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9182B1 - 전처리한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전처리한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9182B1
KR101199182B1 KR1020060071984A KR20060071984A KR101199182B1 KR 101199182 B1 KR101199182 B1 KR 101199182B1 KR 1020060071984 A KR1020060071984 A KR 1020060071984A KR 20060071984 A KR20060071984 A KR 20060071984A KR 101199182 B1 KR101199182 B1 KR 101199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black
cosmetic composition
polyol
weight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1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1542A (ko
Inventor
최선경
장순희
천지민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60071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9182B1/ko
Publication of KR20080011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1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9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91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44Elemental carbon, e.g. charcoal, carbon bl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2Face or body powders for grooming, adorning or absorb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12By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처리한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올에 전처리한 카본 블랙을 사용함으로써 매질에 대한 분산력을 향상시켜 블랙의 선명도를 높이고, 고른 분산력으로 인한 얇은 입자 배열로 인하여 부드러운 발림성을 갖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 비표면적이 큰 파우더를 혼용하면 부드러운 사용감이 더욱 증진된 화장료 조성물이 제조된다.
카본 블랙 * 폴리올 * 전처리 * 선명도 * 발림성 * 비표면적 * 파우더 * 마스카라

Description

전처리한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preprocessed carbon black}
본 발명은 전처리한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올에 전처리한 카본 블랙을 사용함으로써 매질에 대한 분산력을 향상시켜 블랙의 선명도를 높이고, 고른 분산력으로 인한 얇은 입자 배열로 인하여 부드러운 발림성을 갖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조성물에 비표면적이 큰 파우더를 혼용하면 부드러운 사용감이 더욱 증진된 화장료 조성물이 제조된다.
카본 블랙은 마스카라, 아이브로우, 아이라이너 및 아이쉐도우 등의 눈 화장용 조성물에 주로 사용된다. 특히 마스카라는 평균적으로 두께 73±8.5㎛, 길이 5.22±0.86㎛ 및 102.8±20.0개의 검은색 경모(硬毛)로 이루어져 있으며, 속눈썹 위에 도포하여 속눈썹을 풍성하게 끌어올려 눈매를 또렷하게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초기의 마스카라는 스테아린산 나트륨과 카본 블랙을 혼합한 고형상으로 물에 적신 솔을 사용하여 도포하는 형태였으나, 현재에는 식물성의 에스터계 왁스나 하이드로카본계 왁스를 적절한 가소력을 지닌 안전성이 높은 폴리머와 혼합하여 유 화하는 형태이다. 위에서 언급하였듯이 마스카라의 목적은 눈매를 또렷하게 만드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서는 눈썹을 풍성하게 하거나 길게 하여 눈 주위를 짙게 하는 방법과 컬링을 시켜 눈매를 시원스럽게 만드는 방법 등을 생각할 수 있으며, 이밖에 내용물의 블랙 색감을 선명하게 하여 시각적으로 짙은 눈매를 연출하는 방법도 있다. 이 경우에는 동일한 도포량을 가질 때에도 눈매를 진하게 만들 수 있어 뭉침이나 눈의 부담감 없이 또렷한 눈매를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카본 블랙은 입자 사이즈가 수십 나노 미터의 매우 미세한 색소로서 하이드로 카본 가스나 오일을 불연소시켜 얻어낸다. 카본 블랙의 용도는 색상을 내고, 내용물을 안정화시키며, 플라스틱과 코팅제의 색상을 내기 위해서 사용된다. 다른 블랙 색상을 나타내는 산화철이나 산화티탄에 비하여 블랙 색상도가 뛰어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카본 블랙은 1960년대까지 식품, 약품 및 화장품에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후 카본 블랙은 그 안전성에 대하여 의심을 받기 시작하였는데 특히 발암 물질인 3,4-벤조안트라센 등의 폴리뉴클레어 아로마틱 하이드로카본(polynuclear aromatic hydrocarbon(PNA's or PAH's))을 용출할 가능성이 있어 미국에서는 1976년부터 규제되어 왔다. 이에 대한 규제는 미국에서 2004년에 CTFA에 의해서 고순도로 정제된 카본 블랙인 D&C Black #2에 한하여 사용이 허가되었다.
