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1359A - 세정 노즐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변기 장치 - Google Patents

세정 노즐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변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1359A
KR20050111359A KR1020057017232A KR20057017232A KR20050111359A KR 20050111359 A KR20050111359 A KR 20050111359A KR 1020057017232 A KR1020057017232 A KR 1020057017232A KR 20057017232 A KR20057017232 A KR 20057017232A KR 20050111359 A KR20050111359 A KR 20050111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nozzle
nozzle
main body
rectifying member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7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2069B1 (ko
Inventor
도모아키 기타노
야스히로 가와모토
도모코 이시다
료이치 고가
도미오 아리카와
고지 요시모토
히로아키 후지이
신이치 마루야마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111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1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2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20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00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ctu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spray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 B05B1/34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avoid or to reduce turbulencies, e.g. comprising fluid flow straighte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70Arrangements for moving spray heads automatically to or from the working position
    • B05B15/72Arrangements for moving spray heads automatically to or from the working position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B05B15/74Arrangements for moving spray heads automatically to or from the working position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driven by the discharged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변기 장치의 세정 노즐은 선단부에 평탄부를 갖는 동시에, 세정수의 분출 구멍이 평탄부에 설치되어 있다. 평탄부와 통형상의 본체는 연속된 면으로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이 세정 노즐은 박판 금속재를 딥 드로잉하고, 선단부에 평탄부를 설치함으로써 제조된다. 혹은, 세정수의 흐름을 정류하는 정류 부재가 끼워넣어져 있다. 이러한 노즐은 분출 방향이 안정되어 있고, 또한 오물이 부착되기 어렵고, 청소하기 쉽다.

Description

세정 노즐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변기 장치{WASHING NOZZLE AND TOILET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체 국부를 세정하는 변기 장치에 사용하는 세정 노즐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변기 장치에 사용되는 세정 노즐은 수지 재료로 구성되고, 세정 노즐 선단을 별도 부품으로 하고 있다. 도 36은 종래의 변기 장치에 사용되는 세정 노즐의 사시도로서, 세정 노즐(이하, 노즐)(91)의 선단부(92)는 별도 부품으로 하고, 분출 구멍(93)이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세정 노즐이 복수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음매가 노즐 표면에 노출되어 있고, 이 이음매에 오물이 채워지기 쉽다. 또한, 국부 세정에 적절한 분출물을 얻기 위해서, 노즐(91)의 선단부(92)인 별도 부품을 복층화(複層化), 즉 복잡한 형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수지 재료의 물성으로부터, 곰팡이가 발생되기 쉽고, 복잡한 형상에 의해 오물 등의 더러움이 떨어지기 어렵다.
이에 대하여, 일본 특허 공개 제 2001-348940 호 공보는 선단부를 심플하게 하여 오물이 괴이기 어려운 세정 노즐을 제안하고 있다. 도 37은 상기 공보에 기재된 종래의 변기 장치에 사용되는 세정 노즐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세정 노즐(이하, 노즐)(94) 전체가 심플한 구조이기 때문에, 오물이 괴이기 어렵다.
이 구성에서는, 노즐(94)의 외측 표면이 심플한 원통형으로 오물 등이 부착되기 어렵지만, 분출 구멍(95)에 이르는 수로(96)가 불필요하게 되고, 구조가 복잡해진다.
또한, 도 38의 횡단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정 노즐(97)을 통형상 부재로 구성하고, 이 부재에 직접 세정수를 분출하기 위한 분출 구멍(98)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통형상 부재의 두께를 얇게 하면, 물의 분출 특성인 직진성이 손상되어, 분출 상태나 분출 방향이 불안정해져서 인체의 국부 세정에 적절한 분출 특성을 얻을 수 없다. 이것은, 분출 구멍(98)이 곡면에 설치되는 것이나, 세정수(99)의 유로가 분출 구멍(98)으로부터 분출하기 직전에 갑자기 좁아짐에 따라 흐름이 불안정해지는 것에 따른다.
특히, 도 39와 같이 세정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서 가로로 나열하여 물 분출 구멍(98)을 설치하면, 분출된 세정수(99)는 좌우로 확장되어 목적하는 세정감을 얻을 수 없다. 여성 국부를 세정하는 비데 세정에서는, 세정감의 유연함이 필요하게 되므로, 샤워와 같은 수류를 분출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는, 세정수의 수류가 평행하게 되지 않는다. 이에 대하여 분출 구멍(98)의 방향을 노즐(97)의 외주 곡면의 접면에 대하여 수직이 아니라, 서로 평행하게 하여 세정수(99)를 평행하게 분출하는 방법이 고려된다. 그러나 노즐(97)을 염가로 제조하고, 또한 세제나 고온수를 뿌려서 청소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므로, 노즐(97)을 금속의 딥 드로잉(deep drawing)에 의해 성형하는 경우, 이 방법을 실현하는 것은 어렵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변기 장치의 세정 노즐은, 선단부에 평탄부를 갖는 동시에, 세정수의 물 분출 구멍이 평탄부에 설치되어 있다. 평탄부와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본체는 연속된 면으로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정 노즐은 본체내에 세정수의 흐름을 정류하는 정류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세정 노즐은 박판 금속재를 딥 드로잉하여 제조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변기 장치는 변기상에 탑재된 변기 장치 본체와, 변기 장치 본체에 설치된 상술된 어느 구성의 세정 노즐을 갖는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변기 장치의 세정 노즐이 실린더 파이프에 수납된 상태의 단면도,
도 1b는 도 1의 세정 노즐이 세정 위치까지 이동한 상태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세정 노즐의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변기 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변기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세정 노즐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2의 세정 노즐의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다른 세정 노즐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또 다른 세정 노즐의 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정 노즐을 청소할 때의 사시도,
도 9a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또 다른 세정 노즐의 평면도,
도 9b는 도 9a의 세정 노즐의 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또 다른 세정 노즐의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또 다른 세정 노즐의 종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또 다른 세정 노즐의 종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또 다른 세정 노즐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또 다른 세정 노즐의 종단면도,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또 다른 세정 노즐의 종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또 다른 세정 노즐의 종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또 다른 세정 노즐의 종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또 다른 세정 노즐의 종단면도,
도 19a 내지 도 19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또 다른 세정 노즐의 종단면도,
도 19d는 도 19a 내지 도 19c의 세정 노즐의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또 다른 세정 노즐의 종단면도,
도 21은 도 20의 세정 노즐의 평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또 다른 세정 노즐의 종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또 다른 세정 노즐의 종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또 다른 세정 노즐의 종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또 다른 세정 노즐의 종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또 다른 세정 노즐의 종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또 다른 세정 노즐의 종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또 다른 세정 노즐의 종단면도,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또 다른 세정 노즐의 종단면도,
도 30은 도 29의 세정 노즐의 평면도,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또 다른 세정 노즐의 종단면도,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또 다른 세정 노즐의 종단면도,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세정 노즐에 이용하는 정류 부재의 사시도,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세정 노즐에 이용하는 다른 정류 부재의 사시도,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또 다른 세정 노즐의 종단면도,
도 36은 종래의 변기 장치에 있어서의 세정 노즐의 사시도,
도 37은 다른 종래의 변기 장치에 있어서의 세정 노즐의 사시도,
도 38 및 도 39는 또 다른 종래의 변기 장치에 있어서의 세정 노즐의 국부 횡단면도.
