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9721A - 차내 환경의 안전 확보 장치 - Google Patents

차내 환경의 안전 확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9721A
KR20050109721A KR1020040034722A KR20040034722A KR20050109721A KR 20050109721 A KR20050109721 A KR 20050109721A KR 1020040034722 A KR1020040034722 A KR 1020040034722A KR 20040034722 A KR20040034722 A KR 20040034722A KR 20050109721 A KR20050109721 A KR 20050109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window
air conditioner
vehicle
closing
det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4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권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4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9721A/ko
Publication of KR20050109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9721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40Safety devices, e.g. detection of obstructions or end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6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vehicle driving condition, e.g. speed
    • B60H1/007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vehicle driving condition, e.g. speed the input being a stationary vehicle position, e.g. parking or sto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6Ventilating openings in vehicle exterior; Ducts for conveying ventilating air
    • B60H1/265Openings in window or door post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05F15/695Control circui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05F15/697Motor units therefor, e.g. geared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하면서도 제조 비용이 저렴한 차내 환경의 안전 확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에어컨 또는 히터로 이루어진 공조기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차량의 실내 환경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차내 환경의 안전 확보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정차 여부를 감지하는 정차 감지부; 도어윈도우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윈도우 개폐감지부; 도어윈도우를 개폐하는 도어윈도우 개폐 수단; 차내 환경의 위험을 경고하는 경고 수단 및 상기 정차 감지부에 의해 차량이 정차 상태임이 확인되고, 상기 도어윈도우 개폐감지부에 의해 상기 도어윈도우의 폐쇄 상태가 확인된 상태에서 상기 공조기가 동작 중인 상태에서 상기 공조기 동작 시간이 소정의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도어윈도우 개폐 수단을 동작시켜 도어윈도우를 개방하고, 상기 경고 수단을 동작시켜 경고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내 환경의 안전 확보 장치{SAFETY GUARDING APPARATUS FOR INTERIOR ENVIRONMENT}
본 발명은 차내 환경의 안전 확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탑승자가 차내를 밀폐시킨 채로 공조기를 가동한 상태에서 수면을 취하고 있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차내의 산소 부족으로 인한 질식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차내 환경의 안전 확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차량이 늘어나면서 사람들이 차량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이 늘어나고 있다. 한편, 이런 저런 이유로 해서 차내에서 수면을 취하는 경우가 있는데, 날이 몹시 덥거나 추운 경우에 차량의 도어 윈도우를 모두 폐쇄시킨 상태에서 에어컨이나 히터 같은 공조기를 가동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런 상태가 장시간 지속되다보면 차내에 산소가 부족하여 탑승자가 질식사하는 경우가 왕왕 있어 왔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 1998년 실용신안공개 제41580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 도 1은 종래의 차내 환경의 안전 확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내 환경의 안전 확보 장치는 차량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의 입력단에 실내의 산소농도를 감지하는 산소 센서(2)가 연결되는 한편, 그 출력단에는 비상등 구동부(3)와 경고음 발생부(4) 및 도어윈도우 개폐구동부(5)가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산소 센서(2)에서 감지된 산소 농도가 미리 설정해 놓은 기준값에 미달한다고 판단될 때 제어부(1)가 비상등 구동부(3)와 경고음 발생부(4)를 작동시킴과 더불어 도어윈도우 개폐구동부(5)를 제어하여 도어 윈도우를 개방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차내 환경의 안전 확보 장치에 따르면, 산소 센서와 그 주변부의 구성이 정밀도를 요하기 때문에 