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7453A - 기록 매체, 기록 재생 장치, 기록 재생 방법 - Google Patents

기록 매체, 기록 재생 장치, 기록 재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7453A
KR20050097453A KR1020047015118A KR20047015118A KR20050097453A KR 20050097453 A KR20050097453 A KR 20050097453A KR 1020047015118 A KR1020047015118 A KR 1020047015118A KR 20047015118 A KR20047015118 A KR 20047015118A KR 20050097453 A KR20050097453 A KR 20050097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detection
disc
recording
detec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5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키노리 마쓰다
도키오 가나다
가즈히토 구리타
미노루 도비타
아키히로 노다
요시로 아리카와
신이치 나카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97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745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28Indicating or preventing prior or unauthorised use, e.g. cassettes with sealing or locking means, write-protect devices for discs
    • G11B23/283Security features, e.g. digital codes
    • G11B23/285Security features, e.g. digital codes on the container or cartridg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1/0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11/1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 G11B11/105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 G11B11/1059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1/10597Adaptations for transducing various formats on the same or different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1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distinguishing features of or on records, e.g. diameter end mar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02Auxiliary features
    • G11B23/0303Write protect features with a sliding par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for flexibl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28Indicating or preventing prior or unauthorised use, e.g. cassettes with sealing or locking means, write-protect devices for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1/0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11/1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 G11B11/105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 G11B11/1055Disposition or mounting of transducer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G11B11/10576Disposition or mounting of transducer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transducers for maintaining alignment or spacing relative to the carrier
    • G11B11/10578Servo format, e.g. prepits, guide tracks, pilot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1/0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11/1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 G11B11/105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 G11B11/1058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r by the structure or form
    • G11B11/1058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r by the structure or form characterised by the form, e.g. comprising mechanical protectio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다종(多種)의 디스크에 대응하여 종별 판별 및 기록 가부 판단을 실행할 수 있는 기록 매체이다. 카트리지의 검출 구멍 개폐 수단은 검출 구멍을 폐쇄 상태로 한 경우에, 해당 검출 구멍의 위치에서 상기 카트리지의 기준 평면에 대하여 대략 수평의 평면을 형성 하도록 구성한다. 또, 카트리지에는 적어도 제1, 제2 검출 구멍이 형성되고, 제2 검출 구멍(H1)은 상기 개폐 수단에 의해 개폐되는 동시에, 제1 검출 구멍(H0)은 항상 개방 상태로되어 있다.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또는 디스크 판별 방법에서는, 카트리지에 형성되는 하나 또는 복수 검출 구멍의 개폐 상태와, 장전된 기록 매체로부터의 반사광에 따른 신호를 사용한 디스크 종별의 결과에 의해, 디스크 종별과 함께 상기 검출 구멍에 의한 판별 정보 내용(예를 들면 기록 가부)을 판별한다.

Description

기록 매체, 기록 재생 장치, 기록 재생 방법 {RECORDING MEDIUM, RECORDING/REPRODUCTION DEVICE, AND RECORDING/REPRODUCTION METHOD}
본 발명은 디스크가 카트리지에 수납된 형태의 기록 매체와 기록 재생 장치, 및 디스크 판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년에, 각종 기록 매체가 개발되고, 또 고밀도 기록 등에 의한 기록 용량의 확대도 진행되고 있다. 또한 신규 기록 매체의 개발에 따라서는, 과거의 기록 매체와의 호환성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해진다.
이와 같은 사정 때문에, 하나의 범주(그룹)의 기록 매체로서, 다양한 종별의 기록 매체가 병존하는 상황이 생겼다.
현재 보급되고 있는 미니 디스크(MD: MINI DISC)를 예로 든다. 미니 디스크는 최초에 오디오 기록 용도로서 개발되고, 그 때는 디스크 상에 데이터를 모두 엠보스 피트로 기록하는 재생 전용의 디스크와, 광자기 디스크를 이용하여 자계 변조 방식으로 기록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측에서 음악 등의 녹음이 가능한 기록 재생형의 디스크가 준비되었다.
그 후, 오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컴퓨터 사용의 데이터 등도 기록 재생할 수 있도록, MD-Data로 불려지는 포맷이 개발되고, 다시 근년에 보다 범용적으로 데이터를 취급하는 동시에, 현저한 고밀도화를 실현한 디스크(Hi-MD로 불린다)가 개발되고 있다. 또, Hi-MD로 불려지는 신규 디스크 중에서도, 더욱 신규 디스크가 개발되고 있다.
이들은 이른바 미니 디스크로서의 범주에 있어서의 각종 디스크이지만, 각각 대략 동일 형상이며 동일 사이즈의 카트리지에 수납된 디스크이며, 미니 디스크에 대응하는 기록 재생 장치(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장전 가능하다.
그러나, 미니 디스크 대응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로서도, 당연하지만 구래(舊來)의 기종, 즉, 구래의 종별 디스크에게만 대응하는 기종이 존재하고, 그 구래 기종에서는, 신규 종별 디스크는 장전은 가능하지만, 신규 포맷에서의 데이터 기록을할 수 없거나, 또는 동작 에러나 데이터 파괴를 일으키는 경우가 고려된다.
이 때문에, 다양한 종별 디스크와, 각각의 세대마다 개발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와의 각종 조합에 있어서, 적어도 동작 에러나 데이터 파괴 등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들 때문에,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측에서는, 동일 범주에 있어서의 다양한 종별 디스크를 적확하게 판별하는 것이 요구된다. 종래의 디스크 판별 기술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상기 일본국 특개평 5(1993)-144165호 공보, 특개평 8(1996)-321129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다.
또, 구래 기종에서의 신개발 디스크에 대한 문제를 없애는 것이 요구된다.
특히 구래 기종의 대응을 고려하면, 디스크의 기록 가부(可否)(오소거 방지)의 관리 문제가 크다.
예를 들면, 미니 디스크 방식의 범주에서는, 카트리지에 기록 가부의 검출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사용자가 카트리지에 설치된 슬라이더를 조작함으로써 검출 구멍을 개폐하여, 데이터 기록 금지 상태(오소거 방지 상태)와, 기록 가능 상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검출 구멍에 의한 기록 가부 검출에 대해서는, 상기 일본국 특개평 8(1996)-96552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 5(1993)-36234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 5(19930-144165호 공보 등에 기술되어 있다.
여기에서 구래 기종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 대응 불가능한 신규 디스크에 대해서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구래 기종으로부터 봐서 기록 금지가 되도록 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런데, 상기 검출 구멍에 의해 구래 기종에 대하여 항상 「기록 금지」로 인식시키는 경우, 신규 기종로서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는, 그 검출 구멍을 기록 가부의 판단에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기록 가부 판별을 위한 다른 검출 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발생한다. 한편, 그와 같이 하면, 이번에는 신규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는, 구래 디스크의 검출 구멍에 의한 기록 가부 판별에 지장을 초래한다.
또한, 신규 디스크의 개발에 따라, 검출 구멍을 늘리는 것은 기기측에서의 검출 수단도 늘리는 것에 연결되어, 코스트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 소형화나 박형화의 방해도 된다.
예를 들면, 이와 같이 데이터 기록 가부의 관리에 대해서도, 디스크 종별의 증가에 따라 곤란해지고, 또 당연히,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는 다양한 종별의 디스크를 정확하게 판별하여, 적정한 처리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다양한 종별의 기록 매체에 대하여, 검출 구멍 등에 대응하는 스위치 등의 검출용 디바이스를 추가 또는 변경하지 않고, 정확한 디스크 종별 판별이나, 적절한 기록 가부의 판별이 구래 기종이나 신규 기종에 관계 없이 가능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록 재생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A) 내지 도 2 (B)는 실시예의 디스크 포맷의 설명도이다.
도 3은 실시예의 기록 재생 장치의 기억 장치부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재생 전용 MD의 검출 구멍의 설명도이다.
도 5는 재생 전용 고밀도 MD의 검출 구멍의 설명도이다.
도 6 (A) 내지 도 6 (B)는 기록 재생 MD 및 고밀도 MD 타입 A의 검출 구멍의 설명도이다.
도 7 (A) 내지 도 7 (B)는 실시예의 고밀도 MD 타입 B/타입 C의 검출 구멍의 설명도이다.
도 8은 실시예의 고밀도 MD 타입 B/타입 C의 카트리지의 설명도이다.
도 9는 실시예의 고밀도 MD 타입 B/타입 C의 검출 구멍의 개폐 기구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실시예의 고밀도 MD 타입 B/타입 C의 검출 구멍의 개폐 기구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실시예의 고밀도 MD 타입 B/타입 C의 검출 구멍의 폐쇄 상태와 카트리지 평면 관계의 설명도이다.
도 12 (A) 내지 도 12 (B)는 실시예의 고밀도 MD 타입 B/타입 C의 검출 구멍의 개폐 기구 변형예의 설명도이다.
도 13 (A) 내지 도 13 (B)는 실시예의 고밀도 MD 타입 B/타입 C의 검출 구멍의 개폐 기구 변형예의 설명도이다.
도 14는 실시예의 디스크 종별 판별을 위한 요소 및 판별 방법 조합의 설명도이다.
도 15는 실시예의 반사율에 의한 판별의 설명도이다.
도 16은 실시예의 위상차에 의한 판별을 위한 구성의 설명도이다.
도 17은 디스크의 그루브 깊이와 위상차 관계의 설명도이다.
도 18은 위상차에 의한 판별 시의 신호 설명도이다.
도 19는 위상차에 의한 판별 시의 신호의 설명도이다.
도 20은 디스크의 그루브 깊이와 PI 신호 및 푸시풀 신호 관계의 설명도이다.
도 21은 재생 전용 MD, 기록 재생 MD, 고밀도 MD 타입 A 영역 구조의 설명도이다.
도 22는 고밀도 MD 타입 B, 재생 전용 고밀도 MD, 고밀도 MD 타입 C 영역 구조의 설명도이다.
도 23은 MD의 P-TOC 설명도이다.
도 24는 MD의 U-TOC 설명도이다.
도 25는 MD의 디스크 상의 영역 구조의 설명도이다.
도 26 (A) 내지 도 26 (B)는 각 종별의 MD의 어드레스 구조의 설명도이다.
도 27은 실시예의 디스크 종별 판별 방법 <1>의 플로차트이다.
도 28은 실시예의 디스크 종별 판별 방법 <2>의 플로차트이다.
도 29는 실시예의 디스크 종별 판별 방법 <3>의 플로차트이다.
도 30은 실시예의 디스크 종별 판별 방법 <4>의 플로차트이다.
도 31은 실시예의 디스크 종별 판별 방법 <5>의 플로차트이다.
도 32는 실시예의 디스크 종별 판별 방법 <6>의 플로차트이다.
도 33 (A) 내지 도 33 (B)는 실시예의 검출 구멍 모드의 설명도이다.
도 34는 실시예의 기록 가부 판별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도 35는 실시예의 기록 가부 판별 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의 기록 매체는 기록 디스크가 카트리지에 수납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기준 평면 상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검출 구멍과, 상기 검출 구멍을 개폐하고, 상기 검출 구멍을 폐쇄 상태로하는 경우에는, 상기 검출 구멍의 위치에서 상기 카트리지의 기준 평면에 대하여 대략 수평의 평면을 형성하는 개폐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기록 매체는 적어도 제1 검출 구멍과 제2 검출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검출 구멍은 상기 개폐 수단에 의해 개폐되는 동시에, 상기 제1 검출 구멍은 항상 개방 상태로되어 있다.
상기 기록 매체의 외형은 적어도 제1 검출 구멍과 제2 검출 구멍이 디스크가 수납된 카트리지의 기준 평면 상의 규정된 소정 위치에 구비된 다른 기록 매체의 카트리지 외형와 대략 동일하고, 상기 기록 매체와 상기 다른 기록 매체와는 동일 장치에 장전 가능한 범주의 기록 매체로, 상기 기록 매체의 제2 검출 구멍은 개방 상태에서 기록 금지를 나타내고, 상기 다른 기록 매체의 제1 검출 구멍은 개방 상태에서 기록 금지를 나타내고, 제2 검출 구멍은 디스크의 반사율을 나타낸다.
상기 기록 매체의 제2 검출 구멍의 개폐는 상기 카트리지의 소정 장소에 형성된 조작 돌기의 조작에 따라 실행되며, 상기 기록 매체의 조작 돌기의 조작 방향에 따른 상기 기록 매체의 제2 검출 구멍의 개폐와 상기 다른 기록 매체의 조작 돌기의 조작에 의한 상기 다른 기록 매체의 제1 검출 구멍의 개폐 조작 방향이 동일하다.
상기 조작 돌기의 조작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개폐 수단의 두께는 상기 제1 검출 구멍의 하면부 두께보다 두껍게 한다.
본 발명의 기록 재생 장치는 복수 종별 디스크 중 하나의 종별 디스크가 소정 형상의 카트리지에 수납된 기록 매체를 기록 재생하는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복수 검출 구멍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 검출 수단과, 장전된 상기 기록 매체에 광신호를 조사하고, 상기 디스크로부터의 반사광에 따라 장전된 상기 카트리지에 수납되어 있는 디스크의 종별을 판별하는 종별 판별 수단과, 상기 종별 판별 수단의 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카트리지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검출 구멍의 구멍 종별을 결정하는 구멍 종별 결정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결정되는 구멍 종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디스크에 대한 기록 금지를 나타낸다.
상기 카트리지의 제1 소정 위치에는 제1 검출 구멍이 규정되고, 제2 소정 위치에는 제2 검출 구멍이 규정되어 있고, 제1 종별 디스크가 수납된 기록 매체의 상기 제2 검출 구멍의 개방 상태는 디스크에 대한 기록 금지 상태를 나타내고, 제2 종별 디스크가 수납된 기록 매체의 상기 제1 검출 구멍의 개방 상태는 디스크에 대한 기록 금지 상태를 나타내고, 상기 제2 검출 구멍은 디스크의 반사율을 나타내고, 상기 종별 판별 수단의 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검출 구멍의 어느 개방 상태가 디스크에 대한 기록 금지를 나타내는지를 결정한다.
상기 종별 판별 수단은 상기 디스크로부터의 반사광으로부터 검출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크의 반사율 검출, 상기 신호의 위상차 검출, 기록 매체가 구비하는 관리 정보 검출, 기록 매체가 구비하는 어드레스 구조 검출, 기록 매체의 특정 영역 검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디스크 종별을 판별한다.
또, 상기 종별 판별 수단은 상기 반사율 검출과 상기 위상차 검출과 상기 관리 정보 검출과 상기 구조 검출의 검출 결과에 따라 판별을 실행한다.
또, 상기 종별 판별 수단은 상기 반사율 검출과 상기 관리 정보 검출과 상기 구조 검출의 검출 결과에 따라 판별을 실행한다.
또, 상기 종별 판별 수단은 상기 관리 정보 검출과 상기 특정 영역 검출의 검출 결과와 상기 구멍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따라 디스크 종별을 판별한다.
본 발명의 기록 재생 방법은 복수 종별 디스크 중 하나의 종별 디스크가 소정 형상의 카트리지에 수납된 기록 매체에 기록 재생하는 기록 재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복수 검출 구멍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구멍 검출 스텝과, 장전된 상기 기록 매체에 광신호를 조사하고, 상기 디스크로부터의 반사광에 따라 장전된 상기 카트리지에 수납되어 있는 디스크의 종별을 판별하는 종별 판별 스텝과, 상기 종별 판별의 결과에 따라, 상기 카트리지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검출 구멍의 구멍 종별을 결정하는 구멍 종별 결정 스텝을 포함한다.
상기 결정되는 구멍의 종별은 상기 디스크에 대한 기록의 가부를 나타내는 종별이다.
상기 카트리지의 제1 소정 위치에는 제1 검출 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규정되고, 상기 카트리지의 제2 소정 위치에는 제2 검출 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규정되고, 제1 종별 디스크의 상기 제1 검출 구멍이 개방 상태에서 디스크에 대한 기록 금지를 나타내고, 제2 종별 디스크의 상기 제2 검출 구멍이 개방 상태에서 디스크에 대한 기록 금지를 나타내는 동시에, 상기 제1 검출 구멍은 상기 디스크의 반사율을 나타낸다.
이하, 미니 디스크 시스템으로서의 범주의 기록 매체 및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은 다음의 순서로 실행한다.
1. 기록 재생 장치(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구성
2. 디스크 종별
3. 기억 장치부의 구성
4. 카트리지 검출 구멍
5. 디스크 종별 판별
6. 기록 가부 판별 처리
1.기록 재생 장치(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구성
실시예로서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는 자계 변조 방식으로 데이터 기록을 하는 광자기 디스크인 미니 디스크(MD) 방식의 디스크에 대한 기록 재생 장치이다. 단, 이미 보급되어 있는 음악 용도의 미니 디스크뿐만 아니라, 보다 고밀도 기록을 가능하게 하고, 비디오 데이터 외에, 컴퓨터 사용의 각종 데이터 기억 장치에 이용할 수 있는 고밀도 디스크에 대해서도 대응 가능한 기록 재생 장치이다.
도 1에 의해 본 실시예의 기록 재생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에서는, 본 실시예의 기록 재생 장치(1)가,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또는 네트워크)(100)로서 외부의 기기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 가능한 기기로서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기록 재생 장치(1)는 퍼스널 컴퓨터(100)와 USB 케이블 등의 전송로(101)로 접속됨으로써, 퍼스널 컴퓨터(100)에 대한 외부 기억 장치 기기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 퍼스널 컴퓨터(100)를 통하거나, 또는 직접 네트워크와 접속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는 등 하여 네트워크 접속됨으로써, 음악이나 각종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고, 기록 재생 장치(1)에서 기억 장치부(2)에 장전된 디스크(MD)에 보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 기록 재생 장치(1)는 퍼스널 컴퓨터(100) 등에 접속하지 않아도, 예를 들면 AV(오디오·비디오) 기기로서 기능한다. 예를 들면 다른 AV 기기 등으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나 비디오 데이터(AV 데이터)를 디스크에 기록하거나, 디스크에 기록된 음악 데이터 등을 재생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기록 재생 장치(1)는 퍼스널 컴퓨터(100) 등에 접속됨으로써 범용적인 데이터 기억 장치 기기로서 이용할 수 있고, 또한 단체(單體)로서는 AV 대응의 기록 재생 기기로서도 이용할 수 있는 장치이다.
기록 재생 장치(1)는 기억 장치부(2), 캐시 메모리(3), USB 인터페이스(4), 입출력 처리부(5), 표시부(6), 조작부(7), 시스템 컨트롤러(8), ROM(9), RAM(10), 캐시 관리 메모리(11), NV-RAM(12)을 구비한다.
기억 장치부(2)는 장전된 디스크에 대한 기록/재생을 실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이른바 미니 디스크 방식의 디스크 및 거기에 대응하는 기억 장치부(2)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캐시 메모리(3)는 기억 장치부(2)에서 디스크에 기록하는 데이터, 또는 기억 장치부(2)에 의해 디스크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에 대한 버퍼링을 실행하는 캐시 메모리이다. 예를 들면 D-RAM(2)으로 구성된다.
캐시 메모리에의 데이터의 기록/판독은 시스템 컨트롤러(CPU)(8)에서 기동(起動)되는 태스크에 의해 제어된다.
USB 인터페이스(4)는,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100)와 USB 케이블로서의 전송로(101)로 접속되었을 때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입출력 처리부(5)는, 예를 들면 기록 재생 장치(1)가 단체로 오디오 기기로서 기능하는 경우에 기록 재생 데이터의 입출력을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시스템 컨트롤러(8)는 기록 재생 장치(1) 내의 전체의 제어를 실행하는 동시에, 접속된 퍼스널 컴퓨터(100) 사이의 통신 제어를 실행한다.
ROM(9)에는 시스템 컨트롤러(8)의 동작 프로그램이나 고정 파라미터 등이 기억된다.
