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8556B1 - 도로 단지 도시 입체조경을 위한 방음벽녹화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도로 단지 도시 입체조경을 위한 방음벽녹화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8556B1
KR101138556B1 KR1020110083600A KR20110083600A KR101138556B1 KR 101138556 B1 KR101138556 B1 KR 101138556B1 KR 1020110083600 A KR1020110083600 A KR 1020110083600A KR 20110083600 A KR20110083600 A KR 20110083600A KR 101138556 B1 KR101138556 B1 KR 101138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vegetation
soundproof wall
block fix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3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진
조수연
김윤경
이대근
이승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주)이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주)이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Priority to KR1020110083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85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2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specially adapted for sustaining vegetation or for accommodating plants ; Embankment-type or crib-type noise barriers; Retaining walls specially adapted to absorb or reflect noise
    • E01F8/021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specially adapted for sustaining vegetation or for accommodating plants ; Embankment-type or crib-type noise barriers; Retaining walls specially adapted to absorb or reflect noise with integral support structure
    • E01F8/023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specially adapted for sustaining vegetation or for accommodating plants ; Embankment-type or crib-type noise barriers; Retaining walls specially adapted to absorb or reflect noise with integral support structure made of stacked or staggered elements, e.g. hollow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404Sound-absorbing elements block-shap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입면녹화형 방음벽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초콘크리트에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 ; 상기 한쌍의 지지부재사이에 상기 기초콘크리트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수직하게 또는 상기 기초콘크리트와 나란하도록 수평하게 연속하여 배치되는 복수개의 블럭고정부 ; 및 상기 도로와 대응하는 블럭고정부의 전면에 개구된 개구부를 통하여 식물이 식재된 식재면이 외부노출되도록 상기 블럭고정부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연속하여 삽입되어 적층되는 복수개의 식생블럭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도로 단지 도시 입체조경을 위한 방음벽녹화 및 그 시공방법{Vertical Planting Type Sound Proof Wall and Constructing Method}
본 발명은도로 단지 도시 입체조경을 위한 입면녹화형 방음벽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노후된 방음벽을 입면녹화를 통하여 경관을 개선하고, 이산화탄소, 차량분진과 같은 유해물질의 흡수원을 확보할 수 있고, 식재된 식물에 수분을 안정적으로 공급하여 식물의 생육을 보장할 수 있으며, 겨울철에 식물의 동해을 방지하여 식물의 고사율을 낮출 수 있는 한편, 차량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여 운전자 및 차량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입면녹화형 방음벽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 및 일반도로의 나들목에는 차량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알루미늄 또는 철재와 같은 금속재로 이루어지거나 목재 등으로 이루어진 방음벽을 설치하였다.
그러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노후된 방음벽의 노출로 인하여 삭막하고, 단순한 경관을 조성하였다.
이에 따라, 시공 후 방음벽에는 담쟁이와 같은 덩굴성 식물을 식재하여 도심지에서 경관상 녹화를 조성하였으나, 덩굴성 식물을 방음벽에 직접적으로 등반시켜 녹화를 하는 것은 방음벽과 식물 사이의 공간을 확보하지 못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녹지가 지닌 복사열 저감, 소음 감쇄효과, 이산화탄소 흡수 및 제거 등의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방음벽에 추가로 설치되는 등반보조재를 이용하여 덩굴성 식물을 등반시켜 녹화를 하는 방법으로 입체적 패널구조를 취할 수 있어 일반적인 녹화에 다른 효과를 일부 얻을 수 있으나, 덩굴성 식물은 수분결핍에 취약하고 겨울철 낮은 기온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기 쉬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기존의 방음벽은 차량 충돌시 완충기능이 부족하여 운전자 및 차량의 피해를 증가시키는 주요원인을 제공하였다.
