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3073A - 온수세정기의 노즐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온수세정기의 노즐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3073A
KR20210083073A KR1020190175685A KR20190175685A KR20210083073A KR 20210083073 A KR20210083073 A KR 20210083073A KR 1020190175685 A KR1020190175685 A KR 1020190175685A KR 20190175685 A KR20190175685 A KR 20190175685A KR 20210083073 A KR20210083073 A KR 20210083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nozzle assembly
nozzle
inlet
wa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5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문
조병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Priority to KR1020190175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3073A/ko
Publication of KR20210083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30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 B05B1/3405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10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producing a swirling dischar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수세정기의 노즐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노즐 어셈블리의 선단측에 토수구를 통한 미스트한 수류 분사가 가능하도록 선회실을 가지는 노즐팁을 구성한 것이고, 이에 따라 세정수에 대한 분사 범위를 확대하고 그 분사 압력을 높이면서 사용자의 국부 세정이 불쾌감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세정 효율을 향상시키면서 사용자 만족도를 높인 것이다.

Description

온수세정기의 노즐 어셈블리{Nozzle assembly of bidet}
본 발명은 온수세정기의 노즐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노즐 어셈블리의 선단측에 선회실을 가지는 노즐팁에서 토수구를 통해 미스트(mist)한 수류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온수세정기의 노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수세정기는 숙박 업소 또는 일반 가정에서 화장실의 좌변기 상에 설치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이러한 온수세정기는 이용자의 용변 후에 노즐 어셈블리를 통해 항문 및/또는 그 주변에 세정수를 분사시키며, 이에따라 상기 노즐 어셈블리는 유량조절밸브를 통해 공급되는 세정수를 선단측의 분사팁 토수구를 통해 분사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온수세정기에 적용되는 노즐 어셈블리의 분사팁은 단순히 세정수를 직선 수류로서만 분사하는 관계로, 세정수 분사 범위가 극히 제한적이고 그 분사 압력 일정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도록, 나선형 홈부를 가진 와이드 및 와류 겸용 발생기가 적용되는 노즐 어셈블리가 제공되는 등록특허공보 제10-1031385호(이하 '선행특허' 라함)가 개시되었다.
상기 선행특허의 와이드 및 와류 겸용 발생기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표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며 외면에 나선형 홈부가 형성되는 기둥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평평한 사각의 판체로서 세정팁 표면에 결합되고, 상기 기둥부는 세정팁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특허는 와이드한 수류를 구현하기 위해, 나선형 홈부의 하단부에 와류 발생 유로의 단부를 연통시켜야 하고, 상기 나선형 홈부의 상단부에는 와이드 유로의 단부를 연결시켜야 하는 등 그 구조가 복잡할 수 밖에 없었다.
즉, 상기 와류 발생 유로는 그 단부가 나선형 홈부의 하단부에 연통됨으로써 상기 와류 발생 유로를 통해 분사되는 세정수가 상기 나선형 홈부의 전영역을 따라 회오리처럼 회전하면서 분사되어 와류를 형성하는 것이고, 상기 와이드 유로는 그 단부가 상기 나선형 홈부의 상단부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와이드 유로를 통해 분사되는 세정수가 상기 나선형 홈부의 상단부에 직접 도달되면서 상기 와류 발생 유로를 통해 유입된 세정수와 합류하면서 와류 형성을 배가시키는 것으로, 와이드하나 수류 형성을 위한 구조가 복잡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31385호(공고일 2011.04.2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노즐 어셈블리의 선단측에 토수구를 통한 미스트한 수류를 분사하도록 선회실을 가지는 미스트 수류 분사용 노즐팁을 구성함으로써, 미스트 수류 분사를 통해 세정수의 분사 범위를 확대하고 그 분사 압력을 높여 사용자의 국부 세정이 불쾌감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온수세정기의 노즐 어셈블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인 온수세정기의 노즐 어셈블리는, 세정수를 공급받는 세정수 공급유로와, 상기 세정수 공급유로와 연결되는 선단측의 유로 홈을 가지는 노즐 실린더; 상기 노즐 실린더의 선단측에 형성되는 상기 유로 홈에 압입 또는 융착 결합되며, 토수구를 가지는 노즐 팁 베이스; 상기 노즐 팁 베이스의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유로 홈과 연결되는 입수구를 가지는 선회실 형성부재; 및, 상기 선회실 형성부재에 선회실이 형성되도록 상기 선회실 형성부재에 압입 또는 융착 결합되는 형합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선회실은 상기 유로 홈에서 상기 입수구를 통해 세정수가 입수시 이를 선회시키면서 미스트 수류 형태의 세정수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토수구를 통해 외부로 분사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로 홈에는 상기 노즐 팁 베이스의 압입 