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8470B1 - 친환경 방음벽 - Google Patents

친환경 방음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8470B1
KR100558470B1 KR1020050108186A KR20050108186A KR100558470B1 KR 100558470 B1 KR100558470 B1 KR 100558470B1 KR 1020050108186 A KR1020050108186 A KR 1020050108186A KR 20050108186 A KR20050108186 A KR 20050108186A KR 100558470 B1 KR100558470 B1 KR 100558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proof wall
panel
sound absorbing
absorbing body
vege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8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경희
김선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경
Priority to KR1020050108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84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8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8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2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specially adapted for sustaining vegetation or for accommodating plants ; Embankment-type or crib-type noise barriers; Retaining walls specially adapted to absorb or reflect noise
    • E01F8/021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specially adapted for sustaining vegetation or for accommodating plants ; Embankment-type or crib-type noise barriers; Retaining walls specially adapted to absorb or reflect noise with integral support structure
    • E01F8/023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specially adapted for sustaining vegetation or for accommodating plants ; Embankment-type or crib-type noise barriers; Retaining walls specially adapted to absorb or reflect noise with integral support structure made of stacked or staggered elements, e.g. hollow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7Plate-lik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404Sound-absorbing elements block-shaped

Abstract

본 발명은 식재를 식생할 수 있는 친환경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도로, 택지, 공단, 주택 및 APT 단지 등에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방음벽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소리가 흡수되는 흡음체 및 식재가 식생되는 식생매트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단부 및 하단부가 대향되게 절곡되어 제1 및 제2 공간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패널과; 상기 제1 공간부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흡음체가 상기 제1 공간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일측은 상기 흡음체의 일면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흡음체를 관통하여 상기 패널에 체결되어 있는 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방음벽에 꽃이나 나무 등의 식재를 이식할 수 있도록 식생매트가 설치되는 제2 공간부를 형성하여 식재를 식생하기 위한 별도의 화분이 필요 없으므로, 방음벽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음벽에서 식재가 식생되므로, 친환경적이면서 외관이 아름다운 방음벽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식재, 방음, H빔, 식생