(실시예 1)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변기 장치의 세정 노즐의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a는 세정 노즐이 실린더 파이프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1b는 세정 노즐이 세정 위치까지 이동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동 변기 장치의 세정 노즐의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동 변기 장치의 외관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4는 동 변기 장치의 세정 노즐 측면 단면도이고, 도 5는 동 변기 장치의 세정 노즐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5)내에 데워진 세정수가, 호스(12)를 통해 실린더 파이프(6) 속에 수납된 세정 노즐(이하, 노즐)(8)의 플랜지부(9)로 유통된다. 노즐(8)의 외주는 스프링(7)으로 감겨 있다. 노즐(8)은 세정수의 압력으로 전방으로 구동된다. 그 후,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정수가 노즐(8)내로 인도되고, 플랜지부(9)가 실린더 파이프(6)의 단 부착부(10)에 접촉하여 멈춘다. 그리고 세정수가 노즐(8) 선단의 평탄부(14)에 설치한 분출 구멍(11)으로부터 분출하고, 인체의 국부를 세정한다. 그리고, 세정이 종료하여, 통류가 멈추면 스프링(7)의 가압력으로 노즐(8)은 후방으로 되돌아오고, 도 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8)은 다시 실린더 파이프(6)내로 수납된다.
여기서, 노즐(8)은 박판 금속재를 원통 형상으로 딥 드로잉 프레스 가공을 실행한 후, 선단부에 평탄부(14)와 물 분출 구멍(11)이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노즐(8)은 솔기(seam)가 없다. 또한, 노즐(8)을 구성하는 금속재의 두께는 경량화와 강도의 관점에서 0.2㎜ 이상 0.8㎜ 이하이고, 또한 0.3㎜ 이상 0.8㎜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변기 장치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8)과, 이 노즐(8)과 동일한 기능을 갖고 여성의 국부를 전용으로 세정하는 세정 노즐(13)을 갖는 본체(5)와, 히터(도시하지 않음)를 내장하고, 본체(5)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변기 시트(1)와, 변기 시트(1)를 덮는 커버(2)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5)의 내부에 설치된 마운트부(80)는 실린더 파이프(6)를 고정한다. 또한, 실린더 파이프(6)를 설치하지 않고, 노즐(8)이 직접 마운트부(80)와 미끄럼 운동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8)에 있어서, 노즐 본체부(16)와 노즐 선단의 평탄부(14)는 연속된 면(15)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구성에서는, 노즐(8)을 구성하는 박판 금속재는 스테인리스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9)는 별도 부품으로 D형상으로 형성되고, 실린더 파이프(6)는 내부 형상을 이 D형상에 대응한 형상(도시하지 않음)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노즐(8)은 회전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변기 장치에 있어서, 노즐(8)은 박판 금속재의 딥 드로잉 프레스 가공으로 형성된 바닥이 있는 통형상체이다. 그리고 통형상의 노즐 본체부(16)와 노즐(8) 선단의 평탄부(14)는 연속된 면(15)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수지 성형품과 같이 물성상 오물이 부착되기 어렵다. 또한 청소시, 세제의 종류에 따라서는 부서지거나 혹은 고온수로 세정할 수 없는 등의 제약이 없다. 또한, 금속 파이프와 같이 선단의 밀봉부가 불필요하게 되고, 이음매가 없기 때문에 오물이 부착되기 어렵다.
일반적으로 국부 세정 노즐의 분출 구멍의 직경은 0.8mm 내지 1.2㎜ 정도이다. 횡단면이 원형 형상인 노즐 본체의 외주 곡면에 대하여 수직이 아닌, 어떤 결정된 방향의 분출 구멍을 가공 형성하기 위해서는, 노즐 본체의 두께는 노즐 구멍의 직경의 적어도 2배 내지 3배는 필요하다. 이 때문에 통상은 두께를 2㎜ 이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국부세정 노즐 크기의 물체를 금속의 딥 드로잉에 의해 성형하는 경우에 두께를 2㎜ 이상으로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8)선단의 평탄부(14)에 분출 구멍(11)이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물의 분출 방향성이나 직진성이 안정되고, 세정 대상인 인체의 국부에 의해, 분출 구멍(11)의 사이즈나 수가 조정되어 적절한 세정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박판 금속재를 스테인리스로 함으로써, 더욱 청결감을 늘리고, 녹슬기에 강한 노즐(8)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노즐(8)은 박판 금속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경량이다.
또한, 노즐(8)을 구동하는 동시에 스토퍼로서 기능하는 플랜지부(9)가 별도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플랜지부(9)의 형상에서 미묘한 세정 포인트의 위치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플랜지부(9)를 수지 성형, 노즐(8)을 딥 드로잉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제작하는 경우는, 미묘한 조정을 위한 복잡한 형상을 플랜지부(9)에 형성하고, 노즐(8)은 간단한 형상으로 하면 된다. 수지 성형은 복잡한 형상이라도 비교적 염가로 제조할 수 있고, 한편 복잡한 형상의 딥 드로잉 프레스 가공이나 정밀도가 높은 딥 드로잉 프레스 가공을 실행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 때문에 변기 장치 전체로서 염가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구성에서는 도 4와 같이, 평탄부(14)가 노즐(8)의 진퇴 방향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이것 이외의 구성으로서, 평탄부(14)에 각도를 갖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노즐(8)의 진퇴 방향에 대하여 수직 이외의 방향으로 세정수가 분출된다.
또한, 노즐(8)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박판 금속재를 원통 형상으로 딥 드로잉 프레스 가공을 실행한 후, 노즐(8)의 길이 방향에 따른 전체 길이에 걸쳐 평탄부(14)를 설치할 수도 있다. 혹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을 다각형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노즐(8)에 있어서, 실린더 파이프(9) 선단 구멍의 형상을 평탄부(14)에 대응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노즐(8)의 회전이 방지되고, 실린더 파이프(9)의 내측의 형상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도 7과 같이 구성하는 경우, 박판 금속재의 딥 드로잉 프레스 가공성이 좋고 형상을 형성하기 용이하다.
또한, 노즐(8)의 길이 방향에 따른 전체 길이에 걸쳐서 평탄부(14)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세제나 고온수가 흘러내리기 어려워진다. 이 모양에 대하여 도 8a 및 도 8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노즐(8)은 변기 장치에 내장되면, 일반적으로 선단측이 하방으로 되도록 경사져서 설치되어 있다. 노즐 본체부(16)의 세정을 위해서는, 선단부를 제외한 노즐 본체부(16)의 상면에 세제나 고온수(세정액)(17)가 이 뿌려진다. 도 8a와 같이, 노즐(8)의 선단 부근에만 평면부(14)가 있는 경우에는, 세정액(17)은 노즐 본체부(16)의 대략 원형의 외면을 따라 흘러내린다. 이 때문에 노즐 본체부(16)의 선단부, 특히 분출 구멍(11)에 도달하기 어렵다.
이에 대하여, 도 8b에서는 노즐(8)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평탄부(14)를 설치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세정액(17)을 노즐(8)에 있어서의 어느 개소의 상면에 뿌려도 세정액(17)은 흘러내리기 어렵다. 그리고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8)의 선단부, 특히 분출 구멍(11)에 도달하여 세정이 확실하게 실행된다.
