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3549A - 데이터 편집 방법 및 데이터 편집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편집 방법 및 데이터 편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3549A
KR20050083549A KR1020047011986A KR20047011986A KR20050083549A KR 20050083549 A KR20050083549 A KR 20050083549A KR 1020047011986 A KR1020047011986 A KR 1020047011986A KR 20047011986 A KR20047011986 A KR 20047011986A KR 20050083549 A KR20050083549 A KR 20050083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rack
file
management
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1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나부 기이
다카시 가와카미
세이지 오비
도시야 가이호코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83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354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0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video sign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188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authorised devices recording or reproducing contents to/from a record carrier
    • G11B20/00195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authorised devices recording or reproducing contents to/from a record carrier using a device identifier associated with the player or recorder, e.g. serial numbers of playback apparatuses or MAC address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2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2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 G11B20/00217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the cryptographic key used for encryption and/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the record carrier being read from a specific source
    • G11B20/00253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the cryptographic key used for encryption and/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the record carrier being read from a specific source wherein the key is stored on the record carrier
    • G11B20/00347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the cryptographic key used for encryption and/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the record carrier being read from a specific source wherein the key is stored on the record carrier wherein the medium identifier is used as a ke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4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 G11B20/1403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wo levels
    • G11B20/1423Code representation depending on subsequent bits, e.g. delay modulation, double density code, Miller code
    • G11B20/1426Code representation depending on subsequent bits, e.g. delay modulation, double density code, Miller code conversion to or from block codes or representations thereof
    • G11B2020/145317PP modulation, i.e. the parity preserving RLL(1,7) code with rate 2/3 used on Blu-Ray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33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by adding special lis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 G11B2020/183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by adding special lis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using a Reed Solomon [RS] cod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6Rewritabl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G11B2220/2529Mini-dis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스트림 데이터에 대한 편집 처리의 부담 경감을 도모하여, 보다 고속의 편집 동작을 얻을 수 있은 데이터 편집 방법이다.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스트림 데이터는 파일 시스템에 의해 파일로서 관리하는 것을 전제로 하며, 파일 시스템에 의해 관리되는 트랙 관리용 데이터 파일에 의해, 스트림 데이터를 트랙 단위로 관리하게 된다. 그리고, 트랙 단위에 의한 분할, 소거의 편집은 트랙 관리용 데이터 파일에서 각 트랙을 규정하는 트랙 관리 정보의 내용을 재기록함으로써 실행하는 것으로 한다. 이 구성이면, 트랙 단위에 의한 분할, 소거 편집 처리에 있어서는, 파일 시스템을 재기록할 필요는 없게 된다.

Description

데이터 편집 방법 및 데이터 편집 장치 {DATA EDITION METHOD AND DATA EDITION DEVICE}
본 발명은 소정 기록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를 편집하기 위한 데이터 편집 방법 및 데이터 편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퍼스널 컴퓨터에는 기억 매체로서 HDD(하드 디스크 드라이브)가 구비된다.
그리고, 주지하는 바와 같이 하여, 이와 같은 HDD에 대한 파일의 기록 재생은 이른바 파일 시스템이 채용된다. 예를 들면, 이와 같은 파일 시스템으로서는, FAT(File Allocation Table)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Microsoft Extensible Firmware Initiative FAT32 File System Specifiation
http://www.microsoft.com/hwdev/hardware/fatgen.asp 참조).
또, 근래에는, 상기한 퍼스널 컴퓨터의 주변 기기로서 비디오, 오디오 등의 컨텐츠 데이터를 기록 재생할 수 있는 AV 기기가 제안되고, 또, 알려져 오고 있다.
이와 같은 AV 기기는, 예를 들면, 휴대 가능한 정도의 사이즈 형상이 된다. 그리고, 소정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와 접속됨으로써,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측으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수용하여, 장전(裝塡)된 소정 기록 매체에 기록하여 보존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기록 매체에 컨텐츠 데이터를 보존한 후에는, AV 기기 단체(單體)로, 기록 매체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재생하여 음성,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AV 기기에서, 기록 매체에 기록한 컨텐츠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 있어서는, 예를 들면, 파일 시스템을 채용하는 것도 제안되고, 또, 실현 되어 오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파일 관리의 형태는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되는 퍼스널 컴퓨터와 동일하게 되기 때문에, 그 만큼 퍼스널 컴퓨터와의 친화성이 높아지며, 이 점에서 유용성이 높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은 AV 기기에서는, 컨텐츠 데이터의 분할, 소거 등 이른바 편집 기능이 주어지는 것이, 사용자가 쓰기에 편리하여 바람직하다.
그러나, 기록 데이터의 관리에, 상기와 같이 하여 파일 시스템을 채용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가지게 된다.
파일 시스템에 의한 데이터 관리는 기록 매체에 물리적으로 기록된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관리하는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분할, 소거 등의 편집에 따라서는, 그 편집 결과가 적절히 얻어지도록 파일 시스템의 내용 그 자체를 갱신할 필요가 생긴다.
예를 들면, 상기한 바와 같은 AV 기기에 있어서는, 파일 시스템의 갱신은 상응하기에 무거운 처리이며, 시스템에도 상당한 부하가 걸린다. 이 때문에, 상기한 분할, 소거 등의 편집 처리에 있어서는, 파일 시스템의 갱신 종료에 어느 정도의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편집 처리에는 상응하는 시간이 걸리게 되어 버린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록 재생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A) 내지 도 2 (B)는 실시예의 디스크 포맷의 설명도이다.
도 3은 실시예의 디스크 영역 구조의 설명도이다.
도 4 (A) 내지 도 4 (B)는 실시예의 디스크 관리 구조의 설명도이다.
도 5는 실시예의 기록 재생 장치의 기억 장치부의 블록도이다.
도 6은 실시예에 있어서의 디스크 상에서의 파일 구성예를 개념적으로 나태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실시예의 AV Track Index File의 구조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 (A) 내지 도 8 (B)는 AV Stream File 및 AV Header File의 구조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AV Track Index File 및 AV Header File과, AV Stream File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트랙 재생을 위한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1은 트랙 분할 편집에 대응하는 AV Track Index File 및 AV Header File에 의한 트랙 관리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트랙 소거 편집에 대응하는 AV Track Index File 및 AV Header File에 의한 트랙 관리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AV Stream File에 대한 컨텐츠의 데이터 관리 단위, 및 파일 시스템의 데이터 관리 단위의 관계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트랙 분할된 AV Stream File에 대한 컨텐츠의 데이터 관리 단위, 및 파일 시스템의 데이터 관리 단위의 관계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디스크 소거 시에 있어서의 ES Offset의 설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디스크 상 소거 개시를 위한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7는 디스크 상 소거를 위한 처리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8 (A) 내지 도 18 (C)는 AV Stream File에서 트랙 소거된 영역의 재생 시간폭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9는 도 17에 나타내는 처리에서 작성되는 리스트의 데이터 구조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0은 AV Stream File에 대한 컨텐츠의 데이터 관리 단위, 파일 시스템의 데이터 관리 단위, 및 블록 암호화 단위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1은 암호화된 AV Stream File을 분할하여 형성한 트랙을 트랙 소거한 경우에 있어서, IV가 트랙 소거 대상 데이터 부분이 되는 사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2는 AV Stream File에 대한 컨텐츠의 데이터 관리 단위, 파일 시스템의 데이터 관리 단위, 블록 암호화 단위, 암호화 체인화 단위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고려하여, 먼저 파일 시스템에 의해 파일로서 관리되는 컨텐츠 데이터(스트림 데이터)에 대한 편집 처리에 대하여, 보다 가벼운 처리 부담에 의해 실행할 수 있도록 하여 시스템의 효율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래서 먼저, 데이터 편집 방법으로서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즉, 본 발명의 데이터 편집 방법으로서는, 소정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스트림 데이터를 파일 시스템에 따른 파일 단위로 관리하는 제1 데이터 관리 순서와, 파일 단위의 스트림 데이터 범위 내에서의 데이터 부분을 트랙으로 하여 트랙마다 대응하는 정보로서, 파일 단위의 스트림 데이터와의 대응을 나타내는 정보 요소와, 대응하는 파일 단위의 스트림 데이터에 있어서의 그 트랙의 데이터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 요소를 가지고 형성되는 트랙 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트랙 관리용 데이터 파일에 따라, 트랙 단위로서의 관리를 실행하는 제2 데이터 관리 순서를 실행하는 것이 된다.
그리고, 상기 파일 단위의 스트림 데이터를 분할하여 복수 트랙을 형성하는 트랙 분할, 또는 트랙을 소거하는 트랙 소거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제2 데이터 관리 순서가 트랙 분할 또는 트랙 소거 양태에 따라, 트랙 관리용 데이터 파일에 있어서의 트랙 관리 정보의 내용에 대하여 갱신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한다.
또, 데이터 편집 장치로서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본 발명의 데이터 편집 장치는 소정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스트림 데이터를 파일 시스템에 따른 파일 단위로 관리하는 제1 데이터 관리 수단과, 파일 단위의 스트림 데이터 범위 내에서의 데이터 부분을 트랙으로 하여 트랙마다 대응하는 정보로서, 파일 단위의 스트림 데이터와의 대응을 나타내는 정보 요소와, 대응하는 파일 단위의 스트림 데이터에 있어서의 그 트랙의 데이터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 요소를 가지고 형성되는 트랙 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트랙 관리용 데이터 파일에 따라, 트랙 단위로서의 관리를 실행하는 제2 데이터 관리 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파일 단위의 스트림 데이터를 분할하여 복수 트랙을 형성하는 트랙 분할, 또는 트랙을 소거하는 트랙 소거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제2 데이터 관리 수단이 상기 트랙 분할 또는 트랙 소거 양태에 따라, 트랙 관리용 데이터 파일에 있어서의 트랙 관리 정보의 내용에 대하여 갱신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했다.
상기 각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은 먼저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스트림 데이터를 파일 시스템에 의해 파일로서 관리하게 된다. 그 아래에서, 파일 시스템에 의해 관리되는 트랙 관리용 데이터 파일에 의해, 스트림 데이터를 트랙 단위로 관리한다고 하는 관리 구조를 가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트랙 단위에 의한 분할, 소거 등의 편집(트랙 분할, 트랙 소거)은 상기 트랙 관리용 데이터 파일에서 각 트랙을 규정하는 정보 내용을 가지는 트랙 관리 정보의 내용을 재기록함으로써 실행된다.
이와 같은 구성이면, 트랙 단위에 의한 분할, 소거 편집을 실행하는 데 있어서는, 파일 시스템의 재기록에 의존할 필요는 없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후의 설명은 다음의 순서로 실행한다.
1. 기록 재생 장치의 구성
2. 디스크 및 기억 장치부의 구성
3. AV 데이터의 관리
4. 트랙 분할, 소거 편집
5. 디스크 상 소거
6. 블록 암호화된 AV Stream File의 디스크 상 소거
1. 기록 재생 장치의 구성
실시예로서의 기록 재생 장치는 일례로서, 자계(磁界) 변조 방식으로 데이터 기록이 실행되는 광학 자기 디스크인 미니 디스크(MD) 방식의 디스크에 대한 기록 재생 장치로 한다. 단, 이미 보급되어 있는 음악 용도의 미니 디스크뿐만 아니라, 보다 고밀도 기록을 가능하게 하여, 비디오 데이터 외에, 컴퓨터 사용의 각종 데이터 기억 장치에 이용할 수 있는 고밀도 디스크에 대해서도 대응 가능한 기록 재생 장치이다.
도 1에 의해 본 실시예의 기록 재생 장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에서는, 본 실시예의 기록 재생 장치(1)가,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또는 네트워크)(100)로서 외부의 기기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 가능한 기기로서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기록 재생 장치(1)는 퍼스널 컴퓨터(100)와 USB 케이블 등의 전송로(101)에서 접속됨으로써, 퍼스널 컴퓨터(100)에 대한 외부 기억 장치 기기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 퍼스널 컴퓨터(100)를 통하거나, 또는 직접 네트워크와 접속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는 등 하여 네트워크 접속됨으로써, 음악이나 각종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기록 재생 장치(1)에서 기억 장치부(2)에 장전된 디스크에 보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 기록 재생 장치(1)는 퍼스널 컴퓨터(100) 등에 접속하지 않고도, 예를 들면, AV(오디오ㆍ비디오) 기기로서 기능한다. 예를 들면, 다른 AV 기기 등으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나 비디오 데이터(AV 데이터)를 디스크에 기록하거나, 디스크에 기록된 음악 데이터 등을 재생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기록 재생 장치(1)는 퍼스널 컴퓨터(100) 등에 접속됨으로써 범용적인 데이터 기억 장치 기기로서 이용할 수 있고, 또한 단체(單體)로서는 AV 대응의 기록 재생 기기로서도 이용할 수 있는 장치이다.
기록 재생 장치(1)는 기억 장치부(2), 캐시 메모리(3), USB 인터페이스(4), 입출력 처리부(5), 표시부(6), 조작부(7), 시스템 컨트롤러(8), ROM(9), RAM(10), 캐시 관리 메모리(11), NV-RAM(12)을 구비한다.
기억 장치부(2)는 장전된 디스크에 대한 기록/재생을 실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용하는 이른바 미니 디스크 방식의 디스크 및 그에 대응하는 기억 장치부(2)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캐시 메모리(3)는 기억 장치부(2)에서 디스크에 기록하는 데이터, 또는 기억 장치부(2)에 의해 디스크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에 대한 버퍼링을 실행하는 캐시 메모리이다. 예를 들면, D-RAM으로 구성된다.
캐시 메모리에의 데이터의 기록/판독은 시스템 컨트롤러(CPU)(8)에서 기동(起動)되는 태스크에 의해 제어된다.
USB 인터페이스(4)는,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100)와 USB 케이블로서의 전송로(101)에서 접속되었을 때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입출력 처리부(5)는, 예를 들면, 기록 재생 장치(1)가 단체로 오디오 기기로서 기능하는 경우에 기록 재생 데이터의 입출력을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시스템 컨트롤러(8)는 기록 재생 장치(1) 내의 전체 제어를 실행하는 동시에, 접속된 퍼스널 컴퓨터(100) 사이의 통신 제어를 실행한다.
ROM(9)에는 시스템 컨트롤러(8)의 동작 프로그램이나 고정 파라미터 등이 기억된다.
RAM(10)은 시스템 컨트롤러(8)에 의한 워크 영역으로서 이용되고,또 각종 필요한 정보의 저장 영역이 된다.
예를 들면, 기억 장치부(2)에 의해 디스크로부터 판독된 각종 관리 정보나 특수 정보를 기억한다. 예를 들면, P-TOC 데이터, U-TOC 데이터, 플레이 리스트 데이터, FAT 데이터, 유니크 ID, 해시값 등을 기억한다. P-TOC 데이터, U-TOC 데이터는 미니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음악 트랙 등의 관리 정보이다. 또, 후술도 하지만 본 실시예의 기록 재생 장치(1)가 대응할 수 있는 미니 디스크 방식에 준거한 고밀도 디스크는 P-TOC, U-TOC에 의한 관리 형식 상 FAT 파일 시스템을 구축한 것이다. 플레이 리스트는 고밀도 디스크에서 ATRAC 방식 등에 의한 음악 데이터 등의 어드레스 등을 관리하는 정보이며, FAT 시스템 상 하나의 파일로서 기록되는 것이다. 고밀도 디스크가 장전된 경우에는, 이들 FAT나 플레이 리스트의 정보도 판독하게 된다. 유니크 ID, 해시값 등은 퍼스널 컴퓨터(100) 등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의 인증 처리나 암호화/복호에 이용되는 정보이다.
캐시 관리 메모리(11)는, 예를 들면, S-RAM으로 구성되며, 캐시 메모리(3)의 상태를 관리하는 정보가 저장된다. 시스템 컨트롤러(8)는 캐시 관리 메모리(11)를 참조하면서 데이터 캐시 처리의 제어를 실행한다. 캐시 관리 메모리(11)의 정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NV-RAM(불휘발성 RAM)(12)은 전원 오프 시에도 소실시키지 않는 데이터의 저장 영역으로서 이용된다.
