100164 A KR20080100164 A KR 20080100164A KR 100946514 B1 KR100946514 B1 KR 100946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lector
vehicle
speed
mirror base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0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덕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0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65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6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6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97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means to prevent rattling of vehicle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01Upper door structure
    • B60J5/0404Outside rear view mirror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차량의 정지 및 저속 상태에서는 디플렉터가 미러 베이스에 내장되고, 고속 주행시에는 디플렉터가 미러 베이스로부터 돌출하여 노이즈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된 차량의 고속 주행시 아웃 사이드 미러의 노이즈저감장치가 소개된다. 그 장치는,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여 일정 속도 이상에서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속도 제어 센서; 상기 속도 제어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속도 제어 센서로부터의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서 동작을 개시하는 구동 수단; 및 상기 구동 수단에 연결되고 미러 베이스에 내장된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구동 수단의 작동으로 미러 베이스로부터 돌출하여 미러 베이스 표면을 흐르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바꾸는 디플렉터;를 포함한다.
디플렉터, 미러 베이스, B-PLR 노이즈, 아웃 사이드 미러, 노이즈저감장치

Description

차량의 고속 주행시 아웃 사이드 미러의 노이즈저감장치{DEVICE FOR REDUCING NOIZE FROM AN OUTSIDE MIRROR OF VEHICLE IN HIGH SPEED}
본 발명은 차량의 전방 조수석 사이드 글라스를 개방한 상태로 고속 주행하는 경우, 아웃 사이드 미러에서 발생되는 노이즈를 저감시키는 차량의 고속 주행시 아웃 사이드 미러 노이즈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차량의 정지 및 저속 상태에서는 디플렉터가 미러 베이스에 내장되어 미작동하고, 고속 주행시에는 디플렉터가 미러 베이스로부터 돌출하여 공기의 유동 방향을 변경시킴으로써 전방 조수석 사이드 글라스가 열린 상태로 고속 주행하는 경우에도 노이즈를 발생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디자인 외관 상품성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된 차량의 고속 주행시 아웃 사이드 미러의 노이즈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차량의 후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아웃사이드 미러가 차량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는 대부분 차량의 후방을 반사하여 운전자에게 후방 시야를 제공하기 위한 미러 부분과 상기 미러 부분을 감싸고 이를 차체에 고정 될 수 있게 하는 미러 케이스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아웃사이드 미러는 운전 편의성 즉, 운전자의 방향 전환 및 차선 변경등에 사용되고, 아울러 수동 및 자동 조정 장치가 구비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주차 공간이 협소한 곳에서 주차를 위해 이를 접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아웃사이드 미러(10)가 장착된 차량(1)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아웃사이드 미러(10)는 차량의 전방 조수석 사이드 글라스(12)가 열린 상태로 저속 주행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노이즈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그러나 차속이 80~100KPH 이상으로 고속 주행하는 경우에는 "B-PLR"을 타격하는 노이즈를 발생시키고 이는 운전자 및 탑승자에게 불쾌감을 주게 된다.