(특허문헌 1) KR10-2005-0105020 A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5-0105020호에는 식생상자 및 이를 이용한 식생방음벽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노후된 방음벽을 입면녹화를 통하여 경관을 개선하고, 이산화탄소, 차량분진과 같은 유해물질의 흡수원을 확보할 수 있고, 식재된 식물에 수분을 안정적으로 공급하여 식물의 생육을 보장할 수 있으며, 겨울철에 식물의 동해을 방지하여 식물의 고사율을 낮출 수 있는 한편, 차량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여 운전자 및 차량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입면녹화형 방음벽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로를 따라 설치되어 소음을 감소시키는 방음벽에 있어서, 기초콘크리트에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 ; 상기 한쌍의 지지부재사이에 상기 기초콘크리트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수직하게 또는 상기 기초콘크리트와 나란하도록 수평하게 연속하여 배치되는 복수개의 블럭고정부 ; 및 상기 도로와 대응하는 블럭고정부의 전면에 개구된 개구부를 통하여 식물이 식재된 식재면이 외부노출되도록 상기 블럭고정부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연속하여 삽입되어 적층되는 복수개의 식생블럭 ;을 포함하는 입면녹화형 방음벽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사이로서 수평하게 삽입되어 블럭고정부의 하부단을 덮어 고정하도록 상부로 개방된 하부덮개부재를 구비하거나 상기 블럭고정부의 상부단을 덮어 고정하도록 하부로 개방된 상부덮개부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식생블럭은 적어도 하나의 식재홈을 상기 개구부와 대응하는 전면에 함몰형성한 블럭본체와, 식물의 뿌리가 착근될 수 있도록 소정량의 배양토를 저장하여 상기 식재홈에 삽입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토낭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블럭본체는 상기 식재홈과 연결되는 유입공을 상부면에 관통형성하고, 상기 식재홈과 연결되는 배수공을 하부면에 관통형성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블럭본체는 라텍스 30 내지 50 중량부 및 코코넛 섬유 50 내지 70중량부를 혼합한 혼합소재로 이루어진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블럭본체는 외부면에 반투수층 또는 불투수층을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토낭은 상기 식재홈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거나 지그재그형으로 절첩되는 단면상으로 구비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식생블럭은 인접하여 접하는 다른 식생블럭과 대응하는 외부면에 적층시 통로를 형성하도록 요홈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로를 따라 설치되어 소음을 감소시키는 방음벽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초콘크리트에 일정간격을 두고 한쌍의 지지부재를 배치하는 단계 ; 상기 한쌍의 지지부재사이에 상기 기초콘크리트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복수개의 블럭고정부를 수직하게 연속하여 배치하는 단계 ; 상기 도로와 대응하는 전면에 개구된 개구부를 통하여 식물이 식재된 식재면이 외부노출되도록 블럭고정부의 내부로 복수개의 식생블럭을 삽입하여 적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입면녹화형 방음벽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개의 식생블럭을 삽입하여 적층하는 단계는 적층시 토낭이 삽입배치되는 식재홈을 함몰형성한 블럭본체의 상부면에 상기 식재홈과 연결되도록 관통형성된 유입공과 이에 인접하는 다른 블럭본체의 하부면에 식재홈과 연결되도록 관통형성된 배수공을 서로 일치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개의 식생블럭을 삽입하여 적층하는 단계는 식생블럭에 인접하여 접하는 다른 식생블럭과 대응하는 외부면에 형성되는 요홈부에 의해서 적층시 통로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개의 블럭고정부를 수직하게 연속하여 배치하는 단계이전에 상기 블럭고정부의 하부단을 덮어 고정하도록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사이로 상부로 개방된 하부덮개부재를 삽입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개의 식생블럭을 삽입하여 적층한 단계 이후에, 상기 블럭고정부의 상부단을 덮어 고정하도록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사이로 하부로 개방된 상부덮개부재를 삽입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로를 따라 설치되어 소음을 감소시키는 방음벽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초콘크리트에 일정간격을 두고 한쌍의 지지부재를 배치하는 단계 ; 상기 도로와 대응하는 전면에 개구된 개구부를 통하여 식물이 식재된 식재면이 외부노출되도록 블럭고정부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연속하여 복수개의 식생블럭을 삽입하여 적층하는 단계 ; 및 상기 한쌍의 지지부재사이에 상기 기초콘크리트에 대하여 수평하도록 복수개의 식생블럭이 적층된 복수개의 블럭고정부를 수평하게 연속하여 배치하는 단계 ; 를 포함하는 입면녹화형 방음벽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복수개의 식생블럭을 삽입하여 적층하는 단계는 상기 식생블럭에 인접하여 접하는 다른 식생블럭과 대응하는 외부면에 형성되는 요홈부에 의해서 적층시 통로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개의 블럭고정부를 수평하게 연속하여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사이로 수평하게 삽입되는 상,하층 블럭고정부들사이에 스페이서를 배치하여 일정간격의 통로를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기초콘크리트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사이에 식생블록을 다단으로 적층하는 블럭고정부를 수직하게 삽입배치하거나 수평하게 삽입배치함으로써 식생블럭의 각 토낭에 식재된 식물이 블럭고정부의 각 개구부를 통하여 노출되어 성장되어 방음벽 전면을 녹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노후된 방음벽을 입면녹화를 통하여 경관을 개선하고, 차량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분진과 같은 유해물질을 흡수하여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2) 식생블럭에 저장된 수분을 식재된 식물에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식재된 식물을 고사시키지 않고, 안정적으로 성장시킬 수 있고, 생육조건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한편, 겨울철에는 식생블럭에 의해서 태양열을 흡수하여 보온효과를 얻을 수 있어 토낭에 식재된 식물의 동해발생을 줄일 수 있고, 여름철에는 덩굴성 식물이 식생블럭을 덮어 온도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3) 한쌍의 지지부재사이에 수직하게 또는 수평하게 배치되는 블럭고정부의 내부에 식생블럭이 다단으로 적층되기 때문에 상재하중에 대한 저항력이 뛰어나 벽면에 별도의 앵커를 고정하는 방식에 비하여 구조적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한편, 차량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여 운전자 및 차량 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입면녹화형 방음벽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a)(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입면녹화형 방음벽에 채용되는 식생블럭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a)(b)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입면녹화형 방음벽에 채용되는 식생블럭을 도시한 설치상태도이다.
