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0009A - 볼트를 따라 안내되는 브레이크 라이닝을 구비한 디스크브레이크 - Google Patents

볼트를 따라 안내되는 브레이크 라이닝을 구비한 디스크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0009A
KR20050110009A KR1020057017335A KR20057017335A KR20050110009A KR 20050110009 A KR20050110009 A KR 20050110009A KR 1020057017335 A KR1020057017335 A KR 1020057017335A KR 20057017335 A KR20057017335 A KR 20057017335A KR 20050110009 A KR20050110009 A KR 20050110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disc
bolts
linings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7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0102B1 (ko
Inventor
미카엘 쇼그
칼-하인츠 볼렌베버
크리스티안 슈뢰터
디르크 헤스
귀도 젠젠
Original Assignee
루카스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카스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루카스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50110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0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0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01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2055/0004Parts or details of disc brakes
    • F16D2055/007Pins holding the brak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레이크 라이닝(32)을 브레이크 디스크에 대해 축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볼트(16a, 16b)를 구비한 브레이크 캐리어를 포함하는 디스크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볼트 축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과 브레이크 축 사이의 반경 방향 간격은 상기 브레이크 축과 마찰 라이닝의 표면 중심(F) 사이의 반경 방향 간격보다 작다.

Description

볼트를 따라 안내되는 브레이크 라이닝을 구비한 디스크 브레이크{DISK BRAKE WITH BRAKE LININGS GUIDED ON BOLTS}
본 발명은, 볼트를 구비하며 차량에 체결되는 브레이크 캐리어, 브레이크 라이닝, 및 캘리퍼(caliper) 또는 프레임을 구비하는 디스크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유형의 브레이크는 공지되어 있다. 지지판과 마찰 라이닝으로 구성된 브레이크 라이닝은 통상적으로 브레이크 캐리어에 고정된 볼트에 의해서 브레이크 디스크에 대해 축방향으로 안내된다. 디스크 브레이크에서, "축방향"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브레이크 디스크의 회전축에 평행한 방향을 의미한다. "반경 방향"이라는 용어는 위에서 설명한 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의미한다.
이러한 유형의 디스크 브레이크에 대한 종래 기술은, 예를 들어 독일 특허 공보 제1 238 284호, 독일 특허 공보 제1 505 491호, 독일 특허 공보 제1 575 920호, 독일 특허 공보 제2 804 808호, 독일 특허 공보 제2 845 404호, 독일 특허 공보 제41 15 064호 및 독일 특허 공보 제4 416 815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디스크 브레이크의 종래 기술은 독일 특허 공보 제101 13 347호, 독일 특허 공보 제2 211 013호 및 미국 특허 공보 제3,915,263호에도 개시되어 있다.
디스크 브레이크의 설계시 지속적으로 요구되는 기술적 과제들로는, 제조 비용 및 브레이크 중량 저감과, 브레이크의 높은 작동 신뢰성 및 낮은 유지 비용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과제들에는 부식에 의한 브레이크의 파손 가능성을 피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제도 포함된다. 또한, 모든 브레이크의 설계시에는, 진동에 의해 유발되는 소음을 방지하도록 하는 과제가 요구된다.
도 1은 디스크 브레이크의 정면도로서, 디스크 브레이크가 설치된 상태에서 차량의 외부로부터 투시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를 위에서부터 캘리퍼의 방향으로 투시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과 도 2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의 측면도로서, 브레이크 디스크의 평면 방향으로 투시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브레이크 캐리어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브레이크 캐리어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 내지 도 6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의 배면도로서, 디스크 브레이크가 설치된 상태에서 차량의 내부로부터 투시하여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8은 도 1 내지 도 7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에 사용되는 브레이크 라이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브레이크 캐리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따른 브레이크 캐리어의 배면도이다.
