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5279A - 알츠하이머병과 치매 질환의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다른 치료제와 공동으로 이용되는 ifn-베타 - Google Patents

알츠하이머병과 치매 질환의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다른 치료제와 공동으로 이용되는 ifn-베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5279A
KR20050115279A KR1020057017076A KR20057017076A KR20050115279A KR 20050115279 A KR20050115279 A KR 20050115279A KR 1020057017076 A KR1020057017076 A KR 1020057017076A KR 20057017076 A KR20057017076 A KR 20057017076A KR 20050115279 A KR20050115279 A KR 20050115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fn
inhibitor
interferon
inhibitors
dis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7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루이기 그리말디
Original Assignee
아레스 트레이딩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레스 트레이딩 에스.에이. filed Critical 아레스 트레이딩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050115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527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9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A61K38/21Interferons [IF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9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A61K38/21Interferons [IFN]
    • A61K38/215IFN-be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Zo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츠하이머병(AD), 크로이츠펠트-야콥병(Creutzfeld-Jakob disease, CJD) 또는 저스트만-스트라우슬러-쉐인커 병(Gerstmann-Straussler-Scheinker disease, GSSD)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인터페론 β(IFN-β)의 용도에 관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알츠하이머병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알츠하이머병 치료제와 IFN-β의 병용에 관한다. 조기-발병 알츠하이머병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와 IFN-β의 병용이 선호된다.

Description

알츠하이머병과 치매 질환의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다른 치료제와 공동으로 이용되는 IFN-베타{IFN-BETA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MEDICAMENT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AND DEMENS DISORDERS}
본 발명은 치매의 치료에 관한다. 본 발명은 알츠하이머병(AD), 크로이츠펠트-야콥병(Creutzfeld-Jakob disease, CJD) 또는 저스트만-스트라우슬러-쉐인커 병(Gerstmann-Straussler-Scheinker disease, GSSD)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약물의 제조에서 인터페론-β(IFN-β)의 용도에 관한다. 또한, 본 발명은 AD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약물의 제조에서 알츠하이머병 치료제와 공동으로 IFN-β의 용도에 관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AD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약물의 제조에서 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ChEI), Aβ 독성 강하제, 호르몬 대체제, 지질 강하제, 세크라타제 조절제, Aβ 응집 저해제, 신경섬유성 저해제 또는 β-아밀로이드 이화작용 저해제와 공동으로 IFN-β의 용도에 관한다. 특히, 본 발명은 단독으로, 또는 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ChEI), Aβ 독성 강하제, 호르몬 대체제, 지질 강하제, 세크라타제 조절제, Aβ 응집 저해제, 신경섬유성 저해제 또는 β-아밀로이드 이화작용 저해제와 공동으로 IFN-β의 용도에 관한다.
알츠하이머병(AD)
알츠하이머병(AD)은 신경 손상에 기인한 진행성 인식 손상(기억, 인식, 행동 안정성의 상실) 및 이에 따른 언어 장애, 판단, 문제 해결, 계획, 추상적 생각의 어려움, 운동 신경 장애, 시각 기능의 결함, 치매로 특성화되는 진행성 신경퇴행성 질환이다. 발병률에서 연령-연관된 증가가 AD에서 나타나는데, 65세 이상 인구의 대략 6-10%, 85세 이상 인구의 최대 50%까지 영향을 받는다. AD는 치매의 주요 원인이며, 심혈관 질환, 암, 뇌졸중에 이은 네 번째 사망 원인이다.
상기 질환의 발병은 최근 일을 생각해내는 능력의 손상으로 특성화되지만, 병이 진행됨에 따라 다른 지적 능력이 감퇴된다. 이후, 미주성 행동, 망상, 신체 기능의 조절 상실이 발생한다. 알츠하이머병의 진단은 널리-확립된 기준에 기초한다(McKhann et al. 1984): 확실함(definite)은 검시(postmortem examination)에서 확증된 질환을 나타낸다; 가능성 높음(probable)은 연관된 질환이 없는 임상적 질환을 나타낸다; 가능성 있음(possible)은 중추신경계 기능장애, 예를 들면, 갑상선기능저하증 또는 뇌혈관 질환을 유발하는 다른 질환으로 기준을 충족하는 임상적 질환을 나타낸다. 질환의 임상적 진단은 신경학적 검사와 정신 상태 검사(mental status examination)의 조합에 기초하며 상당히 정확하다. 사망시에, 뇌에서 가장 빈번한 병리학적 현상은 세포내 쌍 나선형 사상체(PHF)와 세포외 아밀로이드 플라크로 특성화되는 대뇌번연계(limbic)와 대뇌 피질에서 특정 신경병리학적 병소이다. 상기 질환의 일차적인 병리학적 특징은 섬유성 아밀로이드의 세포외 침착 및 이의 노인반(senile plaque)으로의 압축이다.
따라서, 각각 신경섬유성 농축체(neurofibrillary tangle)와 노인반(섬유성 응집체의 침착물)이라고 하는 세포내와 세포외 아미로이드 침착물은 알츠하이머병과 연관한다. 광범위한 신경 손실(신경원과 시냅스 모두)과 함께, 이들은 상기 질환의 전형적인 신경병리학적 특징이며 사후 진단을 확증하는 유일한 수단이다. 신경섬유성 농축체는 과인산화된 tau(미소관 조립 단백질)로 주로 구성되는 반면, 노인반의 주요 섬유성 성분은 알츠하이머 전구 단백질(APP)의 40-42개 아미노산 단편인 아밀로이드-β 펩티드(Aβ)이다. 상기 질환의 매우 드문 가족성 형태의 원인이 되는 유전자 돌연변이의 분석에서 아밀로이드 캐스케이드 가설이 도출되었다. 이는 이상형 단백분해 현상 및 병리학적 샤페론(chaperone), 예를 들면, 아포지단백 E(Apolipoprotein E)와 안티키모트립신과의 상호작용에 의한 Aβ 펩티드의 과다생산으로 인하여, 정상적으로 가용성인 Aβ 펩티드에 의한 아밀로이드 섬유의 형성과 침착으로 특성화된다. 이들은 노인반의 미량 구성요소이며, 아밀로이드 섬유로 조립되는 Aβ의 경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대립형질 변이체를 보유한다.
노인반은 아밀로이드 플라크에 인접하여 소신경교세포와 성상교세포의 활성화를 수반하는 복합적인 세포 반응의 병소이며, 신경 손상을 유발한다. 실제로, 소신경교세포는 이들 플라크와 연관된 가장 풍부하고 현저한 세포 성분이다. 플라크-연관된 소신경교세포는 반응성 또는 활성화된 표현형을 보인다. 반응성 표현형의 획득을 통하여, 이들 소신경교세포는 다양한 자극에 반응하는데, 이는 주요 조직적합성 복합체(MHC) 클래스 Ⅱ 항원과 상보성 수용체를 비롯한 다수의 세포-표면 분자의 증가된 발현으로 입증된다.
3가지 유전자, 크로모좀 21에서 아밀로이드 전구 단백질(APP) 유전자, 크로모좀 14에서 프리세닐린 1(presenilin 1, PS1), 크로모좀 1에서 프리세닐린 2(PS2)에서 돌연변이는 30대에 조기 발병하는 상염색체 우성 알츠하이머병을 앓는 가계(family)에서 발견되었다. 아포지단백--E(APOE) ε 4의 대립형질 변이체 역시 일반적으로 65세 이후에 발병하는 산발성과 가족성 질환과 연관한다. α2-거대글로불린에서 돌연변이는 AD 환자의 적어도 30%와 연관하는 것으로 제안되었다. 조기-발병을 유발하는 유전자에서 돌연변이는 아밀로이드 β 펩티드(Aβ1-40과 Aβ1-42)의 수준을 상승시킨다. 변이 APOE 대립형질은 아밀로이드 β의 제거 또는 분해에 관여할 수 있다. 따라서, 알츠하이머병을 앓는 가계의 체계적 조사에서 이런 병인을 유발하는 공통 경로가 확인되었다.
전염가능 해면상 뇌증(TSE)
크로이츠펠트-야콥병(CJD)과 저스트만-스트라우슬러-쉐인커 병(GSSD)은 전염가능 해면상 뇌증(TSE)이다. 해면상은 구멍으로 특성화되고 현미경하에 스펀지와 유사하게 보이는 감염된 뇌의 외형을 지시한다. CJD는 공지된 인간 TSE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이다. 다른 인간 TSE는 kuru와 치명적 가계 불면증(fatal familial insomnia, FFI)이다. Kuru는 파푸아 뉴기니의 한 고립된 부족에서 확인되었는데, 현재는 거의 소멸되었다. 치명적 가계 불명증과 GSSD는 극히 드물게 발병하는 유전 질환이며, 전세계적으로 몇몇 가계에서만 발견된다.
크로이츠펠트-야콥병(CJD)은 알츠하이머병 발병률의 대략 1/10,000인 전세계적으로 백만명당 대략 1명꼴로 극히 드물게 발병하는 치명적인 뇌 질환이다. CJD 증례의 85%는 산발성이고, 가족성과 의원성(또는 획득성) 증례가 나머지를 차지한다. 증상은 전형적으로, 대략 60세에 시작되고, 환자의 거의 90%가 다음해 사망한다. 산발성 CJD에서, 상기 질환은 공지된 연관된 위험 인자 없이 발병한다. 유전성 CJD에서는 질병의 가족력이 존재하며, 때때로 유전자 돌연변이와 연관한다. 의원성 CJD는 일반적으로 특정 의료 과정을 통한 뇌 또는 신경계 조직에 대한 노출에 의해 전염된다.
초기에, CJD 환자는 손상된 기억, 판단, 사고 및 손상된 시력을 비롯하여 근육 협응(muscle coordination)의 어려움, 인격 변화 등을 경험한다. 불면증, 우울증, 또는 보통 때와 다른 흥분은 다른 일반적인 증상이다. 병이 진행됨에 따라, 정신 손상이 심해진다. 시력 상실뿐만 아니라 간대성경련(myoclonus)이라고 하는 비자발적 근육 경련이 발생할 수 있다. 운동과 언어의 불능이 나타나고, 결과적으로 혼수상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들 환자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폐렴과 다른 감염은 죽음을 유발할 수 있다.
질병의 증상과 과정에서 구별되는 CJD의 몇몇 공지된 변이체가 존재한다. 새로운 변이체(nv-CJD, v-CJD)는 주로 정신병적 증상으로 시작되고, 다른 유형의 CJD에서보다 젊은 환자에게 영향을 주며, 발병에서 사망까지 통상적인 지속기간보다 긴 지속기간을 보인다. 새로운 변이 크로이츠펠트-야콥병 환자에서, 증상은 산발성 질환을 않는 환자에서보다 거의 40년이나 이른 평균 26세에 발생하는데, 많은 환자에서 형성 장애, 과민성, 불안, 무감각, 에너지 상실, 불면증, 사회적 철회(social withdrawal)를 비롯한 심각한 감정 증상이 나타난다. 범뇌증 형태(panencephalopathic form)라고 하는 다른 변이체는 주로 일본에서 발병하고 상대적으로 긴 과정을 보이는데, 증상이 종종 수년동안 진행된다. CJD의 일부 증상은 다른 진행성 신경학적 질환의 증상, 예를 들면, AD에서 상기한 증상 및 헌팅턴병과 연관된 증상과 유사할 수 있다. 하지만, CJD는 뇌 조직에서 독특한 변화를 유발하고, AD 또는 다른 유형의 치매보다 훨씬 급속하게 개체의 능력을 악화시킨다.
저스트만-스트라우슬러-쉐인커 병(GSSD)은 소뇌성 실조증(cerebellar ataxia), 진행성 치매, 다리에서 반사 부재 및 병리학적으로 중추 신경계 전체에서 아밀로이드 플라크로 특성화된다. 일반적으로, 병은 50대에 나타나고, 초기 단계에서 실조증이 현저하다. 이후, 치매가 발병한다. 이런 과정은 2 내지 10년이 소요된다.
일반적으로, CJD는 인식 손상, 통증과 감각 이상(paresthesias), 마비말장애(dysarthria), 보행 이상(gait abnormality)을 비롯한 신경병적 증상이 나타날 때까지 진단이 되지 않는다. 간대성경련은 후기 특징이며, 경악 간대성경련(startle myoclonus)은 극히 드물게 나타난다. 표준 진단 검사법에는 치매의 더욱 일반적인 원인을 배제하는 스파이널 탭(spinal tap) 및 뇌의 전기 패턴을 기록하는 뇌전도(electroencephalogram, EEG)가 포함되는데, 뇌전도는 CJD에서 특정 비정상 유형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특히 유용할 수 있다. 뇌의 컴퓨터 단층촬영 역시 증상이 뇌졸중 또는 뇌종양과 같은 다른 문제점으로부터 기인할 가능성을 배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자기 공명 영상(MRI) 뇌 스캔 역시 CJD를 진단하는데 도움을 주는 뇌 퇴행의 특징적인 패턴을 보여줄 수 있다. CJD의 진단을 확증하는 유일한 방법은 뇌 생검 또는 부검이다. 크로이츠펠트-야콥병의 면역진단은 병리학적 단백질을 유지시키면서 정상적인 단백질을 우선적으로 분해시키는 조직 전처리에 의해 공여된 특이성으로, 정상적인 동등형과 병리학적 동등형의 단백질 프리온 또는 PrP를 모두 인식하는 항체의 이용으로 확립된다.
현재 시점에서 선도적인 과학 이론은 CJD 및 다른 TSE가 생물체가 아닌 프리온이라고 하는 일종의 단백질에 의해 유발된다는 것이다. 프리온은 체내 세포에서 발견되는 무해 단백질인 정상 형태의 PrP 및 병을 유발하는 전염성 형태의 PrPSc로 모두 존재한다. 무해한 형태와 전염성 형태의 프리온 단백질은 거의 동일하지만, 전염성 형태는 정상적인 단백질과 상이한 접힘 형상을 취한다. 산발성 CJD는 정상적인 프리온의 일부가 전염성 형태의 단백질로 자발적으로 변하고, 이후 연쇄 반응으로 다른 세포에서 프리온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발생한다. 일단 생성된 비정상 프리온은 서로 들러붙어, 플라크라고 하는 섬유 및/또는 덩어리를 형성한다. 섬유와 플라크는 CJD 증상이 나타나기에 앞서 수년동안 축적된다.
