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6688A - 회전상태를 인식하여 저장된 정보를 탐색하는이동통신기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회전상태를 인식하여 저장된 정보를 탐색하는이동통신기기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6688A
KR20050096688A KR1020040022145A KR20040022145A KR20050096688A KR 20050096688 A KR20050096688 A KR 20050096688A KR 1020040022145 A KR1020040022145 A KR 1020040022145A KR 20040022145 A KR20040022145 A KR 20040022145A KR 20050096688 A KR20050096688 A KR 20050096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angle
image data
axis
screen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2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1401B1 (ko
Inventor
이우종
최상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2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1401B1/ko
Priority to US11/074,675 priority patent/US7369872B2/en
Priority to EP05251436A priority patent/EP1583333A3/en
Priority to JP2005102692A priority patent/JP2005295560A/ja
Publication of KR20050096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6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1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14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67Methods of retrieving data
    • H04M1/27475Methods of retrieving data using interactive graphical means or pictorial represent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feather joints, e.g. tongues and grooves, with or without fri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67Methods of retrieving data
    • H04M1/2747Scrolling o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4Image rotation following screen orientation, e.g. switching from landscape to portrait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3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the relative angle between 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회전각을 이용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탐색할 수 있는 이동통신기기가 개시된다. 본 이동통신기기는, 본체, 지표에 수직한 축을 기준으로 본체가 회전한 회전각을 검출하는 지자기센서, 회전각에 대응되는 이미지데이터가 저장된 메인메모리, 이미지데이터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지자기센서로부터 검출되는 회전각이 변화되면, 메인메모리로부터 변화된 회전각에 대응되는 이미지데이터를 추출하여 화면상에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정보탐색시에 키를 수차례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상태를 인식하여 저장된 정보를 탐색하는 이동통신기기 및 그 방법 {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or searching data by using rotation degree and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이동통신기기 및 그 통신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자기센서를 이용하여 회전상태를 인식하고, 그 회전상태에 따라 저장데이터를 탐색할 수 있는 이동통신기기 및 그 통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휴대폰, 노트북, PDA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이동통신기기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특히, 그 보급율이 가장 높은 휴대폰의 경우, 초기 모델에 비해 사진촬영기능, 동영상촬영기능, 모바일 인터넷 기능 등 점점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고 있다. 또한, 저장할 데이터양이 방대해짐에 따라서 메모리 용량도 커지고, 저장된 데이터를 탐색하기 위한 기술도 점점 다양해지고 있다.
데이터 탐색에 있어서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버튼키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사용자는 구비된 숫자버튼, 방향버튼 등을 이용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탐색할 수 있다. 이 경우, 그룹화, 단축버튼 등을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게 탐색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음성인식기술을 이용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탐색하는 방법등도 사용되고 있다. 특히, 휴대폰의 경우, 이미 수년전부터 음성인식기술을 이용하여 저장된 전화번호로 바로 연결하는 기술이 적용된 제품이 보급되어 있다. 그 외에, PDA의 경우에는 터치스크린 기술도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도 1은 휴대폰(10)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탐색하기 위해서 버튼(12)을 이용하는 경우의 모식도이다. 사용자가 휴대폰(10)에 구비된 숫자키나 방향키등의 버튼(12)을 조작하여 "전화번호찾기"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름으로 찾기", "번호로 찾기", "단축번호 찾기", "그룹으로 찾기" 등의 다양한 하위메뉴가 화면(11)상에 표시된다. 하위메뉴 상에서 "그룹으로 찾기"를 선택하게 되면, 사용자가 사전에 저장한 가족, 친구, 직장, 친척 등의 다양한 그룹 리스트가 표시되고, 각 그룹에 속한 전화번호를 탐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버튼을 이용하여 전화번호를 탐색하는 경우, 각 메뉴 및 하위메뉴등은 트리구조로 나열되므로, 매번 선택하여야 할 사항이 많아지게 되어 탐색시간이 길어지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노인이나 어린이 등 키 조작이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나 국어를 알 수 없는 외국인의 경우는 쉽게 탐색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자주 사용되는 번호를 단축번호로 저장한 후, 그 단축번호를 입력하면 바로 그 전화번호로 통화가 연결되도록 하는 기술도 이미 보급되어 있으나, 이 경우 단축번호를 항상 기억하고 있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도 2는 음성인식기술을 이용하여 전화번호를 탐색하는 경우의 모식도이다. 음성인식기술이란, 각 전화번호에 대하여 대응되는 특정 명칭을 발음하면, 휴대폰(10)이 이를 인식하여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통화가 연결되도록 하는 기술이다.
