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1975Y1 - 콘크리트 브이형 조립식 블록을 이용한 조경녹화 도로방음벽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브이형 조립식 블록을 이용한 조경녹화 도로방음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975Y1
KR200271975Y1 KR2020010039488U KR20010039488U KR200271975Y1 KR 200271975 Y1 KR200271975 Y1 KR 200271975Y1 KR 2020010039488 U KR2020010039488 U KR 2020010039488U KR 20010039488 U KR20010039488 U KR 20010039488U KR 200271975 Y1 KR200271975 Y1 KR 2002719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block
prefabricated block
soundproof wall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94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낙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Priority to KR20200100394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9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9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975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V형 조립식 블록을 이용한 조경녹화 도로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블록을 제작하여 V형으로 설치하고 빈 공간에 토사를 채우고 식물을 식재하여 도로의 미관을 확보하며, 환경적으로 생태계를 보존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V형 조립식 블록을 이용한 조경녹화 도로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도로의 방음벽 구조에 있어서, 보행자 도로에는 그 측면에 조경녹화 방음벽이 설치되어 울타리 및 방음벽 구조를 형성시키는 한편, 상기의 조경녹화 방음벽은 기초 콘크리트의 상부에 안착되는 구조로, 기초 콘크리트에는 다수개의 배수구가 설치되고 길이방향의 상부 중앙에 블록받침 콘크리트가 2열로 형성되며, 상기의 블록받침 콘크리트는 외측에서 중앙부를 향하여 경사지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의 블록받침 콘크리트에는 상부에 조립식 블록이 안착된 상태에서 접합 밴드와 에프·알·피(FRP) 앵커못으로 체결되는 구조로, 상기의 조립식 블록은 내측면이 관통된 박스 구조로 형성되고 상,하부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의 조립식 블록에는 관통홀에 에프·알·피 앵커못이 체결되고, 상기의 에프·알·피 앵커못이 조립식 블록의 관통홀을 관통시 사이에 접합 밴드가 삽입된 상태로 이격된 조립식 블록이 체결되며, 상기의 접합 밴드는 양단부가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상기의 접합 밴드의 양단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에프·알·피 앵커못이 관통되며, 상기의 조립식 블록은 이격된 빈 공간과 내부면에 토사가 채워지고, 상기의 토사에는 잔디가 식재되어 녹화구조가 형성되며, 상기의 조립식 블록에는 다층으로 적층된 후 최상부의 토사에는 물공급 파이프가 매설되고, 상기의 물공급 파이프에는 다수개의 물 분사홀이 형성되어 토사의 내부에 물을 공급하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V형 조립식 블록을 이용한 조경녹화 도로 방음벽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브이형 조립식 블록을 이용한 조경녹화 도로 방음벽{AFFORESTATION SOUNDPROOFING WALLS OF ROAD USING CONCRETE ASSEMBLY BLOCK}
본 고안은 콘크리트 V형 조립식 블록을 이용한 조경녹화 도로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블록을 제작하여 V형으로 설치하고 빈 공간에 토사를 채우고 식물을 식재하여 도로의 미관을 확보하며, 환경적으로 생태계를 보존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V형 조립식 블록을 이용한 조경녹화 도로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도로 방음벽을 금속재료를 사용하여 제작한 후 도로에 설치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도로 방음벽 구조의 단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자동차 도로(10)와 보행자 도로(20)의 사이에는 경계석(18)이 설치되는데, 상기의 경계석(18)은 L형 측구(14)의 상부에 설치되어 보행자 도로(20)와 연접하게 된다.
상기의 보행자 도로(20)에는 그 측면에 기초 콘크리트(24)가 "ㅗ"자형으로 매설되고, 상기의 기초 콘크리트(24)에는 중앙 상부에 방음벽 기둥(30)이 체결 볼트(34)로 고정되어 설치되며, 이때 상기의 방음벽 기둥(30)에는 내측에 흡음형 방음판(40)이 적치되어 방음벽 구조를 구성한다.
상기의 방음벽 기둥(30)은 철재나 아연도 철재를 이용하여 제작하게 되고, 상기의 흡음형 방음판(40)은 자동차 도로(10)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흡수하게 된다.