AD와 유사하게, 프리온 질환(가령, CJD와 GSSD)은 PrP의 프로테아제-저항성 동등형(PrPSc)으로 구성되는 아밀로이드 섬유의 세포외 축적으로 특성화된다. 또한, AD와 유사하게, 뇌의 병든 부위에서 소신경교세포 반응의 존재가 스크래피(scrapie)와 CJD에서 확인되었다. 다중심성 아미로이드 플라크는 8, 15, 21-30 kDa의 프로테아제 저항성 PrP 단편으로 구성된다. 21-kDa 단편 역시 CJD에서 관찰되긴 하지만, 8-kDa 단편이 GSSD에 특이적인 것으로 보인다. 다수의 신경병리학적 유사성이 존재하긴 하지만, GSSD는 대뇌와 소뇌 피질, 기저핵(basal ganglia), 백색질에서 kuru-플라크와 다수의 다중심성 솜모양 플라크의 존재에 의해 CJD와 구별된다.
GSSD 뿐만 아니라 가족성 CJD를 앓는 환자는 PrP를 인코딩하는 유전자(PRNP)에서 돌연변이를 보유한다. 인간 프리온 단백질은 크로모좀 20의 긴 팔에서 단일 엑손에 의해 코딩된다. 중요하게는, 프리온 유전자에서 적어도 2가지 돌연변이(코돈 145와 183에서)는 AD를 임상적으로 모방하는 질병을 유발하고, 염기쌍 144에서 삽입은 매우 가변적인 표현형을 제공할 수 있다.
가족성 CJD와 연관된 가장 일반적인 돌연변이는 약간 이른 발병 연령(55세)과 연관된 프리온 유전자의 코돈 200에서 돌연변이 및 이탈리아 가계에서 발견되는 코돈 208과 210에서 돌연변이이다. 코돈 178에서 두 번째로 가장 일반적인 돌연변이는 조기 발병(50대)되고 좀더 오랜(1-2년) 지속기간을 보이는 질병을 유발한다. 변이 CJD가 소해면상 뇌증의 병인의 전염과 연계되긴 하지만, 현재까지 검사된 모든 증례는 코돈 129에서 메티오닌에 동형접합성이었다. 많은 산발성 크로이츠펠트-야콥병 환자는 뇌척수액에 비정상 단백질, 특히, 14-3-3 단백질을 보유한다.
GSSD에서, 코돈 102 돌연변이는 가장 빈번하게 발견된다(몇몇 유럽 국가와 일본에서). 이는 운동실조성 형태의 GSSD를 유발한다: 30-40대 나타나는 소뇌성 증후군(cerebellar syndrome), 이후 시각, 피라미드로(pyramidal), 지적 징후. 발병이후 1년 내지 11년 이내에 사망한다. 아밀로이드 플라크는 소뇌에서 주로 발견될 수 있다. 코돈 117 돌연변이(독일과 알자스 가계)는 파라미드로 또는 가성연수(pseudobulbar) 징후, 예를 들면, 주시 마비(gaze palsy), 귀머거리, 가성연수 마비, 피질성 맹(cortical blindness), 저하된 반사와 신극족저반응(extensor plantar)을 수반하는 치매를 유발한다. 아밀로이드 플라크는 단일- 또는 다중심성이다. 드물게 나타나는 다른 돌연변이는 코돈 198(미국계 일가), 217(스웨덴계 일가), 145(일본인 환자 1명), 105(일본에서 한 증례)에서 돌연변이이다. AD에서와 유사한 다중심성 플라크와 신경섬유성 퇴행은 코돈 198과 217 돌연변이에서 발견된다. AD와 관련된 임상적 증상은 코돈 145 돌연변이에서 발생하고, 아밀로이드 플라크는 절두된 PrP로 구성된다. 최종적으로, 코돈 105 돌연변이는 후기 치매와 함께 경련성 부분적 마비(spastic paraparesia)를 유발한다. 아밀로이드 플라크는 전두엽(frontal lobe)에 주로 위치한다.
CJD를 치료하거나 조절할 수 있는 치료제는 없다. CJD에 대한 현재의 치료는 증상을 완화시키고 환자를 가능한 편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아편제 약물은 통증을 완화시키고, 약물 클로나제팜과 소디움 발프로에이트는 간대성경련을 완화시킬 수 있다. GSSD에 대한 치료제 역시 존재하지 않는다. PrP의 병리학적 동등형으로의 전환을 저해하는 화합물, 예를 들면, 아크리딘 및 페노티아진 유도체 퀸아크린과 클로르프로마진이 이용될 수 있다. 일부 형태의 PrP는 병리학적 동등형으로의 형태 전환을 저항할 수 있다. 이들 “우성 부정적(dominant negative)”프리온 단백질은 생쥐에서 스크래피의 발달을 예방하거나 극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는데, 이는 PrP의 병리학적 상태로의 전환 간섭이 궁극적인 치료 방법이 된다는 것을 암시한다.
ChE 저해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또는 아세틸콜린 아세틸하이드롤라제(AChE, EC 3.1.1.8) 및 관련된 효소 부티릴콜린에스테라제 또는 아실콜린 아실하이드롤라제(BuChE, EC 3.1.1.7)는 알츠하이머병에서 노인반과 강하게 결합하는 것으로 확인된 다른 단백질이다(1). 여러 기존 연구에서, 이들 2가지 효소는 포유동물 신경계(2)에서 콜린성 시냅스와 신경근육 접합점의 가수분해로 신경전달물질 아세틸콜린(ACh)의 수준을 동시-조절하고, AD 환자의 뇌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가수분해 반응은 카르보닐 탄소에 대한 친핵성 공격에 의해 진행되고, 상기 효소를 아실화시키며 콜린을 자유롭게 한다. 이후, 아실화된 효소는 급속하게 가수분해되어 아세트산이 산출되고, 상기 효소는 복원된다. AChE는 ACh와 같은 아세틸에스테를 우선적으로 가수분해하는 반면, BuChE는 부티릴콜린과 같은 다른 유형의 에스테르를 우선적으로 가수분해한다. 3가지 상이한 AChE 아단위가 존재하며 택일적 mRNA 절단접합에 의해 생성된다: 시냅스 Ach E(AChE-S); 적혈구 세포에서 발견되는 조혈 AChE(AChE-H); “판독가능(read-through)” AChE(AChE-R).
전뇌기저(basal forebrain)에서 알츠하이머형 신경병변, 특히 퇴행성 변화의 심각도는 AChE의 함량; 및 병든 부위와 상관하고(4) 조기 발생하여 초기 증상과 관련된 콜린 아세틸퍼라제 활성(3)을 감소시킨다. 일반적으로, BuChE는 뇌에서 매우 낮은 수준으로만 발현된다. 또한, 높은 수준의 AChE를 보이는 부위와 알츠하이머병에서 퇴행성 부위 사이에 상관관계가 존재한다(6).
여러 증거에서, AChE는 신경 분화에서 직접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7). 배형성동안 뇌에서 AChE의 일시적인 발현은 AChE가 신경돌기 외생의 조절(8) 및 축삭 관(axn tract)(9)의 발달에 기능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부가적으로, 세포 점착에서 AChE의 역할이 연구되었다(10). 이의 결과는 AChE가 세포 점착 역할을 통하여 신경모세포종 세포주에서 신경돌기 외생을 촉진한다는 것을 암시한다(11). 또한, 여러 기존 연구에서, AChE의 주변 음이온 부위(peripheral anionic site)가 상기 효소의 신경영양성 활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밝혀졌고(12), AChE의 점착 기능이 주변 음이온 부위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론되었다(13).
AChE(BuChE 제외)와 섬유성 Aβ간의 상호작용이 입증되었고(14), AChE는 병리학적 샤페론과 유사하게 행동하는 것으로 밝혀졌다(Aβ에 의한 섬유 형성의 속도(15) 및 이들 섬유의 신경독성(16)을 증가시킬 수 있다). AChE는 Aβ 펩티드의 아밀로이드 섬유로의 조립을 직접 촉진하여, 상기 효소의 생화학적, 약리학적 특성을 변화시키고 Aβ 섬유의 신경독성 증가를 유발할 수 있는 안정적인 βA-AChE 복합체를 형성한다. 또한, Aβ 펩티드 응집체의 신경독성은 상기 복합체에 결합된 AChE의 양에 좌우되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는 AChE가 AD 뇌의 신경퇴행에서 일정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더욱 뒷받침한다. BuChE는 아밀로이드 플라크와 연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AChE 내에서 섬유원성 영역(fibrillogenic region)의 존재는 Aβ에 의해 형성된 아밀로이드 섬유와 AChE의 상호작용에 관련되고(17), 인간 재조합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HuAChE) 저해제는 HuAChE-유도된 Aβ 응집을 저해하는 것으로 밝혀졌다(18). 따라서, AChE의 비-콜린성 기능, 예를 들면, 점착과 Aβ 침착에 관련된 영역이 확인되었다. 아밀로이드 플라크 내외에서 AChE 활성의 강화는 산화 스트레스(oxidative stress)에 의해 매개된 Aβ25-35에 의해 유도되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비타민 E와 NOS 저해제는 이런 효과를 예방하고, 이는 아세틸콜린 시냅스 수준의 유지에서 중요한 역할을 암시하고, 따라서 AD 환자의 인식과 기억 기능을 예방하거나 강화시킨다.
따라서, 콜린성 결함(특히, 피질 콜린성 신경전달의 상실)은 AD와 연관된 손상된 인식과 정신 기능에 상관한다. 경등도 내지 중등도 AD에 대한 효과적인 첫 번째 증상 치료제의 개발(20)은 Ach의 분해를 저해하는 작용을 하는 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ChEI)를 수반한다(21). 이들 약물의 임상적 효능은 AD 환자에서 인식, 기능, 전반적인 개선으로 특성화되는데, 이들이 치매의 진행을 지연시킨다는 증거가 보고되었다(21). 콜린성 약물은 모든 형태의 AD(경등도, 중등도, 중증도)에 유효하다. 신생피질 콜린성 결함이 중증도 AD 환자의 전형이긴 하지만, 명확한 콜린성 결함은 질병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늦은 시기까지 나타나지 않는다(22). 따라서, ChEI는 ‘중등도-내지-중증도’AD 환자에서 효능을 보였다(23). 더 나아가, 갈란타민이‘진행된 중등도’ AD 환자에서 효능을 보였는데, 이는 경등도-내지-중등도 AD 이외에 ChEI를 이용하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23).
AChE의 저해제는 상기 효소에 2가지 표적 부위, 활성 부위 및 주변 부위에 작용한다. 활성 부위를 지향하는 저해제는 상기 부위를 높은 친화성(타크린)(24)으로 점유하거나 촉매성 세린(오르가노포스페이트와 카바메이트)과 비가역적으로 반응함으로써, 기질 분자의 결합 또는 이의 가수분해를 예방한다(25). 주변 부위는 촉매성 골짜기(catalytic gorge)의 입구에 위치한 다소 덜-정의된 부위로 구성된다. 상기 부위에 결합하는 저해제에는 소형 분자, 예를 들면, 프로피듐(26) 및 펩티드 독소 파시쿨린(fasciculin)(27)이 포함된다. 비스-4차 저해제 데카메토늄(28)은 활성 부위와 주변 부위에 동시에 결합하여 전체 촉매성 골짜기를 점유한다.
개별 ChEI는 약리학적 특성에서 서로 구별되고, 이들 차이는 효능 또는 안정성 프로필에 반영된다. 타크린, 도네페질, 갈란타민은 가역성 ChEI이고, 메트리포네이트는 비가역성 ChEI이고, 리바스티그민은 중간 작용 기간을 보유하는 가성-비가역성(느린 가역성) ChEI이다. 이들 작용제의 일차 표적이 AChE이긴 하지만, 일부는 BuChE에도 친화성을 보인다. 일부 저해제(가령, 갈란타민)는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를 조절하고 AChE를 저해하는 이중 작용 양식을 보인다(23). 이런 약리학적 특성은 다양한 실험 모델에서 신경보호를 제공하는 니코틴과 다른 관련된 α7-수용체 항진제의 능력과 연관한다(29). AChE 저해와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 조절의 조합은 아세틸콜린 신경전달을 조장하는데 있어 AChE 저해 단독에 비하여 잠재적으로 현저한 이점을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30). 콜린은 α7-니코틴성 항진 활성과 잠재적 신경보호 능력을 모두 보유하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피롤리딘 콜린을 비롯한 이들 화합물의 대부분은 콜린과 함께 CNS로 운반된다(29). 다른 화합물 역시 AChE와 모노아민 옥시다아제(MAO)에 이중 저해 양식을 보인다. 라사길린, 셀레길린, 트라닐시프로민은 AD에서 인식 기능의 더욱 진행된 형태로의 추가적인 악화를 지연시키는 것으로 생각되는 MAO 저해제이다. 이미노 1,2,3,4-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펜트[b]인돌 카바메이트(AChE 저해제 피소스티그민 및 MAO 저해제 셀레길린과 트라닐시프로민의 하이브리드), N-피리미딘 4-아세틸아닐린 유도체, 7-아릴옥시코우마린 유도체, 프로파르길아미노 카바메이트, 예를 들면, N-프로파르길아미노인단과 N-프로파르길펜에틸아민은 이중 MAO-AChE 저해 활성을 보이는 화합물이다.