RAM(10)은 시스템 컨트롤러(8)에 의한 워크 영역으로서 사용되고, 또 각종 필요한 정보의 저장 영역이 된다.
예를 들면 기억 장치부(2)에 의해 디스크로부터 판독된 각종 관리 정보나 특수 정보를 기억한다. 예를 들면 P-TOC 데이터, U-TOC 데이터, 플레이 리스트 데이터, FAT 데이터, 유니크 ID, 해시값 등을 기억한다. P-TOC 데이터, U-TOC 데이터는 미니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음악 트랙 등의 관리 정보이다. 또 본 실시예의 기록 재생 장치(1)가 대응할 수 있는 미니 디스크 방식에 따른 고밀도 디스크는 P-TOC, U-TOC, 또는 P-TOP으로 불려지는 관리 형식 위에, FAT 파일 시스템을 구축한 것이다. 플레이 리스트는 고밀도 디스크에 있어서 ATRAC 방식 등에 의한 음악 데이터 등의 어드레스 등을 관리하는 정보로서, FAT 시스템 상 하나의 파일로서 기록되는 것이다. 고밀도 디스크가 장전된 경우에는, 이들 FAT나 플레이 리스트의 정보도 판독하게 된다. 유니크 ID, 해시값 등은 퍼스널 컴퓨터(100) 등 사이에서의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의 인증 처리나 암호화/복호에 이용되는 정보이다.
캐시 관리 메모리(11)는, 예를 들면 S-RAM으로 구성되며, 캐시 메모리(3)의 상태를 관리하는 정보가 저장된다. 시스템 컨트롤러(8)는 캐시 관리 메모리(11)를 참조하면서 데이터 캐시 처리의 제어를 실행한다. 캐시 관리 메모리(11)의 정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NV-RAM(불휘발성 RAM)(12)은 전원 오프 시에도 소실시키지 않는 데이터의 저장 영역으로서 이용된다.
표시부(6)는 시스템 컨트롤러(8)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에 대하여 제시해야 할 각종 정보의 표시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동작 상태 모드 상태, 악곡 등 데이터의 명칭 정보, 트랙 넘버, 시간 정보, 그 밖의 정보 표시를 실행한다.
조작부(7)에는,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각종 조작자로서, 조작 키나 죠그 다이얼 등이 형성된다. 사용자는 기록·재생, 데이터 통신을 위한 소요 동작을 조작부(7)를 조작하여 지시한다. 시스템 컨트롤러(8)는 조작부(7)에 의해 입력된 조작 정보에 따라 소정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퍼스널 컴퓨터(100) 등이 접속되었을 때의, 시스템 컨트롤러(8)에 의한 제어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된다.
시스템 컨트롤러(8)는 USB 인터페이스(4)를 통해 접속된 퍼스널 컴퓨터(100) 사이에서 통신 가능하게 되며, 기록 요구, 판독 요구 등의 커맨드 수신이나 스테이터스 정보 그 밖의 필요 정보의 송신 등을 실행한다.
시스템 컨트롤러(8)는, 예를 들면 디스크가 기억 장치부(2)에 장전 되는 것에 따라, 디스크로부터의 관리 정보 등의 판독을 기억 장치부(2)에 지시하고, 캐시 메모리(3)를 통해 수납하여 RAM(10)에 저장시킨다.
P-TOC, U-TOC, 또는 P-TOP의 관리 정보를 판독시킴으로써, 시스템 컨트롤러(8)는 디스크의 트랙 기록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 유니크 ID나 해시값에 의해, 디스크 인증 그 밖의 처리를 실행하거나, 또는 이들 값을 퍼스널 컴퓨터(100)에 송신하여 처리시킬 수 있다.
퍼스널 컴퓨터(100)로부터 어느 데이터의 판독 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시스템 컨트롤러(8)는 기억 장치부(2)에 해당 데이터의 판독을 실행시킨다. 단, 이미 해당 요구된 데이터가 이미 캐시 메모리(3)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억 장치부(2)에 의한 판독은 필요없다. 이른바 캐시 히트이다.
그리고 시스템 컨트롤러(8)는 캐시 메모리(3)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판독하게 하고, USB 인터페이스(4)를 통해 퍼스널 컴퓨터(100)에 송신시키는 제어를 실행한다.
퍼스널 컴퓨터(100)로부터 어느 데이터의 기록 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시스템 컨트롤러(8)는 전송되어 오는 데이터를 캐시 메모리(3)에 저장시킨다. 그리고, 캐시 메모리(3)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억 장치부(2)에 의해 디스크에 기록시킨다.
그리고, 디스크에 대한 데이터 기록은 클러스터라고 하는 단위가 최소 단위로 실행되게 된다. 예를 들면 클러스터는 32FAT 섹터이다.
만약, 퍼스널 컴퓨터(100) 등이 기록 요구한 데이터량이 수 섹터 등으로서 1클러스터에 못 미친 경우, 블로킹으로 불려지는 처리를 한다. 즉 시스템 컨트롤러(8)는 기억 장치부(2)에, 먼저 해당 FAT 섹터를 포함하는 클러스터의 판독을 실행시킨다. 판독된 클러스터 데이터는 캐시 메모리(3)에 기록된다.
그리고 시스템 컨트롤러(8)는 퍼스널 컴퓨터(100)으로부터의 FAT 섹터의 데이터(기록 데이터)를 USB 인터페이스(4)를 통해 캐시 메모리(3)에 공급시키고, 저장되어 있는 클러스터 데이터에 대하여, 해당하는 FAT 섹터의 데이터 재기록을 실행시킨다.
그리고 시스템 컨트롤러(8)는 필요한 FAT 섹터가 재기록 상태에서 캐시 메모리(3)에 기억되어 있는 클러스터 데이터를, 기록 데이터로서 기억 장치부(2)에 전송시킨다. 기억 장치부(2)에서는, 해당 클러스터 단위의 데이터를 디스크에 기록한다.
그리고, 이상은,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100)와의 전송에 따른 데이터의 기록 재생을 위한 제어이며, 예를 들면 미니 디스크 방식의 오디오 데이터 등의 기록 재생 시의 데이터 전송은 입출력 처리부(5)를 통해 실행된다.
입출력 처리부(5)는, 예를 들면 입력계로서, 라인 입력 회로/마이크로폰 입력 회로 등의 아날로그 음성 신호 입력부, A/D 변환기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입력부를 구비한다. 또 ATRAC 압축 인코더/디코더를 구비한다. ATRAC 압축 인코더/디코더는 ATRAC 방식에 의한 오디오 데이터의 압축/신장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회로이다. 그리고, 물론이거니와, 본 실시예의 기록 재생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MP3 등 다른 포맷에 의한 압축 오디오 데이터가 기록 재생 가능한 구성을 채용해도 되고, 이 경우에는, 이들 압축 오디오 데이터의 포맷에 대응한 인코더/디코더를 구비하면 된다.
또, 본 실시예로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관해서는 특히 기록 재생 가능한 포맷의 한정은 실행하지 않지만, 예를 들면 MPEG4 등이 고려된다. 그리고, 입출력 처리부(5)로서는 이와 같은 포맷에 대응한 인코더/디코더를 구비하면 되게 된다.
또한 입출력 처리부(5)는 출력계로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출력부나, D/A 변환기 및 라인 출력 회로/헤드폰 출력 회로 등의 아날로그 음성 신호 출력부를 구비한다.
또, 이 경우의 입출력 처리부(5) 내에는 암호 처리부(5a)가 구비된다. 암호 처리부(5a)에서는, 예를 들면 디스크에 기록해야 할 AV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 알고리즘에 의한 암호화 처리를 실시하게 된다. 또, 예를 들면 디스크로부터 판독된 AV 데이터에 대하여 암호화가 실시되고 있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암호 해독을 위한 복호 처리도 실행하게 되어 있다.
입출력 처리부(5)를 통한 처리로서 디스크에 오디오 데이터가 기록되는 것은, 예를 들면 입력 TIN으로서 입출력 처리부(5)에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또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이다. 입력된 리니어 PCM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또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입력되고 A/D 변환기로 변환되어 얻어진 리니어 PCM 오디오 데이터는 ATRAC 압축 인코드되어 캐시 메모리(3)에 축적된다. 그리고 소정 타이밍(ADIP 클러스터 상당의 데이터 단위)으로 캐시 메모리(3)로부터 판독되어 기억 장치부(2)에 전송된다. 기억 장치부(2)에서는, 전송되어 오는 압축 데이터를 소정 변조 방식으로 변조하여 디스크에 기록한다.
디스크로부터 미니 디스크 방식의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되는 경우에는, 기억 장치부(2)는 재생 데이터를 ATRAC 압축 데이터 상태로 복조하여 캐시 메모리(3)에 전송 한다. 그리고 캐시 메모리(3)로부터 판독되어 입출력 처리부(5)에 전송된다. 입출력 처리부(5)는 공급되어 오는 압축 오디오 데이터에 대하여 ATRAC 압축 디코드를 실행하여 리니어 PCM 오디오 데이터로 하고,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출력부로부터 출력한다. 또는 D/A 변환기에 의해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서 라인 출력/헤드폰 출력을 실행한다.
그리고, 이 도 1의 기록 재생 장치(1)의 구성은 일례이며, 예를 들면 입출력 처리부(5)는 오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입출력 처리계를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또, 퍼스널 컴퓨터(100)와의 접속은 USB가 아니고, IEEE1394 등 다른 외부 인터페이스가 이용되어도 된다.
2. 디스크 종별
본 실시예의 기록 재생 장치(1)에서 기록 매체가 되는 디스크는 미니 디스크 방식의 디스크이다. 특히 종전의 음악용 미니 디스크뿐만 아니라, 컴퓨터 사용의 각종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고밀도 디스크에도 대응한다.
먼저 여기에서, 미니 디스크 방식으로서의 범주에 속하고, 본 예의 기록 재생 장치(1)에 장전 가능한 각종 종별의 미니 디스크에 대하여 설명해 둔다.
또한 구별을 위해, 각 종별의 미니 디스크 명칭으로서, 「재생 전용 MD」 「기록 재생 MD」 「고밀도 MD 타입 A」 「고밀도 MD 타입 B」 「재생 전용 고밀도 MD」 「고밀도 MD 타입 C」라고 하는 용어를 사용한다. 이들은 어디까지나 본 명세서에서의 설명 상의 명칭이다. 각 종별의 디스크는 다음과 같은 것이다.
재생 전용 MD란, 일반적으로 프리마스더드 디스크로 불려지는 재생 전용의 오디오 용도의 MD를 가리킨다. 데이터는 모두 엠보스 피트로 기록된다.
기록 재생 MD란, 광자기 디스크으로서 형성되고, 자계 변조 방식으로 데이터의 기록 재생이 가능하게 된 MD이며, 오디오 용도로 된 MD를 가리킨다.
이들 재생 전용 MD와 기록 재생 MD는 이른바 제1 세대의 MD이며, 오디오 MD으로서 현재 널리 보급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세대의 MD의 뒤에, 오디오 용도를 확장하여 일반 데이터 기록 용도로 개발된, MD-DATA로 불려지는 것이 존재하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MD-DATA는 상기 기록 재생 MD 또는 재생 전용 MD에 속하는 것으로서 취급한다.
그 후, MD 방식에 따라 고밀도화를 진행시킨 차세대 MD가 개발되었다. 이들을 고밀도 MD로 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고밀도 MD는 「Hi-MD」로도 불려지는 디스크이며, 범용적인 데이터 기억 장치 용도에 대응 가능하게 되며, 또 제1 세대 MD에 비해 배 이상의 기록 용량을 실현했다.
그리고 그 고밀도 MD로서도 개발이 진행되어, 현재 상태에서는 여러 종류의 종별이 존재한다. 이들을 상기와 같이 「고밀도 MD 타입 A」 「고밀도 MD 타입 B」 「고밀도 MD 타입 C」로 부르기로 한다. 이들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록 매체에 상당한다.
고밀도 MD 타입 A는 「Hi-MD1」로 불려지는 디스크이다.
고밀도 MD 타입 B는 「Hi-MD1.5」로 불려지는 디스크이다.
고밀도 MD 타입 C는 「Hi-MD3」으로 불려지는 디스크이다.
또 고밀도 MD 타입 B(Hi-MD1.5)에 대해서는, 엠보스 피트에 의한 재생 전용형도 고려되고 있으며, 이것을 고밀도 MD 타입 B와 구별하는 의미에서 「재생 전용 고밀도 MD」로 부르기로 한다.
그리고, 고밀도 MD 타입 B/타입 C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록 매체에 상당한다.
여기에서 도 2 (A) 내지 도 2 (B)에, 재생 전용 MD, 기록 재생 MD 및 MD-DATA를 규정으로 한 제1 세대의 MD와, 고밀도 MD 타입 A, 고밀도 MD 타입 B, 재생 전용 고밀도 MD, 고밀도 MD 타입 C를 규정한 고밀도 MD의 규격을 비교하여 나타낸다.
도 2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세대의 MD 및 MD-DATA의 포맷으로서는, 트랙 피치는 1.6㎛, 비트 길이는 0.59㎛/bit가 된다. 또, 레이저 파장 λ=780nm가 되고, 광학 헤드의 개구 비율 NA=0.45가 된다.
기록 재생 MD에서는, 기록 방식으로서는 그루브 기록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즉, 디스크 반면(盤面) 상에 형성된 홈(그루브)을 트랙으로서 기록 재생에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어드레스 방식으로서는, 싱글 스파이럴에 의한 그루브(트랙)를 형성한 다음, 이 그루브의 양측에 대하여 어드레스 정보로서의 워블을 형성한 워블드 그루브를 이용하는 방식을 채용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는, 워블링에 의해 기록되는 절대 어드레스를 ADIP(Address in Pregroove)라고도 부른다.
재생 전용 MD에서는 그루브는 형성되지 않고, 엠보스 피트열에 의해 트랙이 형성되어 있고, 또 어드레스는 데이터와 함께 기록된다.
이들 제1 세대의 MD에서는, 기록 데이터의 변조 방식으로서는 EFM(8-14 변환)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또, 에러 정정 방식으로서는 ACIRC(Advanced Cross Interleave Reed-So1omon Code)가 채용되고 데이터 인터리브에는 콘벌루션(convolution)형을 채용하고 있다. 데이터의 용장도(冗長度)는 46.3%가 된다.
또, 데이터의 검출 방식은 비트 바이 비트 방식이다. 디스크 구동 방식으로서는 CLV(Constant Linear Verocity)가 채용되어 있고, CLV의 선속도로서는, 1.2m/s가 된다.
그리고, 기록 재생 시의 표준 데이터 속도로서는 133kB/s가 되고, 기록 용량으로서는 164MB(MD-DATA에서는 140MB)가 된다.
또 클러스터라고 하는 데이터 단위가 데이터의 최소 재기록 단위가 되지만, 이 클러스터는 32개의 메인 섹터와 4개의 링크 섹터에 의한 36섹터로 구성된다.
한편, 고밀도 MD로서는 현재 상태에서, 2개의 규격이 존재한다. 즉 고밀도 MD 타입 A 및 타입 B(재생 전용 고밀도 MD를 포함한다)로서의 규격과, 더욱 고밀도화가 실현된 고밀도 MD 타입 C로서의 규격이다.
먼저, 고밀도 MD 타입 A/타입 B의 경우에는, 트랙 피치가 1.5∼1.6㎛, 선밀도 0.437㎛/bit이며, 기록 용량으로서는 300MB까지 높아지고 있다. 또, 표준 속도에서의 전송 속도는 4.37Mbps, 선속도는 2.4m/sec으로 되어 있다.
또, 고밀도 MD 타입 C의 경우에는, 트랙 피치가 1.25㎛, 선밀도 0.16㎛/bit이며, 기록 용량은 1GB까지 높아지고 있다. 또, 표준 속도에서의 전송 속도는 9.83Mbps, 선속도는 1.98m/sec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2 (B)에는 나타내고 있지 않지만, 고밀도 MD에 있어서의 기록 데이터의 변조 방식으로서는, 고밀도 기록에 적합하게 되는 RLL(1, 7)PP 방식[RLL; Run Length Limited, PP: Parity preserve/Prohibit rmtr(repeated minimum transition run length)]가 채용되고, 에러 정정 방식으로서는, 보다 정정 능력이 높은 BIS(Burst Indicator Subcode) 첨부의 RS-LDC(Reed Solomon-Long Distance Code)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데이터 인터리브에는 블록 완결형이 채용된다. 데이터의 용장도는 20.50%가 된다.
또 데이터의 검출 방식은 파셜 리스폰스 PR(1, 2, 1)ML를 사용한 비터비 복호 방식이 된다.
또한 RLL(1-7) 변조 및 RS-LDC 에러 정정 방식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11(1999)-346154호 공보」나, 「국제 특허 공개 공보 WO00/07300」 등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이다.
또 디스크 구동 방식은 CLV(Constant Linear Verocity) 또는 ZCAV(Zone Constant Angular Verocity)이다.
3. 기억 장치부의 구성
도 1에 나타낸 기억 장치부(2)는 이상과 같은 제1 세대의 MD와 범용 데이터 기록 매체로서의 고밀도 MD에 대응할 수 있는 디스크 드라이브부가 된다.
이 기억 장치부(2)의 구성예를 도 3에 나타낸다.
도시하는 디스크(90)는 전술한 각종 디스크이다. 디스크(90)는 카트리지(91)에 수납되어 있다.
기억 장치부(2)에서는, 장전된 디스크(90)를 스핀들 모터(30)에 의해 CLV 방식으로 회전 구동시킨다.
이 디스크(90)에 대해서는 기록/재생 시에 광학 헤드(20)에 의해 레이저 광이 조사된다.
광학 헤드(20)는 기록 시에는 기록 트랙을 퀴리 온도까지 가열하기 위한 고레벨의 레이저 출력을 실행하고, 또 재생 시에는 자기 카 효과에 의해 반사광으로부터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비교 적저레벨의 레이저 출력을 실행한다. 이 때문에, 광학 헤드(20)에는 여기에서는 상세한 도시는 생략지만 레이저 출력 수단으로서의 레이저 다이오드, 편광 빔 분할기나 대물 렌즈 등으로 이루어지는 광학계, 및 반사광을 검출하기 위한 포토디텍터가 탑재되어 있다. 광학 헤드(20)에 구비되는 대물 렌즈로서는, 예를 들면 2축 기구에 의해 디스크 반경 방향 및 디스크에 접리(接離)되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또, 디스크(90)를 사이에 두고 광학 헤드(20)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자기 헤드(19)가 배치되어 있다. 자기 헤드(19)는 기록 데이터에 의해 변조된 자계를 디스크(90)에 인가하는 동작을 실행한다.
또, 도시하지 않지만 광학 헤드(20) 전체 및 자기 헤드(19)를 디스크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스레드 모터 및 스레드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이 기억 장치부(2)에서는, 광학 헤드(20), 자기 헤드(19)에 의한 기록 재생 헤드계, 스핀들 모터(30)에 의한 디스크 회전 구동계 외에, 기록 처리계, 재생 처리계, 서보계 등이 설치된다.
기록 처리계에서는, 제1 세대 MD에 대한 기록 시에 제1 변조 방식의 변조(EFM 변조·ACIRC 인코드)를 실행하는 부위와, 고밀도 MD에 대한 기록 시에 제2 변조 방식[RLL(1-7)PP 변조, RS-LDC 인코드]의 변조를 실행하는 부위가 형성된다.
재생 처리계에서는, 제1 세대 MD(및 고밀도 MD의 U-TOC)의 재생 시에 제1 변조 방식에 대한 복조(EFM 복조·ACIRC 디코드)를 실행하는 부위와 고밀도 MD의 재생 시에 제2 변조 방식에 대한 복조[파셜 리스폰스 PR(1, 2, 1) 및 비터비 복호를 사용한 데이터 검출에 따른 RLL(1-7) 복조, RS-LDC 디코드]를 실행하는 부위가 형성된다.
