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4522B1 - 차량환기방법 - Google Patents

차량환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4522B1
KR101344522B1 KR1020070051548A KR20070051548A KR101344522B1 KR 101344522 B1 KR101344522 B1 KR 101344522B1 KR 1020070051548 A KR1020070051548 A KR 1020070051548A KR 20070051548 A KR20070051548 A KR 20070051548A KR 101344522 B1 KR101344522 B1 KR 101344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ntrol means
mode
carbon dioxide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1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4585A (ko
Inventor
박성일
백영기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1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4522B1/ko
Publication of KR20080104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4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4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4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28Ventilators, e.g. speed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ir qu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0Carbon diox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 및 주행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차량 내부를 환기하는 차량환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차량환기방법은, a) 측정수단에 의하여 차량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측정되는 단계(S101); b) 제어수단에 의하여 상기 측정수단이 측정한 차량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미리 결정된 소정 기준을 초과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S102); c)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기 소정 기준을 초과하였을 경우, 상기 제어수단에 의하여 차량 내에 탑승자가 있는지 판단(S103)하고, 그렇지 않으면 공조장치가 통상 모드로 유지(S110)되는 단계; d) 차량 내에 탑승자가 있을 경우, 상기 제어수단에 의하여 경보수단이 작동됨으로써 경보가 발생(S104)되고, 그렇지 않으면 공조장치가 통상 모드로 유지(S110)되는 단계; e) 상기 제어수단에 의하여 차량의 엔진이 켜진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S105); f-1) 차량의 엔진이 켜진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수단에 의하여 공조장치가 외기 모드 및 특정 벤트 모드로 전환(S106)되는 단계; g-1) 상기 제어수단에 미리 입력된 알고리즘에 의하여 블로워 속도, 창문 개방 정도 또는 선루프 개방 정도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작동이 결정되는 단계(S107); h-1) 상기 제어수단에 의하여 상기 g-1) 단계에서 결정된 작동이 제1소정 시간 동안 수행되는 단계(S108); i-1) 상기 제어수단에 의하여 공조장치가 통상 모드로 복귀되는 단계(S11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산화탄소, 농도, 환기, 자동, 주행, 안전

Description

차량환기방법 {A Ventilating Method for a Vehicle}
도 1은 일반적인 공조장치의 시스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차량환기방법의 단계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환기방법의 단계도.
본 발명은 차량환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 및 주행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차량 내부를 환기하는 차량환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공조장치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차량의 공조장치는, 엔진(11) 또는 전동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구동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2)와, 상기 엔진(11)을 제어하는 엔진 ECU(10)와, 내부에 블로워(23)와 증발기(22) 및 히터 코어(24)가 구비된 공조 케이스(21)와, 상기 공조 케이스(21)의 상측에 구비되어 외기 또는 내기가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내외기 전환도어(25)와, 상기 히터코어(24)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21)를 통과한 공기의 유로를 전환시키는 템프 도어(26)와, 외부의 제어신호 및 상기 엔진 ECU(10)의 신호에 따라 상기 내외기 전환도어(25) 및 템프 도어(26)를 제어하는 공조기 ECU(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내외기 전환도어(25)의 개방 또는 폐쇄에 의하여, 외기 모드 또는 내기 모드가 선택되게 된다. 또한, 상기 공조 케이스(21)에는 일반적으로 디프로스트 벤트(a), 페이스 벤트(b) 및 플로어 벤트(c)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벤트들을 하나 또는 2개 이상을 동시에 개방함으로써 디프로스트 모드(a만 개방), 페이스 모드(b만 개방), 플로어 모드(c만 개방), 바이레벨 모드(b와 c를 개방) 등의 다양한 토출 모드로 차량 내부에 공기를 토출하게 된다.
한편, 현재 국내 가구당 차량 보급률이 60%를 육박하고 있는 시점에서, 차량은 점차 생활 필수 품목이 되어 가고 있다. 특히 직접 운전을 하지 않더라도 대부분의 사람들이 대중교통수단으로서 차량을 이용하고 있는 등, 사람들의 일상생활과 차량은 매우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차량의 이용이 일상화되어 가고 있기 때문에, 각종 안전사고들의 발생 가능성도 점차로 높아지고 있는 것도 주지의 사실이다.
