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23458A - 차량용 연료캡와이어의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연료캡와이어의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23458A
KR20050123458A KR1020040048124A KR20040048124A KR20050123458A KR 20050123458 A KR20050123458 A KR 20050123458A KR 1020040048124 A KR1020040048124 A KR 1020040048124A KR 20040048124 A KR20040048124 A KR 20040048124A KR 20050123458 A KR20050123458 A KR 20050123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ap
fuel
coupled
wire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8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8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23458A/ko
Publication of KR20050123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345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406Filler caps for fu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406Filler caps for fuel tanks
    • B60K2015/0432Filler caps for fuel tanks having a specific connection between the cap and the vehicle or tank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연료캡와이어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연료캡와이어(6)의 일단은 연료필러도어(2)의 안쪽면에서 고정되도록 결합된 와이어권선기(100)에 풀림이 가능하도록 감겨지고 반대편의 타단은 연료캡(5)에 고정되도록 결합되어져, 연료주유시 연료캡(5)과 리어사이드아우터패널(1)의 접촉이 차단되어 짐으로써 연료캡(5)에 의한 리어사이드아우터패널(1)의 표면손상이 예방됨은 물론, 상기 연료캡(5)과 연료주유건과의 간섭이 예방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연료캡와이어의 조립구조{assembly structure of fuel cap wir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연료캡와이어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료주입파이프로터 분리된 연료캡에 의해 리어사이드아우터패널의 손상을 예방함과 더불어, 주유시 연료주유건과 연료캡과의 간섭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연료캡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본 발명은 차량용 전자식 서모스탯에 관한 것으로, 특히 라이에이터통로와의 기밀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여 엔진의 내부에서만 순환해야 하는 냉각수가 라디에이터쪽으로 누수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전자식 서모스탯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디패널의 일부를 담당하는 리어사이드아우터패널(1)의 소정부위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구멍(1a)이 형성되는데, 이 관통구멍(1a)은 상기 리어사이드아우터패널(1)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연료필러도어(2)에 의해 개폐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관통구멍(1a)은 리어사이드아우터패널(1)에 용접결합된 연료필러하우징(3)에 의해 밀폐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 바, 상기 연료필러하우징(3)에는 연료탱크(도시않됨)로부터 연결된 연료주입파이프(4)의 일단이 관통되어 고정설치되며, 상기 연료주입파이프(4)에는 연료캡(5)이 나사결합방식을 통해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진다.
한편, 상기 연료필러도어(2)와 연료캡(5)은 연료캡와이어(6)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데, 상기 연료캡와이어(6)는 연료주입파이프(4)로부터 분리된 연료캡(5)의 분실을 예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연료주유시 연료주입파이프(4)로부터 분리시킨 연료캡(5)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대로 방치하게 되면, 상기 연료캡(5)이 리어사이드아우터패널(1)에 빈번하게 접촉을 하면서 상기 리어사이드아우터패널(1)의 표면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예방하기 위해 연료주입파이프(4)로부터 분리시킨 연료캡(5)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필러도어(2)에 일체로 형성된 연료캡고정플랜지(2a)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연료캡고정플랜지(2a)에 연료캡(5)을 걸어서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연료캡와이어(6)의 꼬임현상이 발생되며, 이와 같이 꼬여진 연료캡와이어(6)는 연료캡고정플랜지(2a)로부터 연료캡(5)을 재차 분리시킬 때 작업자가 직접 풀어주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의 편의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한, 연료캡고정플랜지(2a)에 연료캡(5)을 걸어서 고정시키게 되면 상기 연료캡(5)의 선단은 관통구멍(1a)을 향해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연료캡(5)은 관통구멍(1a)을 통해 연료주입파이프(4)로 출입하는 연료주유건(도시않됨)과 빈번하게 간섭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연료캡에 연결된 연료캡와이어가 연료필러도어에 결합된 와이어권선기에 자동적으로 감겨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연료캡와이어의 꼬임현상을 예방함과 더불어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연료캡와이어의 조립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목적은, 연료캡와이어가 와이어권선기에 완전히 감겨졌을 때에 연료캡이 연료필러도어의 하측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연료주입파이프로터 분리된 연료캡에 의해 리어사이드아우터패널의 손상을 예방함과 더불어, 주유시 연료주유건과 간섭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연료캡와이어의 조립구조는, 일단은 연료필러도어의 안쪽면에서 고정되도록 결합된 와이어권선기에 풀림이 가능하도록 감겨지고 타단은 연료캡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와이어권선기를 이용한 연료캡의 조립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종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연료캡에 구비된 연료캡와이어가 연료필러도어에 결합된 와이어권선기를 통해 자동적으로 감겨질 수 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차량의 바디패널를 구성하는 리어사이드아우터패널(1)의 소정부위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구멍(1a)이 형성되는데, 이 관통구멍(1a)은 상기 리어사이드아우터패널(1)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연료필러도어(2)에 의해 개폐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관통구멍(1a)은 리어사이드아우터패널(1)에 용접결합된 연료필러하우징(3)에 의해 밀폐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 바, 상기 연료필러하우징(3)에는 연료탱크(도시않됨)로부터 연결된 연료주입파이프(4)의 일단이 관통되어 고정설치되며, 상기 연료주입파이프(4)에는 연료캡(5)이 나사결합방식을 통해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진다.
