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7745A - 분리형 자주기 - Google Patents

분리형 자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7745A
KR20060007745A KR1020040056980A KR20040056980A KR20060007745A KR 20060007745 A KR20060007745 A KR 20060007745A KR 1020040056980 A KR1020040056980 A KR 1020040056980A KR 20040056980 A KR20040056980 A KR 20040056980A KR 20060007745 A KR20060007745 A KR 20060007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elf
propelled
power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6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2074B1 (ko
Inventor
백주흠
김성욱
박현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6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2074B1/ko
Publication of KR20060007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7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2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2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02Suspension of the load; Guiding means, e.g. wheels; Attaching traction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7/00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 B61B7/06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with self-propelled veh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형 자주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부와 동력부 사이에 단단한 연결수단 상호 힌지 결합하여 상하 회전 가능하며 분리 또한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의 하측에 구동모터를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부와 동력부가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어 상호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일정굴곡을 이루는 가공지선을 따라 이동 시 구동부와 동력부의 일정간격이 유지됨은 물론, 무게중심이 하측으로 유지됨으로 지면과 수직상태 및 가공지선의 결을 따라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철탑 건너편의 가공지선에 상기 구동부와 동력부를 각각 이동시킬 수 있음으로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송전탑, 가공지선, 자주기, 분리형