콜린성 효소 AChE의 비-콜린성 측면, 알츠하이머의 전형과 이들의 관계, 이들 모든 기능에서 AChE의 주변 부위의 역할 및 α7 수용체 항진제 또는 MAO 저해제와 함께 AChE의 이중 부위 저해제와 이중 양식 저해제, 예를 들면, AChEI를 고려하면, 인식 결함 완화와 β-아밀로이드 조립 감소가 동시에 진행되어 신경퇴행성 과정을 효과적으로 지연시킬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콜린에스테라제의 저해제, 타크린, 아미리딘, 도네페질과 유도체 TAK-147과 CP-118'954, 미나프린, 리바스티그민, 갈란타민, 후페르진, 후프린, 비스-테트라하이드로아미노아크리딘(비스-THA) 유도체, 예를 들면, 비스(7)-타크린, 이미다졸, 1,2,4-티아디아졸리디논, 벤자제핀 유도체, 4,4'-비피리딘, 인데노퀴놀리닐아민, 데카메토늄, 에드로포늄, Bw284C51, 피소스티그민 유도체 엡타스티그민, 메트리포네이트, 프로피디움, 파스시쿨린스, 오르가노포스페이트, 카바메이트, 이미노 1,2,3,4-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펜트[b]인돌 카바메이트(AChE 저해제 피소스티그민 및 MAO 저해제 셀레길린과 트라닐시프로민의 하이브리드), N-피리미딘 4-아세틸아닐린 유도체, 7-아릴옥시코우마린 유도체, 프로파르길아미노 카바메이트, 예를 들면, N-프로파르길아미노 인단과 N-프로파르길펜에틸아민, 비타민 E, NOS 저해제, 전구물질, 예를 들면, 콜린과 피롤리딘콜린, 콜린성 수용체 항진제(가령, 니코틴성, 특히 α7과 무스카린성)가 AD의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알츠하이머 치료제
Aβ 독성 강하제: 소염제가 AD 치료에 유효할 수 있다(31).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예를 들면, 이부프로펜, 인도메타신, 설린닥 설파이드는 Aβ1-42의 양을 감소시킨다(32, 33). 사멸 연관된 단백질 키나아제(DAPK) 저해제, 예를 들면, 3-아미노 피리다진의 유도체는 성상교세포에서 Aβ 활성화로 신경염증 반응을 조절할 수 있다(34). 사이클로옥시게나제(COX-1과 2) 저해제, 항산화제, 예를 들면, 비타민 C와 E, NMDA의 조절물질, 예를 들면, 메만틴 역시 Aβ의 세포 독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한 MAO 저해제 라사길린, 셀레길린, 트라닐시프로민은 AD에서 인식 기능의 더욱 진전된 형태로의 추가적인 악화를 지연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호르몬 대체제: 폐경 여성에 의한 에스트로겐의 이용은 AD의 감소된 위험과 연관하였다(35). 호르몬 대체제를 이용하는 여성은 질병 위험이 대략 50% 감소하였다. 에스트로겐은 감마 세크라타제 경로에서 아밀로이드 전구 단백질의 가공을 조절함으로써 항아밀로이드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36).
지질 강하제와 콜레스테롤 조절. 지질-강하제(3-하이드록시-3-메틸글루타릴 보조효소 A(HMG-CoA) 환원효소 저해제) 또는 스타틴은 AD의 낮아진 위험과 연관한다. 스타틴은 세포 내외에서 Aβ 펩티드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37). 이들 작용제는 메틸-β-사이클로덱스트린,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환원효소(가령, BM15.766), 아실 보조효소 A:콜레스테롤 아실트랜스퍼라아제(ACAT) 저해제, PI3K 저해제, 예를 들면, 오르트만닌, 로바스타틴, 프라바스타틴, 아토르바스타틴, 심바스타틴, 플루바스타틴, 세리바스타틴, 로수바스타틴, 콤팩틴, 메빌로닌, 메바스타틴, 비사스타틴, 벨로스타틴, 신비놀린, 리바스타틴, 이타바스타틴, 피타바스타틴 등이다.
세크라타제 저해제: β-와 γ-세크라타제(아스파르틱 프로테아제)의 저해제는 Aβ1-40과 Aβ1-42의 수준을 감소시키고, α-세크라타제 촉진 분자 역시 AD의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 Aβ 펩티드는 β-와 γ-세크라타제에 의한 순차적 단백분해에 의해 APP로부터 절단되어 Aβ1-40, Aβ1-42, Aβ-1-43을 산출한다. α-세크라타제 역시 APP를 절단하여 비-아밀로이드형성 단편인 sAPPα와 C83을 산출한다. 이후, C83은 γ-세크라타제에 의해 절단되어 p3 펩티드를 산출한다. Aβ 생산에 요구되는 β-부위 아밀로이드 절단 효소(BACE)와 BACE2(β-세크라타제)의 저해제는 예로써 펩티드 저해제의 이용으로, AD에 대한 치료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다(38). 트리펩티드 알데하이드 1, SIB-1281, OM99-2, Stat-Val은 모두 펩티드 저해제이다. 비-펩티드성 BACE 저해제는 알콕시 치환된 테트랄린 등이다. γ-세크라타제 저해제는 펩티드성과 소형 분자, 예를 들면, 디플루오르케톤-기초한 화합물, SIB-1405, 하이드록시 치환된 펩티드 우레아, 알라닌-페닐글리신 유도체, 카프롤락탐, 벤조디아제핀, 헥산아마이드 등이다. γ-세크라타제의 비-펩티드성 저해제는 펜칠라민 설폰아마이드, 이중환 설폰아마이드, 이소코우마린 등이다. γ-세크라타제 기전을 통한 가능성 있는 아밀로이드 생산 저해제는 설폰아마이드, 다아릴 아세틸렌, 이미다조피리딘, 다중산소화된 방향족 구조체 등이다. α-세크라타제 촉진 분자는 단백질 키나아제 C 활성인자, 글루타메이트, 카바촐, 무스카린성 항진제, AIT-082(NeotrophinTM), 신경영양제, 구리(II) 보유 화합물, 콜레스테롤 고갈제(cholesterol depleting agent) 등이다.
Aβ 응집 저해제: Aβ는 APP로부터 일단 절단되면, 신경독성 올리고머와 섬유로 응집될 수 있다. 펩티딜 저해제(가령, 펜타펩티드 저해제)는 상기 펩티드의 중심 소수성 영역(Aβ10-25)으로부터 Aβ 단편 또는 단편 유사체인데, 이들은 Aβ에 결합하고 Aβ 응집체의 형성을 변화시킨다. 비-펩티드 저해제는 아밀로이드 결합 염료 Congo red와 티오플라빈 T의 유사체, 항암제 독소루비신의 유사체(가령, 안트라사이클린-4'-디옥시-4'-요오드독소루비신(IDOX)), 항생제, 예를 들면, 리팜피신 또는 이의 유사체와 클리오퀴놀, 벤조푸란(가령, SKF-74652), 혈청 아밀로이드 단백질(SAP)의 저해제, 예를 들면, 캡토프릴(가령, CPHPC), Cu2+, ZN2+ 또는 Fe3+의 첨가에 의한 금속 킬레이트화 등이다.
신경섬유성 저해: 프롤린-지향된 키나아제인 글리코겐 합성효소 키나아제(GSK3β)와 사이클린-의존성 키나아제 5(cdk5)는 미소관과 결합하고 AD-유관한 에피토프에서 tau를 인산화시키며 칼파인에 의해 매개될 수 있는 아폽토시스 캐스케이트(39)에 관여한다. GSK3β 저해제, 예를 들면, LiCl, GSK3β, cdk5 저해제, 예를 들면, 인디루빈과 파울론, 칼파인 저해제는 AD에서 tau 병리를 감소시켜 신경섬유성 병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미소관-안정화제, 예를 들면, 파실리탁셀과 관련 작용제는 세포 생존을 강화하고 Aβ-유도된 아폽토시스를 감소시킨다(40).
β-아밀로이드 이화작용: 아밀로이드 펩티드를 분해시키는 효소 또는 이들 효소의 내인성 저해제는 AD의 치료 표적이 될 수 있다(41). 단백분해 효소는 아연 금속단백질분해효소(가령, 네프릴리신), 엔도텔린-전환 효소, 인슐린-분해 효소(가령, IDE, 인슐리신), 플라스민 등이다. 약물 개입을 위한 표적을 대표할 수 있는 네프릴리신의 저해제가 확인되었다(41).
인터페론
인터페론은 노인성 치매의 치료에 유효한 다른 종류의 분자이다.
인터페론은 사이토킨, 다시 말하면, 세포 사이에 메시지를 전달하고, 감염을 유발하는 미생물의 파괴를 보조하고 감염으로 인한 손상을 회복시킴으로써 면역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가용성 단백질이다. 인터페론은 감염 세포에 의해 자연적으로 분비되며, 1957년에 처음 확인되었다. 이들의 명칭은 이들이 바이러스 복제와 생산을 “간섭(interference)”한다는 사실로부터 유래되었다.
인터페론은 항바이러스와 항증식 활성을 보인다. 생화학적 특성과 면역학적 특성에 기초하여, 이들 자연-발생 인간 인터페론은 3가지 종류로 분류된다: 인터페론-알파(백혈구), 인터페론-베타(섬유아세포), 인터페론-감마(면역체). 현재, 알파-인터페론은 미국 및 다른 국가에서 모상 세포 백혈병(hairy cell leukemia), 성기 사마귀(venereal warts), 카포시 육종(Kaposi's Sarcoma)(후천성 면역 결핍증(AIDS) 환자에서 통상적으로 발생하는 암), 만성 비-A형, 비-B형 간염의 치료제로서 승인되었다.
더 나아가, 인터페론(IFN)은 바이러스 감염에 반응하여 체내에서 생성되는 당단백질이다. 이들은 보호된 세포에서 바이러스 복제를 저해한다. 저분자량 단백질로 구성되는 IFN는 비-특이적으로 작용한다, 다시 말하면, 한 바이러스에 의해 유도된 IFN은 넓은 범위의 다른 바이러스에 유효하다. 하지만, 이들은 종-특이적이다. 다시 말하면, 한 종에 의해 생성된 IFN은 동일하거나 밀접하게 관련된 종의 세포에서만 항바이러스 활성을 자극한다. IFN은 잠재적인 항-종양과 항바이러스 활성이 개발된 첫 번째 사이토킨이다.
3가지 주요 IFN은 IFN-α, IFN-β, IFN-γ이다. 초기에, 이들 IFN은 기원된 세포(백혈구, 섬유아세포 또는 T 세포)에 따라 분류되었다. 하지만, 한 세포에서 여러 유형이 생성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후, 백혈구 IFN은 IFN-α, 섬유아세포 IFN는 IFN-β, T 세포 IFN는 IFN-γ로 불린다. 또한, “Namalwa”세포주(버킷림프종(Burkitt's lymphoma)으로부터 유래됨)에서 생성되는 네 번째 유형의 IFN, 림포양성(lymphoblastoid) IFN이 존재하는데, 이는 백혈구와 섬유아세포 IFN의 혼합물로 보인다.
인터페론 단위 또는 인터페론 국제 단위(U 또는 IU)는 바이러스 손상으로부터 세포의 50%를 보호하는데 필요한 양으로 정의되는 IFN 활성의 척도이다. 생활성을 측정하는데 이용되는 검사법은 세포변성 효과 저해법이다(42). 인터페론에 대한 이런 항바이러스 검사에서 50%의 세포변성 효과를 유도하는데 대략 1 unit/㎖의 인터페론이 필요하다. 이들 단위는 국립보건원(National Institutes of Health)에 의해 제공된 Hu-IFN-베타에 대한 국제 참고 표준에 기초하여 결정된다(43).
모든 종류의 IFN은 여러 상이한 유형을 포함한다. IFN-β와 IFN-γ는 각각 단일 유전자의 산물이다.
IFN-α로 분류된 단백질은 가장 다양한 군이며, 대략 15가지 유형을 포함한다. 크로모좀 9에 적어도 23개의 구성원을 포함하는 IFN-α 유전자의 클러스터가 존재하는데, 이들 중에서 15개가 활성화되고 전사된다. 성숙 IFN-α는 당화되지 않는다.
IFN-α와 IFN-β는 동일한 길이(165개 또는 166개 아미노산) 및 유사한 생물학적 활성을 보유한다. IFN-γ는 146개 아미노산 길이를 보유하며, α와 β 종류와 다소 상이하다. IFN-γ만 대식세포를 활성화시키거나 킬러 T 세포의 성숙을 유도할 수 있다. 이들 새로운 유형의 치료제는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BRM)라고 하는데, 그 이유는 이들 치료제가 종양에 대한 생물체의 반응에 영향을 주고, 따라서 면역조절을 통한 인식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특히, 인간 섬유아세포 인터페론(IFN-β)은 항바이러스 활성을 보유하며, 종양 세포에 대항하는 자연 킬러 세포를 자극할 수 있다. 이는 바이러스와 이중-가닥 RNA에 의해 유도되는 대략 20,000 Da의 폴리펩티드이다. 재조합 DNA 기술에 의해 클론된 섬유아세포 인터페론 유전자의 뉴클레오티드 서열로부터, Derynk 등(1980)(44)은 상기 단백질의 완전 아미노산 서열을 추론하였다. 이는 166개 아미노산 길이를 보유한다.
Shepard 등(1981)(45)은 항-바이러스 활성이 소멸된 염기 842 돌연변이(141번 위치에서 Cys → Tyr) 및 뉴클레오티드 1119-1121이 결실된 변이 클론을 기술하였다.
Mark 등(1984)(46)은 염기 469(T)를 (A)로 치환시켜 17번 위치에서 Cys → Ser 아미노산 전환을 유도하는 인공 돌연변이를 삽입하였다. 생성된 IFN-β는 장기 보관(-70℃)동안 ‘고유’IFN-β 만큼 유효하고 안정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Rebif®(재조합 인간 인터페론-β)는 다발성 경화증(MS)에 대한 가장 최신의 인터페론 치료제이며, 치료제에서 현저한 진전을 대표한다. Rebif®은 포유동물 세포주로부터 생성된 인터페론(IFN)-베타 1a이다. 인터페론 베타-1a의 주 3회 피하 투여는 재발-이장성 다발성 경화증(RR-MS)의 치료에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인터페론 베타-1a는 재발의 횟수와 심각도를 감소시키고, MRI에 의한 측정에서 질병 부담과 질병 활성을 감소시킴으로써 MS의 장기 과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The Lancet, 1998).