표시부(6)는 시스템 컨트롤러(8)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에 대하여 제시해야 할 각종 정보의 표시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동작 상태, 모드 상태, 악곡 등의 데이터 명칭 정보, 트랙 넘버, 시간 정보, 그 밖의 정보 표시를 실행한다.
조작부(7)에는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각종 조작자로서 조작 키나 조그 다이얼 등이 형성된다. 사용자는 기록ㆍ재생, 데이터 통신을 위한 소요 동작을 조작부(7)를 조작하여 지시한다. 시스템 컨트롤러(8)는 조작부(7)에 의해 입력된 조작 정보에 따라 소정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퍼스널 컴퓨터(100) 등이 접속되었을 때의, 시스템 컨트롤러(8)에 의한 제어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된다.
시스템 컨트롤러(8)는 USB 인터페이스(4)를 통해 접속된 퍼스널 컴퓨터(100) 사이에서 통신 가능하게 되며, 기록 요구, 판독 요구 등의 명령 수신이나 스테이터스 정보 그 밖의 필요 정보의 송신 등을 실행한다.
시스템 컨트롤러(8)는, 예를 들면, 디스크가 기억 장치부(2)에 장전 되는 것에 따라, 디스크로부터의 관리 정보 등의 판독을 기억 장치부(2)에 지시하고, 캐시 메모리(3)를 통해 수용하여 RAM(10)에 저장시킨다.
P-TOC, U-TOC의 관리 정보를 판독하게 함으로써, 시스템 컨트롤러(8)는 디스크의 트랙 기록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 CAT를 판독하게 함으로써 데이터 트랙 내의 고밀도 데이터 클러스터 구조를 파악할 수 있어, 퍼스널 컴퓨터(100)로부터의 데이터 트랙에 대한 액세스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 유니크 ID나 해시값에 의해, 디스크 인증 그 밖의 처리를 실행하거나 또는 이들의 값을 퍼스널 컴퓨터(100)에 송신하여 처리시킬 수 있다.
퍼스널 컴퓨터(100)로부터의 어느 데이터의 판독 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시스템 컨트롤러(8)는 기억 장치부(2)에 해당 데이터의 판독을 실행시킨다. 판독된 데이터는 필요에 따라 도시되지 않은 AV 신호 처리부에서 신호 처리가 실시된 다음, 캐시 메모리(3)에 기록된다. 단, 이미 해당 요구된 데이터가 이미 캐시 메모리(3)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억 장치부(2)에 의한 판독은 필요없다. 이른바 캐시 히트이다.
그리고, 시스템 컨트롤러(8)는 캐시 메모리(3)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판독하게 하여, USB 인터페이스(4)를 통해 퍼스널 컴퓨터(100)에 송신시키는 제어를 실행한다.
퍼스널 컴퓨터(100)로부터의 어느 데이터의 기록 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시스템 컨트롤러(8)는 전송되어 오는 데이터를 캐시 메모리(3)에 저장시킨다. 그리고, 캐시 메모리(3)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억 장치부(2)에 의해 디스크에 기록시킨다.
그리고, 디스크에의 데이터 기록은 클러스터라고 하는 단위가 최소 단위로 실행되게 된다. 예를 들면, 클러스터는 32FAT 섹터이다.
만약, 퍼스널 컴퓨터(100) 등이 기록 요구한 데이터량이 수 섹터 등으로서 1 클러스터에 미달되는 경우, 블로킹이라고 불려지는 처리가 실행된다. 즉, 시스템 컨트롤러(8)는 기억 장치부(2)에 먼저 해당 FAT 섹터를 포함하는 클러스터의 판독을 실행시킨다. 판독된 클러스터 데이터는 캐시 메모리(3)에 기록된다.
그리고, 시스템 컨트롤러(8)는 퍼스널 컴퓨터(100)로부터의 FAT 섹터의 데이터(기록 데이터)를 USB 인터페이스(4)를 통해 캐시 메모리(3)에 공급시키고, 저장되어 있는 클러스터 데이터에 대하여, 해당하는 FAT 섹터의 데이터 재기록을 실행시킨다.
그리고, 시스템 컨트롤러(8)는 필요한 FAT 섹터가 재기록된 상태에서 캐시 메모리(3)에 기억되어 있는 클러스터 데이터를 기록 데이터로서 기억 장치부(2)에 전송시킨다. 기억 장치부(2)에서는, 해당 클러스터 단위의 데이터를 디스크에 기록한다.
그리고, 이상은,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100)와의 전송을 수반하는 데이터의 기록 재생을 위한 제어이며, 예를 들면, 미니 디스크 방식의 오디오 데이터 등 기록 재생 시의 데이터 전송은 입출력 처리부(5)를 통해 실행된다.
입출력 처리부(5)는, 예를 들면, 입력계로서 라인 입력 회로/마이크로폰 입력 회로 등의 아날로그 음성 신호 입력부, A/D 변환기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입력부를 구비한다. 또, ATRAC 압축 인코더/디코더를 구비한다. ATRAC 압축 인코더/디코더는 ATRAC 방식에 의한 오디오 데이터의 압축/신장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회로이다. 그리고, 물론이거니와, 본 실시예의 기록 재생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MP3 등 다른 포맷에 의한 압축 오디오 데이터가 기록 재생 가능한 구성을 채용해도 되며, 이 경우에는, 이들 압축 오디오 데이터의 포맷에 대응한 인코더/디코더를 구비하면 된다.
또, 본 실시예로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관해서는 특히 기록 재생 가능한 포맷의 한정은 실행하지 않지만, 예를 들면, MPEG4 등이 고려된다. 그리고, 입출력 처리부(5)로서는, 이와 같은 포맷에 대응한 인코더/디코더를 구비하면 되게 된다.
또한,입출력 처리부(5)는 출력계로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출력부나, D/A 변환기 및 라인 출력 회로/헤드폰 출력 회로 등의 아날로그 음성 신호 출력부를 구비한다.
또, 이 경우의 입출력 처리부(5) 내에는 암호 처리부(5a)가 구비된다. 암호 처리부(5a)에서는, 예를 들면, 디스크에 기록해야 할 AV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 알고리즘에 의한 암호화 처리를 실시하게 된다. 또, 예를 들면, 디스크로부터 판독된 AV 데이터에 대하여 암호화가 실시되고 있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암호 해독을 위한 복호 처리를 실행하게도 되어 있다.
입출력 처리부(5)를 통한 처리로서 디스크에 오디오 데이터가 기록되는 것은, 예를 들면, 입력 TIN으로서 입출력 처리부(5)에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또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이다. 입력된 리니어 PCM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또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입력되고 A/D 변환기에서 변환되어 얻어진 리니어 PCM 오디오 데이터는 ATRAC 압축 인코드되어 캐시 메모리(3)에 축적된다. 그리고, 소정 타이밍(ADIP 클러스터 상당의 데이터 단위)으로 캐시 메모리(3)로부터 판독되어 기억 장치부(2)에 전송된다. 기억 장치부(2)에서는, 전송되어 오는 압축 데이터를 소정 변조 방식으로 변조하여 디스크에 기록한다.
디스크로부터 미니 디스크 방식의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되는 경우에는, 기억 장치부(2)는 재생 데이터를 ATRAC 압축 데이터 상태로 복조하여 캐시 메모리(3)에 전송 한다. 그리고, 캐시 메모리(3)로부터 판독되어 입출력 처리부(5)에 전송된다. 입출력 처리부(5)는 공급되어 오는 압축 오디오 데이터에 대하여 ATRAC 압축 디코드를 실행하여 리니어 PCM 오디오 데이터로 하고,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출력부로부터 출력한다. 또는 D/A 변환기에 의해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서 라인 출력/헤드폰 출력을 실행한다.
그리고,이 도 1의 기록 재생 장치(1) 구성은 일례이며, 예를 들면, 입출력 처리부(5)는 오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입출력 처리계를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또, 퍼스널 컴퓨터(100)와의 접속은 USB가 아니고, IEEE1394 등 다른 외부 인터페이스가 이용되어도 된다.
2. 디스크 및 기억 장치부의 구성
본 실시예의 기록 재생 장치(1)에서 기록 매체가 되는 디스크는, 예를 들면, 미니 디스크 방식의 디스크이다. 특히 종전의 음악용 미니 디스크뿐만 아니라, 컴퓨터 사용의 각종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고밀도 디스크에도 대응한다.
여기에서 도 2 (A) 내지 도 2 (B)에, 오디오용 미니 디스크(및 MD-DATA)와, 고밀도 디스크의 규격을 비교하여 나타낸다.
도 2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니 디스크(및 MD-DATA)의 포맷으로서는, 트랙 피치는 1.6㎛, 비트 길이는 0.59㎛/bit가 된다. 또, 레이저 파장 λ=780nm가 되며, 광학 헤드의 개구율 NA=0.45가 된다.
기록 방식으로서는, 그루브 기록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즉, 그루브(디스크 반면 상의 홈)를 트랙으로서 기록 재생에 이용하도록 하고 있다.
어드레스 방식으로서는, 싱글 스파이럴에 의한 그루브(트랙)를 형성한 다음, 이 그루브의 양측에 대하여 어드레스 정보로서의 워블(wobble)를 형성한 워블드 그루브를 이용하는 방식을 채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는, 워블링에 의해 기록되는 절대 어드레스를 ADIP(Address in Pregroove)라고도 한다.
기록 데이터의 변조 방식으로서는, EFM(8-14 변환)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또, 에러 정정 방식으로서는, ACIRC(Advanced Cross Interleave Reed-Solomon Code)가 채용되고, 데이터 인터리브에는 콘벌루션형을 채용하고 있다. 데이터의 용장도(冗長度)는 46.3%가 된다.
또, 데이터의 검출 방식은 비트 바이 비트(bit by bit) 방식이다. 디스크 구동 방식으로서는, CLV(Constant Linear Verocity)가 채용되고 있으며, CLV의 선속도로서는, 1.2m/s가 된다.
그리고, 기록 재생 시의 표준 데이터 속도로서는, 133kB/s가 되며, 기록 용량으로서는, 164MB(MD-DATA에서는 140MB)가 된다.
또, 클러스터라고 하는 데이터 단위가 데이터의 최소 재기록 단위로 되지만, 이 클러스터는 32 개의 메인 섹터와 4 개의 링크 섹터에 의한 36 섹터로 구성된다.
한편, 고밀도 디스크는 현재의 상태에서 2 개의 규격이 존재한다. 여기에서는, 2 개의 고밀도 디스크의 규격을, 각각, 고밀도 디스크 (1)(2)로서 나타낸다.
먼저, 고밀도 디스크(1)은 트랙 피치가 1.5∼1.6㎛, 선(線)밀도 0.437㎛/bit이며, 기록 용량으로서는, 300MB까지 높아지고 있다. 또, 표준 속도에서의 전송 속도는 4.37Mbps, 선속도는 2.4m/sec로 되어 있다.
또, 고밀도 디스크(2)는 트랙 피치가 1.25㎛, 선밀도 0.16㎛/bit이며, 기록 용량은 1GB까지 높아지고 있다. 또, 표준 속도에서의 전송 속도는 9.83Mbps, 선속도는 1.98m/sec로 되어 있다.
또한,도 2 (B)에는 나타내고 있지 않지만, 기록 데이터의 변조 방식으로서는, 고밀도 기록에 적합하게 되는 RLL(1, 7) PP 방식(RLL ; Run Length Limited, PP : Parity preserve/Prohibitrmtr(repeated minimum transition runlength)이 채용되며, 에러 정정 방식으로서는, 보다 정정 능력이 높은 BIS(Burst Indicator Subcode) 첨부의 RS-LDC(Reed Solomon-Long Distance Code)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데이터 인터리브에는 블록 완결형이 채용된다. 데이터의 용장도는 20.50%가 된다.
또, 데이터의 검출 방식은 파셜 리스폰스 PR(1, 2, 1) ML를 이용한 비터비(viterbi) 복호 방식이 된다.
그리고, RLL (1-7) 변조 및 RS-LDC 에러 정정 방식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11(1999)-346154호 공보」나, 「국제 특허 공개 공보 WO 00/07300」 등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이다.
또, 디스크 구동 방식은 CLV(Constant Linear Verocity) 또는 ZCAV(Zone Constant Angular Verocity)이다.
디스크 상의 영역 구조를 도 3에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크의 최내주측은 P-TOC(프리마스터드 TOC) 영역이 되며, 여기는 물리적인 구조로서는 프리마스터드 영역이 된다. 즉, 엠보스 피트에 의한 재생 전용 데이터가 기록되는 영역이며, 그 재생 전용 데이터로서 관리 정보인 P-TOC가 기록된다.
프리마스터드 영역으로부터 외주는 레코더블 영역(광자기 기록 가능한 영역)이 되며, 기록 트랙의 안내홈으로서의 그루브가 형성된 기록 재생 가능 영역으로 되어 있다.
이 레코더블 영역의 최내주측은 U-TOC 영역이 된다.
그리고, U-TOC 영역에서는, 프리마스터드 영역과의 완충 영역이나, 레이저 광의 출력 파워 조정 등을 위해 이용되는 파워 캘리브레이션 영역이 형성되고, 또 U-TOC 영역 내의 특정 3 클러스터의 구간에 U-TOC 데이터가 3 회 반복해서 기록된다.
U-TOC의 내용 상세에 대해서는 생략하지만, 프로그램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각 트랙의 어드레스, 프리 영역의 어드레스 등이 기록되며, 또 각 트랙에 부수되는 트랙 네임, 기록 일시 등의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U-TOC 섹터가 규정되어 있다.
레코더블 영역에서 U-TOC 영역으로부터 외주측에 경고 트랙 및 데이터 영역이 형성된다. 경고 트랙은 이 디스크가 고밀도 디스크로서, 종전의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에서는 재생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내는 경고음이 기록된 경고 트랙이다. 데이터 영역은 오디오 데이터나 컴퓨터 사용 데이터 등의 기록에 이용되는 영역이 된다.
즉, 통상의 음악용 미니 디스크의 경우이면, 데이터 영역에 1 또는 복수의 음악 트랙이 기록된다.
고밀도 디스크의 경우에는, 데이터 영역이 각종 데이터의 기억 장치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것이 된다.
도 4 (A) 내지 도 4 (B)에 의해 디스크의 관리 구조를 설명한다.
도 4 (A)는 음악용 미니 디스크 시스템에서의 관리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관리 정보로서는, P-TOC, U-TOC가 기록된다.
P-TOC는 재기록 불능의 정보로서 피트에 의해 기록된다. 이 P-TOC에는, 디스크의 기본적인 관리 정보로서 디스크의 총용량, U-TOC 영역에서의 U-TOC 위치, 파워 캘리브레이션 영역의 위치, 데이터 영역의 개시 위치, 데이터 영역의 종료 위치(리드아웃 위치) 등이 기록되어 있다.
한편, 레코더블 영역에 기록되는 U-TOC는 트랙(오디오 트랙/데이터 트랙)의 기록, 소거 등에 따라 재기록되는 관리 정보이며, 각 트랙(트랙을 구성하는 파트)에 대하여 개시 위치, 종료 위치나 모드를 관리한다. 또, 데이터 영역에서 아직 트랙이 기록되어 있지 않은 프리 영역, 즉 기록 가능 영역으로서의 파트도 관리한다.
예를 들면,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영역 내에, ATRAC 데이터로서 3 곡의 오디오 트랙이 기록되어 있는 경우, U-TOC에서는 3 개의 트랙을 각각 스타트 어드레스, 엔드 어드레스, 모드 정보, 또한 기록 일시나 명칭 정보를 관리하게 된다.
고밀도 디스크의 경우에는, 도 4 (A)와 같이 된다.
고밀도 디스크의 경우도, U-TOC 및 P-TOC는 종전의 미니 디스크 시스템에 준거하는 방식으로 기록된다.
그리고, 도 4 (A)의 데이터 영역에는, 1 개의 고밀도 데이터 트랙을 나타내고 있지만, U-TOC에서는 이 고밀도 데이터 트랙을 1 개의 트랙으로서 관리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즉, U-TOC로부터는 디스크 상에 있어서의, 데이터 트랙의 전체로서의 1 또는 복수의 파트 위치를 관리하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경고 트랙의 위치도 U-TOC에 관리된다.