한편, 상기 연료필러도어(2)의 안쪽면(연료주입파이프쪽을 향하는 면)에는 도 3과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의 모양을 갖는 지지브라켓트(30)가 용접결합되며, 상기 지지브라켓트(30)의 전면에는 내외측을 관통하는 소정크기의 조립구멍(3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브라켓트(30)의 조립구멍(31)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권선기(100)가 끼워져서 결합되는 바, 상기 와이어권선기(100)에는 연료캡와이어(6)의 일단이 풀림 가능하도록 감겨지게 되고, 상기 연료캡와이어(6)의 타단은 연료캡(5)에 고정되도록 결합되어 진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권선기(10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형상의 밑판(111)과 이 밑판(11)의 둘레면을 감싸면서 상향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테두리판(113) 및 이 테두리판(113)으로부터 일측방향으로 개구되게 돌출형성되는 출입구(115)를 구비한 하부케이스(110)와, 상기 밑판(111)의 중앙부를 관통하면서 밑판(111)과 일체로 결합되고 이 밑판(111)으로부터 돌출된 일단이 상기 연료필러도어(2)에 결합된 지지브라켓트(30)의 조립구멍(31)으로 끼워져서 결합되는 결합보스(130)와, 상기 출입구(115)의 전면을 밀폐시키지 않도록 상기 하부케이스(110)상에 일체로 결합되는 상부덮개(150)와,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밑판(111)과 상기 상부덮개(150)에 형성된 가이드홈(111a,150a)으로 상하단이 각각 끼워져서 가이드홈(111a,150a)을 따라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됨은 물론 외주면으로는 연료캡(5)과 연결된 연료캡와이어(6)가 풀림이 가능하도록 감겨지는 원통회전판(170)과, 일단은 하부케이스(110)내에 위치하는 상기 결합보스(130)의 외주면에 고정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원통회전판(170)의 안쪽면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스파이럴스프링(19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110)에 형성된 출입구(115)에는 연료캡와이어(6)의 출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복수개의 롤러부재(310)가 자유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롤러부재(310)의 하단과 상단은 하부케이스(110) 및 상부덮개(150)에 형성된 롤러홈(110b,150b)으로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끼워져서 결합되어 진다.
한편, 상기 밑판(111)으로부터 돌출된 결합보스(130)의 외주면에는 조립구멍(31)과의 결합을 위한 화살촉 모양의 돌기부(131)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연료캡(5)이 연료주입파이프(4)로 결합된 상태이고 동시에 연료필러도어(2)가 밀폐된 상태에서, 주유를 위해 밀폐된 연료필러도어(2)를 개방시켜주게 되면, 상기 연료캡(5)과 와이어권선기(100)가 이격되는 만큼 원통회전판(170)에 감겨져 있던 연료캡와이어(6)는 와이어권선기(100)의 출입구(115)를 통해 인출되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원통회전판(170)은 연료캡와이어(6)가 인출되는 길이만큼 가이드홈(111a,150a)을 따라 자유회전되면서 스파이럴스프링(190)을 압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연료주입파이프(4)로부터 연료캡(5)의 결합을 해제하여 분리시켜 주게 되면, 압축변형된 스파이럴스프링(190)은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어지고, 이때의 복원력을 통해 일방향으로 자유회전되었던 원통회전판(170)도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와이어권선기(100)로부터 인출되었던 연료캡와이어(6)은 다시 와이어권선기(100)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원통회전판(170)에 감겨지게 되고, 동시에 와이어권선기(100)로부터 이격되어 있던 연료캡(5)은 연료필러도어(2)의 하단에 밀착되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연료주유시 연료캡(5)과 리어사이드아우터패널(1)의 접촉이 차단되어 짐으로써, 연료캡(5)에 의한 리어사이드아우터패널(1)의 표면손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료주유시에는 연료캡와이어(6)가 와이어권선기(100)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됨으로써, 연료캡와이어(6)의 꼬임현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되고 더불어 외관미의 향상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잇점이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연료캡(5)이 연료필러도어(2)의 하단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연료주유시 연료주유건과의 간섭이 예방되고 이로 인해 작업의 편의성도 향상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연료주유시 연료캡과 리어사이드아우터패널의 접촉이 차단되어 짐으로써 연료캡에 의한 리어사이드아우터패널의 표면손상이 예방됨은 물론, 상기 연료캡과 연료주유건과의 간섭이 예방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과 도 2는 연료캡와이어의 종래 조립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부분사시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와이어권선기를 이용한 연료캡의 조립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구조에 사용되는 와이어권선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연료필러도어 5 - 연료캡