하지만, 음성인식과정에서 주변의 소음, 발음의 문제 등으로 인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정확하게 탐색하는데는 무리가 있다. 최근에는 비슷한 명칭의 전화번호를 모두 추출한 후, 사용자가 선택하게 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 또한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상태를 인식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탐색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기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기기는, 본체, 상기 본체가 지표에 수직한 축을 기준으로 회전한 회전각을 검출하는 지자기센서, 상기 회전각에 대응되는 이미지데이터가 저장된 메인메모리, 상기 이미지데이터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지자기센서로부터 검출되는 상기 회전각이 변화되면, 상기 메인메모리로부터 변화된 회전각에 대응되는 이미지데이터를 추출하여 화면상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메인메모리는 상기 회전각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추가로 기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이동통신기기는, 외부신호를 수신하는 키입력부, 및 상기 본체가 소정 각도로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통화연결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각도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통화회선을 연결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지자기센서로부터 검출되는 회전각이 소정 시간 고정되면, 상기 회전각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통화회선을 자동연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회전인식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메인메모리에 기록된 전(全) 이미지데이터를 각각 대응되는 회전각 방향으로 화면 가장자리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메인메모리에 기록된 전 이미지데이터 중 상기 지자기센서로부터 검출된 회전각에 대응되는 이미지데이터를 화면 중앙에 표시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사용되는 상기 지자기센서는, 상호직교하는 X축 및 Y축 플럭스게이트를 구비하며, 각 플럭스게이트로부터 지자기에 대응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각각 검출하는 지자기검출모듈, 상기 X축 및 Y축 플럭스게이트로부터 각각 검출된 전기적인 신호를 소정의 X축 및 Y축 출력값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신호처리부, 및 상기 X축 및 Y축 출력값을 각각 소정 범위의 값으로 정규화(normalizing)한 후, 정규화된 출력값으로부터 회전각을 연산하는 지자기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기기에 있어서의 정보탐색방법은, (a) 상기 이동통신기기가 지표에 수직한 축을 기준으로 회전한 회전각을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회전각에 대응되는 이미지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이미지데이터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d) 상기 회전각이 변화되면, 변화된 회전각에 대응되는 이미지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소정 이미지데이터가 화면상에 표시된 상태에서 통화연결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데이터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통화회선을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소정 이미지데이터가 화면상에 표시된 상태가 소정 시간 지속되면, 상기 이미지데이터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통화회선을 자동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c)단계는, 저장된 전(全) 이미지데이터를 각각 대응되는 회전각 방향으로 화면 가장자리에 표시하고, 상기 본체의 회전각에 대응되는 이미지데이터를 화면 중앙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단계에서는, 2축 플럭스게이트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각을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a)단계는, 2축 플럭스게이트로부터 지자기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2축 플럭스게이트로부터 각각 검출된 상기 전기적 신호를 소정의 X축 및 Y축 출력값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X축 및 Y축 출력값을 각각 소정 범위의 값으로 정규화(normalizing)하는 단계, 및 상기 정규화된 X축 및 Y축 출력값으로부터 상기 회전각을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회전상태를 인식하고, 인식된 회전정도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탐색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기기(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에 따르면, 본 이동통신기기(200)는 지자기센서(100), 제어부(210), 키입력부(220), 메인메모리(230), 디스플레이부(240), 및 통신모듈(250)을 포함한다.
