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5020A - 식생상자 및 이를 이용한 식생방음벽 - Google Patents

식생상자 및 이를 이용한 식생방음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5020A
KR20050105020A KR1020040030744A KR20040030744A KR20050105020A KR 20050105020 A KR20050105020 A KR 20050105020A KR 1020040030744 A KR1020040030744 A KR 1020040030744A KR 20040030744 A KR20040030744 A KR 20040030744A KR 20050105020 A KR20050105020 A KR 20050105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box
vegetation box
plate
sound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0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0926B1 (ko
Inventor
김연미
김민경
강효석
Original Assignee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0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0926B1/ko
Publication of KR20050105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5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0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09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9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for multicolour effects

Abstract

본 발명은 식생상자 및 이를 이용한 식생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식생을 방음벽에 도입한 종래의 식생방음벽은 실제 식생방음벽의 적용과 하자 시 교체 등의 문제, 건조기에 대한 식생기반재의 고려 등의 미흡함에 적합한 방법을 제시하지 못했다. 본 발명은 식생의 활착과 양호한 생육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뿌리의 토양매체 내로의 생장, 수분보유력, 운반, 시공,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식물의 발근, 활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수분유지 및 잡초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구조체와의 결합방식을 시공에 맞추어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하자 보수가 용이하도록 한 식생상자 및 이를 이용한 식생방음벽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식생상자 및 이를 이용한 식생방음벽{PLANT BOX AND VEGETATIVE SOUND PROOF WALL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식생상자 및 이를 이용한 식생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도시화에 의한 소음 증가로 방음벽의 설치가 급증하고 있으며, 최근 기존의 알루미늄 등 금속제 방음벽 뿐만 아니라 목재 등 다양한 재질과 패턴으로 다양화에 대한 욕구를 반영하고 있다.
또한 수직녹화에 대한 관심으로 기존 방음벽에 담쟁이 등 덩굴성 식물들을 식재하여 도심지 내 녹화를 위한 노력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한 충분한 식재기반이 확보되지 못하거나 및 녹화달성까지 장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 등으로 실효성에 제한점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식재기반을 방음벽 자체 내에 포함시키며 단시간 내에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는 식생방음벽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식재기반의 특수한 개발을 통해 관수시설을 요구하지 않는 보다 근본적인 문제들에 대한 해결점을 모색하게 되었다.
식생방음벽은 식물생장에 악조건으로 작용하는 갈수기 및 장마, 집중호우, 동해 등 극단적 기후 특성에 견딜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식물생장, 관리 등 여러 제반사항들이 복합되어 실용화에는 보다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도로라는 특수환경에서 이루어지는 설치 및 시공, 하자 시 보수 등 관리에 있어서의 복잡한 과정은 해결하여야 할 근본적인 문제로 나타났다.
식생매트에 대한 기술로서는 특허공개 1997-0022009호인 식생용 매트, 특허공개 2002-0064710호의 매트형 초본식물 재배상자 및 그 재배방법, 특허공개 2001-0088703호 식생매트의 배합토 조성방법과 식생매트 등이 있으나, 적정 토양 배합비에 파종을 통하여 발근을 형성하고 매트를 구성하는 방식의 것으로서 그 소재를 달리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실험을 통해 검증된 적정배합의 토양과 다공질 P.E 필름, 섬유매트(코이어 펠트, 부직포 등)를 적층하여 제작한 식생의 틀 구조에 식물을 직접 심어 구조와 식생이 일치가 되고 또한 수분유지 및 잡초 방제 등의 효과를 지닐 수 있다.