도 4(a)(b)(c)(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입면녹화형 방음벽을 시공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입면녹화형 방음벽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a)(b)(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입면녹화형 방음벽을 시공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방음벽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은 차량주행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도록 도로의 양측에 설치되는 도로 구조물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주거용 및 업무용 건물, 소형 주택, 교량 또는 고가차도 등과 같은 토목 구조물에 적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제1실시예>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입면녹화형 방음벽(10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110), 블럭고정부(120) 및 식생블럭(13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110)는 도로의 좌우양측 바닥면에 콘크리트로 타설되어 시공된 기초콘크리트(112)에 하부단이 고정되고, 상기 기초콘크리트(112)의 상부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배치되는 좌우 한 쌍의 철제 빔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재(110)는 제1,2플랜지사이(111a,111c)를 연결하는 웹(111b)을 갖는 H 단면상의 빔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1,2플랜지(111a,111c) 중 어느 하나는 도로와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블럭고정부(120)는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된 한 쌍의 지지부재(110)사이에 상기 기초콘크리트(112)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수직하게 연속하여 배치된다.
이러한 블럭고정부(120)는 상기 도로와 대응하는 전면에 상기 식생블럭(130)의 전면을 외부노출시키도록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개구된 개구부(122)를 구비하고, 도면상 상하 양단이 개구된 대략 직육면체상의 철망구조물이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110)사이에 연속하여 수직하게 배치되는 블럭고정부(120)는 지지부재(110)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낮은 높이를 갖는 길이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110)사이에 서로 접하도록 배치되는 블럭고정부(120)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블럭고정부(120)는 철사부재와 같은 결속부재를 매개로 하여 상호 결속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110)사이에 일체 구조물로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110)사이로서 수평하게 삽입되어 블럭고정부(120)의 하부단을 덮어 고정하도록 상부로 개방된 하부덮개부재(124)를 구비하고, 상기 블럭고정부(120)의 상부단을 덮어 고정하도록 하부로 개방된 상부덮개부재(126)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덮개부재(124)는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110)사이에 블럭고정부(120)를 수직하게 삽입하기 전, 상기 기초콘크리트(112)와 나란하게 수평한 상태로 삽입되어 상기 기초콘크리트(112)의 상부면에 올려지는 대략 'ㄷ'단면상의 철망구조물이며, 상기 상부덮개부재(126)는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110)사이에 복수개의 블럭고정부(120)를 수직하게 삽입한 후, 상기 복수개의 블럭고정부(120) 상부단을 고정하도록 덮어지는 'ㄷ'단면상의 철망구조물이다.
상기 상부,하부덮개부재(124,126)의 양단은 상기 지지부재(110)의 제1,2플랜지(111a,111c)사이로 삽입됨으로써 별도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한쌍의 지지부재(110)사이에 조립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하부 덮개부재(124,126)는 블럭고정부(120)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메쉬크기를 갖는 철망구조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금속소재 또는 수지소재의 판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식생블럭(130)은 상기 블럭고정부(120)의 전면에 길이방향으로 개구된 개구부(122)를 통하여 식물이 식재된 토낭(133)이 외부노출되도록 상기 블럭고정부(120)의 개방된 상부로부터 하부로 연속적으로 삽입되어 이에 다단으로 적층된다.
