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0045B1 - 통화 장치 및 그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통화 장치 및 그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0045B1
KR101390045B1 KR1020080133497A KR20080133497A KR101390045B1 KR 101390045 B1 KR101390045 B1 KR 101390045B1 KR 1020080133497 A KR1020080133497 A KR 1020080133497A KR 20080133497 A KR20080133497 A KR 20080133497A KR 101390045 B1 KR101390045 B1 KR 101390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descriptor
data
image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3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4937A (ko
Inventor
문민우
권상훈
Original Assignee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3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0045B1/ko
Priority to US12/625,297 priority patent/US20100157034A1/en
Priority to EP09014810A priority patent/EP2202969A3/en
Publication of KR20100074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4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0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0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원에서는 통화 장치의 실시예들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통화 장치는 영상을 획득하여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카메라, 및 영상 데이터로부터 입력 영상 기술자를 생성하고, 생성된 입력 영상 기술자와 미리 설정된 기준 영상 기술자의 대응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에 기초하여 통화 장치를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통화 장치, 제어

Description

통화 장치 및 그 제어 장치{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LING DEVICE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카메라를 구비한 통화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이용하여 동작을 제어하는 통화 장치 및 그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의 발달로 인해 단순한 음성 통화 서비스뿐만 아니라 영상 통화 서비스도 제공하는 통화 장치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에 따라,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을 이용하여 영상 통화를 하는 인터넷망용 영상 통화 장치와 공중전화망(PSTN)을 이용하여 영상 통화를 하는 공중전화망용 영상 통화 장치가 널리 보급되어 왔다.
나아가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음성, 영상 및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차세대 통신방식(예컨대, IMT-2000의 동기 방식(CDMA 2000) 및 비동기 방식(W-CDMA))이 상용화되고, 그에 따라 음성 통신 기능 외에 고속으로 영상 및 데이터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영상 통화 장치도 널리 보급되어 왔다. 특히, 디지털 카메라 모듈을 채용하여 디지털 카메라의 기능을 구현한 영상 통화 장치가 널리 보 급되고 있는데, 이러한 영상 통화 장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특정 장면이나 동영상 등을 촬영하여 저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상 데이터의 송수신 서비스 및 영상 통화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종래의 영상 통화 장치는 카메라가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타 통화 장치로 전송하거나 저장할 뿐이므로,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기타 다른 목적으로 이용하여 통화 장치의 기능을 개선할 여지가 남겨져 있다. 특히, 통화 장치의 제어가 본체의 키 또는 본체에 연결된 무선 단말기의 키를 이용해서만 이루어지고 있는 종래의 제어 방식을 개량하여, 카메라가 획득한 영상을 통화 장치의 제어에 이용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통화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해당 통화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통화 장치 및 그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화 장치가 제공된다. 통화 장치는, 영상을 획득하여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카메라, 및 영상 데이터로부터 입력 영상 기술자를 생성하고, 생성된 입력 영상 기술자와 미리 설정된 기준 영상 기술자의 대응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에 기초하여 통화 장치를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 장치를 더 포함하고, 기준 영상 기술자는 저장 장치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에 의하여 제공된 영상 데이터가 동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장치는, 상대방 통화 장치로부터 호 설정 요청 수신 시, 입력 영상 기술자와 기준 영상 기술자의 대응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호 설정 요청에 대응한 응답 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응답 제어 데이터는 통화 장치로 하여금 상대방 통화 장치로 호 설정 요청에 대한 승인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장치는, 입력 영상 기술자와 기준 영상 기술자가 대응한다고 판정한 경우, 추가적 사용자 확인을 요청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화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포함하고, 제어 장치가 생성하는 추가적 사용자 확인을 요청하는 제어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하여금 소정의 텍스트를 표시하도록 하는 명령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을 획득하여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영상 통화 장치의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통화 장치는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 기술자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영상 기술자 생성 유닛, 생성된 입력 영상 기술자가 미리 설정된 기준 영상 기술자와 대응하는지 판정하도록 구성된 영상 기술자 대응 판정 유닛, 및 영상 기술자 대응 판정 유닛의 판정에 기초하여, 통화 장치를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어 데이터 생성 유닛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통화 장치의 본체 또는 본체에 연결된 무선 단말기 상의 키를 누를 필요 없이, 카메라 앞에서 간단한 동작을 취함으로써 해당 통화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는 특히, 동작이 자유스럽지 못한 장애인이나 여건상 이동이 불가한 상황에서 적절히 사용될 경우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예시적인 통화 장치(100)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통화 장치(100)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를 이용하여 음성 및 영상 디지털 신호를 송수신하는 SIP 영상 통화 장치일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이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설계사양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은 통합, 분리 또는 생략될 수 있고, 각 구성요소들의 연결관계도 변경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장치(100)는 통화 장치(100) 내의 컴포넌트들을 서로 연결하는 버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버스(102)는 메모리 버스 또는 메모리 컨트롤러, 주변장치 버스 및 임의의 각종 버스 아키텍처를 이용하는 프로세 서 또는 로컬 버스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임의의 다양한 유형의 버스 구조를 포함한다. 