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4991Y1 - 무대설비 - Google Patents

무대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4991Y1
KR200264991Y1 KR2020010035256U KR20010035256U KR200264991Y1 KR 200264991 Y1 KR200264991 Y1 KR 200264991Y1 KR 2020010035256 U KR2020010035256 U KR 2020010035256U KR 20010035256 U KR20010035256 U KR 20010035256U KR 200264991 Y1 KR200264991 Y1 KR 2002649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equipment
frame
main frame
stage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52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영
Original Assignee
최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영 filed Critical 최진영
Priority to KR20200100352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49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49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4991Y1/ko

Links

Landscapes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극장 또는 공연장의 무대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무대설비(100)는, 수직 왕복 이동되는 주무대의 전방무대(110) 및 상기 전방무대를 지나 객석 바로 앞까지 수평 이동되는 후방무대의 이동무대(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무대설비는 공연할 때 관객의 시야를 더욱 가깝게 접근시킬 수 있고 신속한 장면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대설비{A stage equipment}
본 고안은 극장 또는 공연장의 무대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객의 시야를 더욱 가깝게 접근시킬 수 있고 신속한 장면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무대설비에 관한 것이다.
문화예술공간인 공연장 또는 극장(이하, `공연장'이라 한다)은 일반적으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주무대(11), 측방무대(12), 후방무대(13), 오케스트라무대(14) 및 객석(15)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공연장의 통상적인 무대설비(10)에서 주무대(11)는 다수의 리프트(16)가 다단으로 또는 동시에 상하 왕복 이동될 수 있으며, 측방무대(12) 또는 후방무대(13)는 그 이동무대(13a)가 이동무대(13a)의 하부에 부착된 바퀴와 구동 레일(미도시됨) 등에 의해 주무대 쪽으로 이동되고, 상기 이동무대의 하방에 위치한 매설무대(sinking stage)(13b)가 무대의 높이에 맞춰 상승하도록 구성되어 다양한 무대 장치물(stage set)을 설치하여 연출이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의 무대설비에서는 이동무대가 이동될 때 무대의 바닥(floor)과 맞닿아 굴려다니고 중하중에 따른 무대 바닥의 손상이 심하였다. 또한, 후방무대의 이동무대(13a)가 주무대의 전방무대(proscenium)(11a) 바로 앞까지만 이동되어 주무대의 한정된 장소에서만 공연이 가능하였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무대설비와는 달리, 주무대는 물론 객석 바로 앞까지 이동무대가 이동되어 무대 공간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고, 신속한 장면 변화와 다양한 무대 형태에 대응이 가능하여 무대 연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새로운 무대설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의 공연장의 개략 구성도로서, 도1a는 평면도, 도1b는 도1a의 A-A 단면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공연장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공연장의 무대설비에 대한 구성도로서, 도3a는 평면도, 도3b는 단면도이다.
도4a는 본 고안에 따른 무대설비의 전방무대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4b는 측면도, 그리고 도4c는 도4a의 B부 상세도이다.
도5는 도4의 오케스트라 보조대의 상세도로서, 도5a는 평면도, 도5b는 정면도이다.
도6은 전방무대의 구동수단의 일부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7a 내지 도7c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무대설비의 이동무대에 대한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무대설비의 객석부분에 대한 상세도로서, 도7a는 객석 난간대의 정면도, 도7b는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무대설비 101 ... 주무대
104 ... 측방무대의 중간매설무대 105 ... 측방무대의 이동무대