이러한 식생블럭(130)은 도 2(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식재홈(131)을 상기 개구부(112)와 대응하는 전면에 소정깊이 함몰형성한 블럭본체(132)와, 식물의 뿌리가 착근될 수 있도록 소정량의 배양토(134)를 저장하여 상기 식재홈(131)에 삽입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토낭(133)을 포함한다.
상기 블럭본체(132)는 상기 토낭(133)으로 빗물과 같은 수분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식재홈(131)과 연결되는 유입공(135a)을 상부면에 관통형성하고, 상기 식재홈(131)에 잔류하는 빗물과 같은 수분을 하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식재홈(131)과 연결되는 배수공(135b)을 하부면에 관통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유입공(135a)으로 유입되는 빗물은 이를 통하여 식물이 식재된 토낭(133)으로 수분을 공급하여 식물을 안정적으로 성장시킬 수 있고, 상기 식재홈(131)이나 토낭(133)에 잔류하는 빗물은 상기 배수공(135b)을 통하여 하부로 배출되어 하부에 적층된 다른 식생블럭으로 공급되어 이에 식재된 식물에 수분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블럭본체(132)는 라텍스 30 내지 50 중량부 및 코코넛 섬유 50 내지 70중량부를 혼합한 혼합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입공(135a)을 통해 블럭본체(132)의 내부로 유입된 빗물과 같은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으로 최대한 억제하면서 블럭본체(132)에 장시간 체류시킬 수 있도록 외부면에 반투수층 또는 불투수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투수층 또는 불투수층은 천연라텍스와 코코넛 섬유로 이루어진 블럭본체를 금형에서 고온으로 압착가열하는 과정에서 상기 블럭본체(132)의 외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식물을 식재하여 상기 식재홈(131)에 배치되는 토낭(133)은 도 2(a)와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식재홈(131)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거나 도 2(b)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중에 의한 배부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그재그형으로 절첩되는 단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토낭(133)은 상기 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수분을 보습하는 성능을 향상시키고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식재된 식물의 뿌리방향으로 수분을 흡수하고 유도할 수 있도록 PE소재의 황토망으로 이루어지는 내,외부층사이에 황마솜 60중량부와 PLA솜 40중량부를 압착하여 이루어지는 부직시트와, 흡수성 솜을 펄프사이에 넣은 보습시트를 적층한 다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식생블럭(130)은 인접하여 접하는 다른 식생블럭과 대응하는 외부면에 적층시 통로를 형성하도록 요홈부(136)를 구비하며, 이러한 요홈부(136)는 상기 식생블럭(13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형성되어 인접하여 접하는 다른 식생블럭과의 접합시 소정크기의 통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식생블럭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입면녹화형 방음벽(100)을 시공하기 위해서 먼저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초콘크리트(112)의 상부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한 쌍의 지지부재(110)를 수직하게 배치한다.
이어서,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한 쌍의 지지부재(110)사이에 상기 기초콘크리트(112)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전면에 개구부(122)를 형성한 블럭고정부(120)를 수직하게 연속하여 배치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110)사이에 복수개의 블럭고정부(120)를 수직하게 연속하여 배치하기 전에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110)사이로 상부로 개방된 대략 'ㄷ' 단면상의 하부덮개부재(124)를 삽입하여 기초콘크리트의 상부면에 배치함으로써 이후 삽입배치되는 블럭고정부(120)의 하부단을 덮어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지지부재(110)의 제1,2플랜지(111a,111c)사이로 상기 하부덮개부재(124)의 양단이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별도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한 쌍의 지지부재(110)사이에서 블럭고정부(120)의 하부단을 확고히 위치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서로 인접하여 접하는 복수개의 블럭고정부(120)는 철사부재와 같은 결속부재를 매개로 하여 상호 결속된다.
이어서, 상기 도로와 대응하는 블럭고정부(120)의 전면에 개구된 개구부(122)를 통하여 식물이 식재된 식재면이 외부노출되도록 상기 블럭고정부의 상단으로부터 타단으로 복수개의 식생블럭(130)을 삽입하여 높이방향으로 다단 적층한다.