이와 같은 "B-PLR"을 타격하면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의 가장 손쉬운 방법은 아웃사이드 미러(10)의 미러 베이스(30)에 디플렉터(40)를 일정 높이 수준으로 추가하여 공기의 유동 궤적(P)을 차량의 후방 도어 글라스(14)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노이즈를 개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B-PLR"을 타격하면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즉 아웃사이드 미러(10)가 장착된 미러 베이스(30)상에 상하 방향으로 대략 10~15mm 높이의 디플렉터(40)를 돌출시키면 차량의 고속 주행 중에 공기가 디플렉터(40)를 타고 열린 상태의 전방 도어 글라스(12)를 지나 후방 도어 글라스(14) 측으로 넘어 이동됨으로써 열린 상태의 전방 도어 글라스(12)에서 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노이즈를 개선하기 위하여 디플렉터(40)의 높이를 증대시키면 노이즈 개선효과와 1열 도어 글라스(12)에 빗물 맺힘에 의한 미러 시계확보와 같은 어려움 문제등이 개선되나, 디플렉터(40)로 인하여 디자인 외관 상품성의 악화 요인이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디플렉터(40)의 설치는 신차의 디자인 자유도를 크게 해치게 되므로 디플렉터(40)의 높이를 증대시킬 수도 없고, 그에 따라서 외관 형상의 악화없이 노이즈 발생을 줄이기 위한 신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차량의 전방 조수석 사이드 글라스가 열린 상태로 고속 주행하는 경우에도 "B-PLR"노이즈를 발생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디자인 외관 상품성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개선된 차량의 고속 주행시 아웃 사이드 미러의 노이즈저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속도에 따라서 디플렉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디자인 외관의 상품성 저하없이 노이즈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운전석 도어 글라스에 빗물 맺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으로써 주행 성능과 운전자의 안전 운행에 도움을 주어 상품성이 개선된 차량의 고속 주행시 아웃 사이드 미러의 노이즈저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여 일정 속도 이상에서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속도 제어 센서; 상기 속도 제어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속도 제어 센서로부터의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서 동작을 개시하는 구동 수단; 및 상기 구동 수단에 연결되고 미러 베이스에 내장된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구동 수단의 작동으로 미러 베이스로부터 돌출하여 미러 베이스 표면을 흐르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바꾸는 디플렉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수단은 정역회전이 가능한 전기 모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는 와이어 로프가 감기고, 상기 와이어 로프는 디플렉터에 연결되어 미러 베이스로부터 디플렉터를 작동시키며, 상기 와이어 로프는 모터의 회전축과 디플렉터의 사이에 롤러를 경유하여 연장되는 구조이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플렉터는 미러 베이스에 힌지핀을 중심으로 일측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힌지핀에는 코일 스프링이 장착되어 디플렉터를 미러 베이스의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탄력지지하며, 상기 디플렉터는 타측이 구동 수단의 와이어 로프에 연결되어 구동 수단의 작동으로 미러 베이스에 대해 출입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차량이 기준 속도 이하인 경우에는 디플렉터가 미러 베이스에 내장되고, 기준 속도 이상의 고속에서는 미러 베이스로부터 돌출하여 노이즈 발생을 방지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고속 주행시 발생하는 노이즈를 저감시키는 차량의 고속 주행시 아웃 사이드 미러의 노이즈저감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여 일정 속도 이상에서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속도 제어 센서; 상기 속도 제어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속도 제어 센서로부터의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서 동작을 개시하는 구동 수단; 및 상기 구동 수단에 연결되고 미러 베이스에 내장된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구동 수단의 작동으로 미러 베이스로부터 돌출하여 미러 베이스 표면을 흐르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바꾸는 디플렉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수단은 속도 제어 센서에 의해서 동작하는 콤프레서로 이루어지고, 상기 콤프레서는 공압 실린더에 공압을 제공하도록 연결되어 공압 실린더의 로드에 연결된 디플렉터를 미러 베이스에 대해 출입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쉽게 아웃사이드 미러의 미러 베이스에 장착가능하고, 차량의 속도에 따라서 디플렉터를 미러 베이스로부터 돌출시키며 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주행 속도가 일저한 속도 이상에 도달하면 구동 수단을 통해서 디플렉터를 미러 베이스로부터 돌출시킴으로써 차량의 전방 조수석 사이드 글라스가 열린 상태로 고속 주행하는 경우에도 "B-PLR"노이즈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차량이 정지 상태이거나 일정 속도 미만에서는 디플렉터가 미러 베이스의 내측에 내장되어 돌출하지 않으므로 차량의 외관을 훼손시키지 않아서 디자인 외관 상품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우수한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속도에 따라서 디플렉터의 높이를 높거나 낮게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디자인 외관의 상품성 저하없이 노이즈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공기 유동방향을 제어하여 운전석 도어 글라스에 빗물 맺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으로써 차량의 주행 성능과 운전자의 안전 운행에 도움을 주어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우수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고속 주행시 아웃 사이드 미러의 노이즈저감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러 베이스(110)로부터 디플렉터(120)가 차량의 속도에 따라서 돌출하여 공기의 유동 방향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고속 주행시 아웃 사이드 미러의 노이즈저감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여 일정 속도 이상에서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속도 제어 센서(13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속도 제어 센서(130)는 기존의 차량의 속도 검출 센서(미 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차량의 속도가 약 60 KPH를 초과하게 되면 전기적인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속도 제어 센서(130)는 구동 수단(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적인 신호를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동 수단(140)은 예를 들면 정역회전이 가능한 전기 모터(142)로 이루어지는데, 이와 같은 전기 모터(142)로 이루어진 구동 수단(140)은 예를 들면 차량의 속도가 약 60 KPH의 기준 속도를 넘게 되면 그 회전축(144)이 정회전하고, 그 기준 속도 이하에서는 역회전하여 그 회전축(144)이 홈 위치에 놓여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142)의 회전축(144)에 와이어 로프(146)가 감기게 되면 정 회전시에는 와이어 로프(146)를 풀어 주고, 역회전시에는 와이어 로프(146)를 당기게 된다.