상술한 종래의 도로 방음벽은, 그 구조상 금속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되고 설치되는 관계로 차량과의 충돌 사고시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고, 자동차 배기가스와 먼지에 의하여 금속 재료의 부식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아 보수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부식된 상태의 방음벽은 도로의 미관을 해치는 경우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콘크리트로 제작된 조립식 블록을 V형 형태로 제작하고 기초 콘크리트의 중앙 상부면에 2열로 형성된 블록받침 콘크리트의 상부에 조립식 블록을 안착시켜 이격된 빈 공간 및 조립식 블록의 내측면에 토사를 채우게 되며, 이때 상기의 토사에 잔디 등과 같은 작은 식물을 식재하여 친환경적이고 도로의 미관을 최대한 확보하고 환경적으로도 생태계를 최대한 보존할 수 있으며, 또한 울타리 역할과 방음벽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V형 조립식 블록을 이용한 조경녹화 도로 방음벽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도로의 방음벽 구조에 있어서, 보행자 도로에는 그 측면에 조경녹화 방음벽이 설치되어 울타리 및 방음벽 구조를 형성시키는 한편, 상기의 조경녹화 방음벽은 기초 콘크리트의 상부에 안착되는 구조로, 기초 콘크리트에는 다수개의 배수구가 설치되고 길이방향의 상부 중앙에 블록받침 콘크리트가 2열로 형성되며, 상기의 블록받침 콘크리트는 외측에서 중앙부를 향하여 경사지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의 블록받침 콘크리트에는 상부에 조립식 블록이 안착된 상태에서 접합 밴드와 에프·알·피(FRP) 앵커못으로체결되는 구조로, 상기의 조립식 블록은 내측면이 관통된 박스 구조로 형성되고 상,하부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의 조립식 블록에는 관통홀에 에프·알·피 앵커못이 체결되고, 상기의 에프·알·피 앵커못이 조립식 블록의 관통홀을 관통시 사이에 접합 밴드가 삽입된 상태로 이격된 조립식 블록이 체결되며, 상기의 접합 밴드는 양단부가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상기의 접합 밴드의 양단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에프·알·피 앵커못이 관통되며, 상기의 조립식 블록은 이격된 빈 공간과 내부면에 토사가 채워지고, 상기의 토사에는 잔디가 식재되어 녹화구조가 형성되며, 상기의 조립식 블록에는 다층으로 적층된 후 최상부의 토사에는 물공급 파이프가 매설되고, 상기의 물공급 파이프에는 다수개의 물 분사홀이 형성되어 토사의 내부에 물을 공급하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V형 조립식 블록을 이용한 조경녹화 도로 방음벽을 제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도로 방음벽 구조의 단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콘크리트 V형 조립식 블록을 이용한 조경녹화 도로 방음벽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식 블록이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조립식 블록에 토사가 채워지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콘크리트 V형 조립식 블록을 이용한 조경녹화 도로 방음벽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50 : 자동차 도로 52 : 보행자 도로
54 : 경계석 60 : 조경녹화 방음벽
64 : 잔디 70 : 기초 콘크리트
72 : 블록받침 콘크리트 74 : 배수구
80 : 조립식 블록 82,88 : 관통홀
84 : 토사 86 : 접합 밴드
90 : 에프·알·피 앵커못 96 : 물공급 파이프
98 : 물 분사홀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과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콘크리트 V형 조립식 블록을 이용한 조경녹화 도로 방음벽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자동차 도로(50)와 보행자 도로(52)는 경계석(54)으로 구분되어지고, 이때 상기의 보행자 도로(52)에는 그 측면에 조경녹화 방음벽(60)이 설치된다.
상기의 조경녹화 방음벽(60)은 콘크리트로 제작된 조립식 블록(80)과 토사(84)가 중심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의 조경녹화 방음벽(60)은 기초 콘크리트(70)의 상부에 안착된다.
상기의 기초 콘크리트(70)에는 일정한 거리마다 다수개의 배수구(74)가 설치되고, 상기의 조경녹화 방음벽(60)에는 최상부에 물공급 파이프(96)가 설치되어 토사(84)에 물을 공급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조경녹화 방음벽(60)은 각각의 조립식 블록(80)을 접합 밴드(86)와 에프·알·피(FRP) 앵커못(90)으로 체결되는 구조로 상기의 조립식 블록(80)은 기초 콘크리트(70)의 상부에 다층으로 적층되며, 특히 상기의 조경녹화 방음벽(60)은 토사(84)에 잔디(64)와 같은 식물이 식재되어 녹화구조가 형성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식 블록이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조립식 블록에 토사가 채워지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의 조립식 블록(80)은 콘크리트로 V형 구조로 제작되는데, 상기의 조립식 블록(80)은 내측면이 관통된 박스 구조로 형성되며, 이때 상기의 조립식 블록(80)은 상,하부에 다수개의 관통홀(82)이 형성되어 각각의 조립식 블록(80)의 직상부에 적층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의 조립식 블록(80)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편, 상기의 조립식 블록(80)에는 관통홀(82)에 에프·알·피 앵커못(90)이 체결되고, 이때 상기의 에프·알·피 앵커못(90)이 조립식 블록(80)의 관통홀(82)을 관통하는 경우 그 사이에 접합 밴드(86)가 삽입된 상태로 체결된다.
