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1649A - 데이터재생장치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데이터재생장치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1649A
KR20050111649A KR1020057020637A KR20057020637A KR20050111649A KR 20050111649 A KR20050111649 A KR 20050111649A KR 1020057020637 A KR1020057020637 A KR 1020057020637A KR 20057020637 A KR20057020637 A KR 20057020637A KR 20050111649 A KR20050111649 A KR 20050111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efect
recording medium
window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0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8239B1 (ko
Inventor
야스시 우에다
도루 아오키
마코토 오카자키
노부아키 노구치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111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1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8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82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4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222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clock-related aspects, e.g. phase or frequency adjustment or bit synchronis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4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 G11B20/1403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wo leve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03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20/10916Seeking data on the record carrier for preparing an access to a specific addres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6Rewritabl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G11B2220/2575DVD-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장치에 있어서, 시크, 디펙트를 수반한 입력 데이터의 품질이 저하하고 있는 경우라도, 빠른 동기인입, 적합한 에러 정정처리를 실현한다.
시크량 검출블록(190)을 설치하여 시크변경신호(201)를 생성하고, 동기검출 윈도우 펄스(161)의 폭이나 에러 정정블록(230)의 정정처리 알고리즘을 변경한다.

Description

데이터재생장치 및 기록매체{DATA REPRODUCING DEVICE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신호를 판독하고, 에러 정정이 이루어진 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이터재생장치 등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전송에 있어서의 수신장치 예컨대, 광디스크, 자기디스크 등의 기록매체에서 데이터를 재생하는 장치에서는, 전송로를 통해 공급되는 입력 데이터나 기록매체를 재생하여 얻어지는 입력 데이터에서 입력 데이터열에 주기적으로 삽입되어 있는 동기패턴을 검출하여 이른바 동기인입을 행하고, 또한, 입력 데이터에서 클록을 재생하여, 이 클록을 이용해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클록재생에는 일반적으로는 PLL(Phase Locked Loop)회로가 이용되고, 이 PLL회로에서는 이른바 국부발진기의 출력(클록)과 입력 데이터의 위상차를 검출하고, 귀환 루프에 의해, 국부발진기의 주파수와 위상이 입력 데이터의 주파수와 위상에 일치하도록 제어하여, 클록을 재생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동기인입에는 클록이 이용된다.
그런데, 기록매체에서 판독된 데이터에는 외부에 전송될 때, 전송로 등에 있어서 동기패턴에 에러가 생기거나, 그 일부가 잘못하여 동기패턴과 일치하는 경우가 있고, 이로 인해, 동기패턴을 검출할 수 없는 동기검출에러나, 데이터 중에 생긴 패턴을 잘못하여 동기패턴으로서 인식하는 에러동기라는 결함이 생긴다.
이러한 결함에 대하여, 동기검출 에러를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검출의 대상이 되는 동기패턴의 위치를 1개 앞의 동기패턴의 검출위치에서 예측하여, 이 예측위치에 유사한 동기검출신호를 삽입하는 내삽처리가 알려져 있다.
또한, 오동기를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동기패턴의 간격에 기초하여 다음 동기패턴이 삽입되어 있는 입력 데이터열 상에서의 위치를 예측하고, 그 위치에 소정의 폭을 갖는 윈도우(창)를 설치하여, 이 윈도우 내의 입력 데이터열에서 동기패턴을 검출하는 윈도우 처리가 알려져 있다.
여기서 도 4를 참조하여, 기록매체에서의 데이터재생 및 윈도우처리 동작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판독 방향(406)에 따라서 기록매체에서 재생되는 재생 데이터열(400)에 있어서, 최초의 동기패턴(401a)이 검출되면, 재생장치는 미리 설정된 동기패턴의 삽입주기(402)에 기초하여, 재생 데이터열(400) 상의 데이터를 카운트하여, 다음 동기패턴(401b)을 검출한다.
이 때, 재생 데이터(400) 상의 데이터가 모두 에러 없이 판독되어 있으면, 삽입주기(402)의 카운트에 의해 동기패턴(401b)을 검출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재생 데이터열(400)에는, 전송로 상에서 데이터의 누락이나, 동기패턴에 생기는 에러, 또는 데이터열 상의 에러가 생기기 때문에, 삽입주기가 엄밀한 카운트에 의해서만 동기패턴의 검출을 행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래서, 삽입주기(402)에 의해 동일하다고 인정된 재생 데이터열(400) 상의 동일하다고 인정된 위치(403)에서, 재생 데이터열(400)의 전후에 각각 소정의 폭(전방에 폭(404b), 후방에 폭(404a))을 갖는 윈도우(404)를 설치하고, 이 윈도우(404) 내에서 동기패턴(401b)을 검출한다. 도 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동기패턴의 폭을 2바이트, 동기패턴과 동기패턴 사이의 데이터열의 폭을 91바이트로 하면, 삽입주기는 93바이트가 되고, 이 삽입주기에 대하여 윈도우의 폭을 동기패턴의 동일하다고 인정위치(403)를 끼워 폭(404a)을 0.5바이트, 폭(404b)을 0.5바이트의 합계 1바이트로 설정하면, 동기패턴(401a)과 동기패턴(401b)의 간격(402a)이 실제로 전송로 상에서는 92.5바이트이고, 동기패턴(401b)이 삽입주기(402)의 카운트보다도 짧은 장소에 있는 경우라도, 이 동기패턴(401b)은 윈도우(404)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윈도우(404) 내의 검색에 의해 동기패턴(401b)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데이터처리 시스템의 고신뢰도화의 한 방법으로서, 데이터의 에러를 정정하는 능력을 갖는 에러 정정부호를 복호하는 에러 정정수단이 여러가지 데이터재생장치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 기록매체로의 고밀도 기록이나, 데이터 처리장치로의 데이터전송속도의 고속화에 의해, 기록매체에서의 판독 데이터의 에러 확률이 증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에러 정정수단에 있어서는, 에러 정정능력이 높은 부호가 복수 부가되거나, 복수의 에러 정정부호를 반복하여 복호하는 반복 복호가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면, CD-ROM에서는 CIRC라고 불리는 음악 CD용의 에러 정정부호 외에, 추가로 이중으로 에러 정정부호를 부가하여, 이중으로 부가된 에러 정정부호에 대하여, 각각 에러 정정부호를 이용한 복수(2 이상)의 정정처리를 소정의 순서로 조합한 복호동작인 반복 복호를 행하고 있다. 또한, DVD-ROM이나 DVD-RAM에서도, 곱셈부호에 대하여 반복 복호를 행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기록매체에서 데이터를 판독하여 처리장치에 전송할 때, 데이터의 판독을 기다리게 하지 않고, 복조처리나 에러 정정처리나 데이터 전송처리 등이 실행되는 것이 요구된다. 이로 인해, 예를 들면 DVD-R0M에서는 소정의 시간내에서 에러 정정처리가 종료하는 특정회수, 특정순서의 반복 정정 알고리즘이 채용되고 있다.