종래의 카본 블랙을 사용한 기술을 살펴 보면, 기존의 메이크업 원료와 5 ~ 95%의 실리카와 5 ~ 95%의 섬유성의 폴리에틸렌을 조합한 조성물 특허(출원번호 : 1987-040667)가 있는데, 상기 특허는 청구항으로서 산화철, 크롬 옥사이드, 티타늄 옥사이드와 함께 단지 색소의 한 항으로서 카본 블랙을 포함하였을 뿐 카본 블랙 자체에 대한 장점을 소개하고 있지는 않고 있다. 다른 특허로 효과적인 눈썹을 표현하기 위한 발명으로서 0.1 ~ 2.0%의 수용성 폴리머(예: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 10 ~ 30%의 수용성 레진(예: 비닐 아세테이트-비닐피롤리돈 폴리머) 및 0.1 ~ 10.0%의 색소섬유(카본블랙으로 색상을 낸 나일론 섬유로 0.1 ~ 5.0mm의 길이와 0.1 ~ 9.0 데니어)를 사용한 특허(출원 번호 : 1997-115262)가 있다. 이 특허는 효과적인 눈썹을 표현하기 위하여 섬유를 사용하였고, 이 섬유에 색상을 넣기 위하여 블랙 색소를 코팅제로 사용하였다. 또 다른 특허는 눈썹 펜슬이나 회색 헤어에 대한 염색용 잉크에 관한 특허(출원 번호 : 1994-298024)로, 여기에는 색소와 오일 베이스로 카본 블랙의 섬유 파우더가 0.1 ~ 1.0mm 특히 500 마이크로미터 이상의 길이가 효과적이라고 명시하고 있으며, 이렇게 카본 블랙을 이용한 섬유를 사용할 경우에는 평면이 아닌 다각도적인 효과를 낼 수 있고, 숱이 많아보이게 하는 효과를 명시하고 있다. 이 역시 카본 블랙은 섬유의 색상을 내기 위하여 부수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카본 블랙을 다루는 방법이나 색상 외에 카본 블랙이 가지는 장점 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없다. 마지막으로 소개된 것은 아이라이너 및 아이브로우와 같은 고형 화장료에 대한 것으로, 기공이 있는 카올린, 벤토나이트, 카본 블랙, 그라파이트 또는 탄화물을 이용하여 형태 유지 능력을 좋게 하고, 사용감을 개선한 특허(출원 번호: 1985-038463)가 있는데, 두 제형은 오직 분산 제형만을 다루고 있으며 유화타입에 대한 사용과 그 이점에 대해서는 언급하고 있지 못하다. 이와 같이 기존의 특허들은 카본 블랙 파우더가 아닌, 카본 블랙으로 색상을 낸 섬유에 대 한 특허이거나 딱딱한 고형의 메이크업 제품을 제조하는 특허에 관한 것이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카본 블랙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을 연구하던 중, 폴리올로 전처리한 카본 블랙을 사용하는 경우 유화 제형에서의 분산을 용이하게 하고, 고른 분산에 의해 블랙의 선명도를 높일 수 있으며, 아울러 부드러운 사용감을 가진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고, 더 나아가 상기 조성에 비표면적이 큰 파우더를 사용하여 적용하면 훨씬 더 부드러운 사용감을 나타냄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올로 전처리한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검정 색소로서 폴리올에 전처리한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비표면적이 100m2/g ~ 800m2/g인 파우더를 더 첨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산화철 대신 사용된 순도가 높은 카본 블랙인 D&C Black #2는 미국 FDA 승인 요건인 비표면적 200~260m2/gram, 무게 손실 2% 미만, 회분(Ash) 함유량 0.15% 미만, PHA의 함량 500ppb 이하, 벤조 피리딘 5ppb 이하 및 다이벤자트라신 5ppb를 만족하는 원료로 LCW사의 유니퓨어(Unipure) LC 902와 지오텍(Geotech)의 미드나잇 블랙(Midnight Black)을 사용하였다.
상기 카본 블랙은 조성물 총 중량의 0.01 ~ 80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5 ~ 20중량%이다. 상기 카본 블랙의 함량이 8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조시 점도의 상승으로 인하여 교반기를 제대로 작동시킬 수 없어 분산을 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제대로 분산이 되지 않은 조성물은 유화가 되지 못하고, 층 분리가 일어난다.
상기 카본 블랙의 전처리는 카본 블랙을 폴리올에 적시고, 교반, 가열 및 유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행해진다.