또는 융착 결합을 위한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선회실내에 형성되는 상기 토수구의 내측 주변에는 상기 선회실에서 선회하는 미스트 수류 형태의 세정수가 상기 토수구를 통해 외부로 분사시 그 분사 흐름을 가이드하는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선회실 형성부재의 상기 입수구는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입수구는 상기 선회실의 내벽면으로 내접하게 세정수가 입수되도록 상기 선회실의 내벽면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입수구는 상기 유로 홈측으로부터 상기 선회실측으로 연장될수록 좁아지는 폭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선회실 형성부재는, 상기 노즐 팁 베이스의 하면에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 입수구를 형성시키는 돌출 베이스; 및, 상기 입수구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돌출 베이스의 상면에서 서로 마주보게 돌출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벽체부;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형합부재는, 상기 제 1 및 제 2 벽체부 사이의 공간 일부에 안착되는 제 1 형합부; 및, 상기 제 1 형합부의 양단에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벽체부의 양측부로서 상기 입수구가 형성되는 상기 돌출 베이스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 2 형합부; 를 포함하면서, 상기 돌출 베이스의 상면 방향,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벽체부의 사이에 상기 선회실을 형성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노즐 실린더는 제 1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노즐 실린더와 상기 제 1 구동부는 제 2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노즐 어셈블리의 선단측에 토수구를 통한 미스트한 수류 분사가 가능하도록 선회실을 가지는 노즐팁을 구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세정수의 분사 범위를 확대하고 그 분사 압력을 높이면서 사용자의 국부 세정이 불쾌감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세정 효율을 향상시키면서 사용자 만족도를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노즐 어셈블리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노즐 실린더와 노즐 팁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노즐 팁의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노즐 팁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노즐 어셈블의 구조를 보인 일부 절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5에 대한 측단면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5에 대한 평단면 개략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노즐 어셈블리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노즐 실린더와 노즐 팁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노즐 팁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노즐 팁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노즐 어셈블의 구조를 보인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5에 대한 측단면 개략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도 5에 대한 평단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수세정기의 노즐 어셈블리는, 노즐 실린더(10), 노즐 팁 구조물을 이루는 구성요소들로서 노즐 팁 베이스(20)와 선회실 형성부재(30) 및 형합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노즐 실린더(10)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급수밸브를 통해 입수되는 세정수를 가열하는 온수히터, 그리고 상기 온수히터에 의해 가열된 세정수 유량이 유량조절밸브에 의해 조절되어 세정수 유입구(100)를 통해 유입될 때 이를 공급받는 것으로, 상기 세정수 유입구(100)와 연결되는 세정수 공급유로(11), 그리고 상기 세정수 공급유로(11)와 연결되는 선단측의 유로 홈(12)을 가진 것이다.
여기서, 첨부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노즐 실린더(10)는 선단측에 분출공(201)이 형성되는 실린더 커버(200)에 의해 덮혀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노즐 실린더(10)는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이, 후방측에 형성되는 정,역회전 구동이 가능한 제 1 구동부(50)(예; 모터)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여 세정수 분사각도를 조정할 수 있음은 물론, 정,역회전 구동이 가능한 제 2 구동부(60)(예; 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 1 구동부(50)와 함께 활주대(300)를 따라 전진 또는 후진의 직선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세정수 분사 위치를 조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노즐 팁을 이루는 상기 노즐 팁 베이스(20)는 노즐 실린더(10)의 선단측에 형성되는 상기 유로 홈(12)에 압입 또는 융착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실린더 커버(200)의 분출공(201)에 대응하는 토수구(21)가 형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노즐 실린더(10)의 선단측에 형성되는 상기 유로 홈(12)에는 첨부된 도 2에서와 같이 안착부(12a)가 형성되면서, 상기 안착부(12a)에 상기 노즐 팁 베이스(20)의 테두리면이 안착시, 상기 노즐 팁 베이스(20)의 테두리면은 상기 안착부(12a)에 압입 또는 융착 결합되면서, 상기 유로 홈(12)의 개구된 상부를 덮게 되는 것이다.