방음벽 관련 기술로서 목재 틀 사이에 식재기반 및 식물을 식재한 특허공개 2001-0085518호인 식생 가능한 목재 방음벽, 특허공개 2003-0020054호 토양적층방식을 이용한 식생방음벽 공법과 그 식생방음벽, 특허공개 2003-0020055호 식생플랜터를 이용한 식생방음벽 녹화공법 및 그 식생방음벽 등이 있으며, 이들 식생방음벽은 식생을 방음벽에 도입한다는 원칙은 같으나 다른 소재와 방식의 구조로서 각각 특징있게 고안되었으나, 실제 식생방음벽의 적용과 하자 시 교체 등의 문제, 건조기에 대한 식생기반재의 고려 등의 미흡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식생의 활착과 양호한 생육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뿌리의 토양 매체 내부로의 생장, 수분보유력, 운반, 시공,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식생상자 및 이를 이용한 식생방음벽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물의 발근, 활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수분유지 및 잡초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식생상자 및 이를 이용한 식생방음벽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체와의 결합방식을 시공에 맞추어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하자 보수 시 탈착의 교체과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식생상자 및 이를 이용한 식생방음벽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면개방부가 개방되고, 배면판과 양측면판은 철판 등으로 막혀 있으며 상하면판은 토양유실이 방지됨과 아울러 상하로 수분통과가 가능한 망상의 구조체로 된 상자몸체와, 상기 상자몸체의 배면측으로부터 배면 배합토양, 섬유매트, 제 1중간 배합토양, 식물 영양체, 전면 배합토양 및 망상판체(expanded metal)가 순차 전방을 향해 적층되어 구성되는 식생상자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배면 배합토양과 섬유매트 사이에 제 2중간 배합토양 사이에는 다공질 P.E.필름과 제 2중간 배합토양을 순차 적층하여 수분보습과 잡초방제 기능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자몸체의 양측면판은 전방측이 높고 후방으로 가면서 10~20° 하향 경사진 평행사변형으로 형성하여 상자몸체의 하면판을 10~20° 기울어진 경사면에 올려놓았을 때 전면개방부와 배면판이 수직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초방음판과, 상기 기초방음판의 양측에 고정결합되어 기초방음판의 전면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수직틀과, 상기 기초방음판과 수직틀을 지지하는 하부지지대와, 상기 기초방음판과 수직틀의 상부에 결합되는 망상 구조체의 상부지지대와, 상기 기초방음판의 전면과 수직틀의 내측면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고정결합되어 식생상자가 수납되는 복수개의 식생상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식생상자 지지판으로 되는 방음벽 프레임과; 상기 각 식생상자 수납공간에 수납되어 상기 각 식생상자 지지판 상에 안착되는 복수개의 상기 식생상자;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상자를 이용한 식생방음벽이 제공된다.
상기 수직틀의 내측면에는 상기 식생상자 지지판들의 양측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다.
상기 수직틀의 내측면에는 각 한 쌍의 안내레일을 고정하여 그 각 한 쌍의 안내레일 사이에 상기 식생상자 지지판들의 양측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다.
상기 식생상자 지지판들은 전면측이 높고 후면측으로 가면서 10~20° 하향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식생상자 지지판 상에는 양측면판은 전방측이 높고 후방으로 가면서 10~20° 하향 경사진 평행사변형의 상기 식생상자가 안착된다.
상기 삽입홈은 그 전면측이 높고 후면측으로 가면서 10~20°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안내레일과 삽입홈은 전면측이 높고 후면측으로 가면서 10~20° 하향경사지게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식생상자 및 이를 이용한 식생방음벽을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식생상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한 식생상자의 제 1실시례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1은 사시도이고, 도 2는 식생상자의 종단측면도이며, 도 3은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식생상자(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개방부(11a)가 개방되고, 배면판(11b)과 양측면판(11c,11d)은 철판 등으로 막혀 있으며 상하면판(11e,11f)은 토양유실이 방지됨과 아울러 상하로 수분통과가 가능한 망상의 구조체로 된 상자몸체(11)와, 이 상자몸체(11)의 배면측으로부터 배합토양(12), 섬유 매트(15), 식물 영양체(17), 배합토양(18) 및 망상판체(expanded metal)(19)가 순차 적층되어 구성된다.
상기 상자몸체(11)는 직육면체 상자모양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식생방음벽을 구축하였을 때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자몸체(11)의 양측면판(11c,11d)은 전방측이 높고 후방으로 가면서 10~20° 하향 경사진 평행사변형으로 형성하여 상자몸체(11)의 하면판(11f)을 10~20° 기울어진 경사면에 올려놓았을 때 전면개방부(11a) 및 배면판(11b)이 수직을 이룬다.
