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4362A - 통신 제어장치, 통신 단말장치, 서버 장치 및 통신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제어장치, 통신 단말장치, 서버 장치 및 통신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4362A
KR20050104362A KR1020057013997A KR20057013997A KR20050104362A KR 20050104362 A KR20050104362 A KR 20050104362A KR 1020057013997 A KR1020057013997 A KR 1020057013997A KR 20057013997 A KR20057013997 A KR 20057013997A KR 20050104362 A KR20050104362 A KR 20050104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communication
change
control unit
enviro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3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9971B1 (ko
Inventor
사토시 센가
고 나카노
사치코 다케시타
밍 키앙 수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104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4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9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99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04L47/2475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for supporting traffic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모바일 환경에서 통신 상황이 변화하더라도, 사용자가 심리스한 감각으로 영상이나 음성 커뮤니케이션을 계속하는 통신 제어장치, 통신 단말장치, 서버 장치 및 통신 제어 방법.
전파강도나 네트워크폭주(congestion)등의 하위층 정보를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은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던 종래의 통신 단말장치에, 이러한 하위층의 정보를 상위층에 통지하는 하위층 관리부를 새롭게 도입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생성 환경을 제공하는 접속 제어부가 직접 하위층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어, 애플리케이션 레벨에서 하위층 정보에 기초한 여러가지 상황 판단과 제어 변경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통신 제어장치, 통신 단말장치, 서버 장치 및 통신 제어 방법{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SERVER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나 무선 기지국을 이용한 모바일 네트워크 시스템에 사용되어, 예를 들면 회화형이나 스트리밍형 미디어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통신 제어장치, 통신 단말장치, 서버 장치 및 통신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유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계층 모델의 하위층, 특히 제1층~ 제3층(물리층, 데이터 링크층, 네트워크층)의 정보는, 상위층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부터는 은폐되어 검출되지 않는다. 이러한 시스템의 통신 단말의 제n층은, 자신의 제(n-1) 층으로부터 제공되는 기능을 경유하여, 상대 단말의 제n층과 통신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위층 애플리케이션은, 그 하나 하위층의 정보를 얻으면 동작할 수 있어, 두 개 이상 하위 층의 정보를 얻을 필요가 없었기 때문이다.
즉, 종래의 통신 단말장치에서는, 물리층과 데이터 링크층의 처리를 하는 디바이스 제어부와, 네트워크층의 처리를 하는 네트워크 배송 제어부 간에서만, 데이터 전송에 관한 제어가 이루어지고, 애플리케이션으로의 정보 통지는, 트랜스포트층의 처리를 경유해서만 실시되고 있었다.
그리고, 무선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의 경우도, 기본적으로는 상기와 같은 계층적인 처리를 실시하는 시스템이 그대로 사용되고 있었다. 예를 들면, 특허공개 2000-209654호 공보에는, 무선의 통신 품질 변동을 고려하여 데이터 통신을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전자 메일 등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도, 무선의 통신 상태에는 관여치않고, 데이터 통신 제어부에 대해 일방적으로 데이터 송신요구를 보낼 뿐이며, 그 후 데이터 통신 제어부가, 무선의 통신 품질이 소정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에 자동적으로 발호(發呼/ call out)하여, 호(呼)가 설정되면 송신 대기상태로 되어있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다.
그런데, 최근의 인터넷에서는 무선을 이용한 접속이 주류가 되어가고 있고, 사용자는 무선의 이점을 살려,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인터넷 액세스를 계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인터넷 액세스에서는, 무선 기지국간, 무선 액세스 포인트간 뿐만이 아니라, 무선 기지국과 무선 액세스 포인트간의 통화채널전환도 가능해 져서, 사용자는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 사이를 이동하면서, 인터넷 액세스를 계속할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 인터넷 시스템에 있어서는, 전자 메일과 같은 비동기형(非同期型) 커뮤니케이션 뿐만이 아니라, 리얼타임성을 가지는 커뮤니케이션으로서 영상이나 음성 등의 멀티미디어를 취급하는, 예를 들면 음성 통화나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실현시키는 일이 요망되고 있다.
그러나, 무선으로 이동하면서의 데이터 전송은, 유선의 경우처럼 안정된 통신 품질이 제공되지 않고, 이동에 수반하여 전파 강도가 변화하거나, 통신이 중단되거나, 다른 무선 네트워크로 이동하면 전송 대역이 대폭 변화하거나 하는 일도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불안정한 무선을 대상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부의 상위층에서, 리얼타임성이 요구되는 멀티미디어 커뮤니케이션을 목적으로 한 애플리케이션을 안정적으로 동작시키는 일은 곤란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과 관계되는 네트워크의 전체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실시 형태 1과 관계되는 통신 단말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실시 형태 1과 관계되는 접속 제어부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실시 형태 1과 관계되는 통신 단말장치의 각 부의 동작 관계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
도 5는, 실시 형태 1과 관계되는 통신 단말장치의 처리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6A는,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기억되는 항목과 각 항목의 값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 B는, 접속 제어부가 각 제어부에 대해서 통지하는 정보 포맷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4의 FGS(Fine Granularity Scalability) 동화상(動畵像)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와 관계되는 접속 제어부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9는, 실시 형태 2와 관계되는 통신 단말장치의 처리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0A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메시지 포맷을 설명하는 도면, 및, 도 10B는, SIP의 통신 세션 확립 절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과 음성의 적어도 한 쪽편을 포함한 미디어를 이용한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무선 통신 품질이 악화되거나 접속이 끊어지거나 다른 무선 네트워크로 이동하거나 하여도, 커뮤니케이션을 계속할 수 있으며, 그 계속성이 사용자에게 있어서 보다 심리스(seamless)하다고 느껴지는 등의 서비스를 실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주제는, 미디어 스트림용의, 데이터의 송신원(送信元)과 수신처(受信處) 간의 세션(미디어 세션이라고도 부름)에 관한 제어를, 트랜스포트 층보다도 하위 층의 통신 상황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예를 들면 무선층 혹은 네트워크층의 통신 상황에 관한 정보를, 트랜스포트층을 경유하지 않고 직접, 트랜스포트 층보다 상위의 층에 전달함으로써) 실시하는 것이다.
이로 말미암아, 통신 상황이 이동에 따라 시시각각 변화하는 통신 단말장치에 있어서, 리얼타임성이 요구되는 영상이나 음성의 애플리케이션을 취급하는 경우에, 애플리케이션 측에서 보다 신속하게 통신 상황의 변화에 대응한 서비스로 전환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모바일 환경에서 보다 심리스하다고 느끼는 미디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형태에 의하면, 통신 제어장치는, 무선 환경 또는 네트워크 환경의 적어도 한 쪽편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검출된 무선 환경 또는 네트워크 환경을 기억하여, 상기 무선 환경 또는 상기 네트워크 환경에 변화가 발생했는지 아닌지를 감시하는 관리 수단과, 상기 무선 환경 또는 상기 네트워크 환경에 변화가 일어난 경우에, 애플리케이션의 통신 서비스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가지는 구성을 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통신 단말장치는 상기 통신 제어장치를 가지는 구성을 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의하면, 서버 장치는 상기 통신 제어장치를 가지는 구성을 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의하면, 통신 제어 방법은, 무선 환경 또는 네트워크 환경의 적어도 한 쪽편을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된 무선 환경 또는 네트워크 환경을 기억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환경 또는 상기 네트워크 환경에 변화가 발생했는지 아닌지를 감시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환경 또는 상기 네트워크 환경에 변화가 일어난 경우에, 애플리케이션의 통신 서비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가진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과 관련되는 네트워크의 전체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있어서, 네트워크1 ~ n은, LAN(Local Area Network)이나 WAN(Wide Area Network)등의 도메인 단위 네트워크로서, 예를 들면, 네트워크1은 복수의 무선 기지국(기지국 1, 기지국 2)을 포함하고 있고, 네트워크2는 복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AP1, AP2)를 포함하고 있다. 즉, 네트워크1 ~ n 각각은, 예를 들면, 공중 휴대전화망, 자영(自營) 구내 무선LAN, 핫 스폿, 혹은 가정내 무선 네트워크 등에 상당하며, 여기에서는, IP베이스 네트워크라고 한다. 이러한 각 도메인(domain)의 네트워크는,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다.
통신 단말장치(10~30)는, 1대 1혹은 1대 복수로, 영상 및 음성을 이용한 커뮤니케이션을 한다. 예를 들면 통신 단말장치(10)가 이동하여, 기지국1의 전파를 수신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기지국2의 전파를 수신하는 상태로 바뀌더라도, 기지국간에서의 통화채널전환이 이루어져, 통신 단말장치(10)는 이동전의 커뮤니케이션을 이동 후에도 그대로 계속 할 수 있다. 이것은, AP1의 접속 범위로부터 AP2의 접속 범위에 이동한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 통신 단말장치가 네트워크 간을 이동하더라도, 네트워크 층에서의 통화채널전환(코어 네트워크를 경유한 통화채널전환)이 이루어져 커뮤니케이션을 계속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통신 단말장치(20)가 이동하여, 기지국2에 접속된 상태로부터 AP1에 접속된 상태로 바뀌더라도, 트랜스포트 층보다 상위 층은, 다른 네트워크(여기에서는 네트워크 1로부터 네트워크 2)로 이동한 것과는 상관없이 통신 처리를 계속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과 관계되는 통신 단말장치(1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통신 단말장치(10)는, 휴대형 전화 단말이어도 좋고,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기능을 가지는 PDA나 컴퓨터여도 좋다. 또, 통신 단말장치 (20), (30)도 통신 단말장치(1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한다.
통신 단말장치(10)의 내부는 계층화 되어 있으며, 트랜스포트층보다 상위의 접속 제어계(12~18)와, 트랜스포트 층의 처리를 실행하는 트랜스포트 제어부(19)와, 트랜스포트 층보다 하위의 데이터 전송 제어계(20~21)로 구성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통신 단말장치의 트랜스포트층보다 하위층 통신 상황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전파 강도나 폭주(congestion) 정보 등)를, 트랜스포트층보다 상위층에 직접 전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위해서, 하위층 관리부(22)가 신규로 도입되어 있다.
상위의 접속 제어계는, 접속 제어부(12), 네트워크 제어부(13), 시그널링 (signalling)제어부(14) 및 전송 데이터 제어부(15)를 포함한다.
접속 제어부(12)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포함되든지, 혹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이용되는 것으로, 사용자에게서 서비스 요구를 받아 그 서비스의 정의 정보를 네트워크 제어부(13), 시그널링 제어부(14), 및 전송 데이터 제어부(15)(이하, 이러한 3개의 제어부를 합쳐서「각 제어부」라고 함)가 해석하여 실행 가능한 형식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가진다.
각 제어부(13~15)는, 접속 제어부(12)로부터의 서비스 정의 정보와 시그널링부(17)로부터의 호(呼)정보에 기초하여, 접속 제어부(12)를 이용하여 제어된 서비스 조건과 소프트웨어 실행 환경을 조사하여, 서비스 실행 지시를 각각 NW(네트워크) 정보 관리부(16), 시그널링부(17), 및 전송 데이터부(18)에 필요에 따라 보낸다.
트랜스포트 제어부(19)와, 이 보다 하위의 데이터 전송 제어계인 네트워크 배송 제어부(20)(네트워크층의 처리를 행함) 및 디바이스 제어부(21)(무선 디바이스의 제어, 즉 물리층 및 데이터 링크층의 처리를 함)는, 상위 접속 제어계에서 작성된 데이터를 네트워크(23)와의 사이에서 송수신하여, 사용자가 희망하는 서비스를 실현한다.