또한,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8)을 구성해도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9a는 노즐(8)의 사시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E-E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노즐 본체부(16)에는 세정 때문에 상면에 뿌린 세정액(17)이 원활하게 흘러서 분출 구멍(11)으로 통하도록 노즐 본체부(16)의 루트 부근으로부터 선단의 분출 구멍(11)의 근방까지 홈(18)이 설치되어 있다. 즉 세정액(17)은 홈(18)을 거쳐 분출 구멍(11)에 이른다.
이 구성에서는, 세제나 고온수(17)는 홈(18)으로 안내되어서, 도 6, 도 7 및 도 8b에 도시한 예보다도 원활하게 흐른다. 홈(18)이 분출 구멍(11)으로부터 조금 떨어져 있어도 분출 구멍(11)에 이르러 소기의 효과를 이루고, 홈(18)과 분출 구멍(11)이 접촉하고 있으면 확실하게 세제나 고온수가 도달한다. 또한, 도 9a에서는 노즐 본체부(16)가 대략 원형의 횡단면 형상인 경우를 도시했지만, 노즐 본체부(16)의 길이 방향의 전 영역 상면에 평면부(14)를 갖는 경우에, 평면부(14)에 홈(18)을 설치해도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홈(18)에 의한 분출구(11)의 세정 효과는 노즐(8)에 평면부(14)를 설치하지 않고 분출구(11)를 설치한 경우에도 효과적이다.
또한, 분출 구멍(11)은 용도에 따라 1개만 설치해도 복수개 설치해도 무방하다. 분출 구멍(11)을 복수개 설치하여 세정수를 평행하게 분출함으로써, 노즐(8)은 충분한 세정수량을 확보하고 또한 부드러운 세정감을 인체에 부여한다. 그리고 노즐(8)과 인체 국부의 거리가 변화되어도, 착수 면적이 일정하게 되는 국부 세정이 가능해진다. 이것은 특히 비데 세정에 있어서 효과를 발휘한다.
(실시예 2)
도 10 내지 도 12, 도 14 내지 도 19c, 도 20, 도 22 내지 도 29, 도 31, 도 32 및 도 35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세정 노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세정 노즐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있어서의 노즐의 평면도이고, 도 30은 도 29에 있어서의 노즐의 평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 동일한 동작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세정 노즐(이하, 노즐)(8)에는 정류 부재(21)[및 정류 부재(212)]가 끼워넣어져 있다. 세정수는 노즐 본체(16) 내부의 공간 전체 또는 노즐 본체(16)와 정류 부재(21)로 구성된 공간 전체를 유로로서 흘리고, 분출 구멍(11)에 도달하여 분출 구멍(11)으로부터 분출한다. 정류 부재(21)는 분출 구멍(11)의 근방에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정류 부재(21)는 작아지고, 용이하게 제작되며, 예컨대 노즐 본체(16)로의 삽입이 용이해진다. 역으로 정류 부재(21)를 노즐 본체(16) 내부의 대략 전 영역에 설치하면, 정류 효과가 증가한다. 이 경우, 정류 부재(21)는 구성이 상이한 복수의 정류 부재 부품을 조합할 수도 있고, 동일한 구성의 복수의 정류 부재 부품을 조합할 수도 있다. 동일한 구성의 정류 부재 부품을 조합하는 경우를 대신하여, 시작부터 일체로 제작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분출 구멍(11)을 폐쇄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분출된 세정수는 인체 국부에 착수하여 인체 국부를 세정한다. 정류 부재(21)는 노즐(8)내의 세정수류의 혼란을 경감하고, 분출 구멍(11)으로부터 분출되는 세정수류를 안정시킨다.
또한, 정류 부재(21)는 노즐(8)의 내용적을 감소시킨다. 이 때문에, 노즐(8)내를 세정수가 채우는 시간이 줄어들고, 세정 개시가 빨라진다. 세정 개시시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사용자가 세정 개시 조작을 실행하고 나서, 모터나 수압에 의해 노즐(8)이 돌출된다. 노즐(8)이 세정 개시 위치에 도달할 때에는, 노즐(8)내에 물이 만수 상태로 되지 않으면 안 된다. 즉, 노즐(8)내가 만수가 아니면 세정은 개시할 수 없다. 특히, 수압을 이용하여 노즐(8)을 돌출시키는 경우, 노즐(8)이 만수로 되고 나서, 처음으로 노즐(8)이 돌출을 개시한다. 이 때문에, 정류 부재(21)에 의해 노즐(8)내의 내용적을 저감시킴으로써, 세정 개시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는 매우 크다.
또한, 수압을 이용하여 노즐(8)을 돌출시키는 경우, 노즐(8)의 압력 손실은 성능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된다. 정류 부재(21)를 설치하지 않을 경우, 노즐(8)이 금속제이기 때문에 복잡한 가공이 곤란하다. 생산성이 좋고, 저가고 노즐(8)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노즐(8)을 단순한 통형상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압력손실은 분출 구멍(11)의 형상에 따라 결정된다. 압력 손실이 높을 경우, 돌출 성능은 향상한다. 즉, 적은 유량에서의 노즐 돌출이 가능해지고, 돌출 속도도 빨라진다. 그러나, 압력 손실이 지나치게 높으면, 역으로 유량을 얻기 어렵다. 이 때문에, 균형이 잡힌 압력 손실을 창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노즐 본체(16)의 내부에 정류 부재(21)를 설치한다. 그리고 정류 부재(21)의 형상을 변화시킴으로써, 압력 손실을 가능하게 설정할 수 있다.
정류 부재(21)를 노즐 본체(16)에 고정하면, 정류 부재(21)가 노즐 본체(16)의 내부를 이동함으로써 세정수류를 혼란시키지 않는다. 또한, 노즐 본체(16)나 정류 부재(21)의 마모의 우려가 없고, 세정 개시가 빨라지며, 또한 세정수류가 안정되고 내구성도 향상된다. 노즐 본체(16)와 정류 부재(21)의 고정은 접착제를 이용할 수도 있고, 노즐 본체(16)의 일부를 압착함으로써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정류 부재(21)를 노즐 본체(16)에 압입함으로써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정류 부재(21)에는 형상이 변환 가능한 망형상(섬유 형상) 재료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망형상 재료를 둥글게 하여 노즐 본체(16)에 채워 넣으면 된다. 또한, 별도의 방법으로서 스펀지 형상의 발포체 재료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정류 부재(21)가 압입에 의해 용이하게 고정되고, 또한 노즐 본체(16)의 형상이 다른 경우에도 정류 부재(21)가 공용화된다.
노즐 본체(16)에 정류 부재(21)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 노즐 본체(16)에는 물이 충전된다. 정류 부재(21)를 물보다 가벼운 비중의 재료로 구성하면, 노즐 본체(16)의 무게가 경감되어, 노즐(8)의 돌출 속도가 향상되고, 세정 개시가 빨라진다. 또한, 중량이 가벼워짐으로써 내구면에서도 유리해진다. 노즐의 돌출을 모터로 실행하는 경우, 모터 부하가 경감된다. 또한, 모터에 DC 모터를 이용하는 경우, 저렴하다. 스텝핑 모터를 이용한 경우, 제어가 용이하다. 노즐의 돌출에 수압을 이용하는 경우, 접동부의 마찰이 경감된다.
여기서, 정류 부재(21)로 발포재를 이용한 경우, 매우 가벼워지고, 세정 개시가 이르며 또한 내구면에서도 유리하다. 정류 부재(21)로 수지를 이용한 경우, 복잡한 형상이어도 가공이 가능하고, 정류 효과나 압력 손실의 조절이 용이하다.
