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6972A - 물품의 품질 관리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산소 검지제 - Google Patents

물품의 품질 관리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산소 검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6972A
KR20050096972A KR1020057014367A KR20057014367A KR20050096972A KR 20050096972 A KR20050096972 A KR 20050096972A KR 1020057014367 A KR1020057014367 A KR 1020057014367A KR 20057014367 A KR20057014367 A KR 20057014367A KR 20050096972 A KR20050096972 A KR 20050096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detecting agent
oxygen detecting
article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4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6369B1 (ko
Inventor
류이치 코다마
미노루 타무라
카즈히꼬 시노하라
히로시 엔도
토시타까 와다
시게루 다나까
Original Assignee
파우더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우더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파우더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50096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6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6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63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 G01N31/22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 G01N31/223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for investigating presence of specific gases or aerosols
    • G01N31/225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for investigating presence of specific gases or aerosols for oxygen, e.g. including dissolved oxyge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2Foo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ackag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Means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Abstract

물품과, 물품의 종류, 품질 관리 조건에 대응한 소정의 감도를 가지는 산소 검지제를 세트로 하여 두고, 물품의 종류, 품질 관리 조건에 대응한 소정의 기간의 경과에 따라, 이 산소 검지제에 침입하는 산소 농도를 상기 산소 검지제가 검지하여 변색하는 것을 이용하여 물품의 품질 관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품질 관리 방법 및, 산소 검지제 본체와, 상기 본체를 밀봉피복하고, 품질 관리해야할 물품의 종류, 품질 관리 조건에 따른 소정의 산소 투과율 및/또는 탄산 가스 투과율을 가지는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 검지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물품의 품질 관리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산소 검지제{Quality control method for article and oxygen detecting agent for use therein}
본 발명은, 가스 치환 포장 식품 등의 식품의 선도 관리 방법에 바람직하게 적용 가능한 물품의 품질 관리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산소 검지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식품으로 대표되는 물품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검지제를 부착하여 두고, 식품 등을 슈퍼마켓의 진열 선반 등에 진열한 후, 식품 등의 종류에 대응하여 소정의 품질유지기간의 경과 등에 따라 검지제의 색상이 변화함에 따라, 소비자와 식품 취급자 등이 매우 용이하게 식품의 선도를 판정할 수 있어, 상품 선택, 식별 등의 기준으로 삼을 수 있는 식품의 선도 관리 방법으로 대표되는 물품의 품질 관리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산소 검지제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산소 검지제는, 식품 분야, 인쇄 잉크 분야, 전기·기계·기구분야, 의약품·의료용품 분야 등에서, 포장 용기 내의 각종 물품 예를 들어, 식품, 잉크, 전기·기계·기구, 의약품·의료용품 등의 품질 유지 판정이나 품질 관리 등을 위해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식품분야에서는, 산소 검지제는, 주로 장기 보존되는 식품을 대상으로 하여, 식품에 함유된 유지분, 비타민류의 산화에 의한 변패(變敗)방지, 충해 발생방지, 색상이나 광택의 변퇴(變退)방지, 곰팡이·세균의 증식 방지 등을 위해 식품이 수납된 가스 불투과성의 밀폐 포장 봉지 내에, 오직 탈산소제(산소흡수제)와 함께 동봉되어 포장 봉지 안은 장기간 실질상 산소가 없는 상태로 유지되고, 식품의 종류 등에 관계없이, 외부로부터 포장 봉지 내에 침입하는 소정량의 산소를 감지하여, 일률적으로 산소 검지제는 변색하도록 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식품의 종류 등에 따른 서로 다른 조건하에서 변색하는 산소 검지제는 존재하지 않았다.
즉, 종래에는, 포장 봉지 내에 식품과 탈산소제와 산소 검지제를 동봉하여 두고, 식품의 장기 보존 기간의 경과와 함께, 밀봉 씰링부, 포장 봉지에 생긴 핀 홀 등을 통하여, 포장 봉지 내로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산소를 탈산소제에 흡착시켜 혹은 탈산소제와 반응시켜 포장 봉지 내의 산소를 저감·제거시킴과 동시에, 탈산소제의 성능 저하 등에 의해, (탈산소제에 흡착되지 않고, 또는 탈산소제와 반응하지 않고,) 포장 봉지 내에 잔존하는 산소량을 산소 검지제의 변색 유무를 확인함으로써, 포장되어 있는 식품의 선도의 좋고 나쁨을 시각적으로 판정하는 기준으로 이용되어 왔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2002-30834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0-34223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0-03942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11-27688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11-190729호 공보,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5-85623호 공보를 참조).
그러나 시장에 유통되는 식품의 종류는 다종다양하며, 게다가, 각 식품의 유통 경로나 생산으로부터 소비자가 섭취하기까지의 평균 소요 일수도 매우 다양하고, 그동안의 식품의 보존·수송 혹은 진열 시의 온도(품온(品溫)), 슈퍼마켓 등의 소매 단계에서의 식품의 진열 형태도 다양하다. 따라서, 모든 식품에 탈산소제나 산소 검지제가 동봉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반찬은, 제조 후, 실온(15 ~ 25℃)에서 2 ~ 3일간 정도의 단기간 슈퍼마켓 등의 식품 진열 선반에 진열되어, 그 수일 내에 수요자에게 구입되어 소비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단기간에 소비되는 것을 전제로 하여 판매되고 있는 식품에는, 탈산소제나 산소 검지제가 동봉되는 경우가 없다.
또한, 식육은, 필요에 따라 탈산소제 및 산소 검지제가 동봉되며, 품질 열화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온도(예: -40℃ ~ -18℃ 정도)에서 장기간 동결 보존 혹은 상기 온도에서 냉동 수송 등이 된 후, 수백 그램 ~ 수 킬로그램 정도의 소량씩 작게 나뉘어 팩킹되고(혹은 식육의 해체 포장 과정에서 미리 작게 나뉘어 팩킹되고), 5 ~ 6℃ 정도의 온도에서, 3 ~ 4일간 정도 슈퍼마켓 등의 식품 진열 선반(고)에 진열되어, 선도가 양호한 수일 내에 수용자에게 구입되어 소비되는 경우가 많다. 식육이 이와 같이 슈퍼마켓의 식품 진열 선반에 진열되는 단계에서는, 식육은, 단기간 내에 소비되는 것을 전제로 하여 판매되고 있기 때문인지, 탈산소제나 산소 검지제가 동봉되는 경우가 없다.
이와 같이 진열 선반 등에 진열된 식품 등의 상품을 소비자가 구입하는 경우, 많은 소비자는 가격이나 식품의 품질에 근거하여 상품을 선택하는데, 식품의 품질은 그 식품의 외관 외에 각 상품에 부착된 상품의 제조 연월일, 품질유지기간의 날짜 등의 표기에 근거하여 파악하여, 이들 데이터를 소비자는 상품 선택의 판단기준으로 삼고 있다.
또한, 소비자는 상품을 구입하여, 자택 냉장고 등에 상품을 보관하고, 그 상품의 품질유지기간 내에 섭취하는 경우에도, 보관된 식품의 외관이나 제조 연월일 등에 근거하여, 기한이 임박한 것부터 순차적으로 소비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소매점의 상품관리자·종업원 등은 소비자와 마찬가지로, 식품의 외관 외에, 각 식품에 부착된 상품의 제조 연월일, 품질유지기간의 날짜 등을 일일이 판독하여 상품 교환·폐기 등의 판단기준으로 삼고 있다.
