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6517B1 - 환경 친화성 녹화방음벽 - Google Patents

환경 친화성 녹화방음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6517B1
KR100436517B1 KR10-2001-0058914A KR20010058914A KR100436517B1 KR 100436517 B1 KR100436517 B1 KR 100436517B1 KR 20010058914 A KR20010058914 A KR 20010058914A KR 100436517 B1 KR100436517 B1 KR 100436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late
support
sound
pla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8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5970A (ko
Inventor
장두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우종합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우종합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우종합기술단
Priority to KR10-2001-0058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6517B1/ko
Publication of KR20030025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5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6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65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47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open cavities, e.g. for covering sunken roads
    • E01F8/0064Perforated plate or mesh, e.g. as wall facing

Abstract

본 발명은 환경 친화성 녹화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방음벽의 내부 구조를 변경하여 사람이 지나가는 방향쪽에 식물 식재가 가능토록 식재부를 구성하여 여기에 화초, 잔디등의 식물을 식재시켜 주위환경과 친화적이며 심미감을 줄 뿐만 아니라 방음효과가 우수한 방음벽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소음 흡수용 방음벽 장치에 있어서,
골격을 이루도록 일정 간격으로 세워진 지지대(1)와, 이 지지대 사이에 적층되어 결합하되 수분을 저장하는 식재기반재가 내장된 단위 녹화방음벽(2)으로 구성되어 상기 단위 녹화 방음벽에 식물이 식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환경 친화성 녹화방음벽{Soundproof wall apparatus planted with plant}
본 발명은 환경 친화성 녹화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도로변등에 설치되는 방음벽의 내부 구조를 흡음재부 및 식재부로 나누고 식재부에 식물을 식재하여 구성한 녹화방음벽에 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로변, 활주로 및 공단주변과 같은 소음공해가 심한 장소에 설치되는 방음벽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의한 방음벽과 금속재 방음벽을 주로 설치하여 소음을 차단하였으나, 콘크리트와 금속재 방음벽은 소음을 차단하는 효과는 거둘 수 있으나 방음벽이 설치되는 장소가 도심이나 통행량이 많은 도로변등이어서, 주위환경과 친화적이지 못하고 삭막한 분위기를 조성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최근에 설치되는 방음벽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목재 방음벽을 설치하는 추세이나 상기 목재 방음벽은 순수한 자연산 목재를 사용하므로 설치비용이 고가이며 유지보수에 따른 사용기간이 단축되는 문제와 목재의 수급현황에 따른 교체공사 등의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음벽의 내부 구조를 변경하여 사람이 지나가는 방향쪽에 식물 식재가 가능토록 식재부를 구성하여 여기에 화초, 잔디 등의 식물을 식재시켜 주위환경과 친화적이며 심미감을 줄 뿐만 아니라 방음효과가 우수한 방음벽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방음벽을 제공하기 위하여 단위 방음벽의 내부구조를 격리판을 사이에 두고 흡음부 및 식재부로 나누고, 식재부에는 식물 식재가 가능토록 식재기반재를 충전하여 토사등을 충전시 발생할 수 있는 토양의 유실로 인한 식물 성장방해를 예방하고 및 흘러내린 토사로 인한 주위 환경훼손을 막도록 하고, 식물의 성장 방향쪽인 전면부는 다수의 식물 지지용 루버를 형성 시키고, 기타 부분은 유공판으로 가공한 개별 단위 방음벽을 만들고, 이러한 단위 방음벽을 H빔으로 이루어진 골격 사이에 적층하여 결합시켜 구성한 녹화 방음벽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 결합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 