상기 카본 블랙을 적시기 위한 폴리올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1,3 부틸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및 분자량이 200 ~ 600까지의 상온에서 액체상을 가지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펜틸렌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등 평균 분자량이 큰 폴리올 등을 생각할 수 있으나, 이것들은 자극과 냄새가 있어 화장품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으며, 분자량이 1000 이상으로 커지면 반고체, 혹은 고체 상을 가지기 때문에 카본 블랙을 적시기 어렵다. 상기 폴리올의 함량은 사용하고자 하는 카본 블랙의 함량에 따라서 다른데, 만약 50중량%으로 1,3 부틸렌 글리콜에 적셔놓은 카본 블랙을 5중량%로 사용하고자 한다면, 5중량%의 부틸렌 글리콜이 제형 내에 사용되게 된다. 이렇게 카본 블랙 색소를 사용하기 위하여 폴리올이 함께 들어가기 때문에 제형에 따라 유의하여 적시는 폴리올의 함량에 주의해야 한다. 만약 크림과 같은 제형에 사용하고자 한다면, 10중량% 이상의 과도한 폴리올의 사용은 답답한 사용감을 줄 수 있으며, 마스카라와 같이 수분에 대한 지속력이 필요한 제형은 수산기(-OH)가 많은 폴리올을 10중량% 이상 사용할 경우, 번짐에 대한 것을 막기 힘들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폴리올은 조성물 총 중량의 0.1 ~ 10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본 블랙을 폴리올에 전처리하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에는 1% 이상의 카본 블랙을 매질에서 분산시킬 때 상기 카본 블랙이 매질과 섞이지 못하고 하얗게 겉돌아 분산 자체를 진행할 수 없게 된다.
하기 표 1에는 카본 블랙을 폴리올에 전처리하지 않은 경우와 전처리한 경우의 분산성 유무를 나타내었다.
전처리
(폴리올)
X
(없음)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카본 블랙의 분산성 X
○ : 매질에 분산 잘됨
X : 분산되지 않음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카본 블랙을 미리 폴리올에 전처리 하지 않은 경우 분산 자체를 진행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기존에 산화철을 사용한 샘플에 비하여 전처리를 한 카본 블랙을 사용한 샘플은 색상이 진할 뿐만 아니라, 사이즈가 20 ~ 30nm로 섬세하여 고운 분산 및 유화 표면을 만들 수 있다. 이는 특히 도포시에 부드러운 펴발림성을 나타내며, 비표면적이 100m2/g 이상인 파우더를 사용하면 사용감(발림성)을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발림성을 더욱 향상시키고자 파우더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이즈가 1 ~ 3 마이크로미터 이하이거나, 비표면적이 100 ~ 800m2/g을 가지는 파우더가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비표면적이 300m2/g ~ 800m2/g인 파우더가 유리하다.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제품을 예로 들면 아사히 글라스의 실리카 시리즈인 Sunsphere시리즈가 유리한데, 이 중 비표면적이 크고 오일 흡유량이 큰 H-32, H-52, H-122, H33 및 H53이 특히 효과적이다. 그리고 스즈끼 유지 공업 주식회사의 Godball시리즈 중에서는 B-6c, B-25c, E-6c, D-11c 및 E-16c 등이 좋으며, 다공과 중공의 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TEE), Jurymer MB1, 비표면적이 큰 실리카, 알루미나, 알루미노 실리케이트(Sunsil130/200~260m2/g) 및 Silica Beads(SB 260m2/g) 등이 추천할 만하다. 부드러운 발림성을 위해서는 위와 같이 비표면적이 큰 파우더가 유리한데, 이들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 5.0중량%가 바람직하다. 0.1중량% 미만의 함량에서는 부드러움 발림성을 야기시키는 층밀림 얇아지기(Shear Thinning) 효과를 보기 힘든데, 이는 전체 계에 비하여 파우더의 양이 너무 적어 전체 사용감을 바꾸기에는 역부족이기 때문으로 보여지며, 5.0중량% 초과의 경우에는 큰 비표면적으로 인하여 제형내의 오일이나 왁스 폴리올, 물 등을 잡아 파우더 자체가 엉겨 분산되기 힘들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다. 상기 비표면적이 큰 파우더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파우더에 의해 점도가 올라간 내용물이 변형력(Stress)에 의해 파우더가 쉽게 밀려나가도록 함으로써 화장료 내용물 도포시 우수한 사용감(발림성)을 느낄 수 있게 한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표 2에는 마스카라의 제조예로서 실시예 1 ~ 6 및 비교예 1의 구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 2는 각각 LCW사의 카본 블랙으로 기존 산화철의 1/10(1중량%), 1/5(2중량%)의 함량만으로 마스카라를 제조한 것이고, 실시예 3, 4는 지오텍(Geotech)사의 카본 블랙으로 기존 산화철의 1/10(1중량%), 1/5(2중량%)의 함량만으로 마스카라를 제조한 것이다. 또한 실시예 5, 6은 지오텍(Geotech)사의 카본 블랙 2중량%를 사용하면서 비표면적이 큰 실리카 파우더를 추가한 것이다. 비교예 1은 실시예 1 ~ 6과의 색상 및 발림성을 비교하기 위한 대조군으로 기존에 주로 사용되는 색소인 산화철 10중량%로 제조한 것이다.
