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2087A - 속눈썹용 화장료 - Google Patents

속눈썹용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2087A
KR20050112087A KR1020057015806A KR20057015806A KR20050112087A KR 20050112087 A KR20050112087 A KR 20050112087A KR 1020057015806 A KR1020057015806 A KR 1020057015806A KR 20057015806 A KR20057015806 A KR 20057015806A KR 20050112087 A KR20050112087 A KR 20050112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resin
wax
eyelashes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5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8624B1 (ko
Inventor
아츠미 모리
히데키 다카하시
사토시 도모마사
히로유키 요코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050112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2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8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86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속눈썹용 화장료에 관한 것으로서,
(a) 왁스, (b) 수지, 또는 (a) 왁스 및 (b) 수지와, (c) 중공 분말을 배합함으로써 볼륨감을 부여하고, 또한 동시에 컬 효과, 컬 유지 효과가 우수하고, 속눈썹 도포시의 편리성이나 덧바름 편리성 등이 우수하고, 도포 후의 마무리의 균일성, 내수성, 내유성도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속눈썹용 화장료{COSMETIC FOR CILIA}
본 발명은 속눈썹용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종래에 없던 볼륨감을 부여하고, 또한 동시에 컬 효과, 컬 유지 효과가 우수한 속눈썹용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마스카라 등으로 대표되는 속눈썹용 화장료는 속눈썹을 진하고 길게 보이게 하고, 속눈썹에 볼륨감을 주는 등의 효과뿐만 아니라 화장 지속성(내수성, 내피지성), 컬 효과(속건성 및 속눈썹을 컬시켜 위로 올리는 효과), 컬 유지 효과(시간 경과로 컬을 지속시키는 효과) 등의 기능면에서의 효과가 요구되고 있다. 최근, 특히 속눈썹의 볼륨감을 향상시키는 것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속눈썹용 화장료는 고형상 유분, 예를 들면 왁스나 밀납류 및 분체, 피막 형성제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고, 화장품으로서의 쾌적한 사용성, 사용감 및 기능성을 연출하기 위해 여러가지 성상, 성질을 가진 왁스류, 분체, 피막 형성제의 배합 검토가 실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왁스나 분말, 증점제의 배합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속눈썹에 잔존하는 고형분을 많게 하고, 속눈썹을 두껍게 하여 눈에 띄게 하는 볼륨 효과를 실현하거나, 속눈썹상에서 강고한 막을 형성하는 피막제를 사용하는 것 등으로 컬 효과를 내어 눈매를 또렷하게 하는 것이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볼륨 효과를 높이면 마스카라의 고형분이 많아져 무거운 막이 속눈썹의 컬을 떨어뜨리고, 컬 효과, 특히 컬 유지 효과를 높이는 것이 어려웠다. 또한, 컬 효과, 컬 유지 효과를 높이기 위해 막을 가볍게 하면 속눈썹에 남는 고형분의 양을 많게 할 수 없어 볼륨 효과를 높이는 것이 어려웠다. 즉, 볼륨 효과와 컬 효과, 컬 유지 효과를 동시에 실현하는 것은 이것들이 서로 상반되는 사항이므로 곤란하였다.
한편, 종래부터 휘발성 발포제를 내포한 열가소성 수지 분체를 가열, 발포시키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중공성 발포 수지 분체를 배합하는 화장료로서 파운데이션 등이 검토되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60440호).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종래에 없는 볼륨감을 부여하고, 또한 동시에 컬 효과, 컬 유지 효과가 우수하고, 속눈썹 도포시의 편리성 등의 사용성이나 덧바름의 편리성 등이 우수하고, 도포 후의 마무리의 균일성, 내수성, 내유성도 우수한 속눈썹용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왁스 및/또는 수지와 중공 분말을 배합함으로써 볼륨 효과가 우수하고, 마무리 등을 손상시키지 않고, 또한 동시에 컬 효과, 컬 유지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는데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a) 왁스 및/또는 (b) 수지, (c) 중공 분말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눈썹용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속눈썹용 화장료에서는 (a) 왁스 및/또는 (b) 수지 0.1 질량% 내지 55 질량%와, (c) 중공 분말 0.01 질량% 내지 20 질량%를 함유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속눈썹용 화장료에서는 (a) 왁스 및/또는 (b) 수지의 용적과, (c) 중공 분말의 용적과의 비가 1:10 내지 1:0.01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속눈썹용 화장료에서는 (a) 왁스 1 질량% 내지 30 질량%, (b) 수지 0.1 질량% 내지 25 질량%, (c) 중공 분말 0.01 질량% 내지 20 질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속눈썹용 화장료에서는, 또한 (d) 색재(色材) 0.1 질량% 내지 30 질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속눈썹용 화장료에서는 (e) 증점제 0.1 질량% 내지 20 질량%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속눈썹용 화장료에서는 용매 휘산 후의 조성물의 비중이 0.1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속눈썹용 화장료에서는 30 ℃에서의 경도(카드미터: 8 mm/200 g 하중값)가 70 내지 18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a) 왁스라는 것은 상온에서 고형 유분을 의미하며, 이와같은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는 밀랍, 칸데리라왁스, 면랍, 카르나바왁스, 베이베리왁스, 수랍목랍, 고래랍, 몬탄왁스, 누카왁스, 라놀린, 판야랍, 목랍, 초산 라놀린, 액상 라놀린, 사탕수수왁스, 라놀린 지방산 이소프로필, 라우린산 헥실, 환상 라놀린, 호호바왁스, 경질 라놀린, 셸락왁스, 비스왁스, 미세결정질 왁스, 파라핀 왁스, POE 라놀린알콜에테르, POE 라놀린알콜아세테이트, POE콜레스테롤에테르, 라놀린 지방산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 글리세리드, 경화 피마자유, 바세린, POE 수소 첨가 라놀린 알콜 에테르, 실리콘계 왁스, 호호바 에스테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들 왁스는 1 종류 또는 2 종류 이상이 선택되어 이용된다. 