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5299Y1 - 방음벽 - Google Patents

방음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5299Y1
KR200215299Y1 KR2020000021765U KR20000021765U KR200215299Y1 KR 200215299 Y1 KR200215299 Y1 KR 200215299Y1 KR 2020000021765 U KR2020000021765 U KR 2020000021765U KR 20000021765 U KR20000021765 U KR 20000021765U KR 200215299 Y1 KR200215299 Y1 KR 2002152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proof
soundproof wall
front plate
supply pipe
lo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17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남준
Original Assignee
조남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남준 filed Critical 조남준
Priority to KR20200000217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52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52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5299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지중에 기초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시켜 여기에 하부를 고정시켜 일정간격으로 입설시키는 H-빔(110)과, 상기 각각의 H-빔(110) 사이 전면에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설치되고 다수개의 구멍(121)을 형성시킨 전면플레이트(120)와, 상기 각각의 H-빔(110) 사이 배면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배면플레이트(130)와, 상기 전면플레이트(120)와 배면플레이트(130) 사이의 공간에 충진시키는 차음 및 흡음을 위한 방음용황토(140)와, 상기 방음용황토(140)의 내부에 설치하여 수분을 공급하는 물공급관(160)과, 상기 방음용황토(140)에 착상시키는 녹화식물(170)로 구성하므로 주거지역이나 도로 등에 설치되는 방음벽을 녹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미관을 크게 개선하므로 쾌적한 도시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음벽의 시공에 따른 코스트를 최소화할 수 있고 방음벽의 보수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차음 및 흡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방음벽{soundproof wall}
본 고안은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흡음과 차음 효과가 우수하고 시공비용을 최소화하며 방음벽을 녹화하여 미관을 향상시키므로 쾌적한 도시환경을 얻을 수 있는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일상 주변에는 각종 기계 설비의 가동, 자동차, 철도, 지하철, 항공기 등 교통 수단의 운행, 중장비를 이용한 각종 공사, 또는 각종 음향 기기의 작동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바람직하지 않은 소리, 즉 소음이 발생되기 마련이다. 이런 소음은 개인적으로는 난청, 두통, 불안감 등을 유발하여 건강을 해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산업 현장에서는 열악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고 진동을 발생시켜 생산성의 저하와 제품의 품질저하를 야기한다.
따라서, 소음 유발원들은 가능한 한 적은 소음이 발생되도록 설계되어야 하고, 불가피하게 발생된 소음이라면 가능한 한 소음이 외부로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는 조치가 필요하다.
이런 방음의 필요성은, 작업장, 도로변, 철도변, 공항주변, 건설현장, 중장비, 아파트나 사무실과 같은 공동 주거시설, 음악당이나 극장과 같은 공연장, 실내스포츠 시설, 및 각종 위락시설과 같은 거의 모든 주변 생활환경에 요구되고 있다.
통상적인 방음 방법으로서는, 흡음 또는 차음 성능이 있는 소재로 만들어진 각종 방음재를 사용하여, 방음벽, 방음 칸막이(partition), 방음실, 음향처리용 마감재 등과 같은 방음 구조물을 설치하므로써, 소음을 흡수하고 그 전파 경로를 차단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음 소재로서는, 목재 또는 콘크리트와 같은 일반적인 건축 소재,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에스터와 같은 합성수지재, 글래스울 또는 암면과 같은 무기 섬유재, 및 금속 타공판과 같은 금속재 등 여러 가지 소재를 단독 또는 복합한 것들을 들 수 있다.