상기 회전축(144)에 감기는 와이어 로프(146)는 그 일측단이 회전축(144)에 감긴 상태에서 타측단은 디플렉터(120)에 연결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와이어 로프(146)는 모터(142)의 회전축(144)과 디플렉터(120)의 사이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리브(148)를 경유하여 연장되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150)를 경유하여 연장되어 방향이 전환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 수단(140)은 전기 모터(142)로 이루어지는 경우 와이어 로프(146)를 통하여 미러 베이스(110)로부터 디플렉터(120)를 당기고 풀어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동 수단(140)에 연결되어 동작하는 디플렉터(120)는 도 4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미러 베이스(110)에 힌지핀(112)을 중심으로 그 일측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데 그 단면은 대략 "ㄱ"형의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폭은 대략 20mm 정도이며, 그 길이는 미러 베이스(110)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미러 베이스(110)에 마련된 상하 방향의 긴 구멍(114)에 일치하도록 끼워진다.
이와 같은 디플렉터(120)는 힌지핀(112)에 복수의 코일 스프링(116)이 장착되어 도 5에 단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디플렉터(120)를 미러 베이스(110)의 외측으로 돌출시키도록 항상 탄력지지한다.
이와 같은 디플렉터(120)는 타측, 즉 힌지핀(112)에 연결된 반대측에 형성된 고리(122)가 구동 수단(140)의 와이어 로프(146)에 연결되어 구동 수단(140)의 작동으로 미러 베이스(110)에 대해 긴 구멍(114)내에서 출입하도록 구성되는데, 예를 들면 차량이 약 60 KPH 미만의 속도로 진행하면 전기 모터(142)의 회전축(144)이 홈 위치에 있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와이어 로프(146)를 당겨서 도 4 및 도 5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디플렉터(120)가 미러 베이스(110)의 긴 구멍(114)에 내장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그러나 차량의 속도가 약 60 KPH 를 넘어서게 되면 전기 모터(142)의 회전축(144)은 정회전하면서 와이어 로프(146)를 풀어주게 되고, 디플렉터(120)는 와이어 로프(146)에 연결된 타측이 힌지핀(11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도 4 및 도 5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미러 베이스(110)의 긴 구멍(114)으로부터 돌출하고, 미러 베이스(110)의 표면을 흐르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바꾸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고속 주행시 아웃 사이드 미러의 노이즈저감장치(1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수단(140)이 전기 모터(142)로 이루어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와는 다르게 상기 구동 수단(140')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콤프레서(162)와 공압 실린더(16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구동 수단(140')은 속도 제어 센서(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차량의 속도가 약 60 KPH를 넘는 경우에 발생하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서 동작하는 콤프레서(162)와 상기 콤프레서(162)에 공압 도관(166a)(166b)을 통하여 연결되어 로드(164a)가 전후진 동작을 하는 공압 실린더(164)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 수단(140')은 콤프레서(162)가 공압 실린더(164)에 공압을 제공하여 공압 실린더(164)의 로드(164a)를 전진시키면 도 6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드(164a)에 연결된 디플렉터(120')가 미러 베이스(110)의 긴 구멍(114)으로부터 돌출하고, 그 반대로 공압 실린더(164)의 로드(164a)를 후진시키면 도 6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디플렉터(120')가 미러 베이스(110)의 긴 구멍(114)내로 삽입되어 돌출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디플렉터(12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미러 베이스(110)에 힌지핀(112)을 통하여 연결되지는 않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구멍(114)의 