이중에서도 특히 미세결정질 왁스나 칸데리라왁스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b) 수지는 피막 형성제로서 기능하는 것이며, 통상 화장료에 피막 형성제로서 배합되는 수지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불소 수지, 실리콘 수지, 방향족계 탄화수소 수지, 테르펜계 수지, 폴리부텐, 폴리이소프렌, 알키드 수지, PVP 변성 폴리머, 폴리비닐 피롤리돈 변성 폴리머, 폴리머 에멀전 수지, 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초산 비닐, 폴리아크릴산 알킬, 로딘산계 수지, 칸데리라 수지, 폴리우레탄, 알킬셀룰로스나 니트로셀룰로스 등의 셀룰로스 유도체, 덱스트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불소 수지로서는 퍼플루오로알킬기 함유 아크릴 수지, 퍼플루오로 알킬기 함유 메타크릴수지 등 탄화수소계의 주쇄에 펜던트형으로 퍼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 것; 폴리불화비닐리덴 등과 같이 주쇄 자체가 플루오로카본인 것; 플루오로에틸렌과 탄화수소계 비닐에테르의 라디칼 공중합에 의해 수득되는 주쇄에 탄화수소 부분과 플루오로카본 부분의 양쪽을 가진 것 등이 상기 화합물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 불소수지를 휘발성 유분에 용해시킨 형으로 시판되어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프로로코트 EC-104, 프로로코트 EC-106, 프로로코트 EC-200, 프로로코트 EC-300(이상,모두 旭硝子(주)제)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 수지로서는 SiO2, RSiO3 /2, R2SiO(R은 수소, 탄소수 1 내지 6의 탄화수소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냄)의 구조 단위로 이루어진 공중합체, 또는 그 말단을 R3SiO1 /2(R은 상기와 동일함)로 봉쇄한 공중합체를 이용할 수 있다. 시판품으로서는 KF7312J, X-21-5249, X-21-5250, KF9021 등(신에츠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BY11-018 등(토우레 다우코닝 실리콘 가부시키가이샤제)를 들 수 있다. 또한, 분자쇄의 한 말단에 라디칼 중합기를 갖는 디메틸폴리실록산 화합물과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주체로 하는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를 라디칼 중합하여 수득한 아크릴-실리콘계 그래프트 중합체, 디메틸폴리실록산의 중합도(n)가 5,000 내지 8,000인 실리콘 고무나 트리메틸실록시실일프로필카르바미드산, 불소 변성 실리콘수지 등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방향족계 탄화수소 수지로서 닛세키 네오폴리머 T, 닛세키 네오폴리머 120, 닛세키 네오폴리머 140(모두 닛폰 세키유(주)제); 테르펜계 수지로서 Quintone A-100, Quintone B-170, Quintone C-100(모두 닛폰 제온(주)제); 폴리부텐으로서 폴리부텐200(이데미츠 세키유(주)제); 폴리이소프렌으로서 에스코레츠 1071, 에스코레츠 1103(모두 엑슨(주)제); 알키드수지로서 베코졸 EL8011, 솔리드베코졸 No.31, 솔리드베코졸 No.96(모두 다이닛폰 잉크(주)제); PVP 변성 폴리머로서 Ganex V-216, Ganex V-220(모두 고쿄 산교 (주)제) 등이 각각 시판품으로서 예시적으로 예를 들 수 있다. 폴리머 에멀전 수지로서 아크릴산 에틸,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부틸, 메타크릴산, 염화 비닐리덴 등의 모노머와 염산 비닐과의 공중합 에멀전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특히 실리콘계 수지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트리메틸실록시 규산이 바람직하다. 시판품으로서는 KF7312J, X-21-5250(신에츠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 등을 이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속눈썹용 화장료에서는, 상기 (a) 왁스 또는 (b) 수지 중 어느 하나를 함유하면 좋고, 또는 (a) 왁스 및 (b) 수지의 양자를 함유해도 관계없다. 본 발명의 (a) 왁스 및/또는 (b) 수지의 배합량은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절히 조정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배합량의 합계가 0.1 질량% 내지 55 질량%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합량이 0.1 질량% 미만에서는 볼륨, 컬 효과를 부여하는데 충분하지 않고, 한편 배합량이 55 질량%를 초과하면 도포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속눈썹용 화장료에서는, 상기 (a) 왁스 및 (b) 수지의 양자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a) 왁스의 배합량은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절히 조정되지만, 바람직하게는 1 질량% 내지 30 질량%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5 질량% 내지 25 질량%이다. 배합량이 1 질량% 미만에서는 볼륨, 컬 효과를 부여하는데 충분하지 않고, 한편, 배합량이 30 질량%를 초과하면 화장 지속성이 나빠지고, 끈적임, 경도가 높아져 도포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b) 수지의 배합량은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절히 조정되지만,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내지 25 질량%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2 질량% 내지 20 질량%이다. 배합량이 0.1 질량% 미만에서는 화장 지속성이나 컬 효과를 부여하는데 충분하지 않고, 한편 배합량이 25 질량%를 초과하면 도포하기 어려워지는 등의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c) 중공 분말은 속눈썹의 볼륨감을 높이고, 또 동시에 컬력, 컬 유지력을 개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c) 중공 분말로서는 주로 중공 수지 분말과 중공 무기 분말이 있다.
중공 수지 분말은 주로 가열에 의해 기화하는 휘발성 발포제를 내포한 열가소성 수지 분체를 가열, 팽창 또는 발포시킨 것이다.
상기 중공 발포 수지 분말의 외각을 형성하는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비닐, 초산비닐, 메틸비닐에테르 등의 비닐계 모노머, 아크릴산, 아크릴산 에스테르, 메타크릴산,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아크릴계 모노머, 스티렌, 염화비닐리덴, 디비닐벤젠,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등에서 선택되는 1 종류 또는 2 종류 이상의 모노머로 이루어진 호모폴리머 또는 코폴리머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또는 이의 에스테르류, 염화비닐리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에서 선택되는 모노머의 2 종 류 이상으로 이루어진 코폴리머이다. 이들 중합체는 디비닐벤젠,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아크릴포르말 등의 가교제로 가교되어 있어도 좋다.
휘발성 발포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메탄, 에탄, 프로판, 부탄, 이소부탄, 이소부텐, 펜탄, 이소펜탄, 네오펜탄, 헥산, 네오헥산, 헵탄, 아세틸렌 등의 탄화수소,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 테트라알킬실란 등의 저비점 화합물이 이용된다.