변기 장치는 엉덩이 세정용 노즐(8)과 여성 국부 세정용 노즐(13)의 두개를 갖는 것이 많고, 그러한 노즐의 구조도 상이하다. 다른 정류 부재(21)를 설치함으로써, 엉덩이 세정용과 여성 국부 세정용의 노즐 본체(16)를 고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노즐 본체(16)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금속의 딥 드로잉 가공에 의해 선단을 포함하여 일체 성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선단부에 종래의 노즐과 같은 이음매가 없고, 오물이 부착되기 어렵다. 또한, 정류 부재(21)는 분출 구멍(11)을 폐쇄하지 않는 구조이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분출 구멍(11)을 보았을 때, 오물이 부착되는 단차나 간극, 이음매가 없다. 이 때문에 노즐(8)은 청결하게 유지되는 동시에, 조립시의 위치 불균형의 영향도 경감된다.
이하, 정류 부재의 각종 예를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하는 구성에서는, 정류 부재(21)가 노즐 선단부에 설치한 분출 구멍(11)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노즐(8)내의 내용적을 저감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선단부 근방에서의 수류가 빨라지고, 분출 구멍(11)으로부터 분출되는 세정수류가 안정된다.
도 11에 도시하는 구성에서는, 정류 부재(21)는 노즐 본체(16) 내부의 유로의 일부 혹은 유로 전체에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상기 구성과 동일한 동작, 작용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정류 부재(21)는 다공체로 구성한 부재나 복수의 가는 수로를 갖는 부재 등, 필요한 수류를 얻기 위한 구성을 선택하면 된다. 또한, 정류 부재(21)를 유로의 일부로 한 경우, 조립성이 향상된다. 유로 전체를 구성한 경우, 보다 정류 효과가 증가한다.
도 12에 도시하는 구성에서는, 노즐 본체(16) 내부의 정류 부재(21)가 복수의 소형 부재(22)로 구성되고, 노즐 본체(16) 내부에 충전되어 있다.
변기 장치는 엉덩이 세정용 노즐(8)과 여성 국부 세정용 노즐(13) 2개를 갖는 것이 많고, 각각의 노즐에 요구되는 세정감도 다르다. 엉덩이 세정은 오물을 확실하게 제거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 강한 세정감이 요구된다. 한편, 여성 국부 세정에서는 유연함이 필요하게 된다. 요구되는 세정감이 상이하기 때문에, 양자의 노즐의 구조는 상이하다. 그러나, 정류 부재(21)를 다른 소형 부재(22)로 구성하면, 노즐 본체(16)를 공용할 수 있다.
소형 부재(22)는 분출 구멍(11)보다 크기 때문에, 분출 구멍(11)으로부터 비출되지 않는다. 또한, 안정된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 소형 부재(22)는 동일 형상이 바람직하다. 소형 부재(22)를 구형체로 한 경우, 가공이 용이하고, 또한 충전율이 높아진다. 가장 기밀하게 충전한 경우, 공극률은 74%로 된다.
도 13의 분해 사시도에 도시하는 구성에서는, 복수의 원통형 소형 부재(22)가 동일 방향으로 삽입되어 있다. 이 경우도 가공이 용이하고, 이 때의 공극률은 90%로 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노즐 본체(16)에 소형 부재(22)를 충전하고, 노즐 본체(16)의 후단부를 유로를 확보하면서 마개를 하면 소형 부재(22)의 유동이 고정 혹은 제한된다.
도 14에 도시하는 구성에서는, 정류 부재(21)는 노즐(8)의 분출 구멍(11)보다 선단에 설치되고, 또한 분출 구멍(11) 근방에 차폐벽(이하, 벽)(21A)이 설치되어 있다. 도 14는 분출 구멍(11)의 분출 구멍축(이하, 축)(11A)과 노즐 본체 중심축(이하, 축)(16A)을 포함하는 단면도이다. 정류 부재(21)를 끼워넣지 않는 경우, 노즐(8)의 선단부에 수류가 충돌하고, 흐름이 복잡해진다. 이에 대하여,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류 부재(21)로 벽(21A)을 구성하면, 노즐(8)의 선단부에 물이 유입되지 않게 된다. 이로써 세정수류의 소용돌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혼란이 경감된다. 여기서, 분출 구멍(11) 근방과는 축(11A)과 벽(21A)의 거리가, 분출 구멍(11)의 구멍 직경(11B)의 2배 이하로 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기 시트(1)에 착석했을 때의 국부 위치는 본체(5)의 형상이나 변기 시트(1)의 형상 등에 크게 영향을 받고, 그것에 맞추어서 세정수류의 국부에 접촉되는 위치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노즐(8)은 비세정시에 본체(5)내에 수납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노즐(8)의 길이에는 제한이 있다. 특히 세정 위치(81)를 전방에 설계하는 경우, 세정수류의 분출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세정 위치(81)의 앞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세정감은 세정 각도에도 영향을 받아, 국부에 접촉되는 각도를 깊게 하면 세정감이 강하게 느껴진다. 얕게 한 경우는 노즐(8)에 오물이 부착되기 어려워진다. 즉 세정 각도는, 세정 위치나 세정감 및 더러워지기 용이함에 영향을 준다.
그러나, 노즐(8)이 박형인 경우, 세정수류의 분출 각도는 대강 노즐 본체(16)와 직각으로 되고, 노즐(8)의 분출 각도의 조절은 어렵다. 즉, 분출 각도의 조절에는 실린더 파이프(6)나 마운트부(80)에서의 각도의 조절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본체(5)내의 한정된 공간 내에서 각도를 변화시키는 것은 매우 어렵다.
여기서, 도 1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류 부재(21)를 노즐 본체(16)에 삽입하고, 벽(21a)을 축(11a)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θ)를 갖게 한다. 이로써, 본체(5)나 변기 시트(1)가 상이하고 세정 위치(81)가 상이한 경우에도, 정류 부재(21)만을 교환함으로써 소망하는 세정 위치(81)로 할 수 있다. 도 15a에서는 θ가 직각보다 작은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도 15b와 같이, θ를 직각보다 크게 하면 보다 깊은 각도로 국부에 접촉할 수 있고, 세정감이 강해진다.
도 16에 도시하는 구성에서는, 정류 부재(21)는 분출 구멍(11)보다 선단부에 설치되고, 또한 분출 구멍(11)으로부터 어느 거리 이상은 떨어진 위치에 벽(21A)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어느 거리란 축(11A)과 벽(21A)의 거리가 분출 구멍(11)의 구멍 직경(11B)의 2배이다. 이 때, 노즐 본체(16)내를 흐르는 세정수는 벽(21A)에 접촉되어, 튀어 오른 후 분출 구멍(11)에 도달하여 분출한다. 이 때, 벽(21A)과 분출 구멍(11)의 사이에 소용돌이(23)가 생긴다. 소용돌이(23)에 의해, 분출 구멍(11)에 도달하는 세정수는 분출 각도(θ)로 분출한다. 분출 각도(θ)는 90도보다 크기 때문에, 세정수가 국부에 접촉되는 각도가 깊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세정 각도는 세정감·세정 위치·더러워지기 용이함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이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매우 단순한 형상의 정류 부재(21)를 노즐 본체(16)내에 설치함으로써, 분사 각도(θ)를 90도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정류 부재(21)는 세정수류의 노즐(8) 선단부로의 유입을 막는 구성이면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8)의 선단부 전부를 채울 수도 있고,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간(24)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정류 부재(21)의 형상은 매우 단순하고, 제작이 용이하여 조립도 간단하다.
