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6390A - 그림이 들어간 서체(폰트) 생성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그림이 들어간 서체(폰트) 생성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6390A
KR20050096390A KR1020040021575A KR20040021575A KR20050096390A KR 20050096390 A KR20050096390 A KR 20050096390A KR 1020040021575 A KR1020040021575 A KR 1020040021575A KR 20040021575 A KR20040021575 A KR 20040021575A KR 20050096390 A KR20050096390 A KR 20050096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ture
font
font format
characte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1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금호
이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산돌커뮤니케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산돌커뮤니케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산돌커뮤니케이션
Priority to KR1020040021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6390A/ko
Publication of KR20050096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6390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08Forms, which are completely dismantled after setting of the concrete and re-built for next pouring

Abstract

본 발명은 그림이 들어간 서체(폰트) 생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문자에 그림을 대응시켜 입력된 문자대신에 그림을 출력시키는 서체 생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일 글자에 하나의 그림을 대응시킬 수도 있고, 두자 이상의 글자에 하나의 그림을 대응시킬 수도 있다. 또한, 역으로 단일 글자에 여러 개의 그림을 대응시킬 수도 있고, 두자 이상의 글자에 여러 개의 그림을 대응시킬 수도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퍼스널컴퓨터 및 휴대폰과 같이 문자처리가 가능한 단말기에서, 그림이 포함된 서체를 사용하여, 워드프로세싱은 물론이고 단말기를 통하여 문자 메시지를 주고 받을 때, 보다 재미있고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그림이 들어간 서체(폰트) 생성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graphic image embedded font}
본 발명은 그림이 들어간 서체(폰트) 생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문자에 그림을 대응시켜 입력된 문자대신에 그림을 출력시키는 서체 생성 방법 및 장치, 및 그를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담고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범용 퍼스널컴퓨터에 사용되는 알파베트, 숫자 및 각종 기호를 입력하는데 사용되는 아스키(ASCII: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코드는 1963년 미국표준협회(ASA)에 의해 결정되어 미국의 표준부호가 되어, 미니컴퓨터나 개인용 컴퓨터(PC)와 같은 소형 컴퓨터를 중심으로 보급되어 현재 국제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반면에, 한글의 경우는 범용 퍼스널컴퓨터에서 자주 쓰이는 한글문자만을 고려한 KS X 1001 (과거 KS 5601) 코드 체계와 국제 표준인 유니코드(UNICODE)를 사용하고 있다. KS X 1001코드체계는 986자의 심볼, 2350자의 한글, 4888자의 한자(漢字)을 지원하며, 유니코드에서는 현대 한글 11,172자와 3만자 이상의 한자(漢字)를 포함하여 최고 65,000자 이상의 문자 표현이 가능하다.
기존의 영문, 한글, 한자 등의 각국의 언어를 표현하는 서체(폰트; Font)는 자음과 모음과 같은 서체의 조형성을 토대로 같은 디자인 개념을 가지는 문자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각국의 언어문자와 아라비안 숫자들은 통상의 키보드 또는 키패드를 통하여 컴퓨터에 입력되어 디스플레이나 프린터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알파뉴매릭 심볼, 한글, 한자 등은 각종 기호들과 함께 각종 폰트(비트맵, 또는 아웃라인 형태) 포맷으로 컴퓨터의 운영체제(OS) 속에 저장된다. 일반적인 컴퓨터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폰트포맷으로는 BDF (Bitmap Distribution Format), 트루타입(TTF; Truetype Format), 오픈타입(OTF; Opentype Format) 등이 있다. BDF는 비트맵 서체 전용이며, 트루타입과 오픈타입은 비트맵과 아웃라인 두가지 정보를 모두 포함한다. 대부분의 영문문자 및 숫자들은 키보드 또는 키패드를 통해 바로 컴퓨터와 같은 단말기에 입력되지만, 한글의 경우는 자모의 키 입력을 조합해서 한글로 완성해주는 오토마타(AUTOMATA)라는 기능에 의해 한글이 입력된다. 특수문자 또는 기호들은 키보드나 키패드의 특수버튼을 조작하거나 메뉴의 특수문자 또는 기호 메뉴를 선택하여 원하는 문자나 기호들을 선택하여 입력하도록 되어있다.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컴퓨터를 이용한 워드프로세싱 작업 시, 사용자는 중앙처리부(10)의 제어하에 키보드(20)를 조작하여 원하는 문자 또는 숫자를 입력하면, 중앙처리부(10)는 조작된 키보드의 입력을 순서대로 받아 상기 오토마타를 거쳐 문자 코드를 생성한다. 생성된 상기 문자코드를 중앙처리부(10)내의 도시되지 않은 폰트처리기에 보내주면 문자발생기는 해당하는 폰트에서 문자 모양을 메모리(30)로부터 불러내어 디스플레이(40)에 표시한다. 즉, 해당하는 문자코드에 따라서 도시되지 않은 중앙처리부내의 폰트처리기에 의하여 생성된 문자 및 숫자가 표시된다. 또한, 통상 키보드(20)에 없는 버튼에 해당하는 특수문자 또는 기호, 및 사용자폰트는 별도의 폰트데이터로 메모리(30)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이러한 별도의 폰트를 키보드의 특수버튼 또는 메뉴판을 통하여 불러내어 디스플레이(40)에 표시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특수문자, 기호, 및 사용자폰트와 같은 별도의 폰트들은 사용자가 키보드(10)를 작동하여 바로 메모리(30)로부터 대응되는 폰트가 디스플레이(40)를 통해 출력되는 것이 아니라, 키보드의 특수버튼 또는 메뉴판의 적절한 문자 또는 기호를 선택하여 출력되도록 되어, 사용자가 특수문자 및 기호들을 입력하는데 번거로왔음은 물론이고 키보드판에 있는 버튼의 조합에 대응하는 그래픽이미지를 바로 화면에 불러낼 수 없어, 기존의 서체만의 느낌 이외의 다른 느낌을 전달할 수 없었다.