상기 중공 수지 분말은,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9-53290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휘발성 발포제를 내포한 열가소성 수지 분말을 가열, 발포시키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중공 수지 분말은 일반적으로 시판되어 있고, 예를 들면 마츠모토 유지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제의 마츠모토 마이크로 스페어 MFL 시리즈[MFL-50STI(입자 직경 10 ㎛ 내지 30 ㎛, 진비중 0.20), MFL-50SCA(입자 직경 10 ㎛ 내지 30 ㎛, 진비중 0.29), MFL-80GCA(입자 직경 10 ㎛ 내지 30 ㎛, 진비중 0.20), MFL-80CA(입자 직경 90 ㎛ 내지 110 ㎛, 진비중 0.13), MFL-100SCA(입자 직경 20 ㎛ 내지 40 ㎛, 진비중 0.20), MFL-100CA(입자 직경 90 ㎛ 내지 110 ㎛, 진비중 0.13), MFL-30STI(입자 직경 10 ㎛ 내지 30 ㎛, 진비중 0.20)]이나 마츠모토 마이크로 스페어 F-80ED(입자 직경 90 ㎛ 내지 110 ㎛, 진비중 0.020 내지 0.030), EXPANCEL사제의 엑스펜슬 마이크로스페어(EXPANCEL microsphere) 551 DE 40 d42(입자 직경 30 ㎛ 내지 50 ㎛, 진비중 0.042), 551 DE 40 d60(입자 직경 15 ㎛ 내지 25 ㎛, 진비중 0.06), 551 DE 80 d42(입자 직경 50 ㎛ 내지 80 ㎛, 진비중 0.042), 461 DE 40 d60(입자 직경 20 ㎛ 내지 40 ㎛, 진비중 0.06), 461 DE 20 d70(입자 직경 15 ㎛ 내지 25 ㎛, 진비중 0.07), 051 DE 40 d60(입자 직경 20 ㎛ 내지 40 ㎛, 진비중 0.06), 091 DE 40 d30(입자 직경 35 ㎛ 내지 55 ㎛, 진비중 0.03), 091 DE 80 d30(입자 직경 60 ㎛ 내지 90 ㎛, 진비중 0.03), 092 DE 40 d30(입자 직경 35 ㎛ 내지 55 ㎛, 진비중 0.032), 092 DE 80 d30(입자 직경 60 ㎛ 내지 90 ㎛, 진비중 0.032), 간츠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제 간츠펄 GMH-0850(입자 직경 8 ㎛, 진비중 0.65) 등이 있다.
중공 무기 분말은 주로 가열에 의해 기화하는 휘발성 발포제를 내포한 유리 등의 무기물을 가열, 팽창 또는 발포시킨 것이나 석탄(미분탄)이 연소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비산재(fly ash) 등이 있다. 중공 무기분말은 일반적으로 시판되어 있고, 예를 들면 스미토모 쓰리엠 가부시키가이샤제의 스코티라이트 그라스 버블즈의 K시리즈[K1(진비중 0.125), K15(진비중 0.150), K20(진비중 0.200), K25(진비중 0.250), K37(진비중 0.370), K46(진비중 0.460)]이나 S시리즈[S22(진비중 0.220), S38(진비중 0.380), S60(진비중 0.600)], 프로테드시리즈[A16(진비중 0.16), A20(진비중 0.20), D32(진비중 0.2)]이나, 도우카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제의 CEL-STAR(셀스타) Z-20(평균 입자 직경 67 ㎛, 진비중 0.17 내지 0.23), Z-25(평균 입자 직경 65 ㎛, 진비중 0.22 내지 0.28), Z-27(평균 입자 직경 63 ㎛, 진비중 0.24 내지 0.30), Z-31T(평균 입자 직경 60 ㎛, 진비중 0.28 내지 0.34), Z-36(평균 입자 직경 56 ㎛, 진비중 0.33 내지 0.39), SX-39(평균 입자 직경 40 ㎛, 진비중 0.36 내지 0.42), Z-45(평균 입자직경 52 ㎛, 진비중 0.42 내지 0.48), PZ-6000(평균 입자직경 40 ㎛, 진비중 0.70 내지 0.80)이나 플라이애쉬벌룬인 메타스피어 #50(평균 입자 직경 128 ㎛, 진비중 0.6 내지 0.8), #100(평균 입자 직경 72 ㎛, 진비중 0.6 내지 0.8) 등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진비중(眞比重)」이라는 것은 분말 입자 자체가 차지하는 체적과 그 질량에 의해 측정되는 비중을 의미하며, 예를 들면 중공 분말의 「진비중」인 경우에는 중공 분말 미립자 내부의 공간도 상기 입자 자체의 체적으로서 계산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진비중」에 대해 이하, 단지 「비중」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c) 중공 분말의 표면을 무기물로 피복해도 좋다. 무기 분말을 피복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9319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발포 전 또는 발포 도중의 휘발성 발포제 내포 열가소성 수지와 무기 분체를 혼합하고, 가열함으로써 수득된다. 또한, 그외 방법으로는 무기 분체의 물 또는 유기용매의 분산액과 중공 수지 분말을 혼합하여 건조하는 방법이나, 이 무기 분산액을 중공 수지 분말에 분무하여 건조하는 방법으로 피막하는 습식 처리법, 높은 충격력 등의 물리적인 힘에 의해 복합화하는 방법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중공 수지 분말 표면에 피복하는 무기 분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목적으로 하는 효과에 따라 선택되고, 예를 들면 탈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카올린, 질화붕소, 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철, 산화세륨, 산화지르코늄, 실리카 등이 예시된다. 또한, 이들 무기 분체의 입자 형상은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입자 형상, 구 형상, 판 형상, 바늘 형상 등 어느 것이라도 좋고, 평균 입자 직경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001 ㎛ 내지 20 ㎛가 바람직하다. 중공 수지 분말과 무기 분말의 질량 비율은 5:95 내지 50:50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c) 중공 분말은 속눈썹의 볼륨감을 높이고, 또한 동시에 컬력 및 컬 유지력을 개선시키는 점에서 중공 수지 분말이 바람직하고, 외각을 형성하는 수지로서는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이 바람직하고, 휘발성 액체 발포제로서는 탄화수소 가스 등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시판품으로서는 MFL-50SCA(마츠모토 유지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제)나 GMH-0850(간츠 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제) 등을 이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c) 중공 분말의 배합량은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절히 조정되지만,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내지 20 질량%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내지 10 질량%이다. 배합량이 0.01 질량% 미만에서는 볼륨을 부여하는데 충분하지 않고, 한편, 배합량이 20 질량%를 초과하여 배합하면 사용성이 악화되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속눈썹용 화장료에서는, 배합되는 (a) 왁스 및/또는 (b) 수지의 용적과, (c) 중공 분말의 용적의 비가 1:10 내지 1:0.01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0.05이다. 배합되는 (c) 중공 분말의 용적이 (a) 왁스, (b) 수지의 합계 용적의 10배 보다도 크면 속눈썹에 부착 가능한 화장료의 양이 감소하여 충분한 컬 효과, 볼륨 효과를 얻을 수 없고, 또한 마무리도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c) 중공 분말의 용적이 (a) 왁스, (b) 수지의 합계 용적의 0.01배 보다도 작으면 화장료 자체가 너무 무거워져 충분한 컬 효과, 컬 유지 효과를 얻을 수 없고, 또한 마무리도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속눈썹용 화장료에서는 상기 필수 성분외에 (d) 색재를 추가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d) 색재로서는 일반적으로 메이크업 화장료에 이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탈크, 마이카, 카올린, 탄산칼슘, 아연화, 이산화티탄, 적산화철, 황산화철, 흑산화철, 군청, 카본블랙, 저급산화티탄, 코발트 바이올렛,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티탄산코발트, 옥시염화비스무트, 티탄-마이카계 펄 안료 등의 무기 안료;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04호, 적색 205호, 적색 220호, 적색 226호, 적색 228호, 적색 405호, 주황색 203호, 황색 205호, 황색 4호, 황색 5호, 청색 1호, 청색 404호, 녹색 3호 등의 지르코늄, 바륨 또는 알루미늄 레이크 등의 유기 안료; 클로로필, β-카로틴 등의 천연 색소; 나일론, 셀룰로스, 폴리에틸렌 등이 수지 분말류; 염료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d) 색재는 1 종류 또는 2 종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d) 색재의 배합량은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절히 조정되지만,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내지 30 질량%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3 질량% 내지 20 질량%이다. 30 질량%를 초과하여 배합하면 컬 유지 효과를 얻을 수 없고, 0.1 질량% 미만에서는 화장 효과가 불충분해진다.