110 ... 전방무대 111 ... 오케스트라 보조대
120 ... 제1 구동수단 200 ... 후방무대 220 ... 제2 구동수단
230 ... 매설무대 300 ... 오케스트라 무대
320 ... 객석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무대설비는, 후방무대의 이동무대가 주무대로 왕복 이동하는 무대설비에서, 수직 왕복 이동되는 주무대의 전방무대 및 상기 전방무대를 지나 객석 바로 앞까지 수평 이동되는 후방무대의 이동무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무대설비를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공연장의 전체 구성을 보이고 있으며, 도3은 상기 공연장에서 본 고안에 따른 무대설비에 대한 구성을 보이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무대설비(100)는,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주무대(101), 측방무대(104)(105), 후방무대(200), 오케스트라무대(300) 및 객석(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무대설비(100)는 주무대의 전방무대(110)가 수직 이동하는한편 후방무대의 이동무대(210)와 전방무대의 이동무대(105)가 상기 전방무대(110)를 지나 객석(320) 바로 앞까지 수평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도4는 이러한 전방무대(11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보이고 있다. 도4a는 본 고안에 따른 무대설비의 전방무대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4b는 측면도, 그리고 도4c는 도4a의 B부 상세도이다.
상기 전방무대(110)는 도4a 및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31)의 상, 하단에 고정된 상, 하부 프레임(130)(133)과, 상기 상, 하부 프레임(130)(133)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상, 하부 프레임 사이를 수직 왕복 이동하는 오케스트라 보조대(111) 및 상기 오케스트라 보조대(111)와 함께 상, 하부 프레임(130)(133)을 수직 왕복 이동시키는 제1 구동수단(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 프레임(130)에는 보통 무대장치물들이 설치되거나 공연자들이 공연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된다. 또한, 상부 프레임(130)의 일측에는 프롬트 박스(prompt box)(11b)를 설치할 수 있는 홀(110a)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 프레임(133)은 그 위에 가이드 레일(134)이 마련되며, 미도시된 로킹장치가 설치된다. 하부 프레임(133)에는 도2 및 도3b와 같이, 좌석이동무대(136)가 마련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33)의 하부에는 객석 측으로 방화커텐(137)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 하부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31)에는 필요한 무대장치물들을 보관할 수 있도록 다수의 바(132)들이 일정 간격을 두고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5는 상기 전방무대의 오케스트라 보조대(111)의 구동부를 상세히 보이고 있다. 상기 오케스트라 보조대(111)는 도5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131)에 하부 지지프레임(111b)이 부착되고, 상기 하부 지지프레임(111b) 위에 마련된 구동부(118)에 의해 상판 프레임(111a)이 수직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판 프레임(111a)의 하부에는 일측이 힌지 결합(114)되고 타측에 롤러(115)가 부착된 한 쌍의 암대(112)가 X자 모양으로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암대 사이에 구동잭(113)이 마련된다. 또한, 중앙에는 감속기와 모터를 포함한 구동부(118)가 위치하고, 이 구동부(118)에 베어링(117)으로 지지된 축(116)이 연결되어 상기 구동잭(113)에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한 쌍의 암대(112)는 그 벌어지는 각도에 따라 하부 지지프레임(111b)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상판 프레임(111a)만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오케스트라 보조대의 하부 지지프레임(111b) 상에 스토퍼(119)가 부착되는데, 이 스토퍼(119)는 상기 암대(112)가 일축으로 밀리지 않도록 완충 역할을 하여 만일에 있을 수 있는 구동부 등의 하자에 따른 상판 프레임(111a)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방무대를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제1 구동수단(120)은 도4a 및 도6에서와 같이,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 구동부(123)와, 상기 제1 구동부(123)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부(1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구동부는 통상 감속기를 포함한 모터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동부(126)는 제1 구동부(123)의 동력을 축(126b)과 커플링(126a)을 통해 하부 체인기어(126c)에 전달하고, 상기 하부 체인기어(126c)와 체결되어 구조물 지지대(128)을 따라 설치된 체인(126d)을 통해전방무대(110)을 승하강시키게 된다. 