밀폐된 차량 내에 탑승자가 장시간 머무르고 있는 경우, 차량 내부에는 이산화탄소(CO2)의 농도가 매우 증가하게 된다.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높은 공기를 계속 호흡하게 되면 탑승자가 졸음을 느끼게 되는데, 특히 운전자의 경우 이와 같은 경 우 졸음 운전을 유발하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한다. 졸린 상태에서 운전을 하게 되면 순간적인 판단 능력이 크게 떨어지기 때문에 갑작스런 상황에 대한 대처 능력이 현저히 감소될 뿐만 아니라 졸음이 심한 경우 운전 능력을 상실하게 되는 바, 밀폐된 차량에서 장시간 운전하는 것은 대형 사고로 이어지게 될 위험성이 매우 높다.
뿐만 아니라, 차량을 생계 수단으로 이용하는 사용자, 자주 차량을 이용하는 사용자, 또는 운전 중 위와 같이 졸음을 느껴 잠시 휴식을 취하고자 하는 사용자 등과 같은 경우, 밀폐된 차량 내에서 수면을 취하는 경우도 많이 있다. 이와 같이 차량 내에서 수면을 취하는 사용자들은 일반적으로, 노상에서의 절도, 폭행 등과 같은 위험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고자 차량을 단단히 밀폐시키고 수면을 취한다. 그런데, 수면 활동은 사람이 쉽게 조절할 수 없는 활동으로서, 지나치게 긴 시간 동안 밀폐 차량 내에서 수면을 취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 비록 운전 중이 아니라서 교통사고가 날 위험은 배제할 수 있지만, 차량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매우 증가함으로써 호흡곤란, 나아가 극단적으로는 질식사에 이르기까지 하는 위험성이 다분히 존재한다.
또는 쇼핑 등과 같은 일을 처리할 때, 아동을 차량에서 기다리도록 하고 차량을 밀폐시킨 후 밖에서 잠가서, 아동이 함부로 돌아다니지 못하도록 하는 부모들도 많이 있다. 그런데 특히 여름과 같이 일사량이 높은 날씨에 실외 주차장에 차량을 방치할 경우, 차량 내부의 온도는 급격하게 상승하며, 물론 탑승하고 있는 아동에 의하여 이산화탄소 농도 역시 크게 증가한다. 성인에 비해 생존 능력이 크게 떨 어지는 아동의 경우, 실제로 이와 같은 조건 하에서 질식사에까지 이르는 경우가 상당히 높은 비율로 보고된다.
더불어 CO2 냉매를 사용하는 자동차의 에어컨 시스템에 있어서, 차내 냉매가 누출(leak)될 경우 차량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급격히 상승할 우려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밀폐된 차량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따라서 이산화탄소 농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증가하지 않도록 자동으로 차량을 환기하여 주는 수단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등록특허 제670,645호("차량환기 장치 및 그 방법", 이하 선행기술)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차량환기장치 및 제어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도 2는 상기 선행기술에 의한 차량환기 방법의 단계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산화탄소 농도와 온도를 측정하여 소정의 기준값 이상이 되면 창문을 완전히 열도록 함으로써 강제적으로 환기를 시키도록 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 의한 환기방법은 차량이 정지하고 있는 경우라면 문제가 없다. 그런데, 장시간 운전을 하게 되는 가장 일반적인 예는 고속도로 상에서 운전하는 경우로서, 차량이 밀폐된 상태에서 장시간 운전을 하게 되면 차량 내부에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하게 됨은 당연하다. 따라서 상기 선행기술의 환기방법을 사용할 경우 고속도로에서 매우 빠른 속도로 주행하고 있는 중에 창문이 갑자기 완전히 개방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될 것을 쉽게 예측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고속으로 주행하고 있는 중에 창문이 완전히 열리게 되면 운전자의 주의가 산만해 지게 되기 쉽다. 특히 고속 주행 중에 창문을 열면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섞인 바람이 매우 세게 불어 들어오게 되며, 따라서 매우 강한 소음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눈에 이물질이 날려 들어갈 가능성도 커진다. 이와 같이 청각과 시각이 흐려지게 되면 순간적인 판단 및 대처 능력이 크게 상실됨은 자명하며, 이에 따라 대형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진다. 