본 발명의 속눈썹용 화장료에서는 상기 필수성분 외에 (e) 증점제를 추가로 배합하면 적절한 점도로 조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e) 증점제로서는 통상 화장료 중에 증점제로서 배합되는 화합물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는 수성으로는 아라비아검, 카라기난, 카라야검, 트라가칸트검, 캬로브검, 쿠인스시드(마르멜로), 카제인, 젤라틴, 펙틴산 나트륨, 아라긴산 나트륨, CMC,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폴리아크릴산나트륨,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로커스트콩검, 구아검, 타마린트검, 디알킬디메틸암모늄 황산 셀룰로스, 크산탄검, 규산 알루미늄 마그네슘 및 유성으로는 벤토나이트, 헥토라이트몬모릴로나이트, 바이델라이트, 논트로나이트, 사포나이트, 헥토라이트 등의 몬모릴로나이트군 점토 광물, 버미큐라이트, 벤토나이트의 점토 광물을, 염화 알킬트리메틸 암모늄, 염화 디알킬디메틸 암모늄, 염화 벤잘코늄 등의 제 4 급 암모늄 화합물로 변성한 유기 변성 점토 광물, 연무상(煙霧狀) 실리카, 소수화 연무상 실리카,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전분 지방산 에스테르의 다당류 지방산 에스테르,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 칼슘, 스테아린산 알루미늄, 미리스틴산 알루미늄의 금속 비누, 고중합 메틸폴리실록산 및 가교형 메틸 폴리실록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e) 증점제는 1 종류 또는 2 종류 이상이 선택되어 이용된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유성 기제에서는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 디스테아르디모늄헥토라이트, 수성 기제에서는 크산탄검이 바람직하다. 시판품으로서는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레오펄 KL」「레오펄 KE」(모두 치바 세이분사제) 등이, 디스테아르디모늄헥토라이트는 「벤톤38CE」(Rheox사제) 등이, 크산탄검은 「케르토롤」「케르토롤T」(모두 케르코사제) 등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e) 증점제의 배합량은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절히 조정되지만,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내지 20 질량%, 더 바람직하게는 1 질량% 내지 15 질량%이다. 배합량이 0.1 질량% 미만에서는 컬 효과가 감소하고, 한편 배합량이 20 질량%를 초과하여 배합하면 경도가 너무 높고, 매끄러움이 부족한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속눈썹용 화장료에는 또 목적에 따라서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양적, 질적 범위 내에서 메이크업 화장료에 통상 배합할 수 있는 성분을 첨가해도 좋다. 이와 같은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섬유, 알콜류, 다가 알콜류, 약제, 계면활성제, 수용성 고분자, 점토 광물, 방부제, 향료, 산화방지제, 자외선흡수제, 보습제, 유지(油脂)류, 탄화수소유의 유성 성분 등을 들 수 있다.
섬유로서는 일반적으로 속눈썹용 화장료에 이용되는 섬유이면 어느 것을 이용해도 좋고, 예를 들면 0.5 데니어 나일론 의모(擬毛), 3 데니어 나일론 의모, 11 데니어 나일론 의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섬유를 착색한 것이라도 관계없다. 이들 섬유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또는 혼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의 속눈썹용 화장료는 용매 휘산 후의 조성물의 비중이 0.1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중이 0.1 미만의 것은 실용상 제조가 곤란하고, 1.0을 초과하면 컬 유지 효과를 실현하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의 속눈썹용 화장료는 30 ℃에서의 경도(카드미터; 8 mm/200 g 하중값)가 10 내지 18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80의 범위이다. 여기서 말하는 경도라는 것은 건조 전의 마스카라 조성물의 경도이고, 30 ℃의 조건으로 측정기 M-301AR형 카드미터(반미(飯尾) 전기제)를 사용하고, 8 mm의 침입침에 200 g의 가중을 부여해 측정하였을 때의 값이다.
본 발명의 속눈썹용 화장료는 마스카라 하지(下地)나 마스카라 등, 널리 속눈썹에 적용되는 화장료를 포함하는 것이다.
계속해서 실시예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에 의해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배합량은 질량%로 나타낸다.
실시예에 앞서 본 발명의 효과 시험 방법 및 평가 방법을 나타낸다.
〈경도 측정〉
30 ℃의 조건에서 측정기 M-301AR형 카드미터(반미 전기제)를 사용하고, 8 mm의 침입침(侵入針)에 200 g의 가중을 부여하여 측정하였다.