결합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 결합상태의 내부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 결합시 최상부에 설치되는 급수 파이프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단위 녹화방음벽을 H빔에 결합되는 것을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 단위 녹화방음벽의 상부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단위 녹화 방음벽의 하부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단위 녹화 방음벽의 내부에 충전된 흡음재 및 식재기반재를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단위 녹화 방음벽에 식재된 식물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대 (2) : 단위 녹화방음벽
(3) : 급수 파이프 (21) : 격리판
(22) : 흡음재부 (23) : 식재부
(24) : 유공판 (25) : 양측면판
(26) : 후면판 (27) : 상판
(28) : 하판 (31) : 물 공급구
(221) : 흡음재 (231) : 식재기반재
(241) : 식물 지지용 루버 (242) : 유공
(251) : 함몰 걸림부 (252) : 돌출 걸림부
(261) : 절곡부 (271) : 급수구
(281) : 배수구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의 구성은 골격을 이루도록 일정 간격으로 세워진 지지대와, 이 지지대 사이에 녹화 식물 재배부를 가지는 소음 흡수용 방음벽이 설치되는 구성에 있어서,수분을 저장하는 식재기반재(231)가 내장된 단위 녹화방음벽(2)을 상기 지지대 사이에 적층결합시켜, 상기 단위 녹화 방음벽에 식물이 식재되도록 구성하되,상기 식재기반재(231)는 물을 흡수 저장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다수의 구형 흡수재 및 이 구형 흡수재의 이탈을 막음과 동시에 물을 흡수하는 실타래처럼 구성된 다수의 합성마가 서로 엉키도록 구성하고,상기 단위 녹화방음벽(2)은 내부 구성이 격리판(21)을 사이에 두고 그 양측에 흡음재(221)를 충전한 흡음재부(22)와, 식재기반재(231)를 충전한 식재부(23)로 구성하고, 이 내부 구성을 감싸는 외부 구성은 식물 지지용 루버(241)와, 다수의 유공(242)이 연속 배열되어 형성된 유공판(24)과, H빔 등의 지지대에 가이드 되어 결합되는 양측면판(25)과, 중앙부에 절곡부(261)를 가진 후면판(26)과, 중앙부에 급수구(271)가 형성된 상판(27)과, 중앙부에 배수구(281)를 가진 하판(28)이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측면판의 형상은 상부 유공판쪽에는 함몰 걸림부(251)가 형성되고, 하부 유공판쪽에는 돌출 걸림부(252)가 형성되어 결합시 상하 양측이 지지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중앙부에 급수구가 형성된 상판의 측면 형상은 V'자 형상으로 형성하여 상부쪽이 오목하게 구성한다.
상기 중앙부에 배수구를 가진 하판의 측면 형상은 'V'자 형상으로 형성하여 하부쪽이 볼록하게 구성한다.
상기 루버의 측면 형상은 평면 플레이트에 양단이 연결되지 않은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마름모형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한 하나의 모양을 천공하고, 일정 압력으로 측면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기울기를 주어, 상부쪽은 외부로 돌출시키고, 하부쪽은 안쪽으로 집어 넣어 상부쪽이 열린 모습으로 구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 결합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 결합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 결합상태의 내부를 보인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그 전체 구성은 녹화방음벽의 골격을 이루도록 일정 간격으로 세워진 H빔 등의 형상을 가진 지지대(1)와, 이 지지대 사이에 적층되어 결합된 단위 녹화방음벽(2)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을 실시할 경우 자연 강우로 식재 기반재에 물이 충전되는데, 갈수기 등에는 필요에 따라 결합된 녹화 방음벽의 최상부에 결합된 급수 파이프(3)로 구성하여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추가로 급수파이프를 예시한 도면에서는 상부로 3열, 측으로 3열의 녹화방음벽을 결합한 모습을 도시하고, 그 보다 짧은 급수 파이프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편의상 일부 실시를 예시한 것이고, 실제 시공시에는 필요 높이 및 길이만큼 H빔을 토양에 박은 후 설치하고, 이 사이에 단위 녹화방음벽을 적층하고 상부에 급수 파이프를 연장하여 설치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 각각의 단위 녹화 방음벽은 전면에 식물 지지용 루버와, 다수의 유공이 연속 배열되어 형성된 유공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단위 녹화방음벽의 상판에는 급수용 급수구가 형성되고, 하판에는 배수용 배수구가 형성된다.