또한,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 본체(16)와 정류 부재(21)의 접선부에 원호부(25)를 설치하고, 슬로프와 같이 하면 세정수의 혼란이 경감되어, 세정수의 흐름이 더 안정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정류 부재(21)의 벽(21A)과의 위치를 노즐 본체(16)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세정수의 분사 각도가 변화된다. 즉, 벽(21A)의 위치가 변화되도록 구성하면, 세정 각도가 변화되고, 국부로의 착수 면적이 넓어져, 세정의 볼륨감이 증가한다.
예컨대, 도 1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8)의 선단부에 스프링(26)을 삽입하고, 정류 부재(21)를 축(16a)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로써, 소용돌이(23)와 스프링(26)의 균형에 의해, 도 19b와 같이, 소용돌이(23)가 없을 때는 분출 각도(θ)는 작아진다. 도 19c와 같이 소용돌이(23)가 발생하면, 세정수의 분사 각도(θ)가 커진다. 결과적으로, 도 19d의 사시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국부로의 착수 면적이 확장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노즐(8)은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져서 설치되기 때문에, 세정을 종료하고 본체(5)내에 수납될 때에도 분출 구멍(11)보다 하방의 물은 빠지지 않는다. 이 잔수는 다음 세정 개시까지 냉각되고, 이 냉각된 물이 세정 개시시에 국부에 착수하게 되며,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부여한다. 이에 대하여, 도 14 내지 도 19a와 같은 정류 부재(21)를 채용함으로써, 노즐 본체(16) 선단부의 잔수가 없어지고, 세정감이 향상된다.
도 20에 도시하는 구성에서는, 정류 부재(21)는 노즐 본체(16)에 내장되어 통과함으로써 세정수가 정류되는 L자형상의 유로(27)를 내부에 갖는다. 유로(27)의 입구(31)는 노즐 본체(16)내의 상류측으로 연통되고, 출구(30)는 분출 구멍(11)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 도 21은 마찬가지로 노즐(8)의 평면도이다. 정류 부재(21)는 유로(27)의 입구(31)로부터 출구(30)에 이르는 내경(27C)이 동일하고, 또한 내경(27C)은 분출 구멍(11)의 구멍 직경(11B)보다도 크다.
세정수는 노즐 본체(16) 내부의 공간 전체를 유로로 하여 흐름 정류 부재(21)에 이르고, 입구(31)로부터 유로(27)를 통해 출구(30)로부터 직접 분출 구멍(11)에 이르고, 분출 구멍(11)으로부터 분출한다. 분출된 세정수는 인체 국부에 착수하여 인체 국부를 세정한다. 세정수는 개시하여, 노즐 본체(16) 내부의 공간 전체를 유로로 하여 흐르지만, 정류 부재(21)의 유로(27)에 이르면 압착되어, 유로(27)에 의해 정류된다. 이 때문에, 분출 구멍(11)에 이를 때에는 안정된 흐름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분출 구멍(11)으로부터 분출된 세정수는 분출 상태나 분출 방향이 안정되고, 세정수가 피세정 대상인 인체 국부에 접촉할 때의 착수 면적이 적절하게 된다. 특히 복수의 분출 구멍(11)으로부터 세정수를 분출시키는 비데 세정에 효과적이다. 즉 도 20에서는, 분출 구멍(11)은 1개를 도시하고 있지만, 예컨대 비데 세정 노즐로서 분출 구멍(11)을 복수 설치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세정수의 분출 방향이 안정되고, 비데 세정수류에 필요한 평행류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정류 부재(21)에 설치한 1개의 유로에 대하여 복수의 분출 구멍(11)을 설치할 수도 있고, 복수의 분출 구멍(11)에 각각 대응한 복수의 유로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정류 부재(21)에 있어서의 유로(27)의 출구의 내경(27C)은 분출 구멍(11)의 구멍 직경(11B)보다도 크다. 이 때문에, 외부로부터 분출 구멍(11)을 보았을 때에 오물이 부착되는 단차나 간극, 이음매가 없다. 그 때문에 노즐(8)은 청결하게 유지되는 동시에, 조립시의 위치 불균형의 영향도 경감된다.
또한, 도 20에서는 정류 부재(21)는 분출 구멍(11)에 도통하는 유로(27)를 갖고, 유로(27)의 출구(30)는 분출 구멍(11)과 중첩되도록 도시하고 있다. 이외에, 정류 작용이 있는 형태, 예컨대 다공체로 구성한 정류 부재나, 복수의 가는 유로를 갖는 정류 부재 등, 필요한 수류를 얻기 위한 구성을 선택하면 된다.
도 22에 도시하는 구성에서는, 노즐 본체(16)에 내장한 정류 부재(21)는 세정수가 통과함으로써 정류되는 L자 형상의 유로(27)를 내부로 한다. 유로(27)의 입구(31)는 노즐 본체(16)내의 상류측에 연통되고, 출구(30)는 분출 구멍(11)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 유로(27)의 입구(31)는 노즐 본체(16)의 내경보다 조금 작다. 유로(27) 출구(30)의 내경은 입구(31)보다 작고, 분출 구멍(11)의 내경보다 약간 크다. 또한 유로(27)의 내경은 입구(31)측으로부터 출구(30)측에 걸쳐서 서서히 작아지고 있다.
세정수는 노즐 본체(16) 내부의 공간 전체를 유로로 하여 흐름 정류 부재(21)에 도달하고, 입구(31)로부터 유로(27)내로 들어가며, 유로(27)를 흘러서 출구(30)로부터 유출된다. 유로(27)의 내경은 입구(31)측으로부터 출구(30)측에 걸쳐서 서서히 내경이 압착되어서 작아진다. 이 때문에, 세정수가 유로(27)를 흐르는 사이에 수류의 급변(유로의 급축소)은 일어나지 않고, 매우 안정된 상태에서 출구(30)로부터 분출 구멍(11)을 통해 분출한다. 따라서, 분출 구멍(11)으로부터 분출된 세정수는 분출 상태나 분출 방향이 안정된다.
또한,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류 부재(21)를 분출 구멍(11) 근방에 설치하여 유로(27)를 구성하는 경우, 직진성이 있는 안정된 수류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노즐(8)이 금속제이고 두께가 얇기 때문에, 직진성이 불량하고 수류가 안정되기 어렵다. 노즐 본체(16)내에는 공기가 혼입되어 있고, 부정기적으로 분출 구멍(11)으로부터 공기가 누출되는 현상이 있다. 이 때, 박형이면 수류가 크게 흔들리고,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준다. 노즐 본체(16)의 가공법이 드로잉 가공인 경우에 현저하다. 또한 박형인 경우, 수류에 직진성을 갖게 하기 위해서는, 분출 구멍(11)의 주위면은 평탄하지 않으면 안되고, 평탄부를 작성하는 가공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수류는 평탄면으로부터 수직으로밖에 분출하지 않고, 세정 위치 및 분출 각도를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없다. 그러나, 도 21 및 도 22와 같이, 분출 구멍(11) 근방에 정류 부재(21)를 설치함으로써, 수류가 안정되고 또한 세정 위치나 각도를 정류 부재(21)의 설계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출 구멍(11) 근방에 설치한 정류 부재(21)에 부가하여, 노즐 본체(16)에 있어서의 유로의 상류측인 노즐 본체(16)의 중앙부에 정류 부재(212)를 설치하면, 서서히 수압이 걸린다. 이 때문에, 정류 부재(21)에 걸리는 수류는 정류화되고, 더욱 안정도를 증가한다.