고밀도 데이터 트랙은 RS-LDC 및 RLL (1-7) PP 방식으로 변조된 고밀도 데이터에 의해 형성되는 트랙이 된다.
고밀도 데이터 트랙 내에는, 이 데이터 트랙에 포함되는 고밀도 데이터 클러스터를 관리하는 클러스터 속성 테이블(CAT : Cluster Attribute Table)이 기록된다. CAT에서는, 데이터 트랙을 구성하는 고밀도 데이터 클러스터의 각각에 대한 속성(공개 가능/불가, 정상/불량 등)을 관리한다.
이 데이터 트랙 내에서 공개 불가로 되는 고밀도 데이터 클러스터를 이용하여, 저작권 보호 등을 위해 이용되는 디스크에 고유의 유니크 ID(UID)나, 데이터 개찬(改竄) 체크를 위한 해시값(hash)이 기록된다. 물론 이밖에도, 각종 비공개 정보가 기록되어도 된다.
이 공개 불가로 되는 영역에는, 특별히 허가된 기기만이 한정적으로 액세스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데이터 트랙 내에서 공개 가능하게 되는 고밀도 데이터 클러스터에 의한 영역(엑스포터블 영역)은, 예를 들면, USB나 SCSI 등의 범용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외부의 컴퓨터 등이 액세스하여, 기록 영역으로서 이용할 수 있는 영역이 된다.
예를 들면, 이 도 4 (A)의 경우, 엑스포터블 영역에는, FAT 및 FAT 관리의 데이터 파일에 의한 FAT 파일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엑스포터블 영역에 기록되는 데이터는 U-TOC에 의해서는 관리되지 않고, FAT 등의 범용적인 관리 정보에 의해 관리되는 형태가 되며, 미니 디스크 시스템에 준거하지 않는 외부의 컴퓨터 등에 의해 인식 가능한 데이터가 된다.
ATRAC 방식 등의 음악 데이터 등이 FAT 시스템 상에서 기록되는 경우에는, 그 음악 데이터 등의 파일을 관리하는 관리 정보로서 플레이 리스트가 기록된다. 이 플레이 리스트는 FAT 시스템 상의 1 개의 파일로서 기록되는 것이며, 기록 재생 장치(1)의 시스템 컨트롤러는 음악 데이터 파일의 재생 시에는 플레이 리스트로부터 어드레스 등을 파악하는 것이 된다.
그리고,이와 같은 구조의 데이터 트랙이 디스크 상에 복수 기록되는 경우도 있다. 그 경우, 각 데이터 트랙이 각각 1 개의 트랙으로서 U-TOC로부터 관리되고, 각각의 데이터 트랙 내의 엑스포터블 영역 내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FAT 등에 의해 관리된다. 예를 들면, 각 데이터 트랙이 각각 독자적으로 FAT 파일 시스템을 가지는 것이 된다. 또는 복수의 데이터 트랙에 걸쳐 1 개의 FAT 파일 시스템이 기록되도록 해도 된다.
또, 유니크 ID 등의 정보는 데이터 트랙 내이며, FAT 관리되지 않는 데이터로 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FAT 관리되지 않는 정보로 하면, 어떠한 논리 형태로 기록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U-TOC로부터 직접적으로 관리되는 트랙으로서 비공개 정보용 트랙을 설치하도록 하거나, 또는 U-TOC/P-TOC 내에 기록해도 된다. 또한, U-TOC 영역 내에서, U-TOC에 사용되고 있지 않는 부분을 이용하여, 비공개 정보용 기록 영역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설명 상, 종전의 미니 디스크를 「음악용 미니 디스크」라고 부르지만, 이른바 MD-DATA로서 알려져 있는 미니 디스크도, 이 음악용 미니 디스크의 범주가 된다.
또, 고밀도 디스크에 대하여 데이터 파일로서 음악 데이터가 기록되는 것도 당연히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나 퍼스널 컴퓨터로부터의 음악 파일의 다운로드의 경우 등이다.
도 1에 나타낸 기억 장치부(2)는 이상과 같은 음악용 미니 디스크와 범용 데이터 기록 매체로서의 고밀도 디스크에 대응할 수 있는 디스크 드라이버부가 된다.
이 기억 장치부(2)의 구성예를 도 5에 나타낸다.
도시하는 디스크(90)는 전술한 음악용 미니 디스크 또는 고밀도 디스크 (1) 또는 고밀도 디스크 (2)이다.
기억 장치부(2)에서는, 장전된 디스크(90)를 스핀들 모터(29)에 의해 CLV 방식으로 회전 구동시킨다.
이 디스크(90)에 대해서는 기록/재생 시에 광학 헤드(19)에 의해 레이저 광이 조사된다.
광학 헤드(19)는 기록 시에는 기록 트랙을 퀴리 온도까지 가열하기 위한 고레벨의 레이저 출력을 실행하고, 또 재생 시에는 자기 카 효과에 의해 반사광으로부터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비교적 저레벨의 레이저 출력을 실행한다. 이 때문에, 광학 헤드(19)에는, 여기에서는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레이저 출력 수단으로서의 레이저 다이오드, 편광 빔 스플리터나 대물 렌즈 등으로 이루어지는 광학계, 및 반사광을 검출하기 위한 디텍터가 탑재되어 있다. 광학 헤드(19)에 구비되는 대물 렌즈로서는, 예를 들면, 2축 기구에 의해 디스크 반경 방향 및 디스크에 접리(接離)하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유지되고 있다.
또, 디스크(90)를 사이에 두고 광학 헤드(19)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자기 헤드(18)가 배치되어 있다. 자기 헤드(18)는 기록 데이터에 의해 변조된 자계를 디스크(90)에 인가하는 동작을 실행한다.
또, 도시하지 않지만 광학 헤드(19) 전체 및 자기 헤드(18)를 디스크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기 위해 스레드 모터 및 스레드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이 기억 장치부(2)에서는, 광학 헤드(19), 자기 헤드(18)에 의한 기록 재생 헤드계, 스핀들 모터(29)에 의한 디스크 회전 구동계 외에, 기록 처리계, 재생 처리계, 서보계 등이 설치된다.
기록 처리계에서는, 음악용 미니 디스크에 대한 기록 시에 제1 변조 방식의 변조(EFM 변조ㆍACIRC 인코드)를 실행하는 부위와, 고밀도 디스크에 대한 기록 시에 제2 변조 방식[RLL (1-7) PP 변조, RS-LDC 인코드]의 변조를 실행하는 부위가 형성된다.
재생 처리계에서는, 음악용 미니 디스크(및 고밀도 디스크의 U-TOC)의 재생 시에 제1 변조 방식에 대한 복조(EFM 복조ㆍACIRC 디코드)를 실행하는 부위와, 고밀도 디스크의 재생 시에 제2 변조 방식에 대한 복조[파셜 리스폰스 PR(1, 2, 1) 및 비터비 복호를 이용한 데이터 검출에 따른 RLL (1-7) 복조, RS-LDC 디코드)]를 실행하는 부위가 형성된다.
광학 헤드(19)의 디스크(90)에 대한 레이저 조사에 의해 그 반사광으로서 검출된 정보(포토디텍터에 의해 레이저 반사광을 검출하여 얻어지는 광 전류)는 RF 앰프(21)에 공급된다.
RF 앰프(21)에서는 입력된 검출 정보에 대하여 전류-전압 변환, 증폭, 매트릭스 연산 등을 실행하여, 재생 정보로서의 재생 RF 신호, 트래킹 에러 신호 TE, 포커스 에러 신호 FE, 그루브 정보[디스크(90)에 트랙의 워블링에 의해 기록되고 있는 ADIP 정보] 등을 추출한다.
음악용 미니 디스크 재생 시에는, RF 앰프에서 얻어진 재생 RF 신호는 EFM 복조부(24) 및 ACIRC 디코더(25)에서 처리된다.
즉, 재생 RF 신호는 EFM 복조부(24)에서 2치화되어 EFM 신호열이 된 후, EFM 복조되고, 또한 ACIRC 디코더(25)에서 에러 정정 및 디인타리브 처리된다. 즉, 이 시점에서 ATRAC 압축 데이터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음악용 미니 디스크 재생 시에는, 실렉터(26)는 B 접점측이 선택되어 있고, 해당 복조된 ATRAC 압축 데이터가 디스크(90)로부터의 재생 데이터로서 출력된다. 이 경우, 도 1의 캐시 메모리(3)에 압축 데이터가 공급되게 된다.
한편, 고밀도 디스크 재생 시에는, RF 앰프에서 얻어진 재생 RF 신호는 RLL (1-7) PP 복조부(22) 및 RS-LDC 디코더(23)에서 처리된다.
즉 재생 RF 신호는 RLL (1-7) PP 복조부(22)에서, PR(1, 2, 1) 및 비터비 복호를 이용한 데이터 검출에 의해 RLL (1-7) 부호열로서의 재생 데이터를 얻고, 이 RLL (1-7) 부호열에 대하여 RLL (1-7) 복조 처리가 실행된다. 그리고, 또한 RS-LDC 디코더(23)에서 에러 정정 및 디인터리브 처리된다.
그리고, 고밀도 디스크 재생 시에는, 실렉터(26)는 A 접점측이 선택되어 있고, 해당 복조된 데이터가 디스크(90)로부터의 재생 데이터로서 출력된다. 이 경우, 도 1의 캐시 메모리(3)에 복조 데이터가 공급되게 된다.
RF 앰프(21)로부터 출력되는 트래킹 에러 신호 TE, 포커스 에러 신호 FE는 서보 회로(27)에 공급되고, 그루브 정보는 ADIP 디코더(30)에 공급된다.
ADIP 디코더(30)는 그루브 정보에 대하여 밴드 패스 필터에 의해 대역 제한되어 워블 성분을 추출한 후, FM 복조, 바이페이즈(bi-phase) 복조를 실행하여 ADIP 어드레스를 추출한다.
추출된, 디스크 상의 절대 어드레스 정보인 ADIP 어드레스는 도 1에 나타낸 시스템 컨트롤러(8)에 공급된다. 시스템 컨트롤러(8)에서는 ADIP 어드레스에 따라, 필요한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또, 그루브 정보는 스핀들 서보 제어를 위해 서보 회로(27)에 공급된다.
서보 회로(27)는, 예를 들면, 그루브 정보에 대하여 재생 클록(디코드 시의 PLL계 클록)과의 위상 오차를 적분하여 얻어지는 오차 신호에 따라, CLV 서보 제어를 위한 스핀들 에러 신호를 생성한다.
또, 서보 회로(27)는 스핀들 에러 신호나, 상기와 같이 RF 앰프(21)로부터 공급된 트래킹 에러 신호, 포커스 에러 신호, 또는 시스템 컨트롤러(8)로부터의 트랙 점프 지령, 액세스 지령 등에 따라 각종 서보 제어 신호(트래킹 제어 신호, 포커스 제어 신호, 스레드 제어 신호, 스핀들 제어 신호 등)을 생성하여, 모터 드라이버(28)에 대하여 출력한다. 즉, 상기 서보 에러 신호나 지령에 대하여 위상 보상 처리, 게인 처리, 목표값 설정 처리 등의 필요 처리를 실행하여 각종 서보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모터 드라이버(28)에서는, 서보 회로(27)로부터 공급된 서보 제어 신호에 따라 필요한 서보 드라이브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에서의 서보 드라이브 신호로서는, 2축 기구를 구동하는 2축 드라이브 신호(포커스 방향, 트래킹 방향의 2 종), 스레드 기구를 구동하는 스레드 모터 구동 신호, 스핀들 모터(29)를 구동하는 스핀들 모터 구동 신호가 된다.
이와 같은 서보 드라이브 신호에 의해, 디스크(90)에 대한 포커스 제어, 트래킹 제어, 및 스핀들 모터(29)에 대한 CLV 제어를 실행하게 된다.
디스크(90)에 대하여 기록 동작이 실행될 때에는, 캐시 메모리(3)로부터 데이터가 공급된다.
음악용 미니 디스크 기록 시에는, 실렉터(16)가 B 접점에 접속되며, 따라서 ACIRC 인코더(14) 및 EFM 변조부(15)가 기능하게 된다.
이 경우, 도시되지 않는 오디오 처리부로부터의 압축 데이터가, DATA IN으로부터 입력되어 ACIRC 인코더(14)에서 인터리브 및 에러 수정 코드 부가가 실행된 후, EFM 변조부(15)에서 EFM 변조가 실행된다.
그리고, EFM 변조 데이터가 실렉터(16)를 통해 자기 헤드 드라이버(17)에 공급되고, 자기 헤드(18)가 디스크(90)에 대하여 EFM 변조 데이터에 따른 자계 인가를 실행함으로써 데이터 기록이 실행된다.
고밀도 디스크 기록 시에는, 실렉터(16)가 A 접점에 접속되며, 따라서 RS-LDC 인코더(31) 및 RLL (1-7) PP 변조부(13)가 기능하게 된다.
이 경우, 도시되지 않은 메모리 전송 컨트롤러로부터의 고밀도 데이터는 RS-LDC 인코더(31)에서 인터리브 및 RS-LDC 방식의 에러 수정 코드 부가가 실행된 후, RLL (1-7) PP 변조부(13)에서 RLL (1-7) 변조가 실행된다.
그리고, RLL (1-7) 부호열로서의 기록 데이터가 실렉터(16)를 통해 자기 헤드 드라이버(17)에 공급되고, 자기 헤드(18)가 디스크(90)에 대하여 변조 데이터에 따른 자계 인가를 실행함으로써 데이터 기록이 실행된다.
레이저 드라이버/APC(20)는 상기와 같은 재생 시 및 기록 시에 있어서 레이저 다이오드에 레이저 발광 동작을 실행시키지만, 이른바 APC(Automatic Lazer Power Control) 동작도 실행한다.
즉,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광학 헤드(19) 내에는 레이저 파워 모니터용 디텍터가 설치되며, 그 모니터 신호가 레이저 드라이버/APC(20)에 피드백된다. 레이저 드라이버/APC(20)는 모니터 신호로서 얻어지는 현재의 레이저 파워를, 설정되어 있는 레이저 파워와 비교하여, 그 오차분을 레이저 구동 신호에 반영시킴으로써,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 파워가 설정값에서 안정되도록 제어하고 있다.
그리고,레이저 파워로서는 재생 레이저 파워, 기록 레이저 파워로서의 값이 시스템 컨트롤러(8)에 의해, 레이저 드라이버/APC(20)내부의 레지스터에 세트된다.
이상의 각 동작(액세스, 각종 서보, 데이터 기록, 데이터 판독의 각 동작)은 시스템 컨트롤러(8)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실행된다.
3. AV 데이터의 관리
지금까지의 설명으로부터도 알 수 있듯이, 예를 들면, 음악용 미니 디스크가 원칙 오디오 데이터만을 기록 가능하게 되는 데 대하여, 고밀도 디스크는 범용 데이터가 기록 가능한 디스크로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범용 데이터 중에도, 예를 들면, 오디오 데이터나 비디오 데이터 등의 AV 데이터가 포함된다. 즉, 본 실시예의 고밀도 디스크에 대해서도, AV 데이터가 기록 가능하다. 특히, AV 데이터의 기록에 관해 말하면, 고밀도 디스크는 음악용 미니 디스크와 비교하여 대용량이기 때문에, 데이터 속도가 높은 스트림 데이터인 비디오 데이터의 기록에 적합하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고밀도 디스크에 기록되는 AV 데이터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FAT 파일 시스템 상에서 관리된다.
먼저, FAT 파일 시스템에서는, AV 데이터용 디렉토리가 존재하도록 하여 관리가 실행된다. AV 데이터용 디렉토리에 대해서는 여기에서는 임시로,「Hi-MDV」라고 하는 디렉토리명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 디렉토리 Hi-MDV에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어도 3 종류의 파일이 저장되게 된다.