이와 같이 식품을 관리하는 경우, 소비자나 소매점의 종업원 등에게 있어서는 각 상품의 품질을 확인하기 위해 일일이 그 상품을 집어들고서 작은 문자나 숫자로 각인된 제조 연월일 등을 살펴보는 것은 번거로운 일이며, 만일 라벨의 색채 변화 등으로 시각적으로 더욱 간단히 그 상품이 아직 품질유지기간 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면 상품 선택의 수고를 덜 수 있어 편리하다. 특히, 소비자에게 있어서는 만일 라벨의 색채 변화 등으로 시각적으로 간단히 그 상품이 품질유지기간 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면, 상품 구입 시에는 물론 상품 구입 후에 자택의 냉장고 등에서 보관하고, 유통기한이 임박한 오래된 식품을 남김없이 전부 쓸 수 있도록 최적의 식단을 짜는 데 있어서도 편리하다.
그러나 종래에는, 과자류 등 장기 보존 관리를 전제로 하는 상품의 경우에는, 식품 포장 용기 내에 탈산소제와 산소 검지제를 동봉하는 경우는 있어도, 특히, 제조·가공·조리 등이 된 후, 소비자에게 단기간 내에 소비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시장에 유통되는 식품, 예를 들어, 식육, 어육(魚肉), 반찬, 신선 어패류, 신선 야채, 과일, 드라이 푸르츠, 전통과자, 양과자 등에 대해서는 간편한 선도 관리 방법은 없었다.
또한, 상기 식품 이외의 상품, 예를 들어, 인쇄 잉크 분야, 전기·기계·기구분야, 의약품·의료용품 분야 등에서도, 간편한 품질 관리에 유효하며, 특히 수일 ~ 수개월이란 단기간의 품질 관리에 유효한 품질 유지 판정이나 품질 관리 등을 위한 간편한 방법은 없었다.
한편, 예를 들어, 상기 일본 특허 공개 평11-190729호 공보에는, 비통기성에 비투습성인 테이프상 기재에 산소 검지 조성물이 도포, 인쇄 또는 함침에 의해 첨착된 테이프상 산소 검지제(1)와, (1)보다 폭이 넓고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하고 편면에 점착층을 가지는 플라스틱제 편면 점착 테이프(2)로 이루어지며, 테이프상 산소 검지제(1)의 산소 검지 조성품 첨착면 전체가 편면 점착 테이프(2)에 의해 실질적으로 공극 없이 점착되어 있는 테이프상 점착용 산소 검지제가 개시되며, 상기 산소 검지제에 따르면, 포장 용기 내의 산소 농도 변화에 대응하여 산소 검지제가 신속히 변색되어, 산소 농도의 감소를 시간 지연을 수반하는 일 없이 눈으로 쉽게 검지할 수 있어, 탈산소 포장 식품 등의 품질 관리에 이용가능하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는, 품질 관리해야 할 식품 등의 물품의 종류, 그 보존 온도나 포장 형태(예:진공 혹은 가스 치환 밀봉 포장, 통기성 팩 포장), 품질유지기간 등의 품질 관리 조건이 다양한 경우에, 이들 식품의 종류, 품질 관리 조건에 대응하여, 어떻게 하면 식품 등의 품질을 양호하고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을까 하는 점에 대해서는 시사조차 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수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식품 등의 물품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검지제를 부착하여 두고, 예를 들어, 식품을 슈퍼마켓의 진열 선반 등에 진열한 후, 식품의 종류나 품질 관리 조건에 대응하여 소정의 품질유지기간의 경과 등에 따라 검지제의 색이 변화됨으로써, 소비자나 식품 취급자 등이 매우 용이하게 식품의 선도를 판정할 수 있어, 상품 선택, 식별 등의 기준으로 삼을 수 있는 식품의 선도 관리로 대표되는 물품의 품질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품 등의 물품(상품)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검지제를 점착하여 두면, 예를 들어, 식품을 슈퍼마켓의 진열 선반 등에 진열한 후, 식품의 종류에 대응하여 소정의 품질유지기간의 경과 등에 따라 검지제의 색이 변화되어, 소비자나 식품 취급자 등이 매우 용이하게 식품의 선도를 판정할 수 있어, 상품 선택, 식별 등의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식품의 선도 관리로 대표되는 물품의 품질 관리 방법에 바람직하게 사용가능한, 신규의 산소 검지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의 품질 관리 방법은, 물품과, 물품의 종류, 품질 관리 조건에 대응한 소정의 감도를 가지는 산소 검지제를 세트하여 두고, 물품의 종류, 품질 관리 조건에 대응한 소정의 (품질 유지)기간의 경과에 따라, 이 산소 검지제에 침입하는 산소 농도를 상기 산소 검지제가 검지하여 변색하는 것을 이용하여, 물품의 품질 관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물품과, 물품의 종류, 품질 관리 조건에 대응한 소정의 감도를 가지는 산소 검지제의 세트는, 탈산소제가 수용되어 있지 않은, 가스 치환된 하나의 기밀성 포장 봉지 내에 수용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양태에서는, 포장 봉지 내에 물품과, 물품의 종류, 품질 관리 조건에 대응한 소정의 감도를 가지는 산소 검지제가 수용되고, 탈산소제가 수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포장 봉지 내의 가스 치환을 행한 후, 포장 봉지를 밀봉하여 두고, 물품의 종류, 품질 관리 조건에 대응한 소정의 기간 경과와 함께, 포장 봉지 내에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산소의 농도를, 상기 산소 검지제가 검지하여 변색함으로써, 물품의 품질 관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물품이 식품이고, 관리해야 할 물품의 품질은 식품의 선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산소 검지제는, 산소 검지제 본체와, 상기 본체를 밀봉피복하여 식품 등의 물품의 종류, 온도, 분위기 가스 등의 품질 관리 조건에 따라 소정의 산소 투과율 및/또는 탄산 가스 투과율을 가지는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산소 검지제에는, 상기 산소 검지제와 일체 혹은 별체로 구성되어 적어도, 산소 검지제의 산화 전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색과, 품질유지기간 말기 혹은 냉동보존을 개시해야 하는 상태는 나타내는 색과, 필요에 따라 품질유지기간 내의 상태를 나타내는 색이 각각 대응하는 표기와 함께 나타내어진 색 견본이 세트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산소 검지제에 있어서는, 상기 산소 검지제 본체가, 다공질 무기계 산화물에 산소 검지 조성물 용액을 함침시키고, 필요에 따라 건조하여 얻은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가스 치환은, 포장 봉지 내의 공기를 추출하고, 불활성 가스를 도입함으로써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산소 검지제는, 산화 환원 색소의 색 변화에 따라 산소를 검지하여 표시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식품은, 반찬, 생과자, 양과자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식품은, 식육, 어육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의 품질 관리 방법에 따르면, 물품, 예를 들어 식품을 슈퍼마켓의 진열 선반 등에 진열한 후, 식품의 종류에 대응하여 소정의 품질유지기간의 경과 등에 따라 검지제의 색이 변화하는 것에 의해, 소비자나 식품 취급자 등이 매우 용이하게 식품의 선도를 판단할 수 있어, 상품 선택, 식별 등의 기준으로 삼을 수 있는, 식품의 선도 관리 방법으로 대표되는 물품의 품질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식품의 선도 관리 방법 등, 물품의 품질 관리 방법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산소 검지제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물품의 품질 관리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산소 검지제에 대하여, 특히 바람직한 양태인 식품의 선도 관리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산소 검지제를 예시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의 선도 관리 방법(제 1 발명)에서는, 식품과, 식품의 종류, 예를 들어, (ⅰ) 반찬, 생과자, 양과자 등인지, (ⅱ) 식육, 어육 등인지 등에 따라, 식품의 품질 관리 조건 예를 들어, 보존 관리 시의 그 식품의 품온(보존 온도), 식품의 포장 형태(예: 진공 혹은 가스 치환 밀봉 포장, 통기성 있는 팩 포장), 식품의 품질유지기간 등의 품질 관리 조건에 대응한 소정의 감도를 가지는 산소 검지제를 세트하여 두고, 식품의 종류, 품질 관리 조건에 대응한 소정의 기간, 예를 들어, 품질유지기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산소 검지제에 들어오는(침입하는) 산소 농도를 산소 검지제가 검지하여 변색함으로써 식품의 선도 관리를 행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품의 제 2의 선도 관리 방법(제 2 발명)에서는, 식품과, 식품의 종류, 선도 등의 품질 관리 조건에 대응한 소정의 감도를 가지는 산소 검지제의 세트는, 탈산소제가 수용되어 있지 않은 가스 치환된 하나의 포장 봉지 내에 수용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양태에서는, 포장 봉지 내에 식품과, 식품의 종류, 선도 관리 조건에 대응한 소정의 감도를 가지는 산소 검지제가 수용되고, 탈산소제가 수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포장 봉지 내의 가스 치환을 행한 후, 포장 봉지를 밀봉하여 두고, 식품의 종류, 선도 관리 조건 등에 대응한 소정 기관의 경과와 함께, 식품 포장 봉지 내로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산소나 탄산가스, 특히 산소의 농도를 상기 산소 검지제로 검지하여 상기 산소 검지제가 변색함으로써 식품의 선도관리를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 1 ~ 제 2의 발명에 따르면, 선도 관리해야할 식품이 슈퍼마켓의 식품 진열 선반(고) 등, 비교적 단기간에 상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조건하에 놓여진 후, 소정의 품질유지기간의 경과 등에 따라, 산소 검지제가 변색되어 품질유지기간의 경과 등을 표시하므로, 상품의 수용자·취급자 등은, 간단히 품질을 파악할 수 있으며, 게다가 수치나 문자를 판독하는 경우와 달리, 잘못 읽을 우려도 없어 품질 오인의 우려가 매우 적다.