이때, 상기 식생블럭(130)은 적어도 하나의 식재홈(131)을 상기 개구부(112)와 대응하는 전면에 소정깊이 함몰형성한 블럭본체(132)와, 식물의 뿌리가 착근될 수 있도록 소정량의 배양토(134)를 저장하여 상기 식재홈(131)에 삽입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토낭(133)을 포함하고, 상기 블럭본체(132)의 상,하부면에는 상기 토낭(133)으로 빗물과 같은 수분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식재홈(131)과 연결되는 유입공(135a)과 배수공(135b)을 각각 관통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블럭고정부(120)에 다단으로 적층되는 식생블럭(130)은 적층시 블럭본체(132)의 상부면에 형성된 유입공(135a)과 이에 인접하는 다른 블럭본체의 하부면에 관통형성된 배수공(135b)을 서로 일치시킴으로써 이를 통하여 유입되고 배출되는 빗물흐름이 자중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상기 토낭(133)으로 빗물과 같은 수분을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한쌍의 지지부재(110)사이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블럭고정부(120)에는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식생블럭(130)이 높이방향으로 수직하게 다단으로 적층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식생블럭(130)은 인접하여 접하는 다른 식생블럭과 대응하는 외부면에 수직방향으로의 적층시 통로를 형성하도록 요홈부(136)를 구비하는바, 이러한 요홈부(136)는 상기 식생블럭(13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형성되어 인접하여 접하는 다른 식생블럭과의 접합시 소정크기의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럭고정부(120)에 다단으로 식생블럭(130)을 적층한 후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110)사이로 하부로 개방된 대략 'ㄷ' 단면상의 상부덮개부재(126)를 삽입하여 상기 블럭고정부(120)의 상부단을 덮어 고정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지지부재(110)의 제1,2플랜지(111a,111c)사이로 상기 상부덮개부재(126)의 양단이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별도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한 쌍의 지지부재(110)사이에서 상기 하부덮개부재(126)와 더불어 블럭고정부(120)를 확고히 위치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상부덮개부개(126)에 의해서 한 쌍의 지지부재(110)사이에 수직하게 배치된 블럭고정부(120)의 상단부를 덮으면서 고정하게 되면,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초콘크리트(112)상에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110)사이에 서로 접하도록 복수개의 블럭고정부(120)를 수직하게 연속하여 배치하고, 상기 블럭고정부(120)의 개구부(122)를 통하여 식물이 식재된 토낭(133)이 외부노출되도록 식생블럭(130)을 높이방향으로 다단 적층하고, 수직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블럭고정부(120)의 상,하부단을 상,하부덮개부재(124,126)로서 확고히 위치고정한 입면녹화형 방음벽(100)을 설치완료할 수 있는 것이다.
<제2실시예>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입면녹화형 방음벽(100a)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지지부재(110), 블럭고정부(120) 및 식생블럭(130)을 포함하며,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상기 블럭고정부(120a)는 상기 도로와 대응하는 전면에 상기 식생블럭(130)의 전면을 외부노출시키도록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개구된 개구부(122)를 구비하고, 도면상 상하 양단이 개구된 대략 직육면체상의 철망구조물이다.
이러한 블럭고정부(120a)는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110)사이에 기초콘크리트(112)와 나란하도록 연속하여 수평하게 삽입되며,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110)의 제1,2플랜지(111a,111c)사이에 양단이 걸려 외부이탈이 곤란하도록 다층으로 적층되는 블럭고정부(120)는 이에 인접하는 다른 블럭고정부(120a)과 철사부재와 같은 결속부재를 매개로 하여 상호 결속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110)사이에 일체 구조물로 서로 연결된다.
상기 식생블럭(130a)은 상기 블럭고정부(120)의 전면에 길이방향으로 개구된 개구부(122)를 통하여 식물이 식재된 토낭(133)이 외부노출되도록 상기 블럭고정부(120a)의 개방된 측방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삽입되어 이에 다단으로 적층된다.
이러한 식생블럭(130a)은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2(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식재홈(131)을 상기 개구부(112)와 대응하는 전면에 소정깊이 함몰형성한 블럭본체(132)와, 식물의 뿌리가 착근될 수 있도록 소정량의 배양토(134)를 저장하여 상기 식재홈(131)에 삽입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토낭(13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식생블럭(130a)은 인접하여 접하는 다른 식생블럭과 대응하는 외부면에 수평방향으로의 적층시 통로를 형성하도록 요홈부(136)를 구비하는바, 이러한 요홈부(136)는 상기 식생블럭(13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인접하여 접하는 다른 식생블럭과의 접합시 소정크기의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입면녹화형 방음벽(100a)을 시공하기 위해서 먼저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초콘크리트(112)의 상부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한 쌍의 지지부재(110)를 수직하게 배치한다.
이어서, 상기 도로와 대응하는 블럭고정부(120a)의 전면에 개구된 개구부(122)를 통하여 식물이 식재된 식재면이 외부노출되도록 상기 블럭고정부(120a)의 개방된 일측단으로부터 타측단으로 복수개의 식생블럭(130a)을 삽입하여 수평방향으로 다단 적층한다.