또한, 디바이스 제어부(21)는, 통신 단말장치(10)가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는 복수 네트워크에 있어서 채용되고 있는 무선의 변조 방식을 취급할 수 있다. 또, 네트워크 배송 제어부(20)는, 예를 들면 모바일 IP(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IETF)의 RFC2002에 규정) 에 대응한 것으로서, 이것을 이용하여, 통신 단말장치(10)는, 종류가 다른 복수의 네트워크에 있어서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단말장치(10)의 각 부(部)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이러한 조합 중, 어떤것을 이용하여 실현해도 좋다.
이어서, 상술한 각 부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하위층 관리부(22)는, 디바이스 제어부(21)나 네트워크 배송 제어부(20)에 의해 검지되는 통신 환경 상황(예를 들면 범용적인 신호, 제어 정보, 성능 감시, 및 장해 감시 등에 의해 검지됨)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관리한다. 하위층 관리부(22)는,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여러가지 정보를, 상위층인 접속 제어부(12)에 통지한다. 구체적으로는, 하위층 관리부(22)는, 예를 들면 통신 단말장치(10)가 속해 있는 네트워크(23)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이 네트워크(23)에 있어서 채용되는 변조 방식 정보, 및 무선 통신의 전파 강도에 관한 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등록된 정보에 변화가 발생한 경우에, 그 정보를 접속 제어부(12)에 통지한다.
접속 제어부(12)는, 애플리케이션의 일부나,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직접 이용하는 것이므로, 하위층 관리부(22)의 기능에 의해, 무선 디바이스나 네트워크층 (대표적으로는 인터넷 프로토콜층)의 통신 상황이 직접 애플리케이션까지 통지되게 되어, 통신 단말장치(10)는, 애플리케이션 측에서 영상 및 음성 등의 데이터 전송을 최적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즉, 다른 네트워크으로의 이동, 무선의 전파 상황, 및 전송 트래픽 등을 애플리케이션의 접속 제어부(12)가 알 수 있게 되어, 영상 및 음성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한 각종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접속 제어부(12)는, 서비스 생성 환경을 제공하여, 신속한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전개를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접속 제어부(12)는, 대역 제어나 인증 등의 네트워크 중심의 서비스 기능(네트워크 제어부(13)에 대응), 커뮤니케이션을 실현하기 위한 호 접속을 실시하는 시그널링을 이용한 제어 기능 (시그널링 제어부(14)에 대응), 및 프로파일링이나 콘텐츠(영상,음성) 등의 사용자 중심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기능(전송 데이터 제어부(15)에 대응)의 3가지 기능을 제어하는 것이다.
또, 사용자 설정부(11)는, 사용자가 통신 단말장치의 설정이나 조작을 하는 입출력부로서, 화면, 버튼, 및 마우스 등으로 구성되지만, 접속 제어부(12)는, 이 사용자 설정부(11)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지정되는 명령 실행도 제어한다.
여기서, 실시 형태 1과 관계되는 접속 제어부(12)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동 그림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제어부(12)는, 네트워크 판단부(121), 전파 강도 판단부(122), 사용자 지정 판단부(123), 변조 방식 판단부(124), 및 제어 동작 결정부(125)를 가지고 있다.
네트워크 판단부(121)는, 하위층 관리부(22)로부터 통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단말장치(10)가 속하는 네트워크가 변경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네트워크 판단부(121)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 식별자인 프레픽스(prefix) 변화가 하위층 관리부(22)로부터 통지된 것을 검지하고, 네트워크가 변경되었다고 판단한다.
전파 강도 판단부(122)는, 하위층 관리부(22)로부터 통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상태를 나타내는 전파 강도가 변경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전파 강도 판단부(122)는, 하위층 관리부(22)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전파 강도가 변경되었다는 취지의 통지를 받고, 전파 강도가 변경되었다고 판단한다.
사용자 지정 판단부(123)는, 하위층 관리부(22)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정보가, 사용자 설정부(11)를 이용하여 설정된 값으로 변경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사용자 지정 판단부(123)는, 상기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정보 전부를 감시하여, 통신 환경이 사용자 설정부(11)를 경유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검지한다.
변조 방식 판단부(124)는, 하위층 관리부(22)로부터 통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단말장치(10)가 속하는 네트워크에서 채용되고 있는 변조 방식이 변경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변조 방식 판단부(124)는, 하위층 관리부(22)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변조 방식이 변경되었다는 취지의 통지를 받고, 변조 방식이 변경되었다고 판단한다.
제어 동작 결정부(125)는, 상기의 4개의 판단부의 판단에 따라, 서비스 제어를 위한 동작을 결정한다. 즉, 제어 동작 결정부(125)는, 네트워크, 전파 강도, 및 변조 방식 등의 변화에 따라, 예를 들면 콘텐츠(영상·음성)를 전송하는 대역을 제한하거나, 소정 시그널링 정보를 송신하거나 하는 등의 제어 동작을 결정한다. 이러한 제어 동작은, 각 제어부(13~15)에 의해 실행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네트워크 제어부(13)는, 리얼타임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네트워크 전송 대역의 제어 및 인증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네트워크 전송에 있어서의 서비스 품질 제어 및 인증 정보 설정을 한다. 그리고, NW정보 관리부(16)는, 네트워크 제어부(13)에 의해 제어된 서비스 품질 및 인증 정보를 네트워크(23)와의 사이에서 송수신하기 위한 정보를 부가한다.
시그널링 제어부(14)는, 통신 상대와 호접속을 실시할 때의 호 상태를 제어한다.
이 경우의 호란, 세션층(트랜스포트층의 상위층)이나, 그것보다 상위의 층 끼리 설정되는 세션을 가리킨다. 호 상태는, 아이들(idle) 상태, 호 접속중, 및 통화 확립 상태의 3종류로 구성된다. 그리고, 시그널링부(17)는, 시그널링 제어부(14)에 의해 제어된 호 상태를 기초로, 호 접속 요구가 있었을 경우는 호 접속에서 이용하는 정보(상대편 주소, 포트 번호 등)를 작성하고, 또, 통신 상대와 호의 확립 혹은 개방을 실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네트워크(23)와의 사이에서 송수신하기 위한 정보를 부가한다.
전송 데이터 제어부(15)는, 영상이나 음성 등, 리얼타임 커뮤니케이션에서 이용하는 데이터의 작성 및 제어를 한다. 작성되는 데이터는 부호 복호화 된 데이터이다. 그리고, 전송 데이터부(18)는, 전송 데이터 제어부(15)에 의해 작성된 영상, 음성 등의 데이터를 네트워크(23)와의 사이에서 송수신하기 위한 정보를 부가한다.
트랜스포트 제어부(19)는, 상위층에서 작성된 데이터를 네트워크 배송 제어부(20)에 보내기 전에, 각 데이터가 어느 상위 기능 (NW정보 관리부(16), 시그널링부(17), 또는 전송 데이터부(18)의 기능) 에 대응하고 있는지를 연결시킴과 동시에, 하위층으로 수신된 데이터를 네트워크 배송 제어부(20)로부터 받으면, 적절한 상위 기능에 배분한다.
네트워크 배송 제어부(20)는, 네트워크(23)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 필요한 주소 정보 등을 설정하고, 작성된 데이터를 디바이스 제어부(21)를 경유하여, 네트워크(23)와의 사이에서 송수신 한다.
디바이스 제어부(21)는, 무선 통신을 실시하기 위해서 필요한 무선 디바이스 (무선 기기)를 제어한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와 관계되는 통신 단말장치(10)의 동작에 대해, 도 4에 나타내는 순서도 및 도 5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통신 단말장치(10)의 각 부의 동작 관계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 5는, 통신 단말장치(10)의 처리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통신 단말장치(10)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나 무선 기지국을 경유하여, 영상, 음성 등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데이터 통신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 때, 접속 형태는, 1대 1이어도, 복수 인원수에 의한 다(多)지점 회의 같은 통신 형태이어도 상관없다.
통신 단말장치(10)의 사용자는, 무선의 이점을 살려,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다. 여기서, 디바이스 제어부(21)에 의해, 무선 환경이 변화했는지 아닌지가 항상 감시되고 판정되고 있으며(ST1000), 이동중 등에 있어서, 디바이스 제어부(21)가 예를 들면 무선의 전파 강도가 약해진 것을 감지하면, 하위층 관리부(22)에 변화 후의 전파 강도의 값(전파 강도를 복수의 레벨로 나타내는 경우, 레벨 값)이 통지된다(ST1200). 하위층 관리부(22)는, 자신의 관리 데이터베이스 내의 전파 강도 자리에, 통지된 값을 기입한다(ST1300).
디바이스 제어부(21)는, 전파 강도가 변화한 경우 뿐만이 아니라, 무선 링크 상태 (링크가 접속 상태(UP)인지 절단 상태(DOWN)인지) 가 변화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있으며(ST1100), 변화가 검지된 경우에는, 하위층 관리부(22)에 통지된다(ST1200). 그리고, 하위층 관리부(22)는, 관리 데이터베이스의 해당 항목에 통지된 변화를 기입한다(ST1300).
또, 변조 방식(무선 신호 방식의 종류) 이 변화한 경우나,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혼잡 상황이 변화한 경우에도, 그때마다 디바이스 제어부(21)가 하위층 관리부(22)에 통지하여, 관리 데이터베이스 내의 변화한 항목에 기입하도록 해도 좋다.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혼잡 상황 (그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현재 이용하고 있는 단말의 수) 의 변화를 관리하는 것만이 아니라, 무선 기지국의 혼잡 상황의 변화를 관리해도 좋다. 이러한 정보는, 하위층 관리부(22)의 관리 데이터베이스 내에 있으며, 예를 들면 도 6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바이스 제어 정보로서 분류되고 있다. 도 6 A는, 하위층 관리부(22)의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기억되는 항목과 그 값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디바이스 제어부(21)가 상기와 같이 무선 환경의 변화를 검출하는 것과 평행하여, 네트워크 배송 제어부(20)는 네트워크 환경의 변화를 검출한다(ST1100). 네트워크 배송 제어부(20)가 예를 들면 네트워크 프레픽스 (예를 들면 IP주소의 상위 소정 비트로서, 네트워크의 식별자(ID)에 상당함) 의 변화를 감지하면, 하위층 관리부(22)에 변화 후의 프레픽스의 값(네트워크의 ID)을 통지한다(ST1200). 그리고, 하위층 관리부(22)는, 자신의 관리 데이터베이스 내의 프레픽스 항목에, 통지된 값을 기입한다(ST1300).
네트워크 배송 제어부(20)는, 프레픽스가 변화한 경우 뿐만이 아니라, 수신 버퍼 사이즈나, 재송(再送) 회수 등이 변화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그때마다 하위층 관리부(22)에 통지하여, 관리 데이터베이스 내의 변화한 항목에 기입하도록 해도 좋다.
수신 버퍼 사이즈란, 상대에게서 보내오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단말에 모아 두는 용량을 결정하는 파라미터로서, 데이터 송신측은 이 수신 버퍼가 꽉 차게 되는 분량의 데이터를 계속해서 송신하고, 데이터 수신측은 이 수신 버퍼가 꽉 차면 수신 종료를 송신 측에 알린다. 이러한 수신 버퍼 사이즈로서는,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송신측과 수신측 간의 교환이 너무 많아지지않고, 데이터의 일부를 수신하지 못한 때의 손실이 너무 커지지 않는, 최적한 값이 선택된다.
또, 재송 회수란, 수신측이 도중에서 분실되어 수신하지 못한 패킷의 번호를 송신 측에 전하여, 송신측이 그 번호의 패킷을 다시 보낼 경우에, 송신측에서 동일 데이터를 몇 회 재송했는지를 카운트 한 값이다.