먼저, AV 데이터의 실체는 AV Stream File로서 파일 단위에 의해 관리되며, 이 디렉토리 Hi-MDV에 저장된다. 그리고, 이 디렉토리 Hi-MDV에 저장되는 AV Stream File마다 대응하게 되도록 하여, AV Header File이 저장된다. 이 AV Header File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대응하게 된 AV Stream File에 관한 소정 내용의 정보가 저장된다. 또, AV Header File과 AV Stream File의 대응 결부는 여기에서는 각 파일의 파일명 확장자 이외의 부분을 동일하게 함으로써 실행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AV Track Index File은 디렉토리 Hi-MDV에 저장되는 AV 데이터를 트랙 단위로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정보가 기술된 파일이다. 이후의 설명에 의해 이해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디렉토리 Hi-MDV에 저장되는 AV 데이터로서 1 개의 AV Stream File은 어디까지나, FAT 파일 시스템 상에서 관리되는 파일이며, 트랙으로서는 취급하지 않는다. 트랙은 AV Track Index File에 의해 관리된다.
도 7 (a)에는 AV Track Index File의 구조예가 나타나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AV Track Index File은 Play Order Table과, Track Information Table에 의해 이루어진다.
먼저, Track Information Table은 1 이상의 Track Descriptor로 이루어진다. 각 Track Descriptor는 트랙마다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이며,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여, Track Descriptor #1, #2, … #n과 같이 하여 넘버가 첨부되어 있다. 그리고, 이 Track Descriptor 넘버는 분할 소거 등에 의한 편집 결과에 따라 결락(缺落)해도 괜찮은 것이며, 반드시 연번(連番)으로 될 필요는 없다.
또, Play Order Table은 트랙 단위에서의 재생 순서를 규정한다. 예를 들면, 이 경우의 Play Order Table에는, 왼쪽으로부터 차례로, 저장 위치 번호 P1∼P(n)에 의해 나타나는 저장 위치가 있는 것이 되며, 이들 저장 위치에 대해서는, Track Descriptor 넘버가 저장된다. 여기에서는, 저장 위치 번호 P1에 #2, 저장 위치 번호 P2에 #1, … 저장 위치 번호 P(n-1)에 #n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트랙 재생 순서로서는, Track Descriptor #2가 나태내는 트랙→Track Descriptor #1이 나태내는 트랙→ … →Track Descriptor #n이 나태내는 트랙의 순서가 된다. 그리고, 이 경우의 Play Order Table로서는, 예를 들면, 저장 위치 번호 P3이 「-」로 기재되어 있고, 이것은 Track Descriptor 넘버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즉, 본 실시예로서는, 이 도면의 경우이면, 재생 순서에 따라, 저장 위치 번호 P1로부터 왼쪽 채우기가 되도록 하여 Track Descriptor 넘버를 저장해 갈 필요는 없다. 재생 순서는 저장 위치 번호에 따라, 저장되어 있는 Track Descriptor 넘버를 차례로 픽업해 감으로써 얻어지는 것이다.
1 개의 Track Descriptor는 도 7 (b)에 나타내는 정보 내용을 가지고 있다. 즉, Track File ID, Play From, Play To, CODEC Information을 가진다.
Track File ID는 현 Track Descriptor가 나태내는 트랙으로서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AV Stream File(및 AV Header File)의 파일 ID를 나타낸다. 이 파일 ID는, 예를 들면, AV Stream File(및 AV Header File)에 주어진 파일명과 대응하고 있다.
Play From은 현 Track Descriptor가 나태내는 트랙에 대한, 상기 파일 ID가 나태내는 AV Stream File에서 재생이 개시되어야 할 시간을 나타낸다. Play To는 재생이 종료되어야 할 시간을 나타낸다.
CODEC Information은 AV Stream File의 코덱 방식이나, 코덱 후의 데이터에 대한 시간 정보 등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다.
도 8 (A)는 1 개의 AV Stream File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서, 화살표 a로 나태내는 AV Stream File로서의 데이터 개시 위치로부터는 ES(Elementary Stream) Offset으로서의 영역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ES Offset은 본 실시예의 AV Stream File이 FAT 파일 시스템에 의해 관리되는 것에 따라 부가되는 것이다. FAT 파일 시스템에서는, 예를 들면, 클러스터 단위에 의해 데이터의 기록 재생을 실행한다고 하는 조건이 존재한다. 화살표 b에 의해 나태내는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개시 위치(재생 시간 "0")는 기록 시의 기록이나, 후술 하는 바와 같은 분할, 디스크 상 소거 등의 처리에 의해, 반드시 섹터의 선두로부터 개시된다고 한정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개시 위치를 포함하는 클러스터에서의 빈 영역을 메우기 위해, ES Offset이 정의되어 있다.
그리고, 이 ES 0ffset에 계속해서, AV 데이터로서의 실체인 컨텐츠 데이터가 배치된다.
여기에서, 먼저 도 7 (b)에 나타내는 Play From 및 Play To는, 예를 들면, 도 8 (A)에서, 화살표 c, d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트랙의 개시 위치 및 종료 위치가 되는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시간을 나타낸다.
즉, 본 실시예에서 말하는 트랙은 컨텐츠 데이터(AV Stream File)의 일부 데이터에 의해 형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물론이거니와, Play From이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시간 "O"을 나타내고, Play To가 컨텐츠 데이터에서, 도 8 (A)에 화살표 e로 나타내는 종단 위치의 시간을 나타내는 것이면, 트랙으로서는, 1 개의 AV Stream File 전(全) 부분의 컨텐츠 데이터가 되게 된다.
도 8 (B)는 1 개의 AV Header File이 가지는 정보 내용예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ES Offset Size는 현 AV Header File이 대응하는 AV Stream File의 ES Offset에 대한 데이터 사이즈를 나타낸다.
또, 본 실시예의 경우,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예를 들면, AV 데이터에 대한 분할 편집 처리 등에 의해, 1 개의 AV Stream File에서 복수의 트랙이 존재하도록 하여 관리되는 경우가 생긴다. 이 경우, 1 개의 AV Stream File에 대하여, 복수의 참조해야 할 Track Descriptor가 존재하게 된다. 즉, 1 개의 AV Stream File에 대응하여 참조해야 할 Track Descriptor수는 바뀔 수 있는 것이 된다.
Reference Counter는 이 참조해야 할 Track Descriptor의 수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Reference Counter가 나태내는 값이 "2"이면, 이 AV Header File이 대응하는 AV Stream File에 대하여, 참조해야 할 Track Descriptor의 수는 2인 것이 된다. 그리고, 이것은 그 AV Stream File에서 2 개의 트랙으로서의 데이터 부분이 존재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Erase Flag는 그 AV Header File이 대응하는 AV Stream File에 대하여, 「트랙 소거」에 의해 소거된 트랙이 존재하는 경우에 서는 플래그가 저장된다.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트랙 소거」는 편집 처리로서 AV Track Index File 상에서의 재기록에 의해 트랙 소거를 실행하는 처리이며, 반대로 말하면, FAT 파일 시스템의 재기록은 실행하지 않는다. 즉, AV Track Index File 상에서 소거되었다고 간주되는 것이며, FAT 파일 시스템 상에서는 이 트랙 소거된 데이터 부분을 포함하는 AV Stream File 그 자체가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서 관리되고 있다.
Total Play Time은 그 AV Header File이 대응하는 AV Stream File의 총 재생 시간을 나타낸다. 즉, 도 8 (A)에서 화살표 e에 의해 나태내는 종단의 재생 시간을 나타낸다.
그리고,이와 같은 구조 및 정보 내용을 가지는 AV Header File이면, 상기한 정보 내용은 각각 소정 바이트수를 할당하도록 하여 고정 길이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AV Header File로서도 고정 길이로 할 수 있다. AV Header File이 고정 길이이면, 예를 들면, 이미 디스크에 기록이 끝난 상태로 되어 있는 AV Header File을 갱신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그 사이즈는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예를 들면, 1 개의 AV Header File을 형성하는 복수의 데이터 부분이, 디스크 상에서 물리적으로 이산되어 기록되는 바와 같은 것으로는 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서는, FAT에 의한 AV Header File의 관리가 보다 단순한 것이 되어, 판독, 액세스 등이 용이하게 된다고 하는 메리트가 얻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AV Header File에 대하여 고정 길이로 하는 것에 의해서도, FAT 파일 시스템에 대한 처리 부담을 경감하고 있다.
계속해서, 지금까지의 설명을 근거로 하여, 도 9를 참조해서, 1 개의 AV Stream File에 대한 트랙 관리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도 9에 나타내는 트랙 관리는 가장 단순한 예이며, 1 개의 AV Stream File이 1 개의 트랙으로서 관리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1 개의 AV Stream File을 디스크에 기록하는 경우에 있어서, 특히, 그 도중에 트랙 분할 등의 마킹 조작을 실행하지 않으면, 이와 같은 AV Stream File과 트랙의 관계가 얻어진다.
먼저, 도 9 (b)에 나타내는 AV Stream File은 여기에서는 MP000007.VSF라고 하는 파일명 및 확장자인 것으로 한다. 즉, 확장자 VSF에 의해, AV Stream File인 것이 나타난 다음, 이 AV Stream File은 MP000007이라고 하는 파일명에 의해 특정되게 된다.
그리고, 이 AV Stream File은 데이터 개시 위치로부터 1K바이트의 ES Offset의 영역을 가지는 것이 되며, 이것에 계속해서 총 재생 시간 "100"의 컨텐츠 데이터가 배치되어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AV Stream File에 대응하게 된 AV Header File은 도 9 (c)에 나타난다. 이 AV Header File은 MP000007.VHF라고 하는 파일명 및 확장자를 가지고 있다. 확장자 VHF에 의해, 이 파일은 AV Header File인 것이 나타나고, 또한 AV Header File에서, MP000007이라고 하는 파일명에 의해 특정되게 된다.
그리고, 도 9 (b)의 AV Stream File과 도 9 (c)의 AV Header File은 확장자 이외의 파일명 부분인 「MP000007」이 동일하고, 이에 따라, 양자의 대응 결부가 실행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확인을 위해 설명해 두면, AV Stream File과 AV Header File의 파일명(+확장자)은 FAT 파일 시스템에 의한 관리 하에서 주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도 9(c)의 AV Header File에서, ES Offset Size는 도 9 (b)의 AV Stream File의 ES 0ffset가 1K바이트인 것에 대응하여, 이 1K바이트를 나타내는 1000이 저장된다.
또, Reference Counter는 1로 되어 있고, 참조해야 할 Track Descriptor는 1 개인 것이 나타난다.
또, Erase Flag는 0으로 되어 있고, 이것은 도 9 (b)에 나타내는 AV Stream File(컨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트랙 소거」에 의해 소거된 트랙은 존재하고 있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Total Play Time은 도 9 (b)에 나타내는 컨텐츠 데이터 종단의 재생 시간이 "100"인 것에 대응하여, 100이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도 9 (a)에 나타내는 AV Track Index File 내의 Track Information Table에서, 도 9 (b)의 AV Stream File에 대응하여 참조해야 할 1 개의 Track Descriptor #n이 나타나 있다.
이 Track Descriptor #n의 Track File ID는 도면에서는 7이 기재되어 있지만, 이것은 도 9 (b)의 AV Stream File과 도 9 (c)의 AV Header File에서 공통으로 되어 있는 파일명 「MP000007」에서의 「000007」을 나타내고 있다. 즉, 이 경우의 Track File ID로서는, 파일명으로서 AV Stream File과 AV Header File에 대하여 공통으로 주어진 수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AV Stream File, AV Header File, 및 Track Descriptor의 대응 관계를 특정하는 구조로 하고 있다.
또, Track Descriptor #n의 Play From은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시간 "O"을 나타내는 O이 저장된다. 또, Play To는 컨텐츠 데이터 종단의 재생 시간 "100"에 대응하는 100이 저장된다. 이 Track Descriptor #n의 PIay From, Play To를 참조하는 데 따라서는, 도 9 (b)의 AV Stream File의 컨텐츠 데이터는 그 개시 위치(재생 시간 "0")로부터 종료 위치(재생 시간 "100")까지, 1 개의 트랙으로서 재생되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여기에서의 CODEC Information은 type X인 것으로 하고, 실제로는 필요한 코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것이 된다.
계속해서, 도 1O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n 번째에 재생해야 할 트랙을 재생하기 위한 처리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이 도면에 나타내는 처리는 본 실시예의 기록 재생 장치(1)의 시스템 컨트롤러(8)가 실행된다.
먼저, 시스템 컨트롤러(8)는 단계 S101에 의해, 트랙 재생 지시가 얻어지는 것을 대기하고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사용자의 조작부(7)에 대한 조작 등에 의해, n 번째에 재생해야 할 트랙의 지정과 함께, 재생 개시의 지시가 실행되고, 이에 따른 명령이 발생한 것이 되면 단계 S102 이후의 처리로 진행하게 된다.
단계 S102에서는, AV Track Index File의 판독을 실행한다. 그리고,이 판독은 디스크로부터 판독을 실행하도록 해도 되지만, RAM(10)으로부터 판독하도록 하면 된다. 즉, 디스크 장전 시에 있어서, AV Track Index File을 디스크로부터 판독하여 RAM(10)에 유지시켜 두도록 하고, 이후는 이 RAM(10)에 액세스하여, 필요에 따라 AV Track Index File의 판독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하나하나 디스크에 액세스할 필요가 없어져, 그 만큼 단시간에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다음의 단계 S103에서는, 판독을 실행한 AV Track Index File에서의 Play Order Table을 참조하여, 재생 순서가 n 번째로 되어 있는 Track Descriptor의 넘버를 특정한다. 이를 위해서는, 예를 들면, Play Order Table의 저장 위치 P1로부터 차례로 스캔 해 가, n 번째에 히트한 Track Descriptor 넘버를 참조하면 된다.
그리고, 다음의 단계 S1O4에서는 먼저, 상기 단계 S103에 의해 특정된 넘버의 Track Descriptor에 저장되어 있는 Track File ID를 인식한다. 그리고, 이 인식한 Track File ID에 대응하는 파일명이 주어져 있는 AV Header File 및 AV Stream File을 특정한다.
단계 S105에서는, 상기 단계 S104에서 특정한 AV Header File에 저장되어 있는 ES Offset Size를 참조함으로써, 동일하게 상기 단계 S104에서 특정한 AV Stream File의 재생 개시 위치를 특정한다. 즉, 컨텐츠 데이터의 개시 위치인 재생 시간 "0"의 위치를 특정하는 것이다.
계속되는 단계 S106에서는, 앞의 단계 S104에서 특정한 AV Header File에 저장되어 있는 Play From의 값을 인식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 S105에서 특정한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시간 "0"의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Play From의 시간분 시프트한 재생 시간 위치에 액세스한다. 그리고, 이 액세스한 재생 시간 위치로부터,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을 개시한다.
그리고, 단계 S107에서는, 앞의 단계 S104에서 특정한 AV Header File에 저장되어 있는 Play To의 값을 인식한 다음, 이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시간 "0"의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Play To의 시간분 시프트한 재생 시간 위치를 인식한다. 그리고, 이 Play To의 시간이 나타나게 되는 재생 시간 위치까지의 재생이 종료되는 것을 대기한다.
그리고, Play To의 시간이 나타나게 되는 재생 시간 위치까지의 재생이 종료된 것이 되면, n 번째의 트랙을 완전하게 재생 종료한 것이 되며, 예를 들면, 단계 S108에 의해 재생 종료 처리를 실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AV Track Index File 및 AV Header File의 내용을 참조함으로써, 트랙 단위에 의한 데이터 관리, 및 재생 제어가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즉, 트랙 단위에 의한 데이터 관리, 및 재생 제어를 실행하는 데 있어서, FAT 파일 시스템 레벨에서의 관리 정보 내용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이 FAT 파일 시스템에 의해 관리되는 인덱스 정보 파일(AV Track Index File) 및 헤더 파일(AV Header File) 등을 사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4. 트랙 분할, 소거 편집
상기한 트랙 관리 하에서는, AV Track Index File 및 AV Header File의 내용을 변경함으로써, 트랙 단위에서의 편집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에서는, 이와 같은 편집 처리로서 트랙의 분할 편집, 및 트랙 소거 편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트랙 분할 편집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트랙 분할 편집 전의 트랙 관리 상태로서는, 먼저 도 9에 나타낸 대로 한다. 즉, 도 9 (b)에 나타내는 파일명=MP000007.VSF의 AV Stream File은 1 개의 트랙으로서 관리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후에 있어서는, 이 도 9 (b)에 나타나는 파일명=MP000007.VSF의 AV StreamFile에 대하여, 트랙 분할, 및 트랙 소거의 각 편집을 실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도 9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1 트랙으로서 관리되는 AV Stream File에 대하여, 도 11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트랙 분할을 실행한 것으로 한다. 즉, 파일명=MP000007.VSF의 AV Stream File의 컨텐츠 데이터에서, 재생 시간 "0"∼"80"까지의 데이터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트랙과 재생 시간 "80"∼"100"까지의 데이터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트랙으로 분할한 것으로 한다. 그리고,여기에서는 전자를 트랙 #n, 후자를 트랙 #m이라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하여 분할 편집된 것으로서 관리가 실행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AV Track Index File과 AV Header File에 대하여, 각각, 도 9 (a) (c)로부터 도 11 (a)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내용을 변경하게 된다.