상기에 설명한 종래예에서는 어느 것에 있어서도, 어떠한 조건하의 재생 중에 있어서도, 고정폭의 윈도우, 에러 정정의 회수 및 순서가 고정된 특정한 에러 정정 알고리즘으로 오동기의 수정이나, 데이터의 에러 정정처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렇지만, 이러한 종래예에 있어서는, 기록매체의 재생시에 시크를 수반하거나, 매체 상에 디펙트(상처, 오염)를 검출하는 등의 원인에 의해, PLL의 잠금장치가 일단 풀려, 재인입을 행하는 경우, 재인입 직후는 클록이 불안정하게 된다.
윈도우 동작에 있어서, 삽입주기의 카운트는 클록에 기초하여 행해지기 때문에, PLL의 재인입 직후는 카운트는 정확한 값으로서 인식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윈도우의 설정위치가 통상동작시로부터 이동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윈도우 처리를 행하면, 종래의 윈도우 폭으로는 정확한 동기패턴을 검출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시크동작의 직후에 최초에 검출한 동기패턴(401b)에서 동기패턴(401c)을 검출하고자 하는 경우, 클록이 불안정하기 때문에, 삽입주기(402')는 통상의 간격보다도 짧아져, 윈도우(405)는 통상의 설정위치보다도 짧은 위치에 설정된다.
이 경우, 동기패턴(401)은 윈도우(405)의 폭(405a)만으로는 그 일부가 윈도우(405) 내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윈도우(405) 내의 검색에 의해서 동기패턴(401c)을 검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더욱이, 특히 디스크 상에 디펙트가 있는 경우는, PLL의 잠금장치가 풀리지 않은 경우, 즉 재인입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라도, 디펙트가 존재하고 있는 동안은, 전송로 상에 입력 데이터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PLL의 피드백동작은 정지하고, 그 동안은 디펙트에 의해 데이터의 입력이 정지하기 직전의 데이터에 기초하는 일정한 클록이 유지되고, 이것에 기초하여 삽입주기의 카운트가 행해진다.
따라서, 윈도우 펄스의 설정위치는 PLL의 재인입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디펙트가 없는 경우의 본래의 위치로부터 이동하게 된다. 이 이동에 의해서, 윈도우의 내부에서 동기패턴의 데이터열이 누출된 경우는, 동기패턴을 검출할 수 없게 된다.
또한, DVD-ROM이나 DVD-RAM에서의 데이터의 재생시에 있어서는, 랜드(land)와 그루브(groove)의 경계에서 클록이 불안정해져서, 데이터의 판독이 곤란해지거나, 또는 랜드와 그루브에서 가장 적합한 윈도우 폭이 다른 경우가 있다. 이 때, 랜드 또는 그루브의 어느 한쪽에 맞춰 윈도우 폭을 설정하면, 다른 쪽에서 데이터를 재생할 때에, 정확한 동기패턴을 검출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이들의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미리 PLL의 재인입시의 클록의 불안정 및 디펙트의 발생에 기초하는 PLL의 동작정지에 의한 클록의 고정화에 기인하는 삽입주기 카운트의 정밀도의 저하에 대해서는, 여유를 갖고 윈도우의 폭(도 4에서는 404a, 405a 및 404b, 405b 등)을 넓혀 놓으면 좋지만, 이 경우, 지나치게 넓은 윈도우가 통상동작시에 동기패턴의 오검출을 일으킬 가능성을 높게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은 상황하에서 정상적으로 동기패턴을 검출할 수 있던 경우라도, 판독된 데이터에 있어서는, 그 신뢰성이 저하하고 있는 경우가 많고, 에러 정정의 회수 및 순서가 고정된 소정의 반복처리에 기초하는 특정한 에러 정정 알고리즘에서는 데이터의 정정이 불가능해져, 광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원래의 정확한 포맷으로 재생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미리 정정능력이 높은 알고리즘이나 반복회수를 늘린 에러 정정 알고리즘으로 하면 좋지만, 에러 정정의 능력은 향상하지만, 그 반면, 통상동작시에도 처리시간이 걸려, 데이터의 판독을 기다리게 하거나, 소비전력을 증대시킨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시크를 수반하거나 디펙트를 검출한 경우라도, 정확한 위치에서 동기검출을 행하거나, 적합한 에러 정정 알고리즘을 채용함으로써, 원래의 정확한 포맷으로 재생할 수 있는 데이터재생장치 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 1의 본 발명은,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수단과, 상기 기록매체에서 재생된 데이터에 소정의 알고리즘에 기초하는 에러 정정처리를 행하는 데이터 에러 정정수단과, 상기 기록매체의 디펙트를 검출하는 디펙트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에러 정정수단은 상기 디펙트가 검출되어 있는 기간, 상기 소정의 알고리즘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재생장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펙트 검출수단은 상기 디펙트의 종류 및/또는 크기를 판별하는 것이고, 상기 에러 정정수단은 판별한 상기 디펙트의 종류 및/또는 크기에 따라서, 상기 변경하는 소정의 알고리즘을 다르게 한다.