〈건조 피막의 비중〉
유리판에 각 시료를 일정 두께(0.8 mm)로 도포하고, 하룻밤 건조시킨 후, 피막 부분을 잘게 절삭하고, 오토·토울·덴서 MAT-5000(세이신 기교 가부시키가이샤제)로 측정하였다.
〈컬·볼륨 효과〉
전문 패널 20명에 의해 속눈썹에 각 시료(마스카라)를 10회 도포하고, 그 상태를 육안으로 하기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1) 볼륨 효과의 평가
◎ : 20명 중, 16명 이상이 볼륨 효과가 있다고 회답.
○ : 20명 중, 9명 내지 15명이 볼륨 효과가 있다고 회답.
△ : 20명 중, 5명 내지 8명이 볼륨 효과가 있다고 회답.
× : 20명 중, 4명 이하가 볼륨 효과가 있다고 회답.
(2) 컬 효과의 평가
◎ : 20명 중, 16명 이상이 컬 효과가 있다고 회답.
○ : 20명 중, 9명 내지 15명이 컬 효과가 있다고 회답.
△ : 20명 중, 5명 내지 8명이 컬 효과가 있다고 회답.
× : 20명 중, 4명 이하가 컬 효과가 있다고 회답.
(3) 컬 유지 효과의 평가
◎ : 20명 중, 16명 이상이 컬 유지 효과가 있다고 회답.
○ : 20명 중, 9명 내지 15명이 컬 유지 효과가 있다고 회답.
△ : 20명 중, 5명 내지 8명이 컬 유지 효과가 있다고 회답.
× : 20명 중, 4명 이하가 컬 유지 효과가 있다고 회답.
〈마무리〉
전문 패널 20명에 의해 속눈썹에 각 시료(마스카라)를 도포하고, 마무리 상태를 하기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 : 20명 중, 16명 이상이 마무리가 우수하다고 회답.
○ : 20명 중, 9명 내지 15명이 마무리가 우수하다고 회답.
△ : 20명 중, 5명 내지 8명이 마무리가 우수하다고 회답.
× : 20명 중, 4명 이하가 마무리가 우수하다고 회답.
중공 분말의 배합
우선 최초로 본 발명자들은 왁스, 수지와 함께 중공 분말을 배합한 속눈썹용 화장료를 조제하고, 상기 평가 기준에 의해 경도, 용매 휘산 후의 비중, 볼륨 효과, 컬 효과, 컬 유지 효과, 마무리를 평가하였다. 하기 표 1에 시험에 이용한 속눈썹용 화장료(마스카라)의 배합 조성과 시험 결과를 함께 나타낸다.
(제법)
왁스를 함유하는 유상을 90 ℃로 가열 용해하고, 이에 안료 파트를 분산 처리한 것을 첨가한 후, 40 ℃까지 교반 냉각하여 속눈썹용 화장료(마스카라)를 얻었다.
상기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왁스, 수지를 비교적 많이 배합한 시험예 1에서는 볼륨 효과, 컬 효과, 컬 유지 효과, 마무리가 불량했다. 또한, 왁스, 수지뿐만 아니라 산화티탄 분말을 배합한 시험예 2에서는 컬 효과, 컬 유지 효과, 마무리에 대해 불량했다. 이에 대해, 왁스, 수지와 함께 각종 중공 분말을 배합한 시험예 3 내지 5에서는 우수한 볼륨 효과, 마무리를 나타내고, 또 컬 효과, 컬 유지 효과가 개선되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왁스 배합량
계속해서, 본 발명자들은 속눈썹용 화장료중의 왁스의 배합량에 대해 검토하기 위해, 왁스의 배합량을 각종 변화시킨 속눈썹용 화장료를 조제하고, 상기 평가기준에 의해 평가를 실시하였다. 하기 표 2에 시험에 이용한 속눈썹용 화장료(마스카라)의 배합 조성과 시험 결과를 함께 나타낸다.
상기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왁스의 배합량이 3.0 질량% 내지 29.0 질량%인 시험예 7 내지 10에서는 볼륨 효과, 컬 효과, 컬 유지 효과, 마무리가 모두 우수한 속눈썹용 화장료가 얻어졌다. 한편, 왁스 대신에 유동 파라핀을 배합한 시험예 6에서는 볼륨 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마무리도 불량했다. 또한, 왁스를 35.0 질량% 배합한 시험예 11에서는 마무리가 악화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본 발명의 속눈썹 화장료에 있어서의 왁스의 배합량은 1 질량% 내지 30 질량%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배합량
계속해서, 본 발명자들은 속눈썹용 화장료 중의 수지의 배합량에 대해 검토하기 위해, 수지의 배합량을 각종 변화시킨 속눈썹용 화장료를 조제하고, 상기 평가 기준에 의해 평가를 실시하였다. 하기 표 3에 시험에 이용한 속눈썹용 화장료(마스카라)의 배합 조성과 시험 결과를 함께 나타낸다.
상기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의 배합량이 0.2 질량% 내지 30.0 질량%인 시험예 13 내지 16에서는 볼륨 효과, 컬 효과, 컬 유지 효과, 마무리가 모두 우수한 속눈썹용 화장료가 얻어졌다. 한편, 수지 대신에 물첨가 폴리부텐을 배합한 시험예 12에서는 컬 유지 효과가 얻어지지 않았다. 또한, 수지를 30.0 질량% 배합한 시험예 17에서는 마무리가 악화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본 발명의 속눈썹용 화장료에 있어서 수지의 배합량은 0.1 질량% 내지 25 질량%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공 분말 배합량
계속해서, 본 발명자들은 속눈썹용 화장료 중의 중공 분말의 배합량에 대해 검토하기 위해, 중공 분말의 배합량을 각종 변화시킨 속눈썹용 화장료를 조제하고, 상기 평가 기준에 의해 평가를 실시하였다. 하기 표 4에 시험에 이용한 속눈썹용 화장료(마스카라)의 배합 조성과 시험 결과를 함께 나타낸다.
상기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공 분말의 배합량이 0.1 질량% 내지 14.0 질량%인 시험예 18 내지 21에서는 볼륨 효과, 컬 효과, 컬 유지 효과, 마무리가 모두 우수한 속눈썹용 화장료가 얻어졌다. 한편, 중공 분말을 22.0 질량% 배합한 시험예 22에서는 볼륨 효과, 컬 효과, 컬 유지 효과, 마무리가 악화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본 발명의 속눈썹용 화장료에 있어서 중공 분말의 배합량은 0.01 질량% 내지 20 질량%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색재 배합량
계속해서, 본 발명자들은 속눈썹용 화장료 중의 색재의 배합량에 대해 검토하기 위해, 색재의 배합량을 각종 변화시킨 속눈썹용 화장료를 조제하고, 상기 평가 기준에 의해 평가를 실시하였다. 하기 표 5에 시험에 이용한 속눈썹용 화장료(마스카라)의 배합 조성과 시험 결과를 함께 나타낸다.