이때, 상기 식생블럭(130a)은 적어도 하나의 식재홈(131)을 상기 개구부(112)와 대응하는 전면에 소정깊이 함몰형성한 블럭본체(132)와, 식물의 뿌리가 착근될 수 있도록 소정량의 배양토(134)를 저장하여 상기 식재홈(131)에 삽입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토낭(133)을 포함하고, 상기 블럭본체(132)의 상,하부면에는 상기 토낭(133)으로 빗물과 같은 수분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식재홈(131)과 연결되는 유입공(135a)과 배수공(135b)을 각각 관통형성하고, 상기 블럭본체(132)의 양측면에는 요홈부(136)를 함몰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상기 블럭고정부(120a)에는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식생블럭(130a)이 수평방향으로 다단으로 적층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식생블럭(130a)은 인접하여 접하는 다른 식생블럭과 대응하는 외부면에 수평방향으로의 적층시 통로를 형성하도록 요홈부(136)를 구비하는바, 이러한 요홈부(136)는 상기 식생블럭(13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인접하여 접하는 다른 식생블럭과의 접합시 소정크기의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복수개의 식생블럭(130a)을 다단으로 적층한 블럭고정부(120a)는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부재(110)사이로 상기 기초콘크리트(112)와 나란하도록 수평하게 삽입하여 높이방향으로 다단으로 적층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지지부재(110)의 제1,2플랜지(111a,111c)사이로 상기 블럭고정부(120a)의 양단이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별도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한 쌍의 지지부재(110)사이에서 블럭고정부(120a)를 확고히 위치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서로 인접하여 접하도록 높이방향으로 적층되는 복수개의 블럭고정부(120a)는 철사부재와 같은 결속부재를 매개로 하여 상호 결속될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110)사이에 최상층 까지 식생블럭(130a)을 삽입하여 적층한 블럭고정부(120a)을 높이방향으로 적층하게 되면,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초콘크리트(112)상에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110)사이에 서로 접하도록 복수개의 블럭고정부(120a)를 수평하게 배치하고, 상기 블럭고정부(120a)의 개구부(122)를 통하여 식물이 식재된 토낭(133)이 외부노출되는 식생블럭(130a)을 수평방향으로 다단적층하고, 수평하게 다층으로 적층된 복수개의 블럭고정부(120a)의 양단을 지지부재(110)사이에 확고히 위치고정한 입면녹화형 방음벽(100a)을 설치완료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110)사이에 높이방향으로 적층되는 복수개의 블럭고정부(120a)는 상하적층되는 블럭고정부사이에 일정간격의 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블럭고정부의 양단 또는 길이 중간에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를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사이로 수평하게 삽입되는 상,하층 블럭고정부들사이에 스페이서를 배치함으로써 이들 사이에 일정간격의 통로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입면녹화형 방음벽(100, 100a)은 사전에 설치된 금속재 방음판의 전면을 따라 설치되도록 기초콘크리트(112)에 설치되거나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입면녹화형 방음벽(100,100a)은 등반보조형과 패널형 장점을 상호 결합한 구조로서 식생블럭(130,130a)의 각 토낭(133)에 식재된 식물이 상기 블럭고정부(120,120a)의 각 개구부(122)를 통하여 노출되어 성장되면서 방음벽 전면을 녹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토낭(133)을 감싸고 있는 블럭본체(132)가 공급되는 수분을 장시간 저장하거나 저류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유입공과 배수공을 통하여 상기 토낭(133)이 배치되는 식재홈으로 수분을 원활하게 공급함으로써 상기 토낭에 식재된 식물을 안정적으로 성장시킬 수 있는 한편 생육조건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겨울철에 상기 식생블럭(130,130a)은 태양열을 흡수하여 보온효과를 얻을 수 있어 토낭에 식재된 식물의 동해발생을 줄일 수 있는 한편, 여름철에는 덩굴성 식물이 식생블럭을 덮어 온도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지지부재(110)사이에 수직하게 또는 수평하게 배치되는 블럭고정부(120,120a)의 내부에 식생블럭이 다단으로 적층됨으로써 상재하중에 대한 저항력이 뛰어나 벽면에 별도의 앵커를 고정하는 방식에 비하여 구조적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수정 또는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단순한 설계변형 또는 수정사항에 의한 등가물 및 변형물은 모두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함을 미리 밝혀둔다.