먼저, AV Header File에 대해서는, 도 11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Reference Counter의 값에 대하여 1에서 2가 되도록 변경되고, 이에 따라, 참조해야 할 Track Descriptor가 2 개(AV Stream File이 포함하는 트랙이 2 개)인 것을 나타내게 된다. 그리고,여기까지의 단계에서의 파일명=MP000007.VSF의 AV Stream File에 대하여, ES Offset의 사이즈 및 컨텐츠 종단의 재생 시간이 "100"인 것에 변화는 없기 때문에, AV Header File에서의 ES Offset Size 및 Total Play Time의 값은 변화하지 않는다. 또한,Erase Flag에 대해서도, 여기까지의 단계에서는, 파일명=MP000007.VSF의 AV Stream File의 컨텐츠 데이터에서, 소거된 트랙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0인 채 변하지 않는다.
그리고, AV Track Index File에 있어서, AV Header File 및 AV Stream File의 파일명에 대응하는 Track File ID를 가지는 Track Descriptor를 참조하면, 예를 들면, 도 11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Track Descriptor #n, #m의 2 개가 존재하고 있게 된다. 이 Track Descriptor의 수는 도 11 (c)에 나타내는 Reference Counter의 값인 2와 일치하고 있다. 즉, 트랙 분할에 의해 트랙이 1 개 증가하는 데 대응하여, Track Descriptor #n에, Track Descriptor #m이 추가되어 있는 것이다.
Track Descriptor #n은 컨텐츠 데이터에 있어서의 재생 시간 "0"∼"80"까지의 데이터 부분에 의한 Track #n에 대하여 정의하고 있는 것이 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 있어서는, 도 9 (a)에 나타낸 Track Descriptor #n에 대하여, 하기와 같이 하여 필요한 정보를 재기록함으로써 얻어진 것이 된다.
먼저, Track Descriptor #n에서의 Track File ID는 도 9 (a)와 동일하게, 7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따라, 이 Track Descriptor #n이 파일명=MP000007.VSF의 AV Stream File 내의 트랙에 대하여 기술한 것이 특정된다.
그리고, Play From 및 Play To는 각각 0, 80을 나타냄으로써, 도 11에 나타내는 트랙 #n으로서의 데이터 부분의 재생 개시 시간이 "0", 재생 종료 시간이 "80"인 것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Play To의 값이 재기록되어 있게 된다.
그리고,CODEC Information은 Type X를 나타낸다고 하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단, 예를 들면, 재생 시간에 관한 정보 등은 필요에 따라, 그 트랙마다 대응한 내용으로 변경되는 경우가 있다.
또, 분할 편집에 따라 새로이 생성된 Track Descriptor #m은 컨텐츠 데이터에 있어서의 재생 시간 "80"∼"100"까지의 데이터 부분에 의한 Track #m에 대하여 정의한다.
Track Descriptor #m에서의 Track File ID도 7을 나타내게 된다. 즉, Track Descriptor #m도, 파일명=MP000007.VSF의 AV Stream File 내의 트랙에 대하여 기술한 것이 특정된다.
또, Play From 및 Play To는 각각 80, 100을 나타내며, Track #m에 대한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 개시 위치(재생 시간 "0")를 기점으로 한, 재생 개시 시간과 재생 종료시간을 나타내게 된다.
이와 같이, 도 11 (a) (c)에 나타내는 AV Track Index File 및 AV Header File의 내용으로 함으로써, 파일명=MP000007.VSF의 AV Stream File이 도 11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트랙 분할되도록 관리한다.
계속해서, 도 12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파일명=MP000007.VSF의 AV Stream File에 대하여, 트랙 #n을 소거하는 편집을 실행하여, 결과적으로 트랙 #m을 남긴다고 하는 경우를 고려해 본다.
그리고,확인을 위해 설명해 두면, 여기에서의 소거는, 어디까지나, AV Track Index File 및 AV Header File에 의해 트랙을 소거한 것으로서 관리하는 것이며, FAT 파일 시스템에 의해, 디스크에 실제로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 부분을 소거하는 것이 아니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은 소거한 것으로서 보이지만, FAT 파일 시스템 상에서 소거한 것으로 해서 관리하고 있지 않는 이상, 디스크로부터 소거되어 있지는 않은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AV Track Index File 및 AV Header File에 의해 관리되는 소거를 「트랙 소거」라고 하고, FAT 파일 시스템 상에서 관리되는 소거에 대해서는 「디스크 상 소거」라고 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도 12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트랙 소거된 것으로서 관리되기 위해서는, 먼저, AV Track Index File에서의 Track Descriptor로서는, 도 12 (a)에 나타내게 된다.
즉, 트랙 #n을 소거하는 것에 따라, 파일명=MP000007.VSF의 AV Stream File에 대응하는 Track Descriptor 중, Track Descriptor #n은 삭제되고, Track Descriptor #m만이 존재하게 된다. 이 Track Descriptor #m의 내용에 대해서는 도 11 (a)에서의 Track Descriptor #m과 동일하다.
또, 이 트랙 소거 편집에 따라, AV Header File의 내용은 도 11 (c)로부터 도 12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갱신된다. 즉, Reference Counter는 2에서 1이되어, 참조해야 할 Track Descriptor의 수(파일명=MP000007.VSF의 AV Stream File 내의 트랙수)가 1이 된 것을 나타내게 된다.
그리고, 이 단계에서는, 파일명=MP000007.VSF의 AV Stream File에 대하여, 트랙 소거된 트랙이 존재하고 있게 되기 때문에, Erase Flag가 서게 되어, 그 값은 O에서 1로 재기록되게 된다.
그런데, 상기 도 9, 및 도 11, 도 12에 의해 설명한 바와 같이 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트랙 분할, 트랙 소거의 편집이 가능하게 되지만, 이와 같은 편집 처리에 있어서는 이른바 언두(undo)라고 하는 편집 전 상태로 되돌리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예를 들면, 사용자에 있어서의 편리성 등을 고려하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트랙 분할, 및 트랙 소거에 대한 언두는 가능하며,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먼저, 트랙 분할의 언두에 대하여, 재차 도 9 및 도 11을 예로 설명한다.
먼저, 언두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전제로 한 경우에는, 편집 대상으로 되어 있는 AV Stream File에 대응하는 Track Descriptor 및 AV Header File의 내용에 대하여, 편집 처리 전의 내용을, 예를 들면, RAM(10) 상의 소정 대피 영역에 대피시키도록 하여 유지해 두게 된다.
따라서, 도 9로부터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트랙 분할을 위한 편집을 실행했다고 한 경우에 있어서는, 도 9 (a)에 나타내는 Track Descriptor #n과 도 9 (c)에 나타내는 AV Header File의 내용을, 상기 대피 영역에 유지해 두게 된다.
그리고, 이 트랙 분할의 언두를 실행한다고 한 경우에는, 먼저, 도 11 (a)에 나타내는 Track Descriptor #n, #m의 2 개의 Track Descriptor를 AV Track Index File로부터 삭제하고, 대신에, 대피 영역에 유지시켜 둔 도 9 (a)에 나타내는 Track Descriptor #n을 AV Track Index File에 저장한다.
또, AV Header File에 있어서도, 도 11 (c)에 나타내는 내용으로부터, 대피 영역에 유지시켜 둔 도 9 (c)에 나타내는 내용으로 재기록을 실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AV Track Index File 및 AV Header File은 도 11 (a) (c)로부터 도 9 (a) (c)에 나타내는 내용으로 변경되게 되어, 파일명=MP000007.VSF의 AV Stream File의 컨텐츠 데이터는 1 개의 트랙으로서 관리되게 된다. 즉, 트랙 분할 편집에 대한 언두가 실행되게 된다.
그리고,상기한 트랙 분할 편집의 언두에 있어서, 도 11 (a) (c)에 나타내는 내용의 AV Track Index File 및 AV Header File을 대피 영역에 유지시켜 두도록 하면,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관리 상태로부터, 도 11에 나타나는 트랙 분할 후의 관리 상태로 언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도 12에 나타내는 트랙 소거가 실행된 상태로부터, 도 11에 나타내는 상태가 되도록 언두를 실행하는 경우도, 상기와 동일하게 하면 된다.
즉, 우선은 도 11에 나타내는 관리 상태로부터 도 12에 나타내는 관리 상태가 되도록 하여 트랙 소거를 실행한 때에 있어서, 도 11 (a) (c)에 나타내는 Track Descriptor #n, #m, 및 AV Header File을 대피 영역에 유지시킨다.
그리고, 언두를 실행할 때에는, 도 12 (a)에 나타내는 Track Descriptor #m을 AV Track Index File로부터 삭제하고, 대신에, 대피 영역에 유지시켜 둔 도 11 (a)에 나타내는 Track Descriptor #n, #m을 AV Track Index File에 저장한다.
또, AV Header File에 대하여, 도 12 (c)에 나타내는 내용으로부터, 대피 영역에 유지시켜 둔, 도 11 (c)에 나타내는 내용으로 재기록을 실행하게 된다.
이 결과, AV Track Index File 및 AV Header File에 의한, 파일명=MP000007.VSF의 AV Stream File의 관리는 도 12 (a) (c)로부터 도 11(a) (c)에 나타내는 내용으로 변경되어, 트랙 삭제 편집에 대한 언두가 실행되게 된다.
5. 디스크 상 소거
계속해서는, 파일 시스템 상에서, 트랙에 상당하는 AV Stream File의 데이터 부분을 삭제하는 디스크 상 소거 처리에 대하여 설명을 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금까지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AV Stream File(컨텐츠 데이터)은 FAT 파일 시스템에 의한 관리와, 이 FAT 파일 시스템 하에서의 AV Track Index File(인덱스 정보)에 의한 관리가 실행된다. 여기에서, 주목 해야 할것은 디스크에 기록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FAT 파일 시스템에 의한 데이터 관리 단위의 사이즈와, 컨텐츠 데이터로서 관리하는 경우의 데이터 관리 단위의 사이즈에는 상위를 가지는 것이다. 먼저, 이 점에 대하여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해 둔다.
도 13은 어느 1 개의 AV Stream File에 대한 컨텐츠 데이터의 데이터 관리 단위와, 파일 시스템의 데이터 관리 단위의 관계를 개념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13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텐츠 데이터로서 영역 A에 의한 1 개의 AV Stream File이 있는 것으로 하고, 이 AV Stream File에 대한 컨텐츠의 데이터 관리 단위는 도 13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A∼J의 10의 데이터 관리 단위에 의해 등분할(等分割)하는 것으로 한다.
이에 대하여, FAT 파일 시스템의 데이터 관리 단위는 AV Stream File을 A∼D의 4 등분으로 분할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도 13 (b)에 나타내는 컨텐츠의 데이터 관리 단위는 AV Track Index File의 사양에 의해 결정되는 인덱스 단위가 된다. 또, 도 13 (c)에 나타내는 FAT 파일 시스템의 데이터 관리 단위는, 예를 들면, 클러스터 단위가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설명한 도 13은 다음과 같은 것을 의미한다.
먼저, 도 13 (a)의 AV Stream File(A)로서의 컨텐츠 데이터에 대하여, 트랙 분할, 트랙 소거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도 13 (b)에 나타내는 컨텐츠의 데이터 관리 단위 A∼J에 있어서의 경계 위치 중 어느 하나를 분할 위치, 소거 위치로 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예를 들면, FAT 파일 시스템 상에서의 관리에 의해, 디스크 상 소거를 실행하려고 한 경우에는, 도 13 (c)에 나타내는 파일 시스템의 데이터 관리 단위 A∼D에 있어서의 경계 위치 중 어느 하나를, 소거되는 데이터 부분의 경계 위치로 하게 된다.
그리고, 도 13 (b) (c)를 비교하면, 컨텐츠의 데이터 관리 단위의 경계 위치와, 파일 시스템의 데이터 관리 단위의 경계 위치와는 반드시 일치되어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이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파일 시스템의 데이터 관리 단위의 사이즈를 컨텐츠의 데이터 관리 단위 사이즈의 2.5 배로 하고 있는 것이지만, 이 경우에는, 파일 시스템의 데이터 관리 단위 B, C의 경계는 컨텐츠의 데이터 관리 단위 E, F의 경계와 일치는 하고 있지만, 파일 시스템의 데이터 관리 단위 A, B, 및 C, D의 경계는 컨텐츠의 데이터 관리 단위 C, H 내에 포함되는 바와 같은 상태로, 어긋남이 생기고 있다. 또, 컨텐츠의 데이터 관리 단위 B, D, G, I 등은 파일 시스템의 데이터 관리 단위의 블록 내에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도 13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영역 A의 AV Stream File에 대하여, 도 14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영역 A-1, A-2의 각 데이터 부분으로 분할함으로써, 트랙 #n, #m의 2 개의 트랙이 되도록 트랙 분할 편집을 실행한 것으로 한다. 이 경우에는, 도 14 (b)에 있어서의 컨텐츠의 데이터 관리 단위 G, H의 경계 위치에 의해 트랙 분할 편집을 실행하고 있다.
또한,확인을 위해 설명해 두면, 도 14 (b) (c)에는 도 13 (b) (c)와 동일한 패턴이 나타나 있다.
그리고, 상기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분할 편집을 실행한 후에 있어서, AV Stream File(A)로부터, 영역 A-1에 대응하는 트랙 #n에 대하여 디스크 상 소거를 실행한다고 한 경우를 도 15에 의해 설명한다.
여기에서 임시로, 트랙 #n을 디스크 상 소거하기 위해, 도 15 (a)에 나타나는, 전체 영역 A가 되는 AV Stream File에서의 영역 A-1을 완전하게, FAT의 재기록에 의해 소거하는 것을 생각해 본다. 그러면, 영역 A-1, A-2의 경계는 도 15 (c)에 나타내는 파일 시스템의 데이터 관리 단위의 경계와는 일치하고 있지 않고, 파일 시스템의 데이터 관리 단위 C의 블록 내에 있다.
따라서, 영역 A-1을 완전하게 디스크 상 소거하려고 하면, 파일 시스템의 데이터 관리 단위 A, B, C가 연속된 3 블록분에 대응하는 AV Stream File의 데이터 부분을 소거하게 된다. 그러나, 컨텐츠의 데이터 관리 단위 C의 블록은 도 15 (b)에 나타내는 컨텐츠의 데이터 관리 단위 H의 전반(前半)을 포함하고 있다. 즉, 도 15 (a)에 나타내는 AV Stream File의 영역 A-2에 있어서의, 컨텐츠의 데이터 관리 단위 H의 전반의 데이터 부분도 디스크 상 소거되어 버리게 된다.