상기 상자몸체(11)의 규격은 일반적인 단위 방음벽의 규격에 맞춰서 설정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단위 방음벽의 규격이 좌우길이 × 높이 = 1,000㎜ × 3,000㎜라면 상자몸체(11)의 규격은 좌우길이 × 높이 = 1,000㎜ × 30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후깊이는 2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합토양(12,16,18)은 경량 및 수분보습력, 양이온 치환용량(CEC) 등을 고려한 실험결과 4 : 1 : 1.75 : 1.75의 비율의 펄라이트 : 버미큘라이트 : 이탄토(유기질토양) : 바크퇴비와 황토를 추가적으로 5%를 배합한 토양이 사용되며, 이 배합토양(12,16,18)은 무관수 시스템의 식재환경에 적합하다.
상기 배합토(12,14,16)는 각각 5∼10㎜정도의 두께로 충전하고, 배합토(18)는 5㎜ 정도의 두께로 충전한다.
또한 상기 배합토양(12,16,18)에는 수분보습제인 고도 흡습성 폴리머(super absorbent polymer) 대립을 0.1% 혼합하여 수분보유력을 증진시켜 무관수로서도 식생이 각 계절에 나타나는 장단의 갈수기에 견딜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도 흡착성 폴리머를 0.1% 이상으로 많은 양을 혼합하였을 경우에는 과습시 통기성 악화나 토양용량의 지나친 수축, 팽창 현상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므로 0.1%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에 의한 식생상자(10)를 이용하여 도로변에 식생방음벽을 설치하였을 경우 바람, 매개체 등에 의한 잡초종자 유입이 용이하고, 입지상 관리가 난이하기 때문에 잡초종자의 유입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는 바, 다공질 필름(13)의 V자형 구멍(13a)이 수분증발과 잡초 종자의 유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섬유매트(15)는 수분을 보유, 토양의 손실 방지, 경관미 향상 등을 위한 것으로 자연 또는 인공 섬유매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부직포, 코코넛 섬유매트(coir felt)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물 영양체(17)는 내건성(耐乾性)이 뛰어나 식생방음벽에 적합한 식물이며, 그 중 활착, 성장상태, 계절 및 경관성을 고려하여 선정한 기린초, 애기기린초, 섬기린초, 돌나물, 바위채송화 등의 한국산 세덤류와 외래 세덤류인 Sedum album, Sedum spurium, Sedum sexangulare, Sedum reflexum 등을 단일종 또는 복수종으로 혼합하여 식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세덤류 외에 내건성이 강한 초화류 종자를 단일종 또는 복수종으로 혼합하여 파종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식물 영양체(17)는 줄기를 약 1㎝ 이상 절단하여 배합토 1㎥당 200∼400개체를 뿌려 발근, 활착시키는 영양번식을 통해 식생을 형성시킨다.
상기 배합토양(18)은 식물 영양체(17)를 뿌린 후 5㎜ 정도 복토하고 압력을 가하여 눌러 줌으로써 식물 영양체(17)의 조기 발근을 촉진시킨다.
상기 망상판체(19)는 상자몸체(11)에 적층된 다공질 필름(13)과 자연 또는 인공의 섬유 매트(15) 및 배합토양(12,14,16,18)이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상자몸체(11)에 충전되는 배합토양(12,14,16,18)이, 망상 구조체로 된 상하면판(11e,11f)을 통하여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하면판(11e,11f)의 내측에 부직포(20,20)를 덧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생상자(10)가 완성되면 관수를 실시하여 식물 영양체(17)의 식생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식생상자(10)는 상기 망상판체(19)가 설치된 전면부가 정면을 향하도록 적재하는 것에 의하여 식생방음벽을 구축할 수 있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식생상자의 제 2실시례를 도시하는 것으로, 상기 배면 배합토양(12)과 섬유매트(15) 사이에 다공질 필름(13)과 제 2중간 배합토양(14)을 순차 적층하여 수분보습과 잡초방제 기능을 부여한 것이며, 여타 구성 부분은 상술한 제 1실시례에서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다공질 필름은 일반적인 다공질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다수개의 V자형 구멍(13a)을 가지는 P.E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중간 배합토양(14)는 상기 배면 배합토양(12)과 제 1중간 배합토양(16) 및 전면 배합토양(18)과 동일한 조성의 것을 사용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식생상자를 이용한 식생방음벽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식생상자를 이용한 식생방음벽의 제 1실시례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6은 식생방음벽의 사시도, 도 7은 방음벽 프레임의 종단측면도, 도 8은 방음벽 프레임을 구성하는 수직틀과 식생상자 지지판의 결합상태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방음벽 프레임을 구성하는 수직틀과 식생상자 지지판의 결합상태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식생상자 지지판을 보인 사시도, 도 11은 방음벽 프레임을 구성하는 수직틀과 식생상자 지지판의 결합상태의 또 다른 예를 보인 종단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에 복수개의 식생상자 수납공간이 형성된 방음벽 프레임(30)과, 상기 식생상자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복수개의 식생상자(10)로 구성된다.