뿐만 아니라, 차량 내부와 외부의 온도 차이가 많이 나는 경우, 즉 여름이나 겨울과 같은 시기에는 창문이 완전 개방됨으로써 냉방 또는 난방의 효과가 대부분 없어져 버리며, 이에 따라 운전자가 불쾌감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물론, 환기 후 창문을 닫고 다시 적정 온도가 되도록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해야만 하기 때문에 냉방부하 또는 난방부하가 크게 증가하며, 이는 차량의 연비 상승과도 직결되는 에너지 낭비의 문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 및 주행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차량 내부를 환기함으로써 주행 시의 안전성을 확보하면서도 환기가 잘 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환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환기방법은, a) 측정수단에 의하여 차량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측정되는 단계(S101); b) 제어수단 에 의하여 상기 측정수단이 측정한 차량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미리 결정된 소정 기준을 초과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S102); c)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기 소정 기준을 초과하였을 경우, 상기 제어수단에 의하여 차량 내에 탑승자가 있는지 판단(S103)하고, 그렇지 않으면 공조장치가 통상 모드로 유지(S110)되는 단계; d) 차량 내에 탑승자가 있을 경우, 상기 제어수단에 의하여 경보수단이 작동됨으로써 경보가 발생(S104)되고, 그렇지 않으면 공조장치가 통상 모드로 유지(S110)되는 단계; e) 상기 제어수단에 의하여 차량의 엔진이 켜진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S105); f-1) 차량의 엔진이 켜진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수단에 의하여 공조장치가 외기 모드 및 특정 벤트 모드로 전환(S106)되는 단계; g-1) 상기 제어수단에 미리 입력된 알고리즘에 의하여 블로워 속도, 창문 개방 정도 또는 선루프 개방 정도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작동이 결정되는 단계(S107); h-1) 상기 제어수단에 의하여 상기 g-1) 단계에서 결정된 작동이 제1소정 시간 동안 수행되는 단계(S108); i-1) 상기 제어수단에 의하여 공조장치가 통상 모드로 복귀되는 단계(S11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e) 단계 이후에 f-2) 차량의 엔진이 꺼진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수단에 의하여 공조장치가 외기 모드로 전환되고 미리 입력된 제2소정 시간 동안 미리 입력된 소정 속도로 블로워가 작동(S109)되는 단계; g-2) 블로워의 작동(S109)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수단에 의하여 공조장치가 통상 모드로 복귀되는 단계(S11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f-1) 단계에서의 특정 모드는 페이스 모드, 플로어 모드 또는 바이레벨 모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g-1) 단계에서의 알고리즘은 측정된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라 블로워 속도, 창문 개방 정도 또는 선루프 개방 정도를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환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환기방법의 단계도이다. 먼저, 차량 내부에 구비된 측정수단에 의하여 차량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측정(S101)되며, 제어수단에 의하여 상기 측정된 농도가 미리 결정된 소정 기준을 초과하였는지 판단(S102)된다.
상기 제어수단은, 본 발명에 의한 환기방법을 수행할 목적으로 공조장치와 연결되어 독립적으로 구비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적으로 공조장치를 포함하여 전반적인 차량의 각종 장치들을 제어하는 차량 ECU에 소프트웨어적으로 구비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더불어, 상기 기준농도는 실험적, 경험적 및 이론적 바탕에서 설계자 및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수단은, 운전자에 의한 이산화탄소 증가를 측정할 수 있도록 운전자에 가까운 위치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며, 또는 적어도 1개 이상이 차량 내부에 널리 분포되어 구비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더불어, 상기 제어수단에 의하여 측정농도가 기준농도를 초과하였는지를 판단할 때, 상기 측정수단이 다수 개 구비 되는 경우에는 다수 개의 측정수단들 중 최대값을 이용하여 판단하여도 무방하여, 또는 측정값들의 대표값(예를 들어 평균)을 사용하여 판단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제어수단에 의하여 이산화탄소의 측정농도가 기준농도를 넘지 않았음이 판단되면, 상기 제어수단은 공조장치를 통상 모드로 유지(S110)한다. 이 때 통상 모드란 어떤 특정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결정하여 맞추어 놓은 상태를 의미한다. 즉, 일례로 사용자가 창문 및 선루프를 완전 폐쇄하고, 내기 모드, 블로워 속도 0으로 공조장치를 조작하여 맞추어 놓았다면, 이 상태가 통상 모드가 되는 것이다. 물론 사용자가 다른 방식으로 맞추어 놓았다면 그 상태가 통상 모드가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 통상 모드라 함은, 본 발명의 차량환기방법이 발동되어 어떠한 작동이 이루어지기 직전의 상태를 말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통상 모드라고 하면 이와 같은 의미로 사용됨을 명시하여 둔다.