키입력부(220)는 숫자키, 방향키 등의 버튼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버튼조작에 따른 입력신호를 제어부(21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지자기센서(100)란 인간이 느낄 수 없는 지구 자기의 세기 및 방향을 측정하여 소정의 출력값으로 검출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동통신기기(200)에 내장된 지자기센서(100)는 주변 지자기를 검출하여 이동통신기기(200) 본체의 회전정도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이동통신기기(200) 본체가 지표에 수직한 축을 기준으로 회전한 회전각을 측정하여 제어부(210)에 전송한다. 회전각은 북쪽을 0°라 두고 시계방향으로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지자기센서(100)로부터 전송된 회전정도, 즉, 회전각을 확인하여 대응되는 정보를 메인메모리(230)로부터 추출하게 된다. 이를 위해, 메인메모리(230)에는 소정 범위의 회전각 및 그 회전각에 대응되는 정보가 사전에 기록되게 된다. 이 경우, 메인메모리(230)에 기록된 정보는 전화번호 뿐 아니라, 그 전화번호의 대상 이미지도 될 수 있다. 한편, 지자기센서(100)의 민감도를 고려하여 회전각의 오차범위를 둘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차범위를 ±5°정도로 둔 경우라면, 제어부(210)는 지자기센서(100)로부터 -5°내지 5°범위의 회전각이 추출되면 0°를 가리키는 것으로 인식하고, 6°내지 15°범위의 회전각이 추출되면 10°를 가리키는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오차범위는 제작자 또는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메인메모리(230)로부터 추출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화면상에 표시하게 된다. 즉, 전화번호의 대상이미지가 추출되었다면, 그 이미지를 화면상에 표시한다. 최근, 휴대폰에는 카메라가 내장되어 있으므로, 직접 피사체를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을 대상이미지로 활용할 수 있다. 또는, 대상이미지는 이동통신기기(200)의 제조회사에서 미리 정의하여 제공한 이미지를 활용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가 키입력부(220)를 통해 통화버튼을 입력하게 되면, 제어부(210)는 통신모듈(250)을 제어하여, 메인메모리(230)에 저장된 전화번호로 다이얼링(dialing)한다. 이 경우, 사용자가 별도로 통화버튼을 입력하지 않더라도 소정 시간 동안 현 상태를 유지하면 자동적으로 전화연결을 시도하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는 각각 휴대폰(200)에서 회전인식방법으로 전화번호를 탐색하는 경우의 화면표시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사용자가 키입력부(220)를 조작하여 메뉴 중 "회전인식모드"메뉴를 선택하면, 제어부(210)는 메인메모리(230)에 저장된 모든 이미지 데이터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241)상에 표시한다. 이 경우, 북쪽을 0°로 두고 지자기센서(100)의 민감도를 고려하여 소정 간격으로 각 이미지 데이터를 배치하게 된다. 도 4에서는, 대략 ±5°정도의 오차범위를 둠으로써 정북을 기준으로 0°, 10°, 20°,......, 340°, 350°간격으로 각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하고 있다. 즉, 0°위치에 "집"이미지, 10°위치에 "어머니"이미지, ...., 350°위치에 "사무실"이미지를 배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저장된 전체 데이터가 하나의 화면상에 표시되게 되므로, 사용자는 휴대폰(200)을 어느 정도 회전시켜야 원하는 대상이 선택될 수 있는지 알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휴대폰(200)을 회전시키면, 그 회전정도에 따라 선택되는 이미지를 화면(241) 중앙에 표시하고, 그 이미지 하단에 타이틀이나 전화번호를 표시하게 된다.
한편, 도 5에서는 현재의 회전각에 대응되는 이미지만이 화면(241)상에 표시되도록 하고 있다. 즉, 휴대폰(200)은 노트북이나 PDA보다 상대적으로 화면(241) 크기가 작으므로, 저장된 모든 데이터를 하나의 화면상에 이미지로 표시하기에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현재 회전상태에 대응되는 이미지만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에 따르면, 현재 수평상태로 놓여진 휴대폰(200)이 북쪽을 가리키므로, 회전각은 0°가 되고, 화면(241)상에는 0°에 대응되는 "집"이미지가 표시되고 있다. 이 경우, "집"이미지 하단에는 이미지를 설명할 수 있는 타이틀이나, 전화번호가 추가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휴대폰(200)을 우측으로 10°정도 회전시킨 경우, 화면(241)상에는 회전정도에 대응되는 새로운 "어머니"이미지가 표시되게 된다. 사용자는 통화하고자 하는 대상이 선택될 때까지 휴대폰(200)을 계속적으로 회전시킨 후, 통화를 원하는 대상이 표시되면 그 상태에서 키입력부(220)를 조작하여 전화연결을 시도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자기센서(100) 대신 틸트센서(기울기측정센서),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등을 이용하여 회전정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이동통신기기(200)에 사용된 지자기센서의 일실시예로써, 2축 플럭스게이트를 이용하여 회전정도를 측정하는 플럭스게이트형 지자기센서(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플럭스게이트형 지자기 센서란 퍼말로이(permalloy)와 같은 고투자율 재료를 자심으로 사용하며, 그 자심을 감은 구동권선(coil)을 통해 여기자장을 가하여 그 자심의 자기포화 및 비선형 자기 특성에 따라 발생하는 외부자장에 비례하는 2차 고조파 성분을 측정함으로써 외부자장의 크기 및 방향을 측정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외부자장의 크기 및 방향을 측정함에 따라 현재 회전각을 검출하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정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 따르면, 본 지자기센서(100)는 구동신호생성부(110), 지자기검출모듈(120), 신호처리부(130), 지자기연산부(140) 및 메모리(150)를 포함한다.