이 때문에, 트랙 #n에 상당하는 데이터 부분을 디스크 상 소거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영역 A-2의 모두(冒頭) 부분의 소거를 피하기 위해, 파일 시스템의 데이터 관리 단위 A, B가 연속된 2 블록분에 대응한 AV Stream File의 데이터 부분을 소거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15 (a)에서 영역 A-3이, FAT의 재기록에 의해 디스크로부터 소거되게 된다. 그러나, 영역 A-1에서, 영역 A-3에 계속되는 영역 A-4로서의 데이터 부분이 남아 버리게 된다. 이 영역 A-4는 도 15로부터 알 수 있듯이, 파일 시스템 관리 단위 C의 선두 위치로부터 개시되어, 컨텐츠의 데이터 관리 단위 G, H의 경계 위치에서 종료하는 데이터 부분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컨텐츠의 데이터 관리 단위에 의해 트랙 분할(또는 트랙 소거)된 트랙에 대하여 디스크 상 소거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그 트랙으로서의 데이터 부분의 종단 부분에서, 실제로는, 디스크 상에서 소거되지 않고 남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실제로 디스크 상에서 소거되게 되는 데이터 사이즈와, 사용자측으로부터 디스크 상에서 소거한 것처럼 보이는 데이터 사이즈 사이에, 영역 A- 4분의 차분(差分)이 생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차분이 되는 데이터 부분은 디스크 상 소거가 실행되는 회수에 따라 증가하게도 되므로, 실제로 디스크 상에서 소거된 데이터 사이즈와, 사용자측으로부터 디스크 상에서 소거한 것처럼 보이는 데이터 사이즈의 오차는 확대하여 가게 되어 버린다.
그래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회피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 15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영역 A-4를 후에 계속되는 영역 A-2의 선두에 부가되는 ES 0ffset으로서 취급하게 된다. 따라서, 이 도 15에 나타내는 디스크 상 소거 결과, 도 15 (a)에 나타내는 AV Stream File로서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FAT 파일 시스템 상에서 관리되는 것은 영역 A-4(ES 0ffset)+영역 A-2로 나타나는 영역이 된다.
지금까지의 설명에 의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전제로서 디스크에 기록되는 데이터는 FAT 파일 시스템에 의해 관리된다. 게다가, 컨텐츠 데이터(AV Stream File)의 트랙 분할, 트랙 소거 편집은 FAT의 재기록에 의존하지 않고, 이 FAT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 파일(AV Track Index File, AV Header File 등)의 내용을 재기록함으로써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파일(AV Track Index File, AV Header File 등)의 재기록에 의한 트랙 분할, 트랙 소거 편집을 실행하지 않고, FAT의 재기록에만 의존하여, 컨텐츠 데이터(AV Stream File)의 편집을 실행한다고 한 경우에는, 트랙 분할, 트랙 소거 편집 시마다, FAT의 재기록을 실행하게 된다. FAT의 재기록은, 예를 들면, 데이터 파일을 조작하는 경우보다 무거운 처리가 되기 때문에, 그 만큼 시스템의 부담이 커진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편집 처리의 종료(FAT의 재기록 완료)에 시간이 걸리게 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이 생긴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와 같이 하여, 데이터 파일에 대한 재기록에 의해 편집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면, 편집 시마다, FAT를 재기록할 필요는 없어지므로, 보다 가벼운 부담으로 편집 처리를 실행할 수 있어, 보다 신속한 편집 처리 동작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데이터 파일(AV Track Index File, AV Header File 등)의 재기록에 의한 트랙 분할, 트랙 소거가 실행되는 환경 하에서, 예를 들면, 트랙으로서의 데이터 부분을 디스크 상 소거(FAT의 재기록)에 의해 소거하는 것에는 다음과 같은 의미가 있다.
먼저, FAT의 재기록에 의해 데이터를 적극적으로 소거하는 경우란, 불필요한 데이터를 사용자가 임의로 삭제하는 경우라고 하는 것이 되지만, 이것은 즉, 필요한 데이터만이 디스크에 기록되도록 하여, 가능한 한 디스크의 기록 용량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재기록 가능한 미디어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말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기록 용량의 절약과도 관련되지만, 다음과 같은 이유도 가지고 있다.
즉, 데이터 파일(AV Track Index File, AV Header File 등)의 재기록에 의한 트랙 소거를 실행한 것 만으로는, FAT 상에서는 트랙 소거된 데이터 부분은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서 관리되기 때문에, 트랙 소거가 실행되면, 사용자로부터 본 컨텐츠의 총 데이터 사이즈보다 실제로 디스크에 소거되지 않고 기록되어 있는 컨텐츠의 총 데이터 사이즈 쪽이 커지도록 하여 차이가 생기게 된다.
그리고, 트랙 소거에 대하여 회수를 거듭해 가면, 사용자로부터 본, 데이터 파일에 의해 관리되는 전체 트랙의 총 데이터 사이즈(총 재생 시간)와, 실제로 디스크에 소거되지 않고 기록되어 있는 전체 컨텐츠(AV Stream File)의 총 데이터 사이즈의 차이는 확대되어 가게 된다. 이와 같은 차분의 확대가 커지는 것은, 예를 들면, 사용자가 생각하고 있는 이상으로 디스크의 기록이 끝난 용량이 커지고 있으며, 어느 때에 기록할 수 있다고 생각한 컨텐츠가 용량 부족으로 기록할 수 없게 되는 등, 사용자에게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은 문제점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그래서, 예를 들면, 트랙 소거에 의해 소거된 트랙을 디스크 상 소거하도록 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사용자측과 FAT 관리상 의 사이에서의 데이터 사이즈의 차분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실제의 기록 재생 장치의 애플리케이션으로서는, 다음과 같은 자동 디스크 상 소거 동작을 고려할 수 있다.
즉, 데이터 파일의 재기록에 의해 트랙 소거되고는 있지만, FAT에 의해서는 소거되고 있지 않은 트랙의 총 데이터 사이즈가 일정 이상이 된 경우, 이것은 데이터 파일에 의해 관리되는 전체 트랙의 총 데이터 사이즈와, 실제로 디스크에 소거되지 않고 기록되어 있는 전체 컨텐츠(AV Stream File)의 총 데이터 사이즈의 차이가 일정 이상이 되었다고 하는 것이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조건을 만족시킨 경우에는, 트랙 소거된 데이터 부분을 대상으로 하여, 필요하게 되는 데이터 사이즈 분의 디스크 상 소거를 실행하게 된다.
도 16 및 도 17의 플로차트는 상기와 같은 자동 디스크 상 소거 동작을 위한 처리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이 도면에 나타내는 처리도, 기록 재생 장치(1)의 시스템 컨트롤러(8)가 실행된다.
먼저, 시스템으로서는, 일정 기간마다, 데이터 사이즈 체크를 실행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데이터 사이즈 체크란, 상기에서도 하고 있는 바와 같이, 데이터 파일에 의해 관리되는 전체 트랙의 총 데이터 사이즈와, 실제로 디스크에 소거되지 않고 기록되어 있는 전체 컨텐츠(AV Stream File)의 총 데이터 사이즈의 차이를 체크하는 것이 된다.
그리고, 시스템에서는 일정 시간 간격마다 상기 데이터 사이즈 체크를 위한 명령을 내부에서 발생시키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시스템 컨트롤러(8)는 도 16의 단계 S201의 처리로서, 이 데이터 사이즈 체크를 위한 명령이 얻어지는 것을 대기하고 있다. 그리고, 이 명령이 취득되면 단계 S202 이후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 S202에서는, AV Track Index File 내의 Track Information Table을 판독한다. 그리고, 판독한 Track Information Table 내에 저장되어 있는 각 Track Descriptor의 Play From-Play To에 의해 나타나는 시간폭을 인식하여, 이들의 Play From-Play To의 시간폭을 가산한다. 이에 따라, 현재 데이터 파일(AV Track Index File, AV Header File)에 의해 관리되는 전체 트랙의 재생 시간을 총계한 총 재생 시간 a의 값이 산출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다음의 단계 S203에 의해, 소정 연산 규칙에 따라, 상기 총 재생 시간 a의 값을 디스크 상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 사이즈 b의 값으로 변환한다.
계속해서, 단계 S204에 의해, FAT의 판독을 실행한다. 그리고, 다음의 단계 S205에서, 판독을 실행한 FAT를 참조함으로써, FAT에 의해 디스크 상에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서 관리되고 있는 모든 AV Stream File의 총 데이터 사이즈 c를 산출한다.
그리고, 다음의 단계 S206에서는, 상기 단계 S203에 의해 얻어진 값 b와, 상기 단계 S205에 의해 얻어진 값 c에 대하여, c-b가 미리 설정된 일정값 이상인지 여부에 대하여 판별한다.
여기에서, 긍정 결과가 얻어진 것이면, 데이터 파일의 재기록에 의해 트랙 소거되고는 있지만, FAT에 의해서는 소거되고 있지 않은 트랙의 총 데이터 사이즈가 일정 이상이 되어 있다고 하는 것이 된다. 그래서, 이 경우에는, 단계 S207에 의한 디스크 상 소거 처리를 실행한다. 이 디스크 상 소거 처리에 따라서는, 데이터 파일의 재기록에 의해 트랙 소거되고는 있지만, FAT에 의해서는 소거되고 있지 않은 트랙으로서의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필요한 데이터 사이즈분에 따른 소거를 트랙 단위로 실행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단계 S206에서 부정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이대로 처리를 종료하고, 재차, 단계 S201의 처리에 의해 다음의 데이터 사이즈 체크 명령이 얻어지는 것을 대기하게 된다.
그리고, 단계 S207에서의 디스크 상 소거 처리는, 예를 들면, 도 17에 나타내는 순서에 의해 실행할 수 있다.
도 17에 나타내는 디스크 상 소거 처리로서는, 먼저, 단계 S301에서, AV Header File의 판독을 실행하고, 판독을 실행한 AV Header File 중에서, Erase Flag=1로 되어 있는 AV Header File을 검색한다.
여기에서, Erase Flag=1로 되어 있는 AV Header File을 검색한다고 하는 것은 그 AV Header File의 파일명을 특정하게 된다. 이것은 데이터 파일에 의해 트랙 소거되고는 있지만, FAT에 의해서는 소거되고 있지 않은 트랙으로서의 데이터 부분을 포함하는 AV Stream File을 특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AV Header File에 Erase Flag를 저장함으로써, 데이터 파일에 의해 트랙 소거되고는 있지만, FAT에 의해서는 소거되고 있지 않은 트랙으로서의 데이터 부분을 포함하는 AV Stream File과, 이것을 포함하지 않는 AV Stream File을 구별하여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만일, AV Header File에는 Erase Flag를 저장하지 않는 것으로 하면, AV Stream File에서, 데이터 파일에 의해 트랙 소거되고는 있지만, FAT에 의해서는 소거되고 있지 않은 트랙으로서의 데이터 부분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판단할 수 없게 된다. 즉, AV Stream File로부터, 데이터 파일에 의해 트랙 소거되고는 있지만, FAT에 의해서는 소거되고 있지 않은 트랙으로서의 데이터 부분만을 디스크 상 소거하려고 한 경우에도, 이와 같은 데이터 부분이 AV Stream File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없는 이상, 적정하게 실행할 수 없게 된다.
AV Header File에는 Erase Flag를 저장하지 않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AV Stream File을 형성하는 모든 트랙에 대하여, 데이터 파일에 의한 트랙 소거를 실행하여, AV Header File의 Reference Counter가 O이 되었을 때에 비로서, 그 AV Stream File 전체를 디스크 소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다음의 단계 S302에서는, 먼저, Track Information Table의 판독을 실행하여, 이 Track Information Table에 저장되는 Track Descriptor 중에서, 상기 단계 S301에서 검색한 AV Header File의 파일명에 대응하는 Track File ID를 저장한 Track Descriptor를 인식한다.
다음의 단계 S303에서는, 상기 단계 S302에 의해 인식한 Track Descriptor와, 앞서 단계 S301에 의해 판독을 실행한 AV Header File의 내용에 따라, 각 AV Stream File에서의 트랙 소거가 끝난 상태로 되어 있는 데이터 부분의 재생 시간폭을 인식한다.
이 단계 S303에 의한 재생 시간폭 인식을 위한 처리를 도 18 (A) 내지 도 18 (C)의 모식도에 의해 설명한다.
여기에서, 트랙 소거가 끝난[또한, 디스크 상 소거(FAT 재기록)에 의한 소거는되어 있지 않은] 데이터 부분을 포함하는 AV Stream File로서 도 18 (A) 내지 도 18 (C)에 나타내는 3 개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여기에서는, 임시로, 도 18 (A) 내지 도 18 (C)에 나타내는 각 AV Stream File에 대응하는 Track File ID는 각각 Track File ID=0, Track File ID=1, Track File ID=2인 것으로 한다.
먼저, 도 18 (A)에 나타내는 AV Stream File에서는, 컨텐츠 데이터 전체의 재생 시간폭이 "400"으로 되는 동안, 트랙 소거가 끝난 데이터 부분은 재생 시간 "150"∼"400"의 범위가 되는 영역 B이며, 그 재생 시간폭은 "250"이 된다.
또, 도 18 (B)에 나타내는 AV Stream File에서는, 콘텐트 데이터 전체의 재생 시간폭은 도 18 (A)와 동일한 "400"이 된다. 그러나, 트랙 소거가 끝난 데이터 부분인 영역 B는 이 경우, 재생 시간 "250"∼"400"의 범위이기 때문에, 그 재생 시간폭은 "150"이 된다.
또한,도 18 (C)에 나타내는 AV Stream file의 컨텐츠 데이터 전체의 재생 시간폭은 "600"이 된다. 그리고, 이 경우의 트랙 소거가 끝난 데이터 부분은 영역 A∼E 중, 영역 B, D가 된다. 영역 B는 재생 시간 "200"∼"300"의 범위이며, 그 재생 시간폭은 "10O"이 된다. 영역 C는 재생 시간 "50O"∼"550"의 범위이며, 그 재생 시간폭은 "50"이 된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도 18 (A)에 나타내는 AV Stream File에 대응하는 AV Header File로서는, Total Play Time은 4O0을 나타내게 된다. 또, 도 18 (A)에 나타내는 AV Stream File에 대응하는 Track Descriptor에서는, 영역 A를 트랙으로서 관리하기 위한 내용이 저장되며, 그 Play From, Play To는 각각 0, 150을 나타내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Total Play Time=4O0, Play From=0, Play To=150의 정보로부터 트랙 소거가 끝난 데이터 부분인 영역 B의 재생 시간폭은 "250"(=400-150)인 것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8 (B) 내지 18 (C)에 나타내는 AV Header File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하여, 대응하는 AV Header File의 Total Play Time과, 참조해야 할 Track Descriptor에 저장되는 Play From, Play To의 값을 이용함으로써, 트랙 소거가 끝난 데이터 부분인 각 영역의 재생 시간폭을 특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하여, 단계 S303에서, 트랙 소거가 끝난 데이터 부분마다의 재생 시간폭을 인식한 후에는, 다음의 단계 S304에 의해, 트랙 소거가 끝난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재생 시간폭 순서의 리스트를 작성한다.
이 리스트는, 예를 들면, 도 19에 나타내는 것이 된다. 이 도 19에 나타내는 리스트는 트랙 소거가 끝난 데이터 부분을 포함하는 AV Header File이 도 18 (A) 내지 도 18 (C)에 나타낸 것인 경우를 예로 하고 있다.
도 19에 나타내는 리스트는 리스트 순서마다 대응하여, 트랙 소거가 끝난 데이터 부분을 특정하는 어드레스적인 정보와, 그 재생 시간폭의 정보를 저장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의 트랙 소거가 끝난 데이터 부분을 특정하는 정보로서는, 먼저, 그 트랙 소거가 끝난 데이터 부분을 포함하는 AV Header File의 파일 ID(Track File ID)와, 그 트랙 소거가 끝난 데이터 부분에 대한 Play From/Play To의 값을 저장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여기에서, 도 18 (A) 내지 도 18 (C)에 나타내는 AV Header File의 트랙 소거가 끝난 데이터 부분 중, 도 18 (A)에 나타내는 AV Header File에서의 영역 B가 재생 시간폭 "250"이 되어, 가장 긴 재생 시간폭을 가지고 있다. 또, 다음으로 긴 것은 도 18 (B)의 AV Header File에서의 영역 B의 재생 시간폭 "150"이다. 또한, 계속되어, 도 18 (C)의 AV Header File에서의 영역 B의 재생 시간폭 "100", 영역 D의 재생 시간폭 "50"이 된다.
