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6213B1 - 자동차 실내공기 조절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실내공기 조절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6213B1
KR100216213B1 KR1019960044296A KR19960044296A KR100216213B1 KR 100216213 B1 KR100216213 B1 KR 100216213B1 KR 1019960044296 A KR1019960044296 A KR 1019960044296A KR 19960044296 A KR19960044296 A KR 19960044296A KR 100216213 B1 KR100216213 B1 KR 100216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oxygen
amount
sensor
predetermined re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4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5975A (ko
Inventor
이재경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60044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6213B1/ko
Publication of KR19980025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5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6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62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9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for selectively commanding the induction of outside or insid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by detection of the vehicle occupants' presence; by detection of conditions relating to the body of occupants, e.g. using radiant heat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6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vehicle driving condition, e.g.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ir qu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07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specific way of measuring or calculating an air or coolant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display or indicating devices, e.g. voice sim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탑승자가 있는 상태에서 차내의 산소량이 소정의 기준량이하일 경우, 경보기를 울려서 탑승자에게 알려주고, 외부의 공기를 흡입시켜 차내 산소량을 증가시키는 자동차 실내공기 조절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적외선센서; 차속센서; 산소센서; 적외선센서와 차속센서및 산소센서로부터 감지된 데이터을 입력받고, 탑승자가 있는 상태에서 차량이 정지 상태인 경우 차내의 산소량이 소정의 기준량 이하라고 판단되면 경보부로 구동신호를 출력시킨 후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차내의 산소량이 소정의 기준량 이하라고 판단되면 공조장치를 외기흡입모드로 구동시키는 컨트롤러; 컨트롤러로부터 구동신호가 입력되면 실내 경보음 발생기를 작동시키는 경보부; 및 컨트롤러에 의해 외기흡입모드로 구동되는 공조장치로 구성되어 차내의 산소량이 부족할 경우 경보기로써 탑승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고, 외부 공기를 흡입시킴으로써, 밀폐된 차내에서 탑승자가 질식 사고를 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실내공기 조절장치 및 방법
제2도는 본 방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자동차 실내공기 조절장치의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자동차 실내공기 조절방법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적외선 센서 20 : 차속 센서
30 : 산소 센서 50 : 제어 스위치
100 : 콘트롤러 110 : 타이머
200 : 경보부 300 : 공조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 실내공기 제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자동차내의 산소량이 소정의 기준량 이하일 경우, 경보기를 울려서 탑승자에게 알려주고 외부공기를 흡입시킴으로써 실내의 산소량을 증가시키는 자동차 실내공기 조절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안전한 차량의 운행을 위하여 운전자는 최적의 건강상태를 유지해야 하며, 특히 장거리 주행중에는 1내지 2시간마다 운전자가 휴식시간을 갖도록 권고되고 있다. 이와같이 운전자가 휴식시간을 가질 때는 차내에서 수면을 취하게 되는데, 이때 운전자가 자동차의 모든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장시간 수면을 취할 경우, 차내의 산소량 부족으로 질식사고를 당할 수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밀폐된 차내의 탑승자가 의식 불명인 상태이거나, 어린아이인 경우에는, 산소량의 부족을 느끼면서도 질식사고를 당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탑승자가 있는 상태에서, 차량이 정지하여 있고 차내의 산소량이 소정의기준량 이하일 경우, 경보기를 울려서 탑승자에게 알려주고,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차내 산소량이 소정의 기준량 이하일 경우에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시켜 차내 산소량을 증가시키는 자동차 실내공기 조절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탑승자의 