구동신호생성부(110)는 지자기검출모듈(120)을 구동시키는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구동신호로는 일반적으로 펄스파형 및 반전 펄스 파형을 사용할 수 있다. 즉, 구동신호생성부(110)는 펄스발생기(미도시), 펄스제한부(111) 및 펄스 증폭부(112)를 포함함으로써, 펄스발생기에서 생성되어 출력된 펄스를 펄스 제한부(111)가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위칭한 후, 펄스증폭부(112)가 증폭 및 반전 증폭하여 출력하게 된다. 펄스제한부(111)로는 앤드게이트가 이용될 수 있으며, 엔드게이트의 일단에 인가된 제어신호에 따라 펄스발생기로부터 출력된 펄스를 출력한다.
펄스증폭부(112)는 수개의 증폭기 및 반전기를 사용함으로써 펄스제한부 (111)를 통해 출력된 펄스에 대해 서로 위상이 반대인 두 펄스 신호를 지자기검출모듈(120)로 인가하게 된다.
한편, 지자기검출모듈(120)은 구동신호생성부(110)로부터 구동신호가 인가되면, 지자기에 대응되는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에 따르면, X축 및 Y축 플럭스게이트(121, 123)는 사각링 형태의 두 자성체코어가 각각 X, Y축 두 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갖도록 설치되며, 자성체 코어들 각각에는 구동코일 및 검출코일이 권선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각 구동코일에 구동펄스가 인가되면, X축 및 Y축 플럭스게이트(121, 123)에 자기가 발생하고, 이에 따른 유도기전력을 검출코일을 통해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신호처리부(130)는 X축 및 Y축 플럭스게이트(121, 123)로부터 검출되는 유도기전력을 일정한 처리과정을 거쳐 소정의 디지털값으로 변환한 후,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신호처리부(130)는, 쵸핑회로부(131), 제1증폭부(132), 필터(133), 제2증폭부(134) 및 A/D 컨버터(A/D converter : 135)를 포함한다. 지자기검출모듈(120)로부터 출력된 X축 및 Y축 플럭스게이트에 유도된 전기적 신호는 쵸핑회로부(131)에서 내장된 수개의 스위치를 제어하여 쵸핑(chopping)하게 된다. 쵸핑된 전기적 신호는 제1증폭부(132)에서 차동증폭되고, 필터(133)를 통해 일정 범위의 신호만으로 필터링된 후, 제2증폭부(134)에서 최종적으로 증폭하게 된다. 증폭된 신호는 A/D 컨버터(135)에서 디지털 전압값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된다.
한편, 지자기연산부(140)는 신호처리부(130)에서 출력된 실제 출력값을 소정 범위로 매핑시키는 정규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지자기센서(100)의 제조자는 사전에 수평상태에서 지자기센서(100)를 적어도 1회 이상 회전을 시키면서 X축 및 Y축 플럭스게이트(121, 123)의 출력값을 측정한다. 측정이 완료되면, 측정된 출력값 중 최대값 및 최소값을 선택하여 메모리(150)에 기록하게 된다.
지자기연산부(140)는 메모리(150)에 기록된 최대값 및 최소값과, 신호검출부(130)로부터 검출된 X축 및 Y축 출력값을 아래의 수학식에 대입하여 정규화를 수행하게 된다.
수학식1에서, X 및 Y는 각각 X축 및 Y축 플럭스게이트(121, 123)의 출력값, Xn 및 Yn는 각각 X 및 Y의 정규화값, Xmax 및 Xmin은 각각 X의 최대값 및 최소값, 그리고, Ymax 및 Ymin은 각각 Y의 최대값 및 최소값을 나타낸다. 지자기연산부(140)는 기 측정되어 메모리(150)에 기록된 Xmax, Xmin, Ymax 및 Ymin 를 수학식 1에 대입하여 Xbias, Xscale, Ybias, 및 Yscale를 연산한 후, 다시 이를 이용하여 Xn 및 Yn을 연산하게 된다.
도 7은 지자기연산부(140)에서 정규화처리된 X축 및 Y축 출력값 그래프이다. 도 7에 따르면, X축 출력값은 cos 함수그래프(701)로 나타나고, Y축 출력값은 sin 함수그래프(702)로 나타난다.