상기 전방무대(110)의 프레임(130)(133)의 측면에는 위치한 구조물 지지대(128)의 양측 끝단에는 시브 와인더(121a)가 마련되고, 시브 와인더들 사이에는 하부 프레임(133)의 브라켓(135)과 연결된 와이어(12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122)에는 전방무대(110)의 중량을 균형 잡는 웨이트 박스(124)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구조물 지지대(128)을 따라 전방무대(110)가 이동될 때 좌우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이드 레일(127)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 구동수단(120)이 위치한 무대의 바닥에는 다수의 스토퍼(125)가 설치되어 전방무대가 하강되는 위치를 정확히 통제하게 된다.
한편, 도7은 상기 무대설비의 이동무대(210)를 상세히 보이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무대설비의 후방무대(200)에서 이동무대(210)는 도7a와 같이, 중앙에는 회전되는 회전무대(211)가 안치되고, 양측면에 다수의 바퀴(212)들이 장착된 주프레임(213)과, 이 주프레임(213)이 이동되기 위한 레일(222) 및 제2 구동수단(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동무대(210)의 주프레임(213)은 도4c 및 도7c와 같이, 양측 바퀴(212a)가 레일(222) 상에 접하여 이동된다. 상기 주프레임(213)을 수평 왕복 이동시키는 제2 구동수단(220)은 도7a와 같이, 권동(winding drum) 또는 윈치(winch)와 같은 구동부(226)와, 상기 구동부(226)에 감겨져 주프레임(213)의 전후단 양쪽과 연결된 와이어(2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226)에서 와이어(224)를 권선하거나 풀어서 주프레임(213)이 레일(222)을 따라 수평 이동하게 된다. 이때, 이동무대(210)의 주프레임 측면에는 전원케이블(221)은 도4c와 같이,이동무대가 전방무대의 기둥과 접촉하는 것을 피하고 레일의 공간확보를 위하여 전방무대의 바닥 하단에 고정되지 않고 구조물 지지브라켓(129) 위에 설치된 케이블 트롤리(217) 등에 매달려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무대설비(100)는 무대와 객석이 항상 구분되는 종래의 무대설비(10)와는 달리, 다수의 관객이 수용될 수 있도록 객석 난간대를 바닥까지 하강시켜 관객의 시야를 보다 접근시킬 수 있다. 도8은 그러한 구조를 갖는 난간대의 구조를 보이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무대설비(100)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객석 바로 앞에는 구동잭(315)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어 난간대(319)의 하단에 연결된 시브와인더(313)의 와이어(314)를 통해 상기 난간대(319)가 가이드 롤러(312)의 안내로 수직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무대설비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무대설비(100)는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주무대의 다수의 리프트(103)들이 다단으로 혹은 동시에 하부의 지하층까지 하강된 후 전방무대(110)가 하강한다. 그 다음, 후방무대(200)의 이동무대(210)와 측방무대의 이동무대(105)가 객석(320) 측으로 전진하게 되면서 후방무대의 매설무대(230)와 측방무대의 매설무대들이 무대바닥과 동일한 높이로 상승하게 된다. 상기 이동무대(210)(105)는 주무대 또는 전방무대(110)를 지나 필요에 따라 객석 바로 앞까지 전진할 수 있다. 이렇게 이동무대(210)가 이동된 후에는 아래로 하강된 주무대에서 무대장치물을 설치 대기할 수 있고, 이동무대는 그 바닥이 항상 무대 바닥과 동일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어 다양한 무대 형태를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무대장치를 조속히 변화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부가적으로, 본 고안의 무대설비는 무대장치물의 신속한 장면 변화 뿐만 아니라 리프트나 전방무대가 하강하여 대기하고 있을 때 이동무대가 위쪽의 빈 공간을 덮어 주어 어두운 무대바닥에서 추락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전방무대의 오케스트라 보조대는 오케스트라 악사가 공연할 수 있고, 하부 프레임의 한측으로는 좌석 이동무대를 수납하여 많은 관객들이 보다 가까운 거리에서 공연을 관람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무대설비는 다양한 무대 형태를 형성하여 무대장치를 조속히 변화시킬 수 있어 신속한 장면 변화와 다양한 무대 형태에 대응이 가능하여 무대 연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새로운 무대설비에서는 주무대는 물론 객석 바로 앞까지 이동무대가 이동되어 무대 공간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다.