상기 표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색재의 배합량이 0.2 질량% 내지 25.0 질량%인 시험예 23 내지 26에서는 볼륨 효과, 컬 효과, 컬 유지 효과, 마무리가 모두 우수한 속눈썹용 화장료가 얻어졌다. 한편, 색재를 35.0 질량% 배합한 시험예 27에서는 컬 유지 효과가 떨어지고, 또 마무리도 악화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본 발명의 속눈썹용 화장료에 있어서 왁스의 배합량은 0.1 질량% 내지 30 질량%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왁스 및 수지와 중공 분말의 용적비
또한, 본 발명자들은 각종 성분의 바람직한 배합량에 대해 더 상세히 검토를 실시한 바, 예를 들면 중공 분말을 동일량 배합함에도 불구하고, 배합되는 중공 분말의 종류에 따라서 효과에 차이가 생기는 경우가 있는 것을 알았다. 그리고, 이로 인해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효과는 단순히 각종 성분의 배합량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하고, 배합되는 왁스 및 수지의 용적과 중공 분말의 용적과의 용적비에 착안하여 효과와의 관계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속눈썹용 화장료 중의 왁스 및 수지와 중공 분말과의 바람직한 용적비에 대해 검토하기 위해, 왁스, 수지 및 중공 분말의 배합량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왁스 및 수지와 중공 분말과의 용적비를 각종 변화시킨 속눈썹용 화장료를 조제하고, 상기 평가 기준에 의해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중공 분말로서는 각각 비중이 0.20 및 0.03인 2 종류의 중공 분말을 이용하여 동일한 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왁스 및 수지에 대해서는 비중 1.0으로서 계산을 실시하였다. 하기 표 6, 7에 시험에 이용한 속눈썹용 화장료(마스카라)에 있어서 배합 조성과 시험 결과를 함께 나타낸다.
상기 표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중 0.2의 중공 분말을 이용한 경우, 왁스, 수지의 합계 용적과 중공 분말의 용적의 비가 1:10 내지 1:0.01이 되도록 조정한 시험예 29 내지 34에서는 볼륨, 마무리가 우수하고, 또 컬 효과, 컬 유지 효과가 개선되어 있고, 각종 효과가 우수한 속눈썹용 화장료가 얻어졌다. 한편, 상기 용적비가 1:20이 되도록 조정된 시험예 28에서는 왁스, 수지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어지고, 속눈썹에 부착되는 양이 감소하므로 컬 효과, 볼륨 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또 마무리도 악화되었다. 또한, 상기 용적비가 1:0.005가 되도록 조정된 시험예 35에서는 중공 분말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어지고, 마스카라 자체가 너무 무거워져 컬 효과, 컬 유지 효과를 만족하지 못하고, 또한 마무리도 악화되었다.
또한, 상기 표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중 0.03의 중공 분체를 이용한 경우에도 상기 표 6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왁스, 수지의 합계 용적과 중공 분말의 용적의 비가 1:10 내지 1:0.01인 시험예 37 내지 42에서 각종 효과가 우수한 속눈썹용 화장료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 본 발명의 속눈썹 화장료의 왁스, 수지 및 중공 분말의 배합에 의한 효과는 각종 성분의 배합량 보다도 오히려 각종 성분의 용적비에 관계되는 것이라고 생각되며, 왁스, 수지의 합계 용적과 중공 분말의 용적의 비가 1:10 내지 1:0.01의 범위 내가 되도록 조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1(유화 피막형 마스카라)
A : 벤토나이트 2.0 %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저점도) 0.2 %
정제수 10.0 %
B : 라우릴 황산나트륨 0.1 %
부틸렌글리콜 1.5 %
정제수 잔여
C : 밀랍 6.5 %
유동파라핀 3.5 %
카본블랙 1.5 %
D : 스테아린산 1.0 %
카르나바왁스 5.0 %
E : 모르폴린 0.4 %
F : 초산비닐 에멀전 30.0 %
중공 분말(GMH-0850) 2.0 %
방부제 적량
(제법)
(1) 벤토나이트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나트륨을 건조 상태로 혼합하고, 따뜻한 정제수에 첨가하여 팽윤시켜 균일하게 하였다(A).
(2) 이에 B를 첨가하여 65 ℃ 내지 70 ℃로 가열하였다.
(3) C에 D를 첨가하고, 가열하여 융해하고, 방냉하여 열 롤밀로 혼련한 후, 재융해하여 70 ℃로 가열하였다.
(4) A와 B의 혼합물에 E를 첨가하고, 이에 추가로 C와 D의 혼합물을 첨가하여 유화한 후, 교반하면서 냉각하였다.
실시예 2(유성 유화형 마스카라)
카르나바왁스 7.0 %
밀랍 2.0 %
미세결정질 왁스 20.0 %
라놀린 0.4 %
유동 폴리이소부틸렌 잔 여
폴리비닐피롤리돈 1.0 %
유기 변성 벤토나이트 3.0 %
흑산화철 10.0 %
중공 분말(MFL-50SCA) 10.0 %
방부제 적 량
(제법)
유동 폴리이소부틸렌의 일부에 유기 변성 벤토나이트를 첨가하고, 콜로이드밀을 통해 분산, 겔화시켰다. 계속해서, 왁스류 및 방부제를 혼합, 가열하여 용해시키고, 안료를 첨가한 후 냉각하여 롤밀로 혼련하고, 다시 가열하여 녹인 것 중에 벤토나이트겔과 잔부의 유동 폴리이소부틸렌을 첨가하여 교반하면서 냉각하였다.
실시예 3(수중 유형 마스카라)
(유상)
경질 이소파라핀(아이소파 E) 잔 여
유기 변성 점토 광물 3.0 %
폴리이소프렌 수지 10.0 %
중공 분말(GMH-0850) 2.0 %
카르나바 왁스 0.1 %
향료 적 량
(수상)
물 41.0 %
수팽윤성 점토광물 3.0 %
프로필렌글리콜 5.0 %
카본블랙 10.0 %
방부제 적 량
POE(15)올레일에테르 1.0 %
(제법)
유상 : 일부의 경질 이소파라핀을 90 ℃로 가열하고, 폴리이소프렌 수지를 용해하고, 그 후 나머지 경질 이소파라핀 수지 및 다른 유상 성분을 혼합하고, 그대로 교반, 냉각하였다.