단지 예시로서, 이 같은 아키텍처는 ISA(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버스, MCA(Micro Channel Architecture) 버스, EISA(an Enhanced ISA) 버스,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 로컬 버스, 메자닌(Mezzanine) 버스로도 알려진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s)버스, PCI 고속 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통화 장치(100) 내의 컴포넌트들이 버스(102)를 통하여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장치(100)는 카메라(104)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04)는 버스(102)에 연결될 수 있고 버스(102)를 통해 통화 장치(100) 내의 나머지 다른 컴포넌트들과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카메라(10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버스(102)를 통하여 제어 장치(114)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동 또는 수동으로 온(on)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온(on) 상태가 된 카메라(104)는 해당 통화 장치(100)의 사용자와 관련된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104)가 획득한 동영상 데이터는 해당 사용자에 의한 일련의 동작들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04)가 획득한 정지 또는 동영상 데이터는 버스(102)를 통해 통화 장치(100) 내의 다른 컴포넌트들로 전송될 수 있다. 도 1에서, 카메라(104)는 통화 장치(100) 내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와 달리 카메라(104)가 통화 장치(100)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 다.
통화 장치(100)는 또한 저장 장치(1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 장치(106)는 착탈식/비착탈식 저장 장치, 휘발성/비휘발성 저장 장치, 예컨대 RAM, 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등의 저장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 장치(106)는 버스(102)에 연결될 수 있고 버스(102)를 통해 통화 장치(100) 내의 나머지 다른 컴포넌트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저장 장치(106)는 버스(102)를 통하여 카메라(104) 또는 제어 장치(114)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저장 장치(106)는 또한 통화 장치(100) 내의 각 컴포넌트를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 장치(106)는 그에 저장된 데이터, 예컨대 영상 데이터 또는 컴퓨터 명령어 등을 버스(102)를 통해서 통화 장치(100) 내의 다른 각 컴포넌트로 전달할 수 있다.
통화 장치(100)는 송수신 장치(1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 장치(108)는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통하여 네트워크 망에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 망을 통하여 통화 장치(100)와 상대방 통화 장치 간에 제어 신호,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 등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송수신 장치(108)는 상대방 통화 장치로부터 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통화 장치(100)가 SIP 영상 통화 장치인 경우 송수신 장치(108)는 INVITE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송수신 장치(108)는 이를 알리는 데이터를 제어 장치(114)로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 망이 공중전화망인 경우, 송수신 장치(108)는 음성, 영상 및 데이터 통신에 관한 프로토콜인 H.324 프 로토콜을 이용하는 PSTN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망이 인터넷망인 경우, 송수신 장치(108)는 TCP/IP 프로토콜과 같은 패킷 교환 방식의 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화상회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인 H.323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IPN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망이 IMT-2000 방식을 따르는 이동통신망인 경우, 송수신 장치(108)는 음성 및 영상 디지털 신호를 E-mail 주소와 비슷한 SIP URL을 이용하여 송수신하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을 이용하는 IPN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통화 장치(100)는 입력 장치(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10)는 터치 스크린 또는 키 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키 패드는 숫자 입력 키, 문자 입력 키, 발/착신 키, 자동 응답 키, 통화 전환 키, 차단 키 및 임의의 기능 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술한 입력 장치(110) 상의 각 키 등을 이용하여 각종 제어 데이터를 통화 장치(100)에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력 장치(110)는 통화 장치(100)가 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활성화되어 해당 입력 장치(110)를 통해 사용자가 호 설정 요청 메시지에 관한 응답을 입력하는지 여부를 대기할 수 있다. 입력 장치(110)는 또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호 설정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감지한 경우 이를 제어 장치(114)로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입력 장치(110) 상의 착신 키, 자동 응답 키, 또는 전환 키를 누른 경우, 입력 장치(110)는 버스(102)를 통해 제어 장치(114)로 각 기능 키의 입력을 알리는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도 1에서 입력 장치(110)는 통화 장치(100) 내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통화 장치(100)가 PAN, 예컨대 블루투스를 통해 연결된 무선 단말기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입력 장치(110)는 무선 단말기에 위치할 수 있다.
