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0663A - 차량 내 위험 상황 경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내 위험 상황 경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0663A
KR20070110663A KR1020060043424A KR20060043424A KR20070110663A KR 20070110663 A KR20070110663 A KR 20070110663A KR 1020060043424 A KR1020060043424 A KR 1020060043424A KR 20060043424 A KR20060043424 A KR 20060043424A KR 20070110663 A KR20070110663 A KR 20070110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udio
oxygen
concentration
prese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3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의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60043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10663A/ko
Publication of KR20070110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06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6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vehicle driving condition, e.g.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ir qu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display or indicating devices, e.g. voice si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0Driver alar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위험 상황 경보 방법은, 차량용 오디오를 이용하여 차량 내 위험 상황을 경보해주는 방법으로서, 경보 제어가 필요로 하는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경보 제어가 필요로 하는 경우 차량 내 산소의 농도를 체크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체크한 상기 산소의 농도가 기 설정된 값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오디오를 제어하여 구동시킴과 더불어 카운터를 구동시켜 상기 오디오가 구동된 시간을 체크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에서 체크한 상기 오디오부의 구동 시간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상기 차량의 창문을 오픈시키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 내 탑승객이 있는 경우 차량 내 이산화탄소가 기 설정된 값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 차량 내 오디오 장치를 구동시켜 탑승객에게 경보해줌과 더불어 경보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창문을 오픈시켜 차량 내 공기를 환기시킴으로서, 차량 내 산소 부족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차량, 오디오, 산소, 경보

Description

차량 내 위험 상황 경보 방법{METHOD FOR WARNING A EMERGENCY SITUATION IN A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경보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차량용 경보 제어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오디오를 이용한 위험을 경보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엔진 운전 상태 검출부 102 : 카운터
104 : 이산화탄소 농도 감지부 106 : 오디오부
108 : 창문 개폐 제어부 110 : 차속 센서
112 : 전자 제어 유니트
본 발명은 차량용 경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내 산소 농도를 측정하여 위험 상황 발생 시 오디오의 구동을 통해 탑승객에게 알려주는 차량 내 위험 상황 경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장시간 운전할 경우에 운전자들은 많은 피로를 느끼고, 이로 인하여 운전자가 졸음 운전을 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운전자들은 피로할 경우 한적한 곳에 차량을 주차시켜두고 잠시 취침을 하면서 휴식을 취할 경우가 많다.
이때, 운전자들은 여름철과 같이 외기 온도가 높을 경우에 창문을 모두 폐쇄시키고, 엔진을 구동시킨 상태에서 에이컨을 동작시켜 실내를 냉방시키면서 휴식을 취하게 된다.
그리고, 겨울철과 같이 외기 온도가 낮을 경우에는 창문을 모두 폐쇄시키고, 엔진을 구동시키며, 히터를 동작시켜 실내로 따뜻한 공기가 유입되게 한 상태에서 휴식을 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차량의 창문을 모두 밀폐시킨 상태에서 장시간 동안 취침을 하게 되면, 차량의 실내에 산소가 부족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탑승객이 질식사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이유로,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출원 제93-1622호(공개번호 제95-6643호)에서는 차량의 실내에 산소 센서를 구비하여 산소의 양을 검출하고, 검출된 산소의 양이 설정 값 이하일 경우 자동으로 창문을 열어 산소를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운전자의 탑승 여부에 관계없이 산소가 부족할 경우에 바로 창문을 개방시키는 것으로서 차량의 탑승객은 창문의 개방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이로 인하여 차량을 도난당할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 내 탑승객이 있는 경우 차량 내 이산화탄소가 기 설정된 값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 차량 내 오디오 장치를 구동시켜 탑승객에게 경보해줌과 더불어 경보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창문을 오픈시켜 차량 내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는 차량 내 위험 상황 경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용 오디오를 이용하여 차량 내 위험 상황을 경보해주는 방법으로서, 경보 제어가 필요로 하는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경보 제어가 필요로 하는 경우 차량 내 산소의 농도를 체크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체크한 상기 산소의 농도가 기 설정된 값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오디오를 제어하여 구동시킴과 더불어 카운터를 구동시켜 상기 오디오가 구동된 시간을 체크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에서 체크한 상기 오디오부의 구동 시간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상기 차량의 창문을 오픈시키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경보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차량용 경보 제어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용 경보 제어 장치는, 엔진 운전 상태 검출부(100), 카운터(102), 이산화탄소 농도 감지부(104), 오디오부(106), 창문 개폐 제어 부(108), 차속 센서(110) 및 전자 제어 유니트(112)를 포함한다.