매우 고가이고, 이에 따라 제조 비용이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하면서도 제조 비용이 저렴한 차내 환경의 안전 확보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에어컨 또는 히터로 이루어진 공조기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차량의 실내 환경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차내 환경의 안전 확보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정차 여부를 감지하는 정차 감지부; 도어윈도우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윈도우 개폐감지부; 도어윈도우를 개폐하는 도어윈도우 개폐 수단; 차내 환경의 위험을 경고하는 경고 수단 및 상기 정차 감지부에 의해 차량이 정차 상태임이 확인되고, 상기 도어윈도우 개폐감지부에 의해 상기 도어윈도우의 폐쇄 상태가 확인된 상태에서 상기 공조기가 동작 중인 상태에서 상기 공조기 동작 시간이 소정의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도어윈도우 개폐 수단을 동작시켜 도어윈도우를 개방하고, 상기 경고 수단을 동작시켜 경고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차내 환경의 안전 확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내 환경의 안전 확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내 환경의 안전 확보 장치는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0), 차량이 정차 상태인 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정차 감지부(12), 도어 윈도우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윈도우 개폐감지부(14), 에어컨이나 히터와 같은 차량 공조기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키 입력부(16), 에어컨 동작 명령 입력시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압축기(20)를 구동하는 압축기 구동부(18), 에어컨 동작 명령 입력시 또는 히터 동작 명령 입력시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송풍팬(24)을 구동하는 송풍팬 구동부(22),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도어윈도우 개폐모터(28)를 구동하는 도어윈도우 개폐구동부(26) 및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경고 부저(32)를 구동하는 부저 구동부(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제어부(10)는 통상의 전자제어 유니트로 구현될 수 있고, 정차 감지부(12)는 차량에 기 구비된 차속 감지부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에서 나머지의 구성들은 모두 차량에 기 구비되어 있는 것들이기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차내 환경 안전 확보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내 환경의 안전 확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인 바, 별다른 설명이 없는 한 제어부(10)가 주체가 되어 수행함을 밝혀 둔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 S2에서는 공조기(이하 편의상 에어컨을 예로 들어 설명을 진행한다)의 구동 명령이 입력되었는 지를 판단하는데,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 프로그램은 종료되는 반면에 입력된 경우에는 단계 S4로 진행하여 압축기(20) 및 송풍팬(24)의 구동을 개시하게 된다.
다음으로 단계 S6에서는 도어윈도우 개폐감지부(14)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의해 도어윈도우의 개폐 상태를 판단하는데, 도어윈도우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계 S8로 진행하여 제어부(10)의 내부에 소프트웨어적으로 구비된 구동시간 타이머의 동작을 개시하게 된다. 이 단계 S8은 차내가 밀폐된 상태에서 에어컨의 최대 동작 시간을 제한, 즉 차내에 산소가 부족한 상태를 방지하기 위하여 주어진다.
다음으로, 단계 S10에서는 에어컨의 구동 시간이 미리 정해진 기준 시간을 초과하였는 지를 판단하는데,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10을 반복하고, 초과한 경우에는 단계 S12로 진행하여 압축기(20) 및 송풍팬(24)의 구동을 중지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단계 S14에서는 도어윈도우 개폐구동부(26)를 제어하여 도어 윈도우를 강제로 개방하고, 다시 단계 S16에서는 부저 구동부(30)를 제어하여 부저(32)를 구동함으로써 탑승자에게 산소 부족을 경고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공조기로 에어컨을 예를 들어 설명을 진행하였지만, 히터의 구동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히터의 경우에 도 3의 단계 S12에서는 송풍팬(28)의 구동만을 중지하면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차내 환경의 안전 확보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내 환경의 안전 확보 장치에 따르면,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하면서도 저렴한 제조 비용으로 차내 환경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내 환경의 안전 확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내 환경의 안전 확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내 환경의 안전 확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제어부, 12: 정차 감지부,
14: 도어윈도우 개폐감지부, 16: 키 입력부,
18: 압축기 구동부, 20: 압축기,
22: 송풍팬 구동부, 24: 송풍팬,
26: 도우윈도우 개폐구동부, 28: 윈도우 개폐모터,
30: 부저 구동부, 32: 부저