통화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12)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12)는 버스(102)에 연결될 수 있고 버스(102)를 통해 통화 장치(100) 내의 나머지 다른 컴포넌트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112)는 버스(102)를 통해 카메라(104)로부터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송수신 장치(108)가 네트워크 망을 통하여 상대방 통화 장치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그 수신된 영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장치(112)로 전달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12)는 그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12)는 또한 버스(102)를 통하여 저장 장치(106)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고, 소정의 텍스트를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112)는 통화 장치(100)의 사용자에 대해 소정의 동작을 요청하는 내용의 텍스트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통화 장치(100)는 제어 장치(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114)는 버스(102)에 연결될 수 있고 버스(102)를 통해 통화 장치(100) 내의 나머지 다른 컴포넌트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장치(114)는 버스(102)를 통하여 저장 장치(106)로부터 하나 이상의 컴퓨터 명령어를 수신하여 실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통화 장치(100) 내의 각 컴포넌트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 어 장치(114)는 버스(102)를 통하여 송수신 장치(108)로부터 호 설정 요청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통화 장치(100) 내의 컴포넌트들에 대해 적절한 제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장치(114)는 버스(102)를 통하여 카메라(104)에 대해 해당 카메라(104)를 자동으로 온 시키는 제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 장치(114)는 또한 버스(102)를 통하여 입력 장치(110)로 해당 입력 장치(110)를 활성화하여 호 설정 요청에 대응한 소정의 사용자 입력에 대기하도록 하는 제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 장치(114)는 또한 버스(102)를 통하여, 카메라(104)로부터 새로이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그 획득된 영상 데이터에 적절한 처리를 행하여 그로부터 영상 기술자(image descriptor)를 얻을 수 있다. 모드에 따라, 제어 장치(114)는 획득된 영상 기술자를 기준 영상 기술자(reference image descriptor)로 설정하고 버스(102)를 통해 기준 영상 기술자를 저장 장치(106)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어 장치(114)는 획득된 영상 기술자를 입력 영상 기술자(input image descriptor)로 설정하고 통화 장치(100) 내의 각 컴포넌트 제어를 위한 제어 데이터 생성용 비교에 이용할 수 있다. 제어 장치(114)에 의한 기준 또는 입력 영상 기술자의 획득 처리와, 기준 및 입력 영상 기술자의 비교 처리 및 그에 따른 제어 데이터 생성 처리에 관하여는 추후 도 2와 관련하여 좀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 장치(114)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설계사양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은 통합, 분리 또는 생략될 수 있고, 각 구성요소들의 연결관계도 변경될 수 있음을 유 의한다. 또한, 도 2에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필요한 제어 장치(114)의 일부 컴포넌트만이 도시된 것일 뿐이며, 당업자라면 기타 다양한 다른 컴포넌트들이 제어 장치(114)에 포함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제어 장치(114)는 영상 데이터 수신부(202), 영상 기술자 생성 유닛(204), 영상 데이터 송신부(206), 영상 기술자 대응 판정 유닛(208), 및 제어 데이터 생성 및 송신 유닛(21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영상 데이터 수신부(202)는 버스(102)를 통하여 통화 장치(100) 내의 다른 컴포넌트들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영상 데이터 수신부(202)는 버스(102)를 통하여 카메라(104)로부터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영상 데이터 수신부(202)는 버스(102)를 통하여 저장 장치(106)로부터 그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영상 기술자 생성 유닛(204)은 영상 데이터 수신부(202)가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영상 