수상 : 일부의 물에 수팽윤성 점토 광물을 넣고, 호모믹서로 충분히 팽윤시킨 후, 나머지 수상 성분을 넣어 교반하였다.
계속해서, 상기와 같이 조제한 수상에 실온에서 교반을 실시하면서 서서히 유상을 첨가하면서 유화시키고, 또 호모믹서 또는 디스퍼로 충분히 유화하여 조제하였다.
실시예 4(유중 수형 마스카라)
(유상)
경질 이소파라핀 7.0 %
메틸폴리실록산 2.0 %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10.0 %
미세결정질 왁스 0.1 %
트리메틸실록시규산 10.0 %
메틸폴리실록산에멀전 적 량
폴리에틸렌글리콜디올레이트 2.0 %
디글리세릴디이소스테아레이트 2.0 %
초산DL-α-토코페롤 0.1 %
디메틸디스테아릴암모늄헥토라이트 6.0 %
중공 분말(MFL-50SCA) 2.0 %
(수상)
1,3-부틸렌글리콜 4.0 %
탄산수소나트륨 0.2 %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적 량
디히드로초산나트륨 적 량
흑산화철 7.0 %
해조 엑기스 0.1 %
벤토나이트 1.0 %
폴리초산비닐 에멀전 30.0 %
정제수 잔 량
(제법)
80 ℃로 가열한 유상에 수상을 교반하면서 첨가하고, 디스퍼로 유화한다. 유화 후 교반 냉각하여 취출한다.
실시예 5(수중 유형 마스카라)
(수상)
정제수 잔 량
1, 3-부틸렌글리콜 7.0 %
폴리아크릴산에틸 10.0 %
폴리초산비닐 5.0 %
폴리비닐알콜 1.0 %
이소프로판올 2.0 %
크산탄검 0.1 %
해조 엑기스 0.1 %
가성(苛性) 칼리 0.4 %
팔미트산 1.3 %
셀룰로스검 0.2 %
파라벤 적 량
페녹시 에탄올 적 량
흑산화철 10.0 %
(유상)
시클로메티콘 15.0 %
트리메틸실록시규산 15.0 %
호호바 에스테르 3.0 %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2 %
스테아린산 2.1 %
페닐트리메티콘 0.4 %
라우로일글루타민산
디(피토스테릴/옥틸도데실) 0.1 %
벤토나이트 1.0 %
초산 토코페롤 0.1 %
베틸알콜 0.7 %
중공 분말(GMH-0850) 1.0 %
향료 적 량
(제법)
80 ℃로 가열한 수상 파트와 유상 파트를 교반하면서 첨가하고, 호모믹서로 유화한다. 유화후 교반 냉각하여 취출한다.
실시예 6(수중유형 마스카라)
(1) 스테아린산 3.0 %
(2) 세틸-α-모노글리세린에테르 1.0 %
(3) 자당 올레인산 에스테르
(치환도 1.2, 모노에스테르 함유량 40 질량%) 3.0 %
(4) 밀랍 15.0 %
(5)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에멀전(고형분) 8.0 %
(6) POE(20)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1.0 %
(7) 이소프로판올 2.0 %
(8) 벤토나이트 0.5 %
(9) 흑산화철 8.0 %
(10) 중공 분말(GMH-0850) 2.0 %
(11) 에틸파라벤 적 량
(12) 이온 교환수 잔 여
(13) 수산화나트륨 0.3 %
(14) 향료 적 량
(제법)
(1), (2) 및 (4)를 90 ℃로 가열 용해하고, 이를 (3), (6) 및 (8) 내지 (13)을 85 ℃로 가열, 분산한 것 중에 첨가한 후, 호모믹서로 분산 처리하고, 또 (5), (7) 및 (14)를 첨가한 후, 40 ℃까지 교반 냉각하여 속눈썹용 화장료(마스카라)를 얻었다.
(평가)
이를 상기 평가 기준에 의해 볼륨감, 덧바름의 편리성, 마무리, 사용성에 대해 평가한 바, 볼륨감 : ○, 덧바름의 편리성 : ◎, 마무리 : ◎, 사용성 : ◎이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볼륨감, 컬 효과 및 컬 유지 효과를 동시에 실현한 속눈썹용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a) 왁스, (b) 수지, 또는 (a) 왁스 및 (b) 수지와, (c) 중공 분말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눈썹용 화장료.
  2. 제 1 항에 있어서,
    (a) 왁스, (b) 수지, 또는 (a) 왁스 및 (b) 수지 0.1 질량% 내지 55 질량%와, (c) 중공 분말 0.01 질량% 내지 20 질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눈썹용 화장료.
  3. 제 1 항에 있어서,
    (a) 왁스, (b) 수지, 또는 (a) 왁스 및 (b) 수지의 용적과, (c) 중공 분말의 용적의 비가 1:10 내지 1:0.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눈썹용 화장료.
  4. 제 2 항에 있어서,
    (a) 1 질량% 내지 30 질량%의 왁스, (b) 0.1 질량% 내지 25 질량%의 수지, (c) 0.01 질량% 내지 20 질량%의 중공분말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눈썹용 화장료.
  5. 제 2 항에 있어서,
    (d) 0.1 질량 내지 30 질량%의 색재(色材)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눈썹용 화장료.
  6. 제 2 항에 있어서,
    (e) 0.1 질량% 내지 20 질량%의 증점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눈썹용 화장료.
  7. 제 1 항에 있어서,
    용매 휘산 후의 조성물의 비중이 0.1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눈썹용 화장료.
  8. 제 1 항에 있어서,
    30 ℃에서의 경도(카드미터; 8mm/200 g 하중값)가 70 내지 18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눈썹용 화장료.