엔진 운전 상태 검출부(100)는 엔진의 운전 상태를 검출하여 전자 제어 유니트(112)에 제공하며, 전자 제어 유니트(112)는 엔진 운전 상태 검출부(100)로부터 검출된 엔진의 운전 상태를 토대로 차량이 주행 중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카운터(102)는 전자 제어 유니트(112)에 의해서 오디오부(106)가 구동됨에 따라 전자 제어 유니트(112)에 의해 구동되어 카운터값을 전자 제어 유니트(112)에 제공한다.
이산화탄소 농도 감지부(104)는 전자 제어 유니트(112)에 의해 구동되어 차량 내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하여 전자 제어 유니트(112)에 제공하는데, 특히 경보 제어가 필요한 경우 전자 제어 유니트(112)에 의해서 구동된다.
한편, 전자 제어 유니트(112)는 이산화탄소 농도 감지부(104)에서 감지된 이산화탄소 농도를 토대로 차량 내 산소의 농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산소의 농도가 기 설정된 값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오디오부(106)를 구동시켜 탑승객에게 위험 상황을 경보해준다.
오디오부(106)는 차량 내 설치된 오디오 시스템으로서, 특히 차량 내 산소의 농도가 기 설정된 값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전자 제어 유니트(112)에 의해 구동되어 라디오 방송 또는 광 디스크에 저장된 음악을 송출해줌으로서, 탑승객에게 위험 상황을 경보해준다.
창문 개폐 제어부(108)는 카운터(102)의 카운터값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이 된 경우 전자 제어 유니트(112)에 의해 구동되어 차량 내 창문을 오픈시킨다.
차속 센서(110)는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른 차속 신호를 검출하여 전자 제어 유니트(112)에 제공하며, 전자 제어 유니트(112)는 차속 신호를 토대로 차량의 주행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제어 유니트(112)는 엔진 운전 상태 검출부(100)로부터 제공받은 엔진 운전 상태가 온이고 차속 센서(110)에서 차속 신호가 제공되지 않을 경우 경보 제어가 필요한 경우로 판단하여 이산화탄소 농도 감지부(104)를 구동시켜 차량 내 이산화탄소 농도를 제공받고, 이산화탄소 농도를 토대로 차량 내 산소의 농도를 산출한 후 산출된 산소의 농도가 기 설정된 값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오디오부(106)를 구동시켜 탑승객에게 위험 상황을 알려줌과 더불어 카운터(102)를 구동시켜 카운터값을 제공받는다.
이후, 전자 제어 유니트(112)는 카운터값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이 되면 창문 개폐 제어부(108)를 제어하여 차량의 창문을 오픈시켜 차량 내 공기를 환기시킴과 더불어 카운터(102)의 카운터값을 초기화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차량용 경보 장치가 동작하는 과정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오디오를 이용한 위험을 경보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전자 제어 유니트(112)는 경보 제어가 필요로 하는지를 판단한다(S200). 즉 전자 제어 유니트(112)는 차속 센서(110)로부터 차속 신호가 입력되지 않고 엔진 운전 상태 검출부(100)에서 검출된 엔진 운전 상태가 온인 경우 경보 제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차속 센서(110)로부터 차속 신호가 입력되거나 엔진 운전 상태가 오프인 경우 경보 제어가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단계 S200의 판단 결과, 경보 제어가 필요한 경우 전자 제어 유니트(112)는 이산화탄소 농도 감지부(104)를 구동시켜 차량 내 이산화탄소 농도를 일정 시간 단위로 제공받는다(S202).
이후, 전자 제어 유니트(112)는 일정 시간 단위로 제공받은 이산화탄소 농도를 토대로 차량 내 산소의 농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산소의 농도가 기 설정된 값 이하로 떨어지는지를 판단한다(S204, S206).
단계 S206의 판단 결과, 차량 내 산소의 농도가 기 설정된 값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전자 제어 유니트(112)는 오디오부(106)를 구동시켜 탑승객에게 위험 상황을 알려줌과 더불어 카운터(102)를 구동시킨다(S208, S210).
카운터(102)의 구동에 따라 카운터(102)는 일정 시간 단위로 전자 제어 유니트(112)에 카운터값을 제공하며(S210), 전자 제어 유니트(112)는 카운터(102)로부터 제공받은 카운터값과 기 설정된 값을 비교한다(S212).
단계 S212의 비교결과, 카운터값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전자 제어 유니트(112)는 창문 개폐 제어부(108)를 제어하여 창문을 오픈시킴으로서, 차량 내 공기를 환기시킨다(S214).