기술자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 기술자 생성 유닛(204)은 영상 데이터를 복수의 부분 영상 데이터로 분할할 수 있고, 각 부분 영상 데이터에 대해 특징 정보, 예컨대 특징 벡터, 특징 밝기 정보 또는 특징 색상 정보(예컨대, 칼라 히스토그램(Color Histogram) 또는 칼라 코렐로그램(Color Correlogram)) 등을 추출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영상 기술자 생성 유닛(204)은 임의의 함수를 이용해 각 부분 영상 데이터에 대한 특징 정보를 조합하여 영상 기술자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임의의 함수는 부분 영상 데이터가 가지는 칼라 분포를 계산하거나, 일정한 거 리(distance)를 가지는 부분 영상 데이터 간의 칼라 변화 분포의 확률을 계산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한 영상 기술자를 생성하는 방법은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당업자라면 영상 기술자 생성을 위한 기타 다양한 방법을 생각해낼 수 있을 것이다. 영상 기술자 생성 유닛(204)은 또한, 통화 장치(100)의 설정 모드에 따라, 생성된 영상 기술자를 기준 영상 기술자 또는 입력 영상 기술자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통화 장치(100)가 기준 영상 기술자 설정 모드인 경우 영상 기술자 생성 유닛(204)은 새로 생성한 영상 기술자를 기준 영상 기술자로 설정할 수 있다. 기준 영상 기술자는 추후 입력되는 입력 영상 기술자와의 비교에서 기준이 되는 영상 기술자를 말한다. 이와 달리 통화 장치(100)가 통상의 호 설정 모드인 경우 영상 기술자 생성 유닛(204)은 새로 생성한 영상 기술자를 입력 영상 기술자로 설정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송신부(206)는 영상 기술자 생성 유닛(204)에서 생성된 기준 영상 기술자를 버스(102)로 전송할 수 있다. 버스(102)로 전송된 기준 영상 기술자는 저장 장치(106)에 저장될 수 있다.
영상 기술자 대응 판정 유닛(208)은 입력 영상 기술자가 기준 영상 기술자와 대응하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 기술자 대응 판정 유닛(208)은 입력 영상 기술자 및 기준 영상 기술자의 부분 영상 데이터에서 추출된 특징 정보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유사도를 계산할 수 있고, 유사도가 사전 설정된 유사도보다 큰 경우, 입력 영상 기술자가 기준 영상 기술자와 대응하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영상 기술자를 생성하고 영상 기술자 간의 대응 여부를 판정하 는 더욱 다양한 방법에 대해 이해하고 있을 것이며,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영상 기술자 대응 판정 유닛(208)이 입력 영상 기술자가 기준 영상 기술자와 대응하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 그에 응답하여 제어 데이터 생성 및 송신 유닛(210)은 통화 장치(100) 내의 각 컴포넌트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 데이터 생성 및 송신 유닛(210)은 통화 장치(100) 내 각 컴포넌트에 대해 호 설정 요청에 대한 통상의 응답 동작 또는 자동 응답 동작을 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를 생성 및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화 장치(100)가 SIP 영상 통화 장치인 경우, 제어 데이터 생성 및 송신 유닛(210)은 송수신 장치(108)에 대해 승인 메시지, 즉 200 OK 메시지를 상대방 영상 통화 장치로 전송하도록 하는 한편 통화 시작을 위한 패킷 송/수신을 준비하도록 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 및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착신 호가 영상 통화 호인 경우, 제어 데이터 생성 및 송신 유닛(210)은 또한 카메라(104)에 대해 영상 통화를 준비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를 생성 및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어 장치(114)의 영상 데이터 수신부(202)가 버스(102)를 통하여 카메라(104)로부터 수신하는 영상 데이터는 영상 기술자로 변환되기 이전의 영상 데이터이고, 제어 장치(114)의 영상 기술자 생성 유닛(204)이 카메라(104)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필요한 처리를 행하여 기준 또는 입력 영상 기술자를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통화 장치(100)의 카메라(104)는 획득한 영상 데이터에 대해 직접 필요한 처리를 행하여 기준 또는 입력 영상 기술자를 생성하고, 제어 장치(114)의 영상 데이터 수신부(202)는 카메라(104)로부터 기 생성된 기준 또는 입력 영상 기술자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어 장치(114)의 영상 데이터 수신부(202)가 버스(102)를 통하여 저장 장치(106)로부터 수신하는 영상 데이터는 기준 영상 기술자인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 장치(114)의 영상 데이터 수신부(202)는 저장 장치(106)로부터 영상 기술자로 변환되기 