100,100a : 본 발명의 방음벽
110 : 지지부재
112 : 기초콘크리트
120,120a : 블럭고정부
122 : 개구부
124 : 하부덮개부재
126 : 상부덮개부재
130,130a : 식생블럭
131 : 식재홈
132 : 블럭본체
133 : 토낭
134 : 배양토
135a : 유입공
135b : 배수공
136 : 요홈부

Claims (16)

  1. 기초콘크리트에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 ;
    상기 한쌍의 지지부재사이에 상기 기초콘크리트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수직하게 또는 상기 기초콘크리트와 나란하도록 수평하게 연속하여 배치되는 복수개의 블럭고정부 ; 및
    상기 도로와 대응하는 블럭고정부의 전면에 개구된 개구부를 통하여 식물이 식재된 식재면이 외부노출되도록 상기 블럭고정부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연속하여 삽입되어 적층되는 복수개의 식생블럭 ;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사이로 수평하게 삽입되어 블럭고정부의 하부단을 덮어 고정하도록 상부로 개방된 하부덮개부재를 구비하거나 상기 블럭고정부의 상부단을 덮어 고정하도록 하부로 개방된 상부덮개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면녹화형 방음벽.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블럭은 적어도 하나의 식재홈을 상기 개구부와 대응하는 전면에 함몰형성한 블럭본체와, 식물의 뿌리가 착근될 수 있도록 소정량의 배양토를 저장하여 상기 식재홈에 삽입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토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면녹화형 방음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본체는 상기 식재홈과 연결되는 유입공을 상부면에 관통형성하고, 상기 식재홈과 연결되는 배수공을 하부면에 관통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면녹화형 방음벽.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본체는 라텍스 30 내지 50 중량부 및 코코넛 섬유 50 내지 70중량부를 혼합한 혼합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면녹화형 방음벽.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본체는 외부면에 반투수층 또는 불투수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면녹화형 방음벽.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토낭은 상기 식재홈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거나 지그재그형으로 절첩되는 단면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면녹화형 방음벽.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블럭은 인접하여 접하는 다른 식생블럭과 대응하는 외부면에 적층시 통로를 형성하도록 요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면녹화형 방음벽.
  9. 도로를 따라 설치되어 소음을 감소시키는 방음벽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초콘크리트에 일정간격을 두고 한쌍의 지지부재를 배치하는 단계 ;
    상기 한쌍의 지지부재사이에 상기 기초콘크리트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복수개의 블럭고정부를 수직하게 연속하여 배치하는 단계 ;
    상기 도로와 대응하는 전면에 개구된 개구부를 통하여 식물이 식재된 식재면이 외부노출되도록 블럭고정부의 내부로 복수개의 식생블럭을 삽입하여 적층하고,
    상기 복수개의 식생블럭을 삽입하여 적층하는 단계는 적층시 토낭이 삽입배치되는 식재홈을 함몰형성한 블럭본체의 상부면에 상기 식재홈과 연결되도록 관통형성된 유입공과 이에 인접하는 다른 블럭본체의 하부면에 식재홈과 연결되도록 관통형성된 배수공을 서로 일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면녹화형 방음벽 시공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식생블럭을 삽입하여 적층하는 단계는 식생블럭에 인접하여 접하는 다른 식생블럭과 대응하는 외부면에 형성되는 요홈부에 의해서 적층시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면녹화형 방음벽 시공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블럭고정부를 수직하게 연속하여 배치하는 단계이전에 상기 블럭고정부의 하부단을 덮어 고정하도록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사이로 상부로 개방된 하부덮개부재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면녹화형 방음벽 시공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식생블럭을 삽입하여 적층한 단계 이후에, 상기 블럭고정부의 상부단을 덮어 고정하도록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사이로 하부로 개방된 상부덮개부재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면녹화형 방음벽 시공방법.
  14. 도로를 따라 설치되어 소음을 감소시키는 방음벽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초콘크리트에 일정간격을 두고 한쌍의 지지부재를 배치하는 단계 ;
    상기 도로와 대응하는 전면에 개구된 개구부를 통하여 식물이 식재된 식재면이 외부노출되도록 블럭고정부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연속하여 복수개의 식생블럭을 삽입하여 적층하는 단계 ; 및
    상기 한쌍의 지지부재사이에 상기 기초콘크리트에 대하여 수평하도록 복수개의 식생블럭이 적층된 복수개의 블럭고정부를 수평하게 연속하여 배치하는 단계 ;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식생블럭을 삽입하여 적층하는 단계는 상기 식생블럭에 인접하여 접하는 다른 식생블럭과 대응하는 외부면에 형성되는 요홈부에 의해서 적층시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면녹화형 방음벽 시공방법.