상기 루버는 단위 녹화방음벽에 일정 모양을 천공하고, 일정 압력을 가해 회전시켜 기울기를 준 것으로, 상부쪽은 외부로 돌출시키고, 하부쪽은 안쪽으로 집어 넣어 결과적으로 상부쪽이 열린 모습으로 구성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 결합시 최상부에 설치되는 급수 파이프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본 발명의 구성에 추가로 결합되어 한 실시예를 구성하는급수파이프(3)는 일측이 막히고 일측은 개방토록 구성하고, 하부 방향에는 다수의 물 공급구(31)를 형성하여 급수된 물이 하부에 위치한 단위 녹화 방음벽의 식재부에 수분을 공급하도록 한다.
물론 상기 급수 파이프가 꼭 있어야 본 발명을 이루는 것은 아니고, 식재 기반재 자체가 물을 저장하고, 습기를 흡수하여 수분을 공급하나, 갈수기 등에는 강제적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 급수파이프(3)의 상단에 미관을 고려하여 커버(도시 없음)등을 더 설치 할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단위 녹화방음벽을 H빔에 결합되는 것을 보인 예시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본 발명의 단위 녹화 방음벽(2)은 일정 간격마다 세워진 H빔과 같은 지지대(1)의 홈부를 가이드로 하여 단위 녹화방음벽 양측단을 끼움으로서 결합된다.
상기 단위 녹화방음벽의 자세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 단위 녹화방음벽의 상부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단위 녹화 방음벽의 하부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단위 녹화 방음벽의 내부구성은 충전된 흡음재 및 식재기반재를 나타낸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본 발명 단위 녹화방음벽(2)의 구성은 내부를 격리판(21)을 사이에 두고 그 양측에 흡음재(221)를 충전한 흡음재부(22)와, 식재기반재(231)를 충전한 식재부(23)로 구성되고,
외부 구성은 식물 지지용 루버(241)와, 다수의 유공(242)이 연속 배열되어 형성된 유공판(24)과, H빔에 가이드 되어 결합되는 양측면판(25)과, 중앙부에 절곡부(261)를 가진 후면판(26)과, 중앙부에 급수구(271)가 형성된 상판(27)과, 중앙부에 배수구(281)를 가진 하판(28)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루버의 배열 방법, 크기 및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실시 하면 된다.
상기 양측면판의 형상은 상부 유공판쪽에는 함몰 걸림부(251)가 형성되고, 하부 유공판쪽에는 돌출 걸림부(252)가 형성되어 결합시 양측이 지지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중앙부에 급수구가 형성된 상판의 측면 형상은 V'자 형상으로 형성하여 상부쪽이 오목하게 구성하고,
상기 중앙부에 배수구를 가진 하판의 측면 형상은 'V'자 형상으로 형성하여 하부쪽이 볼록하게 구성하여,
여러개의 단위 녹화 방음벽을 적층하여 구성시 상판이 하판의 가이드 되도록 한다.
상기 루버의 측면 형상은 평면 플레이트에 양단이 연결되지 않은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마름모형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한 하나의 모양을 천공하고, 일정 압력으로 측면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기울기를 준 것으로, 상부쪽은 외부로 돌출시키고, 하부쪽은 안쪽으로 집어 넣어 결과적으로 상부쪽이 열린 모습으로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단위 녹화방음벽은 식재기반재 및 흡음재를 충전 후 마지막 상판을 용접 또는 막끼움 방식과 같은 통상의 결합 수단을 사용하여 결합한다. 즉, 내부 충전물이 유실되지 않을 정도로만 결합하면 족하다.
상기에서 식재기반재는 토양대신에 사용하는 것으로, 물공급 또는 우천시 식물 성장에 필요한 토양의 유실을 막기 위해 물을 흡수 저장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다수의 구형 흡수재(도시없음) 및 이 구형 흡수재의 이탈을 막음과 동시에 물을 흡수하는 실타래처럼 구성된 다수의 합성마(도시없음)가 서로 엉켜 구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단위 녹화 방음벽에 식재된 식물을 보인 측면도로서, 식재 지지용 루버에 화초등이 돌출되어 성장된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본 발명 식재 지지용 루버가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화초등이 상부쪽으로 안정되게 자라게 된다.