도 24에 도시하는 구조에서는, 도 23과 동일한 구조에 있어서, 정류 부재(212)에 있어서의 유로(27B)의 출구(30)는 입구(31)보다 작아져 있고, 유로(27B)의 내경은 입구(31)로부터 출구(30)에 걸쳐서 서서히 커지고 있다. 세정수는 노즐 본체(16) 내부의 공간 전체를 유로로서 정류 부재(212)에 도달하고, 입구(31)로부터 출구(30)로 진행한다. 여기서, 유로(27B)가 서서히 작아지기 때문에, 수류의 급변(유로의 급축소)은 일어나지 않고, 매우 안정된 상태에서 출구(30)로부터 분출 구멍(11)을 통해 분출한다. 따라서 분출된 세정수는 분출 상태나 분출 방향이 안정하다.
또한, 정류 부재(212)의 재질에, 고무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그 유연성으로부터 노즐 본체(16)의 내경과의 간극은 없어지고, 유로(27B)만을 통과하기 때문에, 더욱 수류의 안정도가 증가한다.
도 25 및 도 26에 도시하는 구조에서는, 도 23과 동일한 구조에 있어서, 정류 부재(212)가 복잡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도 25에서는 입구(31)와 출구(30)가 거의 동일한 직경이고, 중간에 이들보다 직경이 가는 부분(33)이 있다. 또한 출구(30)의 내경은 분출 구멍(11)의 내경보다 커진다. 도 26에서는, 유로(27B)가 복수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미묘하게 세정 특성이 조정된다. 이 때, 정류 부재(212)의 재질로는 수지 부재, 고무 부재로 하면 복잡한 형상이어도 용이하게 형성된다. 또한, 정류 부재(212)의 재질을 발포 부재로 하면, 독립된 공기층이 설치되고, 형상이 간단하게 형성되며, 세정 특성이 안정화된다. 또한, 발포 부재의 재질은 용도, 작용에 따라, 수지제라도 고무제라도 무방하다.
도 27에 도시하는 구조에서는, 도 23과 동일한 구조에 있어서, 정류 부재(212)가 금속 프레스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재료로 정류 부재(212)를 구성함으로써, 염가이면서 유로(27B) 형상의 정밀도가 향상되고, 세정 특성이 안정된다.
도 28에 도시하는 구조에서는, 도 23과 동일한 구조에 있어서, 정류 부재(212)가 섬유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재료로 정류 부재(212)를 구성함으로써, 노즐 본체(16)의 내경 형상이 복잡해져도, 정류 부재(212)의 형상이 조화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삽입된다. 섬유 부재의 밀도에 의해 유로(27B)의 특성이 설정되고, 세정 특성이 안정된다. 또한, 섬유 부재의 재질은 용도, 작용에 따라 수지제라도 금속제라도 무방하다.
도 29에 도시하는 구성에서는, 노즐(8)에 내장된 정류 부재(21)는 통과함으로써 세정수가 정류되는 L자 형상의 유로(27)를 내부에 갖는다. 유로(27)의 입구(31)는 노즐 본체(16)내의 상류측에 연통시키고, 출구(30)는 분출 구멍(11)에 직접 접속하고 있다. 도 30은 도 29의 노즐의 평면도이다. 유로(27)의 출구측의 내경(27C)은 분출 구멍(11)의 구멍 직경(11B)보다도 크다. 도 20에 도시하는 구성에서는, 분출 구멍(11)은 1개이다. 이에 대하여, 도 29에 도시하는 구성에서는 분출 구멍(11)이 복수(여기서는 2개) 설치되고, 유로(27)의 출구측의 내경(27C)은 복수의 분출 구멍(11)이 설치된 범위의 면적보다도 크다.
세정수는 노즐 본체(16) 내부의 공간 전체를 유로로 하여 흐름 정류 부재(21)에 도달하고, 입구(31)로부터 유로(27)를 통해 출구(30)로부터 직접 분출 구멍(11)에 이르고, 분출 구멍(11)으로부터 분출한다. 분출된 세정수는 인체 국부에 착수하여 인체 국부를 세정한다. 세정수는 개시하여 노즐 본체(16) 내부의 공간 전체를 유로로 하여 흐르지만, 정류 부재(21)의 유로(27)에 이르면 압착되어, 유로(27)에 의해 정류된다. 이 때문에, 분출 구멍(11)에 도달할 때에는 안정된 흐름으로 된다. 또한, 유로(27)의 출구(30)의 내경(27C)이 분출 구멍(11)의 구멍 직경(11B)보다도 크다. 이 때문에, 외부로부터 분출 구멍(11)을 보았을 때에 오물이 부착되는 단차나 간극, 이음매가 없어지고,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조립시의 위치 불균형의 영향도 경감된다.
도 31에 도시하는 구성과 같이, 복수의 분출 구멍(11)에 대응하여 연통하는 복수의 유로(27)를 형성한 경우, 정류 효과가 증가한다. 특히 비데 세정과 같이 평행류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 효과적이다.
도 32에 도시하는 구성에서는, 정류 부재(21)는 세정수가 유입되는 1개의 입구(31)를 갖고, 입구(31)와 노즐(8)에 설치한 분출 구멍(11)을 연통하는 복수의 유로(27)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정류 효과가 증가하는 동시에, 정류 부재(21)의 제작이 용이하다.
도 33 및 도 34는 도 29에 있어서의 정류 부재(21)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3에 도시하는 정류 부재(21)에서는, 입구(31)와 출구(30)의 대향면(21B)이 개방되어 있다. 이로써, 세정수류가 안정되는 동시에, 정류 부재(21)는 용이하게 제작된다. 또한, 노즐 본체(16)에 정류 부재(21)를 삽입할 때에 접촉되는 면이 적기 때문에 조립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입구(31)에 대향하는 정류 부재 정면(21C)을 개방한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도 33과 같이 정면(21C)에 벽을 설치하는 경우는 노즐 본체(16)에 정류 부재(21)를 삽입했을 때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정면(21C)을 개방한 경우는, 정류 부재(21)의 제작이 더욱 용이해진다.
이상에 기술한 정류 부재(21)는 노즐 본체(16)에 고정할 때에 압입시킬 수도 있고, 접착제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정류 부재(21)를 노즐 본체(16)에 삽입한 후에, 노즐 본체(16) 외부로부터 압착하는 등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압입시키는 경우는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류 부재(21)에 립(34)을 세움으로써, 면 전체가 아니라 립(8)만을 압입시킴으로써 삽입 작업이 용이해진다.
도 35에 도시하는 구성에서는, 노즐 본체(16)에 삽입된 정류 부재(21)는 분출 구멍(11)을 설치한 면에 대하여 임의의 각도(θ)를 갖는 유로(27)를 갖는다. 즉 유로(27)의 출구측의 축과 노즐 본체 중심축(16A)은 각도(θ)를 이룬다. 이로써, 세정수 분출 각도가 조절된다. 이 때문에, 도 15a, 도 15b나 도 16에 도시한 구성과 동일한 효과를 이룬다.