IFN-β는 성상교세포에 의한 신경 성장 인자 생산의 강력한 프로모터인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런 관찰에 기초하여 IFN-β는 AD에서도 강력한 유용성을 보일 것으로 제안되었지만, 이런 주장을 뒷받침할 만한 실험 데이터 또는 임의의 다른 증거는 없는 상태이다(47).
AD에서 가장 최근의 치료 전략은 (1) 아밀로이드 전구 단백질(APP)의 Aβ 펩티드로의 가공 저해, (2) Aβ 응집의 저해, 반전 또는 제거, (3) 콜레스테롤 감소, (4) Aβ 면역화를 통하여 Aβ 수준을 낮추고 독성 Aβ 응집체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AD와 해면상 뇌증의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AD의 치료를 위한 상승적 효과를 유도하는 상기한 AD 전략과 공동으로 인터페론-β를 이용한다.
본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단독으로, 또는 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ChEI)와 공동으로 투여된 IFN-β가 조기-발병 알츠하이머병(AD)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고 조기-발병 알츠하이머 환자에서 질환의 임상적 증상을 현저하게 완화시킨다는 조사 결과에 기초한다. 알츠하이머병과 해면상 뇌증(spongiform encephalopathies)의 공통 특징에 기초하여, IFN-β는 크로이츠펠트-야콥병(CJD) 또는 저스트만-스트라우슬러-쉐인커 병(GSSD)에도 유효하다.
이런 이유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AD, CJD 또는 GSSD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약물의 제조에 인터페론-β(IFN-β), 또는 동등형, 뮤테인, 융합 단백질, 기능성 유도체, 활성 분획물 또는 이의 염을 이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AD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약물의 제조에 알츠하이머 치료제와 공동으로 인터페론-β(IFN-β), 또는 동등형, 뮤테인, 융합 단백질, 기능성 유도체, 활성 분획물 또는 이의 염을 이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단독으로, 또는 조기-발병 AD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약물의 제조에 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ChEI), Aβ 독성 강하제, 호르몬 대체제, 지질 강하제, 세크라타제 조절제, Aβ 응집 저해제, 신경섬유성 저해제 또는 β-아밀로이드 이화작용 저해제에서 선택되는 알츠하이머병 치료제와 공동으로 인터페론-β(IFN-β), 또는 동등형, 뮤테인, 융합 단백질, 기능성 유도체, 활성 분획물 또는 이의 염을 이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은 AD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약물의 제조에 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ChEI), Aβ 독성 강하제, 호르몬 대체제, 지질 강하제, 세크라타제 조절제, Aβ 응집 저해제, 신경섬유성 저해제 또는 β-아밀로이드 이화작용 저해제에서 선택되는 알츠하이머병 치료제와 공동으로 인터페론-β(IFN-β), 또는 동등형, 뮤테인, 융합 단백질, 기능성 유도체, 활성 분획물 또는 이의 염을 이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섯 번째 목적은 알츠하이머병의 치료에 동시에, 순차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사용되지만 공동 투여를 위한 포장 단위로 제조되는 2가지 개별 조성물로 구성되고, 한 조성물은 IFN-β를 함유하고 다른 조성물은 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 Aβ 독성 강하제, 호르몬 대체제, 지질 강하제, 세크라타제 조절제, Aβ 응집 저해제, 신경섬유성 저해제 또는 β-아밀로이드 이화작용 저해제에서 선택되는 알츠하이머병 치료제를 함유하는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여섯 번째 목적은 한가지이상의 제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부형제의 존재하에, 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 Aβ 독성 강하제, 호르몬 대체제, 지질 강하제, 세크라타제 조절제, Aβ 응집 저해제, 신경섬유성 저해제 또는 β-아밀로이드 이화작용 저해제에서 선택되는 알츠하이머병 치료제와 함께 인터페론-β(IFN-β)를 함유하는 제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단독으로, 또는 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ChEI)와 공동으로 투여된 IFN-β는 조기-발병 알츠하이머병(AD)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고 조기-발병 알츠하이머병(AD)의 임상적 심각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게다가, IFN-β는 조기-발병 AD 환자에서 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의 치료 활성을 상승적으로 강화시킴으로써 조기-발병 AD 환자의 상태를 호전시킨다. IFN-β가 알츠하이머병 치료제(즉. ChEI)의 유력 물질이라는 사실에 기초하여, 다른 알츠하이머병 치료제와 IFN-β의 병용은 AD에 유효하다. 공통 특징에 기초하여, IFN-β는 해면상 뇌증(songiform encephalopathies), 예를 들면, 크로이츠펠트-야콥병(CJD) 또는 저스트만-스트라우슬러-쉐인커 병(GSSD)의 치료에도 유효하다.
이런 이유로, 본 발명의 첫 번째 특징은 AD, CJD 또는 GSSD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약물의 제조에서 인터페론-β(IFN-β), 또는 동등형, 뮤테인, 융합 단백질, 기능성 유도체, 활성 분획물 또는 이의 염의 용도에 관한다.
두 번째 특징에서, 본 발명은 알츠하이머병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약물의 제조에서 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ChEI), Aβ 독성 강하제, 호르몬 대체제, 지질 강하제, 세크라타제 조절제, Aβ 응집 저해제, 신경섬유성 저해제 또는 β-아밀로이드 이화작용 저해제에서 선택되는 알츠하이머병 치료제와 인터페론-β(IFN-β), 또는 동등형, 뮤테인, 융합 단백질, 기능성 유도체, 활성 분획물 또는 이의 염의 동시적, 순차적 또는 개별적 병용에 관한다.
적절하게는, 본 발명은 알츠하이머병의 특정 하위범주에 관하는데, 상기 하위범주는 조기-발병 하위범주를 지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조기-발병 AD”는 환자의 하위범주를 포괄하는데, 여기서 AD는 주로 60 내지 65세 이전, 종종 55세 이전에 발병한다.
더욱 적절하게는, 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ChEI)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 및/또는 부티릴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 또는 동등형, 뮤테인, 융합 단백질, 재조합 단백질, 기능성 유도체, 하이브리드, 변이체, 활성 분획물 또는 이의 염이다.
가장 적절하게는, ChEI는 도네페질, 리바스티그민, 갈란타민, 타크린, 아미리딘, 미나프린, 후페르진, 후프린, 비스-테트라하이드로아미노아크리딘(비스-THA), 이미다졸, 1,2,4-티아디아졸리디논, 벤자제핀, 4,4'-비피리딘, 인데노퀴놀리닐아민, 데카메토늄, 에드로포늄, 피소스티그민, 메트리포네이트, 프로피디움, 파스시쿨린스, 오르가노포스페이트, 카바메이트, 이미노 1,2,3,4-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펜트[b]인돌 카바메이트, N-피리미딘 4-아세틸아닐린, 7-아릴옥시코우마린, 프로파르길아미노 카바메이트, 비타민 E, NOS 저해제, ACh 전구물질, 예를 들면, 콜린과 피롤리딘콜린, 또는 콜린성 수용체 항진제, 예를 들면, 무스카린성(muscarinic)과 니코틴성(nicotinic), 특히 α7-콜린성 수용체 항진제이다.
적절하게는, Aβ 독성 강하제는 이부프로펜, 인도메타신, 설린닥 설파이드, 3-아미노 피리다진 유도체와 같은 사멸 연관된 단백질 키나아제(DAPK) 저해제, 사이클로옥시게나제(COX-1과 2) 저해제, 비타민 C와 E와 같은 항산화제, 메만틴과 같은 NMDA 조절물질, 또는 라사길린, 셀레길린, 트라닐시프로민과 같은 MAO 저해제이다.
적절하게는, 호르몬 대체제는 에스트로겐이다.
적절하게는, 지질 강하제는 3-하이드록시-3-메틸글루타릴 보조효소 A(HMG-CoA) 환원효소 저해제, 스타틴, 로바스타틴, 프라바스타틴, 아토르바스타틴, 심바스타틴, 플루바스타틴, 세리바스타틴, 로수바스타틴, 콤팩틴, 메빌로닌, 메바스타틴, 비사스타틴, 벨로스타틴, 신비놀린, 리바스타틴, 이타바스타틴, 피타바스타틴, 메틸-β-사이클로덱스트린,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환원효소, 아실 보조효소 A:콜레스테롤 아실트랜스퍼라아제(ACAT) 저해제, 또는 PI3K 저해제, 예를 들면, 오르트만닌이다.
적절하게는, 세크라타제 조절제는 β- 및/또는 γ-세크라타제 저해제의 저해제, 또는 α-세크라타제 촉진 분자이다.
가장 적절하게는, β-세크라타제 저해제는 BACE와 BACE2 저해제, 예를 들면, 트리펩티드 알데하이드 1, 알콕시 치환된 테트랄린이고, γ-세크라타제 저해제는 디플루오르케톤-기초한 화합물, 하이드록시 치환된 펩티드 우레아, 알라닌-페닐글리신 유도체, 카프롤락탐, 벤조디아제핀, 헥산아마이드, 펜칠라민 설폰아마이드, 이중환 설폰아마이드, 이소코우마린, 디아릴 아세틸렌, 이미다조피리딘, 다중산소화된 방향족 구조체이고, α-세크라타제 촉진 분자는 단백질 키나아제 C 활성인자, 글루타메이트, 카바촐(carbachol), 무스카린성 항진제, 신경영양제, 또는 구리(II) 보유 화합물이다.
적절하게는, Aβ 응집 저해제는 펩티딜 저해제(가령, 펜타펩티드 저해제), 아밀로이드 결합 염료 Congo red와 티오플라빈 T의 유사체, 항암제 독소루비신의 유사체, 항생제, 예를 들면, 리팜피신 또는 이의 유사체와 클리오퀴놀, 벤조푸란, 혈청 아밀로이드 단백질(SAP)의 저해제, 예를 들면, 캡토프릴, 또는 Cu2+, ZN2+ 또는 Fe3+의 첨가에 의한 금속 킬레이트화이다.
적절하게는, 신경섬유성 저해제는 GSK3β 저해제, 예를 들면, LiCl, GSK3β, cdk5 저해제, 예를 들면, 인디루빈과 파울론, 칼파인 저해제, 또는 파실리탁셀과 관련 작용제이다.
적절하게는, β-아밀로이드 이화작용 저해제는 아연 금속단백질분해효소(가령, 네프릴리신), 엔도텔린-전환 효소, 인슐린-분해 효소(가령, IDE, 인슐리신), 플라스민, 또는 네프릴리신 저해제이다.
세 번째 특징에서, 본 발명은 알츠하이머병의 치료에서 동시에, 순차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사용되지만 공동 투여를 위한 포장 단위로 제조되는 2가지 개별 조성물로 구성되고, 한 조성물은 IFN-β를 함유하고 다른 조성물은 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 Aβ 독성 강하제, 호르몬 대체제, 지질 강하제, 세크라타제 조절제, Aβ 응집 저해제, 신경섬유성 저해제 또는 β-아밀로이드 이화작용 저해제에서 선택되는 알츠하이머병 치료제를 함유하는 물질의 용도에 관한다.
네 번째 특징에서, 본 발명은 한가지이상의 제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부형제의 존재하에, 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 Aβ 독성 강하제, 호르몬 대체제, 지질 강하제, 세크라타제 조절제, Aβ 응집 저해제, 신경섬유성 저해제 또는 β-아밀로이드 이화작용 저해제에서 선택되는 알츠하이머병 치료제와 인터페론-β(IFN-β)를 함유하는 제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알츠하이머병 치료제와 인터페론-β는 동시에, 순차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이용된다.
“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는 콜린에스테라제 활성에 저해 활성을 보유하는 단백질, 펩티드 또는 소형 분자량 화합물이다. 이런 작용제는 예로써 콜린에스테라제 분해에도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용제는 콜린에스테라제 활성을 지연, 감소, 감퇴 또는 소멸시키는 작용제일 수도 있다. 콜린에스테라제 활성을 보유, 감소 또는 저해하는 작용제는 콜린에스테라제 활성을 분해 또는 소멸시키는 작용제일 수도 있다. 이런 작용제의 실례에는 콜린에스테라제에 대한 항체가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예방”은 질환 또는 이런 질환의 한가지이상 증후의 완전한 예방뿐만 아니라, 발병에 앞서 또는 발병 초기에 이의 효과의 부분적인 또는 실질적인 예방, 약화, 감소 또는 소멸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치료”는 발병이후 병리학적 진행의 약화, 감소 또는 소멸을 비롯한 병의 진행에 대한 임의의 유익한 효과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인터페론-베타(IFN-β)”는 생물학적 유체로부터 분리, 또는 진핵이나 원핵 숙주 세포로부터 DNA 재조합 기술로 수득될 수 있는 인간 섬유아세포 인테페론을 포괄한다. 인간 기원의 인터페론-베타(IFN-β)가 본 발명에 선호된다. 본 명세서에서 인터페론-베타(IFN-β)는 염, 동등형, 뮤테인, 융합 단백질, 기능성 유도체, 변이체, 유사체, 활성 단편을 포괄한다.
본 명세서에서 “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ChEI)”는 식물, 곤충, 어류, 동물 또는 인간으로부터 유래된 콜린에스테라제(ChE) 저해제 및 이들의 자연 발생 대립형질을 모두 의미한다.