최근의 네티즌들은 인터넷통신 또는 모바일 통신 중에 약어 또는 이모티콘과 같은 기호들을 사용하는데 익숙하며, 다양한 서체와 기능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키버튼의 조합에 의하여 이미지가 바로 대응되도록 할 수는 없어, 기존의 서체의 느낌과 다른 서체를 이용하기 쉽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및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의 문자에 그림을 대응시킴으로써, 입력된 문자대신에 그림을 출력시키는 그림이 들어간 서체의 생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문자에 그림을 대응시킴으로써, 입력된 문자대신에 그림을 출력시키는 그림이 들어간 서체의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기존의 문자에 그림을 대응시킴으로써, 입력된 문자대신에 그림을 출력시키는 서체를 담고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문자에 그림을 대응시켜 입력된 문자대신에 그림을 출력시키는 장치와 대응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나의 그림으로 표현이 가능한 하나의 글자를 그림형태로 대치시켜 서체 파일로 기억장치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입력장치의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생성되는 코드에 대응하는 그림이 그대로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서체의 사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글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림을 대응시켜 폰트포맷으로 기억장치에 저장하는 단계; 및 입력장치의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생성되는 글자에 대응하는 그림을 상기 기억장치로부터 불러내어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그림이 들어간 서체의 생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글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림을 대응시켜 저장하는 기억장치; 및 입력장치의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생성되는 글자에 대응하는 그림파일을 상기 기억장치로부터 불러내어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그림이 들어간 서체의 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글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림을 대응시켜 기억장치에 저장된 그림파일로부터, 입력장치의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생성되는 글자에 대응하는 그림파일을 불러내어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도록 하는 그림이 들어간 서체의 생성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그림이 들어간 서체의 생성 방법 및 장치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퍼스널컴퓨터와 같은 단말기에서 문자 등의 입출력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그림이 들어간 서체의 생성 방법 및 장치 역시 도 1에 도시한 입출력 동작을 통하여 설명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기존의 서체의 입출력동작에 대해서 설명한 바와 거의 동일하므로 그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키보드(20)를 통한 문자 입력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문자 대 그림의 대응관계에 따라서 폰트생성이 되도록 하는 프로그램과 비트맵, 트루타입포맷, 오픈타입포맷과 같은 폰트포맷이 메모리(30)에 저장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그림이 들어간 서체의 일실시예는 하나의 글자에 하나의 그림이 대응되는 서체이다. 도 5에 도시한 하나의 글자에 하나의 그림이 대응되는 서체인 경우, 도 2에 도시한 서체 생성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보드(20)에서 키보드 입력이 되면(S20), CPU(10)에서는 한글 오토마타 조합으로 완성형이 생성되었는가를 체크한다(S22). 단계 S22에서 완성형 한글이 생성되지 않았다면 키보드입력단계(S20)로 진행하고 완성형 한글이 생성되었다면 코드생성기(미도시)를 통해 코드를 생성한다(S24). CPU(10)에서는 생성된 코드에 의해 메모리(30)로부터 코드에 대응하는 그림파일을 불러내어 그림글꼴을 생성하여(S26) 디스플레이(40)를 통해 출력한다(S28).