이러한 정보는, 하위층 관리부(22)의 관리 데이터베이스 내에 있으며, 도 6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네트워크 배송 제어 정보로서 분류되고 있다. 또, 디바이스 제어부(21)를 이용한 무선 환경의 변화와 네트워크 배송 제어부(20)를 이용한 네트워크 환경의 변화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병행하여 검지 및 관리되고 있다.
하위층 관리부(22)는,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새롭게 통지된 값이 기입되었는지 아닌지를 상시 감시하고 있다. 그리고,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기입이 있었을 경우는 그때마다, 기입이 나타내는 변화를, 애플리케이션의 접속 제어부(12)에게로 통지한다(ST1400). 여기서 통지되는 정보는, 관리 데이터베이스 내에 복수 항목이 있는 경우, 변화한 항목에 대한 정보만으로 한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 (무선 환경 변화 검지에서 데이터베이스 관리와, 네트워크 환경 변화 검지에서 데이터베이스 관리) 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부에 있어서 동시 병행하여 실시된다.
접속 제어부(12)는, 통지된 정보를 기초로,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한다. 여기서, 무선 환경이나 네트워크 환경의 각 항목이 어느 정도 변화한 경우에 애플리케이션 제어를 변경해야되는지 하는 것은,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나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다르기때문에, 하위층 관리부(22)에서는, 각 항목이 변화하면 자동적으로 관리 데이터베이스에의 기입과 접속 제어부(12)에의 통지를 실시하는 것으로 하여, 그 변화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제어를 변경해야할 것인지 아닌지는, 애플리케이션측, 즉 접속 제어부(12)에서 판단한다(ST1500).
애플리케이션 제어의 변경은, 구체적으로는, 네트워크 판단부(121), 전파 강도 판단부(122), 사용자 지정 판단부(123), 및 변조 방식 판단부(124)를 이용하여, 각 항목의 변화가 판단되고, 제어 동작 결정부(125)에 의해, 네트워크 제어부(13), 시그널링 제어부(14), 전송 데이터 제어부(15)에 전달하는 서비스 정의 정보 등이 변경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때, 제어 동작 결정부(125)로부터 각 제어부(13~15)에는, 예를 들면 도 6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포맷 정보가 통지된다.
즉, 예를 들면, 접속 제어부(12)가, 하위층 관리부(22)로부터, 무선 전파 강도가 레벨 2에서 레벨 5로 변화한(통신 상태가 좋아진) 것이 통지된 경우, 전파 강도 판단부(122)에 의해 전파 강도가 변화했다고 판단되고, 이 판단 결과로부터, 제어 동작 결정부(125)에 의해, 현재 진행 중인 영상 및 음성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의 화질이나 음질을 올리는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그리고, 이 변경에 관여하는 전송 데이터 제어부(15)에, 도 6 B의 전송 데이터 제어에 관한 정보가 통지된다 (이 정보에서는, 영상 및 음성 부호화 파라미터가 보다 양호한 영상 및 음성을 얻을 수 있는 값으로 되어 있다). 도 6 B에 있어서, 영상 및 음성 부호화 파라미터란, 부호화 처리와 복호화 처리에 이용되는 파라미터이며, 송수신 포맷이란, 네트워크로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 정보이다.
여기서, 제어 동작 결정부(125)는, 예를 들면, 무선의 전파 강도의 레벨값이 2이상 변화한 경우에, 화질이나 음질을 변경하는 제어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도록 해도 좋다. 이러한 변경 폴리시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정해져도 좋고, 통신 단말장치(10)가 미리 내장하고 있어도 좋고, 사용자가 사용자 설정부(11)를 경유하여 설정해도 좋다. 이 예의 변경 폴리시를 따르면, 제어 동작 결정부(125)는, 무선의 전파 강도가 레벨 2에서 레벨 3으로 변화한 것을 전파 강도 판단부(122)로부터 통지되더라도,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를 변경하지 않게 된다.
상기의 영상 및 음성 부호화 파라미터와 송수신 포맷을 통지받은 전송 데이터 제어부(15)는, 이 새로운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전송 데이터부(18)의 제어를 개시한다(ST1600).
또, 예를 들면, 접속 제어부(12)가, 하위층 관리부(22)로부터, 통신 단말장치(10)가 이동하여 네트워크의 프레픽스가 ID3에서 ID4로 변화한 것을 통지받은 경우, 네트워크 판단부(121)에 의해 네트워크가 변화했다고 판단되고, 이 판단 결과로부터, 제어 동작 결정부(125)에 의해, 현재의 데이터 통신으로부터의 변경이 필요한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즉, 예를 들면, 프레픽스의 값이, 이동전의 네트워크보다 대역이 좁은 네트워크로 이동했음을 의미하고 있는 경우, 제어 동작 결정부(125)는, 예약하는 대역폭을 변경하는 일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 제어 동작 결정부(125)는, 프레픽스의 값에 대응하는 네트워크의 대역 넓이를 미리 기억하고 있으면 좋다. 또, 대역이 어느 정도 변화한 경우에 대역 예약을 변경해야 하는지에 관한 변경 폴리시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정해져도 좋고, 통신 단말장치(10)가 미리 내장하고 있어도 좋고, 사용자가 사용자 설정부(11)를 경유하여 설정해도 좋다.
그리고, 제어 동작 결정부(125)는,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이 변경에 관여하는 네트워크 제어부(13)에, 도 6 B의 네트워크 제어에 관한 정보가 통지된다 (이 정보에서는, 대역폭이 보다 좁은 것으로 되어 있다). 도 6 B에 있어서, 인증 ID란, 네트워크를 이동할 때에 필요한 인증 번호이며, 대역폭이란 데이터 전송을 최적하게 하는 대역폭을 말한다.
이러한 인증 ID와 대역폭을 통지받은 네트워크 제어부(13)는, 이 새로운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대역폭 설정을 새로운 값으로 변경하도록, NW정보 관리부(16)를 제어하여, 네트워크에 대한 대역 예약 변경을 실시한다.
또한, 예를 들면, 접속 제어부(12)가, 하위층 관리부(22)로부터, 무선 링크 상태가 UP에서 DOWN으로 변화한 것을 통지받은 경우, 사용자 지정 판단부(123)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지정된 변화가 일어났다고 판단되고, 이 판단 결과로부터, 제어 동작 결정부(125)에 의해, 현재의 데이터 통신으로부터의 변경이 필요한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즉, 예를 들면, 영상 및 음성 커뮤니케이션을 계속하는데 있어서, 무선 링크가 절단 될 때마다 상위 세션층의 호가 개방되고, 무선 링크가 접속될 때마다 재차 호를 설정하는 것이 곤란할 경우에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무선 링크가 UP에서 DOWN으로 변화한 뒤 소정 시간은 세션층의 호를 유지하도록 제어를 변경한다. 이 경우, 무선 링크 절단 후 어느 정도 세션을 유지하는지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정해져도 좋고, 통신 단말장치(10)가 미리 내장하고 있어도 좋고, 사용자가 사용자 설정부(11)를 경유하여 설정해도 좋다.
그리고, 제어 동작 결정부(125)는,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이 변경에 관여하는 시그널링 제어부(14)에, 도 6 B의 시그널링 제어에 관한 정보가 통지된다. 이로써, 시그널링 제어부(14)는, 지정된 세션을 소정 시간 유지하도록, 시그널링부 (17)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 동작 결정부(125)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변경의 종류에 따라서는, 복수의 제어부에 대해 통지하는 일도 있다. 예를 들면, 화질이나 음질을 변경하기 위해, 통신 상대와 영상 및 음성의 종류나 이용 파라미터를 정하는 정보를 교환할 필요가 있을 경우는, 제어 동작 결정부(125)는, 시그널링 제어부(14)에 대해, 접속처의 IP주소, 포트 번호, 및 세션 ID와 함께, 보디 정보로서 새로운 영상 및 음성의 종류나 이용 파라미터를 통지함으로써, 시그널링부(17)를 경유하여 상대와의 메시지를 교환하도록 시킨다. 또, 제어 동작 결정부(125)는, 전송 데이터 제어부(15)에 대해, 이 메시지 교환으로 정해진 새로운 부호화 파라미터와 송수신 포맷을 통지한다.
이상과 같이, 통신 단말장치(10)가,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하고 있을 때에, 무선 환경의 변화나 네트워크 환경의 변화를 감지하면 바로 애플리케이션에게 전달함에 의해, 애플리케이션 측에서 종래에는 알 수 없었던 하위층 정보를 직접 알 수 있게 되어, 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니즈에 맞춘 여러가지 심리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가 있다.
이하에는, 협(狹)대역에서의 동화상 통신에 적합한 MPEG-4 부호화 방식 가운데, 대역 변동에의 적응력이 뛰어난 FGS(Fine Granularity Scalability)라 불리는 방식을 이용한 애플리케이션으로 영상 커뮤니케이션을 할 경우의 본 실시형태와 관계되는 통신 단말장치(10)의 구체적인 사용예(1)~(8)를 설명한다.
MPEG-4의 FGS는, ISO/IEC 14496-2 Amendment 4 Streaming Video Profile에 규정되어 있으며, 무단계 전송 대역에 맞추어, 매끄러운 영상 품질 적응이 가능하다. FGS 동화상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본 레이어(Base Layer)와 확장 레이어(Enhancement Layer)로 구성되며, 기본 레이어(레이어 0, 4)는 통상 MPEG-4 부호화에 의해 생성되어 최저한의 화질을 제공한다. 확장 레이어(레이어 1-3, 5-7)는, 원화상과 기본 레이어로부터의 복원 화상과의 차분에 대해, 이산 코사인 변환, 비트 플레인 변환, 및 비트 플레인 가변 길이 부호화를 가함으로써 얻어지며, 기본 레이어와 함께 복호화 함으로써, 보다 고품질의 동화상이 제공된다.
확장 레이어 중 일부(레이어 1, 5등)만을 이용하더라도, 이용한 분량 만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기때문에, 전송 대역에 따라, 기본 레이어와 함께 적당한 양의 확장 레이어 데이터를 송신 혹은 수신하면, 이용 가능한 대역 범위 내에서 고품질의 동화상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또, 도 7에서, 레이어0-3는, 프레임 내의 정보만으로 부호화 된 IVOP(Intra Video Object Plane)이고, 레이어 4-7은, 다른 프레임의 정보도 이용하여 예측 부호화 된 PVOP(Predicted Video Object Plane)이다.
이 FGS 화상은, 각 레이어로 나누어 부호화하여 송신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각 레이어를 수신측 단말 내부에서 자유롭게 선택하여 재생(복호화)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통신 단말장치(10)는, 통신 상황에 맞추어, 어느 레이어를 부호화(송신) 하는지, 어느 레이어를 수신(복호화)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아래와 같은 구체적인 예에서는, FGS 동화상 스트림은, 8개 레이어로 나누어 따로 따로 멀티캐스트 전송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수신측은, 자(自)단말이 원하는 레이어만을 선택적으로 수신하여, 복호화 할 수 있다.
(1) 우선, 수신측의 통신 단말장치(10)에서, 전파 강도의 변화가 검출된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또, 통신 단말장치(10)는, 처음에는, 풀 퀄리티로서 레이어 0에서 7까지의 모든 영상 스트림을 수신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레이어 (0), (4)는 움직임 우선(優先)의 부분 스트림, 레이어 (1)-(3)은 화질 우선의 부분 스트림, 레이어 (5)-(7)은 대상이 움직임 우선의 레이어이고 목적이 화질 향상의 보완 스트림이다.