도면에서는 루버에서 자라나는 화초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실재로는 다수로 형성된 각각의 유공 및 지지용 루버에 그 크기를 달리하는 화초가 돌출 성장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화초 및 풀은 녹화방음벽을 처음 만들때 식재기반재에 심을 수도 있고, 입구가 큰 식물 지지용 루버를 통해 식재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일정 간격으로 H빔등의 지지대로 토양에 박아 지지시킨후 이 각각의 지지대 사이에 식물이 식재되었거나, 식물의 씨가 식배된 단위 녹화방음벽을 적층하여 설치하여 구성하고, 필요시 최상부에 설치된 급수 파이프에 일정 시기마다 물을 공급하면 그 물이 단위 녹화방음벽마다 형성된 급수구 및 배수구를 따라 타 녹화 방음벽에 수분을 공급하면서 식물의 성장을 도와 방음벽을 녹화시키게 된다.
또한 소음은 1차적으로 식재부에서 흡수되고, 2차적으로 흡음부에서 흡수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소음이 다량으로 발생하는 장소에 방음벽을 설치시, 종래와 같은 전면을 금속 및 유리재만을 사용하지 않고, 방음벽의 내부 전단부에 식재기반재를 충전하고 여기에 식물씨를 심거나, 조그만 나무등을 식재하여 방응벽을 구성함으로서, 식재되는 식물로 인하여 방음벽 전체가 흡음능력은 물론 환경친화적인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어서 그 효과가 기대되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골격을 이루도록 일정 간격으로 세워진 지지대와, 이 지지대 사이에 녹화 식물 재배부를 가지는 소음 흡수용 방음벽이 설치되는 구성에 있어서,
    수분을 저장하는 식재기반재(231)가 내장된 단위 녹화방음벽(2)을 상기 지지대 사이에 적층결합시켜, 상기 단위 녹화 방음벽에 식물이 식재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식재기반재(231)는 물을 흡수 저장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다수의 구형 흡수재 및 이 구형 흡수재의 이탈을 막음과 동시에 물을 흡수하는 실타래처럼 구성된 다수의 합성마가 서로 엉키도록 구성하고,
    상기 단위 녹화방음벽(2)은 내부 구성이 격리판(21)을 사이에 두고 그 양측에 흡음재(221)를 충전한 흡음재부(22)와, 식재기반재(231)를 충전한 식재부(23)로 구성하고, 이 내부 구성을 감싸는 외부 구성은 식물 지지용 루버(241)와, 다수의 유공(242)이 연속 배열되어 형성된 유공판(24)과, H빔 등의 지지대에 가이드 되어 결합되는 양측면판(25)과, 중앙부에 절곡부(261)를 가진 후면판(26)과, 중앙부에 급수구(271)가 형성된 상판(27)과, 중앙부에 배수구(281)를 가진 하판(28)이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친화성 녹화방음벽.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면판의 형상은 상부 유공판쪽에는 함몰 걸림부(251)가 형성되고, 하부 유공판쪽에는 돌출 걸림부(252)가 형성되어 결합시 상하 양측이 지지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중앙부에 급수구가 형성된 상판의 측면 형상은 V'자 형상으로 형성하여 상부쪽이 오목하게 구성하고, 하판의 측면 형상은 'V'자 형상으로 형성하여 하부쪽이 볼록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친화성 녹화방음벽.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루버의 측면 형상은 평면 플레이트에 양단이 연결되지 않은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마름모형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한 하나의 모양을 천공하고, 일정 압력으로 측면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기울기를 주어, 상부쪽은 외부로돌출시키고, 하부쪽은 안쪽으로 집어넣어 상부쪽이 열린 모습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 친화성 녹화방음벽.