도 11은 브레이크 캐리어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브레이크 캐리어를 구비한 브레이크 라이닝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따른 브레이크 라이닝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4는 캘리퍼를 구비한 도 11에 따른 브레이크의 실시예를 도시한 배면도로서, 차량의 내부로부터 투시하여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15는 도 11과 도 14에 따른 브레이크의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1, 도 14, 도 15에 따른 브레이크의 실시예에서 부동 캘리퍼를 브레이크 캐리어에 부착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 내지 도 10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에서 부동 캘리퍼가 볼트에 의해 안내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볼트와 탄성 슬리브를 구비한 브레이크 캐리어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감쇠용 판금을 구비한 라이닝 유지 볼트와 브레이크 라이닝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기술적 과제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크 브레이크는, 브레이크 라이닝을 디스크 브레이크에 대해 축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볼트를 구비하고 차체에 고정될 수 있는 브레이크 캐리어를 공지된 방식으로 구비한다. 브레이크 라이닝은 볼트와 맞물리는 유지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은, 볼트의 중앙축을 통과하는 평면과 디스크 축 사이의 반경 방향 간격이 그 디스크 축과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찰 라이닝의 중심 사이의 반경 방향 간격보다 작고, 브레이크 라이닝이 유지부에서 해당 볼트와의 선형 접촉부를 각각 구비함으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볼트의 중앙축을 통과하는 평면과 디스크 축 사이의 반경 방향 간격은 그 디스크 축과 마찰 라이닝의 중심 사이의 반경 방향 간격보다 적어도 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만큼 작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외부에 배치된 브레이크 라이닝은 볼트를 따라 안내되고, 볼트의 중앙축은, 디스크 축으로부터의 간격이 그 디스크 축과 마찰 라이닝의 중심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평면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위에서 언급한 사항들은 차량 내부의 브레이크 라이닝과 차량 외부의 브레이크 라이닝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볼트의 중앙축과 디스크 축 사이의 반경 방향 간격은 그 디스크 축과 브레이크 라이닝의 마찰 라이닝의 중심 사이의 반경 방향 간격보다 작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반경 방향 간격들 사이의 차이를 보면, 디스크 축(A)과 중심(F) 사이의 간격이 5% 또는 10%만큼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브레이크 라이닝은 볼트와 맞물리는 U자형 홈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U자형 홈은 브레이크의 대칭면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즉 홈의 중앙축(이 중앙축은 또한 홈의 대칭축임)이 브레이크의 대칭면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이때 상기 대칭면은,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브레이크 디스크의 회전축(A)과 마찰 라이닝의 중심(F)을 통과하고 마찰 라이닝에 수직한 평면을 말한다.
U자형 홈 대신에, 구멍이 해당 볼트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브레이크 라이닝에 구비될 수도 있다. 브레이크 라이닝에 긴 구멍을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 구멍의 종축, 즉 구멍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축은 브레이크의 대칭면에 수직하게 연장된다.
본 발명은 또한 위에서 언급한 유형의 디스크 브레이크와 함께 사용되는 브레이크 라이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위에서 언급한 유형의 디스크 브레이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성들이 종속항들과 이하의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에 개시되어 있다.
이하의 도면들에는 여러 가지 다른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으며, 서로 기능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재들은 동일 도면 부호들로 표기하였다.
특히 도 1, 도 2,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캐리어(10)는 2개의 암(10a, 10b)을 구비한다. 브레이크 캐리어 위에는 캘리퍼(caliper)(12)가 배치되며, 이 캘리퍼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부동 캘리퍼(floating caliper)로서 두 부재로 구성된다. 캘리퍼는 또한 차량 내부 영역(12a)과 차량 외부 영역(12b)을 구비한다. 이들 영역(12a, 12b)은 스크류(26a, 26b, 26c, 26d)(도 2 및 도 7 참조)에 의해 서로 견고하게 연결된다. 브레이크 캐리어(10)는 구멍(14a, 14b)과 스크류(미도시)를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식으로 차량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특히 도 6(또한 도 1, 도 3,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6a, 16b, 18a, 18b)가 브레이크 캐리어(10)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이 볼트들의 종방향 연장부에는 수나사가 구비되어 브레이크 캐리어(10)의 암나사와 체결된다. 도 6에 노출되어 도시된 볼트 영역(즉, 도 6에서 브레이크 캐리어에 의해 덮여지지 않은 볼트 영역)에는 나사가 형성되지 않는다. 이렇게 나사가 형성되지 않은 볼트(16a, 16b, 18a, 18b) 영역들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브레이크 라이닝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도 3, 도 4,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동 캘리퍼(12)는 볼트(20a, 20b) 상에서 활주된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20a, 20b)는 차량의 내부에 동축으로 배치된 볼트(18a, 18b) 내로 체결된다. 이를 위해서, 볼트(18a, 18b)의 중앙에는 암나사가 구비되며, 볼트(20a, 20b)의 수나사가 각각 상기 암나사 내로 체결된다. 따라서, 볼트(20a, 18a)와 볼트(20b, 18b)는 각각 서로 동축이다(도 3 참조). 이와 유사하게, 볼트(16a, 18a)와 볼트(16b, 18b)도 동축이다(도 6).