한 구체예에서, 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 Aβ 독성 강하제, 호르몬 대체제, 지질 강하제, 세크라타제 조절제, Aβ 응집 저해제, 신경섬유성 저해제 또는 β-아밀로이드 이화작용 저해제는 동등형, 뮤테인, 융합 단백질, 재조합 단백질, 기능성 유도체, 하이브리드, 변이체, 활성 분획물 또는 이들의 염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콜린에스테라제 저해 활성을 보유하는 작용제는 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 또는 동등형, 뮤테인, 융합 단백질, 재조합 단백질, 기능성 유도체(가령, 단일-, 이중-(가령, 후페르진 A-타크린 이합성 유도체) 또는 복수-결합 부위 ChE 저해제), 변이체, 유사체, 하이브리드(가령, 후프린 및 MAO-AChE 저해제, 예를 들면, 1,2,3,4-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펜트[b]인돌 카바메이트), 활성 단편 또는 이의 염이다.
본 발명에서, 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는 분자 저해 콜린에스테라제 수용체일 수도 있다. 유사하게, 세크라타제 저해제 역시 분자 저해 세크라타제 수용체일 수 있다.
이후, “알츠하이머 치료제”, 바람직하게는, 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 Aβ 독성 강하제, 호르몬 대체제, 지질 강하제, 세크라타제 조절제, Aβ 응집 저해제, 신경섬유성 저해제 또는 β-아밀로이드 이화작용 저해제, 가장 바람직하게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 및/또는 부티릴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는 “본 발명의 물질”로서 인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뮤테인”은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의 유사체를 말하는데,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고유 물질의 아미노산 잔기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아미노산 잔기로 치환되거나 결실되고, 대안으로 하나이상의 아미노산 잔기가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의 고유 서열에 부가되는데,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야생형 물질과 비교하여 생성된 산물의 능력에는 큰 변화가 없어야 한다. 이들 뮤테인은 공지된 합성 방법이나 특정부위-돌연변이유발 기술, 또는 임의의 적합한 다른 공지된 기술을 활용하여 만들 수 있다.
임의의 이런 뮤테인은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의 서열과 충분히 중복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물질과 실제로 유사한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물질보다 우수한 활성을 가진다. 인터페론-β와 콜린에스테라제의 생물학적 기능은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고, IFN-β에 대한 생물학적 표준은 확립되어 있고 예로써 National Institute for Biological Standards and Control(http://immunology.org/links/NIBSC)로부터 입수가능하다.
IFN-β의 결정을 위한 생물검정은 보고되었다. IFN 검정은 예로써 Rubinstein et al., 1981에 의해 기술된 바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통상적인 실험 방법으로 임의의 뮤테인, 유도체, 하이브리드가 IFN-β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IFN-β보다 우수한 활성을 가지는 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의 뮤테인, 또는 이들을 인코딩하는 핵산에는 본원에 제시된 교시와 보도에 기초하여 과도한 실험없이 당업자가 용이하게 수득할 수 있는 치환 펩티드 또는 폴리뉴클레오티드와 같은 일단의 실질적으로 상응하는 서열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의 하이브리드, 유도체, 단일-, 이중-, 복수-결합 부위 ChE 저해제, 변이체, 유사체는 과도한 실험없이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뮤테인에 대한 바람직한 변화는“보존성”치환이다.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 또는 단백질의 보존성 아미노산 치환에는 분자의 생물학적 기능을 보존하면서 유사한 물리화학적 성질을 가지는 일군의 동질성 아미노산간 치환이 포함된다. 기능의 변화없는 아미노산의 부가 또는 결실이 상기 정의된 서열에서 실시될 수 있는데, 특히, 30개 이하, 바람하게는 10개 이하의 아미노산이 부가 또는 결실되고 기능적 구조에 중요한 아미노산(가령, 시스테인 잔기)이 결실 또는 치환되지 않는 경우에 기능의 변화없는 아미노산의 부가 또는 결실이 가능하다. 이런 결실/부가에 의해 만들어지는 단백질과 뮤테인은 본 발명의 목적에 포함된다.
바람직한 동질성 아미노산 군은 표 1에 제시한다. 더욱 바람직한 동질성 아미노산 군은 표 2에 제시한다; 가장 바람직한 동질성 아미노산 군은 표 3에 제시한다.
표 1
바람직한 동질성 아미노산 군
아미노산 동질성 군
Ser Ser, Thr, Gly, Asn
Arg Arg, Gln, Lys, Glu, His
Leu Ile, Phe, Tyr, Met, Val, Leu
Pro Gly, Ala, Thr, Pro
Thr Pro, Ser, Ala, Gly, His, Gln, Thr
Ala Gly, Thr, Pro, Ala
Val Met, Tyr, Phe, Ile, Leu, Val
Gly Ala, Thr, Pro, Ser, Gly
Ile Met, Tyr, Phe, Val, Leu, Ile
Phe Trp, Met, Tyr, Ile, Val, Leu, Phe
Tyr Trp, Met, Phe, Ile, Val, Leu, Tyr
Cys Ser, Thr, Cys
His Glu, Lys, Gln, Thr, Arg, His
Gln Glu, Lys, Asn, His, Thr, Arg, Gln
Asn Gln, Asp, Ser, Asn
Lys Glu, Gln, His, Arg, Lys
Asp Glu, Asn, Asp
Glu Asp, Lys, Asn, Gln, His, Arg, Glu
Met Phe, Ile, Val, Leu, Met
Trp Trp
표 2
더욱 바람직한 동질성 아미노산 군
아미노산 동질성 군
Ser Ser
Arg His, Lys, Arg
Leu Leu, Ile, Phe, Met
Pro Ala, Pro
Thr Thr
Ala Pro, Ala
Val Val, Met, Ile
Gly Gly
Ile Ile, Met, Phe, Val, Leu
Phe Met, Tyr, Ile, Leu, Phe
Tyr Phe, Tyr
Cys Cys, Ser
His His, Gln, Arg
Gln Glu, Gln, His
Asn Asp, Asn
Lys Lys, Arg
Asp Asp, Asn
Glu Glu, Gln
Met Met, Phe, Ile, Val, Leu
Trp Trp
표 3
가장 바람직한 동질성 아미노산 군
아미노산 동질성 군
Ser Ser
Arg Arg
Leu Leu, Ile, Met
Pro Pro
Thr Thr
Ala Ala
Val Val
Gly Gly
Ile Ile, Met, Leu
Phe Phe
Tyr Tyr
Cys Cys, Ser
His His
Gln Gln
Asn Asn
Lys Lys
Asp Asp
Glu Glu
Met Met, Ile, Leu
Trp Trp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의 뮤테인을 수득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단백질에서 아미노산 치환체의 생산 방법의 예에는 임의의 공지된 방법이 포함되는데, 이들 방법은 예로써 미국 특허 4,959,314, 4,588,585, 4,737,462(Mark et al); 5,116,943(Koths et al.,); 4,965,195(Namen et al.,); 4,879,111(Chong et al.,); 5,017,691(Lee et al.,); 4,904,584(Shaw et al.,)(리신 치환된 단백질의 경우)에서 제시한다. IFN-β의 특정 뮤테인은 예로써 Mark et al., 1984에 의해 보고되었다.
“융합 단백질”은 예로써 체액에서 연장된 체류 시간을 갖고 다른 단백질과 융합된 본 발명에 따른 물질, 또는 이들의 뮤테인으로 구성되는 폴리펩티드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은 다른 단백질, 폴리펩티드 등, 예를 들면, 면역글로불린이나 이의 단편과 융합될 수 있다.
본원에서 “기능성 유도체”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의 유도체, 이들의 뮤테인, 융합 단백질이 포함되고, 이들은 당분야에 공지된 수단으로 잔기 또는 N- 혹은 C-말단기에 측쇄로 생성되는 작용기로부터 만들 수 있는데, 이들이 제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하면,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의 활성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단백질의 활성을 파괴하지 않고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독성을 공여하지 않는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 가령, 이들 유도체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측쇄가 포함되는데, 이는 항원성 부위를 감추고 체액에서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의 체류를 연장시킬 수 있다. 다른 유도체에는 카르복실기의 지방족 에스테르; 암모니아, 또는 일차 또는 이차 아민과의 반응에 의한 카르복실기의 아마이드; 아실 부분(가령, 알카노일 또는 카르보사이클릭 아로일 작용기)으로 형성된 아미노산 잔기의 유리 아미노기의 N-아실 유도체; 또는 아실 부분으로 형성된 유리 하이드록실기(가령, 세릴 또는 테레오닐 잔기)의 O-아실 유도체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본 발명에 따른 물질, 뮤테인, 융합 단백질의 “활성 분획물”에는 단독으로, 또는 관련된 분자나 여기에 결합된 잔기(가령, 당이나 인산염 잔기, 또는 단백질 분자나 당 잔기의 자체적인 응집체)와 결합된 단백질 분자의 폴리펩티드 사슬의 임의 단편이나 전구물질이 포함되지만, 이런 분획물은 상응하는 본 발명에 따른 물질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활성을 보유해야 한다.
본원에서 “염”은 상기한 단백질 또는 이의 유사체의 카르복실기의 염과 아미노기의 산 첨가염을 의미한다. 카르복실기의 염은 당분야에 공지된 방법으로 생성될 수 있는데, 여기에는 나트륨, 칼슘, 암모늄, 철, 아연 등과 같은 무기 염기로 형성된 염 및 예로써 아민, 예를 들면 트리에탄올아민, 아르기닌이나 리신, 피페리딘, 프로케인 등과 같은 유기 염기로 형성된 염이 포함된다. 산 첨가염에는 예로써 무기산, 예를 들면 염산이나 황산과의 염 및 유기산, 예를 들면 아세트산이나 옥살산과의 염이 포함된다. 물론, 이들 염은 본 발명에 적합한 단백질(각각, IFN-β와 알츠하이머병 치료제)의 생물학적 활성을 유지해야 한다, 다시 말하면, 상응하는 수용체에 결합하고 수용체 신호전달을 개시할 수 있어야 한다.
가장 일반적인 치매중 한가지는 알츠하이머이다. 이런 이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단독으로, 또는 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와 공동으로 IFN-β는 알츠하이머병(AD)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이용된다.
AChEI는 AD의 일반적인 형태에 비하여 조기-발병 AD에서 더욱 유효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런 이유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단독으로, 또는 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와 공동으로 IFN-β는 조기-발병 알츠하이머병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이용된다.
본 발명에서, 재조합 인간 IFN-β와 타크린, 아미리딘, 도네페질 유도체 TAK-147과 CP-118'954, 미나프린, 후페르진, 후프린, 비스-테트라하이드로아미노아크리딘(비스-THA) 유도체, 예를 들면, 비스(7)-타크린, 이미다졸, 1,2,4-티아디아졸리디논, 벤자제핀 유도체, 4,4'-비피리딘, 인데노퀴놀리닐아민, 데카메토늄, 에드로포늄, Bw284C51, 피소스티그민 유도체 에프타스티그민, 메트리포네이트, 프로피디움, 파스시쿨린스, 오르가노포스페이트, 카바메이트, 이미노 1,2,3,4-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펜트[b]인돌 카바메이트(AChE 저해제 피소스티그민 및 MAO 저해제 셀레길린과 트라닐시프로민의 하이브리드), N-피리미딘 4-아세틸아닐린 유도체, 7-아릴옥시코우마린 유도체, 프로파르길아미노 카바메이트, 예를 들면, N-프로파르길아미노인단과 N-프로파르길펜에틸아민, 비타민 E, NOS 저해제, 전구물질, 예를 들면, 콜린과 피롤리딘콜린 및 콜린성 수용체 항진제(가령, 니코틴성, 특히 α7과 무스카린성)의 이용이 특히 선호된다.
본 발명에서, 재조합 인간 IFN-β 및 도네페질, 리바스티그민 또는 갈란타민의 이용이 가장 선호된다.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융합 단백질은 Ig 융합을 포함한다. 융합은 직접적으로, 또는 짧게는 1 내지 3개 아미노산 잔기 혹은 이보다 좀더 긴, 예를 들면 13개 아미노산 잔기의 짧은 링커 펩티드를 통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링커는 예로써 트리펩티드 서열 E-F-M(Glu-Phe-Met),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물질과 면역글로불린 서열 사이에 도입된 Glu-Phe-Gly-Ala-Gly-Leu-Val-Leu-Gly-Gly-Gln-Phe-Met을 포함하는 13개 아미노산 링커 서열이다. 생성된 융합 단백질은 체액에서 연장된 체류 시간(반감기), 증가된 특이적 활성, 증가된 발현 수준, 융합 단백질의 용이한 정제와 같은 향상된 특성을 보유한다.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IFN-β는 Ig 분자의 불변 영역에 융합된다. 적절하게는, 이는 예로써 사람 IgG1의 CH2와 CH3 도메인과 같은 중쇄 영역에 융합된다. Ig 분자의 다른 동등형 역시 본 발명에 따른 융합 단백질, 예를 들면, 동등형 IgG2 혹은 IgG4, 또는 다른 Ig 종류(IgM이나 IgA)의 생산에 적합하다. 가령, 융합 단백질은 단일체 또는 다합체이고, 이종- 또는 동종다합체이다.
본 발명은 단독으로, 또는 알츠하이머병 치료제와 공동으로 인터페론-β의 용도에 관한다. 치료 실체는 2-3개의 개별 분자 대신에, 단일체 또는 다합체 여부에 상관없이 단일 분자를 투여할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다합성 융합 단백질은 Ig 부분에 융합된 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 및 Ig 부분에 융합된 IFN-β를 포함할 수 있다. 함께 발현되면, 이황화 가교에 의해 연결된 생성 융합 단백질은 알츠하이머병 치료제와 IFN-β를 모두 포함하게 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임의의 다른 가교 작용제 또는 부분,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분자에 의해 더욱 연결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기능성 유도체는 아미노산 잔기의 하나이상의 측쇄로서 존재하는 한가지이상의 기능기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포함한다. 적절하게는, 상기 부분은 폴리에틸렌(PEG) 부분이다. PEG화(PEGlaytion)는 WO 99/55377에 기술된 바와 같은 공지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AD, CJD 또는 GSSD의 치료를 위한 인간 IFN-베타의 용량은 일일 80,000 IU/㎏ 내지 200,000 IU/㎏, 또는 일일 1인당 6 MIU(백만 국제 단위) 내지 12 MIU, 또는 1인당 22 내지 44 ㎍이다. 본 발명에 따라, IFN-β는 일일 1인당 대략 1 내지 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대략 10 내지 30 ㎍, 또는 대략 10 내지 20 ㎍으로 투여된다. 바람직한 투여 경로는 예로써 주 3회 피하 투여이다. 다른 바람직한 투여 경로는 예로써 주 1회 근육내 주사이다.