실시예 1 ~ 6 및 비교예 1
성분명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1
1.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2.부틸렌글리콜 3.0 3.0 3.0 3.0 3.0 3.0 3.0
3.글리세린 5.0 5.0 5.0 5.0 5.0 5.0 5.0
4.히드록시에틸세룰로즈 0.5 0.5 0.5 0.5 0.5 0.5 0.5
5.에탄올 2.0 2.0 2.0 2.0 2.0 2.0 2.0
6.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15.0 15.0 15.0 15.0 15.0 15.0 15.0
7.Unipure LC902 (LCW사) 1.0 2.0 - - - - -
8.Midnight Black (Geotech사) - - 1.0 2.0 2.0 2.0 -
9.산화철 - - - - - -
10.0
10.세룰로즈 파이버 2.0 2.0 2.0 2.0 - - 2.0
11.Sunsphere H51 - - - - 2.0 - -
12.Godball B-25c - - - - - 2.0 -
13.소르비탄 올리베이트 5.0 5.0 5.0 5.0 5.0 5.0 5.0
14.밀납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5.스테아릴 알코올 2.5 2.5 2.5 2.5 2.5 2.5 2.5
16.카나우바 2.0 2.0 2.0 2.0 2.0 2.0 2.0
17.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상기 표 2의 실시예 1 ~ 6에 사용된 카본 블랙은 전처리로서 폴리올 총 중량에 대한 카본 블랙의 함량을 10 ~ 80중량%로 하여 상기 카본 블랙이 폴리올에 잘 젖도록 1 ~ 120시간동안 적절하게 교반하였다.
상기에서 폴리올 총 중량에 대하여 카본 블랙의 함량을 10중량% 미만으로 할 경우에는 카본 블랙과 함께 원하지 않게 들어갈 수 밖에 없는 폴리올이 9배 이상 들어가게 되어 제형의 지속성이나 사용감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폴리올에 대한 카본 블랙의 80중량% 초과의 경우에는 카본블랙 파우더를 충분히 적실 수 없기 때문에 제대로 전처리를 할 수 없다.
상기 시간은 적시고자 하는 카본 블랙의 양과 이때 사용하는 폴리올의 양에 의해서 결정된다. 만약 100g의 카본 블랙을 1,3 부틸렌 글라이콜 100g에 적시고자 한다면, 10 ~ 50시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 이보다 짧은 시간일 경우에는 카본블랙이 충분히 폴리올에 적셔지지 못하여, 교반 자체가 힘들 뿐만 아니라, 교반을 하였다 하더라도 제형 내에서의 분산이 어려워 유화가 깨지게 된다. 반면, 이보다 작은 양의 카본 블랙, 예를 들어 10g 정도의 양을 100g 정도의 부틸렌 글라이콜에 적시고자 한다면, 5시간 정도 후면 교반하여 깨끗하게 유화해 낼 수 있다. 이처럼 카본 블랙을 폴리올에 적시고자 할 때 필요한 시간은 카본 블랙의 양과 사용한 폴리올의 함량에 의해서 결정된다. 대략적으로 카본블랙을 폴리올에 10 ~ 80중량%으로 10 ~ 300g 가량의 양을 적시고자 한다면, 1~ 120시간 정도가 소요된다.
이후 어떻게 교반할 것인가는 폴리올에 대한 카본블랙의 중량 함량비에 의해 나누어지는데, 20중량% 미만의 경우에는 아지믹서(Agi-Mixer)나 패들믹서(Paddle Mixer)도 가능하나 호모믹서(Homo-Mixer)가 유리하며, 이보다는 롤밀기를 사용할 때 효과적으로 교반해낼 수 있다. 그리고 폴리올에 대한 카본블랙이 20중량% 이상일 경우에는 아지믹서(Agi-Mixer), 패들믹서(Paddle Mixer), 호모믹서(Homo-Mixer)로는 교반이 힘들고, 롤밀기를 사용하여 교반하여야 한다.