사용자가 통신 단말장치(10)를 가지고 이동 중에, 최대를 레벨 5로 하고, 최소를 레벨 1로 하는 무선의 전파 강도가, 레벨 5에서 레벨 3으로 저하했을 때, 디바이스 제어부(21)는, 하위층 관리부(22)의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전파 강도로서 변화한 현재의 레벨 3을 기입한다. 하위층 관리부(22)는, 관리 데이터베이스 내의 전파 강도가 레벨 5에서 레벨 3으로 변화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접속 제어부(12)에, 「전파 강도 레벨 3」을 통지한다.
접속 제어부(12)에 「전파 강도 레벨 3」이 통지되면, 전파 강도 판단부(122)에 의해 전파 강도가 변화했음이 검지되고, 제어 동작 결정부(125)는, 통지된 「전파 강도 레벨 3」을 기초로, 전송 데이터 제어부(15)의 변경이 필요한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이 예에서는, 변경이 필요한 포인트로서 레벨 4이상에서 레벨 3 이하로 떨어진 경우와, 레벨 3 이하에서 레벨 4이상으로 오른 경우만 필요로 한다. 이 포인트는, 사용자 설정부(11)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며, 한가지로 고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전파 강도가 레벨 5에서 레벨 3으로 떨어짐으로써, 제어 동작 결정부(125)는, 화질을 떨어뜨리고, 화상의 움직임을 부드러움을 우선하는 듯한 영상 수신으로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이 예에서는, 수신하는 부분 스트림을, 레이어 0, 4 및 레이어 1-3으로 하고, 레이어 5-7은 수신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이 수신하는 부분 스트림은, 사용자 설정부(11)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며, 한가지로 고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어 동작 결정부(125)는, 전송 데이터 제어부(15)에 대한 통지 정보 포맷 가운데, 영상 및 음성 부호화 파라미터 값을 「레이어 0-4」로 하여 통지한다. 통지를 받은 전송 데이터 제어부(15)는, 「레이어 0-4」를 기초로, 복호화 제어를, 풀 퀄리티인 레이어 0-7까지 수신하고 있던 것에서, 레이어 5-7 수신을 정지한 것으로 변경하도록, 전송 데이터부(18)에게 전하고, 레이어 0-4의 수신 및 재생을 개시시킨다.
상기의 예에서는, 전파 강도가 레벨 5에서 레벨 3으로 저하한 때의 동작에 착목했지만, 반대로 레벨 3에서 레벨 5로 전파 강도가 상승한 경우는, 상기와는 반대의 선택, 즉 레이어 0-4만을 수신하고 있던 것에서 풀 퀄리티인 레이어 0-7까지 수신하도록 변경된다.
또한, 전송 데이터 제어부(15)의 변경을, 보다 세세하게 실시하는 일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전파 강도가 레벨 4로 떨어지면, 8개 레이어 중 레이어 7을 수신하지 않는 것으로 하고, 전파 강도가 레벨 3으로 떨어지면, 레이어 5-7을 수신하지 않는 것으로 하고, 전파 강도가 레벨 2로 떨어지면 레이어 0, 4및 레이어 1-2만을 수신하는 것으로 하고, 전파 강도가 레벨 1로 떨어지면 레이어 0, 4만을 수신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수신하는 전파 강도는, 하나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나 하나의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전파의 예를 설명했지만, 소프트웨어 무선이나 다이버시티 제어에 의한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 무선 액세스 포인트나 무선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전파를 대상으로 전파 강도의 변화를 검출해도 좋다.
상기에서는, 수신측 통신 단말장치에서 전파 강도의 변화를 검출한 경우에, 송신되는 영상 스트림 중 자(自)단말이 수신하는 레이어를 변경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마찬가지로, 송신측 통신 단말장치에서 전파 강도의 변화를 검출한 경우에, 그 단말이 부호화하여 송신하는 영상 스트림에 포함시키는 레이어를 변경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무선 환경의 하나인 전파 강도의 변화를 직접 애플리케이션에게 전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접속 제어부(12)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그때그때의 무선 환경에 적합한 영상이나 음성의 파라미터를 재설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요망을 만족시키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다.
(2) 이어서, 수신측의 통신 단말장치에서, 무선 링크의 접속/절단 상태의 변화를 검출한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사용자가 통신 단말장치(10)를 가지고 이동 중에, 무선 링크가 UP 상태에서 DOWN 상태로 변화한 때, 디바이스 제어부(21)는, 하위층 관리부(22)의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무선 링크로서 변화한 현재의 DOWN 플래그 「0」(플래그로서 UP이 1, DOWN이 0이라고 함)를 기입한다. 하위층 관리부(22)는, 관리 데이터베이스 내의 무선 링크가 「1」에서「0」으로 변화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접속 제어부(12)에, 「무선 링크 플래그 0」를 통지한다.
무선 링크가 끊어지면,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게되므로, 종래는 영상 통신의 세션이 끊어져 종료되어버리지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미리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어 있던 것처럼, 사용자 지정 판단부(123)에 의해 무선 링크가 끊어진 것이 검지되고, 제어 동작 결정부(125)는, 통지된 「무선 링크 플래그 0」를 기초로, 세션을 종료하지않고 일정시간 세션을 유지할 필요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한다. 이 예에서는, 유지가 필요한 포인트로서 반드시 일정시간(예를 들면 5초간) 유지하는 것으로 한다. 이 포인트 및 유지 시간은, 사용자 설정부(11)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며, 한가지로 고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세션의 유지가 필요하고 판단한 제어 동작 결정부(125)는, 「무선 링크 플래그 1」가 통지될 때까지 대기한다. 세션의 유지 시간 내에 사용자 지정 판단부(123)로부터 「무선 링크 플래그 1」이 통지되면, 그대로 세션을 계속시킨다. 한편, 유지 시간을 경과하여도 「무선 링크 플래그 1」이 통지되지 않으면, 영상 통신 세션을 종료한다.
상기에서는, 수신측 통신 단말장치에서 무선 링크 상태의 변화를 검출한 경우에, 영상 스트림용 세션을 필요에 따라 소정시간 유지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마찬가지로, 송신측 통신 단말장치에서 무선 링크 상태의 변화를 검출한 경우에, 필요에 따라서 소정 시간 세션이 끊어지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 환경의 하나인 링크 단절을 직접 애플리케이션에게 전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접속 제어부(12)가,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세션을 유지함으로써, 종래에서는 무선 링크가 절단되면 세션도 절단되어 종료되었던 서비스를 유연하게 계속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다.
(3) 이어서, 수신측 통신 단말장치에서, 무선 변조 방식 변화를 검출한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변조 방식의 하나인 CCK(Complementary Code Keying)를 플래그 1로 나타내고, 무선 기지국의 변조 방식의 하나인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를 플래그 2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사용자가 통신 단말장치(10)를 가지고 이동 중에, 도 7에 있어서의 레이어 0-7의 모든 영상 스트림을 수신하고 있는 상태에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무선 기지국으로의 통화채널전환이 일어났다고 한다. 디바이스 제어부(21)는, 무선 변조 방식이 CCK에서 QPSK로 변화한 것을 검출했을 때, 하위층 관리부(22)의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변조 방식으로서 변화한 현재의 QPSK 플래그 「2」를 기입한다. 하위층 관리부(22)는, 관리 데이터베이스 내의 변조 방식이 「1」에서 「2」로 변화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접속 제어부(12)에, 「변조 방식 플래그 2」를 통지한다.
접속 제어부(12)에 「변조 방식 플래그 2」가 통지되면, 변조 방식 판단부(124)에 의해 변조 방식이 변화했음이 검지되고, 제어 동작 결정부(125)는, 통지된 「변조 방식 플래그 2」를 기초로, 전송 데이터 제어부(15)의 변경이 필요한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이 예에서는, 변경이 필요한 포인트로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나타내는 플래그에서 무선 기지국을 나타내는 플래그로 변화한 경우만 필요로 한다. 즉,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다른 변조 방식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 이동한 때나,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다른 변조 방식의 무선 기지국으로 이동한 때는, 변경은 불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한다. 이 포인트는, 사용자 설정부(11)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며, 한가지로 고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전파 쪽이, 무선 기지국으로부터의 전파보다 폭넓은 대역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변조 방식이 플래그 1에서 플래그 2로 떨어진 것에 의해, 제어 동작 결정부(125)는, 화질을 떨어뜨리고, 움직임이 우선되는 듯한 영상 수신으로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이 예에서는, 레이어 5-7의 수신을 정지하고, 레이어 0-4만을 수신하는 것으로 한다. 어느 레이어를 수신할지는, 사용자 설정부(11)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며, 한가지로 고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어 동작 결정부(125)는, 전송 데이터 제어부(15)에 대한 통지 정보 포맷 가운데, 영상 및 음성 부호화 파라미터 값을 「레이어 0-4」로 하여 통지한다. 통지를 받은 전송 데이터 제어부(15)는, 통지된 정보에 따라 전송 데이터부(18)를 제어한다.
상기의 예에서는, 변조 방식이 플래그 1에서 플래그 2로 변화한 때의 동작에 착목했지만, 플래그 2에서 플래그 1로 변조 방식이 변화한 경우는, 상기와는 반대의 선택, 즉 레이어 0-4만을 수신하고있던 것에서 풀 퀄리티인 레이어 0-7까지를 수신하도록 변경된다.
상기에서는, 수신측 통신 단말장치에서 무선 변조 방식의 변화를 검출한 경우에, 송신되는 영상 스트림 중 자(自)단말이 수신하는 레이어를 변경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마찬가지로, 송신측 통신 단말장치에서 변조 방식의 변화를 검출한 경우에, 그 단말이 부호화하여 송신하는 영상 스트림에 포함시키는 레이어를 변경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무선 환경의 하나인 변조 방식의 변화를 직접 애플리케이션에게 전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접속 제어부(12)가,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그때그때의 무선 환경에 적합한 영상이나 음성의 파라미터를 재설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요망을 만족시키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구축이 가능해진다.
(4) 이어서, 수신측 통신 단말장치에서,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혼잡 상황 변화를 검출한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사용자가 통신 단말장치(10)를 어떤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여 레이어 0-7의 전부의 영상 스트림을 수신하는 커뮤니케이션을 실시하고 있는 사이에, 다른 사용자의 이용으로 그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이용 인원수가 증가하여, 보다 적은 대역 밖에 확보할 수 없게 되었다고 한다.
디바이스 제어부(21)는, 최대를 레벨 5로 하고 최소를 레벨 1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혼잡 상황(이용 인원수가 많고 적음의 정도)이 레벨 1에서 레벨 3으로 변화한 것을 검출한 때에, 하위층 관리부(22)의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혼잡 상황으로서 변화한 현재의 레벨 3을 기입한다. 하위층 관리부(22)는, 관리 데이터베이스 내의 혼잡 상황이 레벨 1로부터 레벨 3으로 변화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접속 제어부(12)에, 「혼잡 상황 레벨 3」을 통지한다.