적절하게는, 22 내지 44 ㎍, 또는 6 MIU 내지 12 MIU의 IFN-베타가 주 3회 피하 주사로 투여된다.
IFN-베타는 250 내지 300 ㎍, 또는 8 MIU 내지 9.6 MIU의 용량으로 격일마다 피하 주사될 수도 있다.
30 ㎍ 또는 6 MIU IFN-베타가 주 1회 근육내 투여될 수도 있다.
IFN-베타는 매일, 격일 또는 더욱 낮은 빈도로 투여될 수도 있다. 적절하게는, IFN-베타는 주 1회, 2회 또는 3회 투여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성 성분의 투여는 정맥내, 근육내 또는 피하 경로로 달성된다. IFN-베타에 적합한 투여 경로는 피하이다.
AD의 치료에 이용되는 타크린의 표준 용량은 일일 4회 10 ㎎이고, 권장 최대량은 40 ㎎/d이다. 현재, 타크린 캡슐은 경구로 복용된다. 도네페질의 경우, 표준 용량은 5 ㎎/d이고, 권장 최대량은 10 ㎎/day이다. 현재, 도네페질 정제는 경구로 복용된다. 리바스티그민의 경우, 표준 용량은 일일 2회 1.5 ㎎이고, 권장 최대량은 일일 2회 6 ㎎이다. 현재, 리바스티그민 캡슐은 경구로 복용된다. 갈란타민의 경우, 표준 용량은 일일 2회 4 ㎎이고, 갈란타민 정제는 경구 복용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타크린은 일일 1인당 대략 0.1 내지 200 ㎎, 바람직하게는 대략 10 내지 1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 ㎎, 또는 60 내지 100 ㎎의 용량으로 투여된다.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도네페질은 일일 1인당 대략 0.1 내지 200 ㎎, 바람직하게는 대략 1 내지 1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0 ㎎, 또는 대략 30 내지 60 ㎎의 용량으로 투여된다.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리바스티그민은 일일 1인당 대략 0.1 내지 200 ㎎, 바람직하게는 대략 0.3 내지 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 ㎎, 또는 대략 20 내지 40 ㎎의 용량으로 투여된다.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갈란타민은 일일 1인당 대략 0.1 내지 200 ㎎, 바람직하게는 대략 0.5 내지 1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 ㎎, 또는 대략 30 내지 60 ㎎의 용량으로 투여된다.
실제 사용량은 환자의 요구 및 치료되는 질환의 심각도에 좌우된다. 특정 상황에 적합한 용량의 결정은 당업자의 통상적 지식에 속한다. 편의를 위하여, 전체 일일 용량은 필요에 따라 분할되고 하루동안 여러 번에 걸쳐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는 가급적 경구 투여된다.
투여 양식에 따라, 본 발명의 화합물은 적절한 희석제, 담체와 혼합하여, 중량으로 대략 0.01%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대략 1% 내지 10%의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연고, 크림, 포말, 용액을 형성할 수 있다.
“제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은 활성 성분의 생물학적 효능을 방해하지 않고 투여된 숙주에 독성을 보이지 않는 임의의 담체를 의미한다. 가령, 장관외 투여에서 활성 단백질은 식염수, 덱스트로스 용액, 혈청 알부민, 링거액과 같은 운반제에 담긴 주사용 단위 약형으로 조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약학적 조성물의 활성 성분은 다양한 방법으로 개체에 투여될 수 있다. 투여 경로에는 피내, 경피(가령, 서방 제형), 근육내, 복강내, 정맥내, 피하, 경구, 경막외, 국소, 비강내 경로가 포함된다. 치료요법적으로 유효한 임의의 다른 투여 경로, 예를 들면 상피나 내피 조직을 통한 흡수, 또는 활성 성분을 인코딩하는 DNA 분자를 환자에 투여하고(가령, 벡터를 통하여) 상기 DNA 분자가 생체내에서 활성 성분을 발현 및 분비하도록 하는 유전자 요법을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은 제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계면활성제, 부형제, 담체, 희석제, 운반제와 같은 다른 생물학적 활성 성분과 함께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IFN-β에 적합한 투여 경로는 피하 투여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다른 가능성은 본 발명의 화합물, 다시 말하면,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및/또는 IFN-β에 대한 유전자를 내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이다. 이런 경우에, 정상 상태에서는 콜린에스테라제 및/또는 IFN-β의 발현이 중단되는 또는 충분한 함량을 발현하지 못하는 세포에서 IFN-β의 내생적 생산을 유도 및/또는 강화시키고 예로써 콜린에스테라제의 내생적 생산을 감소 또는 저해하기 위한 벡터가 AD, CJD 또는 GSSD의 치료에 사용된다. 상기 벡터는 목적 세포에서 IFN-β을 발현하고 콜린에스테라제를 억제하도록 작동하는 조절 서열을 포함한다. IFN-β의 경우에, 이런 조절 서열은 예로써 프로모터 또는 인헨서이고, 콜린에스테라제의 경우에 리프레서(repressor) 또는 사일런서(silencer)이다. 이후, 조절 서열은 동종 재조합으로 게놈의 정확한 좌위에 도입될 수 있는데, 여기서 이런 조절 서열은 발현을 유도 혹은 강화시켜야 하는 유전자에 동작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런 기술은 “내생적 유전자 활성화(EGA)”라 한다(참조: WO 91/09955).
또한, 본 발명은 AD와 감염성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약물의 제조에서 IFN-β 및/또는 알츠하이머병 치료제를 생산하도록 유전자 조작된 세포의 용도에 관한다.
장관외(가령, 정맥내, 피하, 근육내) 투여에서, 활성 단백질은 제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장관외 운반제(가령, 물, 식염수, 덱스트로스 용액) 및 등장성(가령, 만니톨) 또는 화학적 안정성(가령, 방부제와 완충제)을 유지시키는 첨가제와 혼합된 용액, 현탁액, 에멀젼 또는 냉동 건조된 분말 형태로 조제될 수 있다. 상기 제형은 통상의 기술로 멸균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성 단백질의 생체이용효율은 사람 체내에서 분자의 반감기를 증가시키는 공액 과정으로, 예를 들면 상기 분자를 폴리에틸렌글리콜에 부착시켜 개선할 수 있다(참조: PCT 특허 출원 WO 92/13095).
개체에 투여되는 단일 또는 다중 복용량은 약동학적 특성, 투여 경로, 환자 상태와 특성(성별, 연령, 체중, 건강, 크기), 증상의 정도, 병행 치료법, 치료 빈도, 목적 효과를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달라진다.
본 발명의 물질은 매일, 격일 또는 더욱 낮은 빈도로 투여될 수 있다. 적절하게는, 본 발명의 한가지이상 물질은 주 1회, 2회 또는 3회 투여된다.
일일 복용량은 분할 분량으로 또는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는데 효과적인 서방 형태로 제공된다. 2차 또는 후속 투여는 개체에 투여된 최초량 또는 이전 분량과 동일한, 이보다 적은 또는 이보다 많은 용량으로 수행될 수 있다. 2차 또는 후속 투여는 발병 동안 또는 발병에 앞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본 발명의 물질은 예방이나 치료 목적으로 치료요법적 효과량의 다른 섭생이나 약물(가령, 다중 약물 섭생)에 앞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다른 치료제와 동시에 투여되는 활성 약물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조성물로 투여될 수 있다.
논문이나 초록, 공개되거나 공개되지 않은 특허 출원, 특허 혹은 외국 특허, 또는 임의 다른 자료를 비롯한 본원에 언급된 모든 자료, 예를 들면 모든 데이터, 표, 도면 및 이들 언급된 자료에 기재된 참고문헌은 여기에 순전히 참조로 한다. 이에 덧붙여, 본원에 언급된 참고문헌의 전체 내용은 순전히 참조로 한다.
공지된 방법 단계, 통상적인 방법 단계, 공지된 방법 또는 통상적인 방법에 대한 참고문헌은 본 발명의 임의 측면, 설명 또는 구체예가 선행 기술에 개시, 교시 또는 제안되었음을 인정하는 것이 아니다.
특정 구체예의 전술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특성을 제시하는데, 당업자는 통상적인 지식을 활용하여 과도한 실험없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런 특정 구체예를 용이하게 개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런 개변은 본원에 제시된 내용에 기초하여 개시된 구체예의 균등물 범위에 속한다. 본원에 이용된 용어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고,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으며, 본원에 개시된 내용에 비추어 당업자가 통상적인 지식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세하게 기술되었기 때문에, 아래에 예로써 제시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더욱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지만,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실시예 1
조기-발병 AD 환자에서 AChEI과 IFN-β의 병용 효과
AD 발병에 대한 AChEI과 IFN-β의 병용 효과는 40명의 조기-발병 AD 환자에서 수행한다.
AD의 치료에서 IFN-β-1a(Rebif® 22 ㎍, tiw)의 임상 효능은 기준선으로부터 신경심리학적 기능에서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평가한다.
6개월에 걸친 단일-기관 중요 연구는 40명의 조기-발병 AD 환자에서 수행한다. 피험자는 두 군으로 무작위 분할한다: Rebif® 22 ㎍ tiw +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가령, 도네페질, 리바스티그민, 갈란타민 등)를 복용하는 첫 번째 군(n=20); 위약 +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를 복용하는 두 번째 군(n=20).
포함 기준
- 연령 ≥ 50세
-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ition(DSM-IV)에 따른 알츠하이머병의 진단
- 11 내지 25(포함)의 간이 정신 상태 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스코어
- 의사에 의한 감독
- 서명 동의서 제출 및 지역 윤리 위원회의 승인
배제 기준
- Modified Hachinski Ischemic 스코어 ≥ 4
- 신경심리학적 평가의 불응
- 유의한 간, 갑상선 또는 혈액 기능장애
계획
40명의 환자는 24주간 피하, Rebif® 22 ㎍ tiw +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 또는 위약 +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를 복용하도록 이중-맹검 방식으로 무작위 지정한다.
샘플 크기의 이론적 근거 및 통계학적 분석
시험은 AD의 치료에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와 공동으로 Rebif® 22 ㎍ tiw의 임상적 효능의 파일럿 연구로서 계획된다. 샘플 크기는 단일-장소 연구의 실현가능성에 기초하여 선택되었다. 인식과 행동 스코어를 비롯한 연속 변수는 기준선으로부터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분석한다; 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을 이용하여 군간 차이를 비교한다. 부작용은 기술적 통계(descriptive statics)와 비-모수 검정(non-parametric test)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지정
무작위화 계획은 연구 약학(research pharmacy)에 따라 산출된다; 조사원과 연구 인력은 데이터 수집의 완결 때까지 참가자의 군 지정에 맹검이다.
결과 척도
결과 척도는 기준선, 12주, 25주(연구 완결)에 사정한다.
일차적인 결과 척도는 아래와 같다:
- 알츠하이머병 평가 척도(Alzheimer's disease Assessment Scale, ADAS), 지각 부율(cognitive subscale)
- 전반적인 퇴행 척도(Global Deterioration Scale)
- 전반적 임상개선 척도(Clinical Global Impression of Change Scale)
이차적인 결과 척도는 아래와 같다:
- MMSE
- ADAS, 비-지각 부율(non-cognitive subscale)
- 도구적 일상 활동(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 신체적 자가-유지 척도(Physical Self-Maintenance Scale, PSMS)
- 변화의 임상 전체적 인상 척도(Caregiver-rated Global Impression of Change, cGIC)
부작용의 평가
치료-관련된 부작용의 징후는 각 방문 시점에 사정한다. 아래의 경우에는 연구로부터 탈락된다:
1) 환자 요구
2) 조사원 요구
3) 심각한 전신 질환의 증거
4) 심각한 치료-관련된(IFN β-1a) 부작용의 증거
실시예 2
조기-발병 AD 환자에서 IFN-β의 효과
AD 발병에 대한 IFN-β의 효과는 40명의 조기-발병 AD 환자에서 수행한다.
AD의 치료에서 IFN-β-1a(Rebif® 22 ㎍, tiw)의 임상 효능은 기준선으로부터 28주간 치료 추적조사까지 2가지 치료 수단(위약과 치료제)에서 신경심리학적 기능의 차이를 측정함으로써 결정한다.
52주에 걸친 단일-기관 중요 연구는 40명의 조기-발병 AD 환자에서 수행한다. 피험자는 두 군으로 무작위 분할한다: Rebif® 22 ㎍ tiw를 복용하는 첫 번째 군(n=20); 위약을 복용하는 두 번째 군(n=20). 치료 기간은 28주후에 종결된다.
조사원과 연구 인력은 데이터 수집의 완결 때까지 참가자의 군 지정에 맹검이다.
포함 기준
- 50세 내지 70세 연령
-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ition(DSM-IV)에 따른 알츠하이머병의 진단
- 11 내지 25(포함)의 간이 정신 상태 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스코어
- 의사에 의한 감독
- 서명 동의서 제출 및 지역 윤리 위원회의 승인
연구 약물
Rebif®(인터페론 베타-1a)는 0.5 ㎖를 보유하는 미리-충전된 주사기에 담겨 공급된다. 각 주사기는 22 ㎍(6 MIU)의 인터페론 베타-1a, 2 ㎎ 알부민(인간) USP, 27.3 ㎎ 만니톨 USP, 주사용수 및 pH 조정을 위한 아세트산 및/또는 수산화나트륨을 함유한다. Rebif는 SC 투여용으로 미리-충전된 0.5 ㎖ 주사기에 담겨 포장된 무균 용액 22 ㎍(6 MIU)으로 제공된다. RebijectTM Mini는 Rebif® 용액의 미리-충전된 주사기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Rebif® 약물 투여의 용량, 경로, 일정
최초 용량 적정이후, Rebif는 주 3회 22 ㎍ 피하 주사한다. Rebif는 가능하면, 동일한 요일(가령, 월요일, 수요일, 금요일)에 동일한 시점(바람직하게는, 늦은 오후 또는 밤)에 투여한다.