6 - 연료캡와이어 30 - 지지브라켓트
31 - 조립구멍 100 - 와이어권선기
110 - 하부케이스 130 - 결합보스
150 - 상부덮개 170 - 원통회전판
190 - 스파이럴스프링 310 - 롤러부재

Claims (4)

  1. 일단은 연료필러도어(2)의 안쪽면에서 고정되도록 결합된 와이어권선기(100)에 풀림이 가능하도록 감겨지고 타단은 연료캡(5)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차량용 연료캡와이어의 조립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권선기(100)는
    소정형상의 밑판(111)과, 이 밑판(11)의 둘레면을 감싸면서 상향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테두리판(113) 및, 이 테두리판(113)으로부터 일측방향으로 개구되게 돌출형성되는 출입구(115)를 구비한 하부케이스(110)와;
    상기 밑판(111)의 중앙부를 관통하면서 밑판(111)과 일체로 결합되고, 이 밑판(111)으로부터 돌출된 일단이 상기 연료필러도어(2)에 결합된 지지브라켓트(30)의 조립구멍(31)으로 끼워져서 결합되는 결합보스(130)와;
    상기 출입구(115)의 전면을 밀폐시키지 않도록 상기 하부케이스(110)상에 일체로 결합되는 상부덮개(150)와;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밑판(111)과 상기 상부덮개(150)에 형성된 가이드홈(111a,150a)으로 상하단이 각각 끼워져서 가이드홈(111a,150a)을 따라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됨은 물론, 외주면으로는 연료캡(5)과 연결된 연료캡와이어(6)가 풀림이 가능하도록 감겨지는 원통회전판(170)과;
    일단은 하부케이스(110)내에 위치하는 상기 결합보스(130)의 외주면에 고정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원통회전판(170)의 안쪽면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스파이럴스프링(19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캡와이어의 조립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115)에는 연료캡와이어(6)의 출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복수개의 롤러부재(310)가 자유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캡와이어의 조립구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밑판(111)으로부터 돌출된 결합보스(130)의 외주면에는 조립구멍(31)과의 결합을 위한 화살촉 모양의 돌기부(131)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캡와이어의 조립구조.
KR1020040048124A 2004-06-25 2004-06-25 차량용 연료캡와이어의 조립구조 KR200501234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8124A KR20050123458A (ko) 2004-06-25 2004-06-25 차량용 연료캡와이어의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8124A KR20050123458A (ko) 2004-06-25 2004-06-25 차량용 연료캡와이어의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3458A true KR20050123458A (ko) 2005-12-29

Family

ID=37295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8124A KR20050123458A (ko) 2004-06-25 2004-06-25 차량용 연료캡와이어의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2345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238B1 (ko) * 2007-08-27 2009-05-26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자동차의 연료 캡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238B1 (ko) * 2007-08-27 2009-05-26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자동차의 연료 캡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1746B2 (en) Oiling or charging port assembly
US20070045322A1 (en) Cap device
JP2013100177A (ja) ケーブル巻取装置
JP2017160696A (ja) 開閉体駆動装置
JP6655304B2 (ja) 燃料給油管
KR20050123458A (ko) 차량용 연료캡와이어의 조립구조
DE102014226945A1 (de) Türverbinder für Fahrzeug
JP6929748B2 (ja) タンクキャップ
JP2005168256A (ja) ハーネス用ガイドプロテクタ及びそれを備えた電線余長吸収構造並びにハーネス用ガイドプロテクタの固定方法
CN108367673B (zh) 供油口装置
KR100535077B1 (ko) 연료가스 누출 차단장치
JP3058001B2 (ja) パネルの取付構造
KR100837932B1 (ko) 차량의 주유 도어 어셈블리
KR101807426B1 (ko) 급유구 장치
JPH07237459A (ja) 燃料タンクの通気開閉装置
CN214007011U (zh) 一种门挡水装置
KR100401583B1 (ko) 필러리드 개폐용 브라켓트
KR100364275B1 (ko) 자동차의 트렁크리드스위치와 연료필러도어스위치
KR102264934B1 (ko) 끼움식 밴드케이블
KR100921121B1 (ko) 차량용 연료 필러 도어 어셈블리
JP4059354B2 (ja) リコイルスタータ
KR100462670B1 (ko) 자동 개폐식 연료 주입구
KR100957088B1 (ko) 차량의 연료주입구 개폐구조
KR0153147B1 (ko) 휠러리드에 의해 개폐되는 슬라이드식 휠러캡
KR20040055251A (ko) 자동차용 연료주입구의 개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