제 2의 본 발명은,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수단과, 상기 기록매체에서 재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클록을 계수하는 클록계수수단과, 상기 클록의 계수값에 기초하여, 상기 재생된 데이터 상의 동기신호의 위치를 추정하는 동시에, 그 추정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폭을 갖는 동기검출 윈도우 신호를 생성하는 윈도우 생성수단과, 상기 동기검출 윈도우 내를 검색함으로써, 상기 기록매체에서 재생된 데이터로부터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동기신호 검출수단과, 상기 기록매체에서 재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매체의 디펙트를 검출하는 디펙트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윈도우 생성수단은 적어도 상기 디펙트가 검출되어 있는 기간, 동기검출 윈도우 신호의 폭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재생장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펙트 검출수단은 상기 디펙트의 종류 및/또는 크기를 판별하는 것이고, 상기 윈도우 생성수단은 판별한 상기 디펙트의 종류 및/또는 크기에 따라서, 상기 동기검출 윈도우 신호의 변경폭의 크기를 변경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윈도우 생성수단은 상기 디펙트를 검출하여, 상기 윈도우 신호의 폭을 변경한 경우, 상기 디펙트의 검출이 종료한 후에도 소정의 기간, 상기 동기검출 윈도우 신호의 폭의 변경을 계속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정의 기간은 상기 디펙트의 검출이 완료하고 나서 상기 동기신호의 검출이 안정되게 행해질 때까지의 시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기신호 검출수단은 상기 디펙트의 검출에 따라서, 상기 동기신호의 검출기준을 변경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윈도우 생성수단은 재기입 가능한 레지스터를 갖고, 상기 레지스터에 대하여 설정된 소정의 폭만큼 상기 동기검출 윈도우 신호의 폭을 변경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펙트 검출수단은 상기 기억매체에서 판독된 RF신호의 엔벨로프를 해석하여 상기 디펙트를 검출한다.
제 3의 본 발명은, 제 1의 본 발명의, 데이터재생장치의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수단과, 상기 기록매체에서 재생된 데이터에 소정의 알고리즘에 기초하는 에러 정정처리를 하는 데이터 에러 정정수단과, 상기 기록매체의 디펙트를 검출하는 디펙트 검출수단의 전부 또는 일부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이다.
제 4의 본 발명은, 제 2의 본 발명의, 데이터재생장치의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수단과, 상기 기록매체에서 재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클록을 계수하는 클록계수수단과, 상기 클록의 계수값에 기초하여 상기 재생된 데이터 상의 동기신호의 위치를 추정하는 동시에, 그 추정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폭을 갖는 동기검출 윈도우 신호를 생성하는 윈도우 생성수단과, 상기 동기검출 윈도우 내를 검색함으로써, 상기 기록매체에서 재생된 데이터로부터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동기신호 검출수단과, 상기 기록매체에서 재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매체의 디펙트를 검출하는 디펙트 검출수단의 전부 또는 일부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해서, 도 1을 이용해 설명한다. 도 1은 광디스크를 예로 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데이터재생장치의 신호처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있어서, 110은 광디스크, 111은 RF신호, 120은 판독 채널블록, 121은 판독 데이터, 122는 판독 클록, 140은 동기검출블록, 141은 동기패턴 검출신호, 150은 데이터 복조블록, 151은 복조 데이터, 160은 윈도우 생성블록, 161은 윈도우 펄스, 170은 변경폭설정 레지스터, 180은 어드레스 검출블록, 181은 어드레스정보, 190은 시크량 검출블록, 200은 시크량설정 레지스터, 201은 시크변경신호, 220은 메모리, 221은 메모리 데이터 버스, 222는 전송 데이터, 230은 에러 정정블록, 240은 데이터 전송블록, 241은 재생 데이터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의한 데이터재생장치의 동작을 다음에 설명한다. 광디스크(110)에서 판독된 RF신호(111)는 판독 채널블록(120)에 입력되어 2치화된다. 2치화된 판독 데이터(121)와 판독 클록(122)은 동기검출블록(140)에 입력되어, 이들로부터 동기패턴이 검출된다.
다음에 동기검출블록(140)은 동기패턴을 검출하면, 동기패턴 검출신호(141)를 윈도우 생성블록(160)에 입력한다. 윈도우 생성블록(160)은 입력된 동기패턴 검출신호(141)를 기준으로, 광디스크(110)에서 판독된 데이터열에 다음 동기패턴이 삽입되어 있는 위치를 예측하고, 그 위치를 중심으로 그 데이터열 상에 미리 설정된 폭을 갖는 윈도우 펄스(161)를 동기검출블록(140)에 반송한다. 윈도우 펄스(161)가 입력된 동기검출블록(140)은 이후 윈도우 펄스(161) 중에서 동기검출을 실행한다. 이 때, 동기검출블록(140)은 윈도우 펄스(161) 중에서 동기패턴을 검출할 수 없던 경우는 유사한 동기검출신호를 삽입하거나, 추가로 연속하여 동기패턴을 검출할 수 없던 경우는 동기가 벗어났다고 판단하여, 윈도우 펄스(161)에 관계없이 동기패턴을 검출하는 기능도 보유하고 있다.
데이터 복조블록(150)은 동기패턴 검출신호(141)를 기준으로 하여, 판독 클록(122)에서 2치화된 판독 데이터(121)를 소정의 포맷으로 복조한다. 복조된 데이터(151)는 어드레스 검출블록(180)에 입력되어, 어드레스정보(181)가 추출된다.
시크량 검출블록(190)은 추출된 어드레스정보(181)를 바탕으로 시크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시크량이 소정의 값을 넘은 경우에, 시크변경신호(201)를 출력한다. 이 때, 시크량 검출블록(190)은 외부로부터 설정가능한 시크량설정 레지스터(200)를 구비하고 있고, 이 레지스터(200)에 설정된 값을 넘은 시크량을 검출하였을 때에 시크변경신호(201)를 출력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시크량의 검출을 추출된 어드레스정보(181)를 바탕으로 하여 행하고 있지만, 이것은 일실시예이고, 예를 들면 디스크(110)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픽업을 제어하고 있는 서보블록에서 얻어지는 트랙 크로스신호나 트래킹이 벗어난 것을 나타내는 트래킹 오프신호를 이용해 시크량을 검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윈도우 생성블록(160)은 시크변경신호(201)를 수신하면, 윈도우 펄스(161)의 폭을 소정분 변경하여 출력한다. 이 때, 윈도우 펄스(161)의 폭은 시크변경신호(201)를 수신하기 전보다도 넓게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윈도우 생성블록(160)은 외부로부터 설정가능한 변경폭설정 레지스터(170)를 구비하고 있고, 이 레지스터(170)에 설정된 값만큼 윈도우 펄스(161)의 폭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시크량 검출블록(190)이 검출한 시크량에 기초하여 변경하는 폭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예컨데, 시크량이 큰 경우는, 윈도우 펄스(161)의 폭은 시크량이 작을 때의 폭보다도 보다 큰 폭이 되도록 하면 된다.