또한, 정류 부재(21)의 유로(27)는 길수록 정류 효과가 증가한다. 특히 분출 구멍(11)으로부터 분출하는 세정수류의 축과 동일하게 되는 길이가 긴 편이 좋다.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정수가 유입되는 입구(31)가 1개이고, 입구(31)와 분출 구멍(11)을 연통하는 복수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성한 경우, 각 분출 구멍(11)으로의 정류 효과가 동등해진다. 또한,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류 부재(21)의 입구(31)와, 출구(30)의 대향면(21B)을 개방하면, 세정수류의 축과 동일해지는 길이가 길어져, 정류 효과가 증가한다. 또한, 도 33 내지 도 35에서는, 분출 구멍(11)을 복수 설치한 경우를 중심으로 도시하여 설명했지만, 분출 구멍(11)이 1개인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도 20 내지 도 35에 도시하는 각 구성에서는, 정류 부재(21)를 분출 구멍(11)에 직접 접속하여 노즐(8)내에 설치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소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 예컨대 정류 부재(21)를 분출 구멍(11)에 이르는 노즐(8)의 중간에 설치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노즐 본체(16)는 박형 금속을 스로틀 가공하여 제작하고 있다. 그 때문에 노즐 본체(16)는 저렴하다. 한편, 금속제의 파이프를 절단하고, 선단부를 별도 부품으로 뚜껑을 덮어서 노즐 본체(16)를 제작할 수도 있다. 커버를 용접에 의해 접합하면 간극이 없고 솔기가 없는 구조가 가능해진다. 커버를 압입으로 끼워 넣는 경우 약간의 홈은 발생하지만, 금속제이기 때문에 고온에서의 균제거가 가능하고, 노즐 본체(16)가 청결하게 유지된다.
또한, 실시예 1에 설명한 바와 같이, 노즐(8)에 평탄부(14)를 설치하고, 평탄부(14)에 분출 구멍(11)을 설치한 경우, 평탄부(14)에 의해 노즐 본체(16)의 내용적이 부분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따라서, 평탄부(14)를 구성함으로써 노즐(8) 내부로 돌출된 부분은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정류 부재(21)와 동일한 효과도 이룬다.
또한, 실시예 1에 설명한 구성에, 또한 실시예 2에 설명한 정류 부재(21)를 내장하면, 세정수의 분출 특성이 한층 향상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청소시의 제약이 없고, 오물이 부착되기 어려운 청결한 세정 노즐을 갖고, 세정 특성도 향상된 변기 장치를 얻을 수 있다.

Claims (42)

  1. 선단부에 세정수의 분출 구멍이 설치된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적어도 선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와 연속된 면으로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평탄부와,
    상기 본체내에 설치되고, 상기 세정수의 흐름을 정류하는 정류 부재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한
    세정 노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두께가 0.2㎜ 이상 0.8㎜ 이하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세정 노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부의 0.2mm 이상 0.8mm 이하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세정 노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체 길이에 걸쳐 상기 평탄부를 갖는
    세정 노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단면이 원형 형상인
    세정 노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단면이 다각형 형상인
    세정 노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지는
    세정 노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부가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지는
    세정 노즐.
  9. 제 1 항에 있어서,
    길이 방향을 따라 홈이 설치되고, 상기 본체를 세정하는 액체가 상기 홈을 따라 상기 분출 구멍에 이르는
    세정 노즐.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 구멍은 복수의 분출 구멍의 1개이고, 상기 평탄부에 상기 복수의 분출 구멍을 설치하고, 세정수를 평행으로 분출하는
    세정 노즐.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 부재는 상기 분출 구멍에 접하여 설치된
    세정 노즐.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 부재는 상기 본체의 전 영역에 설치된
    세정 노즐.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 부재가 상기 본체에 고정된
    세정 노즐.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 부재는 망형상체와 발포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세정 노즐.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 부재는 물보다 비중이 가벼운
    세정 노즐.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 부재는 상기 분출 구멍에 대향하여 설치된
    세정 노즐.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부에 상기 세정수의 제 1 유로가 설치되고, 상기 정류 부재는 상기 제 1 유로의 일부에 설치된
    세정 노즐.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 부재는 복수의 부재의 1개이고, 복수의 상기 정류 부재를 구비한
    세정 노즐.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류 부재는 상기 분출 구멍보다 직경이 큰 구체이고, 상기 본체에 충전되어 있는
    세정 노즐.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류 부재는 동일 방향으로 삽입된 원통형체이고, 상기 본체에 충전되어 있는
    세정 노즐.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 부재는 상기 분출 구멍보다도 상기 선단측에 설치되고, 상기 세정수의 흐름을 차단하는 차폐벽을 갖는
    세정 노즐.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벽이 상기 분출 구멍의 중심축과의 사이에 직각 이외의 각도로 설치된
    세정 노즐.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 구멍의 중심축과의 거리가 상기 분출 구멍의 직경의 2배 이상 떨어진 위치에 상기 차폐벽을 설치한
    세정 노즐.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 부재와 상기 본체의 선단부 사이에 공간을 설치한
    세정 노즐.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 부재는 상기 본체와의 접선부에 원호부를 갖는
    세정 노즐.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 부재는 상기 본체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세정 노즐.
  2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 부재는 내부에 상기 세정수를 도통하는 제 2 유로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유로의 출구는 상기 분출 구멍과 중첩되는
    세정 노즐.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로의 출구 내경은 상기 분출 구멍의 직경보다 큰
    세정 노즐.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로의 입구 내경은 상기 출구 내경보다 크고, 상기 제 2 유로 전체가 상기 입구로부터 상기 출구에 걸쳐서 내경이 서서히 작아지는
    세정 노즐.
  3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부에 상기 세정수의 제 1 유로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정류 부재는 상기 선단부에 설치된 제 1 부재와, 상기 본체의 상기 제 1 유로의 상류측에 설치된 제 2 부재를 포함하는
    세정 노즐.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재는 내부에 제 3 유로가 설치되고, 상기 제 3 유로의 입구 내경은 상기 제 3 유로의 출구 내경보다 크며, 상기 제 3 유로 전체가 상기 입구로부터 상기 출구에 걸쳐서 내경이 서서히 작아지는
    세정 노즐.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재는 내부에 제 3 유로가 설치되고, 상기 제 3 유로의 출구는 상기 분출 구멍의 내경보다도 큰
    세정 노즐.
  33.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재는 고무재로 이루어지는
    세정 노즐.
  34.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재는 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세정 노즐.
  35.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재는 금속 프레스재로 이루어지는
    세정 노즐.
  3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 부재는 상기 복수의 분출 구멍의 각각에 대응하여 연통하는 복수의 유로가 설치된
    세정 노즐.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로의 입구는 1개인
    세정 노즐.
  3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 부재는 상기 출구에 대향하는 면과 상기 제 2 유로의 입구에 대향하는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개방된
    세정 노즐.
  3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 부재는 상기 본체에 상기 정류 부재를 고정하는 립을 갖는
    세정 노즐.
  40.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로의 출구측이 상기 본체의 중심축과의 사이에 직각 이외의 각도로 설치된
    세정 노즐.
  41. 박판 금속재를 딥 드로잉 프레스 가공하여 바닥이 있는 통형상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평탄부에 세정수의 분출 구멍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통형상체의 적어도 선단부에 평탄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통형상체 내부에 상기 통형상체 속을 통과하는 세정수의 흐름을 정류하는 정류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한
    세정 노즐의 제조 방법.