접속 제어부(12)에 「혼잡 상황 레벨 3」이 통지되면, 네트워크 판단부(121)에 의해 혼잡 상황이 변화했음이 검지되고, 제어 동작 결정부(125)는, 통지된 「혼잡 상황 레벨 3」을 기초로, 전송 데이터 제어부(15)의 변경이 필요한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필요하다면, 새로운 영상 및 음성 부호화 파라미터 값을 전송 데이터 제어부(15)에 통지한다. 이 예에서는, 변경이 필요한 포인트 및 그 포인트에서의 변경 방법으로서, 혼잡 상황이 레벨 3까지 떨어지면 영상 스트림의 레이어 5-7을 수신하지 않는 것으로 하고, 혼잡 상황이 레벨 5까지 떨어지면 레이어 0, 4만을 수신하는 것으로 하고, 반대로 혼잡 상황이 레벨 4까지 올라가면 레이어 0-4를 수신하는 것으로 하고, 혼잡 상황이 레벨 2까지 올라가면 풀 퀄리티(레이어 0-7)를 수신하는 것으로 한다. 이 포인트 및 수신하는 레이어는, 사용자 설정부(11)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며, 한가지로 고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예에서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혼잡 상황을 채택했지만, 무선 기지국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혼잡 상황에 따른 제어 변경이 가능하다. 또, 상기는, 동일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중에 혼잡 상황이 변화한 예이지만, 사용자가 이동함으로 인해 접속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바뀌어 혼잡 상황이 변화한 경우에도, 동일하게 제어를 변경할 수 있다.
또, 상기에서는, 수신측 통신 단말장치에서 무선의 혼잡 상황의 변화를 검출한 경우에, 자(自)단말이 수신하는 영상 스트림의 레이어를 변경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마찬가지로 송신측 통신 단말장치에서 혼잡 상황의 변화를 검출한 경우에, 그 단말이 부호화하여 송신하는 영상 스트림의 레이어를 변경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무선 환경의 하나인 혼잡 상황의 변화를 직접 애플리케이션에 전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접속 제어부(12)가,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그때그때의 무선 환경에 적합한 영상이나 음성의 파라미터를 재설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요망을 만족시키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구축이 가능해진다.
(5) 이어서, 수신측 통신 단말장치에서, 네트워크 프레픽스의 변화를 검출한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통신 단말장치(10)가 레이어 0-7의 모든 영상 스트림을 수신하고 있는 상태에서, IP주소가 aaa.bbb.xx.xx로 표시되는 네트워크로부터 aaa.ccc.xx.xx로 표시되는 네트워크로 이동했다고 한다. 또, aaa.ccc.xx.xx 네트워크는 aaa.bbb.xx.xx 네트워크보다 전송 대역이 낮은 것으로 하고, 이 전송 대역의 차이가, 제어 변경을 필요로 하는 정도 라는 정보를, 통신 단말장치(10)가 미리 기억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통신 단말장치(10)가 접속하는 네트워크는, 그 네트워크의 프레픽스를, 송수신되는 데이터 내의 네트워크 배송 제어부(20)가 참조하는 영역에 기입한다. 네트워크 배송 제어부(20)는, 이 데이터 영역을 참조하여, 상기 네트워크 프레픽스의 변화가 일어난 것을 검출한 때, 하위층 관리부(22)의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프레픽스로서 변화한 현재의 네트워크 aaa.ccc.xx.xx를 기입한다. 하위층 관리부(22)는, 관리 데이터베이스 내의 프레픽스가 aaa.bbb.xx.xx로부터 aaa.ccc.xx.xx로 변화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접속 제어부(12)에, 「네트워크 aaa.ccc.xx.xx」를 통지한다.
접속 제어부(12)에 「네트워크 aaa.ccc.xx.xx」가 통지되면, 네트워크 판단부(121)에 의해 네트워크가 변경된 것이 검지되고, 제어 동작 결정부(125)는, 통지된 「네트워크 aaa.ccc.xx.xx」를 기초로, 전송 데이터 제어부(15)의 변경이 필요한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변경이 필요한 포인트 및 그 포인트에서의 변경 방법은, 사용자 설정부(11)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며, 한가지로 고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프레픽스가 aaa.bbb.xx.xx로부터, aaa.ccc.xx.xx로 변화함으로써, 제어 동작 결정부(125)는, 화질을 떨어뜨리고 움직임이 우선되는 듯한 영상 수신으로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전송 데이터 제어부(15)에 대해서, 영상 및 음성 부호화 파라미터 값을 「레이어 0-4」로서 통지하고, 레이어 5-7의 수신을 정지시키고, 수신되는 레이어 0-4에 기초하는 재생을 개시한다.
상기의 예에서는, 프레픽스가 네트워크 aaa.bbb.xx.xx로부터 aaa.ccc.xx.xx로 변화하는 것에 착목 했지만, 네트워크 aaa.ccc.xx.xx로부터 aaa.bbb.xx.xx로 프레픽스가 변화한 경우는, 상기와는 반대의 선택을 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수신측 통신 단말장치에서 프레픽스의 변화(수신측 도메인의 변화)를 검출한 경우에, 자(自)단말이 수신하는 영상 스트림의 레이어를 변경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마찬가지로, 송신측의 통신 단말장치에서 프레픽스의 변화(송신측 도메인의 변화)를 검출한 경우에, 그 단말이 부호화하여 송신하는 영상 스트림의 레이어를 변경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 환경의 하나인 프레픽스의 변화를 직접 애플리케이션에 전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접속 제어부(12)가,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그때그때의 네트워크 환경에 적합한 영상이나 음성 파라미터를 재설정함으로써, 심리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구축이 가능해진다.
(6) 이어서, 수신측 통신 단말장치에서, 네트워크 프레픽스의 변화를 검출한 경우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상기와 동일하게 프레픽스의 변화가 일어난 것으로 하고, 이동 전의 aaa.ddd.xx.xx의 대역을 50 Mbps, aaa.eee.xx.xx의 대역을 100 Mbps라 한다. 이들 네트워크의 대역 정보는, 통신 단말장치(10)가 미리 기억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네트워크 배송 제어부(20)가, 하위층 관리부(22)의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프레픽스의 변화를 기입하고, 하위층 관리부(22)가, 애플리케이션의 접속 제어부(12)에 「네트워크 aaa.eee.xx.xx」를 통지하는 것은, 상기(5)의 예와 동일하다.
접속 제어부(12)에 「네트워크 aaa.eee.xx.xx」가 통지되면, 네트워크 판단부(121)에 의해 네트워크가 변경되었음이 검지되고, 제어 동작 결정부(125)는, 통지된 「네트워크 aaa.eee.xx.xx」를 기초로, 현재의 영상 송수신에 필요한 대역 예약(70 Mbps라 함)으로부터, 네트워크 제어부(13)의 변경이 필요한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이 예에서는, 변경이 필요한 포인트 및 그 포인트에서의 변경 방법으로서 aaa.ddd.xx.xx(대역 50 Mbps)로부터, aaa.eee.xx.xx(대역 100 Mbps)로 변화한 경우에, 대역 예약을 70 Mbps에서 120 Mbps로 변경하는 일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이 포인트 및 예약하는 대역의 결정 방법은, 사용자 설정부(11)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며, 한가지로 고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대역 예약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제어 동작 결정부(125)는, 네트워크 제어부(13)에 대한 통지 정보 포맷(도 6 B참조) 가운데, 대역폭으로 「120 Mbps」를 설정하고, 인증 ID로 대역 예약을 하기위해 필요한 「자(自)단말의 ID」를 설정하여 통지한다. 통지를 받은 네트워크 제어부(13)는, 「120 Mbps」 와 「자(自)단말의 ID」를 기초로, 대역 예약을 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NW정보 관리부(16)에 대역 예약을 실시하는 취지를 전하고, 120 Mbps에서의 대역을 확보한다.
상기의 예에서는, 프레픽스가 네트워크 aaa.ddd.xx.xx로부터 aaa.eee.xx.xx로 변화하는 것에 착목했지만, 네트워크 aaa.eee.xx.xx로부터 aaa.ddd.xx.xx로 프레픽스가 변화한 경우는, 상기와는 반대의 대역 설정을 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수신측의 통신 단말장치에서 프레픽스의 변화를 검출한 경우에, 수신측 도메인에 맞추어 대역 예약을 변경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마찬가지로 송신측의 통신 단말장치에서 프레픽스의 변화를 검출한 경우에, 송신측 도메인에 맞추어 대역 예약을 변경하는 일도 가능하다. 또, 엔드 투 엔드(end-to-end)에서의 대역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한 애플리케이션의 경우는, 송신측과 수신측 간에서 메시지를 교환하고, 그 결과 결정되는 대역을 예약하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각 네트워크의 대역의 대소(大小)에 대역 예약 값을 맞추고 있지만, 각 네트워크의 과금 정보 등에 따라 대역 예약 값을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예를 들면 통신 단말장치(10)가 요금이 비싼 네트워크로 옮긴 것을 감지하면, 대역 예약을 낮게하여 과금을 억제한다. 이러한 대역 예약의 폴리시는,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 환경의 하나인 프레픽스의 변화를 직접 애플리케이션에 전하고, 애플리케이션의 접속 제어부(12)가,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영상 통신에서 필요한 대역을 그때그때의 네트워크 환경에 맞도록 재설정함으로써, 이용 네트워크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구축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5), (6)의 예에서는, IPv4인 경우의 IP주소를 이용하고 있지만, IPv6 네트워크이더라도, 동일하게 네트워크 프레픽스의 변화를 검출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를 변경할 수가 있다.
(7) 이어서, 수신측의 통신 단말장치에서, 수신 버퍼 사이즈의 변화를 검출한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통신 단말장치(10)가 레이어 0-7 전부의 영상 스트림을 수신하고 있는 상태에서, 자(自)단말과 상대 단말의 적어도 한편이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한 것으로 인해, 수신 버퍼 사이즈가 현재의 1024 KB에서 512 KB로 변화했다고 한다. 수신 버퍼 사이즈의 값이 클수록, 영상 데이터를 보다 많이 한번에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배송 제어부(20)는, 수신 버퍼 사이즈를 감시하고 있으며, 변화가 일어나면, 하위층 관리부(22)의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수신 버퍼 사이즈로서 변화한 현재의 512 KB를 기입한다. 하위층 관리부(22)는, 관리 데이터베이스 내의 수신 버퍼 사이즈가 1024 KB에서 512 KB로 변화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접속 제어부(12)에, 「수신 버퍼 사이즈 512 KB」를 통지한다. 접속 제어부(12)에 「수신 버퍼 사이즈 512 KB」가 통지되면, 네트워크 판단부(121)에 의해 수신 버퍼 사이즈가 변경이 되었음이 검지되고, 제어 동작 결정부(125)는, 통지된 「수신 버퍼 사이즈 512 KB」를 기초로, 전송 데이터 제어부(15)의 변경이 필요한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이 예에서는, 변경이 필요한 포인트 및 그 포인트에서의 변경 방법으로서 수신 버퍼 사이즈가 700 KB이하로 감소한 경우에, 레이어 5-7의 수신을 정지함으로써, 화질을 떨어뜨리고 움직임을 우선하는 영상 수신으로 변경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이 포인트 및 수신하는 레이어의 선택은, 사용자 설정부(11)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며, 한가지로 고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어 동작 결정부(125)는, 수신 버퍼 사이즈가 1024 KB에서 512 KB(700 KB이하)로 변화했으므로, 전송 데이터 제어부(15)에 대해서, 영상 및 음성 부호화 파라미터의 값을 「레이어 0-4」로서 통지하고, 전송 데이터부(18)가 레이어 0-4까지를 수신하여 재생을 개시하도록 한다.
상기의 예에서는, 수신 버퍼 사이즈가 1024 KB에서 512 KB로 변화하는 것에 착목했지만, 512 KB에서 1024 KB로 수신 버퍼 사이즈가 변화한 경우는, 상기와는 반대의 선택을 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수신측 통신 단말장치가 수신 버퍼 사이즈의 변화를 검출한 경우에, 자(自)단말이 수신하는 영상 스트림의 레이어를 변경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마찬가지로, 송신측 통신 단말장치에서 수신 버퍼 사이즈의 변화를 검출한 경우에, 그 단말이 부호화하여 송신하는 영상 스트림의 레이어를 변경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 환경의 하나인 수신 버퍼 사이즈의 변화를 직접 애플리케이션에 전하고, 애플리케이션의 접속 제어부(12)가,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그때그때의 네트워크 환경에 맞도록 영상이나 음성의 파라미터를 재설정함으로써, 심리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구축이 가능해진다.