다음에, 윈도우 생성블록(160)은 시크변경신호(201)를 수신하면, 윈도우 펄스(161)의 폭을 변경하지만, 소정의 기간이 경과하면, 다시 윈도우 펄스(161)의 폭을 시크변경신호(201)를 수신하기 이전의 원래상태로 되돌리고, 통상동작으로 복귀한다. 이 때, 소정의 기간으로서는 시크량 검출블록(190)이 검출한 시크량에 기초하는(예를 들면, 비례) 것으로 해도 되고, 윈도우 펄스(161)의 폭이 변경되고 나서, 동기검출블록(140)이 연속하여 동기패턴을 검출한 회수를 기준으로 해도 되며, 레지스터 등에 의해서 외부에서 설정한 시간이어도 된다.
한편, 데이터 복조블록(150)에 의해 복조된 데이터(151)는 더욱이 메모리(220)에도 저장된다. 에러 정정블록(230)은 메모리(220)로부터 메모리 데이터 버스(221)를 사용하여 판독 에러 정정처리를 실행하고, 에러가 발견된 경우는 메모리 데이터 버스(221)를 사용하여 메모리 내의 소정의 데이터를 정정한다.
시크변경신호(201)는 에러 정정블록(230)에도 입력되고, 에러 정정블록(230)은 이 시크변경신호(201)를 이용해, 에러 정정의 알고리즘, 즉, 에러 정정의 회수 및/또는 순서를 변경하여, 시크량에 따른 정정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에러 정정의 회수나 순서는 시크량의 대소에 기초하여, 소정의 복수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도록 하여 행해도 된다.
에러 정정처리가 종료한 전송 데이터(222)는 메모리(220)로부터 데이터전송블록(240)에 보내져 재생 데이터(241)로서 외부에 출력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시크를 수반한 데이터재생에 있어서 시크량이 소정의 값을 넘은 경우에, 윈도우 펄스(161)의 폭을 넓히거나 에러 정정의 알고리즘을 변경함으로써, 입력 데이터의 신뢰성이 나쁜 경우에도, 동기패턴을 확실히 검출하는 동시에, 안정된 데이터재생이 가능해진다.
또, 시크변경신호(201)는 동기검출블록(140)에 입력할 수도 있고, 동기패턴을 검출할 때에 시크변경신호(201)가 입력되어 있는 기간은 동기검출블록(140)은 동기패턴의 검출기준을 변경하여 본래의 동기패턴과 비슷한 패턴도 동기패턴으로서 검출하도록 해도 된다. 이로 인해, 동기패턴의 일부가 누락되어 있거나, 에러가 포함되어 있어, 윈도우 처리가 정확히 행해지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동기패턴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라도, 동기패턴의 검출동작을 계속할 수 있다. 이 때, 동기검출블록(140)은 외부로부터 설정가능한 동기검출 패턴설정 레지스터(142)를 구비하고 있고, 이 동기검출 패턴설정 레지스터(142)에 설정된 패턴도 동기패턴으로서 검출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해서, 도 2를 이용해 설명한다. 도 2는 광디스크를 예로 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데이터재생장치의 신호처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있어서, 도 1과 동일부호는 동일부 또는 상당부이다. 또한, 130은 디펙트 검출블록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의한 데이터재생장치의 동작을 다음에 설명한다.
광디스크(110)에서 판독된 RF신호(111)는 판독 채널블록(120)에 입력되어 2치화된다. 판독 채널블록(120)에서는 디펙트 검출블록(130)이 RF신호(111)의 엔벌로프를 관측함으로써 BDO(Black Dot Out), 긁힘, 지문 등의 디펙트의 유무를 검출하여, 디펙트 검출신호(131)를 출력한다. 이 때, 디펙트 검출블록(130)은 엔벨로프가 변화하고 있을 때의 시간, 진폭을 관측함으로써 디펙트의 종류나 크기까지를 판별하고, 디펙트 검출신호(131)에 디펙트의 종류나 크기도 정보로서 부가하여, 버스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2치화된 판독 데이터(121)와 판독클록(122)은 동기검출블록(140)에 입력되어, 이들로부터 동기패턴이 검출된다.
다음에, 동기검출블록(140)은 동기패턴을 검출하면, 동기패턴 검출신호(141)를 윈도우 생성블록(160)에 입력한다. 윈도우 생성블록(160)은 입력된 동기패턴검출신호(141)를 기준으로 광디스크(110)에서 판독된 데이터열에 다음 동기패턴이 삽입되어 있는 위치를 예측하고, 그 위치를 중심으로 그 데이터열 상에 미리 설정된 폭을 갖는 윈도우 펄스(161)를 동기검출블록(140)에 반송한다. 윈도우 펄스(161)가 입력된 동기검출블록(140)은 이후 윈도우 펄스(161) 중에서 동기검출을 실행한다. 이 때, 동기검출블록(140)은 윈도우 펄스(161) 중에서 동기패턴을 검출할 수 없던 경우는 유사한 동기검출신호를 삽입하거나, 더욱이 연속하여 동기패턴을 검출할 수 없던 경우는 동기가 벗어났다고 판단하여, 윈도우 펄스(161)에 관계없이 동기패턴을 검출하는 기능도 보유하고 있다.
다음에, 윈도우 생성블록(160)은 디펙트 검출블록(130)으로부터 디펙트 검출신호(131)를 수신하면, 이것에 기초하여, 동기검출블록(140)의 동기패턴의 검출상태에 관계없이, 디펙트 검출신호(131)가 검출되고 있는 동안은 항상 윈도우 펄스(161)의 폭을 소정분 변경한다. 이 때, 윈도우 펄스(161)의 폭은 디펙트검출신호(131)를 수신하기 전보다도 넓게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디펙트에 기인하는 동기패턴의 검출이 불가능해지는 사태를 경감할 수 있어, 동기패턴의 검출을 보다 신속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윈도우 생성블록(160)은 외부로부터 설정가능한 변경폭설정 레지스터(170)를 구비하여, 설정된 값만큼 윈도우 펄스(161)의 폭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디펙트 검출블록(130)이 출력한 디펙트의 종류나 크기에 기초하여 변경하는 윈도우 펄스의 폭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디펙트가 큰 경우는, 윈도우 펄스(161)의 변경폭은 디펙트가 작을 때의 변경폭보다도 더욱 큰 변경폭이 되도록 하면 된다. 또한, 디펙트의 종류가 디스크 상의 큰 긁힘이나 오염 등에 의한 경우는, 윈도우 펄스(161)의 변경폭을 크게 취하도록 하고, 디펙트의 종류가 디스크 상의 작은 긁힘이나 지문 정도에 의한 경우는, 윈도우 펄스(161)의 변경폭을 작게 취하도록 하면 된다.