한편, 단계 S212의 비교 결과, 카운터값이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전자 제어 유니트(112)는 이산화탄소 농도 감지부(104)에서 감지된 이산화탄소 농도를 토대로 산소의 농도를 산출한 후 산소의 농도가 기 설정된 값 이하인지를 판단하며(S216), 단계 S216의 판단 결과 산소의 농도가 기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단계 S208로 진행하여 계속해서 오디오부(106)를 구동시킴과 더불어 이후 단계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오디오부(106)의 구동을 중지시킴과 더불어 카운터(102)를 초기화시킨 후 단계 S202로 진행하여 이후 단계를 수행한다(S218).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내 산소 농도를 토대로 위험 상황을 탑승객에게 차량용 오디오를 통해 알려줌과 더불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차량 내 산소 농도의 변화가 없는 경우 차량의 창문을 오픈시켜 차량 내부의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 내 탑승객이 있는 경우 차량 내 이산화탄소가 기 설정된 값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 차량 내 오디오 장치를 구동시켜 탑승객에게 경보해줌과 더불어 경보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창문을 오픈시켜 차량 내 공기를 환기시킴으로서, 차량 내 산소 부족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용 오디오로 탑승객에게 위험을 경보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창문을 오픈시켜 차량 내 공기를 환기시킴으로서, 차량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차량용 오디오를 이용하여 차량 내 위험 상황을 경보해주는 방법으로서,
    경보 제어가 필요로 하는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경보 제어가 필요로 하는 경우 차량 내 산소의 농도를 체크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체크한 상기 산소의 농도가 기 설정된 값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오디오를 제어하여 구동시킴과 더불어 카운터를 구동시켜 상기 오디오가 구동된 시간을 체크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에서 체크한 상기 오디오부의 구동 시간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상기 차량의 창문을 오픈시키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내 위험 상황 경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차량의 엔진이 구동 온 상태에서 차속 센서로부터 차속 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 경보 제어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위험 상황 경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차량 내 설치된 이산화탄소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내 산소의 농도를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내 위험 상황 경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방법은,
    상기 제 3 단계에서 체크한 상기 오디오부의 구동 시간이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차량 내 산소 농도가 기 설정된 값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산소 농도가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오디오의 구동을 중지시킴과 더불어 상기 카운터를 초기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내 위험 상황 경보 방법.
KR1020060043424A 2006-05-15 2006-05-15 차량 내 위험 상황 경보 방법 KR200701106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424A KR20070110663A (ko) 2006-05-15 2006-05-15 차량 내 위험 상황 경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424A KR20070110663A (ko) 2006-05-15 2006-05-15 차량 내 위험 상황 경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0663A true KR20070110663A (ko) 2007-11-20

Family

ID=39089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3424A KR20070110663A (ko) 2006-05-15 2006-05-15 차량 내 위험 상황 경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106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33750B2 (en) 2016-12-07 2021-03-02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33750B2 (en) 2016-12-07 2021-03-02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7344B2 (en) Noxious gas alert and remediation system
US11453363B2 (en) Vehicle cabin safety system and method
CN204367993U (zh) 婴幼儿汽车安全报警器
KR20210008237A (ko) 차량용 공조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CN106183708A (zh) 车厢内二氧化碳浓度监测系统及其控制方法
CN206678937U (zh) 一种汽车电子安全系统
CN104724024A (zh) 一种汽车内部氧气状态监控方法
KR20050019498A (ko) 차량내 질식사방지 제어 장치
KR100513875B1 (ko) 차량에서의 유아 질식사고 방지를 위한 알림장치
CN104553995A (zh) 一种汽车内的空气条件监控方法
JPH10288429A (ja) 空調冷媒炭酸ガス警報装置
KR20070110663A (ko) 차량 내 위험 상황 경보 방법
KR101344522B1 (ko) 차량환기방법
CN204488424U (zh) 停车状态空调使用安全监控系统
CN104527523A (zh) 汽车内的空气条件监控设备
CN104566870A (zh) 一种停车状态空调使用安全监控方法
KR101935773B1 (ko) 차량용 제어장치
CN104553999A (zh) 一种用于提高汽车停车使用状态下的安全性的监控方法
JP2016060429A (ja) 車両用救援装置
KR200300242Y1 (ko) 차량의 실내공기 오염 경고 및 방지장치
KR19980010752U (ko) 자동차용 질식 방지 시스템
KR200488674Y1 (ko) 차량 갇힘 사고 방지 장치
KR20110119253A (ko) 차량 내 수면사고 방지시스템
CN112644253A (zh) 用于车辆的风窗系统、风窗系统的控制方法和车辆
KR20080009572A (ko) 압력 센서를 구비한 자동차용 인명 사고 방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