이전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필요한 처리를 행하여 기준 영상 기술자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 장치(114)의 영상 데이터 수신부(202)는 통화 장치(100)에 연결된 임의의 외부 장치로부터 기준 영상 기술자 또는 기준 영상 기술자 생성을 위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는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대방 통화 장치로부터 호 설정 요청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통화 장치에서 수행되는 제어 처리 방법을 보여주는 논리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단계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각 단계들은 결합, 분리 또는 생략될 수 있고, 각 단계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먼저, 단계(310)에서, 통화 장치는 호 설정 요청 메시지, 예컨대 SIP 영상 통화 장치의 경우 INVITE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런 다음, 통화 장치는 카메라를 자동으로 턴 온하고, 카메라로 하여금 통화 장치(100)의 사용자에 관련된 영상을 획득하게 할 수 있다(단계 320).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가 획득하는 영상은 사용자의 동작을 포함하는 동영상일 수 있다.
단계(330)에서, 통화 장치는 카메라에서 획득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입력 영상 기술자를 생성한다. 그런 다음, 통화 장치는 생성된 입력 영상 기술자가 미리 준비된 기준 영상 기술자와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340). 단계(340)에서, 입력 영상 기술자가 기준 영상 기술자와 대응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절차는 단계(350)로 진행된다.
단계(350)에서, 통화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호 설정에 관한 제어 데이터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화 장치는 사용자가 해당 통화 장치의 본체 또는 본체에 연결된 무선 단말기 상에 위치하는 소정의 입력 키, 예컨대 착신 키, 자동 응답 키, 또는 전환 키를 눌렀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호 설정에 관한 제어 데이터가 입력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절차는 단계(360)로 진행되어 통화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어 데이터에 따른 적절한 후속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착신 키 또는 자동 응답 키를 누른 것으로 판정된 경우, 통화 장치는 상대방 통화 장치에 대해 호 설정 요청 메시지에 대한 승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화 장치가 SIP 영상 통화 장치인 경우, 통화 장치는 200 OK 메시지를 상대방 통화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단계(350)에서 통화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호 설정에 관한 제어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 절차는 단계(370)로 진행되고 통화 장치(100)는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단계(340)에서, 입력 영상 기술자가 기준 영상 기술자와 대응하는 것으로 판 정된 경우, 절차는 단계(380)로 진행된다. 단계(380)에서, 통화 장치는 상대방 통화 장치에 대해 호 설정 요청에 관한 승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화 장치가 SIP 영상 통화 장치인 경우, 통화 장치는 200 OK 메시지를 상대방 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단계(340)에서 입력 영상 기술자가 기준 영상 기술자와 대응하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 통화 장치는 단계(380) 수행 이전에 사용자로 하여금 소정의 동작을 취하도록 요구할 수 있고 그에 상응하는 동작이 이루어졌을 때 비로소 단계(380)로 진행하여 호 설정 요청에 관한 승인 메시지 등을 상대방 통화 장치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런 다음, 절차는 단계(390)로 진행하여 통화 장치와 상대방 통화 장치 간에 호가 설정되고 미리 정해진 바에 따라 통상의 호 또는 자동 응답 형식의 호가 진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통화 장치가 상대방 통화 장치로부터 호 설정 요청이 있을 경우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이용하여 호 설정 요청에 대한 승인을 할 것인지 여부를 정하고 그에 따라 해당 통화 장치 내 각 컴포넌트를 제어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통화 장치가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이용하여 임의의 방식으로 해당 통화 장치 내의 컴포넌트들을 제어하는 다양한 경우를 모두 포괄하고자 함을 알 것이다.