(8) 마지막으로, 송신측 통신 단말장치에서, 재송 회수의 변화를 검출한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사용자가 통신 단말장치(10)를 가지고 이동중, 레이어 0-7 전부의 영상 스트림을 수신하고 있는 상태에서, 재송 회수가 현재의 0회부터 3회로 변화한 것으로 한다. 재송 회수의 값이 클수록, 영상 데이터가 상대에게 정확하게 도착하지 않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영상 재생시의 지연 원인이 된다.
네트워크 배송 제어부(20)는, 재송 회수의 변화를 검출하면, 하위층 관리부(22)의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재송 회수로서 변화한 현재의 3을 기입한다. 하위층 관리부(22)는, 관리 데이터베이스 내의 재송 회수가 0에서 3으로 변화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접속 제어부 12에, 「재송 회수 3」을 통지한다.
접속 제어부(12)에 「재송 회수 3」이 통지되면, 네트워크 판단부(121)에 의해 재송 회수가 변경된 일이 검지되고, 제어 동작 결정부(125)는, 통지된 「재송 회수 3」을 기초로, 전송 데이터 제어부(15)의 변경이 필요한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이 예에서는, 변경이 필요한 포인트 및 그 포인트에서의 변경 방법으로서 재송 회수가 3이상으로 증가한 경우에, 레이어 5-7의 부호화를 정지함으로써, 화질을 떨어뜨려 움직임을 우선하는 영상 송신으로 변경하는 일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이 포인트 및 송신하는 레이어의 선택은, 사용자 설정부(11)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며, 한가지로 고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어 동작 결정부(125)는, 재송 회수가 0에서 3으로 변화했으므로, 송신하는 레이어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전송 데이터 제어부(15)에 대한 통지 데이터 포맷(도 6 B참조) 가운데, 영상 및 음성 부호화 파라미터 값을 「레이어 0-4」로서 통지한다. 통지를 받은 전송 데이터 제어부(15)는, 「레이어 0-4」를 기초로, 부호화 제어를, 풀 퀄리티인 레이어 0-7까지 송신하고 있던 것에서, 레이어 5-7의 송신을 정지하도록, 전송 데이터부(18)에 전하고, 레이어 0-4의 부호화ㅇ송신을 개시시킨다.
또한, 통신 단말장치(10)가 복수의 상대 단말을 향하여 영상 스트림을 송신하고 있는 경우는, 재송 회수가 상대 단말에 따라서 다를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가장 재송 회수가 적은 상대 단말에 맞추어, 예를 들면 레이어 0-7의 전부를 부호화 해 두고, 재송 회수가 많은 데이터량을 줄여야만 하는 상대 단말에 향해서는, 부호화 한 레이어 중에서 일부 레이어를 선택하여 송신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의 예에서는, 재송 회수가 0에서 3으로 변화하는 것에 착목했지만, 3에서 0으로 변화한 경우는, 부호화 혹은 송신하는 레이어를 상기와는 반대로 변경하게 된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 환경의 하나인 재송 회수의 변화를 직접 애플리케이션에 전하고, 애플리케이션의 접속 제어부(12)가,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그때그때의 네트워크 환경에 맞도록 영상이나 음성의 파라미터를 재설정함으로써, 심리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구축이 가능해진다.
이상의(1)~(8)의 예에서는, 무선 환경이나 네트워크 환경 가운데, 1개 항목의 변화에 주목하여 제어를 변경하는 일을 설명했지만, 복수 항목의 변화에 기초하여 제어의 변경 필요성을 판단하도록 해도 좋다. 즉, 제어 동작 결정부(125)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 프레픽스의 변화가, 자(自)단말이 대역이 작은 도메인으로 이동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더라도, 수신 버퍼 사이즈가 그다지 작아지지 않는다면, 화질을 떨어뜨리는 등의 변경을 실시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하도록 해도 좋다. 또, 무선의 전파 강도가 소정 레벨 이하로 약해진 경우에도, 액세스 포인트의 혼잡 상황이 악화되지 않는다면, 화질을 떨어뜨리는 등의 변경을 실시할 필요는 없다고 판단하도록 해도 좋다. 이러한 세세한 판단 기준은, 사용자의 기호를 반영시키기 위해, 사용자 설정부(11)를 경유하여 설정,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상의(1)~(8)의 예에서는, 송신측의 부화화 및 ㅇ송신하는 데이터량의 제어와, 수신측의 수신 및 복호화 하는 데이터량의 제어를, 독립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MPEG-4의 FGS를 채택하여 설명했지만, 그 외의 영상 및 음성 부호화 방식을 이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예를 들면, 하위층에서 검출된 통신 환경의 변화에 기초하여, MPEG-4 심플 프로파일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경(부호화 파라미터의 변경 일례)하거나, MPEG-4로부터 MPEG-7으로 변경(부호화 방식의 변경 일례)하거나 할 수 있다.
그 경우, 예를 들면, 송신측에서, 네트워크의 대역이 좁아진 것을 검출하거나, 이용자의 증가로 인해 속도가 나오지 않게 된 것을 검출하거나 할 때에, 화질이나 음질을 저하시키고, 상대에게 보내는 데이터량이 적어지도록, 부호화 방식을 바꿀 수 있다.
또, 화질이나 음질을 저하시키는 등의 변경을 실시하는 대신에, 에러 내성(耐性) 제어를 보다 많이 포함한 부호화 방식으로 전환할 수도 있다. 특히, 송신측에서, 무선의 전파 강도가 약해진 것을 검출한 경우나, 재송 회수가 증가한 것을 검출한 경우에, 이러한 전환을 하면, 수신측의 단말은, 에러 내성(耐性)제어가 가해진 데이터를 기초로, 영상 및 음성을 의사(疑似) 재생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통신 상황의 변화에 따라 송신측의 부호화 방식을 변경할 경우, 송신측 통신 상황은 송신측 통신 단말장치로 검출할 수 있기때문에, 송신측 통신 단말장치 내에서 제어의 변경이 가능하지만 (단, 부호화 방식의 변경에 대해 수신측과 메시지를 교환하고 나서 변경하는 경우도 있음), 수신측의 통신 상황은 송신측 통신 단말장치로 직접 검출할 수 없다. 그래서, 자세한 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신측 통신 단말장치가, 수신측의 무선 환경이나 네트워크 환경의 변화를 검출하면, 송신측 통신 단말장치에 시그널링 메시지를 보냄으로써, 송신측의 부호화 방식을 변경한다. 이 시그널링 메시지에는, 변경 후의 부호화 방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해도 좋고(수신측 통신 상황의 변화에 기초하여 부호화 방식의 변경이 필요한지 어떤지를 수신측 통신 단말장치가 판단함), 수신측 통신 상황을 나타내는 정보를 그대로 포함시켜도 좋다(수신측 통신 상황의 변화에 기초하여 부호화 방식의 변경이 필요한지 어떤지를 송신측 통신 단말장치가 판단함).
또한, 이상의(1) ~ (8)의 예에서는, 무선 환경 및 네트워크 환경의 어느 것인가의 항목이 변화한 것을 검출할 때마다, 애플리케이션 제어를 변경할 필요가 있는지 어떤지를, 제어 동작 결정부(125)가 판단하고 있지만, 이 판단을 사용자에게 실시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예를 들면, 무선의 전파 강도가 악화된 것을 검출하면, 제어 동작 결정부(125)는, 사용자 설정부(11)를 경유하여, 각 제어부(13~15)의 제어를 변경할지 어떨지를 사용자에 문의하여(또 어떠한 변경을 더 해야할 지를 사용자에 선택시켜도 좋음),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제어를 변경한다. 또, 모든 변화에 대해서 사용자에게 문의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에게 문의해야 할 포인트를 제어 동작 결정부(125)에 설정해 두고(이 설정 자체도 사용자 설정부(11)를 경유하여 실시할 수가 있음), 이 설정된 포인트 이외의 통신 상황의 변화에 대해서는, 제어 동작 결정부(125)가 판단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제어 동작 결정부(125)가 판단하는 경우도, 그 판단 기준을 사용자 설정부(11)를 경유하여 사용자가 설정할 수도 있다. 또, 일단 설정한 판단 기준을 사용자 설정부(11)를 경유하여 변경하는 것도 용이하다.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 기동시에,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전파 강도가 레벨 5에서 레벨 3로 변화했을 때만, 영상 스트림의 풀 퀄리티(레이어 0-7) 수신으로부터 레이어 0-4의 선택 수신으로 변경하도록 (그 외의 무선 환경의 변화에 관해서는 어떤 변경도 하지 않음) 설정해 두면, 접속 제어부(12)에 하위층 관리부(22)로부터 「전파 강도 레벨 3」이 통지되었을 때, 사용자 지정 판단부(123)에 의해, 사용자가 기동시에 설정한 조건과 매치(match)하고 있는지 아닌지가 판정된다. 이 예에서는, 변경하는 경우로서 1개의 조건만 설정했지만, 복수의 조건을 동시에 설정해도 좋다.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1에서는, 접속 제어부(12)가, 하위층 관리부(22)로부터 통지된 정보를 기초로,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생성 환경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 자(自)단말 내부에서 변경을 실시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실시 형태 2에서는, 통신 상대와 네고시에이션(negotiation/교섭)을 실시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 네고시에이션은, 자(自)단말이 제안하는 변경에 대해서 상대 단말의 동의를 구하고, 동의가 얻어진 변경을 자(自)단말에 있어서 실행하기 위해서 실시되는 경우도 있고, 자(自)단말이 제안하는 변경을 상대 단말에 실행시키기 위해서 실시되는 경우도 있고, 자(自)단말의 상황을 상대 단말에게 알려서 상대 단말에게 변경을 제안시키기 위해 실시되는 경우도 있다.
본 실시형태의 통신 단말장치의 전체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관련되는 통신 단말장치(10)의 전체 구성(도 2)과 동일하기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 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접속 제어부(12)의 상세한 구성만이, 실시 형태 1과 다르다.
도 8은, 실시 형태 2와 관련되는 접속 제어부(12)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도 3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 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1과 달리, 접속 제어부(12) 내의 제어 동작 결정부(125)는, 시그널링 통지부(125 a)를 포함하고 있다.
시그널링 통지부(125 a)는, 4개의 판단부(121~124)에 의한 판단 결과, 통신 상대와의 네고시에이션이 필요하게 된 경우에, 통신 상대와의 호(呼)의 갱신을 개시하는 취지를 시그널링 제어부(14)에 통지한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통신 단말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도 9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통신 단말장치는, 접속 제어부(12)가 하위층 관리부(22)로부터 통지를 받을 때까지는, 도 5와 동일하게 동작한다. 즉, 이동중 등에 디바이스 제어부(21)가 무선 환경의 변화를 감지하면, 하위층 관리부(22)에 통지하여, 하위층 관리부(22)가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그 변화를 기입한다. 그리고,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변화가 기입될 때마다, 접속 제어부(12)에, 변화한 정보가 통지된다(ST2000). 또, 이동중 등에 네트워크 배송 제어부(20)가 네트워크 환경의 변화를 감지한 경우도, 마찬가지로 변화한 정보가 접속 제어부(12)에 통지된다(ST2000).