<제조방법>
1) 성분 1 ~ 6을 70℃로 가열하였다.
2) 전처리한 카본 블랙(실시예 1 ~ 6) 또는 산화철 파우더를 처방대로 상기 1)에 투입하고 교반하였다.
3) 성분 13 ~ 17을 75℃로 가열하였다.
4) 상기 2)에 상기 3)을 서서히 가하면서 유화시킨 후 35℃로 냉각하였다.
5) 이를 마스카라 용기에 충진하였다.
[시험예 1] 색상 비교 시험
상기 실시예 1 ~ 4 및 비교예 1의 색상을 비교하기 위하여, 하기의 방법에 따라 색상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1cm 수정 셀(cell)에 마스카라 내용물을 충분히 넣고, 헌터랩(Hunter Lab)사의 제논 플래쉬 스펙트로포토미터(Xenon flash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내용물의 명도와 채도를 측정하였다. 명도 값을 나타내는 값은 L*로 표시되며, 이 값이 작을수록 블랙 색상이 우수하다고 평가한다. a값은 빨강과 초록을 나타내는 수치로 +값을 가지면서 절대값이 크면 빨간색을 더 많이 가지며, -값을 가지면서 절대값이 크면 초록색을 더 많이 갖는 값이다. b값은 노랑과 파랑을 나타내는 수치로 +값을 가지면서 절대값이 크면, 노랑색을 더 많이 가지며, -값을 가지면서 절대값이 크면 파랑색을 더 많이 갖는 값이다.
항 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L* 8.11 6.81 6.96 5.44 16.27
A -0.25 -0.62 0.05 0.21 -0.76
B -1.43 -1.43 -0.95 -0.08 -3.94
상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존에 주로 사용된 산화철(비교예 1) 대신 카본 블랙을 사용할 경우 산화철의 1/10 함량만을 가지고도 훨씬 진한 검은 색상을 발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지오텍(Geotech)사의 카본 블랙을 사용한 실시예 4에서 색상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는데, 지오텍(Geotech)사의 색소를 사용할 경우 특히 2중량%로 사용할 경우에는 그 경도가 LCW의 색소를 2% 사용할 경우보다 2배 가량 높아 화장시 푸석푸석하게 발린다는 단점이 있다.
[시험예 2] 사용감 테스트(도포시의 점도 데이터)
상기 실시예 1 ~ 6과 비교예 1의 사용감을 알아보기 위하여 도포시의 점도 데이터를 측정하였다. 기기는 AR2000 레오미터(AR2000 Rheometer)를 사용하고, 이때 사용한 액세서리는 반지름 길이가 짧아 크림이나, 마스카라 등의 고점도를 측정하기 용이하게 개발된 것으로서, 상기 기기를 반지름 1cm 및 기울기 각도 1°로 사용하여 전달율(Shear rate) 1000(1/s)에서의 점도(Viscosity)를 측정하였다. 일반적으로 화장료 도포시의 전달율은 1 ~ 1000(1/s)으로 보고 있으며, 이때의 점도는 유체가 움직일 때 움직임에 대한 저항의 값으로 그 값이 클수록 움직임을 방해하는 힘이 많이 들어가서 흐르기 어렵다. 반대로 점도가 낮을 때에는 이 움직임을 방해하는 저항이 작아 쉽게 흐를 수 있다. 그러므로 도포시의 점도의 값이 작다는 말은 도포를 하는 방향대로 내용물이 쉽게 펴 발라짐을 뜻한다.
하기 표 4에는 실시예 1 ~ 6 및 비교예 1에 대한 전달율 1000(1/s)에서 측정한 점도값을 나타내었다. 이와 함께 실제 마스카라 도포시 발림성에 대한 사용감 평가를 실시하였다.