따라서, 도 19에 나타내는 리스트 순서 (1)에는, 도 18 (A)에 나타내는 AV Header File에서의 영역 B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이 경우, 트랙 소거가 끝난 데이터 부분을 특정하는 정보로서는, ID=0, Play From/Play To=150/400의 정보가 저장됨으로써, 도 18 (A)에 나타내는 AV Header File에서의 영역 B인 것이 특정된다. 또, 재생 시간폭의 정보로서는 250이 저장된다.
이후, 리스트 순서 (2)∼리스트 순서 (4)에는, 상기한 재생 시간폭 순서에 따라, 도 18 (B)의 AV Header File에서의 영역 B, 도 18 (C)의 AV Header File에서의 영역 B, D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다음의 단계 S305에서는, 상기 단계 S304에 의해 작성한 리스트의 내용을 참조하여, 리스트 순서에 따라, 트랙 소거가 끝난 데이터 부분에 대한 디스크 상 소거를 실행한다. 즉, 필요한 디스크 상에서의 데이터 소거량이 얻어지도록, 리스트 순서에 따라, 트랙 소거가 끝난 데이터 부분에 대한 디스크 상 소거를 실행한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작성되는 리스트 순서에 의해, 트랙 소거가 끝난 데이터 부분을 디스크 상 소거해 나간다고 하는 것은 가능한 한 재생 시간폭이 긴, 즉, 한묶음의 데이터 사이즈가 큰 영역으로부터 소거해 간다고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의 기록 재생 장치(1)로서는, 디스크에 대한 AV Stream File의 기록은, 될 수 있는 한 디스크 상에서 물리적으로 연속하여 실행하도록 되어 있어, 가능한 한 이산하여 기록되는 일이 없도록 배려된다.
이것은 기록 매체가 디스크이기 때문에, 이산 기록된 데이터에 액세스하면서 스트림 데이터의 기록 재생을 실행하는 것은 액세스 시간, 및 탐색 시간이 필요하게 되는 관계 상, 시스템에 부담이 걸리는 것이 이유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것을 고려하면, 트랙 소거가 끝난 데이터 부분에 대한 디스크 상 소거에 의해 디스크에 빈 용량을 형성하는 것으로 한 경우에도, 디스크 상에서 물리적으로 될 수 있는 한 길게 연속된 빈 용량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는 것이 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재생 시간폭이 가장 긴 트랙 소거가 끝난 데이터 부분으로부터, 우선적으로 디스크 상 소거를 실행하는 것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트랙 소거가 끝난 데이터 부분에 대한 디스크 상 소거에 의해서도, 가능한 한 길게 연속된 빈 용량이 얻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디스크 상 소거의 리스트 순서를 형성하는 것은 어디까지나 트랙 소거가 끝난 데이터 부분의 재생 시간폭에 의존하기 때문에, 반드시, 이 재생 시간폭을 가지는 데이터 부분이, 그대로, 디스크 상에서의 물리적인 연속성을 가지고 있다고는 한정하지 않고, 디스크 상에서는 이산적으로 기록되어 있을 가능성을 가지고는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기록 재생 장치(1)로서는,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하여, 우선은 가능한 한 디스크 상에서 물리적으로 연속된 영역에 1 개의 AV Stream File이 기록되도록 하여 기록을 실행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한 효과는 상당히 높은 확률로 얻을 수 있는 것이다.
6. 블록 암호화된 AV Stream File의 디스크 상 소거
또, 본 실시예의 기록 재생 장치(1)에서는, 도 1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하여, 예를 들면, 입출력 처리부(5) 내에, 암호화 및 암호 복호화 처리를 실행하는 암호 처리부(5a)를 구비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디스크에 대하여 기록되는 데이터로서는, 암호화되는 경우가 있다고 하는 것이 된다.
그리고, 암호화의 알고리즘의 하나로서 블록 암호화가 알려져 있지만, 또한,이 블록 암호화 모드의 하나로서 CBC 모드가 알려져 있다.
여기에서 CBC 모드에 의한 암호화 처리를 간단하게 설명해 두면, 다음과 같이 된다.
· 평문 데이터 D를 동일 데이터 길이의 블록 dl, d2, …, dn로 나눈다.
· 상기 블록과 동일 길이의 IV(Intialization Vector)를 준비한다.
· d1과 IV의 배타적 논리합을 암호화하고, 이것을 e1로 한다.
· d2와 e1의 배타적 논리합을 암호화하고, 이것을 e2로 한다.
· d3과 e2의 배타적 논리합을 암호화하고, 이것을 e3으로 한다.
· 이하 동일한 처리를 반복하여, 얻어진 e1, e2, …를 연결한 것을 암호문으로 한다.
그리고, 여기에서 암호 처리부(5a)가, 상기 CBC 모드에 의한 블록 암호화에 대응한 암호화/복호화 처리를 실행 가능한 것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AV Stream File, 컨텐츠의 데이터 관리 단위, FAT 파일 시스템의 데이터 관리 단위, 및 블록 암호화 단위의 관계예를 도 20에 나타낸다. 그리고,이 도면에 나타내는 AV Stream File에 대한 각 단위의 관계는 어디까지나 설명의 편의를 위한 개념적인 것이며, 반드시 실제와 동일하지 않다.
그리고, 이 도 20에 의하면, 도 20 (a)에 나타내는 AV Stream File은 전체로 영역 A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AV Stream File의 영역 A는 도 20 (b)의 컨텐츠의 데이터 관리 단위로서는, 관리 단위 A∼E의 5 개분의 사이즈에 상당하게 된다.
또, 도 20 (c)에 나타내는 FAT 파일 시스템의 데이터 관리 단위는 AV Stream File의 영역 A에 대하여, 관리 단위 A, B와, 이것에 계속되는 관리 단위 C의 일부가 대응하게 되어 있다. 또, 도 20 (b)에 나타내는 컨텐츠의 데이터 관리 단위의 2 개분의 사이즈가, 1 개의 FAT 파일 시스템의 데이터 관리 단위의 사이즈와 동일하게 되는 관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도 20 (d)에 나타내는 블록 암호화 단위는 8 개분이며, 1 개의 FAT 파일 시스템의 데이터 관리 단위와 동일 사이즈가 되는 관계를 가진다. 따라서, 4 개분이면, 1 개의 컨텐츠의 데이터 관리 단위와 동일 사이즈가 된다.
그리고, 여기에서는 도 20에 나타내는 분할 위치에 의해, 도 20 (a)의 AV Stream File에 대하여, 영역 A를 영역 A-1과 영역 A-2로 분할하도록 하여 트랙 분할 편집한 것으로 한다. 이 분할 위치는 도 20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텐츠 데이터의 관리 단위 B, C의 경계 위치에 대응한다. 또, 이 경우에는, 이 분할 위치는 도 20 (c)에 나타내는 파일 시스템의 데이터 관리 단위 A, B의 경계와도 일치하고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이 도면에 나타내는 분할 위치는 도 20 (d)에 나타내는 블록 암호화 단위 A, B의 경계에도 대응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하여 AV Stream File의 트랙 분할을 실행한 바, 도면에 나타내는 블록 암호화 단위의 시퀀스에서, 분할 위치에 대응하는 경계 직전의 블록 암호화 단위 A에 대응하는 AV Stream File의 데이터 부분은 IV(Intialization Vector)로서 필요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부분인 것으로 한다. 그리고,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 20 (a)에 나타내는 AV Stream File 전체를 암호화 블록의 체인 범위로 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트랙 분할 편집한 후에, 예를 들면, AV Stream File의 영역 A-1의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디스크 상 소거를 실행한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은 편집 결과에 대응하는 상태를 도 21에 나타낸다.
이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AV Stream File의 영역 A-1의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디스크 상 소거를 실행한다고 하는 것은 파일 시스템의 데이터 관리 단위 A에 대응하는 AV Stream File의 데이터 부분이 디스크 상으로부터 소거되도록 FAT를 재기록한다고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 있어서, 단순하게, FAT의 재기록에 의해 파일 시스템의 데이터 관리 단위 A에 대응하는 AV Stream File의 데이터 부분을 디스크로부터 소거했다고 하면, 블록 암호화 단위 A에 대응하는 AV Stream File의 데이터 부분에 포함되는 IV도 소거되어 버리게 된다.
이 IV는 이후의 블록 암호화 단위의 데이터 부분에 대한 암호 복호화 처리에 필요한 정보이다. 따라서, 이 IV를 그대로 디스크 상으로부터 소거해 버린 것에서는, 이후의 영역 A-2로서의 AV Stream File의 데이터 부분에 대하여, 적정하게 암호 복호화 처리를 실시하여 재생 출력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종래에 있어서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대한 대책으로서, 예를 들면, 1 개에는 이 블록 암호화 단위 A에 대응하는 AV Stream File의 데이터 부분과 같이, IV를 포함하게 되는 데이터 부분에 대해서는, 디스크 상으로부터의 소거는 실행하지 않고 남긴다고 하는 것이 실행되고 있다.
그러나, 예를 들면, 도 20으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IV를 포함하는 블록 암호화 단위 A에 대응하는 AV Stream File의 데이터 부분을 디스크로부터 소거하지 않고 남기려고 하면, 결국, 파일 시스템의 데이터 관리 단위 A에 대응하는 AV Stream File의 데이터 부분을 통째로 디스크로부터 소거하지 않고 남기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이 도면의 경우에는, 결국, AV Stream File의 영역 A-1로서의 데이터 부분은 디스크로부터 소거되지 않고 남아 버리게 된다.
이것은 실제에 있어서는, IV를 포함하는 블록 암호화 단위의 데이터 부분을 남기기 위해, 예를 들면, 이것보다 데이터 사이즈가 큰 파일 시스템의 데이터 관리 단위분의 데이터를 남기지 않으면 안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이 경우에는, 디스크의 빈 용량을 유효하게 확보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를 가지게 된다.
또, 대책의 하나로서, 블록 암호화 단위 A에 대응하는 AV Stream File의 데이터 부분과 같이, IV를 포함하는 1 블록 암호화 단위의 데이터를, 예를 들면, 디스크 상에서 확보된 소정 대피용 어드레스 영역에 기록해 두고, 그 IV가 필요하게 된 경우에, 이 대피용 어드레스 영역으로부터 데이터 판독을 실행하여 사용한다고 하는 것도 실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디스크 상에 IV의 데이터를 대피시키는 영역을 확보해야하기 위해, 그 만큼,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 가능한 디스크 용량이 감소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이 생긴다. 또, 대피용 어드레스 영역과, 여기에 기록되는 IV의 데이터를 FAT에 의해 관리하게 되므로, FAT 파일 시스템도 그 만큼 복잡하게 되어, 처리도 무거워져 버리게도 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로서는,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도 22에서, 도 22 (a) (b) (c)(d)는 도 21 (a) (b) (c) (d)와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22 (e)에는 암호화 체인 단위가 나타나 있다. 이 도 22 (e)에 나타내는 암호화 체인 단위와, 도 22 (b)에 나타내는 컨텐츠의 데이터 관리 단위를 비교하여 알 수 있도록, 여기에서는 암호화 체인 단위와 컨텐츠의 데이터 관리 단위에 대하여 동일하게 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도면에 관해서는, 1 개의 암호화 체인 단위는 도 22 (d)에 나타내는 블록 암호화 단위의 4 개분에 상당시키는 것으로 하고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1 개의 암호화 체인 단위를 1 개의 컨텐츠의 데이터 관리 단위의 범위 내에 수용하는 것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그 예로서, 도 22에서는 암호화 체인 단위와 컨텐츠의 데이터 관리 단위에 대하여 동일하게 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2 이상의 암호화 체인 단위를 1 개의 컨텐츠의 데이터 관리 단위의 범위 내에 수용하도록 해도 상관없게 된다. 그리고,이와 같은 경우, 모든 IV에 대하여 정수(定數)(예를 들면, 0)로 하게 된다.
상기 도 22에 나타내는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크 소거 시에 있어서, IV를 포함하는 데이터 부분에 대해서는 파일 시스템의 데이터 관리 단위분에 의해 미소거로 하거나, 또 디스크 상에 형성한 대피 영역에 IV를 대피시킬 필요는 없어져, 상기한 문제가 해결되게 된다.
그리고,도 22에 나타내는 방법을 실현하는 데는 암호 처리부(5a)에 대하여, 디스크에 기록해야 할 AV Stream File에 대하여, 상기 도 22의 설명에 따라 정해진 소정 체인 범위에 의해 암호화 처리를 실시하도록 구성하면 된다.
지금까지 설명해 온 실시예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것을 말할 수 있다.
먼저, AV Stream File로서의 컨텐츠 데이터의 트랙 분할, 트랙 소거의 편집으로서는, 도 6∼도 12에 의해 설명한 바와 같이, 데이터 파일(AV Track Index File, AV Header File 등)의 재기록에 의해 실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로서는, AV Stream File로서의 컨텐츠 데이터의 트랙 분할, 트랙 소거의 편집까지의 단계에서는, FAT의 재기록에 의존하지 않게 되므로, FAT 재기록을 위한 처리 부담이 경감되어, 예를 들면, 그 만큼 고속의 편집 처리 동작을 얻을 수 있다.
또, 게다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여, AV Stream File에 대하여 디스크 상 소거를 실행한 경우에 있어서, 이 디스크 상 소거해야 할 데이터 영역의 종단 부분에 대하여, 소거되지 않고 남은 경우에는, 이 소거되지 않고 남은 데이터 부분을 ES Offset으로 하고, 이 데이터 부분에 계속되는 트랙 데이터 부분의 선두에 부가하여 AV Stream File을 형성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실제로 디스크 상에서 소거되게 되는 데이터 사이즈와, 사용자측으로부터 디스크 상에서 소거한 것처럼 보이는 데이터 사이즈 사이에 생기는 차분을 해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이것은 파일 시스템에 의한 파일 관리 하에서, 데이터 파일(AV Track Index File, AV Header File 등)에 의해 트랙 관리를 실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이와 같은 경우에서의 부정합(不整合)을 해소하여, 보다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가 실행되도록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7에 의해 설명한 바와 같이 하여, AV Header File에 Erasse Flag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Erasse Flag 상태를 봄으로써, 1 개의 AV Stream File에서 트랙 소거가 끝난 상태로 되어 있는 데이터 부분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하고 있다. 즉, Erasse Flag를 형성함으로써, AV Stream File의 일부인 것으로 해도, 디스크 상 소거해도 괜찮게 되는 데이터 부분을 적절히 찾아내, 디스크의 빈 용량을 효율적으로 만들어 내 가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도 17 및 도 18 (A) 내지 도 18 (C)에 의해 설명한 바와 같이 하여, 트랙 소거가 끝난 데이터 부분 중에서, 재생 시간폭이 긴 것으로부터 디스크 상 소거해 나가도록 하여, 가능한 한 연속된 빈 용량이 얻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는, 상기한 디스크의 빈 용량을, 기록/판독 효율을 고려하여 만들어 내 가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 방법을 채용함으로써도, 파일 시스템에 의한 파일 관리 하에서, 데이터 파일(AV Track Index File, AV Header File 등)에 의해 트랙 관리를 실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를 실현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도 22에 의해 설명한 바와 같이 하여, 암호화 체인 범위를 규정함으로써, 예를 들면, CBC 모드 등에 의해 암호화된 AV Stream File을 트랙 분할한 데이터 부분을 소거할 때에도, IV를 보존, 대피시켜 둘 필요가 없어져, FAT 재기록 처리 등의 부담 경감이나, 디스크 용량의 절약이 도모된다.
즉, 이와 같은 방법도, 동일하게 파일 시스템에 의한 파일 관리 하에서, 데이터 파일(AV Track Index File, AV Header File 등)에 의해 트랙 관리를 실행한다고 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를 실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실행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하여 각 도면에 의해 설명해 온 방법은, 예를 들면, 시스템 컨트롤러(8)가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이를 위한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기록 재생 장치(1)의 ROM(9)에 미리 기억하여 저장해 두는 것이다.