상기의 접합 밴드(86)는 에프·알·피 앵커못(90)이 관통되는 양단부가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상기의 접합 밴드(86)의 양단부에는 관통홀(88)이 형성되어 에프·알·피 앵커못(90)이 관통된 상태에서 조립식 블록(80)에 고정된다.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조립식 블록(80)은 이격되어 설치된 빈 공간과 내부면에 토사(84)가 채워지게 되고, 상기의 토사(84)에는 잔디(64)가 식재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콘크리트 V형 조립식 블록을 이용한 조경녹화 도로 방음벽의 사시도로서, 조경녹화 방음벽(60)의 기초부로 구성되는 기초 콘크리트(70)에는 길이방향의 상부 중앙에 블록받침 콘크리트(72)가 2열로 형성되는데, 상기의 블록받침 콘크리트(72)는 외측에서 중앙부를 향하여 경사지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의 블록받침 콘크리트(72)에는 경사면 상부에 조립식 블록(80)이 안착되고, 안착된 조립식 블록(80)은 접합 밴드(86)와 에프·알·피 앵커못(90)을 이용하여 상호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의 조립식 블록(80)이 다층으로 적층된 후 그 빈 공간에는 토사(84)가 채워지고 최상부의 토사(84)에는 물공급 파이프(96)과 매설되며, 상기의 물공급 파이프(96)에는 다수개의 물 분사홀(98)이 형성되어 물을 토사(84)의 내부에 공급하게 된다.
상술한 조립식 블록(80)은 기초 콘크리트(70)의 블록받침 콘크리트(72)의 상부에 V형 구조로 안착되는데, 상기의 조립식 블록(80)에는 다수개가 길이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구조로 설치되고, 상기의 조립식 블록(80)에는 빈 공간과 내측면에 토사(84)를 채움 작업을 실시하며, 상기의 토사(84)에는 잔디(64) 등과 같은 식물을 식재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의 조경녹화 방음벽(60)은 그 구조상 친환경적인 요소가강하고, 자동차 도로를 주행하던 차량이 조경녹화 방음벽(60)과 충돌하는 경우에 파손된 조립식 블록(80)만을 해체하여 교체할수도 있다.
상기한 조립식 블록(80)의 토사(84)에 조경 목적으로 식재되는 잔디(64)는, 작은 나무와 같은 식물을 사용하여 식재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동 상태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콘크리트 V형 조립식 블록을 이용한 조경녹화 도로 방음벽은, 콘크리트로 제작된 조립식 블록을 V형 형태로 제작하고 기초 콘크리트의 중앙 상부면에 2열로 형성된 블록받침 콘크리트의 상부에 조립식 블록을 안착시켜 이격된 빈 공간 및 조립식 블록의 내측면에 토사를 채우게 되며, 이때 상기의 토사에 잔디 등과 같은 작은 식물을 식재하여 친환경적이고 도로의 미관을 최대한 확보하고 환경적으로도 생태계를 최대한 보존할 수 있으며, 또한 울타리 역할과 방음벽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Claims (1)

  1. 도로의 방음벽 구조에 있어서,
    보행자 도로(52)에는 그 측면에 조경녹화 방음벽(60)이 설치되어 울타리 및 방음벽 구조를 형성시키는 한편,
    상기의 조경녹화 방음벽(60)은 기초 콘크리트(70)의 상부에 안착되는 구조로, 기초 콘크리트(70)에는 다수개의 배수구(74)가 설치되고 길이방향의 상부 중앙에 블록받침 콘크리트(72)가 2열로 형성되며, 상기의 블록받침 콘크리트(72)는 외측에서 중앙부를 향하여 경사지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의 블록받침 콘크리트(72)에는 상부에 조립식 블록(80)이 안착된 상태에서 접합 밴드(86)와 에프·알·피(FRP) 앵커못(90)으로 체결되는 구조로, 상기의 조립식 블록(80)은 내측면이 관통된 박스 구조로 형성되고 상,하부에 다수개의 관통홀(82)이 형성되며,
    상기의 조립식 블록(80)에는 관통홀(82)에 에프·알·피 앵커못(90)이 체결되고, 상기의 에프·알·피 앵커못(90)이 조립식 블록(80)의 관통홀(82)을 관통시 사이에 접합 밴드(86)가 삽입된 상태로 이격된 조립식 블록(80)이 체결되며,
    상기의 접합 밴드(86)는 양단부가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상기의 접합 밴드(86)의 양단부에는 관통홀(88)이 형성되어 에프·알·피 앵커못(90)이 관통되며,
    상기의 조립식 블록(80)은 이격된 빈 공간과 내부면에 토사(84)가 채워지고,상기의 토사(84)에는 잔디(64)가 식재되어 녹화구조가 형성되며,
    상기의 조립식 블록(80)에는 다층으로 적층된 후 최상부의 토사(84)에는 물공급 파이프(96)가 매설되고, 상기의 물공급 파이프(96)에는 다수개의 물 분사홀(98)이 형성되어 토사(84)의 내부에 물을 공급하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V형 조립식 블록을 이용한 조경녹화 도로 방음벽.
