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6608U - 자동차용 실내온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실내온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6608U
KR20000006608U KR2019980017787U KR19980017787U KR20000006608U KR 20000006608 U KR20000006608 U KR 20000006608U KR 2019980017787 U KR2019980017787 U KR 2019980017787U KR 19980017787 U KR19980017787 U KR 19980017787U KR 20000006608 U KR20000006608 U KR 2000000660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emperature
control unit
electronic control
detec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77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순기
Original Assignee
유철진
현대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철진, 현대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철진
Priority to KR20199800177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6608U/ko
Publication of KR200000066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608U/ko

Links

Landscapes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거나 이산화탄소 양이 증가하면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켜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명피해 및 물적피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실내온도 조절장치( Regulation apparatus for indoor temperature of car )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 내부의 이산화탄소(CO2)양을 측정하는 가스감지 센서와, 자동차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 센서와, 상기 가스감지 센서 및 온도감지 센서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위험상황인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시스템의 동작을 결정하는 전자제어부와, 상기 전자제어부에서 위험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창문을 소정량 하강시켜 자동차 내부를 환기시키는 창문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실내온도 조절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용 실내온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 내부의 온도가 급격히 올라가거나 실내 공기에 이산화탄소 양이 증가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실내온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자동차가 널리 보급되면서 자동차를 보유하고 있는 일반 가정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에 따라 자동차 이용자도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사용되고 있는데, 자동차 실내는 그 공간이 좁고 밀폐되기 때문에 여러 가지 안전사고의 위험이 존재한다.
여름철 또는 겨울철에는 자동차 내부의 온도가 너무 높거나 낮게 되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고 있어서 그를 해결하기 위한 에어컨 및 히터가 사용자 편의장치로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차에서는 자동으로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여러 가지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특히, 여름철에 노상주차를 한 경우에 외부 온도에 따라 내부 온도가 급격히 증가하게 되기 때문에 소지품 중 가스 라이터 등과 같이 가스를 포함하는 물건이 있는 경우에는 폭발이 발생하여 자동차 내부를 손상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겨울철에는 히터를 사용하게 되는데 사용자가 히터를 온(ON) 시킨 상태에서 자동차 내부에서 잠이 드는 경우에는 온도 상승 및 이산화탄소의 증가로 인하여 질식이 발생하여 인명피해의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자동차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거나 이산화탄소 양이 증가하면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켜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명피해 및 물적피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실내온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자동차용 실내온도 조절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가스감지 센서 20 : 온도감지 센서
30 : 전자제어부 40 : 창문 구동부
50 : 비상등 구동부 60 : 경적 구동부
70 : 히터 구동부 80 : 스피드 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자동차 내부의 이산화탄소(CO2)양을 측정하는 가스감지 센서와, 자동차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 센서와, 상기 가스감지 센서 및 온도감지 센서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위험상황인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시스템의 동작을 결정하는 전자제어부와, 상기 전자제어부에서 위험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창문을 소정량 하강시켜 자동차 내부를 환기시키는 창문구동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실내온도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전자제어부에서 위험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자동차 외부의 전후 좌우측에 장착된 비상등을 점멸시키는 비상등 구동부와, 상기 전자제어부에서 위험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경적을 울려주는 경적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제어부에는 자동차가 주행중인 경우에 시스템이 위험상황을 알려주는 기능을 일시 정지시키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전자제어부로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여 제공하는 스피드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실내온도 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10은 자동차 내부의 이산화탄소(CO2)양을 측정하는 가스감지 센서를 나타내고, 20은 자동차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 센서를 나타내고, 30은 상기 가스감지 센서(10) 및 온도감지 센서(20)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위험상황인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시스템의 동작을 결정하는 전자제어부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번호 40은 상기 전자제어부(30)에서 위험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창문을 소정량 하강시켜 자동차 내부를 환기시키는 창문구동부를 나타내고, 50은 상기 전자제어부(30)에서 위험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자동차 외부의 전후 좌우측에 장착된 비상등을 점멸시키는 비상등 구동부를 나타내고, 60은 상기 전자제어부(30)에서 위험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경적을 울려주는 경적 구동부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번호 70은 상기 전자제어부(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자동차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히터의 동작을 결정하는 히터 구동부를 나타내고, 상기 전자제어부(30)로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여 제공하는 스피드 센서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동작을 여름철과 겨울철로 구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여름철의 경우는 노상주차시 태양열 등으로 인하여 내부 온도가 급격히 증가하면 상기 온도감지 센서(20)에서는 계속적으로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전자제어부(30)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전자제어부(30)에서는 자동차 내부의 온도가 기준온도 이상으로 상승한 것이 판단되면 상기 창분 구동부(40)를 동작시켜 창문을 소정량 하강시킴으로써 자동차 내부를 환기시킨다.
상기의 동작시 여름철에는 운전자 등이 자동차 내부에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상기의 상태를 외부에 알려주기 위하여 상기 비상등 구동부(50) 및 경적 구동부(60)를 동작시킴으로써 시각적, 청각적으로 외부에 알린다. 이때, 상기 창문은 50 내지 60mm 하강시키고, 비상등은 계속적으로 점멸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제어부(30)에서는 상기의 동작을 수행하기 전에 상기 스피드 센서(80)의 출력신호를 분석하여 자동차가 주행중인지를 판단하는데, 만약 자동차가 주행중이면 내부에 운전자가 있음을 의미하므로 상기의 기능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킨다.
한편, 겨울철의 경우는 사용자가 자동차의 내부에서 히터를 온(ON) 시키고 잠을 자는 경우가 빈번하게 있다. 상기 히터가 계속적으로 동작하고 사용자가 잠을 자게 되면 자동차 내부에는 이산화탄소 양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 이산화탄소로 인해 사용자가 질식할 수 있기 때문에 자동차 내부를 환기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때, 상기 전자제어부(30)는 가스감지 센서(10)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이산화탄소 양을 판단하여 기준레벨과 비교를 수행한다. 이때, 이산화탄소의 양이 기준레벨 보다 높으면 상기 전자제어부(30)에서는 상기 히터 구동부(70)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히터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상기 창분 구동부(40)를 동작시켜 창문을 소정량 하강시킴으로써 자동차 내부를 환기시킨다.
상기의 동작시 여름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비상등 구동부(50) 및 경적 구동부(60)를 동작시킴으로써 시각적, 청각적으로 외부에 알릴 수 있으며, 상기 스피드 센서(80)의 출력신호를 분석하여 자동차가 주행중이면 상기의 기능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자동차용 실내온도 조절장치는 자동차 내부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 상승하거나, 이산화탄소 양이 기준레벨 이상으로 증가하면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켜줌으로써 인명피해 및 물적피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자동차 내부의 이산화탄소(CO2)양을 측정하는 가스감지 센서와, 자동차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 센서와, 상기 가스감지 센서 및 온도감지 센서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위험상황인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시스템의 동작을 결정하는 전자제어부와, 상기 전자제어부에서 위험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창문을 소정량 하강시켜 자동차 내부를 환기시키는 창문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실내온도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부에서 위험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자동차 외부의 전후 좌우측에 장착된 비상등을 점멸시키는 비상등 구동부와, 상기 전자제어부에서 위험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경적을 울려주는 경적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실내온도 조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부에는 자동차가 주행중인 경우에 시스템이 위험상황을 알려주는 기능을 일시 정지시키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전자제어부로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여 제공하는 스피드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실내온도 조절장치.
KR2019980017787U 1998-09-18 1998-09-18 자동차용 실내온도 조절장치 KR2000000660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787U KR20000006608U (ko) 1998-09-18 1998-09-18 자동차용 실내온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787U KR20000006608U (ko) 1998-09-18 1998-09-18 자동차용 실내온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608U true KR20000006608U (ko) 2000-04-25