상기 제어수단에 의하여 이산화탄소의 측정농도가 기준농도를 넘었음이 판단되면, 상기 제어수단은 차량 내부에 탑승자가 있는지를 판단(S103)한다. 만일 차량 내부에 탑승자가 없다면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하여도 크게 문제는 없기 때문에, 역시 통상 모드가 유지(S110)된다. 그러나 만일 탑승자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수단은 경보수단을 작동시켜 경보를 발생(S104)시킨다. 상기 경보수단은 경보음, 경보등과 같은 수단이 될 수 있고, 특히 경보음일 경우 일반적인 부저 음이거나 또는 적당한 안내 음성이 될 수 있다. 또한, 차량에 차량 상태를 알려주는 디스플레이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경보 메시지가 출력되게 할 수도 있으며, 물론 본 발명의 환기방법을 수행하도록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수단에 경보 메시지가 출력되게 할 수도 있다. 더불어, 이와 같이 경보음, 경보등, 경보디스플레이 중 2개 이상이 한꺼번에 출력되게 하여도 무방하다.
경보가 발생된 후, 제어수단은 엔진이 켜진 상태인지를 확인(S105)한다. 차량 내부에 탑승자가 있는 경우라도, 주행 중인 상태일 수도 있고 주차된 차량 안에 머무르고 있는 경우일 수도 있다. 만일 주차된 차량 안에 머무르고 있을 뿐이라면 창문을 개방함으로써 환기를 시키도록 하여도 무방하겠으나, 주행 중, 특히 고속으로 주행 중인 상태일 때에는 창문을 개방하는 것은 자칫 운전자의 주의를 흩뜨려 큰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환기방법은 엔진이 켜진 상태인지를 확인하여 주행 중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도록 하고 있다.
제어수단에 의하여 엔진이 켜진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본 발명의 환기방법에 의하면 먼저, 공조장치를 외기 모드 및 특정 벤트 모드로 전환(S106)한다. 참고로, 차량용 공조장치의 모드는 차량을 밀폐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내기 모드와 외기 모드로 구분되며, 또한 토출 방향에 따라 디프로스트(Defrost; DEF) 모드와 믹스(MIX) 모드, 페이스(FACE) 모드, 플로어(Floor; FLR) 모드 및 바이레벨(Bi-Level; B/L) 모드로 구분된다. 디프로스트 모드는 앞차창의 하부에 위치된 토출구에서 앞차창으로 공기를 토출하고, 믹스 모드는 앞차창 방향은 물론 탑승자 방향으로도 공 기를 토출한다. 또, 페이스 모드는 탑승자의 상반신 측으로 공기를 토출하고, 플로어 모드는 탑승자의 하반신 측으로 공기를 토출하게 된다. 더불어 바이레벨 모드는 탑승자의 상반신과 하반신 양측으로 공기를 토출한다.