방음재는 그 사용 장소와 용도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겠지만, 광범위한 주파수 영역에서의 우수한 흡차음성, 우수한 기계적 특성(내구성 등) 및 열적 특성(불연성, 난연성 등)을 구비하면서도, 제조 원가가 저렴하고 시공이 간편한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특히 도로변 등에 설치되는 방음벽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알루미늄 소재의 방음벽은, 흡음 성능을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내부에 흡음재인 글래스울이나 암면 등을 사용하여야 하는 바, 초기에는 이들 흡음재가 정위치에 유지되어 흡음 성능을 유지하지만 시간이 경과하면 비, 습기, 바람 등과 자체의 중량에 의해 아래로 흘러내려 흡음 성능이 약화되고 그 수명이 극히 제한되고 고가일 뿐만 아니라 보수공사가 용이하지 못하고 보수비가 상승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목재 방음벽은 재료비 및 공사비가 많이 들고 유지보수가 힘들며 수명이 짧은 문제점이 있고, 합성수지 방음벽은 열에 약하여 화재에 취약하고 변형이 용이하므로 수명이 짧다는 문제점이 있고, 흡음성의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글래스울이나 암면 등은 내구성이 좋지 않고 환경 오염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금속 타공판은 자체의 흡음 성능이 없어 글래스울과 같은 다른 흡음재와 복합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한계가 있고, 금속재를 제외한 종래의 방음재는 외관이 좋지 않고 거의 재활용이 불가능하여 폐기시 많은 쓰레기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방음벽은 획일적이고 설치후 일정기간이 지나면 외관이 훼손되어 도시의 미관을 크게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 목적은 주거지역이나 도로 등에 설치되는 방음벽을 녹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미관을 크게 개선하므로 쾌적한 도시환경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방음벽의 시공에 따른 코스트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설치된 방음벽의 보수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차음 및 흡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방음벽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방음벽을 나타낸 정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방음벽을 나타낸 것으로 도 2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방음벽 110; H-빔
111; 플랜지 120; 전면플레이트
121; 구멍 122; 받침홈
123; 절곡편 130; 배면플레이트
131; 절곡편 140; 방음용황토
150; 간격유지구 151; 체결수단
160; 물공급관 161; 메인공급관
162; 서브공급관 163; 메인밸브
164; 솔레노이드밸브 165; 제어부
170; 녹화식물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방음벽은 지중에 기초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시켜 여기에 하부를 고정시켜 일정간격으로 입설시키는 H-빔과, 상기 각각의 H-빔 사이 전면에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설치되고 다수개의 구멍을 형성시킨 전면플레이트와, 상기 각각의 H-빔 사이 배면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배면플레이트와, 상기 전면플레이트와 배면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충진시키는 차음 및 흡음을 위한 방음용황토와, 상기 방음용황토 내부에 설치하여 수분을 공급하는 물공급관과, 상기 방음용황토에 착상시키는 녹화식물로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방음벽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방음벽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방음벽을 나타낸 것으로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방음벽(100)은 지중에 기초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시켜 여기에 하부를 고정시켜 일정간격으로 입설시키는 H-빔(110)과, 상기 각각의 H-빔(110) 사이 전면에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설치되고 다수개의 구멍(121)을 형성시킨 전면플레이트(120)와, 상기 각각의 H-빔(110) 사이 배면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배면플레이트(130)와, 상기 전면플레이트(120)와 배면플레이트(130) 사이의 공간에 충진시키는 차음 및 흡음을 위한 방음용황토(140)와, 상기 방음용황토(140)의 내부에 설치하여 수분을 공급하는 물공급관(160)과, 상기 방음용황토(140)에 착상시키는 녹화식물(170)로 구성한다.
상기 H-빔(110) 일반적인 것으로 전후측에 좌우로 플랜지(11)를 각각 형성한다.
상기 전면플레이트(120)는 다수개의 구멍(121)을 형성하여 잔디류 또는 넝쿨류 등의 녹화식물(170)이 잘 자랄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전면플레이트(120)의 상단에는 외향으로 절곡시킨 받침홈(122)을 형성하여 씨앗이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억제하고 비교적 크기가 큰 관상수 등의 녹화식물(170)을 식재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받침홈(120)의 형상이나 갯수 및 위치 등은 국한하는 것이 아니며 주변환경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최상 측에 설치되는 전면플레이트(130)는 상측 부분을 어느 정도 외형으로 절곡시킨 절곡편(123)을 형성하여 방음벽(100)의 상측에 관목 등의 녹화식물(170)을 식재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면플레이트(120)의 구멍(121) 등 노출부분에는 차단망 또는 차단시트 등을 설치하여 풍수에 의한 방음용황토(140)의 유실을 억제시킴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면플레이트(130)는 평판으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필요에 따라 전면플레이트(120)의 구성과 동일하게 하거나 부분적인 동일성을 유지하여 녹화를 시행할 수 도 있다.