Description

친환경 방음벽{Ecological Soundproof Wal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방음벽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음패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방음벽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방음벽 13 : H빔
20 : 방음패널 21 : 패널
27 : 브래킷 30 : 흡음체
40 : 식생매트 50 : 식재
본 발명은 친환경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음벽에 식물을 이식할 수 있도록 식생공간을 마련하여 일상생활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흡수함과 동시에 주위의 경관을 아름답게 할 수 있는 친환경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음벽은 도로와 근접하게 건설되어 있는 주택이나 아파트단지 내로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들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여과 없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하여 도로가에 설치는 것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주거 환경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각종 생활소음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학교, 관공서, 주택 및 아파트(APT) 단지 등의 주위에 방음벽을 설치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택지지구나 공단지역에서도 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많이 사용되는 등 그 사용 범위가 다양화 되고 있다.
이처럼, 방음벽의 설치가 일반화되면서 방음벽의 역할이 단순히 소음만을 차단하는 데에서 탈피하여 주변의 환경과 조화를 이루게 함은 물론, 방음벽의 친환경적인 측면을 더욱 고려하여 건설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종래 방음벽은 통상적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를 다진 후, 이 콘크리트 기초에 H빔을 소정 간격으로 세우고, H빔 사이에 소음을 흡수하는 알루미늄 그릴 및 유리섬유로 제작되어 있는 방음패널을 삽입함으로써 설치되었다. 그리고 방음벽에 식재를 이식할 수 있는 화분을 더 결합하여 꽃이나 나무 등을 이식함으로써 주거지역의 녹지화를 꾀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음벽은 별도의 화분을 방음벽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화분에 의하여 방음벽의 변형이 일어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분이 방음벽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어서 외관상 보기 좋지 않은 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화분을 방음벽에 설치하기 위하여 별도의 결합구조가 필요하므로, 방음벽의 설치구조가 복잡하여 방음벽을 설치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이로 인하여 제작 단가가 상승하는 등의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음벽에 꽃이나 나무 등을 이식할 수 있도록 식생공간을 확보하여 방음벽에서 식물이 자랄 수 있게 하여 방음벽의 변형을 방지함과 동시에 친환경적이고 외관을 아름답게 할 수 있는 친환경 방음벽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방음벽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소리가 흡수되는 흡음체 및 식재가 식생되는 식생매트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단부 및 하단부가 대향되게 절곡되어 제1 및 제2 공간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패널과; 상기 제1 공간부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흡음체가 상기 제1 공간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일측은 상기 흡음체의 일면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흡음체를 관통하여 상기 패널에 체결되어 있는 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방음벽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방음벽(10)은 콘크리트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기초(11)에 H빔(13)들을 고정할 수 있도록 앵커볼트(Anchor Bolt: 15)들이 타설되어 있다. H빔(13)들은 기초(11)에서 소정간격을 가지면서 설치되어 있으며, 상호 근접되어 있는 H빔(13)과 H빔(13) 사이에는 소음이 차단되도록 방음패널(20)이 적층되면서 설치되어 있다.
방음패널(20)은 판 형상을 가지며, 흡음체(30) 및 식생매트(40)가 결합되도록 제1 및 제2 공간부(23, 25)가 형성되어 있는 패널(21)과, 제1 공간부(23)에 결합되어 있는 흡음체(30)가 제1 공간부(23)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흡음체(30)를 패널(21)에 고정시키는 브래킷(27)으로 구성되어 있다.
패널(21)은 일측 및 타측이 H빔(13)에 가이드되어 삽입되며, 그 상단부는 제1 공간부(23)가 형성되도록 하측으로 절곡되어 있고, 하단부는 제2 공간부(25)가 형성되도록 상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즉, 패널(21)은 "S" 자 형태로 형성되도록 상단부 및 하단부가 중앙부를 기준으로 대향되게 절곡되어 있다. 그리고 식생매트(40)가 삽입되는 제2 공간부(25)가 형성된 패널(21)의 부위에는 식생매트(40)로 흡수되는 물이 제2 공간부(25)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수구멍(25a)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실예에 따른 패널(21)은 합성수지에 의하여 제작되데, 이는 합성수지가 금속에 비하여 무게가 가벼울 뿐만 아니라, 부식이 잘 되지 않으며, 소리의 흡수율이 좋기 때문이다.
패널(21)의 제1 공간부(23)에 결합되어 있는 흡음체(30)는 소음이 잘 흡수되도록 제1, 제2 및 제3 블록(31, 33, 35)을 가지는데, 제1 및 제2 블록(31, 33)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제3 블록(35)은 양측면에 제1 및 제2 블록(31, 33)이 밀착되어 접합되도록 반원 형상의 접합홈(35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흡음체(30)는 패널(21)의 제1 공간부(23)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흡음체(30)를 관통하여 패널(21)에 체결되어 있는 브래킷(27)에 의하여 패널(21)에 고정되어 있다.
브래킷(27)은 흡음체(30)를 관통하여 패널(21)에 체결되는 고정구(27a)와, 흡음체(30)의 제2 블록(33)에 접촉되도록 고정구(27a)에 소정간격을 가지면서 부착되어 있는 반원 형상의 리브(27b)들로 이루어져 있다. 브래킷(27)은 고정구(27a)의 양단부가 각각 벤딩되어 흡음체(30)에 관통되며, 너트(29)가 체결됨으로써 패널(21)에 고정된다.
패널(21)의 제2 공간부(25)에는 식생매트(40)가 삽입되며, 식생매트(40)에는 꽃이나 넝쿨 등의 식재(50)가 이식되어 식생된다. 그리고 식생매트(40)와, 배수구멍(25a) 사이에는 식생매트(40)의 영향분이 배수구멍(25a)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에 의하여 식생매트(40)에서 배출되지 않도록 여과포(41)가 구비되어 있다.
지금부터는 상기와 같이 제작된 본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방음벽의 작용을 설명한다.
흡음체(30) 및 식생매트(40)가 고정되는 제1 및 제2 공간부(23, 25)를 패널(21)을 절곡하여 형성함으로써, 식재(50)를 이식하여 식생하기 위한 별도의 화분을 방음벽(10)에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어 방음벽(1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패널(21)에 식재(50)를 직접 식행할 수 있으므로, 방음벽(10)을 친환경적으로 시공할 수 있고, 동시에 방음벽(10)의 외관을 아름답게 할 수 있다.
또한, 브캐킷(27)을 이용하여 흡음체(30)를 패널(21)에 고정할 수 있어서 흡음체(30)를 패널(21)에 고정시키는 결합구조가 단순해진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에 의하면, 방음벽에 꽃이나 나무 등의 식재를 이식할 수 있도록 식생매트가 설치되는 제2 공간부를 형성하여 식재를 식생하기 위한 별도의 화분이 필요 없으므로, 방음벽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음벽에서 식재가 식생되므로, 친환경적이면서 외관이 아름다운 장점도 있다.