지자기연산부(140)는 X축 및 Y축 출력값을 이용하여 회전각을 연산하게 된다. 즉, 회전각 ψ은 tan-1(Y축 출력값 / X축 출력값)으로 표시된다. 도 7에 따르면, Y축 출력값 / X축 출력값으로 표현되는 tan 함수그래프(703)도 도시되고 있다.
한편, tan-1함수값은 1사분면에서는 0°내지 90°범위값을 가지고, 2사분면 및 3사분면에서는 -90°내지 +90°범위값을 가지며, 4사분면에서는 -90°내지 0°범위값을 가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0°내지 360°의 범위를 전부 표현하기 위하여, 지자기연산부(140)는 다음과 같은 수식에 따라 회전각을 연산하게 된다.
1 사분면 : 회전각 = tan-1(Y/X)
2 사분면 및 3 사분면 : 회전각 = 180°+ tan-1(Y/X)
4 사분면 : 회전각 = 360°+ tan-1(Y/X)
수학식 2에서 X 및 Y는 각각 X축 출력값 및 Y축 출력값을 표시한다.
지자기연산부(140)에서 연산된 회전각은 제어부(210)로 입력된다. 제어부(2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각에 대응되는 이미지 및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를 메인메모리(230)로부터 추출하여, 해당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화면(241)상에 표시하고, 통신모듈(250)을 이용하여 해당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자기센서(100)는 자기저항센서(Magnetic Resistance sensor), 자기임피던스 센서(Magnetic Impedance sensor), 홀 센서(hall sensor) 등의 다양한 센서를 사용하여 회전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기기(200)에서 회전상태에 따라 전화번호를 탐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에 따르면, 먼저, 사용자가 키입력부(220)를 조작하여 메뉴 중에서 "회전인식모드"메뉴를 선택한다(S810).
"회전인식모드"메뉴가 선택되면, 지자기센서(100)가 X축 플럭스게이트 및 Y축 플럭스게이트로부터 소정의 출력값을 검출한 후, 정규화하여 회전각을 연산하게 된다(S820). 상술한 바와 같이 지자기센서(100)는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정규화를 하고, 수학식 2를 이용하여 0°내지 360° 사이의 회전각을 연산하게 된다.
제어부(210)는 연산된 회전각에 대응되는 이미지정보를 메인메모리(230)로부터 추출하여, 화면(241)상에 표시하게 된다(S830).
사용자가 이동통신기기(200)를 더 회전시켜 회전상태가 변하게 되면(S840), 계속적으로 변화되는 회전각을 연산하고 화면(241)상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변경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현재 화면(241)상에 특정 이미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통화(send)"버튼을 입력하게 되면(S850), 제어부(210)는 표시된 이미지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도록, 통신모듈(250)을 제어하게 된다(S870).
이 경우, 사용자가 별도로 "통화"버튼을 입력하지 않은 상태에서 소정시간이 경과한 경우, 자동적으로 전화를 걸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S860).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별도의 키조작을 할 필요없이 원하는 전화번호로 전화를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기기를 회전시킴으로써 저장된 데이터를 손쉽게 검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휴대폰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탐색하는 경우, 휴대폰을 소정 각도씩 회전시키면 저장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화면상에 표시됨으로써 손쉽게 전화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종래 휴대폰에서 전화번호 탐색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2는 종래 휴대폰에서 음성인식기술을 이용하여 전화번호를 탐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기기의 화면표시상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기기의 화면표시상태의 또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6은 도 3의 이동통신기기에서 지자기센서로 사용되는 플럭스게이트 센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플럭스게이트 센서의 각 축 출력값그래프,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기기에서 회전상태를 인식하여 전화번호를 탐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지자기센서 110 : 구동신호생성부
120 : 지자기검출부 130 : 신호처리부
140 : 지자기연산부 150 : 메모리
210 : 제어부 220 : 키입력부
230 : 메인메모리 240 : 디스플레이부
250 : 통신모듈

Claims (15)

  1. 본체;
    상기 본체가 지표에 수직한 축을 기준으로 회전한 회전각을 검출하는 지자기센서;
    상기 회전각에 대응되는 이미지데이터가 저장된 메인메모리;
    상기 이미지데이터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지자기센서로부터 검출되는 상기 회전각이 변화되면, 상기 메인메모리로부터 변화된 회전각에 대응되는 이미지데이터를 추출하여 화면상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메모리는 상기 이미지데이터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추가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외부신호를 수신하는 키입력부; 및