Claims (2)

  1. 에어컨 또는 히터로 이루어진 공조기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차량의 실내 환경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차내 환경의 안전 확보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정차 여부를 감지하는 정차 감지부;
    도어윈도우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윈도우 개폐감지부;
    도어윈도우를 개폐하는 도어윈도우 개폐 수단;
    차내 환경의 위험을 경고하는 경고 수단 및
    상기 정차 감지부에 의해 차량이 정차 상태임이 확인되고, 상기 도어윈도우 개폐감지부에 의해 상기 도어윈도우의 폐쇄 상태가 확인된 상태에서 상기 공조기가 동작 중인 상태에서 상기 공조기 동작 시간이 소정의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도어윈도우 개폐 수단을 동작시켜 도어윈도우를 개방하고, 상기 경고 수단을 동작시켜 경고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내 환경의 안전 확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차 감지부에 의해 차량이 정차 상태임이 확인되고, 상기 도어윈도우 개폐감지부에 의해 상기 도어윈도우의 폐쇄 상태가 확인된 상태에서 상기 공조기가 동작 중인 상태에서 상기 공조기 동작 시간이 소정의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상기 공조기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내 환경의 안전 확보 장치.
KR1020040034722A 2004-05-17 2004-05-17 차내 환경의 안전 확보 장치 KR200501097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4722A KR20050109721A (ko) 2004-05-17 2004-05-17 차내 환경의 안전 확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4722A KR20050109721A (ko) 2004-05-17 2004-05-17 차내 환경의 안전 확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9721A true KR20050109721A (ko) 2005-11-22

Family

ID=37285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4722A KR20050109721A (ko) 2004-05-17 2004-05-17 차내 환경의 안전 확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972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112B1 (ko) * 2014-02-28 2014-11-17 동양기전 주식회사 모터의 출력전류를 이용한 파워 윈도우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CN111806193A (zh) * 2020-06-24 2020-10-23 江永县元杰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空调的报警方法和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112B1 (ko) * 2014-02-28 2014-11-17 동양기전 주식회사 모터의 출력전류를 이용한 파워 윈도우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CN111806193A (zh) * 2020-06-24 2020-10-23 江永县元杰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空调的报警方法和装置
CN111806193B (zh) * 2020-06-24 2024-02-20 江永县元杰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空调的报警方法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19498A (ko) 차량내 질식사방지 제어 장치
KR20050109721A (ko) 차내 환경의 안전 확보 장치
KR101344522B1 (ko) 차량환기방법
KR20220060135A (ko) 내외기 순환제어가 가능한 차량용 공기 정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내외기 순환제어가 가능한 차량내 공기 정화방법
KR19980026009A (ko) 자동차 실내 공기 오염방지 장치 및 방법
KR100727183B1 (ko) 차량 실내 질식사 방지용 윈도우 개폐장치
KR19990011007A (ko) 자동 환기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0300242Y1 (ko) 차량의 실내공기 오염 경고 및 방지장치
KR200372931Y1 (ko) 차량내 질식사 방지 장치
KR19990030384A (ko) 차량의 자동 환풍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550608B1 (ko) 차량용 썬루프 자동 작동장치
KR19980021036A (ko) 질식방지 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공조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40065876A (ko) 차량의 파워 윈도우 장치
JPH0357717A (ja) パワーウィンドウの制御装置
KR20070110663A (ko) 차량 내 위험 상황 경보 방법
KR19980029895U (ko) 자동차의 실내온도 조절장치
KR19990056167A (ko) 자동차 에어컨/히터 자동 조절장치 및 방법
KR20040104123A (ko) 자동차의 실내 환기방법
KR20030065598A (ko) 적외선 센서와 산소 농도 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공기 순환시스템
KR20000006608U (ko) 자동차용 실내온도 조절장치
KR19990011015A (ko) 온도 상승 방지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9980010752U (ko) 자동차용 질식 방지 시스템
KR20020080705A (ko) 자동차용 히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S62175211A (ja) 空調装置用指示装置
KR970026093A (ko) 차량 내의 질식 사고 방지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