<산소 검지제>
상기 제 1 ~ 제 2 중 어느 식품의 선도 관리 방법에 있어서도 사용되는 산소 검지제로서는, 산소 투과량(율) 및/또는 탄산 가스 투과율에 대응하여, 바람직하게는 산소 투과율에 대응하여 변색하는 산소 검지제 본체와, 상기 본체를 밀봉피복하는 필름(산소 투과율 제어 필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필름은, 식품 등의 품질 관리해야 할 물품의 종류, 보존 온도나 습도, 치환 가스의 종류나 가스 치환율, 식품의 바람직한 선도 등의 품질 관리 조건에 따라 소정의 산소 투과율 및/또는 탄산 가스 투과율, 특히 산소 투과율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산소 검지제의 형상이 시트상, 테이프상 등인 경우, 포장 봉지 내면 혹은 바깥면(표면) 등, 원하는 상대면에 용이하게 피착·고정 가능하도록, 산소 검지제의 어느 일방면에는, 접착제층이나 양면 테이프가 점착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정제상인 경우에는, 투명한 통기성의 플라스틱 봉지 등에 수용되어 이용해도 된다.
한편, 상기 산소 검지제 본체, 필름(산소 투과율 제어 필름)으로서는, 각각 종래부터 공지인 것을, 물품의 종류나 품질 관리 조건에 따라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소 검지제 본체로서는, 식품 등의 포장 용기 내나 포장 용기 외의 산소 농도나 산소의 유무를 산소 투과율 제어 필름을 통하여 투과·침투하는 산소농도나 산소의 유무를, 검지할 수 있으며, 특히, 가스 치환 포장, 탈산소 포장 등을 했을 때에 가스 치환되고, 산소가 충분히 제거되어 있는 것, 혹은 한계량의 산소 농도인 것 등을 검지할 수 있고, 색의 변화, 즉 색상, 색채 혹은 명도의 변화에 의해, 산소 농도나 산소의 유무 등을 표시하는 것이 사용된다.
상기 산소 검지제에는, 상기 산소 검지제와 일체 혹은 별체로 구성되고, 적어도, 산소 검지제의 산화 전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색과, 품질유지기간 말기 혹은 냉동 보존을 개시해야 할 상태를 나타내는 색과, 필요에 따라 품질유지기간 내의 상태를 나타내는 색과 함께, 상기 산소 검지제의 변색(예: 메틸렌블루의 청색)이나 미변색(예:메틸렌블루의 분홍)에 각각 대응하는 각 식품의 상태를 설명하는 표기, 나아가서는, 이 산소 검지제를 이용하여 품질 관리해야 할 식품의 종류, 혹은 품질 관리 조건(당해 식품의 보존 온도, 보존 시간 혹은 진공 밀봉, 가스 치환 포장 등의 포장 조건 등)과 함께 제시된 색 견본이 세트되어 있는 것이, 이 산소 검지제의 오용을 방지하고, 품질 관리의 적정화를 도모하는 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산소 검지제 본체로서는, 정제상의 성형물, 종이, 실, 탈지면, 다공질 수지, 다공질 무기물 혹은 다공질 무기계 산화물 등의 다공질 부재에 산소 검지 조성물 용액을 함침시켜, 필요에 따라 건조 등을 행한 것, 종이 또는 필름의 표면에 산소 검지 조성물을 도포하여 필요에 따라 건조시킨 것, 또는 상기 조성물을 인쇄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식육 등의 품질 관리용 산소 검지제와 같이 수일간 밝은 진열 선반에 진열되는, 내광성이 필요한 용도에는, 산소 검지제가 변색 후, 그 색조가 보다 양호하게 유지되는 점에서, 후술하는 다공질 무기계 산화물 등의 다공질 부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산소 검지 조성물로서는, 종래부터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소위 산화환원형의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산화환원형 산소 검지제로서는, 대표적으로는, 메틸렌블루 등의 특정 색소와 상기 색소를 환원하기 위한 환원제로서의 글루코오스 등의 조합을 들 수 있다(일본 공개 특허 2000-39429호 공보, 일본 공개 특허 소53-120493호 공보, 일본 공개 특허 소56-60349호 공보 등 참조). 이것들은 산소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메틸렌블루 자체가 산화되어 청색을 띠나, 산소 부재하에서는 상기 청색을 띠고 있던 색소가 글루코오스 등의 환원제에 의해 환원되어(색소를 산화한 산소를 글루코오스가 빼앗아 글루코오스 자체는 산화된다), 무색이 되는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통상, 메틸렌블루가 무색(혹은 옅은 분홍색)이 된 경우, 이것이 명확히 강조되어 알 수 있도록 색소(예: 붉은 색의 식용색소 등의 적색 색소)가 배합되어 있다.