  42. 변기상에 탑재된 변기 장치 본체와,
    선단부에 세정수의 분출 구멍이 설치된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적어도 선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와 연속된 면으로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평탄부와,
    상기 본체내에 설치되고, 상기 세정수의 흐름을 정류하는 정류 부재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갖는 세정 노즐을 구비한
    변기 장치.
KR1020057017232A 2003-03-20 2004-03-12 세정 노즐 및 변기 장치 KR1007220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78030 2003-03-20
JPJP-P-2003-00078030 2003-03-20
JPJP-P-2003-00148731 2003-05-27
JP2003148731 2003-05-27
JPJP-P-2003-00150647 2003-05-28
JP2003150647 2003-05-28
JPJP-P-2003-00152494 2003-05-29
JP2003152494 2003-05-29
JP2003364261 2003-10-24
JPJP-P-2003-00364261 2003-10-24
JPJP-P-2003-00433132 2003-12-26
JP2003433132 2003-12-26
JP2004022886 2004-01-30
JPJP-P-2004-00022886 2004-0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359A true KR20050111359A (ko) 2005-11-24
KR100722069B1 KR100722069B1 (ko) 2007-05-25

Family

ID=33033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7232A KR100722069B1 (ko) 2003-03-20 2004-03-12 세정 노즐 및 변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156463A1 (ko)
EP (1) EP1605107B1 (ko)
JP (1) JP4470885B2 (ko)
KR (1) KR100722069B1 (ko)
WO (1) WO200408353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6655A (ko) * 2020-12-01 2022-06-08 주식회사 엔씨엠 에어가 혼합되는 비데 세정노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6197A (ja) * 2005-05-31 2006-1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局部洗浄ノズル
JP4848679B2 (ja) * 2005-06-15 2011-12-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局部洗浄ノズル
JP4848694B2 (ja) * 2005-07-20 2011-12-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自励振動流ノズルとそれを備えた衛生洗浄機能付便座
US20090229047A1 (en) * 2007-03-08 2009-09-17 Mark Chak Device for washing a part of a human body in a toilet bowl area
DE202007005626U1 (de) * 2007-04-17 2007-06-28 Villeroy & Boch Ag Toilettensitz
FR2918687B1 (fr) 2007-07-09 2012-07-13 Patrice Luc Peronnet Dispositif hydraulique retractable et auto-nettoyant d'ejection d'eau equipant un abattant de water-closet pour hygiene intime
JP5861980B2 (ja) * 2011-08-11 2016-02-16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FR2981585B1 (fr) * 2011-10-25 2013-12-27 Areco Finances Et Technologie Arfitec Mat de diffusion d'un brouillard de gouttelettes comprenant un deflecteur
WO2014136847A1 (ja) * 2013-03-07 2014-09-12 株式会社ナカニシ 歯科用ハンドピースのノズル
US10575705B2 (en) * 2015-12-18 2020-03-03 Micro Matic Usa, Llc Glass rinser spin stop
WO2019118575A1 (en) * 2017-12-12 2019-06-20 As Ip Holdco, Llc Toilet bowl cleaning seat
JP7361454B2 (ja) * 2018-03-26 2023-10-16 株式会社Lixil 局部洗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7991Y2 (ko) * 1976-10-01 1980-11-10
US4168033A (en) * 1977-07-06 1979-09-18 Rain Bird Sprinkler Mfg. Corp. Two-piece wear-resistant spray nozzle construction
US4406025A (en) * 1980-11-06 1983-09-27 Huck Lewis F Bidet apparatus for use in connection with a conventional flush toilet
JPS6149043A (ja) * 1984-08-18 1986-03-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洗浄ノズル
US4850965A (en) * 1986-12-31 1989-07-25 Jean Zinopoulos Hydraulic apparatus for bodily hygiene
JPH0519419Y2 (ko) * 1987-01-05 1993-05-21
DE3817904A1 (de) * 1987-05-28 1988-12-22 Aisin Seiki Waschvorrichtung fuer menschliche intimbereiche
US5236126A (en) * 1989-02-23 1993-08-17 Anzen Motor Co., Ltd. Rotating nozzle apparatus with magnetic braking
JP3321834B2 (ja) * 1992-07-27 2002-09-0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人体局部洗浄装置の洗浄ノズル
JPH0960087A (ja) * 1995-08-28 1997-03-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局部洗浄装置
JPH09316969A (ja) * 1996-05-30 1997-12-09 Toto Ltd 洗浄ノズルとこれを用いた衛生洗浄装置
US5742961A (en) * 1996-12-26 1998-04-28 Casperson; John L. Rectal area hygiene device
US6754912B1 (en) * 1999-01-25 2004-06-29 Toto Ltd. Human body cleaner
JP2000265524A (ja) * 1999-03-18 2000-09-26 Aisin Seiki Co Ltd 温水洗浄便座
JP2001123503A (ja) * 1999-10-28 2001-05-08 Inax Corp 温水洗浄装置
JP2001348940A (ja) * 2000-06-08 2001-12-21 Toto Ltd 温水洗浄便座
JP2002322710A (ja) * 2001-04-24 2002-11-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衛生洗浄装置
US6785915B1 (en) * 2001-12-31 2004-09-07 Lindy Daugherty Personal hygiene cleaning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6655A (ko) * 2020-12-01 2022-06-08 주식회사 엔씨엠 에어가 혼합되는 비데 세정노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83539A1 (ja) 2004-09-30
JPWO2004083539A1 (ja) 2006-06-22
KR100722069B1 (ko) 2007-05-25
JP4470885B2 (ja) 2010-06-02
EP1605107A1 (en) 2005-12-14
US20060156463A1 (en) 2006-07-20
EP1605107B1 (en) 2012-12-12
EP1605107A4 (en) 2008-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2069B1 (ko) 세정 노즐 및 변기 장치
CN108024669B (zh) 吐水装置
JP2005230820A (ja) スクリーン洗浄ノズル
KR101866983B1 (ko) 노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변좌와 비데
JPH03238060A (ja) エアレス塗装用噴霧ノズル
KR100865065B1 (ko) 비데용 노즐구조
JP4720382B2 (ja) 流体発振ノズル
CN100396858C (zh) 清洗喷嘴及使用它的马桶装置
JP2009275393A (ja) ノズル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CN109070846A (zh) 用于制造窗户清洗喷嘴的方法以及窗户清洗喷嘴
EP1738831B1 (en) Spray nozzle with asymmetrical tapered sections
CN115942994A (zh) 微流体振荡器
KR102055169B1 (ko) 샤워 노즐
KR101923985B1 (ko) 샤워 헤드 장치
JP2018167186A (ja) 散水部材
JPH1054071A (ja) 衛生洗浄装置
CN216586853U (zh) 智能马桶、智能马桶盖及其喷枪和喷头
KR101584234B1 (ko) 샤워기 헤드
JP2886140B2 (ja) 散水用ノズル
CN114319531A (zh) 智能马桶、智能马桶盖及其喷枪和喷头
KR102113913B1 (ko) 피부의 저자극을 위한 미세분무 기능을 갖춘 샤워기 헤드
KR102280779B1 (ko) 비데용 노즐 어셈블리
KR102014906B1 (ko) 샤워 노즐
TWI617359B (zh) 噴嘴、流體噴出裝置、洗淨機器、洗衣機
KR20210083073A (ko) 온수세정기의 노즐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