다음에, 디펙트 검출블록(130)이 디펙트를 검출하지 않게 되어, 디펙트 검출신호(131)의 출력을 정지하면, 윈도우 생성블록(160)은 디펙트 검출신호(131)를 수신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다시 윈도우 펄스(161)의 폭을 디펙트 검출신호(131)를 수신하기 이전의 원래상태로 되돌려, 통상동작으로 복귀한다.
그런데, 디펙트 검출블록(130)이 검출하는 디펙트가 크기 때문에, 디펙트 검출신호(131)가 출력된 후, 동기검출블록(140)에서 동기가 일단 벗어난 후, 다시 동기검출을 하는 경우는, 윈도우 생성블록(160)은 디펙트 검출블록(130)에서 디펙트 검출신호(131)를 수신하지 않고 있어도, 소정의 기간만큼 윈도우 펄스(161)의 폭의 변경을 계속한다. 이 때, 소정의 기간으로서는 디펙트 검출블록(130)이 검출한 디펙트의 크기에 기초하는(예를 들면, 비례) 것이나, 종류에 기초하는 것으로 해도 되고, 윈도우 펄스(161)의 폭이 변경되고 나서 동기검출블록(140)이 연속하여 동기패턴을 검출하는 회수를 기준으로 해도 된다. 또한, 레지스터 등에 의해서 외부에서 설정한 시간이어도 된다.
다음에, 데이터 복조블록(150)은 동기패턴 검출신호(141)를 기준으로 하여 판독클록(122)에서 2치화된 판독 데이터(121)를 소정의 포맷으로 복조한다. 복조된 데이터(151)는 어드레스 검출블록(180)에 입력되어, 어드레스정보(181)가 추출된다. 복조된 데이터(151)는 추가로 메모리(220)에도 저장된다.
한편, 에러 정정블록(230)은 메모리(220)로부터 메모리 데이터 버스(221)를 사용하여 판독하고 에러 정정처리를 실행하여, 에러가 발견된 경우는, 메모리 데이터 버스(221)를 사용하여 메모리 내의 소정의 데이터를 정정한다.
이 때, 디펙트 검출신호(131)는 에러 정정블록(230)에도 입력되고, 에러 정정블록(230)은 이 디펙트 검출신호(131)를 이용해 에러 정정의 알고리즘, 즉, 에러 정정의 회수 및/또는 순서를 변경하고, 시크량에 따른 정정처리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에러 정정의 회수나 순서는 디펙트의 대소나 종류에 기초하여, 소정의 복수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도록 하여 행해도 된다.
에러 정정처리가 종료한 전송 데이터(222)는 메모리(220)로부터 데이터전송블록(240)에 보내져 재생 데이터(241)로서 외부에 출력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디펙트를 갖는 기억매체를 수반한 데이터재생에 있어서, 에러 정정의 알고리즘을 변경함으로써, 입력 데이터의 신뢰성이 나쁜 경우에도, 동기패턴을 확실히 검출하는 동시에, 안정된 데이터재생이 가능해진다.
또한, 데이터 재생시에, 디펙트를 검출하면, 미리 윈도우 펄스(161)의 폭을 변경하도록 함으로써, 디펙트가 검출된 경우라도, 동기패턴의 검출이 불가능해지는 사태를 경감할 수 있다.
또, 디펙트 검출신호(131)는 동기검출블록(140)에 입력 할 수도 있고, 동기패턴을 검출할 때에, 디펙트 검출신호(131)가 입력되어 있는 기간은 검출기준을 변경하여 원래의 동기패턴과 비슷한 패턴도 동기패턴으로서 검출하도록 해도 된다. 이로 인해, 동기패턴의 일부가 누락되어 있거나, 에러가 포함되고 있어, 윈도우 처리가 정확히 행해지고 있는 데도 불구하고, 동기패턴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라도, 동기패턴의 검출동작을 계속할 수 있다. 이 때, 동기검출블록(140)은 외부로부터 설정가능한 동기검출 패턴설정 레지스터(142)를 구비하고 있고, 이 동기검출 패턴설정 레지스터(142)에 설정된 패턴도 동기패턴으로서 검출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해서, 도 3을 이용해 설명한다. 도 3은 광디스크를 예로 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데이터재생장치의 신호처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있어서, 도 1과 동일부호는 동일부 또는 상당부이다. 또한, 210은 현재위치 판정블록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의한 데이터재생장치의 동작을 다음에 설명한다.
광디스크(110)로부터 판독된 RF신호(111)는 판독 채널블록(120)에 입력되어 2치화된다. 2치화된 판독 데이터(121)와 판독 클록(122)은 동기검출블록(140)에 입력되어, 이들로부터 동기패턴이 검출된다.
다음에, 동기검출블록(140)은 동기패턴을 검출하면, 동기패턴 검출신호(141)를 윈도우 생성블록(160)에 입력한다. 윈도우 생성블록(160)은 입력된 동기패턴 검출신호(141)를 기준으로 광디스크(110)에서 판독된 데이터열에 다음 동기패턴이 삽입되어 있는 위치를 예측하고, 그 위치를 중심으로 그 데이터열 상에 미리 설정된 폭을 갖는 윈도우 펄스(161)를 동기검출블록(140)에 반송한다. 윈도우 펄스(161)가 입력된 동기검출블록(140)은 이후 윈도우 펄스(161) 중에서 동기검출을 실행한다. 이 때, 동기검출블록(140)은 윈도우 펄스(161) 중에서 동기패턴을 검출할 수 없던 경우는 유사한 동기검출신호를 삽입하거나, 더욱이 연속하여 동기패턴을 검출할 수 없던 경우는 동기가 벗어났다고 판단하여, 윈도우 펄스(161)에 관계없이 동기패턴을 검출하는 기능도 보유하고 있다.
데이터 복조블록(150)은 동기패턴 검출신호(141)를 기준으로 하여, 판독 클록(122)에서 2치화된 판독 데이터(121)를 소정의 포맷으로 복조한다. 복조된 데이터(151)는 어드레스 검출블록(180)에 입력되어, 어드레스정보(181)가 추출된다.