유무를 감지하는 적외선센서, 차속도를 감지하는 차속센서, 자동차 실내의 산소량을 감지하는 산소센서, 상기 적외선센서와 차속센서 및 산소센서로부터 감지된 데이터을 입력받고, 탑승자가 있는 상태에서 차량이 정지 상태인 경우 차내의 산소량이 소정의 기준량 이하라고 판단되면 경보부로 구동신호를 출력시킨후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차내의 산소량이 소정의 기준량 이하라고 판단되면 공조장치를 외기흡입모드로 구동시키는 컨트롤러,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구동신호가 입력되면 실내 경보음 발생기를 작동시키는 경보부, 및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외기흡입모드로 구동되는 공조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보부에는 자동차 실의에 장착된 실의 경보음 발생기가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컨트롤러에는, 컨트롤러의 동작여부를 결정할수 있는 제어스위치가 연결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방법은, 적외선센서와 차속센서 및 산소센서로부터 감지된 데이테를 컨트롤러에서 입력받는 단계S10, 상기 단계 S10에서 적외선센서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답승자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탑승자가 없을 경우 단계 S10을 실행하는 단계 S20, 상기 단계 S20에서 탑승자가 있다고 판단되면 차속센서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차량이 정지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차량이 정지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단계 S10을 실행하는 단계 S30, 상기 단계 S30에서 차량이 정지상태라고 판단되면 산소센서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차내의 산소량이 소정의 기준량 이하인지를 판단하고, 차내의 산소량이 소정의 기준량 보다 많다고 판단되면 단계 S10을 실행하는 단계 S40, 상기 단계 S40에서 차내의 산소량이 소정의 기준량 이하라고 판단되면 실내경보음 발생기 및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단계 S50, 상기 단계 S50에서 실내 경보음 발생기가 작동된후 소정시간의 경과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S60, 단계 S60에서 소정시간의 경과라고 판단되면 산소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S70, 상기 단계 S70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차내의산소량이 소정의 기준량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S80, 상기 단계 S80에서 차내의 산소량이 소정의 기준량보다 많다고 판단되면 실내 경보음 발생기를 오프시키고, 단계 S10을 실행하는 단계 S90, 및 상기 단계 S80에서차내의 산소량이 소정의 기준량 이하라고 판단되면 공조장치(300)를 외기흡입모드로 작동시킴으로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단계 S70을 실행시키는 단계 S1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자동차 실내공기 조절장치의 블록도이다.
적외선센서(10)는 자동차 실내에 설치되어 차내에 탑승자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감지기이다. 상기 적외선센서(10)로는 인체의 열을 감지하여 에어컨의 제어 또는 조명의 온·오프를 자동조작하기 위하여 많이 이용되고 있는 초전형 적외선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속센서(20)는 차속도를 감지하는 센서로써, 종래 많이 쓰이는 휠속도센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산소센서(30)는 자동차 실내에 설치되어 차내의 산소량을 측정한다.
컨트롤러(100)는 상기 적외선센서(10)와 차속센서(20) 및 산소센서(30)로부터 감지된 데이터를 입력받고, 탑승자가 있는 상태에서 차속도가 0 ㎞/hr ㅇl고 차내의 산소량이 소정의 기준량 이하라고 판단되면 경보부(200)로 구동신호롤 출력시킨다.
경보부(200)는 상끼 컨트롤러(100)로부터 구동신호가 입력되면 실내에 설치된 실내 경보음 발생기를 작동시킨다.
상기 컨트롤러(100)에는 공조장치(HVAC)(300)와 타이머(110)를 추가로 연결하여 구성시킨다. 이때 건트롤러(100)는 상기 경보부(200)가 구동된 후,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차내의 산소량이 기준량 이하라고 판단되면 외부의 공기가 차내로 흡입되도록 공조장치(300)를 외기흡입모드로 구동시키도록 한다.
즉, 경보부(200)의 구동에 의하여 실내 경보음 발생기(210)가 소정시간 이상 작동되는 동안에도 운전자가 환기를 안시킬 경우에는, 탑승자가 질식 사고를 당할 수 있으므로, 상기 소정시간을 30초로 하고 30초가 경과한 후에도 차내 산소량이 소정의 기준량 이하일 때는 상기 공조장치(300)를 외기흡입모드로 작동시켜서 외부의 공기를 흡입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경보부(200)에는 자동차 실외에 장착된 실의 경보음 발생기(220)를 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차내의 산소량이 부족한 상황에서 탑승자의 능력으로는 그 상황을 벗어날 수 엾을 경우에, 상기 외부 경보음 발생기(220)의 작동에 의하여, 외부의 사람들에게 차내의 상황을 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100)에는 컨트롤러(100)의 동작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제어스위치(50)를 연결하여 구성시킬 수 있다. 이때 실내 경보음 발생기(210)의 작동에 의해 탑승자가 차내 상황을 인지하였을 때는 상기 제어스위치(50)를 오프시킴으로써, 더 이상 실내 경보음 발생기(210)가울리지 않도록 하며, 운전자가 장기간 자동차를 주차시킬 때 상기 제어스위치(50)를 오프 하여 불필요한 전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한 자동차 실내공기 조절방법을 제2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 S10에서는 적외선센서(10)와 차속센서(20) 및 산소센서(30)로부터 감지된 데이터들이 컨트롤러(100)로 입력된다.