Description

분리형 자주기{Detachable self-driving machine}
도 1은 종래 자주기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자주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가공지선 20 : 가이드 로프
30 : 폴링로프 100 : 자주기
110 : 구동부 112 : 구동모터
120 : 동력부 122 : 동력원
124 : 롤러부 130 : 연결수단
140 : 제어부
본 발명은 구동부와 동력부 사이에 단단한 연결수단이 힌지 결합하여 회전 및 분리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의 하측에 구동모터를 구비함으로서, 구동부와 동력부가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어 상호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일정굴곡을 이루는 가공지선을 따라 이동 시 구동부와 동력부의 일정간격이 유지됨은 물론, 무게중심이 하측으로 유지됨으로 지면과 수직상태 및 가공지선의 결을 따라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철탑 건너편의 가공지선에 상기 구동부와 동력부를 각각 이동시킬 수 있음으로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분리형 자주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전탑에는 다수개의 송전선이 설치되고 그 상측에 가공지선이 형성되는데, 상기 가공지선(GW : Ground wire)은 낙뢰에 의해 송전선이 단선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최근에 들어, 상기 가공지선은 단순한 낙뢰유도 만을 위해 사용되지 않고, 내부에 광케이블을 설치하여 통신수단으로써의 기능을 겸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가공지선을 광복합가공지선(OPGW : OPtical fiber Ground Wire)이라고 하며, 이는 상기 가공지선이 낙뢰에 맞을 확률이 극히 적기 때문에 낙뢰 유도에 의한 단선이 잘 발생되지 않음으로 통신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미 설치되어 있던 가공지선을 광복합 가공지선으로 교체하는 작업이 이루어지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자주기와 다수개의 가이드 롤러에 의해 이루어지며, 다 교체된 다음 회수기를 작동시켜 교체선 및 가이드 롤러를 회수함으로 교체작업이 마무리된다.
도 1은 종래 자주기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송전탑의 가공지선(10)을 따라 이동되는 자주기(40)가 구비되고, 이 자주기(40)에는 가이드 로프(20)와 풀링로프(30)가 연결되어 가공지선(1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로프(20)와 풀링로프(30)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 간격마다 조금차(70)를 설치하여 상기 자주기(4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자주기(40)는 구동부(50)와 동력부(60)로 형성되는데, 상기 구동부(50)와 동력부(60)는 와이어(8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동력부(60)의 동력을 인가 받아 상기 구동부(50)의 구동모터(52)가 작동되도록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 자주기(40)는 구동부(50)와 동력부(60)가 와이어(80)로 연결되기 때문에, 하방경사의 가공지선(10)을 이동 시, 상호 일정 간격을 유지하지 못해 구동부(50)와 동력부(60)가 추돌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그리고, 상기 가공지선(10)이 상방경사를 이룰 때, 순간적인 부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구동부(50)와 동력부(60)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와이어(80)에 연결된 동력케이블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구동부(50)와 동력부(60)는 와이어(80)에 의해 연결되어 상호 분리되지 않음으로 송전탑의 건너편 가공지선(10)에 상기 구동부(50)와 동력부(60)를 동시에 이동 시켜야 됨으로 작업인원이 많이 필요하고, 별도의 안전장치를 구비해야됨으로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구동부와 동력부 사이에 단단한 연결수단이 힌지 결합하여 회전 및 분리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구동부의 하측에 구동모터를 구비함으로서, 구동부와 동력부가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어 상호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일정굴곡을 이루는 가공지선을 따라 이동 시 구동부와 동력부의 일정간격이 유지됨은 물론, 무게중심이 하측으로 유지됨으로 지면과 수직상태 및 가공지선의 결을 따라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철탑 건너편의 가공지선에 상기 구동부와 동력부를 각각 이동시킬 수 있음으로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분리형 자주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롤러부가 형성되고,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원이 구비된 동력부와; 상기 동력부의 동력을 인가 받아 가공지선을 따라 이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동력부 사이에 강체로 이루어진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자주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구동부와 동력부가 단단한 연결수단에 의해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어서, 가공지선을 따라 이동할 때 경사각이 변경되더라도 구동부와 동력부가 상호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자주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송전탑의 가공지선(10)을 따라 이동되는 자주기(100)가 구비되고, 이 자주기(100)에는 가이드 로프(20)와 풀링로프(30)가 연결되어 가공지선(1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로프(20)와 풀링로프(30)가 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 간격마다 조금차(70)를 설치하여 상기 자주기(10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자주기(100)는 구동부(110)와 동력부(120)로 형성되는데, 상기 구동부(110)와 동력부(120)는 단단한 강체로 이루어진 연결수단(130)에 의해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동력부(120)의 동력을 인가 받아 상기 구동부(110)의 구동모터(112)가 작동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연결수단(130)은 강체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강체로는 금속, 목재, 플라스틱 및 복합재 등이 적용 가능한바, 구동부(110)와 동력부(120)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함은 물론, 상기 동력부(120)의 동력을 구동부(110)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케이블(133)을 보호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수단(130)의 양 끝단은 상기 구동부(110) 및 동력부(120)에 각각 힌지(131) 결합함으로서, 자주기(100)가 가공지선(10)을 따라 이동할 때, 상하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130)은 구동부(110) 및 동력부(120)에 탈 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연결수단(130)이 구동부(110) 및 동력부(120)와 분리 가능함으로 송전탑 건너의 가공지선(10)으로 이동 시, 상기 구동부(110)와 동력부(120)를 분리하여 따로 이동시킬 수 있음으로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동력부(120)는 하측에 동력원(122)이 형성되고, 상측에는 롤러부(124)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구동부(110)에 동력을 전달하게 되는데, 이러한 구동부(110)가 가공지선(10)을 따라 이동하여 가이드 로프(20)와 폴링로프(30)를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부(110)는 구동모터(112)가 하측에 형성됨으로 무게중심이 하측으로 유지되어 지면과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가공지선(10)의 나선형 결을 따라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110)는 가공지선(10)의 상부에 구동롤러(114)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롤러(114)와 구동모터(112)는 동력연결수단(119)에 의해 연결된다.
이러한 동력연결수단(119)으로는 벨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주기(100)는 무선으로 제어가 가능하도록 제어수단(14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수단(140)은 자주기(100)의 구동부(120)에 구비되는 제어부(141) 및 상기 제어부(141)에 무선 신호를 보내는 무선 송신부(142)로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자주기(100)가 가공지선(10)을 따라 이동 중에 가공지선(10)의 경사가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변화하면, 이에 따라 연결수단(130)은 구동부(120) 및 동력부(110)에 힌지(131) 결합하여 일정각도 회전하면서, 구동부와 동력부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준다.
그리고, 상기 연결수단(130)은 구동부(120)와 동력부(110) 사에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서, 자주기(100)가 송전탑 건너의 가공지선(10)으로 이동할 때, 상기 구동부(120)와 동력부(110)를 별도로 분리하여 이동 가능하여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동력부(110)에 구비된 구동모터(112)가 하측에 형성됨으로서, 전체적으로 무게 중심이 하측으로 유지되어, 상기 자주기(100)의 이동 특히, 동력부의 이동이 원활해진다.
뿐만 아니라, 무선으로 자주기(100)를 작동시킬 수 있는 제어수단(140)이 구비됨으로서, 무선 조작에 따른 작업인원을 감축시키고, 위험요소가 제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자주기에 의하면, 구동부와 동력부가 단단한 연결수단에 의해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어 상호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수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됨으로 자주기가 가공지선을 따라 상·하향 이동 시 연결수단이 일정각도 회전하여, 상기 구동부와 동력부가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의 구동모터가 하측에 구비되어 무게중심을 하측으로 유지시켜 구동부가 가공지선의 결을 따라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연결수단이 구동부 및 동력부와 분리 가능함으로써, 철탑 건너편의 가공지선에 상기 구동부와 동력부를 각각 이동 가능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1. 롤러부가 형성되고,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원이 구비된 동력부와;
    상기 동력부의 동력을 인가 받아 가공지선을 따라 이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동력부 사이에 강체로 이루어진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자주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구동모터가 하측에 구비되어 무게중심이 하측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자주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와이어의 상부에 구동롤러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롤러와 구동모터는 동력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자주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구동부 및 동력부가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자주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동력전달케이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자주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동력부와 구동부에 각각 힌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자주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주기는 무선으로 제어가 가능하도록 제어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자주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자주기의 구동부에 구비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무선 신호를 보내는 무선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자주기.
KR1020040056980A 2004-07-21 2004-07-21 분리형 자주기 KR100632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980A KR100632074B1 (ko) 2004-07-21 2004-07-21 분리형 자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980A KR100632074B1 (ko) 2004-07-21 2004-07-21 분리형 자주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7745A true KR20060007745A (ko) 2006-01-26
KR100632074B1 KR100632074B1 (ko) 2006-10-04