내부에서 직선적으로 전후진이 가능한 구조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공압 실린더(164)의 작동으로 미러 베이스(110)로부터 쉽게 출입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고속 주행시 아웃 사이드 미러의 노이즈저감장치(100)는 차량에 내장된 속도 제어 센서(130)가 차량의 시속 약 60KPH 이상에서는 전기적 신호를 구동 수단(140)(140')에 인가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 수단(140)(140')은 디플렉터(120)(120')를 동작시키는데, 예를 들면 구동 수단(140)이 전기 모터(142)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전기 모터(142)의 회전축(144)이 정회전하여 와이어 로프(146)를 풀어주게 되고, 이와 같이 와이어 로프(146)를 풀어주면, 디플렉터(120)는 코일 스프링(116)에 의해서 항상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려 하기 때문에 힌지핀(112)을 중심으로 디플렉터(120)가 회전하여 미러 베이스(110)의 긴 구멍(114)으로부터 돌출한다.
또는 상기 구동 수단(140')이 콤프레서(162)와 공압 실린더(164)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공압 실린더(164)의 로드(164a)를 전진시켜 로드(164a)에 연결된 디플렉터(120')가 미러 베이스(110)의 긴 구멍(114)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각각의 경우에서 미러 베이스(110)의 외측으로 돌출된 디플렉 터(120)(120')는 미러 베이스(11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변경시켜 전방 차량의 고속 주행 중에 공기가 디플렉터(120)(120')를 타고 열린 상태의 전방 도어 글라스(12)를 지나 후방 도어 글라스(14)측으로 넘어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전방 도어 글라스(12)에 의한 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차량의 속도가 시속 약 60KPH 미만으로 낮아지게 되면 전기적 신호를 구동 수단(140)에 인가하여 전기 모터(142)는 그 회전축(144)을 역회전시켜서 회전축(144)에 와이어 로프(146)를 당겨 감고 디플렉터(120)가 힌지핀(112)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미러 베이스(110)의 긴 구멍(114) 내로 들어오도록 한다.
또한 구동 수단(140')은 콤프레서(162)와 공압 실린더(164)를 통하여 로드(164a)를 당겨서 디플렉터(120')가 미러 베이스(110)의 긴 구멍(114) 내부로 들어오도록 하여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차량의 기준 속도인 약 60 KPH를 기준으로 디플렉터(120)(120')가 미러 베이스(110)에 출입하는 구조로 제어할 수 있지만, 차량의 속도에 비례적으로 디플렉터(120)(120')의 돌출 크기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차량 시속이 약 50 KPH에서는 50%만 돌출시키고, 약 60 KPH로 진행할 수록 점차 돌출 정도를 비례적으로 크게 할 수도 있고, 약 60 KPH로부터 낮아질수록 비례적으로 돌출 정도를 적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속도가 기준 속도에 도달하면 구동 수단(140)(140')을 통해서 디플렉터(120)(120')를 미러 베이스(110)로부터 돌출시킴 으로써 차량의 전방 조수석 사이드 글라스(12)가 열린 상태로 고속 주행하는 경우에도 "B-PLR"노이즈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운전자및 탑승자는 쾌적한 상태로 차량의 드라이빙을 즐길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차량이 정지 상태이거나 60 KPH 미만의 속도에서는 디플렉터(120)(120')가 미러 베이스(110)의 내측에 내장되어 돌출하지 않으므로 차량의 외관을 훼손시키지 않아서 차량의 외관을 멋지게 유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서 차량의 디자인 외관 상품성을 저하시키지 않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속도에 따라서 디플렉터(120)(120')의 높이를 높거나 낮게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아웃사이드 미러(10)를 통한 노이즈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공기 유동방향을 제어하여 운전석 도어 글라스에 빗물 맺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으로써 차량의 주행 성능과 운전자의 안전 운행에 도움을 주어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차량의 속도 제어 센서(130)가 검출라는 기준 속도가 60 KPH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특정 속도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에서는 구동 수단(140)(140')으로서 전기 모터(142)와 와이어 로프(146)를 이용하거나 또는 콤프레서(162)와 공압 실린더(164)를 이용하였지만, 이와는 다르게 구동 모터(142)에 랙과 피니언(미 도시)을 이용하여 디플렉터(120)를 연결하고 출입시키는 구조로도 변경가능할 것이다. 