본 발명 및 그 다양한 기능적 구성요소들은 특정 실시예들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시스템, 서브시스템, 구성요소들 또는 이들의 서브 구성요소들로 활용 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본 발명의 요소들은 필요한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와 같은 머신 판독가능 매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내에 저장될 수 있으며, 또는 케리어 웨이브로 구체화되는 컴퓨터 데이터 신호 또는 케리어에 의해 변조된 신호에 의해 전송 매체 또는 통신 링크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머신 판독가능 매체 또는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는 머신(예컨대, 프로세서, 컴퓨터 등)에 의해 판독되고 실행가능한 형태로 정보를 저장 또는 전송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원발명은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되고 도시되었으나,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본원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예시적인 통화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대방 통화 장치로부터 호 설정 요청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통화 장치에서 수행되는 제어 처리 방법의 논리 흐름도.

Claims (11)

  1. 통화 장치로서,
    영상을 획득하여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복수의 부분 영상 데이터로 분할한 후, 분할된 영상 데이터에서 특징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정보를 조합하여 입력 영상 기술자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입력 영상 기술자와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 영상 기술자의 대응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에 기초하여 상기 통화 장치를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어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장치는, 상대방 통화 장치로부터 호 설정 요청 수신 시, 상기 판정에 기초하여 상기 호 설정 요청에 대응한 응답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통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저장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 영상 기술자는 상기 저장 장치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통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준 영상 기술자를 위한 영상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신 장치를 더 포함하는 통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는 동영상 데이터인, 통화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제어 데이터는 상기 통화 장치로 하여금 상기 상대방 통화 장치로 상기 호 설정 요청에 대한 승인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하는 데이터인, 통화 장치.
  7. 통화 장치로서,
    영상을 획득하여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복수의 부분 영상 데이터로 분할한 후, 분할된 영상 데이터에서 특징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정보를 조합하여 입력 영상 기술자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입력 영상 기술자와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 영상 기술자의 대응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에 기초하여 상기 통화 장치를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어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장치는, 상대방 통화 장치로부터 호 설정 요청 수신 시, 상기 판정에 기초하여 추가적인 사용자 확인을 요청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통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가 생성하는 상기 추가적 사용자 확인을 요청하는 제어 데이터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하여금 소정의 텍스트를 표시하도록 하는 데이터인, 통화 장치.
  9.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와 연결된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네트워크 망에 접속되어 있는, 통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망은, 공중전화망, 인터넷망, 이동통신망 중 하나인, 통화 장치.
  11. 영상을 획득하여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영상 통화 장치의 제어 장치로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복수의 부분 영상 데이터로 분할한 후, 분할된 영상 데이터에서 특징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정보를 조합하여 입력 영상 기술자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영상 기술자 생성 유닛;
    상기 생성된 상기 입력 영상 기술자가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 영상 기술자와 대응하는지 판정하도록 구성된 영상 기술자 대응 판정 유닛; 및
    상기 영상 기술자 대응 판정 유닛의 상기 판정에 기초하여, 상기 통화 장치를 위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어 데이터 생성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 데이터 생성 유닛은, 상대방 통화 장치로부터 호 설정 요청 수신 시, 상기 판정에 기초하여, 상기 호 설정 요청에 대응한 응답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추가적인 사용자 확인을 요청하는 제어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어 장치.