도 6은 본 발명의 그림이 들어간 서체의 다른 실시예로, 두 글자에 하나의 그림이 대응되는 서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그림이 들어간 서체의 또 다른 실시예로, 하나의 글자에 두 개의 그림이 대응되는 서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글자와 그림의 대응 서체인 경우, 도 3에 도시한 서체 생성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보드(20)에서 키보드 입력이 되면(S30), CPU(10)에서는 한글 오토마타 조합으로 완성형이 생성되었는가를 체크한다(S32). 단계 S32에서 완성형 한글이 생성되지 않았다면 키보드입력단계(S30)로 진행하고 완성형 한글이 생성되었다면 코드생성기(미도시)를 통해 코드를 생성한다(S34). CPU(10)에서는 생성된 코드에 대응하는 대응 테이블 (서체사전)에 저장내용이 있는지를 확인하고(S35), 저장내용이 있으면 그 저장내용을 메모리내 대응코드에 저장된 문자와 대치하고(S37)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S38), 저장내용이 없다면 상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30)로부터 코드에 대응하는 그림파일을 불러내어 그림글꼴을 생성하여(S36) 디스플레이(40)를 통해 출력한다(S38). 도 7에서와 같이 하나의 글자에 두개의 그림이 대응하는 경우, 화면에 두개의 그림이 표시되도록 하여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고, 화면에 표시되기 전에 두개의 그림 중 원하는 그림을 선택하여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적용되는 서체사전의 개념적 도식 및 실제 도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보드에서 "강"을 타이핑하면, "강"에 해당하는 한글코드가 "BOAD"로 생성되고 그 한글코드에 대응하는 그림파일 "kang.bmp"에 해당하는 그림이 디스플레이에 출력된다.
이로써, 본 발명에서는 키보드(20)의 누름에 의하여 생성되는 아스키코드를 중앙처리부(10)에서 확인하여, 그 아스키코드에 해당하는 메모리(30)에 저장된 폰트포맷 데이터를 불러내어 디스플레이(40)에 표현되는 것이다. 이로써 본 발명은 도 5 내지 도 7에 예로써 표시한 문자 대 그림의 대응관계에 따라서, 키보드의 버튼조작에 의해 키보드내 버튼의 조합에 의해 생성되는 아스키코드에 해당하는 그림을 불러내어 디스플레이(40)에 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글자 대응 서체를 테이블로서 해독 프로그램과 함께 사용자들에게 온라인상에 제공할 수도 있고, 오프라인상에서 기록매체에 저장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넷이 가능한 단말기로 PC, PDA, 휴대폰 등에 적용되어 다양한 서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도 5의 서체를 사용한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한 글자에 하나의 그림이 대응되도록 표현된다. 이로써, 문자 대신 그림이 대체되는 서체를 이용하여 다양한 표현과 흥미를 일구어낼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문자 대 그림을 대응시키고 키버튼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폰트포맷 중 비트맵에 해당하는 그림을 표현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트루타입 포맷 및 오픈타입 포맷에도 적용가능하고, 본 발명은 예로써 위인의 이름에 위인이 남긴 업적, 작품 또는 격언을 대응시켜, 일반 네티즌들이 이름만 입력하면 위인이 남긴 업적, 작품, 또는 격언을 출력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문자에 백과사전기능을 대응시킨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고, 이에 대해서는 당업자에게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충분히 이해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한글 뿐만 아니라 각종 언어에 대응하도록 설계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본 발명에 따른 그림이 들어간 서체 생성방법 및 장치는 문자를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여 재미있고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서체 생성방법 및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기존 서체 보다 풍부한 표현을 제공하고 느낌이 완전히 다른 서체를 제공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명세서에 기재되고 청구된 원리의 진정한 정신 및 범위 안에서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실시 형태도 본 발명의 권리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퍼스널컴퓨터와 같은 단말기에서 문자 등의 입출력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문자에 하나의 그림을 대치한 서체의 사용시의 서체 생성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문자에 다수의 그림 또는 다수의 문자에 하나의 그림을 대치한 서체사전(테이블)의 사용시의 서체 생성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적용되는 서체사전의 개념적 도식 및 실제 도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그림이 들어간 서체의 일실시예로, 하나의 글자에 하나의 그림이 대응되는 서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그림이 들어간 서체의 다른 실시예로, 두 글자에 하나의 그림이 대응되는 서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그림이 들어간 서체의 또 다른 실시예로, 하나의 글자에 두 개의 그림이 대응되는 서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2의 서체를 사용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중앙처리부, 20...키보드, 30...메모리, 40...디스플레이

Claims (7)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글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림을 대응시켜 폰트포맷으로 기억장치에 저장하는 단계; 및 입력장치의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생성되는 글자에 대응하는 그림의 폰트포맷을 상기 기억장치로부터 불러내어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그림이 들어간 서체의 생성방법.