현재위치 판정블록(210)은 추출된 어드레스정보(181)를 바탕으로 데이터의 검출원의 현재위치(랜드 트랙인지 그루부 트랙인지)를 산출하여, 산출결과를 현재위치신호(211)로서 출력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현재위치의 검출을 추출된 어드레스정보(181)를 바탕으로 하여 행하고 있지만, 이것은 일실시예이고, 현재위치는 예를 들어, 트래킹 에러신호로부터로도 검출할 수 있다.
다음에, 윈도우 생성블록(160)은 현재위치 판정블록(210)으로부터 현재위치신호(211)를 수신하고, 이것에 기초하여 윈도우 펄스(161)의 폭을 소정분 변경하여 출력한다. 이 때, 윈도우 펄스(161)의 폭은 현재위치신호(211)를 수신하기 전보다도 넓게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현재위치 판정블록(210)의 판정결과에 기초하는 폭의 변경은 그루브 트랙쪽이 랜드 트랙보다도 넓어지도록 해도 되고, 그 반대라도 된다. 또한, 랜드 트랙에서 그루브로의 변화, 또는 그루브 트랙에서 랜드 트랙으로의 변화에 따라서, 변경폭의 크기가 변화하도록 해도 된다.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윈도우 생성블록(160)에 외부로부터 설정가능한 변경폭 설정 레지스터(170)를 구비하여, 설정된 값만을 윈도우 펄스(161)의 폭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데이터 복조블록(150)에 의해 복조된 데이터(151)는 더욱이 메모리(220)에도 저장된다. 에러 정정블록(230)은 메모리(220)로부터 메모리 데이터 버스(221)를 사용하여 판독 에러 정정처리를 실행하고, 에러가 발견된 경우는, 메모리 데이터 버스(221)를 사용하여 메모리 내의 소정의 데이터를 정정한다.
현재위치신호(211)는 에러 정정블록(230)에도 입력되어, 에러 정정블록(230)은 이 현재위치신호(211)를 이용해 에러 정정의 알고리즘, 즉, 에러 정정의 회수 및/또는 순서를 변경하여, 시크량에 따른 정정처리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에러 정정의 회수나 순서는 현재위치(랜드인지 그루브인지), 또는 랜드-그루브에의 이행인지, 또는 그루브-랜드에의 이행인지에 기초하여, 소정의 복수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도록 하여 행해도 된다. 에러 정정처리가 종료한 전송 데이터(222)는 메모리(220)로부터 데이터 전송블록(240)에 보내져 재생 데이터(241)로서 외부에 출력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나선형상, 또는 동심원형상으로 교대로 랜드와 그루브의 양 트랙이 형성되어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장치에 있어서, 데이터의 재생원의 현재위치에 의해서 윈도우 펄스(161)의 폭을 넓히거나 에러 정정의 알고리즘을 변경함으로써, 입력 데이터의 신뢰성이 나쁜 경우에도, 동기패턴을 확실히 검출하는 동시에, 안정된 데이터재생이 가능해진다.
또, 현재위치신호(211)는 동기검출블록(140)에 입력할 수도 있고, 동기패턴을 검출할 때에, 현재위치신호(211)가 입력되어 있는 기간에는 동기검출블록(140)은 동기패턴의 검출기준을 변경하여 원래의 동기패턴과 비슷한 패턴도 동기패턴으로서 검출하도록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동기패턴의 일부가 누락되어 있거나, 에러가 포함되어 있어, 윈도우 처리가 정확히 행해지고 있는 데도 불구하고, 동기패턴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라도, 동기패턴의 검출동작을 계속할 수 있다. 이 때, 동기검출블록(140)은 외부로부터 설정가능한 동기검출 패턴설정 레지스터(142)를 구비하고 있고, 이 동기검출 패턴설정 레지스터(142)에 설정된 패턴도 동기패턴으로서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재생수단 및 클록계수수단은 각 실시예의 판독 채널블록(120)에 상당하고, 본 발명의 데이터 에러 정정수단은 각 실시예의 에러 정정블록(230)에 상당하며, 본 발명의 시크량 검출수단은 각 실시예의 시크량 검출블록(190)에 상당하고, 본 발명의 동기신호 검출수단은 각 실시예의 동기검출블록(140)에 상당하며, 본 발명의 윈도우 생성수단은 각 실시예의 윈도우 생성블록(160)에 상당하고, 본 발명의 디펙트 검출수단은 각 실시예의 디펙트 검출블록(130)에 상당하며, 본 발명의 트랙판별수단은 각 실시예의 현재위치 판정블록(210)에 상당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동기신호는 각 실시예의 동기패턴에 상당하고, 본 발명의 클록은 각 실시예의 판독 클록(122)에 상당하며, 본 발명의 동기검출 윈도우 신호는 각 실시예의 윈도우 펄스(161)에 상당한다.
또한, 상기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 시크량, 디펙트 또는 기록매체의 현재위치(랜드인지 그루브인지)의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기록매체에서 재생한 데이터의 에러 정정의 알고리즘을 변경하는 본 발명의 데이터재생장치와, 시크량, 디펙트 또는 기록매체의 현재위치(랜드인지 그루브인지)의 어느 하나 기초하여, 기록매체에서 재생한 데이터의 주기검출 윈도우 신호의 폭을 변경하는 본 발명의 데이터재생장치가 각각 일체화한 것으로서 설명을 하였지만, 이들 본 발명은 어느 한쪽을 단독으로 실현해도 된다. 예컨대, 본 발명은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에러 정정블록(230)을 생략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윈도우 생성블록(160)이 시크변경신호(201)의 입력의 유무에 관계없이, 종래예와 마찬가지로 고정폭의 윈도우 펄스를 동기검출블록(140)에 출력하도록 한 구성이라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록매체는 광디스크(110)인 것으로서 설명을 하였지만, 광디스크로서는 CD, CD-R, CD-RW, DVD-ROM, DVD-RAM, DVD-R, DVD-RW 등을 이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기록매체는 M0 등의 광자기디스크라도 된다. 또한, 하드디스크 등의 자기 디스크라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의 데이터재생장치의 전부 또는 일부의 수단의 기능을 컴퓨터에 의해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고, 컴퓨터와 협동하여 동작하는 프로그램이다.