    소정 이미지데이터가 화면상에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통화연결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이미지데이터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다이얼링(dialing)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이미지데이터가 화면상에 표시된 상태가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되면, 상기 이미지데이터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자동 다이얼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기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회전인식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메인메모리에 기록된 전(全) 이미지데이터를 각각 대응되는 회전각 방향으로 화면 가장자리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메모리에 기록된 전 이미지데이터 중 상기 지자기센서로부터 검출된 회전각에 대응되는 이미지데이터를 화면 중앙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기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자기센서는,
    상호직교하는 X축 및 Y축 플럭스게이트를 구비하며, 각 플럭스게이트로부터 지자기에 대응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각각 검출하는 지자기검출모듈;
    상기 X축 및 Y축 플럭스게이트로부터 각각 검출된 전기적인 신호를 소정의 X축 및 Y축 출력값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신호처리부; 및
    상기 X축 및 Y축 출력값을 각각 소정 범위의 값으로 정규화(normalizing)한 후, 정규화된 상기 X축 및 Y축 출력값으로부터 상기 회전각을 연산하는 지자기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자기 연산부는 아래의 수식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각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기기:
    1 사분면 : 회전각 = tan-1(Y/X)
    2 사분면 및 3 사분면 : 회전각 = 180°+ tan-1(Y/X)
    4 사분면 : 회전각 = 360°+ tan-1(Y/X)
    상기 수식에서, 상기 1 내지 4 사분면은 상기 본체의 회전범위를 90°단위로 나눈 단위분면, 상기 X 및 Y는 각각 상기 정규화된 X축 및 Y축 출력값.
  9. 이동통신기기의 정보탐색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이동통신기기가 지표에 수직한 축을 기준으로 회전한 회전각을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회전각에 대응되는 이미지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이미지데이터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d) 상기 회전각이 변화되면, 변화된 회전각에 대응되는 이미지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탐색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소정 이미지데이터가 화면상에 표시된 상태에서 통화연결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데이터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다이얼링(dialing)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탐색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소정 이미지데이터가 화면상에 표시된 상태가 소정 시간 지속되면, 상기 이미지데이터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자동 다이얼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탐색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저장된 전(全) 이미지데이터를 각각 대응되는 회전각 방향으로 화면 가장자리에 표시하고, 상기 본체의 회전각에 대응되는 이미지데이터를 화면 중앙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탐색방법.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2축 플럭스게이트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각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탐색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2축 플럭스게이트로부터 지자기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2축 플럭스게이트로부터 각각 검출된 상기 전기적 신호를 소정의 X축 및 Y축 출력값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X축 및 Y축 출력값을 각각 소정 범위의 값으로 정규화(normalizing)하는 단계; 및
    상기 정규화된 X축 및 Y축 출력값으로부터 상기 회전각을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탐색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각은 아래의 수식을 이용하여 연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탐색방법:
    1 사분면 : 회전각 = tan-1(Y/X)
    2 사분면 및 3 사분면 : 회전각 = 180°+ tan-1(Y/X)
    4 사분면 : 회전각 = 360°+ tan-1(Y/X)
    상기 수식에서, 상기 1 내지 4 사분면은 상기 본체의 회전범위를 90°단위로 나눈 단위분면, 상기 X 및 Y는 각각 상기 정규화된 X축 및 Y축 출력값.