광학 헤드(20)의 디스크(90)에 대한 레이저 조사에 의해 그 반사광으로서 검출된 정보(포토디텍터에 의해 레이저 반사광을 검출하여 얻어지는 광 전류)는 RF 앰프(22)에 공급된다.
RF 앰프(22)에서는 입력된 검출 정보에 대하여 전류-전압 변환, 증폭, 매트릭스 연산 등을 실행하고, 재생 정보로서의 재생 RF 신호, 트래킹 에러 신호 TE, 포커스 에러 신호 FE, 그루브 정보[디스크(90)에 트랙의 워블링에 의해 기록되어 있는 ADIP 정보] 등을 추출한다.
제1 세대 MD의 재생 시에는, RF 앰프에서 얻어진 재생 RF 신호는 EFM 복조부(25) 및 ACIRC 디코더(26)에서 처리된다.
즉 재생 RF 신호는 EFM 복조부(25)에서 2치화되어 EFM 신호열로 된 후, EFM 복조되고, 다시 ACIRC 디코더(26)에서 에러 정정 및 디인터리브 처리된다. 즉 이 시점에서 ATRAC 압축 데이터의 상태로 된다.
그리고 제1 세대 MD의 재생 시에는, 셀렉터(27)는 B 접점측이 선택되어 있고, 해당 복조된 ATRAC 압축 데이터가 디스크(90)로부터의 재생 데이터로서 출력된다. 즉 데이터 버퍼(33)를 통해 기억 장치부(2)로부터 출력되어, 도 1의 캐시 메모리(3)에 압축 데이터가 공급되게 된다.
한편, 고밀도 MD의 재생 시에는, RF 앰프(22)에서 얻어진 재생 RF 신호는 RLL(1-7)PP 복조부(23) 및 RS-LDC 디코더(24)에서 처리된다.
즉 재생 RF 신호는 RLL(1-7)PP 복조부(23)에서, PR(1, 2, 1) 및 비터비 복호를 사용한 데이터 검출에 의해 RLL(1-7) 부호열로서의 재생 데이터를 얻고, 이 RLL(1-7) 부호열에 대하여 RLL(1-7) 복조 처리를 한다. 그리고 다시 RS-LDC 디코더(24)에서 에러 정정 및 디인터리브 처리된다.
그리고 고밀도 MD의 재생 시에는, 셀렉터(27)는 A 접점측이 선택되어 있고, 해당 복조된 데이터가 디스크(90)로부터의 재생 데이터로서 출력된다. 즉 데이터 버퍼(33)를 통해 기억 장치부(2)로부터 출력되어, 도 1의 캐시 메모리(3)에 복조 데이터가 공급되게 된다.
RF 앰프(22)로부터 출력되는 트래킹 에러 신호 TE, 포커스 에러 신호 FE는 서보 회로(28)에 공급되고, 그루브 정보는 ADIP 복조부(31)에 공급된다.
ADIP 복조부(31)는 그루브 정보에 대하여 밴드 패스 필터에 의해 대역 제한하여 워블 성분을 추출한 후, FM 복조, 바이페이즈 복조를 실행하여 ADIP 어드레스를 추출한다.
추출된, 디스크 상의 절대 어드레스 정보인 ADIP 어드레스는 기억 장치 컨트롤러(CPU)(31)에 공급된다. 기억 장치 컨트롤러(32)에서는 ADIP 어드레스에 따라, 필요한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또 그루브 정보는 스핀들 서보 제어를 위해 서보 회로(28)에 공급된다.
서보 회로(28)는, 예를 들면 그루브 정보에 대하여 재생 클록(디코드 시의 PLL계 클록)의 위상 오차를 적분하여 얻어지는 오차 신호에 따라, CLV 서보 제어를 위한 스핀들 에러 신호를 생성한다.
또 서보 회로(28)는 스핀들 에러 신호나, 상기와 같이 RF 앰프(22)로부터 공급된 트래킹 에러 신호 TE, 포커스 에러 신호 FE, 또는 기억 장치 컨트롤러(32)로부터의 트랙 점프 지령, 액세스 지령 등에 따라 각종 서보 제어 신호(트래킹 제어 신호, 포커스 제어 신호, 스레드 제어 신호, 스핀들 제어 신호 등)를 생성하고, 모터 드라이버(29)에 대하여 출력한다. 즉 상기 서보 에러 신호나 지령에 대하여 위상 보상 처리, 게인 처리, 목표값 설정 처리 등의 필요 처리를 실행하여 각종 서보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모터 드라이버(29)에서는, 서보 회로(28)로부터 공급된 서보 제어 신호에 따라 필요한 서보 드라이브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에서의 서보 드라이브 신호로서는, 2축 기구를 구동하는 2축 드라이브 신호(포커스 방향, 트래킹 방향의 2종), 스레드 기구를 구동하는 스레드 모터 구동 신호, 스핀들 모터(30)를 구동하는 스핀들 모터 구동 신호가 된다.
이와 같은 서보 드라이브 신호에 의해, 디스크(90)에 대한 포커스 제어, 트래킹 제어, 및 스핀들 모터(30)에 대한 CLV 제어를 하게 된다.
디스크(90)에 대하여 기록 동작이 실행될 때에는, 캐시 메모리(3)로부터 데이터 버퍼(33)에 데이터가 공급된다.
제1 세대 MD에의 기록 시에는, 셀렉터(17)가 B 접점에 접속되고, 따라서 ACIRC 인코더(15) 및 EFM 변조부(16)가 기능하게 된다.
이 경우, 도시하지 않은 오디오 처리부로부터의 압축 데이터는 ACIRC 인코더(15)에서 인터리브 및 에러 정정 코드 부가를 한 후, EFM 변조부(16)에서 EFM 변조를 한다.
그리고 EFM 변조 데이터가 셀렉터(17)를 통해 자기 헤드 드라이버(18)에 공급되고, 자기 헤드(19)가 디스크(90)에 대하여 EFM 변조 데이터에 따른 자계 인가를 실행함으로써 데이터 기록을 한다.
고밀도 MD에의 기록 시에는, 셀렉터(17)가 A 접점에 접속되고, 따라서 RS-LDC 인코더(13) 및 RLL(1-7)PP 변조부(14)가 기능하게 된다.
이 경우, 캐시 메모리(3)로부터의 고밀도 데이터는 RS-LDC 인코더(13)에서 인터리브 및 RS-LDC 방식의 에러 정정 코드 부가를 한 후, RLL(1-7)PP 변조부(14)에서 RLL(1-7) 변조를 한다.
그리고 RLL(1-7) 부호열로서의 기록 데이터가 실렉터(17)를 통해 자기 헤드 드라이버(18)에 공급되고, 자기 헤드(19)가 디스크(90)에 대하여 변조 데이터에 따른 자계 인가를 실행함으로써 데이터 기록을 한다.
레이저 드라이버/APC(21)는 상기와 같은 재생 시 및 기록 시에 있어서 레이저 다이오드에 레이저 발광 동작을 실행시키지만, 이른바 APC(Automatic Lazer Power Control) 동작도 실행한다.
즉,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광학 헤드(20) 내에는 레이저 파워 모니터용의 디텍터가 설치되고, 그 모니터 신호가 레이저 드라이버/APC(21)에 피드백된다. 레이저 드라이버/APC(21)는 모니터 신호로서 얻어지는 현재의 레이저 파워를, 설정되어있는 레이저 파워와 비교하여, 그 오차분을 레이저 구동 신호에 반영시킴으로써,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 파워가, 설정값으로 안정되도록 제어하고 있다.
그리고, 레이저 파워로서는, 재생 레이저 파워, 기록 레이저 파워로서의 값이 기억 장치 컨트롤러(32)에 의해, 레이저 드라이버/APC(21) 내부의 레지스터에 세트된다.
이상의 각 동작(액세스, 각종 서보, 데이터 기록, 데이터 판독, 데이터 전송의 각 동작)은 시스템 컨트롤러(8)로부터의 지시에 따른 기억 장치 컨트롤러(32)의 제어에 의해 실행된다.
또 후술하지만, 미니 디스크로서의 디스크(90)를 수납하는 카트리지(91)에는, 기록 가부나 디스크 반사율을 나타내기 위한 검출 구멍이 형성되고, 특히 기록 가부의 검출 구멍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기억 장치부(2)에서는, 이와 같은 카트리지(91)의 검출 구멍 상태(개폐 또는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구멍 판별부(34)가 형성되어 있다.
검출 구멍 판별부(34)에는, 디스크 장전 시에 그 카트리지(91) 상의 검출 구멍에 대향하게 되는 위치에 스위치 SW0, SW1이 형성되어 있고, 검출 구멍이 닫혀져 있는 경우(또는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스위치가 밀리는(온) 것으로 되어 있다.
이 스위치 SW0, SW1의 온/오프 상태는 기억 장치 컨트롤러(32)에 공급되고, 이에 따라 기억 장치 컨트롤러(32)는 검출 구멍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 구성예에서는 기억 장치부(2) 내에 기억 장치 컨트롤러(32)를 설치했지만, 시스템 컨트롤러(8)가 기억 장치부(2) 내의 각 부를 직접 제어하도록 한 구성예도 고려된다.
4.카트리지 검출 구멍
전술한 각종 디스크의 카트리지(91)에 형성되는 검출 구멍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도 7 (B)에 의해 각종 디스크의 카트리지 저면 및 측면을 나타낸다.
도 4∼도 7 (B)에 나타내는 MD 범주의 디스크의 경우, 디스크(90)는 편평한 카트리지(91)에 수납되고, 그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카트리지(91)에는 슬라이드식의 셔터(92)가 설치되고, 각 도와 같이 셔터(92)가 열림으로써 내부의 디스크(90)가 표출된다. 그리고, 이 셔터(92)는 통상은 닫혀져 디스크(90)를 은폐하고 있고,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장전되면, 그 데크 내의 기구에 의해 슬라이드 되어 열리게 된다.
도 4는 재생 전용 MD를 나타내고 있다. 재생 전용 MD의 경우, 카트리지(91) 저면측의 도시하는 소정 위치에 검출 구멍 H0이 형성된다.
이 검출 구멍 H0의 위치는 기록 가부의 판별을 위한 위치가 되며, 검출 구멍 H0이 존재하는 것(검출 구멍 H0이 개방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은 기록 불가(기록 불능)를 제시하는 것이 된다.
재생 전용 MD의 경우에는, 당연히 기록 불능이기 때문에, 단지 검출 구멍 H0으로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을 뿐이며, 그 개폐 기구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카트리지(91)의 측면 등에는, 개폐를 위한 슬라이더는 설치되지 않는다.
도 6 (A) 내지 도 6 (B)는 기록 재생 MD 및 고밀도 MD 타입 A의 카트리지(91)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검출 구멍 H0, H1이 형성된다. 검출 구멍 H0은 재생 전용 MD와 동일하게 기록 가부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이 경우, 슬라이더(93)가 설치되고, 검출 구멍 H0은 슬라이더(93)의 위치에 의해, 도 6 (A)의 폐쇄 상태와 도 6 (B)의 개방 상태를 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슬라이더(93)를 조작하여, 도 6 (A) 내지 도 6 (B)와 같이 검출 구멍 H0을 개폐시켜, 기록 가능/기록 불가를 설정할 수 있다.
검출 구멍 H0의 개방 상태는 기록 불가, 폐쇄 상태는 기록 가능을 의미한다. 개방 상태가 기록 불가능하게 됨으로써, 상기 재생 전용 MD의 경우와 검출 구멍 H0이 나타내는 의미가 일치된다.
도 6 (A) 내지 도 6 (B)에 있어서의 2개째의 검출 구멍 H1은 디스크(90)의 반사율을 나타내는 것이 된다. 기록 재생 MD 및 고밀도 MD 타입 A는 광자기 디스크이며, 재생 전용 MD가 엠보스 피트가 형성된 광 디스크인 것과 상이하다. 그리고 광자기 디스크는 광 디스크와 비교하여 반사율이 매우 낮다. 예를 들면 광 디스크가 반사율 70% 정도인 것과 비교하여 광자기 디스크는 15∼30% 정도이다. 이 때문에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기억 장치부(2)]측에서는, 디스크가 광 디스크인지 광자기 디스크인지에 의해 내부의 신호 처리 설정(예를 들면 RF게인 등)을 변경하지 않으면 안되어, 이 판별을 위해 검출 구멍 H1이 형성된다.
그리고, 검출 구멍 H1이 존재하는(개방 상태가 된다)것이, 저반사율을 나타내는 것이 된다. 이 경우, 당연하지만, 검출 구멍 H1은 슬라이더(93)에 의해 개폐되지 않는다. 즉 검출 구멍 H1로서 고정 구멍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재생 전용 MD의 경우에는, 검출 구멍 H1이 존재하지 않음으로써, 고반사율인 것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 된다.
이 도 4, 도 6 (A) 내지 도 6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세대 MD 및 고밀도 MD 타입 A에서는, 검출 구멍 H0은 기록 가부 설정, 또 검출 구멍 H1은 반사율 제시를 위한 것으로서, 그 각 구멍의 위치나 유무가 설정되어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고밀도 MD 타입 C, 타입 B(및 재생 전용 고밀도 MD)에서는, 검출 구멍 H0은 항상 개방 상태의 구멍이 되고, 검출 구멍 H1이 기록 가부의 설정에 사용되도록 한다.
도 7 (A) 내지 도 7 (B)는 고밀도 MD 타입 B/타입 C의 카트리지(91)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시한 바와 같이 검출 구멍 H0, H1이 형성된다. 그리고, 검출 구멍 H1은 긴 구멍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은 일례이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도 6 (A) 내지 도 6 (B)와 동일한 원형이라도 된다.
검출 구멍 H1은 슬라이더(93)에 의해, 도 7 (A)의 폐쇄 상태와 도 7 (B)의 개방 상태로 절환할 수 있다.
이 고밀도 MD 타입 B/타입 C의 경우에는, 검출 구멍 H1이 도 7 (A)의 폐쇄 상태로 있는 것이 기록 가능, 도 7 (B)의 개방 상태로 있는 것이 기록 불가를 나타내는 것이 된다.
한편 검출 구멍 H0은 슬라이더(93)의 위치에 상관없이, 개방 상태가 유지된다.
또 도 5에는 고밀도 MD 타입 B에서의 엠보스 피트 디스크가 되는 재생 전용 고밀도 MD의 카트리지(91)를 나타내지만, 이 경우, 검출 구멍 H0, H1이 모두, 항상 개방 상태의 고정 구멍으로서 형성된다. 고정 구멍에 의한 검출 구멍 H0이 항상 개방 상태로 있는 것은 도 7 (A) 내지 도 7 (B)의 고밀도 MD 타입 B/타입 C와 동일하다.
도 5의 재생 전용 고밀도 MD에서, 고정 구멍으로서의 검출 구멍 H1이 형성되는 것은 이것이 기록 불능의 디스크인 것에 의한다. 즉 상기 도 7 (A) 내지 도 7 (B)의 검출 구멍 H1은 개방 상태가 기록 불가를 나타내는 것이 되지만, 도 5의 재생 전용 고밀도 MD에서는, 고정 검출 구멍 H1을 형성함으로써 「개방 상태」로 하고, 기록 불가(기록 불능)를 제시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어느 쪽이나 재생 전용의 광 디스크인 도 4와 도 5를 비교하면, 도 4의 재생 전용 MD에서는 검출 구멍 H0이 존재하는 것(개방 상태)가 「기록 불가(기록 불능)」를 제시하고, 도 5의 재생 전용 고밀도 MD에서는 검출 구멍 H1이 존재하는 것(개방 상태)가 「기록 불가(기록 불능)」를 제시하는 것이 된다.
이와 같이, 도 7 (A) 내지 도 7 (B)의 고밀도 MD 타입 B/타입 C 및 도 5의 재생 전용 고밀도 MD에 고정 검출 구멍 H0을 형성하는 것은 제1 세대 MD에만 대응하는 구래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구래 기종)에서, 이들 고밀도 MD 타입 B/타입 C 및 재생 전용 고밀도 MD를, 「기록 불가」로 인식시키는 기능을 갖게 하는 것이 된다. 구래 기종은 검출 구멍 H0 위치의 개방 상태를 「기록 불가」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또, 검출 구멍 H0을 개방 상태로 고정함으로써, 고밀도 MD 타입 B/타입 C에서 검출 구멍 H0을 기록 가부 설정에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검출 구멍 H1을 기록 가부 설정에 사용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검출 구멍 H0, H1의 의미가 재생 전용 MD, 기록 재생 MD, 고밀도 MD 타입 A의 경우와, 고밀도 MD 타입 B/타입 C 및 재생 전용 고밀도 MD의 경우에서 상이한 것이 되면, 고밀도 MD 타입 B/타입 C에 대하여 데이터 기록을 실행할 수 있는 본 실시예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측은 단지 검출 구멍 상태만으로 기록 가부를 판별할 수 없다. 그래서 상세하게는 후술지만, 이들 각 종별의 MD가 장전되는 본 예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기억 장치부(2)]에서는 디스크 종별을 검출하고, 그 종별에 따라 검출 구멍 H0, H1에 의한 의미를 결정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구래 기종에서도, 고밀도 MD 타입 B/타입 C 및 재생 전용 고밀도 MD가 장전된 경우에 동일한 사정이 발생하지만, 이들 종별의 디스크는 구래 기종에서는 기록 동작을 실행시키고 싶지 않다고 하는 사정이 있다. 그래서, 이들 종별 디스크에 대해서는, 검출 구멍 H0을 항상 개방 상태의 구멍으로 하고, 구래 기종에 「기록 불가」로 인식시킴으로써, 문제는 없는 것이 된다.
고밀도 MD 타입 B/타입 C에 대하여 구래 기종에서는 기록 동작을 실행시키고 싶지 않다고 하는 사정은 다음과 같은 것이다.
이들 종별 디스크는 특히 데이터 포맷이나 물리 특성 그 밖의 점에서 구래 기종으로 원래 기록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잘못하여 구래 기종에 의해 기록을 하면, 동작 에러나 데이터 파괴 등의 가능성이 고려된다. 물론 동작 에러에 따라서는 사용자의 혼란도 있다.
또 이들 종별의 디스크는 데이터의 저작권 보호를 위한 암호화나 인증 방법이 도입되어 있고, 그것들은 구래 기종은 대응하고 있지 않다.
이와 같은 사정 때문에, 고밀도 MD 타입 B/타입 C나 재생 전용 고밀도 MD에서는 구래 기종에서 단지 「기록 불가」로 판별되는 것이 필요한 것이다.
도 8∼도 11에 의해, 본 실시예의 디스크 검출 구멍 H0, H1의 구조를 자세하게 설명한다. 이 경우, 본 실시예의 디스크란, 고밀도 MD 타입 B/타입 C로서의 디스크에 상당하는 것이다.
도 8 (a)(b)(c)(d)(e)는 본 예의 디스크 저면도, 평면도, 배면도, 및 좌우 각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8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저면측의 소정 위치에 검출 구멍 H0, H1이 형성되는 것은 도 7 (A) 내지 도 7 (B)에서 설명한 대로이다.
또 도 8 (e)와 같이 카트리지 측면에는 슬라이더(93)가 형성되고, 이 슬라이더(93)의 조작에 의해, 검출 구멍 H1측만을 개폐할 수 있다.
카트리지 측면 및 도 8의 A-A 단면을 도 9에 나타낸다. 도 9 (a)(b)는 검출 구멍 H1을 폐쇄 상태로 한 경우, 도 9 (c)(d)는 검출 구멍 H1을 개방 상태로 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검출 구멍 H1이 폐쇄 상태에 있을 때의 카트리지(91)의 저면측으로부터 본 검출 구멍 H0, H1 부분의 확대도를 도 10 (a)에 나타내고, 그 때의 B-B 단면을 도 10 (b)에 나타낸다.