도 2와 도 7을 보면, 2개의 부동 캘리퍼 영역(12a, 12b)이 스크류(26a, 26b, 26c, 26d)에 의해 서로 견고하게 연결된다. 두 캘리퍼 영역(12a, 12b)의 접촉면이 도 2에 도면 부호 12c로 표기되어 있다.
브레이크 유체는 피스톤(28)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유체 입구(22)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유체 챔버(30) 내로 유입된다. 따라서, 챔버(30)의 유체 압력이 증가되면. 피스톤(28)이 도 4의 우측으로 이동되며, 이에 상응하게 캘리퍼(12)가 좌측으로 이동된다.
도 8은 2개의 동일하게 구성된 브레이크 라이닝(32a, 32b) 중 하나를 도시하고 있다(도 4 참조). 브레이크 라이닝(32a)은 지지판(34a)(금속제)과 마찰 라이닝(36a)으로 구성된다. 마찰 라이닝(36a)은 제동 중에 마찰에 의해 마모된다. 도 8은 또한 마찰 라이닝(32a)의 중심(F)을 도시하고 있다. 각각 브레이크의 외측과 내측에서 브레이크 라이닝은 U자형 홈(40, 40')을 구비한다. 도 8은 또한 브레이크 디스크(38)의 회전축(A)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브레이크 디스크(38)는 도 8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4 참조].
브레이크 라이닝(32a, 32b)의 U자형 홈(40, 40')은 위에서부터 볼트(16a, 16b 또는 18a, 18b)의 나사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홈(40, 40')의 벽과 각 볼트(16a, 16b, 18a, 18b)의 표면 사이의 선형 접촉부가 형성된다.
브레이크 부재, 특히 볼트(16a, 16b, 18a, 18b)의 위치와, 브레이크 라이닝(32a, 32b)의 홈(40, 40')들 사이의 간격과, 홈(40, 40')들 자체의 크기는, 볼트(16a, 16b, 18a, 18b)의 종축들이 그 종축들을 통하는 평면을 형성하되, 브레이크 디스크의 회전축(A)(도 8 참조)으로부터의 간격이 그 회전축(A)과 마찰 라이닝의 중심(F)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평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정해진다. 도 1과 도 5를 보면, 볼트의 중앙축에 의해 형성된 평면이 도면 부호 "P"로 표기되어 있다. 투영면에 수직으로 배치된 디스크 브레이크의 회전축(A) 위치가 또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물론, 상기 평면으로부터 디스크 축 사이의 반경 방향 간격은 상기 평면에 수직선을 도시하여 산출되며, 이는 수직 간격을 의미한다. 이 수직 간격이 도 5에 도면 부호 "D"로 표기되어 있다.
또한, 브레이크 부재의 크기는, 차량을 제동시킬 수 있는 제동력이 대략 0.1g까지 인가될 때 단지 인장력만이 브레이크 라이닝에 인가되도록 선정된다. 도 8에서 브레이크 디스크가 축(A)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브레이크의 입구측은 우측, 즉 홈(40)에 대응되게 위치하며, 브레이크의 출구측은 좌측, 즉 홈(40')에 대응되게 위치한다. 타이어와 도로를 서로 우수하게 마찰 연결시킬 수 있는 제동력이 위에서 언급한 최대 감속도 0.1g를 초과하지 않으면, 단지 인장력만이 브레이크 라이닝(32a), 즉 입구측(도 8의 우측)에 가해지게 되어, 제동력은 브레이크 라이닝의 입구측 돌출부(42)에 의해 흡수된다(마찰력은 도 8의 좌측으로 작용함). 제동력이 0.1g의 감속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만, 브레이크 라이닝의 후위면(46)이 홈(40')의 해당 볼트와 충돌하게 되어, 제동력은 인장력[돌출부(42)]과 압축력[후위면(46)]에 의해 흡수된다.