상기 선회실 형성부재(30)는 상기 노즐 팁 베이스(20)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유로 홈(12)과 연결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입수구(31, 31')를 가진 것으로, 돌출 베이스(32)와 제 1 및 제 2 벽체부(33, 34)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돌출 베이스(32)는 상기 노즐 팁 베이스(20)의 하면에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 입수구(31, 31')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1 및 제 2 벽체부(33, 34)는 상기 입수구(31, 31')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돌출 베이스(32)의 상면에서 서로 마주보게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선회실 형성부재(30)를 이루는 상기 돌출 베이스(32)와 상기 제 1 및 제 2 벽체부(33, 34)에 상기 형합부재(40)가 결합시, 상기 선회실 형성부재(30)에는 세정수를 선회시키면서 미스트 수류를 생성하는 선회실(S1)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선회실(S1)은 상기 유로 홈(12)에서 상기 입수구(31, 31')를 통해 세정수가 입수시 이를 선회시키면서 미스트 수류 형태의 세정수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토수구(21)를 통해 외부로 분사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입수구(31, 31')는 상기 선회실(S1)의 내벽면으로 내접하게 세정수가 입수되도록 상기 선회실(S1)의 내벽면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형성됨은 물론, 상기 유로 홈(12)측으로부터 상기 선회실(S1)측으로 연장될수록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입수구(31, 31')를 통해 상기 선회실(S1)의 내벽면으로 세정수가 입수될 때, 그 입수되는 세정수의 입수 압력을 높이면서 상기 선회실(S1)의 내벽면을 따라 선회하는 상기 세정수의 선회력을 증대시키기 위함인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선회실(S1)내에 형성되는 상기 토수구(21)의 내측 주변에는 경사부(2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경사부(22)는 상기 선회실(S1)에서 선회하는 미스트 수류 형태의 세정수가 상기 토수구(21)를 통해 외부로 분사시 그 분사 흐름을 가이드하기 위함인 것이다.
상기 형합부재(40)는 상기 선회실 형성부재(30)에 선회실(S1)이 형성되도록 상기 선회실 형성부재(30)에 압입 또는 융착 결합되는 것으로, 제 1 및 제 2 형합부(41, 42, 42')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형합부(41)는 선회실 형성부재(30)에 포함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벽체부(33, 34) 사이의 공간 일부에 안착되는 것이고, 상기 제 2 형합부(42, 42')는 상기 제 1 형합부(41)의 양단에 연장되는 것으로 이는 상기 제 1 및 제 2 벽체부(33, 34)의 양측부로서 상기 입수구(31, 31')가 형성되는 상기 돌출 베이스(32)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는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 돌출 베이스(32)의 상면 방향,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벽체부(33, 34)의 사이에는 상기 입수구(31, 31')만이 개방되는 상기 선회실(S1)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수세정기의 노즐 어셈블리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우선 미도시된 급수밸브를 통해 온수히터로 세정수가 입수되어 가열되고, 이렇게 가열된 세정수가 유량조절밸브에 의해 유량이 조절된 후 세정수 유입구(100)를 통해 노즐 실린더(10)내의 세정수 공급유로(11)에 공급되면, 상기 세정수 공급유로(11)에 공급되는 세정수는 상기 노즐 실린더(10)의 선단측에 마련되는 유로 홈(12)으로 유입된다.
그러면, 상기 유로 홈(12)에는 노즐 팁 구조물로서 노즐 팁 베이스(20)와 선회실 형성부재(30) 및 형합부재(40)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유로 홈(12)으로 유입되는 세정수는 상기 선회실 형성부재(30)에 형성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입수구(31, 31')를 통해, 상기 선회실 형성부재(30)와 상기 형합부재(40)의 결합에 따라 형성되는 선회실(S1)로 입수된다.
이때, 상기 입수구(31, 31')는 상기 선회실(S1)의 내벽면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유로 홈(12)측으로부터 상기 선회실(S1)측으로 연장될수록 좁아지는 구조를 가진 것이므로, 상기 입수구(31, 31')를 통해 상기 선회실(S1)의 내벽면 방향을 향해 입수되는 상기 세정수는 상기 선회실(S1)의 내부에서 내벽면을 따라 선회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선회실(S1)의 내부에서 내벽면을 따라 선회하는 상기 세정수는 상기 선회실(S1)내에 형성되는 토수구(21)의 내측 주변에 형성되는 경사부(22)를 따라 상기 토수구(21)측으로 선회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토수구(21)에서는 부드러운 회전수로 이루어진 미스트 수류 형태의 세정수를 분사할 수 있고, 이러한 미스트 수류 형태의 세정수 분사로 인해 사용자의 국부에 대한 세정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노즐 실린더(10)를 하나의 위치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미스트 수류 형태의 세정수를 분사하도록 설명하였지만, 상기 노즐 실린더(10)를 제 2 구동부(60)의 구동을 통해 전후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거나 또는 제 1 구동부(50)의 구동을 통해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사용자의 취향이나 사용자의 신체적인 조건에 따라 상기 토수구(21)를 통해 분사되는 미스트 수류 형태의 세정수 분사 위치 및 그 분사 범위를 더 넓게 확장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 온수세정기의 노즐 어셈블리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노즐 실린더 11; 세정수 공급유로
12; 유로 홈 12a; 안착부
20; 노즐 팁 베이스 21; 토수구
22; 경사부 30; 선회실 형성부재
31, 31'; 입수구 32; 돌출 베이스
33; 제 1 벽체부 34; 제 2 벽체부
40; 형합부재 41; 제 1 형합부
42, 42'; 제 2 형합부 50; 제 1 구동부
60; 제 2 구동부 100; 세정수 유입구
200; 실린더 커버 201; 분출공
300; 활주대 S1; 선회실

Claims (10)