KR1020057015806A 2003-03-31 2004-03-31 속눈썹용 화장료 KR1010886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96658 2003-03-31
JPJP-P-2003-00096658 2003-03-31
PCT/JP2004/004628 WO2004087078A1 (ja) 2003-03-31 2004-03-31 まつ毛用化粧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2087A true KR20050112087A (ko) 2005-11-29
KR101088624B1 KR101088624B1 (ko) 2011-11-30

Family

ID=33127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5806A KR101088624B1 (ko) 2003-03-31 2004-03-31 속눈썹용 화장료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20060257343A1 (ko)
EP (1) EP1649893B1 (ko)
JP (1) JP4805673B2 (ko)
KR (1) KR101088624B1 (ko)
CN (1) CN100431522C (ko)
HK (1) HK1091414A1 (ko)
TW (1) TWI317288B (ko)
WO (1) WO2004087078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9182B1 (ko) 2006-07-31 2012-11-07 (주)아모레퍼시픽 전처리한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88446B1 (ko) * 2012-01-26 2014-04-24 한국콜마주식회사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117107A (ko) * 2014-04-09 2015-10-19 한불화장품주식회사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KR20160021797A (ko) * 2016-01-11 2016-02-26 한불화장품주식회사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60633A1 (en) 2005-05-19 2006-11-23 Wyatt Peter J Cosmetic composition system with thickening benefits
US8388940B2 (en) 2006-03-13 2013-03-05 L'oreal Mascara compositions
US20100291013A1 (en) * 2009-05-18 2010-11-18 L'oreal Comfortable, transfer-resistant colored compositions
BR112012008638B1 (pt) * 2009-11-09 2018-03-06 Avon Products, Inc. Método para melhorar a aparência dos cílios e o número de cílios visíveis sobre uma pálpebra, composição tópica e kit
KR101937837B1 (ko) 2012-04-30 2019-01-14 (주)아모레퍼시픽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6169841B2 (ja) * 2012-07-18 2017-07-26 株式会社 資生堂 半固形化粧料
JP5681737B2 (ja) * 2013-02-19 2015-03-11 株式会社 資生堂 睫毛用化粧料
JP6282849B2 (ja) * 2013-11-21 2018-02-21 株式会社ダイゾー 乳化型エアゾール組成物
KR102142462B1 (ko) * 2014-06-30 2020-08-10 (주)아모레퍼시픽 컬링유지력이 우수한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EP3331493B1 (en) * 2015-08-03 2022-11-30 Shiseido Company, Ltd. Water-in-oil emulsion solid cosmetic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39599B (sv) 1981-01-14 1985-06-24 Kema Nord Ab Sett att torka och expandera i vetska dispergerade, termoplastiska mikrosferer innehallande, flyktiga, flytande jesmedel
JPH0699273B2 (ja) 1990-04-27 1994-12-07 松本油脂製薬株式会社 化粧料
FR2698002B1 (fr) * 1992-11-13 1995-01-13 Oreal Composition cosmétique de maquillage contenant un fullerène ou un mélange de fullerènes comme agent pigmentant.
JPH0812528A (ja) * 1994-06-29 1996-01-16 Pentel Kk 液状化粧料
FR2722116B1 (fr) * 1994-07-11 1996-08-23 Oreal Emulsion huile-dans-eau sans tensioactif, stabilisee par des particules thermoplastiques creuses
FR2753900B1 (fr) 1996-09-30 1998-10-30 Oreal Compositions pour le maquillage des yeux
JP3641696B2 (ja) * 1997-08-01 2005-04-27 株式会社ノエビア 粉体含有化粧料
JP3533899B2 (ja) 1997-08-22 2004-05-31 株式会社コーセー 化粧料
DE19817522A1 (de) * 1998-04-09 1999-10-14 Coty Bv Kosmetische Formulierung mit Volumeneffekt
FR2787318B1 (fr) * 1998-12-21 2002-10-11 Oreal Composition de revetement des fibres keratinique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9182B1 (ko) 2006-07-31 2012-11-07 (주)아모레퍼시픽 전처리한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88446B1 (ko) * 2012-01-26 2014-04-24 한국콜마주식회사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117107A (ko) * 2014-04-09 2015-10-19 한불화장품주식회사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KR20160021797A (ko) * 2016-01-11 2016-02-26 한불화장품주식회사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28283A1 (en) 2010-02-04
TWI317288B (en) 2009-11-21
TW200505491A (en) 2005-02-16
EP1649893A1 (en) 2006-04-26
EP1649893B1 (en) 2015-07-29
CN1767811A (zh) 2006-05-03
CN100431522C (zh) 2008-11-12
US20060257343A1 (en) 2006-11-16
KR101088624B1 (ko) 2011-11-30
JPWO2004087078A1 (ja) 2006-06-29
US8173109B2 (en) 2012-05-08
WO2004087078A1 (ja) 2004-10-14
JP4805673B2 (ja) 2011-11-02
HK1091414A1 (en) 2007-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3109B2 (en) Eyelash cosmetic
KR100345094B1 (ko) 액체 지방상 중의 표면 안정화된 중합체 입자의 분산액을 함유하는 에멀션 형태의 화장용 조성물
DE60024529T2 (de) Mascara, die eine Dispersion von Polymerteilchen in einer flüssigen Fettphase enthält
US20030053976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particle dispersion
US20080171009A1 (en) Keratin fibre makeup kit
JP2000044426A (ja) 非水性媒体中にポリマ―粒子を分散させた組成物
JP2008138214A (ja) 有機媒体へのポリマーディスパージョンとそれを含有する組成物
JP2003034616A (ja) 角度依存性顔料と単色顔料を含有する2層コートメークアップ製品及び該製品を含むメークアップキット
JP2005247863A (ja) ポリマー粒子分散液と顔料分散液を含有する化粧品用組成物
US6793916B2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particle dispersion
JP2009541299A (ja) ケラチン質物質のためのメイクアップ組成物
JP3405588B2 (ja) 水中油型まつ毛用化粧料
JPWO2006075711A1 (ja) 化粧料
JP2005350463A (ja) 無極性ロウとポリマー粒子の脂肪相分散液とを含む化粧品組成物
JP3610469B2 (ja) 油性固型化粧料
JP2005314372A (ja) 水中油型メイクアップ化粧料
JP4907071B2 (ja) 睫用化粧料
JP3634977B2 (ja) 油性化粧料
JPH11100311A (ja) 固形化粧料
JP2004315420A (ja) マスカラ
JP2002047140A (ja) 液体メークアップ化粧料
JP2007254429A (ja) 粉末状化粧料
JP2005015437A (ja) 化粧料用樹脂粉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化粧料
JP7299811B2 (ja) 睫用化粧料
JP3672537B2 (ja) 睫用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