다공질 부재 중에서, 다공질 무기물로서는, 활성탄, 목탄, 골탄(骨炭)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다공질 무기계 산화물로서는, 규소(Si),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칼슘(Ca), 아연(Zn), 바륨(Ba), 칼륨(K) 등의 산화물이나 이들 산화물의 혼합물, 이들 원소를 가지는 복합 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공질 무기계 산화물로서는, 실리카겔, 실리카, 제오라이트, 몰데나이트, 벤트나이트, 몬모릴로나이트, (활성)알루미나, 마그네시아, 티타니아, 활성백토, 클레이, 슬래그, 보크사이트, 다공질 글라스 비즈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다공질 부재 중에서는, 다공질 무기계 산화물이 바람직하고, 더욱, 실리카겔, 알루미나, 제오라이트, 몰데나이트가 얻을 수 있는 산소 검지제의 내광성, 색조 변화의 시인성, 안정성 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들 다공질 부재는, 1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산소 투과율 제어 필름(필름)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로판 등의 투명 필름을 들 수 있다. 이들 필름은, 투명한 한, 연신되어 있어도 되고, 금속 등이 표면에 증착 등 되어 있어도 되며, 이들 필름 등이 임의의 조합으로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하기 (1) ~ (11)에 예시하는 바와 같은 종래의 공지의 다양한 산소 투과율(및/또는 탄산가스 투과율)을 가지는 투명 필름(예:‘식품 포장 편람’ 제 495페이지, 표 2 참조, 사단법인 일본 포장 기술 협회 간행)이 산소 투과율 제어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1): 산소 투과도(산소 투과율)가 2000㎖/㎡·24hrs·atm(온도 30℃ wet)이고, 투습도가 1g/㎡·24hrs(40℃, 90% RH)인 OPP(OPP: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20㎛ 두께)/연신 HDPE(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45㎛ 두께)/LDPE(LDPE: low density Polyethylene, 30㎛ 두께)의 적층 필름,
(2): 산소 투과도가 2000㎖/㎡·24hrs·atm(온도 30℃ wet)이고, 투습도가 6g/㎡·24hrs(40℃, 90% RH)인 OPP(OPP: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20㎛ 두께)/CPP(CPP: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30㎛ 두께)의 적층 필름,
(3): 산소 투과도가 1000㎖/㎡·24hrs·atm(온도 30℃ wet)이고, 투습도가 15g/㎡·24hrs(40℃, 90% RH)인 셀로판(20㎛ 두께)/LDPE(LDPE: low density Polyethylene, 40㎛ 두께)의 적층 필름,
(4): 산소 투과도가 12㎖/㎡·24hrs·atm(온도 30℃ wet)이고, 투습도가 13g/㎡·24hrs(40℃, 90% RH)인 PVDC(PVDC: 염화 비닐리덴, 3㎛ 두께) 코팅 ONylon(O Nylon: 연신 나일론, 18㎛ 두께)/EVA(EVA: 에틸렌/초산 비닐 공중합 수지, 50㎛ 두께)의 적층 필름,
(5): 산소 투과도가 12㎖/㎡·24hrs·atm(온도 30℃ wet)이고, 투습도가 8g/㎡·24hrs(40℃, 90% RH)인 PVDC(PVDC: 염화 비닐리덴, 3㎛ 두께) 코팅 PET(15㎛ 두께)/CPP(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50㎛ 두께)의 적층 필름,
(6): 산소 투과도가 12㎖/㎡·24hrs·atm(온도 30℃ wet)이고, 투습도가 10g/㎡·24hrs(40℃, 90% RH)인 PVDC(염화 비닐리덴, 3㎛ 두께) 코팅 셀로판(23㎛ 두께)/LDPE(저밀도 폴리 에틸렌)의 적층 필름,
(7): 산소 투과도가 12㎖/㎡·24hrs·atm(온도 30℃ wet)이고, 투습도가 5g/㎡·24hrs(40℃, 90% RH)인 PVDC(염화 비닐리덴, 3㎛ 두께) 코팅 OPP(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23㎛ 두께)/LDPE(저밀도 폴리 에틸렌, 40㎛ 두께)의 적층 필름,
(8): 산소 투과도가 10㎖/㎡·24hrs·atm(온도 30℃ wet)이고, 투습도가 1g/㎡·24hrs(40℃, 90% RH)인 PET(12㎛ 두께)/알루미늄 증착 LDPE(저밀도 폴리 에틸렌, 30㎛ 두께)의 적층 필름,
(9): 산소 투과도가 2㎖/㎡·24hrs·atm(온도 30℃ wet)이고, 투습도가 1g/㎡·24hrs(40℃, 90% RH)인 알루미늄 증착 PET(12㎛ 두께)/LDPE(저밀도 폴리 에틸렌, 40㎛ 두께)의 적층 필름,
(10): 산소 투과도가 2㎖/㎡·24hrs·atm(온도 30℃ wet)이고, 투습도가 5g/㎡·24hrs(40℃, 90% RH)인 PVDC(3㎛ 두께) 코팅 연신 PVA(15㎛ 두께)/LDPE(저밀도 폴리 에틸렌, 70㎛ 두께)의 적층 필름,
(11): 산소 투과도가 1.5㎖/㎡·24hrs·atm(온도 30℃ wet)이고, 투습도가 2.5g/㎡·24hrs(40℃, 90% RH)인 PVDC(12㎛ 두께) 코팅 셀로판(32㎛ 두께)/LDPE(저밀도 폴리 에틸렌, 40㎛ 두께)의 적층 필름 등.
이들 적층되어 있어도 되는 필름 중에서, 상기 (4) ~ (11)에 예시한 바와 같은, 산소 투과율(산소 투과도)이 1.0 ~ 100㎖/㎡·24hrs·atm(온도 30℃ wet), 바람직하게는, 1.0 ~ 0.40㎖/㎡·24hrs·atm(온도 30℃ wet),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 15㎖/㎡·24hrs·atm(온도 30℃ wet)의 저산소 투과율의 투명 필름을 이용하면, 후술하는 식육, 어육 팩의, 대기와 직접 접하는 바깥면(팩 바깥면), 혹은 산소 혹은 대기가 거의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는 생육 팩용의 작은 봉지 내면(팩 내면)에 산소 검지제를 부착하여, 저감도 상태에서 식품의 선도 관리 등을 행하는 데 있어서 유효하다.
또한, 이들 필름 중에서, 상기 (1) ~ (3)에 예시한 바와 같은, 특히 산소 투과율이 500 ~ 3000㎖/㎡·24hrs·atm(온도 30℃ wet), 바람직하게는 800 ~ 2500㎖/㎡·24hrs·atm(온도 30℃ wet), 특히 바람직하게는 1500 ~ 2300㎖/㎡·24hrs·atm(온도 30℃ wet)의 고산소 투과율의 투명 필름을 이용하면, 후술하는 반찬이나 반찬이 들어간 가스 치환 도시락(팩)의, 산소 침입이 억제·저지된 기밀성 팩 내측면에 산소 검지제를 부착하여, 고감도 상태에서 그 식품 등의 선도 관리 등을 행하는 데 있어서 유효하다.
한편, 필름의 종류 등은, 식품의 종류, 포장 형태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반찬이나 반찬이 들어간 도시락 등의 식품의 선도 관리)
더욱 구체예를 들어 설명하면, 예를 들어, 반찬이나 반찬이 들어간 도시락 등의 식품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 후, 실온(15 ~ 25℃) ~ ‘실온 - 5℃’의 온도에서 2 ~ 3일 정도의 단기간 슈퍼마켓이나 편의점 등의 식품 진열 선반에 진열되고, 그 수일 내에 수용자에게 구입되어 그 기간 내에 소비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반찬이나 반찬이 들어간 도시락 등의 제조 ~ 소비까지의 프로세스는, 예를 들어, 상온, 상압 하에 식품 제조 공장 등의 조리실 내에서, 반찬, 밥 등을 팩에 담고, 산소 검지제를 동봉하여, 팩 내를 예를 들어, 불활성 가스, 예를 들어 질소 가스(N2)와 탄산가스(CO2)의 혼합가스(예:N2/CO2(혼합체적비) = 1/0.8 ~ 1/1.2)로 가스 치환하고, 가스 치환 직후의 산소 가스 농도가 통상 0.2% 이하, 많게는 0.2 ~ 0.3% 정도로 가스치환된 밀봉 상태로 유통 과정에 출하된다.