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1
점도(Pa?s) 0.52 0.70 0.78 0.67 0.13 0.23 8.24
사용감 평가 ×
◎ : 도포시 매우 부드럽게 발림
○ : 도포시 부드럽게 발림
△ : 보통
× : 뻑뻑하게 발림
카본 블랙은 산화철에 비하여 사이즈가 1/10로 작아 내용물에 힘이 가해지면, 산화철을 사용한 내용물에서보다 더 쉽게 내용물의 재배열이 일어나고, 상기 이유로 전달율 1000(1/s)에서의 점도가 낮아 쉽게 내용물을 펴 바를 수 있으며, 결국 발림성이 좋아짐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 4를 살펴보면 LCW사의 경우(실시예 1, 2)에는 함량이 낮을 때 펴발림성이 더 좋았으며, 지오텍(Geotech)사의 경우(실시예 3, 4)에는 오히려 함량이 1중량%일 때보다 2중량%의 경우에 점도값이 낮아 펴발림성이 더 좋았다.
실시예 5는 표면적이 800m2/g인 아사히 글라스(Asahi glass)사의 다공성 실리카인 선스피어 시리즈(Sunsphere Series) H-51을 첨가한 것인데, 이 실리카의 평균 사이즈는 5 마이크로미터로 카본 블랙보다 크지만, 큰 비표면적으로 인하여 스폰지와 같이 내용물을 많이 함유할 수 있다. 그러나, 전달율이 커질 때는 쉽게 내용물을 밖으로 배출하여 전달율에 따른 점도의 큰 하락을 가져올 수 있다. 이처럼 비표면적이 큰 파우더를 함유할 경우, 전달율 1000(1/s) 구간에서 움직임에 대한 보다 낮은 저항값을 가지고, 이에 따라 펴 발림성은 더 우수하게 느껴지게 된다. 실시예 6은 H-51 대신에 스즈끼유지의 중공 실리카인 갓볼(Godball) B-25c를 실시한 예이다. 갓볼(Godball) 시리즈는 중공 혹은 다공 실리카시리즈로 100 ~ 800m2/g의 표면적과 평균 입자사이즈 0.5 ~ 150 마이크로미터의 표면적이 큰 실리카 계열이다. 측정 결과 실시예 6도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전달율 1000(1/s)에서 낮은 점도를 보이며 우수한 펴 발림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산화철을 사용한 비교예 1의 전달율 1000(1/s)에서의 점도는 카본 블랙을 사용한 실시예 1 ~ 6보다 10 ~ 80배 가량 크며, 이 값은 움직임에 대한 큰 저항 값을 가짐을 나타내는 것으로 비교예 1의 경우는 도포시에 쉽게 펴 발라지지 않는 단점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점도의 값을 통한 펴발림성은 패널을 통한 발림성에 대한 사용감 평가와도 일치하였다.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교예 1에 비해 실시예 1 ~ 6은 모두 전달율 1000(1/s)에서 낮은 점도값을 가지면서 부드러운 발림성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특히 실시예 5, 6과 같이 비표면적이 큰 실리카를 이용할 경우에는 보다 더 부드러운 사용감을 가져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 안자극 시험
상기 실시예 1 ~ 6 및 비교예 1의 조성물로 제조된 마스카라의 안자극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달걀을 이용한 안자극 시험(HETCAM-HEN'S EGG TEST ON THE CHORIOALLANTOIC MEMBRANE)을 행하였다. 시험방법은 CTFA 안전성 시험지침(CTFA SAFETY TESTING GUIDELINES)에서 정한 시험방법을 사용하였다. 흰 종란을 10일간 37±0.5도, 55±7%에서 부화시켜 기실이 관찰되면 CAM(Chorioallantoic membrane)이 잘 발달된 종란만을 선택한 후 난각과 난각막을 제거하고 시험물질을 파라필름(PARAFILM)에 얇게 펴 바른 후, 시험물질이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하여 CAM에 일정시간(30초)동안 적용하고 생리식염수로 CAM을 세척하여 반응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5의 사전실험에서의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HET-CAM에 의한 평가는 각 관찰항목 H, L, C(Hemorrhage, Lysis, Coagulation)의 합 <S>값으로 나타내며 자극지수로 S 값을 구하였다.
기준물질 판정 반응양상 Score
0.5% Texapon ASV Weak Hemorrhage and Lysis 1 (반응없으면 0)
1.0% Texapon ASV Moderate 2
5.0% Texapon ASV Strong 3
시험은 각각 6회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정리하였다. 하기 표 6에서 평균 자극점수가 6 미만인 것은 경자극(SLIGHTLY IRRITATING)으로 "◎", 6 ~ 12인 것은 중자극(MOERATELY IRRITATING)으로 "O", 12 ~ 16인 것은 자극(IRRITATING)으로 "△", 16 초과인 것은 심각한 자극(SEVERELY IRRITATING)으로 "×"로 각각 표시하였다.