그렇지만 그와 같은 단순한 실시 예의 수정 또는 설계변형 구조들은 모두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을 미리 밝혀 두고자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아웃사이드 미러가 장착된 차량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디플렉터가 미러 베이스에 구비된 차량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아웃 사이드 미러의 노이즈저감장치가 미러 베이스에 장착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아웃 사이드 미러의 노이즈저감장치에서 와이어 로프가 디플렉터에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아웃 사이드 미러의 노이즈저감장치에서 와이어 로프가 롤러를 통하여 디플렉터에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아웃 사이드 미러의 노이즈저감장치에서 구동 수단이 콤프레서와 공압 실린더로 이루어진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차량 10 : 아웃사이드 미러
12 : 전방 조수석 사이드 글라스 14 : 후방 도어 글라스
30 : 미러 베이스 40 : 디플렉터
100 : 본 발명에 따른 아웃 사이드 미러의 노이즈저감장치
110 : 미러 베이스 112 : 힌지핀
114 : 긴 구멍 116 : 코일 스프링
120,120' : 디플렉터 130 : 속도 제어 센서
140,140' : 구동 수단 142 : 전기 모터
144 : 회전축 146 : 와이어 로프
148 : 지지 리브 150 : 롤러
162 : 콤프레서 164 : 공압 실린더
166a,166b : 공압 도관

Claims (5)

  1. 차량의 고속 주행시 발생하는 노이즈를 저감시키는 차량의 고속 주행시 아웃 사이드 미러의 노이즈저감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여 일정 속도 이상에서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속도 제어 센서; 상기 속도 제어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속도 제어 센서로부터의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서 동작을 개시하는 구동 수단; 및 상기 구동 수단에 연결되고 미러 베이스에 내장된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구동 수단의 작동으로 미러 베이스로부터 돌출하여 미러 베이스 표면을 흐르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바꾸는 디플렉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수단은 정역회전이 가능한 전기 모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는 와이어 로프가 감기며, 상기 와이어 로프는 디플렉터에 연결되어 미러 베이스로부터 디플렉터를 작동시키고, 상기 와이어 로프는 모터의 회전축과 디플렉터의 사이에 롤러를 경유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고속 주행시 아웃 사이드 미러의 노이즈저감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는 미러 베이스에 힌지핀을 중심으로 일측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힌지핀에는 코일 스프링이 장착되어 디플렉터를 미러 베이스의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탄력지지하며, 상기 디플렉터는 타측이 구동 수단의 와이어 로프에 연결되어 구동 수단의 작동으로 미러 베이스에 대해 출입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고속 주행시 아웃 사이드 미러의 노이즈저감장치.
  4. 삭제
  5. 차량의 고속 주행시 발생하는 노이즈를 저감시키는 차량의 고속 주행시 아웃 사이드 미러의 노이즈저감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여 일정 속도 이상에서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속도 제어 센서; 상기 속도 제어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속도 제어 센서로부터의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서 동작을 개시하는 구동 수단; 및 상기 구동 수단에 연결되고 미러 베이스에 내장된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구동 수단의 작동으로 미러 베이스로부터 돌출하여 미러 베이스 표면을 흐르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바꾸는 디플렉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수단은 속도 제어 센서에 의해서 동작하는 콤프레서로 이루어지고, 상기 콤프레서는 공압 실린더에 공압을 제공하도록 연결되어 공압 실린더의 로드에 연결된 디플렉터를 미러 베이스에 대해 출입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고속 주행시 아웃 사이드 미러의 노이즈저감장치.