한편, 상기 불활성 가스로서는,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종래부터 공지인 질소 가스, 탄산 가스, 아르곤 가스, 헬륨 가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불활성 가스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그리고 상기 식품을 슈퍼마켓의 진열 선반 등에 진열한 후, 식품의 종류에 대응하여 소정의 품질유지기간의 경과 후인, 팩 내의 산소 농도가 예를 들어, 1% 전후가 된 제조 후 2 ~ 3일째에, 팩 내에 동봉(또는 팩 내벽에 부착)되어 있는 산소 검지제의 색이 변화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소비자나 식품 취급자 등이 매우 용이하게 식품의 선도를 판정할 수 있으며, 상품 선택, 식별 등의 기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소 검지제를 구성하고 있는 일부재인 산소 검지제 본체가, 적색 색소를 포함하는 기재에 메틸렌블루를 함침시킨 것인 경우에는, 주위의 산소 농도가 상승하여 0.9 ~ 1.2% 정도(예: 1.0%)가 되면, 색이 적에서 청으로 변화된다.
여기서, 대상 식품이 상기 반찬이나 반찬이 들어간 도시락 등인 경우에는, 산소 검지제 본체를 밀봉피복하는 필름(산소 투과율 제어 필름)으로서는, 산소 투과도(산소 투과율)가, 1000 ~ 3000㎖/㎡·24hrs·atm, 바람직하게는, 1500 ~ 2500㎖/㎡·24hrs·atm인 필름을 채용하면 된다.
이와 같은 산소 투과율 제어 필름으로서는, 수납되는 식품 중의 수분(국물), 식용유, 알코올 등에 대한 내성(불용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OP)/폴리에틸렌(PE)적층 필름, 폴리에스테르(PET)/폴리에틸렌(PE)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산소 투과도를 가지는 산소 투과율 제어 필름으로 상기 산소 검지제 본체를 밀봉피복하면, 예를 들어, 슈퍼마켓에의 반찬 진열 케이스 내 온도인, 상기 상온(예: 15 ~ 25℃ 전후의 온도)하에서, 상기 일수(예: 식품 제조 후 2 ~ 3일)를 경과하면, 산소 검지제 본체의 색이, 적에서 청으로 변화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반찬이나 반찬이 들어간 도시락의 선도(품질유지기간)를 용이하고 확실하게 판정할 수 있다.
상기 반찬이나 반찬이 들어간 도시락과 마찬가지로, 특히 단기간의 상온에 가까운 온도 조건하에서의 선도 관리 가능한 식품으로서는, 그 밖에, 전통과자, 양과자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에, 드라이 푸르츠, 곡류 등도 적절히 조건을 설정하여 상기 선도 관리의 대상으로 할 수 있다.
(식육 등의 식품의 선도 관리)
또한, 대상 식품이, 예를 들어, 식육인 경우에는, 기밀성의 외투(外套)용 포장 봉지 내에, 작게 나뉘어 패킹된 식육과 세트한 상태로 산소 검지제를 동봉하고, 필요에 따라 탈산소제도 이 외장용 포장 봉지 내에 동봉하여, 외투용 포장 봉지 내를, 예를 들어, 탄산가스(CO2)로 가스 치환하고, 가스 치환 직후의 산소 가스 농도가 통상 0.05% 이하, 많게는 0.001 ~ 0.05% 정도로 가스 치환하여 두고, 약 0℃에서, 수십 일간(예: 40일간)의 수송, 보관을 행하는 경우가 있다(양태 A).
또한, 식육은, 기밀성의 외투용 포장 봉지 내에, 작게 나뉘어 패킹된 식육과 세트로 한 상태로 산소 검지제를 동봉하고, 필요에 따라 탈산소제도 이 외장용 포장 봉지 내에 동봉하여, 외투용 포장 봉지 내를 탈기(脫氣)하고, 예를 들어, 품질 열화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온도(예: -40℃ ~ -18℃ 정도)에서, 장기간 동결 보존 혹은 상기 온도에서 냉동수송 등이 되는 경우가 있다(양태 B).
식육은, 이와 같은 다양한 조건 하(양태 A 혹은 양태 B)에서의 수송·보관을 거친 후, 기밀성의 외투용 포장 봉지를 개봉·제거하여, 슈퍼마켓 등의 식품 진열 선반(고)에 배열됨으로써, 상기 소포장 팩과 세트된 상태의 산소 검지제는 직접 대기에 접촉되어 산소 검지제는 주위(대기 중)의 산소를 흡수하기 시작하여, 상기 소정의 일수(예: 2 ~ 10℃ 정도의 온도에서 3 ~ 4일 정도)의 경과에 따라 산소 투과율 제어 필름을 통과·침투하고, 내부(산소 검지제 본체측)에 들어간 산소의 농도가 소정의 수치가 되어 있는 것을 산소 검지제 본체가 검지하여 그 검지제의 색이, 적에서 청으로 변화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생 식육의 선도(품질유지기간)를 용이하고 확실하게 판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산소 검지제 본체를 밀봉피복하는 필름(산소 투과율 제어 필름)으로서는, 산소 투과도(산소 투과율)가, 1 ~ 50㎖/㎡·24hrs·atm, 바람직하게는, 5 ~ 20㎖/㎡·24hrs·atm인 필름을 채용하면 된다.
이와 같은 산소 투과율 제어 필름으로서는,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PET)/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적층 필름/염화비닐코팅 폴리에틸렌 필름(KNY/PE)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산소 투과도를 가지는 필름으로 상기 산소 검지제 본체를 밀봉피복하여 두면, 산소 검지제가 식육의 포장 후, 수송·보존 단계부터 소포장 팩의 외표면에 부착되어, 혹은 통기성의 소포장 팩 내에 동봉되어 있어도, 산소 검지제는 소포장 팩의 식육과 함께, 수송·보존되는 기간 중에는, 다시 외투용 포장 봉지 내에 수용되어 상기 저산소 상태로 수송·보존되어 있기 때문에, 소포장 팩의 생육은 거의 품질이 열화되지 않으므로, 산소 검지제도 그동안은 변색하지 않고 있어, 생육이 신선함을 나타낸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일단, 저산소 상태를 유지하는 외투용 포장 봉지가 개봉되어, 산소 검지제가 대기에 노출되면, 예를 들어 2 ~ 10℃(예: 6℃)에서, 상기 일수(3 ~ 4일)가 경과함에 따라, 대기 중의 소정량의 산소를 흡수하여 산소 검지제 본체의 색을, 적에서 청으로 변화시킨다.
이와 같이 산소 검지제 본체를 피복하고 있는 필름(산소 투과율 제어 필름)의 산소 투과율 및/또는 탄산 가스 투과율, 특히 산소 투과율을, 식품 등의 품질 관리해야 할 물품의 종류나, 온도, 습도, 치환 가스의 종류나 가스 치환율, 선도 등의 품질 관리 조건에 따라 소정의 수치로 조정함으로써, 산소 검지제의 색 변화 조건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식육의 선도(품질유지기간)를 용이하고 확실하게 판정할 수 있다.