즉, 이산화탄소 농도가 소정의 기준농도 이상으로 측정되고, 차량 내부에 탑승자가 있고 주행 중인 상태라면, 본 발명의 환기방법에 의하면 먼저 차량이 밀폐되지 않도록 공조장치가 외기 모드로 전환됨으로써 외부의 공기를 차량 내부로 유입시키도록 한다. 또한, 특정 벤트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탑승자 주변의 공기가 효과적으로 환기되도록 한다. 이 때 본 발명의 환기 방법에서 사용되는 특정 벤트 모드는 탑승자 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페이스 모드, 플로어 모드 또는 바이레벨 모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가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제어수단에 의하여 엔진이 꺼진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수단은 공조장치를 통상 모드로 유지(S110)시킨다. 이 때, 차량 내에 탑승자가 있는 경우 보다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제어수단은 공조장치를 외기 모드로 전환하고 제2소정 시간 동안 소정 속도로 블로워를 작동(S109)시킨 후 통상 모드로 복귀(S110)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제2소정 시간 및 속도는 이론적, 경험적 또는 실험적 지식을 바탕으로 적절히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2단의 속도로 1분 동안 블로워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등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제어수단에 의하여 공조장치가 외기 모드 및 특정 벤트 모드로 전환(S106)되면, 상기 제어수단은 미리 입력된 알고리즘에 의하여 블로워 속도, 창문 또는 선루 프의 개방 정도를 결정(S107)한다. 상기 제어수단이 사용하는 알고리즘은 물론 이론적, 경험적 또는 실험적 지식을 바탕으로 사용자 편의 및 사용 환경 등의 요소에 따라 적절히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 농도가 제1기준~제2기준 사이이면 블로워 속도 1단, 제2기준~제3기준 사이이면 블로워 속도 2단, 제3기준~제4기준 사이이면 블로워 속도 3단 및 창문 또는 선루프 5% 개방, … 등과 같은 방식으로 정해질 수 있다. 물론, 이미 공조장치의 모드가 외기 모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의 공기가 차량 내부로 환기될 수 있게 되어 있으나,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높으면 빨리 환기를 시키는 것이 좋으므로, 블로워 속도 뿐만 아니라 창문 또는 선루프 개방도 함께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탑승자의 호흡에 의해서 발생한 이산화탄소만이라면 공조장치가 외기 모드로 되고 블로워 속도가 매우 높게 되도록 하는 것으로 충분히 환기를 시켜 이산화탄소 농도를 떨어뜨릴 수 있겠으나, 승합차와 같이 차량이 커서 환기해야 할 공기의 양이 많은 경우나, 이산화탄소 냉매를 사용하는 냉각장치가 장착된 차량에서 이산화탄소 냉매의 누출(leak)이 발생하여 비정상적으로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져서 좀더 빨리 이산화탄소 농도를 낮추어야 하는 경우 등과 같은 특수한 경우에, 이와 같이 창문이나 선루프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환기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리 입력된 알고리즘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된 요소들(즉, 블로워, 블로워 및 창문, 블로워 및 선루프 등)이 제1소정 시간 동안 작동(즉, 블로워 속도 상승, 창문/선루프 일정 정도 개방 등)함으로써 환기가 이루어진다(S108). 환 기가 계속 이루어지게 되면 냉방 또는 난방 효과가 없어지게 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적절한 제1소정 시간 동안만 상기 작동이 이루어진 후 상기 제어수단은 공조장치를 원래의 통상 모드로 복귀(S110)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졌을 때 자동으로 환기를 시킴으로써 양호한 운전 조건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이산화탄소 농도만이 아니라 주행 조건도 고려하여 운전자의 주의를 흩트리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으로 환기할 수 있는 방법으로 환기를 실행함으로써 환기 시 안전성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게 해 주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환기가 필요함을 운전자에게 경고해 줌으로써 운전자에게 미리 졸음 운전 등의 위험을 피할 수 있게 해 주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하면 창문을 엶으로써만 환기를 하는 것이 아니라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라 이산화탄소 농도가 그리 높지 않을 때에는 외기 모드로 전환하여 블로워를 작동시키고 이산화탄소 농도가 매우 높을 경우에는 창문 또는 선 루프를 일부 개방하는 등과 같은 방식으로 단계적인 환기를 실시하기 때문에, 차량 내부의 냉방 또는 난방효과가 크게 상실되지 않으며, 따라서 궁극적으로는 차량의 냉방부하 또는 난방부하를 줄이게 해 주는 효과가 있다. 물론 이에 따라 차량의 연비가 상승하게 되고,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게 해 주는 효과도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에 의한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만이 아니라, 이산화탄소 냉매를 사용하는 냉각장치에서 누출(leak)이 발생되었을 때 비정상적인 이산화탄소의 농도 증가를 탐지할 수 있게 해 줌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냉각장치의 누출 여부를 신속하게 알아차릴 수 있게 하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1. a) 측정수단에 의하여 차량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측정되는 단계(S101);
    b) 제어수단에 의하여 상기 측정수단이 측정한 차량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미리 결정된 소정 기준을 초과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S102);
    c)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기 소정 기준을 초과하였을 경우, 상기 제어수단에 의하여 차량 내에 탑승자가 있는지 판단(S103)하고, 그렇지 않으면 공조장치가 통상 모드로 유지(S110)되는 단계;
    d) 차량 내에 탑승자가 있을 경우, 상기 제어수단에 의하여 경보수단이 작동됨으로써 경보가 발생(S104)되고, 그렇지 않으면 공조장치가 통상 모드로 유지(S110)되는 단계;