KR1020080100164A 2008-10-13 2008-10-13 차량의 고속 주행시 아웃 사이드 미러의 노이즈저감장치 KR100946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164A KR100946514B1 (ko) 2008-10-13 2008-10-13 차량의 고속 주행시 아웃 사이드 미러의 노이즈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164A KR100946514B1 (ko) 2008-10-13 2008-10-13 차량의 고속 주행시 아웃 사이드 미러의 노이즈저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6514B1 true KR100946514B1 (ko) 2010-03-11

Family

ID=42183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0164A KR100946514B1 (ko) 2008-10-13 2008-10-13 차량의 고속 주행시 아웃 사이드 미러의 노이즈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65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11019A (zh) * 2019-04-01 2019-06-21 吉林大学 一种基于主动涡流控制的气动降噪汽车a柱装置及其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4020U (ja) 1984-02-17 1985-09-0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サイドウインド用泥避け装置
KR0127075Y1 (ko) * 1994-10-20 1998-10-01 전성원 가변덕트를 이용한 풍절음 감쇠장치
US20070159120A1 (en) * 2006-01-10 2007-07-12 Xijia Zhu Deployable deflector for outside mirror
KR100803312B1 (ko) 2006-12-14 2008-0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4020U (ja) 1984-02-17 1985-09-0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サイドウインド用泥避け装置
KR0127075Y1 (ko) * 1994-10-20 1998-10-01 전성원 가변덕트를 이용한 풍절음 감쇠장치
US20070159120A1 (en) * 2006-01-10 2007-07-12 Xijia Zhu Deployable deflector for outside mirror
KR100803312B1 (ko) 2006-12-14 2008-0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윈드 디플렉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11019A (zh) * 2019-04-01 2019-06-21 吉林大学 一种基于主动涡流控制的气动降噪汽车a柱装置及其控制方法
CN109911019B (zh) * 2019-04-01 2024-02-06 吉林大学 一种基于主动涡流控制的气动降噪汽车a柱装置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92193B (zh) 用于选择性控制风噪声、风扰动、积雪和水分的主动车辆支柱装置
JP5429551B2 (ja) 車両用グリル制御機構
CN108068898B (zh) 用于rv车辆的扰流装置
US20090284043A1 (en) Motor vehicle
JP2015044538A (ja) 車両用空力装置
KR101887699B1 (ko) 차량용 페달 수납 장치
CN107074080B (zh) 车辆的装饰件结构
KR100946514B1 (ko) 차량의 고속 주행시 아웃 사이드 미러의 노이즈저감장치
JP6734725B2 (ja) 車両用空気流制御装置
KR101930713B1 (ko) 액티브 에어 가이드 장치
JP2008260406A (ja) 車両用空力制御装置
KR101371938B1 (ko) 대형 차량의 사이드 스포일러 길이 조절 장치
JP2018135054A (ja) 車両用空気抵抗低減装置及び車両
JP2005350005A (ja) リアスポイラ装置
JP2008195107A (ja) ウインドスロッブ低減装置
KR20120136441A (ko) 자동차용 설상 장치
KR100528594B1 (ko) 차량 선루프의 노이즈 방지구조
JP4994555B2 (ja) 車両用オープンルーフ構造
JP4909780B2 (ja) フロントスポイラー装置
JP6327212B2 (ja) デバイス駆動構造
KR100720787B1 (ko) 차량용 선루프 디플렉터
CN202368305U (zh) 汽车的辅助降温系统和汽车
KR20190041338A (ko) 차량의 필러용 딤플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JP4924277B2 (ja) 車両用デフレクタ機構
KR20190083125A (ko) 차량용 후륜 공기저항 감소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