상기 식육과 마찬가지로 선도 관리 가능한 식품으로서는, 그 밖에, 새우, 게, 굴, 생선 등의 어패류(합해서 어육(魚肉)이라고도 한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인, 산소 검지제 본체를 밀봉피복하는 필름(산소 투과율 제어 필름)으로서, 산소 투과도(산소 투과율)가, 1000 ~ 3000㎖/㎡·24hrs·atm, 바람직하게는, 1500 ~ 2500㎖/㎡·24hrs·atm인 것을 이용한 반찬, 반찬이 들어간 도시락의 선도 관리의 예, 혹은, 산소 투과율 제어 필름으로서, 산소 투과도(산소 투과율)가, 1 ~ 50㎖/㎡·24hrs·atm, 바람직하게는, 5 ~ 20㎖/㎡·24hrs·atm인 것을 이용한 식육의 선도 관리의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양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하기와 같은 종래부터 공지인 다양한 산소 투과율 및/또는 탄산 가스 투과율을 가지는 필름(예‘식품 포장 편람’ 제 495페이지, 표 2 참조)으로 산소 검지제 본체를 밀봉피복함으로써, 다양한 대상의 품질 관리를 다양한 조건하에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식품의 선도 관리 방법으로 대표되는 본 발명의 물품의 품질 관리 방법에 따르면, 물품 예를 들어 슈퍼마켓의 진열 선반 등에 진열한 후, 그 물품(예: 식품)의 종류, 품질 관리 조건에 대응하여 소정의 품질유지기간의 경과 등에 따라 산소 검지제의 색이 변화함으로써, 소비자나 물품 취급자(예: 식품 취급자) 등이 매우 용이하게 물품(식품)의 선도 등의 품질을 판정할 수 있으며, 상품 선택, 식별 등의 기준으로 삼을 수 있는 물품(식품)의 선도 관리 방법으로 대표되는 물품의 품질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대상이 되는 품질 관리 가능한 물품은, 상기 식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마른 면류, 글루텐, 향신료, 과자 등 산화 열화 등에 의해 맛, 향, 풍미가 저하되는 식품; 담배 등의 산화 열화에 따라 맛이 저하되는 기호품: 의약품, 특히 생균(예:유산균, 백신), 혈액제제나 생약이 함유된 의약품 등 약효 성분의 품질이나 약효가 보존기간, 습도 등에 크게 의존하는 의약품; 산화 열화에 의해 냄새나 색, 미백효과 등을 잃기 쉬운 천연물 유래의 성분 등을 함유하는 유액 그 외의 화장품; 콘택트 렌즈나 그 세정액, 보존액 등, 물품의 품질이나 효능이 보존 기간, 온도, 산화 열화 등에 크게 의존하는 물품; 시계·전자 부품, 정밀기계·기구, 장신구, 미술공예품 등 기능유지나 미관 등의 관점에서 방청 등이 요구되는 부품·제품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의 품질 관리 방법에 따르면, 물품, 예를 들어 식품을 슈퍼마켓의 진열 선반 등에 진열한 후, 식품의 종류에 대응하여 소정의 품질유지기간의 경과 등에 따라 검지제의 색이 변화함으로써, 소비자나 식품 취급자 등이 매우 용이하게 식품의 선도를 판정할 수 있으며, 상품 선택, 식별 등의 기준으로 삼을 수 있는 식품의 선도 관리 방법으로 대표되는 물품의 품질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특히, 식품의 진열 직전에, 식품의 종류나 보존 관리 조건에 대응하여 선택한 특정한 산소 투과율의 산소 검지제를, 가스 치환 등이 되어 산소 가스량이 저감된 그 포장 봉지의 내면(대기와 단절되는 포장 봉지의 내면) 등에 부착하여 두면, 식품 포장 봉지에 부착된 제조 연월일이나 품질유지기간 등을 나타내는 라벨을 체크하지 않아도, 소비자(구매자)나 슈퍼마켓 등의 식품 관리자 등이, 식품의 선도 등을 간단히 파악할 수 있으며, 품질 오인의 우려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식품의 품질 관리 방법 등, 물품의 품질 관리 방법에 바람직하게 사용가능하며, 상기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산소 검지제가 제공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에 근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찬이나 반찬이 들어간 도시락 등의 식품의 선도 관리용 산소 검지제(a)>
(1) 산소 검지제 본체: 기재(담체(擔體))에 산화 환원형 색소인 메틸렌블루 등을 함침·담지(擔持)시킨 것.
(2) 산소 투과율 제어 필름(필름): 산소 투과도(산소 투과율)가 2000㎖/㎡·24hrs·atm인 폴리프로필렌(OP)/폴리에틸렌(PE) 적층 투명 필름.
(3) 산소 검지제의 제법: 환원성 물질인 글루코오스, 알칼리 금속 화합물인 수산화 칼륨, 및 환원성 물질에 의해 환원되는 산화 환원형 색소인 메틸렌블루와, 필요에 따라 비환원성 색소인 적색 식용 색소를 함유하는 수용액을 흡습성의 얇은 시트상 담체에 담지시켜 건조시킨 시트를 상기 투명 필름(산소 투과율 제어 필름) 내에 봉입한다.
(4) 산소 검지제의 치수: 세로 43㎜×가로 30㎜×두께 0.5㎜.
<반찬이나 반찬이 들어간 도시락 등의 식품의 선도 관리용 산소 검지제(a-1)>
상기 <반찬이나 반찬이 들어간 도시락 등의 식품의 선도 관리용 산소 검지제(a)>에 있어서의, 산소 검지제의 제법 (3)의 공정에서, ‘흡습성의 얇은 시트상 담체’를 대신하여 실리카겔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 산소 검지제 (a)와 동일하게 하여 산소 검지제를 제조했다.
즉,
(1) 산소 검지제 본체: 기재인 점을 제외하고, 상기 산소 검지제(a) (1)과 동일.
(2) 산소 투과율 제어 필름(필름): 상기 산소 검지제(a) (2)와 동일.
(3) 산소 검지제의 제법: 환원성 물질인 글루코오스, 알칼리 금속 화합물인 수산화 칼륨, 및 환원성 물질에 의해 환원되는 산화 환원형 색소인 메틸렌블루와, 필요에 따라 비환원성 색소인 적색 식용 색소를 함유하는 수용액을 실리카겔에 담지시켜, 건조시킨 후, 얻어진 과립·분말상물질을 상기 투명 필름(산소 투과율 제어 필름) 내에 봉입한다.
(4) 산소 검지제의 치수: 상기 산소 검지제(a) (4)와 동일.
<식육의 선도 관리용 산소 검지제(b)>
(1) 산소 검지제 본체: 기재에 산화 환원형 색소인 메틸렌블루 등을 함침시킨 것.
(2) 산소 투과율 제어 필름(필름): 산소 투과도(산소 투과율)가, 10㎖/㎡·24hrs·atm인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PET)/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적층 필름.
(3) 산소 검지제의 제법: 상기 산소 검지제(a) (3)과 동일.
(4) 산소 검지제의 치수: 세로 43㎜×가로 30㎜×두께 0.5㎜.
<식육의 선도 관리용 산소 검지제(b-1)>
상기 <식육의 선도 관리용 산소 검지제(b)>에 있어서의, 산소 검지제의 제법 (3)의 공정에서, ‘흡습성의 얇은 시트상 담체’를 대신하여 실리카겔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 산소 검지제 (b)와 동일하게 하여 산소 검지제를 제조했다.
즉,
(1) 산소 검지제 본체: 기재인 점을 제외하고, 상기 산소 검지제(b) (1)과 동일.
(2) 산소 투과율 제어 필름(필름): 상기 산소 검지제(b) (2)와 동일.
(3) 산소 검지제의 제법: 환원성 물질인 글루코오스, 알칼리 금속 화합물인 수산화 칼륨, 및 환원성 물질에 의해 환원되는 산화 환원형 색소인 메틸렌블루와, 필요에 따라 비환원성 색소인 적색 식용 색소를 함유하는 수용액을 실리카겔에 담지시켜, 건조시킨 후, 얻어진 과립·분말상물질을 상기 투명 필름(산소 투과율 제어 필름) 내에 봉입한다.
(4) 산소 검지제의 치수: 상기 산소 검지제(b) (4)와 동일.
[실시예 1]
(반찬이나 반찬이 들어간 도시락 등의 식품의 선도 관리)
반찬이 들어간 도시락(폴리스틸렌 팩, 100㎛ 두께, 시판품)을, 상온(20℃)에서 제조 후, 상기 산소 검지제(a){산소 검지제 본체를 산소 투과율이 2000㎖/㎡·24hrs·atm인 OP/PE 적층 투명 필름으로 밀봉피복한 것}을 팩 내에 수납하고, 팩 내를, 질소 가스(N2)와 탄산가스(CO2)의 혼합가스(예:N2/CO2(혼합 체적비)=1.0/1.0)로 가스 치환함과 동시에, 필름(산소 투과율: 10㎖/㎡·24hrs·atm, 80㎛ 두께, 나일론(R)/폴리에틸렌 적층 필름, 시판품)으로 밀봉피복했다.