상기 방음벽 프레임(30)은 기초방음판(31)과; 이 기초방음판(31)의 양측연부에 직각으로 고정되어 상기 기초방음판(11)의 전면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수직틀(32)들과; 상기 기초방음판(31)과 수직틀(32)들을 지지하는 하부지지대(33) 및; 상기 기초방음판(31)의 전면과 인접하는 수직틀(32)들 사이에 선반식으로 설치되어 상기 공간부를 복수개의 식생상자 수납공간으로 구획하는 복수개(도시례에서는 5개)의 식생상자지지판(34)으로 구성된다.
상기 기초방음판(31)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음판 소재가 사용된다.
상기 기초방음판(31)은 통상적인 단위 방음벽의 규격에 맞춰서 예컨대, 좌우길이 1,000㎜, 높이 3,000㎜의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수직틀(32)들의 규격은 전후길이 × 높이 = 200㎜ × 3,0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부지지대(33)의 규격은 좌우길이 × 높이 × 전후길이 = 1,000㎜ × 295㎜ × 200㎜로 하고, 식생상자지지판(34)의 규격은 좌우길이 × 전후길이 = 1,000㎜ × 2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틀(32)들은 기초방음판(31)의 전면에 용접 등에 의하여 결합되며, 하부지지대(33)는 기초방음판(31)과 수직틀(32)들의 하단부에 용접이나 리벳 또는 볼트/너트 등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식생상자지지판(34)은 조립, 해체와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틀(32)에 삽입홈(35)을 형성하고, 이 삽입홈(35)에 식생상자지지판(34)의 양측단부를 삽입하여 결합하거나,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틀(32)에 상하 한쌍의 안내레일(36,36)을 고정하여 이들 고정레일(36,36) 사이에 삽입홈(37)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 삽입홈(37)에 식생상자지지판(34)의 양측단부를 삽입하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생상자지지판(34)은 수평으로 설치할 수도 있으나, 식생상자(10)를 별도의 고정장치가 없이 구조적으로 안정되게 설치하기 위하여 전면측이 높고 후면측으로 가면서 10~20° 하향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삽입홈(35)과 고정레일(36,36) 및 삽입홈(37)도 전면측이 높고 후면측으로 가면서 10~20° 하향경사지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식생상자지지판(34)은 상하로의 우수의 유통을 보장하고 식생상자(1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수 침투가 가능한 망상의 형태로 형성하거나,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측에서 수직틀(32)들과 식생상자(10)의 전면측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생상자지지판(34)의 전후길이는 수직틀(32)들과 동일하게 형성하고, 그 선단부에 우수유입판(38)을 결합하여 이 우수도입판(38)이 전면측에서 수직틀(32)들과 식생상자(10)의 전면측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례에 의한 식생방음벽의 설치는, 세덤 식생방음벽을 설치할 장소에 하부지지대(33)를 앵커 등에 의해 고정설치하고, 그 위에 기초방음판(31)과 수직틀(32)을 용접이나 볼트/너트 등에 의하여 고정설치한 다음 각 식생상자수납공간 내에 식생상자(10)를 수납하여 식생상자(10)가 각 식생상자지지판(34) 위에 안착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완료된다.