  15. 삭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블럭고정부를 수평하게 연속하여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사이로 수평하게 삽입되는 상,하층 블럭고정부들사이에 스페이서를 배치하여 일정간격의 통로를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면녹화형 방음벽 시공방법.
KR1020110083600A 2011-08-22 2011-08-22 도로 단지 도시 입체조경을 위한 방음벽녹화 및 그 시공방법 KR101138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600A KR101138556B1 (ko) 2011-08-22 2011-08-22 도로 단지 도시 입체조경을 위한 방음벽녹화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600A KR101138556B1 (ko) 2011-08-22 2011-08-22 도로 단지 도시 입체조경을 위한 방음벽녹화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8556B1 true KR101138556B1 (ko) 2012-05-10

Family

ID=46271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3600A KR101138556B1 (ko) 2011-08-22 2011-08-22 도로 단지 도시 입체조경을 위한 방음벽녹화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85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9722A (ko) * 2014-10-01 2016-04-1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크리트 식생블록을 이용한 원기둥형 교각 비점오염 저감시설
CN114592448A (zh) * 2022-03-30 2022-06-07 中冶华天南京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景观钢桥绿植区的结构槽及维护方法
CN117285166A (zh) * 2023-10-11 2023-12-26 河北省张家口水文勘测研究中心 一种水质生态墙及生态坝及水体净化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04417U (ko) * 1986-12-25 1988-07-06
KR20050105020A (ko) * 2004-04-30 2005-11-03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식생상자 및 이를 이용한 식생방음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04417U (ko) * 1986-12-25 1988-07-06
KR20050105020A (ko) * 2004-04-30 2005-11-03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식생상자 및 이를 이용한 식생방음벽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9722A (ko) * 2014-10-01 2016-04-1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크리트 식생블록을 이용한 원기둥형 교각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1725468B1 (ko) * 2014-10-01 2017-04-1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크리트 식생블록을 이용한 원기둥형 교각 비점오염 저감시설
CN114592448A (zh) * 2022-03-30 2022-06-07 中冶华天南京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景观钢桥绿植区的结构槽及维护方法
CN117285166A (zh) * 2023-10-11 2023-12-26 河北省张家口水文勘测研究中心 一种水质生态墙及生态坝及水体净化装置
CN117285166B (zh) * 2023-10-11 2024-03-22 河北省张家口水文勘测研究中心 一种水质生态墙及生态坝及水体净化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101348A4 (en) Green wall system
KR100652252B1 (ko) 식생 모듈과 이를 이용한 식생 방음벽
KR101025329B1 (ko) 조경 방음 터널
KR101138556B1 (ko) 도로 단지 도시 입체조경을 위한 방음벽녹화 및 그 시공방법
KR101583664B1 (ko) 식생유닛을 이용한 비탈면 녹화공법 및 식생유닛
KR101008967B1 (ko) 식생 방음판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방음벽 구조
JP3184895B2 (ja) 緑化防音壁
KR101187777B1 (ko) 인공지반녹화에 적용가능한 식생블럭
KR100580926B1 (ko) 식생상자 및 이를 이용한 식생방음벽
KR101304678B1 (ko) 이끼식물용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하는 건축물 녹화 시스템
KR20150114449A (ko) 경계재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 공법 및 비탈면에 시공되는 경계재
KR20160023245A (ko) 덩굴 식물로 지붕을 이루는 도로 에코사운드 베리어 터널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048499B1 (ko) 사계절 녹화 황토 방음벽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시공 공법
KR200486017Y1 (ko) 에코 식생블록
KR101118227B1 (ko) 코이어블록을 이용한 방음벽의 녹화시공구조
JP2826952B2 (ja) 植栽可能な防音壁体構造
EP1609913A1 (en) Greened sound-absorbing structure
KR101254715B1 (ko) 호안블럭 및 빗물저류조블럭으로 이용되는 다목적블럭
JP2004129567A (ja) 屋上緑化装置
JP3076899U (ja) 防音壁における植物栽培用緑化パネル装置
KR20100004397A (ko) 도로분리대 겸용 입체 조경 식생 상자
KR100777386B1 (ko) 건축물의 외벽 녹화구조
KR100545841B1 (ko) 사면녹화 방법
JP4767116B2 (ja) 間知ブロックによる造成壁面の緑化構造
JP3152926U (ja) プラン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