팩 내의 가스치환 2시간 후의 산소 가스 농도를 산소계(도레이 엔지니어링(주)제)로 측정한 결과, 산소 가스 농도는 0.2%이고, 산소 검지제의 색은 분홍색이었다.
이어서, 상기 식품을 슈퍼마켓의 진열 선반과 동일하게, 상온(20℃)의 온도에서 1000룩스 밝기의 선반에 보관했다.
반찬이 들어간 도시락의 품질유지기간(제조 후 2일) 경과 후인, 팩 내의 산소 농도가 1.0%가 된 제조 후 2일째에는, 팩 내 상면(천정면)에 부착되어 있는 산소 검지제의 색이 적에서 청으로 변화되어 있었다.
이 변색으로부터 소비자는 매우 용이하게 식품의 선도를 판정가능하였다. 또한, 이때의 식품 상태는 외관상 이상이 없으며, 아직 섭취 가능하였다.
[실시예 2]
(식육 등의 식품의 선도 관리)
쇠고기 10㎏을 500g씩 나누어 20개로 소포장 팩(폴리에틸렌팩 본체, 100㎛)을 필름(염화 비닐리덴 랩 필름, 시판품)으로 간이 포장했다. 이어서, 소량 포장된 각각의 식육과 세트(소포장의 외표면에 부착)로 한 상태로 상기 산소 검지제(b){산소 검지제 본체를 산소 투과율이 10㎖/㎡·24hrs·atm인 PET/PAN 적층 투명 필름으로 밀봉피복한 것}를, 외투용 포장 봉지(산소 투과율: 10㎖/㎡·24hrs·atm인, 100㎛ 두께, 나일론/폴리에틸렌(PE) 적층 필름, 시판품) 내에 동봉하고, 필요에 따라 탈산소제도 이 외투용 포장 봉지 내에 동봉하여, 외투용 포장 봉지 내를, 탄산 가스(CO2)로 가스 치환하고, 가스 치환 직후의 외투용 포장 봉지 내의 산소 가스 농도가 산소계(도레이 엔지니어링(주)제)로 측정한 결과 0.01%였다.
이어서, 이 패킹된 식육을, 0℃에서 40일간, 어두운 냉장고 내에 보관했다. 이 기간, 산소 검지제의 색은 분홍색 그대로였다.
그 후, 패킹된 식육을 냉장고에서 꺼내어, 식육의 외투용 포장 봉지를 절단하여 제거하고, 소량 포장된, 이 팩의 외표면(옥내의 공기와 직접 접하는 소포장 팩의 외표면)에 산소 검지제가 부착된 식육을 슈퍼마켓 등의 식품 진열 선반(고) 내 온도와 동일한 온도인 6℃에서, 1000룩스의 밝기 하에서 3일간 유지했다.
소량 포장된 식육의 바깥면에 부착된 산소 검지제는 6℃ 온도의 식품 진열 선반(고)에 진열된 직후에는, 분홍색이었다.
상기 소량 포장된 생육을, 식품 진열고의 6℃ 온도로 유지하여, 3일째에, 대기에 직접 접촉하고 있던 산소 검지제는 주위(대기 중)의 산소를 흡수하여 청색으로 변화했다.
이 청색으로 산소 검지제가 변색한 3일째에, 식육의 팩을 개봉하여 내부의 고기의 냄새, 색, 맛 등을 검사한 결과, 아무런 이상도 없었다.
한편, 이 산소 검지제(b)는, 그 후에도 계속하여 팩의 바깥면에 부착하여 상기와 동일한 1000룩스의 밝기 하에서, 식품 진열 선반에 진열한 결과, 점차 메틸렌블루의 푸른 색조가 퇴색하고, 산소 검지제에 포함된 적색 식용 색소의 색조인 붉은 기가 도는 색이 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3]
(식육 등의 식품의 선도 관리)
실시예 2에 있어서, 산소 검지제(b)를 대신하여, 산소 검지제(b-1)을 이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였다.
그 결과, 소포장된 식육의 바깥면에 부착된 산소 검지제(b-1)은, 6℃ 온도의 식품 진열 선반(고)에 진열한 직후에는 분홍색이었다.
상기 소포장된 생육을, 식품 진열고의 6℃ 온도로 유지하여, 3일째에, 대기에 직접 접촉하고 있던 산소 검지제는 주위(대기 중)의 산소를 흡수하여 청색으로 변화했다.
이 청색으로 산소 검지제가 변색한 3일째에, 식육의 팩을 개봉하여 내부의 고기의 냄새, 색, 맛 등을 검사한 결과, 아무런 이상이 없었다.
그리고 이 산소 검지제(b-1)은, 그 후에도 계속해서 팩 바깥면에 부착하여 상기와 동일한 1000룩스의 밝기 하에서, 식품 진열 선반에 진열한 결과, 상기 실시예 2와 같이 산소 검지제(b)를 이용한 경우와 달리, 진열 개시로부터 4 ~ 5일째에 있어서도 메틸렌블루의 푸른 색조가 거의 퇴색되지 않았다.

Claims (10)

  1. 물품과, 물품의 종류, 품질 관리 조건에 대응한 소정의 감도를 가지는 산소 검지제를 세트하여 두고, 물품의 종류, 품질 관리 조건에 대응한 소정의 기간의 경과에 따라, 이 산소 검지제에 침입하는 산소 농도를 상기 산소 검지제가 검지하여 변색하는 것을 이용하여 물품의 품질 관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품질 관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과, 물품의 종류, 품질 관리 조건에 대응한 소정의 감도를 가지는 산소 검지제의 세트는, 탈산소제가 수용되어 있지 않은, 가스 치환된 하나의 기밀성 포장 봉지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품질 관리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검지제는, 산소 검지제 본체와, 상기 본체를 밀봉피복하고, 물품의 종류, 품질 관리 조건에 따라 소정의 산소 투과율 및/또는 탄산 가스 투과율을 가지는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품질 관리 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이 식품이고, 관리해야 할 물품의 품질은 식품의 선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품질 관리 방법.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치환은, 기밀성 포장 봉지 내의 공기를 추출하고, 불활성 가스를 도입함으로써 행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품질 관리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반찬, 생과자, 양과자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품질 관리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식육, 어육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품질 관리 방법.
  8. 산소 검지제 본체와, 상기 본체를 밀봉피복하고, 품질 관리해야 할 물품의 종류, 품질 관리 조건에 따른 소정의 산소 투과율 및/또는 탄산 가스 투과율을 가지는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 검지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검지제에는, 상기 산소 검지제와 일체 혹은 별체로 구성되고, 적어도, 산소 검지제의 산화 전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색과, 품질유지기간 말기 혹은 냉동 보존을 개시해야 하는 상태는 나타내는 색과, 필요에 따라 품질유지기간 내의 상태를 나타내는 색이 각각 대응하는 표기와 함께 나타내어진 색 견본이 세트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 검지제.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검지제 본체가, 다공질 무기계 산화물에 산소 검지 조성물 용액을 함침시키고, 필요에 따라 건조하여 얻은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 검지제.