또 검출 구멍 H1이 개방 상태로 있을 때의 카트리지(91)의 저면측으로부터 본 검출 구멍 H0, H1 부분의 확대도를 도 10 (c)에 나타내고, 그 때의 D-D 단면 및 C-C 단면을 도 10 (d)(e)에 나타낸다.
각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93)는 검출 구멍 H0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카트리지 두께 방향으로 움푹 패인 오목부(93a)와, 검출 구멍 H1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카트리지 두께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93b)와, 개방 상태 및 폐쇄 상태로서의 각 슬라이드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걸림부(93c)와, 사용자의 슬라이드 조작을 위한 조작 돌기(93d)를 가지는 형상이 된다.
조작 돌기(93d)에 의해, 사용자는 도 9 (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93)를 슬라이드 조작할 수 있다.
도 9 (a) 위치의 경우, 슬라이더(93)는 도 10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걸림부(93c)가 카트리지 내에 형성되어 있는 파형(波形) 리브(95)의 제1 만곡부(95a)에 맞물림으로써, 그 위치 상태를 유지한다.
또 도 9 (c) 위치의 경우, 슬라이더(93)는 도 10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걸림부(93c)가 파형 리브(95)의 제2 만곡부(95b)에 맞물림으로써, 그 위치 상태를 유지한다.
슬라이더(93)에서 검출 구멍 H0에 대응하는 위치의 오목부(93a)는 도 10 (a)(b)(c)(e)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검출 구멍 H0으로서의 구멍 사이즈보다 넓은 범위에서 두께 방향으로 일단 움푹 패인 부위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10 (a)(c)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93)가 어느 쪽의 위치에 있는 경우라도, 검출 구멍 H0을 막지 않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검출 구멍 H0은 항상 개방 상태가 된다.
슬라이더(93)에서 검출 구멍 H1에 대응하는 위치의 돌출부(93b)는 도 10 (a)(b)(c)(e)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긴 구멍으로 된 검출 구멍 H1 내에 비집고 들어가는 사이즈 및 형상이 되며, 도 10 (a)(c)와 같이, 슬라이드 위치에 상관 없이 긴 구멍 내에 위치한다.
그리고, 본 예에서 검출 구멍 H1이 긴 구멍으로 되어 있는 것은 슬라이드 시에 돌출부(93b)가 검출 구멍 H1 내를 이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검출 구멍 H1로서는 적어도 미니 디스크의 범주에서 규정되어 있는 위치에서의 원형 구멍이 되면 되고, 예를 들면 도 10 (a)에서 말하자면 긴 구멍으로 된 검출 구멍 H1의 오른쪽 절반의 위치에 구멍이 형성되면 된다. 즉 검출 구멍 H1은 긴 구멍이 아니라도 되며, 그 경우에 대해서는 변형예로서 후술한다.
그리고, 도 10 (a)와 같이 긴 구멍의 오른쪽 절반이 돌출부(93b)로 막혀 있는 상태가 검출 구멍 H1의 폐쇄 상태가 되며, 도 10 (c)와 같이 긴 구멍의 오른쪽 절반에 돌출부(93b)가 위치하지 않는 상태가 검출 구멍 H1의 개방 상태가 된다.
이 슬라이더(93)의 돌출부(93b)의 상면은 도 9(b)(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91)의 저면과 대략 수평의 면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93)는 검출 구멍 H0을 항상 개방 상태로 하는 동시에 검출 구멍 H1을 개폐하는 개폐 기구로서 형성된다. 그리고 또한, 돌출부(93b)에 의해, 검출 구멍 H1을 폐쇄 상태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 그 평면, 즉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측에서의 검출 스위치(도 3의 스위치 SW1)가 접촉하는 면이, 카트리지(91)의 평면과 대략 수평면(두께 방향으로 대략 동일한 높이)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검출 구멍 H0을 항상 개방 상태로하는 이유는 앞서 설명했다. 검출 구멍 H0은 제1 세대 MD 등에서는 기록 가부를 판별하기 위해 이용되고 있으며, 이것을 이용하여 본 예의 디스크를 구래 기종에서 기록 불가로 인식시키기 위해서이다.
검출 구멍 H1이 사용자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되는 것은 검출 구멍 H1을 기록 가부의 설정에 사용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원래 기록 재생 MD 등으로 반사율 검출을 위해 이용되고 있던 검출 구멍 H1을, 기록 가부 설정에 이용함으로써, 본 예의 디스크에서, 특히 기록 가부 설정을 위해 새롭게 3번째의 검출 구멍을 형성하는 등의 필요도 없어진다.
이것은 대응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 검출 구멍에 대응하는 스위치를 증설할 필요가 없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기기의 소형화, 박형화, 또는 코스트면에서 유리하게 된다.
또, 검출 구멍 H1이 폐쇄 상태인 경우에, 돌출부(93b)에 의해 카트리지 평면과 대략 수평면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은 이하의 이유에 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종 디스크에는 각각 동일 위치로서 검출 구멍 H0, H1의 위치가 규정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측으로서는, 도 3의 검출 구멍 판별부(34)에서, 검출 구멍 H0에 대응하는 스위치 SW0과 검출 구멍 H1에 대응하는 스위치 SW1이 형성된다. 이 스위치 SWO, SW1에 대해서는, 구래 기종로서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도 동일하다.
여기에서, 도 11 (c)에 기록 재생 MD(및 고밀도 MD 타입 A), 도 11 (d)에 재생 전용 MD에서의 검출 구멍 H0, H1 및 대응하는 스위치 SWO, SW1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1 (c)의 기록 재생 MD의 경우, 검출 구멍 H0, H1이 형성되고, 검출 구멍 H0은 카트리지 두께 방향으로 약 3mm의 구멍이 된다. 이 검출 구멍 H0은 슬라이더(93)에 의해 개폐되지만, 폐쇄 상태에서는 슬라이더의 일부가 카트리지(91)의 저면(기준 평면)으로부터 파선 ①로 나타내는 1mm 정도 내려간 위치가 된다. 이 1mm란, 카트리지(91)의 두께에 상당한다. 그리고 기록 재생 MD에서는, 슬라이더(93)에는 상기 본 예의 디스크와 같이 돌출부(93b)는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슬라이더에 의해 1mm 내려간 위치에서, 검출 구멍 H0이 「막히는」 것이 된다.
이 때문에, 스위치 SWO은 기준 평면으로부터 봐서 1mm의 위치에서 슬라이더의 일부에 접촉되는 상태를, 스위치 온으로 하여 검출 구멍 H0의 폐쇄 상태로 판별하는 것이 되며, 한편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준 평면으로부터 1mm의 위치에서 접촉되지 않은 상태를, 스위치 오프로 하여 검출 구멍 H0의 개방 상태라고 판별한다.
이 때문에, 스위치 SW0의 온/오프에서의 스트로크(stroke)(개폐 검출을 위한 스트로크)는 기준 평면으로부터 1mm 정도의 위치로부터 3mm에 이르지 않는 위치(2mm강)의 범위를 대상으로 하여 설계되어 있다.
한편, 기록 재생 MD의 또 하나의 검출 구멍 H1은 도면과 같이 예를 들면 기준 평면으로부터 2mm 정도 깊이의 구멍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도 11 (d)의 재생 전용 MD를 고려하는 동시에 항상 개방 상태인 것에 의한다.
도 11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생 전용 MD에서는 검출 구멍 H1이 형성되지 않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기록 재생 MD에서의 검출 구멍 H1은 이와 같은 검출 구멍 H1이 없는 재생 전용 MD 사이에서 반사율의 차이를 제시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스위치 SW1은 검출 구멍 H1이 없는 상태를 폐쇄 상태로 판별할 필요가 있고, 이 때문에 카트리지(91)의 저면(기준 평면)에 접촉되는 상태[도 11 (d)의 상태]를, 스위치 온으로 하여 검출 구멍 H1의 폐쇄 상태라고 판별한다. 한편 도 11 (c)와 같이 기준 평면에서 접촉되지 않은 상태를, 스위치 오프로 하여 검출 구멍 H1의 개방 상태라고 판별한다.
이 때문에, 스위치 SW1의 온/오프에서의 스트로크(개폐 검출을 위한 스트로크)는 기준 평면과, 기준 평면으로부터 2mm에 이르지 않는 위치(1mm강)의 범위를 대상으로 하여 설계되어 있다.
즉 미니 디스크에 대응하는 구래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로서는, 스위치 SW0, SW1은 스트로크는 동등하지만 각각 오프 상태에서 스위치 SW0 쪽 카트리지 두께 방향으로 길게 돌출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 예의 디스크와 같이, 검출 구멍 H1측이 기록 가부 설정에 사용되고, 슬라이더(93)에 의해 개폐되도록 하는 것을 고려한다.
그러면, 만일 슬라이더(93)가, 예를 들면 기록 재생 MD의 경우와 같이 돌출부(93b)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하면, 검출 구멍 H1이 폐쇄 상태에 있을 때에는, 스위치 SW1은 기준 평면으로부터 1mm의 위치에서 슬라이더에 접촉하게 된다.
그러나 그 상태는 구래 기종의 스위치 SW1의 스트로크 범위의 대략 중간 위치로되어 버리고, 각종 제조 오차를 고려하면, 본 예의 디스크를 구래 기종에 장전한 경우에 온/오프의 명확한 판별에 불리하게 된다.
또, 본 예의 디스크(고밀도 MD 타입 B/타입 C)에 대응하는 본 예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예를 들면 도 3의 기억 장치부(2)]에서는, 검출 구멍 H1에 대응하는 스위치 SW1을, 스위치 SW0측과 동일하게, 기준 평면으로부터 1mm의 위치로부터, 3mm에 이르지 않는 위치를 스트로크 범위로서 설계하면, 온/오프의 판별에 불리하게 되지 않는다. 그런데, 본 예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재생 전용 MD가 장전된 경우, 검출 구멍 H1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스위치 SW1은 카트리지(91)의 저면(기준 평면)에 꽉 눌려지게 된다. 이것은 스위치 SW1이 온 방향으로, 설계 상의 스트로크 범위를 넘어 꽉 눌려지는 상태가 되어, 경우에 따라서는 스위치 SW1의 고장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이것을 방지하는 데는 스트로크를 기준 평면과, 기준 평면으로부터 3mm에 이르지 않는 위치를 커버할 수 있는 범위로 확장해야 한다. 즉 구래 기종과 동일 구조의 스위치 SW1을 채용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본 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93)에 돌출부(93b)를 형성하고, 검출 구멍 H1이 폐쇄 상태에서는, 그 돌출부(93b)의 평면이 기준 평면과 대략 수평에 되도록 하고 있다. 즉 도 11 (a)(b)에 본 예의 디스크에 있어서의 검출 구멍 H1의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도 11 (b)와 같이, 스위치 SW1이 기준 평면과 대략 수평의 위치[즉 돌출부(93b)]에 접촉하여 온 상태가 된 때를 폐쇄 상태로 판별 하도록 하고, 도 11 (a)와 같이 기준 평면에서 접촉되지 않고 오프 상태가 된 상태를 개방 상태로 판별하도록 한다.
즉, 돌출부(93b)가 기준 평면과 대략 수평 상태에서 검출 구멍 H1을 폐쇄 상태로 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이점이 발생한다.
먼저, 기록 재생 MD 등에서 반사율 검출에 이용되고 있던 검출 구멍 H1을, 슬라이더(93)에 의해 닫혀 있을 때에는 기준 평면과 대략 동일한 면을 구성하고, 열려 있을 때에는 스위치 SW1에 의해 개방 상태가 충분히 검출 가능한 위치까지 개방함으로써, 본 예의 디스크에 대응하는 경우의 스위치 SW1을, 종래부터 존재하는 스위치 SW1의 스트로크로부터 바꾸지 않고 실현 가능하다. 즉, 본 예의 디스크에 대응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도, 구래 기종과 동일한 구조의 스위치 SW0, SW1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조 코스트나 설계의 용이성의 점에서 유리하게 된다.
또, 본 예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 구래 기종과 동일한 스위치 SW0, SW1을 사용하는 것은 본 예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재생 전용 MD가 장전된 경우에, 전술한 고장 가능성 등의 문제도 생기지 않는다. 즉 원래 검출 구멍 H1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정된 스트로크의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스위치 SW1의 스트로크를 변경할(길게 할) 필요가 없는 것은 기기의 소형화, 박형화에 있어서도 사정이 좋다.
그런데 상기예에서는 슬라이더(93)의 돌출부(93b)가 슬라이드 이동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검출 구멍 H1을 긴 구멍으로 했다. 그러나, 검출 구멍 H1을 원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한 개폐 기구의 변형예를 도 12 (A) 내지 도 12 (B), 도 13 (A) 내지 도 13 (B)에 나타낸다. 도 12 (A) 내지 도 12 (B), 도 13 (A) 내지 도 13 (B)의 각각의 경우, 검출 구멍 H1을 단면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카트리지(91)에 형성된 원형의 구멍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도 12 (A) 내지 도 12 (B)는 슬라이더(295)와 회전 운동 덮개(296)로 개폐 기구를 구성한 예이다. 슬라이더(295)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도 12 (A) 내지 도 12 (B)의 각 상태로 슬라이드한다.
회전 운동 덮개(296)는 그 축부(296b)가 카트리지(91) 내의 베어링부(297)에 축받이되어 회전 운동 가능하게 된다. 또 회전 운동 덮개의 다른 쪽 축부(296c)는 슬라이더(295)에 형성된 베어링부(298)에 축받이되어 있다.
도 12 (A)의 상태에서는, 회전 운동 덮개(296)에 형성된 원형의 돌출부(296a)가, 검출 구멍 H1에 끼워져 있고, 이에 따라 검출 구멍 H1을 카트리지(91)의 저면과 대략 수평의 면에 의해 폐쇄 상태로서 있다.
그리고 도 12 (B)와 같이 슬라이더(295)가 화살표 a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회전 운동 덮개(296)는 축부(296c)가 잡아 당겨짐으로써 축부(296b)를 중심으로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고, 이에 따라 돌출부(296a)가 검출 구멍 H1로부터 탈각(脫却)되어, 개방 상태로 한다.
도 13 (A) 내지 도 13 (B)는 슬라이더(399)와 승강 덮개(398)로 개폐 기구를 구성한 예이다. 슬라이더(399)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도 13 (A) 내지 도 13 (B)의 각 상태로 슬라이드한다.
승강 덮개(398)는 그 캠축(398a)이 슬라이더(399)에 형성된 캠홈(399a)에 끼워져 있다.
도 13 (A)의 상태에서는, 승강 덮개(398)에 형성된 원형의 돌출부(398b)가, 검출 구멍 H1에 끼워져 있고, 이에 따라 검출 구멍 H1을 카트리지(91)의 저면과 대략 수평의 면에 의해 폐쇄 상태로 하고 있다.
그리고 도 13 (B) 와 같이 슬라이더(399)가 화살표 c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되면, 승강 덮개(398)는 캠축(398a)이 캠홈(399a) 내를 슬라이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승강 덮개(398)가 화살표 d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돌출부(398b)가 검출 구멍 H1로부터 탈각하여, 개방 상태가 된다.
예를 들면 이와 같은 개폐 기구에 의하면, 검출 구멍 H1을 긴 구멍으로 할 필요가 없고, 검출 구멍 H0과 동일한 원형으로 할 수 있다. 검출 구멍 H1을 원형으로 하는 것은 긴 구멍의 경우에 비해, 카트리지(91) 내에 먼지 등이 혼입되는 영역을 적게 할 수 있는 점이 유리하게 된다.
5. 디스크 종별 판별
전술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91)의 검출 구멍 H0, H1의 의미는 디스크 종별에 따라 상이한 것이 된다. 이 때문에 본 예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는, 디스크(90)가 장전 되었을 때에, 검출 구멍 H0, H1 상태의 해석을 위해, 디스크 종별 판별이 필요하게 된다. 또, 당연하지만, 디스크 종별을 판별하는 것은 기록 재생 처리 상에서도 필수가 된다.
여기에서는 디스크 종별 판별을 위한 방법(판별 요소)을 설명하고, 그 후, 각종 판별 요소를 조합한 종별 판별 처리의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 14에 각종 판별 요소와 디스크 종별의 관계를 나타냈다.
여기에서는, 광학 헤드(20)에 의해 얻어지는 반사광 정보를 사용한 판별 요소로서, 디스크 반사율, 그루브 깊이에 의한 위상차, U-TOC 내용, P-TOC 내용, ADIP 어드레스 구조, BCA(Burst Cutting Area)를 들고 있다.
또한 도 14에서는, 디스크 종별의 판별 요소라고 하기보다, 기록 가부의 판별 요소인 검출 구멍 H0, H1의 상태 및 거기에 따른 기록 가/불가도 병렬로 기록하고 있지만, 이것은 이들이 디스크 종별의 판별에 이용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후에 설명하지만, 본 예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기억 장치부(2)]에서는 디스크 반사율, 그루브 깊이에 의한 위상차, U-TOC 내용, P-TOC 내용, ADIP 어드레스 구조, BCA 중 어느 하나, 또는 다시 검출 구멍 H0, H1의 상태로부터 디스크 종별을 검출하는 동시에, 기록 가부는 검출 구멍 H0, H1의 개폐 상태로 판별된 디스크 종별의 양쪽을 사용하여 판단하는 것이 된다.
도 14의 하단에는, 디스크 종별 판별 방법 <1>∼<6>을 나타내고 있으며, 여기에서는 각 판별 방법에서 사용하는 판별 요소의 조합을 ◎로 나타내고 있다. 각 디스크 종별 판별 방법 <1>∼<6>의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먼저, 디스크 반사율, 그루브 깊이에 의한 위상차, U-TOC 내용, P-TOC 내용, ADIP 어드레스 구조, BCA의 각 판별 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디스크 반사율>
디스크 반사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엠보스 피트가 형성된 광 디스크에서는 70% 정도로 높고, 자계 변조 기록을 실행하는 광자기 디스크에서는 15∼30%로 낮다. 따라서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생 전용 MD 및 재생 전용 고밀도 MD에서는 고반사율(H), 기록 재생 MD, 고밀도 MD 타입 A/타입 B/타입 C에서는 저반사율(L)이 된다. 즉, 반사율을 판별함으로써, 재생 전용 MD 또는 재생 전용 고밀도 MD인지, 또는 이 이외의 기록 재생 MD, 고밀도 MD 타입 A/타입 B/타입 C 중 어느 하나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반사율 검출은 도 15 (a)와 같은 회로에서 실행할 수 있다. 도 15 (a)에는 4 분할의 수광면 A, B, C, D를 가지는 포토디텍터 PD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광학 헤드(20)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포토디텍터 PD의 하나이다.
또 도 15 (a)의 가산기(211, 212, 213) 및 콤퍼레이터(214)는, 예를 들면 RF 앰프(22) 내에 구성할 수 있다.
가산기(211)는 포토디텍터 PD의 수광면 A, B로부터의 광전 변환 신호를 가산한다.
가산기(212)는 포토디텍터 PD의 수광면 C, D로부터의 광전 변환 신호를 가산한다.
가산기(213)는 가산기(211, 212)의 출력을 가산한다. 따라서 가산기(213)로부터는 수광면 A, B, C, D의 합계 신호, 즉 반사광량 신호가 얻어진다.
이 합계 신호는 콤퍼레이터(214)에서 기준값 th와 비교되고, 비교 결과가 FOK 신호로서 출력된다. 이 FOK 신호란, 포커스 서치 시에 포커스 인입 범위를 나타내는 신호이다.
지금, 광학 헤드(20) 내의 대물 렌즈를 디스크(90)에 접리하는 방향으로 강제 이동시켜 포커스 서보 인입을 실행하는 포커스 서치를 고려한다.
이미 공지와 같이, 예를 들면 비점 수차 방식의 포커스 에러 신호 FE는, 예를 들면 도 15 (a)와 같은 4분할 디텍터로부터의 신호 (A+C)-(B+D)가 된다. 이와 같은 포커스 에러 신호 FE는 합초점(合焦点) 근처에서 S자 커브를 그리는 것이 되며, 그 S자 커브의 리니어 영역의 제로 교차점이 포커스 포인트가 된다. 포커스 서보는 S자 커브의 제로 교차점에의 인입 제어로서 실행된다.