그리고, 4개의 판단부(121~124)에 의해, 관리 데이터베이스의 각 항목의 변화에 관한 정보가 제어 동작 결정부(125)에 통지된다. 이 통지를 받은 제어 동작 결정부(125)는, 통지된 정보를 기초로, 통신 상대와의 네고시에이션이 필요한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T2100). 예를 들면, 현재 이용하고 있는 영상이나 음성의 부호 복호화 방식과는 별개의 방식을 선택하지 않으면 안되는 등의 경우(무선의 전파 강도가 악화되었음으로 인해, 현재의 영상 부호 복호화 방식으로는 화질이 흐트러져 버려, 변경이 필요한 경우 등)나, 자(自)단말에는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변경을 결정하는 권한이 없는 경우에 네고시에이션이 필요해 진다.
네고시에이션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제어 동작 결정부(125) 내의 시그널링 통지부(125 a)는, 도 6 B에 나타낸 시그널링 제어용 통신 정보 포맷을 이용하여, 통신 상대와의 호 갱신을 개시하도록 시그널링 제어부(14)에 통지한다(ST2400). 시그널링 제어부(14)에 통지되는 정보는, 접속처 IP, 포트 번호, 및 세션 ID 외에, 보디 정보를 포함하며, 보디 정보에는, 예를 들면 상대 단말과 영상 및 음성의 종류나 이용 파라미터를 재결정하기 위한 후보가 되는 정보가 기입된다. 시그널링 통지부(125 a)는, 보디 정보에, 하위층 관리부(22)로부터 통지된 하위층의 통신 상황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입할 수도 있다.
통지를 받은 시그널링 제어부(14)는, 호 상태를 변경하고, 시그널링부(17)를 통하여 호의 갱신을 실시한다. 그리고, 이 시그널링의 결과, 네트워크 제어부(13)나 전송 데이터 제어부(15)에 있어서의 제어에 변경이 필요한지 아닌지가 제어 동작 결정부(125)에 의해 판단되고(ST2500), 필요하면, 해당하는 제어부에서 새로운 제어 정보를 이용한 제어가 개시된다(ST2300).
한편, ST2100에서의 판단 결과, 통신 상대와의 네고시에이션을 필요로 하지않을 경우는, 자(自)단말 내부에서의 제어의 변경이 필요한지 아닌지가 판단되고(ST2200), 각 제어부(13~15) 중의 어느것인가가 제어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 해당하는 제어부에 대해서, 변경 후의 제어 정보를 통지한다. 그리고, 통지를 받은 제어부는, 그 정보를 기초로 제어를 개시한다(ST2300).
또, 처리 절차의 흐름은 상기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하위층의 정보 변화가 통지된 제어 동작 결정부(125)가, 우선, 각 제어부(13~15)에 있어서의 제어 정보 변경 필요성 판단 후에, 거기서 필요하다고 판단된 변경을 위해, 통신 상대와의 네고시에이션이 필요한지 어떤지를 판단한다, 라는 처리 절차도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신 세션이 확립한 후, 하위층에서 통신 상황의 변화가 검출되면, 그 세션을 유지한 채 재차 통신 상대와 네고시에이션을 하여 세션 정보를 변경할 수 있어, 항상 통신 상황에 적합한 세션으로 영상 및 음성 커뮤니케이션을 꾀할 수 있다.
이하에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로 불리는, 패킷 네트워크 상에서 음성 및 영상의 세션을 개시, 관리, 및 종료시키기 위한 시그널링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경우의 본 실시형태와 관계되는 통신 단말장치의 구체적인 사용예를 설명한다. SIP는, 애플리케이션층에 있어서의 텍스트 베이스 시그널링으로, 이에 의하면, 애플리케이션층끼리 세션이 설정되게 된다.
SIP는, IETF의 RFC3261에 규정되어 있으며, 도 10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더 정보와 보디 정보로 구성되는 메시지 포맷을 가진다. 보디 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RFC2327에 규정된 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를 사용할 수 있지만, 새로운 보디 정보를 정의하여 헤더 정보에 부가할 수도 있다.
도 10 B에는, 통신 단말장치가 SIP를 이용하여, 예를 들면 MPEG4-FGS를 이용한 영상 통신(미디어 통화의 일종)을 할 때의 접속 시퀀스를 나타낸다. 발신 단말은, MPEG4-FGS의 설정을 기술한 SDP를 보디 정보에 부가하고, SIP 메시지의 INVITE를 발호(發呼) 한다. INVITE를 수신한 착신 단말은, 그 INVITE에 포함되는 SDP를 기초로, 통신을 허가할 경우는, 그 응답 200 OK를 발신 단말을 향해 송신한다. 100 Trying 및 180 Ringing은, 처리중을 나타내는 임시 응답이다. 착신 단말로부터의 200 OK를 수신한 발신 단말은, 최후에 착신 단말을 향하여 통화 확립 응답인 ACK을 답신하여, 통신 세션이 확립하고, MPEG4-FGS에 의한 영상 통신이 시작된다.
상술한 SIP에 의하면,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음성 및 영상의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지만, 본 실시형태의 통신 단말장치에서는, 통신 상황에 맞추어, 시그널링을 발하는 타이밍을 판단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통신 단말장치에서는, 자(自)단말의 하위층 정보(자단말의 무선 전파의 강도나, 자단말이 현재 이용중인 대역폭 등)를 보디 정보로서 부가하여, 상대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접속 제어부(12)에 알릴 수가 있다.
또한, 통신 상대와 네고시에이션을 실시하는 예로서는, 통신 상대는 종래의 통신 단말장치이어, 하위층 관리부를 갖지 않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자(自)단말의 하위층 관리부(22)는, 자단말의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무선 환경이나 네트워크 환경을 접속 제어부(12)에 전하고, 접속 제어부(12)는, 도 9의 흐름도에 따라 자단말의 시그널링 제어부(14)에 시그널링을 개시시킨다. 이 시그널링을 이용한 메시지는 상대 단말의 시그널링 제어부에 도착하여, 시그널링의 보디 정보가 접속 제어부(12)와 상대 단말 접속 제어부 간에서 공유된다. 이 보디 정보는, 접속 제어부(12)가 제안하는 새로운 영상 및 음성의 종류나 이용 파라미터이어도 좋고, 접속 제어부(12)가 하위층 관리부(22)로부터 통지받은 하위층의 정보(자(自)단말이 수신하는 무선 전파의 강도 등)이어도 좋다. 상대 단말의 접속 제어부는, 전자의 경우는, 제안된 파라미터 등을 이용하여 각 제어부의 제어 정보 변경을 하고, 후자의 경우는, 통지된 하위층의 정보를 기초로 각 제어부에 있어서의 제어의 변경이 필요한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하위층의 정보를 상위층에 통지하는 하위층 관리부를 새로이 도입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 생성 환경을 제공하는 접속 제어부가 직접 하위층의 정보를 인식한다. 이로 말미암아, 애플리케이션 레벨에서, 하위층 정보에 기초한 여러가지 상황 판단과 제어 변경이 가능해져, 모바일 환경에서 통신 상황이 변화하여도, 가능한 한 사용자가 보기 쉽고 듣기 쉽다고 느끼는 영상 및 음성으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계속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통신의 형태로서, (i)영상 및 음성 스트림의 송신측과 수신측 쌍방이, 이동하는 통신 단말장치인 경우, (ii) 송신측이 이동하는 통신 단말장치이고, 수신측이 고정하게 접속된 통신 단말장치인 경우, (iii) 송신측이 고정하게 접속된 통신 단말장치이고, 수신측이 이동하는 통신 단말장치인 경우의 3가지가 있을 수 있다. (i)과(ii)일 경우, 송신측 통신 단말장치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위층 관리부(22)를 도입하면, 송신측 무선 네트워크의 하위층 상황에 맞춘 제어를 애플리케이션 레벨에서 실시할 수가 있다. (i)과(iii)일 경우, 수신측 통신 단말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하위층 관리부(22)를 도입하면, 수신측 무선 네트워크의 하위층 상황에 맞춘 제어를 애플리케이션 레벨에서 실시할 수가 있다.
또, 도 2에 나타낸 하위층 관리부(22)는, 이동하는 단말에 설치하면 상기의 효과가 커지지만, 고정된 콘텐츠 배송 서버 등의 단말에 하위층 관리부를 설치하여도 소정의 효과가 발휘된다. 그 예를, 다음에 설명해 둔다.
이 예의 콘텐츠 배송 서버(통신 단말장치(10))는, 접속 제어부(12)가, 하위층으로부터 직접 전달되는 정보를 기초로, 무선 네트워크의 폭주 정보 등을 감시하여, 이용중인 통신 환경에 맞는 전송 제어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예의 콘텐츠 배송 서버로부터 종래형인 하위층 관리부가 없는 모바일 단말이 영상 및 음성 콘텐츠의 배송을 받는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보다 심리스한 감각으로 커뮤니케이션을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예의 콘텐츠 배송 서버는, 고정되게 배치되지만, 무선 디바이스를 구비하여 영상 및 음성 등의 데이터 통신을 복수 통신 단말장치를 향해 배송하고 있다. 접속 형태는 1대 1의 배송도, 1대 N 배송도 상관없다.
콘텐츠 배송 서버의 디바이스 제어부(21)는, 이용자 증가 등으로 인해 무선의 전파 강도가 약해진 것을 감지하면, 하위층 관리부(22)의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변화한 전파 상태를 기입한다. 또, 네트워크 배송 제어부(20)는, 재송 회수의 증가나 수신 버퍼 사이즈의 변화 등을 감지하면, 하위층 관리부(22)의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변화한 회수의 값을 기입한다. 이러한 현상은, 배송처 통신 단말장치의 전파 강도가 나쁜 경우나, 무선 링크의 절단이 일어난 경우에 일어날 수 있다.
그리고, 하위층 관리부(22)는,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있어서 갱신이 있었을 경우는, 그때마다 애플리케이션의 접속 제어부(12)에 통지한다. 이 통지를 받아, 접속 제어부(12)내에 있어서, 전파가 약해진 경우는 부호화 하는 데이터의 양을 감소시킨다든가, 재송 회수가 증가한 경우는 영상의 화질을 떨어뜨려, 움직임(매끄러움)을 우선하는 등의 제어 방식으로 변경하는 등의 제어가 실시됨은, 상술한 여러가지 예와 같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상술한 실시형태를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여러 가지로 변형,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 상황이 이동에 따라 시시각각 변화하는 이동 단말을 포함한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리얼타임성이 요구되는 영상이나 음성의 애플리케이션을 취급할 경우에, 애플리케이션측에서 보다 재빠르게 통신 상황의 변화에 대응한 서비스로 전환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모바일 환경에서 보다 심리스하다고 느끼는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할 수가 있다.
본 명세서는, 2003년 1월 30 일에 출원한 특허출원 2003-021838에 기초하는 것이다. 이 내용은 모두 여기에 포함시켜 놓는다.