KR1020057014367A 2003-02-07 2004-02-05 물품의 품질 관리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산소 검지제 KR1010363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31409 2003-02-07
JPJP-P-2003-00031409 2003-02-07
JPJP-P-2003-00392517 2003-11-21
JP2003392517A JP4422466B2 (ja) 2003-02-07 2003-11-21 物品の品質管理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酸素検知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6972A true KR20050096972A (ko) 2005-10-06
KR101036369B1 KR101036369B1 (ko) 2011-05-23

Family

ID=32929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4367A KR101036369B1 (ko) 2003-02-07 2004-02-05 물품의 품질 관리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산소 검지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60141106A1 (ko)
EP (1) EP1598667A4 (ko)
JP (1) JP4422466B2 (ko)
KR (1) KR101036369B1 (ko)
AU (1) AU2004215093B2 (ko)
NZ (1) NZ542174A (ko)
TW (1) TWI347435B (ko)
WO (1) WO20040770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68153B2 (en) 2002-12-06 2008-05-06 Cryovac, Inc. Oxygen detection system for a rigid container
US7921798B2 (en) * 2004-08-06 2011-04-12 Powdertech Co., Ltd. Oxygen detector sheet and oxygen detecting agent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xygen detector sheet
JP4855047B2 (ja) * 2005-10-26 2012-01-18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酸素検知体
EP2006677B1 (en) * 2006-03-29 2018-11-14 Kuraray Co., Ltd. Use of a composition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position and the degree of a defect in a packaging material.
JP4677370B2 (ja) * 2006-06-16 2011-04-27 東洋インキ製造株式会社 酸素インジケーター組成物および該組成物を用いてなる包装材
JP4976090B2 (ja) * 2006-09-15 2012-07-18 パウダーテック株式会社 温度履歴インジケータ
WO2008095960A1 (en) * 2007-02-08 2008-08-14 Dsm Ip Assets B.V. Gas sensor
JP5122357B2 (ja) * 2008-04-25 2013-01-16 ドレンシー株式会社 酸素検知剤包装体
GB0910464D0 (en) 2009-06-17 2009-07-29 Insigniapack Ltd Indicator, application thereof and related products
JP5541591B2 (ja) * 2009-10-28 2014-07-09 パウダーテック株式会社 酸素検知剤および酸素検知剤の製造方法
JP5568292B2 (ja) * 2009-12-14 2014-08-06 凸版印刷株式会社 炭酸ガスインジケーター、及びこれを用いた包装体
JP2012207059A (ja) * 2011-03-29 2012-10-25 Powdertech Co Ltd 酸素検知用インキ組成物および酸素検知剤
NO331799B1 (no) 2011-04-15 2012-04-02 Timetemp As Tid-temperatur indikatorsystem, fremgangsmate for dets fremstilling samt kombinasjon som omfatter nevnte tid-temperatur indikatorsystem.
NO331993B1 (no) 2011-04-15 2012-05-21 Keep It Technologies As Tid-temperatur indikatorsystem
DE102011075667A1 (de) * 2011-05-11 2012-11-15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erpackung
US8999497B2 (en) * 2011-12-13 2015-04-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rrier film for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6132472B2 (ja) * 2012-04-17 2017-05-24 株式会社グリーンパッケージ 包装構造
KR101361763B1 (ko) 2012-08-02 2014-02-14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활성화 조절형 산소 지시계
GB201217720D0 (en) * 2012-10-03 2012-11-14 Insignia Technologies Ltd Indicator device
JP6550640B2 (ja) * 2015-02-18 2019-07-31 学校法人日本大学 ガス濃度の変化の検出材料及びガス濃度の変化の検出方法
EP3616612A1 (en) * 2018-09-03 2020-03-04 The Provost, Fellows, Foundation Scholars, & the other members of Board, of the College of the Holy & Undiv. Trinity of Queen Elizabeth, Colorimetric sensor formulation and use thereof
CN112305154B (zh) * 2020-10-16 2022-09-23 中石化石油工程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膨润土吸蓝量的自动分析检测仪及其检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69887A (en) * 1965-11-09 1969-11-05 Express Dairy Company London L Time Indicator
US3681027A (en) * 1971-05-28 1972-08-01 Resource Control Colorimetric indicator for the detection of nitrogen dioxide
US4169811A (en) * 1977-03-23 1979-10-02 Mitsubishi Gas Chemical Co., Inc. Oxygen indicator
JPS61144568A (ja) * 1984-12-18 1986-07-02 Mishima Seishi Kk 酸素検知材料
JPH0769945B2 (ja) * 1989-06-27 1995-07-31 ビルコン株式会社 受付業務用収納部付受付体及び受付装置
JPH0329072U (ko) * 1989-07-31 1991-03-22
JPH06230004A (ja) * 1993-02-05 1994-08-19 Freunt Ind Co Ltd 酸素検知剤組成物
DE69611080T2 (de) * 1996-05-07 2001-05-10 Nestle Sa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ntfernen von Sauerstoff aus Lebensmittelverpackungen
EP0936999B1 (en) * 1996-11-08 2002-10-02 Valtion Teknillinen Tutkimuskeskus Package for decayable foodstuffs
FI111352B (fi) * 1996-11-08 2003-07-15 Valtion Teknillinen Pakkaus pilaantuvia elintarvikkeita varten
JP3840120B2 (ja) * 1996-12-04 2006-11-01 株式会社にんべん 包装食品
JP4022703B2 (ja) * 1997-10-17 2007-12-19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貼付用酸素検知剤
JP4178488B2 (ja) * 1998-08-03 2008-11-12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検知剤を固定す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AUPR186000A0 (en) * 2000-12-04 2001-01-04 Lewis, Gareth Elapsed time indic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6369B1 (ko) 2011-05-23
US20060141106A1 (en) 2006-06-29
NZ542174A (en) 2010-01-29
AU2004215093A1 (en) 2004-09-10
EP1598667A4 (en) 2009-09-16
TWI347435B (en) 2011-08-21
WO2004077049A1 (ja) 2004-09-10
JP2004254684A (ja) 2004-09-16
AU2004215093B2 (en) 2009-08-13
JP4422466B2 (ja) 2010-02-24
EP1598667A1 (en) 2005-11-23
TW200415350A (en) 2004-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6369B1 (ko) 물품의 품질 관리 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산소 검지제
CN1993616B (zh) 氧检测剂薄片及使用该薄片的氧检测剂、氧检测剂薄片的制造方法
Halonen et al. Bio-based smart materials for food packaging and sensors–a review
Pavelková Time temperature indicators as devices intelligent packaging
Hutter et al. Use of palladium based oxygen scavenger to prevent discoloration of ham
US10247713B2 (en) Time passage indicator
EP2904385B1 (en) Indicator device
Aragüez et al. Active packaging from triticale flour films for prolonging storage life of cherry tomato
Lloyd et al. Active and intelligent packaging
Al Obaidi et al. Fabrication and validation of CO2-sensitive indicator to monitor the freshness of poultry meat
Min et al. Packaging and storage
JP4976090B2 (ja) 温度履歴インジケータ
Pirayesh et al. Cellulosic material-based colorimetric films and hydrogels as food freshness indicators
Gonçalves Packaging for chilled and frozen seafood
JP2009136208A (ja) 食品の変質抑制方法及び食品包装体
Benbettaieb Active and Intelligent Packaging
CN1748142A (zh) 物品的质量管理方法及其所使用的氧检测剂
WO1991013556A1 (en) A packaging material which removes oxygen from a package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material
JP2001002146A (ja) 酸素検知機能付脱酸素剤包装体
JP2013040925A (ja) 酸素検知剤および酸素検知溶液
JP3028142B2 (ja) 鮮度計
JP2006061067A (ja) 酸素インジケーター
Chandla et al. Novel Packaging Systems for Food Preservation
KR20000026623A (ko) 기체누출 감지 지시계 함입 다층필름재 및 그의 제조방법
Young Developments in M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