KR1020040022145A 2004-03-31 2004-03-31 회전상태를 인식하여 저장된 정보를 탐색하는이동통신기기 및 그 방법 KR100621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2145A KR100621401B1 (ko) 2004-03-31 2004-03-31 회전상태를 인식하여 저장된 정보를 탐색하는이동통신기기 및 그 방법
US11/074,675 US7369872B2 (en) 2004-03-31 2005-03-09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or searching data based on rotation degree and a method thereof
EP05251436A EP1583333A3 (en) 2004-03-31 2005-03-09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for searching data based on rotation degreee and a method thereof
JP2005102692A JP2005295560A (ja) 2004-03-31 2005-03-31 回転状態を認識し保存された情報を検索する移動通信機器およびその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2145A KR100621401B1 (ko) 2004-03-31 2004-03-31 회전상태를 인식하여 저장된 정보를 탐색하는이동통신기기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6688A true KR20050096688A (ko) 2005-10-06
KR100621401B1 KR100621401B1 (ko) 2006-09-08

Family

ID=34880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2145A KR100621401B1 (ko) 2004-03-31 2004-03-31 회전상태를 인식하여 저장된 정보를 탐색하는이동통신기기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369872B2 (ko)
EP (1) EP1583333A3 (ko)
JP (1) JP2005295560A (ko)
KR (1) KR10062140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053B1 (ko) * 2005-12-28 2007-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틸팅 인터페이스에서 기울기의 변화를 이용하여 반복적신호 입력을 정지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100817985B1 (ko) * 2006-09-22 2008-03-31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전자 기기, 그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프로그램을 컴퓨터판독가능하게 저장한 기록매체
US8192595B2 (en) 2009-01-22 2012-06-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ition metal/carbon nanotube composit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US8768325B2 (en) 2009-05-04 2014-07-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call receiving and sending depending on user posture in portable termin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86509B1 (en) 2005-05-17 2017-01-18 Qualcomm Incorporated Orientation-sensitive signal output
JP4034796B2 (ja) * 2005-06-17 2008-01-16 株式会社東芝 携帯端末装置
US8046030B2 (en) * 2005-07-29 2011-10-2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operating mobile devices responsive to user input through movement thereof
KR100667853B1 (ko) 2006-01-25 200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기기의 화면 스크롤 장치 및 방법과 그 방법을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0772909B1 (ko) 2006-05-30 2007-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검색 방법 및 장치
US20080075237A1 (en) * 2006-09-11 2008-03-27 Agere Systems, Inc. Speech recognition based data recovery system for use with a telephonic device
US7950631B2 (en) * 2007-10-22 2011-05-31 Lennox Industries Inc. Water distribution tray
US7814115B2 (en) * 2007-10-16 2010-10-1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ulti-dimensional search results adjustment system
US8890802B2 (en) * 2008-06-10 2014-11-18 Intel Corporation Device with display position input
CN101770285B (zh) * 2008-12-27 2012-01-2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键盘
KR20110061063A (ko) * 2009-12-01 2011-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이미지 촬영 방법 및 장치
JP5363971B2 (ja) * 2009-12-28 2013-12-11 楽天株式会社 景観再現システム
US9124804B2 (en) * 2010-03-22 2015-09-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ing accelerometer information for determining orientation of pictures and video images
TW201306549A (zh) * 2011-07-29 2013-02-01 Hon Hai Prec Ind Co Ltd 手機及其使用轉盤式電話機通話的方法
USD694232S1 (en) 2012-05-31 2013-11-26 Intel Corporation Electronic computer with partially transparent input device
USD701501S1 (en) 2012-05-31 2014-03-25 Intel Corporation Electronic computer with an at least partially transparent input device
US9292114B2 (en) 2012-05-31 2016-03-22 Intel Corporation Dual touch surface multiple function input device
USD698350S1 (en) 2012-05-31 2014-01-28 Intel Corporation Electronic computer with an at least partially transparent input device
US9423895B2 (en) 2012-05-31 2016-08-23 Intel Corporation Dual touch surface multiple function input device
USD698778S1 (en) 2012-05-31 2014-02-04 Intel Corporation Electronic computer with an at least partially transparent input device
US9933846B2 (en) * 2013-01-28 2018-04-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system with display mode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2340251B1 (ko) * 2014-06-27 2021-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관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KR20200091522A (ko) 2019-01-22 2020-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의 표시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6945A (ja) 1995-07-24 1997-02-07 Sony Corp 電話装置
JPH1049290A (ja) 1996-08-05 1998-02-20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US6573883B1 (en) * 1998-06-24 2003-06-03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omputing device with gestures
US6449496B1 (en) * 1999-02-08 2002-09-10 Qualcomm Incorporated Voice recognition user interface for telephone handsets
US6611673B1 (en) * 1999-07-12 2003-08-26 Oliver T. Bayley Radio frequency-controlled telecommunication device