치료의 개시이후 잠재력 부작용은 아래의 표에 개설된 일정에 따라, 첫 4주간 용량의 점진적인 증가로 최소화시킨다.
용량 적정 일정
Week 권장 적정 부피 Rebif® 용량
1-2 20% 0.20 ㎖ 4,4 ㎍
2-4 50% 0.50 ㎖ 11 ㎍
>4 100% 1 ㎖ 22 ㎍
연구 계획
40명의 환자는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에서 인터페론 베타 치료제와 위약을 비교하는 이중-맹검 조절 비교차 군 연구에 무작위 지정한다.
귀무 가설(null hypothesis)
본 연구의 일차적인 목적(인식 감퇴를 사정하는 MMSE와 ADAS-cog 스코어를 이용하여 산정된)에 기초한 귀무 가설은 인터페론 베타가 알츠하이머형 치매에서 전형적인 인식 기능의 점진적 감퇴를 중단시키지 못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12개월의 치료이후, 인터페론 베타 치료제를 복용하도록 무작위 지정된 환자의 MMSE와 ADAS-cog 스코어가 위약 치료를 받은 환자에서와 유사한다는 것이다.
샘플 크기
본 연구를 위하여, 20± 5에 동등한 MMSE 스코어를 나타내는 환자를 등록시켰다. 샘플 분석에서는 이전에 무작위화된 임상 시험에 등록된 환자 집단에서 평균 MMSE와 ADAS-cog 스코어에 상대적인 표준 편차(SD)와 일치하는 임상적으로 유관한 효과 크기를 추정하였다. MMSE는 인식 손상에 따라 감소하는 0 내지 30 범위의 척도인데, 26/30 이하의 수치는 비정상이고 연령과 교육에 의해 조정된다. ADAS-cog는 인식 기능의 손상에 따라 증가하는 0 내지 70 범위의 척도인데, 9.5/70 이상은 비정상이다. 기준선에서 평균 MMSE와 ADAS-cog의 SD는 각각 대략 5와 10에 상당하는 것으로 밝혀졌다(Farlow RM, Hake A, Messina J, Hartman R, Veach J, Anand R. Response of patients with Alzjeimer disease to rivastigmine treatment is predicted by the rate of disease progression. Arch Neurol 2001;58:417-422).
등록 기준(즉, 20에 상당하는 평균 MMSE 스코어) 및 위약 치료를 받은 환자가 3개월마다 1.2 포인트의 악화된 스코어를 경험한다는 가설(Rogers SL, Friedhoff LT and the Donepezil Study Group. The efficacy and safety of Donepezil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results of multicentre, randomis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Dementia 1996;7:293-303)에 기초하여, 위약 환자에서 예상 평균 MMSE 스코어는 15.2이다. 이런 귀무 가설이 오류인 경우에, 인터페론 베타 치료를 받은 환자에서 예상 평균 스코어는 20.2(SD=5)에 상당한다. 본 연구의 목적과 관련하여, 각 군에 17명 환자의 무작위화는 0.05에 상당하는 알파와 80%의 파워로 상기 귀무 가설의 거부를 가능하게 한다.
ADAS-cog를 이용하여 평가된 인식 감퇴에 대한 인터페론 베타 효과의 일차적인 목적과 관련하여, 기존 문헌에서 MMSE 스코어는 ADAS-cog 스코어와 상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Doraiswamy PM, Bieper F, Kaiser L, Krishnan KR, Reuning-Scherer J, Gulanski B. The Alzheimer's assessment scale: patterns and predictors of baseline cognitive performance in multicenter Alzheimer's disease trials. Neurology 1997;48:1511-1517). MMSE에서 15.2의 스코어는 ADAS-cog에서 대략 36.5의 수치에 해당한다. 이런 귀무 가설이 오류인 경우에, 인터페론 베타 치료를 받은 환자에서 예상 평균 스코어는 26.5(SD=10)에 상당한다. 이전의 연구 목적과 유사하게, 각 군에 17명 환자의 무작위화는 0.05에 상당하는 알파와 80%의 파워로 상기 귀무 가설의 거부를 가능하게 한다.
대략 15%의 탈락율을 고려하면, 샘플 크기의 최종 개산은 각 수단에 대해 20명이다.
환자가 연구 중에 또는 치료 중단이후 30일 이내에 보고된 모든 중증도 부작용(SAE)은 도표로 작성한다.
기준선에서 실험 결과 및 기준선으로부터 변화는 무작위화된 처리군으로 요약한다. 이에 더하여, 참고 범위와 비교하여 낮은, 정상 또는 높은 수준으로 수치의 분류에 기초한 실험 결과의 변화 목록은 무작위화된 처리군으로 요약하고 제시한다.
지정
무작위화 계획은 연구 약학에 따라 산출된다; 조사원과 연구 인력은 데이터 수집의 완결 때까지 참가자의 군 지정에 맹검이다.
결과 척도
결과 척도는 기준선, 12주, 28주, 52주(연구 완결)에 사정한다.
일차적인 결과 척도는 아래와 같다:
- 알츠하이머병 평가 척도(Alzheimer's disease Assessment Scale, ADAS), 지각 부율(cognitive subscale)
- 전반적인 퇴행 척도(Global Deterioration Scale)
- 전반적 임상개선 척도(Clinical Global Impression of Change Scale)
이차적인 결과 척도는 아래와 같다:
- MMSE
- ADAS, 비-지각 부율(non-cognitive subscale)
- 도구적 일상 활동(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 신체적 자가-유지 척도(Physical Self-Maintenance Scale, PSMS)
- 변화의 임상 전체적 인상 척도(Caregiver-rated Global Impression of Change, cGIC)
- 노인 우울 척도(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 2가지 치료 수단에서 질병 진행에 대한 연구를 중단한 환자
부작용의 평가
치료-관련된 부작용의 징후는 각 방문 시점에 사정한다. 아래의 경우에는 연구로부터 탈락된다:
5) 환자 요구
6) 조사원 요구
7) 심각한 전신 질환의 증거
8) 심각한 치료-관련된(IFN β-1a) 부작용의 증거
참고문헌
1. Moran, M. A., Mufson, E. J., and Gomez-Ramos, P. (1993) Acta Neuropathol. 85, 362-369.
2. Silver, A. (1974) The Biology of Cholinesterases, North-Holland, Amsterdam.
3. Kasa, P., Rakonczay, Z., and Gulya, K. (1997) Prog. Neurobiol. 52, 511-535.
4. Geula, C., Mesulam, M. M., Saroff, D. M., and Wu, C. K. (1998) J. Neuropathol. Exp. Neurol. 57, 63-75.
5. Massoulie, J., Pezzementi, L., Bon, S., Krejci, E., and Vallette, F. M. (1993) Prog. Neurobiol. 41, 31-91.
6. Mesulam, M. M., and Geula, C. (1990) Adv. Neurol. 51, 235-240.
7. Brimijoin, S.; Koenigsberger, C. (1999) Environ. Health Perspect., 107 Supl.1, 59-64.
8. Bigbee, J.W.; Sharma, K.V.; Chan, E.L.; Bogler, O. (2000) Brain Res., 861, 354-362.
9. Anderson, R.B.; Key, B. (1999) Int. J. Dev. Neurosci., 17, 787-793.
10. Johnson, G.; Moore, S.W. (2000) Int. J. Dev. Neurosci., 18, 781-790.
11. Sharma, K.V.; Bigbee, J.W. (1998) J. Neurosci. Res., 53, 454-464.
12. Munoz, F.J.; Aldunate, R.; Inestrosa, N.C. (1999) Neuroreport, 10, 3621-3625.
13. Johnson, G.; Moore, S.W. (1999) Biochem. Biophys. Res. Commun., 258, 758-762.
14. Inestrosa, N. C., Alvarez, A., Perez, C. A., Moreno, R. D., Vicente, M., Linker, C., Casanueva, O. I., Soto, C., and Garrido, J. (1996) Neuron 16, 881-891.
15. Alvarez, A., Alarcon, R., Opazo, C., Campos, E. O., Munoz, F. J., Calderon, F. H., Dajas, F., Gentry, M. K., Doctor, B. P., De Mello, F. G., and Inestrosa, N. C. (1998) J. Neurosci. 18, 3213-3223.
16. Munoz, F. J., and Inestrosa, N. C. (1999) FEBS Lett. 450, 205-209.
17. Matthew G. Cottingham, Michael S. Hollinshead, and David J. T. Vaux, (2002) Biochemistry, 41 (46), 13539 -13547.
18. Manuela Bartolini, Carlo Bertucci, Vanni Cavrini and Vincenza Andrisano, (2003) Biochemical Pharmacology, Volume 65, Issue 3, 407-416.
19. Bartus, R.T. (2000) Exp. Neurol., 163, 495-529.
20. Melo JB et al., (2003) Neurosci Res, 45(1)
21. Nordberg A, Svensson AL. (1998) Cholinesterase inhibitors in the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a comparison of tolerability and pharmacology. Drug Safety, 19, 465480.
22. Davis KL et al. (1999) JAMA; 281, 1401-1406.
23. Blesa R. et al, (2003) Dementia and Geriatric Cognitive Disorders, 15, 79-87.
24. Wlodek, S.T.; Antosiewicz, J.; McCammon, J.A.; Stratsma, T.P.; Gilson, M.K.; Briggs, J.M.; Humblet, C.; Sussman, J.L. (1996) Biopolymers, 38, 109-117.
25. Bartolucci, C.; Perola, E.; Cellai, L.; Brufani, M.; Lamba, D. (1999) Biochem., 38, 5714-5719.
26. Szegletes, T.; Mallender, W.D.; Thomas, P.J.; Rosenberry, T.L. (1999) Biochem., 38, 122-133.
27. Harel, M.; Kleywegt, G.J.; Ravelli, R.B.; Silman, I.; Sussman, J.L. (1995) Structure, 3, 1355-1366.
28. Harel, M.; Schalk, I.; Ehret-Sabatier, L.; Bouet, F.; Goeldner, M.; Hirth, C.; Axelsen, P.H.; Silman, I.; Sussman, J.L. (1993) Proc. Natl. Acad. Sci. USA, 90, 9031-9035.
29. Jonnala RR et al., (2003) Synapse, 47(4), 262-269.
30. Woodruff-Pak DS et al., (2002) CNS Drug Rev, 8(4), 405-26.
31. in t'Veld BA, Ruitenberg A, Hofman A, Launer LJ, van Duijn CM, et al. (2001)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and the risk of Alzheimer's disease. N. Engl. J. Med. 345, 151521
32. Blasko I, Apochal A, Boeck G, Hartmann T, Grubeck-Loebenstein B, Ransmayr G. (2001) Ibuprofen decreases cytokine-induced amy-loid beta production in neuronal cells. Neu-robiol. Dis. 8, 1094101.
33. Weggen S, Eriksen JL, Das P, Sagi SA, Wang R, et al. (2001) A subset of NSAIDs lower amyloidogenic Abeta42 independently of cyclooxygenase activity. Nature 414, 21216.
34. Watterson DM, Haiech J, and Van Eldik LJ (2002) Discovery of new chemical classes of synthetic ligands that suppress neuroinflammatory responses. J Mol Neurosci 19, 8993.
35. Waring SC, Rocca WA, Petersen RC, O'Brien PC, Tangalos EG, Kokmen E. (1999) Post-menopausal estrogen replacement therapy and risk of AD: a population-based study. Neurology 52, 96570
36. Greenfield JP, Leung LW, Cai D, Kaasik K, Gross RS, et al. (2002) Estrogen lowers Alzheimer beta-amyloid generation by stim-ulating trans-Golgi network vesicle biogen-esis. J. Biol. Chem. 277(12), 12836.
37. Fassbender K, Simons M, Bergmann C, Stroick M, Lutjohann D, et al. (2001) Simvastatin strongly reduces levels of Alzheimer's dis-ease beta-amyloid peptides Abeta 42 and Abeta 40 in vitro and in vivo. Proc. Natl. Acad. Sci. USA 98, 585661.
38. Michaelis ML, Dobrowsky RT, and Li G (2002) Neurofibrillary pathology and microtubule stability. J Mol Neurosci 19, 289293.
39. Lau LF, Schachter JB, Seymour PA, and Sanner MA (2002) Protein phosphorylation as a therapeutic target in Alzheimer's disease. Curr Top Med Chem 2, 395415.
40. Michaelis ML, Ranciat N, Chen Y, Bechtel M, Ragan R, Hepperle M, Liu Y, and Georg G (1998) Protection against -amyloid toxicity in primary neurons by paclitaxel [Taxol]. J Neurochem 70, 16231627.
41. Carson JA, Turner AJ. (2002) Neurochem., 81, 1.
42. Familletti,P. C., Rubinstein,S., and Pestka, S. (1981) A Convenient and Rapid Cytopathic Effect Inhibition Assay for Interferon, in Methods in Enzymology, Vol. 78 (S.Pestka, ed.), Academic Press, New York, 387-394.
43. Pestka, S. (1986) "Interferon Standards and General Abbreviations,in Methods in Enzymology (S. Pestka, ed.), Academic Press, New York 119, 14-23.
44. Derynk R. et al. (1980) Nature 285, 542-547.
45. Shepard H. M. et al. (1981) Nature, 294, 563-565.
46. Mark D.F. et al. (1984) Proc. Natl. Acad. Sci. U.S.A., 81(18), 5662-5666.
Boutros T., Croze E and Yong V.W. (1997) Journal of Neurochemistry, 69, 939-946.

Claims (24)

  1. 알츠하이머병, 크로이츠펠트-야콥병(Creutzfeld-Jakob disease) 또는 저스트만-스트라우슬러-쉐인커 병(Gerstmann-Straussler-Scheinker disease)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물의 제조에서 인터페론-β(IFN-β)의 용도.