또한, 브레이크의 크기는, 대략 1㎨까지의 차량 감속도에 해당되는 대략 10바까지의 유압 제동 압력으로부터 형성된 제동력을 전달하는 중에는, 단지 위에서 설명한 인장력만이 브레이크 라이닝[브레이크 라이닝(32a, 32b)]에 작용하고, 3㎨ 이상의 감속도에 해당되는 30바 이상의 유압 제동 압력의 경우에는, 인장력과 압축력(위에서 설명함)이 항상 브레이크 라이닝에 작용하도록 선정된다. 10바 내지 30바 사이의 천이 범위에서는 점차로 증가하는 힘 전달이 압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는 브레이크 캐리어를 가볍게(경량으로) 형성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큰 원주 방향 힘이 양 캐리어 암에 분배된다. 위에서 설명한 인장력 또는 압축력에 의한 힘 전달은 바람직하게는 차량 외부의 브레이크 라이닝에 적용된다. 차량 내부에 배치된 브레이크 라이닝은 바람직하게는 대부분 인장력을 받도록 적용된다.
도 9와 도 10은 브레이크의 특정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며, 브레이크 캐리어(10)는 차량 외부에 구비되고, 브레이크 캐리어(10)의 자유 암(10a, 10b)을 서로 연결시키는 브리지(42)를 구비한다. 브리지(42)는 일례로 판금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볼트(16a, 16b)에 의해 체결된다. 브리지(42)는 브레이크 캐리어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며, 힘을 전달시킬 수 있다. 또한, 브리지는 일례로 식별자 또는 상표를 부착시키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또한, 브리지(42)는 특히 감쇠용 재료를 구비한 다층 판금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때 감쇠층이 금속층들 사이에 있는 샌드위치 구성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스크류 체결 영역[볼트(16a, 16b)]에는 감쇠용 재료가 구비되지 않는다.
도 8에 따른 U자형 홈(40, 40')은 측면들 사이의 기저부에서 둥근 천이부를 구비하며, 천이부 반경은(도면 부호 48 참조) 지지 볼트(16a, 16b, 18a, 18b)의 반경보다 작다. 이로써, 브레이크 라이닝과 볼트 사이의 접촉 라인을 보다 정확하게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U자형 홈(40, 40')과 볼트의 작은 선형 접촉부로 인해, 어떠한 부식성 물질도 높은 표면 압력에 의해서 제거될 수 있게 된다. 거의 대부분의 진동이 방지된다.
U자형 홈(40, 40')에는, 일례로 U자형의 감쇠용 판금이 볼트와 홈의 벽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볼트(16a, 16b, 18a, 18b)는 또한 슬리브, 특히 탄성 슬리브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 슬리브는 진동을 추가로 감쇠시킬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브레이크는 또한 쉽게 제조할 수 있고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제조시, 브레이크 캐리어의 기계 가공 중에는 단지 드릴링 가공, 대칭 형상 가공 및 나사 절삭 가공만이 필요하다.
도 11은 도 6에 따른 실시예에 대해 변형된 브레이크 캐리어(10)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따른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도 11에 따른 브레이크 캐리어(10)에는 볼트(16a, 16b, 18a, 18b)(도 11에는 미도시)를 유지시키기 위한 나사형 구멍(50a, 50b)이 또한 성형된다. 도 6에 따른 실시예의 변형예인 도 11에 따른 브레이크 캐리어의 실시예에서는, 캘리퍼를 안내하기 위한 볼트가 브레이크 라이닝을 지지하는 볼트 내로 동축으로 체결되지 않고, 그 대신에 캘리퍼가 축방향으로 활주될 수 있도록 하는 볼트(도 16의 도면 부호 56a 참조)를 유지시키기 위해 별도의 나사형 구멍(52a, 52b)이 마련된다.