도 12은 본 발명에 의한 식생상자를 이용한 식생방음벽의 제 2실시례를 도시하는 것이다. 본 실시례는 식생상자가 전면과 배면에 모두 배치되는 양면 녹화형 식생방음벽에 적용한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틀(32')의 전후길이를 식생상자지지판(34)의 전후길이의 2배로 형성하고, 이 수직틀(32')의 전후방향 중간부에 기초방음판(31)의 양측단부가 결합되도록 하여 기초방음판(31)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전후방의 공간부에 식생상자지지판(34)을 설치하여 전후방에 각각 복수개의 식생상자수납공간(S)이 형성되도록 하여 기초방음판(31)의 전방과 후방에서 각각 식생상자(1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상술한 제 1실시례에서의 삽입홈(35), 안내레일(36,36)과 삽입홈(37), 식생상자 지지판(34)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하는 구성과, 우수유입판(38)의 구성 등 여타 구성은 상술한 실시례에서와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이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식생상자(10)는 전면개방부(11a)가 개방되고, 배면판(11b)과 양측면판(11c,11d)은 철판 등으로 막혀 있으며 상하면판(11e,11f)은 토양유실이 방지됨과 아울러 상하로 수분통과가 가능한 망상의 구조체로 된 상자몸체(11)와, 상기 상자몸체(11)의 배면측으로부터 배합토양(12), 섬유매트(15), 배합토양(16), 식물 영양체(17), 배합토양(18) 및 망상판체(expanded metal)(19)가 순차 전방을 향해 적층되며 여기에는 다공질 필름(13), 배합토양(14)이 삽입되어 수분보습, 잡초방제의 기능 및 별도의 관수나 관리가 없이도 갈수기 및 장마, 집중호우 등 기후적 영향을 최소화하여 식물의 식생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람, 매개체 등에 의한 잡초종자 유입이 용이하고, 입지상 관리가 난이한 도로변에 주로 방음벽이 설치되므로, 본 발명에 의한 식생상자(10)의 V자형 구멍(13a)이 형성된 다공질 필름(13)을 적용하면 수분증발과 잡초 종자의 유입을 방지하게 되고, 식물 영양체(17)의 뿌리의 활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식생상자는 섬유매트(15)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수분을 더욱 효과적으로 보유하고, 토양의 손실을 방지하며, 경관미를 향상시키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식생상자는 4 : 1 : 1.75 : 1.75의 비율의 펄라이트 : 버미큘라이트 : 이탄토(유기질토양) : 바크퇴비와 황토를 추가적으로 5% 배합한 토양을 사용하기 때문에 식생상자를 경량화 할 수 있어 취급 및 설치가 용이하고, 수분보습력이 높고 양이온 치환용량을 최적화할 수 있어 식물의 활착 및 생장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관수가 곤란한 지역에서도 적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식생상자는 배합토양(12,14,16,18)에 수분보습제인 고도 흡습성 폴리머(super absorbent polymer) 대립을 0.1% 혼합하고 있기 때문에 수분보유력을 증진시켜 무관수로서도 식생이 각 계절에 나타나는 장단의 갈수기에 견딜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식생상자를 이용한 식생방음벽은 식생상자(10)의 상하면판(11e,11f)이 망상 구조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관수가 불가능한 지역에 설치한 경우에도 우수가 충분히 유입되어 식생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식생상자를 이용한 식생방음벽은 방음벽 프레임(30)에 선반식 식생상자 지지판(34)을 설치하고, 이 선반식 식생상자 지지판(34)에 식생상자(10)를 삽입, 안착하는 것에 의하여 식생방음벽을 구축할 수 있으므로 그 설치가 매우 간편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식생상자를 이용한 식생방음벽은 방음벽 프레임(30)을 구성하는 수직틀(32)에 삽입홈(35)을 형성하거나 한 쌍의 안내레일(36,36)에 의한 삽입홈(37)을 형성하고 이들 삽입홈(35,37)에 식생상자 지지판(34)을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착탈식으로 설치하고 있으므로 조립, 해체와 분리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식생상자를 이용한 식생방음벽은 식생상자 지지판(34)을 전방이 높고 후방으로 가면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식생상자 지지판(34)과 이에 안착되는 식생상자(10)를 별도의 고정수단으로 고정하지 않고서도 견고하고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식생상자의 제 1실시례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사시도,
도 2는 종단측면도,