단계 S20에서 상기 단계 S10에서 적외선센서(1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탑승자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탑승자가 없다고 판단될 경우 단계 S10을 실행하고, 탑승자가 있을 경우에는 단계 S30에서 상기 단계S10에서 입럭된 차속센서(20)로부터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차량이 정지 상태인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 차량이 정지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단계 S10을 실행한다.
단계 S40에서는 상기 단계 S30에서 차량이 정지상태라고 판단된경우 단계 S10에서 산소센서(3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차내의산소량이 소정의 기준량 이하인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 차내의 산소량이 소정의 기준량 보다 많을 경우에는 단계 S10을 실행한다. 그리고 차내의 산소량이 소정의 기준랑 이하라고 판단되면 소정의 음을 발생시키는 실내 경보음 발생기(210)를 작동시켜 탑승자에게 차내 산소량이 부족함을 알려주며 동시에 타이머를 작동시킨다(단계 S50).
단계 S60에서는 탑승자가 소정의 조치를 할 것을 기다리는 단계로써, 수면중인 탑승자의 경우, 경보음에 의해 깨어서 도어를 오픈시킬 때까지 소정시간(약 30초) 동안을 타이머(110)로 체크한다. 30초가 경과한 후에 상기 산소센서(30)로부터 감지된 새로운 데이터를 입력받는다(단계 S70).
상기 단계 S70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차내의 산소량이 소정의 기준량 이하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차내의 산소량이 소정의 기준량보다 많다고 판단되면 실내 경보음 발생기(210)를 오프시키고, 단계 S10을실행한다(단계 S90).
단계 S100에서는 상기 단계 S80에서 차내의 산소량이 소정의 기준량 이하라고 판단되면 공조장치(300)를 외기흡입모드로 작동시켜서, 외부의공기를 흡입시킴으로써, 차내의 공기를 정화시킨다.
따라서, 상기 일실시예를 통하여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인 자동차실내공기 조절장치 및 방법에 의하여, 차내의 산소량이 부족할 경우 경보기로써 탑승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고, 외부공기를 흡입시킴으로써, 밀폐된차내에서 탑승자가 질식사고를 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자동차 실내공기 조절장치 및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여러 가지로 그 응용과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탑승자의 유무를 감지하는 적외선센서(10), 차속도를 감지하는 차속센서(20), 자동차 실내의 산소량을 감지하는 산소센서(30), 상기 적외선센서(10)와 차속센서(20) 및 산소센서(30)로부터 감지된 데이터를 입력받고, 탑승자가 있는 상태에서 차량이 정지 상태인 경우 차내의 산소량이 소정의 기준랴이 이하라고 판단되면 경보부(200)로 구동신호를 출력시킨 후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차내의 산소량이 소정의 기준량 이하라고 판단되면 공조장치(300)를 외기흡입모드로 구동시키는 컨트롤러(100), 시간을 계수하는 타이머(110), 상기 컨트롤러(100)로부터 구동신호가 입력되면 실내 경보음 발생기(210)를 작동시키는 경보부(200), 및 상기 컨트롤러(100)에 의해 외기흡입모드로 구동되는 공조자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실내 공기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부(200)에는 자동차 실외에 장착된 실외 경보음 발생기(220)가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실내공기 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100)에는, 컨트롤러(100)의 동작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제어스위치(50)가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실내공기 조절장치.