여기에서, S자 커브가 나타나는 대물 렌즈 위치 범위(디스크에 접리하는 방향에서의 위치 범위)는 대물 렌즈의 이동 스트로크 범위에 비해 매우 좁고, 이 때문에 최초에 포커스 서보 온으로 인입할 때에는, 대물 렌즈를 강제적으로 이동시켜 S자 커브가 얻어지는 범위를 찾는다. 이것이 포커스 서치이다.
이 경우, 상기 합계 신호로서는, 포커스 인입 범위에서 도 15 (b)와 같은 진폭이 얻어지며, 이것을 소정 기준값 th로 비교하여 얻은 도 15 (c)의 FOK 신호는, 즉 도시하고 있지 않은 포커스 에러 신호 FE로서 S자 커브가 나타나 있는 범위를 나타내는 것이 된다.
그런데, 고반사율의 디스크의 경우와 저반사율의 디스크의 경우, 당연히 포토디텍터 PD로 얻어지는 반사광량이 상이하기 때문에, 포커스 서치 시나 데이터 재생 시 등에 있어서의 각종 설정이 변경된다. 예를 들면 저반사율의 디스크에 대해서는 반사광 신호에 대한 게인을 높게 하지 않으면 양호한 신호가 얻어지지 않는다.
이것을 이용하면, 디스크가 고반사율 디스크인지 저반사율 디스크인지를 모르는 상태, 즉 디스크 종별 판별을 위한 반사율 검출을 실행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고반사율 디스크에 대응한 설정(예를 들면 저게인 설정)으로 포커스 서치 동작을 실행하면 되게 된다.
고반사율 디스크에 대응한 설정으로 포커스 서치를 실행하면, 만약, 디스크가 고반사율 디스크였다고 하면, 어느 시점에서 합계 신호로서 도 15 (b)의 실선과 같은 커브가 얻어진다. 즉 어느 시점에서 FOK 신호가 「H」로 된다.
한편, 만약 디스크가 저반사율 디스크이면, 합계 신호로서는 도 15의 파선과 같은 저레벨의 커브 밖에 얻을 수 없다. 즉 포커스 서치 기간 내에 FOK 신호가 검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장전된 디스크가 고반사율 디스크인지 저반사율 디스크인지는 고반사율 디스크에 대응한 설정으로 포카스 서치 동작을 실행하여, 그 때의 FOK 신호가 얻어지는지 여부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
<그루브 깊이에 의한 위상차>
디스크 상에 형성되는 그루브(피트)의 깊이에 따라서는, 반사광 정보로서 얻어지는 푸시풀 신호나 풀인 신호(합계 신호)에서 위상차가 발생한다.
도 14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푸시풀 신호에 대한 풀인 신호의 위상차로서 고려하면, 재생 전용 MD, 재생 전용 고밀도 MD, 및 고밀도 MD 타입 C에서는λ/4∼λ/2의 위상 진행이 발생하고(λ: 파장), 기록 재생 MD, 고밀도 MD 타입 A/타입 B에서는 0∼λ/4의 위상 지연이 발생한다.
따라서, 위상차를 판별함으로써, 재생 전용 MD, 재생 전용 고밀도 MD 또는 고밀도 MD 타입 C 중 어느 하나인지, 또는 기록 재생 MD, 고밀도 MD 타입 A/타입 B 중 어느 하나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위상차를 판별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도 16의 구성이 채용되면 된다. 도시하는 각 부는 각각 광학 헤드(20), RF 앰프(22), 기억 장치 컨트롤러(32) 등으로 분산하여 형성되면 된다.
또, 이 구성으로 위상차를 판별할 때에는, 광학 헤드(20) 내의 대물 렌즈에 대하여 포커스 서보는 온이 되고, 트래킹 서보는 걸려 있지 않은 상태에서 디스크 내주로부터 외주 방향으로 대물 렌즈를 이동시킨다.
도 16에 나타내는 광학 헤드(20) 내의 포토디텍터 PD의 검출면 A, B, C, D에 의해 검출된 광전 변환 신호에 대해서는, 먼저 가산기(228)에서 검출면 A, D로부터의 신호가 가산되고, 또 가산기(229)에서 검출면 B, C로부터의 신호가 가산된다. 그리고 가산기(228, 229)의 출력은 각각 트래킹 에러 신호 연산기(221)과, 풀인 신호 연산기(225)에 공급된다.
트래킹 에러 신호 연산기(221)는 수광면 A+D의 신호로부터 수광면 B+C의 신호를 감산한 푸시풀 신호 P/P=(A+D)-B+C)를 트래킹 에러 신호 TE로서 산출하고, 2치화 수단인 콤퍼레이터(222)에 공급한다.
풀인 신호 연산기(225)는 수광면 A, B, C, D로부터의 신호를 가산한 전(全) 광량 신호(합계 신호)를 풀인 신호 PI로서 2치화 수단인 콤퍼레이터(226)에 공급한다.
콤퍼레이터(222)는 트래킹 에러 신호 TE를 슬라이스 레벨 TEslice와 비교하여 2치화하고, 2치화 데이터 TEcomp를 인버터(223)에 공급한다. 인버터(223)은 2치화 데이터 TEcomp를 반전하여 D 플립플롭 판별 회로(224)의 데이터 입력 단자 D에 공급한다.
콤퍼레이터(226)는 푸시풀 신호 PI를 슬라이스 레벨 PIslice와 비교하여 2치화하고, 2치화 데이터 PIcomp를 인버터(227)에 공급한다. 인버터(227)는 2치화 데이터 PIcomp를 반전하여 D 플립플롭 판별 회로(224)의 클록 입력 단자에 공급한다.
D 플립플롭 판별 회로(224)는 콤퍼레이터(222)로부터의 반전 2치화 데이터 TEcomp'를 콤퍼레이터(226)로부터의 반전 2치화 데이터 PIcomp'의 상승 에지에 동기하여 래치한다. 즉, PI 신호와, TE 신호의 위상차를 검출함으로써 디스크의 종류를 판별한 판별 결과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 D 플립플롭 판별 회로(224)는, 예를 들면 기억 장치 컨트롤러(32) 내에 설치된다. 기억 장치 컨트롤러(32)는 이 D 플립플롭 판별 회로(224)의 판별 결과에 따라 위상차를 판별한다.
도 17에는 MD의 단면에 있어서의 스폿 SP의 이동과, 그에 대응한 PI 신호, TE 신호의 재생 파형을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TE 신호가 PI 신호보다 90도 늦다 , 즉 위상차가 90도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8에는 디스크(90)가 기록 재생 MD, 고밀도 MD 타입 A/타입 B의 경우에, 도 16의 각 부에서 검출되는 파형을 나타낸다. D 플립플롭 판별 회로(224)는 반전 2치화 데이터 PIcomp'의 상승 에지에 동기하여 반전 2치화 데이터 TEcomp'를 래치함으로써, H를 출력한다.
한편 도 19에는 디스크(90)가 재생 전용 MD, 재생 전용 고밀도 MD, 고밀도 MD 타입 C의 경우에 도 16의 각 부에서 검출되는 파형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D 플립플롭 판별 회로(224)는 반전 2치화 데이터 PIcomp'의 상승 에지에 동기하여 반전 2치화 데이터 TEcomp'를 래치하면, L을 출력한다.
그루브를 가지는 디스크인 고밀도 MD 타입 C에서, 트래킹 에러 신호 TE(푸시풀 신호 P/P)에 대하여 풀인 신호 PI의 위상[도 19(b)]이 다른 그루브 디스크인 기록 재생 MD, 고밀도 MD 타입 A/타입 B의 경우[도 18(b)]에 비해 극성이 반전하여 버리는 것은 고밀도 MD 타입 C에서는 그루브의 홈 깊이가 160∼180nm로 깊게 되어 있는 것에 의한다.
도 2O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루브의 깊이가 125nm를 경계로 트래킹 에러 신호(푸시풀 신호 P/P)의 진폭이 +로부터 -로 절환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이 극성 반전이 일어나 버리는 깊이 d는 레이저 파장 780nm, 디스크 굴절률 1.57로부터, (780/4)/ 1.57에 의해 구해진다.
이상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D 플립플롭 판별 회로(224)의 래치 출력으로서, 「H」 「L」이 위상차의 검출 결과가 된다.
즉 도 16의 구성의 경우, 도 18과 같이 D 플립플롭 판별 회로(224)의 래치 출력이 「H」이면, 장전된 디스크(90)는 푸시풀 신호 P/P에 대한 풀인 신호 PI의 위상차로서 0∼λ/4의 위상 지연이 발생하는 것이며, 기록 재생 MD, 고밀도 MD 타입 A/타입 B 중 어느 하나로 판별할 수 있다. 한편, D 플립플롭 판별 회로(224)의 래치 출력이 「L」이면, 장전된 디스크(90)는 푸시풀 신호 P/P에 대한 풀인 신호 PI의 위상차로서 λ/4∼λ/2의 위상 진행이 발생하는 것이며, 재생 전용 MD, 재생 전용 고밀도 MD, 및 고밀도 MD 타입 C 중 어느 하나로 판별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위상차 검출을 실행할 때, 실제로는 디스크에는 편심이 있기 때문에 트래킹 서보를 걸지 않는 상태에서는, 디스크에 대하여 스폿 SP는 내주측으로 이동하거나, 외주측으로 이동하거나를 반복한다. 이 때문에, 진행 방향을 결정할 필요가 있으므로 대물 렌즈 또는 광학 블록(광학 헤드) 전체를 어느 일정한 속도로, 예를 들면 내주로부터 외주로, 편심에 의한 이동량에 이겨내는 속도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또, 이와 같은 위상차 검출을 실행하는 경우에, 미리 디스크의 그루브 영역(후술)에 광학 헤드(20)가 위치하는 것을 확인한다. 재생 전용 MD 및 재생 전용 고밀도 MD에는 그루브 영역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그루브 영역을 확인한 후에 위상차 검출을 실행하는 것은 기록 재생 MD, 고밀도 MD 타입 A/타입 B 중 어느 하나이지만, 고밀도 MD 타입 C 인지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
<P-TOC/U-TOC>
미니 디스크 시스템의 경우, 디스크 상의 내주측 위치에 P-TOC, U-TOC로 불려지는 관리 정보가 기록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들 관리 정보 내용에는, 디스크 종별의 정보도 포함되어 있고, 따라서 P-TOC, U-TOC라고 하는 관리 정보의 내용을 디스크 종별 판별에 이용할 수 있다.
관리 정보에 의한 디스크 판별 방식에 앞서, 먼저 각종 디스크의 영역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1 (a)는 재생 전용 MD의 영역 구조로서, 디스크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으로의 반경 방향 영역을 띠모양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스크의 최내주측이 리드인 영역이 되며, P-TOC가 기록된다. 그리고 P-TOC에 이어서 데이터 영역이 형성된다. 데이터 영역에는 오디오 데이터가 트랙(악곡) 단위로 미리 기록된다. 기록되어 있는 트랙의 어드레스 등이나 각 영역의 위치 등이 P-TOC에 의해 관리된다. 디스크 최외주측은 리드아웃 영역이 된다.
이 재생 전용 MD의 경우, 모든 영역은 피트 영역이 되며, 엠보스 피트에 의해 데이터가 기록된다.
도 21(b)는 기록 재생 MD의 영역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내주측의 리드인 영역에는 P-TOC, U-TOC가 기록된다. 그리고 데이터 영역에는 사용자 사이드에서 오디오 트랙의 기록 재생이 가능하게 된다.
기록 재생 MD의 경우, 리드인 영역의 내주측 P-TOC의 영역만이 엠보스 피트에 의한 피트 영역이 되고, U-TOC의 영역, 데이터 영역, 리드아웃은 그루브 영역이 되며, 광자기 기록에 의한 기록 재생이 가능하게 된다.
데이터 영역에 기록되는 트랙은 U-TOC에 의해 관리되며, 또 U-TOC의 내용은 데이터 영역에서의 기록, 소거, 편집에 따라 재기록된다. P-TOC에는, 기본적인 영역 위치 등이 관리된다.
도 21 (c)는 고밀도 MD 타입 A의 영역 구조이지만,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록 재생 MD와 동일하다.
데이터 영역에 기록되는 오디오, 비디오, 또는 다른 종류의 데이터 파일은 P-TOC, U-TOC에서의 영역 관리 상, FAT 시스템에 의해 관리된다.
도 22 (a)는 고밀도 MD 타입 B의 영역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디스크 최내주측은 미러 영역(BCA: Burst Cutting Area)이 된다. 여기에는 바코드 형상의 패턴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소정 ID 등이 기록된다.
BCA에 이어서 리드인 영역이 되고, P-TOC, U-TOC가 기록된다. P-TOC는 엠보스 피트에 의한 피트 영역이 된다. 그리고 U-TOC, 데이터 영역, 리드아웃 영역이 기록 재생 가능한 그루브 영역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데이터 영역에 기록되는 데이터 파일은 P-TOC, U-TOC에서의 영역 관리 상, FAT 시스템에 의해 관리된다.
도 22 (b)는 재생 전용 고밀도 MD이다. 이것은 고밀도 MD 타입 B의 재생 전용형이며, 이 때문에 리드인 영역에는 P-TOC만으로 된다. 그리고 미러 영역을 제외한 전 영역이 피트 영역이 된다.
도 22 (c)는 고밀도 MD 타입 C의 영역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도 최내주측은 미러 영역(BCA)이 형성된다. 리드인 영역에는 P-TOC, U-TOC가 아니라, P-TOP로 불려지는 관리 정보가 기록된다.
리드인 영역, 데이터 영역, 리드아웃 영역은 그루브 영역으로 되어 있다.
각 디스크의 영역 구조는 이상과 같이 되지만, 이것을 근거로 하여 P-TOC, U-TOC에 의한 종별 판별을 설명한다.
먼저 P-TOC에 의한 판별을 설명한다.
도 23은 P-TOC가 되는 클러스터의 선두 섹터(섹터 0)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P-TOC 섹터 0은 선두에 12바이트의 싱크 패턴이 설치되고, 이어서 해당 섹터 자체의 어드레스(클러스터 어드레스, 섹터 어드레스)가 기록된다. 그리고, 이 싱크 패턴 및 어드레스는 미니 디스크 포맷으로서의 모든 섹터에 공통이다.
소정 바이트 위치에는 4바이트로 시스템 ID가 기록된다.
그리고 또한, 디스크 타입, 기록 파워, 선두 트랙 넘버, 최종 트랙 넘버, 리드아웃 영역의 스타트 어드레스, 파워 교정 영역의 스타트 어드레스, U-TOC의 스타트 어드레스, 레코더블 사용자 영역의 스타트 어드레스가 기록된다. 즉 영역 구조나 디스크 속성의 관리 정보이다.
그 후, 포인터부와 테이블부가 형성된다. 테이블부는 트랙을 구성하는 부분의 스타트 어드레스/엔드 어드레스나 트랙의 모드 정보가 관리되는 파트 테이블로 구성된다. 이 파트 테이블이 포인터부의 포인터(P-TNO1∼P-TNO255)로 지정됨으로써, 각 트랙이 관리되게 된다.
포인터 P-TNO1∼P-TNO255는 각각 제1 트랙으로부터 제255 트랙에 대응한다.
그리고, P-TOC에 의해 트랙이 관리되는 것은 재생 전용 MD의 경우이다. 기록 재생 MD의 경우, 후술하는 U-TOC의 포인터부 및 테이블부에서 각 트랙이 관리된다.
이와 같은 P-TOC에는 상기와 같이 시스템 ID가 기록되어 있다. 이 시스템 ID로서는 제1 세대 MD(재생 전용 MD, 기록 재생 MD)의 경우에는, 「MINI」라고 하는 정보가 아스키(ASCII) 코드로 기록된다.
한편, 고밀도 MD 타입 B의 경우에는, 이 시스템 ID로서 고밀도 MD인 것을 나타내는 코드(예를 들면 「Hi-MD」)가 기록된다.
따라서, P-TOC의 시스템 ID에 고밀도 MD를 나타내는 코드 「Hi-MD」가 존재하는지 여부로, 도 14와 같이 디스크 종별을 판별할 수 있다.
즉, 고밀도 MD를 나타내는 코드 「Hi-MD」가 존재하지 않으면, 그 디스크는 재생 전용 MD, 기록 재생 MD, 고밀도 MD 타입 A 중 어느 하나이다.
고밀도 MD를 나타내는 코드 「Hi-MD」가 존재하면, 그 디스크는 고밀도 MD 타입 B 또는 재생 전용 고밀도 MD이다.
또 고밀도 MD 타입 C에서는 도 22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P-TOC가 설치되지 않는다. 따라서 P-TOC 자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그 디스크는 고밀도 MD 타입 C이다.
다음에 U-TOC에 의한 판별을 설명한다.
도 24는 U-TOC로 되는 클러스터의 선두 섹터(섹터 0)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U-TOC 섹터 0도, 선두에 12바이트의 싱크 패턴이 형성되고, 이어서 해당 섹터 자체의 어드레스(클러스터 어드레스, 섹터어드레스)가 기록된다.
또, 소정 바이트 위치에 메이커 코드, 모델 코드, 선두 트랙 넘버, 최종 트랙 넘버, U-TOC 내의 사용 섹터(USED SECTOR), 디스크 시리얼 넘버, 디스크 ID가 기록된다.
그 후, 포인터부와 테이블부가 형성된다. 테이블부는 트랙을 구성하는 부분의 스타트 어드레스/엔드 어드레스나 트랙의 모드 정보가 관리되는 파트 테이블로 구성된다. 이 파트 테이블이 포인터부의 포인터(P-DFA, P-EMPTY, P-FRA, P-TNO1∼P-TNO255)로 지정됨으로써, 각 트랙이 관리되게 된다.
포인터 P-TNO1∼P-TNO255는 각각 제1 트랙으로부터 제255 트랙에 대응한다.
포인터 P-DFA는 디스크 상의 결함 영역을 관리하는 포인터이다.
포인터 P-EMPTY는 미사용의 파트 테이블을 관리하는 포인터이다.
포인터 P-FRA는 데이터 영역에서의 미기록 영역(프리 영역)을 관리하는 포인터이다.
기록 재생 MD의 경우에는, 트랙의 기록, 소거, 편집이 가능하지만, 이 때문에 트랙 관리는 이 U-TOC로 실행되며, 기록/소거/편집에 따라서는 포인터부나 파트 테이블의 내용이 재기록된다.
여기에서, 상기 메이커 코드로서는, 제조 메이커에 할당된 코드 넘버가 기록되는 것이지만, 특히 고밀도 MD 타입 A/타입 B에서는, 이 메이커 코드의 영역에 고밀도 포맷(Hi-MD 포맷 : 도 2 (B)의 타입 A/타입 B의 포맷)의 디스크인 것의 식별자가 기록된다.
따라서, 이 메이커 코드의 정보에 의해, 도 14에 나타내는 종별 판별이 가능하게 된다.
즉, U-TOC에 고밀도 MD 포맷을 나타내는 코드가 존재하지 않으면, 그 디스크는 기록 재생 MD이다.
고밀도 MD 포맷을 나타내는 코드가 존재하면, 그 디스크는 고밀도 MD 타입 A 또는 타입 B이다.
또 고밀도 MD 타입 C에서는 도 22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U-TOC가 기록되지 않는다. 또 도 21 (a), 도 22 (b)와 같이 재생 전용 MD 및 재생 전용 고밀도 MD는 U-TOC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U-TOC가 존재하지 않으면, 그 디스크는 고밀도 MD 타입 C, 재생 전용 MD, 재생 전용 고밀도 MD 중 어느 하나이다.