  2. 알츠하이머병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물의 제조에서 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 Aβ 독성 강하제, 호르몬 대체제, 지질 강하제, 세크라타제 조절제, Aβ 응집 저해제, 신경섬유성 저해제 또는 β-아밀로이드 이화작용 저해제에서 선택되는 알츠하이머병 치료제와 동시에, 순차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병용되는 인터페론-β(IFN-β)의 용도.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알츠하이머병은 조기-발병 알츠하이머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론-β(IFN-β)의 용도.
  4. 제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는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 또는 부티릴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론-β(IFN-β)의 용도.
  5. 제 4항에 있어서, 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는 도네페질, 리바스티그민, 갈란타민, 타크린, 아미리딘, 미나프린, 후페르진, 후프린, 비스-테트라하이드로아미노아크리딘(비스-THA), 이미다졸, 1,2,4-티아디아졸리디논, 벤자제핀, 4,4'-비피리딘, 인데노퀴놀리닐아민, 데카메토늄, 에드로포늄, 피소스티그민, 메트리포네이트, 프로피디움, 파스시쿨린스, 오르가노포스페이트, 카바메이트, 이미노 1,2,3,4-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펜트[b]인돌 카바메이트, N-피리미딘 4-아세틸아닐린, 7-아릴옥시코우마린, 프로파르길아미노 카바메이트, 비타민 E, NOS 저해제, ACh 전구물질, 예를 들면, 콜린과 피롤리딘콜린, 또는 콜린성 수용체 항진제, 예를 들면, 무스카린성(muscarinic)과 니코틴성(nicotinic), 특히 α7-콜린성 수용체 항진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론-β(IFN-β)의 용도.
  6. 제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Aβ 독성 강하제는 이부프로펜, 인도메타신, 설린닥 설파이드, 3-아미노 피리다진 유도체와 같은 사멸 연관된 단백질 키나아제(DAPK) 저해제, 사이클로옥시게나제(COX-1과 2) 저해제, 비타민 C와 E와 같은 항산화제, 메만틴과 같은 NMDA 조절물질, 또는 라사길린, 셀레길린, 트라닐시프로민과 같은 MAO 저해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론-β(IFN-β)의 용도.
  7. 제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호르몬 대체제는 에스트로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론-β(IFN-β)의 용도.
  8. 제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지질 강하제는 3-하이드록시-3-메틸글루타릴 보조효소 A(HMG-CoA) 환원효소 저해제, 스타틴, 로바스타틴, 프라바스타틴, 아토르바스타틴, 심바스타틴, 플루바스타틴, 세리바스타틴, 로수바스타틴, 콤팩틴, 메빌로닌, 메바스타틴, 비사스타틴, 벨로스타틴, 신비놀린, 리바스타틴, 이타바스타틴, 피타바스타틴, 메틸-β-사이클로덱스트린, 7-디하이드로콜레스테롤 환원효소, 아실 보조효소 A:콜레스테롤 아실트랜스퍼라아제(ACAT) 저해제, 또는 PI3K 저해제, 예를 들면, 오르트만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론-β(IFN-β)의 용도.
  9. 제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세크라타제 조절제는 β- 또는 γ-세크라타제 저해제의 저해제, 또는 α-세크라타제 촉진 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론-β(IFN-β)의 용도.
  10. 제 9항에 있어서, β-세크라타제 저해제는 BACE와 BACE2 저해제, 예를 들면, 트리펩티드 알데하이드 1, 알콕시 치환된 테트랄린이고, γ-세크라타제 저해제는 디플루오르케톤-기초한 화합물, 하이드록시 치환된 펩티드 우레아, 알라닌-페닐글리신 유도체, 카프롤락탐, 벤조디아제핀, 헥산아마이드, 펜칠라민 설폰아마이드, 이중환 설폰아마이드, 이소코우마린, 디아릴 아세틸렌, 이미다조피리딘, 다중산소화된 방향족 구조체이고, α-세크라타제 촉진 분자는 단백질 키나아제 C 활성인자, 글루타메이트, 카바촐(carbachol), 무스카린성 항진제, 신경영양제, 또는 구리(II) 보유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론-β(IFN-β)의 용도.
  11. 제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Aβ 응집 저해제는 펩티딜 저해제(가령, 펜타펩티드 저해제), 아밀로이드 결합 염료 Congo red와 티오플라빈 T의 유사체, 항암제 독소루비신의 유사체, 항생제, 예를 들면, 리팜피신 또는 이의 유사체와 클리오퀴놀, 벤조푸란, 혈청 아밀로이드 단백질(SAP)의 저해제, 예를 들면, 캡토프릴, 또는 Cu2+, ZN2+ 또는 Fe3+의 첨가에 의한 금속 킬레이트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론-β(IFN-β)의 용도.
  12. 제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신경섬유성 저해제는 GSK3β 저해제, 예를 들면, LiCl, GSK3β, cdk5 저해제, 예를 들면, 인디루빈과 파울론, 칼파인 저해제, 또는 파실리탁셀과 관련 작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론-β(IFN-β)의 용도.
  13. 제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β-아밀로이드 이화작용 저해제는 아연 금속단백질분해효소(가령, 네프릴리신), 엔도텔린-전환 효소, 인슐린-분해 효소(가령, IDE, 인슐리신), 플라스민, 또는 네프릴리신 저해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론-β(IFN-β)의 용도.
  14. 전술한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도체는 아미노산 잔기에서 측쇄로서 존재하는 하나이상의 기능기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론-β(IFN-β)의 용도.
  15. 제 15항에 있어서, 부분은 폴리에틸렌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론-β(IFN-β)의 용도.
  16. 전술한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IFN-β는 1인당 일일 1 내지 50 ㎍, 10 내지 30 ㎍, 또는 10 내지 20 ㎍의 용량으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론-β(IFN-β)의 용도.
  17. 전술한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IFN-β는 매일 또는 격일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론-β(IFN-β)의 용도.
  18. 전술한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IFN-β는 주 2회 또는 3회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론-β(IFN-β)의 용도.
  19. 제 16항에 있어서, 독성이하(sub-toxic) 농도는 100 ㎍/m2 미만, 50 ㎍/m2 미만, 10 ㎍/m2 미만, 또는 1 ㎍/m2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론-β(IFN-β)의 용도.
  20. 전술한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IFN-β는 피하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론-β(IFN-β)의 용도.
  21. 전술한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IFN-β는 근육내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론-β(IFN-β)의 용도.
  22. 전술한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IFN-β는 정맥내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론-β(IFN-β)의 용도.
  23. 알츠하이머병의 치료에서 동시에, 순차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사용되지만 공동 투여를 위한 포장 단위로 제조되는 2가지 개별 조성물로 구성되고, 한 조성물은 IFN-β를 함유하고 다른 조성물은 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 Aβ 독성 강하제, 호르몬 대체제, 지질 강하제, 세크라타제 조절제, Aβ 응집 저해제, 신경섬유성 저해제 또는 β-아밀로이드 이화작용 저해제에서 선택되는 전술한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알츠하이머병 치료제를 함유하는 물질의 용도.
  24. 한가지이상의 제약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부형제의 존재하에, 콜린에스테라제 저해제, Aβ 독성 강하제, 호르몬 대체제, 지질 강하제, 세크라타제 조절제, Aβ 응집 저해제, 신경섬유성 저해제 또는 β-아밀로이드 이화작용 저해제에서 선택되는 전술한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알츠하이머병 치료제와 함께 인터페론-β(IFN-β)를 함유하는 제약학적 조성물.
KR1020057017076A 2003-03-19 2004-03-17 알츠하이머병과 치매 질환의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다른 치료제와 공동으로 이용되는 ifn-베타 KR200501152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3100716.4 2003-03-19
EP03100716 2003-03-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5279A true KR20050115279A (ko) 2005-12-07

Family

ID=33016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7076A KR20050115279A (ko) 2003-03-19 2004-03-17 알츠하이머병과 치매 질환의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다른 치료제와 공동으로 이용되는 ifn-베타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20070110715A1 (ko)
EP (1) EP1620124A2 (ko)
JP (1) JP2006520368A (ko)
KR (1) KR20050115279A (ko)
CN (1) CN1791423A (ko)
AR (1) AR043660A1 (ko)
AU (1) AU2004222529A1 (ko)
BR (1) BRPI0408491A (ko)
CA (1) CA2516990A1 (ko)
EA (1) EA009668B1 (ko)
IL (1) IL170751A0 (ko)
MX (1) MXPA05009986A (ko)
NO (1) NO20054744L (ko)
WO (1) WO200408270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960781A (zh) * 2004-04-14 2007-05-09 沃尼尔·朗伯有限责任公司 治疗阿尔茨海默氏病的治疗组合
US7695911B2 (en) * 2005-10-26 2010-04-13 Celera Corporation Genetic polymorphisms associated with Alzheimer's Disease, methods of detection and uses thereof
JP2009531323A (ja) * 2006-03-20 2009-09-03 カウンシル オブ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アンド インダストリアル リサーチ アセチルコリンエステラーゼ阻害剤として有用な薬剤組成物
CN101116670B (zh) * 2006-08-01 2010-11-10 广州和竺生物科技有限公司 可提供活性甲基或参与甲基转移的化合物作为制备治疗病毒性疾病的药的应用
MX2009001937A (es) * 2006-08-21 2009-04-30 Novartis Ag Biomarcadores para el progreso de la enfermedad de alzheimer.
TWI432195B (zh) * 2007-10-03 2014-04-01 Kowa Co 神經細胞死亡抑制劑
CN102209540A (zh) * 2008-11-11 2011-10-05 塔加西普特公司 使用α7-选择性配体的治疗方法
US20110081428A1 (en) * 2009-09-16 2011-04-07 The Buck Institute For Age Research Use of thioflavin-like compounds to increase life span and/or health span
US9295669B2 (en) 2010-12-14 2016-03-29 Hoffman La-Roche Inc. Combination therapy for proliferative disorders
CN102382096A (zh) * 2011-09-06 2012-03-21 清华大学 异香豆素及其衍生物的制备方法
CN102707065A (zh) * 2012-03-23 2012-10-03 常熟市虞山绿茶有限公司 Prohibitin蛋白抗体在制备诊断老年性痴呆的试剂盒中的应用
UA107653U (uk) 2012-10-01 2016-06-24 Общєство С Огранічєнной Отвєтствєнностью "Валєнта-Інтєллєкт" Композиція лікарських засобів для лікування та профілактики поведінкових, психічних та когнітивних розладів
US9116974B2 (en) * 2013-03-15 2015-08-25 Robert Bosch Gmbh System and method for clustering data in input and output spaces
CN106754995B (zh) * 2016-11-25 2020-07-10 山东农业大学 中华蜜蜂AccCDK5基因及AccCDK5r1基因及其应用
RU2729391C2 (ru) * 2018-12-28 2020-08-0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уки институт биоорганической химии им. академиков М.М. Шемякина и Ю.А. Овчинникова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ИБХ РАН) Моноклональное антитело, способное нейтрализовать биологическую активность интерферона бета-1а человека
CN109518211B (zh) * 2019-01-08 2020-11-06 合肥工业大学 一种芳香偶酰类化合物的电化学合成方法
WO2023080687A1 (ko) * 2021-11-03 2023-05-11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아밀로이드 베타 멀티머 저해 약물의 고속 대량 스크리닝 방법 및 독소루비신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아밀로이드 베타의 올리고머화 또는 섬유화 억제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3768800A (en) * 1999-03-26 2000-10-16 Emil H. Franssen Treatment of brain changes with myelin protective agents
WO2001041782A2 (en) * 1999-12-09 2001-06-14 Chiron Corporation Method for administering a cytokine to the central nervous system and the lymphatic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20124A2 (en) 2006-02-01
EA009668B1 (ru) 2008-02-28
MXPA05009986A (es) 2005-11-04
EA200501479A1 (ru) 2006-02-24
BRPI0408491A (pt) 2006-04-04
JP2006520368A (ja) 2006-09-07
WO2004082706A3 (en) 2005-01-13
IL170751A0 (en) 2011-08-01
CA2516990A1 (en) 2004-09-30
WO2004082706A2 (en) 2004-09-30
AR043660A1 (es) 2005-08-03
AU2004222529A1 (en) 2004-09-30
US20070110715A1 (en) 2007-05-17
CN1791423A (zh) 2006-06-21
NO20054744L (no) 2005-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115279A (ko) 알츠하이머병과 치매 질환의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다른 치료제와 공동으로 이용되는 ifn-베타
EP1957082B1 (en) Use of high-dose oxazaphosphorine drugs for treating immune disorders
AU2006310577B2 (en) Use of SDF-1 for the treatment and/or prevention of neurological diseases
US9040485B2 (en) Synthetic analogues of neural regeneration peptides
US20170119733A1 (en) Compounds and pharmaceutical combinations for the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and ischemic brain diseases
AU2023208107A1 (en) Composition comprising an anti-Αβ protofibril antibody and a beta- secretase BACE1 inhibitor for the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US20070054847A1 (en) Use of adnf polypeptides for treating anxiety and depression
JP2010512403A (ja) 炎症の治療法としてのαBクリスタリン
JP5936707B2 (ja) インターフェロンおよびアンドログラホリドを用いた多発性硬化症のための併用療法
Russo et al. Evidence Implicating Matrix Metalloproteinases in the Mechanism Underlying Accumulation of IL‐1β and Neuronal Apoptosis in the Neocortex of HIV/gp120‐Exposed Rats
KR20170104457A (ko) 신경변성 장애
US8106019B2 (en) CHEC-7 a novel sPLA2 inhibitor
Chavoshinezhad et al. Intranasal interferon-beta as a promising alternative for the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JP5048658B2 (ja) 神経性炎症性疾患の治療、及び/又は予防のためのil−18bpアイソフォームの使用
JP2004531480A (ja) 神経変性疾患の処置のためのトリペプチド誘導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