  1. 세정수를 공급받는 세정수 공급유로와, 상기 세정수 공급유로와 연결되는 선단측의 유로 홈을 가지는 노즐 실린더;
    상기 노즐 실린더의 선단측에 형성되는 상기 유로 홈에 압입 또는 융착 결합되며, 토수구를 가지는 노즐 팁 베이스;
    상기 노즐 팁 베이스의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유로 홈과 연결되는 입수구를 가지는 선회실 형성부재; 및,
    상기 선회실 형성부재에 선회실이 형성되도록 상기 선회실 형성부재에 압입 또는 융착 결합되는 형합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선회실은 상기 유로 홈에서 상기 입수구를 통해 세정수가 입수시 이를 선회시키면서 미스트 수류 형태의 세정수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토수구를 통해 외부로 분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기의 노즐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홈에는 상기 노즐 팁 베이스의 압입 또는 융착 결합을 위한 안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기의 노즐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실내에 형성되는 상기 토수구의 내측 주변에는 상기 선회실에서 선회하는 미스트 수류 형태의 세정수가 상기 토수구를 통해 외부로 분사시 그 분사 흐름을 가이드하는 경사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기의 노즐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실 형성부재의 상기 입수구는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기의 노즐 어셈블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구는 상기 선회실의 내벽면으로 내접하게 세정수가 입수되도록 상기 선회실의 내벽면을 바라보는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기의 노즐 어셈블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구는 상기 유로 홈측으로부터 상기 선회실측으로 연장될수록 좁아지는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기의 노즐 어셈블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실 형성부재는,
    상기 노즐 팁 베이스의 하면에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 입수구를 형성시키는 돌출 베이스; 및,
    상기 입수구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돌출 베이스의 상면에서 서로 마주보게 돌출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벽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기의 노즐 어셈블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형합부재는,
    상기 제 1 및 제 2 벽체부 사이의 공간 일부에 안착되는 제 1 형합부; 및, 상기 제 1 형합부의 양단에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벽체부의 양측부로서 상기 입수구가 형성되는 상기 돌출 베이스 상면에 안착되는 제 2 형합부; 를 포함하면서, 상기 돌출 베이스의 상면 방향,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벽체부의 사이에 상기 선회실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기의 노즐 어셈블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실린더는 제 1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기의 노즐 어셈블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실린더와 상기 제 1 구동부는 제 2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세정기의 노즐 어셈블리.
KR1020190175685A 2019-12-26 2019-12-26 온수세정기의 노즐 어셈블리 KR202100830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685A KR20210083073A (ko) 2019-12-26 2019-12-26 온수세정기의 노즐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685A KR20210083073A (ko) 2019-12-26 2019-12-26 온수세정기의 노즐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073A true KR20210083073A (ko) 2021-07-06

Family

ID=76860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5685A KR20210083073A (ko) 2019-12-26 2019-12-26 온수세정기의 노즐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307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385B1 (ko) 2010-10-14 2011-04-26 대림통상 주식회사 비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385B1 (ko) 2010-10-14 2011-04-26 대림통상 주식회사 비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4047B2 (en) Showerhead with dual oscillating massage
US7850098B2 (en) Power sprayer
US20060226266A1 (en) Adjustable fluidic sprayer
US20170073953A1 (en) Nozzle assembl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108093B1 (ko) 비데용 밸브장치
JP4178353B2 (ja) 局部洗浄装置
US11583872B2 (en) Showerhead engine for rotating spray
JP2018130657A (ja) 噴霧器およびそれを備えた衛生洗浄装置
KR20210083073A (ko) 온수세정기의 노즐 어셈블리
US11267003B2 (en) Power sprayer
US10487488B2 (en) Sanitary washing device
KR101023212B1 (ko) 좌변기용 비데의 유로제어장치
KR102353889B1 (ko) 온수세정기의 노즐 어셈블리
KR101427165B1 (ko) 샤워기 헤드
JP4965089B2 (ja) 流体制御弁
JP4622065B2 (ja) 人体局部洗浄装置
KR102604374B1 (ko) 샤워기용 나선형 분출수 노즐 구조
KR20220150010A (ko) 비데의 노즐 어셈블리
KR101584234B1 (ko) 샤워기 헤드
CN210032011U (zh) 一种能产生倒圆锥发散水形的喷嘴及智能马桶喷枪
JP4725311B2 (ja) 噴流可動ノズル
KR20220073251A (ko) 온수세정기의 노즐어셈블리
KR200357707Y1 (ko) 바디마사지 강화용 샤워헤드
JP6700980B2 (ja) シャワーヘッド
KR102397930B1 (ko) 회전형 노즐어셈블리의 급수장치 및 그 급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