KR1020080133497A 2008-12-24 2008-12-24 통화 장치 및 그 제어 장치 KR101390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497A KR101390045B1 (ko) 2008-12-24 2008-12-24 통화 장치 및 그 제어 장치
US12/625,297 US20100157034A1 (en) 2008-12-24 2009-11-24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device to generate control data
EP09014810A EP2202969A3 (en) 2008-12-24 2009-11-27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device to generate control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497A KR101390045B1 (ko) 2008-12-24 2008-12-24 통화 장치 및 그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4937A KR20100074937A (ko) 2010-07-02
KR101390045B1 true KR101390045B1 (ko) 2014-04-30

Family

ID=42040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3497A KR101390045B1 (ko) 2008-12-24 2008-12-24 통화 장치 및 그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00157034A1 (ko)
EP (1) EP2202969A3 (ko)
KR (1) KR1013900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79385B (zh) * 2013-03-29 2016-04-27 苏州皓泰视频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多核处理器的可扩展nvr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7158A (ko) * 2001-05-14 2002-11-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단말기에서 범용 직렬 버스를 이용한 인터넷화상전화 구현 방법
JP2005303832A (ja) * 2004-04-14 2005-10-27 Nec Corp 携帯端末装置、着信応答メッセージ送信方法およびサーバ装置
KR20070019849A (ko) * 2005-08-11 2007-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의 사용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080050272A (ko) * 2006-12-02 2008-06-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화소 이동 문서 영상 조합 인식 방법을 이용한 카메라 문자인식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73426A4 (en) * 2001-07-12 2009-11-25 Atrua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A BIOMETRIC IMAGE ASSEMBLY OF MULTIPLE PARTIAL BIOMETRIC FRAME SCANS
US7792973B2 (en) * 2002-03-12 2010-09-07 Verizon Business Global Llc Systems and methods for initiating announcements in a SIP telecommunications network
JP4100182B2 (ja) * 2003-01-30 2008-06-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070009139A1 (en) * 2005-07-11 2007-01-11 Agere Systems Inc. Facial recognition device for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JPWO2007119818A1 (ja) * 2006-04-14 2009-08-27 日本電気株式会社 機能ロック解除システム、機能ロック解除方法、および機能ロック解除用プログラム
US7721207B2 (en) * 2006-05-31 2010-05-1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Camera based control
US9317124B2 (en) * 2006-09-28 2016-04-19 Nokia Technologies Oy Command input by hand gestures captured from camera
TWI338492B (en) * 2007-01-05 2011-03-01 Primax Electronics Ltd Communication device
US20090265671A1 (en) * 2008-04-21 2009-10-22 Invensense Mobile devices with motion gesture recognition
US20090320123A1 (en) * 2008-06-20 2009-12-24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recognition employing motion passwords
US8516561B2 (en) * 2008-09-29 2013-08-2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user authorization from motion of a gesture-based control unit
US8788977B2 (en) * 2008-11-20 2014-07-22 Amazon Technologies, Inc. Movement recognition as input mechanis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7158A (ko) * 2001-05-14 2002-11-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단말기에서 범용 직렬 버스를 이용한 인터넷화상전화 구현 방법
JP2005303832A (ja) * 2004-04-14 2005-10-27 Nec Corp 携帯端末装置、着信応答メッセージ送信方法およびサーバ装置
KR20070019849A (ko) * 2005-08-11 2007-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의 사용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080050272A (ko) * 2006-12-02 2008-06-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화소 이동 문서 영상 조합 인식 방법을 이용한 카메라 문자인식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02969A2 (en) 2010-06-30
KR20100074937A (ko) 2010-07-02
EP2202969A3 (en) 2012-03-14
US20100157034A1 (en) 201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43494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оступа к сети
US979260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motion expression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6356060B (zh) 语音通信方法及装置
RU2653251C2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для запуска целевой функции
US20170060260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necting external equipment
EP3223147A2 (en) Method for accessing virtual desktop and mobile terminal
EP298602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video quality based on network environment
CN111988555B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和机器可读介质
US20180091328A1 (en) Prompting method, prompting device and prompting system
CN113078921B (zh) 数据处理方法、装置以及存储介质
US114449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processing
US20170171508A1 (en) Method and Device for Inputting Audio and Video Information
CN107885016B (zh) 全息投影方法及装置
CN111294881A (zh) 网络链路切换方法及装置、客户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390045B1 (ko) 통화 장치 및 그 제어 장치
CN105227426B (zh) 一种应用界面切换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10248347B (zh) 通话异常检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4374880B (zh) 联合直播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07281600A (ja)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ンツ切替方法
KR101728271B1 (ko) 정보 조회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100625376B1 (ko) Tv 전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상 전화 서비스 방법
JP2015023485A (ja) 特定音付き音声コマンド対応情報端末
US2014002000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voice communication function
US20190007982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establishing call connection
KR100631585B1 (ko) 카메라폰의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