  2.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글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림을 대응시켜 폰트포맷으로 저장하는 기억장치; 및 입력장치의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생성되는 글자에 대응하는 그림의 폰트포맷을 상기 기억장치로부터 불러내어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그림이 들어간 서체의 생성장치.
  3.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글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림을 대응시켜 기억장치에 저장된 폰트포맷으로부터, 입력장치의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생성되는 글자에 대응하는 그림의 폰트포맷을 불러내어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그림이 들어간 서체의 생성방법을 수행하는 기록매체.
  4.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글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백과사전설명을 대응시켜 폰트포맷으로 기억장치에 저장하는 단계; 및 입력장치의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생성되는 글자에 대응하는 백과사전설명의 폰트포맷을 상기 기억장치로부터 불러내어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그림이 들어간 서체의 생성방법.
  5.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글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백과사전설명을 대응시켜 폰트포맷으로 저장하는 기억장치; 및 입력장치의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생성되는 글자에 대응하는 백과사전설명의 폰트포맷을 상기 기억장치로부터 불러내어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그림이 들어간 서체의 생성장치.
  6.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글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백과사전설명을 대응시켜 기억장치에 저장된 폰트포맷으로부터, 입력장치의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생성되는 글자에 대응하는 백과사전설명의 폰트포맷을 불러내어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그림이 들어간 서체의 생성방법을 수행하는 기록매체.
  7. 하나의 그림으로 표현이 가능한 하나의 글자를 그림형태로 대치시켜 서체 파일로 기억장치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입력장치의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생성되는 코드에 대응하는 그림이 그대로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서체의 사용방법.
KR1020040021575A 2004-03-30 2004-03-30 그림이 들어간 서체(폰트) 생성 방법 및 장치 KR200500963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575A KR20050096390A (ko) 2004-03-30 2004-03-30 그림이 들어간 서체(폰트) 생성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575A KR20050096390A (ko) 2004-03-30 2004-03-30 그림이 들어간 서체(폰트) 생성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6390A true KR20050096390A (ko) 2005-10-06

Family

ID=37276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1575A KR20050096390A (ko) 2004-03-30 2004-03-30 그림이 들어간 서체(폰트) 생성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639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24619A (zh) * 2016-03-10 2016-08-03 四川交通职业技术学院 基于Spring MVC、Apache Shiro、MyBatis框架整合的代码生成器
WO2020149720A1 (ko) * 2019-01-18 2020-07-23 주식회사 우아한형제들 한글 폰트 파일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상기 한글 폰트 파일의 생성방법, 및 활용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24619A (zh) * 2016-03-10 2016-08-03 四川交通职业技术学院 基于Spring MVC、Apache Shiro、MyBatis框架整合的代码生成器
WO2020149720A1 (ko) * 2019-01-18 2020-07-23 주식회사 우아한형제들 한글 폰트 파일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상기 한글 폰트 파일의 생성방법, 및 활용방법
KR20200089901A (ko) 2019-01-18 2020-07-28 주식회사 우아한형제들 한글 폰트 파일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상기 한글 폰트 파일의 생성방법, 및 활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2878A (en) Ideographic word processor
Sinha A journey from Indian scripts processing to Indian language processing
JP2003256115A (ja)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KR20050096390A (ko) 그림이 들어간 서체(폰트) 생성 방법 및 장치
US20170060261A1 (en) Character typing method
JP2004062863A (ja) 移動通信端末機の日本語入力装置及び方法
Archer et al. A Chinese-English microcomputer system
KR100615244B1 (ko) 키패드에서의 셀렉트 버튼과 펑크션 버튼을 이용한 다국어기반 다중 문자 입력 장치와 입력방법 및 배치방법
Dias et al. Development of standards for Sinhala computing
JPH0511319B2 (ko)
JPH0823744B2 (ja) 文字列処理装置
JPH06223220A (ja) 手書き文字入力装置
JP2786260B2 (ja) かな漢字変換装置
JPS6260657A (ja) 文字処理装置
JP3371435B2 (ja) 入力モード自動設定方法あるいは入力モード自動設定装置
JPS59106033A (ja) 文書処理装置の振仮名付加方式
JPS63104119A (ja) 文書処理装置
JP2864691B2 (ja) 学習支援装置
Morita Japanese character input: its state and problems
JPH0778133A (ja) 文書作成装置および文字パターン出力方法
JPH01287769A (ja)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における日本語変換システム
JPWO2004003786A1 (ja) 文章入力システム
Yau Supporting the Chinese, Japanese, and Korean languages in the OpenVMS operating system
JPH1074199A (ja) 文字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文字処理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RIGHTS et al. Copyright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