Claims (8)

  1. 후방무대와 측방무대의 이동무대가 주무대로 왕복 이동하는 무대설비에 있어서,
    수직 왕복 이동되는 주무대의 전방무대(110) 및
    상기 전방무대를 지나 객석 바로 앞까지 수평 이동되는 후방무대의 이동무대(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무대(110)는, 지지프레임(131)의 상하단에 고정된 상, 하부 프레임(130)(133);
    상기 상, 하부 프레임(130)(133)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상, 하부 프레임 사이를 수직 왕복 이동하는 오케스트라 보조대(111) 및
    상기 오케스트라 보조대(111)와 함께 상, 하부 프레임(130)(133)을 수직 왕복 이동시키는 제1 구동수단(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설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31)에는 무대장치물들을 보관할 수 있는 다수의 바(132)들이 일정 간격을 두고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설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수단(120)은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 구동부(123)와, 상기 제1 구동부(123)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부(126)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부(123)에서 발생된 동력이 순차적으로 축(126b), 커플링(126a), 하부 체인기어(126c)와 체인(126d)를 통해 전달되어 상기 하부 프레임(133)의 브라켓(135)과 연결된 와이어(122)에 의해 전방무대(110)을 승하강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설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케스트라 보조대(111)는, 상기 지지프레임(131)에 하부 지지프레임(111b)이 부착되고, 상기 하부 지지프레임(111a) 위에 마련된 상판 프레임(111a)만이 구동잭(113)에 의해 수직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설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무대의 이동무대(210)는, 회전되는 회전무대(211)가 안치되고, 양측면에 다수의 바퀴(212)들이 장착된 주프레임(213);
    상기 주프레임의 바퀴(212)들과 접촉되어 주프레임의 수평이동을 안내하도록 주프레임의 양측에 마련되는 레일(222);
    상기 레일(222) 위에서 주프레임(213)이 수평 왕복이동시키는 제2 구동수단(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설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수단(220)은, 구동부(226)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어 주프레임(213)의 전후단 양쪽과 연결된 와이어(224)를 통해 주프레임(213)이 레일(222)을 따라 수평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설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석 바로 앞에는 구동잭(315)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어 난간대(319)의 하단에 연결된 시브와인더(313)의 와이어(314)를 통해 상기 난간대(319)가 가이드 롤러(312)의 안내로 수직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설비.
KR2020010035256U 2001-11-16 2001-11-16 무대설비 KR2002649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256U KR200264991Y1 (ko) 2001-11-16 2001-11-16 무대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256U KR200264991Y1 (ko) 2001-11-16 2001-11-16 무대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4991Y1 true KR200264991Y1 (ko) 2002-02-20

Family

ID=73112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5256U KR200264991Y1 (ko) 2001-11-16 2001-11-16 무대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499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360B1 (ko) * 2010-11-10 2012-06-12 제이엠스테이지(주) 공연장
KR101420858B1 (ko) 2014-02-14 2014-07-17 주식회사 명스테이지 수평이동무대
WO2016099033A1 (ko) * 2014-12-18 2016-06-23 주식회사 에스,엠,엔터테인먼트 홀로그램 재생이 가능한 극장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360B1 (ko) * 2010-11-10 2012-06-12 제이엠스테이지(주) 공연장
KR101420858B1 (ko) 2014-02-14 2014-07-17 주식회사 명스테이지 수평이동무대
WO2016099033A1 (ko) * 2014-12-18 2016-06-23 주식회사 에스,엠,엔터테인먼트 홀로그램 재생이 가능한 극장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44743B (zh) 跃层电梯和跃层方法
JP2007099515A (ja) エレベータケージの支持手段をエレベータケージおよびエレベータ昇降路に取り付ける方法
JPH09165106A (ja) 自動倉庫用貨物入出庫装置
KR20090041382A (ko) 승강식 지주대
JP2003020175A (ja) シャフト装置設置用の設置フレーム、設置フレームを有する設置リフト、シャフト装置設置方法
KR200264991Y1 (ko) 무대설비
KR101416795B1 (ko) 연등 리프팅 장치
KR100645889B1 (ko) 전원케이블 승강장치
JP2000352189A (ja) 作業ケージ用昇降装置
US5368124A (en) Device suspending a working cage
JP6819749B1 (ja) 主ロープの振れ抑制装置
JP2002326778A (ja) エレベータおよび立体駐車設備
JP2004346652A (ja) 嵩上げ鉄塔の構造および工事方法
CN1833981B (zh) 电梯装置
KR101005712B1 (ko) 일체형 승강이동식 무대장치
JP4262805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4168518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0849520B1 (ko) 동기식 체인 리프트 장치
JP2003182954A (ja) ケーブルの案内装置
JP2011089346A (ja) 構造物の構築方法
KR200357690Y1 (ko) 전원케이블 승강장치
JP2000226169A (ja) エレベータの据付方法
JP2001048443A (ja) エレベータ
JP3224328U (ja) バトンの昇降装置
KR200374890Y1 (ko) 무대용 비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