시험물질 HET-CAM 시험결과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O
실시예 4 O
실시예 5 O
실시예 6 O
비교예 1 O
상기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존의 마스카라 제품인 비교예 1과 비교하여 볼 때,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 ~ 6은 별반 다르지 않은 수준의 자극을 보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기존의 제품들처럼 눈에 대한 별 자극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카본 블랙의 전처리를 통하여 기존 카본 블랙의 뭉침이나 가루날림을 개선하여 제조 작업을 용이하게 하였으며, 고른 분산으로 인하여 화장료 조성물의 블랙 색상을 개선하고, 나아가 비표면적이 큰 파우더를 사용하여 카본 블랙의 고른 분산으로 인한 부드러움을 더욱 극대화시켰다.

Claims (8)

  1. 검정 색소로서 폴리올에 전처리한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에 비표면적이 100m2/g ~ 800m2/g인 파우더를 더 첨가하고,
    상기 파우더는 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TEE), 실리카 및 알루미노 실리케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는 카본 블랙을 폴리올에 적시고, 교반, 가열 및 유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행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 블랙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 80중량%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 10중량%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 블랙은 폴리올 총 중량에 대하여 10 ~ 80중량%로 교반하여 전처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 블랙은 폴리올과 1 ~ 120시간동안 교반하여 전처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더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 5.0중량%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60071984A 2006-07-31 2006-07-31 전처리한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99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984A KR101199182B1 (ko) 2006-07-31 2006-07-31 전처리한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984A KR101199182B1 (ko) 2006-07-31 2006-07-31 전처리한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1542A KR20080011542A (ko) 2008-02-05
KR101199182B1 true KR101199182B1 (ko) 2012-11-07

Family

ID=39340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1984A KR101199182B1 (ko) 2006-07-31 2006-07-31 전처리한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91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477B1 (ko) * 2010-12-09 2013-04-11 (주)아모레퍼시픽 눈 화장품 제조방법
KR102022455B1 (ko) * 2012-10-18 2019-09-18 (주)아모레퍼시픽 눈썹 또는 속눈썹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2087A (ko) 2003-03-31 2005-11-29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속눈썹용 화장료
JP2006045064A (ja) 2004-07-30 2006-02-16 Asahi Kasei Chemicals Corp メイクアップ化粧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2087A (ko) 2003-03-31 2005-11-29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속눈썹용 화장료
JP2006045064A (ja) 2004-07-30 2006-02-16 Asahi Kasei Chemicals Corp メイクアップ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1542A (ko) 2008-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05033520B4 (de) Zubereitung, insbesondere kosmetische Zubereitung,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TWI740887B (zh) 唇用化妝品組成物
JP6305762B2 (ja) 固形粉末化粧料
EP2531171B1 (de) Kosmetische zubereitung und ihre verwendung
WO2018131534A1 (ja) 油性毛髪着色料
JP2017125000A (ja) 油性睫毛用化粧料および化粧方法
KR20190080447A (ko)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199182B1 (ko) 전처리한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55164B1 (ko) 오일 분산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545924B (zh) 一种基于锂蒙脱石亲油性增稠剂的眼线胶笔及其制备方法
KR101822003B1 (ko)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N112545922B (zh) 一种多功能口红及其制备方法
DE202005011257U1 (de) Zubereitung, insbesondere kosmetische Zubereitung
KR101822002B1 (ko)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N110354020A (zh) 水包油型睫毛用化妆料
JP6663715B2 (ja) 固形粉末化粧料の製造方法
CN110139693A (zh) 用于生产蜡制品的工艺
KR102539387B1 (ko) 광택감과 보습감 및 슬라이딩감이 뛰어난 유중수형 에멀젼 입술용 화장품 조성물
JPS62298511A (ja) メ−キヤツプ化粧料
DE102004051554B4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igment- und/oder effektstoffhaltigen Minen
KR100431504B1 (ko) 볼륨감과 지속성이 우수한 마스카라 조성물
KR20240057877A (ko) 볼륨력 및 안정도가 우수한 유분산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JPS61191607A (ja) 口紅
CN117562823A (zh) 定妆粉、其制备方法及定妆产品
DE102004051618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igmenthaltigen Min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