또, 본 발명의 일부의 수단은 그들 복수의 수단 내의 몇 개의 수단을 의미하고, 또는, 하나의 수단 내의 일부의 기능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에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의 한 이용예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컴퓨터와 협동하여 동작하는 형태라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의 한 이용예는 전송매체중을 전송하고, 컴퓨터에 의해 판독되어, 컴퓨터와 협동하여 동작하는 형태라도 된다.
기록매체로서는 ROM 등이 포함되고, 전송매체로서는 광섬유, 인터넷 등의 전송기구, 광·전파·음파 등이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컴퓨터는 CPU 등의 순수한 하드웨어에 한하지 않고, 펌웨어나, OS, 더욱이 주변기기를 포함하는 것이라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은 소프트웨어적으로 실현해도 되고, 하드웨어적으로 실현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재생장치에 의하면, 특정한 위치나 시크, 디펙트를 수반한 데이터 재생에 있어서, 입력 데이터의 품질이 저하하고 있는 경우라도 빠른 동기인입, 적합한 에러 정정처리를 실현할 수 있어, 안정된 재생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데이터재생장치의 신호처리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데이터재생장치의 신호처리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데이터재생장치의 신호처리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종래의 데이터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윈도우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광디스크 111 : RF신호
120 : 판독 채널블록 121 : 판독 데이터
122 : 판독 클록 130 : 디펙트 검출블록
131 : 디펙트 검출신호 140 : 동기검출블록
141 : 동기패턴 검출신호 142 : 동기검출 패턴설정 레지스터
150 : 데이터 복조블록 151 : 복조 데이터
160 : 윈도우 생성블록 161 : 윈도우 펄스
170 : 변경폭설정 레지스터 180 : 어드레스 검출블록
181 : 어드레스정보 190 : 시크량 검출블록
200 : 시크량설정 레지스터 201 : 시크변경신호
210 : 현재위치 판정블록 211 : 현재위치신호
220 : 메모리 221 : 메모리 데이터 버스
222 : 전송 데이터 230 : 에러 정정블록
240 : 데이터 전송블록 241 : 재생 데이터
400 : 재생 데이터열 401a, 401b, 401c : 동기패턴
402, 402' : 삽입주기 403 : 동일하다고 인정된 위치
404, 405 : 윈도우 404a, 405a : 윈도우의 후방의 폭
404b, 405b : 윈도우의 전방의 폭

Claims (11)

  1.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수단과,
    상기 기록매체에서 재생된 데이터에 소정의 알고리즘에 기초하는 에러 정정처리를 행하는 데이터 에러 정정수단과,
    상기 기록매체의 디펙트를 검출하는 디펙트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에러 정정수단은 상기 디펙트가 검출되어 있는 기간, 상기 소정의 알고리즘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재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펙트 검출수단은 상기 디펙트의 종류 및/또는 크기를 판별하는 것이고,
    상기 에러 정정수단은 판별한 상기 디펙트의 종류 및/또는 크기에 따라서, 상기 변경하는 소정의 알고리즘을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재생장치.
  3.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수단과,
    상기 기록매체에서 재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클록을 계수하는 클록계수수단과,
    상기 클록의 계수값에 기초하여, 상기 재생된 데이터 상의 동기신호의 위치를 추정하는 동시에, 그 추정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폭을 갖는 동기검출 윈도우 신호를 생성하는 윈도우 생성수단과,
    상기 동기검출 윈도우 내를 검색함으로써, 상기 기록매체에서 재생된 데이터로부터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동기신호 검출수단과,
    상기 기록매체에서 재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매체의 디펙트를 검출하는 디펙트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윈도우 생성수단은 적어도 상기 디펙트가 검출되어 있는 기간, 동기검출 윈도우 신호의 폭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재생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디펙트 검출수단은 상기 디펙트의 종류 및/또는 크기를 판별하는 것이고,
    상기 윈도우 생성수단은 판별한 상기 디펙트의 종류 및/또는 크기에 따라서, 상기 동기검출 윈도우 신호의 변경폭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재생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생성수단은 상기 디펙트를 검출하여, 상기 윈도우 신호의 폭을 변경한 경우, 상기 디펙트의 검출이 종료한 후에도 소정의 기간, 상기 동기검출 윈도우 신호의 폭의 변경을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재생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간은 상기 디펙트의 검출이 완료하고 나서 상기 동기신호의 검출이 안정되게 행해질 때까지의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재생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신호 검출수단은 상기 디펙트의 검출에 따라서, 상기 동기신호의 검출기준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재생장치.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생성수단은 재기입 가능한 레지스터를 갖고,
    상기 레지스터에 대하여 설정된 소정의 폭만큼 상기 동기검출 윈도우 신호의 폭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재생장치.
  9.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디펙트 검출수단은 상기 기억매체에서 판독된 RF신호의 엔벨로프를 해석하여 상기 디펙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재생장치.