CN1166155C (zh) * 1999-07-28 2004-09-08 三菱电机株式会社 便携电话机
AU2001231253A1 (en) 2000-01-31 2001-08-07 Nokia Mobile Phones Limited Accelerometer and selection key(s) used as input devices for mobile radiotelephone
JP2001289646A (ja) * 2000-04-06 2001-10-19 Ap One System Co Ltd 位置情報表示システム
JP2002062964A (ja) 2000-06-06 2002-02-28 Kenichi Horie パソコン配列で入力できるテンキーボード型文字入力装置
JP4122834B2 (ja) 2001-07-10 2008-07-23 ヤマハ株式会社 方位測定機能を有する携帯型電子装置
JP3508751B2 (ja) 2001-09-28 2004-03-22 ヤマハ株式会社 携帯電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EP1314961B1 (en) * 2001-11-22 2009-07-15 Yamaha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KR100451183B1 (ko) * 2001-12-07 2004-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키입력장치 및 방법
JP3882601B2 (ja) 2001-12-10 2007-02-21 ヤマハ株式会社 携帯電話装置
JP4417721B2 (ja) * 2002-01-22 2010-02-17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とメニュー項目選択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3716801B2 (ja) * 2002-02-27 2005-11-16 ヤマハ株式会社 自動車位置通信システム及び携帯通信装置
US20030224830A1 (en) * 2002-05-30 2003-12-04 Zhi-Yun Zhang Mobile telephone capable of displaying image of caller automatically and method for realize it
DE10233608A1 (de) 2002-07-24 2004-02-12 Siemens Ag Eingabevorrichtung für ein Endgerät
KR100582349B1 (ko) * 2002-12-12 2006-05-22 주식회사 팬택 단말기에 있어서 움직임에 의한 기능 설정 장치 및 방법
JP2004260657A (ja) * 2003-02-27 2004-09-16 Nec Saitama Ltd 携帯通信端末装置
KR20050060366A (ko) * 2003-12-16 2005-06-22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기울기 표시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053B1 (ko) * 2005-12-28 2007-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틸팅 인터페이스에서 기울기의 변화를 이용하여 반복적신호 입력을 정지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100817985B1 (ko) * 2006-09-22 2008-03-31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전자 기기, 그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프로그램을 컴퓨터판독가능하게 저장한 기록매체
US8192595B2 (en) 2009-01-22 2012-06-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ition metal/carbon nanotube composit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US8768325B2 (en) 2009-05-04 2014-07-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call receiving and sending depending on user posture in portable terminal
US9071699B2 (en) 2009-05-04 2015-06-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call receiving and sending depending on user posture in portable terminal
US9521242B2 (en) 2009-05-04 2016-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call receiving and sending depending on user posture in portable terminal
US10038776B2 (en) 2009-05-04 2018-07-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call receiving and sending depending on user posture in portable terminal
US10425524B2 (en) 2009-05-04 2019-09-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call receiving and sending depending on user posture in portable terminal
US10863017B2 (en) 2009-05-04 2020-1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call receiving and sending depending on user posture in portab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83333A3 (en) 2007-03-14
US20050243783A1 (en) 2005-11-03
US7369872B2 (en) 2008-05-06
JP2005295560A (ja) 2005-10-20
KR100621401B1 (ko) 2006-09-08
EP1583333A2 (en) 2005-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1401B1 (ko) 회전상태를 인식하여 저장된 정보를 탐색하는이동통신기기 및 그 방법
EP1568966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hanging menu display state according to rotating degree of the device
US20180067627A1 (en) Selective rotation of a user interface
US901564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irect access to an application when unlocking a consumer electronic device
JP610781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01613B2 (ja) 携帯通信端末、情報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表示方法
JP4588028B2 (ja) 機能制御方法及び端末装置
US20050222802A1 (en) Mobile terminal apparatus
US8243097B2 (en) Electronic sighting compass
TW200929999A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re-calibrating azimuth and method thereof
US7159326B2 (en) Electronic device,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method of operating built-in compass
KR20100003512A (ko) 각도를 이용하여 작동모드를 설정하는 원격제어장치, 및이를 적용한 작동모드 설정방법 및 호스트 기기 결정방법
JP2005241650A (ja) 演算された方位角のエラー有無を表示する地磁気センサおよびその方位角測定方法
EP2784442B1 (en) Azimuth correc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KR20050060923A (ko) 이동통신 단말기 입력 장치 및 방법
US20050190149A1 (en) User interface using geomagnetic sensor and method of generating input signal thereof
CN113931621A (zh) 气井积液信息的确定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2005167777A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の動作制御方法
CN113175321B (zh) 流体饱和参数的确定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US2019017083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mobile device
CN113153284B (zh) 束缚水饱和参数的确定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100496153B1 (ko) 자기저항 센서를 이용한 폴더 개폐 감지 및 방향 정보제공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US20070024470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indicating directions
JPH0540161A (ja) 航法装置
KR20140085900A (ko) 터치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