도 3은 분해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식생상자의 제 2실시례를 보인 것으로,
도 4는 종단측면도,
도 5는 분해사시도,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식생상자를 이용한 식생방음벽의 제 1실시례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6은 식생방음벽의 사시도,
도 7은 방음벽 프레임의 종단측면도,
도 8은 방음벽 프레임을 구성하는 수직틀과 식생상자 지지판의 결합상태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방음벽 프레임을 구성하는 수직틀과 식생상자 지지판의 결합상태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방음벽 프레임을 구성하는 수직틀과 식생상자 지지판의 결합상태의 예를 보인 종단측면도,
도 11은 방음벽 프레임을 구성하는 수직틀과 식생상자 지지판의 결합상태의 또 다른 예를 보인 종단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식생상자를 이용한 식생방음벽의 제 2실시례를 보인 식생방음벽의 종단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식생상자 11: 상자몸체
12,14,16,18, 배합토양 13: 다공질 필름
15: 섬유매트 17: 식물 영양체
19: 망상판체 20: 부직포
30: 방음벽 프레임 31: 기초방음판
32,32: 수직틀 33: 하부지지대
34: 식생상자 지지판 35: 삽입홈
36: 안내레일 37: 삽입홈
38: 우수유입판

Claims (9)

  1. 전면개방부(11a)가 개방되고, 배면판(11b)과 양측면판(11c,11d)은 철판 등으로 막혀 있으며 상하면판(11e,11f)은 토양유실이 방지됨과 아울러 상하로 수분통과가 가능한 망상의 구조체로 된 상자몸체(11)와, 상기 상자몸체(11)의 배면측으로부터 배면 배합토양(12), 섬유 매트(15), 제 1중간 배합토양(16), 식물 영양체(17), 전면 배합토양(18) 및 망상판체(expanded metal)(19)가 순차 전방을 향해 적층되어 구성되는 식생상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배합토양과 섬유매트 사이에 다공질 P.E.필름과 제 2중간 배합토양을 순차 적층하여 수분보습과 잡초방제 기능을 부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상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몸체(11)의 양측면판은 전방측이 높고 후방으로 가면서 10~20° 하향 경사진 평행사변형으로 형성하여 상자몸체(11)의 하면판(11f)을 10~20° 기울어진 경사면에 올려놓았을 때 전면개방부(11a) 및 배면판(11b)이 수직을 이루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상자.
  4. 기초방음판과, 상기 기초방음판의 양측에 고정결합되어 기초방음판의 전면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수직틀과, 상기 기초방음판과 수직틀을 지지하는 하부지지대와, 상기 기초방음판의 전면과 수직틀의 내측면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고정결합되어 식생상자가 수납되는 복수개의 식생상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식생상자 지지판으로 되는 방음벽 프레임과;
    상기 각 식생상자 수납공간에 수납되어 상기 각 식생상자 지지판 상에 안착되는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복수개의 식생상자;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상자를 이용한 식생방음벽.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틀의 내측면에는 상기 식생상자 지지판들의 양측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상자를 이용한 식생방음벽.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틀의 내측면에는 각 한 쌍의 안내레일을 고정하여 그 각 한 쌍의 안내레일 사이에 상기 식생상자 지지판들의 양측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상자를 이용한 식생방음벽.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상자 지지판들은 전면측이 높고 후면측으로 가면서 10~20° 하향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식생상자 지지판 상에는 제 1항의 세덤 식생상자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상자를 이용한 식생방음벽.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전면측이 높고 후면측으로 가면서 10~20°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상자를 이용한 식생방음벽.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레일과 이들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홈은 전면측이 높고 후면측으로 가면서 10~20° 하향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상자를 이용한 식생방음벽.