  10. 청구항 1에 기재된, 데이터재생장치의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수단과, 상기 기록매체에서 재생된 데이터에 소정의 알고리즘에 기초하는 에러 정정처리를 하는 데이터 에러 정정수단과, 상기 기록매체의 디펙트를 검출하는 디펙트 검출수단의 전부 또는 일부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1. 청구항 3에 기재된, 데이터재생장치의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수단과, 상기 기록매체에서 재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클록을 계수하는 클록계수수단과, 상기 클록의 계수값에 기초하여 상기 재생된 데이터 상의 동기신호의 위치를 추정하는 동시에, 그 추정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폭을 갖는 동기검출 윈도우 신호를 생성하는 윈도우 생성수단과, 상기 동기검출 윈도우 내를 검색함으로써, 상기 기록매체에서 재생된 데이터로부터 동기신호를 검출하는 동기신호 검출수단과, 상기 기록매체에서 재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매체의 디펙트를 검출하는 디펙트 검출수단의 전부 또는 일부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057020637A 2000-03-28 2001-03-27 데이터재생장치 및 기록매체 KR1006182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089686 2000-03-28
JP2000089686 2000-03-28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5236A Division KR100618238B1 (ko) 2000-03-28 2001-03-27 데이터재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649A true KR20050111649A (ko) 2005-11-25
KR100618239B1 KR100618239B1 (ko) 2006-09-01

Family

ID=1860540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5236A KR100618238B1 (ko) 2000-03-28 2001-03-27 데이터재생장치
KR1020057020637A KR100618239B1 (ko) 2000-03-28 2001-03-27 데이터재생장치 및 기록매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5236A KR100618238B1 (ko) 2000-03-28 2001-03-27 데이터재생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038983B2 (ko)
JP (1) JP3865634B2 (ko)
KR (2) KR100618238B1 (ko)
CN (3) CN1238855C (ko)
TW (1) TW559788B (ko)
WO (1) WO20010737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53589A1 (en) * 2004-01-07 2005-07-13 Deutsche Thomson-Brandt Gmbh Method for playback or recording of an optical recording medium
KR100691919B1 (ko) * 2005-03-09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불량 기록매체 판별방법
US20070074087A1 (en) * 2005-09-27 2007-03-29 Hong-Jing Lo System and method for writing information to an optical medium with predicting of defect characteristics
JP4516939B2 (ja) * 2006-06-23 2010-08-04 株式会社東芝 光ディスク記録装置
KR100745270B1 (ko) * 2006-07-24 2007-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불량 기록매체 판별방법
JP4823880B2 (ja) * 2006-12-05 2011-11-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包絡線異常検出機能を備えた光ディスクドライブ
JP5344790B2 (ja) * 2006-12-28 2013-11-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硬化性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4890388B2 (ja) * 2007-08-22 2012-03-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着色感光性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8077571B1 (en) * 2007-12-05 2011-12-13 Link—A—Media Devices Corporation Storage media defect detection
US20090200890A1 (en) * 2008-02-10 2009-08-13 Empire Magnetics Inc. Winding For An Axial Gap Electric Dynamo Machine
JP2010154160A (ja) * 2008-12-25 2010-07-08 Fujitsu Ltd 同期検出回路及び同期検出方法及びインタフェース回路
US11394809B2 (en) * 2019-06-28 2022-07-19 Beatdapp Software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ous tracking of media playback using blockchain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8812A (ja) 1981-12-08 1983-06-11 Sony Corp デジタル信号の再生装置
US4791622A (en) * 1983-09-19 1988-12-13 Storage Technology Partners 11 Optical data format employing resynchronizable data sectors
KR910005644B1 (ko) * 1986-09-19 1991-08-01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디스크재생장치
JP2702939B2 (ja) 1987-10-14 1998-01-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イジタル信号再生装置
JPH01245461A (ja) 1988-03-25 1989-09-29 Mitsubishi Electric Corp Fdd用反転シーク防止回路
US5274676A (en) * 1991-11-12 1993-12-28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Multi-standard synchronizing signal recovery system
US5351231A (en) * 1992-04-13 1994-09-27 Cirrus Logic, Inc. Programmable mark detection and windowing for optical disk controllers
JPH0620390A (ja) 1992-07-03 1994-01-28 Sony Corp 同期パターン検出装置
US5761212A (en) * 1993-07-01 1998-06-02 Cirrus Logic, Inc. Channel quality
JPH0793755A (ja) 1993-09-22 1995-04-07 Toshiba Corp 画像情報処理装置
JPH07153202A (ja) 1993-12-01 1995-06-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ディスクおよび情報記録再生装置
JP3005435B2 (ja) * 1994-05-13 2000-01-31 三洋電機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US5563746A (en) * 1994-11-17 1996-10-08 Cirrus Logic, Inc. Real time media defect scanning in a sampled amplitude read channel
US6181497B1 (en) * 1995-12-12 2001-01-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nonadjacent redundancy synchronization bytes
JP3671423B2 (ja) * 1996-09-30 2005-07-13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誤り訂正装置及び誤り訂正方法
JP3814811B2 (ja) * 1996-10-02 2006-08-30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JP3311616B2 (ja) * 1996-11-22 2002-08-05 三洋電機株式会社 再生回路
JPH11273072A (ja) * 1998-03-26 1999-10-08 Toshiba Corp ディスク再生方法およびディスク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8239B1 (ko) 2006-09-01
US20030018931A1 (en) 2003-01-23
CN1697061A (zh) 2005-11-16
KR20020021107A (ko) 2002-03-18
CN100414634C (zh) 2008-08-27
US20060133248A1 (en) 2006-06-22
CN1822192A (zh) 2006-08-23
CN1365498A (zh) 2002-08-21
KR100618238B1 (ko) 2006-09-01
JP3865634B2 (ja) 2007-01-10
WO2001073785A1 (fr) 2001-10-04
TW559788B (en) 2003-11-01
CN1238855C (zh) 2006-01-25
US7535810B2 (en) 2009-05-19
CN100492518C (zh) 2009-05-27
US7038983B2 (en) 2006-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5810B2 (en) Data reproduction apparatus
US5541960A (en) Method of determining a syschronous signal pattern and method of and device for recording the synchronous signal pattern on a medium
US6236631B1 (en) Frame number detection for signals produced from optical disk
EP0933769B1 (en) State detecting device and optical disk device
JPH06162668A (ja) 情報記録方式
US20050251671A1 (en) Method for sampling optic disc data and apparatus thereof
US642130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maximum mark lengths
US6691072B2 (en) Mark length selection apparatus, mark length selection method, maximum mark length detection apparatus, and maximum mark length detection method
US20050254376A1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recording and/or reproducing method,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and sync detection apparatus
JP3719680B2 (ja) 同期生成方法及び同期生成回路
KR100528108B1 (ko) 고정밀동기화를실현할수있는동기회로및광디스크재생장치
JP2000123496A (ja) フィジカルid検出及び復元装置
US20040179454A1 (en) Method of recording data on recordable disk, method of protecting sync included in recorded data,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recorded on recordable disk
JP3495005B2 (ja) ディスク再生方法、及びディスク再生装置
US7623424B2 (en) Apparatus for identifying address in pregroove of Blue-ray disc
US7460452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storing an optical disc signal
JP3639519B2 (ja) リード/ライト制御回路およびリード/ライト制御回路を備えた記録および/または再生装置
US728645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synchronization of address in pre-groove for optical storage device
US2006018778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modulating WAP of optical disc
JPH11144253A (ja) 記録信号復調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光ディスク装置
JPH1021654A (ja) デジタル情報再生装置及びデジタル情報再生方法
JP2005018941A (ja) 光学的情報再生装置
JP2002133794A (ja) リード/ライト制御回路およびリード/ライト制御回路を備えた記録および/または再生装置
JP2002109750A (ja) タイミング信号生成装置
JP2001202692A (ja) アドレスデータ検出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ディ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