  4. 적외선센서(10)와 차속센서(20) 및 산소센서(30)로부터 감지된 데이터를 컨트롤러(100)에서 입력받는 단계 S10, 상기 단계 S10에서 적외선센서(1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탑승자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탑승자가 없을 경우 단계 S10을 실행하는단계 S20, 상기 단계 S20에서 탑승자가 있다고 판단되면 차속센서(2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차량이 정지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차량이 정지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단계 S10을 실행하는 단계 S30, 상기 단계 S30에서 차량이 정지상태라고 판단되면 산소센서(3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차내의 산소량이 소정의 기준량 이하인지를 판단하고, 차내의 산소량이 소정의 기준량 보다 많다고 판단되면 단계 S10을 실행하는 단계 S40, 상기 단계 S40에서 차내의 산소량이 소정의 기준량 이하라고 판단되면 실내 경보음 발생기(210) 및 타이머(110)를 작동시키는 단계 S50, 상기 단계 S50에서 실내 경보음 발생기(210)가 작동된후 소정시간의 경과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S60, 단계 S60에서 소정시간의 산소센서(30)로부터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S70, 상기 단계 S70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차내의 산소량이 소정의 기준량 이하인지를판단하는 단계 S80, 상기 단계 S80에서 차내의 산소량이 소정의 기준량보다 많다고 판단되면 실내 경보음 발생기(210)를 오프시키고, 단계 S10을 실행하는 단계S90, 및 상기 단계 S80에서 차내의 산소량이 소정의 기준량 이하라고 판단되면 공조장치(300)를 외기흡입모드로 작동시킴으로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단계 S70을 실행시키는 단계 S1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실내공기 조절방법.
KR1019960044296A 1996-10-07 1996-10-07 자동차 실내공기 조절장치 및 방법 KR100216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4296A KR100216213B1 (ko) 1996-10-07 1996-10-07 자동차 실내공기 조절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4296A KR100216213B1 (ko) 1996-10-07 1996-10-07 자동차 실내공기 조절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975A KR19980025975A (ko) 1998-07-15
KR100216213B1 true KR100216213B1 (ko) 1999-08-16

Family

ID=19476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4296A KR100216213B1 (ko) 1996-10-07 1996-10-07 자동차 실내공기 조절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62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45487A (zh) * 2022-09-08 2023-05-02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用于控制空调器的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975A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85479A2 (en) Condition monitoring apparatus for vehicle passenger compartment
JP2003120987A (ja) 空調機器
KR100216213B1 (ko) 자동차 실내공기 조절장치 및 방법
EP109394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ir-conditioning system of a vehicle
JPH04260811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19980026009A (ko) 자동차 실내 공기 오염방지 장치 및 방법
KR930022017A (ko) 활동량 센서를 이용한 에어콘의 취침운전 제어방법과 장치
KR19980053866A (ko) 자동차의 실내 환기장치 및 그 방법
KR200141677Y1 (ko) 차량의 실내환기회로
KR19980030169A (ko) 자동차의 실내자동환기장치
KR200238006Y1 (ko) 산소센서에 의한 졸음운전방지장치
KR19990011007A (ko) 자동 환기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0124998B1 (ko) 자동차내 질식사 사고 방지 장치
KR20000000390A (ko) 자동차 질식사 방지기
KR980001065A (ko) 자동차 실내 산소량 제어 장치 및 방법
KR19990056167A (ko) 자동차 에어컨/히터 자동 조절장치 및 방법
KR20010054077A (ko) 차량의 환기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68989A (ko) 차량내 산소결핍 방지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
KR20000000525A (ko) 자동차의 실내공기 자동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31108A (ko) 카오디오에 장착되는 차량의 공조제어회로
KR19980044858U (ko) 차량 실내 유해 가스 경고 장치
KR20020080705A (ko) 자동차용 히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H05288377A (ja) 換気扇自動運転装置
KR19980068361U (ko) 자동차 실내의 유해 가스 자동배출 및 경보장치
KR19980066078U (ko) 차량의 실내 산소량 부족 경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