상기 방음용황토(140)는 일반적인 황토를 사용하되 입자상태가 고운 것을 선택하고 녹화식물을 성장을 위하여 배양토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도 있다.
상기 물공급관(160)은 상수도나 지하수 등에 연결하되 방음벽(100)의 길이방향으로 상측에 다수개의 수분공급용 구멍이 형성된 메인공급관(161)을 수평으로 설치하고 메인공급관(161)에 수직으로 수분공급용 구멍이 형성된 서브공급관(162)을 수직으로 설치하되 방음용황토(140)의 내부에 매설하여 동절기에 공급라인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메인공급관(160)의 인입측에는 수분공급을 제어하는 메인밸브(163)와 솔레노이드밸브(164)가 설치된다.
나아가, 솔레노이드밸브(164)에는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165)를 접속시켜 필요에 따라 자동으로 수분을 공급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녹화식물(170)은 관목 및 화초 등 모든 식물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성장속도가 빠르고 적응성이 우수하며 관상가치가 높고 가격이 저렴한 덩굴식물을 식재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면플레이트(120)와 배면플레이트(130)의 사이에는 간격유지구(150)를 체결수단(151)으로 결합하여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방음벽(100) 설치장소에 기초 공사하여 H-빔(110)을 일정간격으로 견고하게 입설시킨다.
H-빔(110)의 설치가 완료되면 하부에서 순차적으로 전면플레이트(120)와 배면플레이트(130)를 적층하면서 간격유지구(150)를 설치한다.
이때, 방음용황토(140)를 전면플레이트(120)와 배면플레이트(130) 사이의 공간에 투입하되 구멍(121)에 차단망 또는 차단시트를 부착하고 서브공급관(162)을 수직으로 설치하면서 방음용황토(140)를 투입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면플레이트(120)와 배면플레이트(130)를 상부가 설치완료 후에 상기와 같이 방음용황토(140)를 투입할 수 도 있다.
방음벽(100)의 최상 상단에는 외향으로 절곡된 절곡편(131)이 형성된 전면플레이트(120)를 설치하고 서브공급관(162)과 메인공급관(162)을 연통시킨 다음 어느 정도 높이 까지 방음용황토(140)를 투입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면플레이트(120)의 구멍(121)과 받침홈(120) 및 절곡편(123) 내측에 넝쿨식물의 씨앗이나 종자 또는 관목 등의 녹화 식물을 식재하여 방음벽(100)을 완성한다.
한편, 본 고안은 방음벽(100)에 주로 설치되나 교량의 난간이나 확교 등 공공 시설물의 담장 또는 각종 벽체 구조물로 설치하여 녹회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방음벽(100)은 지중에 기초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시켜 여기에 하부를 고정시켜 일정간격으로 입설시키는 H-빔(110)과, 상기 각각의 H-빔(110) 사이 전면에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설치되고 다수개의 구멍(121)을 형성시킨 전면플레이트(120)와, 상기 각각의 H-빔(110) 사이 배면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배면플레이트(130)와, 상기 전면플레이트(120)와 배면플레이트(130) 사이의 공간에 충진시키는 차음 및 흡음을 위한 방음용황토(140)와, 상기 방음용황토(140)의 내부에 설치하여 수분을 공급하는 물공급관(160)과, 상기 방음용황토(140)에 착상시키는 녹화식물(160)로 구성하므로 주거지역이나 도로 등에 설치되는 방음벽을 녹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미관을 크게 개선하므로 쾌적한 도시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음벽의 시공에 따른 코스트를 최소화할 수 있고 방음벽의 보수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차음 및 흡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장기 사용에 따른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저렴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지중에 기초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시켜 여기에 하부를 고정시켜 일정간격으로 입설시키는 H-빔(110)과,
    상기 각각의 H-빔(110) 사이 전면에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설치되고 다수개의 구멍(121)을 형성시킨 전면플레이트(120)와,
    상기 각각의 H-빔(110) 사이 배면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배면플레이트(130)와,
    상기 전면플레이트(120)와 배면플레이트(130) 사이의 공간에 충진시키는 차음 및 흡음을 위한 방음용황토(140)와,
    상기 방음용황토(140)의 내부에 설치하여 수분을 공급하는 물공급관(160)과,