그리고, 고밀도 MD 타입 A 또는 타입 B의 경우, 데이터 영역에 기록되는 각 파일(데이터 트랙)의 일부에, 고밀도 포맷인 것의 정보가 기록되어 있으므로, 그 정보를 동일한 판별에 사용할 수도 있다.
<BCA>
상기 도 21, 도 22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디스크 종별에 의해 BCA가 설치되는 것과 설치되지 않는 것이 있다. 또 BCA에 기록되는 정보로서 디스크 종별이 나타낸다. 따라서 BCA의 유무 및 기록된 정보에 의해, 도 14와 같이 디스크 종별을 판별할 수 있다.
도 25 (a)에 BCA가 없는 디스크를, 또 도 25 (b)에 BCA가 설치된 디스크를 나타내고 있다.
도 25 (a)(b)를 비교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25 (b)에서의 BCA는 도 25 (a)의 리드인 영역이 되는 반경 위치의 내주 측에 상당하는 영역이, 방사상의 바코드 패턴이 된 것이다.
이 BCA는 반경 방향으로 방사상이 되는 바코드 패턴으로 되어 있으므로, 특히 트래킹 제어를 실행하지 않아도 바코드에 의한 정보를 판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바코드에 의해, 고밀도 MD 타입 B의 경우에는 「Hi-MD1.5」를 나타내는 코드가 기록되고, 또 고밀도 MD 타입 C에서는 「Hi-MD3」를 나타내는 코드가 기록된다.
BCA의 유무 및 정보 내용에 의해, 다음과 같이 판별할 수 있다.
BCA가 존재하지 않으면, 그 디스크는 기록 재생 MD, 재생 전용 MD, 고밀도 MD 타입 A 중 어느 하나이다.
BCA가 존재하고, 「Hi-MD1.5」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록되어 있으면, 그 디스크는 고밀도 MD 타입 B 또는 재생 전용 고밀도 MD이다.
BCA가 존재하고, 「Hi-MD3」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록되어 있으면, 그 디스크는 고밀도 MD 타입 C이다.
<ADIP 어드레스 구조>
어드레스 구조에 따라서도 디스크 종별 판별이 가능하다.
먼저, ADIP 어드레스는 그루브의 워블링으로 표현되는 어드레스이며, 따라서 그루브가 형성되지 않은 재생 전용 MD, 재생 전용 고밀도 MD에서는, ADIP 어드레스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들은 데이터 내의 서브코드 포맷 상에서 어드레스가 기록될 뿐이다.
한편, 그루브 영역을 가지는 디스크에서는 ADIP 어드레스가 기록된다. 여기에서, 그루브 영역을 가지는 디스크 중에서, 고밀도 MD 타입 C는 ADIP 어드레스 포맷이 다른 디스크와 상이하다.
도 26 (A)에 기록 재생 MD, 고밀도 MD 타입 A/타입 B의 ADIP 어드레스 포맷을 나타내고, 또 도 26 (B)에 고밀도 MD 타입 C의 ADIP 어드레스 포맷을 나타낸다.
먼저 도 26 (A)의 ADIP 어드레스 포맷에서는, 1 단위의 어드레스가 42비트로 형성되고, 이것은 4비트의 싱크, 16비트의 클러스터 넘버, 8비트의 섹터 넘버, 및 14비트의 CRC로 구성된다.
한편 도 26 (B)의 ADIP 어드레스 포맷의 경우, 1 단위의 어드레스가 동일하게 42비트로 형성되지만, 이것은 4비트의 싱크, 16비트의 클러스터 넘버, 4비트의 섹터 넘버, 및 18비트의 ECC로 구성된다.
즉 에러 정정 디코드 방식이 상이한 것으로 된다. 따라서, ADIP 디코드를 실행해 봐서, ECC 처리로 어드레스 추출을 할 수 있는지 여부 등에 의해 도 14와 같이 종별 판별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디스크 재생 동작을 실행하고, ADIP 디코드를 실행해 봐서, ECC 디코드에 의해 어드레스가 얻어지면, 그 디스크는 고밀도 MD 타입 C이다.
디스크 재생 동작을 실행하고, ADIP 디코드를 실행해 봐서, ECC 디코드에 의해 어드레스가 얻어지지 않으면, 그 디스크는 기록 재생 MD, 고밀도 MD 타입 A/타입 B 중 어느 하나이다.
디스크 재생 동작을 실행하여, ADIP 정보가 얻어지지 않으면, 그 디스크는 재생 전용 MD 또는 재생 전용 고밀도 MD이다.
이상, 광학 헤드(20)에서 얻어지는 반사광 정보에 따라 신호로부터의 디스크 판별을 실행하는 판별 요소에 대하여 설명해 왔지만, 이들 판별 요소의 조합에 의해, 미니 디스크의 범주에 있어서의 디스크 6 종류의 종별(재생 전용 MD, 기록 재생 MD, 고밀도 MD 타입 A, 고밀도 MD 타입 B, 재생 전용 고밀도 MD, 고밀도 MD 타입 C)을 판별할 수 있게 된다.
도 14의 하단에는, 디스크 종별 판별 방법 <1>∼<6>으로서, 각각 종별 판별이 가능하게 되는 판별 요소의 조합을 ◎로 나타냈다.
이 디스크 종별 판별 방법 <1>∼<6>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디스크 종별 판별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도 14의 디스크 종별 판별 방법 <1>∼<4>에 있어서, 반사율에 대해서는△을 부여하고 있지만, 이것은 종별 판별을 위한 조합으로서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이론적으로는, 반사율 검출을 실행하지 않아도 나머지의 판별 요소의 조합에 의해 디스크 종별 판별을 할 수 있다. 단, 판별 처리 속도를 고려하면, 반사율 판정이 유효하게 되는 경우도 있고, 이하 설명하는 플로차트에서는, 반사율 판정을 가하고 있는 것도 있다.
또, 반사율 판정은 전술한 반사광 정보로부터의 반사율 판별을 반드시 실행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재생 전용 MD, 기록 재생 MD, 고밀도 MD 타입 A에서는 검출 구멍 H1이 반사율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판별 요소의 조합에 따라서는 검출 구멍 H1에 의해 판별할 수도 있다.
이하, 도 14의 디스크 종별 판별 방법 <1>∼<6>으로서 나타낸 각 디스크 종별 판별 처리를 설명한다.
그리고, 각 플로차트의 처리는 기억 장치 컨트롤러(32)가 실행하는 제어 및 판단 처리가 된다.
[디스크 종별 판별 방법 <1>]
디스크 종별 판별 방법 <1>은 반사율 검출, 위상차 검출, 관리 정보 검출(P-TOC 검출 및 U-TOC 검출)을 조합하는 예이다.
도 27에 디스크 종별 판별 방법 <1>의 처리를 나타낸다.
도 27의 디스크 종별 판별 처리에서는, 먼저 스텝 F101에서 전술한 방법으로 반사율을 판정한다. 여기에서 장전되어 있는 디스크가 고반사율의 디스크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F104로 진행되어, P-TOC의 영역을 재생한다. 그리고 P-TOC의 시스템 ID로서 고밀도 MD를 나타내는 코드 「Hi-MD」가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 고밀도 MD를 나타내는 코드가 있으면, 스텝 F108로 진행되어, 그 디스크는 재생 전용 고밀도 MD라고 판별한다.
한편, 고밀도 MD를 나타내는 코드가 기록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 F109로 진행되어, 그 디스크는 재생 전용 MD라고 판별한다.
스텝 F101에서 저반사율의 디스크로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F102로 진행되어, 현재 광학 헤드(20)가 트레이스하고 있는 디스크 상의 위치가 그루브 영역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디스크 상에서의 물리적인 영역 구조로서는, 도 21,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트 영역, 그루브 영역, 및 미러 영역이 존재하지만, 현재 이들 내의 어느 영역에 있는지는 합계 신호(A+B+C+D) 또는 RF 신호의 진폭 레벨로부터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RF 신호 진폭에 대하여 피크 레벨/보텀 레벨을 검출하여 진폭 레벨을 판정하고, 이것을 소정 한계 레벨과 비교함으로써 판정할 수 있다.
스텝 F102에서, 현재 그루브 영역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F103으로 진행되어, 스레드 기구를 제어하여 그루브 영역에 광학 헤드(20)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스텝 F102로 되돌아가 그루브 영역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 스텝 F102, F103의 처리로 광학 헤드(20)가 그루브 영역 내가 되면, 스텝 F105에서, 전술한 방법에 의해 위상차 검출을 실행한다.
여기에서 푸시풀 신호 P/P에 대한 풀인 신호 PI의 위상 진행이 검출되면, 스텝 F110으로 진행되어, 그 디스크는 고밀도 MD 타입 C라고 판별한다.
스텝 F105에서 위상 지연이 검출된 경우에는, 스텝 F106에서 P-TOC 검출을 실행한다. 즉 P-TOC의 영역을 재생하여, 시스템 ID로서 고밀도 MD를 나타내는 코드 「Hi-MD」가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 고밀도 MD를 나타내는 코드가 있으면, 스텝 F1l1로 진행되어, 장전되어 있는 디스크는 고밀도 MD 타입 B라고 판별한다.
한편, 고밀도 MD를 나타내는 코드가 기록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 F107로 진행되어, 다음에 U-TOC의 내용을 확인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U-TOC의 메이커 코드에서의 고밀도 포맷(Hi-MD)의 식별 코드 유무를 확인하고, 고밀도 포맷의 식별 코드가 존재하면, 스텝 F112로 진행되어, 장전되어 있는 디스크는 고밀도 MD 타입 A라고 판별한다.
U-TOC에서 고밀도 포맷의 식별 코드가 없으면, 스텝 F113으로 진행되어, 장전되어 있는 디스크는 기록 재생 MD라고 판별한다.
이상의 처리로, 반사율 검출, 위상차 검출, 관리 정보 검출(P-TOC 검출 및 U-TOC 검출)의 조합에 의해, 재생 전용 MD, 기록 재생 MD, 고밀도 MD 타입 A, 고밀도 MD 타입 B, 재생 전용 고밀도 MD, 고밀도 MD 타입 C의 종별을 판별할 수 있다.
[디스크 종별 판별 방법 <2>]
디스크 종별 판별 방법 <2>는 반사율 검출, 관리 정보 검출(P-TOC 검출 및 U-TOC 검출), 어드레스 구조 검출을 조합하는 예이다.
도 28에 디스크 종별 판별 방법 <2>의 처리를 나타낸다.
도 28의 디스크 종별 판별 처리에서는, 먼저 스텝 F201에서 전술한 방법으로 반사율을 판정한다. 여기에서 장전되어 있는 디스크가 고반사율의 디스크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F204로 진행되어, P-TOC의 영역을 재생한다. 그리고 P-TOC의 시스템 ID로서 고밀도 MD를 나타내는 코드 「Hi-MD」가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고밀도 MD를 나타내는 코드가 있으면, 스텝 F208로 진행되어, 장전되어 있는 디스크는 재생 전용 고밀도 MD라고 판별한다.
한편, 고밀도 MD를 나타내는 코드가 기록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 F209로 진행되어, 장전되어 있는 디스크는 재생 전용 MD라고 판별한다.
스텝 F201에서 저반사율의 디스크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F202로 진행되어, 현재 광학 헤드(20)가 트레이스하고 있는 디스크 상의 위치가 그루브 영역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스텝 F202에서, 현재 그루브 영역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F203으로 진행되어, 스레드 기구를 제어하여 그루브 영역에 광학 헤드(20)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스텝 F202로 되돌아가 그루브 영역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 스텝 F202, F203의 처리로 광학 헤드(20)가 그루브 영역 내가 되면, 스텝 F205에서, ADIP 어드레스 포맷의 판별을 실행한다.
즉 ADIP 어드레스의 디코드 처리를 실행했을 때에, ECC 디코드에 의한 ADIP 어드레스가 얻어졌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ADIP 어드레스가 ECC 디코드에 의해 얻어진 경우에는, 스텝 F210으로 진행되어, 그 디스크는 고밀도 MD 타입 C라고 판별한다.
스텝 F205에서 ADIP 어드레스가 ECC 디코드에 의해 얻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F206에서 P-TOC 검출을 실행한다. 즉 P-TOC의 영역을 재생하여, 시스템 ID로서 고밀도 MD를 나타내는 코드 「Hi-MD」가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 고밀도 MD를 나타내는 코드가 있으면, 스텝 F211로 진행되어, 장전되어 있는 디스크는 고밀도 MD 타입 B라고 판별한다.
한편, 고밀도 MD를 나타내는 코드가 기록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 F207로 진행되어, 다음에 U-TOC의 내용을 확인한다. 그리고 U-TOC의 메이커 코드에서의 고밀도 포맷의 식별 코드 유무를 확인하고, 고밀도 포맷의 식별 코드가 존재하면, 스텝 F212로 진행되어, 장전되어 있는 디스크는 고밀도 MD 타입 A라고 판별한다.
U-TOC에서 고밀도 포맷의 식별 코드가 없으면, 스텝 F213으로 진행되어, 장전되어 있는 디스크는 기록 재생 MD라고 판별한다.
이상의 처리로, 반사율 검출, 어드레스 구조 검출, 관리 정보 검출(P-TOC 검출 및 U-TOC 검출)의 조합에 의해, 재생 전용 MD, 기록 재생 MD, 고밀도 MD 타입 A, 고밀도 MD 타입 B, 재생 전용 고밀도 MD, 고밀도 MD 타입 C의 종별을 판별할 수 있다.
[디스크 종별 판별 방법 <3>]
디스크 종별 판별 방법 <3>에서는, 관리 정보 검출(U-TOC 검출)과, 특정 영역으로서 BCA 검출을 실행하는 동시에, 카트리지(91)의 검출 구멍 H1의 개폐 상태 판별 결과를 사용하여 디스크 종별을 판별한다.
도 29에 디스크 종별 판별 방법 <3>의 처리를 나타낸다.
도 29의 디스크 종별 판별 처리에서는, 먼저 스텝 F301에서 스레드 기구를 제어하여 광학 헤드(20)를 디스크 최내주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스텝 F302에서 BCA의 유무를 확인한다. BCA의 유무 확인은 도 27의 스텝 F102의 설명에서 설명한 영역 판별 방법에 의해 최내주측이 미러 영역이라고 판별되는지 여부에 의해 가능하다. 즉 디스크 최내주측이 미러 영역이면, BCA 있음이라고 판별할 수 있다.
BCA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스텝 F305로 진행되어, BCA의 바코드 패턴 정보를 재생한다. 여기에서 「Hi-MD3」를 나타내는 코드를 검출할 수 있으면, 스텝 F307로 진행되어, 장전되어 있는 디스크는 고밀도 MD 타입 C라고 판별한다.
BCA의 바코드 패턴으로서 「Hi-MD3」를 나타내는 코드를 검출할 수 없는 경우(「Hi-MD1.5」를 나타내는 코드인 경우)에는, 스텝 F306으로 진행되어, U-TOC의 유무를 확인한다. 즉 U-TOC 영역의 재생을 실행하여, U-TOC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U-TOC가 존재하면 스텝 F308로 진행되어, 장전되어 있는 디스크는 고밀도 MD 타입 B라고 판별한다.
U-TOC가 존재하지 않으면 스텝 F309로 진행되어, 장전되어 있는 디스크는 재생 전용 고밀도 MD라고 판별한다.
스텝 F302에서 BCA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F303에서 검출 구멍 H1의 개폐 상태를 확인한다. 즉 도 3에 나타낸 검출 구멍 판별부(34)의 스위치 SW1의 온/오프 상태를 확인한다.
여기에서 검출 구멍 H1이 폐쇄 상태(스위치 SW1이 온)이면, 스텝 F310으로 진행되어, 장전되어 있는 디스크는 재생 전용 MD라고 판별한다.
검출 구멍 H1이 개방 상태(스위치 SW1이 오프)이면, 스텝 F304로 진행되어, U-TOC의 내용을 확인한다. 즉 U-TOC의 재생을 실행하여, 메이커 코드에서의 고밀도 포맷의 식별 코드(Hi-MD) 유무를 확인한다. 그리고, 고밀도 포맷의 식별 코드가 존재하면, 스텝 F311로 진행되어, 장전되어 있는 디스크는 고밀도 MD 타입 A라고 판별한다.
U-TOC에서 고밀도 포맷의 식별 코드가 없으면, 스텝 F312로 진행되어, 장전되어 있는 디스크는 기록 재생 MD라고 판별한다.
이상의 처리로, 관리 정보 검출(U-TOC 검출)과, BCA 검출과, 검출 구멍 H1의 개폐 상태 검출의 조합에 의해, 재생 전용 MD, 기록 재생 MD, 고밀도 MD 타입 A, 고밀도 MD 타입 B, 재생 전용 고밀도 MD, 고밀도 MD 타입 C의 종별을 판별할 수 있다.
[디스크 종별 판별 방법 <4>]
디스크 종별 판별 방법 <4>에서는, 반사율 검출과, 관리 정보 검출(P-TOC 검출, U-TOC 검출)을 실행하는 동시에, 검출 구멍 H0, H1의 판별 결과를 사용하여 디스크 종별을 판별한다.
도 30에 디스크 종별 판별 방법 <4>의 처리를 나타낸다.
도 30의 디스크 종별 판별 처리에서는, 먼저 스텝 F401에서, 카트리지(91)의 검출 구멍 H0의 개폐 상태를 확인한다. 즉 검출 구멍 판별부(34)의 스위치 SW0의 온/오프 상태를 확인한다.
여기에서 검출 구멍 H0이 폐쇄 상태(스위치 SW0이 온)이면, 스텝 F405로 진행되어, 현재 광학 헤드(20)가 트레이스하고 있는 디스크 상의 위치가 그루브 영역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스텝 F405에서, 현재 그루브 영역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F406으로 진행되어, 스레드 기구를 제어하여 그루브 영역으로 광학 헤드(20)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스텝 F405로 되돌아가 그루브 영역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 스텝 F405, F406의 처리로 광학 헤드(20)가 그루브 영역 내가 되면, 스텝 F410에서 U-TOC의 재생을 실행하여, 메이커 코드에서의 고밀도 포맷의 식별 코드 유무를 확인한다. 그리고, 고밀도 포맷의 식별 코드가 존재하면, 스텝 F411로 진행되어, 장전되어 있는 디스크는 고밀도 MD 타입 A라고 판별한다.
U-TOC에서 고밀도 포맷의 식별 코드가 없으면, 스텝 F412로 진행되어, 장전되어 있는 디스크는 기록 재생 MD라고 판별한다.
스텝 F401에서 검출 구멍 H0이 개방 상태(스위치 SW0이 오프)로 된 경우에는, 스텝 F402에서 검출 구멍 H1의 개폐 상태를 확인한다. 즉 검출 구멍 판별부(34)의 스위치 SW1의 온/오프 상태를 확인한다.
여기에서 검출 구멍 H1이 폐쇄 상태(스위치 SW1이 온)이면, 스텝 F407로 진행되어 반사율 검출을 실행한다. 그리고 장전되어 있는 디스크가 고반사율의 디스크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F414로 진행되어, 그 디스크는 재생 전용 MD라고 판별한다.
스텝 F407에서 저반사율의 디스크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F409로 진행되어, P-TOC의 영역을 재생하고, 시스템 ID로서 고밀도 MD를 나타내는 코드 「Hi-MD」가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 고밀도 MD를 나타내는 코드가 있으면, 스텝 F415로 진행되어, 그 디스크는 고밀도 MD 타입 B라고 판별한다.
한편, P-TOC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F416으로 진행되어, 장전되어 있는 디스크는 고밀도 MD 타입 C라고 판별한다.
스텝 F402에서 검출 구멍 H1이 개방 상태(스위치 SW1이 오프)로 검출된 경우에는, 스텝 F403으로 진행되어, 반사율 검출을 실행한다. 그리고 장전되어 있는 디스크가 고반사율의 디스크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F413으로 진행되어, 그 디스크는 재생 전용 고밀도 MD라고 판별한다.