KR10-2001-0058914A 2001-09-24 2001-09-24 환경 친화성 녹화방음벽 KR100436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8914A KR100436517B1 (ko) 2001-09-24 2001-09-24 환경 친화성 녹화방음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8914A KR100436517B1 (ko) 2001-09-24 2001-09-24 환경 친화성 녹화방음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5970A KR20030025970A (ko) 2003-03-31
KR100436517B1 true KR100436517B1 (ko) 2004-06-22

Family

ID=27725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8914A KR100436517B1 (ko) 2001-09-24 2001-09-24 환경 친화성 녹화방음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65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967B1 (ko) * 2010-03-04 2011-01-17 주식회사 예경산업개발 식생 방음판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방음벽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150B1 (ko) * 2012-11-29 2013-04-26 주식회사 하람산업 이끼를 이용한 방음벽
KR101642741B1 (ko) * 2014-12-03 2016-07-27 주식회사 대목환경건설 식생 방음벽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99551U (ko) * 1987-06-16 1988-12-22
JPH05112913A (ja) * 1991-10-23 1993-05-07 Nippon Steel Corp 緑化植物栽培部を有する防音パネル
KR970005234A (ko) * 1996-10-23 1997-02-19 수직 녹화벽
KR200213554Y1 (ko) * 2000-07-12 2001-02-15 주식회사두우종합기술단 식물 식재가 가능한 방음벽
KR200215299Y1 (ko) * 2000-07-31 2001-03-02 조남준 방음벽
KR200228279Y1 (ko) * 2001-01-04 2001-06-15 일송환경복원주식회사 식생 방음벽 구조물
KR20010056661A (ko) * 1999-12-16 2001-07-04 허 태 학 식생 방음벽
KR200248394Y1 (ko) * 2001-05-31 2001-10-17 박자영 화분 겸용 방음벽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99551U (ko) * 1987-06-16 1988-12-22
JPH05112913A (ja) * 1991-10-23 1993-05-07 Nippon Steel Corp 緑化植物栽培部を有する防音パネル
KR970005234A (ko) * 1996-10-23 1997-02-19 수직 녹화벽
KR20010056661A (ko) * 1999-12-16 2001-07-04 허 태 학 식생 방음벽
KR200213554Y1 (ko) * 2000-07-12 2001-02-15 주식회사두우종합기술단 식물 식재가 가능한 방음벽
KR200215299Y1 (ko) * 2000-07-31 2001-03-02 조남준 방음벽
KR200228279Y1 (ko) * 2001-01-04 2001-06-15 일송환경복원주식회사 식생 방음벽 구조물
KR200248394Y1 (ko) * 2001-05-31 2001-10-17 박자영 화분 겸용 방음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967B1 (ko) * 2010-03-04 2011-01-17 주식회사 예경산업개발 식생 방음판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도로 방음벽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5970A (ko) 2003-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2252B1 (ko) 식생 모듈과 이를 이용한 식생 방음벽
JP2762341B2 (ja) 緑化用植栽ユニット棚
KR200398771Y1 (ko) 식생매트를 이용한 수직 인공구조물 전면 녹화장치
KR101454016B1 (ko) 저관리형 도시녹화 조경모듈
JP2013516979A (ja) 植生用の多孔性表面を有する基材
KR100925849B1 (ko) 식생블록 녹화용 모듈
KR100436517B1 (ko) 환경 친화성 녹화방음벽
JP3184895B2 (ja) 緑化防音壁
KR100580926B1 (ko) 식생상자 및 이를 이용한 식생방음벽
KR200402616Y1 (ko) 벽면녹화 시공구조
KR101876139B1 (ko) 스프링 쿨러를 이용하는 녹화 지붕을 갖는 방음 터널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0248394Y1 (ko) 화분 겸용 방음벽
JP2001320968A (ja) 緑化パネル
KR101127628B1 (ko) 인공지반토양 적치를 위한 조경용 식생 상자
JP2826952B2 (ja) 植栽可能な防音壁体構造
JP2006101812A (ja) 植物育成構造体及び緑化システム
KR100482956B1 (ko) 식생 가능한 목재 방음벽의 구조
JPH05112913A (ja) 緑化植物栽培部を有する防音パネル
JP2006246830A (ja) 緑化エリアの仕切材及び仕切構造、緑化設備
JP6811447B2 (ja) 駐車場緑化構造
KR20100004397A (ko) 도로분리대 겸용 입체 조경 식생 상자
KR100392732B1 (ko) 화분 겸용 방음벽
KR200271993Y1 (ko) 식생 가능한 목재 방음벽
KR101468700B1 (ko) 건축물의 벽면 장식용 다공성 에코 패널
JP2720342B2 (ja) 緑化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0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