Claims (3)

  1. 콘크리트에 의하여 타설되어 있는 기초에 소정간격을 가지면서 설치되어 있는 H빔들과, 상호 근접하게 설치되어 있는 상기 H빔 사이에 적층되도록 삽입되며 소리를 차단하는 방음패널로 이루어져 있는 방음벽에 있어서,
    상기 방음패널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소리가 흡수되는 흡음체 및 식재가 식생되는 식생매트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단부 및 하단부가 대향되게 절곡되어 제1 및 제2 공간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패널과;
    상기 제1 공간부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흡음체가 상기 제1 공간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일측은 상기 흡음체의 일면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흡음체를 관통하여 상기 패널에 체결되어 있는 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방음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양단부가 상기 흡음체를 관통하여 너트에 의해 상기 패널에 체결되도록 벤딩되어 있는 고정구와, 상기 흡음체의 외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에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접착되어 있는 리브들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방음벽.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식생매트가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2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패널부위에는 상기 식생매트로 흡수되는 물이 상기 제2 공간부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수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구구멍과 상기 식생매트 사이에는 여과포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방음벽.
KR1020050108186A 2005-11-11 2005-11-11 친환경 방음벽 KR100558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8186A KR100558470B1 (ko) 2005-11-11 2005-11-11 친환경 방음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8186A KR100558470B1 (ko) 2005-11-11 2005-11-11 친환경 방음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8470B1 true KR100558470B1 (ko) 2006-03-10

Family

ID=37179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8186A KR100558470B1 (ko) 2005-11-11 2005-11-11 친환경 방음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84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8281B1 (ko) 2006-05-12 2006-09-01 주식회사 건화엔지니어링 친환경적인 도로 방음벽
KR101188407B1 (ko) 2010-03-15 2012-10-05 주식회사 에코프랜 흡음재 처짐 방지기능을 갖는 방음벽
KR101457015B1 (ko) * 2013-12-24 2014-11-12 나상철 방음차폐휀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7519A (ja) * 1994-03-09 1995-09-26 Sekisui Jushi Co Ltd 緑化防音壁形成用壁体
JPH11193511A (ja) 1998-01-05 1999-07-21 Nihon Kogyo Co Ltd 緑化壁用のブロック及びブロックユニット
KR20030055063A (ko) * 2001-12-26 2003-07-02 박기성 식생 가능한 목재 방음벽
KR20040088428A (ko) * 2004-09-16 2004-10-16 (주)씨에스티개발 친환경적인 방음벽 시설
KR100507748B1 (ko) 2003-02-07 2005-08-10 이근식 소음 흡수를 위한 트랩형 방음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7519A (ja) * 1994-03-09 1995-09-26 Sekisui Jushi Co Ltd 緑化防音壁形成用壁体
JPH11193511A (ja) 1998-01-05 1999-07-21 Nihon Kogyo Co Ltd 緑化壁用のブロック及びブロックユニット
KR20030055063A (ko) * 2001-12-26 2003-07-02 박기성 식생 가능한 목재 방음벽
KR100507748B1 (ko) 2003-02-07 2005-08-10 이근식 소음 흡수를 위한 트랩형 방음판
KR20040088428A (ko) * 2004-09-16 2004-10-16 (주)씨에스티개발 친환경적인 방음벽 시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8281B1 (ko) 2006-05-12 2006-09-01 주식회사 건화엔지니어링 친환경적인 도로 방음벽
KR101188407B1 (ko) 2010-03-15 2012-10-05 주식회사 에코프랜 흡음재 처짐 방지기능을 갖는 방음벽
KR101457015B1 (ko) * 2013-12-24 2014-11-12 나상철 방음차폐휀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5329B1 (ko) 조경 방음 터널
KR100558470B1 (ko) 친환경 방음벽
KR100520887B1 (ko) 합성틀을 이용한 공동주택 단지 조경 울타리 시공 구조
KR101101156B1 (ko) 방음벽
JP4787541B2 (ja) 緑化屋根
KR100876097B1 (ko) 방음벽용 식생 플랜터
KR200402616Y1 (ko) 벽면녹화 시공구조
KR200271975Y1 (ko) 콘크리트 브이형 조립식 블록을 이용한 조경녹화 도로방음벽
KR200248394Y1 (ko) 화분 겸용 방음벽
KR101238336B1 (ko) 녹화조성구조물
KR200294881Y1 (ko) 식생 가능한 목재 방음벽의 구조
KR20160023245A (ko) 덩굴 식물로 지붕을 이루는 도로 에코사운드 베리어 터널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0215299Y1 (ko) 방음벽
KR100482956B1 (ko) 식생 가능한 목재 방음벽의 구조
KR100384351B1 (ko) 식물식재가 가능한 방음벽의 설치공법
KR101048499B1 (ko) 사계절 녹화 황토 방음벽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시공 공법
JP2000178927A (ja) 緑化遮蔽壁
JP5689263B2 (ja) 建築物の壁面緑化構築体
KR100663727B1 (ko) 친환경적인 단지 조성용 방음벽 설치구조
JP2006246830A (ja) 緑化エリアの仕切材及び仕切構造、緑化設備
KR100537056B1 (ko) 조경단지 도로 방음벽
KR100520888B1 (ko) 공동주택의 조립식 조경울타리 설치구조
KR200376910Y1 (ko) 식생반이 부설된 방음벽
KR101018884B1 (ko) 식조경수를 이용한 건축용 방음벽
KR100647838B1 (ko) 건축물 또는 건축단지의 조경 식생담장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