Family

ID=37118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6980A KR100632074B1 (ko) 2004-07-21 2004-07-21 분리형 자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20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216B1 (ko) * 2007-02-05 2008-09-1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가공선 감시시스템
CN114426033A (zh) * 2021-12-31 2022-05-03 淮北矿业股份有限公司 一种猴车钢丝绳提升张拉紧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0277B2 (ja) * 1997-11-07 2008-04-02 株式会社かんでんエンジニアリング 自走式スリーブ抵抗測定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1016729A (ja) * 1999-06-24 2001-01-19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けん引機をそなえた宙乗機
KR100573003B1 (ko) * 2004-01-29 2006-04-24 주식회사 청우에스이 분리형 자주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216B1 (ko) * 2007-02-05 2008-09-1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가공선 감시시스템
CN114426033A (zh) * 2021-12-31 2022-05-03 淮北矿业股份有限公司 一种猴车钢丝绳提升张拉紧固装置
CN114426033B (zh) * 2021-12-31 2024-04-19 淮北矿业股份有限公司 一种猴车钢丝绳提升张拉紧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2074B1 (ko) 2006-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9641B1 (ko) 애자 청소용 로봇과 그 청소방법
KR101870090B1 (ko) 전기식 항타기
KR100632074B1 (ko) 분리형 자주기
CN106917632A (zh) 通风装置
CN108545399A (zh) 一种切板机进料输送装置
KR100950782B1 (ko) 포크레인 시스템
KR101634728B1 (ko) 타워크레인 안전장치
CN110498356A (zh) 一种绞车及其排绳装置
KR101965758B1 (ko) 전선 중계 피더
CN110450132A (zh) 一种适用于阶梯通道的智能巡检装置
CN216996203U (zh) 一种叉壁式棒材搬运工装
CN204917445U (zh) 取料机动力电缆导缆装置
KR200330954Y1 (ko) 케이블파이프내 전선배열용 리드와이어 견인장치
CN205500349U (zh) 一种螺旋卸船机
KR100632056B1 (ko) 가공선 가설용 자주기
CN206581965U (zh) 通风装置
CN112938657A (zh) 铺设电缆装置和电缆卷放车
KR100589638B1 (ko) 애자 청소용 로봇의 세척장치
CN117303136B (zh) 电缆收放装置
WO2009061101A2 (en) Articulating type electric jib crane
CN109484825A (zh) 一种凸头工件的可调节定向排列装置
KR200264991Y1 (ko) 무대설비
CN217024793U (zh) 一种建筑电气线缆输送装置
CN216807385U (zh) 一种平移式三通供料自动切换装置
CN208644818U (zh) 棒材加工联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