저반사율의 디스크인 경우에는, 스텝 F404로 진행되어, P-TOC의 영역을 재생한다. 그리고 P-TOC가 존재하는지, 또는 존재하면 P-TOC의 시스템 ID로서 고밀도 MD를 나타내는 코드 「Hi-MD」가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 P-TOC가 존재하지 않으면, 스텝 F421로 진행되어, 장전되어 있는 디스크는 고밀도 MD 타입 C라고 판별한다.
또 P-TOC가 존재하고, 또한 시스템 ID로서 고밀도 MD를 나타내는 코드가 있으면, 스텝 F420으로 진행되어, 그 디스크는 고밀도 MD 타입 B라고 판별한다.
한편, P-TOC는 존재하지만, 고밀도 MD를 나타내는 코드가 기록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 F422로 진행되어, 현재 광학 헤드(20)가 트레이스하고 있는 디스크 상의 위치가 그루브 영역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현재 그루브 영역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F423으로 진행되어, 스레드 기구를 제어하여 그루브 영역에 광학 헤드(20)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스텝 F422로 되돌아가 그루브 영역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 스텝 F422, F423의 처리로 광학 헤드(20)가 그루브 영역 내가 되면, 스텝 F417에서 U-TOC의 재생을 실행하여, 고밀도 포맷의 식별 코드 유무를 확인한다. 그리고, 고밀도 포맷의 식별 코드가 존재하면, 스텝 F419로 진행되어, 장전되어 있는 디스크는 고밀도 MD 타입 A라고 판별한다.
U-TOC에서 고밀도 포맷의 식별 코드가 없으면, 스텝 F418로 진행되어, 장전되어 있는 디스크는 기록 재생 MD라고 판별한다.
이상의 처리로, 반사율 검출과, 관리 정보 검출(P-TOC 검출, U-TOC 검출)과, 검출 구멍 H0, H1의 개폐 상태 검출의 조합에 의해, 재생 전용 MD, 기록 재생 MD, 고밀도 MD 타입 A, 고밀도 MD 타입 B, 재생 전용 고밀도 MD, 고밀도 MD 타입 C의 종별을 판별할 수 있다.
[디스크 종별 판별 방법 <5>]
디스크 종별 판별 방법 <5>는 반사율 검출, 관리 정보 검출(U-TOC 검출), 특정 영역으로서의 BCA 검출을 조합한 예이다.
도 31에 디스크 종별 판별 방법 <5>의 처리를 나타낸다.
도 31의 디스크 종별 판별 처리에서는, 먼저 스텝 F501에서 반사율을 판정한다. 여기에서 장전되어 있는 디스크가 고반사율의 디스크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F505로 진행되어, 스레드 기구를 제어하여 광학 헤드(20)를 디스크 최내주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스텝 F506에서 BCA의 유무를 확인한다.
BCA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스텝 F508로 진행되어, 장전되어 있는 디스크는 재생 전용 고밀도 MD라고 판별한다.
BCA가 존재하지 않으면 스텝 F509로 진행되어, 장전되어 있는 디스크는 재생 전용 MD라고 판별한다.
스텝 F501에서 저반사율의 디스크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스텝 F502로 진행되어, 스레드 기구를 제어하여 광학 헤드(20)를 디스크 최내주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스텝 F503에서 BCA의 유무를 확인한다.
BCA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스텝 F507로 진행되어, BCA의 바코드 패턴의 정보를 재생한다. 여기에서 「Hi-MD3」을 나타내는 코드를 검출할 수 있으면, 스텝 F510으로 진행되어, 장전되어 있는 디스크는 고밀도 MD 타입 C라고 판별한다.
BCA의 바코드 패턴으로서 「Hi-MD3」를 나타내는 코드를 검출할 수 없는 경우(「Hi-MD1.5」를 나타내는 코드인 경우)에는 스텝 F511로 진행되어, 장전되어 있는 디스크는 고밀도 MD 타입 B라고 판별한다.
스텝 F503에서 BCA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F504에서 U-TOC를 확인한다. 즉 U-TOC 영역의 재생을 실행하여, 고밀도 포맷의 식별 코드 유무를 확인한다. 그리고, 고밀도 포맷의 식별 코드가 존재하면, 스텝 F512로 진행되어, 장전되어 있는 디스크는 고밀도 MD 타입 A라고 판별한다.
U-TOC에서 고밀도 포맷의 식별 코드가 없으면, 스텝 F513으로 진행되어, 장전되어 있는 디스크는 기록 재생 MD라고 판별한다.
이상의 처리로, 반사율 검출과, 관리 정보 검출(U-TOC 검출)과, BCA 검출의 조합에 의해, 재생 전용 MD, 기록 재생 MD, 고밀도 MD 타입 A, 고밀도 MD 타입 B, 재생 전용 고밀도 MD, 고밀도 MD 타입 C의 종별을 판별할 수 있다.
[디스크 종별 판별 방법 <6>]
디스크 종별 판별 방법 <6>은 관리 정보 검출(P-TOC 검출, U-TOC 검출)을 실행하는 예이다.
도 32에 디스크 종별 판별 방법 <6>의 처리를 나타낸다.
먼저 스텝 F601에서, U-TOC의 존재를 확인한다.
U-TOC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스텝 F602로 진행되어, U-TOC 영역의 메이커 코드에서의 고밀도 포맷의 식별 코드 유무를 확인한다.
그리고 U-TOC에서 고밀도 포맷의 식별 코드가 없으면, 스텝 F606으로 진행되어, 장전되어 있는 디스크는 기록 재생 MD라고 판별한다.
U-TOC에 고밀도 포맷의 식별 코드가 존재하면, 스텝 F605로 진행되어, P-TOC의 영역을 재생하고, 시스템 ID로서 고밀도 MD를 나타내는 코드 「Hi-MD」가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 고밀도 MD를 나타내는 코드가 있으면, 스텝 F611로 진행되어, 그 디스크는 고밀도 MD 타입 B라고 판별한다.
한편, P-TOC에 고밀도 MD를 나타내는 코드가 없으면, 스텝 F610으로 진행되어, 그 디스크는 고밀도 MD 타입 A라고 판별한다.
스텝 F601에서 U-TOC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F603에서 P-TOC의 유무를 확인한다.
여기에서 P-TOC가 존재하지 않으면, 스텝 F607로 진행되어, 그 디스크는 고밀도 MD 타입 C라고 판별한다.
P-TOC가 존재한 경우에는, 스텝 F604로 진행되어, P-TOC의 시스템 ID로서 고밀도 MD를 나타내는 코드 「Hi-MD」가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 고밀도 MD를 나타내는 코드가 있으면, 스텝 F609로 진행되어, 그 디스크는 재생 전용 고밀도 MD라고 판별한다.
한편, P-TOC에 고밀도 MD를 나타내는 코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F608로 진행되어, 장전되어 있는 디스크는 재생 전용 MD라고 판별한다.
이상의 처리로, 관리 정보로서의 P-TOC 검출, U-TOC 검출의 조합에 의해, 재생 전용 MD, 기록 재생 MD, 고밀도 MD 타입 A, 고밀도 MD 타입 B, 재생 전용 고밀도 MD, 고밀도 MD 타입 C의 종별을 판별할 수 있다.
6. 기록 가부 판별 처리
이어서 디스크(90)의 카트리지(91)에 형성되어 있는 검출 구멍 H0, H1에 의한 제시 정보, 특히 기록 가부의 설정 상태 판별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재생 전용 MD, 기록 재생 MD, 고밀도 MD 타입 A에 대해서는, 검출 구멍 H0이 기록 가부 설정에 사용되고, 한편, 고밀도 MD 타입 B, 재생 전용 고밀도 MD, 고밀도 MD 타입 C에서는, 검출 구멍 H1이 기록 가부 설정에 사용된다.
따라서, 기억 장치부(2)에 어느 디스크(90)가 장전된 경우에, 그 디스크(90)에 대하여 기록 가/불가를 판정하는 데에는, 디스크 종별 판별 결과와, 검출 구멍 H0, H1의 개폐 상태 판별 결과를 조합하여 판별하도록 한다.
도 33 (A) 내지 도 33 (B)에 검출 구멍 H0, H1의 개폐 상태를 모드로서 나타낸다.
도 33 (A)는 재생 전용 MD, 기록 재생 MD, 고밀도 MD 타입 A의 경우이다.
이 경우, 검출 구멍 H0(스위치 SW0의 온/오프)이 기록 가부 설정(기록 방지)의 검출에 사용되고, 한편, 검출 구멍 H1(스위치 SW1의 온/오프)이 반사율의 검출에 사용된다.
2개의 스위치 SW0, SW1의 모드로서는, 도시하는 모드 0∼모드 3이 고려된다.
모드 0은 검출 구멍 H0, H1이 모두 개방 상태, 즉 스위치 SW0, SW1이 모두 오프로 되는 모드이다.
이것은 기록 재생 MD 또는 고밀도 MD 타입 A에서, 기록 불가를 제시하는 것이 된다.
모드 1은 검출 구멍 H0이 개방 상태, 검출 구멍 H1이 폐쇄 상태, 즉 스위치 SWO이 오프, 스위치 SW1이 온으로 되는 모드이다.
이것은 재생 전용 MD(기록 불능)를 제시하는 것이 된다.
모드 2는 검출 구멍 H0이 폐쇄 상태, 검출 구멍 H1이 개방 상태, 즉 스위치 SW0이 온, 스위치 SW1이 오프로 되는 모드이다.
이것은 기록 재생 MD 또는 고밀도 MD 타입 A에서, 기록 가능을 제시하는 것이 된다.
모드 3은 검출 구멍 H0, H1이 모두 폐쇄 상태, 개, 스위치 SW0, SW1이 모두 온으로 되는 모드이다. 앞서 설명한 도 4, 도 6 (A) 내지 도 6 (B)에 의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모드 3은 있을 수 없다.
도 33 (B)는 본 실시예의 디스크가 되는 고밀도 MD 타입 B, 재생 전용 고밀도 MD, 고밀도 MD 타입 C의 경우이다.
이 경우, 검출 구멍 H0은 항상 개방 상태(스위치 SW0은 항상 오프)이며, 검출 구멍 H1(스위치 SW1의 온/오프)이 기록 가부 설정(기록 방지)의 검출에 사용된다.
이 경우에도 2개의 스위치 SW0, SW1의 모드로서, 도 33 (A)와 동일한 상태를, 각각 모드 0∼모드 3으로 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검출 구멍 H0, H1이 모두 개방 상태, 즉 스위치 SW0, SW1이 모두 오프로 되는 모드 0은 고밀도 MD 타입 B, 고밀도 MD 타입 C에서 기록 불가를 제시하는 것이 된다. 그리고, 재생 전용 고밀도 MD의 경우에는, 반드시 이 모드 0으로 되어, 기록 불능을 제시하는 것이 된다.
검출 구멍 H0이 개방 상태, 검출 구멍 H1이 폐쇄 상태, 즉 스위치 SW0이 오프, 스위치 SW1이 온으로 되는 모드 1은 고밀도 MD 타입 B, 고밀도 MD 타입 C에서 기록 가능을 제시하는 것이 된다.
검출 구멍 H0이 폐쇄 상태, 검출 구멍 H1이 개방 상태, 즉 스위치 SW0이 온, 스위치 SWl가 오프로 되는 모드 2, 및 검출 구멍 H0, H1이 모두 폐쇄 상태, 즉 스위치 SW0, SW1이 모두 온으로 되는 모드 3은 모두 있을 수 없다.
이 도 33 (A) 내지 도 33 (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검출 구멍 H0, H1의 개폐 상태에 따른 각 모드는 디스크 종별에 따라 의미가 상이한 것이 된다.
그래서 본 예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기억 장치부(2)]에서는, 기억 장치 컨트롤러(32)가 도 34 또는 도 35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장전된 디스크(90)에 대한 기록 가부를 판별한다.
먼저 도 34의 처리를 설명한다.
도 34의 처리에서는, 기억 장치 컨트롤러(32)는 먼저 스텝 F701에서 검출 구멍 판별부(34)의 스위치 SW0, SW1의 온/오프 상태를 검출한다. 이에 따라, 현재의 상태가 도 33 (A) 내지 도 33 (B)에 나타낸 모드 0∼모드 3의 어느 것인지를 알게 된다.
모드 0인 경우에는, 스텝 F702로부터 F705로 진행되어, 디스크 판별 처리를 실행한다. 이 디스크 판별 처리로서는, 상기 디스크 종별 판별 방법 <1>∼<6> 중 어느 하나의 처리를 실행하면 된다.
모드 0인 경우에는, 디스크(90)는 기록 재생 MD, 고밀도 MD 타입 A/타입 B/타입 C, 재생 전용 고밀도 MD 중 어느 하나이다.
스텝 F705의 디스크 판별 처리 결과, 디스크(90)가 고밀도 MD 타입 C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F706으로부터 F719로 진행되어, 고밀도 MD 타입 C로서 기록 불가에 설정되어 있다고 판별한다.
스텝 F705의 디스크 판별 처리 결과, 디스크(90)가 고밀도 MD 타입 A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F707로부터 F720으로 진행되어, 고밀도 MD 타입 A로서 기록 불가에 설정되어 있다고 판별한다.
스텝 F705의 디스크 판별 처리 결과, 디스크(90)가 고밀도 MD 타입 B(재생 전용 고밀도 MD의 경우를 제외한다)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F708로부터 F721로 진행되어, 고밀도 MD 타입 B로서 기록 불가에 설정되어 있다고 판별한다.
스텝 F705의 디스크 판별 처리 결과, 디스크(90)가 재생 전용 고밀도 MD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F709로부터 F722로 진행되어, 재생 전용 고밀도 MD이기 때문에 기록 불능이라고 판별한다.
스텝 F705의 디스크 판별 처리 결과, 디스크(90)가 기록 재생 MD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F710으로부터 F723으로 진행되어, 기록 재생 MD로서 기록 불가에 설정되어 있다고 판별한다.
스텝 F705의 디스크 판별 처리로, 이들 이외의 종별 디스크로 된 경우, 즉 모드 0은 있을 수 없는 재생 전용 MD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F729에서 디스크 에러로 한다.
스위치 SW0, SW1의 상태가 모드 1인 경우에는, 스텝 F703으로부터 F711로 진행되어, 디스크 판별 처리(디스크 종별 판별 방법 <1>∼<6>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한다.
모드 1인 경우에는, 디스크(90)는 재생 전용 MD, 고밀도 MD 타입 B/타입 C 중 어느 하나이다.
스텝 F711의 디스크 판별 처리 결과, 디스크(90)가 재생 전용 MD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F712로부터 F724로 진행되어, 재생 전용 MD이기 때문에 기록 불능이라고 판별한다.
스텝 F711의 디스크 판별 처리 결과, 디스크(90)가 고밀도 MD 타입 C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F714로부터 F725로 진행되어, 고밀도 MD 타입 C로서 기록 가능에 설정되어 있다고 판별한다.
스텝 F711의 디스크 판별 처리 결과, 디스크(90)가 고밀도 MD 타입 B(재생 전용 고밀도 MD의 경우를 제외한다)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F715로부터 F728로 진행되어, 고밀도 MD 타입 B로서 기록 가능에 설정되어 있다고 판별한다.
스텝 F711의 디스크 판별 처리로, 이들 이외의 종별 디스크로 된 경우, 즉 모드 1은 있을 수 없는 기록 재생 MD 또는 고밀도 MD 타입 A 또는 재생 전용 고밀도 MD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F729에서 디스크 에러로 한다.
스위치 SW0, SW1의 상태가 모드 2인 경우에는, 스텝 F704로부터 F716으로 진행되어, 디스크 판별 처리(디스크 종별 판별 방법 <1>∼<6>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한다.
모드 2인 경우에는, 디스크(90)는 고밀도 MD 타입 A, 기록 재생 MD 중 어느 하나이다.
스텝 F716의 디스크 판별 처리 결과, 디스크(90)가 고밀도 MD 타입 A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F717로부터 F727로 진행되어, 고밀도 MD 타입 A로서 기록 가능에 설정되어 있다고 판별한다.
스텝 F716의 디스크 판별 처리 결과, 디스크(90)가 기록 재생 MD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F718로부터 F726으로 진행되어, 기록 재생 MD로서 기록 가능에 설정되어 있다고 판별한다.
스텝 F716의 디스크 판별 처리로, 이들 이외의 종별 디스크로 된 경우, 즉 모드 2는 있을 수 없는 재생 전용 MD, 고밀도 MD 타입 B/타입 C, 재생 전용 고밀도 MD 중 어느 하나로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F729에서 디스크 에러로 한다.
스위치 SW0, SW1의 상태가 모드 2인 경우에는, 이것은 있을 수 없는 모드이기 때문에, 스텝 F704로부터 F729로 진행되어, 디스크 에러로 한다.
이와 같은 도 34의 처리에 의해, 기억 장치 컨트롤러(32)는 장전된 디스크(90)에 대하여 기록 가부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다.
도 35는 동일한 기록 가부 판별 처리로서의 다른 예이다.
이 경우, 기억 장치 컨트롤러(32)는 먼저 스텝 F801에서 디스크 판별 처리, 즉 전술한 디스크 종별 판별 방법 <1>∼<6>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여, 디스크 종별을 판별한다.
그리고 디스크(90)가 재생 전용 MD인 경우에는, 스텝 F802로부터 F807로 진행되어, 재생 전용의 엠보스 피트 디스크이기 때문에 기록 불능이라고 판별한다.
또 스텝 F801에서 디스크(90)가 재생 전용 고밀도 MD인 경우에는, 스텝 F803으로부터 F807로 진행되어, 이 경우에도 재생 전용의 엠보스 피트 디스크이기 때문에 기록 불능이라고 판별한다.
스텝 F801에서 디스크(90)가 고밀도 MD 타입 C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F804로부터 F808로 진행되어, 기억 장치 컨트롤러(32)는 검출 구멍 판별부(34)의 스위치 SW0, SW1의 온/오프 상태를 검출한다. 즉 도 33 (A) 내지 도 33 (B)에 나타낸 모드 0∼모드 3의 어느 것인지를 판별한다.
스텝 F808에서 모드 0이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F812로 진행되어, 디스크(90)는 고밀도 MD 타입 C로서 기록 불가에 설정되어 있다고 판별한다.
스텝 F808에서 모드 1이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F813으로 진행되어, 디스크(90)는 고밀도 MD 타입 C로서 기록 가능에 설정되어 있다고 판별한다.
스텝 F808에서 모드 2 또는 모드 3이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이것은 있을 수 없는 상태이므로, 스텝 F814로 진행되어 디스크 에러로 한다.
스텝 F801에서 디스크(90)가 고밀도 MD 타입 B(재생 전용 고밀도 MD의 경우를 제외한다)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기억 장치 컨트롤러(32)의 처리는 스텝 F805로부터 F809로 진행되어, 검출 구멍 판별부(34)의 스위치 SW0, SW1의 온/오프 상태, 즉 모드 0∼모드 3의 어느 것인지를 판별한다.
스텝 F809에서 모드 0이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F815로 진행되어, 디스크(90)는 고밀도 MD 타입 B로서 기록 불가에 설정되어 있다고 판별한다.
스텝 F809에서 모드 1이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F816으로 진행되어, 디스크(90)는 고밀도 MD 타입 B로서 기록 가능에 설정되어 있다고 판별한다.
스텝 F809에서 모드 2 또는 모드 3이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이것은 있을 수 없는 상태이므로, 스텝 F817로 진행되어 디스크 에러로 한다.
스텝 F801에서 디스크(90)가 고밀도 MD 타입 A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기억 장치 컨트롤러(32)의 처리는 스텝 F806으로부터 F810으로 진행되어, 검출 구멍 판별부(34)의 스위치 SW0, SW1의 온/오프 상태, 즉 모드 0∼모드 3의 어느 것인지를 판별한다.
스텝 F810에서 모드 0이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F818로 진행되어, 디스크(90)는 고밀도 MD 타입 A로서 기록 불가에 설정되어 있다고 판별한다.