캘리퍼가 나사형 구멍(52a, 52b)과 해당 볼트(56a)(도 16 참조)에 의해 안내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1에 따른 브레이크 캐리어를 구비한 브레이크는 도 1 내지 도 10에 따른 실시예와 일치한다. 이는 도 14,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1 내지 도 10에 따른 실시예의 해당 부재와 기능이 동일하거나 적어도 유사한 부재는 도 1 내지 도 10의 도면 부호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기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변형 실시예에서는, 부동 캘리퍼(12)가 나사형 구멍(52a, 52b)(도 11) 내로 체결되는 볼트(56a, 56b) 상에서 활주된다.
도 12는 도 8에 따른 실시예의 변형 실시예로서 마찰 라이닝(36)을 구비한 브레이크 라이닝(32)을 도시하고 있다. 이 브레이크 라이닝(32)은 브레이크 캐리어(10)없이 도 13에 약간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17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브레이크 라이닝을 지지하는 볼트(16a, 16b, 18a, 18b)는 그 지지 영역이 실린더형이다.
도 16은, 브레이크 캐리어(10)의 나사형 구멍(52a) 내로 체결되는 대응되게 구성된 볼트(56a)[브레이크의 타측에는 볼트(56b)가 대응되게 구성되며, 이에 대해서는 도 14 참조]에 의해 부동 캘리퍼(12)가 브레이크 캐리어(10)에 지지된 상태를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슬리브(58)가 볼트(56a)와 캘리퍼(12) 사이에 위치된다. 활주 안내부는 통상적인 방식으로 밀봉된다.
도 17은 도 1 내지 도 10에 따른 브레이크를 상세히 도시한 상세도로서, 부동 캘리퍼가 활주되도록 하는 볼트(20a)와 브레이크 라이닝을 지지하는 볼트(16a)의 동축 배치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위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대응 수나사를 구비한 볼트(20a)가 중앙에 암나사(60)를 구비한 볼트(16a) 내로 체결된다. 캘리퍼(12)에 견고하게 연결된 또 다른 슬리브(64)가 슬리브(62) 상에서 활주된다. 슬리브(62) 외부의 활주면은 시일(66)에 의해 밀봉된다.
도 18은 슬리브(68)를 구비한 볼트(16a)를 구비하는 브레이크 캐리어(10)의 바람직한 구성을 상세히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슬리브에는 브레이크 라이닝이 도 8에 따른 U자형 홈에 의해 또는 도 12, 도 13에 따른 구멍(54a 또는 54b)에 의해 지지된다. 슬리브(68)는 부식 방지 특성 및/또는 브레이크 라이닝과 볼트 사이의 감쇠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9는 일례로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브레이크 라이닝(32a, 32b) 중 하나인 브레이크 라이닝(32)과 볼트(16a)를 구비한 바람직한 구성을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은 볼트(16b)에 대해서도 대응되게 구성될 수 있으며, 탄성 판금(70)이 감쇠 작용을 위해 볼트와 브레이크 라이닝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은, 위에서 일례로서 제시된 부동 캘리퍼 브레이크의 변형예로서 고정 캘리퍼 브레이크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고정 캘리퍼의 경우에는 단지 힘이 브레이크 라이닝 내로 달리 전달된다는 점만 제외하고는, 브레이크 캐리어 및 볼트와 브레이크 라이닝의 해당 특성들은 부동 캘리퍼와 일치한다. 고정 캘리퍼 브레이크에서는, 도 8의 도면 부호 40, 40'에 해당되는 홈이 바람직하게는 긴 구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4-피스톤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라이닝이 인장력을 받기 때문에, 모든 피스톤 직경을 동일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생긴다. 보다 큰 직경의 피스톤을 외부에 구비할 필요가 없다.