또는, 프로그램은 플렉시블 디스크,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M0(Magnet 0ptical) 디스크,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 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등의 착탈 가능 기록 매체에, 일시적 또는 영속적으로 저장(기록)해 둘 수 있다. 이와 같은 착탈 가능 기록 매체는 이른바 패키지 소프트웨어로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이면, 디스크(90)에 프로그램을 기록하여, 패키지 소프트웨어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록 재생 장치(1)에서는 디스크(90)를 재생하여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ROM(9)에 기억시킴으로써 인스톨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본 실시예로서의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각종 기록 매체에 기억시켜 두면, 본 실시예로서의 동작을, 범용 퍼스널 컴퓨터 등에 인스톨하여 실행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프로그램은 상기와 같은 착탈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하는 외에,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는 서버 등으로부터, LAN(Local Area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으로서는, 지금까지 설명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각 도면에 의해 설명한 처리 순서 등은 실제에 따라 적당히 변경되어도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 편집 대상이 되어 있는 AV Stream File(스트림 데이터)은 비디오 데이터인 것으로 하고 있지만, 전술하고도 있는 바와 같이, 그 포맷에 대하여 여기에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비디오 데이터 이외에도, 예를 들면, 압축 인코드 포맷을 포함하는 각종 포맷에 의한 오디오 데이터 등으로 해도 되는 것이다.
또, 여기에서는, 기록 재생 장치로서는 미니 디스크(MD) 방식의 디스크에 대응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각종 방식에 의해 기록 가능한 디스크 미디어에 대응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파일 시스템에 의한 관리 하에서, 데이터 파일에 의해 트랙 관리되는 데이터 관리 구조를 채용하는 것이면, 디스크 미디어 이외의 다른 미디어를 대상으로 하여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고려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스트림 데이터를 파일 시스템에 의해 파일로서 관리하게 된다. 이것을 전제로 하여, 파일 시스템에 의해 관리되는 트랙 관리용 데이터 파일에 의해, 스트림 데이터를 트랙 단위로 관리하게 된다. 그리고, 트랙 단위에 의한 분할, 소거의 편집(트랙 분할, 트랙 소거)은 상기 트랙 관리용 데이터 파일에서 각 트랙을 규정하는 트랙 관리 정보의 내용을 재기록함으로써 실행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됨으로써, 트랙 단위에 의한 분할, 소거 편집 처리에 있어서는, 파일 시스템을 재기록할 필요는 없게 되어, 그 만큼, 편집 처리의 부담은 경감되어, 예를 들면, 보다 고속의 편집 동작을 얻을 수 있다.
또, 파일 시스템의 재기록에 의해, 파일 시스템의 데이터 관리 단위에 따라, 스트림 데이터를 기록 매체로부터 소거할 때에, 이 파일 시스템의 데이터 관리 단위에 상당하는 데이터 영역에,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의 소거 대상인 데이터 부분의 일부가 남는 상태로 된 경우에는, 이 남은 데이터 부분의 일부를 오프셋 영역으로 하여 스트림 데이터의 실체 선두에 부가한다. 그리고, 이 오프셋 영역+스트림 데이터의 실체가, 신규 스트림 데이터의 파일로서 관리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실제로 디스크 상에서 소거되게 되는 데이터 사이즈와, 사용자측으로부터 디스크 상에서 소거한 것처럼 보이는 데이터 사이즈 사이에 생기는 차분이 해소된다.
또한,본 발명에서는, 트랙 소거 정보(Erasse Flag)를 규정하고, 이 트랙 소거 정보 상태를 봄으로써, 1 개의 스트림 데이터의 파일에서, 트랙 소거 편집이 실행된 데이터 부분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이 데이터 부분의 소거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스트림 데이터의 파일 일부라도, 불필요하게 되는 데이터 부분을 적절히 디스크 상으로부터 소거하여, 디스크의 빈 용량을 효율적으로 얻어 갈 수 있다.
또, 트랙 관리 정보에 의해 트랙 단위로 스트림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최소 데이터 단위(컨텐츠의 데이터 관리 단위)의 범위 내에서, 암호 블록을 체인화하는 범위가 수용되게 하여 암호화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암호화된 스트림 데이터의 파일을 트랙 분할한 데이터 부분을 소거할 때에도, 예를 들면, IV 등의 암호화에 필요하게 되는 정보를 보존, 대피시켜 둘 필요가 없어져, 파일 시스템 재기록을 위한 처리 등의 부담을 경감하여, 디스크 용량의 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으로서는, 먼저, 파일 시스템에 의한 파일 관리 하에서, 데이터 파일에 의해 트랙 관리를 실행한다고 하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처리 부담의 경감 효과 등을 얻고 있으며, 또한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보다 효율적인 관리가 실행되게 되는 것이다.

Claims (8)

  1. 소정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스트림 데이터를 파일 시스템에 따른 파일 단위로 관리하는 제1 데이터 관리 순서와,
    상기 파일 단위의 스트림 데이터 범위 내에서의 데이터 부분을 트랙으로 하여 상기 트랙마다 대응하는 정보로서, 상기 파일 단위의 스트림 데이터와의 대응을 나타내는 정보 요소와, 대응하는 상기 파일 단위의 스트림 데이터에 있어서의 그 트랙의 데이터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 요소를 가지고 형성되는 트랙 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트랙 관리용 데이터 파일에 따라, 트랙 단위로서의 관리를 실행하는 제2 데이터 관리 순서를 실행하며,
    상기 파일 단위의 스트림 데이터를 분할하여 복수 트랙을 형성하는 트랙 분할, 또는 트랙을 소거하는 트랙 소거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데이터 관리 순서가 상기 트랙 분할 또는 트랙 소거 양태에 따라, 상기 트랙 관리용 데이터 파일에 있어서의 트랙 관리 정보의 내용에 대하여 갱신 처리를 실행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편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관리 순서는 1 파일로서의 스트림 데이터에 대하여, 선두에 오프셋(offset) 영역을 형성하고, 이 오프셋 영역에 계속해서, 스트림 데이터의 실체를 배치하도록 하여 관리 가능하게 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스트림 데이터에 있어서의 트랙 단위의 데이터 부분을 상기 파일 시스템의 재기록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 상으로부터 소거하는, 상기 매체 상 소거를 실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매체 상 소거 대상이 된 트랙 단위의 데이터 부분에 있어서의 종단(終端) 위치를 포함하는, 파일 시스템의 데이터 관리 단위분의 데이터 부분에, 상기 매체 상 소거 대상이 된 트랙 단위 데이터 부분의 또한 일부 데이터가 남는 상태로 된 경우에는, 이 남은 상기 일부 데이터를 상기 오프셋 영역으로서 관리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편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관리 순서는 1 파일로서의 스트림 데이터를 형성하는 트랙으로서의 데이터 부분 중 적어도 어느 1 개에 대하여, 상기 트랙 소거에 의한 소거가 실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트랙 소거 정보를 생성하여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트랙 소거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트랙 소거 가능한 데이터 부분을 가지는 스트림 데이터를 판정하는 판정 순서와,
    상기 스트림 데이터 판정 순서의 판정 결과에 따라, 소거해야 할 트랙으로서의 데이터 부분을 결정하고, 상기 제1 데이터 관리 순서에 의해, 이 결정된 트랙으로서의 데이터 부분이 트랙 소거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순서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편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해야 할 데이터에 대하여, 암호 블록을 체인화하여 암호화를 실시하는 암호화 처리 순서를 추가로 실행하며,
    상기 암호화 처리 순서는 상기 트랙 관리 정보에 의해 트랙 단위로 상기 스트림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최소 데이터 단위의 범위 내에서, 상기 암호 블록을 체인화하는 범위가 수납되도록 하여 암호화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편집 방법.
  5. 소정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스트림 데이터를 파일 시스템에 따른 파일 단위로 관리하는 제1 데이터 관리 수단과,
    상기 파일 단위의 스트림 데이터 범위 내에서의 데이터 부분을 트랙으로 하여 상기 트랙마다 대응하는 정보로서, 상기 파일 단위의 스트림 데이터와의 대응을 나타내는 정보 요소와, 대응하는 상기 파일 단위의 스트림 데이터에 있어서의 그 트랙의 데이터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 요소를 가지고 형성되는 트랙 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트랙 관리용 데이터 파일에 따라, 트랙 단위로서의 관리를 실행하는 제2 데이터 관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파일 단위의 스트림 데이터를 분할하여 복수 트랙을 형성하는 트랙 분할, 또는 트랙을 소거하는 트랙 소거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데이터 관리 수단이 상기 트랙 분할 또는 트랙 소거 양태에 따라, 상기 트랙 관리용 데이터 파일에 있어서의 트랙 관리 정보의 내용에 대하여 갱신 처리를 실행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편집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관리 수단은 1 파일로서의 스트림 데이터에 대하여, 선두에 오프셋 영역을 형성하고, 이 오프셋 영역에 계속해서, 스트림 데이터의 실체를 배치하도록 하여 관리 가능하게 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스트림 데이터에 있어서의 트랙 단위의 데이터 부분을 상기 파일 시스템의 재기록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 상으로부터 소거하는, 상기 매체 상 소거를 실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매체 상 소거 대상이 된 트랙 단위의 데이터 부분에 있어서의 종단 위치를 포함하는, 파일 시스템의 데이터 관리 단위분의 데이터 부분에, 상기 매체 상 소거 대상이 된 트랙 단위 데이터 부분의 또한 일부 데이터가 남는 상태로 된 경우에는, 이 남은 상기 일부 데이터를 상기 오프셋 영역으로서 관리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편집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관리 수단은 1 파일로서의 스트림 데이터를 형성하는 트랙으로서의 데이터 부분 중 적어도 어느 1 개에 대하여, 상기 트랙 소거에 의한 소거가 실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트랙 소거 정보를 생성하여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트랙 소거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트랙 소거 가능한 데이터 부분을 가지는 스트림 데이터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스트림 데이터 판정 수단의 판정 결과에 따라, 소거해야 할 트랙으로서의 데이터 부분을 결정하고, 상기 제1 데이터 관리 수단에 의해, 이 결정된 트랙으로서의 데이터 부분이 트랙 소거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편집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해야 할 데이터에 대하여, 암호 블록을 체인화하여 암호화를 실시하는 암호화 처리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암호화 처리 수단은 상기 트랙 관리 정보에 의해 트랙 단위로 상기 스트림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최소 데이터 단위의 범위 내에서, 상기 암호 블록을 체인화하는 범위가 수납되도록 하여 암호화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편집 장치.
KR1020047011986A 2002-12-09 2003-12-04 데이터 편집 방법 및 데이터 편집 장치 KR200500835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57159A JP4007177B2 (ja) 2002-12-09 2002-12-09 データ編集方法、データ編集装置
JPJP-P-2002-00357159 2002-12-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3549A true KR20050083549A (ko) 2005-08-26

Family

ID=32500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1986A KR20050083549A (ko) 2002-12-09 2003-12-04 데이터 편집 방법 및 데이터 편집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74350B2 (ko)
EP (1) EP1473728A4 (ko)
JP (1) JP4007177B2 (ko)
KR (1) KR20050083549A (ko)
CN (1) CN1692441A (ko)
WO (1) WO20040538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62033A1 (en) * 2002-03-29 2005-11-24 Kazuhiko Yamashita Data recording apparatus, data recording method,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KR101242040B1 (ko) * 2006-06-26 2013-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포터블 기기의 재생 목록 자동 생성 방법 및 장치
JP4259588B2 (ja) * 2007-03-30 2009-04-3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4404130B2 (ja) 2007-10-22 2010-01-2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端末装置、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4424410B2 (ja) 2007-11-07 2010-03-0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
KR100877894B1 (ko) * 2007-11-14 2009-01-14 주식회사 한단정보통신 셋톱박스에서의 디지털 동영상 파일 편집방법
GB201515382D0 (en) * 2015-08-28 2015-10-14 Bighand Ltd Digital dictation workflow
CN112015927B (zh) * 2020-09-29 2023-08-15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多媒体文件编辑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5969A (en) * 1986-05-15 1988-10-04 Aquidneck Systems International, Inc. Optical disk storage format, method and apparatus for emulating a magnetic tape drive
JP2979100B2 (ja) * 1991-03-13 1999-11-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デジタルレコーダ
JPH06236313A (ja) * 1993-02-09 1994-08-23 Teac Corp 音声信号記録再生装置
EP0673034B1 (en) * 1994-03-19 2003-07-16 Sony Corporation Optical disk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then playing information back from that disk
US5574905A (en) * 1994-05-26 1996-11-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media editing and data recovery
JP3557721B2 (ja) * 1995-05-11 2004-08-25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
US5844911A (en) * 1996-12-12 1998-12-01 Cirrus Logic, Inc. Disc storage system with spare sectors dispersed at a regular interval around a data track to reduced access latency
JPH10301818A (ja) * 1997-04-28 1998-11-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ァイルシステム及びその管理方法
US6816666B1 (en) * 1998-02-03 2004-11-09 Sanyo Electric Co., Ltd. Information recorder, recording method, and recording media
US6278678B1 (en) * 1999-02-12 2001-08-21 Sony Corporation Editing apparatus, edit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4406988B2 (ja) * 1999-03-29 2010-02-03 ソニー株式会社 不揮発性記録媒体、記録方法、記録装置
MY122279A (en) * 1999-03-03 2006-04-29 Sony Corp Nonvolatile memory and nonvolatile memory reproducing apparatus
JP2000268539A (ja) 1999-03-12 2000-09-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可変長圧縮音声データの記録編集方法
TW529267B (en) * 1999-03-15 2003-04-21 Sony Corp Dat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mutual identification between apparatuses
JP4288751B2 (ja) * 1999-05-25 2009-07-01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媒体、データ処理装置
JP4214665B2 (ja) * 2000-07-25 2009-01-28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
JP2002124022A (ja) * 2000-10-18 2002-04-26 Yamaha Corp オーディオデータ記録再生装置
JP4304861B2 (ja) 2000-12-28 2009-07-29 三菱電機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
JP3797104B2 (ja) * 2000-12-28 2006-07-12 ヤマハ株式会社 ディジタルオーディオ信号録音装置
JP2002216419A (ja) * 2001-01-19 2002-08-02 Sony Corp ダビング装置
JP3629216B2 (ja) * 2001-03-08 2005-03-16 株式会社東芝 デフラグメンテーション機能を有するディスク記憶システム、及び同システムにおけるデフラグメンテーション方法
JP2002278996A (ja) * 2001-03-22 2002-09-27 Sony Corp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3861625B2 (ja) * 2001-06-13 2006-12-20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転送システム、データ転送装置、記録装置、データ転送方法
AU2003201837A1 (en) * 2002-04-01 2003-10-23 Sony Corporation Storage medium and storage medium record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192685A (ja) 2004-07-08
CN1692441A (zh) 2005-11-02
EP1473728A4 (en) 2008-04-02
EP1473728A1 (en) 2004-11-03
US20050091442A1 (en) 2005-04-28
WO2004053876A1 (ja) 2004-06-24
JP4007177B2 (ja) 2007-11-14
US7174350B2 (en) 2007-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79697A (ko) 기록 매체 및 기록 매체의 기록 방법
KR20030079708A (ko) 기록 방법, 및 저장 매체 구동 장치
JP3855862B2 (ja) 編集方法および装置
US7203147B2 (en) Storage medium initialization method,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JP4007177B2 (ja) データ編集方法、データ編集装置
KR20030079724A (ko) 기록 매체의 데이터 기록 방법
JP2003100018A (ja) 記録媒体、記録装置、再生装置、記録方法、再生方法
KR20030079723A (ko) 재생 방법, 재생 장치, 및 데이터 액세스 방법
KR20030079718A (ko) 재생 방법, 재생 장치, 기록 방법, 및 기록 장치
US7286446B2 (en) Track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racks on a storage medium
JP3855863B2 (ja) 再生方法および装置、記録方法および装置
US7478249B2 (en)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editing method apparatus
US7366744B2 (en) File management device and file management method
AU2003201840A1 (en) Reproducing method, reproducing apparatus, recording method,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management table
KR20030079696A (ko) 기록 매체의 초기화 및 해제 방법
US7110328B2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information to and from a magneto-optical storage medium
JP2005196882A (ja) ディスク状記録媒体、データ記録装置及びデータ記録方法、並びにデータ再生装置及びデータ再生方法
JP2005196850A (ja) データ記録再生装置及びデータ記録再生方法
JP2005276241A (ja) データ記録再生装置及びデータ記録再生方法
JP2005196881A (ja) データ記録方法及びデータ記録装置、並びに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