    e) 상기 제어수단에 의하여 차량의 엔진이 켜진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S105);
    f-1) 차량의 엔진이 켜진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수단에 의하여 공조장치가 외기 모드 및 페이스 모드, 플로어 모드 또는 바이레벨 모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특정 벤트 모드로 전환(S106)되는 단계;
    g-1) 상기 제어수단에 미리 입력된 알고리즘에 의하여 블로워 속도, 창문 개방 정도 또는 선루프 개방 정도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작동이 결정되는 단계(S107);
    h-1) 상기 제어수단에 의하여 상기 g-1) 단계에서 결정된 작동이 제1소정 시간 동안 수행되는 단계(S108);
    i-1) 상기 제어수단에 의하여 공조장치가 통상 모드로 복귀되는 단계(S11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환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이후에
    f-2) 차량의 엔진이 꺼진 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수단에 의하여 공조장치가 외기 모드로 전환되고 미리 입력된 제2소정 시간 동안 미리 입력된 소정 속도로 블로워가 작동(S109)되는 단계;
    g-2) 블로워의 작동(S109)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수단에 의하여 공조장치가 통상 모드로 복귀되는 단계(S110);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환기방법.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g-1) 단계에서의 알고리즘은
    측정된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라 블로워 속도, 창문 개방 정도 또는 선루프 개방 정도를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환기방법.
KR1020070051548A 2007-05-28 2007-05-28 차량환기방법 KR101344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548A KR101344522B1 (ko) 2007-05-28 2007-05-28 차량환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548A KR101344522B1 (ko) 2007-05-28 2007-05-28 차량환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4585A KR20080104585A (ko) 2008-12-03
KR101344522B1 true KR101344522B1 (ko) 2013-12-24

Family

ID=40366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1548A KR101344522B1 (ko) 2007-05-28 2007-05-28 차량환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45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87385A (zh) * 2017-06-06 2017-09-22 四川建筑职业技术学院 一种防止车辆舱内活体窒息的方法
KR20210023538A (ko) * 2019-08-23 2021-03-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공조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324098B1 (ko) * 2019-11-14 2021-11-08 성창용 운전자의 졸음 방지 시스템
FR3133428A1 (fr) * 2022-01-13 2023-09-15 Valeo Systemes Thermiques Système d’évaluation de la qualité de l’air dans un habitac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6087A (ja) 2002-06-27 2004-01-29 Mitsubishi Heavy Ind Ltd 車両用空気調和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6087A (ja) 2002-06-27 2004-01-29 Mitsubishi Heavy Ind Ltd 車両用空気調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4585A (ko) 2008-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77055B2 (ja) 車室環境監視装置
US20150118946A1 (en) Automobile Ventilation Method
KR101344522B1 (ko) 차량환기방법
KR101315708B1 (ko)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사용자 조작 및 작동 상태 표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오토디포그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147579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90094978A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제어장치
KR10143001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91243B1 (ko) 자동차의 지능형 공조 시스템 및 방법
JP5101999B2 (ja) 車両用空調制御装置
JP4967918B2 (ja) 車両用換気装置
KR20010002713A (ko) 차량용 자동환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4026087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10228598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30136219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7008227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090115244A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
KR20070110663A (ko) 차량 내 위험 상황 경보 방법
CN113085486A (zh) 车辆用集成式气帘系统及车辆
CN115923436A (zh) 驻车空调检测并处理有毒气体的控制方法及系统
KR19980053866A (ko) 자동차의 실내 환기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00525A (ko) 자동차의 실내공기 자동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20159220A (ko) 쾌적한 환경을 만드는 자동 파노라마 선루프
KR20040085724A (ko) 차량의 실내공기 제어방법
KR20000006608U (ko) 자동차용 실내온도 조절장치
KR20010054077A (ko) 차량의 환기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