Claims (12)

  1. 브레이크 캐리어(10)를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 캐리어(10)는 브레이크 라이닝(32a, 32b)을 브레이크 디스크(38)에 대해 축방향으로 안내하는 적어도 2개의 볼트(16a, 16b, 18a, 18b)를 구비하며, 상기 브레이크 라이닝(32a, 32b)은 볼트(16a, 16b, 18a, 18b)와 맞물리는 유지부(40, 40', 54a, 54b)를 구비하고, 상기 볼트(16a, 16b)의 중앙축은, 디스크 축(A)으로부터의 반경 방향 간격(D)이 상기 디스크 축(A)과 브레이크 라이닝(32a, 32b)의 마찰 라이닝(36a, 36b)의 중심(F) 사이의 반경 방향 간격보다 작은 평면(P)을 형성하는, 디스크 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라이닝(32a, 32b)은 홈(40, 40', 54a, 54b)에서 해당 볼트(16a, 16b, 18a, 18b)와의 선형 접촉부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2. 제1항에 있어서,
    볼트의 중앙축을 통과하는 평면(P)과 디스크 축(A) 사이의 반경 방향 간격은, 상기 디스크 축(A)과 브레이크 라이닝(32a, 32b)의 마찰 라이닝(36a, 36b)의 중심(F) 사이의 반경 방향 간격보다 적어도 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만큼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차량 외부의 브레이크 라이닝(32b)은 볼트(16a, 16b)에 배치되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4.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캐리어(10)는, 2개의 브레이크 라이닝(32a, 32b)을 지지하여 차량의 외부 또는 차량의 내부에서 안내하는 4개의 볼트(16a, 16b, 18a, 18b)를 구비하고, 볼트의 중앙축은, 평면(P)을 형성하되, 디스크 축(A)으로부터의 반경 방향 간격(D)이 상기 디스크 축(A)과 브레이크 라이닝(32a, 32b)의 마찰 라이닝(36a, 36b)의 중심(F) 사이의 반경 방향 간격보다 작은 평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5.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라이닝(32a, 32b)은 볼트(16a, 16b, 18a, 18b)와 맞물리는 U자형 홈(40, 4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6.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라이닝(32a, 32b)은 해당 볼트(16a, 16b, 18a, 18b)를 유지시키는 긴 구멍을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7.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볼트(16a, 16b, 18a, 18b)는 브레이크 캐리어(10)와 다른 재료, 특히 스테인레스 강재로 구성되거나, 볼트는 스테인레스 재료의 코팅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8.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동 캘리퍼 브레이크, 부동 프레임 브레이크 또는 고정 캘리퍼 브레이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9.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볼트(16a, 16b, 18a, 18b)와 적어도 외부 브레이크 라이닝(32b)의 상대적인 배치와 크기는, 차량을 제동시킬 수 있는 제동력이 대략 0.1g 범위의 최대치까지 작용할 때 단지 인장력만이 브레이크 라이닝(32b)에 작용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10. 디스크 브레이크의 두 볼트에 지지되고,
    볼트용 유지부(40, 40'; 54a, 54b)를 구비하며,
    상기 유지부의 크기는, 볼트의 중앙축에 의해 형성된 평면과 브레이크 디스크 축(A) 사이의 간격(D)이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 축(A)과 마찰 라이닝(36a, 36b)의 중심(F) 사이의 간격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디스크 브레이크용 브레이크 라이닝(32a, 32b)에 있어서,
    유지부(40, 40', 54a, 54b)에서 해당 볼트(16a, 16b, 18a, 18b)와의 선형 접촉부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라이닝.
  11. 제10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캐리어(10)의 안내 볼트(16a, 16b, 18a, 18b)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배치되고 크기가 형성되는 U자형 홈(40, 4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라이닝.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긴 구멍으로 성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라이닝.