    상기 방음용황토(140)에 착상시키는 녹화식물(17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플레이트(120)는 표면에 순차적으로 다수개의 구멍(121)을 형성하고 상단에 외향으로 절곡시킨 받침홈(122)을 형성하되, 최상 측에 설치되는 전면플레이트(130)는 상측 부분을 어느 정도 외형으로 절곡시킨 절곡편(123)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플레이트(120)의 구멍(121) 등 노출부분에는 차단망 또는 차단시트 등을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관(160)은 상수도나 지하수 등에 연결하되 방음벽(100)의 길이방향으로 상측에 다수개의 수분공급용 구멍이 형성된 메인공급관(161)을 수평으로 설치하고 메인공급관(161)에 수직으로 수분공급용 구멍이 형성된 서브공급관(162)을 수직으로 설치하되 방음용황토(140)의 내부에 매설하고 메인공급관(160)의 인입측에 수분공급을 제어하는 메인밸브(163)와 솔레노이드밸브(164)가 설치하며 솔레노이드밸브(164)에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165)를 접속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플레이트(120)와 배면플레이트(130)의 사이에는 간격유지구(150)를 체결수단(151)으로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KR2020000021765U 2000-07-31 2000-07-31 방음벽 KR2002152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765U KR200215299Y1 (ko) 2000-07-31 2000-07-31 방음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765U KR200215299Y1 (ko) 2000-07-31 2000-07-31 방음벽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4170A Division KR20020010749A (ko) 2000-07-31 2000-07-31 방음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5299Y1 true KR200215299Y1 (ko) 2001-03-02

Family

ID=73086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1765U KR200215299Y1 (ko) 2000-07-31 2000-07-31 방음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529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528B1 (ko) * 2001-06-01 2004-05-22 일송환경복원 주식회사 식생 방음벽 구조물
KR100436517B1 (ko) * 2001-09-24 2004-06-22 주식회사 두우종합기술단 환경 친화성 녹화방음벽
KR100463918B1 (ko) * 2001-12-26 2005-01-03 박기성 식생 가능한 목재 방음벽
KR100476122B1 (ko) * 2001-08-29 2005-03-15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식생플랜터를 이용한 식생방음벽 녹화공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528B1 (ko) * 2001-06-01 2004-05-22 일송환경복원 주식회사 식생 방음벽 구조물
KR100476122B1 (ko) * 2001-08-29 2005-03-15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식생플랜터를 이용한 식생방음벽 녹화공법
KR100436517B1 (ko) * 2001-09-24 2004-06-22 주식회사 두우종합기술단 환경 친화성 녹화방음벽
KR100463918B1 (ko) * 2001-12-26 2005-01-03 박기성 식생 가능한 목재 방음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5597A (en) Concrete skirting for manufactured homes
US20100243369A1 (en) Highway noise barrier
KR101025329B1 (ko) 조경 방음 터널
US4136856A (en) Sound attenuating structure
US9901036B2 (en) Versatile eco-friendly planting block
CA2661370A1 (en) Highway noise barrier
KR200215299Y1 (ko) 방음벽
KR100580925B1 (ko) 조립식 식생 방음벽
CA2324406A1 (en) Wall, preferably a protective wall
US10482864B1 (en) Portable acoustical blocking system
KR20020010749A (ko) 방음벽
KR100558470B1 (ko) 친환경 방음벽
KR101048499B1 (ko) 사계절 녹화 황토 방음벽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시공 공법
KR100476122B1 (ko) 식생플랜터를 이용한 식생방음벽 녹화공법
KR100384351B1 (ko) 식물식재가 가능한 방음벽의 설치공법
KR102154215B1 (ko) 독립형 공동주택 시공 방법
KR101876139B1 (ko) 스프링 쿨러를 이용하는 녹화 지붕을 갖는 방음 터널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0663727B1 (ko) 친환경적인 단지 조성용 방음벽 설치구조
US10839784B1 (en) Sound reducing panel
KR100482956B1 (ko) 식생 가능한 목재 방음벽의 구조
KR100941783B1 (ko) 이동고정식 사계절녹화 방음벽
JP2000178927A (ja) 緑化遮蔽壁
KR101778576B1 (ko) 도로용 방음벽
JP4673504B2 (ja) 吸遮音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防音壁
KR200376910Y1 (ko) 식생반이 부설된 방음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