Family

ID=69503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7787U KR20000006608U (ko) 1998-09-18 1998-09-18 자동차용 실내온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660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645B1 (ko) * 2005-04-22 2007-01-17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의 환기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645B1 (ko) * 2005-04-22 2007-01-17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의 환기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19498A (ko) 차량내 질식사방지 제어 장치
KR101491243B1 (ko) 자동차의 지능형 공조 시스템 및 방법
KR101344522B1 (ko) 차량환기방법
KR20000006608U (ko) 자동차용 실내온도 조절장치
KR20010002713A (ko) 차량용 자동환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208470B1 (ko) 질식방지 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공조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10752U (ko) 자동차용 질식 방지 시스템
KR0172219B1 (ko) 주차중 에어콘 자동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16213B1 (ko) 자동차 실내공기 조절장치 및 방법
KR200300242Y1 (ko) 차량의 실내공기 오염 경고 및 방지장치
KR20020080705A (ko) 자동차용 히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40104123A (ko) 자동차의 실내 환기방법
KR19990011747A (ko) 차량의 습도 조절장치 및 조절방법
KR20050109721A (ko) 차내 환경의 안전 확보 장치
CN115923436A (zh) 驻车空调检测并处理有毒气体的控制方法及系统
KR19990056167A (ko) 자동차 에어컨/히터 자동 조절장치 및 방법
KR20070110663A (ko) 차량 내 위험 상황 경보 방법
KR20000001641A (ko) 차량의 실내 공기 조절 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39987U (ko) 자동차 운전자의 졸음방지를 위한 경보장치.
KR19990025473A (ko) 실내 질식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10001841A (ko) 차량의 질식 방지 장치
KR19980045753U (ko) 파워 윈도우 자동 하강장치
KR19990049239A (ko) 자동차의 실내 공기 환기 장치
KR19980053866A (ko) 자동차의 실내 환기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00525A (ko) 자동차의 실내공기 자동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