스텝 F810에서 모드 2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F819로 진행되어, 디스크(90)는 고밀도 MD 타입 A로서 기록 가능에 설정되어 있다고 판별한다.
스텝 F810에서 모드 1 또는 모드 3이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이것은 있을 수 없는 상태이므로, 스텝 F820으로 진행되어 디스크 에러로 한다.
스텝 F801에서 디스크(90)가 기록 재생 MD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기억 장치 컨트롤러(32)의 처리는 스텝 F811로 진행되어, 검출 구멍 판별부(34)의 스위치 SW0, SW1의 온/오프 상태, 즉 모드 0∼모드 3의 어느 것인지를 판별한다.
스텝 F811에서 모드 0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F821로 진행되어, 디스크(90)는 기록 재생 MD로서 기록 불가에 설정되어 있다고 판별한다.
스텝 F811에서 모드 2로 판별된 경우에는, 스텝 F822로 진행되어, 디스크(90)는 기록 재생 MD로서 기록 가능에 설정되어 있다고 판별한다.
스텝 F811에서 모드 1 또는 모드 3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이것은 있을 수 없는 상태이므로, 스텝 F823으로 진행되어 디스크 에러로 한다.
이 도 35의 처리에 의해서도, 기억 장치 컨트롤러(32)는 장전된 디스크(90)에 대하여 기록 가부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예에서는, 검출 구멍 H0, H1(스위치 SW0, SW1)에 대해서는, 모드 0∼모드 3을 판별하도록 했다.
그러나, 재생 전용의 피트 디스크(재생 전용 MD 또는 재생 전용 고밀도 MD)인지, 이 이외의 기록 재생 가능한 광자기 기록 재생 디스크인지의 판별은 전술한 반사율 검출로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재생 전용의 피트 디스크는 반드시 기록 불능이다.
또 모드 3은 어느 디스크의 경우라도 있을 수 없다.
그러면, 모드 0인지, 또는 모드 1 또는 모드 2인지를 판별할 수 있으면, 기록 가부의 판단이 가능하게 되기도 된다.
즉, 스위치 SW0, SW1의 양쪽이 오프의 모드 O인 경우에는, 기록 재생 MD, 고밀도 MD 타입 A/타입 B/타입 C 모두 「기록 불가」이며, 스위치 SW0, SW1 중 어느 한쪽이 온으로 되는 모드 1 또는 모드 2이면, 기록 재생 MD, 고밀도 MD 타입 A/타입 B/타입 C의 어느 경우라고 해도 「기록 가능」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것은 전술한 반사광 정보로부터의 반사율 검출에 의해 피트 디스크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것이면, 스위치 SW0, SW1의 검출에 대해서는 OR 타입의 구성으로 해도 상관없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스위치 SW0, SW1의 검출을 OR 타입으로 하는 것에 따라서는, 스위치 SW0, SW1의 구조의 간이화도 가능하게 된다.
이상,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의 변형예가 고려된다.
또 전술한 각종 처리(디스크 종별 판별 처리, 기록 가부 판별 처리)는 기억 장치 컨트롤러(32) 또는 시스템 컨트롤러(8)에 상당하는 기록 재생 장치(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제어부가,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이를 위한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도 1의 기록 재생 장치(1)의 ROM(9), 불휘발성 RAM(12), 또는 도시하지 않은 기억 장치 컨트롤러(32)가 취급하는 ROM 등에 미리 기억해 저장하여 둘 수 있다.
또는 해당 프로그램은 플렉시블 디스크, CD-R0M(Compact Disc Read 0nly Memory), M0(Magnet 0ptical) 디스크,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 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등의 착탈 가능 기록 매체에, 일시적 또는 영속적으로 저장(기록)해 둘 수 있다. 이와 같은 착탈 가능 기록 매체는 이른바 패키지 소프트 웨어로서 제공할 수 있고 ,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설계/제조 등에도 이용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본 실시예이면, 디스크(90)에 프로그램을 기록하여, 패키지 소프트 웨어로서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기록 재생 장치(1)에서는, 디스크(90)를 재생하여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불휘발성 RAM(12) 등에 기억시킴으로서 인스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그램은 상기와 같은 착탈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하는 외에,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는 서버 등으로부터, LAN(Local Area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할 수도 있다.
또, 여기에서는, 기록 재생 장치로서는 미니 디스크(MD) 방식의 디스크에 대응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범주의 카트리지 디스크에서의 기록 매체나 대응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록 매체에서는, 상기 개폐 수단은 검출 구멍을 폐쇄 상태로 한 경우에, 해당 검출 구멍의 위치에서 상기 카트리지의 기준 평면에 대하여 대략 수평의 평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검출 구멍이 폐쇄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 동일 위치에 검출 구멍이 존재하지 않는 종별의 종전 기록 매체의 카트리지 평면과 동일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대응하는 검출용 스위치는 해당 위치에 검출 구멍이 존재하지 않는 종별의 기록 매체에 대응하는 스트로크 범위와 동일하며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기록 매체의 다양한 종별에 대응하기 위해 검출 구멍에 대응하는 스위치의 구성, 예를 들면 스트로크 범위 등을 변경할 필요는 없고,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코스트 업이나 소형화, 박형화의 방해 등을 일으키지 않는다.
또 다종의 기록 매체의 장전에 따라 스위치에 대한 부하가 변화하는 것에 의한 스위치 고장 등의 가능성도 작게 할 수 있다.
또, 카트리지에는 적어도 제1, 제2의 상기 검출 구멍이 형성되고, 제2 검출 구멍은 상기 개폐 수단에 의해 개폐되는 동시에, 제1 검출 구멍은 항상 개방 상태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것은 제2 검출 구멍이, 예를 들면 기록 가부의 설정에 사용되는 동시에, 상기 카트리지 기준 평면과 대략 수평의 평면에서 폐쇄 상태로 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1 검출 구멍이 항상 개방 상태에 있는 것은, 특히 제1 검출 구멍을 기록 가부의 설정에 사용하는 종전의 종별 기록 매체에서, 예를 들면 기록 금지 상태로 되는 것을 의미하며, 즉 종전 기종으로서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서 기록 금지라고 판별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또는 디스크 판별 방법에서는, 카트리지에 형성되는 하나 또는 복수 검출 구멍의 개폐 상태와, 장전된 기록 매체로부터의 반사광에 따른 신호를 사용한 디스크 종별의 결과에 의해, 디스크 종별과 함께 상기 검출 구멍에 의한 판별 정보 내용(예를 들면 기록 가부)을 판별한다.
이 때문에, 디스크 종별에 따라, 제1 검출 구멍, 제2 검출 구멍에 의한 설정 상태를 적절히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종별 디스크 중에서 신규 디스크를 위해, 기록 가부 설정을 위해 검출 구멍이나 대응하는 스위치를 증설한다고 하는 것도 불필요하게 된다.
또 디스크 종별을 판별하기 위해서는, 디스크로부터의 반사광에 따른 신호로부터, 디스크의 반사율 검출, 상기 신호의 위상차 검출, 기록 매체의 관리 정보 검출, 기록 매체의 어드레스 구조 검출, 기록 매체의 특정 영역 검출 중 어느 하나를 조합하여 실행함으로써 다양한 종별에 대응하여 정확한 판별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범주의 각종 기록 매체, 및 종전 기종으로부터 본 발명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해당되는 기종까지의 각종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를 고려한 경우에 있어서,
ㆍ디스크 종별에 따라, 제1, 제2 검출 구멍의 의미를 변화시킴으로써, 기록 매체와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의 각종 조합에서 적절한 기록 가부 설정이 가능하며,
ㆍ디스크 종별 판별을 적절히 실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검출 구멍에 의한 기록 가부의 판별도 정확하게 되며,
ㆍ본 발명의 기록 매체에 대해서는, 제1 검출 구멍(H0)에 의해 종전 기종에서 기록 불가 상태로 할 수 있는 동시에, 제2 검출 구멍(H1)으로 본 발명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에 대한 기록 불가를 설정할 수 있으며,
ㆍ본 발명의 기록 매체로서의 디스크는 종전 기종에서 기록 불가로 됨으로써, 동작 에러, 데이터 파괴, 그 밖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ㆍ카트리지의 검출 구멍이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측에서의 검출 스위치의 증설이나 변경은 불필요하며, 스위치의 스트로크도 종전의 디스크와 본 발명의 디스크에서 동일 조건으로 되기 때문에, 설계의 용이성이 얻어지고, 코스트나 장치 사이즈의 점에서의 불이익도 없으며,
ㆍ종래의 종별 디스크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는 검출 구멍 상태에 따라 적절히 기록 가부 판별이 가능한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5)

  1. 기록 디스크가 카트리지에 수납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기준 평면 상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검출 구멍과,
    상기 검출 구멍을 개폐하여, 상기 검출 구멍을 폐쇄 상태로 하는 경우에는, 상기 검출 구멍의 위치에서 상기 카트리지의 기준 평면에 대하여 대략 수평의 평면을 형성하는 개폐 수단
    을 구비하는 기록 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적어도 제1 검출 구멍과 제2 검출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제2 검출 구멍은 상기 개폐 수단에 의해 개폐되는 동시에, 상기 제1 검출 구멍은 항상 개방 상태가 되는 기록 매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의 외형은 적어도 제1 검출 구멍과 제2 검출 구멍이 디스크가 수납된 카트리지의 기준 평면 상의 규정된 소정 위치에 구비된 다른 기록 매체의 카트리지 외형과 대략 동일하고, 상기 기록 매체와 상기 다른 기록 매체는 동일 장치에 장전 가능한 범주의 기록 매체이며,
    상기 기록 매체의 제2 검출 구멍은 개방 상태에서 기록 금지를 나타내고,
    상기 다른 기록 매체의 제1 검출 구멍은 개방 상태에서 기록 금지를 나타내고, 제2 검출 구멍은 디스크의 반사율을 나타내는 기록 매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의 제2 검출 구멍의 개폐는 상기 카트리지의 소정 장소에 형성된 조작 돌기의 조작에 따라 실행되며, 상기 기록 매체의 조작 돌기의 조작 방향에 따른 상기 기록 매체의 제2 검출 구멍의 개폐와 상기 다른 기록 매체의 조작 돌기의 조작에 의한 상기 다른 기록 매체의 제1 검출 구멍의 개폐 조작 방향이 동일한 기록 매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돌기의 조작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개폐 수단의 두께는 상기 제1 검출 구멍의 하면부 두께보다 두꺼운 기록 매체.
  6. 복수 종별 디스크 중 하나의 종별 디스크가 소정 형상의 카트리지에 수납된 기록 매체를 기록 재생하는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복수 검출 구멍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 검출 수단과,
    장전된 상기 기록 매체에 광신호를 조사(照射)하여, 상기 디스크로부터의 반사광에 따라 장전된 상기 카트리지에 수납되어 있는 디스크의 종별을 판별하는 종별 판별 수단과,
    상기 종별 판별 수단의 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카트리지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검출 구멍의 구멍 종별을 결정하는 구멍 종별 결정 수단
    을 구비하는 기록 재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되는 구멍 종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디스크에 대한 기록 금지를 나타내는 기록 재생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제1 소정 위치에는 제1 검출 구멍이 규정되고, 제2 소정 위치에는 제2 검출 구멍이 규정되어 있고,
    제1 종별 디스크가 수납된 기록 매체의 상기 제2 검출 구멍의 개방 상태는 디스크에 대한 기록 금지 상태를 나타내고,
    제2 종별 디스크가 수납된 기록 매체의 상기 제1 검출 구멍의 개방 상태는 디스크에 대한 기록 금지 상태를 나타내고, 상기 제2 검출 구멍은 디스크의 반사율을 나타내고,
    상기 종별 판별 수단의 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검출 구멍의 어떤 것의 개방 상태가 디스크에 대한 기록 금지를 나타내는지를 결정하는 기록 재생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종별 판별 수단은 상기 디스크로부터의 반사광으로부터 검출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크의 반사율 검출, 상기 신호의 위상차 검출, 기록 매체가 구비하는 관리 정보 검출, 기록 매체가 구비하는 어드레스 구조 검출, 기록 매체의 특정 영역 검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디스크 종별을 판별하는 기록 재생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종별 판별 수단은 상기 반사율 검출과 상기 위상차 검출과 상기 관리 정보 검출과 상기 구조 검출의 검출 결과에 따라 판별을 실행하는 기록 재생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종별 판별 수단은 상기 반사율 검출과 상기 관리 정보 검출과 상기 구조 검출의 검출 결과에 따라 판별을 실행하는 기록 재생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종별 판별 수단은 상기 관리 정보 검출과 상기 특정 영역 검출의 검출 결과와 상기 구멍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따라 디스크 종별을 판별하는 기록 재생 장치.
  13. 복수 종별 디스크 중 하나의 종별 디스크가 소정 형상의 카트리지에 수납된 기록 매체에 기록 재생하는 기록 재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복수 검출 구멍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구멍 검출 스텝과,
    장전된 상기 기록 매체에 광신호를 조사하여, 상기 디스크로부터의 반사광에 따라 장전된 상기 카트리지에 수납되어 있는 디스크의 종별을 판별하는 종별 판별 스텝과,
    상기 종별 판별의 결과에 따라, 상기 카트리지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검출 구멍의 구멍 종별을 결정하는 구멍 종별 결정 스텝
    을 포함하는 기록 재생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되는 구멍의 종별은 상기 디스크에 대한 기록의 가부를 나타내는 종별인 기록 재생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제1 소정 위치에는 제1 검출 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규정되고, 상기 카트리지의 제2 소정 위치에는 제2 검출 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규정되고,
    제1 종별 디스크의 상기 제1 검출 구멍이 개방 상태에서 디스크에 대한 기록 금지를 나타내고,
    제2 종별 디스크의 상기 제2 검출 구멍이 개방 상태에서 디스크에 대한 기록 금지를 나타내는 동시에, 상기 제1 검출 구멍은 상기 디스크의 반사율을 나타내는 기록 재생 방법.
KR1020047015118A 2003-01-31 2004-01-30 기록 매체, 기록 재생 장치, 기록 재생 방법 KR200500974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24567 2003-01-31
JP2003024567 2003-01-31
JPJP-P-2004-00019432 2004-01-28
JP2004019432A JP4320597B2 (ja) 2003-01-31 2004-01-28 記録媒体、記録再生装置、記録再生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7453A true KR20050097453A (ko) 2005-10-07

Family

ID=32828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5118A KR20050097453A (ko) 2003-01-31 2004-01-30 기록 매체, 기록 재생 장치, 기록 재생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263708B2 (ko)
EP (1) EP1492113A4 (ko)
JP (1) JP4320597B2 (ko)
KR (1) KR20050097453A (ko)
WO (1) WO20040684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93454B2 (en) * 2004-10-29 2009-02-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achieving reliable worm storage using WMRM storage
JP4473768B2 (ja) 2005-04-14 2010-06-02 株式会社東芝 情報記憶媒体、再生方法及び記録方法
JP2007141310A (ja) * 2005-11-16 2007-06-07 Canon Inc 情報記録再生装置
US8191120B2 (en) * 2006-01-05 2012-05-29 Sandisk Il Ltd. Powerless electronic storage lock
KR101242040B1 (ko) * 2006-06-26 2013-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포터블 기기의 재생 목록 자동 생성 방법 및 장치
US8057115B2 (en) * 2006-07-28 2011-11-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dia carrier
JPWO2008069246A1 (ja) * 2006-12-07 2010-03-25 日本電気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及び光ディスク種類判定方法
JP2008165890A (ja) * 2006-12-27 2008-07-17 Toshiba Corp 光ディスク装置
JP2010267378A (ja) * 2010-07-29 2010-11-25 Toshiba Corp 情報記憶媒体、再生方法、記録方法及び再生装置
JP2010267377A (ja) * 2010-07-29 2010-11-25 Toshiba Corp 情報記憶媒体、再生方法、記録方法及び再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5029A (en) * 1988-10-24 1991-02-19 Tdk Corporation Optical disk identifying method, manufacture of cartridge-enclosed optical disks, and optical disk cartridges
JP2770394B2 (ja) * 1989-04-06 1998-07-02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KR960013773B1 (ko) * 1990-01-29 1996-10-10 다이닛뽕 인사쓰 가부시기가이샤 디스크카트리지
JP2961835B2 (ja) * 1990-08-23 1999-10-12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再生装置
DE69233025T2 (de) * 1991-02-18 2004-02-19 Sony Corp. Plattenkassette und Plattenaufzeichnungs -und/oder wiedergabegerät
JPH06259927A (ja) * 1993-03-09 1994-09-16 Sony Corp ディスク収納筐体
JPH0896552A (ja) * 1994-09-27 1996-04-12 Sony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US5548571A (en) * 1994-10-03 1996-08-20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data storage disks
JPH10302438A (ja) * 1997-04-30 1998-11-13 Sony Corp 光ディスクの誤消去防止方法、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収納体
TW388871B (en) * 1997-05-30 2000-05-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n optical disk apparatus
US6728076B1 (en) * 1997-12-06 2004-04-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rtridge having sensor hole to be opened/closed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JP2000030406A (ja) * 1998-07-10 2000-01-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記録媒体の取り出しが可能なカートリッジとこれを取り扱う信号記録装置
JP3499148B2 (ja) * 1999-01-08 2004-02-2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光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526007B2 (ja) * 1999-01-08 2004-05-1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光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1222851A (ja) * 2000-02-04 2001-08-17 Sony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装置
JP3919084B2 (ja) * 2001-11-21 2007-05-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磁気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TWI260000B (en) * 2003-07-30 2006-08-11 Mediatek Inc Method for identifying the type of an optical dis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253119A (ja) 2004-09-09
US20060031859A1 (en) 2006-02-09
JP4320597B2 (ja) 2009-08-26
WO2004068494A1 (ja) 2004-08-12
EP1492113A4 (en) 2008-01-23
US20050160440A1 (en) 2005-07-21
US7224656B2 (en) 2007-05-29
US7263708B2 (en) 2007-08-28
EP1492113A1 (en) 2004-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4656B2 (en) Disc detection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JP4379276B2 (ja) 記録方法、記録装置、再生方法、再生装置、記録媒体
US7440380B2 (e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recording apparatus
US20070208916A1 (en) Data-recording method, data-recording apparatus, and data-recording system
KR20050109896A (ko) 기록 매체, 기록 장치, 재생 장치, 기록 방법, 재생 방법
KR20050109895A (ko) 기록 매체, 기록 장치, 재생 장치, 기록 방법, 재생 방법
EP1492117B1 (en) Storage medium,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reproducing method
KR20040029004A (ko) 광학 판독 가능 디스크 상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장치
JP4438172B2 (ja) データ記録装置及びデータ記録方法
JP5252039B2 (ja) 記録方法、記録装置、及び記録媒体
US20030231567A1 (en) Hybrid recording medium and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es therefor
JP4265527B2 (ja) 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並びにコンテンツ記録方法
KR20050083549A (ko) 데이터 편집 방법 및 데이터 편집 장치
US7366744B2 (en) File management device and file management method
US2005001858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pidly accessing a physical position on an optical disc
US20050246731A1 (en) Writing apparatus and detecting device
JP2005196882A (ja) ディスク状記録媒体、データ記録装置及びデータ記録方法、並びにデータ再生装置及びデータ再生方法
KR20050092165A (ko) 복수의 재생 파워 정보를 갖는 정보저장매체
JP2004039026A (ja) 光ディスク装置及びそのトラックジャンプ制御方法
JP2005209315A (ja) 再生装置、アクセス方法
JP2005322309A (ja) 記録装置及び方法
JP2005071506A (ja) 再生装置及びその記録フォーマット判別方法
JP2005182952A (ja) 再生装置、再生方法
JP2005196850A (ja) データ記録再生装置及びデータ記録再生方法
JP2005196881A (ja) データ記録方法及びデータ記録装置、並びに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