KR1020057017335A 2003-03-20 2004-03-12 볼트를 따라 안내되는 브레이크 라이닝을 구비한 디스크브레이크 KR1007801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12480.2 2003-03-20
DE10312480A DE10312480B4 (de) 2003-03-20 2003-03-20 Scheibenbremse mit auf Bolzen geführten Bremsbeläg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0009A true KR20050110009A (ko) 2005-11-22
KR100780102B1 KR100780102B1 (ko) 2007-11-29

Family

ID=32980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7335A KR100780102B1 (ko) 2003-03-20 2004-03-12 볼트를 따라 안내되는 브레이크 라이닝을 구비한 디스크브레이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377368B2 (ko)
EP (1) EP1604127B1 (ko)
JP (1) JP2006520449A (ko)
KR (1) KR100780102B1 (ko)
CN (1) CN100520104C (ko)
AT (1) ATE331153T1 (ko)
BR (1) BRPI0407630B1 (ko)
DE (2) DE10312480B4 (ko)
ES (1) ES2268643T3 (ko)
WO (1) WO2004083669A1 (ko)
ZA (1) ZA20050753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5733A (ko) * 2011-09-14 2014-06-19 크노르-브렘제 시스테메 퓌어 누츠파조이게 게엠베하 차량의 디스크 브레이크 및 브레이크 라이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11746B2 (ja) * 2005-08-08 2012-04-04 日清紡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ワークの自動掛け降し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使用したワークの自動掛け降し装置
US7784591B2 (en) 2006-03-15 2010-08-31 Kelsey-Hayes Company Defined brake pad abutment
CN101581344B (zh) * 2008-05-16 2011-04-06 天合汽车研发(上海)有限公司 盘式制动钳
JP2011529162A (ja) * 2008-07-22 2011-12-01 フレニ ブレンボ エス.ピー.エー. ブレーキキャリパー用パッド及びディスクブレーキ用ブレーキキャリパー
US8251188B2 (en) 2008-09-17 2012-08-28 Akebono Brake Corporation Disc brake having a pin rail caliper
DE102008058975A1 (de) 2008-11-25 2010-05-27 Lucas Automotive Gmbh Scheibenbremsanordnung
JP5178596B2 (ja) * 2009-03-23 2013-04-10 曙ブレーキ工業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
JP5332819B2 (ja) * 2009-03-31 2013-11-06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KR101317152B1 (ko) * 2009-11-30 2013-10-11 주식회사 만도 디스크 브레이크
US8485323B2 (en) 2010-10-08 2013-07-16 Akebono Brake Corporation Caliper assembly for disc brake system
DE102012021690A1 (de) * 2012-11-07 2014-05-08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Scheibenbremse für ein Nutzfahrzeug
US9328785B2 (en) * 2013-03-15 2016-05-03 Hb Performance Systems, Inc. Tensioned brake pad
JP6189718B2 (ja) * 2013-11-07 2017-08-30 曙ブレーキ工業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用パッド及び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JP6261289B2 (ja) * 2013-11-07 2018-01-17 曙ブレーキ工業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用パッドスプリング
USD822563S1 (en) * 2014-07-17 2018-07-10 Dennis Michael Nosworthy Disc brake caliper bracket
DE102016209069A1 (de) * 2015-08-31 2017-03-02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Rückenplatte für einen Scheibenbremsbelag, Scheibenbremsbelag und Festsattelscheibenbremse dazu
USD812534S1 (en) * 2015-09-11 2018-03-13 Hb Performance Systems, Inc. Brake caliper housing
WO2017059336A1 (en) * 2015-10-01 2017-04-06 Peformance Friction Corporation Brake pad with spring clip for noise and vibration abatement
JP7426245B2 (ja) * 2020-01-15 2024-02-01 曙ブレーキ工業株式会社 ピン受金具付きディスクブレーキ用パッド及び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CN113788044A (zh) * 2021-10-11 2021-12-14 中车长春轨道客车股份有限公司 磁悬浮车辆及其制动夹钳
DE102022208603A1 (de) 2022-08-18 2024-02-29 Hl Mando Corporation Bremssattelanordnung mit einem führungsstift, der an einem bremsbelagträger befestigt ist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575920A1 (de) * 1951-01-28 1970-01-02 Ernst Heinkel Ag Anordnung von Bremsbelaegen an einer Teilbelagscheibenbremse
DE1238284B (de) 1962-09-06 1967-04-06 Daimler Benz Ag Aus Traegerplatte und Bremsbelag bestehende Bremsbacke fuer eine Teilbelagscheibenbremse,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US3298468A (en) * 1964-12-24 1967-01-17 Budd Co Caliper-type disk brakes
GB1173698A (en) 1967-03-09 1969-12-10 Heinkel Ag Ernst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isc Brake Assemblies.