KR1020040030744A 2004-04-30 2004-04-30 식생상자 및 이를 이용한 식생방음벽 KR100580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744A KR100580926B1 (ko) 2004-04-30 2004-04-30 식생상자 및 이를 이용한 식생방음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744A KR100580926B1 (ko) 2004-04-30 2004-04-30 식생상자 및 이를 이용한 식생방음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5020A true KR20050105020A (ko) 2005-11-03
KR100580926B1 KR100580926B1 (ko) 2006-05-17

Family

ID=37282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0744A KR100580926B1 (ko) 2004-04-30 2004-04-30 식생상자 및 이를 이용한 식생방음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092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480B1 (ko) * 2007-08-09 2007-11-01 (주)우주엔지니어링 신도시 소음방지용 방음시설
KR100899929B1 (ko) * 2008-02-29 2009-05-28 리텍건설환경(주) 풍하중을 저감할 수 있는 방음벽
KR101138556B1 (ko) * 2011-08-22 2012-05-10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도로 단지 도시 입체조경을 위한 방음벽녹화 및 그 시공방법
KR101255150B1 (ko) * 2012-11-29 2013-04-26 주식회사 하람산업 이끼를 이용한 방음벽
KR102337206B1 (ko) * 2021-04-13 2021-12-10 김종성 식생패널 관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441B1 (ko) * 2007-04-20 2008-03-27 주식회사 대목환경건설 방음벽
KR101331404B1 (ko) 2011-10-04 2013-11-20 박공영 수직형 식물 재배 장치
KR101218622B1 (ko) 2012-10-10 2013-01-04 주식회사 장원 서랍식 식생블록이 결합된 방음틀이 적층된 방음벽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480B1 (ko) * 2007-08-09 2007-11-01 (주)우주엔지니어링 신도시 소음방지용 방음시설
KR100899929B1 (ko) * 2008-02-29 2009-05-28 리텍건설환경(주) 풍하중을 저감할 수 있는 방음벽
KR101138556B1 (ko) * 2011-08-22 2012-05-10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도로 단지 도시 입체조경을 위한 방음벽녹화 및 그 시공방법
KR101255150B1 (ko) * 2012-11-29 2013-04-26 주식회사 하람산업 이끼를 이용한 방음벽
KR102337206B1 (ko) * 2021-04-13 2021-12-10 김종성 식생패널 관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0926B1 (ko) 200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2252B1 (ko) 식생 모듈과 이를 이용한 식생 방음벽
JP2004337054A (ja) 壁面緑化ユニット
JPH07274729A (ja) 緑化用植栽ユニット棚
KR100520420B1 (ko) 인공지반녹화용 모듈과 이를 이용한 인공지반 녹화방법
KR100580926B1 (ko) 식생상자 및 이를 이용한 식생방음벽
JP2000262150A (ja) 緑化用コンテナ
JP2005323589A (ja) 緑化設備
JP3184895B2 (ja) 緑化防音壁
KR101304678B1 (ko) 이끼식물용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물 녹화 시스템
KR101127628B1 (ko) 인공지반토양 적치를 위한 조경용 식생 상자
KR101187777B1 (ko) 인공지반녹화에 적용가능한 식생블럭
CN213233311U (zh) 自然荒坡及直立硬质护岸快速生态化改造及修复的装置及生态种植框
KR200294881Y1 (ko) 식생 가능한 목재 방음벽의 구조
JP3627041B2 (ja) 植生可能な防音壁
JPH08120693A (ja) 擁 壁
KR100482956B1 (ko) 식생 가능한 목재 방음벽의 구조
KR200348313Y1 (ko) 인공지반녹화용 모듈
JP2006246830A (ja) 緑化エリアの仕切材及び仕切構造、緑化設備
JPH1018321A (ja) 緑化用壁材
KR100436517B1 (ko) 환경 친화성 녹화방음벽
CN210470403U (zh) 城市道路的立体绿化系统
JP3506371B2 (ja) 擁壁緑化ブロックおよび擁壁緑化構造
JPH07279278A (ja) 植栽可能な防音壁体構造
JP4767116B2 (ja) 間知ブロックによる造成壁面の緑化構造
KR20050105874A (ko) 플랜터형 식생방음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