KR2020010039488U 2001-12-20 2001-12-20 콘크리트 브이형 조립식 블록을 이용한 조경녹화 도로방음벽 KR2002719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488U KR200271975Y1 (ko) 2001-12-20 2001-12-20 콘크리트 브이형 조립식 블록을 이용한 조경녹화 도로방음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488U KR200271975Y1 (ko) 2001-12-20 2001-12-20 콘크리트 브이형 조립식 블록을 이용한 조경녹화 도로방음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1975Y1 true KR200271975Y1 (ko) 2002-04-13

Family

ID=73114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9488U KR200271975Y1 (ko) 2001-12-20 2001-12-20 콘크리트 브이형 조립식 블록을 이용한 조경녹화 도로방음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1975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918B1 (ko) * 2001-12-26 2005-01-03 박기성 식생 가능한 목재 방음벽
KR100765341B1 (ko) 2006-06-07 2007-10-09 김상수 녹화가 가능한 벽구조물
KR100769852B1 (ko) * 2006-05-29 2007-10-24 임호 섬유용 방충 및 항균가공제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이용한 섬유가공방법
KR100870468B1 (ko) 2007-03-09 2008-11-25 박병찬 차량의 충격 흡수를 위한 조립식 생태 방음벽
KR101158252B1 (ko) 2009-11-24 2012-07-03 최진식 식생 공간이 구비된 적층형 파티션
KR101323783B1 (ko) * 2011-12-27 2013-11-0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식생형 소음 확산 방음벽 블록
US11162236B2 (en) 2019-11-15 2021-11-02 Saudi Arabian Oil Company Living marine quay wall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918B1 (ko) * 2001-12-26 2005-01-03 박기성 식생 가능한 목재 방음벽
KR100769852B1 (ko) * 2006-05-29 2007-10-24 임호 섬유용 방충 및 항균가공제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이용한 섬유가공방법
KR100765341B1 (ko) 2006-06-07 2007-10-09 김상수 녹화가 가능한 벽구조물
KR100870468B1 (ko) 2007-03-09 2008-11-25 박병찬 차량의 충격 흡수를 위한 조립식 생태 방음벽
KR101158252B1 (ko) 2009-11-24 2012-07-03 최진식 식생 공간이 구비된 적층형 파티션
KR101323783B1 (ko) * 2011-12-27 2013-11-0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식생형 소음 확산 방음벽 블록
US11162236B2 (en) 2019-11-15 2021-11-02 Saudi Arabian Oil Company Living marine quay wal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71975Y1 (ko) 콘크리트 브이형 조립식 블록을 이용한 조경녹화 도로방음벽
KR100795084B1 (ko) 주주용 베이스
JP2736842B2 (ja) 階段遮音緑化方法
JP3828109B2 (ja) 木材と木炭を利用した遮音壁
KR100584163B1 (ko) 건축단지 방음구조물
KR100558470B1 (ko) 친환경 방음벽
EP1445381A1 (en) Noise-suppression barrier
US4650032A (en) Noise barrier
KR200271361Y1 (ko) 도로 조경 녹화 방음벽 울타리 구조
KR200361098Y1 (ko) 도로 사면 보강용 옹벽
KR200410826Y1 (ko) 하천 제방의 사면용 보호블록 설치구조
KR200215299Y1 (ko) 방음벽
KR100583558B1 (ko) 건축단지의 조립식 옹벽 구조물
JP6811447B2 (ja) 駐車場緑化構造
KR100509272B1 (ko) 건축용 조립식 옹벽블록 설치구조
JP3967005B2 (ja) 遮音壁
KR100466893B1 (ko) 친환경적인 건축단지용 방음벽 시설
KR20090006403U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음벽/옹벽 기초 구조물
KR200369397Y1 (ko) 도로용 조립식 옹벽블록 설치구조
KR20100001503U (ko) 비탈면 보호용 격자틀
KR100666586B1 (ko) 도로의 유지관리용 친환경 중앙분리대 제작설치구조
KR100882186B1 (ko) 건축 또는 도로용 경사면의 토사 붕괴방지 시설
KR200409796Y1 (ko) H빔과 선반블록을 이용한 녹화 옹벽
KR200311698Y1 (ko) 도로 비탈면의 조경녹화 소단 옹벽 설치구조
KR100406876B1 (ko) 버드나무 가지를 이용한 식생방음벽 시공법 및 그식생방음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