DE2211013A1 (de) * 1972-03-08 1973-09-20 Daimler Benz Ag Teilbelag-scheibenbremse mit schwimmsattel,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FR2232701B1 (ko) * 1973-06-05 1977-02-04 Dba
US4093043A (en) * 1977-03-17 1978-06-06 The B. F. Goodrich Company Caliper type disc brake
FR2406754A1 (fr) * 1977-10-18 1979-05-18 Citroen Sa Perfectionnements apportes aux freins a disque
DE2804808B2 (de) * 1978-02-04 1981-04-16 Alfred Teves Gmbh, 6000 Frankfurt Bremsbackenhalterung für eine Teilbelagscheibenbremse,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JPS5662436U (ko) * 1979-10-20 1981-05-26
DE3042601A1 (de) * 1980-11-12 1982-06-24 Alfred Teves Gmbh, 6000 Frankfurt Bremsbacken-haltevorrichtung fuer eine scheibenbremse
DE3222956A1 (de) * 1982-06-18 1983-12-22 Alfred Teves Gmbh, 6000 Frankfurt Faustsattelscheibenbremse
DE3530598A1 (de) * 1985-08-27 1987-03-05 Knorr Bremse Ag Scheibenbremse fuer fahrzeuge
DE4115064C2 (de) * 1991-04-04 2000-09-28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Festsattel-Teilbelagscheibenbremse
JP2562986Y2 (ja) * 1992-05-08 1998-02-16 曙ブレーキ工業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
DE4416815C2 (de) * 1994-05-13 1997-09-11 Porsche Ag Festsattelbremse
DE4418955B4 (de) * 1994-05-31 2004-01-29 Bayerische Motoren Werke Ag Festsattel-Teilbelagsscheibenbremse für Kraftfahrzeuge
US5860496A (en) * 1996-12-18 1999-01-19 Itt Automotive Inc. Pin guided push-pull caliper
FR2764658B1 (fr) * 1997-06-12 1999-07-16 Bosch Syst Freinage Frein a disque a tube de guidage precontraint
US6039155A (en) * 1998-03-27 2000-03-21 Robert Bosch Technology Corporation Disc brake
DE10113347A1 (de) * 2000-05-23 2001-12-13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Teilbelagscheibenbremse mit Bremsbelagabstützung
EP1158196A3 (de) * 2000-05-23 2002-08-28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Teilbelagscheibenbremse mit Bremsbelagabstütz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5733A (ko) * 2011-09-14 2014-06-19 크노르-브렘제 시스테메 퓌어 누츠파조이게 게엠베하 차량의 디스크 브레이크 및 브레이크 라이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312480B4 (de) 2007-03-29
EP1604127A1 (de) 2005-12-14
JP2006520449A (ja) 2006-09-07
CN1798933A (zh) 2006-07-05
BRPI0407630A (pt) 2006-02-21
WO2004083669A1 (de) 2004-09-30
DE502004000841D1 (de) 2006-08-03
ATE331153T1 (de) 2006-07-15
ZA200507537B (en) 2006-06-28
KR100780102B1 (ko) 2007-11-29
CN100520104C (zh) 2009-07-29
ES2268643T3 (es) 2007-03-16
EP1604127B1 (de) 2006-06-21
BRPI0407630B1 (pt) 2016-07-19
US20060060430A1 (en) 2006-03-23
DE10312480A1 (de) 2004-10-14
US7377368B2 (en) 2008-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0102B1 (ko) 볼트를 따라 안내되는 브레이크 라이닝을 구비한 디스크브레이크
KR100832582B1 (ko) 디스크 브레이크
US7731002B2 (en) Disc brake
US7201258B2 (en) Disc brake
RU2666984C1 (ru) Дисковый тормоз, суппорт дискового тормозного механизма и комплект тормозных накладок для дискового тормоза
US3734248A (en) Floating caliper assembly for distribution of brake shoe thrust in dual hydraulic brake system
JPH05193466A (ja) スポットタイプディスクブレーキ
US20070170019A1 (en) Symmetric brake clip
JP4965085B2 (ja) ワイドキャリパ組立体
JP2021515149A (ja) ディスクブレーキディスク用固定キャリパ本体
US11835098B2 (en) Disc brake device and disc brake pad
CA2502525A1 (en) Disc brake for a vehicle
JP5087497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KR20010091079A (ko) 브레이크용 캘리퍼 가이드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