본 발명은, 무선 액세스 포인트나 무선 기지국을 이용한 모바일 네트워크 시스템에 사용되며, 예를 들면 회화형이나 스트리밍형 미디어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통신 제어장치, 통신 단말장치, 서버 장치, 및 통신 제어 방법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9)

  1. 무선 환경 또는 네트워크 환경 중 적어도 한 쪽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검출된 무선 환경 또는 네트워크 환경을 기억하고, 상기 무선 환경 또는 상기 네트워크 환경에 변화가 일어났는지의 여부를 감시하는 관리 수단과,
    상기 무선 환경 또는 상기 네트워크 환경에 변화가 일어난 경우에, 애플리케이션의 통신 서비스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가지는 통신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수단은,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계층 모델에 있어서의 트랜스포트층보다 하위층에서의 환경의 변화를 감시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트랜스포트층보다 하위층에서의 환경 변화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층에 의한 통신 서비스 제어를 행하는, 통신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자(自)장치가 행하는 무선 통신의 무선 환경 및 자장치가 속하는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환경 중 어느 환경이 변화했는지 판단하는 판단 수단과,
    상기 무선 환경 또는 상기 네트워크 환경의 변화가 소정 조건을 만족한 경우에, 서비스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 동작을 결정하는 결정 수단을 가지는, 통신 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수단은,
    자(自)장치가 속하는 네트워크, 전파 강도, 사용자에 의한 지정 항목, 및 변조 방식 중 어느 하나가 변화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통신 제어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수단은,
    네트워크 전송에 있어서의 서비스 품질, 시그널링 정보의 송수신, 및 전송 데이터의 송수신 중 어느 하나에 관한 동작을 변경하는, 통신 제어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통신 상대국과의 네고시에이션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통신 상대국과의 사이의 호(呼)를 갱신하는 취지를 상기 통신 상대국에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더 가지며,
    상기 결정 수단은, 호가 갱신된 후에 제어 동작을 결정하는, 통신 제어장치.
  7. 제1항에 기재된 통신 제어장치를 가지는 통신 단말장치.
  8. 제1항에 기재된 통신 제어장치를 가지는 서버 장치.
  9. 무선 환경 또는 네트워크 환경 중 적어도 한 쪽을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된 무선 환경 또는 네트워크 환경을 기억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환경 또는 상기 네트워크 환경에 변화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감시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환경 또는 상기 네트워크 환경에 변화가 발생한 경우에, 애플리케이션의 통신 서비스의 제어를 행하는 단계를 가지는 통신 제어 방법.
KR1020057013997A 2003-01-30 2004-01-29 통신 제어장치, 통신 단말장치, 서버 장치 및 통신 제어방법 KR1007099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21838A JP4100182B2 (ja) 2003-01-30 2003-01-30 通信端末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JP-P-2003-00021838 2003-0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4362A true KR20050104362A (ko) 2005-11-02
KR100709971B1 KR100709971B1 (ko) 2007-04-25

Family

ID=32820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3997A KR100709971B1 (ko) 2003-01-30 2004-01-29 통신 제어장치, 통신 단말장치, 서버 장치 및 통신 제어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634574B2 (ko)
EP (1) EP1580938B1 (ko)
JP (1) JP4100182B2 (ko)
KR (1) KR100709971B1 (ko)
CN (1) CN100496018C (ko)
BR (1) BRPI0407059B1 (ko)
WO (1) WO20040688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00182B2 (ja) * 2003-01-30 2008-06-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753493A (zh) * 2004-09-24 2006-03-2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无线多媒体通信系统的跨层联合方法
US10270511B2 (en) * 2004-11-17 2019-04-23 Koninklijke Philips N.V. Robust wireless multimedia transmission in multiple in multiple-out (MIMO) system assisted by channel state information
JP4454635B2 (ja) * 2004-11-29 2010-04-21 シャープ株式会社 帯域割り当て方法、帯域割り当てプログラム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7827141B2 (en) * 2005-03-10 2010-11-02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Dynamically sizing buffers to optimal size in network layers when supporting data transfers related to database applications
US20060271658A1 (en) * 2005-05-26 2006-11-30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data over a network based on external non-network stimulus
JP4640856B2 (ja) 2005-06-02 2011-03-02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
JP2006345251A (ja) * 2005-06-09 2006-12-21 Kyocera Corp 無線通信端末及び通信方法
JP4999425B2 (ja) * 2005-11-29 2012-08-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US8571215B2 (en) 2006-01-05 2013-10-2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Combined storage and transmission of scalable media
KR100738548B1 (ko) * 2006-01-11 2007-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VoIP 화상 통화 장치 및 그 방법
US8244051B2 (en) * 2006-03-15 2012-08-14 Microsoft Corporation Efficient encoding of alternative graphic sets
JP4779827B2 (ja) 2006-06-29 2011-09-28 日本電気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制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制御方法
KR100750189B1 (ko) * 2006-07-04 2007-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화상통화 화면 공유 장치 및 방법
KR100893863B1 (ko) * 2006-09-05 2009-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링크 적응적 데이터 전송 방법
JP4806336B2 (ja) * 2006-11-29 2011-11-02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CN101595695B (zh) * 2007-01-26 2012-11-14 日本电气株式会社 视频分发系统和视频分发方法
JP2008259094A (ja) * 2007-04-09 2008-10-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lan電話通信方法及びシステム
WO2009037735A1 (ja) * 2007-09-18 2009-03-26 Fujitsu Limited セッション管理の移行に係る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00228553A1 (en) * 2007-09-21 2010-09-09 Panasonic Corpo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CN101754004B (zh) * 2008-12-16 2013-06-12 浪潮乐金数字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3g可视电话及其工作方法
KR101390045B1 (ko) * 2008-12-24 2014-04-30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통화 장치 및 그 제어 장치
WO2010073671A1 (ja) 2008-12-25 2010-07-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Tcp送信制御装置及びtcp送信制御方法
JP5247567B2 (ja) 2009-04-06 2013-07-24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該制御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CN101932034B (zh) * 2009-06-26 2013-10-02 华为技术有限公司 提高服务质量的方法及系统和应用网网元
WO2011001758A1 (ja) * 2009-06-30 2011-01-06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システム及び動画解像度切り替え方法
US9538299B2 (en) 2009-08-31 2017-01-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coustic echo cancellation (AEC) with conferencing environment templates (CETs)
US20110099227A1 (en) * 2009-10-27 2011-04-28 Walls Jeffrey J Communication application with steady-state conferencing
US8462797B2 (en) * 2009-11-30 2013-06-11 Alcatel Lucent Method of priority based transmission of wireless video
US8713131B2 (en) * 2010-02-23 2014-04-29 RHPiscan Systems, Inc. Simultaneous image distribution and archiving
JP5269850B2 (ja) * 2010-09-17 2013-08-21 株式会社東芝 放送素材再生装置及びデータ送出方法
CN102547266B (zh) * 2010-12-29 2015-03-11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视频数据传输方法及设备
KR101744355B1 (ko) 2011-01-19 2017-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상호 계층 최적화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
CN103004281A (zh) * 2011-03-17 2013-03-2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控制装置、终端装置以及通信系统
US8978074B2 (en) 2011-08-29 2015-03-10 At&T Mobility Ii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wireless digital television service
GB2495712B (en) 2011-10-17 2014-01-08 Skype Controlling transmission of data
JP2013258657A (ja) * 2012-06-14 2013-12-26 Nippon Hoso Kyokai <Nhk> P2p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に用いる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4003359A (ja) * 2012-06-15 2014-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映像データをストリーム型データ転送するために用いられるデータ転送システム及びデータ転送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送信装置、受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642225B2 (ja) * 2013-04-11 2014-12-1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該制御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JP5902653B2 (ja) * 2013-08-30 2016-04-13 ソフトバンク株式会社 動画配信システム、動画配信装置、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15048569A2 (en) 2013-09-26 2015-04-02 Coherent Logix, Incorporated Next generation broadcast system and method
CN104185235B (zh) * 2014-08-19 2016-01-06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无线网络调整方法及装置
US9794896B2 (en) 2014-08-19 2017-10-17 Xiaomi Inc.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state of wireless network
JP6582722B2 (ja) 2015-08-19 2019-10-02 ヤマハ株式会社 コンテンツ配信装置
JP2017163287A (ja) * 2016-03-08 2017-09-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2421791B1 (ko) * 2016-05-26 2022-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Mmt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미디어 시간 정보를 전송 하는 방법 및 장치
CN107395404B (zh) * 2017-07-07 2018-10-3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为网络应用提示网络环境、预测服务质量的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8209B2 (ja) * 1993-11-29 1999-06-21 郵政大臣 移動端末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移動体衛星通信システム
JPH0951571A (ja) 1995-08-07 1997-02-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移動通信装置
JPH114476A (ja) 1997-06-11 1999-01-06 Nec Corp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トラヒック収集制御方法並びにトラヒック収集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5987033A (en) * 1997-09-08 1999-11-16 Lucent Technologies, Inc. Wireless lan with enhanced capture provision
JP3236827B2 (ja) 1999-01-18 2001-12-1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無線電話装置
JP2000295276A (ja) * 1999-04-02 2000-10-20 Hitachi Ltd 通信制御システム
US6587479B1 (en) * 1999-04-21 2003-07-01 Opencell Corp. Architecture for signal distribution in wireless data network
AU2001253740A1 (en) * 2000-04-22 2001-11-07 Atheros Communications, Inc. Methods for controlling shared access to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and increasing throughput of the same
US6845397B1 (en) * 2000-12-29 2005-01-18 Nortel Networks Limited Interface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inner layers of a network protocol
JP2002344484A (ja) * 2001-05-21 2002-11-29 Nec Corp ネットワークの接続復旧方法及びシステム
JP4121298B2 (ja) * 2002-04-18 2008-07-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JP4100182B2 (ja) * 2003-01-30 2008-06-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80938A1 (en) 2005-09-28
JP2004266330A (ja) 2004-09-24
EP1580938B1 (en) 2019-01-23
BRPI0407059B1 (pt) 2018-01-02
CN1745551A (zh) 2006-03-08
WO2004068806A1 (ja) 2004-08-12
KR100709971B1 (ko) 2007-04-25
EP1580938A4 (en) 2015-07-15
US20060253888A1 (en) 2006-11-09
CN100496018C (zh) 2009-06-03
US7634574B2 (en) 2009-12-15
JP4100182B2 (ja) 2008-06-11
BRPI0407059A (pt) 2006-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9971B1 (ko) 통신 제어장치, 통신 단말장치, 서버 장치 및 통신 제어방법
KR101008698B1 (ko) 멀티미디어 세션을 위한 서비스 품질 파라미터의 시그널링
CA2400848C (en) Personalized multimedia services using a mobile service platform
US20080101338A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IMPLEMENT HIGHER DATA RATE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SERVICES
US8442532B2 (en) System and method of handling IP layer mobility in a wireless network
EP1435748A1 (en) Handover between wireless networks of different technologies
KR100752608B1 (ko) 무선통신네트워크에서 자원 예약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2001203726A (ja)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通信装置
WO2006100955A1 (ja) 通信端末及びネットワーク制御装置
JP2006222822A (ja) ハンドオーバシステム
WO2006098263A1 (ja) 切替元デバイス、切替先デバイス、高速デバイス切替システムおよびシグナリング方法
JP2005137007A (ja) 映像送受信帯域幅及び画質制御機能を持つip映像端末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WO2004084573A1 (en) Method, communications network arrangement, communications network server, terminal, and software means for selecting and changing operating modes for packet-switched voice connection
WO2021180202A1 (zh) 一种辅助链路补偿通话的系统、装置及芯片
JP2005123993A (ja) パケット通信装置及びパケット通信方法
CN109818901A (zh) 报文头压缩机制确定方法、设备及系统
JPWO2003021911A1 (ja) 符号化方式選択方法及び端末装置
WO2006132080A1 (ja) 送受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2004265154A (ja) ヘテロジニアス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セッション維持方法及びその移動ノード
JP2006217167A (ja) Ip電話装置およびipアダプタ装置
JP2001053781A (ja) 通信フロー制御方法、通信端末、通信フロー制御管理端末、そ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4578414B2 (ja) 階層符号化マルチキャスト通信システム
CN102100057B (zh) 数字电信系统、用于管理此类系统的方法
US11979332B2 (en) Adaptive networking for resilient communications
KR20080037950A (ko)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